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2176A - 관로내 물, 가스, 기름등의 대량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자동차단밸브 - Google Patents

관로내 물, 가스, 기름등의 대량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자동차단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2176A
KR20050102176A KR1020040027324A KR20040027324A KR20050102176A KR 20050102176 A KR20050102176 A KR 20050102176A KR 1020040027324 A KR1020040027324 A KR 1020040027324A KR 20040027324 A KR20040027324 A KR 20040027324A KR 20050102176 A KR20050102176 A KR 20050102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hamber
pressure
fluid
valve
sh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6141B1 (ko
Inventor
장대순
Original Assignee
장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대순 filed Critical 장대순
Priority to KR1020040027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141B1/ko
Publication of KR20050102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1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20Excess-flow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20Excess-flow valves
    • F16K17/22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20Excess-flow valves
    • F16K17/34Excess-flow valves in which the flow-energy of the flowing medium actuates the closing 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one side of the piston being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for mounting on, or in combination with, hand-actuat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적으로 관로내 누수 및 파손을 감지하는 자동차단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관이나 가스관 또는 유류관이 굴삭작업이나 지진과 같은 재난 등에 의하여 파손되어 물, 가스,기름 등이 유출되고 이로 인한 급속한 유량 및 유속의 감소가 있는 경우 종전의 전기적 또는 전자적 장치가 아닌 기계적 장치에 의하여 자동차단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장치는 사용자가 위험발생시 종전의 전기적 또는 수동에 의한 조작으로 제어하기 이전이라도 (즉, 관리자가 사고를 인식하기 이전에) 사고발생 직후에 즉각적으로 밸브가 관로를 잠그는 재난방지장치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단장치는 종전의 다이어프램방식이 아닌 가압실린더방식을 사용하였으며, 관로의 파손으로 인하여 기름, 가스등의 누출시 1차적으로 스프링의 힘으로 관로를 차단하게 되며, 2차적으로 가압관로에서 유입된 기름, 가스등에 의하여 압력이 스프링과 함께 더욱 큰 힘이 가해짐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확실한 관로의 차단이 이루어 질 수 있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관로내 물, 가스, 기름등의 대량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단밸브 {automatic shutting valve for leakage prevention of water, gas, oil in the pipe}
본 발명은 자동적으로 관로내 누수 및 파손을 감지하는 자동차단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관이나 가스관 또는 유류관이 파손으로 인해 물, 가스,기름 등이 유출되고 이로 인한 급속한 유량 및 유속의 감소가 있는 경우 전기적 또는 전자적 장치가 아닌 기계적 장치에 의하여 자동차단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유류등에 관한 이상배출시 자동차단하는 장치에 관하여 기계적 장치 및 전자적 장치가 있다. 전자적 장치의 경우 기계식보다 신속하며,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지진등의 커다란 재난이나 정전등으로 인한 배선계통의 사고가 있는 경우 조작이 제대로 되지 않고, 상시 전기를 공급해야 하므로 유지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기계적으로 가스, 기름등을 차단하는 장치로는 다음과 같다.
다이어프램을 이용하여 가스가 누설될때 가스압의 감소를 예민하게 감시하여 자동으로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 1983-0002224호 『저압가스 누설차단기』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장치는 철판의 유연성을 이용한 다이어프램을 사용함으로써 고압의 송수관이나 가스배송관에는 사용하기 어렵다. 더욱이 상기 다이어프램은 본 발명에 비하여 많은 공간을 차지함으로써 공간확보의 어려움이 있으며, 이에 따른 인력과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한다.
