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3041A - 피디피용 방열시트 - Google Patents

피디피용 방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3041A
KR20050103041A KR1020040028431A KR20040028431A KR20050103041A KR 20050103041 A KR20050103041 A KR 20050103041A KR 1020040028431 A KR1020040028431 A KR 1020040028431A KR 20040028431 A KR20040028431 A KR 20040028431A KR 20050103041 A KR20050103041 A KR 20050103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pdp
graphite
dissipation sheet
graphi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4097B1 (ko
Inventor
김상면
Original Assignee
자화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화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자화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8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4097B1/ko
Publication of KR20050103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0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02Details
    • H01J17/34One or more circuit el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tub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7/00Detai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and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7/24Cooling arrangements; Heating arrangements; Means for circulating gas or vapour within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63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internal heat source to heat radiating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1Temperature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66Coo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2217/38Cold-cathode tubes
    • H01J2217/49Display panels, e.g. not making use of alternating current
    • H01J2217/49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002Cool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래파이트(Graphite) 부재와 폼 테이프(Foam tape)를 일체화로 이루어 방열시트를 형성함으로써, PDP의 방열 메카리즘을 구성시키기 위해 조립할 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동시에 별도의 수작업 없이도 한번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자동화가 가능하게 하는 PDP용 방열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방열시트의 작업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켜 이를 사용하여 방열 메카리즘을 구성시킬 때 생산성을 최대화시키는 동시에 사용상의 만족도 및 신뢰도를 극대화시키게 하는 PDP용 방열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흑연으로 이루어진 흑연층의 일측 표면에 점착액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흑연층과 도포된 점착액 사이에는 이형지를 탈피할 때 흑연층의 표면이 점착액과 같이 떨어져 나가는 표면박리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UV, 우레탄 또는 실리콘과 같은 도료층을 얇게 피막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흑연층의 타측 표면에 제조자 및 생산자에 의해 PDP 조립작업시 흑연이 묻어나지 않도록 UV, 우레탄 또는 실리콘과 같은 도료층을 얇게 피막처리하게 하는 그래파이트(Graphite) 부재와, 알루미늄 샤시로 이루어진 히트 스프레더의 안정적인 부착을 위해 양면에 점착액이 도포되어 있는 폼 테이프(Foam tape)를 일체로 이루어지는 PDP용 방열시트를 형성하여 방열 메카리즘을 구성시키도록 조립할 시 안정적인 부착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고, 전체적인 조립의 자동화를 이루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디피용 방열시트{RADIATION SHEET FOR PLASMA DISPLAY PANEL}
