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6632A - 곡물류를 이용한 천연 발효성 분말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곡물류를 이용한 천연 발효성 분말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6632A
KR20050116632A KR1020040041766A KR20040041766A KR20050116632A KR 20050116632 A KR20050116632 A KR 20050116632A KR 1020040041766 A KR1020040041766 A KR 1020040041766A KR 20040041766 A KR20040041766 A KR 20040041766A KR 20050116632 A KR20050116632 A KR 20050116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oap
natural
powder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점선
Original Assignee
김점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점선 filed Critical 김점선
Priority to KR1020040041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6632A/ko
Publication of KR20050116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663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0Mixing; Knea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11D13/20Shaping in the form of small particles, e.g. powder or flak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6Powder; Flakes; Free-flowing mixture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류를 이용한 천연 발효성 분말 비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분말 비누를 친환경적인 소재인 천연 식물성 재료인 곡물류와 약초류 및 해조류만을 사용하여 발효시켜 우수한 세정력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류를 이용한 천연 발효성 분말 비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말 비누는 천연 식물성 재료만을 비누 소재로 사용하여 인체에 무해한 환경친화적인 비누를 분말로 제조함으로서, 액상 비누의 액상에 함유되어 있는 천연 식물성 재료에 의해 발산되는 냄새를 대폭 줄이고, 비누의 성상이 액상이 아닌 분말의 형태이기 때문에 환경호르몬이 검출되는 합성수지 용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 그 특징이며, 또한 본 발명의 비누는 일반 비누에서 사용하는 수산화나트륨 용액 대신 천연 식염과 생우유, 수세미 즙 및 짚이나 왕겨를 태워서 된 재를 우려낸 물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그 외 다른 소재들도 모두 순수 식물성 재료만을 비누 소재로 사용하기 때문에 피부가 예민한 사람이나 또는 습진, 무좀 등과 같이 각종 피부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사용할 경우에도 피부에 아무런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세정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모공에 침투되어 피지를 분해, 제거함으로써 피부를 매끄럽게 하고, 노화 방지와 보습효과가 우수하며, 인체에는 무해하기 때문에 피부 세정제는 물론 치약 또는 샴푸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Description

곡물류를 이용한 천연 발효성 분말 비누 및 그 제조 방법{Nature Fermentability Powder Soap and the Manufacture Method to use Cereals}
본 발명은 곡물류를 이용한 천연 발효성 분말 비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분말 비누를 친환경적인 소재인 천연 식물성 재료인 곡물류와 약초류 및 해조류만을 사용하여 발효시켜 우수한 세정력을 갖도록 한 것으로서, 인체에는 무해하기 때문에 피부 세정제는 물론 치약 또는 샴푸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비누의 성상이 분말이기 때문에 환경호르몬이 검출되는 합성수지 용기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그 소재가 천연 식물성 재료이기 때문에 수질 오염이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류를 이용한 천연 발효성 분말 비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화장비누는 주 성분인 계면활성제가 거의 대부분 석유화학제품으로부터 제조되어지는 화합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피부가 약한 사람, 특히 습진, 무좀 또는 기타 알레르기 피부염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사용할 경우에는 많은 부작용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수질 오염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천연 