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883B1 - 부화기 - Google Patents

부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883B1
KR101251883B1 KR1020100116976A KR20100116976A KR101251883B1 KR 101251883 B1 KR101251883 B1 KR 101251883B1 KR 1020100116976 A KR1020100116976 A KR 1020100116976A KR 20100116976 A KR20100116976 A KR 20100116976A KR 101251883 B1 KR101251883 B1 KR 101251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transfer
auxiliary
frame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8359A (ko
Inventor
배종윤
Original Assignee
(주)오토일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토일렉스 filed Critical (주)오토일렉스
Priority to PCT/KR2011/00029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093607A2/ko
Priority to CN201180005233.5A priority patent/CN102753015B/zh
Publication of KR20110088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 A01K41/06Egg-turning appliances for incubators
    • A01K41/065Egg dra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프레임과; 복수의 수정란을 수용하는 전란트레이와, 상기 전란트레이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수정란을 전란하는 전란부재를 가지며, 상기 본체프레임에 복수의 층을 이루며 적층 수용되는 복수의 전란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전란트레이의 적층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전란부재를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전란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부화기는 복수의 수정란이 수용된 전란트레이를 본체프레임에 복수의 층으로 적층 수용하고, 단일의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전란트레이에 마련된 전란부재를 직선 왕복이동시켜 복수의 수정란을 전란시켜줌으로써, 복수의 수정란을 안전하게 전란할 수 있어 수정란의 부화에 최적의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층으로 전란트레이를 적층 구성함으로써 부화기 내부의 공간이용효율이 증대되어 부화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수정란이 수용된 전란트레이를 본체프레임에 인출입 가능하게 마련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부화기를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화기{INCUBATOR}
본 발명은 각종 수정란을 인공적으로 부화시키는 부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다량의 수정란을 동시에 전란할 수 있는 부화기에 관한 것이다.
부화기는 인공적으로 수정란을 부화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조류의 수정란을 부화시키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부화기는 수정란이 부화할 수 있도록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고, 수정란의 각 부분이 고르게 따뜻해지도록 수정란을 전란한다.
여기서, 전란이라고 하는 것은 수정란 전체에 열이 전달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치우치지 않은 고른 발생을 유도하는 것을 말한다. 즉, 자연상태에서는 어미새가 부리로 계속 수정란들의 위치 및 방향을 돌려주지만, 인공 부화를 하기위해서는 기계나 사람이 대신 수정란들의 위치 및 방향을 돌려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정란을 전란하여 부화시키는 부화기는 한국등록특허 10-0191864(이하 종래기술)의 "부화기"에 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부화기는 실외기부에서 흡입된 외부의 공기를 실내기부로 공급하며, 실내기부는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여 복수의 전란틀에 마련된 수정란에 순환시킨다.
여기서, 복수의 전란틀은 일측 중앙부가 회전축으로 고정되어 있어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되며, 동력부의 작동으로 복수의 전란틀이 좌우 회전하여 전란틀에 마련된 복수의 수정란을 전란한다.
