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635B1 - 인공부화장치 - Google Patents

인공부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635B1
KR101218635B1 KR1020100051067A KR20100051067A KR101218635B1 KR 101218635 B1 KR101218635 B1 KR 101218635B1 KR 1020100051067 A KR1020100051067 A KR 1020100051067A KR 20100051067 A KR20100051067 A KR 20100051067A KR 101218635 B1 KR101218635 B1 KR 101218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tray
case
rod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1565A (ko
Inventor
주일중
Original Assignee
주일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중 filed Critical 주일중
Priority to KR1020100051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635B1/ko
Publication of KR20110131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 A01K41/02Heating arrangements
    • A01K41/023Devices for regulating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 A01K41/04Controlling humidity in incub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 A01K41/06Egg-turning appliances for incubators
    • A01K41/065Egg dra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36/00Automatic temperature and humidity regul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공부화장치는 복수개의 수정란이 안착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가 삽입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각회전시키는 회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트레이와 결합되고, 회전축을 통해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회전판;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직선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에서 발생된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회전판을 각회전시키는 회전기구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기구어셈블리는 상기 구동유닛의 직선운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수직로드; 일측이 상기 수직로드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수직로드의 직선운동 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판을 각회전시키는 회전로드를 포함하고, 각 트레이를 각회전시키는 회전모듈이 케이스의 배면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최대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출입되는 트레이와의 간섭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공부화장치{Artificial incub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인공부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개의 트레이에 안착되는 수정란에 고르게 열을 공급하여 수정란의 생육을 균일하게 유지시키고, 상기 트레이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착탈시켜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으며, 상기 트레이를 소정 시간 주기로 회전시켜 수정란의 생육을 원활하게 하는 회전모듈이 배치된 인공부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정란을 인공적으로 부화시키기 위해서는 수정란에 적정온도, 상대습도 제공하고, 통풍을 통해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며, 세균감염으로부터 수정란을 보호해야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인공부화장치에는 히터가 어느 한 부분에 설치되어 히터에 인접한 수정란에는 많은 열이 가해지지만 상기 히터와 멀리 떨어진 수정란에는 적은양의 열만이 전달되며, 이로 인해 수정란의 생육이 불균일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열로 적층되는 수정란에 고르게 열을 공급하여 수정란의 생육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인공부화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수정란이 안착되는 트레이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착탈시켜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는 인공부화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정란이 안착된 트레이를 소정 시간 주기로 회전시켜 수정란의 생육을 원활하게 하는 회전모듈이 배치된 인공부화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수정란이 안착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가 삽입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각회전시키는 회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트레이와 결합되고, 회전축을 통해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회전판;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직선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에서 발생된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회전판을 각회전시키는 회전기구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기구어셈블리는 상기 구동유닛의 직선운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수직로드; 일측이 상기 수직로드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수직로드의 직선운동 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판을 각회전시키는 회전로드를 포함하는 인공부화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케이스에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 사이에 상기 수정란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열원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슬릿이 형성된 구동케이스와, 상기 구동케이스에 고정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와 치합되고 일단이 상기 가이드슬릿에 삽입되며 상기 스크류의 회전 시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직선이동되면서 상기 스크류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치합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치합기구는 상기 수직로드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로드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수직로드에 힌지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회전축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이 