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409B1 -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방법 - Google Patents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409B1
KR100526409B1 KR10-2002-0083014A KR20020083014A KR100526409B1 KR 100526409 B1 KR100526409 B1 KR 100526409B1 KR 20020083014 A KR20020083014 A KR 20020083014A KR 100526409 B1 KR100526409 B1 KR 100526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access router
recorded
information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3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7455A (ko
Inventor
박재홍
이호근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엠넷피아
하나로텔레콤 주식회사
한국전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엠넷피아, 하나로텔레콤 주식회사, 한국전산원 filed Critical (주)아이엠넷피아
Priority to KR10-2002-0083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409B1/ko
Publication of KR20030017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4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2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04W80/045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involving different protocol versions, e.g. MIPv4 and MIPv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기술 특별조사 위원회(IETF :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드래프트 문서인 "Fast Handover for Mobile IPv6"에서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시 액세스 라우터 및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정보 교환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서버의 주소와 자기 산하의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알고 있는 액세스 라우터에서 상기 서버로 주변 액세스 라우터에 대한 정보를 요구 메시지를 통해 요청하고, 주변 액세스 라우터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액세스 라우터로부터 정보 요청을 받으면 가지고 있는 액세스 라우터의 정보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액세스 라우터로 전송하며,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서 액세스 포인트 추가와 같은 정보 변경이 발생한 경우 상기 서버로 Notify 메시지를 통해 변경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서버에서 상기 액세스 라우터로부터 전송된 Notify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를 분석하여 변화된 정보를 Indication 메시지를 통해 산하에 있는 액세스 라우터에 통보해주게 됨으로써, 액세스 라우터의 원활한 정보 교환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방법{Method for exchange of access router information}
본 발명은 액세스 라우터(Access Router) 정보 교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터넷 기술 특별조사 위원회(IETF :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드래프트 문서인 "Fast Handover for Mobile IPv6"에서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시 액세스 라우터 및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정보 교환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무선랜 기반의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 및 Mobile IPv6 환경에서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새로운 프로토콜을 정의하여 사용함으로써, 핸드오버시 필요한 정보를 액세스 라우터끼리 교환할 수 있고 단말에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ETF에서 정의한 "Mobile IPv6"는 이동 단말이 다른 망으로 이동할 경우 Mobile IPv6의 홈 에이전트(Home agent)에서 송신되는 라우터 광고 (Router Advertisement) 메시지를 수신한 후 이동 단말이 다른 망으로 이동했다는 사실을 감지하는 데 비해, "Fast Handover for Mobile IPv6"는 무선 액세스 망이 무런랜망일 경우 액세스 포인트의 비콘 시그널(Beacon Signal)을 수신한다.
도 1은 무선랜을 사용하여 인터넷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일반적인 무선랜 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10은 인터넷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20은 액세스 라우터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31, 32, 33은 액세스 포인트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40은 사용자 단말인 노트북(MN : Mobile Node)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도에서 사용자 단말(40)이 현재의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영역(예를 들어, 31)을 벗어나 다른 액세스 포인트 영역(예를 들어, 33)으로 이동할 경우, 단말(40)은 기존 액세스 포인트(31) 및 새로운 영역의 액세스 포인트(33)의 파워 세기를 측정하여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하고, 핸드오버로 판단될 경우 새로운 영역의 액세스 포인트(33)에 대한 계층3(Layer3) 정보를 획득하여 최종적인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즉, 액세스 포인트의 비콘 메시지를 수신한 후 이동 단말이 이동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알고, 이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액세스 라우터와 통신하여 새로운 망에서 사용할 의탁주소(CoA)를 미리 구성하고 할당받아 이동단말이 미리 계층3 핸드오버한 후 해당 액세스 포인트로 계층2 핸드오버를 한 후 즉시 새로운(New) CoA를 사용해서 통신을 계속하거나 새로운 CoA를 할당받지 못한 경우에는 이전(Old) CoA를 계속 사용하여 통신한다.
이때 새로운 망에서 사용할 CoA는 이전 액세스 라우터에서 구성하여 이동 단말에 전달하거나 또는 이동단말에서 생성하도록 이전 액세스 라우터에서 필요한 정보를 전달한다.