즉, 동력부의 작동으로 수직 나사축으로 이루어진 가이드가 회전하고, 가이드의 외주면을 따라 승강하는 이송대가 전란틀과 연결되어 전란틀을 좌우 회전시킨다. 이때 복수의 전란틀이 승강레버에 의해 고정되어 복수의 전란틀이 동시에 좌우 회전하여 복수의 수정란을 전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부화기는 전란틀을 좌우 회전시켜, 즉 전란틀을 틸팅시켜, 전란틀에 수용된 수정란을 전란시킴으로써, 복수의 수정란이 상호 부딪치거나 깨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더욱이 수정란이 전란틀을 이탈하여 외부로 떨어질 수 있어 수정란의 안정적인 전란에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란틀이 좌우 회전하기 위해서는 부화기 내부에 큰 공간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부화기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수정란이 수용된 전란트레이를 본체프레임에 복수의 층으로 적층 수용하고, 전란트레이의 바닥면에 마련된 전란부재를 직선 왕복이동시켜 복수의 수정란을 전란시킴으로써, 부화기 내부의 공간이용효율이 증대되고, 복수의 수정란을 안전하게 전란시킬 수 있는 부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과; 복수의 수정란을 수용하는 전란트레이와, 상기 전란트레이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수정란을 전란하는 전란부재를 가지며, 상기 본체프레임에 복수의 층을 이루며 적층 수용되는 복수의 전란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전란트레이의 적층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전란부재를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전란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란구동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을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보조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전란트레이의 적층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전란부재를 각각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복수의 캐리어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마련되어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보조프레임이 축선을 따라 직선 왕복이동하도록 상기 보조프레임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축과;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스크류축에 전달하는 피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캐리어유니트는 각각, 상기 전란부재로부터 돌출된 결합돌기와; 상기 보조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돌기에 접촉하여 상기 전란부재를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캐리어는, 상기 보조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보조프레임을 따라 직선 왕복이동하는 브래킷과; 상기 결합돌기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브래킷의 양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회전판과;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회전판의 회전을 구속하는 한 쌍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캐리어유니트는 각각, 상기 전란부재에 돌출 및 수납 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 결합돌기와; 상기 보조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보조 결합돌기가 착탈되는 착탈홈이 형성되어 상기 전란부재를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보조 캐리어와; 상기 보조 결합돌기가 상기 착탈홈에 장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란부재의 양단부에는 부분 절개된 절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에는 상기 본체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전란부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수정란의 부화하도록 습기를 발생하는 가습부와; 상기 가습부로부터 습기를 상기 전란트레이로 공급하여 상기 전란트레이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구동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마련되어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보조프레임에 상호 이격 배치되며, 상기 보조프레임이 축선을 따라 직선 왕복이동하도록 상기 보조프레임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스크류축과; 상기 구동기어와 각각 맞물리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스크류축에 각각 전달하는 한 쌍의 피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화기는 복수의 수정란이 수용된 전란트레이를 본체프레임에 복수의 층으로 적층 수용하고, 단일의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전란트레이에 마련된 전란부재를 직선 왕복이동시켜 복수의 수정란을 전란시켜줌으로써, 복수의 수정란을 안전하게 전란할 수 있어 수정란의 부화에 최적의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층으로 전란트레이를 적층 구성함으로써 부화기 내부의 공간이용효율이 증대되어 부화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수정란이 수용된 전란트레이를 본체프레임에 인출입 가능하게 마련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부화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화기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화기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화기의 전란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화기의 전란구동부를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유니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유니트와 전란부재가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유니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유니트와 전란부재가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화기의 가습부 및 습도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화기의 전란구동부를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화기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화기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화기의 전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화기의 전란구동부를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화기는 본체프레임(10)과, 본체프레임(10)에 수용되며 복수의 수정란(1)이 수납되어 있는 복수의 전란부(20)와, 전란부(20)의 수용된 수정란(1)을 전란시키는 전란구동부(50)와, 복수의 수정란(1)이 부화하도록 습기를 발생하는 가습부(90)와, 전란트레이(21)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부(100)를 포함한다.
본체프레임(10)은 부화기의 외관을 구성하며, 속이 빈 함체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복수의 전란부(20) 및 전란구동부(50)를 수용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0)은 복수의 장형프레임(11)이 육면체의 틀을 형성하며, 이 틀에 복수의 판(13)이 결합되어 함체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본체프레임(10)은 전란구동부(50)가 설치되는 수직프레임(15)을 포함하며, 수직프레임(15)은 복수의 전란부(20)와 대향하도록 바닥면에 수직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프레임의 형상은 다면체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전란부(20)는 본체프레임(10)에 복수의 층을 이루며 적층 수용되어 복수의 수정란(1)을 전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복수의 전란부(20)는 각각, 복수의 수정란(1)을 수용하는 전란트레이(21)와, 전란트레이(21)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복수의 수정란(1)을 전란하는 전란부재(27)로 이루어진다.
