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6606A -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6606A
KR20080036606A KR20087003702A KR20087003702A KR20080036606A KR 20080036606 A KR20080036606 A KR 20080036606A KR 20087003702 A KR20087003702 A KR 20087003702A KR 20087003702 A KR20087003702 A KR 20087003702A KR 20080036606 A KR20080036606 A KR 20080036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er
equipment
service
networ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7003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0586B1 (ko
Inventor
요시히코 도쿠나가
도모유키 하타나카
도모히로 오다
요시유키 고모다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6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6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4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time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 and deployment of a service
    • H04L41/5054Automatic deployment of services triggered by the service manager, e.g. service implementation by automatic configuration of network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40Transformation of program code
    • G06F8/54Link editing before load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네트워크 시스템이 제공되며, 시스템 변경은 제어되거나 모니터링되는 장비를 추가하거나 교환함으로써 쉽게 수행될 수 있다. 장비는 장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 내용에 따라서 정의되는 오브젝트 식별자를 갖는 오브젝트를 가진다. 네트워크를 통하여 장비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기기로부터의 오브젝트 식별자를 사용하는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상태에서, 장비는 상기 서비스 요청에 따라서 오브젝트 내에서 정의되는 서비스를 실행한다. 복수의 장비들의 오브젝트들에게 동일한 오브젝트 식별자를 할당함으로써, 동일한 오브젝트 식별자의 사용에 의하여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수행되는 서비스 요청에 따라서 상기 장비들로부터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시스템{NETWORK SYSTEM}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하여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장비(equipment)들에 대하여 원격 제어 또는 원격 모니터링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전에, IPv6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단말 기기(terminal device)에 의하여 비 IP 네트워크(non-IP network)에 연결되는 장비들을 제어/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이 시스템은 IPv6 네트워크를 위한 네트워크 ID 뿐만 아니라 비 IPv6 네트워크 장비들의 식별 정보(identification information) 및 인터페이스 ID를 획득하며, 이러한 ID들로부터 IPv6 어드레스들을 생성하며, 생성된 어드레스들과 식별 정보 사이의 대응(correspondence)을 관리함으로써, 비 IP 네트워크 장비들 및 IPv6 네트워크 단말 기기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게이트웨이(gateway)를 갖는다. 이러한 게이트웨이에 의하여, 이 장비들은 단말 기기에 의하여 제어 또는 모니터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종류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일본 공개 특허 제2003-60664호에 기재되어 있다. 비 IPv6 장비들을 사용하는 이러한 시스템에서, IPv6 네트워크 단말 기기는 데스티네이션 IPv6 어드레스(destination IPv6 address)를 포함하 는 헤더(header)를 갖는 패킷(packet)을 전달하며, IPv6 어드레스는 게이트웨이에서 비 IPv6 장비에 할당된다. 따라서, 단말 기기가 복수의 장비들에 액세스할 경우에, 장비들 각각에 대응하는 IPv6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즉, IPv6 어드레스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덧붙여,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비들의 수가 증가될 경우라도, 추가되는 장비에 대응하는 IPv6 어드레스를 새롭게 생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복수의 장비들을 단일 식별자(identifier)를 사용하여 제어하거나 모니터링할 수 없으며, 복수의 식별자가 단일 장비에 할당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장비들의 수의 증가에도 유연하게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비들의 수를 쉽게 증가시키며,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따라서 장비들에 대한 원격 제어 또는 모니터링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복수의 장비들 및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장비들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장비(들)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서비스 요청에 따라서 오브젝트를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오브젝트 식별자가 상기 오브젝트에 할당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오브젝트 식별자를 지정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식별자 지정부(specifying portion)를 가지고,
상기 장비들은 동일한 오브젝트 식별자가 할당되는 오브젝트들을 갖는 복수의 장비들을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식별자 지정부에 의하여 지정되는 동일한 오브젝트 식별자를 사용하여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는 경우에, 복수의 장비들은 동일한 오브젝트 식별자를 갖는 상기 오브젝트들 내에서 정의되는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따르면, 클라이언트(즉, 사용자)가 네트워크 통신을 위하여 사용되는 장비의 IP 어드레스와 같은 지정 식별 정보를 고려할 필요없이, 복수의 장비들의 오브젝트들에 동일한 오브젝트 식별자를 할당함으로써 복수의 장비들에게 일괄적으로 동일한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비들의 수의 증가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네트워크 시스템과 동일한 기본 구성을 가지며, 아래의 기능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이 네트워크 시스템은 복수의 장비들 및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장비들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장비(들)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서비스 요청에 따라서 오브젝트를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오브젝트 식별자가 상기 오브젝트에 할당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오브젝트 식별자를 지정하도록 구성되는 식별자 지정부을 가지고,
상기 장비들은 상이한 오브젝트 식별자들이 할당되는 복수의 오브젝트들을 갖는 장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식별자 지정부에 의하여 지정되는 상이한 오브젝트 식별자들 중 하나의 사용에 의하여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장비는 지정되는 오브젝트 식별자를 갖는 상기 오브젝트들 내에서 정의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네트워크 시스템에 따르면, 단일 장비가 상이한 오브젝트 식별자들이 할당되는 복수의 오브젝트들을 갖도록 허용되기 때문에, 매우 다양한 서비스들이 단일 장비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하여 장비(들)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을 수행할 경우에, 장비들 각각은 장비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기능부 및 오브젝트 내에서 정의되며 기능부와 함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요구되는 정보를 주고받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브젝트 내에서 정의되는 정보는 오브젝트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하여 액세스될 경우에 정보 처리부로부터 기능부로 전송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명령 함수, 오브젝트가 네트워크 기기의 요청에 의하여 액세스되는 경우에 네트워크 기기로 전송되는, 기능부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변수 및 오브젝트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하여 미리 액세스되는 조건 하에서 기능부의 상태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네트워크 기기로 전송되는 이벤트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오브젝트 식별자는 장비의 오브젝트의 고유 식별자 및 상기 장비의 기능(들)에 따라서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기기가 오브젝트 식별자를 사용하여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는 경우에, 고유 식별자 및 인터페이스 식별자의 조합에 대응하는 특정 서비스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네트워크 기기가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를 통하여 장비들 및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 사이에서 연결되는 서버를 포함하고,
서버는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요청에 따라서 서버측 오브젝트를 실행하며, 이로 인하여 장비(들)로 장비측 오브젝트를 실행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고,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는 서버측 오브젝트에 의하여 할당되는 제1 식별자를 사용하여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며, 서버는 장비측 오브젝트에 할당되는 제2 식별자를 사용하여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며;
제2 식별자는 제1 식별자의 사용에 의하여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서버측 오브젝트를 실행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에 따라서 장비측 오브젝트를 실행하는 장비의 기능(들)(예를 들어, "로킹" 및 "에어 컨디셔닝")에 따라서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포함하며, 그리고
서버는 제1 식별자 및 제2 식별자 사이의 대응 관계를 설정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식별자 설정부를 가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장비측 오브젝트의 정보 정의를 변경하거나 장비측 오브젝트를 추가할 필요없이, 서버측 오브젝트에 의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장비(들)가 연결되는 경우조차도, 현존하는 장비(들)에 관계없이 제공되는 서비스들의 종류를 확장할 수 있다. 더욱이, 장비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청이 장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하여 서버를 통하여 전송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제2 식별자가 장비측 오브젝트의 고유 식별자(OID) 및 장비의 기능(들)(장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 내용(들))에 따라서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식별자(IID)를 포함하고, 서버는 고유 식별자와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식별자의 조합과 오브젝트 식별자를 갖는 오브젝트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접속 어드레스 정보(네트워크 접속 관련 정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라우팅 테이블을 준비하도록 구성되는 라우팅 기능부를 가지며, 라우팅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오브젝트 식별자는 서버측 오브젝트의 고유 식별자 및 클라이언트로 제공되는 서비스 내용(들)에 따라서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식별자를 포함하고,
제2 오브젝트 식별자는 장비측 오브젝트의 고유 식별자 및 장비의 기능(들)에 따라서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식별자를 포함하고,
식별자 설정부가 제1 식별자의 고유 식별자와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식별자의 조합과, 제2 식별자의 고유 식별자와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식별자의 조합 사이의 대응 관계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특정한 장비에 의하여 특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서비스 요청이 복수의 장비들의 오브젝트들에 할당되는 동일한 인터페이스 식별자의 사용에 의하여 수행되는 경우에, 인터페이스 식별자의 정의 내용(definition contet)에 대응하는 동일한 서비스가 상기 장비들에 의하여 일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에 적절하게 응답할 수 있으며, 유연하면서 쉽게 장비(들)의 추가와 같은 시스템 변경에 대처할 수 있다.
