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제까지 알려지지 않은 천연 재료들에 있어서 화장품으로서의 응용가능성을 연구한 결과, 혈갈 추출물이 미백, 주름개선, 자극완화효과 등과 같은 효능이 있는 것을 확인하여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은 혈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혈갈 추출물이 전체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0.001~30.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출물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효능이 미약하며, 30.0중량%를 초과하면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능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아 경제적이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혈갈 추출물이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용매로 사용하여 상온에서 냉침, 가열 여과하여 얻어진 액상물, 추가로 용매를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하여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또는 유중수(W/O)형의 기초화장료 제형과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 메이컵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새도,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펜슬류의 색조화장료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기재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혈갈 추출물 제조>
혈갈을 세절하여 뜨거운(hot) 95%(V/V) 에탄올 수용액으로 3시간동안 환류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10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였다. 감압농축물 및 동결건조물이 0.001~30.0중량% 함유되게 정제수,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혈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머쉬룸 티로시나제를 이용한 티로시나제 억제효과 측정>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혈갈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의 기능이 억제되는 정도를 보고 미백효과를 판단한 것이다.
티로시나제는 생체내에서 티로신(tyrosine)이라는 물질의 산화과정을 촉진하여 멜라닌이 생성되게 도와주는 효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효소의 기능을 억제하여 티로신이 산화되어 멜라닌이라는 흑색의 고분자를 형성하는 것을 억제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Pomerantz S. H.: J. Biochem., 24: 161 - 168, 1996)을 응용해 미백효과를 판정하였다.
코지산, 알부틴, 상백피추출물, 유용성 감초추출물 및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혈갈 추출물 파우더를 시료로 사용하여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각 시료들의 티로시나제에 대한 저해활성은 시료 20㎕를 96웰 플레이트에 넣고, 50mM 인산완충액(pH 6.5) 210㎕, 1.5 mM L-티로신 용액 50㎕를 넣은 후, 머쉬룸 티로시나제(650 units/ml, Sigma사) 20㎕를 첨가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microplate reader, ELx800, 미국)를 사용하여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티로시나제에 대한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제에 대한 저해율(%)은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IC50 값은 티로시나제 효소활성을 50% 저해하는 물질의 농도이다.
저해율(%) = [{(D-C)-(B-A)}/(D-C)]x 100
A : 시료를 넣은 웰의 반응전 흡광도
B : 시료를 넣은 웰의 반응후 흡광도
C : 시료를 넣지 않은 웰의 반응전 흡광도
D : 시료를 넣지 않은 웰의 반응후 흡광도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효과를 시험한 결과 혈갈 추출물의 IC50값은 0.01%로 나타나 티로시나제 저해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기존의 미백제인 코지산, 알부틴, 상백피 추출물 등에 비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표 1).
시료 |
머쉬룸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 (IC50) |
코지산 |
0.037% |
알부틴 |
0.4% |
혈갈 추출물 |
0.01% |
상백피 추출물 |
10% |
유용성 감초 추출물 |
0.02% |
<실시예 3: B16F1 멜라노싸이트를 이용한 세포내 티로시나제 효소 합성 억제효과 측정>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혈갈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16F1 멜라노싸이트내 티로시나제 효소 합성 억제 정도를 세포 내 티로시나제 효소 합성량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B16F1 멜라노싸이트는 마우스에서 유래한 세포주이며 티로시나제라는 효소를 합성하는 세포이다. 이 세포의 인공배양 중에 시료를 처리하였고, 세포에서 티로시나제를 분리한 후 효소합성량을 측정하여 티로시나제 효소합본 실시예에 사용된 B16F1 멜라노싸이트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기탁번호 : 6323)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B16F1 멜라노싸이트의 티로시나제 효소 합성억제효과 측정은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B16F1 멜라노싸이트를 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2x105 농도로 분주하고 세포를 부착시킨 후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농도로 시료를 처리하여 72시간동안 배양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세포를 트립신(Trypsin)-EDTA로 떼어낸 후 세포수를 측정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셀 펠릿을 PBS로 1회 세척한 후 균질화 버퍼(50mM 소듐 포스페이트, pH 6.8, 1% Triton X-100, 2 mM PMSF) 1㎖를 첨가하여 5분간 와류하여 세포를 파쇄하고, 원심분리(3,000 rpm, 10분)하여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50mM 소듐 포스페이트 완충액(pH 6.5)에 1.5mM L-티로신, 0.06mM L-DOPA, 세포 상등액을 각각 넣고, 37℃에서 30분간 배양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로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티로시나제 효소 합성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B16F1 멜라노싸이트의 티로시나제 효소 합성 억제율(%)은 수학식 2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IC50값은 티로시나제 효소 합성을 50% 저해하는 물질의 농도이다.