식물성 재료를 사용한 많은 특허들이 출원되었는데, 이들 특허의 내용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67479호의 농업 부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비누의 경우에는 비누베이스에 볏짚 추출물 이외에도 천연 소재가 아닌 화합물인 계면활성제가 0.01~10 wt%함유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46545호의 고추냉이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비누의 경우에는 통상의 비누 원료 혼합물에 고추냉이의 줄기 또는 잎의 추출물을 미량함유시킨 것이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73391호의 녹차 추출물을 함유한 액체세제의 경우에는 부재료로서 LAS가 11~17중량%나 함유된 것으로서, 상기 특허들은 천연 식물 재료를 사용한 소재들이 미량 함유되어 있거나 또는 석유화학제품인 합성 계면활성제인 LAS 등이 함유되어 있거나 또는 통상의 비누 베이스 원료 물질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특히 피부가 민감한 사람은 물론 건강한 사람의 피부도 훼손시킬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질 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순수 천연 식물성 재료만을 비누의 소재로 이용한 즉 엿기름, 누룩, 다시마, 녹차를 우려낸 용액과 짚이나 왕겨를 태워서 된 재를 우려낸 물을 이용하여 환경친화형 액상비누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59460호로 이미 등록 받은 바 있으나 상기 특허의 경우에는 비누의 성상이 액상이고, 이 액상 비누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식물성 재료에 의한 냄새가 발산되기 때문에 비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는 상기 냄새에 대한 거부감을 가질 수가 있고, 또한 상기 비누는 그 성상이 액상이기 때문에 반드시 환경호르몬이 검출되는 합성수지 용기를 사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천연 식물성 재료만을 비누 소재로 사용하여 인체에 무해한 환경친화적인 비누를 분말로 제조함으로서, 액상 비누의 액상에 함유되어 있는 천연 식물성 재료에 의해 발산되는 냄새를 대폭 줄이고, 비누의 성상이 액상이 아닌 분말의 형태이기 때문에 환경호르몬이 검출되는 합성수지 용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류를 이용한 천연 발효성 분말 비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누는 일반 비누에서 사용하는 수산화나트륨 용액 대신 천연 식염과 생우유, 수세미 즙 및 짚이나 왕겨를 태워서 된 재를 우려낸 물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그 외 다른 소재들도 모두 순수 식물성 재료만을 비누 소재로 사용하기 때문에 피부가 예민한 사람이나 또는 습진, 무좀 등과 같이 각종 피부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사용할 경우에도 피부에 아무런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세정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모공에 침투되어 피지를 분해, 제거함으로써 피부를 매끄럽게 하고, 노화 방지와 보습효과가 우수하며, 인체에는 무해하기 때문에 피부 세정제는 물론 치약 또는 샴푸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류를 이용한 천연 발효성 분말 비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곡물류를 이용한 천연 발효성 분말 비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보리, 율피, 메밀, 현미, 옥수수와 같은 곡물 및 누룩을 곱게 분쇄한 곡물 분말 50 내지 60 중량%에, 천연 식염, 생우유, 수세미 즙, 쌀겨 우려낸 물과 짚 또는 왕겨를 태워서 된 재를 우려낸 물과 혼합한 잿물 20 내지 30 중량%를 가하여 걸쭉하게 혼합한 후, 여기에 삼백초 및 어성초에서 추출한 약초 추출액 10 내지 20 중량%와 파래,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의 추출액 10 내지 20 중량%를 첨가하여 다시 골고루 혼합한 후, 황토방에서 6 내지 12개월간 자연 발효 숙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류를 이용한 천연 발효성 분말 비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보리, 율피, 메밀, 현미, 옥수수와 같은 곡물 분말은 세안, 세발시에 피부에 전혀 자극을 주지 않고, 일반 화장 비누 또는 샴푸처럼 거품이 많이 일어나지는 않으나 세정 작용이 우수하고, 곡물 분말이 피부로부터 매우 쉽게 세척되며, 그리고 피부에 영양소를 공급하는 역활을 한다. 상기 곡물 분말은 일반 고형 화장 비누가 일반적인 비누 베이스 원료를 검화한 후 일정량의 수분을 분리시켜 형틀에 의해 고형의 형태로 제조하는데 반하여 본 발명의 분말 비누는 곡물을 미세하게 분쇄한 곡물 분말에, 천연 식염, 생우유, 수세미 즙, 쌀겨 우려낸 물과 짚 또는 왕겨를 태워서 된 재를 우려낸 물과 혼합한 잿물을 가하여 걸쭉하게 혼합하여 황토방에서 6 내지 12개월간 자연 발효 숙성시키고, 함유된 수분을 자연 건조시켜 마르게 되면 다시 재분쇄한 후 사용할 수 있도록 곡물류를 분쇄한 분말 형태를 그대로 유지시킨 것이 그 특징이다.
