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1722A - 기록 방법, 기록 장치, 기록 매체, 재생 방법, 재생 장치및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방법, 기록 장치, 기록 매체, 재생 방법, 재생 장치및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1722A
KR20050111722A KR1020047018985A KR20047018985A KR20050111722A KR 20050111722 A KR20050111722 A KR 20050111722A KR 1020047018985 A KR1020047018985 A KR 1020047018985A KR 20047018985 A KR20047018985 A KR 20047018985A KR 20050111722 A KR20050111722 A KR 20050111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decoding reproduction
decoding
reprodu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5737B1 (ko
Inventor
겐이찌로 아리도메
가쯔미 마쯔노
오사무 다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11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7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기록 매체에 대한 기입 판독 단위 내의 정보 내에, 복수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 있어서,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부가 정보를, 해당 복호 재생 단위에 대한 대응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기록 방법이다. 시계열 정보를 데이터 압축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압축된 시계열 정보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 각각에는,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부가하여 기록한다.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부가 정보를, 대응하는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한다.

Description

기록 방법, 기록 장치, 기록 매체, 재생 방법, 재생 장치 및 촬상 장치{RECORDING METHOD, RECORDING DEVICE, RECORDING MEDIUM, REPRODUCTION METHOD, REPRODUCTION DEVICE, AND IMAGE PICKUP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화상 정보나 오디오 정보 등의 시계열 정보를 압축하여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방법, 장치 및 그 재생 방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화상 정보 및 오디오 정보 등의 시계열 정보를, 디스크, 테이프,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한정된 기입 영역에, 보다 장시간분의 시계열 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시계열 정보는, 데이터 압축하도록 한다.
이 데이터 압축의 방법으로는, 종래부터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MPEG 방식에서는, 화상 정보에 대해서는, 화상 정보의 복호 재생 단위인 화상 프레임(혹은 화상 필드)의 정보의 상관을 이용한 예측 부호화와,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 이산 코사인 변환)을 이용한 데이터 압축을 행한다.
MPEG 방식에서는, 각 프레임(또는 필드. 이하 마찬가지이지만,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이하의 설명에서는, 「프레임」의 단어만을 사용하는 것으로 함)의 화상은, 압축의 방법의 차이에 따라, I 픽쳐와, P 픽쳐와, B 픽쳐, 3개의 타입으로 나누어진다.
I 픽쳐는, 1 프레임 내만으로 끝낸 압축 부호화를 행하는 화상(프레임내 부호화 화상)이다. P 픽쳐는, 해당 화상 프레임보다도 전의 화상 프레임과의 상관을 이용한 압축 부호화를 행하는 화상(순방향 예측 부호화 화상)이다. 또한, B 픽쳐는, 해당 화상 프레임의 전과 후의 화상 프레임의 상관을 이용한 압축 부호화를 행하는 화상(쌍방향 예측 부호화 화상)이다.
그리고, MPEG 방식에서는, 기록 매체에 대한 기입/판독의 단위(기입 판독 단위)는, 복수 프레임분으로 이루어지는 소위 GOP(Group of Picture)로 구성된다. 도 9a 도 내지 도 9b에 GOP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9a 도 내지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MPEG 방식에서는, GOP에는, I 픽쳐가, 적어도 1매 반드시 포함되어 있다. P 픽쳐와 B 픽쳐만으로는, 화상의 복호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GOP에 I 픽쳐가 포함됨에 따라, GOP 단위로 랜덤 액세스가 가능하게 된다.
I 픽쳐 및 P 픽쳐는, 원래의 화상과 동일한 순서로 부호화 처리되지만, B 픽쳐는, I 픽쳐 및 P 픽쳐를 먼저 부호화 처리한 후, 부호화 처리하도록 한다. 이 부호화의 순서를 고려하여, MPEG 인코더에서는, 화상의 순서가, 도 9a의 상태에서의 배열순의 것으로부터,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배열되고, 해당 재배열된 화상 정보에 대하여, 압축 부호화의 처리가 이루어진다(일본 특개평8-214265호 공보 참조).
즉, 도 9a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P 픽쳐는, 전방의 I 픽쳐 혹은 P 픽쳐를 이용한 예측 부호화를 행한다. 또한, B 픽쳐는, 전방 및 후방의 I 픽쳐 또는 P 픽쳐 사이에 끼워진 2매분에 대하여, 이들 전방 및 후방의 I 픽쳐 또는 P 픽쳐를 이용한 예측 부호화를 행한다.
이와 같이 B 픽쳐는, 부호화 시에, 후방의 I 픽쳐 또는 P 픽쳐를 이용하게 되므로,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B 픽쳐는, 그것을 예측 부호화하기 위해 이용하는 후방의 I 픽쳐 또는 P 픽쳐보다도 후의 순서로 되도록 재배열을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압축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에는, 복호 재생 단위, 즉 픽쳐 단위의 데이터에,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가 부가되어,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그리고, MPEG 방식으로 압축된 화상 데이터의 재생 시에는,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가 기록 데이터로부터 추출되고, 해당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된 픽쳐 단위의 화상 출력이 제어되어, 픽쳐의 배열순이 원래대로 복귀된다.
그런데, 예를 들면, 정지 화상뿐만 아니라 동화상도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에서도, 데이터 압축 방식으로서 MPEG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촬영 시각 외, 조리개, 노출값, 화이트 밸런스의 상태 등의 촬영 조건을 화상 정보에 부가 정보로 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으면 편리하다.
특히, 화상의 프레임 단위에서의 촬영 시각이나 촬영 조건 등의 부가 정보가, 각 프레임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여 기록되면, 어떻게 하여 해당 프레임의 화상이 촬영되었는지 알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이들 프레임 단위의 화상에 대한 부가 정보는, 화상 재생 처리나 편집 처리 시에 참조함으로써, 재생 화질의 향상이 도모되거나, 또한 세심한 편집 처리가 가능하게 되는 등, 다양한 용도에의 응용이 기대된다.
그러나, MPEG 방식의 기록 데이터의 전송 포맷에서는, 화상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부가 정보의 기록(전송)에 대한 방책은 제안되고 있지 않으며, 어떻게 하여 부가 정보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상태에서 부가할지에 관한 것이 기술적인 과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 전술한 MPEG 방식과 같이, 복호 재생 단위로서의 화상의 프레임을, 기록 매체에 대한 기입 판독 단위인 GOP 내에, 복수 단위분 포함하는 경우에,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 각각에 대하여, 부가 정보를 기록하려는 경우에는, 각 복호 재생 단위에 대한 부가 정보를, 어떻게 하여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응지어 기록할지에 관한 것이 중요하게 된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MPEG 방식에서의 기입 판독 단위인 GOP 내와 같이, 부호화 처리 시에, 프레임 순서가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배열되어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에는, 각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와, 그 부가 정보와의 대응짓기가 어렵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기록 매체에 대한 기입 판독 단위 내의 정보 내에, 복수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 각각에 대한 부가 정보를, 각 복호 재생 단위에 대한 대응을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기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계열 정보를 데이터 압축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압축된 상기 시계열 정보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 각각에는,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부가하여 기록하는 방법에서,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 중, 소정 시간마다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부가 정보를, 대응하는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상기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에 관련되어,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부가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므로,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와 그 부가 정보를 관련지어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부가 정보를 대응하는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의 재생 출력에 맞게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의 재생 처리를 제어하는 것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방법의 실시예가 적용된 촬상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의 데이터 인코드 및 다중화 처리 부분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DVD-Video 포맷에 의한 광 디스크 상의 논리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방법의 실시예의 주요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방법의 실시예의 주요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에서의 데이터 분리 처리 및 데이터 디코더 부분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방법의 실시예의 주요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방법의 실시예의 주요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b는 MPEG 방식에서의 GOP 내의 픽쳐의 재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방법 및 재생 방법의 실시예를, 기록 매체로서 예를 들면 광 디스크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광 디스크로서 DVD-R(Digital Versatile Disc Recordable)이나 DVD-RW(Digital Versatile Disc Re-Writable) 등의 기입 가능한 광 디스크를 이용하는 경우이다. 그리고, 데이터 압축 방식으로는, MPEG2 방식이 이용되어, 기록 데이터는, MPEG2-PS(PS ; Program Stream)의 구성으로 된다.
