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5114A - 치아 인상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치아 인상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5114A
KR20050105114A KR1020050089872A KR20050089872A KR20050105114A KR 20050105114 A KR20050105114 A KR 20050105114A KR 1020050089872 A KR1020050089872 A KR 1020050089872A KR 20050089872 A KR20050089872 A KR 20050089872A KR 20050105114 A KR20050105114 A KR 20050105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ression
frame
impression material
tra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1015B1 (ko
Inventor
김영숙
조경록
Original Assignee
김영숙
조경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숙, 조경록 filed Critical 김영숙
Priority to KR1020050089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015B1/ko
Publication of KR20050105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0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Abstract

인상재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인상틀과; 상기 인상틀 내부에 연통형성되며, 구강외부측에 주입구가 형성된 인상재주입로와; 상기 인상틀 내측에 함몰되게 결합되어 인상재를 상악과 하악 양면으로 나누어 지지하는 받침면을 형성하는 인상막과; 상기 인상틀에 구강외부로 돌출되게 결합된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환자가 가진 고유의 교합압으로 변형, 고형시킨 일차 인상재와 처치부위에 추가로 강제주입된 이차 인상재에 의해 보다 정밀하게 치아를 인기할 수 있고, 이후에 진행되는 작업모델 제작과 최종 보철물에 데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치아 인상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아 인상용 트레이{teeth Impression Tray}
본 발명은 치아 인상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상재를 외부에서 강제주입하여 보다 정밀하게 치아의 인상을 채득할 수 있도록 하는 치아 인상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치아 인상용 트레이는 치아의 결손이나 손상이 있는 경우, 진단과 치료에 필요한 구강조직의 복제물을 위한 음형을 인기할 때 이상재와 함께 사용되는 기구로, 일반적으로 치과환자의 구강의 내부 인상구조를 인기하기 위한 인상재를 담을 수 있는 오목한 구조물과, 처치에 용이하도록 구강외부측에 형성된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인상용 트레이는 기존에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처치부의 위치나 상태, 인상재의 종류 등에 따라 선별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대부분 고형화되지 않은 상태의 인상재를 구강에 넣어 환자가 인상재를 깨물어 압박시킨 상태를 유지하여 인상재가 굳으면 트레이를 빼어냄으로써 치아의 인상을 완료한다.
그러나, 이러한 인상채득 방법은 환자의 구강조직이 인상재를 압박시키는 교합력에 의해서만 인상재의 변형이 이루어짐에 따라, 치아와 잇몸의 경계부위와 같이 견고하지 않은 조직부는 인상재를 충분히 압박, 변형시키지 못하며, 볼철물이 위치하는 경계부에 기포가 형성됨에 따라 인상재에 구강조직의 정확한 형상이 기록되지 않아, 시술자가 환자의 구강을 다시금 비교 확인하며 작업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그로인한 부정확함으로 인상작업을 다시 하는 경우도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환자가 가진 고유의 교합압으로 압박하여 변형, 고형시킨 일차 인상재와, 처치부위로 추가로 강제주입된 이차 인상재에 의해 정밀하게 치아를 인기할 수 있도록 하는 치아 인상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인상재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인상틀과; 상기 인상틀 내부에 연통형성되며, 구강외부측에 주입구가 형성된 인상재주입로와; 상기 인상틀 내측에 함몰되게 결합되어 인상재를 상악과 하악 양면으로 나누어 지지하는 받침면을 형성하는 인상막과;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파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인상틀에 구강외부로 돌출되게 결합된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치아 인상용 트레이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인상틀은, 말굽형이며, 외측단부상에 상기 인상재주입로가 함몰형성된 내측지지부와; 상기 인상재주입로의 개방단부를 차단시키며 상기 내측지지부의 외측단부상에 결합되고, 상기 주입구가 형성된 외부마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실시예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상틀은, 굴곡된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구강삽입부와; 상기 구강삽입부의 외측단부에 결합되며, 외측단부에 상기 주입구가 형성된 외부노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른 실시예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상틀은, 내벽부상에 관통공이 형성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상재주입로는, 상기 인상틀의 상부와 하부, 내지 좌부와 우부로 분리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환자가 가진 고유의 교합압으로 압박하여 변형, 고형시킨 일차 인상재의 처치부위로 인상재를 