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6741A - 부화기 - Google Patents

부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6741A
KR20050116741A KR1020040041970A KR20040041970A KR20050116741A KR 20050116741 A KR20050116741 A KR 20050116741A KR 1020040041970 A KR1020040041970 A KR 1020040041970A KR 20040041970 A KR20040041970 A KR 20040041970A KR 20050116741 A KR20050116741 A KR 20050116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incubator
air
hous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9151B1 (ko
Inventor
주일중
Original Assignee
주일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중 filed Critical 주일중
Priority to KR1020040041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151B1/ko
Publication of KR20050116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6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1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 A01K41/02Heating arrangements
    • A01K41/023Devices for regulating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 A01K41/04Controlling humidity in incub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 A01K41/06Egg-turning appliances for incuba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개시된 부화기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수정란을 지지하여 전란시키는 전란 장치와, 상기 전란장치 주위의 환경을 수정란의 부화에 적절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환경유지수단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며 상기 전란 장치 주위로 통과시키는 공기순환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부화기는 부화기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고, 외부의 공기와 교체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공기유동실을 구비하여, 오염된 공기로 인해 수정란의 부화율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각각의 축이 구비된 다수의 회전틀을 회전시켜 수정란을 전란시킴으로서, 부화기 내부의 공간이용효율이 증대되어 소형의 부화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화기{incubator}
본 발명은 각종 수정란을 인공적으로 부화시키는 부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원활한 공기순환과 통풍을 이루어지게 하고, 다수의 전란틀을 각각 전란하도록 하여 공간 효율을 높인 부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정란을 인공적으로 부화시키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요건은 적절한 전란과 적정온도와 상대습도 그리고 통풍과 세균감염으로부터 수정란을 보호하기 위한 청결성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수정란의 적절한 전란 각도는 지면에 대한 수직선을 기준으로 양방향 45도 즉, 90도로 회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부화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안출되었던 종래의 일반적인 부화기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일정시간마다 수정란을 전란시키는 전란틀과 내부에 온도를 조절하게 되는 발열장치 또는 냉각장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물을 담아놓는 증발접시, 그리고 외부와 통풍을 하기 위한 통풍구와 송풍팬 등을 구비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부화기(1)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환풍구(11)와 투명창(12)이 구비되는 하우징(10)과, 중심으로 관통홀(21)이 형성되고 외면 일측으로 회전몸체(22)가 결합되는 외축(20)과, 제어신호에 따라 정회전 및 역회전하며 상기 외축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23)와, 제1모터(23)의 회전력을 외축(20)으로 전달하게 되는 웜(24)과 웜기어(25), 상기 외축(20)의 관통홀(21)로 삽입되어 서로 회전함에 있어 간섭되지 않도록 구비되며 일측으로 송풍팬(31)이 결합되는 내축(30)과, 이 내축(30)을 회전시키는 제2모터(32)와, 수정란(2)을 고정하며 상기 회전몸체(22)에 고정되는 전란틀(4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면 일측으로 결합되는 내부 온도 조절용 히터(50)와, 습도 조절을 위하여 물이 담겨지게 되는 증발접시(60), 상기 제1모터(23)와 제2모터(32) 및 히터(40) 등을 제어하는 제어기(미도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부화기에 적용되는 전란틀(40)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의 프레임 내부에 다수의 수정란고정부재(41)를 구비하여 수정란(2)을 서로 근접하도록 배치하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부화기(1)는 하우징(10)의 통풍구(11)만을 이용하여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교체하게 되는 것으로 부화기(1) 내부의 원활한 통풍이 이루어지지 않아 공기가 쉽게 세균 등에 감염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배(胚)가 발육됨에 따라 산소를 소모함과 동시에 생성되는 이산화탄소로 인해 산소결핍으로 부화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부화기(1)에 채용된 전란장치는 전란틀(40)을 포함하는 회전몸체(22)를 회전시켜 수정란(2)을 전란시키는 것으로 회전몸체(22)의 회전궤적에 비례하여 상기 하우징(10)의 크기가 커져야 하는 부담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전체적인 부화기(1)의 크기가 커져 공간이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부화기(1)에 채용되는 전란틀(40)은 수정란(2)이 서로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어 수정란(2)이 부화되기 