본 발명은 PDP(Plasma Display Panel)에 적용시켜 열전도를 효율적으로 이루기 위한 그래파이트(Graphite) 부재와 접착성이 우수한 폼 테이프가 일체로 구비된 PDP용 방열시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PDP를 이루는 구성에 있어 플라즈마 글래스(Plasma glass)와 알루미늄 샤시로 이루어진 히트 스프레더(Heat spreader) 사이에 상기 플라즈마 글래스에서 기체 방전이 일어나 발생된 열을 효율적으로 전도시키도록 하는 PDP용 그래파이트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플라즈마 글래스와 히트 스프레더를 서로 안정적으로 부착시키기 위해 폼 테이프가 구비되되, 상기 그래파이트 부재와 폼 테이프가 일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 PDP용 방열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DP(Plasma Display Panel)는 기체방전에 의해 생성된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이는 평면 유리를 사용하므로 브라운관처럼 화면이 굴절되지 않고 왜곡 현상도 없으며, 평면 유리의 사용으로 두께 15㎝ 이하의 얇은 모니터를 만들 수 있어 가벼운 벽걸이 TV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상기 PDP는 LCD의 단점이었던 좁은 시야각이 넓어져 160도 이상의 범위에서도 화질 저하가 없이 시청이 가능하였고, 이러한 장점에 따라 각 업체들은 PDP를 주력 상품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그러나 대부분 업체에서 PDP에 관한 연구는 화질향상이나, 플라즈마 글래스(Plasma glass)의 제조에 관하여 주로 수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플라즈마 글래스의 최대 허용 동작 온도는 90℃ 이하이며 형광영역(방전영역)과 비형광영역(비방전영역) 온도차가 10℃ 이상이 되면 플라즈마 글래스에 균열이 발생하게 되고, 플라즈마 광원을 이용하는 PDP는 내부에 고전압/고전류가 발생하게 되며, 예를 들어 42인치 모델의 경우 350W 정도의 열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슬림박형화 구조가 구현되어야 하는 PDP는 이전의 브라운관 화면표시장치보다 협소한 구조로 인해 열적으로는 열악한 환경을 갖고 있으며, PDP의 냉각장치로서 팬(FAN)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PDP 두께의 슬림박형화에 가장 큰 장애요인이 되고 있는 동시에 소음, 중량증가 및 동력소비 등의 문제를 갖고 있기 때문에 최근에 들어 상기 PDP에 팬(FAN)이 사용되지 않는 '무동력 방식'의 냉각장치가 요구되었으며, 이에 따라 발생된 열을 신속히 저온부로 균일하게 확산 전달시킬 수 있는 알루미늄 샤시로 이루어진 고효율 히트 스프레더(Heat Spreader)가 사용되고 있다.
즉, 통상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PDP의 구성은 프론트 글래스(Front glass), 플라즈마 글래스(Plasma glass), 방열시트(Radiation sheet), 히트 스프레더(Heat Spreader), 인쇄회로기판(PCB) 및 백 커버(Back cover)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프론트 글래스(Front glass)는 PDP의 전면부에 위치되어 플라즈마 글래스(Plasma glass)에서 방전된 기체상태의 플라즈마가 글자 또는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곳으로, 상기 프론트 글래스의 하부에 형성된 환기구를 통해 외기가 들어와 PDP내부를 순환하며 열을 밖으로 전달시키게 된다.
상기 플라즈마 글래스(Plasma glass)는 글래스 내부를 교차하는 수많은 전선들로 이루어져 있고, 여기에서 기체 방전이 일어나서 열이 발생되는 곳으로, 이는 PDP내의 주발열체로서 이 부분의 냉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방열시트(Radiation sheet)는 플라즈마 글래스와 히트 스프레더를 접촉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히트 스프레더(Heat Spreader)는 무게가 20~30kg인 알루미늄 샤시로 이루어진 주 냉각장치로서 플라즈마 글래스에서 발생한 열이 자연대류에 의해 외기로 전달되게 하고, 이는 이외에도 인쇄회로기판 (PCB)이나 백 커버가 설치되고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역활도 하게 된다.
상기 백 커버(Back cover)는 PDP의 내부를 보호하도록 이루어진 것이고, 상부와 하부에는 냉각용 외기가 PDP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수많은 환기구가 설치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PDP는 동작시에 열이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열을 냉각시키거나 외부로 전달시키는 역할이 상당히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상기 플라즈마 글래스와 히트 스프레더는 칩 온 필름(Chip on Film)에 의해 전극이 연결되어 방전시키게 되고, 상기 플라즈마 글래스와 히트 스프레더 사이에 위치되는 방열시트는 단순히 이들을 접착시키는 역활 이외에도 열전도성이 우수해야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 실시하고 있는 방열시트는 실리콘과 같은 러버(Rubber) 계열 또는 폼 테이프(Foam tape)와 같은 아크릴계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 경우 바인더(Binder)인 러버(또는 아크릴)와 열전도가 우수한 분말을 결합시켜서 제조하여야 하기 때문에 열전도도를 향상시키기에는 한계가 있고,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열전도성이 우수한 흑연(Graphite) 재질을 갖는 그래파이트 부재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의 흑연으로 이루어진 그래파이트 부재는 열전도성은 우수하나 제조자 및 생산자가 PDP를 구성, 즉 방열 메카리즘을 구성시키기 위해 조립할 시 부서지거나 훼손되는 등의 하기와 같은 취급상의 문제가 있다.