추가로 강제주입하여 보다 정밀하게 구강 내 치아 형태를 인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인상재에 구강 내 치아의 정확한 형상이 인기되어, 이후의 작업모형제작 공정 또한 명확하고 신뢰성있게 이루어져 정확한 최종보철물을 얻을 수 있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을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인상용 트레이의 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인상용 트레이의 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인상용 트레이는 크게 인상틀(100), 인상재주입로(200), 인상막(300), 손잡이(400)로 이루어져, 상기 인상틀(100), 인상막(300)으로 이루어진 구조체를 구강 내에 삽입하여 일차 인상재를 이용해 일차적으로 인상을 얻고, 상기 인상재주입로(200)를 통해 이차 인상재를 상기 인상틀(100) 내측으로 주입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손잡이(400)에 의해 구강내외로의 삽탈이 용이하도록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인상틀(100)은 치아 인상용 트레이의 기본프레임이 되는 구성요소로, 상기 인상틀(100) 내측에 결합되는 상기 인상막(300)을 고정, 지지시키고, 인상재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테두리를 형성하며, 상기 인상재주입로(200)가 형성될 공간부를 제공한다.
상기 인상막(300)은 상기 인상틀(100) 내측 중간에 위치, 결합되어 상기 인상틀(100)과 함께 인상재를 담을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을 이루면서, 인상재를 상악과 하악 양면상으로 부착, 지지할 수 있는 받침면 내지 경계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인상재주입로(200)는 본 발명의 가장 주요한 구성요소로서, 상기 인상틀(100) 내측 어느 위치에라도 인상재를 주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인상틀(100) 내부에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인상틀(100)이 구강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시술자가 구강외부에서 인상재를 임의로 주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인상틀(100)의 외측단부측에 주입구(210)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400)는 구강외피상에 상기 인상틀(100)이 착탈될 때, 시술자의 처치가 위생적이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파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인상틀(100)에 구강외부로 돌출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기본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을 먼저 도 1, 2에 도시된 1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1실시예에는 구강 내 치아 전부를 인기할 수 있도록 상기 인상틀(100)이 말굽 내지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실시예로, 내측지지부(110)와 외부마감부(120)가 조립결합되어 상기 인상틀(100)과 인상재주입로(200)를 형성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내측지지부(110)는 상기 인상막(300) 외측단부와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치아 및 잇몸 외측에서 인상재를 측면지지하게 되는 내벽부(100a)를 제공하는 프레임을 형성하며, 외측단부상에 상기 인상재주입로(200)가 연통되게 함몰형성된다.
상기 1실시예에서 상기 인상재주입로(200)는 상기 인상막(300)에 의해 상, 하부로 구분되는 공간부에 각각 독립되게 선택적으로 주입시킬 수 있도록 상부(200a)와 하부(200b)로 분리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1실시예와 같이 말굽형상으로 형성됨에 있어서, 상기 인상재주입로(200)를 상기와 같이 상부(200a), 하부(200b)로 분리형성시키는 것 외에도, 좌, 우부로 분리형성시키거나, 상부(200a), 하부(200b)로 분리형성시키고 상, 하부(200a, 200b) 각각에도 공간을 좌, 우부로 구분하여 선택적으로 주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도 포함하여, 인상재의 불필요한 소모 및 시간지연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부마감부(120)는 상기 인상재주입로(200)의 개방단부를 차단시키며 상기 내측지지부(110)의 외측단부상에 결합되며, 최외측부에는 상기 주입구(210)가 원추형상으로 함몰된 단부형상을 가지고 분리된 각각의 상기 인상재주입로(200)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도 1, 2에서는 상기 외부마감부(120)의 일부를 상기 인상재주입로(200)에 맞추어 끼우고, 상기 외부마감부(120)의 양단부에 상기 내측지지부(110)의 양단부를 구속하는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상호 조립결합시킨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3, 4에 도시된 2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2실시예는 구강 내 일부 치아를 인기할 수 있도록 상기 인상틀(100)이 굴곡된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실시예로, 구강삽입부(150)와 외부노출부(160)가 조립결합되어 상기 인상틀(100)과 인상재주입로(200)를 형성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구강삽입부(150)는 구강내에 삽입되는 프레임으로, 고리형상 내에서 상기 인상막(300) 둘레 전반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고리형상 내에 위치하게되는 치아 및 잇몸의 압박에 의해 변형되는 인상재를 측면지지하게 되며, 치아 및 잇몸 외측에 위치하게되는 내벽부(110a)상에 상기 인상재주입로(200)가 연통형성된다.
