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8181A - 네트워크를 통하여 a/v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싱크디바이스, 소오스 디바이스 및 메시지 구조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통하여 a/v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싱크디바이스, 소오스 디바이스 및 메시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8181A
KR20050108181A KR1020040033382A KR20040033382A KR20050108181A KR 20050108181 A KR20050108181 A KR 20050108181A KR 1020040033382 A KR1020040033382 A KR 1020040033382A KR 20040033382 A KR20040033382 A KR 20040033382A KR 20050108181 A KR20050108181 A KR 20050108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ink device
sharing
mode
sh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9018B1 (ko
Inventor
안철홍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3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018B1/ko
Priority to US11/121,204 priority patent/US20050254524A1/en
Priority to EP05252812.2A priority patent/EP1596559B1/en
Priority to CNB2005100694422A priority patent/CN100362826C/zh
Priority to JP2005139161A priority patent/JP5101801B2/ja
Publication of KR20050108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0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네트워크상에서 A/V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공유 방법, 싱크 디바이스, 소오스 디바이스 및 메시지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하여 A/V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은, A/V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오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A/V 컨텐츠를 공유하고 있는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소오스 디바이스로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를 전송해달라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소오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네트워크상에서 하나의 컨텐츠를 복수개의 디바이스에서 공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수신 디바이스에서 컨텐츠 공유 형태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시나리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를 통하여 A/V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싱크 디바이스, 소오스 디바이스 및 메시지 구조{Method for sharing A/V content over network, sink device, source device and message structure}
본 발명은 네트워크상에서 A/V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공유 방법, 싱크 디바이스, 소오스 디바이스 및 메시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시대의 확산과 발전은 우리 주변에서 점점 더 많은 디지털 제품을 볼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면, DVD 플레이어, 케이블 STB, DVCR, DTV, PC 많은 디지탈 제품들이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있다. 이런 다양한 기기들은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표준이 DHWG(Digital Home Working Group)에 의해 정립되고 있다.
최근 들어, 홈네트워크 내의 멀티미디어 환경은 크게 세가지 월드로 구분해 볼 수 있다. PC 인터넷 월드, 모바일 월드, CE 브로드캐스트 월드가 그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DHWG에 따른 홈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PC 인터넷 월드(PC Internet World)(100)는 PC와 PC 주변 통신 장치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PC(101), 게임 콘솔(102), 프린터(103), 디지털 이미징 장치(104), 디지털 뮤직 장치(105), 무선 모니터(106) 등을 포함한다.
모바일 월드(Mobile World)(110)는 랩탑 컴퓨터(111), 멀티미디어 모바일 폰(112), PDA(113)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모바일 장치들은 홈네트워크의 내부 뿐만 아니라 외부의 환경에서도 사용자에게 이동의 자유를 제공한다.
CE 브로드캐스트 월드(Consumer Electronics broadcast World)(120)는 TV 모니터(121), PVR, 튜너, STB 등의 전통적인 컨슈머 일렉트로닉스(consumer electronics)(122), 스테레오 셋(123) 등을 포함한다.
소비자들은 이러한 세 가지 도메인에 있는 디바이스들을 홈내에서 함께 연동하여 동작시키기를 희망한다. 이러한 디지털 월드들 사이의 상호동작성(interoperability)을 연결하기 위한 홈네트워크 연구가 요구된다.
디지털 홈은 CE, 모바일, PC 디바이스들의 네트워크로 구성되며, 이러한 네트워크는 투명하고, 간단하고, 끊임없는 상호동작성을 위해 협력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네트워크는 IP 네트워킹과 UPnP(Universal Plug and Play) 기술에 기초한다.
UPnP 오디오/비디오 기술에 의한 미디어 관리 및 제어는 디바이스들과 어플리케이션들이 홈네트워크상에서 미디어 컨텐츠를 식별하고, 관리하고, 배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그것을 모바일 디바이스를 전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유니버설 플러그 앤 플레이는 인텔리전트 어플라이언스들, 무선 디바이스들 및 PC 등의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 연결성을 위한 아키텍쳐이다. 그것은 홈이나, 소규모 비즈니스 등의 규모가 작은 네트워크에 사용이 쉽고, 융통성이 있으며 표준에 기반한 연결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UPnP AV 아키텍쳐는 UPnP 콘트롤 포인트와 UPnP 디바이스들 사이의 일반적인 인터랙션을 정의한다. UPnP 아키텍쳐는 어떤 형태로 된 컨텐츠들, 및 어떤 종류의 전송 프로토콜도 디바이스들이 지원할 수 있도록 해준다. UPnP 디바이스들은 TV, VCR, CD/DVD 플레이어, 셋톱 박스, 스테레오 시스템, MP3 플레이어, 스틸 이미지 카메라, 캠코더, PC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AV 아키텍쳐는 디바이스들이 MPEG2, MPEG4, JPEG, MP3, BMP, 윈도우 미디어 아키텍쳐(WMA) 등 서로 다른 종류의 포맷을 가진 컨텐츠 및 IEEE-1394, HTTP GET, RTP, HTTP PUT/POST, TCP/IP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전송 프로토콜을 지원하도록 해준다.
대부분의 UPnP AV 시나리오는 무비, 음악, 픽쳐 등과 같은 컨텐츠가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것을 포함한다. AV 콘트롤 포인트(Control Point)는 소오스(Source)와 싱크(Sink)로서 역할하는 두 개 이상의 UPnP 디바이스들과 상호작용한다.
미디어 서버(Media Server)는 사용자가 랜더링하기를 원하는 컨텐츠를 갖고 있다. 미디어 서버는 다수의 컨텐츠를 갖고 있거나 액세스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는 그 컨텐츠를 액세스하여 그것을 소정의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서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미디어서 서버의 예로는 VCR, CD.DVD 플레이어, 카메라, 캠코더, PC, 셋톱박스, 위성수신기, 오디오 테잎 플레이어 등을 포함한다.
