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8563B1 -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중계장치 및 그 중계장치의무선단말 절전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중계장치 및 그 중계장치의무선단말 절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8563B1
KR100738563B1 KR1020060008588A KR20060008588A KR100738563B1 KR 100738563 B1 KR100738563 B1 KR 100738563B1 KR 1020060008588 A KR1020060008588 A KR 1020060008588A KR 20060008588 A KR20060008588 A KR 20060008588A KR 100738563 B1 KR100738563 B1 KR 100738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message
wired
network system
wireless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8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Algebra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접속방식을 사용하는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과 제2접속방식을 사용하는 무선단말간 중계장치 및 그 중계장치의 무선단말 절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무선단말의 절전모드 상태에서 수신되는 메시지가 리프레시 메시지인 경우에 해당 리프레시 메시지를 상기 무선단말이 절전모드상태에서 동작상태로 전환된 후에 상기 무선단말로 전송함으로써, 무선단말의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중계장치 및 그 중계장치의 무선단말 절전방법{INTERWOR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POWER OF WIRELESS TERMINAL THEREOF IN NETWORK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터네트워킹 유닛에 대한 상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중계장치의 무선단말 접속인증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차트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중계장치의 메시지 필터링 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차트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중계장치 및 그 중계장치의 무선단말 절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는 현재 가장 주목받고 있는 정보기술로써, 댁내의 정보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관리, 통합 및 연동을 바탕으로 인터넷과 연동되어 생활을 편리함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술의 집합체이다.
홈 네트워크는 그 기술적인 계층에 따라 물리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하부 네트워크 기술과 상위 응용과의 연동을 위한 미들웨어 기술 그리고 각각의 가전기기에 적용되는 정보가전기술로 나뉘어진다. 현재는 광대역 통신, 무선인터넷, 센서기술 등과 결합하여 유비쿼터스(Ubiquitous) 컴퓨팅으로 확장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와 다른 네트워크 기술이 적용되는 무선단말이 진입된 경우에 홈 네트워크와 무선단말을 브릿지(bridge) 기능을 하는 장치를 통해서 연결함으로써,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기기와 무선단말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홈 네트워크와 다른 접속방식이 적용되는 무선단말에 홈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미들웨어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무선단말이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홈 네트워크 기기들의 구체적인 사항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아도 홈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미들웨어가 적용된 홈 네트워크 기기들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홈 네트워크 기기의 존재여부파악 및 홈 네트워크 기기의 상태를 업데이트 하기 위해 일정 주기로 홈 네트워크 기기로 리프레시(refresh) 메시지를 전송한다.
홈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미들웨어 기술이 적용된 무선단말은 브릿지 기능을 하는 장치(중계장치)를 통해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홈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리프레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런데, 홈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미들웨어 기술이 적용된 무선단말은 전력(power), 메모리 및 프로세싱 등에서 제한이 있기 때문에 홈 네트워크 기기들과 리프레시 메시지를 자주 교환하는 경우에 한정된 전력이 빠르게 소모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홈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미들웨어 기술이 적용된 무선단말이 한정된 전력의 소모를 줄이기 위해 절전모드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에 홈 네트워크 기기들간 메시지 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단말이 절전상태에서 무선단말과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홈 네트워크 기기들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검사하여 홈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전송된 리프레시 메시지를 필터링 함으로써, 무선단말의 전력소모를 줄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중계장치 및 그 중계장치의 무선단말 절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1접속방식을 사용하는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과 제2접속방식을 사용하는 무선단말간 중계장치는, 상 기 무선단말의 절전모드 상태에서 수신되는 메시지가 리프레시 메시지인가를 검사하는 검사부; 와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가 리프레시 메시지인 경우에 해당 리프레시 메시지를 상기 무선단말이 절전모드상태에서 동작상태로 전환되기 전까지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레시 메시지는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기기들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메시지이고, 일정 주기로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검사부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멀티캐스트 주소와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를 나타내는 포트번호 중 어느 하나의 