상기 외부노출부(160)는 상기 구강삽입부(150)의 외측단부에 조립 결합되어 구강외부에 위치하게되는 프레임으로, 상기 주입구(210)가 상기 인상재주입로(200)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2실시예에서 상기 인상재주입로(200)는 상기 인상막(300)에 의해 상, 하부로 구분되는 공간부에 각각 독립되게 주입시킬 수 있도록 상부(200a)와 하부(200b)로 분리형성되고, 상기 주입구(210)도 각각의 공간부에 연통되게 2개소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시술자가 상기 내벽부(110a)의 시술이 필요한 처치부에 해당되는 위치에 상기 인상재주입로(200)에 연통되게 관통공을 뚫은 후, 상기 인상막(300)상에 인상재를 얹어 구강내로 삽입시켜, 인상재를 깨물어 압박, 변형시키고, 변형상태를 유지하면서 경화된 상태로 구강외부로 빼어내어 일차 인상체를 얻는다.
그리고, 시술자가 형성시킨 관통공이 드러나도록 상기 일차 인상체의 일부를 절단, 제거시킨 후, 다시 구강내로 삽입시켜 상기 일차 인상체를 깨물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주입구(210)를 통해 인상재를 주입시키면, 강제주입시키는 압력에 의해 인상재가 상기 인상재주입로(200), 관통공을 거쳐 경화된 일차 인상체와 구강조직의 미세한 틈새에 채워지게 되고, 따라서 상기 일차 인상체의 불완전한 형상을 보완하여 보다 정밀한 인상을 이루며 경화된 이차 인상체를 얻게된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인상틀(100)을 투명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고 상기 내벽부(100a)를 얇게 형성하면 시술자가 어려움 없이 임의의 위치에 형성시킬 수 있으나, 시술자의 편리와, 인상재의 보다 안정된 고착을 위해 상기 내벽부(100a)상에 관통공을 형성시킨 실시예로 구성함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사용과정에 따르면 인상재가 주입압력으로 구강조직을 최종 압박시키게 됨에 따라, 치아와 잇몸의 경계부위와 같이 견고하지 않은 조직부 형상도 인상재에 보다 정확하게 인기시킬 수 있으며, 구강조직 표면의 기포 유무에도 영향받지 않고 안정되게 본을 얻을 수 있어, 이후의 작업모형 제작 등의 공정 또한 명확하고 신뢰성있게 이루어져 정확한 최종보철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환자가 가진 고유의 교합압으로 압박하여 변형, 고형시킨 일차 인상재의 처치부위로 인상재를 추가로 강제주입하여 보다 정밀하게 구강 내 치아 형태를 인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상재에 구강 내 치아의 정확한 형상이 인기되어, 이후의 작업모형제작 공정 또한 명확하고 신뢰성있게 이루어져 정확한 최종보철물을 얻을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인상용 트레이의 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 도1의 분해사시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인상용 트레이의 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 도 3의 분해사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인상재 100 : 인상틀
100a : 내벽부 110 : 내측지지부
120 : 외부마감부 150 : 구강삽입부
160 : 외부노출부 200 : 인상재주입로
200a : 상부 인상재주입로 200b : 하부 인상재주입로
210 : 주입구 300 : 인상막
400 : 손잡이

Claims (5)

  1. 인상재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인상틀과;
    상기 인상틀 내부에 연통형성되며, 구강외부측에 주입구가 형성된 인상재주입로와;
    상기 인상틀 내측에 함몰되게 결합되어 인상재를 상악과 하악 양면으로 나누어 지지하는 받침면을 형성하는 인상막과;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파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인상틀에 구강외부로 돌출되게 결합된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인상용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틀은,
    말굽형이며, 외측단부상에 상기 인상재주입로가 함몰형성된 내측지지부와;
    상기 인상재주입로의 개방단부를 차단시키며 상기 내측지지부의 외측단부상에 결합되고, 상기 주입구가 형성된 외부마감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인상용 트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틀은,
    굴곡된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구강삽입부와;
    상기 구강삽입부의 외측단부에 결합되며, 외측단부에 상기 주입구가 형성된 외부노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인상용 트레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틀은,
    내벽부상에 관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인상용 트레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재주입로는,
    상기 인상틀의 상부와 하부, 내지 좌부와 우부로 분리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인상용 트레이.
