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1774A - 가변 핸드 스위치 - Google Patents

가변 핸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1774A
KR20050111774A KR1020057017315A KR20057017315A KR20050111774A KR 20050111774 A KR20050111774 A KR 20050111774A KR 1020057017315 A KR1020057017315 A KR 1020057017315A KR 20057017315 A KR20057017315 A KR 20057017315A KR 20050111774 A KR20050111774 A KR 20050111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ress
region
variabl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4912B1 (ko
Inventor
켄 타카치
Original Assignee
켄 타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켄 타카치 filed Critical 켄 타카치
Publication of KR20050111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9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5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 H03K17/968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 G02B6/354Switching arrangements, i.e. number of input/output ports and interconnection types
    • G02B6/35442D constellations, i.e. with switching elements and switched beams located in a plane
    • G02B6/35481xN switch, i.e. one input and a selectable single output of N possible outputs
    • G02B6/35521x1 switch, e.g. on/off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14Hand-held casings
    • H01H9/0228Line cord switch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 G02B6/351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involving stationary waveguides with moving interposed optical elements
    • G02B6/3532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involving stationary waveguides with moving interposed optical elements the optical element being a wavelength independent filter or having spatially dependent transmission properties, e.g. neutral filter or neutral density wedge substrate with plurality of density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 G02B6/3564Mechanical details of the actuation mechanism associated with the moving element or mounting mechanism details
    • G02B6/3566Mechanical details of the actuation mechanism associated with the moving element or mounting mechanism details involving bending a beam, e.g. with cantilev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 G02B6/3564Mechanical details of the actuation mechanism associated with the moving element or mounting mechanism details
    • G02B6/3568Mechanical details of the actuation mechanism associated with the moving element or mounting mechanism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force
    • G02B6/3574Mechanical force, e.g. pressure vari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 G02B6/3564Mechanical details of the actuation mechanism associated with the moving element or mounting mechanism details
    • G02B6/3582Housing means or package or arranging details of the switching elements, e.g. for thermal isol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 G02B6/3594Characterised by additional functional means, e.g. means for variably attenuating or branching or means for switching differently polarized bea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이 가변 핸드 스위치는, 탄성을 구비하게 하기 위해 수지 성형품으로 구성되는 스위치 본체부(40)를 가지며, 이 스위치 본체부(40)는 베이스부(41), 이 베이스부(41)의 선단측에는 베이스부(41)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U자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제 1 압입 영역 부재(42), 및 이 제 1 압입 영역 부재(42)로부터 베이스부(41)측(압입 방향측)을 향하여 늘어나는 이동벽으로서의 제 1 수하벽(43)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제 1 수하벽(43)의 한쪽면측에는 광케이블(30A)이 고정적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정확한 컨트롤 제어를 장치 본체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구비하는 가변 핸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핸드 스위치{VARIABLE HAND SWITCH}
본 발명은, 가변 핸드 스위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특정적으로는 방폭형(防爆型)의 가변 핸드 스위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인화성의 가스를 취급하는 공장 등에서는, 장치의 조작을 행하는 경우, 스파크(불꽃)의 발생은 중대한 사고로 이어지기 때문에, 장치의 조작을 위한 스위치류에는 스파크(불꽃)의 발생을 방지한 방폭형의 스위치가 사용된다. 또한, 장치 본체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 장치의 조작을 행하기 위해 스위치류만을 손으로 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폭형의 가변 핸드 스위치가 채용되고 있다.
이 방폭형의 가변 핸드 스위치의 일 예로서는, 스파크(불꽃)의 발생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금속의 접촉을 회피하고 공기압을 이용하여 동작의 컨트롤을 행한다. 예를 들면, 공기압이 높은 경우에는 장치의 동작 스피드를 높게 하고, 공기압이 낮은 경우에는 장치의 동작 스피드를 높게 하는 등의 컨트롤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원에 관련되는 발명에 관한 종래의 기술을, 출원인이 지득(知得)한 일반적 기술 정보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지만, 출원인이 기억하는 범위에 있어서, 본원의 출원 전까지 선행 기술 문헌 정보로서 개시하여야 할 정보를 출원인은 갖고 있지 않고, 또한, 본원에 선행하는 출원인 자신의 특허출원 등에 관해서도 인식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상기 공기압의 고저를 이용한 가변 핸드 스위치에서는, 공기 케이블의 절곡, 팽창, 환경 온도 등의 요인 때문에, 정확한 공기압을 장치 본체로 전달할 수 없어서, 정확하게 장치 본체의 제어를 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인화성의 가스를 취급하는 공장 등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정확한 약액을 환자에게 주입하는 것이 필요한 의료 현장에서도, 마찬가지 문제가 지적된다.
도 1은 실시의 형태 1에서의 가변 핸드 스위치의 전체 구조 및 내부 구조를 도시한 전체 분해 사시도.