각각 구비된 상기 회전판이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회전로드는 상기 복수개의 회전판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고정되고 상기 수직로드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수직로드의 직선이동 시 각회전되는 제 1 회전로드와, 상기 복수개의 회전판 중 나머지 각 회전축에 각각 고정되는 제 2 회전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기구어셈블리는 상기 제 1, 2 회전로드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 1 회전로드의 각회전 시 상기 제 1 회전로드의 각회전을 상기 제 2 회전로드에 전달하는 수평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회전로드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수직로드에 힌지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평로드에 힌지연결되며, 절곡부분이 상기 회전축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복수개의 수정란이 삽입되어 일렬로 정렬되는 상부트레이와, 상기 상부트레이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정란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트레이와, 상기 상부트레이 및 상기 하부트레이를 연결시키고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위치되는 프론트트레이와, 상기 상부트레이 및 상기 하부트레이를 연결시키고 상기 케이스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 및 상기 리어트레이가 탈착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내부의 습도를 제어하기 위한 습도제어유닛이 더 설치되고, 상기 습도제어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물주입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주입구와 연결되어 물을 저장시키는 물저장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부화장치는 수정란이 일렬로 배치된 트레이 옆에 열원모듈이 배치되어 상기 수정란에 일정한 온도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모듈을 통해 각 트레이를 소정각도 각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부화장치는 각 트레이를 각회전시키는 회전모듈이 케이스의 배면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최대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출입되는 트레이와의 간섭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부화장치는 회전모듈의 수직로드의 직선이동거리 또는 회전로드의 길이 등을 조정함으로서 트레이의 각회전량을 각각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부화장치는 부화중인 수정란을 케이스 내부에 따로 보관할 수 있도록 케이스 상부에 발생실이 구비되고, 상기 발생실에도 케이스 내부의 온도/습도 조건이 동일하게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부화장치는 케이스에 구비된 물주입구를 통해 물을 공급함으로서, 습도의 조절과정에서 케이스가 개방되지 않아서 케이스 내부의 온도/습도 변화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부화장치는 외부에선 내부의 상황변화를 시각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케이스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수정란이 부화과정을 목도할 수 있음으로서 학습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명커버를 적층진공유리로 구성함으로서 외부환경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부화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부화장치의 내부가 도시된 좌측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부화장치의 내부가 도시된 우측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정면도
도 5는 도 2의 좌측면도
도 6은 도 2의 우측면도
7은 도 2의 평면도
도 8은 도 2의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부화장치의 회전모듈이 도시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배면측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정면도
도 12는 도 9의 좌측면도
도 13은 도 9의 우측면도
도 14는 도 9의 평면도
도 15는 도 9의 배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부화장치의 공기순환흐름이 도시된 개략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부화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부화장치의 내부가 도시된 좌측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부화장치의 내부가 도시된 우측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좌측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우측면도이고, 7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2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부화장치의 회전모듈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배면측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9의 좌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9의 우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9의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9의 배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부화장치의 공기순환흐름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공부화장치(100)는 복수개의 수정란이 안착되는 트레이(60)와, 외형을 형성시키고 상기 트레이(60)가 삽입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에 배치되어 수정란의 공기 순환 및 습도조절을 담당하는 생육조절모듈(20)과, 상기 케이스(10)에 배치되어 상기 수정란이 부화되도록 상기 트레이(60)를 왕복회전시키고 상기 수정란에 제공되는 온도를 조절하는 부화모듈(3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직육면체의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의 각 면을 차폐시키는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 중 상기 부화모듈(30)과 인접한 면의 투명커버(12)(13)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수정란의 발육상황을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화모듈(30)의 전면, 우측면 및 좌측면에 각각 투명커버(12)(13)(미도시)가 배치되고, 상기 전면 투명커버(12) 도어 형식으로 개폐되어 수정란을 인출/인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화모듈(30)의 내부가 하나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는 2부분으로 구획되어 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부화모듈(30)이 배치되고, 하측에 상기 생육조절모듈(20)이 배치된다.
상기 생육조절모듈(20)은 상기 부화모듈(30)에 적절한 습도를 공급하기 위한 습도제어유닛(50)과, 상기 케이스(1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유닛(미도시)으로 구성되며, 상기 부화모듈(30)과는 구획판(25)으로 분리된다.