전란트레이(21)는 복수의 수정란(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서랍 형태로 형성되며, 본체프레임(10)에 복수의 층을 이루며 수납된다.
전란트레이(21)의 내측에는 복수의 수정란(1)이 균일하게 정렬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정렬부재(23)가 마련되어 있다. 즉, 각각의 정렬부재(23) 사이마다 수정란(1)을 배치하여 전란트레이(21) 내에서 복수의 수정란(1)이 한쪽으로 쏠리거나 상호 부딪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전란트레이(21)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제1 통과공(25)이 형성되어 있어, 가습부(90) 및 습도조절부(100)를 통해 공급되는 가습된 공기가 복수의 전란트레이(21)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제1 통과공(25)을 통해 순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전란트레이(21)에 수용된 복수의 수정란(1)에 가습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전란부재(27)는 평판의 형상으로서 전란트레이(21)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전란트레이(21)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전란부재(27)의 판면에도 복수의 제2 통과공(29)이 형성되어 있어, 가습부(90) 및 습도조절부(100)를 통해 공급되는 가습된 공기가 복수의 제2 통과공(29)를 통해 순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전란부재(27)는 후술되는 전란구동부(40)에 작동으로 인해 직선 왕복이동하며 전란트레이(21)에 수용된 복수의 수정란(1)을 굴려주어 전란하게 된다.
더욱이, 전란부재(27)의 양단부에는 부분 절개된 절개홈(31)이 마련되어 있어, 수정란(1)에서 부화된 개체를 보호한다. 즉, 전란부재(27)가 직선 왕복이동하는 과정에서 전란트레이(21)의 양측 내벽과 전란부재(27)의 양단부가 접촉 및 이격을 반복하게 되는데, 수정란(1)이 부화되는 경우 전란트레이(21)의 양측 내벽과 전란부재(27)의 양단부 사이에 부화된 개체의 다리가 끼어 절단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전란부재(27)의 양단부에 부분 절개된 절개홈(31)을 마련하면 전란트레이(21)의 양측 내벽과 전란부재(27)의 양단부 사이에 부화된 개체의 다리가 끼게 되더라도 절개홈(31)에 의해 부화된 개체의 다리가 절단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복수의 전란부(20)는 본체프레임(10)에 적층 수용되어 복수의 수정란(1)을 안전하게 전란하게 된다.
여기서 본체프레임(10)에는 본체프레임(10)으로부터 복수의 전란부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부(40)를 마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부(40)는 본체프레임(10)에 복수의 층을 이루며 마련되는 복수의 메인 가이드레일(41)과, 전란트레이(21)의 양측부에 마련되는 보조 가이드레일(43)로 이루어진다.
즉, 본체프레임(10)의 복수의 메인 가이드레일(41)에 각각 전란트레이(21)의 보조 가이드레일(43)이 결합되어 전란트레이(21)가 본체프레임에 수월하게 인출입 될 수 있다.
한편, 전란구동부(50)는 전란트레이(21)의 적층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복수의 전란부재(27)를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란구동부(50)는 본체프레임(10)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프레임(51)과, 보조프레임(51)을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55)와, 보조프레임(51)에 마련되어 전란트레이(21)의 적층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복수의 전란부재(27)를 각각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복수의 캐리어유니트(65)로 이루어진다.
보조프레임(51)은 본체프레임(10)에 복수로 적층된 전란트레이(21)에 대향하도록 본체프레임(10)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마련된다. 즉, 본체프레임(10)의 수직프레임(15)에 마련되는 것이다.
구동부(5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5)에 설치되어 보조프레임(51)을 직선 왕복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구동부(55)는 수직프레임(15)에 마련되어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57)와, 구동모터(57)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59)와, 보조프레임(51)이 축선을 따라 직선 왕복이동하도록 보조프레임(51)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축(61)과, 구동기어(59)와 맞물려 구동모터(57)의 회전력을 스크류축(61)에 전달하는 피동기어(63)로 이루어진다.
