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1432A - 컴퓨터, 액세스 포인트,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 액세스 포인트,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1432A
KR20050111432A KR1020040036137A KR20040036137A KR20050111432A KR 20050111432 A KR20050111432 A KR 20050111432A KR 1020040036137 A KR1020040036137 A KR 1020040036137A KR 20040036137 A KR20040036137 A KR 20040036137A KR 20050111432 A KR20050111432 A KR 20050111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access point
clien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9530B1 (ko
Inventor
이윤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6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9530B1/ko
Priority to EP05104224.0A priority patent/EP1598984B1/en
Priority to US11/133,466 priority patent/US7492745B2/en
Publication of KR20050111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5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액세스 포인트, 이들로 구성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1 네트워크모듈과, 상기 제1 네트워크모듈을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 상태 데이터를 상기 제1 네트워크모듈을 통해 송출하는 제1 제어부를 갖는 호스트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호스트에 접속되어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네트워크모듈과, 상기 제2 네트워크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호스트의 상기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2 제어부를 갖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호스트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 상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하여금 호스트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터, 액세스 포인트,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COMPUTER, ACCESS POINT,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컴퓨터, 액세스 포인트,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스트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 상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하여금 호스트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컴퓨터, 액세스 포인트,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컴퓨터의 활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랩탑 컴퓨터, PDA 및 태블릿(Tablet) 컴퓨터 등으로 대별되는 휴대용 컴퓨터의 보급과 함께, 무선 랜(Wireless LAN)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의 접속 환경의 구축은 비약적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이에 사용자는 이동 중에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는 컴퓨터 등의 클라이언트와, 컴퓨터와 무선으로 통신하며 컴퓨터와 유선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 AP)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컴퓨터, 액세스 포인트 및 네트워크 서버 중 어느 하나에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예컨대, 액세스 포인트의 작동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는 컴퓨터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를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컴퓨터로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던 중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인 사용자의 컴퓨터, 액세스 포인트 및 네트워크 서버 중 어느 곳에서 장애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더욱이,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사용자의 경우에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장애로 인하여 자신의 컴퓨터로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나 네트워크 서버 상에의 장애로 인한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자신의 컴퓨터의 네트워크 환경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인식할 우려가 크다.
실질적으로, 컴퓨터 제조사로 들어오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장래로 인한 애프터 서비스 요청에 있어서 적지 않은 부분이 컴퓨터가 아닌 다른 요소, 예컨대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를 네트워크 장애를 안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의 서비스 영역 내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뿐 아니라 유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자신이 사용하는 컴퓨터의 네트워크 장애로만 생각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호스트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 상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하여금 호스트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컴퓨터, 액세스 포인트,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모듈과, 상기 제1 네트워크모듈을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 상태 데이터를 상기 제1 네트워크모듈을 통해 송출하는 제1 제어부를 갖는 호스트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호스트에 접속되어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네트워크모듈과, 상기 제2 네트워크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호스트의 상기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2 제어부를 갖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호스트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를 비콘(Beacon)신호에 포함시켜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를 상기 비콘신호의 프레임 중 프레임 바디(frame body)의 커패빌러티 인포메이션(capability information) 영역에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는 다른 클라이언트 및/또는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제1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시도하는 클라이언트의 인증 여부에 대한 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 및/또는 상기 다른 클라이언트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에러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에러에 대한 정보는 단위 시간당 재요청 패킷이 비율에 대한 정보와 단위 시간 당 CRC(Cyclic Redundancy Checking) 에러 비율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네트워크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는 상기 네트워크 서버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간의 유선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제2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의 PING(Packet INternet Groper)에 대한 미 응답 비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는 상기 제1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 및/또는 제2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에 대한 하위의 상태를 정의하기 위한 보조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호스트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유선으로 접속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네트워크모듈과; 상기 무선 네트워크모듈을 통한 무선 데이터의 송수신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무선 데이터의 송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 상태 데이터를 상기 