도 1은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예의 디지털 카메라는, 카메라부(10)와, 기록 재생 처리부(20)와, 제어부(30)로 이루어진다.
제어부(3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301)에 대하여, 시스템 버스(302)를 통하여, 프로그램 ROM(Read Only Memory)(303)과, 워크 에리어용 RAM(Random Access Memory)(304)과, 조작 입력부(31)를 접속하기 위한 조작 입력 인터페이스(305)와, 표시 장치로서의 LCD(Liquid Crystal Display)(32)를 접속하기 위한 LCD 컨트롤러(306)와, 메모리 카드(50)를 장전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307)와,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통신 인터페이스(308)와, 시계 회로(309)와, I/O 포트(310, 311, 312, 313, 314, 315, 316)가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ROM(303)에는, 카메라부(1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촬영한 화상 정보나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음성 정보에 대한 기록 제어 및 재생 제어, 그 밖의 프로그램이 기입되어 있다.
조작 입력부(31)에는, 촬영 모드와 재생 모드 등의 다른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 키, 줌 조정 키, 노출 조정을 위한 키, 셔터 키, 동화상 촬영용 키, 화이트 밸런스 조정용 키 등의 복수의 키가 설치되어 있다.
CPU(301)는, 조작 입력 인터페이스(305)를 통하여 입력되는 조작 입력부(31)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해석하고, 조작 입력부(31)의 어느 한 키가 조작되었는지 판별하여, 그 판별 결과에 따른 제어 처리를 행한다.
LCD(32)에는, CPU(301)의 제어하에서, 촬영 시의 화상이나 촬영 조건이 표시됨과 함께,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재생 화상이나 부가 정보가 표시된다.
시계 회로(309)는, 도시를 생략한 기준 클럭 신호 발생 회로로부터의 클럭 신호를 계측하여, 년, 월, 일, 시간, 분, 초를 나타내는 시간 정보를 생성한다. 초는, 화상의 프레임 단위를 계수할 수 있는 소수점 이하의 정밀도의 정보를 발생하도록, 이 시계 회로(309)는 구성되어 있다.
이 예의 디지털 카메라는, 기록 데이터를 광 디스크(40)(이하, DVD(40)라고 기재함)에 기록할 수 있는 것 외에, 메모리 카드(50)에도 기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경우에는, 메모리 카드(50)에는,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307)를 통하여 압축 데이터가 기록된다.
통신 인터페이스(308)는, 예를 들면 이 예의 디지털 카메라를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하여, 기록 데이터나 그 밖의 데이터를 교환할 때에 이용된다.
카메라부(10)는, 카메라 광학계(11)와, 카메라 컨트롤부(12)와, 촬상 소자(13)와, 촬상 신호 처리부(14)와, 마이크로폰(15)과, 입력 오디오 신호 처리부(16)로 구성된다.
카메라 광학계(11)는, 도시를 생략했지만, 피사체를 촬상하기 위한 렌즈군과, 조리개 조정 기구, 포커스 조정 기구, 줌 기구, 셔터 기구, 플래시(스트로브) 기구를 구비함과 함께, 손 떨림 보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 컨트롤부(12)는, 제어부(30)의 I/O 포트(310)를 통한 제어 신호를 받아, 카메라 광학계(11)에 공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카메라 광학계(11)에 공급하여, 줌 제어, 셔터 제어, 노출 제어 등의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30)의 I/O 포트(310)를 통한 신호에는, 조작 입력부(31)에서의 그 시점에서의 조작 입력에 따른 제어 신호뿐만 아니라, 조작 입력부(31)에서의 조작 입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촬영 조건에 기초한 제어 신호가 포함된다.
촬상 소자(13)는, 이 예에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로 구성되고, 그 결상면에, 카메라 광학계(11)를 통과한 상이 결상된다. 그리고, 셔터 조작에 따라 제어부(30)의 I/O 포트(311)로부터 발생하는 화상 캡쳐 타이밍 신호를 받아, 결상면에 결상되어 있는 피사체상을 촬상 신호로 변환하여, 촬상 신호 처리부(14)에 공급한다.
촬상 신호 처리부(14)에서는, 제어부(30)의 I/O 포트(312)를 통한 제어에 기초하여, 촬상 신호에 대한 감마 보정이나 AGC(Auto Gain Control) 등의 처리를 행함과 함께, 촬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처리도 행한다.
또한, 마이크로폰(15)에 의해, 촬영 시의 피사체 주변의 음성이 수집된다. 그리고, 이 마이크로폰(15)으로부터의 음성 신호가 입력 오디오 신호 처리부(16)에 공급된다.
입력 오디오 신호 처리부(16)에서는, 제어부(30)의 I/O 포트(312)를 통한 제어에 기초하여, 입력 오디오 신호에 대한 보정이나 AGC(Auto Gain Control) 등의 처리를 행함과 함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처리도 행한다.
도 1에서는, 도시를 생략했지만, 이 예의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외부 마이크로폰 단자를 구비하여, 해당 외부 마이크로폰 단자에 외부 마이크로폰이 접속된 경우에는, 입력 오디오 신호 처리부(16)에는, 내장 마이크로폰(15)이 아니고, 해당 외부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가 공급되도록, 자동적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입력 오디오 신호 처리부(16)에서의 AGC 처리는, 내장 마이크로폰(15)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가 입력된 경우와, 외부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그 특성의 차이를 고려한 처리가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AGC 처리의 전환은, 입력 오디오 신호 처리부(16)로의 오디오 신호의 입력 전환에 연동하여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록 재생 처리부(2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21)와, DVD 신호 처리부(22)와, 기입/판독부(23)와, 비디오/오디오 출력 처리부(24)로 이루어진다. DSP(21)에는, 예를 들면 SDRAM으로 이루어지는 버퍼 메모리(25)가 접속되어 있다.
DSP(21)에는, 촬상 신호 처리부(14)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 및 입력 오디오 신호 처리부(16)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입력됨과 함께, 제어부(30)의 I/O 포트(313)를 통하여, 촬영 시의 정보가 입력된다. I/O 포트(313)를 통하여 입력되는 촬영 시의 정보에는, 프레임 단위의 촬영 시각이나, 촬영 조건 정보가 포함된다.
촬영 시각의 정보로서는, 이 예에서는, 시계 회로(309)로부터의 시각 정보를 그 때마다 판독하여 이용한다. 그러나, 동화상의 촬영 개시 시점에서, 시계 회로(309)의 시각 정보(촬영 개시 시각)를 취득하고, 그 이후에는, 상기 촬영 개시 시각을 기준으로 한 프레임 단위의 상대 시각(프레임 번호라도 됨)을 촬영 시각으로서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촬영 조건 정보에는,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정보와의 양방을 포함하고, 예를 들면, 노출 제어 정보,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정용 정보, 디지털 줌 배율 정보, 손 떨림 보정 정보, F값(F 번호), 노출 시간, AGC 게인값, 렌즈 촛점 거리 등의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음성 정보의 취득 수단으로서 내장 마이크로폰(15)을 사용했는지, 혹은 외부 마이크로폰을 사용했는지의 정보도, 촬영 시의 정보에 포함된다.
