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364B1 -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 - Google Patents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364B1
KR101040364B1 KR1020080075323A KR20080075323A KR101040364B1 KR 101040364 B1 KR101040364 B1 KR 101040364B1 KR 1020080075323 A KR1020080075323 A KR 1020080075323A KR 20080075323 A KR20080075323 A KR 20080075323A KR 101040364 B1 KR101040364 B1 KR 101040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groundwater
well
pin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3693A (ko
Inventor
변권식
김대성
오기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도
Priority to KR1020080075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364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5Keeping wells in good condition, e.g. by cleaning, repairing, regenerating; Maintaining or enlarging the capacity of wells or water-bearing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27Loc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covers or panels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정 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된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의 상부 입구를 견고하게 밀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는, 지하수 관정의 관정 케이싱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연결되는 연장 케이싱과, 상기 관정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양수관과 상기 연장 케이싱의 측벽을 통해 연결된 배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관연결수단이 구비된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의 연장 케이싱의 상부 입구를 밀폐하기 위한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에 있어서, 중앙에 볼트공이 상하로 관통형성되어 가장자리가 상기 연장 케이싱의 상단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원반 형상의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의 하부에서 서로 대향되게 지지홀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브라켓과, 상기 볼트공에 삽입되어 상단부가 상기 커버판의 상부로 노출되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의 상단에 체결되는 너트와, 상기 볼트부의 하단에 볼트부와 일체로 구비된 힌지구와, 상기 힌지구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 각각에 각각의 일단이 힌지연결되어 각각 상기 지지브라켓의 지지홀에 삽입되어 각각의 타단이 상기 연장 케이싱의 내측면을 향하는 락킹레버로 구성된 락커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하수, 오염방지, 커버

Description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COVER FOR POLLUTION PREVENTING APPARATUS OF SUBTERRNAEANWATER TUBE WELL}
본 발명은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정 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된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의 상부 입구를 견고하게 밀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지하수는 지표수에 비해 수질이 양호하며, 단기간의 시설공사로 안정된 수량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물부족 국가에 속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1960년대부터 정부 주도 하에 지하수 개발 5개년 계획이 수립되면서 조사기술이 체계화되고, 각종 조사장비와 개발장비의 도입이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최근에 들어 지하수 관정을 통한 오수의 유입으로 오염이 심각해지자 수질관리를 위한 다양한 시책들이 법으로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하수 관련법 중에는 오염방지시설에 대한 세부 설치기준 및 지하 하부의 보호벽(케이싱)이 상부로부터 오염물질이나 지표수 등이 유입될 수 없게 하는 밀폐 구조물을 설치하 도록 강화되어 있다.
종래에도 이와 같이 지하수 관정을 통한 수질을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고자 지하수 관정의 케이싱의 상단부를 밀폐하는 여러 가지 밀폐장치 들이 제안되었으나, 대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작업이 어려우며, 지하수 관정의 청소 및 이상 발생시 분해 및 조립이 어려워 실용적이지 못한 것이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75949호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여 지하수 관정이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상태로 장기간 이용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분해 조립이 간단한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6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종래의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는 지하수 관정의 관정 케이싱(1)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단부는 커버(2')로 밀폐되는 연장 케이싱(2)과, 상기 관정 케이싱(1)의 내부에 설치된 양수관(4)과 상기 연장 케이싱(2)의 측벽을 통해 연결된 배수관(5)을 연결하도록 상기 연장 케이싱(2)의 내면에 형성된 안착면(2")에 안착되어 상기 연장 케이싱(2)의 내부에 설치되는 관연결수단(3)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는 연장 케이싱(2)의 상단 입구를 막기 위한 커버(2')를 수개의 볼트를 체결하여 결합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커버(2')의 개폐가 매우 불편한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정 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된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의 상부 입구를 견고하게 밀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는, 지하수 관정의 관정 케이싱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연결되는 연장 케이싱과, 상기 관정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양수관과 상기 연장 케이싱의 측벽을 통해 연결된 