또한, 압력조절장치로 스프링만을 이용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시 스프링에 녹이 발생하여 처음 조정했던 압력에서 동작이 이뤄지지 않아 가스, 기름등이 제대로 차단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자동차단밸브장치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가압실린더방식을 사용하여 고압 및 대용량의 관로에서도 동작할 수 있는 자동차단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부가압관로를 이용하여 스프링에 의한 1차적 차단장치와는 별도로 2차적으로 기존압력의 수배에 달하는 압력을 가하여 완벽한 제어가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단밸브장치는 관로의 파손으로 관로내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이 떨어지면, 관로에 별도로 부착된 압력실내부에 있는 스프링에 의하여 잠금장치가 작동하여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자동차단밸브로써, 상기 압력실은 압력판에 의하여 상하로 구분되어 상부압력실과 하부압력실을 가지는 압력실; 상기 관로에서 분리되어 일부 유체를 상부압력실로 이동시키는 상부가압관로; 상기 관로에서 분리되어 일부 유체를 하부압력실로 이동시키는 하부가압관로; 상기 압력실을 관통하면서 중간에는 압력판을 구비하고, 하부에는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관로의 유체의 흐름을 통과 및 차단시키는 밸브게이트를 가진 메인샤프트; 상기 상부압력실내부의 압력판상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압력판의 상하동작에 따라 상부가압관로의 유체의 흐름을 통과 및 차단시키는 비상핀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단밸브장치의 구성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사시도로써 관로(1)에 흐르는 유체가 누설등으로 인한 압력변화시 자동차단밸브가 작동하여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관로(1)에 압력감지장치인 압력실을 관로(1)와 후렌지(2)연결하였으며, 상기 압력실의 전방부인 유체의 입력부분에서 상기 관로(1)와는 별도로 일부 유체를 상부압력실(11)로 이동시키는 상부가압관로(40)를 형성하였고, 압력실의 후방부인 유체의 배출부분에는 상기 관로(1)와는 별도로 일부 유체를 하부압력실(12)로 이동시키는 하부가압관로(41)를 형성하였다. 이때 상부가압관로(40)에는 내부를 개폐할 수 있는 중간밸브(44)를 구비하고 있으며, 도면에는 나타나있지 않지만, 하부가압관로(41)에도 중간밸브를 부착하여 작업상의 편의성을 줄 수도 있다.
또한 압력실의 상부에는 손잡이가 달린 압력핸들(32a)를 메인샤프트(32)의 상단에 부착하였으며, 상기 메인샤프트(32)은 상기 압력실의 중심을 관통하여 관로(1)내에 있는 잠금밸브(34)게이트까지 연결된다.
도2에서는 본 장치의 정단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정상적으로 관로(1)내에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며 유체가 흐르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상기 자동차단밸브는 유체의 압력강하를 감지하는 압력실과 관로(1)에서 상기 압력실로 일부 유체를 이동시키는 가압관로(40)(41), 상기 압력실을 관통하면서 중심부에 스프링(16)과 압력판(18)을 구비하고 있으며 하부에는 잠금밸브(34)를 부착하고 있는 메인샤프트(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은 비닐로 이루어진 튜브에 의하여 감싸여져 있으며, 이때 튜브의 재질은 비닐이외에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무엇이나 가능하다.
상기 압력실은 압력판(18)에 의하여 구분되며 압력판(18)의 상부를 상부압력실(11), 압력판(18)의 하부를 하부압력실(12)이라 한다. 이때 상부압력실(11)은 중심부에 메인샤프트(32)에 끼워져있으며 상기 압력판(18)과 상부압력실(11)의 상부케이스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는 스프링(16)을 구비하고 있으며, 압력판(18) 상부에 고정되어 상부가압관로(40)의 유체의 흐름을 개폐할 수 있는 비상핀(1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압력판(18)은 압력실을 평단면과 동일한 원형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압력판(18)의 외경은 상기 압력실의 내경과 일치하여 상·하부가 상호 밀폐될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압력판(18)과 압력실의 접촉부위로써 압력판(18)의 외경부에는 완전한 밀폐를 이룰 수 있는 실링(19)수단을 두었다.
상기 비상핀(13)은 상부는 화살촉 또는 원형돔모양으로 상부가압관로(40)에 쉽게 끼워질수있게 되어있으며 하부는 균일폭을 가진 봉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만 비상핀 상부의 형상은 위에서 설시한 것에 한하지 않으며 그 형상을 일부 변형시켜 기밀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라면 무엇이나 가능하다.