서버는, 서버측 오브젝트의 내용에 따라서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서버측 오브젝트의 서비스 요청을 통하여, 장비(들)가 장비측 오브젝트를 실행하도록 허용함으로써 획득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며, 이후 처리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로 전송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장비(들)가 클라이언트로 장비측 오브젝트를 실행하도록 허용함으로써 획득되는 미가공 데이터(raw data)를 단순히 제공하는 경우에 덧붙여, 클라이언트에 의하여 요구되는 정보로 미가공 데이터를 처리하며, 이후 처리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보다 다양한 서비스들을 받을 수 있다.
서버는 미리 정해진 통신 프로토콜을 SOAP로 변환하여, 변환된 SOAP를 전송하며, 수신한 SOAP를 미리 정해진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기능들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위하여 제공되는 방화벽을 넘어 장비들과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아래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즉, 이 네트워크 시스템은, 복수의 장비들, 네트워크를 통하여 장비(들)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들)를 위한 요청을 장비(들)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한다. 장비는 장비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기능부와, 액세스를 위하여 오브젝트 식별자가 할당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정보를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갖고, 정의에 따라서 기능부과 정보를 주고받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부로 형성된다. 네트워크 기기는 오브젝트 식별자의 사용과 함께 네트워크를 통하여 장비(들)로 요청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장비들 각각의 정보 처리부들이 가진 오브젝트들이 동일한 정의 내용를 가질 경우에, 동일한 오브젝트 식별자가 상기 오브젝트들에 할당된다. 네트워크 기기가 장비들의 오브젝트들에 할당된 동일한 오브젝트 식별자를 사용하여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는 경우에, 장비들 각각은 오브젝트 내에서 정의되는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오브젝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요청된 오브젝트를 실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아래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즉, 이 네트워크 시스템은, 복수의 장비들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 장비(들)로 서비스 요청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한다. 장비는 장비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기능부, 액세스를 위하여 오브젝트 식별자가 할당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정보를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가지며, 정의에 따라서 기능부와 정보를 주고받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부로 형성된다. 네트워크 기기는 오브젝트 식별자의 사용에 의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장비(들)로 서비스 요청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이한 오브젝트 식별자들이 장비들 중 하나의 정보 처리부가 가진 복수의 오브젝트들에 할당된다. 네트워크 기기는 장비들 중 하나 내에 있는 오브젝트들에 할당되는 오브젝트 식별자들 중 하나를 지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장비들 중 하나는 오브젝트 내에서 정의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정된 오브젝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실행한다.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네트워크 통신을 위하여 사용되는 IP 어드레스와 같은 지정 식별 정보를 고려할 필요없이, 장비들을 제어 또는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오브젝트 식별자가 복수의 장비들의 오브젝트들에 할당되는 경우에, 동일한 서비스가 상기 장비들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동시에, 상이한 오브젝트 식별자들이 장비들 중 하나의 오브젝트들에 할당되는 경우에, 매우 다양한 서비스들이 단일 장비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고유 식별자가 각 장비의 정보 처리부 내의 오브젝트들 각각에 할당된다. 오브젝트들 각각은 기능부 및 정보 처리부 사이에서 주고받는 정보를 정의하는 입력/출력 정의 기능을 가지며, 임의의 인터페이스 식별자가 입력/출력 정의 기능에 할당된다. 네트워크 기기가 장비(들)의 정보 처리부의 오브젝트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오브젝트 식별자를 사용함으로써 장비(들)에 요청을 전송하는 경우에 있어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요구되는 정보가 복수의 오브젝트들 하에서 동일한 인터페이스 식별자를 가진 입력/출력 정의 기능에 의하여 정의되는 정보인 때에는, 동일한 서비스가 오브젝트 식별자로서 동일한 인터페이스 식별자를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장비들로부터 일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요구되는 정보가 지정 오브젝트의 지정 입력/출력 정의 기능에 의하여 정의되는 정보인 경우에, 지정 서비스는 오브젝트의 고유 식별자와, 오브젝트 식별자로서의 입력/출력 정의 기능의 인터페이스 식별자의 조합을 사용함으로써 특정 장비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는 네트워크 상에서 제공된다. 상기 서버는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장비들을 검출하며, 검출된 장비의 정보 처리부 내의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자 및 오브젝트 식별자를 가진 오브젝트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네트워크 연결 관계 정보 사이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을 갖는다. 테이블의 내용에 따라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장비(들)로 제공되는 서비스 요청을 위한 라우팅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장비(들)의 오브젝트(들)의 실행 요청이 서버를 통하여 전송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기기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측 오브젝트를 갖는 처리 부분을 포함한다. 처리 부분은 장비(들)에 의하여 제공되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하여 요청되는 서비스에 대응하는 정보를 정의한다. 상기 정의에 관련된 오브젝트 식별자가 서버측 오브젝트에 할당된다. 서버측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자가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요청 내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서버는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자를 사용함으로써 대응하는 장비(들)로 서버측 오브젝트에 결합하는 장비(들)의 정보 처리부 내의 오브젝트의 실행 요청을 전송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장비측 오브젝트 내의 정보 정의를 변경하며, 장비측 오브젝트를 추가할 필요없이, 서버측 오브젝트에 따라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비(들)가 추가되는 경우조차도, 현존하는 장비들과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들의 확장에 용이하게 응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로부터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도 1b는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 사용되는 센터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2a는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 사용되는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의 구성도이며, 도 2b는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의 클라이언트 플랫폼의 구성도이다.
도 3a는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 사용되는 장비의 구성도이며, 도 3b는 장비의 MOS의 구성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제1 실시예)
도 1a는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 네트워크 시스템은 주로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client terminal device)(2), 센터 서버(center server)(3), 게이트웨이(5), 및 다양한 종류의 장비(equipment)(6)들로 구성된다.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는 개방형 네트워크인 인터넷(1)에 연결된 퍼스널 컴퓨터 또는 인터넷(1)에 연결되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mobile communication network)에서 사용되는 모바일 통신 단말 기기와 같은 네트워크 기기(network device)이다. 센터 서버(3)는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인터넷(1)에 연결되는 오브젝트 액세스 서버(object access server, 이하 "OAS"라 함)(7)의 기능을 갖는 네트워크 기기이다. 게이트웨이(5)는 사용자 영역 A 내의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4) 및 인터넷(1) 사이에서 연결되며, 인터넷(1) 및 LAN(4) 사이의 프로토콜 변환 기능(protocol converting function)을 포함하는 상술한 OAS(7)의 기능을 갖는다. LAN(4)에 의하여 접속되는 장비들(6)(첨부된 도면에서 도시된 세 개의 장비들 6a 내지 6c)은 사용자 영역 A 내의 주택 또는 빌딩에 위치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는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통신부(20), 계산 처리부(arithmetic processing portion)(21), 키보드나 디스플레이와 같은 입력/출력부(22), 및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네트워크 시스템 및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오브젝트 액세스 라이브러리(Object Access Library, 이하 "OAL"이라 함))를 인스톨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메모리부(23)를 포함한다. 계산 처리부(21)에서, 인터넷(1) 및 LAN(4) 상의 노드 검출(node detection)이 OAL의 실행에 의하여 수행된다. 또한, 계산 처리부(21)는 나중에 설명될 오브젝트에 액세스할 수 있고, 장비(6)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가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에 의하여 원하는 형태(desired form)로 수신될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는 이후에 설명될 오브젝트 식별자(object identifier)를 개별적으로 지정하도록 구성되는 식별자 지정부(identifier specifying portion)(26)를 갖는다. 입력/출력부(22)를 통한 서비스 요청 입력(service request input)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오브젝트 식별자가 지정(선택)된다. 도 2a에서, 참조 번호 24는 버스(bus)를 가리킨다.