구동모터(57)는 간헐적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하도록 내부에 제어부(미도시)가 마련된다.
스크류축(61)은 전란트레이(21)와 평행하도록 수직프레임(1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보조프레임(51)은 스크류축(61)에 나사결합되어 스크류축(61)의 축선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구동모터(57)를 작동시키면 구동모터(57)에 의해 구동기어(59)가 회전하고, 구동기어(59)에 맞물린 피동기어(63)가 회전하게 되며, 피동기어(63)에 결합된 스크류축(61)이 회전하여 스크류축(61)에 관통되어 나사결합된 보조프레임(51)이 스크류축(61)의 축선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57)가 정회전 및 역회전으로 번갈아 가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스크류축(61)에 나사결합된 보조프레임(51)이 스크류축(61)의 축선을 따라 직선 왕복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55')는, 본체프레임(10)에 마련되어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57)와, 구동모터(57)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59)와, 보조프레임(51)이 축선을 따라 직선 왕복이동하도록 보조프레임(51)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스크류축(61a,61b)과, 구동기어(59)와 각각 맞물리며 구동모터(57)의 회전력을 스크류축(61a,61b)에 각각 전달하는 한 쌍의 피동기어(63a,63b)를 포함한다.
한 쌍의 스크류축(61a,61b)은 보조프레임(51)에 서로 평행하게 상호 이격 배치되어 있으며, 각 스크류축(61a,61b)에는 구동기어(59)와 맞물리는 피동기어(63a,63b)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구동모터(57)를 작동시키면 구동모터(57)에 의해 구동기어(59)가 회전하고, 구동기어(59)에 맞물린 각 피동기어(63a,63b)가 회전하게 되며, 각 피동기어(63a,63b)에 결합된 스크류축(61a,61b)이 각각 회전하여, 각 스크류축(61a,61b)에 관통되어 나사결합된 보조프레임(51)이 각 스크류축(61a,61b)의 축선을 따라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57)가 정회전 및 역회전으로 번갈아 가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각 스크류축(61a,61b)에 나사결합된 보조프레임(51)이 각 스크류축(61a,61b)의 축선을 따라 직선 왕복이동하게 된다.
복수의 캐리어유니트(65)는 복수의 전란부(20)와 대향하도록 보조프레임(51)에 마련되며, 복수의 전란부재(27)와 각각 접촉되어 보조프레임(51)의 직선 왕복이동에 따라 복수의 전란부재(27)를 각각 직선 왕복이동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유니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캐리어유니트(65)는 각각, 전란부재(27)로부터 돌출된 결합돌기(67)와, 보조프레임(51)에 마련되며 결합돌기(67)에 접촉하여 전란부재(27)를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캐리어(69)로 이루어진다.
결합돌기(67)는 전란부재(27)의 측부에 마련되며, 보조프레임(51)에 마련된 캐리어(69)를 향해 돌출되어 있어 캐리어(69)에 접촉된다.
캐리어(69)는 복수의 전란부(20)와 대응하도록 보조프레임(51)에 복수로 마련되며, 브래킷(71)과, 브래킷(71)에 마련되어 결합돌기(67)를 수용하는 한 쌍의 회전판(75)과, 한 쌍의 회전판(75)의 회전을 구속하는 한 쌍의 스토퍼(77)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캐리어(69)의 각각의 구성을 살펴보면, 브래킷(71)은 전란부재(27)와 대향하도록 보조프레임(51)에 마련되어 보조프레임(51)을 따라 직선 왕복이동한다.
한 쌍의 회전판(75)은 결합돌기(67)가 수용되는 수용부(73)를 형성하며 브래킷(71)의 양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한 쌍의 회전판(75) 사이에 결합돌기(67)가 수용되는 수용부(73)를 형성하는 것이다.
