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5382A - 맨홀 속 뚜껑 - Google Patents

맨홀 속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5382A
KR20050105382A KR1020040030501A KR20040030501A KR20050105382A KR 20050105382 A KR20050105382 A KR 20050105382A KR 1020040030501 A KR1020040030501 A KR 1020040030501A KR 20040030501 A KR20040030501 A KR 20040030501A KR 20050105382 A KR20050105382 A KR 20050105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coupled
manhole
lid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9430B1 (ko
Inventor
김명제
Original Assignee
한보니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보니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보니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0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430B1/ko
Publication of KR20050105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4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27Loc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covers or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선 및 전력선이 매설된 지하로 출입하는 맨홀의 내측에 설치되는 속 뚜껑으로서, 상기 맨홀 내측에 설치되고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테두리가 상방 및 하방으로 2단 절곡된 원판, 상기 원판의 테두리에 결합되고 표면에 울퉁불퉁한 돌기가 형성된 패킹, 상기 통공에 결합되고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볼트가 구비된 고정뭉치, 상기 원판의 밑면에 장착되고 상기 볼트와 결합되는 회전부재, 일단이 상기 회전부재에 축 결합되는 걸쇠, 및 상기 원판의 밑면에 동일간격으로 설치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걸쇠가 상기 원판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걸쇠의 이동경로를 잡아주는 복수개의 브라켓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맨홀 속 뚜껑은 빗물의 유입을 확실히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맨홀 속 뚜껑{MANHOLE INSIDE LID}
본 발명은 맨홀 내측에 설치되어 빗물 또는 오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맨홀 속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의 유입을 확실하게 차단함과 동시에 일반인이 함부로 개폐하지 못하도록 잠금장치가 구비된 맨홀 속 뚜껑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지상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상에 설치되던 전력선 및 통신망을 지하에 매설하고 있다. 그리고, 지상에는 지하로 통하는 맨홀을 설치하여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전력선과 통신망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맨홀에는 출입을 차단하는 뚜껑이 설치된다. 맨홀 뚜껑은 일반인들이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없도록 무거운 강철재질로 만들어진다. 맨홀 뚜껑에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다. 이 구멍은 본래 맨홀 뚜껑을 운반할 때 사용되는 공구가 끼워지기 위해 형성된 것이나 빗물 또는 오물이 유입하는 통로역할을 하기도 한다. 때문에 지하갱도는 빗물이나 오물들로 차여있는 경우가 많아 매우 습한 환경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상태는 전력선 및 통신망의 내구성에 매우 유해하므로 적절한 방수 뚜껑이 필요하게 되었다. 아울러, 종래의 맨홀에는 일반인들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별도의 잠금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았다. 때문에, 범죄자나 부랑자들이 몰래 지하갱도로 잠입하여 자신의 은폐장소로 사용하거나 통신망을 훼손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이 대두되자 최근에는 방수기능과 잠금기능이 구비된 맨홀 속 뚜껑이 제안되었다. 도 1은 맨홀 속 뚜껑의 한 예가 개시된 등록실용신안 제192088호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맨홀 속 뚜껑(100)은 중앙에 키 삽입공(101)과 밑면에 키(102)에 의해 동작하는 걸쇠(103)를 구비하여, 키(102)를 가지고 있는 관리자만이 맨홀 속 뚜껑(100)을 열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맨홀 속 뚜껑(100)을 맨홀(300)에 일치되게 만들어 어느 정도 방수기능을 가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위 등록고안은 맨홀 속 뚜껑(100)이 맨홀(300)에 얹어진 후 걸쇠(103)에 의해 잠기면서 밀착되는 구조로서, 별도의 밀폐부재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 잦은 여닫힘에 의해 맨홀 속 뚜껑(100)과 맨홀(300)의 틈새를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 없다. 