이를 위해서는 새로운 망에 대한 정보를 이전 액세스 라우터에서 가지고 있어야 하지만 현재 규격 내용에는 새로운 망, 즉 주변 액세스 라우터 및 산하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정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액세스 라우터의 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을 정의하는 것이 필요해졌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주변 액세스 라우터 및 산하 액세스 포인터의 정보를 알 수 없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 기술 특별조사 위원회(IETF :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드래프트 문서인 "Fast Handover for Mobile IPv6"에서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시 액세스 라우터 및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정보 교환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무선랜 기반의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 및 Mobile IPv6 환경에서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새로운 프로토콜을 정의하여 사용함으로써, 핸드오버시 필요한 정보를 액세스 라우터끼리 교환할 수 있고 단말에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존 "Fast Handover for Mobile IPv6" 프로토콜은, Mobile IPv6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Add-on 프로토콜의 성격을 띄고 있으며, 그 기반은 이전 망에서 새로운 망으로 이동할 때 새로운 망에서 사용할 L3정보를 미리 구성한다는 것이다. 이 정보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이동단말 또는 액세스 라우터에서 이동단말이 이동할 접속 지점을 감지하고 이 접속지점이 새로운 망에 속하는 접속지점인지 또는 현재 망에 있는 접속지점인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세스 라우터가 접속지점에 대한 정보를 서로 교환하는 프로토콜은 현재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를 위한 프로토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의 기본 원리는 서버-클라이언트(Server-Client)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액세스 라우터가 클라이언트가 되어 미리 지정된 서버로 정보를 주변 액세스 라우터 및 그 산하의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요청하는 데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액세스 라우터간 정보 교환 방법은, 서버-클라이언트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지며, 기본 원리는 다음과 같다.
1) 액세스 라우터는 최소한의 정보로 서버의 주소와 자기 산하의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한다.
2) 모든 액세스 라우터는 기본적으로 자신의 산하에 있는 접속지점의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3) 서버는 기본적으로 주변 액세스 라우터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4) 액세스 라우터가 부팅 되었을 때 서버로 정보를 요청한다.
5) 액세스 라우터는 자기의 정보가 변경되었을 때에는 서버로 이 정보를 전송한다.
6) 액세스 라우터로부터 정보 요청을 받은 서버는 서버가 가지고 있는 액세스 라우터의 정보를 포함한 응답(Response)을 보내야 한다.
7) 액세스 라우터에 액세스 포인트가 추가되었을 경우에는 이 정보를 포함한 notify메시지를 서버에 보내야 한다.
8) notify메시지를 받은 서버는 변화된 정보를 서버의 산하에 있는 액세스 라우터에 indication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통보를 해야 한다.
9) 액세스 포인트가 추가된 경우에 액세스 라우터는 자기 자신을 위한 정보를 얻기 위해 그리고 주변 액세스 라우터에게 자기 자신의 정보를 알려 주기 위해 notify 메시지를 이용한다.
이상과 같은 기본 원리를 적용한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 과정을 보인 개념도이다.
여기서 참조부호 20은 최소한의 정보로 후술하는 서버(50)의 주소와 자기 산하의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알고 있으며, 상기 서버(50)로 주변 액세스 라우터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Request), 자기의 정보가 변경(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추가)되었을 때에는 상기 서버(50)로 변경 정보를 전송(Notify)하는 액세스 라우터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50은 기본적으로 주변 액세스 라우터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액세스 라우터(20)로부터 정보 요청을 받으면 가지고 있는 액세스 라우터의 정보를 포함한 응답(Response)을 상기 액세스 라우터(20)로 전송하며, 상기 액세스 라우터(20)로부터 Notify메시지를 받게되면 이를 분석하여 변화된 정보를 산하에 있는 액세스 라우터에 indication 메시지를 통해 통보해주는 서버(50)를 나타낸다.
상기 서버(50)는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며, 도 1의 인터넷(10)에 연결되어 무선랜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서버이며, 하나의 서버에는 복수개의 액세스 라우터가 연결된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UD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며, 액세스 라우터(20)는 서버(50)로 정보 요구시 요청 메시지(Request)를 보내고, 상기 서버(50)는 요청 메시지를 받으면 전송 확인과 획득을 위해 응답 메시지(Response)를 상기 액세스 라우터(2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액세스 라우터(20)는 변경 사항이 발생하면 상기 서버(50)로 변경사항을 포함한 Notify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서버(50)는 indication 메시지를 사용하여 산하의 액세스 라우터(20)로 주변액세스 라우터의 정보를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을 위한 기본적인 메시지 구조도이며, 이러한 메시지 형식은 UD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서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시 요구(Request) 메시지의 구조도로서, 도 4a는 요구 메시지의 페이로드 부분 포맷이고, 도 4b는 요구 메시지의 헤더 구조이고, 도 4c는 요구 메시지의 페이로드 구조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구 메시지의 헤더 부분은, 메시지를 보내는 인터페이스 주소를 나타내는 소스 어드레스(Source Address)와 서버의 주소를 나타내는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를 포함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필드(IP Fields)와, 소스 포트(Source Port)와 목적지 포트(Destination Port)를 포함하는 UDP 필드(UDP Fields)로 구성된다.