한 쌍의 스토퍼(77)는 브래킷(71)의 수용부(73)에 수용된 결합돌기(67)가 브래킷(71)의 수용부(73)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 쌍의 회전판(75)의 회전을 구속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유니트와 전란부재가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체프레임(10)의 가이드부(40)를 따라 전란부(20)를 본체프레임에 수용할 경우, 캐리어(69)의 한 쌍의 회전판(75) 사이로 전란부재(27)에 마련된 결합돌기(67)가 수용될 수 있어야 한다. 즉, 한 쌍의 회전판(75) 사이에 결합돌기(67)가 수용됨으로써, 보조프레임(51)이 구동부(55)에 의해 직선 왕복이동하면 캐리어(69)의 한 쌍에 회전판(75) 사이의 결합돌기(67)가 한 쌍의 회전판(75)에 갇혀 직선 왕복이동되어 전란부재(27)를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란부(20)를 본체프레임(10)에 수용할 시 캐리어(69)의 한 쌍의 회전판(75)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결합돌기(67)가 위치하게 되면, 캐리어(69)가 보조프레임(51)과 같이 직선 왕복이동하여 한 쌍의 회전판(75) 사이에 결합돌기(67)를 수용하게 된다.
이하, 캐리어(69)의 한 쌍의 회전판(75) 중 좌측의 회전판을 제1 회전판(75a)이라 하고, 캐리어(69)의 한 쌍의 회전판(75) 중 우측의 회전판을 제2 회전판(75b)이라 하여 설명한다.
즉, 도 6의 (a) 내지 (d)를 순차적으로 참조하면, 캐리어(69)의 우측에 결합돌기(67)가 위치할 경우, 보조프레임(51)의 이동에 따라 캐리어(69)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캐리어(69)의 제2 회전판(75b)에 결합돌기(67)가 접촉되고, 계속하여 캐리어(69)가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결합돌기(67)와 접촉된 제2 회전판(75b)이 캐리어(69)의 내측방향으로 회전하게되어 한 쌍의 회전판(75) 사이에 결합돌기(67)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회전된 제2 회전판(75b)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며, 캐리어(69)에 마련된 한 쌍의 스톱퍼(77)가 한 쌍의 회전판(75)이 캐리어(69)의 외측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구속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회전판(75) 사이에 결합돌기(67)가 수용되어 캐리어(69)의 직선 왕복이동에 따라 전란부재(27)를 직선 왕복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유니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캐리어유니트(80)는 전란부재(27)에 돌출 및 수납 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 결합돌기(81)와, 보조프레임(51)에 마련되며 보조 결합돌기(81)가 착탈되는 착탈홈(89)이 형성되어 전란부재(27)를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보조 캐리어(87)와, 보조 결합돌기(81)가 착탈홈(89)에 장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91)로 이루어진다.
보조 결합돌기(81)는 전란부재(27)의 측부에 돌출 및 수납 가능하게 마련되며, 보조프레임(51)이 마련된 보조 캐리어(87)에 찰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보조 결합돌기(51)는 전란부재(27)에 마련되는 돌기케이스(83)와, 돌기케이스(83)에 수용되는 돌기편(85)으로 이루어진다. 즉, 돌기케이스(83)에 수용된 돌기편(85)이 돌기케이스(83)로부터 돌출 및 수납되도록 마련된다.
보조 캐리어(87)는 복수의 전란부(20)와 대응하도록 보조프레임(51)에 복수로 마련되고, 전란부(20)와 평행하게 장형으로 형성되며 중앙부에 보조 결합돌기(81)가 결합되는 착탈홈(89)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91)는 보조 결합돌기(81)의 돌기케이스(83)에 수용되어 돌기편(85)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유니트와 전란부재가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란부(20)를 본체프레임(10)에 수용할 시 보조 캐리어(78)의 착탈홈(89)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보조 결합돌기(81)가 위치하게 되면, 보조 캐리어(97)가 보조프레임(51)과 같이 직선 왕복이동하여 착탈홈(89)에 보조 결합돌기(81)를 결합하게 된다.