또한, 등록고안은 맨홀 속 뚜껑(100)이 단순히 원판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열이나 응력에 의해 쉽게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맨홀 내부로 빗물 또는 오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맨홀에 단단히 밀착 결합되고 관리자를 제외한 일반인들이 함부로 개방하지 못하도록 잠금기능을 갖는 맨홀 속 뚜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선 및 전력선이 매설된 지하로 출입하는 맨홀의 내측에 설치되는 속 뚜껑으로서, 상기 맨홀 내측에 설치되고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테두리가 상방 및 하방으로 2단 절곡된 원판, 상기 원판의 테두리에 결합되고 표면에 울퉁불퉁한 돌기가 형성된 패킹, 상기 통공에 결합되고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볼트가 구비된 고정뭉치, 상기 원판의 밑면에 장착되고 상기 볼트와 결합되는 회전부재, 일단이 상기 회전부재에 축 결합되는 걸쇠, 및 상기 원판의 밑면에 동일간격으로 설치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걸쇠가 상기 원판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걸쇠의 이동경로를 잡아주는 복수개의 브라켓을 포함하는 맨홀 속 뚜껑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속 뚜껑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맨홀 속 뚜껑의 결합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맨홀 속 뚜껑의 배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맨홀 속 뚜껑(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210)에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원판(210)은 맨홀(300)을 실질적으로 차단하는 부재이다. 원판(210)의 중앙에는 통공(2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윗면에는 운반용 손잡이(213)가 결합되어 있다. 원판(210)의 테두리(211)는 상방으로 절곡된 후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와 같이 원판(210)의 테두리(211)를 2단으로 절곡시킨 이유는 판재로 된 원판(21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절곡된 테두리(211)에는 기밀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고무 또는 수지재질의 패킹(220)이 결합된다. 패킹(220)의 내측과 외측에는 돌기(221)가 형성되어 있다. 테두리(211)에 결합된 패킹(220)은 맨홀(300)과 원판(210)의 밀착성을 향상시킨다.
원판(210)의 통공(212)에는 고정뭉치가 결합된다. 고정뭉치는 상부몸체(231)와 하부몸체(235)로 나누어져 있다. 상부몸체(231)는 윗부분의 지름이 나머지 몸체보다 크고 내부가 개방된 형태이다. 하부몸체(235)는 전체적으로 원통형태로서 밑면에 체결공(236)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몸체(231)의 외주면과 하부몸체(235)의 내주면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몸체(231)와 하부몸체(235)는 원판(210)을 사이에 두고 결합된다. 상부몸체(231)와 원판(210) 사이에는 통공(212)의 기밀성을 높이기 위한 밀폐부재(240)가 결합된다. 밀폐부재(240)에는 상부몸체(231)의 개방된 윗면을 밀폐시킬 수 있는 마개(241)가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밀폐부재(240)와 마개(24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밀폐부재(240)와 마개(241)를 독립적으로 제작하여 끈과 같은 부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부몸체(235)의 체결공(236)에는 볼트(250)가 결합된다. 볼트(250)의 상부몸통은 원통형이며 하부몸통은 각형이다. 체결공(236)에 결합되는 부분은 볼트(250)의 상부몸통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공(236)과 볼트(250) 몸체와의 기밀성 유지를 위해 볼트(250)의 상부몸통에 복수개의 실링을 결합시켰다. 따라서, 체결공(236)에 결합된 볼트(250)가 회전되어도 체결공(236)과 볼트(250)의 틈새로 물이 새어나가지 않는다. 한편, 볼트(250)의 끝에는 고정핀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핀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250)의 하부몸통에는 회전부재(260)가 결합된다. 회전부재(260)의 중앙에는 볼트(250)의 하부몸통과 일치되는 끼움 홈(26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볼트(250)가 회전하면 회전부재(260)도 동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볼트(250) 끝에는 회전부재(26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핀이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회전부재(260)는 Y자 형태로 되어 있다. 회전부재(260)의 각 꼭지점 부분에는 걸쇠(270)가 접선방향으로 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걸쇠(270)는 막대와 같이 긴 부재로서 회전부재(2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끝부분이 하방으로 조금 구부러져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부재(260)에 걸쇠(270)를 120도 간격으로 설치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그 숫자를 증감시킬 수 있다.