도 2는 실시의 형태 1에서의 가변 핸드 스위치를 손으로 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실시의 형태 1에서의 가변 핸드 스위치의 이동벽의 이동에 있어서의 컨트롤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4는 실시의 형태 1에서의 가변 핸드 스위치의 컨트롤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 1 모식도.
도 5는 실시의 형태 1에서의 가변 핸드 스위치의 컨트롤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 2 모식도.
도 6은 실시의 형태 1에서의 가변 핸드 스위치의 컨트롤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 3 모식도.
도 7은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다른 스위치 본체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실시의 형태 1에서의 가변 핸드 스위치의 적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실시의 형태 2에서의 가변 핸드 스위치의 외관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10은 실시의 형태 2에서의 가변 핸드 스위치의 동작 원리를 도시한 제 1 모식도.
도 11은 실시의 형태 2에서의 가변 핸드 스위치의 동작 원리를 도시한 제 2 모식도.
도 12는 실시의 형태 3에서의 가변 핸드 스위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3은 도 12중 ⅩⅢ-ⅩⅢ선 화살로 본 단면도.
도 14는 실시의 형태 3에서의 가변 핸드 스위치의 다른 내부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방폭형의 가변 핸드 스위치에 있어서, 정확한 컨트롤 제어를 장치 본체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구비하는 가변 핸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거한 가변 핸드 스위치의 하나의 국면에서는, 투광 수단으로부터 발하여지는 광의 광량을 컨트롤하고, 광량이 변화한 후의 광을 수광 수단에 입광하여, 입광한 광의 정보를 장치 본체에 전달하기 위한 가변 핸드 스위치로서, 상기 투광 수단 및 상기 수광 수단에 대해 대향 배치되는 벽과, 상기 벽에 마련되고, 상기 투광 수단 및 상기 수광 수단과 상기 벽과의 사이에서 상대적인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투광 수단으로부터 투광되는 광의 광량을 변화시키기 위한 광량 가변 영역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투광 수단을 이용하여 비접촉 상태에서 광량 가변 영역의 광의 광량을 광 수단을 이용하여 판독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금속의 접촉 부분을 없앤 방폭형을 실현시킴과 함께, 투광 수단 및 수광 수단과 이동벽과의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량을 컨트롤함에 의해 광량 가변 영역으로부터의 광의 광량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외란(外亂)에 의한 영향이 없고 컨트롤량에 대응한 정확한 제어 정보를 장치 본체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거한 가변 핸드 스위치의 다른 국면에서는, 투광 수광 수단으로부터 발하여지는 광의 반사율을 컨트롤하고, 반사율의 변화를 장치 본체에 전달하기 위한 가변 핸드 스위치로서, 제 1의 위치와 제 2의 위치와의 사이를 연속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투광 수광 수단에 대해 대향 배치되는 이동벽과, 상기 이동벽의 상기 투광 수광 수단측 면상에 마련되고, 상기 이동벽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투광 수광 수단으로부터 투광되는 광의 반사율을 다르게 할 수 있는 2 이상의 영역을 갖는 반사 영역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투광 수광 수단을 이용하여 비접촉 상태에서 반사 영역의 광의 반사량을 판독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금속의 접촉 부분을 없앤 방폭형을 실현시킴과 함께, 이동벽의 이동량을 컨트롤함에 의해 반사 영역의 광의 반사량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외란에 의한 영향이 없고 컨트롤량에 대응한 정확한 제어 정보를 장치 본체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상기 반사 영역은, 상기 이동벽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색채의 농담이 서서히 변화하는 그라데이션이 시행된 색채 영역을 포함한다. 이로써, 연속적으로 반사 영역의 광의 반사량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스피드 컨트롤, 이송량 컨트롤 등 연속한 장치 본체의 제어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상기 반사 영역은, 상기 이동벽의 이동 방향에 따라 배치되는 제 1 색채 영역과, 이 제 1 색채 영역보다도 진한 색채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색채 영역을 포함한다. 이로써, 2치(値)의 판별의 제어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ON/OFF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거한 가변 핸드 스위치의 또한 다른 국면에서는, 투광 수단으로부터 발하여지는 광의 광량을 컨트롤하고, 광량이 변화한 후의 광을 수광 수단에 입광하여, 입광한 광의 정보를 장치 본체에 전달하기 위한 가변 핸드 스위치로서, 제 1의 위치와 제 2의 위치와의 사이를 연속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투광 수단과 상기 수광 수단과의 사이에 대향 배치되는 이동벽과, 상기 이동벽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투광 수단으로부터 투광되는 광의 투과량을 변화시키기 위한 광투과량 가변 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투광 수광 수단을 이용하여 비접촉 상태에서 광투과량 가변 영역의 광의 투과량을 판독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금속의 접촉 부분을 없앤 방폭형을 실현시킴과 함께, 이동벽의 이동량을 컨트롤함에 의해 광투과량 가변 영역의 광의 투과량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외란에 의한 영향이 없고 컨트롤량에 대응한 정확한 제어 정보를 장치 본체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상기 광투과량 가변 영역은, 상기 이동벽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색채의 농담이 서서히 변화하는 그라데이션이 시행된 색채 영역을 포함한다. 