상기 습도제어유닛(50)은 상기 케이스(10)의 외부에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물주입구(52)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주입구(52)와 연결되어 물을 저장시키는 물저장탱크(5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물저장탱크(54)에는 미도시된 히터 및 습도센서 등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부화모듈(30) 내부의 습도에 따라 상기 히터를 작동시켜 물을 증발시킴으로서 상기 부화모듈(30)의 습도를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물주입구(52)를 개폐시키는 물공급도어(58)가 설치되고, 상기 물공급도어(58)를 필요시에만 슬라이드 방식으로 열어서 개폐시킴으로서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오염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상기 공기순환유닛은 상기 케이스(10) 하부에 배치되는 송풍팬(26) 및 송풍가이드(22)(24)이고, 상기 송풍팬(26)의 작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10) 하부의 공기가 상기 송풍가이드(22)(24)를 따라 상기 케이스(10)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케이스(10) 내부의 공기 질을 균일하게 유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송풍가이드(22)(24)에 의해 유동된 공기는 상기 구획판(25)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25a)을 통해 상기 부화모듈(30)로 유동되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상기 인공부화장치(100)는 상기 송풍팬(26)이 상기 구획판(25)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부화모듈(30) 및 상기 케이스(10) 사이에 리턴유로(23)를 형성시켜 상기 송풍팬(26)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송풍팬(26)으로 돌아오도록 구성한다.
상기 트레이(60)는 복수개의 수정란이 삽입되어 일렬로 정렬되는 상부트레이(62)와, 상기 상부트레이(62)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정란의 하부가 끼워져 상기 수정란을 지지하는 하부트레이(64)와, 상기 상부트레이(62) 및 상기 하부트레이(64)를 연결시키고 상기 케이스(10)의 전방에 위치되는 프론트트레이(66)와, 상기 상부트레이(62) 및 상기 하부트레이(64)를 연결시키고 상기 케이스(10)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트레이(68)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60)는 복수개의 수정란이 일렬로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에 삽입될 때, 일렬로 안착된 수정란을 한번에 상기 케이스(10)에 삽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빼낼 때에도 복수개의 수정란을 한번에 빼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트레이(60)는 복수개의 수정란이 한번에 인입 또는 일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인공부화장치(100)의 전면 투명커버(11)의 개방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케이스(10) 내부의 온도변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60)는 복수개의 수정란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케이스(10)에 삽입되기 때문에 수정란의 인출/인입이 간편하다.
특히 상기 트레이(60)는 상기 부화모듈(30)에 연결되어 소정각도 왕복각회전 운동되고, 이를 위해 상기 리어트레이(68)에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화모듈(30)과 연결되기 위한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전방에는 상기 트레이(60)가 삽입되도록 다수개의 트레이홈(15)이 형성된 트레이패널(16)이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트레이(66)는 상기 트레이홈(15)에 지지되어 왕복 각회전된다.
상기 부화모듈(30)은 상기 트레이(60)를 왕복 각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모듈(70)과, 상기 수정란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열원모듈(80)을 포함한다.
