KR20050116847A - 부재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부재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6847A
KR20050116847A KR1020040041881A KR20040041881A KR20050116847A KR 20050116847 A KR20050116847 A KR 20050116847A KR 1020040041881 A KR1020040041881 A KR 1020040041881A KR 20040041881 A KR20040041881 A KR 20040041881A KR 20050116847 A KR20050116847 A KR 20050116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medium
receiv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1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6847A/ko
Publication of KR20050116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684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9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재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웹 사이트 또는 ARS를 통해 부재중 정보 송신 모드를 설정하면, 설정된 매체로 부재중에 수신된 정보를 전송해주어 사용자가 수신된 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부재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재중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설정한 부재중에 수신된 정보를 제공받는 매체를 체크하는 설정 체크부와, 상기 설정된 매체에 적합하도록 수신된 송출 신호를 변환하는 변환부 및 사용자의 부재 여부 및 수신된 송출 신호의 종류를 체크하고, 상기 설정된 매체에 적합하게 송출된 신호를 변환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매체로 전송하도록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재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received in absent}
본 발명은 부재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웹 사이트 또는 ARS를 통해 부재중 정보 송신 모드를 설정하면, 설정된 매체로 부재중에 수신된 정보를 전송해주어 사용자가 수신된 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부재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단말기에 수신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 기지국(10)이 교환기를 통해 수신된 문자 메시지 또는 전화 신호를 해당 무선 단말기(20)로 전송하고, 이에 사람의 조작에 의해서 전화 연결이 가능하다. 이 후, 벨이 울리고 있는 일정시간 동안 사람의 조작이 없을 경우, 무선 단말기(20)에서는 부재중 전화로 인식하여 메모리에 부재중 전화번호 및 문자 메시지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에, 무선 단말기(20)를 집에 놔두고 외출하거나 급한 메시지 또는 급한 전화를 받을 일이 있는 경우, 무선 단말기(20)를 가지러 가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무선 단말기(20)가 고장난 경우에 수신된 메시지 또는 발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2003-0005534(이동통신 시스템의 부재중 발신번호 확인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가 이동단말기를 가지고 있지 않을 때에 일반공중전화나 인터넷 또는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기지국에 접근하여 사용자 인증 후 부재중 발신번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사용자가 수시로 기지국에 접근하여 부재중에 수신된 발신번호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부재중 정보 송신 모드를 설정하면, 사용자의 부재중 시 사용자가 설정한 매체로 부재중에 수신된 정보를 전송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수신된 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재중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설정한 부재중에 수신된 정보를 제공받는 매체를 체크하는 설정 체크부와, 상기 설정된 매체에 적합하도록 수신된 송출 신호를 변환하는 변환부 및 사용자의 부재 여부 및 수신된 송출 신호의 종류를 체크하고, 상기 설정된 매체에 적합하게 송출된 신호를 변환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매체로 전송하도록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재중 정보 제공 방법은 소정의 송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송출 신호를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부재중 여부 및 사용자가 설정한 부재중에 수신된 정보를 전송받을 매체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설정된 매체가 인스턴트 메신저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해당 인스턴트 메신저의 어플리케이션 포맷으로 수신된 신호를 변환하여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정보 데이터를 해당 인스턴트 메신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재중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수신부(100), 인증 처리부(200), 설정 체크부(300), 저장부(400), 변환부(500), 발신부(600), TCP/IP 프로토콜(700) 및 제어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신부(100)는 소정의 무선단말기가 전송한 송출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송출 신호는 문자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전화 호출 신호로 이해될 수 있다.
인증 처리부(200)는 사용자의 부재중 정보 송신 모드를 설정 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으로, 인증된 사용자에 한하여 부재중 정보 송신 모드의 설정 및 사용자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설정 체크부(300)는 사용자의 부재중 시 사용자가 설정한 부재중 수신된 정보를 제공받는 매체를 체크하는 것으로, 여기서 매체는 인스턴트 메신저 및 무선 단말기로 이해될 수 있다.