이로써, 연속적으로 광투과량 가변 영역의 광의 투과량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스피드 컨트롤, 이송량 컨트롤 등 연속한 장치 본체의 제어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상기 광투과량 가변 영역은, 상기 이동벽의 이동 방향에 따라 배치되는 제 1 색채 영역과, 이 제 1 색채 영역보다도 진한 색채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색채 영역을 포함한다. 이로써, 2치의 판별의 제어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ON/OFF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상기 이동벽은, 해당 가변 핸드 스위치의 표면측에 위치하는 압입 영역 부재로부터, 그 압입 방향으로 늘어나는 드리워진 벽(이하, 수하벽(垂下壁)으로 칭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입 영역 부재를 압입하지 않는 상태에 의해 상기 이동벽의 제 1의 위치가 선택되고, 상기 압입 영역 부재를 서서히 압입함에 의해 상기 이동벽의 제 2의 위치가 선택된다. 이로써, 가변 핸드 스위치를 한 손으로 지지하고, 그 손의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조작에 의해, 한 손에 의한 확실한 가변 핸드 스위치의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상기 압입 영역 부재는 해당 상기 압입 영역 부재를 압입 방향으로 압입한 경우에, 압입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력 부여 수단을 갖는다. 이로써, 압입력을 약하게 하면, 자동적으로 압입 영역 부재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기 때문에, 더욱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에 의거한 각 실시의 형태에서의 가변 핸드 스위치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실시의 형태 1에서의 가변 핸드 스위치(100)의 외관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가변 핸드 스위치(100)의 전체 구조 및 내부 구조를 도시한 전체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가변 핸드 스위치(100)를 손으로 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가변 핸드 스위치(100)의 외관)
이 가변 핸드 스위치(100)는, 손으로 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쥐기 쉬운 곡면 형상을 갖는 세로가 긴 본체 케이스(1)를 구비한다. 이 본체 케이스(1)는 2분할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 1 케이스(1A)와 제 2 케이스(1B)를 갖는다. 제 1 케이스(1A)와 제 2 케이스(1B) 사이에는, 양자를 착탈 가능하게 하기 위한 영역이 마련되어 있다.
제 1 케이스(1A)에 윗면에는, 스위치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실리콘고무 등)로 이루어지는 대략 곡면 형상의 제 1 스위치(10)와, 마찬가지로 스위치를 구성하고 탄성 부재(실리콘고무 등)로 이루어지는 대략 곡면 형상의 제 2 스위치(20)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스위치(10)와 제 2 스위치(20)의 형상은 동일 형상이라도 상관 없지만, 스위치의 종류를 분간하기 위해 다른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 본체부(40)의 외관)
제 1 케이스(1A)와 제 2 케이스(1B) 사이에는, 제 1 스위치(10)와 제 2 스위치(20)에 의해 제어되는 수지 성형품으로 구성되는 스위치 본체부(40)가 수용되어 있다. 이 스위치 본체부(40)는 베이스부(41)와, 이 베이스부(41)의 선단측에서 베이스부(41)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U자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제 1 압입 영역 부재(42), 및 이 제 1 압입 영역 부재(42)로부터 베이스부(41)측(압입 방향측)을 향하여 늘어나는 이동벽으로서의 제 1 수하벽(43)이 마련되어 있다. U자형상으로 절곡되도록 구성한 것은, 탄성력을 주기 위해서이다.
한편, 베이스부(41)의 후단측에는, 베이스부(41)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U자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제 2 압입 영역 부재(44), 및 이 제 2 압입 영역 부재(44)로부터 베이스부(41)측(압입 방향측)을 향하여 늘어나는 이동벽으로서의 제 2 수하벽(45)이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부(41)의 제 1 수하벽(43)과 제 2 수하벽(45)의 사이, 제 2 압입 영역 부재(44)의 하방 영역, 및 베이스부(41)의 최후단부에는, 후술하는 광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지지 부재(46)가 마련되어 있다.
(컨트롤 조작)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가변 핸드 스위치(100)의 컨트롤 조작에 관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3은, 이동벽으로서의 제 1 수하벽(43) 및 제 2 수하벽(45)의 이동에 있어서의 컨트롤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컨트롤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모식도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수하벽(43)의 한쪽면측에는 투광 수광 수단으로서의 광케이블(30A)이 고정적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광케이블(30A)의 장치측에는 광변환기(7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 1 수하벽(43)의 광케이블(30A)측 면상(面上)에는, 제 1 수하벽(43)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색채의 농담이 서서히 변화하는 색채 영역(51a)으로서의 그라데이션 시트(51)가 접착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백색으로부터 흑색(무반응 영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그라데이션 시트(51)를 채용하고 있다.