포함여부로서,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가 리프레시 메시지인지를 검사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단말이 절전모드상태에서 동작상태로 전환된 후에 상기 저장된 리프레시 메시지를 상기 무선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무선단말의 통신계층 및 유무선 네트워크의 통신계층은, 유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응용프로그램들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계층, 유무선 네트워크 및 무선단말을 물리적인 연결을 위한 디바이스 계층, 상기 어플리케이션 계층과 디바이스 계층을 인터페이스 하는 미들웨어 계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의 접속 요청에 따라 접속인증 요청메시지를 상기 무선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접속인증 요청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된 접속인증 응답메시지에 포함된 인증정보가 기 설정된 인증정보와 일치한 경우에 상기 무선단말이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단말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의 접속해지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이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된 신호가 유효하게 전달될 수 있는 영역을 벗어난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됨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의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의 접속을 해지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중계장치는 상기 무선단말이 절전모드 상태에서 수신된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기기들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리프레시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1접속방식을 사용하는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과 제2접속방식을 사용하는 무선단말간 중계장치의 무선단말 절전방법은, 상기 무선단말의 절전모드 상태에서 수신되는 메시지가 리프레시 메시지인가를 검사하는 단계; 와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가 리프레시 메시지인 경우에 해당 리프레시 메시지를 상기 무선단말이 절전모드상태에서 동작상태로 전환되기 전까지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중계장치의 무선단말 절전방법은, 상기 무선단말이 절전모드상태에서 동작상태로 전환된 후에 상기 저장된 리프레시 메시지를 상기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검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가 리프레시 메시지인가의 검사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멀티캐스트 주소와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를 나타내는 포트번호 중 어느 하나의 포함여부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중계장치의 무선단말 절전방법은,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의 접속 요청에 따라 접속인증 요청메시지를 상기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와 상기 접속인증 요청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된 접속인증 응답메시지에 포함된 인증정보가 기 설정된 인증정보와 일치한 경우에 상기 무선단말이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중계장치의 무선단말 절전방법은, 상기 무선단말의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의 접속해지 상태에 해당되는가를 검사하는 단계; 와 상기 무선단말의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의 접속해지 상태에 해당됨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의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의 접속을 해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의 접속해지 상태는 상기 무선단말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의 접속해지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이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에서 발생된 신호가 상기 무선단말에 유효하게 전달될 수 있는 영역을 벗어난 경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중계장치 및 그 중계장치의 무선단말 절전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비록 다른 도면에 속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을 주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홈 네트워크를 예로 들어 기술하지만,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중계장치(110)와 다수의 홈 네트워크 기기(112, 114)를 포함한다. 중계장치(110)와 다수의 홈 네트워크 기기(112, 114)는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여기서, 홈 네트워크는 랜(LAN) 또는 무선 랜(WLAN)일 수 있다. 즉, 중계장치(110)와 다수의 홈 네트워크 기기(112, 114)는 랜(LAN) 또는 무선 랜(WLAN)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수의 홈 네트워크 기기(112, 114)들 서로간에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 계층, 미들웨어 계층 및 디바이스 계층을 가질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지원하는 계층이다.
미들웨어 계층은 Jini, OSGi(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HAVi(Home Audio/Video Interoperability), UPnP(Universal Plug and Play)와 같은 다양한 홈 네트워크용 미들웨어를 지원하는 계층이다.
디바이스 계층은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 계층의 하위 계층인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을 포함하여 홈 네트워크 기기들간에 물리적인 연결을 위한 계층이다.
중계장치(110)는 홈 네트워크와는 다른 접속방식을 가진 무선단말(100)로부터 홈 네트워크 접속 요청에 따라 무선단말(100)의 접속 인증을 거쳐 접속 인증이 완료되면, 무선단말(100)과 홈 네트워크 기기(112, 114)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중계장치(110)는 무선단말(100)의 홈 네트워크 접속가능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인증정보 요청 메시지를 무선단말(100)로 전송한다.
이에 무선단말(100)은 자신의 ID(Identification)와 홈 네트워크 접속을 위해 입력된 보안키를 인증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중계장치(110)에 전송한다.