본 발명에서 곡물 분말의 함량은 50 내지 60 중량%를 사용하는데, 그 함량이 5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피부의 세정 효과가 저하되며, 그 함량이 6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다른 첨가 성분인 천연 잿물, 약초 추출물, 해조류 추출물의 함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첨가되기 때문에 잿물의 함량 저하에 의해 세정력이 저하되거나 또는 약초 추출물, 해조류 추출물의 함량 저하에 따른 그 효능들이 저하되게 된다. 상기에서 곡물 분말의 조성비는 곡물 분말이 65 내지 75 중량%이고, 누룩이 25 내지 35 중량%로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곡물류의 양은 보리, 율피, 메밀, 현미, 옥수수를 균등하게 분할하여 사용하며, 그리고 곡물의 종류와 그 사용량은 특별히 상기에 기재된 곡물만 한정된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종류의 곡물류에서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잿물은 일반 비누에서 사용되는 수산화나트륨 용액의 대용으로 사용되어지는데, 천연 식염, 생우유, 수세미 즙, 쌀겨 우려낸 물과 짚 또는 왕겨를 태워서 된 재를 우려낸 물과 혼합한 잿물은 그 액성이 알칼리성을 띄게 되므로 세척 효과가 좋으며, 세안시 분말 비누의 가수분해를 방지하는 역활을 하는데, 그 함량은 일반 비누에서 사용되어지는 수산화나트륨 용액보다 알칼리성이 조금 약하기 때문에 일반 비누에서 사용하는 수산화나트륨 용액의 사용량인 20 내지 25 중량%보다 조금 더 많은 20 내지 30중량%를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잿물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피부의 세정 효과가 저하되고, 그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피부에 자극을 주게 되므로 피부가 민감한 사람이나 특히 피부 질환이 있는 사람은 사용하기에 부적합하게 된다.
상기 잿물의 구성 성분은 천연 식염 5 내지 10 중량%, 생우유 5 내지 10 중량%, 수세미 즙 30 내지 40 중량%, 쌀겨 우려낸 물 5 내지 10 중량%와 짚 또는 왕겨를 태워서 된 재를 우려낸 물 50 내지 55 중량%이다. 상기에서 천일 식염을 첨가하는 이유는 잿물의 알칼리성이 약한 것을 보강하기 위해 첨가한 것이고, 생우유는 피부의 세정 효과의 상승과 함께 알칼리성의 잿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에 윤기를 주기 위한 것이며, 수세미 즙은 피부가 민감한 사람이나 또는 피부 질환이 있는 사람의 피부가 알칼리 액성의 잿물에 의한 자극을 최소화하여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서 첨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약초류 추출액의 함량은 10 내지 20 중량%로서, 사용되는 약초는 삼백초와 어성초에서 추출한 액을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약초들은 이미 그 효능이 알려진 바와 같이 삼백초는 각종 피부질환인 악성무좀, 악성 여드름, 습진, 피부병, 화상 등에 효과가 있다는 기록이 있고, 어성초는 미용초(美容草)로서, 어성초에 함유되어 있는 풍부한 쿠에르치트런이라는 특수 성분이 모세혈관을 확장시키고 피를 맑게 해주며 살결 속의 독도 없애주기 때문에 살결이 희어지고 피부의 트러블이 사라지게 하는 역활을 하는데, 그 함량이 상기 함량의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약초의 효능이 미미하게 작용하고, 상기 범위 함량 초과일 경우에는 경제성에 비해 그 효능에 특별한 상승 효과가 없다.
상기에서 약초류 추출액의 성분비는 삼백초와 어성초의 추출액을 각각 40 내지 60 중량% 내지 60 내지 40 중량%로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조류는 파래와 다시마를 우려낸 액을 사용하는데, 파래는 향기가 많고 단백질과 무기염류가 풍부하고, 특히 비타민의 함량이 500 내지 1,000 IU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시마는 카로틴류·크산토필류·엽록소 등의 여러 가지 색소 외에 탄소동화작용으로 만들어지는 마니트·라미나린 등의 탄수화물과 세포벽의 성분인 알긴산이 많이 들어 있고, 요오드·비타민 B2·글루탐산 등의 아미노산이 들어 있기 때문에 피부에 영양소를 공급하는 역활을 하며, 특히 지성 피부에 효과가 좋으며, 그 함량은 10 내지 20 중량%이다. 그 함량이 상기 함량의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의 효능이 미미하게 작용하고, 상기 범위 함량 초과일 경우에는 경제성에 비해 그 효능에는 특별한 상승 효과가 없다.