약 5일 전부터 수정란(2) 내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자열로 인하여 서로 영향을 주어 부화율이 저감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부화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내외부의 공기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개선된 부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몸체의 회전궤적에 의해 공간이용효율이 저감되었던 문제점을 해소한 부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정란의 부화율 저하를 억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전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과, 그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수정란을 지지하여 전란시키는 전란 장치 및, 상기 전란장치 주위의 환경을 수정란의 부화에 적절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환경유지수단을 포함하는 부화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며 상기 전란 장치 주위로 통과시키는 공기순환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순환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부를 상기 전란장치가 있는 생장실과, 이 생장실을 둘러싸는 외부실로 분할하며, 공기가 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가 형성된 격벽부재와, 상기 외부실의 공기를 상기 생장실 안으로 불어넣어서 상기 퉁풍구를 통해 공기가 강제 순환되게 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과 격벽부재는 내부 관찰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실은, 상기 송풍기가 설치된 기계실과, 그 반대편의 발생실 및, 상기 기계실과 발생실을 연결하는 공기유동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 실을 지나는 순환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분진 여과용 필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순환경로 중에는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가 혼입되는 유입공과, 하우징 내부의 공기중 일부가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공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란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수정란이 놓이는 다수의 안착부가 일 열로 배치된 전란플레이트와, 상기 전란플레이트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시키는 회전틀과, 상기 회전틀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전란플레이트가 함께 회전되게 하는 회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장치는 제어기의 신호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동하게 되는 회동바와, 회동바의 회동에 따라 상기 회전틀을 밀거나 당겨 회전시키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란플레이트의 안착부들은 수정란끼리 서로 접촉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갖도록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화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부화기에 적용된 전란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도 4에 도시된 부화기에 적용된 전란플레이트와, 회전틀을 도시한 사시도와 이 사시도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부화기에 적용된 제2격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부화기의 전란장치에 적용된 가이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a 내지 도 10b는 도 4에 도시된 부화기에 적용된 전란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수정란을 인공적으로 부화시키는 본 발명의 부화기는, 크게 본체를 이루는 하우징(200)과, 수정란을 전란시키는 전란장치(300), 상기 하우징(200) 내부의 환경을 유지시켜 주는 환경유지수단(400)으로 구분된다.
먼저, 상기 하우징(200)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하부가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부화기 내부의 관찰이 용이하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상부하우징(200a)과 후술하는 격벽부재(210)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결합단(220)이 구비된 불투명 재질의 하부 하우징(200b)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하우징(200a)은 상기 하부하우징(200b)에 안착되어 결합부재(미부호)로서 결합된다.
이러한 하우징(200)의 내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통형상의 격벽부재(210)와 이 격벽부재(210)의 내부에 결합되는 판형상의 제1격판(230) 및 제2격판(240)에 의해 내부실과 외부실로 분할된다.
상기 내부실은 후술하게 되는 전란장치(300)가 구비되는 생장실(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실은 상기 하부하우징(200b)의 결합단(220) 내에 마련되는 기계실(120)과 상기 생장실(110) 상부에 마련되는 발생실(130), 상기 기계실(120)과 발생실(130)을 연결하는 공기유동실(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하우징(200a)의 하부 일측으로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기계실(120)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200a)에서 상기 기계실(120)까지 관통된 공기유입공(2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공기유입공(201)의 타측으로는 상기 공기유동실(140)의 공기가 하우징(200) 외부로 토출되도록 관통된 공기토출공(20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격벽부재(210)와 상기 하부하우징(200b)의 결합단(220) 일측으로는 공기의 원활한 순환을 위하여 기계실(120)과 발생실(130)이 상기 공기유동실(140)과 연결되도록 공기유동공(1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공기유동공(141)으로는 공기를 정화하는 여과용 필터(142)가 결합된다.