저해율(%) = {(A-B)/A} X 100
A: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티로시나제 효소 합성량
B: 시료를 첨가한 웰의 티로시나제 효소 합성량
B16F1 멜라노싸이트의 티로시나제 효소 합성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혈갈 추출물의 IC50값은 0.08%로 나타나 기존의 미백제인 코지산, 알부틴, 유용성 감초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등에 비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표 2).
시료 |
티로시나제 효소 합성 억제 효과 (IC50) |
코지산 |
0.1% |
알부틴 |
0.8% |
혈갈 추출물 |
0.08% |
상백피 추출물 |
0.5% |
유용성 감초 추출물 |
0.1% |
<실시예 4: B16F1 멜라노싸이트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측정>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혈갈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16F1 멜라노싸이트에 대한 멜라닌 생성 억제 정도에 따라 미백효과를 판단하였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B16F1 멜라노싸이트는 마우스에서 유래한 세포균주이며, 멜라닌이라는 흑색색소를 분비하는 세포이다. 이 세포의 인공배양 중에 시료를 처리하여 멜라닌 흑색색소가 감소하는 정도를 비교평가하였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B16F1 멜라노싸이트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기탁번호 : 6323)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B16F1 멜라노싸이트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 측정은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B16F1 멜라노싸이트를 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2 x 105 농도로 분주하고 세포를 부착시킨 후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농도로 시료를 처리하여 72시간동안 배양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세포를 트립신-EDTA로 떼어 낸 후 세포수를 측정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세포내 멜라닌의 정량은 로탄(Lotan : Cancer Res., 40: 3345-3350, 1980)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셀펠릿을 PBS로 1회 세척한 후 균질화 완충액(50 mM 소듐 포스페이트, pH 6.8, 1% Triton X-100, 2 mM PMSF) 1㎖를 첨가하여 5분간 와류하여 세포를 파쇄하였다. 원심분리(3,000 rpm, 10분)하여 얻은 세포여액에 1N NaOH(10% DMSO)를 첨가하여 추출된 멜라닌을 용해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로 405nm에서 멜라닌의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멜라닌을 정량하여 시료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B16F1 멜라노싸이트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은 수학식 3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IC50값은 멜라닌 생성을 50% 저해하는 물질의 농도이다.
저해율(%) = {(A-B)/A} X 100
A :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멜라닌 양
B : 시료를 첨가한 웰의 멜라닌 양
B16F1 멜라노싸이트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시험한 결과 혈갈 추출물의 IC50값은 0.03%로 나타나 기존의 미백제인 하이드로퀴논, 알부틴, 유용성 감초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등에 비해 유사하거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표 3).
시료 |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 (IC50) |
하이트로퀴논 |
0.03% |
알부틴 |
0.5% |
혈갈 추출물 |
0.03% |
상백피 추출물 |
5% |
유용성 감초 추출물 |
0.04% |
<실시예 5: NBT법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측정>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혈갈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실 조건에서 다른 항산화제 즉, 녹차추출물과 비타민 E를 비교샘플로 하였으며, NBT(nitro blue tetrazolium)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인간에게 분자상태의 산소는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지만, 산소의 소비로 인해 생체 내에서는 소량의 활성산소가 생성되며, 이것의 강한 산화작용으로 세포막이나 세포구성물을 파괴하게 된다. 이러한 활성산소는 피부세포의 손상과 노화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활성산소 소거작용을 가지는 항산화 활성물질들이 생체에 중요한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크산틴과 크산틴옥시다제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를 NBT법에 의해 측정하고 피검물질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과, 즉 활성산소 소거효과를 평가한다. 크산틴과 크산틴옥시다제에 의해 활성산소를 생성시킨다. 이 활성산소가 니트로블루테트라졸리움(Nitro Blue Tetrazolium;NBT)과 반응하여 이것에 의해 생성되는 청색을 파장 560nm에서 측정하는 것으로 활성산소 소거율을 측정한다.