무선 네트워크모듈을 통해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를 비콘(Beacon)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무선 네트워크모듈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를 상기 비콘신호의 프레임 중 프레임 바디(frame body)의 커패빌러티 인포메이션(capability information) 영역에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모듈을 통해 접속되는 다른 클라이언트 및/또는 상기 클라이언트와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제1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시도하는 클라이언트의 인증 여부에 대한 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 및/또는 상기 다른 클라이언트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에러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 송수신 에러에 대한 정보는 단위 시간 당 재요청 패킷의 비율에 대한 정보와 단위 시간 당 CRC(Cyclic Redundancy Checking) 에러 비율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서버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선 네트워크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는 상기 네트워크 서버와의 유선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제2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의 PING(Packet INternet Groper)에 대한 미 응답 비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는 상기 제1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 및/또는 제2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에 대한 하위의 상태를 정의하기 위한 보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호스트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컴퓨터에 있어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호스트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모듈과; 상기 네트워크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중 동작 상태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동작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호스트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라, 호스트와, 상기 호스트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클라이언트를 갖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호스트로부터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가 송출되는 단계와; 상기 호스트로부터 송출된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가 상기 클라이언트에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호스트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호스트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를 비콘(Beacon)신호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는 다른 클라이언트 및/또는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제1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시도하는 클라이언트의 인증 비율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 및/또는 상기 다른 클라이언트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에러 비율을 검출하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에러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클라이언트들 간의 단위 시간당 재요청 패킷이 비율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클라이언트들 간의 단위 시간 당 CRC(Cyclic Redundancy Checking) 에러 비율을 검출하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네트워크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서버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간의 유선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제2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의 PING(Packet INternet Groper)에 대한 미 응답 비율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크워크 시스템의 제어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클라이언트(300)와, 클라이언트(300)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호스트(100)를 포함한다.
호스트(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네트워크모듈(120)와, 제1 네트워크모듈(120)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 상태를 체크하여 데이터의 송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 상태 데이터를 제1 네트워크모듈(120)를 통해 송출하는 제1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300)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330)와, 호스트(100)로부터 동작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네트워크모듈(320)와, 제2 네트워크모듈(320)를 통해 수신되는 동작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호스트(100)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하는 제2 제어부(31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300)가 컴퓨터(30,30', 도 2 및 도 8 참조)인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며, 그 명칭을 불문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호스트(100)와 연결되어 호스트(100)와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30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호스트(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10)이고, 컴퓨터(30)는 액세스 포인트(10)에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10)에 접속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무선 랜(Wireless LAN : Wireless Local Area Network) 서비스 영역과 유선 랜 간의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10)와, 액세스 포인트(10)를 통해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컴퓨터(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10)와 컴퓨터(30) 간의 무선 네트워크는 IEEE(International Electrical & Electronics Engineering) 802.11 방식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다른 무선 네트워크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10)는 각자의 서비스 영역 내의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백본망(50)을 통해 네트워크 서버(70)와 연결되어 네트워크 서버(70)와 컴퓨터(30) 간의 유무선 연동 서비스를 지원한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10)는 일정 주기로 비콘(Beacon)신호를 공중에 송출함으로써, 컴퓨터(30)가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과, 기타 자신의 정보를 컴퓨터(30)에 알린다. 여기서, 각 액세스 포인트(10)의 서비스 영역은 상호 중첩될 수 있으며, 컴퓨터(30)는 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10)의 서비스 영역 내에 들어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10)의 제어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10)는 안테나(14)와, 무선 네트워크모듈(12a)와 유선 네트워크모듈(12b)로 구성된 제1 네트워크모듈(12)와, 패킷처리부(13)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11)를 포함한다.
무선 네트워크모듈(12a)는 안테나(14)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패킷처리부(13)로 전달한다. 여기서, 무선 네트워크모듈(12a)로 수신되는 데이터는 IEEE 802.11 방식의 패킷 데이터로, 패킷처리부(13)는 패킷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유선 네트워크모듈(12b)를 통해 네트워크 서버(70)로 전송한다. 또한, 패킷처리부(13)는 유선 네트워크모듈(12b)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무선 네트워크모듈(12a)를 통해 컴퓨터(30)로 송출함으로써, 네트워크 서버(70)와 컴퓨터(30) 간의 통신을 중계한다.