상기 제1격판(230)은 투명재질의 판 형상으로 상기 발생실(130)과 상기 생장실(110)을 분할하게 되며, 분할된 발생실(130)과 생장실(110) 사이로 공기가 통하도록 다수의 공기유동공(2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격판(240)은 불투명재질의 판 형상으로 상기 기계실(120)과 상기 생장실(110)을 분할하게 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기계실(120)과 생장실(110) 사이로 공기가 통하도록 다수의 공기유동공(241)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하게 되는 프레임(310)의 지지다리(311)와 회동바(360)의 하부가 상기 기계실(120)에 간섭없이 고정되도록 이에 대응하는 관통공(24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격판(240)의 공기유동공(241)은 후술하게 되는 송풍팬(610)에 의해 공기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균형있게 유동하도록 송풍팬(610)을 기준으로 점진적으로 다수가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전란장치(3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10)과, 수정란(101)을 고정하게 되는 전란플레이트(320)와, 전란플레이트(320)를 상기 프레임(310)에 회전가능하게 안착시키는 회전틀(330)과, 동력이 생산되는 모터(340)와, 이 모터(340)의 동력을 상기 회전틀(330)에 전달하게 되는 연결바(350)와 회동바(36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310)은 다수의 지지다리(311)와 상기 회전틀(330)이 안착되도록 전,후로 구비되는 회전틀지지대(312)와, 이러한 회전틀지지대(312)를 고정하게 되는 보강부재(313)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다리(311)는 하부가 상기 기계실(120)에 고정되고, 상기 제2격판(240)의 관통공(242)을 관통하여 연장되며 그 상부로는 상기 회전틀지지대(312)가 고정된다.
상기 회전틀지지대(312)는 상기 회전틀(330)의 축단(332)이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안착홈(3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다리(311)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재(313)는 상기 전, 후의 회전틀지지대(312)가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다리(311)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전란플레이트(320)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좁아지는 마름모형상의 함체형으로 플레이트상판(321)과 플레이트몸체(325)로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상판(321)의 양 측단으로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판결합단(32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심으로는 수정란(101)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개의 수정란고정공(32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정란고정공(323)은 상기 수정란(101)이 서로 영향을 주지 못하는 정도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몸체(325)는 상기 수정란(101)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홀(3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결합단(322)과 대응되는 양측 끝단으로 몸체결합단(327)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상판(321)과 플레이트몸체(325)는 상기 몸체결합단(327)으로 상기 상판결합단(322)이 끼워지게 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플레이트몸체(325)의 전, 후단 및 하단의 외면 중심으로는 상기 회전틀(330)에 삽입되는 삽입단(328)이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좌, 우측단 및 하단의 일측으로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기유동공(32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틀(330)은 소정길이의 봉형상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320)가 수용되는 수용단(331)과 수용단(331)의 양 끝단이 절곡되어 마련되는 축단(332)과 이러한 양 축단(332) 중 어느 일단이 다시 절곡되어 형성되는 연결단(33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틀(330)의 중심 길이방향으로는 상기 회전플레이트(320)의 삽입단(328)에 대응되는 삽입홈(3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플레이트(320)는 이 삽입홈(334)으로 상기 삽입단(328)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모터(3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나사 형상의 회전축(341)을 구비하며, 상기 기계실(120) 일측으로 구비되는 제어기(125;도 4 참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회전 및 역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동바(350)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좌, 