즉, 종래에 실시하고 있는 방열시트를 이루고 있는 흑연(Graphite)으로 이루어진 그래파이트 부재는 편상구조의 흑연들이 발포되어 강력한 힘으로 압연되어 시트(Sheet)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바, 재질의 특성상 표면에 점착액이 도포된 상태에서 이형지를 탈피할때 상기 표면이 점착액과 같이 떨어져 나가는 표면박리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에서 흑연으로 이루어진 그래파이트 부재는 표면박리 현상으로 인해 상기 플라즈마 글래스와 알루미늄 샤시로 이루어진 히트 스프레더 사이에 위치되어 접착될 시 상기 히트 스프레더의 표면조도와 가공정밀성의 한계 때문에 평탄도 정밀유지가 어려운 동시에 상기 히트 스프레더가 알루미늄 샤시로 이루어져 있어 그래파이트 부재와 직접 접착되어 있을 시 알루미늄 샤시의 무게(약 20kg~30kg)가 무겁기 때문에 상기 그래파이트 부재의 점착액만으로는 접착력이 떨어져 서로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첨부도면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라즈마 글래스(1)와 알루미늄 샤시로 이루어진 히트 스프레더(2) 사이에 위치된 그래파이트 부재(3)와 별도로 분리된 상태의 폼 테이프(4)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폼 테이프(4)는 플라즈마 글래스(1)와 히트 스프레더(2)가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양면이 점착액으로 도포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상기 플라즈마 글래스(1)와 히트 스프레더(2) 및 그래파이트 부재 (3)을 부착하여 일체화시키는 작업에 있어, 상기 폼 테이프(4) 및 그래파이트 부재 (3)가 분리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일일이 직접 부착시켜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고, 상기의 번거로움과 작업성이 좋지 못하여 조립 및 생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으며, 전체적으로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PDP를 생산하는 작업 과정의 자동화를 이루지 못하고 저해시키는 큰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들로 인해 종래에 실시하고 있는 러버계열의 방열시트 또는 단순히 그래파이트 부재로 이루어진 방열시트는 사용시 어느 정도 그 효율성에 한계가 있고, 상기 방열시트를 부착시키는 작업 과정에서 손쉽게 자동화되지 못하여 생산자가 직접 수동으로 작업해야 되는 작업성 및 생산성의 저하가 유발되며, 전체적으로 볼 때 사용상의 만족도 및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항상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그래파이트(Graphite) 부재로 이루어진 방열시트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그래파이트(Graphite) 부재와 폼 테이프(Foam tape)를 일체화로 이루어 방열시트를 형성함으로써, PDP의 방열 메카리즘을 구성시키기 위해 조립할 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동시에 별도의 수작업 없이도 한번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자동화가 가능하게 하는 PDP용 방열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체적으로 방열시트의 작업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켜 이를 사용하여 방열 메카리즘을 구성시킬 때 생산성을 최대화시키는 동시에 사용상의 만족도 및 신뢰도를 극대화시키게 하는 PDP용 방열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흑연으로 이루어진 흑연층의 일측 표면에 점착액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흑연층과 도포된 점착액 사이에는 이형지를 탈피할 때 흑연층의 표면이 점착액과 같이 떨어져 나가는 표면박리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UV, 우레탄 또는 실리콘과 같은 도료층을 얇게 피막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흑연층의 타측 표면에 제조자 및 생산자에 의해 PDP 조립작업시 흑연이 묻어나지 않도록 UV, 우레탄 또는 실리콘과 같은 도료층을 얇게 피막처리하게 하는 그래파이트(Graphite) 부재와, 알루미늄 샤시로 이루어진 히트 스프레더의 안정적인 부착을 위해 양면에 점착액이 도포되어 있는 폼 테이프(Foam tape)를 일체로 이루어지는 PDP용 방열시트를 형성하여 방열 메카리즘을 구성시키도록 조립할 시 안정적인 부착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고, 전체적인 조립의 자동화를 이루기 위한 것이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제조자 및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첨부도면 