제1 제어부(11)는 제1 네트워크모듈(12)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 상태를 체크하고, 데이터의 송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 상태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1 제어부(11)는 생성된 동작 상태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모듈(12a)를 통해 컴퓨터(30)로 송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1)는 동작 상태 데이터를 비콘(Beacon)신호에 기록하여 송출한다. 도 4는 IEEE 802.11 방식에 따른 비콘신호의 데이터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으로, IEEE 802.11 방식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 내의 각각의 필드(Field)의 의미는 IEEE 802.11에 설명되어 있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데이터 프레임은 프레임 바디(Frame Body) 필드를 포함한다. 프레임 바디 필드는 커패빌러티 인포메이션(Capability Information) 필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하위필드를 포함한다. 또한, 커패빌러티 인포메이션 필드 또한 다수의 하위필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커패빌러티 인포메이션 필드는 2 옥텟(octet)으로 구성되고, 이중 비트 8에서 비트 15까지는 여분의 필드(Reserved field)로 할당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1)는 동작 상태 데이터를 커패빌러티 인포메이션 필드의 여분의 필드에 기록되어 송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 상태 데이터는 액세스 포인트(10)에 접속되는 다른 클라이언트(300)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30)와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제1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10)에 접속을 시도하는 클라이언트의 인증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1)는 기 설정된 단위 시간동안 액세스 포인트(10)에 접속을 시도하는 클라이언트의 접속 시도 회수와, 접속에 실패하거나 인증에 실패한 회수의 비율을 산출하여, 산출된 비율을 제1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로 동작 상태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30)는 단위 시간 당 접속에 실패하거나 인증에 실패한 비율이 일정 비율 이상, 예컨대 80%가 넘는 경우에는 액세스 포인트(10)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10)에 접속된 클라이언트와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에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10)와 클라이언트 간의 단위 시간 당 재요청 패킷(Retried packet)의 비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제어부(11)는 컴퓨터(3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의 수신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컴퓨터(30)에 장애가 발생한 데이터 패킷의 재전송을 요청하게 되는데, 제1 제어부(11)는 일정 단위 시간동안 수신된 전체 패킷에 대한 재전송 패킷의 비율을 검출하고, 이를 제1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로 동작 상태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어부(11)는 단위 시간당 컴퓨터(30)로 전송되는 전채 패킷에 대한 컴퓨터(30)로부터의 재전송 요청 패킷의 비율을 검출하여 이를 제1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로 동작 상태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무선 데이터 송수신 에러에 대한 정보는 단위 시간당 CRC(Cyclic Redundancy Checking) 에러 비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1)는 단위 시간당 전체 데이터 패킷에 대한 CRC 에러를 일으키는 패킷의 비율을 계산하여, 이를 제1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로 동작 상태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상태 데이터는 네트워크 서버(70)와 액세스 포인트(10) 간의 유선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제2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 상태 데이터는 네트워크 서버(70)와 액세스 포인트(10) 간의 유선 네트워크 상의 장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예컨대, 제1 제어부(11)는 네트워크 서버(70)를 확인하는 작업으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네트워크 서버(70)로 핑(PING : Packet INternet Groper)을 송출하게 되는데, 여기서 제1 제어부(11)는 단위 시간당 네트워크 서버(70)로의 핑에 대한 미 응답 비율을 검출하여 이를 제2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로 동작 상태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1)가 동작 상태 데이터를 비컨신호에 기록하는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예컨대, 제1 제어부(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패빌러티 인포메이션 필드의 Bit 8과 Bit 9에 동작 상태 데이터를 기록하게 되는데, 액세스 포인트(10)가 정상적으로 동작 중인 경우에는 Bit 8과 Bit 9를 "00"으로 기록하고, 접속/인증 실패 비율이 일정 비율 이상인 경우 Bit 8과 Bit 9를 "01"로 기록하고, 무선 데이터 송수신 에러 비율이 일정 비율 이상인 경우 Bit 8과 Bit 9를 "10"으로 기록하고, 유선 데이터 송수신 에러 비율이 일정 비율 이상인 경우 Bit 8과 Bit 9를 "11"로 기록하는 방법으로 액세스 포인트(1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비컨신호로 송출할 수 있다.
[표 1]
Bit 8 Bit 9 액세스 포인트 동작 상태
0 0 정상 모드 동작 중
0 1 접속/인증 실패 비율 높음
1 0 무선 데이터 송수신 에러 비율 높음
1 1 유선 데이터 송수신 에러 비율 높음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 상태 데이터는 제1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 및/또는 제2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상태를 표시하는 하위의 상태를 정의하기 위한 보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정보는 제1 접속 상태 정보 중 접속/인증 실패 비율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 예컨대, 아래의 [표 2]에서와 같이, 하나의 클라이언트에서만 접속 실패 비율이 높음을 알리는 정보, 2 이상의 클라이언트의 접속 실패 비율이 높음을 알리는 정보, 하나의 클라이언트에서만 인증 실패 비율이 높음을 알리는 정보, 또는 2 이상의 클라이언트의 인증 실패 비율이 높음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여, 컴퓨터(30)의 사용자에게 보다 구체적인 액세스 포인트(1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1)는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패빌러티 인포메이션 필드의 Bit 14와 Bit 15에 보조 정보를 기록하여 송출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다.