광케이블(30A)로부터 광이 조사된 상태에서, 제 1 수하벽(43)이 A방향으로 이동시켜진 경우에는, 그라데이션 시트(51)로부터 반사된 광의 반사율이 다른 결과, 광케이블(30A)에의 광량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광량의 변화량은 광변환기(71)에 의해 판독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수하벽(45)의 한쪽면측에는 투광 수광 수단으로서의 광케이블(30B)이 고정적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광케이블(30B)의 장치측에는, 광변환기(7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 2 수하벽(45)의 광케이블(30B)측 면상에는, 제 2 수하벽(45)의 이동 방향에 따라 배치되는 제 1 색채 영역(52a)와, 이 제 1 색채 영역(52a)보다도 진한 색채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색채 영역(52b)을 갖는 색채 영역 시트(52)가 접착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1 색채 영역(52a)으로서 백색, 제 2 색채 영역(무반응 영역)(52b)으로서 흑색을 채용하고 있다.
광케이블(30B)로부터 광이 조사된 상태에서, 제 2 수하벽(45)이 A방향으로 이동시켜진 경우에는, 그라데이션 시트(51)로부터 반사된 광의 반사율이 다른 결과, 광케이블(30B)에의 광량을 2치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광량의 변화량은, 광변환기(72)에 의해 판독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가변 핸드 스위치(100)에서의 컨트롤 조작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양태는, 제 1 스위치(10) 및 제 2 스위치(20)에는 전혀 외력이 가하여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제 1 수하벽(43) 및 제 2 수하벽(45)에도 전혀 외력이 가하여저 있지 않다(제 1의 위치). 이때, 광케이블(30A)은 그라데이션 시트(51)의 가장 「어두운」 위치(무반응 영역)에 대향하고, 광케이블(30B)은 색채 영역 시트(52)의 제 2 색채 영역(무반응 영역)(52b)「흑」의 위치에 대향하고 있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제 1 스위치(10)를 손가락에 의해 압입한 상태에 관해 설명한다.
제 1 스위치(10)를 A방향으로 압입한 경우, 제 1 압입 영역 부재(42)가 제 1 스위치(10)에 의해 하방으로 압입된다. 그 결과, 제 1 수하벽(43)은 하방으로 이동한다. 가장 압입한 위치가 제 2의 위치로 된다. 이 제 2의 위치에서는, 광케이블(30A)은 그라데이션 시트(51)의 가장 「밝음」의 위치에 대향한다. 이로써, 광케이블(30A)에의 광량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연속한 장치 본체의 제어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스위치(10)의 압입력을 해제 또는 약하게 함에 의해, 제 1 압입 영역 부재(42) 자신이 갖는 탄성력에 응하여 제 1 압입 영역 부재(42)가 복원하고, 용이하게 제 1 수하벽(43)을 제 1의 위치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을 참조하여, 제 2 스위치(20)를 손가락에 의해 압입한 상태에 관해 설명한다. 제 2 스위치(20)를 A방향으로 압입한 경우, 제 2 압입 영역 부재(44)가 제 2 스위치(20)에 의해 하방으로 압입된다. 그 결과, 제 2 수하벽(45)은 하방으로 이동한다. 가장 압입한 위치가 제 2의 위치로 된다. 이 제 2의 위치에서는, 광케이블(30B)은 색채 영역 시트(52)의 제 1 색채 영역(52a) 「백」의 위치에 대향한다. 이로써, 광케이블(30B)에의 광량을 2치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장치 본체의 ON/OFF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제 2 스위치(20)가 압입력을 해제 또는 약하게 함에 의해, 제 2 압입 영역 부재(44) 자신이 갖는 탄성력에 응해 제 2 압입 영역 부재(44)가 복원하여, 용이하게 제 2 수하벽(45)을 제 1의 위치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작용·효과)
이상,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가변 핸드 스위치(100)에 의하면, 광케이블(30A, 30B)을 이용하여 비접촉 상태에서 그라데이션 시트(51) 및 색채 영역 시트(52)의 광의 반사량의 변화를 판독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금속의 접촉 부분을 없앤 방폭형을 실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 1 수하벽(43) 및 제 2 수하벽(45)의 이동량을 제 1 스위치(10) 및 제 2 스위치(20)를 이용하여 컨트롤함에 의해 그라데이션 시트(51) 및 색채 영역 시트(52)에서의 광의 반사량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외란에 의한 영향이 없고 컨트롤량에 대응한 정확한 제어 정보를 장치 본체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수하벽(43) 및 제 2 수하벽(44)이 제 1의 위치의 상태에서는, 0FF 상태로 되도록 악성 종기에 장치 본체측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안전측으로 작용하는 제어를 실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수하벽(43) 및 제 2 수하벽(44)의 제 1의 위치에서는, 그라데이션 시트(51)의 가장 「어두운」 위치, 제 2 색채 영역(52b)「흑」의 위치가 선택되어 있기 때문에(무반응 영역), 예를 들면 광케이블(30A, 30B)이 절곡됨에 의해 광이 차단된 경우라도, 안전측으로 작용하는 제어를 실현시키는 것으로 된다.
