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010B1 -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 - Google Patents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010B1
KR100636010B1 KR1020050025049A KR20050025049A KR100636010B1 KR 100636010 B1 KR100636010 B1 KR 100636010B1 KR 1020050025049 A KR1020050025049 A KR 1020050025049A KR 20050025049 A KR20050025049 A KR 20050025049A KR 100636010 B1 KR100636010 B1 KR 100636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image
phone
lens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2957A (ko
Inventor
김배훈
Original Assignee
김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배훈 filed Critical 김배훈
Priority to KR1020050025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6010B1/ko
Publication of KR20060102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시모스(CMOS) 내지는 시시디(CCD) 카메라를 사용하고, 2개의 렌즈와 2개의 시모스(CMOS) 내지는 시시디(CCD) 이미지센서로 구성된 카메라모듈을 상호 대칭적이고 독립적이며 수직하게 설치하여 수평선 상에 180°파노라마 영상을 렌즈의 이동없이 촬영할 수 있는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카메라 폰은 렌즈 및 광학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시모스 이미지센서로 구성되어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고 입력하는 한 쌍의 카메라모듈과, 상기 휴대폰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한 쌍의 카메라모듈을 이웃하게 수용하는 마운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웃하는 두 개의 렌즈의 영상입사선이 평행하고, 영상입사각이 오버랩되지 않도록 상기 렌즈면을 상호 대칭적이고 독립적이며 직각이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수평면 상에 180°전방위 영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 폰, 렌즈, 시모스 이미지센서, 마운트커버, 파노라마 영상

Description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Camera Device for Panorama Shot of mobile phone}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카메라 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의 요부구성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의 요부구성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변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구성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휴대폰 단말기 110a, 110b: 렌즈
120a, 120b: 이미지센서 122a, 122b: 인쇄회로기판
124a, 124b: 이미지센서 칩 126a, 126b: 수광부
130a, 130b: 카메라모듈 140: 마운트커버
142a, 142b: 측면 144a, 144b: 홀
본 발명은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시모스(CMOS) 내지는 시시디(CCD) 카메라를 사용하고, 두개의 렌즈와 두개의 시모스(CMOS) 내지는 시시디(CCD) 이미지센서로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을 상호 대칭적이고 독립적으로 설치하여 수평선 상에 180°파노라마 영상을 렌즈의 이동없이 촬영할 수 있는 파노라마 영상의 카메라 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음성 통화 수단으로 기능하였으나, 최근 통신 기술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작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기능 이동통신 단말기가 출시되어 상용
화되고 있다.
최근 상용화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화 기능 이외에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 E-mail의 수신 및 발신, 대금결제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나아가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부가시킨 이동통신 단말기인 카메라 폰이 등장하고 있다.
여기서 카메라 폰이란, 무선전화통화와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단 말 기능과, 피사체를 촬영하여 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전송 및 삭제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일체로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가리킨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카메라 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카메라 폰(10)을 이용하여 동영상 또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과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메라 폰(10)에 구비된 메뉴에서 멀티미디어 관련 메뉴로 진입하고, 그 멀티미디어 관련 메뉴 하부에 구비된 디지털 카메라 메뉴를 선택한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 메뉴에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모드를 선택하거나 상기 메뉴 진입 과정 없이 키패드 상에 기 설정된 단축키를 이용하여 촬영모드를 선택하고, 사용자는 카메라 폰(10)에 구비된 카메라(12)를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춘다. 이때, 상기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에 대한 영상은 카메라 폰(10)의 표시창에 표시된다.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가 촬영되면,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소정의 이름으로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그 저장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범용 직렬 버스(USB) 케이블을 통해 외부 저장매체로 옮길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카메라 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폰(10)에는 하나의 카메라(12)가 탑재되어 사용되고, 카메라(10)의 촬영방향이 일측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영상입 사각이 90°에 불과하며, 좌우 혹은 상하 영역에는 렌즈의 영상입사선이 미치지 못하는 사각(死角) 지대가 형성된다.