저장부(400)는 사용자 정보 및 수신된 송출 신호를 저장하는 것으로, 여기서 저장부(400)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모듈과, 수신된 송출 신호 중 문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듈과, 수신된 송출 신호 중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듈 및 수신된 송출 신호 중 발신자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변환부(500)는 사용자가 설정한 매체에 적합하게 수신된 송출 신호를 변환하는 것으로, 부재중 수신 정보를 제공받는 매체가 인스턴트 메신저로 설정된 경우 수신된 송출 신호를 해당 인스턴트 메신저의 어플리케이션에 맞게 변환한다. 또한, 수신된 송출 신호가 음성 데이터인 경우 오디오 신호(mp3, wma 등) 또는 텍스트 형태로 변환한다.
발신부(600) 및 TCP/IP 프로토콜(700)은 수신된 송출 신호를 사용자가 설정한 매체로 전송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매체가 무선 단말기인 경우, 수신된 송출 신호는 발신부(600)를 통해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예를 들어, 휴대폰, PDA 등)로 전송되고, 사용자가 설정한 매체가 인스턴트 메신저인 경우, 수신된 송출 신호는 TCP/IP 프로토콜(700)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예를 들어, 컴퓨터, 노트북 등)로 전송된다.
제어부(800)는 사용자의 부재중 여부 및 수신된 송출 신호를 체크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매체에 따른 포맷으로 송출 신호를 변환하여 해당 매체로 변환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의 부재중 여부는 사용자의 부재중 정보 송신 모드의 설정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알 수 있다.
한편, 제어부(800)는 전화 호출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로의 전화 연결을 시도하고, 소정 시간 동안 응답이 없을 경우, 수신된 전화 호출 신호에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매체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800)는 사용자의 부재중 수신 정보 설정에 따라 발신자에게 사용자가 부재중임을 알려주는 안내 멘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재중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먼저 사용자가 웹 사이트(예를 들어, 통신업체의 홈페이지)에 접속하거나 ARS 서비스를 통해 부재중 정보 송신 모드를 설정한다(S100). 여기서, 사용자는 부재중 정보 송신 모드 설정 시 부재중 수신 정보를 전송받을 소정의 매체를 설정할 수 있으며, 부재중 수신 정보를 전송받을 매체는 인스턴트 메신저 및 무선 단말기로 이해될 수 있다.
그 다음, 수신부(100)가 소정의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송출 신호(문자 데이터, 음성 데이터, 전호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S110), 수신된 송출 신호를 제어부(800)에게 전송한다.
그 다음, 제어부(800)는 수신부(100)로부터 전송받은 송출 신호가 문자 데이터 인지, 음성 데이터 인지 또는 전화 호출 신호 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수신된 송출 신호를 저장부(400)에 저장한다(S120). 여기서, 저장부(400)는 각각의 송출 신호 별로 저장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송출 신호가 전화 호출 신호인 경우(S121), 제어부(800)는 발신부(600)를 통해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로 전화 연결을 시도하고(S122),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수신된 전화 호출 신호에서 발신자 전화번호를 검출하여 저장부(400)에 저장한다(S123, S124). 만일, 사용자로부터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부재중 상태가 아니므로,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로 수신된 송출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수신된 송출 신호가 문자 또는 음성 데이터일 경우 수신된 문자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부(400)에 저장한다(S125 내지 S128). 여기서, 단계 S121 내지 단계 S128 과정은 도 3b를 참조한다.
그 다음, 제어부(800)는 설정 체크부(300)에게 사용자의 부재중 여부를 체크하도록 명령한다(S130). 여기서, 사용자의 부재중 여부는 부재중 정보 송신 모드의 설정 여부에 따라 확인 할 수 있다.
체크 결과 사용자가 부재중인 경우, 제어부(800)는 설정 체크부(300)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매체가 무엇인지 체크하도록 한다(S140).
상기 체크 결과 설정된 매체가 인스턴트 메신저인 경우(S150), 제어부(800)는 수신된 신호를 변환부(500)를 통해 해당 인스턴트 메신저의 어플리케이션 포맷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TCP/IP 프로토콜(700)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S160).
한편, 상기 체크 결과 설정된 매체가 소정의 무선 단말기인 경우(S170), 제어부(800)는 수신된 송출 신호를 발신부(600)를 통해 해당 무선 단말기로 전송한다(S180).
또한, 체크 결과 사용자가 부재중이 아닌 경우 즉, 사용자가 부재중 정보 송신 모드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로 수신된 송출 신호를 전송한다(S190).
