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5821A -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및 이를 함유하는 감염 억제용품및 음식물 - Google Patents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및 이를 함유하는 감염 억제용품및 음식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5821A
KR20050115821A KR1020050002321A KR20050002321A KR20050115821A KR 20050115821 A KR20050115821 A KR 20050115821A KR 1020050002321 A KR1020050002321 A KR 1020050002321A KR 20050002321 A KR20050002321 A KR 20050002321A KR 20050115821 A KR20050115821 A KR 20050115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ethanol
influenza virus
foods
inf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미즈카즈후미
사와이레이코
쿠로다카즈미치
오사와켄지
시무라스스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롯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롯데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롯데
Publication of KR20050115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82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Virology (AREA)
  • On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일상적으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안전성이 높은 식물추출물을 사용해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에 대해서 높은 억제효과를 보이고, 부작용이 없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작용을 갖는 감염 억제용품 및 음식물을 제공한다.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및 이를 함유하는 감염 억제용품 및 음식물은 오렌지(Citrus spp.), 캣츠클로(Uncaria tomentosa), 베이베리(Myrica cerifera), 루타(Ruta graveolens), 에버라스팅(Helichrysum italicum), 린덴(Tilia cordata), 올스파이스(Pimenta officinalis), 카카오(Theobroma cacao), 모과(Chaenomeles sinensis, Pseudocydonia sinensis)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및 이를 함유하는 감염 억제용품 및 음식물{ANTI INFLUENZA VIRAL DRUG AND, VIRAL-INFECTION SUPPRESSION PRODUCTS AND FOOD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 억제작용을 갖는 식물에서 유래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抗)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및 이를 함유하는 감염 억제용품 및 음식물에 관한 것이다.
해마다 인플루엔자의 유행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직경 1만분의 1 밀리미터 정도의 인벨로프(envelop)막을 갖는 RNA 바이러스이다. 그 항원성의 차이로부터 A, B, C의 3가지형으로 분류되지만, 유행적인 확산을 보이는 것은 A형, B형이다. 이 바이러스들의 입자표면에는, 적혈구 응집소(HA)와 뉴라미니다제(neuraminidase)(NA)라고 하는 2종류의 당단백이 스파이크형상으로 돌출되어 있고, 내부에는 8개로 분절된 유전자 RNA가 존재한다. 바이러스의 표면에 있는 HA와 NA는 동일한 아류형 내에서 빈번하게 변이를 일으켜서, 해마다 새로운 항원 변이주가 출현한다.
기침에 의해 날리는 침을 통해 방출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사람의 코나 입을 통해서 침입하고, 바이러스 표층의 스파이크형상 당단백질 HA에 의해 상기도(上氣道)의 점막 상피세포에 흡착되며, 세포에 침입한 후 증식을 개시한다. 최근의 연구에 의해, 바이러스의 감염 메커니즘이 밝혀지게 되었다. 바이러스는 사람의 표적세포의 표층에 존재하는 당쇄로 이루어지는 수용기(receptor)에 결합되고, 엔도좀(endosome)으로 둘러쌓이며, 바이러스막과 엔도좀막의 융합에 의해 세포내로 침입하여, 바이러스 유전자의 발현과 복제, 그리고 숙주세포막으로부터의 출아에 의해 자손 바이러스 입자를 형성해서 증식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 수일내에 갑작스런 발열, 두통, 관절의 통증, 전신권태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그와 전후해서 기침이나 목의 통증, 콧물, 코막힘 등의 호흡기 증상이 나타난다. 소위 감기와는 달리, 감염력이 강하고 단기간에 폭발적인 유행을 일으키는 것이 특징이다. 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HA 단백질의 구조는 해마다 변이를 반복해서, 과거의 감염에 의해 만들어진 항체가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는 것도 감염을 확대시켜 버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상피세포로의 흡착의 저해, 세포로의 침입의 저해, 유전자의 전사·복제의 억제, 단백질의 합성저해, 세포로부터의 방출의 억제 등을 생각할 수 있으며, 각각이 항바이러스제의 타깃이 되고 있다. 현재까지, 아만타딘(amantadine), 리만타딘(rimantadine), 자나미비어(zanamivir) 등의 항바이러스제가 개발되어 있지만, 과민증, 정신신경증상, 소화기계증상, 자율신경계증상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어 있어, 그 응용에 관해서는 주의가 필요하다.