중계장치(110)는 인증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ID 및 보안키와 기 설정된 ID 및 보안키의 일치여부를 검사하여, 인증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보안키와 기 설정된 보안키가 일치하면, 무선단말(100)이 홈 네트워크 기기(112, 114)와 통신을 위한 접속상태(Connection active)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접속 유지상태에서 무선단말(100)은 중계장치(110)를 통해 홈 네트워크 기기(112, 114)간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무선단말은 홈 네트워크 연결된 홈 네트워크 기기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계층, 미들웨어 계층 및 디바이스 계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무선단말(100)은 접속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무선단말(100)을 구성하는 장치들 중 어느 하나라도 동작하는 않는 경우에 무선단말 (100)의 전력(power)소비를 줄이기 위해 절전모드로 진입하고, 절전모드 진입메시지를 발생하여 중계장치(110)에 전송한다.
중계장치(110)는 무선단말(100)의 절전모드 상태에서 수신되는 메시지에 포함된 출발지 주소를 검사하고, 출발지 주소가 홈 네트워크 기기(112, 114) 중 어느 하나의 홈 네트워크 기기의 주소인 경우에 해당 메시지의 종류를 검사한다.
중계장치(110)는 홈 네트워크 기기(112, 114)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가 리프레시(refresh) 메시지이면 해당 리프레시 메시지를 저장하고, 리프레시 메시지를 무선단말(100)로 전송하지 않는다.
즉, 중계장치(110)는 무선단말(100)이 절전모드 상태에서 무선단말(100)로 리프레시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도록 필터링(filtering) 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무선단말(100)은 절전모드 상태에서 중계장치(110)로부터 리프레시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게 되어 동작상태로 진입하지 않음으로써, 절전모드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 전력소비를 줄이게 된다.
여기서, 리프레시 메시지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홈 네트워크 기기의 존재여부파악 및 홈 네트워크 기기의 상태를 업데이트 하기 위해 일정 주기로 홈 네트워크 기기로 전송되는 메시지이다.
그리고, 리프레시 메시지인지의 판단은 수신되는 메시지에 멀티캐스트 주소(239.255.255.250) 및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를 나타내는 포트번호(1900)의 포함여부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SSDP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홈 네트워크 기기를 인식하기 위해 사 용되는 프로토콜이다.
반면, 중계장치(100)는 홈 네트워크 기기(112, 114)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가 리프레시 메시지가 아닌 무선단말(100)에서 사용될 데이터를 포함한 메시지이면, 무선단말(100)에 정상동작 요청메시지를 발생하여 전송한다.
무선단말(100)은 중계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정상동작 요청메시지에 따라 절전모드 상태에서 정상동작상태로 진입하고, 정상동작 응답메시지를 발생하여 중계장치(100)에 전송한다.
중계장치(100)는 무선단말(100)로부터 정상동작 응답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무선단말(100)에서 사용된 데이터를 포함한 메시지를 무선단말(100)에 전송한다.
한편, 중계장치(110)는 무선단말(100)의 절전모드 상태에서 수신되는 메시지가 무선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이면, 해당 메시지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무선단말(100)이 절전모드 상태에서 수신될 수 있는 메시지는 절전모드 상태에서 정상동작상태로 진입함을 나타내기 위한 정상동작 진입메시지일 수 있다.
즉, 중계장치(110)는 절전모드 상태인 무선단말(100)로부터 정상동작 진입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정상동작 진입메시지가 수신되기 전에 홈 네트워크 기기(112, 114)로 마지막으로 수신된 리프레시 메시지를 무선단말(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중계장치(110)는 홈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리프레시 메시지가 수신될 때마다 이전 리프레시 메시지를 삭제한다. 이는, 마지막에 수신된 리프레시 메시지 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홈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무선단말(100)은 중계장치(110)로부터 수신된 리프레시 메시지를 통해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홈 네트워크 기기들의 상태를 파악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중계장치(110)는 무선단말(100)이 중계장치(110)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난 경우, 무선단말(100)의 전원이 오프(off)된 경우, 무선단말(100)로부터 접속상태(Connection active) 해지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이면, 무선단말(100)이 홈 네트워크 기기(112, 114)와 통신을 위한 접속상태(Connection active)를 해지한다.