사용한 시약으로서는
1) 0.05M Na2CO3 완충액(MW=105.99) : 탄산나트륨(화광순약) 5.25g(50mM)을 정제수에 용해한 용액과 50mM NaHCO3(MW=84.01)용액을 혼합하여 pH 10.2로 한다.
2) 3mM 크산틴 용액 : 크산틴(半井化學, MW=152.11) 45.6mg을 물에 용해하여 10ml로 한다.
3) 3mM EDTA용액 : 에틸렌디아민4초산나트륨(同仁化學, MW=60.1)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3mM로 한다.
4) 0.15% BSA용액 : BSA(Fraction V, powder,Sigma) 15mg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10ml로 한다.
5) 0.75mM NBT용액 : 니트로블루 테트라졸리움(MW=817.65, 東京化學) 61.32mg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100ml로 한다.
6) 크산틴 옥시다제(xanthine oxidase) 용액: 크산틴 옥시다제(Boehringer)를 증류수로 약 100배로 희석하고 측정조작에서 공시험의 흡광도가 0.2 ~ 0.23의 범위에 들도록 한다. 다시 말해 흡광도의 변화가 A560=0.3/20분이 되게 정제수로 희석한다.
7) 6mM CuCl2 용액 : 염화동(CuCl2-2H2O, MW=134.45)을 102.29mg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100ml로 한다.
측정방법으로서
1. 0.05M Na2CO3 ---------- ------------------------ 2.4ml
2. 3mM 크산틴 용액-------------------------------- 0.1ml
3. 3mM EDTA 용액---------------------------------- 0.1ml
4. BSA 용액--------------------------------------- 0.1ml
5. 0.72mM NBT 용액-------------------------------- 0.1ml
6. 크산틴 옥시다제 용액--------------------------- 0.1ml
7. 6mM CuCl2 용액--------------------------------- 0.1ml
① 바이엘병에 1, 2, 3, 4, 5를 가하고 여기에 시료용액 0.1ml을 첨가하고 25℃에서 10분간 방치한다.
② 6을 가하여 빨리 교반하고 25℃에서 20분간의 배양을 개시한다.
③ 그 후 7을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560nm에서의 흡광도 St를 측정한다.
④ 공시험은 시료용액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한 것을 상기와 똑같이 조작해 흡광도 Bt를 측정한다.
⑤ 역시, 시료용액의 블랭크(Blank)는 6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해 똑같이 조작하여 흡광도 Bo를 측정한다.
결과는 수학식 4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표4과 같다.
억제율(%) = {1-(St-So)/(Bt-Bo)}X 100
St : 시료용액의 효소 반응 후의 560 nm에서의 흡광도
Bt : 공시험용액의 효소 반응 후의 560 nm에서의 흡광도
So : 시료용액의 효소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 nm에서의 흡광도
Bo : 공시험용액의 효소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 nm에서의 흡광도
결과는 표 4과 같이 시험한 모든 시료에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고, 혈갈 추출물도 항산화제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녹차추출물과 비타민 E와 비슷한 항산화력을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시료명 |
항산화효과(%) |
혈갈추출물 |
92 |
녹차추출물 |
95 |
비타민 E |
90 |
<실시예 6: 콜라겐 합성 효과 측정>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혈갈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인간으로부터 직접 채취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한 인간의 섬유아세포에 처리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96공 평판배양기(96-well plate)에 2.5%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와 인간의 섬유아세포(5000세포/well)를 넣고,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다음 혈갈 추출물을 각각 0.05중량% 및 0.025중량%의 농도로 1일 처리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세포배양액을 콜라겐 단백질 측정기구(Catalog N. : MK 101, Takara Shuzo Co. Ltd, 일본)를 이용하여 콜라겐 합성량을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우선 1차 콜라겐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공 평판배양기에 채취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실시하였다. 3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96공 평판배양기에 넣고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유발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발색시키고, 1M 황산을 넣어 발색을 중지시켰다. 반응색의 색깔은 노란색을 띠며, 반응의 정도에 따라 진하기가 달라진다. 노란색을 띤 96공 평판배양기를 흡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nm에서 측정하고, 아래 수학식 5에 의해 콜라겐 합성 정도를 계산하였다. 이때 상기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콜라겐 합성 효과는 수학식 5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표 5과 같다.