전술한 촬영 시의 정보는, 이 실시예에서는, 후술한 바와 같이, 부가 정보로서 화상의 프레임 단위로 생성되어, 기록되게 되어 있다.
DSP(21)는, I/O 포트(313)를 통한 카메라 정보에 기초하여, 촬상 신호 처리부(14)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에 대하여, 자동 화이트 밸런스 제어나, 노출 보정을 위한 제어, 디지털 줌 배율에 따른 제어 등을 행한다. 그리고, DSP(21)는, 이러한 제어가 가해진 디지털 화상 신호와, 입력 오디오 신호 처리부(16)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MPEG2 방식에 의해 데이터 압축한다.
또한, DSP(21)는, 입력된 촬영 시 정보에 대하여, 해당 촬영 시 정보를 부가 정보로 하여 압축 화상 데이터나 압축 오디오 데이터와 함께 기록하기 위한 부가 정보 처리를 행한다.
DSP(21)는, 또한 압축한 화상 데이터와, 압축한 오디오 데이터와, 전술한 부가 정보를, 다중화하여, MPEG-PS 포맷에 따른 데이터 열로 되도록 하는 처리도 행한다.
그리고, DSP(21)로부터의 MPEG-PS 포맷의 데이터는, I/O 포트(314)를 통하여 제어부(30)의 제어를 받는 DVD 신호 처리부(22)의 기록 신호 처리부를 통하여 기입/판독부(23)에 공급되어, 이 기입/판독부(23)에 의해, DVD(40)에 기입된다. 기입/판독부(23)는, I/O 포트(316)를 통하여 제어부(30)의 제어를 받는다.
그리고, 기입/판독부(23)에 의해 DVD(40)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는, DVD 신호 처리부(22)의 재생 신호 처리부를 통하여 DSP(21)에 공급된다.
DSP(21)에서는, 다중화되어 있는 압축 화상 데이터와, 압축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정보를 분리한다. 그리고, DSP(21)는, 분리된 압축 화상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여, 원래 배열순의 프레임 단위의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비디오/오디오 출력 처리부(24)에 출력함과 함께, 분리된 압축 오디오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여, 비디오/오디오 출력 처리부(24)에 출력한다.
비디오/오디오 출력 처리부(24)는, I/O 포트(315)를 통하여 제어부(30)의 제어를 받아, 출력해야 할 화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하여, 디지털 데이터로서의 화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는, I/O 포트(315)를 통하여 제어부(30)에 공급함과 함께, D/A 변환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한 화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는, 출력 단자(26V 및 26A)에 출력한다. I/O 포트(315)를 통하여 제어부(30)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의한 재생 화상은, LCD 컨트롤러(306)의 제어에 기초하여, LCD(32)의 화면에서 재생 표시된다.
[데이터 압축 및 다중화 처리에 대하여]
계속해서, DSP(21)에서의 데이터 압축 및 다중화의 처리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즉, DSP(21)에서는, 촬상 신호 처리부(14)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촬상 시의 설정 조건이나 제어 조건에 따라 제어 처리가 이루어진 후, 버퍼(201)를 통하여 비디오 인코드부(202)에 공급된다.
비디오 인코드부(202)에서는, 적어도 1매의 I 픽쳐와, 복수매의 P 픽쳐 및 B 픽쳐로 이루어지는 GOP를 구성하고, 이 GOP를, 기록 매체로서의 DVD에 대한 기입 단위로 하여, 압축 처리하도록 한다.
즉, 비디오 인코드부(202)에서는, 우선 픽쳐순 재배열부(2021)에서, 전술한 도 9a 내지 도 9b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GOP 내에서의 픽쳐순의 재배열을 행한다.
그리고, 계속해서 압축 부호화부(2022)에서, I 픽쳐에 대해서는, 프레임내 부호화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압축을 행하고, P 픽쳐에 대해서는, 전방의 I 픽쳐 또는 P 픽쳐와의 상관을 이용한 프레임간 예측 부호화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압축을 행하고, B 픽쳐에 대해서는, 전방 및 후방의 I 픽쳐 또는 P 픽쳐와의 상관을 이용한 프레임간 예측 부호화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압축을 행한다. 또, P 픽쳐에 대해서는, 프레임내 부호화 처리를 행하는 화상 부분도 존재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압축 부호화부(2022)에서 압축 부호화 처리가 행해진 화상 데이터는, 가변 길이 부호화부(2023)에서 허프만 부호 등을 이용한 가변 길이 부호화 처리가 행해진 후, 버퍼(203)를 통하여 멀티플렉스부(다중화부)(211)에 공급된다.
또한, DSP(21)에서는, 입력 오디오 신호 처리부(16)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는, 촬상 타이밍에 동기하여 취득된 버퍼(204)를 통하여 오디오 인코드부(205)에 공급되어, 소정량의 오디오 데이터(오디오 프레임이라고 함)를 복호 재생 단위로 하여, 압축 부호화된다. 압축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는, 버퍼(206)를 통하여 멀티플렉스부(211)에 공급된다.
또한, DSP(21)에서는, I/O 포트(313)로부터 입력된 촬영 시 정보는, 버퍼(207)를 통하여 부가 정보 처리부(208)에 공급되어, 화상의 프레임 단위에 부가하는 부가 정보가 생성된다. 그리고, 생성된 부가 정보는, 버퍼(209)를 통하여 멀티플렉스부(211)에 공급된다.
멀티플렉스부(211)에서는, 화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부가 정보 각각을 패킷화하여, 화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부가 정보를 다중화한다. 이 경우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패킷 데이터에 팩 헤더를 부가하고 그룹화하여, 팩을 구성한다. 이 멀티플렉스부(211)로부터의 다중화 출력 데이터는, DVD 신호 처리부(22)에 출력되어, 기입/판독부(23)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DVD(40)에 기입된다.
그리고, 화상 데이터와 오디오와의 동기를 취하기 위해, MPEG 방식에서는, 화상 데이터 혹은 오디오 데이터의 복호 재생 단위(화상 데이터는, 1 프레임 단위, 오디오 데이터에서는, 오디오 프레임 단위)마다, 타임 스탬프라고 하는 관리 정보가 부가된다.
이 타임 스탬프의 정보는, 시각 관리 정보 발생부(210)로부터 멀티플렉스부(211)에 공급된다. 이 타임 스탬프는, SCR(System Clock Reference ; 시스템 시각 기준 참조값)에 의해 시간 기준이 부여된다.
타임 스탬프는, 멀티플렉스부(211)에서, 패킷 중에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의 선두가 있는 경우에, 그 패킷 헤더에 부가되고, 패킷 중에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의 선두가 없는 경우에는 부가되지 않는다.
타임 스탬프에는, PTS(Presentation Time Stamp)와, DTS(Decoding Time Stamp)의 2 종류가 있다.
PTS는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의 재생 출력의 시각 관리 정보이다. 즉, PTS는,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를, 언제 재생 출력할지에 대한 시각 관리 정보이다.
또한, 타임 스탬프 DTS는,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의 복호의 시각 관리 정보이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MPEG 방식에서는, 픽쳐의 배열순을 부호화할 때에 재배열에 의해, 재생 출력 순서와, 복호 순서가 상이한 것에 대응하여 설치된 것이다.
타임 스탬프 PTS와 DTS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양방의 타임 스탬프가 패킷 헤더에 부가되고, 일치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타임 스탬프 PTS만이 패킷 헤더에 부가된다.
이상과 같이, 타임 스탬프 PTS는,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의, 원래의 배열순에 대응하는 것이고, 또한 각 프레임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시각 관리 정보이다.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는, 타임 스탬프 DTS는 부가되지 않고, 타임 스탬프 PTS만이 부가된다.