[표 2]
Bit 8 Bit 9 보조 정보
0 0 하나의 클라이언트의 접속 실패 비율이 높음
0 1 2 이상의 클라이언트의 접속 실패 비율이 높음
1 0 하나의 클라이언트의 인증 실패 비율이 높음
1 1 2 이상의 클라이언트의 인증 실패 비율이 높음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300)인 컴퓨터(3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30)는 중앙처리장치인 CPU(41)(Central Processing Unit)와, 디스플레이부(33)와 연결되어 디스플레이부(33)에 비디오신호를 출력하는 그래픽 컨트롤러(40)와, 메모리 컨트롤 허브(34)(Memory Control Hub : MCH)와, 입출력 컨트롤 허브(36)(Input/output Control Hub : ICH)를 포함한다.
메모리부(36)는 비 휘발성 메모리인 램(36a)(RAM : Random Access Memory)과, 바이오스를 포함한 스타트 업 루틴이 저장된 바이오스(BIOS : Basic Input Output System) 롬(36c)과, CMOS 램(36b)을 포함한다.
메모리 컨트롤 허브(34)는 램(36a)을 관리하고, CPU(41), 램(36a) 및 그래픽 컨트롤러(40) 간에 이동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칩셋이다. 여기서, 그래픽 컨트롤러(40)는 메모리 컨트롤 허브(34)와 함께 하나의 칩셋 예컨대, 그래픽 메모리 컨트롤 허브(Graphic Memory Control Hub : GMCH)로 마련될 수 있다.
입출력 컨트롤 허브(36)는 메모리 컨트롤 허브(34)와 연결된 램(36a)과 그래픽 컨트롤러(40) 이외의 다른 하드웨어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오스 롬(36c), CMOS 램(36b),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9), I/O 컨트롤러(37) 간에 이동하는 데이터를 관리한다.
사용자 입력부(38)는 키보드나 마우스, 터치팬, 터치스크린 등 사용자에 의에 조작되어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I/O 컨트롤러(37)는 사용자 입력부(38)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30)는 액세스 포인트(10)와 무선으로 접속되는 제2 네트워크모듈(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네트워크모듈(32)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10)로부터 동작 상태 데이터가 수신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30)의 제2 제어부(3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네트워크모듈(32)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드라이버(31)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2 제어부(310)는 운영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일 수 있으며, 운영체계의 일 기능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30)의 제2 제어부(310)가 네트워크 드라이버(31)인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네트워크 드라이버(31)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9)에 저장되어 제2 네트워크모듈(32)의 데이터 송수신이나 기타 네트워크 관련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네트워크 드라이버(31)는 제2 네트워크모듈(32)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중 비콘신호에 포함된 동작 상태 데이터를 검출한다. 그리고, 네트워크 드라이버(31)는 동작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10)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3)에 표시한다.
도 6은 디스플레이부(33)에 표시되는 액세스 포인트(10)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한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90)는 컴퓨터(30)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10)들의 리스트와 각 액세스 포인트(1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함으로써, 각 액세스 포인트(1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6에서는 "" 마크로 액세스 포인트(10) 2에 장애가 발생했음을 표시하고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드라이버(31)는 사용자가 액세스 포인트(10)의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텍스트나 기타 다양한 방법으로 [표 1] 및 [표 2]와 같은 액세스 포인트(10)의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90)에 표시된 각 액세스 포인트(10)의 동작 상태에 따라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액세스 포인트(10)에 접속하여 네트워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액세스 포인트(10)의 제1 제어부(11)는 액세스 포인트(10)의 현재 동작 상태, 즉, 제1 네트워크모듈(12)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진단한다(S10). 여기서, 제1 제어부(11)에 의한 액세스 포인트(10)의 동작 상태 검출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런 다음, 제1 제어부(11)는 액세스 포인트(10)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 상태 데이터를 생성한다(S11). 여기서, 제1 제어부(11)는 동작 상태 데이터를 비콘신호에 기록하고(S12), 제1 네트워크모듈(12)를 통해 컴퓨터(30)로 송출한다(S13).