여기서, 중계장치(110)의 서비스 영역은 무선단말(100)이 홈 네트워크 기기(112, 114)와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중계장치(110)에서 발생된 무선신호가 무선단말(100)에 유효하게 전달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낸다.
그리고, 중계장치(110)는 무선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신호전력의 크기가 설정된 전력크기 이하인지의 여부로서, 무선단말(100)의 중계장치(110) 서비스 영역의 이탈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중계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장치는 검사부(200), 제어부(202), 저장부(204) 및 송수신부(206)를 포함한다.
송수신부(206)는 무선단말 또는 홈 네트워크 기기들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들을 인터페이스 한다.
제어부(202)는 홈 네트워크와는 다른 접속방식을 가진 무선단말로부터 홈 네트워크 접속 요청에 따라 무선단말의 접속 인증을 거쳐 접속 인증이 완료되면, 무선단말과 홈 네트워크 기기들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제어부(202)는 무선단말의 홈 네트워크 접속가능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인증정보 요청 메시지를 무선단말로 전송하고, 인증정보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무선단말로부터 전송된 ID 및 보안키가 설정된 ID 및 보안키와 일치한가를 검사한다.
제어부(202)는 무선단말로부터 전송된 ID 및 보안키가 설정된 ID 및 보안키와 일치하면, 무선단말이 홈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을 위한 접속상태(Connection active)를 유지하게 된다.
무선단말(100)은 접속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무선단말(100)을 구성하는 장치들 중 어느 하나라도 동작하는 않는 경우에 무선단말(100)의 전력(power)소비를 줄이기 위해 절전모드로 진입하고, 절전모드 진입메시지를 발생하여 중계장치(110)에 전송한다.
제어부(202)는 송수신부(206)를 통해 무선단말로부터 전력소모방지를 위해 절전모드로 진입함을 제공하기 위한 절전모드 진입메시지가 수신된 이후, 송수신부(206)를 통해 수신되는 메시지의 출발지 주소를 검사부(200)를 통해 검사한다.
제어부(202)는 무선단말의 절전모드 상태에서 송수신부(206)를 통해 수신되 는 메시지에 포함된 출발지 주소가 홈 네트워크 기기 중 어느 하나의 홈 네트워크 기기의 주소인 경우에 해당 메시지의 종류를 검사한다.
제어부(202)는 홈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가 리프레시(refresh) 메시지이면 해당 리프레시 메시지를 저장부(206)에 저장하고, 리프레시 메시지를 무선단말로 전송하지 않는다.
즉, 제어부(202)는 무선단말이 절전모드 상태에서 무선단말로 리프레시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도록 필터링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리프레시 메시지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홈 네트워크 기기의 존재여부파악 및 홈 네트워크 기기의 상태를 업데이트 하기 위해 일정 주기로 홈 네트워크 기기로 전송되는 메시지이다.
그리고, 리프레시 메시지인지의 판단은 수신되는 메시지에 멀티캐스트 주소(239.255.255.250) 및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를 나타내는 포트번호(1900)의 포함여부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제어부(202)는 홈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가 리프레시 메시지가 아닌 무선단말에서 사용될 데이터를 포함한 메시지이면, 무선단말에 정상동작 요청메시지를 발생하여 송수신부(206)를 통해 전송한다.
제어부(202)는 정상동작 요청메시지에 응답하여 무선단말로부터 정상동작 응답메시지가 송수신부(206)를 통해 수신됨에 따라 무선단말에서 사용된 데이터를 포함한 메시지를 송수신부(206)를 통해 무선단말에 전송한다.
여기서, 단말에서 수신된 정상동작 응답메시지는 무선단말이 절전모드 상 태에서 정상동작상태로 진입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이다.