도 4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a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그래파이트 부재와 폼 테이프가 일체화된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이형지를 탈피한 상태에서 PDP용 방열시트를 적용시킨 실시예시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래파이트 부재와 폼 테이프가 일체화된 상태의 다른 예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이형지를 탈피한 상태에서 PDP용 방열시트를 적용시킨 실시예시도이며,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래파이트 부재와 폼 테이프가 일체화된 상태의 또 다른 예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이형지를 탈피한 상태에서 PDP용 방열시트를 적용시킨 실시예시도이며,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래파이트 부재에 형성된 매쉬의 표면에 점착액이 도포된 상태의 또 다른 예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이형지를 탈피한 상태에서 PDP용 방열시트를 적용시킨 실시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래파이트 부재에 형성된 홈부에 폼 테이프가 삽입되어 일체화된 상태의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실시하는 그래파이트 부재의 양측면에 매쉬가 형성됨을 보여주는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 발명은 PDP(Plasma Display Panel)에 적용시켜 방열기능을 갖는 방열 메카리즘을 구성하도록 흑연으로 이루어진 흑연층(10)의 표면에 점착액(20)이 도포되어 있는 그래파이트 부재(100)와, 알루미늄 샤시로 이루어진 히트 스프레더의 안정적인 부착을 위해 양면에 점착액이 도포되어 있는 폼 테이프(200)로 이루어지는 PDP용 방열시트에 있어서, 상기 PDP용 방열시트(11)는 PDP(Plasma Display Panel)의 방열 메카리즘을 구성시키도록 조립하는데 안정적인 부착 결합과 조립의 자동화를 이루기 위해, 상기 그래파이트 부재(100)의 일측면에 폼 테이프(200)가 부착·결합되어 일체화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PDP용 방열시트(11-1)에는 폼 테이프(200)의 일측면에 일정한 크기를 갖는 홈부(201)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201)에는 그래파이트 부재(100)가 삽입·결합되어 일체화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PDP용 방열시트(11-2)에는 그래파이트 부재(100)의 일측면에 폼 테이프(200)가 부착·결합되되, 상기에서 부착·결합된 그래파이트 부재(100)의 일측면에는 표면이 쉽게 박리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매쉬(101)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PDP용 방열시트(11-3)에는 그래파이트 부재(100)의 일측면에 매쉬(101)가 형성되되, 상기 매쉬(101)의 일측 표면에는 부착의 극대화를 위해 점착액(102)이 도포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PDP용 방열시트(11-4)에는 그래파이트 부재(100)의 일측면에 일정한 크기를 갖는 홈부(100a)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100a)에는 폼 테이프(200)가 삽입·결합되어 일체화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그래파이트 부재(100)의 일측면과 타측면인 양측면에는 발생될 수 있는 표면의 박리현상을 방지하도록 매쉬(101)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하고 있는 그래파이트 부재, 폼 테이프 및 이를 부착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PDP용 방열시트의 구성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상기 폼 테이프의 재질 및 형상은 PDP의 성능 향상을 위해 여러가지 재질과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먼저, 상기 그래파이트 부재(100)는 PDP(Plasma Display Panel)에 적용시켜 열전도율을 향상시키도록 사용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그래파이트 부재(100)는 첨부도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흑연으로 이루어진 흑연층(10)이 형성되고, 상기 흑연층(10)의 일측 표면에는 다른 부재와 접착시키기 위한 점착액(20)이 도포되며, 상기 흑연층(10) 타측 표면에는 제조자 및 생산자에 의해 PDP의 조립 작업시 흑연이 묻어나는 것을 방지시키는 동시에 흑연층(10)의 훼손을 미연에 방지시키게 위해 UV, 우레탄 또는 실리콘과 같은 도료층(40)을 얇게 피막처리하여 이루어진다.