따라서, 카메라 폰(10)과 피사체와의 거리를 가변시키지 않고서는 와이드 화면을 확보할 수 없으며, 와이드 화면을 확보하기 위하여 카메라 폰(10)과 피사체와의 거리를 길게 유지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피사체의 식별력이 저하되는 한계가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0°와이드 화면을 확보하기 위하여 180°광학렌즈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심각한 왜곡현상(distortion)으로 화면에 피사체의 이미지가 도우넛 형상으로 보이기 때문에 피사체 인식에 한계가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를 수평면 상에 두 개를 설치하여 상기 화면의 화각을 180°로 확보하는 경우도 있으나, 두 렌즈에 의하여 피사체로 입사되는 입사각의 겹침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겹침을 제거하기 위하여 화상처리과정(image processing)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화상처리과정에 상당한 비용과 장치가 요구되어 실용적이지 못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사체와 카메라 폰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지 않고서도 피사체의 식별성을 확보하고, 화상이 일그러지는 피사체의 왜곡현상을 방지하며, 두 개의 렌즈를 사용하여 화면의 화각을 확보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화상처리 과정 없이도 단순한 영상의 조합으로 180°파노라마 영상을 실현할 수 있는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선 통화 기능과 디지탈 카메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다기능 휴대폰에 있어서, 렌즈 및 광학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로 구성되어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고 입력하는 두 개의 카메라모듈을 상기 휴대폰의 일측에 이웃하게 배치하며, 이웃한 두 개 렌즈의 영상입사선이 평행하고, 영상입사각이 오버랩되지 않도록 상기 렌즈를 상호 대칭적이고 독립적이며 직각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평면 상에 180°전방위 영상을 구현한다.
상기 이미지센서는 시모스(C-MOS) 이미지센서이다.
상기 이미지센서는 시시디(CCD) 이미지센서이다.
상기 카메라모듈을 수용하는 마운트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마운트커버는 일면이 개방되어 휴대폰과 마주보는 각기둥 형상을 하고 있고, 그 밑면과 윗면은 합동인 직각이등변 삼각형의 모양을 하고 있으며, 상기 이등변을 연결하는 양 측면은 휴대폰의 외측을 향해 설치되고 상기 양 측면 상에는 상기 렌즈로 빛을 투과하는 홀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시모스 이미지센서는 렌즈와 소정의 초점거리를 두고 상기 마운트커버 내부에 설치되어 렌즈를 통해 입력된 피사체의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인 쇄회로기판 상에 로딩되어 있는 이미지센서 칩 및 상기 칩의 상부에 구비되어 광정보를 수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모듈이 상하로 틸팅된다.
상기 카메라모듈이 회전부재의 외주면 상에 구비되어 회전부재를 회전레버로 회전하면 상기 카마레모듈이 상하 이동한다.
상기 회전부재를 휴대폰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구비한다.
상기 휴대폰의 일측에 상기 마운트커버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마운트커버를 상기 수용홈에 인입 인출함으로써 통상의 영상과 파노라마 영상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카메라모듈을 전후방에 각각 구비하여 수평면 상에 360°전방위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에 의하면 렌즈의 이동없이 수평면 상의 가시범위를 180°파노라마 촬영함으로써 전방위 피사체를 한 눈에 관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의 구성이 각각 사시도 및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의 요부구성이 부분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에 의한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휴대폰 단말기(100)와, 렌즈(110a, 110b)와 이미지센서(120a, 120b)로 구성되어 영상을 입력하는 카메라모듈(130a, 130b)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모듈(130a, 130b)을 수용하는 마운트커버(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면이 개방되어 있어 개방면이 휴대폰 단말기(100)와 마주보는 각기둥 형상의 마운트커버(140)는, 그 밑면과 윗면이 합동인 직각이등변 삼각형 모양을 하게 되며, 상기 이등변을 연결하는 양 측면(142a, 142b)은 휴대폰의 외측을 향해 설치되며, 상기 양 측면(142a, 142b) 상에는 소정 직경의 홀(144a, 144b)이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마운트커버(140)가 휴대폰 단말기(100) 상부 폴더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마운트커버(100)가 장착될 수 있는 곳이면 단말기(100) 내외부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는 것은 물론이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형 휴대폰의 힌지부분이나 기타 장소에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마운트커버(140)가 직각이등변 삼각기둥 형상을 하고 있으나, 상기 렌즈(110a, 110b)의 이웃하는 영상입사선(a, b)이 수평을 이루어 영상입사각( α,β) 상호간의 겹침이 없고 따라서 180°파노라마 영상을 구현하는 경우라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이웃한 영상입사선(a, b) 사이의 소정 간격은 실제 화면에 모니터함에 있어 커다란 지장이 없음은 물론이다.