미디어 서버 컨트롤 포인트(Media Server Control Point)는 재생 등의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대로 미디어 서버의 동작을 조정하고 관리한다. 또한, 컨트롤 포인트는 사용자가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인터랙트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컨트롤 포인트의 예로는, 일반적인 리모콘을 가진 TV 나 무선 PDA 디바이스를 들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요구되는 경우 컨트롤 포인트는 Stop, Pause, FF, REW, Skip 등과 같은 다양한 AV 전송 액션들을 인보크함으로써 컨텐츠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는 하나의 컨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두 개 이상의 디바이스에서 공유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예를 들어, 거실에 있는 TV로 비디오를 보던 사용자가 방으로 들어와서 방안에 있는 PV로 보고 있던 비디오를 보기를 원할 수도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통해서 A/V 컨텐츠를 복수의 디바이스에서 공유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A/V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공유 방법, 싱크 디바이스, 소오스 디바이스 및 메시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A/V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A/V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오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A/V 컨텐츠를 공유하고 있는 공유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소오스 디바이스로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를 전송해달라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소오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를 전송해달라는 요청은, 상기 A/V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싱크 디바이스에서 발생된다.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A/V 컨텐츠를 공유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공유 모드가 지정된 요청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유 모드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는 A/V 컨텐츠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상기 A/V 컨텐츠를 전송해달라는 NEW 모드,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는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를 중첩적으로 전송해달라는 중첩 모드(superposition mode),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던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를 이어서 전송하고,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의 A/V 컨텐츠의 전송은 중지시키라는 리디렉션 모드(redirection mod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A/V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는 A/V 컨텐츠를 전송해달라는 요청을 제2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로 제공하고 있던 A/V 컨텐츠를 상기 제2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A/V 컨텐츠를 상기 제1싱크 디바이스와 공유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공유 모드가 지정된 요청을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유 모드는, 상기 제1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는 A/V 컨텐츠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상기 A/V 컨텐츠를 전송해달라는 NEW 모드, 상기 제1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는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를 중첩적으로 전송해달라는 중첩 모드(superposition mode),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던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를 이어서 전송하고,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의 A/V 컨텐츠의 전송은 중지시키라는 리디렉션 모드(redirection mod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A/V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싱크 디바이스에 있어서, A/V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오스 디바이스로 상기 A/V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A/V 컨텐츠를 공유하고 있는 다른 싱크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1처리부와, 상기 소오스 디바이스로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를 전송해달라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소오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를 수신하는 제2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2처리부는, 상기 요청 메시지에 상기 A/V 컨텐츠를 상기 다른 싱크 디바이스와 공유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공유 모드를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처리부는 미디어 서버 콘트롤 포인트(Media Server Control Point)로 구현되며, 상기 제2처리부는 스트리밍 클라이언트(Streaming Client)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A/V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소오스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1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는 A/V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전송해달라는 제2싱크 디바이스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A/V 컨텐츠의 공유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1처리부와, 상기 제1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는 A/V 컨텐츠를 전송해달라는 상기 제2싱크 디바이스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로 제공하고 있던 A/V 컨텐츠를 상기 제2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2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2처리부는, 상기 A/V 컨텐츠를 상기 제1싱크 디바이스와 공유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공유 모드가 지정된 요청을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처리부는 미디어 서버 디바이스(Media Server Device)로 구현되고, 상기 제2처리부는 스트리밍 서버(Streaming Server)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A/V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해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소오스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A/V 컨텐츠 정보 요청에 응답하기 위한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응답 메시지 구조에 있어서, 요청한 A/V 컨텐츠의 타입 필드와, 상기 소오스 디바이스가 상기 A/V 컨텐츠를 전송하여 상기 A/V 컨텐츠를 공유하고 있는 공유 디바이스 식별자 필드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응답 메시지는 HTTP 응답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A/V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해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소오스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A/V 컨텐츠 요청을 위한 요청 메시지 구조에 있어서, 공유를 요청하는 A/V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필드와, 상기 A/V 컨텐츠를 다른 싱크 디바이스와 공유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공유 모드 필드와,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싱크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디바이스 식별자 필드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요청 메시지는 HTTP 요청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공유 모드는, 상기 다른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는 A/V 컨텐츠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상기 A/V 컨텐츠를 전송해달라는 NEW 모드, 다른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는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를 중첩적으로 전송해달라는 중첩 모드(superposition mode),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던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를 이어서 전송하고,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의 A/V 컨텐츠의 전송은 중지시키라는 리디렉션 모드(redirection m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공유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소오스 디바이스(210)는 싱크 디바이스들로부터의 A/V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여 A/V 컨텐츠를 요청한 디바이스들로 컨텐츠를 전송한다.
싱크 디바이스(220)는 소오스 디바이스로부터 A/V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가져오고, 또한 A/V 컨텐츠를 요청하여 소오스 디바이스로부터 A/V 컨텐츠를 수신하여 소비한다.
싱크 디바이스(230)는 싱크 디바이스(220)와 같은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싱크 디바이스 1은 홈내의 거실에 있는 TV가 될 수 있고, 싱크 디바이스 2는 방안에 있는 PC 등이 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 1(220)은 소오스 디바이스(210)로부터 컨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를 소비한다. 이와 같이 싱크 디바이스 1에서 소비하고 있는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싱크 디바이스 2(230)는 A/V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해 소오스 디바이스(210)로 공유하기를 희망하는 A/V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가져오고, 또한 A/V 컨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한다. 이때 소오스 디바이스(210)는 요청된 A/V 컨텐츠에 대한 디바이스 공유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싱크 디바이스는 이러한 공유 상태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희망하는 공유 모드를 선택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오스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소오스 디바이스(Source Device)(210)는 컨텐츠 저장부(211)와, 미디어 서버 디바이스(Meida Server Device:MSD)(212)와 스트리밍 서버(Streaming Server)(213)로 구성된다. 물론, 컨텐츠 저장부(211)는 스트리밍 서버(213)나 미디어 서버(212)에 포함될 수도 있다.
컨텐츠 저장부(211)는 A/V 컨텐츠를 저장한다.
미디어 서버(212)는 HTTP 제어 명령 생성/해석부(3)와, 컨텐츠 관리부(4)를 포함한다.
HTTP 제어 명령 생성/해석부(3)는 본 발명에 따른 HTTP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HTTP 제어 명령을 해석하여 적절한 처리를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HTTP 제어 명령 생성/해석부(3)는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이를 해석하고, 그 요청에 응답하여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응답 메시지(500)는 헤더정보(510)로서, 날짜(511), 컨텐츠 타입(512), 공유 디바이스 식별자(513)를 포함한다.
날짜(511)는 응답 메시지를 보내는 날짜를 나타낸다.
컨텐츠 타입(512)은 요청된 컨텐츠의 종류 등에 관한 정보를 말한다.
공유 디바이스 식별자(513)는 현재 상태에서 소오스 디바이스가 요청된 컨텐츠를 공유하고 있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식별자이다. 다시 말하면, 현재 소오스 디바이스가 요청된 컨텐츠를 전송하고 있는 싱크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공유 디바이스 식별자를 응답 메시지에 삽입시킴으로써 싱크 디바이스는 현재 소오스 디바이스가 어느 싱크 디바이스로 컨텐츠를 전송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4)는 컨텐츠 저장부(211)에 저장된 컨텐츠를 관리하며, 특히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관리한다. 즉, 싱크 디바이스의 미디어 서버 컨트롤 포인트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HTTP 제어 명령 생성/해석부(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응답 메시지를 생성할 때 컨텐츠 관리부(4)가 관리하는 컨텐츠 정보를 참조한다.
스트리밍 서버(213)는 HTTP 제어 명령 해석부(1)와, 컨텐츠 전송부(2)를 포함한다.