본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및 OAL에 의하여 형성되는 클라이언트 플랫폼(client platform)은 도 2b에 도시된 구성을 갖는다. OAL은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4)과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 기능(10), 네트워크 상에서 오브젝트를 갖는 장비를 검출하기 위한 노드 검출 기능(11), 오브젝트 요청 기능(12),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프로바이더 기능(provider function)(13), OAL 플랫폼에 대한 전송 조건(transmission condition)(15) 등을 갖는다.
반면에, 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된 장비들(6)(6a 내지 6c)은 사용자 영역 A 내의 주택 또는 빌딩에 위치될 수 있다. 장비들이 빌딩에 위치되기 때문에, 환경 장비들(조명 또는 에어 컨디셔닝), 방범 장비(crime-prevention equipment), 방재 장비(disaster-prevention equipment), 및 이러한 장비들에 사용되는 온도 센서, 휘도(brightness) 센서, 인체 감지 센서, 및 화재 감지 센서(fire detection sensor)와 같은 센서 기기들이 있다. 또한 이들 장비가 주택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장비들(6) 각각은 기본적으로 장비(6)에 고유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부(60), 정보 처리부(63),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통신부(64) 및 정보 처리부(63) 내에 제공되는 메모리부(65)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장비가 에어컨일 경우에, 기능부(60)는 에어 컨디셔닝 기기 및 에어 컨디셔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기에 대응한다. 장비가 조명 장비일 경우에, 기능부(60)는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기기에 대응한다. 장비가 상술한 센서 기기인 경우에, 기능부(60)는 감지를 위한 헤더(header) 및 헤더에 의하여 감지된 감지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 처리 유닛에 대응한다. 정보 처리부(63)는 인터페이스부(61) 및 버스(62)를 통하여 기능부(60)로 동작 명령(operation instruction)(동작 제어) 함수를 제공하거나, 기능부(60)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변수를 획득하거나, 기능부(60)의 상태 변화의 발생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부(65)에서, 소프트웨어 모듈(이하 "MOS"<Micro Object Server>라 함)이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오브젝트 서버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스톨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OS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인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섹션(40)과, 이후 설명될 OSI 7-계층의 프로토콜(OSI 7-layer protocol)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통신 모듈(41)과, 통신부(64) 및 인터페이스부(61)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하드웨어 통신 모듈(42)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OSI 7-계층 모델은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프로토콜로서 사용된다. 최상위 계층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서, 고유한 오브젝트 액세스 프로토콜(object access protocol, OAP)이 장비(6)의 정보 처리부(63)의 MOS와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 사이에서 변수, 함수 및 이벤트 정보와 같은 정보를 주고받기 위하여 사용된다.
MOS의 소프트웨어 통신 모듈(41)은 TCPUDP의 통합 및 상술한 OAP의 정의(definition)를 수행하기 위하여, OSI 7-계층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에서 프리젠테이션 계층(presentation layer)까지의 프로토콜에 대한 책임을 진다.
장비(6)의 각각은, 정보 처리부(63)의 MOS 내에 기능부(60)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할 때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갖는다. 또한,오브젝트는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응하는 변수, 함수 및 이벤트 정보와 같은 정보에 의하여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고유 식별자(이하 "OID"라 함)가 오브젝트에 할당되며, 인터페이스 식별자(interface identifier)(또는 이후에 "IID"로 언급되는 입력/출력 정의 식별자(input/output definition identifier))가 인터페이스에 할당된다. 동일한 정의 내용, 즉 동일한 IID를 갖는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오브젝트들에 할당될 수 있다. 특정한 장비(6)를 지정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의 경우에, 동일한 OID가 복수의 장비들(6)의 오브젝트들에 할당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의 OAL은 장비(6)의 오브젝트의 IID/OID를 지정하여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는 노드 검출 기능(11)을 사용하여 장비(6)의 IP 어드레스, 오브젝트의 OID 및 인터페이스의 IID를 획득하며, 장비들의 IID/OID 및 IP 어드레스 사이의 대응 테이블(correspondence table)을 준비한다.
다음에, 도 1a에 도시된 OAS(7)를 사용한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가 시스템 내의 오브젝트의 OID 및 인터페이스의 IID를 사용하여 장비의 오브젝트에 액세스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게이트웨이(5) 및 센터 서버(3) 내에 인스톨되는 전술한 OAS(7)는 네트워크 접속(network connection)을 숨기기 위한 오브젝트 라우터 기능(object router function)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사용자(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가 장비(6)의 오브젝트 하에서 입력/출력 정의 기능(즉, 인터페이스)을 액세스함에 의하여 장비(6)의 기능부(60)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허용하도록 실행되는 다양한 응용 소프트웨어들, 및 프로토콜 변환을 통하여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의 심리스 접속(seamless connection)을 위한 프로토콜 브릿지 서비스 및 방화벽을 통하여 통과하도록 OAS-7 계층 모델 내의 프로토콜을 SOAP로 변환하기 위한 방화벽 브릿지 서비스와 같은 부가 서비스 기능들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들로 구성된다.
장비(6)의 특정 오브젝트의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는 경우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의 서비스 요청은 센터 서버(3)를 통하여 OAP에 의하여 대응하는 장비(6)에 대하여 수행된다. 이때, IP 어드레스는 인터넷 통신상의 장비(6)를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장비들(6) 각각은 IP 어드레스를 갖는다.
게이트웨이(5)의 OAS(7)는 프로토콜 변환 기능(protocol conversion function) 및 라우팅 기능을 갖는다. 라우팅 기능은 게이트웨이(5)의 CPU부(도시하지 않음) 내의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에 의하여 제공된다. 라우팅 기능은 LAN(4)에 연결되는 장비들(6) 각각의 인터페이스의 IID 및 MOS 내의 오브젝트의 OID에 대한 조합 정보(combination information)와 장비들(6)(6a, 6b, 6c) 각각의 IP 어드레스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라우팅 테이블(routing table)을 준비하는 기능 및 라우팅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초기 기동(activation)에 있어서,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장비들(6)(6a, 6b, 6c)은 OAP의 사용과 함께 멀티캐스팅(multicasting) 수단들에 의하여 독출되며, 노드 검출이 IP 어드레스를 획득하기 위한 응답(response)의 존재 또는 부존재에 따라서 수행된다. 이어서, 전술한 라우팅 테이블(접속 장비 정보 테이블)이 IP 어드레스와 MOS의 오브젝트의 OID 및 장비들(6a, 6b, 6c) 각각으로부터 제공되는 오브젝트 하의 인터페이스의 IID에 대한 조합 정보의 사용에 의하여 게이트웨이에서 준비된다. 이후, 조합 정보 및 게이트웨이의 IP 어드레스는 인터넷(1) 상의 서버, 즉 도 1a에서의 센터 서버(3)로 전송된다.