또는,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래파이트 부재(100)는 흑연층(10)의 표면이 점착액(20)과 같이 떨어져 나가는 표면박리 현상을 미연에 방지시키기 위해 흑연층(10)과 도포된 점착액(20) 사이에 UV, 우레탄 또는 실리콘과 같은 도료층(41)을 얇게 피막처리하여 이루어져 있고, 상기에서 피막처리된 도료층 (40)에 점착액(21)이 도포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PDP(Plasma Display Panel)의 방열 메카리즘을 구성시키도록 조립하는데 자동화를 이루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플라즈마 글래스(1)와 알루미늄 샤시로 이루어진 히트 스프레더(2) 사이에 그래파이트 부재(100)를 위치시키기 위해 작업자의 수작업이 아닌 자동화로 이루기 위한 것이다.
이는, 상기 플라즈마 글래스(1)와 히트 스프레더(2) 사이에 그래파이트 부재 (100)를 부착하여 일체화시키는 작업에 있어, 상기 폼 테이프(200) 및 그래파이트 부재(100)를 작업자가 일일이 직접 부착시키지 않더라도 자동화에 의해 부착시켜 일체화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첨부도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P(Plasma Display Panel)의 방열 메카리즘을 구성시키도록 조립하는데 자동화가 용이하도록 상기 그래파이트 부재(100)의 일측면에 폼 테이프(200)가 부착·결합되어 일체화된 PDP용 방열시트(11)를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PDP용 방열시트(11)를 사용하기 위해 이형지(300)를 탈피시키게 되면, 상기 그래파이트 부재(100)와 폼 테이프(200)가 플라즈마 글래스(1) 또는 히트 스프레더(2)에 한번의 작업으로 부착될 수가 있고, 또는 폼 테이프(200)의 일측면에는 알루미늄 샤시로 이루어진 히트 스프레더(2)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그래파이트 부재(100)에 직접 접착되어 있는 것보다는 월등하고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첨부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폼 테이프(200)의 일측면에 형성된 일정한 크기를 갖는 홈부(201)에 그래파이트 부재(100)가 삽입·결합되어 일체화된 PDP용 방열시트(11-1)를 이루는 것으로, 이는 상기 그래파이트 부재(100)와 폼 테이프(200)가 더욱 안정적으로 일체화되어 서로의 분리 및 이탈이 용이하지 못할 뿐더러 접착성이 더욱 향상되게 된다.
또한, 첨부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그래파이트 부재(100)의 일측면에 매쉬(1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매쉬(101) 측에 폼 테이프(200)가 부착·결합되어 PDP용 방열시트(11-2)를 이루는 것으로, 이는 상기 그래파이트 부재(100)와 폼 테이프(200)가 더욱 안정적으로 일체화되어 서로의 분리 및 이탈이 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그래파이트 부재(100)의 표면이 쉽게 박리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첨부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PDP용 방열시트(11-3)에는 그래파이트 부재(100)의 일측면에 매쉬(101)가 형성된 상태에서 부착 및 접착의 극대화를 위해 상기 매쉬(101)의 일측 표면에 점착액 (102)을 도포시키게 된다.
첨부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래파이트 부재(100)의 일측면에 형성된 일정한 크기를 갖는 홈부(100a)에 폼 테이프(200)가 삽입·결합되어 일체화된 PDP용 방열시트(11-4)를 이루는 것으로, 이 또한 상기 그래파이트 부재(100)와 폼 테이프(200)가 더욱 안정적으로 일체화되어 서로의 분리 및 이탈이 용이하지 못할 뿐더러 접착성이 더욱 향상되게 된다.