즉, 도 8의 (a) 및 (b)를 순차적으로 참조하면, 보조 캐리어(87)의 우측부에 보조 결합돌기(81)가 위치할 경우, 보조 결합돌기(81)의 돌기편(85)이 보조 캐리어(87)에 가압되어 보조 결합돌기(81)의 돌기케이스(83)에 수용되어 있으며, 보조프레임(51)의 이동에 따라 보조 캐리어(87)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보조 캐리어(87)의 중앙에 마련된 착탈홈(89)에 보조 결합돌기(81)의 돌기편(85)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보조 캐리어(87)의 착탈홈(89)에 보조 결합돌기(81)의 돌기편(85)이 결합되어 보조 캐리어(87)의 직선 왕복이동에 따라 전란부재(27)를 직선 왕복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화기의 가습부 및 습도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가습부(90)는 본체프레임(10)의 상부 판면에 마련되어 있으며, 복수의 수정란(1)이 부화하기 알맞은 온도의 습기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가습부(90)는 물을 저장하는 가습케이스(91)와, 가습케이스(91)로 물을 공급하는 펌프(93)와, 가습케이스(91)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발열히터(95)와, 발열히터(95)의 과열을 차단하는 온도센서(97)와, 가습케이스(91)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센서(99)로 이루어진다.
즉, 펌프(93)가 가습케이스(91)에 물을 공급하면 수위센서(99)가 가습케이스(91)에 적정수위 이상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펌프(93)를 제어한다. 그리고, 발열히터(95)가 가습케이스(91)에 저장된 물을 고온으로 발열시켜 습기를 발생시킨다. 이때, 온도센서(97)가 히터의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습도조절부(100)는 가습부(90)에서 발생된 습기를 복수의 전란트레이(21)로 공급하여 전란트레이(91)의 습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습도조절부(100)는 본체프레임(10)에서 가습부(90)와 인접하게 마련되며, 가습부(90)의 습기를 빨아들여 복수의 전란트레이(21)로 공급하는 복수의 공급팬(101)과, 복수의 공급팬(101)으로부터 빨아들인 습기를 복수의 전란트레이(21)로 안내하는 안내케이스(10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복수의 공급팬(101)은 가습부(90)와 대향되도록 안내케이스(103)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복수의 공급팬(101)이 가습부(90)에서 공급되는 습기를 용이하게 빨아들일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화기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복수의 전란부(20)의 전란트레이(21)에 각각 복수의 수정란(1)을 수용한 다음 본체프레임(10)에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복수의 전란부(20)를 적층 수용한다.
복수의 전란부(20)가 본체프레임(10)에 수용되면서 복수의 전란부(20)에 각각 마련된 전란부재(27)의 결합돌기(67)를 보조프레임(51)에 마련된 복수의 캐리어(69)에 수용하게 된다.
다음에, 본체프레임(10)에 마련된 구동모터(57)를 작동시키면, 구동모터(57)가 정회전 및 역회전으로 번갈아 가면서 회전하면서 구동기어(59)를 회전시키고, 구동기어(59)에 맞물린 피동기어(63)를 회전시키게 되며, 피동기어(63)에 결합된 스크류축(61)이 회전하게 된다. 이에 의해, 스크류축(61)에 관통되어 나사결합된 보조프레임(51)이 스크류축(61)의 축선을 따라 직선 왕복이동하게 된다.
보조프레임(51)이 직선 왕복이동함에 따라 보조프레임(51)에 마련된 복수의 캐리어(69)가 직선 왕복이동하여 복수의 캐리어(69)에 각각 수용된 결합돌기(67)를 직선 왕복이동시키게 되며, 결합돌기(67)가 직선 왕복이동함에 따라 복수의 수정란(1)이 수용된 전란트레이(21)의 바닥면에서 전란부재(27)가 직선 왕복이동하여 복수의 수정란(1)을 전란하게 된다.
