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2941A - 변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변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2941A
KR20050112941A KR1020040038397A KR20040038397A KR20050112941A KR 20050112941 A KR20050112941 A KR 20050112941A KR 1020040038397 A KR1020040038397 A KR 1020040038397A KR 20040038397 A KR20040038397 A KR 20040038397A KR 20050112941 A KR20050112941 A KR 20050112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onstipation
extract
sorbitol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2678B1 (ko
Inventor
박하림
권승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웰
Priority to KR1020040038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678B1/ko
Publication of KR20050112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2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6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16Disaccharides, e.g. lactose, lact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47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Neuro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락추로스, 솔비톨 및 식물 혼합 엑기스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인 자극성 하제나 마그네슘 등의 다른 이온성 삼투압성 하제를 변비약으로서 장기 복용할 때에 생기는 내성 등의 부작용에 비하여 보다 안전하고, 체질에 관계없이 효능이 있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게 되며, 이를 구성하는 락추로스, 솔비톨 및 식물 혼합 엑기스의 최적의 함량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변비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Constipation Improvement}
본 발명은 변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락추로스, 솔비톨 및 식물 혼합 엑기스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과 같이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쉽게 생길 수 있는 질환인 변비는 일반적으로 개인의 식이습관과 행동양식에 많이 달려 있으나, 생활환경의 변화로 패스트푸드(fast food)와 같은 간편한 식이를 좋아하는 현대인의 식습관과 운동부족으로 그 빈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변비 치료를 위한 변비 완화제로서는 크게 ① 부피 형성 완화제, ② 삼투성 완화제, ③ 자극성 완화제, 및 ④ 기타 완화제로 나눌 수 있다.
먼저, 부피 형성 완화제로서는, 기울을 제거하지 않은 곡물류, 밀기울, 야채, 과일 등이 이에 해당하며, 이는 섬유성 다당류, 기질 다당류, 리그닌, 큐틴, 왁스, 및 약간의 당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식이성 섬유는 대장 내에서 물, 이온과 결합하여 변을 연하게 하고, 부피를 크게 하며, 대장 세균의 성장을 도와서 변괴를 크게 한다. 음식 섬유의 일부 성분은 대장 내 세균에 의해 대사물로 소화되며 이 대사물이 삼투압을 증가시켜 완화작용을 한다.
또한, 삼투성 완화제는 대장 내에서 흡수가 잘 되지 않고 삼투성 활성 물질로 작용하여 대장내 수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각종 마그네슘 염, 나트륨 또는 칼륨 염, 락추로스, 글리세린, 솔비톨 등이 있다. 마그네슘과 인산 이온은 장에서 흡수되지 않고 삼투 작용에 의해 완화작용이 있으나, 마그네슘 제재는 콜레시스토키닌의 분비에 의한 완화 작용도 제기된다. 그러나, 마그네슘 염을 과량 복용하면 고마그네슘혈증을 일으킬 수 있어, 신기능 부전 환자와 소아는 주의를 요한다.
한편, 자극성 완화제는 대장 내에서 수분 및 전해질의 흡수를 억제하고 장운동을 촉진하여 완화 작용을 나타낸다. 다이페닐메탄 유도체, 안트라퀴논 제제, 계면 활성제인 파마산 기름 등이 있다. 그런데 이들은 장기간 사용시 수분과 전해질의 손실을 가져오고, 2차성 알도스테론증, 단백 소실 위장염, 척추의 골연화증 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위험이 있다.
마지막으로, 기타 완화제로서는 미네랄 오일 등의 대변 윤활제와 관장 및 직장 삽입 약제 등이 있다.
변비로 고생하는 사람들 중에는 습관적으로 상술한 자극성 하제나 삼투압성 하제를 복용하는 사람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하제 중에는 장기간 연용하면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이 있다. 특히 자극성 하제는 장기간 복용을 계속하면 오히려 변비의 상태가 심해져버린다. 자극성 하제는 장을 자극해서 연동운동을 일으키고 점액의 분비를 항진시켜 변이 나오게 하지만 장기간 연용하면 장의 Auerbach 신경총이 파괴되어버리기 때문이다. 이런 상태가 되면 하제의 양을 늘리지 않으면 변이 나오지 않게 되고 변비도 점점 심해지는 악순환에 빠진다. 때로는 완전히 장의 마비가 오기도 한다.