HTTP 제어 명령 해석부(1)는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HTTP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해석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HTTP 제어 명령 해석부(1)는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를 해석한다. 또한, 그 해석 결과에 따라 컨텐츠 전송부(2)를 적절히 제어한다.
컨텐츠 전송부(2)는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요청된 A/V 컨텐츠를 컨텐츠 저장부(211)로부터 꺼내어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싱크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싱크 디바이스(Sink Device)(220)는 미디어 서버 콘트롤 포인트(Media Server Control Point:MSCP)(221)와 스트리밍 클라이언트(Streaming Client)(222)와 재생부(223)를 포함한다.
재생부(223)는 소오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A/V 컨텐츠를 소비한다.
미디어 서버 콘트롤 포인트(221)는 HTTP 제어 명령 생성/해석부(7)와, 사용자 인터페이스(8)와, 컨텐츠 정보 요청/해석부(9)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8)는 사용자로부터 A/V 컨텐츠에 대한 동작 명령 예를 들어 "play" 등의 동작 명령을 수신한다.
컨텐츠 정보 요청/해석부(9)는 Browse 또는 Search 명령을 이용하여 소오스 디바이스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소오스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해석한다.
HTTP 제어 명령 생성/해석부(7)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로부터 소정의 컨텐츠에 대한 동작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먼저, 그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컨텐츠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또한, 소오드 디바이스로부터 이러한 컨텐츠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이를 해석하며, 이와 같이 응답 메시지로부터 해석된 정보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명령에 관한 정보를 스트리밍 클라이언트(222)로 전송한다.
스트리밍 클라이언트(222)는 HTTP 제어 명령 생성부(5)와, 컨텐츠 수신부(6)를 포함한다.
HTTP 제어 명령 생성부(5)는 미디어서버 콘트롤 포인트(221)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명령에 관한 정보 또는 컨텐츠 정보 응답 메시지를 해석한 정보를 참조하여 HTTP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이러한 HTTP 제어 명령으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컨텐츠 요청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
컨텐츠 수신부(6)는 소오스 디바이스로부터 A/V 컨텐츠를 수신하여, 이를 재생부(223)로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싱크 디바이스가 소오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컨텐츠 요청 메시지(600)는 헤더정보(610)로서, 호스트(611), 공유 모드(612), 디바이스 식별자(613)를 포함한다.
호스트(611)는 요청하는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정보를 나타낸다.
공유 모드(612)는 요청하는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모드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라 세가지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중첩 모드(superimposition mode)와, 리디렉션 모드(redirection mode)와, 뉴 모드(new mode)가 그것이다.
중첩 모드는 소오스 디바이스가 제1 싱크 디바이스로 A/V 컨텐츠를 전송하고 있을 때, 그 제1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A/V 컨텐츠의 연결을 끊음없이 현재 제1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는 A/V 컨텐츠의 부분을 제1싱크 디바이스로의 전송과 동기화시켜 제2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1과 사용자 2가 거실에 있는 DVD 플레이어로 비디오 타이틀의 중간 정도 까지 보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1은 그대로 거실에 있는 DVD 플레이어로 비디오 타이틀을 계속하여 보고, 사용자 2는 방에 있는 PC로 그 DVD 타이틀을 이어서 보기를 원할 때 사용될 수 있는 모드이다.
리디렉션 모드는 소오스 디바이스가 제1싱크 디바이스로 A/V 컨텐츠를 전송하고 있을 때, 그 제1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A/V 컨텐츠의 연결을 끊고, 현재 제1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던 A/V 컨텐츠의 부분을 제2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1이 거실에 있는 DVD 플레이어로 비디오 타이틀의 중간 정도 까지 보다가, 사용자 1이 방에 있는 PC로 그 DVD 타이틀을 이어서 보고, 거실에 있는 DVD 플레이어로의 컨텐츠 전송은 중지시키기를 원할 때 사용될 수 있는 모드이다.
뉴 모드는 소오스 디바이스가 제1싱크 디바이스로 A/V 컨텐츠를 전송하고 있을 때, 그 제1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A/V 컨텐츠의 연결에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제2싱크 디바이스로 A/V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1이 거실에 있는 DVD 플레이어로 비디오 타이틀의 중간 정도 까지 보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1은 그대로 거실에 있는 DVD 플레이어로 비디오 타이틀을 계속하여 보고, 사용자 2는 방에 있는 PC로 그 비디오 타이틀을 처음부터 보기를 원할 때 사용될 수 있는 모드이다.
디바이스 식별자(613)는 컨텐츠 요청을 보내는 싱크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싱크 디바이스가 소오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컨텐츠 요청 메시지(700)는 헤더정보(710)로서, 호스트(711), 공유 모드(712), 리디렉션 근원지(713), 디바이스 식별자(714)를 포함한다. 호스트(711), 공유 모드(712), 디바이스 식별자(714)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다만, 도 7에 도시된 컨텐츠 요청 메시지(700)에는 리디렉션 근원지(713) 필드가 더 포함되어 있다.
리디렉션 근원지(713)는 A/V 컨텐츠를 리디렉션 모드로 전송받고 싶은 경우에 사용되는 필드로서, A/V 컨텐츠를 공유하는 경우에 이전 연결을 끊고 싶은 싱크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중첩 모드인 경우에는 이전 연결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이러한 필드가 요구되지 않지만, 리디렉션 모드인 경우에, 이전 연결이 복수 개 있었다면 그중에서 어느 연결을 끊을 것인지를 지정해야 하므로 리디렉션 근원지 필드가 요구된다.
이제,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세가지 공유 모드에 따라 A/V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의 예들을 설명한다. 이러한 예들에서는 HTTP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중 중첩 모드를 나타내는 제1실시예의 흐름도이다.
싱크 디바이스1(220)은 소오스 디바이스(210)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browse/search 같은 명령을 전송한다(801). 이 명령을 받은 소오스 디바이스(210)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한다(802).
싱크 디바이스1(220)은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들을 확인하고, 그중 전송받기를 희망하는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헤더 정보를 가져오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HTTP HEAD 명령을 소오스 디바이스(210)로 전송한다(803).
도 11은 HTTP 헤드 정보 요청 메시지의 일 예이다.
HTTP 요청 메시지중 메소드가 HEAD 인 것은 URI에서 구별된 정보를 조회하는 요청을 말하며, HEAD에 대한 응답 메시지에는 조회된 정보가 헤더필드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HTTP 헤드 정보 요청 메시지(1100)는 "URL1" 으로 식별되는 정보를 조회하라는 요청을 담고 있고, "HOST"는 자원이 요청된 인터넷 호스트를 식별하는 정보를 말한다. HOST 필드에는 "host of control URL1" 과 "port of control URL1"이 들어간다.
이를 수신한 소오스 디바이스(210)는 URL 1에 해당하는 컨텐츠에 관한 헤더 정보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HTTP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싱크 디바이스 1(220)로 전송한다(804).