그런데, 이 실시예에서는, 부가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여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MPEG 방식에서는, 프레임 단위의 화상 정보, 즉 픽쳐는 부호화 처리 시에 배열순이 변경되는 것도 아울러, 각 프레임에 대한 부가 정보와, 대응하는 프레임의 화상 정보와의 대응짓기에 대한 고안이 필요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시각 관리 정보의 PTS가,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의, 원래의 배열순에 대응하는 것이고, 또한 각 프레임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시각 관리 정보인 것을 이용하여, 이 PTS를 매개로 하여, 복호 재생 단위로서의 프레임 단위의 화상 데이터와, 해당 화상 데이터에 대한 부가 정보와 대응짓도록 한다. 이 대응짓기의 처리는, 멀티플렉스부(211)에서 이루어진다.
이하에, 이 멀티플렉스부(211)에서의 화상 프레임과, 부가 정보와의 대응짓기를 위한 처리에 대한 몇개의 예를 설명한다.
[화상 프레임과 부가 정보와의 대응짓기의 제1 예]
이 제1 예는, DVD-Video 포맷에 의한 기록 시의 경우이다. DVD-Video 포맷에 의한 광 디스크 상에서의 기록 데이터의 논리 배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으로 된다.
즉, 광 디스크의 기록 에리어는,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디스크의 반경 방향에서 봤을 때, 최내주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리드 인 에리어, 데이터 존 에리어, 리드 아웃 에리어로 구분된다. 그리고, 데이터 존 에리어에, 관리 정보 및 화상 데이터 등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데이터 존 에리어는, 리드 인 에리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UDF(Universal Disc Format) 에리어, VMG(Video ManaGer) 에리어, 리얼타임 데이터 기록 에리어로 구분된다. UDF 에리어 및 VMG 에리어는, 광 디스크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 등의 파일을 관리하는 관리용 정보의 기록 에리어이다. UDF 에리어는, UDF 규격과 ISO9660 규격을 서포트함으로써, 컴퓨터로 광 디스크를 읽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것이다. VMG 에리어는, DVD 관리용 정보의 기록 에리어이다.
리얼타임 데이터 기록 에리어는, 화상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에리어이고,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VTS(Video Title Set)라는 데이터군을 단위로 하여, 데이터의 기록이 이루어진다.
VTS는,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VTSI(Video Title Set Information)와, VTSM_VOBS(Video Object Set For the VTSMenu)와, VTSTT_VOBS(Video Object Set For Titles in a VTS)와, VTSI_BUP(Backup of VTSI)로 이루어진다.
VTSTT_VOBS에는, 도 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MPEG2-PS 포맷의 압축 데이터가, VOBU(Video Object Unit)라는 정보 블록을 기입 판독 단위로 하여 기록된다. VOBU에는, 화상 데이터는, 1GOP가 포함되고, 오디오 데이터는 해당 1GOP에 대응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즉, 광 디스크에는, 1GOP 단위로 기입 판독되는 것과 동일하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후술한 바와 같이, VOBU에는, GOP를 구성하는 프레임 단위의 화상 데이터 각각에 대한 부가 정보도 포함된다.
VTSI에는, 화상 데이터 등의 기록 위치 정보 등의 관리 정보가 기록된다. 또한, VTSM_VOBS에는 화상 데이터 등의 루트 메뉴가 기록된다. 이 VTSM_VOBS는 옵션이다. 또한, VTSI_BUP는 VTSI의 백업 정보이다.
기입 판독 단위 데이터 VOBU는, 도 3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팩 PCK로 구성된다. 팩 PCK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패킷으로 이루어진다. 이 예에서는, 팩은 1 패킷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DVD-Video 포맷에서는, 1팩은 2048 바이트(1 섹터에 대응)로 정해져 있다.
이 예의 경우의 1팩은, 도 3의 (F)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팩 PCK의 선두는 팩 헤더로 된다. 그리고, 팩 헤더 다음에는, 패킷 헤더가 위치하고, 패킷 헤더에 이어, 화상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킷 데이터가 위치한다. 이 화상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의 패킷 포맷은, 프라이빗1 패킷으로 되어 있다.
팩 헤더 내에는, 전술한 시간 기준의 정보 SCR이 포함된다. 그리고, 패킷 헤더의 선두는, 패킷 개시 코드로 됨과 함께, 이 패킷 헤더 내에는 PTS 플래그, DTS 플래그 등의 플래그 정보와, 타임 스탬프의 정보 PTS, DTS가 포함된다. PTS 플래그, DTS 플래그는, 해당 패킷 내에 타임 스탬프의 정보 PTS, DTS가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타임 스탬프의 정보 PTS, DTS는, 패킷 내에 픽쳐의 선두가 포함되는 경우에, 그 패킷 헤더 내에 부가된다.
그리고, 이 제1 실시예에서는, 부가 정보는, 1 프레임분마다 1 팩(1 패킷)을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부가 정보의 패킷에는,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의 타임 스탬프 PTS가 포함된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부가 정보의 패킷은, 프라이빗1 패킷의 형식으로 된다. 이 부가 정보의 팩은, 제1 실시예에서는, 타임 스탬프 PTS가 부가되는 화상 데이터의 팩 전에 다중화하도록 한다.
이 제1 실시예에서의 다중화의 처리를, 도 4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1GOP 분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부가 정보와 화상 데이터와의 다중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다중화는 생략했다. 이 예에서는, 1GOP는, 15 프레임(15매의 픽쳐)으로 구성된다.
도 4의 (A)는, 버퍼(201 및 207)에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와 부가 정보를 도시하는 것이다. B0, B1, I2, B3, B4, P5…P14는, 프레임 단위의 화상 데이터를 픽쳐 타입도 고려하여 나타낸 것으로, B는 B 픽쳐를, I는 I 픽쳐를, P는 P 픽쳐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각 서픽스 번호는, 픽쳐 타입과 무관하게, 프레임 단위의 연속 번호를 부여한 것이다.
또한, A0∼A14는, 각 서픽스 번호의 화상 프레임에 대한 부가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즉, 부가 정보 A0∼A14의 각각은, 서픽스 번호가 동일한 화상 프레임에 대한 부가 정보로 되어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는, 비디오 인코드부(202)의 픽쳐순 재배열부(2021)에서, 픽쳐순의 재배열이 이루어져,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것에 대하여, 이 예에서는, 부가 정보에 대해서는, 배열순은 변경되지 않으므로, 도 4의 (B)에 도시하는 부가 정보는, 도 4의 (A)에 도시한 부가 정보와 동일한 배열순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배열순으로는, 각 픽쳐와, 그것에 관한 부가 정보와의 대응짓기가 어려워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멀티플렉스부(211)에서는, 각 픽쳐의 화상 데이터에는, 재생 출력의 시간 관리 정보인 타임 스탬프 PTS가, 그 픽쳐의 선두가 포함되는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도록 되어 있다. 도 4의 (B)의 각 픽쳐의 하측에 도시한 타임 스탬프 PTS#(#는 서픽스 번호로, 번호가 작을 수록 빠른 시각으로 됨)는, 각 픽쳐에 대하여 부가되는 타임 스탬프 PTS를 나타내고 있다. 재생 출력은, 원래의 프레임순이므로, 각 픽쳐의 서픽스 번호와 타임 스탬프 PTS의 서픽스 번호는 동일한 것으로 된다.