한편, 한방에선 장의 열이 많거나, 기가 약해 장 운동성이 떨어지거나, 장 속 진액이 말라붙으면 변비가 생기며, 체질에 따라 변비의 원인이 다르다고 본다.
그리하여, 태음인 중 열이 많은 사람은 칡차, 맥문동차를, 태음인 중 습이 많은 사람은 율무차, 설록차를, 소음인은 생강과 대추를 넣어 달인 차나 당귀자차, 천궁차를, 태양-소양인은 산수유차, 구기자차, 당근즙, 오이 즙을 처방하는 등 체질에 따라 처방을 달리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자극성 하제나 마그네슘 이온 등의 삼투압성 하제는 장기 복용시 부작용 등의 문제가 있으며, 또한 한방을 따라 변비를 치료하려면 변비 환자가 자신의 체질을 알고 처방을 받아야 하는 등 변비 치료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자극성 하제나 마그네슘 등의 다른 이온성 삼투압성 하제를 변비약으로서 장기 복용할 때에 생기는 내성 등의 부작용을 최대한 줄이면서, 체질에 관계없이 효능이 뛰어난 변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락추로스 10-50g, 솔비톨 10-40g 및 식물 혼합 엑기스 2-30g을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비 개선용 조성물은 식이 섬유를 5-30g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식물 혼합 엑기스는 다시마 9.10%, 함초 9.10%, 알로에 15%, 포공영 9.10%, 결명자 15.10%, 당귀 9.10%, 숙지황 9.10%, 건지황 9.10%, 황금 6.10%, 지각 3.10% 및 감초 6.10%의 배합비를 가지는 혼합물을 추출, 농축한 것이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혼합 엑기스는 다시마 13.6%, 결명자 22.8%, 당귀 13.6%, 숙지황 13.6%, 건지황 13.6%, 황금 9.1%, 지각 4.6% 및 감초 9.1%의 배합비를 가지는 혼합물을 추출, 농축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은 추출된 후 50brix로 농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타블렛, 캡슐, 알약, 분말, 미립자, 엘릭시르, 팅크제, 현탁액, 또는 시럽이나 유상액의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적당량의 정제수를 첨가한 액상의 형태이다.
'락추로스(lactulose)'는 비피더스 성장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갈락토스와 프럭토스로 구성된 이당류이다. 락추로스는 위장에서 소화되지 않을 뿐 아니라 대장으로 이동하여 비피도박테리움의 증식을 위해 사용되어 진다. 비피도락테리움에 의해 이용되어 증식에 사용된 락추로스는 유기산으로 대사되고 장내 pH를 감소시킨다. 장내 pH의 감소는 장기능을 활성화시키므로 만성 변비의 치료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락추로스는 유산균 증식에 의한 정장, 분해 산물(유기산)에 의한 장의 연동 운동의 촉진, 삼투압 증가에 따른 배변 촉진의 작용을 한다.
그리하여 현재 락추로스는 간장성 뇌질환과 만성적인 변비의 치료를 위한 제약 품목과 유아식, 기능성 식품 등과 같은 다양한 제품으로 응용되고 있다.
'솔비톨(sorbitol)'은 포도당을 환원하여 제조되는 물질로서, D-sorbitol 또는 D-glucitol이라고 불려지는 6가의 당알콜이다. 솔비톨은 자연적으로 체리, 자두, 배, 사과, 해초 및 조류에 존재한다. 솔비톨의 단맛은 설탕의 60-70%이고, 비교적 값이 싸나 설탕보다 감미가 빨리 없어진다. 솔비톨은 안전한 식품 소재로서 위암이나 대장암 등의 원인이 되지 않으며, FDA의 권고나 제한에 있어서 주의 사항이 없으며, 전세계적으로도 생체 위험성이 알려져 있지 않다.