콜라겐 합성효과(%) = (추출물의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대조군의 반응 흡광도)X100
결과는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혈갈 추출물은 콜라겐 생성 촉진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시료 |
콜라겐 합성효과(%) |
혈갈 추출물 |
0.05중량% |
80 |
0.025중량% |
52 |
대조군 |
0 |
<실시예 7: 기질 금속단백질 분해효소(MMP-1)의 저해활성 측정>
기질 금속단백질 분해효소(MMP-1) 저해활성은 테스트관 내에서 스크리닝타입의 생화학적 모델에서 측정하였는데 이는 정제된 콜라게나제 및 이의 기질인 플루오레세인에 접합된 콜라겐의 이용을 기초로 한다(EnzChek(상표명) 콜라게나제 키트, 몰레큘라프루브). 클로스트리디움 히스토리티컴으로부터 정제된 콜라게나제를 상기 EnzChek 콜라게나제 키트 내에 공급하였다. 이 효소는 콜라겐 타입 Ⅰ 및 Ⅳ에 대한 이중 작용성을 보유하고 있다. 돼지 피부로부터 정제하고 플로오레세인에 접합된 DQ-콜라겐과 0.05M 트리스-HCl, 0.15M, NaCl, 5mM CaCl2, 및 0.02mM 나트륨 아지드(pH 7.6)로 이루어지는 반응 완충액은 EnzChek 콜라게나제 키트(몰레큘라프로브스)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혈갈 추출물은 상기 반응 완충액 내에 용해시켰다. 이는 4;2;0.4;0.2;0.04%(v/v)에서 테스트하였다. 시료의 희석액은 25㎍/㎖의 DQ-콜라겐 및 0.1 U/ml의 콜라게나제와 함께 실온에서 15분, 45분, 120분 동안 항온처리하였다.
각각의 실험조건에서 콜라게나제와 DQ-콜라겐 혼합물에 상응하는 대조용 혼합물(control)도 동일하게 항온처리하였다. 또한 각각의 실험조건에서 Blank, 이하 '효소 비함유 blank'라 칭하는 샘플은 DQ-콜라겐의 존재 및 콜라게나제의 부재하에서 항온처리하였다. 15분, 45분, 120분 경과 후 DQ-콜라겐의 분해에 상응하는 신호는 형광측정기(여기;485 nm, 방출;505 nm)로 측정하였다. '효소 비함유 blank' 형광값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샘플의 형광값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샘플당 형광 단위 및 대조군에 대한 변이율(%)로 나타냈다. 상기 결과는 플루오레세인 단위/샘플로 나타내었다. 모든 테스트에서 대조 저해제로서 비특이성 금속 킬레이터 억제제인 1,10-페난트롤린을 사용하였다. 콜라게나제 0.1U/ml에 저해제는 0.2mM의 농도가 적당하다. 결론적으로 선택된 실험 조건하에서 0.04 내지 4%(v/v)에서 테스트된 혈갈 추출물은 투여량 의존성 항콜라게나제 활성을 보유하였다. 결과는 표 6에 나타냈으며 혈갈 추출물은 0.4% 처리시 클로스트리디움 콜라게나제의 콜라겐 분해활성의 70%를 억제하였으며 이는 2mM 1,10-페난트롤린의 저해효과와 유사하였다.
|
0.1 U콜라게나제 |
2 mM1,10-페난트롤린 |
혈갈 추출물(부피%) |
4 |
2 |
0.4 |
0.2 |
0.04 |
형광값 |
220.1 |
62.17 |
13 |
41 |
69 |
85 |
98 |
효소활성(%) |
100 |
28 |
5 |
18 |
31 |
38 |
44 |
저해율(%) |
- |
72 |
95 |
82 |
69 |
62 |
56 |
<실시예 8: 자외선 조사 후 혈갈 추출물에 의한 MMP-1 발현억제 평가>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혈갈 추출물의 UV 조사 및 시료 첨가 후 MMP-1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실시하였다.