도 12는 HTTP 헤드 정보 응답 메시지의 일 예이다.
HTTP 응답 메시지는 상태 라인과 하나 이상의 일반적인 헤더, 응답 헤더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12를 참조하면, HTTP 헤드 정보 응답 메시지(1200)는 상태 라인으로 "HTTP/1.1 200 OK"를 가지고 있다. "HTTP/1.1"은 보내는 측의 HTTP 버전 번호를 뜻하고, "200 OK"은 요청이 성공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요청된 응답 정보가 이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DATE"는 날짜를 가리키고, "CONTENT-TYPE"은 컨텐츠의 타입을 나타내며, "Share-dev"는 소오스 디바이스가 현재 이 컨텐츠에 대해서 공유하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데, 현재 소오스 디바이스(210)가 이 컨텐츠를 전송하는 싱크 디바이스가 없으므로 "null"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 및 이하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싱크 디바이스 1이 NEW 모드로 컨텐츠를 전송받도록 요청하는 경우에도 단계 803 및 단계 804를 통하여 컨텐츠에 대한 헤더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이러한 단계 803 및 단계 804 과정은 NEW 모드로 컨텐츠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이는 NEW 모드가, 소오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 헤더 정보와는 상관 없이 독립적으로 컨텐츠를 요청하는 모드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싱크 디바이스 1(220)은 그 컨텐츠를 요청하기 위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HTTP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805).
도 13은 HTTP 컨텐츠 요청 메시지의 일 예이다.
HTTP 요청 메시지중 메소드가 GET 인 것은, URL에서 구별되는 정보를 조회하는 요청을 말하며, 응답은 엔티티 바디를 통해 되돌려진다.
도 13을 참조하면, HTTP 컨텐츠 요청 메시지(1300)는 "URL1" 으로 식별되는 정보를 조회하라는 요청을 담고 있고, "HOST"는 자원이 요청된 인터넷 호스트를 식별하는 정보를 말한다. HOST 필드에는 "host of control URL1" 과 "port of control URL1"이 들어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HTTP 컨텐츠 요청 메시지(1300)는 공유 모드와 디바이스 식별자를 나타내기 위해 "share-mode" 필드와 "Dev-name" 필드를 포함한다. "share-mode"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싱크 디바이스가 컨텐츠를 공유하기를 희망하는 모드를 나타내는데, 이 컨텐츠에 대해서는 아직 공유하는 싱크 디바이스가 없으므로, 싱크 디바이스 1이 처음으로 이 컨텐츠를 사용하는 디바이스이고 따라서, "New" 모드로 설정한다. "New" 모드로 설정된 것은 해당 URL에 의한 컨텐츠를 처음부터 보내라는 의미이다. "Dev-name"은 이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싱크 디바이스 1이 living room TV 인 경우에 "living room TV"를 설정한다.
이와 같은 HTTP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소오스 디바이스(210)는 요청된 컨텐츠를 리턴해준다(806).
이와 같이 소오스 디바이스(210)로부터 싱크 디바이스 1(220)로 A/V 컨텐츠를 전송하고 있는 상태에서 싱크 디바이스 2(230)도 그 A/V 컨텐츠를 중첩 모드로 전송 받기 위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싱크 디바이스2(230)는 소오스 디바이스(210)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browse/search 같은 명령을 전송한다(807). 이 명령을 받은 소오스 디바이스(210)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한다(808).
싱크 디바이스2(230)는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들을 확인하고, 그중 전송받기를 희망하는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헤더 정보를 가져오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HTTP HEAD 명령을 소오스 디바이스(210)로 전송한다(809).
이를 수신한 소오스 디바이스(210)는 URL 1에 해당하는 컨텐츠에 관한 헤더 정보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HTTP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싱크 디바이스 2(230)로 전송한다(810).
도 14는 HTTP 헤드 정보 응답 메시지의 다른 예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2에 도시된 HTTP 헤드 정보 응답 메시지와 유사하지만, 그 필드 내용이 약간 다르다. 즉, 소오스 디바이스(210)는 이미 싱크 디바이스 1(220)로 A/V 컨텐츠를 전송하고 있는 중이기 때문에 공유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share-dev" 필드에는 싱크 디바이스 1을 나타내는 "living room TV"를 기록한다.
이러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싱크 디바이스 2(230)는 그 컨텐츠를 요청하기 위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HTTP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811).
도 15는 HTTP 컨텐츠 요청 메시지의 다른 예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HTTP 컨텐츠 요청 메시지와 같은 형태이지만, 필드 내용이 다소 달라진다. 즉, "share-mode" 필드는 싱크 디바이스 2가 싱크 디바이스 1과 중첩적으로 A/V 컨텐츠를 전송받고 싶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중첩 모드를 나타내는 "superposition"을 기록하고, "Dev-name"에는 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싱크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해 "room 1 TV"를 기록한다.
이와 같은 HTTP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소오스 디바이스(210)는 요청된 컨텐츠를 리턴해준다(812). 즉, 소오스 디바이스(210)는 싱크 디바이스 2(230)로부터 요청된 중첩 모드에 따라 싱크 디바이스1(220)과 synchronized 된 동일한 데이터를 싱크 디바이스2(230)로 전송한다. 만약 소오스 디바이스가 중첩적으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없다면 "resource not available" 등과 같은 에러 메시지를 응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중 리디렉션 모드를 나타내는 제2실시예의 흐름도이다.
싱크 디바이스1(220)은 소오스 디바이스(210)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browse/search 같은 명령을 전송한다(901). 이 명령을 받은 소오스 디바이스(210)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한다(902).
싱크 디바이스1(220)은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들을 확인하고, 그중 전송받기를 희망하는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헤더 정보를 가져오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HTTP HEAD 명령을 소오스 디바이스(210)로 전송한다(903).
이를 수신한 소오스 디바이스(210)는 URL 1에 해당하는 컨텐츠에 관한 헤더 정보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HTTP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싱크 디바이스 1(220)로 전송한다(904).
이러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싱크 디바이스 1(220)은 그 컨텐츠를 요청하기 위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HTTP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905).
이와 같은 HTTP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소오스 디바이스(210)는 요청된 컨텐츠를 리턴해준다(906).
이와 같이 소오스 디바이스(210)로부터 싱크 디바이스 1(220)로 A/V 컨텐츠를 전송하고 있는 상태에서 싱크 디바이스 2(230)가 그 A/V 컨텐츠를 리디렉션 모드로 전송 받기 위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싱크 디바이스2(230)는 소오스 디바이스(210)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browse/search 같은 명령을 전송한다(907). 이 명령을 받은 소오스 디바이스(210)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한다(908).
싱크 디바이스2(230)는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들을 확인하고, 그중 전송받기를 희망하는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헤더 정보를 가져오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HTTP HEAD 명령을 소오스 디바이스(210)로 전송한다(909).