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기도점막 상피에서 감염, 증식하는 것이나, 그 해의 유행형을 정확하게는 예상할 수 없기 때문에, 백신의 접종에 의해 감염을 억제하는 것도 곤란하다고 생각된다. 빈번한 양치질과, 목의 건조함을 피하는 것, 영양과 휴식을 충분히 취하는 것 등이, 현재 가장 유효한 예방책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감염 억제효과가 높고, 또 안전성에 문제가 없으며, 일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천연물에서 유래된 항인플루엔자 소재로서 차나 홍차의 폴리페놀(polyphenol) 성분이 보고되어 있고(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및 2 참조), 사람을 이용한 시험을 통해 홍차로 양치질하는 것이 실제로 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3 참조). 또, 오우곤(Ougon;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의 뿌리)에서 유래된 후라보노이드 성분이, 바이러스의 시알리다제(sialidase) 저해활성에 의해 인플루엔자 감염 억제효과를 보이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4 참조.). 추가로, 한방제제인 계지이월비일탕(桂枝二越婢一湯)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검은 구스베리(gooseberry)열매 추출물(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감자(馬鈴薯) 안토시아닌 색소(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구아바잎 추출물(예를 들어, 특허문헌 4 참조), 나포마(羅布麻) 추출물(예를 들어, 특허문헌 5 참조) 등의 항바이러스 효과가 보고되어 있다.
또, 장미과 식물에 있어서는, 그 꽃봉오리 또는 꽃잎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가 개시되어 있지만(예를 들어, 특허문헌 6 참조), 모과의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효과는 밝혀져 있지 않다. 감귤속(屬)에 있어서는, 그 종자성분의 세균 및 바이러스 등에 의한 감염증에 대한 예방효과가 개시되어 있지만(예를 들어, 특허문헌 7 참조), 감귤속의 잎의 효과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즉, 본 특허에 나타낸 식물추출물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억제효과에 관한 보고는 발견되지 않고, 본 특허에 의해 처음으로 밝혀지는 것이다.
[비특허문헌 1] 감염증학 잡지, 68(7)824-829(1994)
[비특허문헌 2] 감염증학 잡지, 70(11)1190-1192(1996)
[비특허문헌 3] 감염증학 잡지, 71(6)487-494(1997)
[비특허문헌 4] Chem. Pharm. Bull. 38(5)1329-1332(1990)
[특허문헌 1] 특개평 6-199680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 2000-212092 공보
[특허문헌 3] 특개 2001-316399 공보
[특허문헌 4] 특개 2000-273048 공보
[특허문헌 5] 특개평 11-71296호 공보
[특허문헌 6] 특개 2002-145790 공보
[특허문헌 7] 특표 2002-020305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일상적으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안전성이 높은 식물추출물을 사용해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에 대해서 높은 억제효과를 보이고, 부작용이 없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작용을 갖는 감염 억제용품 및 음식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없으며 안전성이 높고 오래전부터 식품이나 향료, 차 등으로 이용되어 온 식물이나 생약, 허브 등에 착안해서, 이들 중에서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작용을 갖는 식물추출물을 발견하기 위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A형 바이러스주: Udorn/307/72 H3N2, B형 바이러스: Johannesburg/5/99)의 MDCK세포에 대한 감염성의 억제효과를 지표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오렌지, 캣츠클로(cat's claw), 베이베리(bay berry), 루타(roux), 에버라스팅, 린덴(lindane), 올스파이스(allspice), 카카오, 모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이, 강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 억제효과를 갖는 것을 발견해내고, 본 발명품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오렌지(Citrus spp.), 캣츠클로(Uncaria tomentosa), 베이베리(Myrica cerifera), 루타(Ruta Graveolens), 에버라스팅(Helichrysum italicum), 린덴(Tilia cordata), 올스파이스(Pimenta officinalis), 카카오(Theobroma cacao), 모과(Chaenomeles sinensis, Pseudocydonia sinensis)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를 함유하는 감염 억제용품 및 음식품이다.