그리고, 첨부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실시하는 다른 예시도로서, 이는 상기 그래파이트 부재(100)의 일측면 뿐만 아니라 타측면에도 상기 매쉬(101)가 형성되는 것으로, 즉 상기 그래파이트 부재(100)의 표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박리현상을 방지시키기 위해 상기 그래파이트 부재(100)의 양측면에 매쉬(101)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매쉬(101)는 알루미늄, 동, 구리 및 천 등과 같은 재질을 생산자 및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살펴볼 때, 상기 플라즈마 글래스(1)와 히트 스프레더(2) 사이에 그래파이트 부재(100)와 폼 테이프(200)을 부착하여 일체화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일일이 상기 폼 테이프(200) 및 그래파이트 부재(100)를 직접 부착해던 작업을 상기 그래파이트 부재(100)와 폼 테이프(200)가 하나로 일체화된 PDP용 방열시트에서 이형지(300)만 탈피하게 되면 한번에 그래파이트 부재(100)와 폼 테이프(200)가 플라즈마 글래스(1) 또는 알루미늄 샤시로 이루어진 히트 스프레더(2)에 부착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작업성 및 조립성이 우수해지는 동시에 전체적으로 PDP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래파이트(Graphite) 부재와 폼 테이프(Foam tape)를 일체화로 이루어 방열시트를 형성함으로써, PDP의 방열 메카리즘을 구성시키기 위해 조립할 시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와 별도의 수작업 없이도 한번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자동화가 가능한 효과로 인해 전체적으로 PDP용 방열시트의 효율성이 향상되어 이를 사용하여 방열 메카리즘을 구성시킬 때 생산성 및 조립성이 최대화되고, 사용상의 만족도 및 신뢰도가 극대화되는 등의 여러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다.
도 1a는 플라즈마 글래스에 그래파이트 방열시트를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직접 부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b는 알루미늄 샤시로 이루어진 히트 스프레더에 폼 테이프를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직접 부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c는 도 1a 및 도 1b의 구성을 서로 부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예시도,
도 2a는 그래파이트 방열시트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 구성도,
도 2b는 도 2a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실시 단면 구성도,
도 3은 그래파이트 방열시트에 대한 다른 실시 단면 구성도,
도 4a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그래파이트 부재와 폼 테이프가 일체화된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4b는 도 4a의 이형지를 탈피한 상태에서 PDP용 방열시트를 적용시킨 실시예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래파이트 부재와 폼 테이프가 일체화된 상태의 다른 예시도,
도 5b는 도 5a의 이형지를 탈피한 상태에서 PDP용 방열시트를 적용시킨 실시예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래파이트 부재와 폼 테이프가 일체화된 상태의 또 다른 예시도,
도 6b는 도 6a의 이형지를 탈피한 상태에서 PDP용 방열시트를 적용시킨 실시예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래파이트 부재에 형성된 매쉬의 표면에 점착액이 도포된 상태의 또 다른 예시도,
도 7b는 도 7a의 이형지를 탈피한 상태에서 PDP용 방열시트를 적용시킨 실시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래파이트 부재에 형성된 홈부에 폼 테이프가 삽입되어 일체화된 상태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실시하는 그래파이트 부재의 양측면에 매쉬가 형성됨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라즈마 글래스
2 : 알루미늄 샤시로 이루어진 히트 스프레더
3,100 : 그래파이트 방열시트
4,200 : 폼 테이프(Foam tape)
10 : 흑연층
11,11-1,11-2 : PDP용 방열시트
20,21 : 점착액
40,41 : 도료층
101 : 매쉬
300 : 이형지

Claims (6)

  1. PDP에 적용시켜 방열기능을 갖는 방열 메카리즘을 구성하도록 흑연으로 이루어진 흑연층의 표면에 점착액이 도포되어 있는 그래파이트 부재와, 알루미늄 샤시로 이루어진 히트 스프레더의 안정적인 부착을 위해 양면에 점착액이 도포되어 있는 폼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PDP용 방열시트에 있어서,
    상기 PDP용 방열시트는 PDP의 방열 메카리즘을 구성시키도록 조립하는데 안정적인 부착 결합과 조립의 자동화를 이루기 위해, 상기 그래파이트 부재의 일측면에 폼 테이프가 부착·결합되어 일체화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피용 방열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DP용 방열시트에는 폼 테이프의 일측면에 일정한 크기를 갖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그래파이트 부재가 삽입·결합되어 일체화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피용 방열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DP용 방열시트에는 그래파이트 부재의 일측면에 일정한 크기를 갖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폼 테이프가 삽입·결합되어 일체화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피용 방열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DP용 방열시트에는 그래파이트 부재의 일측면에 폼 테이프가 부착·결합되되, 상기에서 부착·결합된 그래파이트 부재의 일측면에는 표면이 쉽게 박리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매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피용 방열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DP용 방열시트에는 그래파이트 부재의 일측면에 매쉬가 형성되되, 상기 매쉬의 일측 표면에는 부착의 극대화를 위해 점착액이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피용 방열시트.