상기 비상핀(13)의 상부로서 상부가압관로(40)와 맞닿아 있는 부분은 고무, 금속, 실리콘, 알루미늄 기타 기밀성을 높일 수 있는 재료를 부착시키며, 비상핀(13)의 주위는 튜브(14)로 감싸게 된다. 또한 상기 비상핀의 하부에는 지지스프링를 두었으며, 상기 지지스프링(15)은 상기 비상핀(13)이 작은 움직임으로 인하여 상부가압관로와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상기 비상핀(13)의 튜브(14)는 일반적으로 비상핀(13)의 길이방향(종방향)으로는 쉽게 찢어지나, 횡방향으로는 쉽게 찢어지지 않는 재질을 선택하며, 횡방향의 강도개선을 위해 얇은 금속링을 횡방향으로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압력실(11)의 압력실케이스(10)의 상부에는 외부로 돌기가 형성된 구멍이 있고 상기 돌기형상의 드레인(30)은 구멍을 막는 마개가 끼워져 있다.
하부압력실(12)의 저부에는 사각돌기형상의 기름저장턱(20)을 구비하였고, 상기 기름저장턱(20)의 높이는 완전잠금에 방해되지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압력실(12)의 하부압력실(12)케이스에는 하부가압관로(41)와 연결된 연결통로가 있다.
상기 압력실의 하부에는 관로(1)내의 유체를 개폐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어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상기 개폐장치는 유체가 통과하는 원형구멍(35)이 있으며, 상기 원형구멍(35)을 막을 수 있는 장치로써 잠금밸브(34)게이트가 있다.
상기 잠금밸브(34)게이트는 상기 메인샤프트(32)의 하단에 부착되어 있으며, 원형판의 형상으로 상기 원형구멍(35)에 밀착시 완전한 밀폐가 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압력실케이스(10)의 상부로써 메인샤프트(32)과 맞닿아있는 곳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어있고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삼각고정쇠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샤프트(32)에는 상기 삼각고정쇠가 결합될 수 있는 삼각홈이 파져있다. 상기 삼각홈은 메인샤프트(32)이 최하부까지 이동된 경우 상기 삼각고정쇠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관한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2에서는 관로(1)의 파손이 없는 정상상태에서 관로(1)내 유체가 흐르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3은 관로(1)내 파손이 있어 하부압력실(12)내 압력이 떨어지는 경우 본발명에 따른 압력밸브가 작동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4는 상기 도3에 따른 압력밸브가 완전히 작용하여 관로(1)내 유체의 흐름이 완전히 차단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5는 파손된 관로(1)가 수리된 경우 원상회복하기 위하여 상부압력실(11)내의 가스, 기름, 물들을 빼내고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관로(1)내 유체는 일정한 압력으로 관로(1)내부를 흐르고 있으며, 상기 유체 중 일부는 하부가압관로(41)를 통하여 하부압력실(12)에 유입된다. 다만 일단 유입된 유체가 상기 하부압력실(12)에 가득차게 되면 더 이상 유입되지 않고 유체의 압력만을 압력판(18)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전달된 하부압력실(12)의 압력은 압력실케이스(10)의 스프링(16) 및 상부가압관로(40)에 있는 유체의 압력과 일정한 균형을 이루어 있어, 상기 압력판(18)은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하부압력실(12)내의 유체의 힘이 상부압력실(11)의 스프링(16) 및 상부가압관로(40)에 있는 유체의 압력보다 커서 일반적인 관로(1)내의 압력의 변화에 따라 압력판(18)이 상하로 움직이지 않는다.
다만, 본 장치에 미량의 진동이나 흔들림등에 의하여 상부가압관로(40)를 막고있는 비상핀(13)이 움직이게 되면 뜻하지 않게 유체가 흘러내려 관로(1)의 파손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관로가 닫힐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는 비상핀(13)이 상부가압관로(40)와 맞닿는 부분을 기밀성이 좋은 고무, 실리콘등을 감싸놓았으며, 2차적으로는 비상핀(13)의 주위를 튜브(14)로 감싸서 예기치 못한 누설에 대비하여 일정량이상 흘러내리지 않게 하였으며, 3차적으로는 비상핀(13)의 하단에 지지스프링(15)을 설치하여 작은 요동에 대하여 스프링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하는등 3단계에 걸쳐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고 있다.