상기 과정과 동시에 본체프레임(10)의 상부에 마련된 가습부(90)가 작동하여 수정란(1)의 부화에 적절한 온도의 습기를 발생시키며, 가습부(90)에 인접하여 마련된 습도조절부(100)의 공급팬(101)이 가습부(90)에서 발생된 습기를 빨아들여 본체프레임(10)에 적층된 복수의 전란부(20)에 공급한다.
이때, 복수의 전란트레이(21) 및 전란부재(27)에는 각각 복수의 제1 통과공(25) 및 복수의 제2 통과공(29)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복수의 제1 통과공(25) 및 복수의 제2 통과공(29)을 통해 가습된 공기가 순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전란트레이(21)에 수용된 복수의 수정란(1)을 전란하며, 가습부(90) 및 습도조절부(100)에서 부화에 적절한 온도의 습기를 전란트레이(21)로 순환시킴으로써 복수의 수정란(1)이 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화기는 복수의 수정란이 수용된 전란트레이를 본체프레임에 복수의 층으로 적층 수용하고, 단일의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전란트레이에 마련된 전란부재를 직선 왕복이동시켜 복수의 수정란을 전란시켜줌으로써, 복수의 수정란을 안전하게 전란할 수 있어 수정란의 부화에 최적의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층으로 전란트레이를 적층 구성함으로써 부화기 내부의 공간이용효율이 증대되어 부화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수정란이 수용된 전란트레이를 본체프레임에 인출입 가능하게 마련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부화기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수정란 10: 본체프레임
20: 전란부 21: 전란프레임
27: 전란부재 31: 절개홈
40: 가이드부 50: 전란구동부
51: 보조프레임 55,55': 구동부
57: 구동모터 59: 구동기어
61,61a,61b: 스크류축 63,63a,63b: 피동기어
65,80: 캐리어유니트 67: 결합돌기
69: 캐리어 71: 브라켓
73: 수용부 75: 한 쌍의 회전판
77: 한 쌍의 스토퍼 81: 보조 결합돌기
87: 보조 캐리어 89: 착탈홈
90: 가습부 100: 습도조절부

Claims (10)

  1. 본체프레임과;
    복수의 수정란을 수용하는 전란트레이와, 상기 전란트레이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수정란을 전란하는 전란부재를 가지며, 상기 본체프레임에 복수의 층을 이루며 적층 수용되는 복수의 전란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전란트레이의 적층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전란부재를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전란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란구동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을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보조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전란트레이의 적층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전란부재를 각각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복수의 캐리어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마련되어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보조프레임이 축선을 따라 직선 왕복이동하도록 상기 보조프레임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축과;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스크류축에 전달하는 피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유니트는 각각,
    상기 전란부재로부터 돌출된 결합돌기와;
    상기 보조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돌기에 접촉하여 상기 전란부재를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보조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보조프레임을 따라 직선 왕복이동하는 브래킷과;
    상기 결합돌기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브래킷의 양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회전판과;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회전판의 회전을 구속하는 한 쌍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유니트는 각각,
    상기 전란부재에 돌출 및 수납 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 결합돌기와;
    상기 보조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보조 결합돌기가 착탈되는 착탈홈이 형성되어 상기 전란부재를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보조 캐리어와;
    상기 보조 결합돌기가 상기 착탈홈에 장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란부재의 양단부에는 부분 절개된 절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에는 상기 본체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전란부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정란의 부화하도록 습기를 발생하는 가습부와;
    상기 가습부로부터 습기를 상기 전란트레이로 공급하여 상기 전란트레이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마련되어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보조프레임에 상호 이격 배치되며, 상기 보조프레임이 축선을 따라 직선 왕복이동하도록 상기 보조프레임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스크류축과;