한편, 제어부(202)는 무선단말의 절전모드 상태에서 수신되는 메시지가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이면, 해당 메시지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무선단말이 절전모드 상태에서 수신될 수 있는 메시지는 절전모드 상태에서 정상동작상태로 진입함을 나타내기 위한 정상동작 진입메시지일 수 있다.
즉, 제어부(202)는 절전모드 상태인 무선단말로부터 정상동작 진입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정상동작 진입메시지가 수신되기 전에 저장부(202)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리프레시 메시지를 송수신부(206)를 통해 무선단말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어부(202)는 홈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리프레시 메시지가 수신될 때마다 수신되기 전의 리프레시 메시지를 저장부(204)에서 삭제한다. 이는, 마지막에 수신된 리프레시 메시지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홈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최신의 상태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어부(202)는 무선단말이 중계장치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난 경우, 무선단말의 전원이 오프(off)된 경우, 무선단말로부터 접속상태(Connection active) 해지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이면, 무선단말이 홈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을 위한 접속상태(Connection active)를 해지한다.
여기서, 중계장치의 서비스 영역은 무선단말이 홈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중계장치에서 발생된 신호가 무선단말에 유효하게 전달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낸다.
그리고, 제어부(202)는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전력의 크기가 설정된 전 력크기 이하인지의 여부로서, 무선단말이 중계장치의 서비스 영역의 이탈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중계장치의 무선단말 접속인증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장치는 전원(power)이 공급(on)됨에 따라 홈 네트워크와는 다른 접속방식을 가진 임의의 무선단말로부터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홈 네트워크 기기들과 접속을 위한 접속 요청이 있는가를 검사한다(S300, S302). 이때. 임의의 무선단말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홈 네트워크 기기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홈 네트워크 기기들과 동일한 통신계층(어플리케이션 계층, 미들웨어 계층 및 디바이스 계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계장치는 임의의 무선단말로부터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홈 네트워크기기들과 접속을 위한 접속 요청에 따라 무선단말의 홈 네트워크 접속가능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인증정보 요청 메시지를 무선단말로 전송한다(S304).
중계장치는 인증정보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 응답메시지에 포함된 ID 및 보안키가 설정된 ID 및 보안키와 일치한가를 검사한다(S306, S308).
중계장치는 무선단말로부터 전송된 ID 및 보안키가 설정된 ID 및 보안키와 일치하지 않으면, 무선단말이 홈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하기 위해 접속할 수 없음을 무선단말에 전송한다(S310).
반면, 중계장치는 무선단말로부터 전송된 ID 및 보안키가 설정된 ID 및 보안키와 일치하면, 무선단말이 홈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접속상태(Connection active)를 유지한다(S312).
이후, 중계장치는 접속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무선단말이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홈 네트워크 기기들과 접속을 종료하기 위한 접속종료 상태에 해당하는지를 검사한다(S314).
이때, 접속종료 상태에는 무선단말이 중계장치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난 경우, 무선단말의 전원이 오프(off)된 경우, 무선단말로부터 접속상태(Connection active) 해지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중계장치의 서비스 영역은 무선단말이 홈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중계장치에서 발생된 신호가 무선단말에 유효하게 전달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낸다.
중계장치는 무선단말이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홈 네트워크 기기들과의 접속을 종료하기 위한 종속종료 상태에 해당된 경우에 무선단말이 홈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을 위한 접속상태(Connection active)를 종료한다(S318).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중계장치의 메시지 필터링 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장치는 무선단말이 절전모드 상태에서 임의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 수신된 메시지가 홈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수신되었는가를 검사한다(S400, S402).
이때, 중계장치는 무선단말로부터 전력소모방지를 위해 절전모드로 진입함을 제공하기 위한 절전모드 진입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무선단말이 절전모드로 진입했음을 판단하게 된다.
중계장치는 무선단말이 절전모드 상태에서 수신된 임의의 메시지가 홈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수신되지 않고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된 경우에 해당 메시지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412).
여기서, 무선단말이 절전모드 상태에서 수신될 수 있는 메시지는 절전모드 상태에서 정상동작상태로 진입함을 나타내기 위한 정상동작 진입메시지일 수 있다.