한편, 사용자가 부재중 정보 송신 모드를 설정한 후에 자신의 무선 단말기에 걸려온 전화를 받을 경우, 기지국(10)은 사용자가 설정한 부재중 정보 송신 모드를 자동으로 해제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부재중 수신 정보를 전송받을 매체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부재중 수신 정보를 전송받을 매체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ARS 서비스를 이용하여 부재중 정보 송신 모드의 설정을 요청하면(S200), 기지국(10)의 인증 처리부(200)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S210). 여기서, 사용자 인증은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아이디(ID), 비밀번호 및 주민등록번호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부재중 수신 정보를 전송받을 매체를 설정한다(S230).
이에, 웹 서버 또는 ARS 서버가 기지국(10)으로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부재중 수신 정보를 전송받을 매체 정보를 전송한다(S24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부재중 정보 송신 모드를 설정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한 후,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아이디(ID), 비밀번호 및 주민등록번호 등을 입력한다.
이에, 기지국(10)의 인증 처리부(200)에서 상기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 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인증을 수행한다.
그 다음, 인증 수행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웹 사이트에서 '부재중 정보 송신 모드' 메뉴를 선택하고, 소정의 매체들 중 원하는 매체를 선택하여 사용자의 부재중 시 수신된 정보가 상기 선택된 매체로 전송되도록 설정한다.
그 다음, 웹 서버는 기지국(10)으로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매체의 정보를 전송하며, 이 후 기지국(10)은 소정의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송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매체로 수신된 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사용자가 ARS 시스템을 이용하여 부재중 정보 송신 모드를 설정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ARS 서비스로 전화를 한 후, 제공되는 안내 멘트에 따라 사용자 아이디(ID), 비밀번호 및 주민등록번호 등을 입력하여 정당한 사용자임을 인증 받는다.
그 다음, 제공되는 안내 멘트에 따라 '부재중 정보 송신 모드' 메뉴를 선택하고, 소정의 매체들 중 원하는 매체를 선택하여 사용자의 부재중 시 수신된 정보가 상기 선택된 매체로 전송되도록 설정한다.
그 다음, ARS 서버는 기지국(10)으로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매체의 정보를 전송하며, 이 후 기지국(10)은 소정의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송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매체로 수신된 정보를 전송한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사용자의 부재중 수신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송출 신호(문자 데이터, 음성 데이터, 전화 호출 신호 등)를 기지국(10)이 수신하고, 기지국(10)은 설정 체크부(300)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부재중에 수신된 정보를 전송받을 매체를 체크한다.
체크 결과에 따라 수신된 송출 신호(문자 데이터, 음성 데이터, 전화 호출 신호 등)를 설정된 매체로 전송한다. 여기서, 수신된 송출 신호는 설정된 매체의 포맷에 맞게 변환된 후 전송된다.
예를 들어, 문자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기지국(10)은 설정된 매체의 어플리케이션에 맞는 포맷으로 문자 데이터를 변환하고, 변환된 포맷 형태로 해당 메시지(A)를 전송하고, 전화 호출 신호가 수신된 경우 기지국(10)은 전화 호출 신호에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발신자 전화번호를 설정된 매체의 어플리케이션에 맞는 포맷으로 변환한 후 해당 메시지(B)를 전송한다.
또한, 음성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기지국(10)은 음성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 또는 텍스트 형태로 변환하고, 설정된 매체로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소정의 무선 단말기로부터 송출 신호가 수신되면, 기지국(10)은 수신된 송출 신호가 어떤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송출된 신호가 음성 데이터인 경우, 기지국(10)은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 또는 텍스트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그 다음, 사용자가 부재중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사용자가 부재중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매체가 무엇인지를 체크한다.
체크 결과 사용자가 부재중 수신된 정보를 전송받을 매체를 인스턴트 메신저로 설정한 경우, 기지국(10)은 텍스트 형태로 변환한 음성 데이터를 해당 인스턴스 메신저 주소로 전송한다.