반면에,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서버(3)는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통신부(30) 및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의하여 OAS(7)를 실현하기 위한 계산 처리부(31)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구성된다. 센터 서버(3)의 OAS(7)는 게이트웨이(5)로부터 제공되는 게이트웨이(5)의 IP 어드레스 및 장비들(6)의 IID 및 OID에 대한 조합 정보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라우팅 테이블(접속 OAS 정보 테이블)을 준비하며, 라우팅 처리를 실행하는 라우팅 기능부(31c)를 갖는다. 또한, 센터 서버(3)는 그 자신의 오브젝트에 대한 IID 및 OID의 조합 정보를 인터넷(1)을 통하여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로 제공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이 설명된다. 사용자 영역 A 내에서, 시스템이 기동되었을 때, 게이트웨이(5)의 OAS(7)는 우선 멀티캐스팅 방식으로 LAN(4)에 연결된 장비들(6)(6a, 6b, 6c) 각각에 액세스하며, 이후 장비들(6)(6a, 6b, 6c) 각각으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IP 어드레스를 획득한다.
이어서, 정보 처리부(63)의 MOS의 오브젝트의 OID 및 이 오브젝트 아래의 인터페이스의 IID로 이루어지는 조합 정보는 장비들(6)(6a, 6b, 6c) 각각으로부터 게이트웨이(5)로 전송된다. 게이트웨이(5)의 OAS(7)는 OID 및 IID의 조합 정보 및 장비들 각각에 대한 IP 어드레스를 갖는 라우팅 테이블을 준비한다. 또한, 게이트웨이(5)는 LAN(4)에 접속된 장비들(6)(6a, 6b, 6c) 각각의 (OID 및 IID의) 조합 정보 및 게이트웨이(5)의 글로벌 IP 주소 정보(global IP address information)를 인터넷(1)상의 OAS(7), 즉 도 1a에 도시된 센터 서버(3)의 OAS(7)로 전송한다.
센터 서버(3)의 OAS(7)에 있어서, 라우팅 테이블은 게이트웨이(5)에 의하여 관리되는 장비들(6)(6a, 6b, 6c)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IID 및 오브젝트에 대한 OID의 조합 정보 및 게이트웨이(5)의 IP 어드레스로부터 마련된다. 또한, 이러한 라우팅 테이블 내에 저장되어 있는 장비들(6)(6a, 6b, 6c)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IID 및 오브젝트에 대한 OID는 센터 서버(3)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의 OAL로 전송되며, 이 후 거기에 저장된다. 결과적으로,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는 이러한 OID 및 IID의 사용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실행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에 있어서, 오브젝트 식별자(즉, OID, IID)의 사용에 의하여 장비들(6)에 대하여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비스 요청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런칭(launch)되는 경우에, 요청된 서비스 내용에 대응하는 정보를 정의하는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오브젝트(들)의 IID 또는 OID, 또는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OID와 그 오브젝트 아래의 특정한 인터페이스의 IID와의 조합 정보가 OAP에 의하여 인터넷(1)을 경유하여 센터 서버(3)로 서비스 요청으로서 전송된다.
센터 서버(3)의 OAS(7)가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로부터 서비스 요청으로서, 장비(들)(6)의 오브젝트(들)에 대한 IID 또는 OID, 또는 IID 및 OID에 대한 조합 정보를 수신한 후에, 이들은 IID, OID 또는 IID 및 OID의 조합 정보에 대응하는 장비들(6)(6a, 6b, 6c)이 LAN(4)을 통하여 접속되도록 하는 게이트웨이(5)를 추출하기 위하여, 센터 서버의 라우팅 테이블 내에 저장된 정보에 대응하여 체크된다. 이 후, 센터 서버(3)는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로부터 제공된 IID, OID 또는 IID 및 OID에 대한 조합 정보를 갖는 서비스 요청을 추출된 게이트웨이(5)로 전송한다.
게이트웨이(5)의 OAS(7)가 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후, 접속 장비 정보 테이블의 내용에 따라서 LAN(4)을 통하여 연결되며 게이트웨이(5)에 의하여 관리되는 대응하는 장비(들)를 추출하며, 센터 서버(3)로부터 수신된 IID, OID 또는 IID 및 OID에 대한 조합 정보를 갖는 서비스 요청을 추출된 장비(들)(6)에 전송한다.
즉, OID만을 사용하여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는 경우에, 게이트웨이(5)는 이 OID를 갖는 서비스 요청을 이 OID가 할당된 오브젝트를 갖는 모든 장비(들)(6)로 전송한다. 결과적으로, 장비(들)(6)의 정보 처리부(63)는 이 OID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실행하며, 따라서 이 오브젝트 아래의 인터페이스(들)에 의하여 정의되는 정보(함수, 변수, 이벤트 정보)는 정보 처리부(63) 및 기능부(60) 사이에서 교환되게 된다. 동일한 OID가 복수의 장비들(6)의 오브젝트들에 할당되는 경우에, 동일한 서비스가 이들 장비(6)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또한, IID만을 사용하여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는 경우에, 게이트웨이(5)의 OAS(7)는 이 IID를 갖는 서비스 요청을 이 IID가 할당된 인터페이스의 오브젝트를 갖는 모든 장비(들)로 전송한다. 결과적으로, 장비(들)(6)의 정보 처리부(63)는 이 IID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의 오브젝트를 실행하며, 따라서 이 오브젝트 아래의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정의되는 정보(함수, 변수, 이벤트 정보)는 정보 처리부(63) 및 기능부(60) 사이에서 교환되게 된다. 동일한 IID가 복수의 장비들(6)의 오브젝트들의 인터페이스들에 할당되는 경우에, 동일한 정의 내용의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가 장비들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또한, OID 및 IID의 조합 정보를 사용하여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는 경우에, 게이트웨이(5)의 OAS(7)는 IID 및 OID의 조합 정보를 갖는 서비스 요청을 이 OID가 할당된 오브젝트 및 IID가 할당된 인터페이스를 갖는 장비로 전송한다. 결과적으 로, 장비(6)의 정보 처리부(63)는 이 OID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를 갖는 오브젝트를 실행하며, 따라서 이 오브젝트 아래의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정의되는 정보는 정보 처리부(63) 및 기능부(60) 사이에서 교환되게 된다. 이 경우에, 특정 장비(6)의 오브젝트의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정의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가 이 장비(6)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서비스 요청이 함수를 정의하는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수행되는 경우에, 정보는 장비(6)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로 전달되지 않는다. 서비스 요청이 변수를 정의하는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수행되는 경우에, 즉 장비(들)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가 요청되는 경우에, 정보는 장비(6)로부터 게이트웨이(5)로 전송되며, 게이트웨이의 OAS(7)는 정보를 센터 서버(3)로 전송하며, 최종적으로 센터 서버(3)의 OAS(7)는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로 전송한다.