우 대칭형의 패널(panel)이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회동바(350)의 상면 및 하면의 일측으로는 회동축(351)이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축(350)의 타측으로는 가이딩부재(352)가 결합되도록 수평으로 관통되는 결합공(35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공(353)의 상측 길이방향으로는 연결축(354)이 결합되고, 상기 연결바(360)의 일부가 수용되는 연결축고정단(35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동바(350)는 하부의 회동축(351)이 상기 기계실(120)의 일측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격판(240)의 관통공(242)을 관통하여 상기 생장실(110)로 그 상부의 회동축(351)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회동바(350)의 회동축(351)이 고정되는 상기 기계실(120)과 상기 생장실(110)의 일측으로는 상기 회동축이 결합되는 회동축고정단(356)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축(354)은 상기 연결바(360)와 상기 회동바(350)를 축 결합시킴으로서, 상기 회동축(351)이 회동하여 상기 연결바(360)를 밀거나 당길 때 상기 회동바(350)의 회전운동을 상기 연결바(360)의 직선운동으로 무리 없이 변환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딩부재(35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으로 상기 모터(340)의 회전축(341)에 대응되는 암나사(352a)를 구비하는 원통형상으로 상, 하측으로 연장되는 힌지축(352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딩부재(352)는 상기 회동바(350)의 결합공(353)으로 축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모터(340)의 회전축(341)이 암나사(352a)에 나사결합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모터(340)의 회전에 따라 가이딩부재(352)는 상기 회전축(341)에 가이딩되어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동바(350)는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딩부재(352)의 직선운동을 회동바(350)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데 있어서, 상기 회동바(350)의 회동궤적에 의해 원활하게 회동되지 않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상기 회동축고정단(356)으로 가이드홈(357)이 구비되며, 이 가이드홈(357)으로 상기 회동축(351)이 상기 회동바(350)의 회동궤적에 대응하여 이동함으로서 상기 회동바(350)는 무리없이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바(360)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서, 중심의 길이방향으로는 상기 회전틀(330)의 연결단(333)이 결합되는 수직으로 관통된 연결공(3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끝단으로는 상기 회동바(350)의 연결축(354)과 결합된다.
상기 연결공(361)으로는 상기 회전틀(330)의 연결단(331)이 무리 없이 회동하도록 탄성부재(362)가 구비된다.
상기 환경유지수단(400)은 수정란(101)을 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2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등을 적절하게 유지시켜 주는 것으로서, 상기 기계실(120)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환경유지수단(4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0) 내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키는 송풍팬(410)과, 온도를 유지시켜 주는 히터(420)와, 습도를 유지시켜 주는 증발접시(430)로 구성된다.
상기 송풍팬(410)은 송풍모터(411)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송풍모터(411)는 상기 제어기(125)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송풍팬(410)의 주변으로는 덕트(duct,412)가 구비되어 공기를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히터(420)는 상기 덕트(412)의 상면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상기 제어기(125)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증발접시(430)는 물이 채워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의 습도는 적절히 유지된다.
이러한 구성의 부화기(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공기유입공(201)에 의해 부화기(100) 외부에서 상기 기계실(12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히터(420)와 증발접시(430)에 의해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게 되며, 이러한 공기는 상기 송풍팬(410)에 의해 상기 생장실(110)을 거쳐 상기 발생실(130)로 보내지게 되어 상기 수정란(101)에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제공하게 된다.
