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0417A - 랜 접속장치를 이용한 원격지 감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랜 접속장치를 이용한 원격지 감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0417A
KR20030080417A KR1020020019018A KR20020019018A KR20030080417A KR 20030080417 A KR20030080417 A KR 20030080417A KR 1020020019018 A KR1020020019018 A KR 1020020019018A KR 20020019018 A KR20020019018 A KR 20020019018A KR 20030080417 A KR20030080417 A KR 20030080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input
data
la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9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9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0417A/ko
Publication of KR20030080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41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랜 접속장치를 이용한 원격지 감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각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수의 블루투스 기기와; 상기 블루투스 기기들과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통신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기기들의 설정상태를 저장함과 아울러 그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각 블루투스 기기의 주소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각 블루투스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랜에 접속되어 외부 인터넷망과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구비하는 랜 접속장치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 접속장치로 구성되어 억세스 포인트 기능의 랜 접속장치를 사용하여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홈네트워크 구성장치 각각의 설정상태를 감시 및 제어할 수 있게 되어 그 사용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랜 접속장치를 이용한 원격지 감시장치 및 방법{REMOTE SUPERVISORY APPARATUS AND METHOD USING LAN ACCESS POINT}
본 발명은 랜 접속장치를 이용한 원격지 감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랜 접속장치(LAN ACCESS POINT)을 이용하여 가정내의 블루투스 기기들을 원격지에서 제어 및 감시할 수 있는 랜 접속장치를 이용한 원격지 감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인 블루투스는 한 개의 장치를 마스터로 하고, 주변 10m 내에 위치하는 최대 7개 까지의 블루투스 장치를 슬레이브로 하여, 하나의 네트웍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장 작은 단위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네트워크를 피코넷(PICONET)이라고 통칭한다.
상기와 같이 피코넷이 구축되면, 각 블루투스 장치 간에는 상호 정보를 교환할 수 있고,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피코넷이 구성되고, 그 피코넷의 중첩되는 위치에 위치하는 블루투스 장치는 두 피코넷의 마스터와 슬레이브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두 피코넷의 중첩위치에 블루투스 장치를 위치시키면, 10m의 거리 제한을 극복하는 네트워크 구현이 가능하며, 이와 같이 복수의 피코넷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스캐터넷(SCATTERNET)이라고 한다.
상기 블루투스 장치를 이용하면, 근거리에 위치하는 다른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인가받아 그 장치를 감시하며,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무선으로 다른 블루투스 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블루투스 장치의 특성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에서 각종 기기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블루투스 장치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는 홈 네트워크가 구축된 환경 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며, 원격지에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루투스 장치를 감시하거나, 제어할 수 없어 그 사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루투스 장치를 원격지에서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는 랜 접속장치를 이용한 원격지 감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 랜 접속장치를 이용한 홈네트워크의 구성도.
도2는 랜 접속장치와 블루투스 기기 사이의 프로토콜 구성도.
도3은 본 발명 랜 접속장치의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블루투스 보안기기의 구성도.
도5는 랜 접속장치와 블루투스 기기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구성도.
도6는 본 발명 랜 접속장치의 동작 순서도.
도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블루투스 기기의 동작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0:주제어부131:불루투스 통신부
132:저장부133:입력부
134:표시부135:랜 인터페이스부
상기와 같은 목적은 각각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수의 블루투스 기기와; 상기 블루투스 기기들과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통신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기기들의 설정상태를 저장함과 아울러 그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각 블루투스 기기의 주소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각 블루투스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랜에 접속되어 외부 인터넷망과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구비하는 랜 접속장치로 구성하여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 접속장치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홈 네트워크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컴퓨터(105), 냉장고(106), 세탁기(109) 텔레비전(107), 에어컨(108), 조명기기(미도시) 등의 블루투스 가전기기와; 가정의 창문(102), 현관문(101), 금고(104)에 부착되어 개패상태를 확인하는 블루투스 보안기기와; 상기 블루투스 가전기기 및 블루투스 보안기기에 송수신 되는 데이터를 중계하는 중계기(110)와; 상기 중계기(110)를 통해 상기 각 블루투스 가전기기 및 블루투스 보안기기와 통신이 가능하며, 랜 접속장치(LAN ACCESS POINT)를 구비하여, 외부의 인터넷 망에 연결되는 랜 접속장치(10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랜 접속장치(100)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는 각 기기에 블루투스 모듈을 설치하고, 상태정보 및 각종 데이터를 상호간에 송수신 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창문(102), 현관문(101), 금고(104) 등에 연결되어진 블루투스 보안기기는 창문과 현관문등 각종 문의 개폐상태를 검출하여, 그 정보를 송출한다.