원판(210)의 밑면에는 브라켓(280)이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브라켓(280)은 판재가 90도로 절곡된 형태로 일 면에 걸쇠(270)가 소통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280)은 회전부재(2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걸쇠(270)가 원판(210)의 원주방향을 향하도록 걸쇠(270)의 위치를 잡아준다. 이때, 걸쇠(270)가 브라켓(280)에 인입되는 길이는 회전부재(260)의 회전방향에 따라 달라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260)가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면 짧아지고 반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면 길어진다. 따라서, 회전부재(260)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걸쇠(270)가 브라켓(280)을 통해 원판(210) 외측으로 돌출된다. 한편, 회전부재(260)가 지나치게 회전되면 걸쇠(270)가 브라켓(280)에서 이탈될 수 있으므로 걸쇠(270)에 이탈방지용 키를 결합시키는 것이 좋다.
위와 같이 각각의 부재가 원판(210)에 결합되면 도 3에 도시된 형태의 맨홀 속 뚜껑(200)이 완성되어 맨홀에 설치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맨홀 속 뚜껑의 사용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도 5의 맨홀 속 뚜껑과 맨홀이 접촉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맨홀 속 뚜껑(200)은 맨홀(300) 내측에 형성된 걸림 턱(310)에 안착된다. 맨홀 속 뚜껑(200)이 안착되면 외부인이 쉽게 열수 없도록 볼트(25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걸쇠(270)가 걸림 턱(310)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쇠(270)가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상승하면서 걸림 턱(310)에 걸리게 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걸쇠(270)가 걸림 턱(310)에 걸리도록 하면 원판(210)이 걸림 턱(310)에 보다 확실하게 밀착된다. 한편, 단순히 일자로 형성된 걸쇠(270)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걸쇠(270)의 끝만이 걸림 턱(310)에 접촉하여 지지력이 약해지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걸쇠(270)의 끝부분을 전술한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조금 구부려 걸림 턱(310)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였다. 또한, 걸쇠(270) 끝 부분과 걸림 턱(310)간의 접촉마찰력이 덜 발생하도록 걸쇠(270)의 끝을 모따기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걸쇠(270)가 걸림 턱(310)에 걸리면 맨홀 속 뚜껑(200)이 걸림 턱(310)에 압착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맨홀(300)이 콘크리트 또는 강철재질로 만들어지므로 맨홀 속 뚜껑(200)의 테두리에 별도의 부재를 결합시키지 않으면 충분한 기밀효과를 얻기 힘들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판(210) 테두리에 고무재질의 패킹(220)을 결합시켰다.
패킹(220)의 표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돌기(2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221)는 패킹(220)으로는 막을 수 없는 좁은 틈새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돌기(221)는 실질적으로 맨홀(300)과 접촉하는 패킹(220)의 옆면과 밑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250)의 머리를 5각형으로 형성시켰다. 일반적으로 5각 볼트는 한국전력 또는 한국통신에서만 사용하는 규격품으로써 일반인들은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5각 볼트용 렌치를 가진 해당 작업자만이 체결공(236)에 결합된 볼트(250)를 매개로 걸쇠(27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력선 및 통신망이 설치된 맨홀내부로 빗물 및 오수가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으며, 외부인 함부로 맨홀내부로 출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상에서 맨홀 속 뚜껑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종래의 맨홀 속 뚜껑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속 뚜껑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맨홀 속 뚜껑의 결합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맨홀 속 뚜껑의 배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맨홀 속 뚜껑의 사용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도 5의 맨홀 속 뚜껑과 맨홀이 접촉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원판 211 : 테두리
212 : 통공 213 : 운반용 손잡이
220 : 패킹 221 : 돌기
231 : 상부몸체 235 : 하부몸체
240 : 밀폐부재 250 : 볼트
260 : 회전부재 270 : 걸쇠
280 : 브라켓 300 : 맨홀

Claims (8)

  1. 통신선 및 전력선이 매설된 지하로 출입하는 맨홀의 내측에 설치되는 속 뚜껑으로서,
    상기 맨홀 내측에 설치되고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테두리가 상방 및 하방으로 2단 절곡된 원판,