마찬가지로 함으로써, 이 실시예에서는, 멀티플렉스부(211)에서는, 각 픽쳐에 대한 부가 정보에 대해서도, 각각 동일한 서픽스 번호의 타임 스탬프 PTS가 부여된다. 따라서, 픽쳐순이 재배열되어도, 타임 스탬프 PTS를 참조함으로써, 각 부가 정보가 어느 픽쳐에 대한 것인지의 대응짓기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 픽쳐의 압축 화상 데이터는,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팩으로서 기록된다. 도 4의 (C)에서, V_PCK는 비디오 팩(화상 데이터의 팩)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말미의 I#, P# 및 B#는, 도 4의 (A), 도 4의 (B)에 도시한 각 픽쳐의 압축 화상 데이터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타임 스탬프 PTS는, 각 픽쳐의 선두가 포함되는 패킷의 패킷 헤더에 포함된다. 이 예에서는 팩에는, 1 패킷이 포함되는 것으로 하고 있으므로, 해당 패킷을 포함하는 팩 내에 타임 스탬프 PTS가 포함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각 부가 정보의 팩 ARI_PCK#(#는 서픽스 번호)는,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임 스탬프 PTS가 포함되는 비디오 팩 직전에 다중화된다.
또, GOP의 데이터가 포함되는 VOBU의 선두의 팩 NV_PCK는, 내비게이션 팩이라는 것으로, 이것에는 데이터 서치 인포메이션(예를 들면 점프 시에 어떤 섹터까지 점프할지 지시하는 제어 정보) 등의 재생 관리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 부가 정보에는, 각 프레임 단위의 촬영 시각 정보(기록 시각 정보)와, 카메라 설정 정보가 포함된다. 카메라 설정 정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F 번호, 노출 시간, 노출 프로그램, 노광 보정값, AGC 게인값, 렌즈 촛점 거리, 플래시, 화이트 밸런스 조정값, 디지털 줌 배율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전술한 제1 예에서는, 비디오 팩 V_PCK 중 타임 스탬프 PTS가 패킷 헤더에 부가되는 팩 직전에 1팩씩 다중화하도록 했지만, 타임 스탬프 PTS가 패킷 헤더에 부가되는 팩 직후에 1팩씩 다중화하도록 해도 된다.
[화상 프레임과 부가 정보와의 대응짓기의 제2 예]
전술한 제1 예에서는, GOP를 구성하는 15매의 픽쳐 각각에 대한 부가 정보의 팩 ARI_PCK#는, 비디오 팩 V_PCK 중 타임 스탬프 PTS가 패킷 헤더에 부가되는 팩의 직전 또는 직후에 1팩씩 다중화하도록 했지만, VOBU 내의 특정한 위치에, 15매의 픽쳐 각각에 대한 부가 정보의 팩 ARI_PCK#를 통합하여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 제2 예는, 그 경우의 예이며,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5의 (A)에 도시하는 VOBU 각각에서, 내비게이션 팩 NV_PCK의 직후에, 15매의 픽쳐 각각에 대한 부가 정보의 팩 ARI_PCK0∼ARI_PCK14를 통합하여 배치한다.
부가 정보의 팩 ARI_PCK0∼ARI_PCK14에는, 각각의 부가 정보가 대응하고 있는 픽쳐에 부가되는 타임 스탬프 PTS와 동일한 타임 스탬프 PTS가 부가되어 있는 것은, 제1 예와 마찬가지이다.
또, 이상의 설명에서는, 부가 정보의 팩 ARI_PCK0∼ARI_PCK14는, 내비게이션 팩 NV_PCK 직후에 통합하여 배치하도록 했지만, VOBU의 마지막으로 통합하여 배치하도록 할 수도 있고, 또한 VOBU 내의 중간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통합하여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데이터 분리 및 데이터 압축 해제 처리에 대하여]
계속해서, DSP(21)에서의 화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부가 정보의 분리 처리 및 화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압축 해제 처리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기입/판독부(23)에 의해 DVD(40)로부터, VOBU 단위로 판독된 데이터는, 디멀티플렉서(221)에서, 화상 데이터 팩과, 오디오 데이터 팩과, 부가 정보 팩으로 분리된다.
디멀티플렉서(221)에서는, 각각의 팩으로부터 팩 헤더 및 패킷 헤더를 분리하고, 이들의 헤더 정보를 제어부(220)에 공급한다. 제어부(220)에서는, 헤더 정보를 해석하여, 타임 스탬프 PTS 및 DTS를 추출하고, 화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부가 정보의 디코드 처리 및 재생 출력을 제어한다.
또한, 디멀티플렉서(221)는, 분리한 화상 데이터 팩으로부터 추출한 압축 화상 데이터는, 버퍼(222)를 통하여 비디오 디코더부(225)에 공급하고, 분리한 오디오 데이터 팩으로부터 추출한 압축 오디오 데이터는, 버퍼(223)를 통하여 오디오 디코더부(226)에 공급하고, 분리한 부가 정보 팩으로부터 추출한 부가 정보는 버퍼(224)를 통하여 부가 정보 디코더부(227)에 공급한다.
그리고, 비디오 디코더부(225)에서는, 제어부(22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타임 스탬프 DTS에 따른 순서로, 화상 데이터의 압축 해제 처리를 행하여, 프레임 단위의 화상 데이터를 복원하여, 버퍼(228)에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이 버퍼(228)로부터, 화상 데이터 팩에 포함되었던 타임 스탬프 PTS에 따른 순서로, 프레임 단위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비디오 신호 처리부(231)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오디오 디코더부(226)에서는, 제어부(22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순차적으로 오디오 데이터의 압축 해제 처리를 행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복원하여, 버퍼(229)에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이 버퍼(229)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팩에 포함되었던 타임 스탬프 PTS에 따른 순서로,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오디오 신호 처리부(232)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부가 정보 디코더부(227)에서는, 제어부(22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프레임 단위의 화상 데이터에 대한 부가 정보를 재생하여, 버퍼(230)에 출력한다. 이 경우, 부가 정보 디코더부(227)에서는, 부가 정보는, 화상 데이터의 제어용 정보 Av와, 오디오 데이터 제어용 정보 Aa와, 촬영 연월일, 시간 등의 표시용 정보 Ad를 생성하여, 각각 버퍼(230)에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이 버퍼(230)로부터, 부가 정보 팩에 포함되었던 타임 스탬프 PTS에 따른 순서로, 프레임 단위의 화상 데이터에 대한 부가 정보를 판독하지만, 화상 데이터의 제어용 정보 Av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231)에, 오디오 데이터 제어용 정보 Aa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232)에, 표시용 정보 Ad는, OSD(On Screen Display) 회로(233)에, 각각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타임 스탬프 PTS에 따라 버퍼(230)로부터 비디오 신호 처리부(231) 및 오디오 신호 처리부(232)에, 화상 데이터의 제어용 정보 Av 및 오디오 데이터 제어용 정보 Aa가 공급되므로, 이들의 제어용 정보 Av 및 Aa는, 대응하는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로 되어, 자동적으로 대응짓기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화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제어용 정보 Av 및 Aa에 의해, 적절한 제어 처리가 이루어진다.
비디오 신호 처리부(231)에서는, 화상 데이터의 제어용 정보 Av에 따른 화상 데이터 처리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촬영 시의 오토 화이트 밸런스 조정에 따른 화상 데이터 제어 등을 행한다.
또한, 오디오 신호 처리부(232)에서는, 오디오 데이터 제어용 정보 Aa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제어 처리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내장 마이크로폰으로 수음(收音)한 음성이나, 외부 마이크로폰으로 수음한 음성에 의해, AGC 특성이 바뀌어져 기록되고 있으므로, 그것에 대응한 제어 처리를 하도록 한다.
표시용 정보 Ad는, 촬영 연월일, 촬영 시각, 줌 배율 등의 표시 정보이고, OSD 회로(233)를 통하여 합성부(234)에 공급되어, 비디오 신호 처리부(231)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합성된다. 이 합성부(234)로부터의 화상 데이터가 비디오/오디오 출력 처리부(24)를 통하여 제어부(30)에 공급되어, LCD(32)의 화면에 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와 부가 정보의 표시용 정보 Ad는, 대응하는 프레임의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타임 스탬프 PTS에 기초하여 버퍼(228 및 230)로부터 판독되어 합성되므로, LCD(32)의 화면에는, 프레임 단위의 촬영 시각이 정확하게 표시된다.