배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관연결수단이 구비된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의 연장 케이싱의 상부 입구를 밀폐하기 위한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에 있어서, 중앙에 볼트공이 상하로 관통형성되어 가장자리가 상기 연장 케이싱의 상단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원반 형상의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의 하부에서 서로 대향되게 지지홀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브라켓과, 상기 볼트공에 삽입되어 상단부가 상기 커버판의 상부로 노출되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의 상단에 체결되는 너트와, 상기 볼트부의 하단에 볼트부와 일체로 구비된 힌지구와, 상기 힌지구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 각각에 각각의 일단이 힌지연결되어 각각 상기 지지브라켓의 지지홀에 삽입되어 각각의 타단이 상기 연장 케이싱의 내측면을 향하는 락킹레버로 구성된 락커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는, 지하수 관정의 관정 케이싱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연결되는 연장 케이싱과, 상기 관정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양수관과 상기 연장 케이싱의 측벽을 통해 연결된 배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관연결수단이 구비된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의 연장 케이싱의 상부 입구를 밀폐하기 위한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에 있어서, 중앙에 볼트공이 상하로 관통형성되어 가장자리가 상기 연장 케이싱의 상단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원반 형상의 커버판과, 상기 볼트공에 삽입되어 상단부가 상기 커버판의 상부로 노출되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의 상단에 체결되는 너트와, 상기 볼트부의 하단에 볼트부와 일체로 구비된 힌지구와, 상기 힌지구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 각각에 각각의 일단이 힌지연결되어 각각의 타단이 상기 연장 케이싱의 내측면을 향하는 하부 락킹레버와, 상기 커버판의 하부와 힌지구 사이에서 볼트부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게 상기 볼트부에 결합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 각각에 각각의 일단이 힌지연결되어 양단 사이의 위치가 상기 하부 락킹레버의 양단 사이의 위치와 힌지연결되어 타단이 상기 연장 케이싱의 내측면을 향하는 상부 락킹레버로 구성된 락커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는, 상기 커버판의 상부 중앙에는 오목하게 너트수용요부가 형성되어 상기 볼트공은 상기 너트수용요부에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에 체결되는 너트는 상기 너트수용요부에 수용되어 위치되며, 상기 너트수용요부를 커버하기 위한 캡이 더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는, 상기 너트수용요부의 일측에는 핀수용요부가 상기 너트수용요부와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핀수용요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캡에는 상기 핀수용요부와 상기 너트수용요부가 연결된 위치에서 오목하게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핀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게 상기 커버판의 하부로 노출된 부분이 상기 핀홀의 주위에 걸리는 핀부와, 상기 핀수용요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측 부분이 상기 핀수용요부와 상기 너트수용요부가 연결된 위치에서 상기 캡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상기 너트수용요부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핀부와 일체로 회전되게 상기 핀부의 상단부에 연결된 헤드부로 구성된 자물쇠 핀이 구비된 시건 수단이 더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는, 상기 자물쇠 핀의 헤드부에는 키홀이 형성되고, 상기 시건 수단에는 상단부에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노브가 구비되어 하단부가 상기 키홀에 삽입되어 회전방향으로 걸리는 키부가 구비된 열쇠 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는 관정 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된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의 상부 입구를 견고하게 밀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는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의 시건 수단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는 지하수 관정(도면에 미도시)의 관정 케이싱(도면에 미도시)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연결되는 연장 케이싱(10)과, 상기 관정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양수관(Pi)과 상기 연장 케이싱(10)의 측벽을 통해 연결된 배수관(Po)을 연결하기 위한 관연결수단(20)이 구비된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의 연장 케이싱(10)의 상부 입구를 밀폐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는 커버판(31), 지지브라켓(32), 락커(35), 캡(36) 및 시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버판(31)은 원반 형상의 부재로서 상부 중앙에 오목하게 너트수용요부(311)가 형성되고, 그 내부 중앙에 상기 락커(35)의 볼트부(352a)가 삽입되기 위한 볼트공(33)이 상하로 관통형성된다. 상기 너트수용요부(311)에는 상기 락커(35)의 볼트부(352a)에 체결되는 너트(352b)가 수용되어 위치된다. 한편, 상기 너트수용요부(311)의 일측에는 핀수용요부(312)가 상기 너트수용요부(311)와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핀수용요부(312) 내부에는 상기 시건 수단의 자물쇠 핀(37)의 핀부(371a)가 삽입되기 위한 핀홀(34)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판(31)은 그 가장자리가 상기 연장 케이싱(10)의 상단 가장자리에 지지되어 상기 락커(35)에 의해 상기 연장 케이싱(10)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연장 케이싱(10)의 상부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지지브라켓(32)은 상기 락커(35)의 락킹레버(353)의 양단 사이의 위치가 지지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브라켓(32)은 서로 대향되게 한 쌍이 구비되는데, 상기 커버판(31)의 하부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 각각에서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어 그 하단부에 서로 대향되게 지지홀(321)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홀(321)에는 상기 락커(35)의 락킹레버(353)이 삽입되어 락킹레버(353)의 회동시 양단 사이의 위치가 지지된다.