반면, 중계장치는 무선단말이 절전모드 상태에서 수신된 임의의 메시지가 홈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수신된 경우에 수신된 메시지의 종류가 리프레시 메시지인가를 검사한다(S404).
이때, 홈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리프레시 메시지인가에 대한 검사는 수신되는 메시지에 멀티캐스트 주소(239.255.255.250) 및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를 나타내는 포트번호(1900)의 포함여부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계장치는 홈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리프레시 메시지가 아니면, 홈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목적지로 전송한다(S414).
반면, 중계장치는 홈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리프레시 메시지이면, 해당 리프레시 메시지를 저장하며 리프레시 메시지를 무선단말로 전송하지 않는다(S406).
즉, 중계장치는 무선단말이 절전모드 상태에서 수신되는 리프레시 메시지가 무선단말로 리프레시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도록 필터링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리프레시 메시지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홈 네트워크 기기의 존재여부파악 및 홈 네트워크 기기의 상태를 업데이트 하기 위해 일정 주기로 홈 네트워크 기기로 전송되는 메시지이다.
이후, 중계장치는 절전모드 상태인 무선단말로부터 정상동작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정상동작 진입메시지가 수신되었는가를 검사한다(S408).
중계장치는 무선단말로부터 정상동작 진입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정상동작 진입메시지가 수신되기 전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리프레시 메시지를 무선단말로 전송한다(S410).
여기서, 중계장치는 무선단말이 절전모드 상태에서 홈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리프레시 메시지가 수신될 때마다 수신되기 전의 리프레시 메시지를 삭제한다. 이는 마지막에 수신된 리프레시 메시지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홈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최신의 상태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중계장치 및 그 중계장치의 무선단말 절전방법에 따르면, 무선단말이 절전상태에서 무선단말과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홈 네트워크 기기들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검사하여 홈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전송된 리프레시 메시지를 필터링 함으로써, 무선단말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Claims (16)

  1. 제1접속방식을 사용하는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과 제2접속방식을 사용하는 무선단말간 중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의 절전모드 상태에서 수신되는 메시지가 리프레시 메시지인가를 검사하는 검사부; 와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가 리프레시 메시지인 경우에 해당 리프레시 메시지를 상기 무선단말이 절전모드상태에서 동작상태로 전환되기 전까지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중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레시 메시지는,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기기들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메시지이고, 일정 주기로 발생되는 중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멀티캐스트 주소와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를 나타내는 포트번호 중 어느 하나의 포함여부로서,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가 리프레시 메시지인가를 검사하는 중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단말이 절전모드상태에서 동작상태로 전환된 후에 상기 저장된 리프레시 메시지를 상기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중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의 통신계층 및 유무선 네트워크의 통신계층은,
    유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응용프로그램들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계층, 유무선 네트워크 및 무선단말을 물리적인 연결을 위한 디바이스 계층, 상기 어플리케이션 계층과 디바이스 계층을 인터페이스 하는 미들웨어 계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중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의 접속 요청에 따라 접속인증 요청메시지를 상기 무선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접속인증 요청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된 접속인증 응답메시지에 포함된 인증정보가 기 설정된 인증정보와 일치한 경우에 상기 무선단말이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되도록 하는 중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단말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의 접속해지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이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된 신호가 유효하게 전달될 수 있는 영역을 벗어난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됨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의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의 접속을 해지하는 중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이 절전모드 상태에서 수신된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기기들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리프레시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중계장치.