이를 수신한 소오스 디바이스(210)는 URL 1에 해당하는 컨텐츠에 관한 헤더 정보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HTTP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싱크 디바이스 2(230)로 전송한다(910).
이러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싱크 디바이스 2(230)는 그 컨텐츠를 요청하기 위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HTTP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911).
도 16은 HTTP 컨텐츠 요청 메시지의 또 다른 예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HTTP 컨텐츠 요청 메시지와 같은 형태이지만, 공유 모드로서 중첩 모드가 아니라 리디렉션 모드를 지정한다. 즉, "share-mode" 필드는 싱크 디바이스 2가 싱크 디바이스 1이 전송받고 있던 A/V 컨텐츠를 이어서 전송받고, 싱크 디바이스 1으로의 컨텐츠 전송은 멈추게 하고 싶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리디렉션 모드를 나타내는 "rederection"을 기록하고, "Dev-name"에는 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싱크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해 "room 1 TV"를 기록한다. "redirecrion-from"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리디렉션 근원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A/V 컨텐츠를 전송하고 있던 이전 연결들중 끊기를 희망하는 연결을 지정하기 위한 것이며, 도 16의 요청메시지에서는 싱크 디바이스 1으로의 연결을 끊기 위해 이 필드에 "living room TV"를 기록하고 있다.
이와 같은 HTTP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소오스 디바이스(210)는 요청된 컨텐츠를 리턴해준다(812). 즉, 소오스 디바이스(210)는 싱크 디바이스 2(230)로부터 요청된 리디렉션 모드에 따라 싱크 디바이스1(220)과 synchronized 된 동일한 데이터를 싱크 디바이스2(230)로 전송하며(912), 소오스 디바이스(210)는 리디렉션 근원지 필드에 표시된 싱크 디바이스 1으로의 A/V 컨텐츠의 전송을 중지한다(913). 소오스 디바이스(210)는 만약 redirection 이 되지 못할 경우에는 싱크 디바이스 2(230)로 에러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중 독립 모드를 나타내는 제3실시예의 흐름도이다.
싱크 디바이스1(220)은 소오스 디바이스(210)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browse/search 같은 명령을 전송한다(1001). 이 명령을 받은 소오스 디바이스(210)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한다(1002).
싱크 디바이스1(220)은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들을 확인하고, 그중 전송받기를 희망하는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헤더 정보를 가져오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HTTP HEAD 명령을 소오스 디바이스(210)로 전송한다(1003).
이를 수신한 소오스 디바이스(210)는 URL 1에 해당하는 컨텐츠에 관한 헤더 정보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HTTP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싱크 디바이스 1(220)로 전송한다(1004).
이러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싱크 디바이스 1(220)은 그 컨텐츠를 요청하기 위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HTTP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1005).
이와 같은 HTTP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소오스 디바이스(210)는 요청된 컨텐츠를 리턴해준다(1006).
이와 같이 소오스 디바이스(210)로부터 싱크 디바이스 1(220)로 A/V 컨텐츠를 전송하고 있는 상태에서 싱크 디바이스 2(230)가 그 A/V 컨텐츠를 독립적인 모드로 전송 받기 위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싱크 디바이스2(230)는 소오스 디바이스(210)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browse/search 같은 명령을 전송한다(1007). 이 명령을 받은 소오스 디바이스(210)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한다(1008).
싱크 디바이스2(230)는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들을 확인하고, 그중 전송받기를 희망하는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헤더 정보를 가져오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HTTP HEAD 명령을 소오스 디바이스(210)로 전송한다(1009).
이를 수신한 소오스 디바이스(210)는 URL 1에 해당하는 컨텐츠에 관한 헤더 정보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HTTP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싱크 디바이스 2(230)로 전송한다(1010).
이러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싱크 디바이스 2(230)는 그 컨텐츠를 독립적으로 요청하기 위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HTTP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1011).
소오스 디바이스(210)가 이미 싱크 디바이스 1(220)으로 A/V 컨텐츠를 전송하고 있어 공유 상태인 경우라 하더라도 싱크 디바이스 2(23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HTTP 요청 메시지의 공유 모드를 "New"로 지정하여 소오스 디바이스(210)로 전송함으로써 소오스 디바이스가 싱크 디바이스 1에 보내는 A/V 컨텐츠에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싱크 디바이스 2(230)는 그 A/V 컨텐츠를 처음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HTTP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소오스 디바이스(210)는 요청된 컨텐츠를 리턴해준다(812). 즉, 소오스 디바이스(210)는 싱크 디바이스 2(230)로부터 요청된 뉴(new) 모드에 따라 싱크 디바이스1(220)에 보내는 데이터와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싱크 디바이스2(230)로 전송한다(1012). 소오스 디바이스(210)는 만약 redirection 이 되지 못할 경우에는 싱크 디바이스 2(230)로 에러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싱크 디바이스와 소오스 디바이스에서의 처리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네트워크상에서 하나의 컨텐츠를 복수개의 디바이스에서 공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수신 디바이스에서 컨텐츠 공유 형태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시나리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는 DHWG에서의 2box model즉 DMS(Digital Media Server)와 DMP(Digital Media Player)사이에서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DHWG에 따른 홈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공유하는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오스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싱크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소오스 디바이스가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싱크 디바이스가 소오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싱크 디바이스가 소오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중 중첩 모드를 나타내는 제1실시예의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중 리디렉션 모드를 나타내는 제2실시예의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중 독립 모드를 나타내는 제3실시예의 흐름도,
도 11은 HTTP 헤드 정보 요청 메시지의 일 예,
도 12는 HTTP 헤드 정보 응답 메시지의 일 예,
도 13은 HTTP 컨텐츠 요청 메시지의 일 예,
도 14는 HTTP 헤드 정보 응답 메시지의 다른 예,
도 15는 HTTP 컨텐츠 요청 메시지의 다른 예,
도 16은 HTTP 컨텐츠 요청 메시지의 또 다른 예.

Claims (32)

  1. 네트워크를 통하여 A/V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A/V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오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A/V 컨텐츠를 공유하고 있는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소오스 디바이스로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를 전송해달라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소오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를 전송해달라는 요청은, 상기 A/V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싱크 디바이스에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A/V 컨텐츠를 공유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공유 모드가 지정된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모드는,
    다른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는 A/V 컨텐츠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상기 A/V 컨텐츠를 전송해달라는 NEW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모드는,
    다른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는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를 중첩적으로 전송해달라는 중첩 모드(superposition m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모드는,
    다른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던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를 이어서 전송하고, 상기 다른 싱크 디바이스로의 A/V 컨텐츠의 전송은 중지시키라는 리디렉션 모드(redirection m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방법.