아울러 요구 메시지의 페이로드 부분은, 메시지의 타입을 알려주는 1바이트의 타입 필드(Type)와; 예비 영역(Reserved)과, 패킷의 전체 크기를 나타내 주는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번호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프리픽스(Prefix) 길이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맥(MAC) 주소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6 주소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IPv6 프리픽스가 기록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길이가 가변적인 데이터 필드(Data)로 구성된다.
이 요구 메시지는 액세스 라우터(20)가 서버(50)로 주변 액세스 라우터의 정보를 얻기 위해 보내는 메시지이다.
이 메시지를 받은 서버(50)는 해당 IPv6의 패킷의 송신 주소와 메시지내의 IPv6 주소가 같을 경우 그리고 헤더내의 패킷의 토탈(Total) 크기와 실제 패킷의 크기가 같을 경우, 그리고 메시지 데이터 내부의 값들과 서버내의 값이 같을 경우 응답 메시지(Response)를 보낸다. 액세스 라우터의 번호에서 기 설정된 번호가 없을 경우, 즉 액세스 라우터가 추가된 경우에는 notify 메시지를 이용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서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시 응답(Response) 메시지의 구조도로서, 도 5a는 응답 메시지의 페이로드 부분 포맷이고, 도 5b는 응답 메시지의 헤더 구조이고, 도 5c는 응답 메시지의 페이로드 구조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답 메시지의 헤더 부분은, 요구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를 나타내는 소스 어드레스(Source Address)와 요구 메시지의 발신 주소를 나타내는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를 포함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필드(IP Fields)와, 소스 포트(Source Port)와 목적지 포트(Destination Port)를 포함하는 UDP 필드(UDP Fields)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응답 메시지의 페이로드 부분은, 메시지의 타입을 알려주는 1바이트의 타입 필드(Type)와; 제1 예비 영역(Reserved)과, 패킷의 전체 크기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개수(서버가 가지고 있는 리스트의 액세스 라우터의 총 개수)가 기록되는 영역과, 요구 메시지 내의 액세스 라우터 번호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프리픽스 길이가 기록되는 영역과, 제2 예비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MAC 주소가 기록되는 영역과, 제3 예비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IPv6 주소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IPv6 프리픽스가 기록되는 영역과, 해당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의 개수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포인트의 번호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값이 기록되는 영역과, 제4 예비 영역과, 액세스 포인트의 MAC 주소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포인트의 IPv6 주소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포인트의 SSID가 기록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데이터 필드(Data)로 구성된다.
이 메시지는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주변 액세스 라우터의 정보를 요청 메시지의 송신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사용되는 메시지이다. 여기서 액세스 라우터의 개수, 또는 액세스 포인트의 개수가 응답으로 전송된다. 만약 헤더내의 패킷의 전체(Total) 크기와 실제 패킷의 크기가 맞지 않을 경우에는 액세스 라우터는 요청 메시지를 서버로 재 전송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서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시 Notify 메시지의 구조도로서, 도 6a는 Notify 메시지의 페이로드 부분 포맷이고, 도 6b는 Notify메시지의 헤더 구조이고, 도 6c는 Notify 메시지의 페이로드 구조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Notify 메시지의 헤더 부분은, 메시지를 보내는 인터페이스 주소를 나타내는 소스 어드레스(Source Address)와 서버의 주소를 나타내는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를 포함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필드(IP Fields)와, 소스 포트(Source Port)와 목적지 포트(Destination Port)를 포함하는 UDP 필드(UDP Fields)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Notify 메시지의 페이로드 부분은, 메시지의 타입을 알려주는 1바이트의 타입 필드(Type)와; 제1 예비 영역(Reserved)과, 패킷의 전체 크기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과, 기 설정된 액세스 라우터의 번호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프리픽스 길이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MAC 주소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IPv6 주소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IPv6 프리픽스가 기록되는 영역과, 접속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의 개수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포인트의 번호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값이 기록되는 영역과, 제2 예비 영역과, 액세스 포인트의 MAC 주소가 기록되는 영역과, 제3 예비 영역과, 액세스 포인트의 IPv6 주소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포인트의 SSID가 기록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데이터 필드(Data)로 구성된다.