  9. 제1접속방식을 사용하는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과 제2접속방식을 사용하는 무선단말간 중계장치의 무선단말 절전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의 절전모드 상태에서 수신되는 메시지가 리프레시 메시지인가를 검사하는 단계; 와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가 리프레시 메시지인 경우에 해당 리프레시 메시지를 상기 무선단말이 절전모드상태에서 동작상태로 전환되기 전까지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단말 절전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레시 메시지는,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기기들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메시지이고, 일정 주기로 발생되는 무선단말 절전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이 절전모드상태에서 동작상태로 전환된 후에 상기 저장된 리프레시 메시지를 상기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단말 절전방 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가 리프레시 메시지인가의 검사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멀티캐스트 주소와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를 나타내는 포트번호 중 어느 하나의 포함여부로서 이루어지는 무선단말 절전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의 통신계층 및 유무선 네트워크의 통신계층은,
    유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응용프로그램들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계층, 유무선 네트워크 및 무선단말을 물리적인 연결을 위한 디바이스 계층, 상기 어플리케이션 계층과 디바이스 계층을 인터페이스 하는 미들웨어 계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단말 절전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의 접속 요청에 따라 접속인증 요청메시지를 상기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와
    상기 접속인증 요청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된 접속인증 응답메시지에 포함된 인증정보가 기 설정된 인증정보와 일치한 경우에 상기 무선단말이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단말 절전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의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의 접속해지 상태에 해당되는가를 검사하는 단계; 와
    상기 무선단말의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의 접속해지 상태에 해당됨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의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의 접속을 해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단말 절전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의 접속해지 상태는,
    상기 무선단말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의 접속해지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이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에서 발생된 신호가 상기 무선단말에 유효하게 전달될 수 있는 영역을 벗어난 경우 중 어느 하나인 무선단말 절전방법.
KR1020060008588A 2006-01-26 2006-01-26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중계장치 및 그 중계장치의무선단말 절전방법 KR100738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588A KR100738563B1 (ko) 2006-01-26 2006-01-26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중계장치 및 그 중계장치의무선단말 절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588A KR100738563B1 (ko) 2006-01-26 2006-01-26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중계장치 및 그 중계장치의무선단말 절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8563B1 true KR100738563B1 (ko) 2007-07-11

Family

ID=38504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588A KR100738563B1 (ko) 2006-01-26 2006-01-26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중계장치 및 그 중계장치의무선단말 절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5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181A1 (ko) * 2018-11-01 2020-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16679855A (zh) * 2022-10-25 2023-09-01 荣耀终端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794A (ko) * 2003-01-03 2004-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액세스 포인트 간의 브릿지 제어 시스템
KR20040075482A (ko) * 2003-02-21 2004-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794A (ko) * 2003-01-03 2004-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액세스 포인트 간의 브릿지 제어 시스템
KR20040075482A (ko) * 2003-02-21 2004-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181A1 (ko) * 2018-11-01 2020-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16679855A (zh) * 2022-10-25 2023-09-01 荣耀终端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97575B (zh) 使用近距离通信进行无线网络连接的系统、方法和装置
KR100605218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JP485179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lan基地局及びそれらに用いる設定内容確認/変更方法
US20070223500A1 (en) Home Network System
KR100638030B1 (ko) 네트워크 전기 기기
KR20040104350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CN102957596A (zh) 子网关装置、系统及处理终端设备数据的方法
CN101227354B (zh) 家庭网络中信息家电设备接入的方法
US200502515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UPnP discovery advertisement byebye by proxy
KR100612151B1 (ko) 통신모드를 자동 전환하는 단말장치, 이를 포함한 무선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023761A (zh) 网关装置、智能物联网系统及该系统的混合接入方法
KR100738563B1 (ko)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중계장치 및 그 중계장치의무선단말 절전방법
CN102739483B (zh) 间接访问智能终端的方法
KR100494661B1 (ko) 전력 감시 시스템의 프로토콜 변환기 및 프로토콜 변환 방법
WO2005004397A1 (en) Mobile home network system
JP2002051069A (ja) ゲートウェイ装置
KR20040055446A (ko) 컨트롤 포인트 및 컨트롤 포인트 간의 인식 방법
KR100681654B1 (ko) ZigBee 모듈을 이용한 무선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운용 방법
KR20090102277A (ko) 무선통신을 이용해 지그비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WO2005094195A2 (en) Home network system
KR100550774B1 (ko) 모바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예약정보처리장치
JP7338777B1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20050025547A (ko) 모바일 홈 네트워크 시스템
WO2005004399A1 (en) Reserv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mobile home network system
KR100739138B1 (ko) 네트워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