또한, 이벤트 정보를 정의하는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수행되는 서비스 요청에 관하여, 정보 처리부(63)가 장비(6)의 기능부(60)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사실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이벤트 정보는 장비(6)로부터 게이트웨이(5)로 전송되며, 게이트웨이(5)의 OAS(7)는 이벤트 정보를 센터 서버(3)로 전송하며, 마지막으로 센터 서버(3)의 OAS(7)는 이벤트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로 전송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가 장비(들)(6)의 인터페이스의 IID 또는 오브젝트의 OID의 사용에 의하여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는 경우에, 센터 서버(3)의 OAS의 라우팅 기능의 도움에 의하여 LAN(4) 을 통하여 게이트웨이(5)에 연결되는 장비(들)의 오브젝트(들)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는 장비(들)(6)의 IP 어드레스를 고려하지 않고도 장비(들)(6)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제공되는 서비스들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추가적인 장비(들)(6)가 새로이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되는 경우조차도, 추가적인 장비(들)(6)의 MOS의 IID 및 OID가 전술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에 전송된다. 따라서 단순히 추가적인 장비(들)(6)의 MOS의 인터페이스의 IID 및 오브젝트의 OID에 관하여,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변경하거나 업데이팅하는 것에 의하여,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는 추가적인 장비(들)(6)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센터 서버(3)는 전술한 OAS(7) 이외에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 내에 인스톨되는 브라우저로 열람 가능한 웹 사이트를 만들기 위한 웹 서버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센터 서버(3)에 의하여 수집되는 정보가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로부터 언제라도 열람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제2 실시예)
본 실시예는 상술한 라우팅 기능에 덧붙여 아래의 기능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센터 서버(3)의 OAS(7) 상에서, 장비(6)의 오브젝트 하의 인터페이스 정보에 대한 정의 내용은 임의의 IID가 할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획득하기 위하여 재정의된다.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가 OID 및 IID의 사용에 의하여 이 OAS(7) 상의 서버측 오브젝트 및 인터페이 스에 액세스하는 경우, 센터 서버(3)는 그 OID 및 IID의 사용에 의하여 이전에 관련지어져 있는 장비(6)의 장비측 오브젝트 및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로부터 센터 서버(3)의 OAS(7) 상의 오브젝트 하의 인터페이스의 IID를 액세스함으로써, 장비(들)(6)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가 센터 서버(3)의 OAS의 오브젝트에 액세스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달성하기 위하여,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서버는 서비스 요청 기능부(31a) 및 서비스 제공 기능부(31b)를 가질 필요가 있다.
즉, 센터 서버(3)의 OAS는 장비(들)(6)의 정보 처리부(63) 내의 MOS의 오브젝트의 식별자인 OID, 오브젝트 하의 인터페이스의 IID 또는 OID 및 IID의 조합 정보의 사용에 의하여 게이트웨이(5)를 통하여, 장비(들)(6)로 오브젝트의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정의되는 정보를 주고받는 서비스 요청으로서의, 요청을 수행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요청 기능부(31a)를 가지며, 게이트웨이(5)를 통하여 장비(들)(6)와 요청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정보를 주고받는다. 또한, 센터 서버(3)의 OAS의 서비스 제공 기능부(31b)는 클라이언트가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도록, 즉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되는 정보를 정의하는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인터페이스의 정의에 따라서, 요청된 서비스의 정보가 서비스 제공 기능부(31b) 및 서비스 요청 기능부(31a) 사이에서 교환되게 된다. 또한, 서비스 제공 기능부(31b)는 정의에 따라서 요청된 서비스의 정보와 클라이언트가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사용되는 정보 사이의 변환을 실행하기 위한 서버측 오브젝트(server-side object)를 갖는다. OID가 서버측 오브젝트에 할당되며, 임의의 IID가 이 오브젝트 하의 인터페이스에 할당된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 기능부(31b)가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로부터 오브젝트에 대한 고유 식별자, 오브젝트 하의 인터페이스의 IID 또는 OID 및 IID의 조합을 사용하여 오브젝트에 대한 실행 요청을 수신하면, 서비스 제공 기능부(31b)는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실행한다. 전술한 "변환"의 의미는, 예를 들어 "현재 온도"가 "주어진 시간 길이에 대한 평균 온도"로 변환되는 것처럼, 특정 정보가 다른 의미를 갖는 정보로 변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장비측 오브젝트를 추가하거나, 장비측 오브젝트 내의 정보 정의를 변경하지 않고, 센터 서버(3)의 서버측 오브젝트에 의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장비(들)가 추가되는 경우조차도, 존재하는 장비들(6)에 관계없이 제공되는 서비스들의 종류를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은 구체적 예시에 따라서 설명된다. 아래의 예시에 있어서, 서버측 오브젝트들 각각에 할당되는 식별자들(OID, IID) 및 장비측 오브젝트들 각각에 할당되는 식별자들(OID, IID) 사이의 대응 관계는 센터 서버(3)의 식별자 설정부(identifier setting portion) 내에서 설정된다.
도 1a의 장비(6)(6a, 6b, 6c)의 기능부(60)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센서이며, 온도 센서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응하는 정보가 "현재 온도"의 명칭을 갖는 변수로서 정의되는 조건 하에서, 장비(6)(6a, 6b, 6c) 각각의 정보 처리부(63)의 오브젝트(OID: xxa, xxb, xxc) 하의 인터페이스의 IID는 "온도 센서"로 설정되는데, 왜냐하면 정의 내용이 동일하기 때문이다.
센터 서버(3)에 있어서, OAS(7) 상의 서비스 요청 기능부(31a)는 IID "온도 센서"가 할당되는 인터페이스를 갖는 오브젝트의 OID에 주기적으로 액세스하여, 그 액세스의 결과로서 장비(6)(6a, 6b, 6c)로부터 제공되는 "현재 온도"의 변수를 기록하도록 프로그램되는 온도 모니터링 서비스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실현된다. 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어 있는 OID "yyy"를 갖는 오브젝트 하의 인터페이스의 IID "zzz"가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에 의하여 액세스되는 경우에, 이 어플리케이션은 MOS 내의 IID "온도 센서"의 인터페이스를 갖는 오브젝트를 갖는 장비(6)(6a, 6b, 6c)에 LAN(4)을 통하여 접속되는 게이트웨이(5)를, 라우팅 테이블을 참조하여 추출하며, 이후 추출된 게이트웨이(5)로 IID "온도 센서"가 할당된 인터페이스를 갖는 오브젝트에 대한 서비스 요청을 전송하도록 런칭된다.
반면에,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게이트웨이(5)의 OAS(7)는, 접속 장비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IID "온도 센서"가 할당되는 인터페이스를 갖는 오브젝트를 가지며 LAN(4)을 통하여 게이트웨이(5)에 연결되는 장비(6)(6a, 6b, 6c)를 추출하며, 이후 추출된 장비(들)(6)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서비스 요청을 수행한다.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장비(6)의 정보 처리부(63)는 온도 센서인 기능부(60)에 의하여 검출된 현재 온도 정보를 획득하며, 이를 변수 "현재 온도"로서 게이트웨이(5)로 전송한다. 이후 게이트웨이(5)의 OAS(7)에 의하여 수신되는 변수 "현재 온도"는 센터 서버(3)로 전송된다. 센터 서버(3)의 OAS(7) 상의 서비스 제공 기능 부(31b)를 실현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변수 "현재 온도"는 서비스 요청이 수행되는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로 전송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의 사용에 의하여 원격지로부터 가정 또는 빌딩 내의 현재 온도 및 온도 변화에 대한 정보를 임의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비들(6b, 6c) 각각이 장비(6a)의 오브젝트 하에서의 인터페이스로서 동일한 IID가 할당된 인터페이스를 갖는 오브젝트를 가지는 경우에, 변수 "현재 온도"는 장비(6a)에 덧붙여 장비들(6b, 6c)로부터의 서비스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장비들(6a, 6b)이 이전에 위치되며, 장비(6c)가 추가적으로 위치되는 경우에 있어서, 장비(6c)는 장비들(6a, 6b)과 다른 IP 어드레스를 갖는다. 반면에, 장비(6c)의 오브젝트의 OID 및 상기 오브젝트 하의 인터페이스의 IID는 게이트웨이(5)의 OAS(7)의 라우팅 테이블(접속 OAS 정보 테이블) 내에 저장된다. 또한, LAN(4)을 경유하여 대응하는 장비(6c)에 연결되는 게이트웨이(5)의 IID, OID 및 IP 어드레스는 센터 서버(3)의 OAS(7)의 라우팅 테이블에 추가된다. 그러나, 센터 서버(3)의 OAS(7) 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장비(6c)의 오브젝트 하에서 IID "온도 센서"가 할당된 인터페이스를 액세스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을 추가되는 장비(6c)의 IP 어드레스를 직접적으로 고려할 필요없이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서 게이트웨이(5)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하고 유연하게 시스템 변경에 대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다른 동작이 아래 예시에 따라서 도입된다. 전술한 경우에 있어서, 장비(6)(6a, 6b, 6c) 각각에 관련하여, 기능부(60)가 온도 센서에 의하여 제공되며, 정보 처리부(63)는 상기 오브젝트 하에서 IID "온도 센서"가 할당되는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본 예시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비들(6)(6a, 6b, 6c) 각각에 관하여, 기능부(60)가 인체 감지 센서에 의하여 제공되며, 정보 처리부(63)은 오브젝트 하에서 IID "인체 감지 센서"가 할당된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따라서 본 예시는 인체 감지 센서가 인체의 존재를 탐지했다는 점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통지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 오브젝트 하에서 인터페이스 내에서 정의된 정보는 "존재 감지(existence detection)"라는 명칭의 이벤트 정보이며, "인체 감지 센서"가 IID로서 할당된다.