이때, 상기 랜 접속장치(100)와 각 블루투스 가전기기 및 블루투스 보안기기의 사이에는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도2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랜 접속장치(100)와 블루투스 가전기기 및 블루투스 보안기기의 프로토콜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명령을 인터페이스하는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의 상에, 블루투스 환경에서 논리적인 커넥션을 만들고, 그 커넥션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 가능한 L2CAP(LO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과, 그 L2CAP 상에 위치하여 시리얼 포트를 시뮬레이션하는 RFCOMM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COMM은 블루투스 규격 ver1.1에서 정의되어 있다.
도3은 상기 랜 접속장치(100)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계기(110)를 통해 블루투스 가전기기 및 블루투스 보안기기와 통신하는 블루투스 통신부(131)와; 각 블루투스 가전기기 및 블루투스 보안기기의 번호, 종류,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32)와;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부(133)와; 각종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부(134)와; 랜에 연결되어 외부의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내부의 데이터를 외부망으로 전송하는 랜 인터페이스부(135)와; 상기 각부를 제어하는 주제어부(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주제어부(130)의 제어를 받은 블루투스 통신부(131)는 각 블루투스 가전기기의 상태, 설정 등의 데이터를 수신받으며, 블루투스 보안기기에서 검출한 상태데이터를 인가받는다.
도4는 상기 블루투스 보안기기(200)의 구성도로서, 문의 개폐등을 감지하는 센서부(201)와; 상기 센서부(201)에서 감지된 상태를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부(202)로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부(133)를 통해 특정 블루투스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조작을 수행하면, 주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그 블루투스 가전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설정을 변경하거나, 운전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랜 접속장치(100)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는 저장부(132)에 저장되어지며, 그 저장부(132)는 각 기기에 할당된 고유번호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131)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패킷 헤더부(PACKET HEADER)와 패킷 패이로드(PACKET PAYLOAD)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패킷 헤더부(PACKET HEADER)는 4비트의 우선순위정보(PRIORITY), 4비트의 기기그룹정보(DEVICE GROUP), 8비트의 기기타입정보(DEVICE TYPE), 8비트의 데이터 길이정보(DATA LENGTH)를 포함한다.
또한, 실제 데이터가 포함되는 패킷 패이로드부(PACKET PAYLOAD)는 0~255바이트의 데이터이며, 그 길이에 대한 정보는 상기 패킷 헤더부(PACKET HEADER)의 데이터 길이정보(DATA LENGTH)에 포함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상기 주제어부(130)는 데이터를 검출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한다.
즉, 블루투스 보안기기(200)의 우선순위를 블루투스 가전기기에 비하여 높게 설정하는 경우, 외부로 부터 가정에 침입하거나, 금고문을 열거나 파괴하는 경우등의 데이터가 냉장고의 온도설정 변경 등의 조작보다 우선적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동일한 블루투스 보안기기(200)라고 하여도, 현관문(101)의 개폐를 감시하는 블루투스 보안기기의 데이터 처리 우선순위를 창문(102)의 개폐를 감시하는 블루투스 보안기기의 데이터 처리 우선순위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처리의 우선순위를 두면, 복수의 블루투스 장치로 부터 데이터가 전송되어 오는 경우, 그 데이터를 중요도 순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패킷 헤더부(PACKET HEADER)에 포함되는 기기그룹정보(DEVICE GROUP)는 데이터를 전송한 기기가 보안기기 또는 가전기기인가를 표시하며, 기기종류정보(DEVICE TYPE)는 데이터를 송신한 기기가 냉장고, 세탁기 등 특정한 종류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최초의 4비트 우선순위를 "0000"을 최상위 우선순위로 하고, "0001"을 차순의 우선순위를 갖게 하는 경우, 블루투스 보안기기에 의해 감시되며, 보안 기능에서 가장 중요시 되는 장치인 현관문(101)과 창문(102)의 우선순위를 "0000"으로 설정할 수 있고, 그 보다 중요도가 저하되는 가전기기 등에 차순의 우선순위를 가지는 "0001"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비트 다음의 4비트 신호는 상기 디바이스의 그룹을 나타내는 것으로, "0000"은 가전기기, "0001"은 조명기기, "0010"은 시건장치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의 8비트는 각 기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으로, "00000000"이면 냉장고, "00000001"이면 안방조명등 등으로 설정하여, 각 기기에 대한 고유식별 번호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전송된 데이터는 사용자가 외출하는 경우, 인터넷을 통해 상기 랜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으며 각 기기의 상태를 점검할수 있게 된다.