이 Notify 메시지는 액세스 라우터가 자기 산하에 있는 접속 지점의 변경 사항이 있을 경우 이를 서버에게 알려주기 위해 사용되는 메시지이다. 자기 산하에 있는 접속 지점의 변경 사항이 있을 경우 이를 포함한 자기 산하의 모든 접속 지점의 정보를 같이 보낸다. 그리고 액세스 라우터가 추가가 되었을 경우 이를 서버에 알리고 주변 액세스 라우터들에게 알리기 위해 이 메시지를 사용하고 추가된 액세스 라우터의 경우는 액세스 라우터의 번호를 0x00으로 설정하여 송신한다. 이 메시지를 받은 서버는 해당 사항을 추가한 indication 메시지를 보낸다. 이 메시지를 받은 서버는 해당 IPv6의 패킷의 송신 주소와 메시지내의 IPv6 주소가 같을 경우 그리고 헤더내의 패킷의 토탈 크기와 실제 패킷의 크기가 같을 경우 indication 메시지를 보낸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서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시 Indication 메시지의 구조도로서, 도 7a는 Indication 메시지의 페이로드 부분 포맷이고, 도 7b는 Indication 메시지의 헤더 구조이고, 도 7c는 Indication 메시지의 페이로드 구조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Indication 메시지의 헤더 부분은, 서버의 주소를 나타내는 소스 어드레스(Source Address)와 Notify 메시지의 송신주소 및 주변 액세스 라우터들의 주소를 나타내는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를 포함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필드(IP Fields)와, 소스 포트(Source Port)와 목적지 포트(Destination Port)를 포함하는 UDP 필드(UDP Fields)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Notify 메시지의 페이로드 부분은, 메시지의 타입을 알려주는 1바이트의 타입 필드(Type)와; 제1 예비 영역(Reserved)과, 패킷의 전체 크기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번호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프리픽스 길이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MAC 주소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IPv6 주소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IPv6 프리픽스가 기록되는 영역과, 해당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의 개수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포인트의 번호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과, 해당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고 있는 채널의 값이 기록되는 영역과, 제2 예비 영역과, 액세스 포인트의 MAC 주소가 기록되는 영역과, 제3 예비 영역과, 액세스 포인트의 IPv6 주소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포인트의 SSID가 기록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데이터 필드(Data)로 구성된다.
이 메시지는 Notify 메시지의 응답기능과 수정된 주변 액세스 라우터의 정보를 액세스 라우터들에게 알려주기 위해 사용되는 메시지이다. 새롭게 추가된 액세스 라우터의 경우에는 이 메시지 내에 포함된 액세스라우터의 번호 값을 자기의 번호로 인식하고 전체 액세스 라우터의 정보를 알기 위해서는 요청 메시지를 보낸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의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 메시지를 리눅스가 설치된 컴퓨터에서 실행시킬 경우 설정 파일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AR NUMBER : 자기 자신의 액세스 라우터 번호
MAC ADDRESS : 액세스 라우터의 MAC 주소(상위 망과 연결이 되는 인터페이스의 MAC 주소)
IPv6 ADDRESS : 액세스 라우터의 IPv6 주소
PREFIX : 액세스 라우터의 IPv6 프리픽스
PREFIX LENGTH : 액세스 라우터의 IPv6 주소의 프리픽스 길이
AP SUM : 액세스 라우터 산하의 액세스 포인트의 개수
AP NUMBER : 액세스 라우터 산하의 액세스 포인트의 번호
MAC ADDRESS : 액세스 포인트의 MAC 주소
IPv6 ADDRESS : 액세스 포인트의 IPv6 주소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등장하고 있는 무선랜 및 관련 기술을 사용한 액세스 망에서 사용자의 이동성 및 빠른 핸드오프를 제공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래의 이동통신망 시스템에서 무선 액세스 망의 사용자 및 서비스 이동성을 위한 기술로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무선랜을 사용하여 인터넷 접속을 위한 일반적인 무선랜 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 과정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을 위한 기본적인 메시지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시 요구(Request) 메시지의 구조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시 응답(Response) 메시지의 구조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시 Notify 메시지의 구조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시 Indication 메시지의 구조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터넷
20 ..... 액세스 라우터
31 ~ 33 ..... 액세스 포인트
40 ..... 이동 단말
50 ..... 서버

Claims (5)

  1. 인터넷, 액세스 라우터, 액세스 포인트, 서버로 이루어진 무선랜 시스템에서, 상기 서버의 주소와 자기 산하의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알고 있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서 상기 서버로 주변 액세스 라우터에 대한 정보를 요구 메시지를 통해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액세스 라우터로부터 정보 요청을 받으면 가지고 있는 액세스 라우터의 정보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액세스 라우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서 액세스 포인트 추가와 같은 정보 변경이 발생한 경우 상기 서버로 Notify 메시지를 통해 변경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액세스 라우터로부터 전송된 Notify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를 분석하여 변화된 정보를 Indication 메시지를 통해 산하에 있는 액세스 라우터에 통보해주는 단계를 통해 정보를 교환하는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라우터는,