또한, 제 1 수하벽(43)이 압입력을 조절하기 위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41)와 제 1 압입 영역 부재(42)의 사이에 탄성 부재로서의 코일 스프링(60)을 개재시키는 구성의 채용도 가능하다.
상술한 방폭형의 가변 핸드 스위치(100)는 인화성의 가스를 취급하는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것이 유효하지만, 예를 들면 의료 현장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혈관 조영(造影) 검사에 이용되고, 실린지(151) 내의 조영제 등을 환자에게 도입하기 위한 인젝터 헤드(150)의 도입량 제어에, 본 가변 핸드 스위치(100)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 2)
다음에, 본 가변 핸드 스위치(100A)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해,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9는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가변 핸드 스위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가변 핸드 스위치(100A)의 동작 원리를 도시한 제 1 및 제 2 모식도이다.
예를 들면, 가변 핸드 스위치(100A)를 인젝터 헤드의 조영제 도입량 제어에 적용한 경우, 시술자는 조영제 등의 환자에게의 주입압을 알고 싶은 경우가 생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가변 핸드 스위치(100A)에 공기대(袋)(80)를 마련하는 구성의 채용이 가능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조영제 등의 환자에게의 주입압은, 실린지(151) 내의 플런저(153)를 통하여, 주입압 측정 장치(152)에 의해 검출된다. 그러면, 이 주입압 측정 장치(152)의 검출 정보에 의거하여, 에어 펌프(154)를 작동시키고, 에어관(81)을 통하여 공기대(80)에 공기를 도입한다. 이로써, 조영제 등의 환자에게의 주입압이 높아진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대(80)를 팽창시킴에 의해, 가변 핸드 스위치(100)를 쥐는 시술자에 주입압이 높아진 것이 촉각적으로 전달된다. 그 결과, 시술자는 순간적으로 스위치의 가입력을 조절하여, 적절한 압에 의한 조영제의 주입이 가능해진다. 또한, 공기대(80)를 마련하는 위치는 적절히 선택되고, 또한, 본체 케이스(1) 전체를 덮도록 공기대(80)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 3)
다음에, 도 12부터 도 14를 참조하여, 실시의 형태 3에서의 가변 핸드 스위치(200)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2는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가변 핸드 스위치(2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중 ⅩⅢ-ⅩⅢ선 화살로 본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가변 핸드 스위치의 다른 내부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가변 핸드 스위치(200)의 기본적 구조는, 상기 실시의 형태 1 및 2에 나타낸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기로 하고, 특징적 구조 부분만을,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실시의 형태 1 및 2에 나타낸 가변 핸드 스위치(100, 100A)에 있어서는, 그라데이션 시트 등을 이용하고, 광의 광량의 변화로서 광의 반사율을 측정함에 의해, 컨트롤량의 제어를 행하고 있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가변 핸드 스위치(200)에 있어서는, 광의 광량의 변화로서 광의 투과율을 측정함에 의해 컨트롤량의 제어를 행하도록 한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 2 스위치(20)에 있어서의 제 2 수하벽(45)에는, 이 제 2 수하벽(45)의 이동 방향(도면중 A방향)에 따라 늘어나고, 또한, 제 2 수하벽(45)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기립하는 벽을 구성하는 컨트롤 필름(201)이 부착되어 있다. 이 컨트롤 필름(201)은, 그 기단 부분에 고정용 구멍(201h)이 마련되어 있고, 제 2 수하벽(45)에 마련된 오목부(45)에서, 핀(45p)이 이 고정용 구멍(201h)을 삽통하고, 핀(45p)을 받아들이는 고정 구멍(202h)이 마련된 블록(202)에 의해, 제 2 수하벽(45)에 끼워 지지되어 있다. 핀(45p)의 위치를 중심으로부터 빗나간 위치로 함으로써, 컨트롤 필름(201)의 천지(天地)의 마련의 잘못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컨트롤 필름(201)에는, 광량 가변 영역으로서 소정의 패턴이 시행된 광투과량 가변 영역(201a)이 마련되어 있다.
이 컨트롤 필름(201)은, 기립시킴과 함께 소정의 광투과량 가변 영역(201a)을 마련할 필요가 있는 것, 및 광의 투과율을 정밀도 좋게 컨트롤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사진 제판에 이용되는 것과 같은 판하(版下)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광투과량 가변 영역(201a)에 마련되는 패턴도, 사진 제판 기술을 적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투과량 가변 영역(201a)에 마련되는 패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도 3에서 도시한, 그라데이션 패턴, 2색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패턴 등을 채용한 투과 영역이 이용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 필름(201)을 양측에서 끼워 넣는 슬릿(210S)이 마련된 광케이블 고정 블록(210)이, 고정 지지 부재(46)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이 고정 지지 부재(46)와 제 2 압입 영역 부재(44)의 사이에는, 제 2 압입 영역 부재(44)에 대해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260)이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투광 수단으로서의 투광측 광케이블(220)과, 수광 수단으로서의 수광측 광케이블(230)을 구비하고, 광케이블 고정 블록(210)에는, 광케이블에 대해 컨트롤 필름(201)이 대향 배치하도록, 투광측 광케이블(220)과 수광측 광케이블(230)과 위치 결정 고정하기 위한 광케이블 고정용 구멍(212h, 212h)이 마련되어 있다. 투광측 광케이블(220) 및 수광측 광케이블(230)에는, 각각 상기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광변환기가 접속되어 있다.