  6. 제4항 또는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파이트 부재의 일측면과 타측면인 양측면에는 발생될 수 있는 표면의 박리현상을 방지하도록 매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피용 방열시트.
KR1020040028431A 2004-04-23 2004-04-23 피디피용 방열시트 KR100554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431A KR100554097B1 (ko) 2004-04-23 2004-04-23 피디피용 방열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431A KR100554097B1 (ko) 2004-04-23 2004-04-23 피디피용 방열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041A true KR20050103041A (ko) 2005-10-27
KR100554097B1 KR100554097B1 (ko) 2006-02-22

Family

ID=37281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431A KR100554097B1 (ko) 2004-04-23 2004-04-23 피디피용 방열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40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210B1 (ko) * 2006-03-28 2007-10-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0882606B1 (ko) * 2007-02-02 2009-02-12 자화전자(주) 열 확산기와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WO2011119007A2 (ko) * 2010-03-26 2011-09-29 율촌화학 주식회사 방열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990B1 (ko) 2010-07-05 2012-10-12 율촌화학 주식회사 방열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93457A (ko) * 2013-01-18 2014-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열 시트
KR102241412B1 (ko) 2014-08-19 2021-04-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복합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210B1 (ko) * 2006-03-28 2007-10-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0882606B1 (ko) * 2007-02-02 2009-02-12 자화전자(주) 열 확산기와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WO2011119007A2 (ko) * 2010-03-26 2011-09-29 율촌화학 주식회사 방열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WO2011119007A3 (ko) * 2010-03-26 2012-03-15 율촌화학 주식회사 방열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KR101151599B1 (ko) * 2010-03-26 2012-05-31 율촌화학 주식회사 방열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4097B1 (ko) 200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81627B2 (ja) 画像表示装置
CN107657899B (zh) 显示装置
JP4248519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TWI269582B (en) Display device
JP4261888B2 (ja) 表示装置
EP2651202B1 (en) Image displaying apparatus
US7679931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having improved structure and heat dissipation
US7545458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liquid crystal module defining a plurality of positioning columns along each edge of a top surface thereof
KR20020030188A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방열 시스템
KR100554097B1 (ko) 피디피용 방열시트
US7283184B2 (en) Structure for assembling lamp wire for backlight assembly into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US20050219807A1 (en) Portable multi-display device
KR100699588B1 (ko) 피디피용 그래파이트 방열시트가 구비된 이형지
KR100560201B1 (ko) 피디피용 그래파이트 방열시트
US20050077835A1 (en) Thermal conductive medium for display device,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plasma display panel assembly using the same
US6929503B2 (en) Mounting structure for lamp wires of a back light module
EP1032202A2 (en) Image display device
US20080203880A1 (en) Plasma display device
US7575446B2 (en) Chassis assembly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74113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6742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06257A (ko) 열을 발생시키는 전자장치용 그래파이트 방열시트
KR100402744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
KR100731457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CN207778158U (zh) 背光模组、显示模组和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