  7. 네트워크를 통하여 A/V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는 A/V 컨텐츠를 전송해달라는 요청을 제2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로 제공하고 있던 A/V 컨텐츠를 상기 제2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A/V 컨텐츠를 상기 제1싱크 디바이스와 공유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공유 모드가 지정된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모드는,
    상기 제1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는 A/V 컨텐츠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상기 A/V 컨텐츠를 전송해달라는 NEW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모드는,
    상기 제1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는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를 중첩적으로 전송해달라는 중첩 모드(superposition m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모드는,
    상기 제1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던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를 이어서 전송하고,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의 A/V 컨텐츠의 전송은 중지시키라는 리디렉션 모드(redirection m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싱크 디바이스로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의 전송을 멈추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방법.
  13. 네트워크를 통하여 A/V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싱크 디바이스에 있어서,
    A/V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오스 디바이스로 상기 A/V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A/V 컨텐츠를 공유하고 있는 다른 싱크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1처리부와,
    상기 소오스 디바이스로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를 전송해달라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소오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를 수신하는 제2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부는,
    상기 요청 메시지에 상기 A/V 컨텐츠를 상기 다른 싱크 디바이스와 공유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공유 모드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모드는,
    상기 다른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는 A/V 컨텐츠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상기 A/V 컨텐츠를 전송해달라는 NEW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디바이스.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모드는,
    상기 다른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는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를 중첩적으로 전송해달라는 중첩 모드(superposition m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디바이스.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모드는,
    상기 다른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던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를 이어서 전송하고, 상기 다른 싱크 디바이스로의 A/V 컨텐츠의 전송은 중지시키라는 리디렉션 모드(redirection m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디바이스.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부는 미디어 서버 콘트롤 포인트(Media Server Control Point)로 구현되며, 상기 제2처리부는 스트리밍 클라이언트(Streaming Client)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디바이스.
  19. 네트워크를 통하여 A/V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소오스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1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는 A/V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전송해달라는 제2싱크 디바이스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A/V 컨텐츠의 공유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1처리부와,
    상기 제1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는 A/V 컨텐츠를 전송해달라는 상기 제2싱크 디바이스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로 제공하고 있던 A/V 컨텐츠를 상기 제2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2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오스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부는,
    상기 A/V 컨텐츠를 상기 제1싱크 디바이스와 공유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공유 모드가 지정된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오스 디바이스.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모드는,
    상기 제1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는 A/V 컨텐츠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상기 A/V 컨텐츠를 전송해달라는 NEW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오스 디바이스.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모드는,
    상기 제1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는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를 중첩적으로 전송해달라는 중첩 모드(superposition m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오스 디바이스.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모드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던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를 이어서 전송하고,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의 A/V 컨텐츠의 전송은 중지시키라는 리디렉션 모드(redirection m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오스 디바이스.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부는,
    상기 제1싱크 디바이스로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의 전송을 더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오스 디바이스.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부는 미디어 서버 디바이스(Media Server Device)로 구현되고, 상기 제2처리부는 스트리밍 서버(Streaming Server)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오스 디바이스.
  26. 네트워크를 통하여 A/V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해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소오스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A/V 컨텐츠 정보 요청에 응답하기 위한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응답 메시지 구조에 있어서,
    요청한 A/V 컨텐츠의 타입 필드와,
    상기 소오스 디바이스가 상기 A/V 컨텐츠를 전송하여 상기 A/V 컨텐츠를 공유하고 있는 공유 디바이스 식별자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 메시지 구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HTTP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 메시지 구조.
  28. 네트워크를 통하여 A/V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해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소오스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A/V 컨텐츠 요청을 위한 요청 메시지 구조에 있어서,
    공유를 요청하는 A/V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필드와,
    상기 A/V 컨텐츠를 다른 싱크 디바이스와 공유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공유 모드 필드와,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싱크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디바이스 식별자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청 메시지 구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HTTP 요청 메시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청 메시지 구조.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모드는,
    상기 다른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는 A/V 컨텐츠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상기 A/V 컨텐츠를 전송해달라는 NEW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청 메시지 구조.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모드는,
    상기 다른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는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를 중첩적으로 전송해달라는 중첩 모드(superposition m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청 메시지 구조.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모드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있던 상기 공유된 A/V 컨텐츠를 이어서 전송하고,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의 A/V 컨텐츠의 전송은 중지시키라는 리디렉션 모드(redirection m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청 메시지 구조.
KR1020040033382A 2004-05-12 2004-05-12 네트워크를 통하여 a/v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싱크디바이스, 소오스 디바이스 및 메시지 구조 KR100619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382A KR100619018B1 (ko) 2004-05-12 2004-05-12 네트워크를 통하여 a/v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싱크디바이스, 소오스 디바이스 및 메시지 구조
US11/121,204 US20050254524A1 (en) 2004-05-12 2005-05-04 Method for sharing audio/video content over network, and structures of sink device, source device, and message
EP05252812.2A EP1596559B1 (en) 2004-05-12 2005-05-07 Method for sharing audio/video content over network, and structures of sink device, source device and message
CNB2005100694422A CN100362826C (zh) 2004-05-12 2005-05-10 网络共享内容的方法与接收装置及源装置
JP2005139161A JP5101801B2 (ja) 2004-05-12 2005-05-11 ネットワークを通じてa/vコンテンツを共有する方法、シンクデバイス、ソースデバイス及び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382A KR100619018B1 (ko) 2004-05-12 2004-05-12 네트워크를 통하여 a/v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싱크디바이스, 소오스 디바이스 및 메시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181A true KR20050108181A (ko) 2005-11-16
KR100619018B1 KR100619018B1 (ko) 2006-08-31

Family