상기 열원모듈(80)은 상기 트레이(6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히트파이프이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발열된다. 여기서 상기 히트파이프는 일단이 상기 트레이패널(16)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10)의 배면 측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열원모듈(80)의 타단은 케이스(10)의 배면측에 배치된 리어패널(19)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열원모듈(80)은 상기 트레이(60)의 삽입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일렬로 배치된 상기 수정란의 양측에서 열을 공급한다. 특히 상기 열원모듈(80)은 상기 각 트레이(60)의 양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각 트레이(60)에 균일한 열을 공급함으로서 상기 트레이(60)에 안착된 수정란의 생육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열원모듈(80)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된 온도센서(미도시)를 통해 온도를 감지한 후, 상기 케이스(10) 내부의 온도가 소정온도 밑으로 낮아질 경우 전원이 인가되면서 발열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열원모듈(80)은 열전도 효율이 높은 알루미늄 재질의 파이프가 사용되고, 내부에 열선이 배치된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케이스(10) 내부의 임의 위치에 설치되어도 무방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중 배면 하측에 2개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중 정면 상측에 2개가 설치되며, 상기 4개의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의 평균값으로 상기 열원모듈(80)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상기 케이스(10)의 정면 측에 배치된 온도센서는 상기 전면투명커버(12)의 개폐에 따라 온도변화가 크게 나타날 수 있고, 이에 따른 열원모듈(80)의 빈번한 온/오프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상기 복수개의 온도센서를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의 개수를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원모듈(80)은 상기 수정란이 부화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 내부의 온도를 37.8℃로 유지시키고, 필요할 경우 상기 각 열원모듈(80)의 온도가 다르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부화모듈(30)의 내부 상측에는 부화중인 수정란이 보관되는 발생실(35)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발생실(35)은 수정란과 동일한 온도/습도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상기 부화모듈(30) 내부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생실(35)은 상기 케이스(10) 내부 상측에 2개 설치되고, 본 실시예와 달리 더 많이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발생실(35)에는 공기가 순환될 때, 미세먼지 등을 여과시키기 위한 필터(35a)가 배치되고, 상기 상기 필터(35a)를 통해 상기 발생실(35) 내부에서 부화중인 수정란에 정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필터(35a)는 상기 발생실(35)에서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소정 기간이 경과되더나 집진된 오염물에 의한 오염이 심한 경우 교체가 가능하다.
상기 회전모듈(70)은 상기 트레이(60)가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판(71)과,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어 직선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유닛(72)과, 상기 구동유닛(72)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72)에서 발생된 직선이동을 회전운동을 변화시켜 상기 회전판(71)에 전달하는 회전기구어셈블리(9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모듈(70)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어패널(19)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판(71)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기구어셈블리(90)는 상기 리어패널(19) 후방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리어패널(19)에는 상기 회전축(73)이 삽입되기 위한 홀(미도시)이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홀에 축용 베어링(73a)이 삽입된 후 상기 축용 베어링에 상기 회전축(73)을 조립 설치한다. 상기 축용 베어링(73a)은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과정에서 비틀림모멘트가 작용될 때 발생되는 마찰을 최소화하여 기구적 특정을 보완한다.
그래서 상기 회전판(71)은 상기 리어패널(19)에 회전축(73)을 통해 힌지 연결되고, 상기 리어트레이(68)의 삽입홀에 결합되는 삽입돌기(71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홀 및 상기 삽입돌기(71a)에 의한 결합구조 외에 후크구조, 자기력에 의한 결합 등 다양한 구조의 원터치 결합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트레이(60)는 수정란의 삽입 또는 인출 시 수시로 상기 회전판(71)과 결합 또는 분리되어야 하는 바 상술한 원터치 결합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크 또는 자기력에 의한 원터치 결합구조는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정도의 기술내용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60)는 상기 케이스(10)에 인출 또는 인입될 때, 하부가 상기 열원모듈(80)에 지지되면서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열원모듈(80)이 상기 트레이(6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트레이(6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역할을 수행한다. 그래서 상기 트레이(60)의 인출 또는 인입 시 상기 열원모듈(80)의 가이드 역할을 통해 상기 트레이(60)를 수월하게 인/출입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60) 및 회전판(71)은 복수개의 행 및 열로 정렬되어 배치되는 바, 상기 회전기구어셈블리(90)는 복수개의 트레이(60)를 동시에 왕복 각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구동유닛(72)은 본 실시예에서 상하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10)에 고정되는 구동케이스(74)와, 상기 구동케이스(74)에 배치되는 액추에이터인 모터(75)와, 상기 모터(75)의 축과 연결되어 회전되고 외주면에 나선형의 치형이 형성된 스크류(76)와, 상기 구동유닛(72)의 스크류(76)와 치합되고 상기 구동케이스(74)에 상하로 형성된 가이드슬릿(74a)에 일단이 삽입된 치합기구(92)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기구어셈블리(90)는 상기 치합기구(92)에 고정된 수직로드(94)와, 일측이 상기 수직로드(94)와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판(71)의 회전축(73)에 고정된 회전로드(96)를 포함한다.
