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4112A - 다중감시용 디지털촬상조합체 - Google Patents

다중감시용 디지털촬상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4112A
KR20050104112A KR1020040029361A KR20040029361A KR20050104112A KR 20050104112 A KR20050104112 A KR 20050104112A KR 1020040029361 A KR1020040029361 A KR 1020040029361A KR 20040029361 A KR20040029361 A KR 20040029361A KR 20050104112 A KR20050104112 A KR 20050104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imaging
imaging units
digital
uni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호
Original Assignee
김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호 filed Critical 김성호
Priority to KR1020040029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4112A/ko
Publication of KR20050104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11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73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vehicle security, e.g. parked vehicle surveillance, burglar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감시용 디지털촬상조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 개의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와, 상기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와 협동하는 장착베이스인 유니트베이스(B)를 가지고, 상기 유니트베이스(B)는 상기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가 끼움고정되는 유니트끼움부(10) 및 충전전극(11) 및 상기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의 화상신호를 인출하기 위한 연결커넥터(12), 상기 연결커넥터(12)와 연결되어 선택스위치(25)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화상신호가 외부인출되는 인출커넥터(20)를 가지고; 상기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는 케이싱(50)에 수용되어 연결링크(60)로서 연결되는 고정용흡판(61), 상기 고정용흡판(61) 상의 진동센서(S)를 가지고, 상기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의 케이싱(50) 내방에는 렌즈(70)-촬상소자(70-1), 디지털신호처리보드(71), 충전배터리(72), 외부신호커넥터(73), 충전단자(74), 광센서(71-4), 플래쉬(71-5)를 전기적으로 결선하여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중감시용 디지털촬상조합체{Digital cameras for multi channel monitoring}
본 발명은 다중감시용 디지털촬상조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다양한 용도의 감시용 카메라조합체, 모니터링용의 조합카메라체의 구성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용도로서 사용되는 CCTV 가 존재하고 이러한 종래로부터의 CCTV 는 산업현장의 작업현황확인용,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방범용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들어 자동차의 급속한 보급되고 있고, 특히 고급승용차, 고가의 수입차 등이 일반화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승용차 특히 고가의 고급차량에 대한 경범죄, 예를 들면 타이어의 펑크를 내거나 외관도장부에 흠집을 내고, 백미러를 파손하는 범죄가 일반화되고 있다.
따라서 고가의 승용차의 소지자는 항상 이러한 범죄에 노출된 자신의 차량에 대하여 많은 신경을 쓰게 되나 실제적으로는 대부분이 차량 파손이 유발된 이후에 이를 감지하게 되나 범죄자의 파악이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주차난이 심각한 대도시에서의 이러한 차량의 파손은 빈발하고 있고 적절한 감시체계가 필요하지만 종래와 같은 범용의 CCTV 에 의한 감시는 제한적이고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차량이 항상 아파트나 주택 앞, 등 특정 지역에만 주,정차하게 되는 것은 아니므로 항시적인 차량감시가 요구되나 적절한 장치가 제공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다중감시용 디지털촬상조합체는 상기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차량 내부에 용이하게 장착, 구성하는 어셈블리를 제공함으로서 고가의 승용차 등의 파손 시에 즉각적인 촬상조합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범죄자의 신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여 검거율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다중감시용 디지털촬상조합체의 장착으로 차량 파손을 유발하는 범죄의 예방효과 또한 가지는 것이다.
이하의 부수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다중감시용 디지털촬상조합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다중감시용 디지털촬상조합체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다이아그램도, 도 2 는 본 발명의 다중감시용 디지털촬상조합체의 단일모니터부재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다중감시용 디지털촬상조합체의 유니트베이스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중감시용 디지털촬상조합체는 다수의 단일모니터부재인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와 이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와 협동하는 장착베이스인 유니트베이스(B)로서 구성된다.
유니트베이스(B)는 도 3 의 예시적인 구성에서와 같이, 자동차의 실내의 적당한 위치에 고정되거나 안치되는 일종의 독킹스테이션으로 작동하게 된다.
유니트베이스(B)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략 함체형상의 베이스(1)와 이 베이스상 에 개방된 삽입부(2)를 가지는 유니트끼움부(10)를 구성하고 있다.
유니트베이스(B)에는 다수개의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가 개별적으로 삽입되는 유니트끼움부(10)에 각각의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가 함께 또는 단일로서 삽입될 수 있는 소켓부의 형상을 가진다. ]