상기 락커(35)는 상기 커버판(31)을 상기 연장 케이싱(10)의 상단부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락커(35)는 볼트부(352a), 너트(352b), 힌지구(351) 및 락킹레버(353)으로 구성된다.
상기 볼트부(352a)는 상단부가 상기 커버판(31)의 볼트공(33)에 삽입되어 상단부가 상기 커버판(31)의 상부로 노출된다.
상기 너트(352b)는 상기 볼트부(352a)와 그와 일체로 구비된 힌지구(351)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볼트부(352b)의 상단에 체결된다.
상기 힌지구(351)는 상기 락킹레버(353)가 회동되게 힌지연결되기 위한 구성 으로 상기 볼트부(352a)의 하단에 구비되어 그 볼트부(352a)와 일체로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락킹레버(353)는 상기 너트(352b)의 조임과 풀림으로 상기 힌지구(351)의 상하이동으로 회동되면서 타측 말단이 상기 연장 케이싱(10)의 내벽에 맞물리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락킹레버(353)는 상기 힌지구(351)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 각각에 각각의 일단이 힌지연결되어 각각 상기 지지브라켓(32)의 지지홀(321)에 삽입되어 각각의 타단이 상기 연장 케이싱(10)의 내측면을 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너트(352b)를 조이면 볼트부(352a)와 그와 일체로 구비된 힌지구(351)이 상방으로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힌지구(351)에 일단이 힌지연결되고 양단 사이가 상기 지지브라켓(32)의 지지홀(321)에 지지되어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된 락킹레버(353)가 회동하면서 그 타측 말단이 상기 연장 케이싱(10)의 내벽에 맞물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락킹레버(353)의 말단이 상기 연장 케이싱(10)의 내벽에 맞물리면서 상기 커버판(31)은 그 가장자리가 상기 연장 케이싱(10)의 상단 가장자리에 밀착되면서 연장 케이싱(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캡(36)은 상기 너트수용요부(311)에 수용된 너트(352b)를 가리도록 상기 너트수용요부(311)에 결합된다. 상기 캡(36)에는 상기 핀수용요부(312)와 상기 너트수용요부(311)가 연결된 위치에서 오목하게 걸림홈(361)이 형성된다. 상기 캡(36)은 상기 시건 수단의 자물쇠 핀(37)의 헤드부(371b)가 삽입되어 상기 너트수용요부(31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잠기게 된다.
상기 시건 수단은 상기 너트수용요부(311)에 결합된 캡(36)을 잠그고 해제하 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시건 수단은 자물쇠 핀(37), 열쇠 키(38) 및 마개(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물쇠 핀(37)은 상기 캡(36)을 잠그고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자물쇠 핀(37)은 상기 핀홀(34)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게 상기 커버판(31)의 하부로 노출된 부분이 상기 핀홀(34)의 주위에 걸리는 핀부(371a)와, 상기 핀수용요부(312)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측 부분이 상기 핀수용요부(312)와 상기 너트수용요부(311)가 연결된 위치에서 상기 캡(36)의 걸림홈(361)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상기 너트수용요부(311)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핀부(371a)와 일체로 회전되게 상기 핀부(371a)의 상단부에 연결된 헤드부(371b)로 구성된 핀체(371) 및 상기 핀부(371a)가 상기 핀홀(34)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상기 핀홀(34)의 주위에 걸리기 위한 걸림핀(372)으로 구성된다. 상기 자물쇠 핀(37)은 상기 핀홀(34)에 삽입된 핀부(371a)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헤드부(371b)의 돌출된 일측 부분이 상기 핀수용요부(312)와 상기 너트수용요부(311)가 연결된 위치에서 상기 너트수용요부(311) 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헤드부(371b)의 돌출된 일측 부분이 상기 캡(36)의 걸림홈(361)으로 삽입되어 걸리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캡(36)은 상기 너트수용요부(311)로부터 빠지지 않고 잠기게 된다. 반대로 상기 자물쇠 핀(37)의 헤드부(371b)의 돌출된 일측 부분이 상기 핀수용요부(312)와 상기 너트수용요부(311)가 연결된 위치의 반대 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자물쇠 핀(37)을 회전시키면 상기 헤드부(371b)의 돌출된 일측 부분이 상기 캡(36)의 걸림홈(361)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캡(36)은 상기 헤드부(371b)의 돌출된 일측 부분에 걸리지 않고 상기 너트수용요부(311)로부터 빠지게 된다.