UV 챔버를 이용하여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 UVA를 5J/㎠의 에너지로 조사한다. 자외선 조사량과 배양시간은 예비실험을 통하여 섬유아세포에서 MMP 발현량이 최대가 되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은박지로 싸서 UVA의 환경에 같은 시간 유지하였다. UVA 방출량은 UV 라디오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UVA가 조사되는 동안의 세포는 이전에 분주된 배지 그대로이고 UVA를 조사한 후 샘플이 들어간 배지로 교환하여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회수하여 96-웰에 코팅한다. 일차항체 (MMP-1 (Ab-5)단일클론항체)를 처리하고 37℃에서 60분 반응시킨다. 이차항체인 항마우스 IgG(Whole mouse, 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d)를 다시 60분 정도 반응시킨 후, 알카린 포스파타제 기질 용액(1㎎/㎖ p-nitrophenyl phosphate in diethanolamine 완충용액)을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대조군으로는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사용한다.
자외선 조사시에 발현이 유도되는 MMP-1에 대하여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혈갈 추출물은 90% 이상 억제율을 보였으며 이는 대조군으로 사용한 레티놀의 억제율과 유사한 결과이다.
시험군 |
MMP-1 발현 억제율(%) |
대조군 |
- |
혈갈 추출물 |
94 |
레티놀 |
96 |
<실시예 9: 염증유발관련 효소(hyaluronidase) 활성 억제효과 측정>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혈갈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염증유발관련 효소인 히아루로니디아제의 효소활성을 측정하여 판단한 것이다.
히아루로니디아제 (hyaluronidase)는 히아루론산을 가수분해하는 효소로 염증을 유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여 항염증효과를 측정하는 방법(Kakegawa Y., Japanese J. of Inflammantion, 4:437-438, 1984)을 응용해 항염증효과를 판정하였다.
컴프리, 시소, 삼백초, 유용성 감초 추출물, 혈갈 추출물을 시료로 사용하여 히아루로니디아제 활성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각 시료들의 히아루로니디아제에 대한 저해활성은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시료 100㎕와 히아루로니디아제 용액(type Ⅳ-S, Sigma사, 400 U/ml) 50㎕를 넣고 37℃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효소활성화용액(compound 48/80 CaCl2ㆍ2H2O, Sigma 사, 0.1 mg/ml)을 100㎕를 첨가하고 다시 37℃에서 20분간 반응하였다. 히아루론산 (hyaluronic acid)용액(0.4mg/ml)을 250㎕ 넣고 37℃에서 40분간 반응시키고, 0.4 N NaOH 100㎕를 넣어 반응을 종결시켰다. 포타슘보레이트 용액을 100㎕를 첨가하여 95℃에서 3분간 반응시키고 냉각시킨 다음 ρ-디메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 용액을 3 ml 넣고 다시 20분간 37℃에서 반응시켜 발색시켰다. 58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히아루로니디아제에 대한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히아루로니디아제에 대한 저해율 (%)은 수학식 6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IC50값은 히아루로니디아제 효소 활성을 50% 저해하는 물질의 농도이다.
저해율(%) = [(A-B)/A] x 100
A :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효소활성
B : 시료를 첨가한 웰의 효소 활성
히아루로니디이제 효소 활성 억제 효과를 시험한 결과 혈갈 추출물의 IC50값은 0.05%로 나타나 히아루로니디아제 저해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기존의 항염증제인 유용성 감초 추출물, 컴프리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시소 추출물 등에 비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표 8).
시료 |
히아루로니디아제 활성 억제 효과 (IC50) |
컴프리 추출물 |
0.22% |
시소 추출물 |
0.58% |
유용성 감초 추출물 |
0.08% |
삼백초 추출물 |
0.3% |
혈갈 추출물 |
0.05% |
<실시예 10: 세포 배양기술을 이용한 자극완화 효과 평가>
본 실시예는 실시에 1에서 수득한 혈갈 추출물의 자극완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세포배양 기술을 이용하여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물질인 소듐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SLS)에 의한 세포사멸을 저해시키는 정도로 자극완화 효과를 평가한 것이다.
SLS는 화장품 기재의 피부 자극 평가의 기준이 되는 물질로 세포막에 결합되어 세포대사 억제와 세포막을 파괴하여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물질이다.