상기하는 유니트베이스(B)의 유니트끼움부(10)의 내벽면(10')에는 대향하여 돌출하는 한 쌍의 충전용의 충전전극(11)이 판상의 금속판으로 끼워지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방단에는 개별의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와 전기적신호가 연x결되는 연결커넥터(12)를 가진다.
또한, 유니트베이스(B)의 외방케이스부에는 각각의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의 신호를 받는 연결커넥터(12)와 연결되어 화상데이터를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커넥터(20)가 장착되고 다수 개의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중 하나 또는 전부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25)가 셀렉팅이 가능한 스위치로서 구성된다.
전선(C)은 유니트베이스(B)로의 충전전극(11)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각각의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가 충전이 가능하게 하는 전원선으로서 차량의 시거잭 등에 연결된다.
상기하는 유니트베이스(B)와 협동하는 다수 개의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의 구성이 단면도로서 도 2 에 제공된다.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는 개략 사각형상의 함체인 케이싱(50)에 수용되고 케이싱(50)의 중간부에서 연결링크(60)에 의하여 자동차의 윈도우그래스(G) 내방에 부착이 가능한 고정용흡판(61)에 의하여 링크연결된다.
고정용흡판(61)은 통상적인 연성고무 등으로 만들어진 흡판으로서 고정강도를 충분히 보장할 수 있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정용흡판(61)에는 고감도의 진동센서(S)가 장착되어 차체와 협동하는 윈도우그래스(G)의 진동을 감지하여 본 발명의 다중감시용 디지털촬상조합체가 작동하게 되는 트리거신호를 부여하는 스위치로서 작동한다.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의 케이싱(50) 내방에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적인 렌즈(70)-촬상소자(70-1), 디지털신호처리보드(71), 충전배터리(72), 외부신호커넥터(73), 충전단자(74)를 가진다.
디지털신호처리보드(71)는 통상적인 디지털신호를 처리하는 칩과 제어회로로서 구성되지만 이러한 구성은 기히 디지털화상처리기에서 일반화된 기술이므로 상세히 설명하지 아니한다.
상기의 디지털신호처리보드(71)에는 타이머(71-2)가 내장되고 상기의 진동센서(S)의 진동정도를 판단하는 비교회로(71-1)를 내장하여 가진다. 상기하는 구성으로서 진동센서(S)로부터의 감지된 진동값이 설정값 이상이 되면 비교회로(71-1)에서 렌즈(70)를 통한 촬상을 시작하여 연속적으로 촬영한 데이터를 내장한 기억부(71-3)에서 기억하게 된다.
또한 통상적인 광센서(71-4)를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의 전방부에 내장하여 가짐으로서 야간의 경우에는 광센선(71-4)의 기준 조도값이하이면 자동적으로 플래쉬(71-5)로 발광촬영을 수행한다.
상기의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유니트베이스(B)의 유니트끼움부(10)에의 내방의 충전전극(11)과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의 충전단자(74)가 결합되어 충전이 되면서 만일 차체의 손상이 발견되면 개별의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의 외부신호커넥터(73)를 USB방식의 커넥터라인(도시하지 아니함)으로 연결하여 개인용컴퓨터에 연결하여 화상을 확인 또는 저장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의 유니트베이스(B)의 외방케이스부의,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와 연결커넥터(12)로 연결된 인출커넥터(20)를 개인용컴퓨터와 연결하여 두고 다수개의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 중, 하나 또는 전부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25)로서 확인하고자 하는 위치에 장착된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의 화상신호를 이송하면 된다.
상술하는 구성의 본 발명의 다중감시용 디지털촬상조합체의 사용을 설명한다.
외부파손이 우려되는 차량의 내측의 윈도우그래스(G) 에 본 발명의 다수개의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를 적당한 위치에 고정용흡판(61)을 이용하여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의 렌즈(70)를 밀착하여 링크기구를 조절하여 장착하여 둔다.
상기하는 장착상태에서 외부의 파손이 유발되면 차체의 진동을 진동센서(S)가 감지하여 설정된 매수만큼 렌즈(70)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촬상하여 디지털신호처리보드(71)의 기억부에 저장하여 두게 된다.
차량의 소유자는 만일 차량의 파손이 발생하였으면 상술한 방법으로 개별적인 각각의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 로부터의 화상신호를 인출하여 확인하거나 유니트베이스(B)에 꽂은 상태에서 각각의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의 저장화상을 개인용컴퓨터 등으로 연결하여 확인을 하게 된다.
상기의 경우, 차량의 파손과 촬상 사이에는 거의 시간적인 차이가 없고 연속적인 촬상에 의하여 대부분의 파손자는 신체적인 특징이나 얼굴이 촬영되게 되어 증거자료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중감시용 디지털촬상조합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각각의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를 유니트베이스(B)에 삽입하여 둠으로서 보관 및 충전이 항시 수행되어 필요한 경우 각각의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를 즉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중감시용 디지털촬상조합체는; 필요한 경우 차량의 내방에 윈도우그래스(G)에 즉시적으로 장착구성이 가능함으로서 차량의 파손현장을 기록할 수 있는 유용성을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다중감시용 디지털촬상조합체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다이아그램도,
도 2 는 본 발명의 다중감시용 디지털촬상조합체의 단일모니터부재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다중감시용 디지털촬상조합체의 유니트베이스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U1,U2,U3 .: 디지털촬상유니트
B: 유니트베이스