솔비톨을 과량 섭취하면 설사가 유발되는데 그 이유는, 당알콜을 체내에서 분해하는 효소가 존재하지 않아 소화 흡수가 안되기 때문에 칼로리가 낮아지고, 일시적으로 장내에 솔비톨의 농도가 높아져 삼투압 작용으로 인해 장내로 물의 이동을 가중시켜 변을 무르게 하고 설사와 같은 변통을 유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솔비톨은 장내 삼투압에 의한 배변 촉진을 담당하며, 다른 삼투압성 하제에 비해 전해질 불균형 유발이 적으며, 위장관 통과 시간이 짧아 가장 성능이 우수하며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솔비톨은 미국이나 국내에서 식품에 사용함에 따라 제한량은 정해져 있지 않지만, 당알콜을 제조 판매하는 회사는 주의 사항과 추천 사용량에 대하여 언급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하루 권장하는 한계 섭취량은 어른의 경우 50g/day, 어린이의 경우 30g/day, 일시에 섭취하는 경우에는 어른의 경우 20g, 어린이는 10g 정도이며, 이러한 제한량은 사람의 생리적인 특성에 따라 다르다.
본 발명에서 "식물 혼합 엑기스"라고 함은, 다시마, 함초, 알로에, 포공영, 결명자, 당귀, 숙지황, 건지황, 황금, 지각 및 감초의 혼합물이나 다시마, 결명자, 당귀, 숙지황, 건지황, 황금, 지각 및 감초의 혼합물을 추출후 농축한 것을 말한다. 이들 각각의 구성 성분은 단독으로도 몸에 좋은 성분이나, 본 발명에 따라 이들을 혼합하여 락추로스 및 솔비톨과 함께 변비 치료에 이용시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물 혼합 엑기스의 각각의 구성 성분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다시마'는 다시마과에 속하며 미역보다 큰 해조류의 일종으로 한자어로는 곤포(昆布)라고 하는데, 양질의 식이 섬유인 알긴산과 칼슘, 칼륨, 마그네슘 등 미네랄이 풍부한 자연 식품이다. 알긴산 식이 섬유는 수분을 함유하는 능력이 뛰어나 한번 흡수한 수분은 결코 내놓지 않는다. 이러한 성질을 가지는 알긴산은 수분을 함유하면 부피가 크게 팽창하여 대변의 양을 늘려주고 부드럽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함초'는 바닷물 속에 녹아 있는 소금을 비롯해 칼슘, 마그네슘, 칼륨, 철, 인 등 갖가지 미네랄을 흡수하면서 자라는 생리를 가진다. 함초에 들어있는 칼슘은 우유보다 7배가 많고 철은 김이나 다시마의 40배나 되며 칼륨은 굴보다 3배가 많다. 특히 함초의 성분 중 50% 가량이 양질의 식이 섬유이다.
'결명자'는 결명자(Cassia tora L.) 또는 초결명자(Cassia Obtusifolia L.)의 종자이며, 혈압강하작용과 이뇨작용이 있고, 대변을 잘 보게 하며 자궁수축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피부진균 억제작용이 있고, 포도상구균, 디프테리아균, 대장균, 티푸스균 등의 활성을 억제하며, 콜레스테롤 강하로 죽상동맥경화 형성에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
'당귀'는 미나리과에 속하며, 뿌리에 휘발성 정유가 함유되어 있는데, 주성분은 부틸리덴프탈리드, n-발레로페논-o-카르복시산이며, 지방유, 비타민류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열매에는 베르캅텐, 정유가 약 2% 들어 있다. 자궁 흥분과 억제 작용을 조절하고, 단백질 합성을 촉진시키며, 비타민E의 결핍을 방지하므로 유산을 막는다. 또한, 관상 동맥의 혈류량을 촉진시키고, 적혈구 생성을 왕성하게 한다.