    상기 구동기어와 각각 맞물리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스크류축에 각각 전달하는 한 쌍의 피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
KR1020100116976A 2010-01-27 2010-11-23 부화기 KR101251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0293 WO2011093607A2 (ko) 2010-01-27 2011-01-14 부화기
CN201180005233.5A CN102753015B (zh) 2010-01-27 2011-01-14 孵化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439 2010-01-27
KR20100007439 2010-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359A KR20110088359A (ko) 2011-08-03
KR101251883B1 true KR101251883B1 (ko) 2013-04-08

Family

ID=44926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976A KR101251883B1 (ko) 2010-01-27 2010-11-23 부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51883B1 (ko)
CN (1) CN102753015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3459A1 (ko) * 2014-09-17 2016-03-2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태초의 자연으로 병아리 인공부화 자동화 시스템
KR101969453B1 (ko) * 2018-10-25 2019-04-17 농업회사법인 경주화조원체험테마파크유한회사 부화기 전란 장치
KR101972794B1 (ko) 2018-07-19 2019-04-30 인유섬 급양이 가능한 부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0164B (zh) * 2013-01-25 2017-07-11 新宾满族自治县格格蛋业有限公司 立式多阶段环流孵化设备
CN105766699A (zh) * 2016-05-10 2016-07-20 无为县金宝生态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鸭蛋孵化箱用孵化单元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151B1 (ko) * 2004-06-08 2007-08-14 주일중 부화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61205A (en) * 1919-09-10 1921-04-14 James Stanworth Improvements in egg turning devices for incubators and the like appliances
US2404228A (en) * 1943-12-27 1946-07-16 Jerry F Hamlin Hydraulic egg turning mechanism
CN2102621U (zh) * 1991-07-20 1992-04-29 四川农业大学 孵化机用水平滚式翻蛋装置
CN2155668Y (zh) * 1993-02-14 1994-02-16 四川农业大学 孵化机用滚式翻蛋出雏装置
DE4407407C2 (de) * 1994-03-05 1995-12-14 Rainer Drat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brütung von Eier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151B1 (ko) * 2004-06-08 2007-08-14 주일중 부화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3459A1 (ko) * 2014-09-17 2016-03-2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태초의 자연으로 병아리 인공부화 자동화 시스템
KR101972794B1 (ko) 2018-07-19 2019-04-30 인유섬 급양이 가능한 부화 장치
KR101969453B1 (ko) * 2018-10-25 2019-04-17 농업회사법인 경주화조원체험테마파크유한회사 부화기 전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53015B (zh) 2014-05-07
KR20110088359A (ko) 2011-08-03
CN102753015A (zh)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883B1 (ko) 부화기
KR101853849B1 (ko) 부화기
US11324844B2 (en) UV sterilization device for board-type kitchenware
CN109893253B (zh) 麻醉工具箱
WO2011093607A2 (ko) 부화기
RU133386U1 (ru) Инкубатор
JP2007162976A (ja) 駆動装置およびこの駆動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US8720868B2 (en) Humidification apparatus and disc assembly thereof
US10753629B2 (en) Ventilation device for infant incubator and infant incubator
KR101218635B1 (ko) 인공부화장치
KR100749151B1 (ko) 부화기
JP2018164508A (ja) 脱臭装置
CN113229179A (zh) 一种孵化室用偏蛋装置
KR101433850B1 (ko) 자연증발식 가습기
CN201253364Y (zh) 牙刷消毒器
EP2450620A1 (en) Light-source device
CN212347218U (zh) 消毒暖杯装置
CN211210982U (zh) 一种鸡苗孵化室
CN115789817B (zh) 一种可移动式空气加湿装置
CN219983507U (zh) 一种实验室用实验瓶用储存消毒装置
CN107697416B (zh) 一种用于采血管储放运输箱
CN212138671U (zh) 一种豆渣培养食用菌菌丝体装置
CN219713529U (zh) 空调器室内机及空调器
CN215690374U (zh) 一种血液透析专用护理盒
CN218889145U (zh) 一种鸡蛋孵化用的蛋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