Claims (2)

  1. 다수개의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와, 상기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와 협동하는 장착베이스인 유니트베이스(B)를 가지고,
    상기 유니트베이스(B)는 상기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가 끼움고정되는 유니트끼움부(10) 및 충전전극(11) 및 상기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의 화상신호를 인출하기 위한 연결커넥터(12), 상기 연결커넥터(12)와 연결되어 선택스위치(25)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화상신호가 외부인출되는 인출커넥터(20)를 가지고;
    상기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는 케이싱(50)에 수용되어 연결링크(60)로서 연결되는 고정용흡판(61), 상기 고정용흡판(61) 상의 진동센서(S)를 가지고,
    상기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 . .)의 케이싱(50) 내방에는 렌즈(70)-촬상소자(70-1), 디지털신호처리보드(71), 충전배터리(72), 외부신호커넥터(73), 충전단자(74), 광센서(71-4), 플래쉬(71-5)를 전기적으로 결선하여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감시용 디지털촬상조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촬상유니트(U1,U2,U3..)의 디지털신호처리보드(71)는 타이머(71-2), 비교회로(71-1), 기억부(71-3), 광센서(71-4)를 포함하는 화상디지털신호처리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감시용 디지털촬상조합체.
KR1020040029361A 2004-04-28 2004-04-28 다중감시용 디지털촬상조합체 KR200501041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361A KR20050104112A (ko) 2004-04-28 2004-04-28 다중감시용 디지털촬상조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361A KR20050104112A (ko) 2004-04-28 2004-04-28 다중감시용 디지털촬상조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112A true KR20050104112A (ko) 2005-11-02

Family

ID=3728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361A KR20050104112A (ko) 2004-04-28 2004-04-28 다중감시용 디지털촬상조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41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2156B2 (en) Portable device having a torch and a camera located between the bulb and the front face
KR100636010B1 (ko)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
DK200200176A (da) Billed- og stemmeoptager til køretøj
KR200277875Y1 (ko) 자동차의 후방용 감시카메라의 좌우반전 스위칭 장치
EP2546813A1 (en) Home surveillance device
US20130021473A1 (en) Home Surveillance Device
KR100790310B1 (ko) 차량 손괴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38940B1 (ko)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
US7365300B2 (en) Rear vision system
KR101635107B1 (ko) 분리형 무선 카메라 시스템
US20190347495A1 (en) Vehicle Mounted Imaging Assembly
KR20050104112A (ko) 다중감시용 디지털촬상조합체
KR100829800B1 (ko) 크레들
JP2001124970A (ja) 撮像装置
KR20220072831A (ko) 비디오 녹화 미러
KR20070066662A (ko) 차량 사고 정보 저장장치
KR100892502B1 (ko) 자동차 후방 감시 시스템
KR20190129149A (ko) 스마트 블랙박스 카메라 시스템
JP2006526300A (ja) 車両のリアビューミラーに適用可能な外部環境監視用カメラシステム
CN215298308U (zh) 智能型车身影像装置
CN210634525U (zh) 一种车辆监控看护装置
CN210137376U (zh) 图像采集设备
US20230145572A1 (en) Vehicle Security Assembly
KR20140115451A (ko) 스마트 블랙박스 카메라 시스템
CN215010479U (zh) 红外车载摄像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