본 발명품의 원료가 되는 루타에 있어서는 그 전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오렌지에 대해서는 잎을, 모과에 대해서는 그 열매를, 에버라스팅, 린덴에 대해서는 꽃을, 캣츠클로, 베이베리에 대해서는 나무껍질을, 올스파이스, 카카오에 대해서는 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카카오 종자에 대해서는, 열처리한 것에 대해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물의 분쇄물로부터 본 발명의 추출물을 얻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물,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및 n-부탄올 등의 저급 알콜, 에테르, 초산에틸, 아세톤,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유기용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용매를 첨가하고, 종래 행해지고 있는 추출방법에 의해 추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를 경구로 섭취하는 것을 고려하면, 안전성면에서 물, 에탄올, 또는 그 혼합액을 이용해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조건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50∼90℃에서 1∼5시간 정도가 바람직하다. 추출액을 여과해서, 추출용제를 증류하여 제거한 후, 감압하에서 농축 또는 동결건조 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이 추출물들을 유기용제 분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y) 등에 의해 분화정제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품의 이용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유효성분으로서 예시한 식물추출물에 용제, 분산제, 제제용 담체, 유화제, 희석제, 안정제 등을 첨가함으로써, 산제, 정제, 트로키(troche)제, 흡입제, 가글약, 헹굼제, 좌약, 주사약 등 임의의 제제로서 조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투여경로로서 경구투여, 기도투여, 정맥내투여, 직장투여, 피하투여, 피내투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성인에 대한 투여량은 각 추출물로 10∼2000㎎/일이 바람직하지만, 이 값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종 제제에 대한 추출물의 첨가량으로서는, 그 제제의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0.00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0.01 중량% 이상의 비율이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 본 발명의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를, 마스크, 에어컨 필터, 의류, 물티슈, 스프레이액 등에 흡착, 함침, 첨가함으로써, 인플루엔자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감염 억제용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들 용도에 있어서의 식물추출물의 흡착, 첨가량은, 그 감염 억제용품의 형태에 따라 다르고,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는 없지만, 0.001∼5 중량%의 비율이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 본 발명의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는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예를 들어, 추잉껌, 캔디, 정과, 구미젤리, 초콜릿, 비스킷 등의 과자, 아이스크림, 샤베트 등의 빙과, 음료, 스프, 잼 등의 음식물에 배합해서,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첨가량으로서는, 그 이용형태 및 추출물의 정미성(taste)에 따라 다르지만, 음식품에 대해서 0.001∼5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1∼1 중량%의 비율이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하, 실시예, 시험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린덴꽃 분말 30g에 50% 에탄올 300㎖를 첨가한 플라스크에, 환류냉각기를 장착하고, 1시간 환류하면서 추출한다.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하여 선별하고, 용매를 제거한 후, 동결건조함으로써 추출물을 4.86g 얻었다.
마찬가지로 해서, 오렌지 잎, 캣치클로 나무껍질, 베이베리 나무껍질, 루타 풀전체, 에버라스팅 꽃, 올스파이스 종자, 카카오 종자(가열(roast)·미가열), 모과 열매에 대해서, 50% 에탄올을 사용해서 추출하고, 추출액을 농축·동결건조함으로써 추출물을 조제하였다. 또, 카카오 종자(가열·미가열)에 대해서는, 분쇄한 후, 10배량의 n-헥산으로 탈지처리를 행한 것을 사용하였다. 각 추출물의 수율을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2]
오렌지잎 분말 30g에 70% 에탄올 300㎖를 첨가한 플라스크에, 환류냉각기를 장착하고, 1시간 환류하면서 추출한다.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하여 선별하고, 용매를 제거한 후, 동결건조함으로써 추출물을 4.68g 얻었다.