그리고 해조류의 성분비는 파래와 다시마를 우려낸 액을 각각 40 내지 60 중량% 내지 60 내지 40 중량%로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말 비누에 함유되는 약초류와 해조류의 종류는 상기에 기재된 종류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고, 필요로 하는 효능에 따라서 약초류와 해조류의 종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곡물 분말, 잿물, 약초류 추출액 및 해조류 추출액의 혼합에 의해 온도 50 ~ 60℃의 황토방에서 6 내지 12개월간 자연 발효 숙성되어진 분말 비누는 함수율이 5 중량%가 될 때까지 자연 건조되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곡물류를 이용한 천연 발효성 분말 비누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ⅰ) 깨끗히 세척한 보리, 율피, 메밀, 현미, 옥수수 65 내지 75 중량% 및 누룩 25 내지 35 중량%를 곱게 분쇄하여 곡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ⅱ) 별도로 천연 식염 5 내지 10 중량%, 생우유 5 내지 10 중량%, 수세미 즙 30 내지 40 중량%, 쌀겨 우려낸 물 5 내지 10 중량%와 짚 또는 왕겨를 태워서 된 재를 우려낸 물 50 내지 55 중량%를 혼합하여 잿물을 제조하는 단계;
ⅲ) 상기 ⅰ)단계에서 제조되어진 곡물 분말 50 내지 60 중량부에 상기 ⅱ)단계에서 제조한 잿물 20 내지 30 중량부를 가하여 걸쭉하게 혼합시켜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ⅳ) 별도로 삼백초 및 어성초와 파래 및 다시마를 각각 우려내어 약초류 추출액과 해조류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ⅴ) 상기 ⅲ) 단계에서 제조한 반죽에 상기 ⅳ) 단계에서 제조한 약초류 추출액 10 내지 20 중량부와 해조류 추출액 10 내지 20 중량부를 첨가하여 재 혼합시켜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ⅵ) 상기 ⅴ) 단계에서 제조되어진 반죽을 온도 50 ~ 60℃의 황토방에서 6 내지 12개월간 자연 발효 숙성시키는 단계;
ⅶ) 상기 ⅵ) 단계에서 숙성이 완료되면 상온에서 함수율이 5중량%가 될 때까지 자연 건조시켜킨 후 재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를 거쳐 천연 곡물류를 분쇄하여 발효성 분말 비누가 제조되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ⅰ) 단계에서 사용되는 곡물류를 누룩 및 잿물과 혼합시켜 황토방에서 자연 발효 숙성시킨 후 분쇄시켜 분말로 제조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곡물류의 양은 보리, 율피, 메밀, 현미, 옥수수를 균등하게 분할하여 사용하며, 곡물의 종류와 그 사용량은 특별히 상기에 기재된 곡물만 한정된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종류의 곡물류에서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 ⅱ) 단계에서 짚 또는 왕겨를 태워서 된 재를 우려낸 물은 짚 또는 왕겨를 태운 재 100 중량부를 물 500 중량부에 넣어서 일주일간 우려내어 제조하게 된다.
상기 ⅳ) 단계에서는 삼백초 10 중량부 및 어성초 10 중량부를 물 80 중량부에 넣고, 10 내지 15 시간을 우려내어 약초류 추출액을 제조하고, 별도로 파래 10 중량부 및 다시마 10 중량부를 물 80 중량부에 넣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우려내어 해조류 추출액을 제조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발효성 분말 비누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
실시예 1 내지 4는 본 발명의 발효성 분말 비누이고, 비교예 1 내지 4는 발효성 액상 비누로서 그 구성 성분비는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단위 : 중량부)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곡물1) 50 50 55 60 15 15 20 20
잿물2) 20 25 20 20 50 50 40 40
약초류3) 추출액 20 15 10 10 15 20 25 15
해조류4) 추출액 10 10 15 10 20 15 15 25
주 1) : 율피, 메밀, 현미, 옥수수를 70 중량부 및 누룩 30 중량부를 곱게 분쇄하여 곡물 분말이며, 사용된 곡물류의 양은 보리, 율피, 메밀, 현미, 옥수수를 균등하게 분할하여 사용한 곡물 분말임. 2) : 짚 또는 왕겨를 태운 재 100 중량부를 물 500 중량부에 넣어서 일주일간 우려내어 제조한 짚 또는 왕겨를 태워서 된 재를 우려낸 물 50 중량%에 천연 식염 5 중량%, 생우유 10 중량%, 수세미 즙 30 중량%, 쌀겨 우려낸 물 5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 잿물임. 3) : 삼백초 10 중량부 및 어성초 10 중량부를 물 80 중량부에 넣고, 10 내지 15 시간을 우려내어 제조한 약초류 추출액임. 4) : 파래 10 중량부 및 다시마 10 중량부를 물 80 중량부에 넣고, 10 내지 15 시간을 우려내어 제조한 해조류 추출액임.