장비들(6)(6a, 6b, 6c)의 MOS는 기능부(60)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벤트 정보가 각 장비들(6)로부터 게이트웨이(5)를 통하여 전송되는 경우에, 센터 서버(3) 상의 OAS(7)의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방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이벤트 정보를 휴대 전화(mobile-phone)와 같은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로 전송한다. 따라서,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오브젝트의 OID 및 이 오브젝트 하의 인터페이스의 IID "인체 감지 센서"는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로부터 액세스되며, 정보 처리부(63) 내에서 상술한 라우팅 테이블(즉, 접속 OAS 정보 테이블)의 사용에 의하여 이 어플리케이션은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로서 사용되는 휴대 전화의 메일 어드레스(mail address)를 추출하며, IID "인체 감지 센서"가 할당된 인터페이스를 갖는 오브젝트를 갖는 장비(6)(6a, 6b, 6c)에 LAN(4)을 통하여 연결되는 게이트웨이(5)를 추출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런칭된다. 결과적으로, IID "인체 감지 센서"가 할당된 인터페이스를 갖는 오브젝트로의 서비스 요청은 추출된 게이트웨이(5)로 전송된다.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게이트웨이(5)의 OAS(7)는 접속 장비 정보 테이블의 사용에 의하여 LAN(4)에 연결되는 대응하는 장비(들)(6)(6a, 6b, 6c)을 추출하며, 추출된 장비(들)(6)로 서비스 요청을 전송한다. 추출된 장비(들)(6)의 정보 처리부(63) 내에서, 대응하는 오브젝트가 실행된다. 기능부(60)가 인체의 존재를 감지하는 경우에, 상태 변화(status change) 즉, "존재 감지"를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가 게이트웨이(5)의 OAS(7)로 전송된다. 게이트웨이(5)에 의하여 수신된 이벤트 정보는 센터 서버(3)로 더 전송된다.
"존재 감지"의 이벤트 정보가 장비들(6)(6a, 6b, 6c) 중 어느 하나로부터 게이트웨이(5)를 통하여 전송되면, 센터 서버(3)의 OAS(7)는 "존재 감지"의 이벤트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로 통지한다. 예를 들어, 장비들(6b, 6c) 각각이 장비(6a)의 오브젝트 하에서의 인터페이스로서 동일한 IID가 할당된 인터페이스를 갖는 오브젝트를 가지는 경우에, 서비스로서 장비(6a) 뿐만 아니라 장비들(6b, 6c)로부터 "존재 감지"의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예시와 마찬가지로, 본 예시에 있어서도, 이벤트 정보는 센터 서버(3)의 OAS(7) 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변경하지 않고, 추가되는 장비(6c)에서의 이벤트 발생에 응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로 통지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유연하게 시스템 변경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또 다른 동작이 아래의 예시에 따라서 도입된다. 전술한 예시에 있어서, 장비들(6)(6a, 6b, 6c) 각각의 정보 처리부(63)는 동일한 IID가 할당되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갖는 하나의 오브젝트를 가진다. 본 예시에 있어서, 하나의 오브젝트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들을 가지며, 제공되는 서비스 내용에 대응하는 IID들은 이 인터페이스들에 할당된다. 또한, 동일한 IID가 장비들(6)(6a, 6b, 6c) 중 동일한 정의 내용을 갖는 인터페이스들에 할당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능부(60)로부터 다양한 서비스들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비들(6)(6a, 6b, 6c) 각각의 기능부(60)가 인체 존재의 감지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는 인체 감지 센서에 의하여 제공되는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이벤트 발생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정보(함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서비스의 다양화는 서비스 내용 및 정보 정의의 조합에 따라서 인터페이스에 적당한 IID를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서비스(safety service)", "보안 서비스(security service)", "로컬 서비스(local service)", 및 "메이커 서비스(maker service)"와 같은 IID들을 갖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들이 준비된다. 본 설명에서, IID "메이커 서비스"는 모든 장비들(6)(6a, 6b, 6c) 내의 MOS의 오브젝트 하의 인터페이스에 할당되며, "응답"이라는 함수는 인터페이스 내에서 정의된다. 또한, IID "안전 서비스"는 실내 영역(indoor area)에 위치하는 장비들(6a, 6c) 각각의 MOS의 오브젝트 하에서의 인터페이스에 할당되며, "존재 감지(existence detection)"의 이벤트 정보는 상기 인터페이스 내에서 정의된다. 또한 IID "보안 서비스"는 주택의 현관에 위치된 장비(6a) 내의 MOS의 오브젝트 하의 인터페이스에 할당되며, IID들 "로컬 서비스" 및 "보안 서비스"는 주택 주변에 위치하는 장비(6b) 내의 MOS의 오브젝트 하에서의 인터페이스에 할당되며, "존재 감지"의 이벤트 정보는 상기 인터페이스들 내에서 정의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종류의 서비스들이 장비들(6)(6a, 6b, 6c) 각각에 대하여 설정된다.
반면에, IID를 갖는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센서 서버(3)의 OAS(7)가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로부터, 오브젝트의 OID "yyy" 하에서의 "존재 감지"의 이벤트 정보를 정의하는 인터페이스의 IID(예를 들어, 장비들(6a, 6c)의 "안전 서비스", 장비들(6a, 6b)의 "보안 서비스" 또는 장비(6b)의 "로컬 서비스")를 액세스하는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 센터 서버(3)는 IID "안전 서비스", "보안 서비스" 또는 "로컬 서비스"를 갖는 인터페이스를 액세스하는 서비스 요청을 게이트웨이(5)를 통하여 대응하는 장비(들)(6a, 6b, 6c)로 전송한다. 이어서, 인체 감지 센서에 의하여 검출되는 정보에서 변화가 발생하면, 인체의 존재 또는 부존재를 지칭하는 "존재 감지"의 이벤트 정보가 게이트웨이(5)로 전송된다. 이후 상기 이벤트 정보는 대응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안전 서비스"의 경우에 있어서, 독거 노인의 행동(behavior)이 실내에 위치하는 장비들(6a, 6c)의 인체 감지 센서들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인간의 존재가 자주 감지되는 경우에, 재택 노인의 가족과 같은 사용자가 클라이언 트 단말 기기(2)를 통하여 독거 노인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안 서비스"의 경우에 있어서, 인체 감지는 예를 들어 주택의 주변에 위치하는 장비(6b)의 인체 감지 센서 및 주택의 현관에 위치하는 장비(6a)의 인체 감지 센서의 사용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부재 중일 동안, 장비(6b)가 "존재 감지"의 이벤트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로 전송하고, 이후 장비(6a)가 "존재 감지"의 이벤트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로 전송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존재 감지"의 이벤트 정보에 대한 시간 경과(time elapse)에 따라서 불법적인 침입자의 존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로컬 서비스"의 경우에 있어서, 집 부근에 위치하는 장비(6b)의 인체 감지 센서의 사용에 의하여 인체가 검출되는 경우에, "존재 감지"의 이벤트 정보는 이 장비(6b)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로 전송된다. 따라서 주택 주변(로컬 영역)에서의 범죄 방지를 위한 서비스로서 유용할 수 있다.