    상기 원판의 테두리에 결합되고 표면에 울퉁불퉁한 돌기가 형성된 패킹,
    상기 통공에 결합되고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볼트가 구비된 고정뭉치,
    상기 원판의 밑면에 장착되고 상기 볼트와 결합되는 회전부재,
    일단이 상기 회전부재에 축 결합되는 걸쇠, 및
    상기 원판의 밑면에 동일간격으로 설치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걸쇠가 상기 원판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걸쇠의 이동경로를 잡아주는 복수개의 브라켓을 포함하는 맨홀 속 뚜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머리는 5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속 뚜껑.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쇠는 상기 회전부재에 120도 간격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속 뚜껑.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뭉치는
    상기 원판의 위쪽에서 결합되고 내부가 관통된 상부몸체와,
    상기 원판의 아래쪽에서 결합되어 상기 상부몸체와 체결되고 밑면에 상기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하부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속 뚜껑.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뭉치에는 상기 상부몸체의 관통된 구멍을 밀폐시킬 수 있는 마개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속 뚜껑.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는 상기 원판의 중심에서 테두리로 상향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속 뚜껑.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걸쇠의 끝부분은 상기 원판과 평행하도록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속 뚜껑.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걸쇠의 끝은 경사지게 모따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속 뚜껑.
KR1020040030501A 2004-04-30 2004-04-30 맨홀 속 뚜껑 KR100639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501A KR100639430B1 (ko) 2004-04-30 2004-04-30 맨홀 속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501A KR100639430B1 (ko) 2004-04-30 2004-04-30 맨홀 속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382A true KR20050105382A (ko) 2005-11-04
KR100639430B1 KR100639430B1 (ko) 2006-10-30

Family

ID=37282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501A KR100639430B1 (ko) 2004-04-30 2004-04-30 맨홀 속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94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071B1 (ko) * 2007-10-16 2010-02-09 일진이피앤씨(주) 맨홀 뚜껑의 고정 및 자동 잠금 장치
KR102365365B1 (ko) * 2020-12-31 2022-02-23 한국수자원공사 경계제수밸브 시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387Y1 (ko) 2016-01-05 2017-05-08 정문식 맨홀 속 뚜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071B1 (ko) * 2007-10-16 2010-02-09 일진이피앤씨(주) 맨홀 뚜껑의 고정 및 자동 잠금 장치
KR102365365B1 (ko) * 2020-12-31 2022-02-23 한국수자원공사 경계제수밸브 시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9430B1 (ko) 2006-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4305B2 (en) Manhole with locking device
MX2007013652A (es) Cubierta protectora para una cerradura.
KR101004129B1 (ko)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의 시건 장치
KR100639430B1 (ko) 맨홀 속 뚜껑
CA2344527A1 (en) Assembly security lock for shut-off valve
KR100505738B1 (ko) 체인 고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단지 내 맨홀 뚜껑 잠금구조
KR20110085408A (ko) 맨홀
JP4126264B2 (ja) マンホール錠
KR100577981B1 (ko) 맨홀 잠금장치
CN101223327B (zh) 窗户紧固装置和方法
KR200407998Y1 (ko) 맨홀덮개 잠금장치
KR20130041538A (ko) 회전 잠금식 맨홀 뚜껑 조립체
KR101040364B1 (ko)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
KR19980036879A (ko) 통신용 맨홀의 뚜껑 잠금장치
JP3065220B2 (ja) ごみ容器
KR200485170Y1 (ko) 수도계량기 보호통 커버
KR100637312B1 (ko) 밀폐형 맨홀
KR100758730B1 (ko) 방수용 회전 잠금식 상수도·하수도·전기·통신용 안전 맨홀뚜껑
KR200253292Y1 (ko) 맨홀
KR0132116Y1 (ko) 맨홀
JPS6020672Y2 (ja) 人孔鉄蓋
KR100557279B1 (ko) 맨홀뚜껑
JPH0756357Y2 (ja) 地下構造物用蓋の施錠構造
KR200186121Y1 (ko) 맨홀뚜껑의 록킹장치
JP4191530B2 (ja) 鉄蓋開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