마찬가지로 해서, 베이베리 나무껍질에 대해서, 70% 에탄올을 사용해서 추출하고, 추출액을 농축·동결건조함으로써 추출물을 조제하였다. 각 추출물의 수율을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3]
캣츠클로 나무껍질 분말 30g에 100% 에탄올 300㎖를 첨가한 플라스크에, 환류냉각기를 장착하고, 1시간 환류하면서 추출한다.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하여 선별하고, 용매를 제거한 후, 건조하여 굳힘으로써 추출물을 3.42g 얻었다.
마찬가지로 해서, 오렌지 잎, 에버라스팅 꽃, 린덴꽃, 올스파이스 종자, 카카오 종자(가열·미가열), 모과 열매에 대해서 100% 에탄올을 사용해서 추출하고, 추출액을 농축·건조하여 굳힘으로써 추출물을 조제하였다. 또, 카카오 종자(가열·미가열)에 대해서는, 분쇄한 후, 10배량의 n-헥산으로 탈지처리를 행한 것을 사용하였다. 각 추출물의 수율을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4]
베이베리 나무껍질 분말 30g에 물 300㎖를 첨가한 플라스크에, 환류냉각기를 장착하고, 1시간 환류하면서 추출한다.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하여 선별하고, 용매를 제거한 후, 동결건조함으로써 추출물을 6.78g 얻었다.
마찬가지로 해서, 오렌지 잎, 캣츠클로 나무껍질, 루타 풀전체, 에버라스팅 꽃, 린덴꽃, 올스파이스 종자에 대해서 물을 사용해서 추출하고, 추출액을 농축·동결건조함으로써 추출물을 조제하였다. 각 추출물의 수율을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5]
에버라스팅꽃 분말 30g에 100% 에탄올 300㎖를 첨가한 플라스크에, 환류냉각기를 장착하고, 1시간 환류하면서 추출한다.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하여 선별하고, 용매를 제거한 후, 건조하여 굳힘으로써 추출물을 2.49g 얻었다. 추출물의 수율을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6]
베이베리 나무껍질 분말 30g에 초산에틸 300㎖를 첨가한 플라스크에, 환류냉각기를 장착하고, 1시간 환류하면서 추출한다.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하여 선별하고, 용매를 제거한 후, 건조하여 굳힘으로써 추출물 9.27g 얻었다.
마찬가지로 해서, 오렌지 잎에 대해서 초산에틸을 사용해서 추출하고, 추출액을 농축·건조하여 굳힘으로써 추출물을 조제하였다. 각 추출물의 수율을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7]
오렌지잎 분말 30g에 아세톤 300㎖를 첨가한 플라스크에, 환류냉각기를 장착하고, 1시간 환류하면서 추출한다.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하여 선별하고, 용매를 제거한 후, 건조하여 굳힘으로써 추출물을 2.37g 얻었다. 추출물의 수율을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8]
루타 풀전체 분말 30g에 n-부탄올 300㎖를 첨가한 플라스크에, 환류냉각기를 장착하고, 1시간 환류하면서 추출한다.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하여 선별하고, 용매를 제거한 후, 건조하여 굳힘으로써 추출물을 5.82g 얻었다.
마찬가지로 해서, 캣츠클로 나무껍질에 대해서 n-부탄올을 사용해서 추출하고, 추출액을 농축·건조하여 굳힘으로써 추출물을 조제하였다. 각 추출물의 수율을 표 1에 나타냈다.