ID=34941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382A KR100619018B1 (ko) 2004-05-12 2004-05-12 네트워크를 통하여 a/v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싱크디바이스, 소오스 디바이스 및 메시지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254524A1 (ko)
EP (1) EP1596559B1 (ko)
JP (1) JP5101801B2 (ko)
KR (1) KR100619018B1 (ko)
CN (1) CN100362826C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368B1 (ko) * 2006-05-16 2007-10-10 전자부품연구원 컨텐츠 연속 서비스를 위한 스트리밍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매체
KR100765791B1 (ko) * 2006-07-13 200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782858B1 (ko) * 2006-04-11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컨텐츠를 동기화하는 방법 및장치
KR100846792B1 (ko) * 2005-12-08 200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KR20100062881A (ko) * 2008-12-02 2010-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소스 기기들과 싱크 기기들간에 통신 링크를 변경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8607287B2 (en) 2005-12-29 2013-12-1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media guidance system having multiple devices
KR101387687B1 (ko) * 2005-12-23 2014-04-22 유나이티드 비디오 프로퍼티즈, 인크. 다수의 디바이스를 갖는 대화형 매체 안내 시스템
US9021538B2 (en) 1998-07-14 2015-04-28 Rovi Guides, Inc. Client-server based interactive guide with server recording
US9071872B2 (en) 2003-01-30 2015-06-30 Rovi Guid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with digital video recording and adjustable reminders
US9125169B2 (en) 2011-12-23 2015-09-01 Rovi Guid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actions based on location-based rules
CN105323616A (zh) * 2014-08-01 2016-02-10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一种跨屏控制方法、装置及系统
US9294799B2 (en) 2000-10-11 2016-03-22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torage of data on servers in an on-demand media delivery system
US9326016B2 (en) 2007-07-11 2016-04-26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irroring and transcoding media content
US9497508B2 (en) 2000-09-29 2016-11-15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User controlled multi-device media-on-demand system
US9681105B2 (en) 2005-12-29 2017-06-13 Rovi Guides, Inc. Interactive media guidance system having multiple devices
WO2017111183A1 (ko) * 2015-12-21 2017-06-29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미러링 제공 방법
US10063934B2 (en) 2008-11-25 2018-08-28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Reducing unicast session duration with restart TV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3801A1 (en) * 2003-11-26 2005-09-15 Jared Morgenster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sharing and tracking user or group associates content via a communications network
US8306874B2 (en) * 2003-11-26 2012-11-06 Buy.Co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ord of mouth selling via a communications network
US20050138137A1 (en) * 2003-12-19 2005-06-23 Microsoft Corporation Using parameterized URLs for retrieving resource content items
US7647385B2 (en) * 2003-12-19 2010-01-12 Microsoft Corporation Techniques for limiting network access
US20060095628A1 (en) * 2003-12-19 2006-05-04 Microsoft Corporation External-Network Data Content Exposure to Network-Connected Devices
US7555543B2 (en) * 2003-12-19 2009-06-30 Microsoft Corporation Server architecture for network resource information routing
US7668939B2 (en) * 2003-12-19 2010-02-23 Microsoft Corporation Routing of resource information in a network
US20070157266A1 (en) * 2005-12-23 2007-07-0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media guidance system having multiple devices
US20070157281A1 (en) * 2005-12-23 2007-07-0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media guidance system having multiple devices
US20070157285A1 (en) * 2006-01-03 2007-07-05 The Navvo Group Llc Distribution of multimedia content
WO2007081682A2 (en) * 2006-01-03 2007-07-19 The Navvo Group Llc Distribution of multimedia content
US8260933B2 (en) 2006-02-15 2012-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media content redirection method
US8117246B2 (en) 2006-04-17 2012-02-14 Microsoft Corporation Registering, transfering, and acting on event metadata
US20070294737A1 (en) * 2006-06-16 2007-12-20 Sbc Knowledge Ventures, L.P.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stream management within a home viewing network
JP2008005236A (ja) * 2006-06-22 2008-01-10 Toshiba Corp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CN101132518B (zh) * 2006-08-26 2010-07-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点播的方法和系统及局域网网关
CN100561963C (zh) * 2006-09-19 2009-11-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多媒体内容共享的系统
KR101138395B1 (ko) * 2006-09-22 2012-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의 액세스 권리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4184973A (zh) * 2007-02-02 2014-12-03 索尼株式会社 信息处理设备和方法
DE07738088T1 (de) 2007-03-02 2010-08-26 Kabushiki Kaisha Kenwood, Hachiouji Servereinrichtung für medien,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servers für medien und programm
US8762465B2 (en) * 2008-01-29 2014-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a content-sharing service, and device therefor
US8340035B2 (en) * 2008-12-02 2012-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communication link between source devices and sink devices
WO2010095990A1 (en) * 2009-02-20 2010-08-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lna data distribution from a remote source
WO2010147264A1 (en) * 2009-06-16 2010-12-2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exchanging messages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s
WO2010147263A1 (en) * 2009-06-16 2010-12-2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exchanging messages, sink device and source device
WO2010147276A1 (en) * 2009-06-16 2010-12-2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trolling devices and tuner device
US10063812B2 (en) * 2009-10-07 2018-08-28 DISH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edia format transcoding
CN102045885B (zh) * 2009-10-22 2015-07-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内容分享传播方法、设备及系统
FR2964523A1 (fr) * 2010-07-22 2012-03-09 France Telecom Mise a disposition d'informations par un terminal mobile dans un reseau.
US10162316B2 (en) 2010-09-08 2018-12-25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daptive user interface on an electronic appliance
CN103200444A (zh) * 2012-01-04 2013-07-10 蓝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影音信息交换系统与其操作方法
US9525998B2 (en) * 2012-01-06 2016-12-20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display with multiscreen service
CN103365856B (zh) * 2012-03-28 2016-08-1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数据共享方法和装置
CN102685579B (zh) * 2012-05-02 2015-03-25 合一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实现本地网络中多装置间媒体分享及控制的方法
US20140122567A1 (en) * 2012-10-30 2014-05-01 Qualcomm Incorporated Preemptive framework for accessing short urls
CN103391451A (zh) * 2013-07-09 2013-11-13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在观看视频时进行交流的方法、系统和装置
US10206233B2 (en) 2014-03-04 2019-0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switching between devices
US10425801B2 (en) * 2014-03-04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ntents in communication system
JP6566616B2 (ja) 2014-08-19 2019-08-2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158810B2 (en) 2016-10-07 2018-12-18 Caavo Inc Remote control activity detection
CN107277132B (zh) * 2017-06-15 2021-07-06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Dlna推送处理方法、多媒体接收端及存储介质
US11330029B2 (en) * 2018-03-27 2022-05-10 Lenovo (Singapore) Pte. Ltd. Sharing content with a detected device
CN113573148A (zh) * 2021-07-06 2021-10-29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共享显示装置的源设备的方法及装置
US11895171B2 (en) 2021-10-01 2024-02-0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device as temporary content origin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3208A (en) * 1990-05-14 1993-03-09 Sony Corporation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5453779A (en) * 1994-03-15 1995-09-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cheduling policies with grouping for providing VCR control functions in a video server
CN1121104C (zh) * 1999-02-15 2003-09-10 夏旻 自动影音点播方法及其系统