[그 밖의 실시예]
[제1 다른 예]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부가 정보는, 화상 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1팩으로서 기록하도록 했지만, 하나의 VOBU에 대하여, 1팩분을 부가 정보 팩 ARI_PCK로서, 그 1팩 내에, VOBU 내의, 이 예에서는 15매의 픽쳐(프레임)에 대한 부가 정보를 통합하여 기록하도록 해도 된다.
도 7은, 그 경우의 데이터 포맷의 일례를 도시하는 것이다. 즉, 이 예에서는, 도 7의 (A)에 도시하는 VOBU 각각에 대하여,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팩 NV_PCK의 직후에, 1팩분의 부가 정보의 팩 ARI_PCK를 배치한다.
그리고, 이 부가 정보의 팩 ARI_PCK에는, 각 화상 프레임에 대한 부가 정보와 PTS와의 조(組)를, GOP을 구성하는 15매의 화상 프레임분, 포함시키도록 한다.
즉,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화상 프레임에 대한 부가 정보의 데이터 ARI_DT#(#는 프레임 번호)와, 그 화상 프레임에 부가되는 타임 스탬프 PTS#를 대응지은 조의 데이터 ARI_SET#를 생성한다. 그리고, GOP를 구성하는 15매의 프레임에 대한 15조의 데이터 ARI_SET0∼ARI_SET14를 순서대로, 부가 정보 팩 ARI_PCK 내에 포함시키도록 한다.
이 예의 경우에는, 부가 정보용의 패킷 ARI_PCK의 패킷으로는, 전술한 예와 같이, 프라이빗1 패킷을 사용할 수 있지만, 도 7의 (D)에 도시하는 프라이빗2 패킷도 사용 가능하다.
이 예의 경우에는, 데이터 재생 시에는, 각 조의 데이터 ARI_SET로부터 PTS를 검출하고, 이 PTS를 이용하여, 전술한 예와 같이, 화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와의 시간을 맞추어, 부가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화상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의 제어용으로서 사용함과 함께, 화면의 표시 데이터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다른 예]
도 4에 도시한 예에서는, 부가 정보에 대해서는, 픽쳐순의 재배열과 무관하게, 원래의 시계열순의 상태로 하여, 타임 스탬프 PTS를 부가한 부가 정보 팩을, PTS가 패킷 헤더에 포함되는 비디오 팩 V_PCK의 전(또는 후)에 부가하도록 했지만, 부가 정보에 대해서도, 화상 데이터에 대한 픽쳐순의 재배열에 따라 재배열하여, PTS가 패킷 헤더에 포함되는 비디오 팩 V_PCK의 전(또는 후)에 부가하도록 해도 된다.
이 제2 다른 예의 경우에는, 비디오 팩 V_PCK와, 부가 정보의 팩 ARI_PCK는, 패킷 헤더에 포함되는 PTS가 동일한 것이 배열되어, 대응짓기가 용이하게 된다.
[제3 다른 예]
전술한 제2 다른 예에 따르면, 부가 정보의 팩 ARI_PCK는, 그 부가 정보가 대응하는 화상 프레임의 비디오 팩이고, PTS가 패킷 헤더에 포함되는 팩의 전 또는 후에 부가되므로, 부가 정보와, 그 부가 정보가 대응하는 화상 프레임과의 대응은, 부가 정보에 PTS가 존재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관계지을 수 있다.
따라서, 제3 다른 예는, 상기 제2 다른 예와 마찬가지로, 부가 정보의 팩 ARI_PCK는, 그 부가 정보가 대응하는 화상 프레임의 비디오 팩으로, PTS가 패킷 헤더에 포함되는 팩의 전 또는 후에 부가하지만, 부가 정보 팩에는, PTS를 포함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이 제3 다른 예에서는, 부가 정보의 팩의 패킷으로는, 도 7의 (D)에 도시한 프라이빗2 패킷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제3 다른 예의 경우에는, 재생 시에는, 각각의 화상 프레임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상기 기록 위치에 의한 대응 관계로부터 추출하도록 함과 함께, 예를 들면, 비디오 팩에 부가되어 있는 PTS에 기초하여, 재생 출력을 관리하거나, 대응하는 부가 정보의 순서를 재배열하여 재생 출력하거나 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복원된 재생 출력 화상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와 대응시켜, 제어용 정보나 표시용 정보로서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제4 다른 예]
이 제4 다른 예는, 도 5에 도시한 예의 변형예로서, 부가 정보 팩 ARI_PCK에는, 타임 스탬프 PTS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이다. 즉, 이 제4의 다른 예에서는, 화상 데이터를 복원했을 때에는, PTS에 의해 원래의 픽쳐순(프레임순)으로 되돌아가 재생되기 때문에, 이 PTS에 기초하여 화상 프레임이 재생되는 순서대로, 부가 정보 팩 ARI_PCK도 배열해 두는 것이다. 따라서,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배열순으로, 부가 정보 팩 ARI_PCK가 배치된다.
그리고, 이 제4 다른 예의 경우에는, 재생 시에는, 각각의 화상 프레임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배열순이 원래대로 복귀되어 재생 출력되는 화상 프레임에 대하여,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복원된 재생 출력 화상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와 대응시켜, 제어용 정보나 표시용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제5 다른 예]
이상의 예는, DVD-Video 포맷으로 기록하는 경우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이지만, DVD-Video Recording(DVD-VR) 포맷에서의 VOBU의 데이터에도, 상술한 바와 완전히 마찬가지로 처리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DVD-VR 포맷인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VOBU의 선두에 배치되는 팩 RDI_PCK 내의 RDI 패킷의 RDI 데이터 영역 내에, 도 7의 예와 마찬가지의 형식의 부가 정보를 배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6 다른 예]
이상의 예는, 모두 화상 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부가 정보를 생성하여, 부가하도록 했지만, 모든 화상 프레임에 대하여 부가 정보를 생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 제6 다른 예는, 그 경우의 예이며,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2 화상 프레임마다 1 프레임, 3 화상 프레임마다 1 프레임, …15 화상 프레임마다 1 프레임…과 같이, 소정 시간마다의 복호 재생 단위로서의 화상 프레임에 대하여, 해당 화상 프레임에 대한 부가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화상 프레임에 대한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하도록 한다.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로서, 전술한 타임 스탬프 PTS를 이용하도록 하면, 소정 시간마다의 복호 재생 단위로서의 화상 프레임의 정보의 재생에 동기하여, 해당 화상 프레임에 대한 부가 정보를 재생하여, 이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 예를 들면 부가 정보가 기록 시간인 경우에는, 부가 정보가 기록되지 않는 화상 프레임에 대한 기록 시간에 대해서는, 기록되어 있는 부가 정보로서의 기록 시간으로부터 용이하게 계산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한, 부가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화상 프레임의 근방의 화상 프레임에 대해서는, 해당 부가 정보를 이들 근방의 화상 프레임에 대한 부가 정보로서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그 밖의 변형예]
또,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방법 및 재생 방법은, 전술한 촬상 장치에만 적용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상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하여 기록하는 다양한 전자 기기에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의 예는, 주로 화상 데이터의 1 프레임 단위에 대하여 부가 정보를 부가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오디오 데이터의 프레임을 복호 재생 단위로 하여 부가 정보를 부가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방법에 따르면,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 각각에 대한 부가 정보를, 각 복호 재생 단위에 대한 대응을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방법에 따르면, 기록 매체에는,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부가 정보가, 해당 복호 재생 단위에 대한 대응을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기록되어 있으므로, 재생된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하여,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 제어 등의 신호 제어가 가능하게 됨과 함께, 복호 재생 단위의 표시 정보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의 표시 정보를 합성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9)

  1. 시계열 정보를 데이터 압축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압축된 상기 시계열 정보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 각각에는,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부가하여 기록하는 방법에서,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 중, 소정 시간마다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부가 정보를, 대응하는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상기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대한 기입/판독의 단위인 기입 판독 단위의 정보에는, 상기 시계열 정보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를 복수 단위분, 포함함과 함께,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는, 상기 기입 판독 단위의 정보 내에서는, 시계열 방향의 순서가 변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는,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의 재생 출력 타이밍에 관한 시간 관리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마다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부가 정보는, 상기 기입 판독 단위의 정보 내에서 정해진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부가하여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판독 단위의 정보는, 복수개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소정 시간마다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부가 정보는, 대응하는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으로서, 상기 기입 판독 단위의 정보 내에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판독 단위의 정보는, 복수개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소정 시간마다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부가 정보는, 상기 압축된 시계열 정보의 패킷 중 대응하는 상기 복호 재생 단위에 대한 상기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에 대하여 정해진 위치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시계열 정보의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의 취득 시간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시계열 정보의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의 취득 조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열 정보는 화상 정보이고,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는, 필드 또는 프레임 단위의 정보임과 함께,
    상기 데이터 압축은,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의 상관을 이용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10. 시계열 정보를 데이터 압축하는 데이터 압축 수단과,