IID "메이커 서비스"를 갖는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메이커측 단말 기기(maker-side terminal device, 2)가 OID "yyy"를 갖는 오브젝트 하의 인터페이스의 IID "메이커 서비스"에 액세스하는 경우, 센터 서버는 장비들(6a 내지 6c)의 IID "메이커 서비스"를 갖는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을 게이트웨이(5)를 통하여 전송한다. 이 경우에, 인체 감지 센서의 검출 정보는 "응답"의 기능으로서 게이트웨이(5)를 통하여 장비들로부터 전송되며, 기능 내용(function content)이 메이커측 단말 기기(2)로 전송된다. 따라서 메이커는 메이커의 제품의 동작 상태(operation state)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며, 관리 또는 그와 유사한 부분을 위하여 정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시에 있어서, 복수의 인터페이스들이 단일 장비(6)의 정보 처리부(63) 내의 단일 오브젝트 하에서 준비된다. 또한, 복수의 정보가 인터페이스들 각각에서 정의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IID가 인터페이스들 각각에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장비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과 같이 장비들(6)로부터 서비스들을 수신하는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게 된다.
본 예시에 있어서, 서비스 요청은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로부터 세터 서버(3)의 오브젝트로 전송된다. 동시에, 제1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는 동등한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서비스 요청을 정보 처리부(63)의 MOS 내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OID 및/또는 IID의 사용에 의하여 장비(들)(6)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다른 동작이 아래의 예시에 따라서 도입된다. 전술한 경우에 있어서, 서로 다른 IID들을 갖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들은 하나의 오브젝트 하에서 정의된다. 본 예시에 있어서, 도 1a에 도시된 장비들(6)(6a, 6b, 6c) 각각의 기능부(60)가 전기적 로킹 기기(electrical locking device)에 의하여 제공되며, 정보 처리부(63) 내의 오브젝트 하에서의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정의되는 정보가 전기적 로킹 기기의 동작에 응답하여 "로킹" 함수, "언로킹(unlocking)" 함수 및 "현재 상태" 변수를 갖도록, 복수의 정보 정의들의 조합이 하나의 인터페이스 내에서 설정된다. 그리고, "전기적 로킹 기기"는 IID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센터 서버(3)의 OAS(7) 상의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소프트웨어는 미리 정해진 시간 스케줄에 따라서 게이트웨이(5)를 통하여 장비들(6)(6a, 6b, 6c) 각각의 정보 처리부(63) 내의 오브젝트 하에서의 IID "전기적 로킹 기기"를 갖는 인터페이스를 액세스하는 서비스 요청을 전송하기 위하여 프로그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로킹" 또는 "언로킹"의 함수가 기능부(60)에 주어진다. 이 경우에, 전기적 로킹 기기(즉, 기능부(60))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기 위한 서비스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센터 서버(3)가 장비들(6)(6a, 6b, 6c)로부터 "현재 상태"의 변수를 수신하는 경우에,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로 통지하거나 웹 사이트 상에 상기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예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장비들(6a, 6b)이 미리 설비(facility) 내에 위치되며, 이어서 장비(6c)가 새로이 설비에 위치되는 경우에, 장비(6c)는 다른 IP 어드레스를 가질 필요가 있다. 이때, 장비(6c)의 정보 처리부(63) 내의 오브젝트 하의 인터페이스 내의 동일한 정보를 정의하며, IID로서 "전기적 로킹 기기"를 사용함에 의하여, 센터 서버(3)의 OAS(7) 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변경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시간 스케줄에 따라서 추가되는 장비(6c)의 전기적 로킹 기기(즉, 기능부(60))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로부터 센터 서버(3)의 오브젝트로 서비스 요청을 전송하는 경우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2)는 정보 처리부(63)의 MOS 내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OID 및/또는 IID의 사용에 의하여 서비스 요청을 장비(들)로 직접 전송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동등한 서 비스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 각각에 있어서, 오디오-비디오 기기와 같은 가사용 전기 기기는 상기 장비(6)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MOS가 집적 제어 시스템(integrated control system)을 위하여 제어기 내에 탑재되는 경우에, 제어기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장비(6)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네트워크 통신에 사용되는 장비들의 IP 어드레스와 같은 특정 식별 정보를 고려할 필요없이,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장비들을 개별적으로 모니터링하거나 일괄적으로 장비들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적 장비(들)가 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되는 경우에도, 개별 사용자의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휴대 네트워크 기기 또는 이와 유사한 기기의 사용에 의하여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장비(들)를 제어/모니터링함으로써 편안하고 안전한 생활 및 사무 공간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차세대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널리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5)

  1. 복수의 장비(equipment) 및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장비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서비스 요청에 따라서 상기 장비들이 오브젝트를 실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오브젝트 식별자가 상기 오브젝트에 할당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오브젝트 식별자를 지정하도록 구성되는 식별자 지정부를 가지며,
    상기 장비들은 동일한 오브젝트 식별자가 할당되는 오브젝트들을 갖는 복수의 장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식별자 지정부에 의하여 지정되는 동일한 오브젝트 식별자를 사용하여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장비들은 동일한 오브젝트 식별자를 갖는 상기 오브젝트들 내에서 정의되는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들은 상이한 식별자들이 할당되는 복수의 오브젝트들을 갖는 장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식별자 지정부에 의하여 지정되는 상이한 오브젝트 식별자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장비는 상 기 지정되는 오브젝트 식별자를 갖는 상기 오브젝트 내에서 정의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3. 복수의 장비(equipment) 및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장비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서비스 요청에 따라서 상기 장비들이 오브젝트를 실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오브젝트 식별자가 상기 오브젝트에 할당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오브젝트 식별자를 지정하도록 구성되는 식별자 지정부를 가지며,
    상기 장비들은 동일한 오브젝트 식별자가 할당되는 오브젝트들을 갖는 장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식별자 지정부에 의하여 지정되는 상이한 오브젝트 식별자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장비는 상기 지정되는 오브젝트 식별자를 갖는 상기 오브젝트 내에서 정의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들은 동일한 오브젝트 식별자가 할당되는 오브젝트들을 갖는 복수의 장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식별자 지정부에 의하여 지정되는 동일한 오브젝 트 식별자를 사용하여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장비들은 동일한 오브젝트 식별자를 갖는 상기 오브젝트들 내에서 정의되는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들 각각은, 상기 장비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기능부, 및 상기 오브젝트 내에서 정의되고 상기 기능부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내에서 정의되는 정보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요청에 의하여 액세스되는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제공되는 상기 기능부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변수인, 네트워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내에서 정의되는 정보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서 미리 액세스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능부의 상태 변화가 발생하면,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제공되는 이벤트 정보인, 네트워크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내에서 정의되는 정보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하여 액세스되는 경우에, 상기 정보 처리부로부터 상기 기능부로 전송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명령 함수인 네트워크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식별자는 상기 장비의 상기 오브젝트의 고유 식별자, 및 상기 장비의 기능에 따라서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오브젝트 식별자를 사용하여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고유 식별자 및 상기 인터페이스 식별자의 조합에 대응하는 상기 장비의 상기 오브젝트가 실행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장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 사이에서 접속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요청에 따라서 서버측 오브젝트를 실행하여, 상기 장비에 장비측 오브젝트를 실행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는 상기 서버측 오브젝트에 할당되는 제1 식별자를 사용하여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장비측 오브젝트에 할당되 는 제2 식별자를 사용하여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에 의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서버측 오브젝트를 