한편, 실제 생산되고 있는 카메라모듈 중에는 카메라의 기구적 특성이나 실제 필요에 의하여 영상입사각이 90°에 한참 못 미치는 60° 내지 70°정도에 불과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전방위 영상을 확보할 필요성은 더욱 높아지는데, 이때는 두 개의 카메라모듈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120° 내지 140°의 영상입사각을 확보함으로써 현장정보를 충분하게 수집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카메라모듈을 사용하게 되면 완벽하게 180°전방위 영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실제 카메라의 영상입사각은 60°정도이며, 파노라마함은 그 영상입사각이 120°정도를 가리키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카메라의 영상입사각을 90°로 하고, 파노라마를 180°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홀(144a, 144b)에는 렌즈(110a, 110b)가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렌즈(110a, 110b)의 중심과 일치되는 마운트커버(140a, 140b)의 내측에는 시모스(CMOS) 이미지센서(120a, 120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시모스(CMOS) 이미지센서(120a, 120b)에는 시모스칩이 접합되어 이미지를 감지하고, 감지된 2개의 이미지는 영상조합회로에서 영상처리되어 하나의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즉, 인쇄회로기판(122a, 122b) 상에 에폭시 기타 접착수단에 의하여 CCD 등의 이미지센서 칩(124a, 124b)이 로딩되어 있고, 상기 칩(124a, 124b)의 상부에 수광부(126a, 126b)가 구비되며, 상기 수광부(126a, 126b)의 상부에 소정의 초점거리(A, A')를 두고 렌즈(110a, 110b)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110a, 110b)를 통해 집광된 광정보가 수광부(126a, 126b)를 경유하여 입력되고 데이터화됨으로써 하나의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휴대폰에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와, 상기 시모스 이미지센서(120a, 120b)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로리와, 상기 데이터를 외부와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저장하기 위한 무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통신을 통해서 원거리에 있는 사용자의 PC나 개인용 휴대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원격지에서 현장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시모스 이미지센서(120a, 120b) 대신에 시시디 이미지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시시디 이미지센서에 비하여 시모스 이미지센서(120a, 120b)의 소비전력이 적고 제조단가가 낮은 장점은 있기는 하나, 시시디 이미지센서가 화질면에서 우수하고 점차 경박단소화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현장정보 수집기능이나 보안기능을 더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두 개의 카메라모듈(130a, 130b)을 독립적이고 대칭이되게 설치하고 두 개의 이미지를 영상조합하여 와이드한 하나의 화면으로 구현함으로써 각종 홍보와 광고영업에 활용할 수 있다. 즉, 부동산을 거래하는 중계업자가 거래하고자 하는 부동산의 현장정보를 게시판에 전시하거나 원격에서 모니터링할 때 각각의 사진이나 영상을 조합할 필요없이 바로 구현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
뿐만 아니라, 영상변화율을 이용한 모션 디텍터(motion detector) 기능의 센서를 구비하고, 영상변화시 현장 상황을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나 보안회사에 송신함으로써 보안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2개의 시모스(CMOS) 카메라모듈(130a, 130b)를 사용하고, 상기 2개의 렌즈(110a, 110b) 및 2개의 시모스(CMOS) 이미지센서(120a, 120b)가 상호 대칭적이고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수평선 상에 180°파노라마 영상을 렌즈(110a, 110b)의 이동없이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폰으로 전방위촬영을 할 수 있어 하나의 카메라장치에 의해서도 와이드 화면의 확보가 가능하며, 원거리에서 무선통신을 통하여 현장 분위기를 파노라마 영상으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휴대폰 기능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일실시예에 의하면 수평면 상에서는 180°파노라마 영상이 구현 가능하나, 각각 렌즈(110a, 110b)의 수직 영사입사각( α,β)이 90°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휴대폰을 바닥에 놓게 되면 주로 바닥을 주로 촬영하게 되고, 상단에 걸어 놓게 되면 주로 천정을 주로 촬영하게 되어 실제 촬영하고자 하는 공간에는 오히려 사각(死角) 지대가 형성되어 본래 촬영목적에 이를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모듈(130a, 130b)이 상하로 틸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휴대폰 단말기(100) 전방 일측에 소성 형상의 안착홈(102)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02)에 수용되어 회전가능하게 원통형 회전부재(150)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재(150)의 외주면 일측에 마운트커버(160)가 구비된다. 상기 마운트커버(160)는 상기 일실시예의 마운트커버(140)와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다. 따라서, 회전부재(150)의 양측에 구비된 회전레버(152)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마운트커버(160)가 상하로 회전되고, 상하 영상입사각( α,β)이 상하로 조절되어 원하는 피사체의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키패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서 파노라마 촬영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180°촬영이 가능하고, 모노 촬영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원래대로 일방 렌즈(110a, 110b)만을 사용하여 90°촬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 촬영모드 선택시 두 개의 렌즈(180a, 180b) 중 어느 하나의 렌즈(180b)만이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은 렌즈(180a)를 수용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상기 마운트커버(170)를 수용홈(104)에서 인출 인입하는 방식은 자석이나 스프링 기타 여러가지 방법에 의할 수 있다.