이때, 상부압력실(11)에 있는 스프링(16)은 탄성이 조정될 수 있는 공지의 조절수단을 사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필요한 스프링의 장력을 맞추어서 원하는 수준의 압력이하로 떨어지면 본 장치가 작동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의 장력은 초기설계시 설치장소의 유량, 유속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지만, 설치후 사용자가 볼트등의 탭을 이용하여 현장사정에 맞추어 압력계를 이용하여 적정한 압력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도3 및 도4에서는 본 장치의 작동원리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는데, 관로(1)에 파손이 발생하여 유체의 압력이 하강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하부압력실(12)에 작용하는 압력도 점점 내려가게 된다. 하강한 압력이 상부압력실(11)내부의 압력인 스프링과 상부가압관로(40)의 압력보다 낮아지게 되면 압력판(18)이 점점 하강하게 된다. (다만 이 경우 상부가압관로(40)의 압력은 당해 단면적이 작아 실제로는 거의 압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하강으로 인하여 비상핀(13)이 상부가압관로(40)와 분리되면(비상핀(13)의 보호튜브를 압력판(18)의 하강으로 인하여 찢어지게 된다) 상부가압관로(40)에서 유체가 분출되게 되며 분출된 유체는 스프링의 압력과는 별도의 힘을 압력판(18)에 가하게 된다. 이때, 분출된 유체가 상부가압관로(40)에 가득차게 되면 유체에 의한 하부압력판(18)의 압력과 상부압력판(18)의 압력이 동일하게 되며, 결국 압력판(18)의 하강은 순수한 스프링(16)의 힘에 의하여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종전의 스프링에만 의존하던 방식과는 달리 스프링이 부식에 의하여 탄성력이 감소하더라도 완전한 밀폐가 가능하게 된다.
다만, 상기 압력판(18)의 하강시 금속재 압력실과 압력판(18)이 상호 미끄러져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압력판(18)의 보호를 위하여 부식방지기름을 실링(19)에 묻힌다. 다만, 미끄러져내려오는 압력판(18)의 실링(19)에 계속적인 부식방지기름의 보충을 위하여 압력판(18)의 하부에도 부식방지기름를 보충한다. 상기와 같이 보충된 부식방지기름은 하부압력판(18)에 흘러들어오는 액체상태의 유체가 흘러들어오면 (만약 물이라면 상기 부식방지기름은 비중이 물보다 가벼워서 상기 물위로 뜨게 되며, 만약 유체가 기름이라면 별도의 부식방지기름은 필요치 않게된다.) 실링부에 닿게되어 상기 실링(19)의 마모를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압력실(12)에 있는 부식방지기름의 흘러내림방지를 위하여 저부에 기름저장턱(20)을 두었다. 또한, 상기 기름저장턱(20)은 압력판(18)이 하부압력실(12)의 최하부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되는데, 이는 흘러들어온 유체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저면에 쌓이게 되며, 이때 쌓여있는 이물질이 상기 압력판(18)의 실링(19)에 끼여 심한 마모가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완전한 하강이 일어난 후에는 압력실케이스상부에 부착된 안전차단클립(33)이 작동하여 메인샤프트(32)의 상단에 있는 삼각홈에 결합되게 되며, 밀폐는 완전히 고정되게 된다.
도5에서는 관로(1)의 파손을 수리한 경우 원위치로 압력판(18)을 복원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 완전하게 하강하여 고정된 압력판(18)이 안전차단클립(33)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관로(1)의 복구작업이 이뤄지게 되며 상기 복구작업이 끝나서 압력판(18)을 원상태로 하고자 할 경우 우선 상부가압관로(40)를 차단하여 부가적인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고 상부압력실(11)에 있는 드레인(30) 커버를 열게된다. 메인샤프트(32)의 상단에 부착된 압력핸들(32a)을 잡아당기게 되면 드레인(30)을 통하여 유체가 빠져나오게 되며, 상부압력실(11)에 유체가 빠져나가게 되면, 상기 드레인커버(31)를 닫고, 최종적으로 비상핀(13)과 그 커버를 교체해주면 복원작업이 마무리 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실시례에 나타난 것과 같은 글로우브 밸브의 경우에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방식으로 관로를 개폐하는 게이트밸브에도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발명과 같은 상하 수직운동이 아닌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관로를 개폐하는 볼밸브의 경우도 공지의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수직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화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기술적사상을 동일하게 사용하는 장치라면 어떠한 밸브에 사용하여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단밸브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다이어프램방식이 아닌 가압실린더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압력판의 재질변화를 통하여 고압에서도 무리없이 동작할 수 있다.