    메시지를 보내는 인터페이스 주소를 나타내는 소스 어드레스(Source Address)와 서버의 주소를 나타내는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를 포함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필드(IP Fields)와, 소스 포트(Source Port)와 목적지 포트(Destination Port)를 포함하는 UDP 필드(UDP Fields)로 구성된 헤더 부분과; 상기 메시지의 타입을 알려주는 1바이트의 타입 필드(Type)와, 예비 영역(Reserved)과, 패킷의 전체 크기를 나타내 주는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번호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프리픽스(Prefix) 길이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맥(MAC) 주소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6 주소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IPv6 프리픽스가 기록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길이가 가변적인 데이터 필드(Data)로 이루어진 페이로드 부분으로 구성된 요구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주변 액세스 라우터의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요구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를 나타내는 소스 어드레스(Source Address)와 요구 메시지의 발신 주소를 나타내는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를 포함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필드(IP Fields)와, 소스 포트(Source Port)와 목적지 포트(Destination Port)를 포함하는 UDP 필드(UDP Fields)로 구성된 헤더 부분과; 상기 메시지의 타입을 알려주는 1바이트의 타입 필드(Type)와, 제1 예비 영역(Reserved)과, 패킷의 전체 크기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개수(서버가 가지고 있는 리스트의 액세스 라우터의 총 개수)가 기록되는 영역과, 요구 메시지 내의 액세스 라우터 번호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프리픽스 길이가 기록되는 영역과, 제2 예비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MAC 주소가 기록되는 영역과, 제3 예비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IPv6 주소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IPv6 프리픽스가 기록되는 영역과, 해당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의 개수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포인트의 번호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값이 기록되는 영역과, 제4 예비 영역과, 액세스 포인트의 MAC 주소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포인트의 IPv6 주소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포인트의 SSID가 기록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데이터 필드(Data)로 이루어진페이로드 부분으로 구성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액세스 라우터로 전송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라우터는,
    상기 메시지를 보내는 인터페이스 주소를 나타내는 소스 어드레스(Source Address)와 서버의 주소를 나타내는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를 포함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필드(IP Fields)와, 소스 포트(Source Port)와 목적지 포트(Destination Port)를 포함하는 UDP 필드(UDP Fields)로 이루어진 헤더 부분과; 상기 메시지의 타입을 알려주는 1바이트의 타입 필드(Type)와, 제1 예비 영역(Reserved)과, 패킷의 전체 크기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과, 기 설정된 액세스 라우터의 번호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프리픽스 길이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MAC 주소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IPv6 주소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IPv6 프리픽스가 기록되는 영역과, 접속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의 개수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포인트의 번호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값이 기록되는 영역과, 제2 예비 영역과, 액세스 포인트의 MAC 주소가 기록되는 영역과, 제3 예비 영역과, 액세스 포인트의 IPv6 주소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포인트의 SSID가 기록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데이터 필드(Data)로 이루어진 페이로드 부분으로 구성된 상기 Notify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서버의 주소를 나타내는 소스 어드레스(Source Address)와 Notify 메시지의 송신주소 및 주변 액세스 라우터들의 주소를 나타내는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를 포함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필드(IP Fields)와, 소스 포트(Source Port)와 목적지 포트(Destination Port)를 포함하는 UDP 필드(UDP Fields)로 이루어진 헤더 부분과; 메시지의 타입을 알려주는 1바이트의 타입 필드(Type)와, 제1 예비 영역(Reserved)과, 패킷의 전체 크기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번호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프리픽스 길이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MAC 주소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IPv6 주소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라우터의 IPv6 프리픽스가 기록되는 영역과, 해당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의 개수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포인트의 번호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과, 해당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고 있는 채널의 값이 기록되는 영역과, 제2 예비 영역과, 액세스 포인트의 MAC 주소가 기록되는 영역과, 제3 예비 영역과, 액세스 포인트의 IPv6 주소가 기록되는 영역과, 액세스 포인트의 SSID가 기록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데이터 필드(Data)로 이루어진 페이로드 부분으로 구성된 Indication 메시지를 산하에 있는 액세스 라우터로 전송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방법.