상기와 같은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내지 4에 대하여 피지 제거율 시험과 냄새, 세정효과 및 보습효과에 대한 관능검사를 시험한 결과는 다음 [표 2]와 같다.
[표 2]
구 분 냄새1) 피지 제거율2) 관능 검사3)
세정효과 보습효과
실시예 1 2 92.2 4 4
실시예 2 3 94.8 5 5
실시예 3 3 95.1 5 5
실시예 4 3 91.5 4 3
비교예 1 1 89.3 3 3
비교예 2 1 90.7 4 4
비교예 3 1 89.4 4 4
비교예 4 1 87.3 3 3
주 1) : 냄새의 측정은 시료 각 500㎖씩을 채취하여 건겅한 사람의 후각을 이용하여 악취의 취기 강도를 측정한다. 시험방법은 후각이 정상인 건강한 사람 남녀 각 10명씩으로 구성한 후 평가한 냄새를 집계 후 평균값으로 환산한 것임. - 냄새가 약함 : 3점 - 냄새가 보통임 : 2점 - 냄새가 심함 : 1점 2) 피지 제거율 피부의 피지양을 측정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Sebumeter SM810을 사용하여 실시예와 비교예의 비누를 사용하기 전과 후의 피지의 양을 측정하고, 피지의 제거율을 구하였다. 이 실험은 남녀 각 10명씩의 실험 대상자의 뺨 부위의 피지의 양을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였다. 3) 건강한 사람 남녀 각 10명씩으로 구성한 후 얼굴의 세정 및 보습에 대한 효과를 아래 기준에 의거 관능 검사한 후 평균을 집계한 것임. - 5점 : 일반 화장비누보다 효과가 월등히 뛰어나다. - 4점 : 일반 화장비누보다 효과가 좋다. - 3점 : 일반 화장비누와 효과가 비슷하다. - 2점 : 일반 화장비누보다 효과가 좋지 못하다. - 1점 : 일반 화장비누보다 효과가 아주 좋지 못하다.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는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하여 약초류, 해조류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적은 것을 알 수 있는데, 비교예 1 내지 4의 경우에는 액상 비누에 함유되어 있는 약초류 및 해조류 추출액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으나 실시예 1 내지 4와 같은 분말 비누의 경우에는 황토방에서 6 내지 12개월간 자연 발효 숙성시에 약초류 및 해조류 추출액의 냄새가 많이 제거되었기 때문에 최종 분말 비누에서 냄새가 거의 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피지제거율도 실시예 1 내지 4의 분말 비누가 비교예 1 내지 4의 액상 비누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세정 및 보습의 관능검사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분말 비누가 액상비누보다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분말 비누는 천연 식물성 재료만을 비누 소재로 사용하여 인체에 무해한 환경친화적인 비누를 분말로 제조함으로서, 액상 비누의 액상에 함유되어 있는 천연 식물성 재료에 의해 발산되는 냄새를 대폭 줄이고, 비누의 성상이 액상이 아닌 분말의 형태이기 때문에 환경호르몬이 검출되는 합성수지 용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 그 특징이며, 또한 본 발명의 비누는 일반 비누에서 사용하는 수산화나트륨 용액 대신 천연 식염과 생우유, 수세미 즙 및 짚이나 왕겨를 태워서 된 재를 우려낸 물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그 외 다른 소재들도 모두 순수 식물성 재료만을 비누 소재로 사용하기 때문에 피부가 예민한 사람이나 또는 습진, 무좀 등과 같이 각종 피부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사용할 경우에도 피부에 아무런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세정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모공에 침투되어 피지를 분해, 제거함으로써 피부를 매끄럽게 하고, 노화 방지와 보습효과가 우수하며, 인체에는 무해하기 때문에 피부 세정제는 물론 치약 또는 샴푸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Claims (9)