실행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에 따라서 상기 장비측 오브젝트를 실행하는 상기 장비의 기능에 따라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식별자 및 상기 제2 식별자 사이의 대응 관계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식별자 설정부를 가지는 네트워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장비측 오브젝트의 고유 식별자 및 상기 장비의 기능(들)에 따라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고유 식별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식별자의 조합 및 상기 오브젝트 식별자를 갖는 상기 오브젝트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접속 어드레스 정보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라우팅 테이블을 준비하고, 라우팅 처리를 실행하는 라우팅 기능부를 갖는, 네트워크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브젝트 식별자는, 상기 서버측 오브젝트의 고유 식별자 및 클라이언트로 제공되는 서비스 내용에 따라서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식별 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오브젝트 식별자는, 상기 장비측 오브젝트의 고유 식별자 및 상기 장비의 기능에 따라서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자 설정부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상기 고유 식별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식별자의 조합과 상기 제2 식별자의 상기 고유 식별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식별자의 조합 사이의 대응 관계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서버측 오브젝트의 내용에 따라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서버측 오브젝트의 서비스 요청을 통하여 상기 장비가 상기 장비측 오브젝트를 실행하도록 허용함으로써 획득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며, 이 후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미리 정해진 통신 프로토콜을 SOAP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SOAP를 전송하며, 수신된 SOAP를 미리 정해진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 네트워크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들은 주택 또는 빌딩에 위치되는 장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KR20087003702A 2006-03-28 2007-03-28 네트워크 시스템 KR100960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89599 2006-03-28
JP2006089599A JP4023508B2 (ja) 2006-03-28 2006-03-28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606A true KR20080036606A (ko) 2008-04-28
KR100960586B1 KR100960586B1 (ko) 2010-06-03

Family

ID=38563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7003702A KR100960586B1 (ko) 2006-03-28 2007-03-28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089896B2 (ko)
EP (1) EP2000920B1 (ko)
JP (1) JP4023508B2 (ko)
KR (1) KR100960586B1 (ko)
CN (1) CN101351779B (ko)
DK (1) DK2000920T3 (ko)
ES (1) ES2395972T3 (ko)
RU (1) RU2409843C2 (ko)
WO (1) WO20071141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8145B2 (en) * 2007-11-20 2011-06-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reating multiple MBeans from a factory MBean
JP5320095B2 (ja) * 2009-02-03 2013-10-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20120185569A1 (en) * 2011-01-14 2012-07-1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dynamic task process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594705B (zh) * 2012-03-20 2014-11-05 江苏科技大学 一种适用于广域物联网的非ip数据传输方法
CN102724216B (zh) * 2012-07-06 2015-05-20 山东中创软件商用中间件股份有限公司 服务请求接入的方法及中心服务器
US20140025722A1 (en) * 2012-07-20 2014-01-23 Yokogawa Electric Corporation Apparatus for a plurality of clients to access a plant asset manager
JP2015023533A (ja) * 2013-07-23 2015-02-02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KR102194782B1 (ko) * 2014-01-24 2020-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상태 인지 정보를 이용한 알림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39055B1 (ko) 2014-04-04 2021-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한 복수의 이동 단말들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장치의 동작 방법, 개인 맞춤형 장치 및 이동 단말
US10079830B2 (en) * 2014-04-17 2018-09-18 Viavi Solutions Inc. Lockable network testing device
GB2549549B (en) * 2016-04-19 2020-12-23 Cisco Tech Inc A mapping database system for use with content chunk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02C (zh) * 1993-07-30 2003-07-02 佳能株式会社 通过通信线路控制设备的控制器和方法
JP3087642B2 (ja) 1996-02-14 2000-09-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ション共有システム
US5918013A (en) * 1996-06-03 1999-06-29 Webtv Networks, Inc. Method of transcoding documents in a network environment using a proxy server
JPH1074146A (ja) 1996-08-30 1998-03-17 Hitachi Ltd オブジェクト指向分散システム
WO1998058313A1 (en) 1997-06-18 1998-12-23 Citr Pty. Ltd. System development tool for distributed object oriented computing
US6085236A (en) 1998-01-06 2000-07-04 Sony Corporation Of Japan Home audio video network with device control modules for incorporating legacy devices
US20010039587A1 (en) 1998-10-23 2001-11-08 Stephen Uhler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devices on a network
DE10006416A1 (de) 1999-04-23 2000-11-02 Hewlett Packard Co System und Verfahren für eine Peripheriesystemverwaltung unter Verwendung von Mehr-Objekt-Schnittstellen
JP2001006276A (ja) 1999-06-18 2001-01-12 Sony Corp 外部機器の制御装置、及び外部機器の制御方法
EP1081897B1 (de) 1999-09-03 2003-03-26 Ericsson Austria Aktiengesellschaft Übertragungssystem zur Ferneinstellung von Teilnehmergeräten
US7339895B2 (en) * 2001-08-21 2008-03-04 Hitachi, Ltd. Gatew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with IP and IPV6 protocols
JP4019666B2 (ja) 2001-08-21 2007-1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情報機器
US8219608B2 (en) 2002-06-20 2012-07-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calable architecture for web services
JP2004312413A (ja) * 2003-04-08 2004-11-04 Sony Corp コンテンツ提供サーバ、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149456A (ja) 2003-10-24 2005-06-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群管理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提供装置
JP2006268202A (ja) 2005-03-23 2006-10-05 Nec Corp 通信中継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及び通信中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00920B1 (en) 2012-11-21
RU2008138577A (ru) 2010-04-10
DK2000920T3 (da) 2012-12-17
US8089896B2 (en) 2012-01-03
ES2395972T3 (es) 2013-02-18
US20090016235A1 (en) 2009-01-15
JP2007265045A (ja) 2007-10-11
KR100960586B1 (ko) 2010-06-03
RU2409843C2 (ru) 2011-01-20
EP2000920A1 (en) 2008-12-10
EP2000920A4 (en) 2010-11-03
CN101351779A (zh) 2009-01-21
CN101351779B (zh) 2011-04-13
JP4023508B2 (ja) 2007-12-19
WO2007114162A1 (ja) 200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0586B1 (ko) 네트워크 시스템
EP3076093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ir conditioning management program
US8732292B2 (en) Network system
KR100605189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EP2860986B1 (en) Environment control device and method using a wi-fi infrastructure for exchanging environmental data
JP2010178089A (ja) 遠隔管理システム、遠隔管理装置及び接続装置
CN104348903A (zh) 一种建立点对点联机的通讯系统及其装置
KR101926367B1 (ko) 상이한 통신 방식의 호환성 처리를 수행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브로커 서버
JP4042641B2 (ja) ネットワーク対応機器へのアクセス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KR101048613B1 (ko)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UPnP기반 RG 시스템
JP2008215637A (ja) 空調機の遠隔管理システムおよび空調機の初期設定装置
JP4473836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
JP5721184B2 (ja) 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制御方法
JP4079175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7041905A (ja) サーバー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4079176B2 (ja) 遠隔制御システム
JP2010177772A (ja) 機器管理装置
JP2002058076A (ja) 遠隔感知機能が追加されたホームゲートウェイ及び遠隔感知通報方法
JP2003283526A (ja) 通信端末および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