이에, 사용자는 자신의 무선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도 자신의 무선 단말기로 수신되는 정보를 기지국(10)의 부재중 정보 제공 서비스를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부재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사용자가 자신의 무선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지 않은 경우, 웹 사이트 또는 ARS 서비스를 통해 부재중에 수신되는 정보를 전송받는 매체를 설정함으로써, 자신의 무선 단말기로 수신되는 정보를 자신이 설정한 매체를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기지국에서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로 송출되는 신호를 사용자가 설정한 매체로 전송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무선 단말기로 수신된 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인터넷 접속 또는 전화를 통해 수시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단말기에 수신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재중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재중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재중 정보 제공 방법 중 수신된 송출 신호의 종류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부재중 수신 정보를 전송받을 매체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부재중 수신 정보를 전송받을 매체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사용자의 부재중 수신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지국 100 : 수신부
200 : 인증 처리부 300 : 설정 체크부
400 : 저장부 500 : 변환부
600 : 발신부 700 : TCP/IP 프로토콜
800 : 제어부

Claims (9)

  1. 사용자가 설정한 부재중에 수신된 정보를 제공받는 매체를 체크하는 설정 체크부;
    상기 설정된 매체에 적합하도록 수신된 송출 신호를 변환하는 변환부; 및
    사용자의 부재 여부 및 수신된 송출 신호의 종류를 체크하고, 상기 설정된 매체에 적합하게 송출된 신호를 변환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매체로 전송하도록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부재중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부재중 정보 송신 모드 설정 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수신된 송출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부재중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인스턴트 메신저 및 무선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인 부재중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송출 신호는 문자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전화 호출 신호 중 어느 하나인 부재중 정보 제공 시스템.
  5. 소정의 송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송출 신호를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의 부재중 여부 및 사용자가 설정한 부재중에 수신된 정보를 전송받을 매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설정된 매체가 인스턴트 메신저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해당 인스턴트 메신저의 어플리케이션 포맷으로 수신된 신호를 변환하여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정보 데이터를 해당 인스턴트 메신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재중 정보 제공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웹 사이트 또는 ARS를 통해 부재중 정보 송신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부재중 정보 송신 모드에서 부재중 수신된 정보를 전송받을 매체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재중 정보 제공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송출 신호는 문자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전화 호출 신호 중 어느 하나인 부재중 정보 제공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인스턴트 메신저 및 무선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인 부재중 정보 제공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부재중 판단은 부재중 정보 송신 모드의 설정 여부를 통해 판단하는 부재중 정보 제공 방법.
KR1020040041881A 2004-06-08 2004-06-08 부재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116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881A KR20050116847A (ko) 2004-06-08 2004-06-08 부재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881A KR20050116847A (ko) 2004-06-08 2004-06-08 부재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847A true KR20050116847A (ko) 2005-12-13

Family

ID=37290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881A KR20050116847A (ko) 2004-06-08 2004-06-08 부재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68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5605B1 (en) Transferring a communications exchange
KR101054467B1 (ko) 데이터 스트리밍 및 실시간 서비스에 적합한 단거리 무선단말기
JP5080246B2 (ja) Bluetoothのペアリング方法及びデバイス
EP1502421B1 (en) A method of remotely changing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communications device
JP2001306564A (ja) 自動翻訳機能付き携帯端末
US8213920B2 (en) Wireless call handoff
CN105493440A (zh) 家用电器及其控制方法
US200701218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call connection when parties try to sumultaneously call each other
CN101515971A (zh) 电话通信控制装置、电话通信系统以及电话通信控制方法
JP2005020477A (ja) 通信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
KR20190044978A (ko) 원격 통화에 기반하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인공지능 단말, 서비스 모드 관리 서버, 서비스 제공 시스템, 그리고 서비스 제공 방법
US776110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character message fro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116847A (ko) 부재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01930B1 (ko) 휴대 전화 단말기의 상태 정보 처리 장치
JP2005167982A (ja) 着信転送機能のための通話装置及び方法
US200801250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address book entry between wireless devices
JP2007507935A (ja) マルチメディアコールシグナリングを有する通信接続の形成方法
KR100393603B1 (ko) 무선 헤드셋의 재다이얼 번호 안내 방법
CN100353790C (zh) 具备发布接收失败警报功能的移动通信终端机及控制方法
JP2000069145A (ja) 通信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および通信端末
JP4276251B2 (ja) 移動通信端末および移動通信端末の制御方法。
JP2001086562A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無線通信用端末、及び移動無線通信用基地局
JP2008109191A (ja) 携帯電話端末および電話制御方法
KR20060034550A (ko)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휴대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7282130A (ja) 携帯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