한편, 상기 자물쇠 핀(37)에 의해 상기 캡(36)이 풀리고 잠기도록 상기 핀부(371a)와 헤드부(371b)가 일체로 된 핀체(371)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열쇠 키(38)가 더 구비된다. 상기 열쇠 키(38)는 몸체(381)의 상단부에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노브(382)가 구비되어 하단부에 상기 자물쇠 핀(37)의 헤드부(371b)에 형성된 키홀(371c)에 삽입되기 위한 한 쌍의 키부(381a)가 형성되어 상기 키홀(371c) 회전방향으로 걸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열쇠 키(38)의 키부(381a)를 상기 키홀(371c)에 삽입시켜 상기 자물쇠 핀(37)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마개(39)는 상기 핀수용요부(312)에 수용된 자물쇠핀(37)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핀수용요부(312)를 막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2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30')의 특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30')는 커버판(31'), 락커(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버판(31')은 중앙에 볼트공(33')이 상하로 관통형성되어 가장자리가 연장 케이싱(10')의 상단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원반 형상의 판부재이다.
상기 락커(32')는 상기 볼트공(33')에 삽입되어 상단부가 상기 커버판(31')의 상부로 노출되는 볼트부(322a')와, 상기 볼트부(322a')의 상단에 체결되는 너트(322b')와, 상기 볼트부(322a')의 하단에 볼트부(322a')와 일체로 구비된 힌지구(321')와, 상기 힌지구(321')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 각각에 각각의 일단이 힌지연결되어 각각의 타단이 상기 연장 케이싱(10')의 내측면을 향하는 하부 락킹레버(324')와, 상기 커버판(31')의 하부와 힌지구(32') 사이에서 볼트부(322a')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게 상기 볼트부(322a')에 결합된 슬라이더(323')와, 상기 슬라이더(323')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 각각에 각각의 일단이 힌지연결되어 양단 사이의 위치가 상기 하부 락킹레버(324')의 양단 사이의 위치와 힌지연결되어 타단이 상기 연장 케이싱의 내측면을 향하는 상부 락킹레버(32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30')는 상기 너트(322b')를 조이면 볼트부(322a')와 그와 일체로 구비된 힌지구(321')이 상방으로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힌지구(321')에 일단이 힌지연결되고 양단 사이가 상기 상부 락킹레버(325')의 양단 사이에 연결된 하부 락킹레버(324')가 회동하면서 그 타측 말단이 상기 연장 케이싱(10')의 내벽에 맞물리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락킹레버(324')의 회동과 함께 상기 상부 락킹레버(325')도 회동되게 되고 그에 따라 그 타측 말단이 상기 연장 케이싱(10')의 내벽에 맞물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 락킹레버(324') 및 상부 락킹레버(325')의 말단이 상기 연장 케이싱(10')의 내벽에 맞물리면서 상기 커버판(31')은 그 가장자리가 상기 연장 케이싱(10')의 상단 가장자리에 밀착되면서 연장 케이싱(10)'에 견 고하게 고정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의 시건 수단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일반적인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연장 케이싱
20 관연결수단
30 커버
31 커버판
32 지지브라켓
35 락커
351 힌지구
352a 볼트부
352b 너트
353 락킹레버
36 캡
361 걸림홈
시건 수단
37 자물쇠 핀
371 핀체
371a 핀부
371b 헤드부
38 열쇠 키
39 마개

Claims (5)

  1. 지하수 관정의 관정 케이싱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연결되는 연장 케이싱과, 상기 관정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양수관과 상기 연장 케이싱의 측벽을 통해 연결된 배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관연결수단이 구비된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의 연장 케이싱의 상부 입구를 밀폐하기 위한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에 있어서,
    중앙에 볼트공이 상하로 관통형성되어 가장자리가 상기 연장 케이싱의 상단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원반 형상의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의 하부에서 서로 대향되게 지지홀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브라켓과,
    상기 볼트공에 삽입되어 상단부가 상기 커버판의 상부로 노출되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의 상단에 체결되는 너트와, 상기 볼트부의 하단에 볼트부와 일체로 구비된 힌지구와, 상기 힌지구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 각각에 각각의 일단이 힌지연결되어 각각 상기 지지브라켓의 지지홀에 삽입되어 각각의 타단이 상기 연장 케이싱의 내측면을 향하는 락킹레버로 구성된 락커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의 상부 중앙에는 오목하게 너트수용요부가 형성되어 상기 볼트공은 상기 너트수용요부에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에 체결되는 너트는 상기 너트수용요부에 수용되어 위치되며,