한방에서는 지황(Rehmannia glutinosa var. Purpurea)의 뿌리 중 생것을 생지황, 건조시킨 것을 건지황, 쪄서 말린 것을 숙지황이라 한다.
'숙지황'은 지황의 뿌리를 포제 가공한 것으로, β-sitosterol, campesterol, rehmaninm alkaloid, 지방산 등이 주요 성분이다. 효능 및 효과로는 혈당을 내리고, 순환기 계통에 작용하여 강심 및 이뇨작용을 보이며, 간 기능 보호 작용을 한다. 또한 항균 작용을 나타내며, 자양강장, 혈당강하, 강심, 이뇨, 항히스타민 작용을 한다.
또한, '생지황'은 허약 체질, 토혈, 코피, 자궁 출혈, 생리 불순, 변비에 사용하고, '건지황'은 열병 후에 생기는 갈증과 장기 내부의 열로 인한 소갈증에 효과가 있으며 토혈과 코피를 멈추게 한다.
'황금(Skullcap)'은 속썩은풀(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의 주피를 벗긴 뿌리로, 뿌리가 노란 색이어서 황금이라 한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이뇨, 소염성 해열, 충혈성 염증에 쓰고, 혈압 동맥 경화증에도 쓴다. 또한, 농혈, 복통, 오림, 악창, 해열, 소염, 치질, 안태, 지혈, 황달, 단독, 구토, 지사제 등에 약재로 쓰고 목욕탕의 향료로 쓰인다.
'지각'은 광귤 나무(Citrus aurantium)의 채 익지 않은 열매를 둘로 쪼갠 것으로, 기(氣)를 잘 돌아가게 하고, 가슴이 답답한 증세를 낫게 하며, 담을 삭이고, 음식의 소화를 돕는다. 또한 폐기를 잘 통하게 한다.
'감초'는 콩과의 유럽 감초, 만주 감초 및 동속 식물의 뿌리와 주출경을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으로, 해독작용, 진경작용, 위산분비 억제 작용, 가담 작용 및 항염 작용 등을 가진다.
'포공영'은 민들레의 전초로서 맛은 쓰고 달며 간과 위에 작용한다. 해열 작용과 해독 작용, 소염 작용이 있어 열독으로 인한 각종 외과 질환에 많이 쓰이는 약이다. 열독으로 인하여 생긴 종창, 유방염, 인후염, 맹장염, 폐농양 등에 주로 쓴다. 급성간염, 황달, 위염이나 위궤양, 소화불량, 변비 등에도 효과가 빠르다.
'알로에'는 생잎에 알로인(안트론 배당체)이나 알로에에모딘, 알로에틴, 알로미틴 등을 함유하고 있다. 알로인은 대장을 자극해 대장 운동을 원활하게 해서 변비에 좋다. 알로에에모딘은 완화작용이 있으나 자궁의 수축을 촉진하는 작용도 하기 때문에 임산부가 날마다 먹는 것은 좋지 않다. 종류가 300여종에 이르나 이 중 약으로 쓰이는 것은 알로에아보레센스, 알로에베라, 알로에사포나리아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 1 공정 : 식물 혼합 엑기스의 제조
다시마, 함초, 알로에, 포공영, 결명자, 당귀, 숙지황, 건지황, 황금, 지각 및 감초를 믹서 등으로 충분히 교반 혼합한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혼합물을 추출한 후 50brix로 농축한다.
제 2 공정 : 원료 연합
제 1 공정에서 얻은 식물 혼합 엑기스를 식이섬유, 락추로스, 솔비톨, 정제수 등과 함께 연합기 등에 넣고 충분히 교반 연합한다.
제 3 공정 : 충전 포장
제 2 공정에서 얻어진 조성물을 충전장치 등으로 보내어 충전 포장한다. 충전 포장재는 알루미늄 중층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충전량은 120 ± 10g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물 혼합 엑기스를 함유하는 변비 개선 조성물은 사용되는 원료가 천연식물 추출물 또는 식품첨가물이므로 섭취 또는 복용 시에도 전혀 해가 없고 안전하다.