상기 치합기구(92)는 상기 스크류(76)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스크류(76)와 치합되어 설치되고, 일측에 가이드로드(92a)가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로드(92a)는 상기 구동케이스(94)의 가이드슬릿(74a)에 삽입된다.
그래서 상기 모터(75)의 회전 시 상기 스크류(76)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스크류(76)에 치합된 치합기구(92)가 상기 가이드슬릿(74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치합기구(92)는 상기 가이드슬릿(74a)에 의해 회전이 억제되도록 배치되는 바, 상기 치합된 상기 스크류(76)와의 상호 치합에 의해 상기 스크류(76)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 되는 것이다.
상기 수직로드(94)는 상기 치합기구(92)에 고정되고, 상기 치합기구(92)의 직선 이동 시 함께 이동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회전판(71)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 회전로드(96)가 2가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회전로드(96)는 상기 수직로드(94)와 직접 힌지(97a) 연결되는 제 1 회전로드(97)와, 상기 제 1 회전로드(97)에 전달된 회전력을 간접적으로 전달받는 제 2 회전로드(98)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회전로드(97)는 상기 제 2 회전로드(98)와의 연결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ㄴ"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회전로드(98)는 일측이 상기 회전판(71)의 회전축(73)에 고정된다.
상기 제 1, 2 회전로드(97)(98)가 힌지연결되는 수평로드(99)가 더 배치되고, 상기 수평로드(99)에 상기 제 1, 2 회전로드(97)(98)의 타측이 각각 힌지(97b)(98b) 연결된다.
"ㄴ"로 형성된 상기 제 1 회전로드(97)의 일단은 상기 수직로드(94)에 힌지(97a) 연결되고, 타단(97b)은 상기 수평로드(99)에 힌지(97b) 연결되며, 상기 수직로드(94)의 직선 이동 시 상기 힌지(97a)(97b)에 의해 상대회전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제 1 회전로드(97)는 절곡부분이 중간은 상기 회전축(73)에 고정되는 바, 상기 수직로드(94)의 직선이동 시 상기 회전축(73)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회전로드(97)가 각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회전로드(97)의 각 회전 시 상기 제 1 회전로드(97)의 각운동량은 상기 힌지(97b)에 의해 상기 수평로드(99)에 전달된다.
더불어 상기 제 2 회전로드(98)는 일단이 상기 회전축(73)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수평로드(99)에 힌지(98b) 연결된 바, 상기 수평로드(99)의 선회 운동 시 상기 회전축(73)을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수평로드(99) 및 제 2 회전로드(97)는 복수개의 회전판(71)을 각회전 시키기 위한 구성인 바 하나의 트레이(60)만을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 1 회전로드(97) 및 상기 수직로드(94)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회전로드(97)의 경우 상기 회전축(73) 및 상기 힌지(97a)(97b)와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서 상기 회전판(71)의 회전각도를 조절시킬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모듈의 작동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인공부화장치(100)의 온도, 습도, 열원모듈(80)의 제어 및 회전모듈(70)의 제어는 케이스(10) 내부 하측에 배치된 컨트롤박스(21)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트레이(60)를 각회전 시키기 위해 상기 컨트롤박스(21)는 상기 구동유닛(72)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구동유닛(72)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스크류(76)를 회전시키며, 상기 스크류(76)의 회전 시 상기 스크류(76)와 치합된 상기 치합기구(92)가 상기 스크류(76)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된다
여기서는 상측으로 이동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래서 상기 치합기구(92)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치합기구(92)에 구속된 상기 수직로드(94)도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수직로드(94)에 힌지(97a) 연결된 상기 제 1 회전로드(97)가 상기 수직로드(94)의 직선이동거리에 비례하여 각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회전로드(97)는 회전판(71)에 연결된 회전축(73)에 고정된 바 상기 회전축(73)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각회전된다.