이 광케이블 고정용 구멍(212h, 212h)에는, 투광측 광케이블(220) 및 수광측 광케이블(230)의 선단부가 맞닿기 위한 단부(段部)(212p)가 마련되고, 투광측 광케이블(220) 및 수광측 광케이블(230)을, 광케이블 고정용 구멍(212h, 212h) 내로 삽입함으로써, 용이하고 정확하게, 투광측 광케이블(220) 및 수광측 광케이블(230)의 위치 결정 고정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수하벽(45)의 이동 방향을 규제하기 위해, 제 2 수하벽(45)의 양측에 제 2 수하벽(45)의 양측단부를 활주 가능하게 가이드하기 위해, 가이드 홈(240S)을 갖는 한 쌍의 가이드 홈벽(240, 240)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가변 핸드 스위치(200)에서의 컨트롤 조작에 관해서는, 상기 각 실시의 형태의 경우와 같으며, 투광측 광케이블(220)로부터 광이 조사된 상태에서, 컨트롤 필름(201)이 하방으로 이동시켜진 경우에는, 광투과량 가변 영역(201a)을 투과하는 광의 광량이 변화하는 결과, 수광측 광케이블(230)에의 광량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광량의 변화량은 광변환기(73)(도 3 참조)에 의해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제 2 스위치(20)의 경우에 관해 설명하고 있지만, 같은 구성을 제 1 스위치(10)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작용·효과)
이상,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가변 핸드 스위치(200)에 의하면, 투광측 광케이블(220) 및 수광측 광케이블(230)을 이용하여 비접촉 상태에서 광투과량 가변 영역(201a)(그라데이션 시트(51), 색채 영역 시트(52) 등)의 광의 투과율의 변화를 판독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금속의 접촉 부분을 없앤 방폭형을 실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제 1 수하벽(43) 및 제 2 수하벽(45)의 이동량을 제 1 스위치(10) 및 제 2 스위치(20)를 이용하여 컨트롤함에 의해 광투과량 가변 영역(201a)에서의 광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외란에 의한 영향이 없고 컨트롤량에 대응한 정확한 제어 정보를 장치 본체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컨트롤 필름(201)에 대한 슬릿(210S)의 위치는,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컨트롤 필름(201)이 도면중 A 화살표 방향(도 12 참조)으로 이동한 경우라도, 컨트롤 필름(201)과 투광측 광케이블(220) 및 수광측 광케이블(230)의 선단부와의 갭(간극(h))을 일정하게 하여 둘 수 있다. 이로써, 컨트롤 필름(201)의 이동에 수반하는 신호의 오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의 투과량의 변화를 측정하는 구성의 경우, 수광측에서 광의 난반사에 의한 영향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신호의 오차 발생을 더욱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투광측 광케이블(220)로부터 발하여지는 광은, 적색을 이용하는 것이 많기 때문에, 광투과량 가변 영역(201a)에 마련되는 패턴으로서는, 적색을 투과시키기 쉬운 색부터, 투과시키기 어려운 색으로 변화시키는 색채 패턴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가변 핸드 스위치(100, 100A, 200)에서는, 2종류의 스위치를 병존시켜진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2종류의 스위치를 병존시킬 필요는 없고, 어느 한쪽, 또는 복수의 조합에 의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의 형태에서의 구조를 적절히 조합시키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가변 핸드 스위치(100, 100A, 200)에서는, 투광측 및 수광측을 고정하고, 광량 가변 영역이 마련되는 벽 또는 이동벽으로서의 수하벽 또는 컨트롤 필름을 이동시키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수하벽 또는 컨트롤 필름을 고정하고, 투광측 및 수광측을 이동시키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그라데이션 시트나 컨트롤 필름 등을 이용하지 않고, 한쪽의 파이버만을 움직여서 광량을 조정하는 방법, 구체적으로는 스위치를 누르지 않을 때는 양자의 광축이 벗어나고, 스위치를 압입함에 따라 양자의 광축을 맞추는 구성이나, 양자의 파이버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구성의 채용도 가능하지만, 광량의 변화를 정확하게 판독하고, 가변 핸드 스위치에 의한 제어를 정밀도 좋게 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라데이션 시트나 컨트롤 필름을 이용하여, 광량을 변화시키는 쪽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금회 개시된 실시의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으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의 형태가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확정되고,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거한 가변 핸드 스위치에 의하면, 외란에 의한 영향이 없고 컨트롤량에 대응한 정확한 제어 정보를 장치 본체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1)

  1. 투광 수단으로부터 발하여지는 광의 광량을 컨트롤하고, 광량이 변화한 후의 광을 수광 수단에 입광하여, 입광한 광의 정보를 장치 본체에 전달하기 위한 가변 핸드 스위치(100A, 100B, 200)로서,
    상기 투광 수단(30A, 220) 및 상기 수광 수단(30B, 230)에 대해 대향 배치되는 벽(43, 45, 201)과,
    상기 벽(43, 45, 201)에 마련되고, 상기 투광 수단(30A, 220) 및 상기 수광 수단(30B, 230)과 상기 벽(43, 45, 201)과의 사이에서의 상대적인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투광 수단(30A, 220)으로부터 투광되는 광의 광량을 변화시키기 위한 광량 가변 영역(51, 52, 201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핸드 스위치.