  1. 보리, 율피, 메밀, 현미, 옥수수와 같은 곡물 및 누룩을 곱게 분쇄한 곡물 분말 50 내지 60 중량%에, 천연 식염, 생우유, 수세미 즙, 쌀겨우려낸 물과 짚 또는 왕겨를 태워서 된 재를 우려낸 물과 혼합한 잿물 20 내지 30 중량%를 가하여 걸쭉하게 혼합한 후, 여기에 삼백초 및 어성초에서 추출한 약초 추출액 10 내지 20 중량%와 파래,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의 추출액 10 내지 20 중량%를 첨가하여 다시 골고루 혼합한 후, 온도 50 내지 60℃의 황토방에서 6 내지 12개월간 자연 발효 숙성시킨 후 함수율이 5 중량%가 될때까지 자연 건조시킨 후 재분쇄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류를 이용한 천연 발효성 분말 비누.
  2. 제 1항에 있어서, 곡물 분말의 조성비는 곡물 분말이 65 내지 75 중량%이고, 누룩이 25 내지 35 중량%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류를 이용한 천연 발효성 분말 비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잿물의 구성 성분은 천연 식염 5 내지 10 중량%, 생우유 5 내지 10 중량%, 수세미 즙 30 내지 40 중량%, 쌀겨 우려낸 물 5 내지 10 중량%와 짚 또는 왕겨를 태워서 된 재를 우려낸 물 50 내지 55 중량%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류를 이용한 천연 발효성 분말 비누.
  4. 제 1항에 있어서, 약초류 추출액의 성분비는 삼백초와 어성초의 추출액을 각각 40 내지 60 중량% 내지 60 내지 4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류를 이용한 천연 발효성 분말 비누.
  5. 제 1항에 있어서, 해조류의 성분비는 파래와 다시마를 우려낸 액이 각각 40 내지 60 중량% 내지 60 내지 4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류를 이용한 천연 발효성 분말 비누.
  6. ⅰ) 깨끗히 세척한 보리, 율피, 메밀, 현미, 옥수수 65 중량% 및 누룩 25 내지 35 중량%를 곱게 분쇄하여 곡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ⅱ) 별도로 천연 식염 5 내지 10 중량%, 생우유 5 내지 10 중량%, 수세미 즙 30 내지 40 중량%, 쌀겨 우려낸 물 5 내지 10 중량%와 짚 또는 왕겨를 태워서 된 재를 우려낸 물 50 내지 55 중량%를 혼합하여 잿물을 제조하는 단계;
    ⅲ) 상기 ⅰ)단계에서 제조되어진 곡물 분말 50 내지 60 중량부에 상기 ⅱ)단계에서 제조한 잿물 20 내지 30 중량부를 가하여 걸쭉하게 혼합시켜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ⅳ) 별도로 삼백초 및 어성초와 파래 및 다시마를 각각 우려내어 약초류 추출액과 해조류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ⅴ) 상기 ⅲ) 단계에서 제조한 반죽에 상기 ⅳ) 단계에서 제조한 약초류 추출액 10 내지 20 중량부와 해조류 추출액 10 내지 20 중량부를 첨가하여 재 혼합시켜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ⅵ) 상기 ⅴ) 단계에서 제조되어진 반죽을 온도 50 ~ 60℃의 황토방에서 6 내지 12개월간 자연 발효 숙성시키는 단계;
    ⅶ) 상기 ⅵ) 단계에서 숙성이 완료되면 상온에서 함수율이 5중량%가 될 때까지 자연 건조시켜킨 후 재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를 거쳐 제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류를 이용한 천연 발효성 분말 비누의 제조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ⅱ) 단계에서 짚 또는 왕겨를 태워서 된 재를 우려낸 물은 짚 또는 왕겨를 태운 재 100 중량부를 물 500 중량부에 넣어서 일주일간 우려낸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류를 이용한 천연 발효성 분말 비누의 제조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ⅳ) 단계에서 약초류 추출액은 삼백초 10 중량부 및 어성초 10 중량부를 물 80 중량부에 넣고, 10 내지 15 시간을 우려내어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류를 이용한 천연 발효성 분말 비누의 제조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ⅳ) 단계에서 해조류 추출액은 파래 10 중량부 및 다시마 10 중량부를 물 80 중량부에 넣고, 10 내지 15 시간을 우려내어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류를 이용한 천연 발효성 분말 비누의 제조 방법.