KR10-2002-0083014A 2002-12-24 2002-12-24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방법 KR100526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3014A KR100526409B1 (ko) 2002-12-24 2002-12-24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3014A KR100526409B1 (ko) 2002-12-24 2002-12-24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455A KR20030017455A (ko) 2003-03-03
KR100526409B1 true KR100526409B1 (ko) 2005-11-08

Family

ID=27729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3014A KR100526409B1 (ko) 2002-12-24 2002-12-24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4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3111B2 (en) * 2004-01-06 2007-12-2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service set identifiers to probe for
KR100549530B1 (ko) 2004-05-20 2006-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 액세스 포인트,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594819B1 (ko) * 2004-08-03 2006-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핸드오버 방법
KR100678942B1 (ko) 2004-09-15 2007-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US7664088B2 (en) 2005-12-08 2010-02-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providing QoS using flow label in providing multimedia service in IPv6 network and system applying the same
KR100798919B1 (ko) * 2005-12-08 2008-0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v6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플로우 레이블을 이용한 서비스 품질 제공 방법 및 이를적용한 시스템
KR100901695B1 (ko) * 2006-11-30 2009-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빠른 3계층 핸드오버를 위한 액세스 라우터 정보 관리 방법및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KR100842279B1 (ko) * 2006-12-08 2008-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랜에서 이동 단말의 이동성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687155B1 (ko) * 2015-04-17 2016-12-16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Ac와 ap 사이의 최신 무선 환경 구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455A (ko) 200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4566B1 (en) Roaming method betwe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cellular network
KR100547112B1 (ko) 무선랜환경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핸드오버 수행 모바일노드 장치
FI114840B (fi) Yhteysvastuun vaihtaminen
US8619729B2 (en) Method for discovering neighbor networks in mobile station and network system for enabling the method
EP1500296B1 (en) Candidate access router discovery
EP1139632B1 (en) Method for packet communication with mobile node
EP1889402B1 (en) Server,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discovering neighbor networks in a mobile station
KR100594950B1 (ko) 억세스 라우터 기반의 모바일 IPv6 패스트 핸드오버 방법
US82442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fast mobility IP with link identifier prefix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70002811A1 (en) Mechanism to enable optimized provision of beacon information in WLAN networks
KR100710530B1 (ko) 연결 중심 무선 링크를 가지는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아이피 주소 구성 및 등록 방법
US20090135783A1 (en) FMIPv6 Intergration with Wimax
JPWO2008099802A1 (ja) 移動端末管理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それらに用いる移動端末動作制御方法
KR100526409B1 (ko) 액세스 라우터 정보 교환방법
KR100526408B1 (ko) 무선랜 기반에서 고속 릴리스 메시지를 이용한 고속핸드오버 방법
Helal et al. An architecture for wireless LAN/WAN integration
JP3080039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端末の位置登録方式
EP189728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fast handover
KR100456456B1 (ko) 무선랜 시스템의 이동 아이피 기능 제공 장치 및 방법과,이동 ip 기능을 이용한 이동노드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289906B1 (ko) 지리적으로 이웃한 액세스 포인트의 검색 방법
Weyland et al. Mobile-controlled handover in wireless LANs
KR20080053075A (ko) 무선 랜에서 이동 단말의 이동성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0765795B1 (ko) 이동 노드로 핸드오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Helal et al. Towards integrating wireless LANs with wireless WANs using mobile IP
KR101132295B1 (ko) PMIPv6 환경에서 플로우 이동성 지원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