둘째, 스프링에 의한 1차적 차단장치와 별도로 상부가압관로를 이용한 기존의 압력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는 2차압력장치를 부가함으로써 신속하면서도 확실한 유체의 공급차단을 이룰 수 있다.
셋째, 하부압력실의 저부에 기름저장턱을 구비하여 압력판의 실링이 하부에 침전된 이물질등과 접촉이 일어나지 않게 함은 물론 저부에 있는 부식방지 기름이 흘러내리지 않게 한다.
넷째, 스프링 및 비상핀의 주위에 튜브를 감싸서 장기간 사용시 스프링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비상핀의 튜브는 예상치 못한 기밀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발명에 따른 자동차단밸브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자동차단밸브의 내부모습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3은 자동차단밸브가 작동하여 스프링에 의하여 압력판이 하강하는 모습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4는 자동차단밸브가 작동하여 압력판이 최종하강된 모습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자동차단밸브의 작동후 원래 상태로 복원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 관로 2: 후렌지
10: 압력실케이스 11: 상부압력실
12: 하부압력실 13: 비상핀
14: 비상핀튜브 15: 지지스프링
16: 스프링 17: 스프링튜브
18: 압력판 19: 실링
20: 기름저장턱 30: 드레인
31: 드레인커버 32: 메인샤프트
32a : 압력핸들 33: 안전차단클립
34: 잠금밸브게이트 35: 원형구멍
40: 상부가압관로 41: 하부가압관로
42: 상부압력게이지 43: 하부압력게이지
44: 중간밸브

Claims (9)

  1. 관로의 파손으로 관로내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이 떨어지면, 관로에별도로 부착된 압력실내부에 있는 스프링에 의하여 잠금장치가 작동하여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자동차단밸브에 있어서,
    상기 압력실은 압력판에 의하여 상하로 구분되어 상부압력실과 하부압력실을가지는 압력실;
    상기 관로에서 분리되어 자동차단밸브로 유입되는 유체의 일부를 상부압력실로 이동시키는 상부가압관로;
    상기 관로에서 분리되어 자동차단밸브에서 유출되는 유체의 일부를 하부압력실로 이동시키는 하부가압관로;
    상기 압력실을 관통하면서 중간에는 압력판을 구비하고, 하부에는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관로의 유체의 흐름을 통과 및 차단시키는 장치를 가진 메인샤프트;
    상기 상부압력실내부의 압력판상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압력판의 상하동작에 따라 상부가압관로의 유체의 흐름을 통과 및 차단시키는 비상핀으로 구성되어,
    상기 관로의 파손시 압력판과 비상핀이 하강하여 상부압력실로 유체가 흘러들어오게 되며 상부압력실로 흘러들어온 유체가 스프링에 의하여 하강하는 압력판에 힘을 가하게 됨으로써 더욱 큰 하강압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단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압력실내부의 유체배출 및 차단을 위하여 배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드레인 및 상기 상부압력실내부의 유체 배출시 상부압력실내로 유체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개폐수단으로 상부가압관로상에 위치한 중간밸브로 구성되어,
    관로의 파손으로 자동차단된 관로의 복원을 위하여 상기 중간밸브를 닫아 상부압력실내부로 추가적인 유체의 흐름을 차단한후, 상기 드레인을 개방하여 상부압력실내 유체를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단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부압력실내부에 유입된 유체 및 공기로 인한 부식 및 이물질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의 주위에 보호튜브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단밸브.
  4.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하부압력에 따른 적정한 스프링탄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압력측정장치 및 탄성조정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단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핀은 상부가압관로와의 접촉부인 상단부 둘레에 별도의 밀폐장치를 두어 틈새로 유체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단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핀은 그 하단부인 압력판과의 접촉부에 지지스프링을 부착시켜 상기 자동차단밸브의 충격으로 인한 흔들림으로도 기밀성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단밸브.
  7. 제1항,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핀은 상기 상부가압관로와의 밀폐부위에서 흘러나오는 유체를 담아두기 위하여 그 주위를 감싸기 위한 보호튜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단밸브.