본 실시예는 사람 섬유아세포에 SLS와 혈갈 추출물을 동시에 첨가하였을 때 SLS에 의한 세포사멸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평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Hs68 섬유아세포는 사람의 피부 진피세포로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기탁번호 1635)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세포배양기술을 이용한 자극완화 평가 시험은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사람 유래의 섬유아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1x105농도로 분주하고,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0.01% SLS 단독, 0.01% SLS와 0.01중량% 혈갈 추출물을 동시에 처리하고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MTT(Sigma사) 시약을 첨가하고 4시간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1N NaOH/이소프로판올용액을 첨가하여 20분간 교반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로 56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혈갈 추출물이 SLS에 의한 세포사멸을 저해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혈갈 추출물은 SLS에 의해서 유발되는 세포사멸을 억제시킴으로서 화장료 기재와 함께 처방하였을 때 화장료 기재로 일어날 수 있는 피부 자극을 감소시키는 자극완화 물질임이 밝혀졌다(표 9).
시 료 |
섬유아세포 생존율(%) |
0.01% SLS |
25 |
0.01% SLS + 0.01중량% 혈갈 추출물 |
55 |
<실험예 1>
본 실험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혈갈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를 제조하여(실시예 11 내지 13) 사람을 대상으로 피부 미백효과를 비교예 1과 비교실험을 행하여 평가하였다.
비교실험에 사용된 화장료는 크림형태이고, 그 조성은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다. 우선 표 10에 기록되어 있는 나)상을 가열하여 70℃에 보존한다. 이것에 가)상을 가하여 예비유화 후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하고 다음에 서서히 냉각하여 크림 (실시예 11 내지 13, 비교예 1)을 제조하였다. 실험자 (20세-35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얼굴 오른쪽 부위에는 실시예 11 내지 13에서 제조된 크림을, 얼굴 왼쪽 부위에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크림을 각각 1일 2회씩 연속 2개월간 도포하였다. 시험완료 후 얼굴 좌우 양편의 도포 부위 피부를 화상분석기 및 색차계로 얼굴색을 비교하여 가장 어두운색을 5, 중간색을 3, 가장 환한 색을 1로 정하고 그 중간정도를 어림잡아 평가하였다. 표 11은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크림을 사용한 실험자의 안면 피부색을 비교예 1로 만든 크림을 사용한 실험자의 안면 피부색과 비교한 것이다.
표 1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혈갈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을 도포한 실험자의 안면 피부에서 미백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원료 |
실시예11 |
실시예12 |
실시예13 |
비교예1 |
가 |
스테아릴알콜 |
8 |
8 |
8 |
8 |
스테아린산 |
2 |
2 |
2 |
2 |
스테아린산콜레스테롤 |
2 |
2 |
2 |
2 |
스쿠알란 |
4 |
4 |
4 |
4 |
2-옥틸도데실알콜 |
6 |
6 |
6 |
6 |
폴리옥시에틸렌(25몰부가)알콜에스테르 |
3 |
3 |
3 |
3 |
글리세릴모노스테아린산에스테르 |
2 |
2 |
2 |
2 |
나 |
혈갈추출물 |
10 |
1 |
0.1 |
- |
프로필렌글리콜 |
5 |
5 |
5 |
5 |
정제수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주) 단위 : 중량%
사용제품 |
실시예 13 |
비교예 1 |
실험 인원 번호 |
오른쪽 피부색 |
왼쪽 피부색 |
1 |
1.5 |
2 |
2 |
2 |
2.5 |
3 |
1.5 |
2 |
4 |
2 |
2.5 |
5 |
3 |
3 |
6 |
1.5 |
2 |
7 |
3 |
3.5 |
8 |
2 |
2 |
9 |
1.5 |
2 |
10 |
1.5 |
2 |
11 |
2.5 |
3 |
12 |
1.5 |
2 |
13 |
1.5 |
2.5 |
14 |
2 |
2 |
15 |
2 |
2.5 |
16 |
1.5 |
2 |
17 |
2 |
3 |
18 |
2.5 |
3.5 |
19 |
1.5 |
2 |
20 |
1.5 |
2.5 |
<실험예 2>
본 실험예는 상기 실시예 11 내지 1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크림형태 화장료를 사람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피부 잔주름 개선효과를 평가하였다.