또한 상기 제 1 회전로드(97)의 타단에 힌지(97b) 연결된 수평로드(99)는 상기 제 1 회전로드(97)의 각회전 시 각 회전축(73)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상기 수평로드(99)와 힌지(98b) 연결된 제 2 회전로드(98)는 상기 수평로드(99)의 회동에 의해 소정각도 각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회전로드(98)와 상기 회전축(73)이 고정된 바 상기 제 2 회전로드(98)의 각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판(71)이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 2 회전로드(97)(98)에 각각 고정된 회전축(73)이 각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73)에 고정된 회전판(71)이 각회전되고, 상기 회전판(71)에 결합된 상기 트레이(60)도 소정각도 각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72)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수직로드(94)가 하측으로 직선이동되는 경우 상술한 반대로 작동되면서 상기 트레이(60)가 반대방향으로 각회전된다.
상기 컨트롤박스(21)는 소정주기로 상기 수직로드(74)는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서 상기 트레이(60)를 소정 주기로 왕복 각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인공부화장치(100)의 공기순환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구획판(25) 하측에 설치된 송풍팬(26)이 작동되면, 상기 송풍팬(26)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부화모듈(30)의 트레이(60) 측으로 유동되고, 상기 트레이(60) 주면을 공기는 상기 부화모듈(30)의 상측으로 유동된 후, 상기 부화모듈(30) 상측에 배치된 발생실(35)로 공기가 유동된다. 이후 상기 발생실(35)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필터(35a)를 거쳐 상기 발생실(35) 및 상기 케이스(10) 사이로 유동되고, 유동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케이스(10) 및 상기 부화모듈(30) 사이에 형성된 리턴유로(23)로 이동되며, 상기 리턴유로(23) 및 상기 송풍가이드(22)(24)를 따라 상기 송풍팬(26)의 흡입측으로 유동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팬(26)의 하측에 배치된 물저장탱크(54)에서 기화된 수증기는 상기 공기의 순환 시 상기 부화모듈(30) 내부로 유동되어 상기 부화모듈(30)의 습도를 유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다양한 조합을 통해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10 : 케이스 20 : 생육조절모듈
30 : 부화모듈 50 : 습도제어유닛
60 : 트레이 70 : 회전모듈
80 : 열원모듈 90 : 회전기구어셈블리
100 : 인공부화장치

Claims (10)

  1. 복수개의 수정란이 안착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가 삽입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각회전시키는 회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트레이와 결합되고, 회전축을 통해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회전판;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직선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에서 발생된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회전판을 각회전시키는 회전기구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기구어셈블리는
    상기 구동유닛의 직선운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수직로드;
    일측이 상기 수직로드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수직로드의 직선운동 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판을 각회전시키는 회전로드를 포함하는 인공부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케이스에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 사이에 상기 수정란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열원모듈이 배치된 인공부화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슬릿이 형성된 구동케이스와,
    상기 구동케이스에 고정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와 치합되고 일단이 상기 가이드슬릿에 삽입되며 상기 스크류의 회전 시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직선이동되면서 상기 스크류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치합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치합기구는 상기 수직로드에 연결되는 인공부화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로드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수직로드에 힌지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인공부화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이 각각 구비된 상기 회전판이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회전로드는
    상기 복수개의 회전판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고정되고 상기 수직로드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수직로드의 직선이동 시 각회전되는 제 1 회전로드와, 상기 복수개의 회전판 중 나머지 각 회전축에 각각 고정되는 제 2 회전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기구어셈블리는 상기 제 1, 2 회전로드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 1 회전로드의 각회전 시 상기 제 1 회전로드의 각회전을 상기 제 2 회전로드에 전달하는 수평로드를 더 포함하는 인공부화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로드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수직로드에 힌지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평로드에 힌지연결되며, 절곡부분이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인공부화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복수개의 수정란이 삽입되어 일렬로 정렬되는 상부트레이와, 상기 상부트레이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정란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트레이와, 상기 상부트레이 및 상기 하부트레이를 연결시키고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위치되는 프론트트레이와, 상기 상부트레이 및 상기 하부트레이를 연결시키고 상기 케이스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 및 상기 리어트레이가 탈착가능하게 구성된 인공부화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의 습도를 제어하기 위한 습도제어유닛이 더 설치되고,
    상기 습도제어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물주입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주입구와 연결되어 물을 저장시키는 물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인공부화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회전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공부화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하부가 상기 열원모듈에 지지되고,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게 구성된 인공부화장치.