    상기 압축된 상기 시계열 정보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 각각에 부가하는,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발생하는 관리 정보 발생 수단과,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 중, 소정 시간마다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생성하는 부가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데이터 압축된 상기 시계열 정보를,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상기 관리 정보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부가한 상태에서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부가 정보 생성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관리 정보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대응하는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상기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기록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기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상기 기록 매체에 대한 기입/판독의 단위인 기입 판독 단위의 정보로서, 상기 시계열 정보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를 복수 단위분,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며,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는, 상기 기입 판독 단위의 정보 내에서는, 시계열 방향의 순서가 변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는,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의 재생 출력 타이밍에 관한 시간 관리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상기 소정 시간마다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부가 정보는, 상기 기입 판독 단위의 정보 내에서 정해진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부가하여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판독 단위의 정보는, 복수개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상기 소정 시간마다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부가 정보는, 대응하는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으로서, 상기 기입 판독 단위의 정보 내에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판독 단위의 정보는, 복수개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상기 소정 시간마다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부가 정보는, 상기 압축된 시계열 정보의 패킷 중 대응하는 상기 복호 재생 단위에 대한 상기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에 대하여 정해진 위치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시계열 정보의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의 취득 시간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시계열 정보의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의 취득 조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열 정보는 화상 정보이고,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는, 필드 또는 프레임 단위의 정보임과 함께,
    상기 데이터 압축은,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의 상관을 이용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9. 시계열 정보가 데이터 압축되어 기록됨과 함께, 상기 압축된 상기 시계열 정보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 각각에는,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가 부가되어 기록되는 기록 매체로서,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 중, 소정 시간마다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부가 정보는, 대응하는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상기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대한 기입/판독의 단위인 기입 판독 단위의 정보에는, 상기 시계열 정보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를 복수 단위분, 포함함과 함께,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는, 상기 기입 판독 단위의 정보 내에서는, 시계열 방향의 순서가 변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는,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의 재생 출력 타이밍에 관한 시간 관리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마다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부가 정보는, 상기 기입 판독 단위의 정보 내에서 정해진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가 부가되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판독 단위의 정보는, 복수개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소정 시간마다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부가 정보는, 대응하는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으로서, 상기 기입 판독 단위의 정보 내에서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판독 단위의 정보는, 복수개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소정 시간마다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부가 정보는, 상기 압축된 시계열 정보의 패킷 중의 대응하는 상기 복호 재생 단위에 대한 상기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에 대하여 정해진 위치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시계열 정보의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의 취득 시간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시계열 정보의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의 취득 조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열 정보는 화상 정보이고,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는, 필드 또는 프레임 단위의 정보임과 함께,
    상기 데이터 압축은,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의 상관을 이용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28. 제19항의 기록 매체의 재생 방법으로서,
    상기 시계열 정보의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의 압축을 해제하고, 상기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 출력함과 함께,
    상기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부가 정보를, 대응하는 상기 시계열 정보의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의 재생 출력에 동기시켜, 재생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
  29. 제19항의 기록 매체의 재생 방법으로서,
    상기 시계열 정보의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의 압축을 해제하고, 상기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 출력함과 함께,
    상기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부가 정보를, 대응하는 상기 시계열 정보의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의 재생 출력에 동기시켜 재생하고, 해당 재생한 상기 부가 정보에 의해, 상기 대응하는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
  30. 제19항의 기록 매체의 재생 방법으로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압축되어 있는 시계열 정보와 상기 부가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상기 판독 수단으로부터, 상기 압축되어 있는 시계열 정보와 상기 부가 정보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시계열 정보의 압축을 해제하는 수단과,
    상기 압축을 해제한 시계열 정보에 대하여, 상기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를 재생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계열 정보의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의 재생 출력에 동기시켜, 재생 출력하는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31. 제19항의 기록 매체의 재생 방법으로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압축되어 있는 시계열 정보와 상기 부가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상기 판독 수단으로부터, 상기 압축되어 있는 시계열 정보와 상기 부가 정보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시계열 정보의 압축을 해제하는 수단과,
    상기 압축을 해제한 시계열 정보에 대하여, 상기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를 재생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계열 정보의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의 재생 출력에 동기시켜 재생하고, 해당 재생한 상기 부가 정보에 의해, 상기 대응하는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를 제어하는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32.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에 피사체상을 결상시키기 위한 촬상 광학계와,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의 화상 정보를 데이터 압축 처리하는 데이터 압축 수단과,
    상기 데이터 압축 수단에 의해 압축된 상기 화상 정보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 각각에 부가하는,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시간 관리 정보를 발생하는 시간 관리 정보 발생 수단과,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 중, 소정 시간마다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생성하는 부가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데이터 압축된 상기 화상 정보를,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상기 관리 정보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부가한 상태에서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부가 정보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관리 정보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대응하는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상기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하는 기록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상기 기록 매체에 대한 기입/판독의 단위인 기입 판독 단위의 정보로서, 상기 화상 정보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를 복수 단위분,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며,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는, 상기 기입 판독 단위의 정보 내에서는, 시계열 방향의 순서가 변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상기 소정 시간마다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부가 정보는, 상기 기입 판독 단위의 정보 내에서 정해진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부가하여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판독 단위의 정보는, 복수개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상기 소정 시간마다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부가 정보는, 대응하는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으로서, 상기 기입 판독 단위의 정보 내에서 정해진 위치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판독 단위의 정보는, 복수개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상기 소정 시간마다의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에 대한 부가 정보는, 각각 상기 압축된 시계열 정보의 패킷 중 대응하는 상기 복호 재생 단위에 대한 상기 복호 재생 처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에 대하여 정해진 위치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7.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화상 정보의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의 촬영 시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8.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화상 정보의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를 얻었을 때의 촬상 조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9.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는, 필드 또는 프레임 단위의 정보임과 함께,
    상기 데이터 압축은, 상기 복호 재생 단위의 정보의 상관을 이용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KR20047018985A 2003-03-25 2004-02-24 기록 방법, 기록 장치, 기록 매체,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KR101015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83143 2003-03-25
JPJP-P-2003-00083143 2003-03-25
JPJP-P-2003-00172780 2003-06-18