    상기 너트수용요부를 커버하기 위한 캡이 더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수용요부의 일측에는 핀수용요부가 상기 너트수용요부와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핀수용요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캡에는 상기 핀수용요부와 상기 너트수용요부가 연결된 위치에서 오목하게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핀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게 상기 커버판의 하부로 노출된 부분이 상기 핀홀의 주위에 걸리는 핀부와, 상기 핀수용요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측 부분이 상기 핀수용요부와 상기 너트수용요부가 연결된 위치에서 상기 캡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상기 너트수용요부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핀부와 일체로 회전되게 상기 핀부의 상단부에 연결된 헤드부로 구성된 자물쇠 핀이 구비된 시건 수단이 더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 핀의 헤드부에는 키홀이 형성되고,
    상기 시건 수단에는 상단부에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노브가 구비되어 하단부가 상기 키홀에 삽입되어 회전방향으로 걸리는 키부가 구비된 열쇠 키 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
KR1020080075323A 2008-07-31 2008-07-31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 KR101040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323A KR101040364B1 (ko) 2008-07-31 2008-07-31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323A KR101040364B1 (ko) 2008-07-31 2008-07-31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693A KR20100013693A (ko) 2010-02-10
KR101040364B1 true KR101040364B1 (ko) 2011-06-10

Family

ID=42087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323A KR101040364B1 (ko) 2008-07-31 2008-07-31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3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936A (ko) 2019-06-14 2020-12-23 주식회사 웅지산업개발 관정 밀폐 커버가 구비된 지하수 취수구조
KR20230055859A (ko)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웅지산업개발 농업용수 유량 계측 및 모니터링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756A (ko) * 1998-09-23 2000-04-15 김해준 맨홀 뚜껑의 열림방지 장치
JP2000178996A (ja) 1998-12-15 2000-06-27 Nakagawa Tekkosho:Kk マンホール用のふた
KR100675949B1 (ko) * 2006-08-08 2007-01-30 (주)두안 관정 보호 및 지하수 토출유도장치
JP2007169993A (ja) 2005-12-21 2007-07-05 Kaneso Co Ltd 溝蓋の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756A (ko) * 1998-09-23 2000-04-15 김해준 맨홀 뚜껑의 열림방지 장치
JP2000178996A (ja) 1998-12-15 2000-06-27 Nakagawa Tekkosho:Kk マンホール用のふた
JP2007169993A (ja) 2005-12-21 2007-07-05 Kaneso Co Ltd 溝蓋のロック装置
KR100675949B1 (ko) * 2006-08-08 2007-01-30 (주)두안 관정 보호 및 지하수 토출유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936A (ko) 2019-06-14 2020-12-23 주식회사 웅지산업개발 관정 밀폐 커버가 구비된 지하수 취수구조
KR20230055859A (ko)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웅지산업개발 농업용수 유량 계측 및 모니터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693A (ko)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4129B1 (ko)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의 시건 장치
US20080196316A1 (en) Manhole with Locking Device
US7922223B2 (en) Security lock for a sash type window
KR101040364B1 (ko)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
KR101436372B1 (ko) 도난 방지용 배수 집수구
KR101555866B1 (ko) 도난 방지용 배수집수구의 잠금장치
JPH0245309Y2 (ko)
KR100577981B1 (ko) 맨홀 잠금장치
FR2566824A1 (fr) Antivol pour planches a voile et leurs accessoires
KR100639430B1 (ko) 맨홀 속 뚜껑
JP6599476B2 (ja) 南京錠
JPH11229417A (ja) マンホール蓋の施錠装置
KR200315485Y1 (ko) 수도미터 보호통 뚜껑의 수밀구조
RU7112U1 (ru) Люк смотрового колодца
KR200398207Y1 (ko) 자물쇠 보호장치
KR200186121Y1 (ko) 맨홀뚜껑의 록킹장치
KR101288401B1 (ko) 맨홀 뚜껑 잠금장치
KR200212754Y1 (ko) 잠금수단을 구비한 맨홀의 속뚜껑장치
EP3523492B1 (en) Locking device
KR102407495B1 (ko) 방풍 및 방수가 가능한 기밀부재를 구비하는 여닫이식 창호
JP4666536B2 (ja) 地中埋設物の開蓋操作具差込み孔の閉塞用キャップ
KR101124894B1 (ko) 유류저장탱크맨홀의 잠금장치
AU723023B2 (en) Locking apparatus for pit covers
JPH0421967Y2 (ko)
KR20100009244A (ko) 맨홀용 받침틀과 덮개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