즉, 휴대폰 단말기(100) 상부 폴더 전면 일측에 삼각기둥 형상의 마운트커버(170)를 수용하는 수용홈(104)을 구비하고, 상기 마운트커버(170)의 일축(17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파노라마 촬영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커버(170)의 양 렌즈(180a, 180b)를 모두 노출시키고 키패드를 통해 파노라마 촬영모드를 선택하면 파노라마 영상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모노 촬영모드 선택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커버(170)가 수용된 상태에서 일측 렌즈(180b)만을 노출시키고 키패드를 통해서 모노 촬영모드를 선택하면 통상의 영상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폴더형 휴대폰에 적용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적용이 폴더형 휴대폰에 제한을 두는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이동통신단말기와 PDA 등 모든 휴대용 단말기는 물론 MP3와 웹카메라에 적 용 가능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게 설치된 두 개의 카메라모듈을 전후방에 각각 한 쌍씩 구비함으로써 360°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렌즈의 이동없이 수평면 상의 가시범위를 180°파노라마 촬영함으로써 전방위 피사체를 한 눈에 관찰할 수 있으며, 화면의 왜곡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별도의 영상처리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효과가 기대된다.
둘째, 카메라 폰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피사체의 식별성이 저하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세째, 마운트커버를 상하로 틸팅함으써 원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현장 정보를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이를 현실감있게 표현할 수 있어 각종 서비스산업에 적용될 수 있으며, 휴대폰을 갖고도 원격에서 현장정보와 분위기를 다운받을 수 있으며, 보안감시 등을 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다섯째, 필요에 따라 통상의 영상과 파노라마 영상을 선택할 수 있어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할 수 있다.

Claims (14)

  1. 무선 통화 기능과 디지탈 카메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다기능 휴대폰에 있어서,
    렌즈 및 광학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로 구성되어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고 입력하는 두 개의 카메라모듈을 상기 휴대폰의 일측에 이웃하게 배치하며, 이웃한 두 개 렌즈의 영상입사선이 평행하고, 영상입사각이 오버랩되지 않도록 상기 렌즈를 상호 대칭적이고 독립적이며 직각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평면 상에 180°전방위 영상을 구현하는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서는 시모스(C-MOS) 이미지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서는 시시디(CCD) 이미지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을 수용하는 마운트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마운트커버는 일면이 개방되어 휴대폰과 마주보는 각기둥 형상을 하고 있고, 그 밑면과 윗면은 합동인 직각이등변 삼각형의 모양을 하고 있으며, 상기 이등변을 연결하는 양 측면은 휴대폰의 외측을 향해 설치되고 상기 양 측면 상에는 상기 렌즈로 빛을 투과하는 홀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모스 이미지센서는 렌즈와 소정의 초점거리를 두고 상기 마운트커버 내부에 설치되어 렌즈를 통해 입력된 피사체의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인쇄회로기판 상에 로딩되어 있는 이미지센서 칩 및 상기 칩의 상부에 구비되어 광정보를 수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이 상하로 틸팅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이 회전부재의 외주면 상에 구비되어 회전부재를 회전레버로 회전하면 상기 카마레모듈이 상하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를 휴대폰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일측에 상기 마운트커버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마운트커버를 상기 수용홈에 인입 인출함으로써 통상의 영상과 파노라마 영상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
  10. 제1항에 있어서,
    휴대폰에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시모스 이미지센서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로리와, 상기 데이터를 외부와 무선 데이터 송수신하는 무선모듈을 더 포함함으로써 광고, 홍보 등의 목적으로 현장의 분위기를 전달하거나 현장정보를 수집하고 원격에서 전방위 보안감시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의 실제 영상입사각이 60°인 경우에는 3개의 카메라모듈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카메라모듈을 전후방에 각각 구비하여 수평면 상에 360°전방위 영상을 구현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MP3에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촬영용 MP3.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웹카메라에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촬영용 웹카메라.