그런 다음, 액세스 포인트(10)로부터 송출된 비콘신호는 컴퓨터(30)의 제2 네트워크모듈(32)를 통해 컴퓨터(30)에 수신된다(S14). 이 때, 컴퓨터(30)의 네트워크 드라이버(31)는 수신된 비콘신호 중 동작 상태 데이터를 검출하고(S15), 동작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10)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3)에 표시한다(S17). 여기서, 네트워크 드라이브는 사용자 입력부(38)를 통한 사용자의 요구가 있는 경우(S16) 액세스 포인트(10)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3)에 표시할 수 있다(S17).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액세스 포인트(10)로부터 송출되는 동작 상태 데이터가 비콘신호에 기록되어 송출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나, 별도의 통신 규약을 통해 비콘신호와는 별도로 동작 상태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 유선 네트워크 시스템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호스트(100)는 유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서버(10')이고, 클라이언트(300)는 서버(10')에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컴퓨터(30')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서버(10')는 자신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동작 상태 데이터를 자신이 관리하는 컴퓨터(30')들에 전송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 상태 데이터는 서버(10')와 컴퓨터(30') 간의 규격화된 프로토콜로 마련함으로써, 컴퓨터(30')가 서버로부터 송출되는 동작 상태 데이터를 인식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서버(10')와 컴퓨터(30') 간의 통신 프로토콜인 TCP/IP 등의 패킷의 여분의 필드나 임의의 필드를 동작 상태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규격화함으로써 컴퓨터(30')가 인식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유선 네트워크 환경으로 전환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 및 기능이 유선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네트워크모듈(120)와, 상기 제1 네트워크모듈(120)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 상태 데이터를 상기 제1 네트워크모듈(120)를 통해 송출하는 제1 제어부(110)를 갖는 호스트(100)와; 디스플레이부(330)와,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네트워크모듈(320)와, 상기 제2 네트워크모듈(320)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호스트(100)의 상기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하는 제2 제어부(310)를 갖는 클라이언트(300)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호스트(100)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호스트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 상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하여금 호스트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컴퓨터, 액세스 포인트,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송출되는 비콘(Beacon)신호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에 표시되는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액세스 포인트 11 : 제1 제어부
12 : 제1 네트워크모듈 13 : 패킷처리부
14 : 안테나 30 : 컴퓨터
31 : 네트워크 드라이버 32 : 제2 네트워크모듈
33 : 디스플레이부 34 : 메모리 컨트롤 허브
35 : 입출력 컨트롤 허브 36 : 메모리부
37 : I/O 컨트롤러 38 : 사용자 입력부
39 :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40 : 그래픽 컨트롤러
41 : CPU 50 : 백본망
70 : 네트워크 서버 90 : 사용자 인터페이스

Claims (28)

  1.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모듈과, 상기 제1 네트워크모듈을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 상태 데이터를 상기 제1 네트워크모듈을 통해 송출하는 제1 제어부를 갖는 호스트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호스트에 접속되어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네트워크모듈과, 상기 제2 네트워크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호스트의 상기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2 제어부를 갖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를 비콘(Beacon)신호에 포함시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를 상기 비콘신호의 프레임 중 프레임 바디(frame body)의 커패빌러티 인포메이션(capability information) 영역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는 다른 클라이언트 및/또는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제1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시도하는 클라이언트의 인증 여부에 대한 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 및/또는 상기 다른 클라이언트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에러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에러에 대한 정보는 단위 시간당 재요청 패킷이 비율에 대한 정보와 단위 시간 당 CRC(Cyclic Redundancy Checking) 에러 비율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네트워크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는 상기 네트워크 서버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간의 유선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제2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의 PING(Packet INternet Groper)에 대한 미 응답 비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는 상기 제1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 및/또는 제2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에 대한 하위의 상태를 정의하기 위한 보조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유선으로 접속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2. 네트워크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네트워크모듈과;