KR1020100051067A 2010-05-31 2010-05-31 인공부화장치 KR101218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067A KR101218635B1 (ko) 2010-05-31 2010-05-31 인공부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067A KR101218635B1 (ko) 2010-05-31 2010-05-31 인공부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565A KR20110131565A (ko) 2011-12-07
KR101218635B1 true KR101218635B1 (ko) 2013-02-06

Family

ID=45499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067A KR101218635B1 (ko) 2010-05-31 2010-05-31 인공부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6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5232A (zh) * 2016-03-29 2016-08-03 马骏 一种基于物联网的禽蛋暖化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4034A (zh) * 2014-01-11 2014-04-23 王军 一种具有自动翻蛋功能的孵化蛋车
CN105075901A (zh) * 2015-08-27 2015-11-25 蚌埠天球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孵化机的孵化出雏两用车
RU185271U1 (ru) * 2018-08-06 2018-11-29 Максим Викторович Кутепов Инкубатор
KR20230065539A (ko) 2021-11-05 2023-05-12 유상근 스마트 부화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525B1 (ko) * 1991-04-27 1993-05-03 김종렬 부란기의 전란장치 및 부란방법
JPH08256626A (ja) * 1995-03-28 1996-10-08 Kiyoyasu Arata 孵卵器
KR20010084818A (ko) * 2000-02-29 2001-09-06 유용근 부화기
KR100749151B1 (ko) 2004-06-08 2007-08-14 주일중 부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525B1 (ko) * 1991-04-27 1993-05-03 김종렬 부란기의 전란장치 및 부란방법
JPH08256626A (ja) * 1995-03-28 1996-10-08 Kiyoyasu Arata 孵卵器
KR20010084818A (ko) * 2000-02-29 2001-09-06 유용근 부화기
KR100749151B1 (ko) 2004-06-08 2007-08-14 주일중 부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5232A (zh) * 2016-03-29 2016-08-03 马骏 一种基于物联网的禽蛋暖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565A (ko)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635B1 (ko) 인공부화장치
KR20200100494A (ko) 식물 재배 장치
JP5084187B2 (ja) インキュベータ及びインキュベータ用加湿皿
KR20050037959A (ko) 배양고
US11597905B2 (en) Cell culture and tissue engineering systems with controlled environmental zones
KR20200100493A (ko) 식물 재배 장치
EP4088564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N111321072B (zh) 一种用于单克隆抗体制备的细胞培养箱
KR101880501B1 (ko) 달걀 부화장치
KR101218103B1 (ko) 회전식 식물 재배 장치
KR100749151B1 (ko) 부화기
JP6386164B2 (ja) 培養装置
US20230113737A1 (en) Plant cultivation device
KR20110019252A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210121743A (ko) 식물 재배 장치
US11778957B2 (en)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s
EP4238409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102296208B1 (ko) 세포 배양기
CN207783961U (zh) 啮齿类动物空间学习记忆训练系统
KR20210088358A (ko) 식물 재배 장치
KR102330693B1 (ko) 세포 배양기
CN220402755U (zh) 一种家系用孵化室
CN219500215U (zh) 一种层叠式蛋鸡自动化饲养设备
CN216753006U (zh) 支架导热式可调节温湿度的乌灵参培养箱
KR20210121742A (ko) 식물 재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