본 발명품의 추출예
식물명 학명 부위 추출용제 수율(%)
오렌지 Citrus spp. 물50% 에탄올70% 에탄올100% 에탄올초산에틸아세톤 26.023.315.67.87.57.9
캣츠클로 Uncariatomentosa 나무껍질 물50% 에탄올100% 에탄올n-부탄올 12.617.011.410.5
베이베리 Myricacerifera 나무껍질 물50% 에탄올70% 에탄올초산에틸 22.627.930.030.9
루타 Rutagravcolens 풀전체 물50% 에탄올n-부탄올 12.217.819.4
에버라스팅 Helichrysumitalicum 물50% 에탄올100% 에탄올100% 메탄올 19.124.79.98.3
린덴 Tilia cordata 물50% 에탄올100% 에탄올 7.216.26.9
올스파이스 Pimentaofficinalis 종자 물50% 에탄올100% 에탄올 15.212.613.5
카카오 Theobromacacao 종자 가열 50% 에탄올100% 에탄올 12.55.5
미가열
50% 에탄올100% 에탄올 10.64.4
모과 ChaenomelessinensisPseudocydoniasinensis 열매 50% 에탄올 100% 에탄올 31.7 13.1
[시험예 1]
실시예 1∼8에서 보인 본 발명품인 추출물을 시료로 해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A/Udorn/307/72(H3N2), B/Johannesburg/5/99N2주를 사용하였다. 시료를 디메틸술폭시드(dimethyl sulfoxide)에 용해(50㎎/㎖)한 것을 시료원액으로 하였다. 시료원액을 Tris-Glucose-Saline(TGS)로 10배 단계 희석하고(106배 희석까지), 이들 시료 희석액과 바이러스액(1000PFU(plaque forming unit)/㎖)을 1:1로 혼합하고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이 0.1㎖를 Madin-Darby canine kidney(MDCK)세포의 단층배양(직경 35㎜ 샬레)에 접종하고, 바이러스를 실온에서 1시간 흡착시켜서, 2㎖의 L-15 아가로스 배지에 흘려 넣고 굳혀서 34℃, 3일간 배양해서, 생긴 플라크(plaque) 수를 측정하였다. 플라크 수가 TGS 처리 컨트롤의 50% 이하가 되는 시료의 희석배수를 감염 중화값으로 하였다. 실시예 1∼8에서 조제한 본 발명품인 추출물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억제 활성(감염 중화값)을, 이하의 표 2에 나타냈다. 본 발명품인 이 추출물들은 모두 감염 중화값이 103 이상이고, 강한 바이러스 감염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시료명 추출용제 감염 중화값(Log)
A/Udorn/307/72(H3N2) B/Johannesburg/5/99 N2
오렌지잎 4 4
50% 에탄올 5 5
70% 에탄올 5 5
100% 에탄올 5 5
초산에틸 5 5
아세톤 5 5
캣츠클로 나무껍질 4 4
50% 에탄올 5 5
100% 에탄올 5 5
n-부탄올 5 5
베이베리 나무껍질 3 4
50% 에탄올 5 5
70% 에탄올 4 5
초산에틸 4 5
루타 풀전체 4 4
50% 에탄올 4 5
n-부탄올 4 4
에버라스팅꽃 4 4
50% 에탄올 4 4
100% 에탄올 4 4
100% 메탄올 4 4
린덴꽃 3 4
50% 에탄올 4 4
100% 에탄올 4 4
올스파이스 종자 3 3
50% 에탄올 4 4
100% 에탄올 4 4
카카오종자 가열 50% 에탄올 3 3
100% 에탄올 3 3
미가열 50% 에탄올 3 3
100% 에탄올 3 3
모과열매 50% 에탄올 5 5
100% 에탄올 5 5
실시예 1∼8에서 조제한 식물추출물을 사용해서, 가글약, 흡입제, 트로키제, 스프레이액, 추잉껌, 캔디, 정과, 음료, 분말제, 정제, 헹굼제, 구미젤리, 초콜릿, 비스킷, 아이스크림, 샤베트, 스프, 잼, 물티슈, 마스크를 제조하였다. 이하에 실시예로서 그 처방을 나타냈다.