JP2003172780A JP3912536B2 (ja) 2003-03-25 2003-06-18 記録方法、記録装置、記録媒体、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722A true KR20050111722A (ko) 2005-11-28
KR101015737B1 KR101015737B1 (ko) 2011-02-22

Family

ID=33100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7018985A KR101015737B1 (ko) 2003-03-25 2004-02-24 기록 방법, 기록 장치, 기록 매체,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75555B2 (ko)
EP (1) EP1615432A4 (ko)
JP (1) JP3912536B2 (ko)
KR (1) KR101015737B1 (ko)
TW (1) TWI249286B (ko)
WO (1) WO20040867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8737B2 (en) 2007-08-13 2014-04-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reproducing media object-based metadat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9340B2 (en) * 2005-03-17 2010-08-17 Jds Uniphase Corporation Interpolated timestamps in high-speed data capture and analysis
KR101248305B1 (ko) * 2005-07-27 2013-03-27 파나소닉 주식회사 정보 기록 매체,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
JP4534971B2 (ja) 2005-11-28 2010-09-01 ソニー株式会社 動画記録装置、動画記録方法、動画伝送方法、動画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動画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N101305609B (zh) * 2005-12-22 2013-11-13 三星电子株式会社 数字广播发送器及其turbo流处理方法和数字广播系统
JP4552889B2 (ja) 2006-05-10 2010-09-29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記録プログラム、ならびに、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4910475B2 (ja) 2006-05-18 2012-04-0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記録プログラム、ならびに、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プログラム
US9198084B2 (en) 2006-05-26 2015-11-24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architecture for a traditional wire-based protocol
JP4337849B2 (ja) 2006-07-26 2009-09-30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記録プログラム、ならびに、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プログラム
JP4622950B2 (ja) * 2006-07-26 2011-02-02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記録プログラム、ならびに、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プログラム
JP4211818B2 (ja) 2006-08-10 2009-01-21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記録プログラム
JP4737003B2 (ja) 2006-08-10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編集装置、編集方法、編集プログラムおよび編集システム
US20080107396A1 (en) * 2006-11-08 2008-05-08 Tsung-Ning Chung Systems and methods for playing back data from a circular buffer by utilizing embedded timestamp information
JP2009060542A (ja) * 2007-09-03 2009-03-19 Sharp Corp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送信方法、視聴環境制御装置、視聴環境制御システム、及び視聴環境制御方法
US9398089B2 (en) * 2008-12-11 2016-07-19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resource sharing among multiple wireless devices
US20100205321A1 (en) * 2009-02-12 2010-08-12 Qualcomm Incorporated Negotiable and adaptable periodic link status monitoring
US9264248B2 (en) 2009-07-02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voiding and resolving conflicts in a wireless mobile display digital interface multicast environment
US9582238B2 (en) 2009-12-14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Decomposed multi-stream (DMS) techniques for video display systems
US9413803B2 (en) 2011-01-21 2016-08-09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US9787725B2 (en) 2011-01-21 2017-10-10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US9582239B2 (en) 2011-01-21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US10135900B2 (en) * 2011-01-21 2018-11-20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US20130003624A1 (en) * 2011-01-21 2013-01-03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US9065876B2 (en) 2011-01-21 2015-06-23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put back channel from a wireless sink device to a wireless source device for multi-touch gesture wireless displays
US8964783B2 (en) 2011-01-21 2015-02-24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US9503771B2 (en) 2011-02-04 2016-11-22 Qualcomm Incorporated Low latency wireless display for graphics
US10108386B2 (en) 2011-02-04 2018-10-23 Qualcomm Incorporated Content provisioning for wireless back channel
US9525998B2 (en) 2012-01-06 2016-12-20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display with multiscreen service
KR20140123497A (ko) 2012-02-03 2014-10-22 소니 주식회사 정보 처리 장치, 정보 기록 매체 및 정보 처리 방법과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4265A (ja) * 1995-01-31 1996-08-20 Sony Corp 符号化データの再生方法および再生装置
US5574505A (en) * 1995-05-16 1996-11-12 Thomson Multimedia S.A.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transport stream encoder to produce a stream of packets carrying data representing a plurality of component signals
JP3326670B2 (ja) * 1995-08-02 2002-09-24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符号化/復号化方法および装置、および符号化データ記録媒体
US6801575B1 (en) * 1997-06-09 2004-10-05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Audio/video system with auxiliary data
WO1999016196A1 (en) * 1997-09-25 1999-04-01 Sony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encoded stream,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and system and method for edition
JPH11203838A (ja) 1998-01-14 1999-07-30 Sanyo Electric Co Ltd 素材編集装置、及び素材編集方法
CN100393128C (zh) * 1999-02-05 2008-06-04 索尼公司 编码设备和方法、解码设备和方法以及译码系统和方法
JP4218112B2 (ja) 1999-02-26 2009-02-04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ルチメディア通信システム
JP2001188686A (ja) 1999-10-22 2001-07-10 Sony Corp データ書換装置、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7340153B2 (en) * 2000-01-11 2008-03-04 Hitachi,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EP1973294A1 (en) * 2001-01-30 2008-09-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metadata synchronized to multimedia contents
JP4654552B2 (ja) * 2001-09-06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記録再生装置、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および再生方法
JP2003224810A (ja) * 2002-01-29 2003-08-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声/映像データ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音声/映像データ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により記録が行われた記録媒体、音声/映像データ再生装置、音声/映像データ記録再生システムおよび方法、音声/映像データ記録再生システムおよび方法により記録が行われた記録媒体、ならびにデータ構造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8737B2 (en) 2007-08-13 2014-04-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reproducing media object-based metadata
KR101432994B1 (ko) * 2007-08-13 2014-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객체 기반 메타데이터의 생성 방법, 재생 방법 및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75555B2 (en) 2010-03-09
US20050175321A1 (en) 2005-08-11
EP1615432A1 (en) 2006-01-11
TW200501561A (en) 2005-01-01
WO2004086759A1 (ja) 2004-10-07
JP2004350251A (ja) 2004-12-09
EP1615432A4 (en) 2008-12-10
JP3912536B2 (ja) 2007-05-09
KR101015737B1 (ko) 2011-02-22
TWI249286B (en) 200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5737B1 (ko) 기록 방법, 기록 장치, 기록 매체,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JP4224690B2 (ja) 記録方法、記録装置、再生方法、再生装置および撮像装置
US7978225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image playback control apparatus, image recording and playback control apparatus, processing method therefor, and program for enabling computer to execute same method
JP4424396B2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US20110007135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P2045809A1 (en) Recording device, recording method, recording program,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imaging program
KR20090012152A (ko) 기록 장치, 재생 장치, 기록 재생 장치, 촬상 장치, 기록방법 및 프로그램
EP2046028A1 (en) Recording device, recording method, recording program,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imaging program
US9530455B2 (en) Video recording method and video recording device
JP2009225361A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ならびに、編集装置および編集方法
JP2005303336A (ja) 映像信号記録装置および映像信号再生装置
JP4164696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4366609B2 (ja) 記録方法、記録装置、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方法
JP2008219921A (ja) 記録装置、記録方法、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8067117A (ja) 映像記録方法、装置、媒体
JP4366610B2 (ja) 記録方法、記録装置、再生方法、再生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08113111A (ja) 記録装置
JP6018687B2 (ja) 映像記録装置
JP5458073B2 (ja) 映像記録装置及び映像記録方法
JP5610495B2 (ja) 映像記録再生装置及び映像記録再生方法
JP2010015640A (ja) 情報処理装置と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222818A (ja) 情報記録方法、情報編集方法、及び情報記録再生装置
JP2010199781A (ja) 動画編集装置および動画編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