그 후, 공기는 상기 분진필터(142)에 의해 정화된 후 상기 공기유동실(140)을 거쳐 일부는 상기 공기토출공(202)에 의해 외부로 토출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기계실(120)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부화기(10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킴에 있어 일부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교체시켜주게 되어 부화기(100) 내부의 공기 오염에 의해 수정란(101)의 부화율이 저감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생장실(110)에 구비되는 전란장치(300)는 상기 모터(340)가 제어기(125)의 제어신호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되어 상기 가이딩부재(352)를 이동시키게 되면, 이 가이딩부재(352)가 고정되어 있는 상기 회동바(350)는 회동축(351)에 의해 회동하게 되어 상기 연결바(360)를 밀거나 당기게 되고, 이 연결바(36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회전틀(330)의 연결단(333)은 상기 축단(332)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도 9a 내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란틀레이트(320)를 회전시켜 상기 수정란(101)을 전란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과, 그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수정란을 전란시키는 전란 장치, 상기 전란장치 주위의 환경을 수정란의 부화에 적절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환경유지수단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된 본 발명의 부화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부화기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킴에 있어 일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교체시켜 부화기 내부의 공기 오염에 의해 수정란의 부화율이 저감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전란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수정란을 적절하게 이격시켜 배치함으로서, 근접되는 수정란이 서로의 자열에 영향을 받아 부화율이 저감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각각의 축이 구비된 다수의 회전틀을 회전시켜 수정란을 전란시킴으로서, 부화기 내부의 공간이용효율이 증대되어 소형의 부화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투명재질의 상기 하우징과 상기 격벽부재로 인하여 부화기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수정란의 부화되는 모습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부화기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화기에 적용된 전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부화기에 적용된 전란틀을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화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부화기에 적용된 전란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4에 도시된 부화기에 적용된 전란플레이트와, 회전틀을 도시한 사시도와 이 사시도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부화기에 적용된 제2격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부화기에 적용된 가이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9a 내지 도 10b는 도 4에 도시된 부화기에 적용된 전란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부화기 110 : 생장실
120 : 기계실 125 : 제어기
130 : 발생실 140 : 공기유동실
200 : 하우징 210 : 격벽부재
220 : 결합단 230 : 제1격판
240 : 제2격판 300 : 전란장치
310 : 프레임 320 : 전란플레이트
330 : 회전틀 340 : 모터
350 : 연결바 360 : 회동바
400 : 환경유지수단 410 : 송풍팬
420 : 히터 430 : 증발접시

Claims (11)

  1. 하우징과, 그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수정란을 지지하여 전란시키는 전란 장치 및, 상기 전란장치 주위의 환경을 수정란의 부화에 적절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환경유지수단을 포함하는 부화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며 상기 전란 장치 주위로 통과시키는 공기순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부를 상기 전란장치가 있는 생장실과, 이 생장실 둘러싸는 외부실로 분할하며, 공기가 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가 형성된 격벽부재와, 상기 외부실의 공기를 상기 생장실 안으로 불어넣어서 상기 퉁풍구를 통해 공기가 강제 순환되게 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격벽부재는 내부 관찰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실은, 상기 송풍기가 설치된 기계실과, 그 반대편의 발생실 및, 상기 기계실과 발생실을 연결하는 공기유동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 실을 지나는 순환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분진 여과용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경로 중에는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가 혼입되는 유입공과, 하우징 내부의 공기중 일부가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공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란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수정란이 놓이는 다수의 안착부가 일 열로 배치된 전란플레이트와, 상기 전란플레이트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시키는 회전틀과, 상기 회전틀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전란플레이트가 함께 회전되게 하는 회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는 제어기의 신호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동하게 되는 회동바와, 회동바의 회동에 따라 상기 회전틀을 밀거나 당겨 회전시키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란플레이트의 안착부들은 수정란끼리 서로 접촉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갖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