    상기 무선 네트워크모듈을 통한 무선 데이터의 송수신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무선 데이터의 송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 상태 데이터를 상기 무선 네트워크모듈을 통해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를 비콘(Beacon)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무선 네트워크모듈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를 상기 비콘신호의 프레임 중 프레임 바디(frame body)의 커패빌러티 인포메이션(capability information) 영역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모듈을 통해 접속되는 다른 클라이언트 및/또는 상기 클라이언트와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제1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시도하는 클라이언트의 인증 여부에 대한 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 및/또는 상기 다른 클라이언트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에러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에러에 대한 정보는 단위 시간 당 재요청 패킷의 비율에 대한 정보와 단위 시간 당 CRC(Cyclic Redundancy Checking) 에러 비율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버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선 네트워크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는 상기 네트워크 서버와의 유선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제2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의 PING(Packet INternet Groper)에 대한 미 응답 비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는 상기 제1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 및/또는 제2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에 대한 하위의 상태를 정의하기 위한 보조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21. 네트워크를 통해 호스트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컴퓨터에 있어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호스트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모듈과;
    상기 네트워크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중 동작 상태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동작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호스트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22. 호스트와, 상기 호스트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클라이언트를 갖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호스트로부터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가 송출되는 단계와;
    상기 호스트로부터 송출된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가 상기 클라이언트에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호스트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를 비콘(Beacon)신호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는 다른 클라이언트 및/또는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제1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시도하는 클라이언트의 인증 비율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 및/또는 상기 다른 클라이언트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에러 비율을 검출하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에러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클라이언트들 간의 단위 시간당 재요청 패킷이 비율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클라이언트들 간의 단위 시간 당 CRC(Cyclic Redundancy Checking) 에러 비율을 검출하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네트워크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서버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간의 유선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제2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의 PING(Packet INternet Groper)에 대한 미 응답 비율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40036137A 2004-05-20 2004-05-20 컴퓨터, 액세스 포인트,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549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137A KR100549530B1 (ko) 2004-05-20 2004-05-20 컴퓨터, 액세스 포인트,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05104224.0A EP1598984B1 (en) 2004-05-20 2005-05-18 Wireless network with performance signalling
US11/133,466 US7492745B2 (en) 2004-05-20 2005-05-20 Computer, access point, network and control method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137A KR100549530B1 (ko) 2004-05-20 2004-05-20 컴퓨터, 액세스 포인트,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432A true KR20050111432A (ko) 2005-11-25
KR100549530B1 KR100549530B1 (ko) 2006-02-03

Family

ID=34939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137A KR100549530B1 (ko) 2004-05-20 2004-05-20 컴퓨터, 액세스 포인트,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492745B2 (ko)
EP (1) EP1598984B1 (ko)
KR (1) KR1005495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595B1 (ko) * 2006-01-27 2007-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상태 확인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63186C (en) * 2006-10-13 2017-12-12 Firetide, Inc. Mesh node mobility across static and mobile mesh networks
US8010820B1 (en) * 2007-08-28 2011-08-30 Meru Networks Controlling multiple-radio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 points when using power over Ethernet
US8081589B1 (en) 2007-08-28 2011-12-20 Meru Networks Access points using power over ethernet
GB2464480B (en) * 2008-10-15 2011-01-12 Nomad Spectrum Ltd Network communication
JP5182316B2 (ja) * 2010-03-30 2013-04-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KR101337192B1 (ko) * 2012-02-24 2013-12-05 주식회사 팬택 무선랜 단말의 ap 검색 장치 및 방법
US10154423B2 (en) * 2014-06-27 2018-12-11 Google Llc End-to-end network diagnostics
US9742775B2 (en) 2014-07-01 2017-08-22 Google Inc.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ccess
US10320766B2 (en) 2015-11-17 2019-06-11 Google Llc Wireless network access
EP3745758B1 (en) * 2019-05-29 2021-12-22 Telefonica Cybersecurity & Cloud Tech S.L.U.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ecure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22506A (ja) 1985-03-29 1986-10-03 Japan Vilene Co Ltd 半透膜支持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5613213A (en) * 1994-03-31 1997-03-18 Motorola, Inc. Determining and displaying available services for a communication unit