[실시예 9]
가글약의 처방
에탄올 2.0 중량%
향료 1.0 중량%
사카린 0.05 중량%
염산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HCl) 0.01 중량%
베이베리 나무껍질 70% 에탄올 추출물 (실시예 2) 0.5 중량%
나머지
100.0 중량%
[실시예 10]
흡입제의 처방
에탄올 5.0 중량%
에버라스팅 꽃
100% 에탄올 추출물 (실시예 3) 1.0 중량%
나머지
100.0 중량%
[실시예 11]
트로키제의 처방
포도당 72.3 중량%
유당 19.0 중량%
아라비아 고무 6.0 중량%
향료 1.0 중량%
모노불소인산나트륨 0.7 중량%
캣츠클로 나무껍질
n-부탄올 추출물 (실시예 8) 1.0 중량%
100.0 중량%
[실시예 12]
스프레이액의 처방
에탄올 25.0 중량%
구연산 1.5 중량%
구연산 3나트륨 1.0 중량%
루타 풀전체 50% 에탄올 추출물 (실시예 1) 0.5 중량%
나머지
100.0 중량%
[실시예 13]
추잉껌의 처방
껌 베이스 20.0 중량%
설탕 54.7 중량%
글루코스 15.0 중량%
물엿 9.3 중량%
향료 0.5 중량%
카카오 종자(가열)
50% 에탄올 추출물 (실시예 1) 0.2 중량%
오렌지 잎 50% 에탄올 추출물 (실시예 1) 0.3 중량%
100.0 중량%
[실시예 14]
캔디의 처방
설탕 50.0 중량%
물엿 34.0 중량%
구연산 1.0 중량%
향료 0.2 중량%
린덴꽃 물 추출물 (실시예 4) 0.4 중량%
나머지
100.0 중량%
[실시예 15]
정과의 처방
설탕 76.1 중량%
글루코스 19.0 중량%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0.2 중량%
향료 0.2 중량%
올스파이스 종자
50% 에탄올 추출물 (실시예 1) 0.5 중량%
나머지
100.0 중량%
[실시예 16]
음료의 처방
오렌지 과즙 30.00 중량%
이성화당 15.24 중량%
구연산 0.10 중량%
비타민C 0.04 중량%
향료 0.10 중량%
모과 열매 50% 에탄올 추출물 (실시예 1) 0.10 중량%
나머지
100.00 중량%
[실시예 17]
분말제의 처방
옥수수 전분 55.0 중량%
카르복시 셀룰로오스 40.0 중량%
에버라스팅 꽃 물 추출물 (실시예 4) 5.0 중량%
100.0 중량%
[실시예 18]
정제의 처방
유당(lactose) 70.0 중량%
결정성 셀룰로오스 15.0 중량%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0 중량%
린덴꽃 50% 에탄올 추출물 (실시예 1) 10.0 중량%
100.0 중량%
[실시예 19]
행굼제의 처방
에탄올 2.00 중량%
향료 1.00 중량%
사카린 0.05 중량%
염산 클로르헥시딘 0.01 중량%
베이베리 나무껍질 초산에틸 추출물 (실시예 6) 0.50 중량%
나머지
100.00 중량%
[실시예 20]
구미젤리의 처방
젤라틴 60.00 중량%
물엿 23.00 중량%
설탕 8.50 중량%
식물유지 4.50 중량%
만니톨(mannitol) 2.95 중량%
레몬 과즙 1.00 중량%
올스파이스 종자
100% 에탄올 추출물 (실시예 3) 0.05 중량%
100.00 중량%
[실시예 21]
초콜릿의 처방
설탕 40.80 중량%
카카오비터 20.00 중량%
전지분유 20.00 중량%
카카오버터 17.00 중량%
만니톨 1.00 중량%
향료 0.20 중량%
오렌지 잎 물 추출물(실시예 4) 1.00 중량%
100.00 중량%
[실시예 22]
비스킷의 처방
박력분 1급 25.59 중량%
중력분 1급 22.22 중량%
정백당 4.80 중량%
식염 0.73 중량%
포도당 0.78 중량%
팜 쇼트닝 11.78 중량%
탄산수소나트륨 0.17 중량%
중아황산나트륨 0.16 중량%
쌀가루 1.45 중량%
전지분유 1.16 중량%
대용분유 0.29 중량%
베이베리 나무껍질 70% 에탄올 추출물 (실시예 2) 0.50 중량%
나머지
100.00 중량%
[실시예 23]
아이스크림의 처방
탈지분유 50.0 중량%
생크림 25,0 중량%
설탕 10.0 중량%
계란 노른자 10.0 중량%
캣츠클로 나무껍질
50% 에탄올 추출물 (실시예 1) 1.0 중량%
향료 0.1 중량%
나머지
100.0 중량%
[실시예 24]
샤베트의 처방
오렌지 과즙 25.0 중량%
설탕 25.0 중량%
계란 흰자 10.0 중량%
오렌지 잎 물 추출물 (실시예 4) 2.0 중량%
나머지
100.0 중량%
[실시예 25]
스프의 처방
우유 60.00 중량%
양파 20.00 중량%
당근 10.00 중량%
야채부용(bouillon) 1.00 중량%
버터 0.10 중량%
후추 0.05 중량%
소금 0.05 중량%
올스파이스 종자 물 추출물(실시예 4) 1.00 중량%
나머지
100.00 중량%
[실시예 26]
잼의 처방
과육 4.0 중량%
설탕 65.0 중량%
청등(靑燈)과즙 25.0 중량%
구연산 0.5 중량%
모과 열매 50% 에탄올 추출물 (실시예 1) 2.0 중량%
나머지
100.0 중량%
[실시예 27]
물티슈의 처방
중액염화 벤잘코늄 0.2 중량%
루타 풀전체 50% 에탄올 추출물 (실시예 1) 0.2 중량%
나머지
100.0 중량%
부직포(150×200㎜) 20매를 겹쳐서, 상기 성분을 부직포 중량에 대해 3배 중량을 함침시켰다.