  9. 부화기 내에서 수정란을 지지하여 요동시키는 전란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수정란이 놓이는 다수의 안착부가 일 열로 배치된 전란플레이트와, 상기 전란플레이트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안착시키는 회전틀과, 상기 회전틀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전란플레이트가 함께 회전되게 하는 회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는 제어기의 신호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동하게 되는 회동바와, 회동바의 회동에 따라 상기 회전틀을 밀거나 당겨 회전시키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란플레이트의 안착부들은 수정란끼리 서로 접촉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갖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
KR1020040041970A 2004-06-08 2004-06-08 부화기 KR100749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970A KR100749151B1 (ko) 2004-06-08 2004-06-08 부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970A KR100749151B1 (ko) 2004-06-08 2004-06-08 부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741A true KR20050116741A (ko) 2005-12-13
KR100749151B1 KR100749151B1 (ko) 2007-08-14

Family

ID=37290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970A KR100749151B1 (ko) 2004-06-08 2004-06-08 부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15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129B1 (ko) * 2006-04-26 2007-09-04 김종희 전란장치
KR101225608B1 (ko) * 2011-07-20 2013-01-24 황성춘 부화기의 히팅 구조
KR101286447B1 (ko) * 2011-07-20 2013-07-16 황성춘 부화기의 선반 구조
KR20170102642A (ko) * 2016-03-02 2017-09-12 방소윤 비전원을 이용한 온열수단을 구비한 가금용 부화기
KR101994123B1 (ko) * 2018-10-25 2019-07-01 농업회사법인 경주화조원체험테마파크유한회사 부화기 구동 장치
KR20200005696A (ko) * 2018-07-06 2020-01-16 (주) 대상키우미시스템 열전소자가 적용된 대형 인공 부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3607A2 (ko) * 2010-01-27 2011-08-04 (주)오토일렉스 부화기
KR101251883B1 (ko) * 2010-01-27 2013-04-08 (주)오토일렉스 부화기
KR101218635B1 (ko) 2010-05-31 2013-02-06 주일중 인공부화장치
KR101880501B1 (ko) * 2017-12-28 2018-07-20 전영학 달걀 부화장치
KR102055780B1 (ko) * 2019-07-12 2020-01-22 육금석 계란 구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70232A (en) 1974-03-25 1977-04-14 Robbins Incubator Co Hatching of eggs
JP2796513B2 (ja) * 1995-03-28 1998-09-10 清耕 荒田 孵卵器
KR200232215Y1 (ko) 1998-05-19 2001-11-22 김종원 부화기
KR200263873Y1 (ko) 2001-11-23 2002-02-19 우종천 폐냉장고를 이용한 부화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129B1 (ko) * 2006-04-26 2007-09-04 김종희 전란장치
KR101225608B1 (ko) * 2011-07-20 2013-01-24 황성춘 부화기의 히팅 구조
KR101286447B1 (ko) * 2011-07-20 2013-07-16 황성춘 부화기의 선반 구조
KR20170102642A (ko) * 2016-03-02 2017-09-12 방소윤 비전원을 이용한 온열수단을 구비한 가금용 부화기
KR20200005696A (ko) * 2018-07-06 2020-01-16 (주) 대상키우미시스템 열전소자가 적용된 대형 인공 부화기
KR101994123B1 (ko) * 2018-10-25 2019-07-01 농업회사법인 경주화조원체험테마파크유한회사 부화기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9151B1 (ko) 200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4477B2 (en) Incubator
KR100749151B1 (ko) 부화기
US7838286B2 (en) Incubator
KR101669718B1 (ko)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
CN109152351B (zh) 用于培育无脊椎动物的设备和方法
WO2015108443A1 (ru) Инкубатор
CN113227350A (zh) 具有受控环境区的细胞培养和组织工程系统
KR200191864Y1 (ko) 부화기
US5410985A (en) Poultry incubator and method
ES2910304T3 (es) Sistema de control climático para cría de insectos
CN213603820U (zh) 一种孵化机可调节风量的皮带传动风扇
KR101218635B1 (ko) 인공부화장치
JPS585013B2 (ja) コウオンホジソウチ
CN214841477U (zh) 空气处理装置及空调器
WO2023050812A1 (zh) 空调内机
CN213486435U (zh) 一种风道循环式翻蛋孵化器
KR20150137567A (ko) 축열식 공기소독 냉열 교환기
KR101651399B1 (ko) 부화장치
KR102054690B1 (ko) 부식케이스 교체 용이한 축사용 부식방지 공기 조화장치
CN210267917U (zh) 一种石墨烯发热消毒烘干房
JP7282225B1 (ja) 栽培設備
CN216814474U (zh) 全热无菌加湿净化一体机
JPH04341128A (ja) 鶏舎
CN213961346U (zh) 一种全自动孵化机
CN214841478U (zh) 空气处理装置及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