US5805666A (en) * 1995-02-28 1998-09-08 Sony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US5801707A (en) * 1996-07-19 1998-09-0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hierarchical data associated with components of a system
US5940765A (en) * 1996-08-30 1999-08-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Radio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for jittered beacon transmission
US5953323A (en) * 1996-08-30 1999-09-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ng non-cellular private radio systems to be compatible with cellular mobile phones
KR100251382B1 (ko) * 1997-07-04 2000-04-15 윤종용 이동통신중계시스템의경보장치
KR100270839B1 (ko) * 1997-12-31 2000-11-01 서평원 기지관리국의가시/가청경보 처리방법및장치
KR19990086941A (ko) * 1998-05-30 1999-12-15 윤종용 코드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의 성능 및 무선필드 환경 최적화방법
JP3019092B1 (ja) * 1998-12-07 2000-03-13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ランダムアクセス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3251272B2 (ja) 1999-03-29 2002-01-28 エヌイーシー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無線lanシステム、その障害救済方法及びその障害救済処理を実現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788143B2 (ja) 1999-11-01 2006-06-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並びに通信制御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6522881B1 (en) 2000-03-08 2003-02-18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 access point in a wireless network
DE60126859T2 (de) * 2000-04-27 2008-01-31 Ntt Docomo Inc. Zellularen Telefon mit Fehlerfeststellungsverfahren und Fehlerfeststellungsgerät
JP3562459B2 (ja) * 2000-10-17 2004-09-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端末装置
JP4299975B2 (ja) * 2001-02-22 2009-07-22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無線基地局の保守方法
JP2002261676A (ja) * 2001-02-27 2002-09-13 Canon Inc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受信状態表示方法
JP2002320260A (ja) * 2001-04-19 2002-10-31 Toshiba Corp 移動通信端末
KR100748340B1 (ko) 2001-12-04 2007-08-09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JP3934430B2 (ja) 2002-02-13 2007-06-20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基地局監視システム
US20030188011A1 (en) * 2002-03-29 2003-10-02 Deshpande Nikhil M. Method and apparatus to distribute data
AU2003223508A1 (en) * 2002-04-08 2003-10-27 Airmagnet, Inc. Monitoring a local area network
KR20030080417A (ko) 2002-04-08 2003-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 접속장치를 이용한 원격지 감시장치 및 방법
US20030200455A1 (en) * 2002-04-18 2003-10-23 Chi-Kai Wu Method applicable to wireless lan for security control and attack detection
US7277404B2 (en) * 2002-05-20 2007-10-02 Airdefense, Inc.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wireless LAN activity
JP4140340B2 (ja) * 2002-10-24 2008-08-27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局、基地局及びそれらに用いるパケット通信方法
KR100526409B1 (ko) 2002-12-24 2005-11-08 (주)아이엠넷피아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595B1 (ko) * 2006-01-27 2007-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상태 확인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98984B1 (en) 2016-02-03
EP1598984A3 (en) 2009-08-12
US20060013175A1 (en) 2006-01-19
EP1598984A2 (en) 2005-11-23
US7492745B2 (en) 2009-02-17
KR100549530B1 (ko) 200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98984B1 (en) Wireless network with performance signalling
US701694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ailed protocol analysis of frames captured in an IEEE 802.11 (b) wireless LAN
JP3444483B2 (ja) クライアントとゲートウエイとの間の仮想接続を維持する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コード
US201900901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internet connection st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90287816A1 (en) Link layer throughput testing
EP1978767A2 (en) Configuration and management of wireless network devices
US20120300708A1 (en) Wireless station location detection
EP1463236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network connection diagnostic method
CN1882933A (zh) 客户端-服务器系统中的动态超时
EP1396976A2 (en)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method, and program
EP4084374A1 (en) Transmiss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JP2006072962A (ja) 複数のターゲットコンピュータを制御する制御システム
KR100689774B1 (ko)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컴퓨터간 동기화 서비스를 제공하는홈 텔레매틱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62343B1 (ko) 무선랜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 진단 단말기 및 그의 진단방법
KR101094258B1 (ko) 무선랜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 및 그의 동작 상태 진단방법
US20090013003A1 (en) Connection method and connection system for internet access by communication device
CN109818967B (zh) 一种通知方法、服务器、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8611236B2 (en) Communication checker, communication-stat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communication state
KR101143922B1 (ko) 네트워크 자동복구장치
CN111432394B (zh) 一种无线网络语音承载注册方法和用户设备
US77027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network using DHCP server or client function
JP4661301B2 (ja) 重複ip調査装置及び重複ipアドレス調査方法
JP3235723B2 (ja) 遠隔リセット装置
CN113269338B (zh) 席位处理设备、席位状态显示系统
JP2005051645A (ja) 無線通信式データ入力端末とそのホストコンピュータ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