본 발명의 천연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변비 개선 조성물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식물 혼합 엑기스의 제조
다시마 9.10%, 함초 9.10%, 알로에 15%, 포공영 9.10%, 결명자 15.10%, 당귀 9.10%, 숙지황 9.10%, 건지황 9.10%, 황금 6.10%, 지각 3.10% 및 감초 6.10%의 배합비를 가지는 혼합물을 추출, 농축하여 식물 엑기스를 제조하였다.
[표1] 식물 혼합 엑기스의 농축전 배합비(%)
다시마 9.10
함초 9.10
알로에 15
포공영 9.10
결명자 15.10
당귀 9.10
숙지황 9.10
건지황 9.10
황금 6.10
지각 3.10
감초 6.10
합 계 100.00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변비 개선 조성물의 제조를 위하여는 상기 식물 혼합 엑기스의 조성을 다시마 13.6%, 결명자 22.8%, 당귀 13.6%, 숙지황 13.6%, 건지황 13.6%, 황금 9.1%, 지각 4.6% 및 감초 9.1%의 배합비를 가지는 혼합물을 추출, 농축한 것으로 이용한다.
당귀, 숙지황은 성질이 따듯하고, 혈액을 보충하여 건조성 변비를 치료하며, 건지황과 황금 대황은 성질이 차가워서 대장에 열을 제거하여 열성 변비를 치료한다. 지각은 장내 가스의 정체를 제거하여 장 운동을 돕는다.
(실시예 2) 변비 개선 조성물의 제조
락추로스10-50g, 솔비톨10-40g 및 실시예1의 식물 혼합 엑기스 2-30g을 연합기에 넣고, 정제수를 가하여 충분히 교반 연합하여, 액상의 본 발명에 따른 변비 개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2] 1회 액상 복용량의 배합 중량
배합 중량(g)
식이 섬유 5-30
락추로스 10-50
솔비톨 10-40
식물 혼합 엑기스(50brix까지 농축후) 2-30
정제수 적당량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타블렛, 캡슐, 알약, 분말, 미립자, 엘릭시르, 팅크제, 현탁액, 시럽 및 유상액의 형태로 구강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비 개선 조성물은 보통은 섭취 후 2-10시간 사이에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변비 개선 조성물에, 복용시 기호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각종과즙, 각종향 등을 더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비 개선 조성물의 효과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장 통과 시간에 대한 락추로스, 솔비톨 각각 및 락추로스, 솔비톨, 본 발명의 식물 혼합 엑기스를 함께 복용한 효과를 특정화 및 비교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장 통과 시간은 래트의 변통에 대한 측정 수단으로서 연구되었다. 락추로스의 경구 투여량 10 내지 50(g/성인 남녀 평균 몸무게)의 범위에 걸쳐서 변량이 증가되고, 솔비톨의 경구 투여 경우 10 내지 40(g/성인 남녀 평균 몸무게)의 범위에 걸쳐 변량이 증가되며, 락추로스 10 내지 50(g/성인 남녀 평균 몸무게), 솔비톨 10 내지 40(g/성인 남녀 평균 몸무게), 및 본 발명의 식물 혼합 엑기스 2 내지 30(g/성인 남녀 평균 몸무게)의 경구 투여시 대장 통과가 상당히 촉진됨이 관찰되었다.