  2. 투광 수광 수단(30A, 30B)으로부터 발하여지는 광의 반사율을 컨트롤하여, 반사율의 변화를 장치 본체에 전달하기 위한 가변 핸드 스위치(100A, 100B)로서,
    제 1의 위치와 제 2의 위치의 사이를 연속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투광 수광 수단(30A, 30B)에 대해 대향 배치되는 이동벽(43, 45)과,
    상기 이동벽(43, 45)의 상기 투광 수광 수단(30A, 30B)측 면상에 마련되고, 상기 이동벽(43, 45)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투광 수광 수단(30A, 30B)으로부터 투광되는 광의 반사율을 다르게 하는 2 이상의 영역을 갖는 반사 영역(51, 5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핸드 스위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영역(51)은, 상기 이동벽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색채의 농담이 서서히 변화하는 그라데이션이 시행된 색채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핸드 스위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영역(52)은, 상기 이동벽의 이동 방향에 따라 배치되는 제 1 색채 영역과, 이 제 1 색채 영역보다도 진한 색채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색채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핸드 스위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벽(43, 45)은, 해당 가변 핸드 스위치의 표면측에 위치하는 압입 영역 부재(42, 44)로부터, 그 압입 방향으로 늘어나는 수하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입 영역 부재(42, 44)를 압입하지 않는 상태에 의해 상기 이동벽(43, 45)의 제 1의 위치가 선택되고, 상기 압입 영역 부재(42, 44)를 서서히 압입함에 의해 상기 이동벽(43, 45)의 제 2의 위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핸드 스위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 영역 부재(42, 44)는, 해당 상기 압입 영역 부재(42, 44)를 압입 방향으로 압입한 경우에, 압입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력 부여 수단(6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핸드 스위치.
  7. 투광 수단으로부터 발하여지는 광의 광량을 컨트롤하고, 광량이 변화한 후의 광을 수광 수단에 입광하여, 입광한 광의 정보를 장치 본체에 전달하기 위한 가변 핸드 스위치(200)로서,
    제 1의 위치와 제 2의 위치의 사이를 연속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투광 수단(220)과 상기 수광 수단(230)의 사이에 대향 배치되는 이동벽(201)과,
    상기 이동벽(201)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투광 수단(220)으로부터 투광되는 광의 투과량을 변화시키기 위한 광투과량 가변 영역(201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핸드 스위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량 가변 영역(20la)은, 상기 이동벽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색채의 농담이 서서히 변화하는 그라데이션이 시행된 색채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핸드 스위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량 가변 영역(201a)은, 상기 이동벽의 이동 방향에 따라 배치되는 제 1 색채 영역과, 이 제 1 색채 영역보다도 진한 색채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색채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핸드 스위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벽(201)은, 해당 가변 핸드 스위치의 표면측에 위치하는 압입 영역 부재(42, 44)로부터, 그 압입 방향으로 늘어나는 수하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입 영역 부재(42, 44)를 압입하지 않는 상태에 의해 상기 이동벽(201)의 제 1의 위치가 선택되고, 상기 압입 영역 부재(42, 44)를 서서히 압입함에 의해 상기 이동벽(201)의 제 2의 위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핸드 스위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 영역 부재(42, 44)는, 해당 상기 압입 영역 부재를 압입 방향으로 압입한 경우에, 압입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력 부여 수단(26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핸드 스위치.