KR1020050025049A 2005-03-25 2005-03-25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 KR100636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049A KR100636010B1 (ko) 2005-03-25 2005-03-25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049A KR100636010B1 (ko) 2005-03-25 2005-03-25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957A KR20060102957A (ko) 2006-09-28
KR100636010B1 true KR100636010B1 (ko) 2006-10-18

Family

ID=37623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049A KR100636010B1 (ko) 2005-03-25 2005-03-25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60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85913A1 (en) 2011-06-20 2014-09-25 Rhp Multimedia Corp. Moveable mirror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case
CN103763972A (zh) * 2011-06-20 2014-04-30 Rhp多媒体公司 用于便携式电子装置的外壳
USD862441S1 (en) 2015-12-03 2019-10-08 Scandit Ag Case for a mobile device
TWM539073U (zh) * 2016-04-22 2017-04-01 鈺立微電子股份有限公司 攝影裝置
USD860180S1 (en) 2017-01-12 2019-09-17 Scandit Ag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10846561B1 (en) 2020-04-01 2020-11-24 Scandit Ag Recognition and selection of discrete patterns within a scene or image
EP3738302A2 (en) 2018-01-08 2020-11-18 Scandit AG Mobile device case and techniques for multi-view imaging
US11295163B1 (en) 2020-04-01 2022-04-05 Scandit Ag Recognition of optical patterns in images acquired by a robotic device
US11087105B1 (en) 2020-05-15 2021-08-10 Scandit Ag Performance improvements for recognition of optical patterns in images
US11514665B2 (en) 2020-04-01 2022-11-29 Scandit Ag Mapping optical-code images to an overview image
US11216628B2 (en) 2020-04-01 2022-01-04 Scandit Ag High-speed scanning of optical patterns using a digital camera
US11403477B1 (en) 2020-05-15 2022-08-02 Scandit Ag Image exposure performance improvements for recognition of optical patterns
US11290643B1 (en) 2020-06-26 2022-03-29 Scandit Ag Efficient digital camera image acquisition and analysis
US11244147B2 (en) 2020-05-15 2022-02-08 Scandit Ag Optical data exchange while preserving social distancing
US11922271B1 (en) 2020-05-15 2024-03-05 Scandit Ag Virtual screen standby mode for mobile device camera
US11417001B1 (en) 2020-07-27 2022-08-16 Scandit Ag Detecting discrete optical patterns using depth estimation
US11495036B1 (en) 2021-01-29 2022-11-08 Scandit Ag Segmenting images fo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US11880738B1 (en) 2021-08-17 2024-01-23 Scandit Ag Visual odometry for optical pattern scanning in a real scene
US11557136B1 (en) 2022-02-23 2023-01-17 Scandit Ag Identity document verification based on barcode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5104A (ja) 1996-11-22 1998-06-09 Canon Inc 複眼撮像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憶媒体
JP2001312018A (ja) 2000-04-28 2001-11-09 Riaruai:Kk 2枚組み画像および該画像を得るためのステレオカメラ
JP2004240153A (ja) 2003-02-06 2004-08-26 Hitachi Ltd パノラマ映像撮影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5104A (ja) 1996-11-22 1998-06-09 Canon Inc 複眼撮像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憶媒体
JP2001312018A (ja) 2000-04-28 2001-11-09 Riaruai:Kk 2枚組み画像および該画像を得るためのステレオカメラ
JP2004240153A (ja) 2003-02-06 2004-08-26 Hitachi Ltd パノラマ映像撮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957A (ko) 200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6010B1 (ko)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 폰
JP5128245B2 (ja) 撮像装置
JP4708704B2 (ja) カメラ・システムを有する携帯端末装置
JP2007274542A (ja) 撮像装置および携帯電話機
KR20090058229A (ko) 듀얼 카메라 모듈
JP2004191820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
EP1613026A1 (en) Portable terminal
US20060217148A1 (en) Camera phone with large sensor
CN107005650B (zh) 摄像装置、摄像方法及记录介质
US20220365314A1 (en) Imaging device, imaging system, and recording medium
JP2003250071A (ja) イメージセンサおよび撮像装置
JP2003018276A (ja) 携帯通信端末
CN107005652B (zh) 摄像装置、摄像方法及记录介质
KR20050102060A (ko) 빔프로젝터를 겸비한 휴대용전자기기
JP5984046B2 (ja) 撮影装置
KR101164606B1 (ko) 복합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2006072186A (ja) 携帯機器
JP2002141990A (ja) 携帯テレビ電話機
US20070046806A1 (en) Optical viewfinder system of camera
US20040100558A1 (en) Remote optical imaging device for electronic monocular telescope or digital binocular camera
JP2005250396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
JP2005323188A (ja) 携帯電話機
KR20050072880A (ko)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JP2005057548A (ja) 携帯端末装置
JP2005148471A (ja) 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