[실시예 28]
마스크의 처방
린덴꽃 100% 에탄올 추출물 (실시예 3) 1.0 중량%
나머지
100.0 중량%
부직포를 상기 성분에 적셔서, 가볍게 탈수한 후, 건조하였다.
본 발명은 안전성이 높은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해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해서 강한 감염 억제작용을 갖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의 유효성분인 식물추출물은 안전성이 높은 것이기 때문에, 마스크, 에어컨 필터, 의류, 물티슈, 스프레이액 등에 흡착, 함침, 첨가함으로써,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억제용품으로서 일상생활에서도 널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추잉껌, 캔디, 정과, 음료 등의 음식물에 첨가해서,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작용을 갖는 음식물로서 일상적으로 이용, 섭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품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 예방이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서 기인하는 질병증상의 완화에 유효하다.

Claims (3)

  1. 오렌지(Citrus spp.), 캣츠클로(Uncaria tomentosa), 베이베리(Myrica cerifera), 루타(Ruta graveolens), 에버라스팅(Helichrysum italicum), 린덴(Tilia cordata), 올스파이스(Pimenta officinalis), 카카오(Theobroma cacao), 모과(Chaenomeles sinensis, Pseudocydonia sinensis)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2. 제 1항에 기재한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를 함유하는 감염 억제용품.
  3. 제 1항에 기재한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를 함유하는 음식물.
KR1020050002321A 2004-06-04 2005-01-10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및 이를 함유하는 감염 억제용품및 음식물 KR200501158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66592A JP4669670B2 (ja) 2004-06-04 2004-06-04 抗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剤及びこれを吸着、含浸、添加させてなるインフルエンザ感染抑制用品
JPJP-P-2004-00166592 2004-06-0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466A Division KR101139376B1 (ko) 2004-06-04 2011-11-25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및 이를 함유하는 감염 억제용품 및 음식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821A true KR20050115821A (ko) 2005-12-08

Family

ID=354965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321A KR20050115821A (ko) 2004-06-04 2005-01-10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및 이를 함유하는 감염 억제용품및 음식물
KR1020110124466A KR101139376B1 (ko) 2004-06-04 2011-11-25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및 이를 함유하는 감염 억제용품 및 음식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466A KR101139376B1 (ko) 2004-06-04 2011-11-25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및 이를 함유하는 감염 억제용품 및 음식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669670B2 (ko)
KR (2) KR200501158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7988A (zh) * 2020-06-16 2020-08-21 北京中医药大学 一种金莲花汤抗流感病毒有效成分群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3970A (ja) * 2006-02-24 2007-09-06 Morinaga & Co Ltd トリ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感染阻害剤
WO2007125832A1 (ja) * 2006-04-25 2007-11-08 Fancl Corporation ヘリピロンaを用いた一重項酸素消去剤、皮膚老化改善剤、しわ改善剤、たるみ改善剤、皮膚水分量改善剤、美白剤、メラニン抑制剤、一酸化窒素消去剤、酸化防止剤
KR100736159B1 (ko) * 2006-06-29 2007-07-06 주식회사 알앤엘바이오 상사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0721703B1 (ko) * 2006-06-29 2007-05-25 주식회사 알앤엘바이오 오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0923884B1 (ko) * 2007-12-11 2009-10-28 주식회사 알앤엘바이오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활성이 높은 오리나무 수피 또는줄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JP2009269834A (ja) * 2008-05-01 2009-11-19 Dhc Co 骨吸収抑制剤並びに骨吸収抑制用飲食品及び医薬部外品
TW201125571A (en) * 2009-09-24 2011-08-01 Lotte Co Ltd Anti-influenza virus agent
JP5996837B2 (ja) 2010-05-28 2016-09-21 小林製薬株式会社 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の感染抑制剤
JP2012229178A (ja) * 2011-04-26 2012-11-22 Lotte Co Ltd 抗新型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剤