KR1020057017315A 2003-03-26 2004-03-24 가변 핸드 스위치 KR100704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84376 2003-03-26
JP2003084376 2003-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774A true KR20050111774A (ko) 2005-11-28
KR100704912B1 KR100704912B1 (ko) 2007-04-06

Family

ID=33094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315A KR100704912B1 (ko) 2003-03-26 2004-03-24 가변 핸드 스위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213756A1 (ko)
EP (1) EP1653493A4 (ko)
JP (1) JP4101837B2 (ko)
KR (1) KR100704912B1 (ko)
CN (1) CN100358072C (ko)
WO (1) WO20040864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1540A1 (ja) * 2006-12-28 2008-07-10 Sugan Co., Ltd. 注射器型ハンドスイッチ
US8284036B2 (en) * 2009-01-23 2012-10-09 Dwyer Precision Products, Inc. Dual activated pneumatic actuator system
US8652110B2 (en) 2010-07-26 2014-02-18 Sugan Co., Ltd. Valve-equipped hand switch and chemical liquid introduction system
USD760668S1 (en) * 2015-03-26 2016-07-05 E. Mishan & Sons, Inc. Heat pad controller
USD821983S1 (en) * 2016-08-22 2018-07-03 Amazon Technologies, Inc. Electronic device
JP7150244B2 (ja) * 2018-09-03 2022-10-11 スーガン株式会社 出力可変ハンドスイッチ
USD944750S1 (en) * 2020-07-30 2022-03-01 Delta T, Llc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48900A1 (de) * 1973-09-28 1975-04-24 Siemens Ag Kontaktloser befehlsgeber
JPS54140771U (ko) * 1978-03-23 1979-09-29
US4315147A (en) * 1980-02-15 1982-02-09 Battelle Memorial Institute Photoelectric switch with visible signal
US4479111A (en) * 1982-02-09 1984-10-23 Burroughs Corporation Photo-optical switch apparatus
US4831253A (en) * 1987-02-13 1989-05-16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Rotary type photoelectric switch
JPH0650927Y2 (ja) * 1987-05-08 1994-12-21 オムロン株式会社 検出装置
JP2741206B2 (ja) * 1988-03-29 1998-04-15 株式会社トプコン フットスイッチを用いた眼科手術装置
JPH05154197A (ja) * 1990-07-31 1993-06-22 Getsutsu Bros:Kk Dsa,ptca用のパワーコントラスターシステム
US6221045B1 (en) * 1995-04-20 2001-04-24 Acist Medical Systems, Inc. Angiographic injector system with automatic high/low pressure switching
WO1997031384A1 (fr) * 1996-02-21 1997-08-28 Idec Izumi Corporation Dispositif de commutation photoelectrique et procede de commutation
DE19736929A1 (de) 1997-08-25 1998-11-05 Siemens Ag Patientenalarmeinrichtung für ein medizinisches Gerät
NL1007130C2 (nl) * 1997-09-26 1999-03-29 Thyssen De Reus Bv Veiligheidsschakelaar.
US5988587A (en) * 1997-10-10 1999-11-23 Invasatec, Inc. Control device for providing a variable control signal to a fluid-supplying machine
KR19990080254A (ko) * 1998-04-14 1999-11-05 히노키 노리오 전위치료기의 안전장치
JP3087313U (ja) * 2001-01-19 2002-08-02 致伸科技股▲ふん▼有限公司 バーニヤ制御装置のケーシング構造
JP4563895B2 (ja) * 2005-08-26 2010-10-13 東洋電装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機能を備えたプッシュ式スイッチ
KR200489136Y1 (ko) * 2017-10-11 2019-05-07 (주)현대텍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86438A1 (ja) 2004-10-07
CN1764994A (zh) 2006-04-26
KR100704912B1 (ko) 2007-04-06
JP4101837B2 (ja) 2008-06-18
JPWO2004086438A1 (ja) 2006-06-29
EP1653493A4 (en) 2008-04-30
EP1653493A1 (en) 2006-05-03
US20060213756A1 (en) 2006-09-28
CN100358072C (zh) 200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4988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verifying an acceptable splice termination
US10824275B2 (en) Waveguide-based interferometric multi-point/distributed force and touch sensors
CN106687793A (zh) 测量光纤连接器中的插入损耗的非接触方法
DE69726192D1 (de) Probenröhrchen mit optisch lesbarem code
US10260989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checking the continuity of at least one splice within a fiber optic connector
KR20050111774A (ko) 가변 핸드 스위치
AU2001259083A1 (en) Fiber optic probe placement guide
WO2002058001A3 (en) Optically based machine input control device
US20130220032A1 (en) System For Sensing a Mechanical Property of a Sample
JPH1043150A (ja) 脈波検出装置
WO2000017608A1 (en) Fiberoptic coupler sensor and a measurement method
WO1998058285A1 (en) Integrated optical waveguide system
US20200097125A1 (en) Waveguide-Based Interferometric Multi-Point/Distributed Force and Touch Sensors
JPS62124507A (ja) 光フアイバ開裂装置
US20030081302A1 (en) High-speed, low-power optical modulation apparatus and method
EP0543577A2 (en) Local loss test set for optical fibre
JP2010216865A (ja) 光ファイバ用パワーメータおよび光ファイバ用パワーメータの載置台ユニット
US20020067878A1 (en) Optical switch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EP0591340B1 (en) Light transfer method
EP1542046B1 (en) Optical fiber connection component, optical fiber connection structure, and optical fiber connection method
JP4689053B2 (ja) 導波路をデバイスに整列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SE0200689D0 (sv) Optisk koppling
WO2004107147A3 (en) Opto-electronic input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the movement of an object by means of such a device
JP4106611B2 (ja) 触覚測定方法および触覚センサ
JP2522752B2 (ja) コネクタに終端された光ファイバ端の突出距離を測定す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