도6은 본 발명 랜 접속장치를 이용한 원격지 감시장치의 동작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랜 접속장치(100)의 주제어부(130)는 저장부(132)에 저장된 블루투스 장치의 정보를 이용하여 기저대역에 접속한다.
즉, 저장부(132)에는 블루투스 가전기기 및 블루투스 보안기기 각각의 주소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 주소를 호출하여 응답이 있는지 확인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그 다음, 상기 주제어부(130)는 각 기기에 상태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재전송 회수는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다.
각 블루투스 기기로 부터 상태정보가 설정 회수이상 확인이 되지 않으면, 네트웍 구성 실패로 판단하고, 경고음 발생등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가능한 방법으로 알린다.
그 다음, 각 블루투스 기기로 부터 상태정보가 입력되면, 주제어부(130)는 상기 저장부(132)에 그 상태정보를 저장하고, 표시부(134)를 통해 사용자가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그 다음,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33)를 조작하여, 각 블루투스 기기의 설정을 변경하면, 그 변경의 데이터는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131)를 통해 선택된 기기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기기의 설정이 변경된 경우에는 그 변경된 상태정보가 다시 랜 접속장치로 재전송되어 상기 저장부(132)에 저장되며, 그 변경사항이 표시부(134)에 표시된다.
또한, 외부로 부터 랜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감시제어용 연결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상태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고, 인터넷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정보를 해당하는 블루투스 기기로 전송하여 그 설정을 변경하게 된다.
만약, 상기와 같은 감시제어용 연결 요청이 아닌 경우에는 각 블루투스 기기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여 필요한 검색, 다운로드 등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랜 접속장치가 억세스 포인트 기능을 수행한다.
도7은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각 블루투스 기기들의 동작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기저대역에 연결하고, 상태정보를 상기 랜 접속장치로 상태정보를 전송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그 다음, 데이터 전송등의 요청이 없는 경우, 각 블루투스 기기는 대기모드(PARK MODE)로 동작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다른 블루투스 장치 또는 상기 랜 접속장치로 부터 데이터의 입력이 있으면,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수신된 명령을 수행하거나, 설정을 변경하는 경우 그 변경된 상태 정보를 상기 랜 접속장치로 전송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랜 접속장치를 이용한 원격지 감시장치 및 방법은 억세스 포인트 기능의 랜 접속장치를 사용하여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홈네트워크 구성장치 각각의 설정상태를 감시 및 제어할 수 있게 되어 그 사용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각각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수의 블루투스 기기와; 상기 블루투스 기기들과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통신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기기들의 설정상태를 저장함과 아울러 그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각 블루투스 기기의 주소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각 블루투스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랜에 접속되어 외부 인터넷망과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구비하는 랜 접속장치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 접속장치를 이용한 원격지 감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블루투스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모듈 사이에 송수신 되는 데이터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알리는 영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기기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그룹 및 장치타입을 알리는 영역과, 실제 데이터의 길이를 나타내는 데이터 길이정의 영역을 포함하는 패킷 헤더영역과; 실제 데이터가 위치하는 패킷 패이로드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 접속장치를 이용한 원격지 감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블루투스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모듈 사이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사용자의 명령을 인터페이스하는 HCI(HUMAN COMPUTERINTERACTION)와; 블루투스 환경에서 논리적인 커넥션을 만들고, 그 커넥션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 가능한 L2CAP(LO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와; 그 L2CAP 상에 위치하여 시리얼 포트를 시뮬레이션하는 RFCOMM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 접속장치를 이용한 원격지 감시장치.