비교실험에 사용된 화장료는 크림형태이고, 그 조성은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다. 우선 표 10에 기록되어 있는 나)상을 가열하여 70℃에 보존한다. 이것에 가)상을 가하여 예비유화 후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하고 다음에 서서히 냉각하여 크림(실시예 11 내지 13 및 비교예 1)을 제조한다. 실험자(20세-35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얼굴 오른쪽부위에는 실시예 11 내지 13에서 제조된 크림을 얼굴 왼쪽부위에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크림을 각각 1일 2회씩 연속 2개월간 도포하였다.
실험완료 후 피부 잔주름 완화 효과는 제품 사용 전과 2개월간 사용 후에 안면 눈꼬리 주위의 주름을 실리콘 수지 복사물(레플리카)로 채취하고, 이것을 피부 미세 주름 장치와 피부영상 분석기로 눈가 잔주름의 상태를 비교한다.
표 12는 실시예 11 내지 13에서 제조된 크림을 사용한 실험자의 눈가 평균 잔주름 깊이 및 주름 감소율을 비교예 1의 크림을 사용한 실험자와 비교한 것이다. 표 1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혈갈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을 도포한 실험자의 안면 눈주위 피부에서 피부 잔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
실시예 12 |
비교예 1 |
사용 전 |
2개월 후 |
사용 전 |
2개월 후 |
평균 잔주름 깊이(AU) |
0.201 |
0.18 |
0.199 |
0.195 |
사용전 대비 주름 감소율(%) |
10.45% |
2.01% |
n=20, p<0.01
<실험예 3>
본 실험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혈갈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의 자극 완화 효과를 인체 첩포 실험으로 평가한 것이다.
본 평가는 실시예 10에서 얻어진 결과를 인체에 직접 적용하여 얻어진 평가의 결과이다. 일반적 화장품 처방(크림, 로션, 스킨, 에센스)에 자극을 일으키는 SLS와 실시예 11 내지 13에서 제조된 제품을 혼용하여 24시간, 48시간, 72시간동안 첩포하여 자극 유발지수를 바탕으로 자극완화 효과를 평가한 것이다.
20-50세의 건강한 남녀 50명의 팔 상박부위에 FINN CHAMBER (FINLAND)를 이용하여 각각의 제품을 0.2mg씩 첩포하고, 24시간 후 급성 자극 지수를 평가하였다. 평가 후 재차 동일한 부위에 동량의 제품을 첩포하고 48시간 및 72시간 후의 지연성 자극 지수를 평가하였다.
시험 결과 혈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품을 첩포하고 24시간, 48시간, 72시간 경과 후에도 아무런 피부발적을 일으키지 않았다.
이 평가의 결과는 혈갈 추출물이 화장료에 혼용되었을 때 자극을 유발시키는 기재(계면 활성제, 향, 알콜)에 의한 피부 자극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이하에 혈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실시예로 나타내었다. 하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도 미백효과, 자극완화효과 등 피부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4: 혈갈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수 제조>
95% 에탄올 8g에 폴리피로리돈 0.05g, 올리엘알콜 0.1g,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이트 0.2g, 향료 0.2g,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에스테르 0.1g, 소량의 산화방지제, 소량의 색소를 혼합용해 혼합액을 제조하고,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혈갈 추출물 0.05g, 글리세린 5g을 정제수 85.33g에 용해한 것에 상기 혼합액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피부개선 효과가 있는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혈갈 추출물을 함유한 유액의 제조>
세틸 알콜(setyl alclcohol) 1.2g, 스쿠알란 10g, 바세린 2g,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0.2g, 글리세린모노에스테아리에드 1g, 폴리옥시에틸렌(20 몰부가)모노올레이트 1 g 및 향료 0.1g을 70℃에서 가열혼합, 용해하고,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혈갈 추출물 0.05g, 디프로필렌글리콜 5g, 폴리에틸렌글리콜1500 2g, 트리에탄올아민 0.2g, 정제수 76.2g을 75℃로 가열하여 가열용해시켰다. 상기 양자를 혼합하여 유화시킨 후 냉각하여 수/유중계형의 피부개선효과가 있는 유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혈갈 추출물을 함유한 미용액의 제조>
95% 에틸알콜 5g에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올레이트 1.2g, 키툴로오즈 0.3 g, 히야론산나트륨 0.2g, 비타민 E-아세테이트 0.2g, 감초산 나트륨 0.2g,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에스테르 0.1g,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혈갈 추출물 1g 및 적량의 색소를 혼합하여 피부개선효과가 있는 미용액을 제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