CN103764157A (zh) 2011-08-24 2014-04-30 罗蒂株式会社 流感病毒感染抑制剂
JP2013107829A (ja) * 2011-11-17 2013-06-06 Fancl Corp カレープラント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血流改善剤
JP5969308B2 (ja) * 2012-08-13 2016-08-17 株式会社ファンケル 血管内皮細胞の一酸化窒素分泌促進剤又は分泌誘導剤
JP2014047154A (ja) * 2012-08-30 2014-03-17 Fancl Corp ペルオキシナイトライト生成抑制剤
JP6317798B2 (ja) * 2016-10-19 2018-04-25 小林製薬株式会社 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の感染抑制剤
JP2022047447A (ja) * 2020-09-11 2022-03-24 公立大学法人横浜市立大学 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症の予防又は治療用の食品組成物、医薬品組成物、医薬部外品組成物、化粧品組成物、及び雑貨
KR20240045546A (ko) 2022-09-30 2024-04-08 (주)예스킨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6576A (en) * 1997-05-30 1999-06-29 Amway Corporation Method of scavenging free radicals using orange extract
JP4216013B2 (ja) * 2002-07-26 2009-01-28 株式会社ロッテ 抗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7988A (zh) * 2020-06-16 2020-08-21 北京中医药大学 一种金莲花汤抗流感病毒有效成分群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69670B2 (ja) 2011-04-13
JP2005343836A (ja) 2005-12-15
KR20110134863A (ko) 2011-12-15
KR101139376B1 (ko) 201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376B1 (ko)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및 이를 함유하는 감염 억제용품 및 음식물
KR101254168B1 (ko)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및 그것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음식물
KR101077920B1 (ko)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JP7427032B2 (ja) 黒参抽出物を含む抗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組成物、呼吸器疾患治療用組成物及び抗老化組成物
EP2941263B1 (en) A purified extract isolated from pseudolysimachion rotundum var. subintegrum containing abundant amount of active ingredient,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ion, allergy and asthma
US8470378B2 (en) Anti-influenza viral composition containing bark or stem extract of Alnus japonica
KR101534616B1 (ko) 낙지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용 조성물
KR20110110381A (ko) 흑인삼꽃봉오리 가공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35463B1 (ko) 흑삼 가공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43510B1 (ko)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21010B1 (ko) 왕호장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20428B1 (ko) 대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용 조성물
JP5303482B2 (ja) 抗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剤及びこれを吸着、含浸、添加させてなるインフルエンザ感染抑制用品
JP5343016B2 (ja) 抗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剤及びこれを吸着、含浸、添加させてなるインフルエンザ感染抑制用品
KR20140023357A (ko) 항 신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US20110195135A1 (en) Anti-avian influenza virus agent, and product containing anti-avian influenza virus agent
KR102540384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78871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4151226A1 (en) Coronavirus therapeutic agent comprising zanthoxylum piperitum leaf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20110057011A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20120087928A (ko)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KR20210139180A (ko) 초피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KR20230111743A (ko) 까마귀베개 열매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을 포함하는 면역조절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161908A (ko) 면역증진 또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10100316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426

Effective date: 20140324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426

Effective date: 2014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