  8. 제1항에 있어서,
    압력실의 상부외측에는 상기 자동차단밸브가 작동하여 상기 잠금밸브게이트가 관로를 차단하게 되면 상기 메인샤프트의 위치가 고정되어 관로의 차단이 유지되도록 압력실의 상부에 고정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단밸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압력실의 저부에는 관로의 완전밀폐를 차단하지 않는 높이를 가진 사각돌기형상의 기름저장턱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압력판의 하강시에도 하부압력실의 저부까지 도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단밸브.
KR1020040027324A 2004-04-21 2004-04-21 관로내 물, 가스, 기름등의 대량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자동차단밸브 KR101036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324A KR101036141B1 (ko) 2004-04-21 2004-04-21 관로내 물, 가스, 기름등의 대량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자동차단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324A KR101036141B1 (ko) 2004-04-21 2004-04-21 관로내 물, 가스, 기름등의 대량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자동차단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176A true KR20050102176A (ko) 2005-10-26
KR101036141B1 KR101036141B1 (ko) 2011-05-23

Family

ID=37280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324A KR101036141B1 (ko) 2004-04-21 2004-04-21 관로내 물, 가스, 기름등의 대량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자동차단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1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285B1 (ko) * 2004-05-14 2012-02-20 장대순 관로내 물, 가스, 기름의 누설차단장치
CN110864454A (zh) * 2019-10-28 2020-03-06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燃气热水器进水接头及具有该进水接头的燃气热水器
CN113577474A (zh) * 2021-07-20 2021-11-02 杭州医学院 一种医院集中供氧监控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6675A (ja) 1983-12-22 1985-07-20 Fuji Seikou Kk 金属ダイヤフラム式安全弁
JPH0587262A (ja) * 1991-09-24 1993-04-06 Tokico Ltd ガス流出防止弁
JPH11108220A (ja) 1997-10-09 1999-04-20 Maezawa Ind Inc 緊急遮断弁
JP2004028230A (ja) 2002-06-26 2004-01-29 Kubota Corp 自力式緊急遮断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285B1 (ko) * 2004-05-14 2012-02-20 장대순 관로내 물, 가스, 기름의 누설차단장치
CN110864454A (zh) * 2019-10-28 2020-03-06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燃气热水器进水接头及具有该进水接头的燃气热水器
CN113577474A (zh) * 2021-07-20 2021-11-02 杭州医学院 一种医院集中供氧监控系统
CN113577474B (zh) * 2021-07-20 2022-02-22 杭州医学院 一种医院集中供氧监控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6141B1 (ko) 2011-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6751B2 (en) Wet barrel fire hydrant flow preventer
CA2704427C (en) Double block and bleed plug
KR101113285B1 (ko) 관로내 물, 가스, 기름의 누설차단장치
JP2008111554A (ja) 燃料分配装置で利用するための遮断バルブ
US20080060701A1 (en) Earthquake safety valve for shutting off overflowing gas
US6308730B1 (en) Gas stream monitor
KR101036141B1 (ko) 관로내 물, 가스, 기름등의 대량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자동차단밸브
WO2021121033A1 (zh) 简易截流装置及其使用方法、安装该装置的管道
JP4685469B2 (ja) ウオータハンマ防止用閉止弁及びそれを用いた放水設備
KR200352304Y1 (ko) 수봉장치의 첵크밸브와 이를 이용한 수봉장치
CN112648465B (zh) 一种水锤消除罐
KR101287701B1 (ko) 수격방지장치
CN210164915U (zh) 一种中小通径升降式防水锤截止阀
KR102018835B1 (ko) 주유배관 누설 방지장치
CN112855947B (zh) 滑动型空气阀
KR101573894B1 (ko) 역류방지와 수격방지용 밸브장치
JP5289876B2 (ja) ヒューズ継手
WO2002075266A1 (en) Adapter for installing a pressure gauge
CN209781785U (zh) 防漏水装置
RU2484348C1 (ru) Обратный клапан
RU2482367C1 (ru) Обратный клапан
RU2208730C2 (ru) Автомат аварийного закрытия крана на магистральных газопроводах
JP2908308B2 (ja) 遮断装置
KR101754276B1 (ko) 충격감지 잠금 스프링 밸브
CN205446899U (zh) 一种适用于石油储罐可在线检测的安全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