KR1020040041766A 2004-06-08 2004-06-08 곡물류를 이용한 천연 발효성 분말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1166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766A KR20050116632A (ko) 2004-06-08 2004-06-08 곡물류를 이용한 천연 발효성 분말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766A KR20050116632A (ko) 2004-06-08 2004-06-08 곡물류를 이용한 천연 발효성 분말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632A true KR20050116632A (ko) 2005-12-13

Family

ID=37290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766A KR20050116632A (ko) 2004-06-08 2004-06-08 곡물류를 이용한 천연 발효성 분말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663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398B1 (ko) * 2007-08-28 2009-06-02 박향 머리 청량제
WO2011081324A2 (ko) * 2009-12-30 2011-07-07 Kim Sae Woon 유산균을 이용한 혼합곡물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발효용기
KR101232755B1 (ko) * 2011-04-26 2013-02-13 권혜숙 죽고령토 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593177A (zh) * 2015-01-29 2015-05-06 孙丽君 一种草本骆驼奶皂及其制备方法
KR102160437B1 (ko) * 2020-02-07 2020-09-29 농업회사법인 한주원 주식회사 해조류 추출물과 이온수를 포함하는 세정제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398B1 (ko) * 2007-08-28 2009-06-02 박향 머리 청량제
WO2011081324A2 (ko) * 2009-12-30 2011-07-07 Kim Sae Woon 유산균을 이용한 혼합곡물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발효용기
WO2011081324A3 (ko) * 2009-12-30 2011-11-10 Kim Sae Woon 유산균을 이용한 혼합곡물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발효용기
KR101232755B1 (ko) * 2011-04-26 2013-02-13 권혜숙 죽고령토 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593177A (zh) * 2015-01-29 2015-05-06 孙丽君 一种草本骆驼奶皂及其制备方法
KR102160437B1 (ko) * 2020-02-07 2020-09-29 농업회사법인 한주원 주식회사 해조류 추출물과 이온수를 포함하는 세정제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36279A (ja) 植物抽出物含有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JP2000143437A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2002241293A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CN105505635A (zh) 一种含有荷花活性成分的洁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429161B1 (ko) 이화누룩 약주를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H09301821A (ja) リパーゼ活性促進剤
KR101862646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비누 조성물
FR2825267A1 (fr) Compositions pour l'hygiene buccale ou corporelle ou la proprete ou la sante comprenant des graines ou un broyat de graines ou un extrait de graines du genre moringa
JP2010534224A (ja) ショクヨウガヤツリ樹液濃縮物から化粧品を得るための方法
KR20050116632A (ko) 곡물류를 이용한 천연 발효성 분말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CN105147583B (zh) 一种含油茶皂苷的儿童专用牙膏及其制备方法
JP2002363065A (ja) 薬草化粧石鹸及びローション
KR100359460B1 (ko) 환경친화형 액상비누의 제조방법
KR101252548B1 (ko) 해송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31420B1 (ko) 천연 가루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236348B1 (ko) 팩조성물
KR102439111B1 (ko) 화장료 조성물
JP5203907B2 (ja) 皮膚老化の予防及び/又は改善用パパイア果実発酵物含有石鹸
KR102333189B1 (ko) 상백피 및 호장근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CN106675859A (zh) 中药皂
JPH11269496A (ja) 植物エキス配合の石けん
CN105255611A (zh) 一种亮肤养生浴皂
KR101138157B1 (ko) 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43698A (ko) 탈모 방지 및 두피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150051751A (ko) 탈모 방지 및 두피질환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