KR1020050089872A 2005-09-27 2005-09-27 치아 인상용 트레이 KR100651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872A KR100651015B1 (ko) 2005-09-27 2005-09-27 치아 인상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872A KR100651015B1 (ko) 2005-09-27 2005-09-27 치아 인상용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114A true KR20050105114A (ko) 2005-11-03
KR100651015B1 KR100651015B1 (ko) 2006-11-29

Family

ID=37282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872A KR100651015B1 (ko) 2005-09-27 2005-09-27 치아 인상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10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969B1 (ko) * 2001-03-26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에 기반한 데이타 통신 장치및 방법
KR101391038B1 (ko) * 2012-07-04 2014-04-30 최홍철 치과용 인상 트레이, 및 치과용 인상 트레이의 인젝션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86119B (de) * 1986-12-16 1988-07-11 Wedenig Wolfgang Abformloeffel
DE19942917C2 (de) * 1999-09-08 2002-10-24 3M Espe Ag Dentaler Abformlöffel
US6447292B1 (en) * 2001-05-29 2002-09-10 Richard Champagne Dental impression tray and bite registration rim assembly
EP1827290A2 (en) 2004-08-02 2007-09-05 Discus Dental Impressions Inc. Dental impression tray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969B1 (ko) * 2001-03-26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에 기반한 데이타 통신 장치및 방법
KR101391038B1 (ko) * 2012-07-04 2014-04-30 최홍철 치과용 인상 트레이, 및 치과용 인상 트레이의 인젝션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1015B1 (ko)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7465B2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US20070148612A1 (en) Dental impression tray and method
KR101823549B1 (ko) 무치악 환자용 교합 채득 도구
JPWO2013191127A1 (ja) 総義歯床の作製方法
US6913462B2 (en) Pin tray dental prostheses modeling system with re-usable tray
KR101265838B1 (ko) 치아모형 조립체
KR100651015B1 (ko) 치아 인상용 트레이
US20140080088A1 (en) Dental articulator
US20060210944A1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US6948932B2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JP5486650B2 (ja) 歯科作業模型の嵌合装置
JP2001333917A (ja) 歯科印象用トレー
JP2005531372A (ja) 歯のモデル成形及び咬合システムと方法
ITBO980492A1 (it) Serie di porta impronte monouso per edentuli e metodo per la realizzaz ione di protesi totali .
US4019253A (en) Means and method for producing custom artificial dentures
US20060216667A1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KR101808108B1 (ko) 치아모형 조립체
US7544060B2 (en) Dental device for registration of midline and horizontal plane
US20050233278A1 (en) Pin for fixing dental model
US625789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 structure with complex external and internal shapes
WO2006091982A2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KR20120054962A (ko) 치모형 제작 장치
JP3429231B2 (ja) 歯科用印象トレー
KR100417880B1 (ko) 치아모형 교합기
US20040018466A1 (en) Adjustable dental impression tr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