US6363434B1 (en) * 1999-03-30 2002-03-26 Sony Corporation Of Japan Method of managing resources within a network of consumer electronic devices
JP4660877B2 (ja) * 2000-01-11 2011-03-30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システム
AU4869801A (en) * 2000-03-24 2001-10-03 Reality Commerc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ubject video streaming
US7401351B2 (en) * 2000-12-14 2008-07-15 Fuji Xerox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video navigation and client side indexing
US20020112244A1 (en) * 2000-12-19 2002-08-15 Shih-Ping Liou Collaborative video delivery over heterogeneous networks
JP4765182B2 (ja) * 2001-01-19 2011-09-07 ソニー株式会社 双方向テレビ通信方法および、双方向テレビ通信用クライアント装置
JP4701523B2 (ja) * 2001-03-21 2011-06-15 ソニー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2002304333A (ja) * 2001-04-03 2002-10-18 Sony Corp 伝送方法及び伝送装置
US6930730B2 (en) * 2001-05-03 2005-08-16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Control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network of input devices
JP4640900B2 (ja) * 2001-07-04 2011-03-02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中継装置、情報提示装置、情報提示装置の連携システム、情報中継装置の制御方法、情報提示装置の制御方法、情報提示プログラムならびに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WO2003025726A1 (en) * 2001-09-20 2003-03-27 Ucentric Holdings, Inc. Centralized resource manager with passive sensing system
KR20030058395A (ko) * 2001-12-31 2003-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 홈 네트워크 콘트롤 디바이스, 홈네트워크의 미디어 데이터 다운로드 방법
US6792323B2 (en) 2002-06-27 2004-09-14 Openpeak Inc.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ing controlled residential or non-residential environments
JP2004056394A (ja) * 2002-07-18 2004-02-19 Fujitsu Ltd Lanを介して取込装置および蓄積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制御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取込装置、蓄積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CN1160910C (zh) * 2002-09-12 2004-08-04 联想(北京)有限公司 家庭网络中实现动态组网、资源共享时的服务查找方法
US20040068756A1 (en) * 2002-10-02 2004-04-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irtual link between CE devices
EP1427140A1 (en) * 2002-12-04 2004-06-09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nodes in peer-to-peer networks using common group label
US20040230655A1 (en) * 2003-05-16 2004-11-18 Chia-Hsin Li Method and system for media playback architecture
US7603022B2 (en) * 2003-07-02 2009-10-13 Macrovision Corporation Networked personal video recording system
US20050183120A1 (en) * 2004-01-13 2005-08-18 Saurabh Jain Multi-user personalized digital multimedia distribution methods and systems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5319B2 (en) 1998-07-14 2015-06-09 Rovi Guides, Inc. Interactive guide with recording
US10075746B2 (en) 1998-07-14 2018-09-11 Rovi Guides, Inc. Client-server based interactive television guide with server recording
US9232254B2 (en) 1998-07-14 2016-01-05 Rovi Guides, Inc. Client-server based interactive television guide with server recording
US9226006B2 (en) 1998-07-14 2015-12-29 Rovi Guides, Inc. Client-server based interactive guide with server recording
US9154843B2 (en) 1998-07-14 2015-10-06 Rovi Guides, Inc. Client-server based interactive guide with server recording
US9118948B2 (en) 1998-07-14 2015-08-25 Rovi Guides, Inc. Client-server based interactive guide with server recording
US9055318B2 (en) 1998-07-14 2015-06-09 Rovi Guides, Inc. Client-server based interactive guide with server storage
US9021538B2 (en) 1998-07-14 2015-04-28 Rovi Guides, Inc. Client-server based interactive guide with server recording
US9497508B2 (en) 2000-09-29 2016-11-15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User controlled multi-device media-on-demand system
US9294799B2 (en) 2000-10-11 2016-03-22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torage of data on servers in an on-demand media delivery system
US9071872B2 (en) 2003-01-30 2015-06-30 Rovi Guid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with digital video recording and adjustable reminders
US9369741B2 (en) 2003-01-30 2016-06-14 Rovi Guid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with digital video recording and adjustable reminders
KR100846792B1 (ko) * 2005-12-08 200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1387687B1 (ko) * 2005-12-23 2014-04-22 유나이티드 비디오 프로퍼티즈, 인크. 다수의 디바이스를 갖는 대화형 매체 안내 시스템
US8607287B2 (en) 2005-12-29 2013-12-1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media guidance system having multiple devices
US9681105B2 (en) 2005-12-29 2017-06-13 Rovi Guides, Inc. Interactive media guidance system having multiple devices
US8271625B2 (en) 2006-04-11 2012-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contents of home network devices
KR100782858B1 (ko) * 2006-04-11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컨텐츠를 동기화하는 방법 및장치
KR100765368B1 (ko) * 2006-05-16 2007-10-10 전자부품연구원 컨텐츠 연속 서비스를 위한 스트리밍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매체
KR100765791B1 (ko) * 2006-07-13 200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 관리 방법 및 장치
US9326016B2 (en) 2007-07-11 2016-04-26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irroring and transcoding media content
US10063934B2 (en) 2008-11-25 2018-08-28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Reducing unicast session duration with restart TV
KR20100062881A (ko) * 2008-12-02 2010-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소스 기기들과 싱크 기기들간에 통신 링크를 변경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9125169B2 (en) 2011-12-23 2015-09-01 Rovi Guid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actions based on location-based rules
CN105323616A (zh) * 2014-08-01 2016-02-10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一种跨屏控制方法、装置及系统
WO2017111183A1 (ko) * 2015-12-21 2017-06-29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미러링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54524A1 (en) 2005-11-17
JP5101801B2 (ja) 2012-12-19
JP2005327290A (ja) 2005-11-24
EP1596559B1 (en) 2013-07-10
CN100362826C (zh) 2008-01-16
CN1697412A (zh) 2005-11-16
KR100619018B1 (ko) 2006-08-31
EP1596559A3 (en) 2009-08-19
EP1596559A2 (en) 200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9018B1 (ko) 네트워크를 통하여 a/v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싱크디바이스, 소오스 디바이스 및 메시지 구조
KR100611985B1 (ko) 실시간 컨텐츠 관리 방법, 소오스 장치 및 싱크 장치
US20050267946A1 (en) Method, media renderer and media source for controlling content over network
US20050286417A1 (e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nd providing content over a network
KR100782854B1 (ko)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콘텐트 관리 방법 및장치
KR101249232B1 (ko) UPnP AV 네트워크에서 “유니버셜 팔로우-미”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77884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hieving interoperability in home network with IEEE 1394 and UPnP devices
US92299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igital contents distributed over network
US200702943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presenting an infrared pass-through protocol in a home network
KR101123155B1 (ko) URI에 UPnP AV 미디어서버 객체ID 삽입
US75745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original streams of media content
US200901934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Viewing Sessions Among Different Devices in a Home Network
MXPA05009099A (es) Redireccion de transmision de contenido.
KR100678954B1 (ko) UPnP 환경하에서 미디어 컨텐츠의 중지된 시점에 대한정보를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JPWO2006077935A1 (ja) Avサーバ機器
US7643490B2 (en) Live content switching method, source device, and sink device
JP2006318469A (ja) ウェブサービス技術を支援するa/v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コンテンツサービスの提供方法および装置
EP26618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distribution over internet protocol networks
JP2006148806A (ja) ゲートウェイ装置、コンテンツ提供サーバ、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方法
Heredia An introduction to the DLNA architecture: network technologies for media devices
CN102143225A (zh) 媒体播放的控制方法和装置
US20140040940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07208971A (ja) Avセッション復元方法およびこのためのコントロールポイント
KR100768514B1 (ko) Dlna네트워크의 pts에서 컨텐츠 재 전송방법 및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