결과에 의하면, 락추로스 또는 솔비톨 단독으로 치료한 래트의 경우보다 락추로스, 솔비톨과 식물 혼합 엑기스와의 혼합물로 치료한 래트의 경우에 장 운동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인 자극성 하제나 마그네슘 등의 다른 이온성 삼투압성 하제를 변비약으로서 장기 복용할 때에 내성이 생기는 등의 부작용을 최대한 줄이고, 체질에 관계없이 효능이 뛰어난 변비 개선용 조성물로서 락추로스, 솔비톨 및 식물 혼합 엑기스의 함량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락추로스10-50g, 솔비톨10-40g 및 식물 혼합 엑기스2-30g을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식이 섬유를 5-30g 더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혼합 엑기스는 다시마 9.10%, 함초 9.10%, 알로에 15%, 포공영 9.10%, 결명자 15.10%, 당귀 9.10%, 숙지황 9.10%, 건지황 9.10%, 황금 6.10%, 지각 3.10% 및 감초 6.10%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추출, 농축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혼합 엑기스는 다시마 13.6%, 결명자 22.8%, 당귀 13.6%, 숙지황 13.6%, 건지황 13.6%, 황금 9.1%, 지각 4.6% 및 감초 9.1%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추출, 농축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50brix로 농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타블렛, 캡슐, 알약, 분말, 미립자, 엘릭시르, 팅크제, 현탁액, 또는 시럽이나 유상액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수를 첨가한 액상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KR1020040038397A 2004-05-28 2004-05-28 변비 개선용 조성물 KR100702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397A KR100702678B1 (ko) 2004-05-28 2004-05-28 변비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397A KR100702678B1 (ko) 2004-05-28 2004-05-28 변비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941A true KR20050112941A (ko) 2005-12-01
KR100702678B1 KR100702678B1 (ko) 2007-04-02

Family

ID=37287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397A KR100702678B1 (ko) 2004-05-28 2004-05-28 변비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6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558B1 (ko) * 2016-07-29 2016-12-19 천지인초 주식회사 천연재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변비 및 숙변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16513B1 (ko) * 2022-01-26 2022-07-05 김민정 반려동물 변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73497B (it) * 1984-03-28 1987-06-24 Farmaco Italiano Padil Srl Composizioni a base di fibra vegetale e alttulosio
KR20010019219A (ko) * 1999-08-25 2001-03-15 지용우 다시마를 주성분으로 하는 액상 식이영양식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558B1 (ko) * 2016-07-29 2016-12-19 천지인초 주식회사 천연재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변비 및 숙변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8021891A1 (ko) * 2016-07-29 2018-02-01 천지인초 주식회사 천연재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변비 및 숙변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16513B1 (ko) * 2022-01-26 2022-07-05 김민정 반려동물 변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2678B1 (ko) 2007-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11869B (zh) 红枣生姜浓浆
CN104799146A (zh) 一种改善亚健康的功能性营养食品组合及其制备方法
CN101253903B (zh) 一种具有减肥功能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CN106215032A (zh) 一种清肠瘦身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CN105232907A (zh) 一种补肾壮阳饮料及其制备方法
CN115317574A (zh) 一种用于治疗高尿酸血症的组合物及其应用
CN104958646A (zh) 一种润肠通便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293645B1 (ko) 신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07050349A (zh) 一种排毒活血的膏滋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702678B1 (ko) 변비 개선용 조성물
DE202015002932U1 (de) Wu Dan-Tablette zur Senkung des Blutfettes
CN110574916A (zh) 一种具有减脂和通便功效的营养代餐产品及其制备方法
CN114651968A (zh) 一种宿醉解酒组合物配方及其制备方法
CN106177712A (zh) 一种治疗心脑血管疾病的华蒜豆及其制备方法
CN112970992A (zh) 一种适合糖尿病人的固体饮料及制作方法
CN106266687A (zh) 一种用于治疗高血压和慢性便秘的保健品
CN111658720A (zh) 用于养生的中药组合物、养生丸以及制备方法
CN1055232C (zh) 滋阴润肠口服制剂
KR100504124B1 (ko) 비만억제용 조성물
CN108967757A (zh) 一种红枣生姜浓浆生产工艺
CN103705835A (zh) 用于治疗僵猪的药物及其制备方法
EP3960194B1 (de) Zusammensetzung zur verminderung der symptome der nykturie
CN106344655A (zh) 一种具有降血糖功效的中药组合物及其制作方法
KR100450055B1 (ko) 두과 식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질개선용 식품 조성물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식품
CN106962548A (zh) 一种保健凉茶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