  4. 각 블루투스 기기에 상태정보의 전송을 요청하여, 상태정보가 전달되지 않으면 오류메세지를 발생시키고, 상태정보가 전달되면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홈 네트워크 구성단계와; 상기 각 블루투스 기기의 상태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입력 또는 블루투스 기기에 대한 상태정보의 입력을 대기하는 입력대기단계와; 특정한 처리의 명령이 있는 경우, 그 명령이 사용자의 직접적인 입력, 블루투스 기기에서의 입력, 또는 인터넷을 통한 원격지 입력인가를 판단하는 입력종류 판단단계와; 상기 입력의 종류가 사용자의 직접적인 입력이면, 그 명령에 해당하는 블루투스 기기의 상태를 변경하고, 이를 저장함과 아울러 표시하고, 그 명령이 블루투스 기기의 입력이면, 그 블루투스 기기의 상태를 저장하고 표시하고, 그 입력이 인터넷을 통한 입력이면, 그 입력에 해당하는 블루투스 기기를 제어한 후, 인터넷을 통해 변경된 설정내용 및 전체 블루투스 기기의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입력처리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 접속장치를 이용한 원격지 감시방법.
KR1020020019018A 2002-04-08 2002-04-08 랜 접속장치를 이용한 원격지 감시장치 및 방법 KR20030080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018A KR20030080417A (ko) 2002-04-08 2002-04-08 랜 접속장치를 이용한 원격지 감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018A KR20030080417A (ko) 2002-04-08 2002-04-08 랜 접속장치를 이용한 원격지 감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417A true KR20030080417A (ko) 2003-10-17

Family

ID=32378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018A KR20030080417A (ko) 2002-04-08 2002-04-08 랜 접속장치를 이용한 원격지 감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04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2745B2 (en) 2004-05-20 2009-0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uter, access point, network and control methods thereof
KR20160127925A (ko) * 2015-04-28 2016-11-07 주식회사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난분해성 유해가스의 처리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2745B2 (en) 2004-05-20 2009-0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uter, access point, network and control methods thereof
KR20160127925A (ko) * 2015-04-28 2016-11-07 주식회사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난분해성 유해가스의 처리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71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remote network devices with a control device
US7032018B2 (en) Home appliance network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RU2666495C2 (ru) Передатчик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параметра с беспроводным приемопередатчиком с питанием от контура
KR100605209B1 (ko) 네트워크용 변환장치
JP3980131B2 (ja) 制御装置、初期設定可能通信システム、及び初期設定可能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
TWI231131B (en) Method and system of completing bluetooth for the pairing procedure by wired interface
US8484323B2 (en) Network system connected with multiple master device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070115821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data using piggyback
CN108924165A (zh) 一种内网远程访问方法及其装置及内网网关
KR20080036606A (ko) 네트워크 시스템
CN103026781A (zh) 多模式通信系统
US20090128321A1 (en) Home appliance with security function
CN110045705A (zh) 采用异构无线网络的智能家居控制方法、装置及系统
KR20030080417A (ko) 랜 접속장치를 이용한 원격지 감시장치 및 방법
EP1570576B1 (en) Method for setting home code of home network system
KR100738563B1 (ko)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중계장치 및 그 중계장치의무선단말 절전방법
KR100559043B1 (ko) 모바일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090102277A (ko) 무선통신을 이용해 지그비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KR100712922B1 (ko) 네트워크 통합시스템
KR100437044B1 (ko) 장소별 제어가 가능한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60575B1 (ko) Rf 통신과 지그비 통신의 연동 장치
JP2005506731A (ja) 通信パケットを設定するための機器及び方法
CN101499940A (zh) 具感测、监控、管理功能的无线网络系统
KR100588703B1 (ko) 모바일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0550775B1 (ko) 모바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모바일 에이전트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