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1820A -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의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의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1820A
KR20050101820A KR1020040027037A KR20040027037A KR20050101820A KR 20050101820 A KR20050101820 A KR 20050101820A KR 1020040027037 A KR1020040027037 A KR 1020040027037A KR 20040027037 A KR20040027037 A KR 20040027037A KR 20050101820 A KR20050101820 A KR 20050101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compact camera
electrically connected
rotating plate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2660B1 (ko
Inventor
김동준
박용근
송호근
Original Assignee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7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660B1/ko
Publication of KR20050101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6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285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including two or more different focus detection devices, e.g. both an active and a passive focus detect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의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시간의 반복적인 사용에도 확실한 접속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교체 주기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에 수직하게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씩 수평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콤팩트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장착되는 인터페이스보드와; 상기 인터페이스보드의 일측부에 상기 소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리드핀과; 일단이 콤팩트 카메라 모듈의 초점 검사를 수행하는 테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의 외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타단부가 상기 리드핀과 접속 및 해제되면서 테스터와 리드핀을 전기적으로 연결 및 해제하는 복수개의 외부 단자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의 접속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의 접속장치{Connecting Assembly for inspection focus of compact camera module(CCM) in CCM handler}
본 발명은 콤팩트 카메라 모듈의 제작에 사용되는 핸들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 등에 사용되는 콤팩트 카메라 모듈을 초점 검사 장치의 전기적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주는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의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랩탑 컴퓨터나 PDA, 또는 무선 이동 통신 분야에서는 각자의 고유한 기본 기능에 부가하여 본체 또는 단말기 자체에 디지털 카메라 모듈을 내장하거나 외장형 디지털 카메라 모듈을 장착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하고 있으며, 그 사용 또한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영상 촬영 기능을 구현하는 콤팩트 카메라 모듈(CCM : Compact Camera Module)은 렌즈와 상기 렌즈를 통해 입사된 빛을 이미지화하여 저장하는 예컨대 CCD 또는 CMOS 등의 촬상소자로 구성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케이스 또는 별도의 외장 케이스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콤팩트 카메라 모듈은 제작 후 출하 전에 초점이 조정된 상태로 출하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콤팩트 카메라 모듈을 제작한 후 별도의 초점 조정 장비에 콤팩트 카메라 모듈을 장착하여 초점을 조정한 다음, 초점 조정된 콤팩트 카메라 모듈을 별도의 에폭시 도포 장치로 반송하여 에폭시를 도포하고, 이를 경화장치에서 경화시켜 초점 조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콤팩트 카메라 모듈의 초점 조정 장비는 콤팩트 카메라 모듈과 초점 조정 및 검사를 수행하는 테스터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장치의 구조적 문제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다.
즉, 콤팩트 카메라 모듈의 초점 조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콤팩트 카메라 모듈을 로딩위치에서부터 초점 조정 위치로 반송한 다음, 별도의 접속장치로 콤팩트 카메라 모듈과 외부의 테스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콤팩트 카메라 모듈 초점 조정 장비는 콤팩트 카메라 모듈이 접속되는 소켓과 테스터를 연결하는 접속장치가 완전히 고정된 구조이거나, 테스터의 뾰족한 단자핀이 소켓이 장착된 PCB의 접속용 단자홀에 반복적으로 삽입되면서 콤팩트 카메라 모듈과 초점 조정 장치가 접속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접속장치가 완전히 고정된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별도의 반송 픽커가 콤팩트 카메라 모듈을 접속장치에 삽입하고, 초점 조정 및 검사 완료후 다시 별도의 반송 픽커가 접속장치에서 콤팩트 카메라 모듈을 반출하여 소정의 공정 위치로 반송해야 하므로 픽커의 동선이 길어지고, 주변 장치와의 연계 구조가 복잡해지며, 장비의 크기도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테스터의 뾰족한 단자핀이 소켓이 장착된 PCB의 접속용 단자홀에 접속되면서 콤팩트 카메라 모듈과 테스터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테스터의 단자핀이 PCB의 단자홀에 반복적으로 삽입될 때 홀 주변의 랜드(land)를 마모시키게 되므로 수명이 짧아져 PCB를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물론, 이 경우에는 PCB 상에서 소켓을 분리해야 하므로 교체 작업에 매우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결과적으로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콤팩트 카메라 모듈과 외부의 초점 조정/검사 장치와의 전기적 연결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며, 장시간의 반복적인 사용에도 확실한 접속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교체 주기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의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에 수직하게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씩 수평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콤팩트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장착되는 인터페이스보드와; 상기 인터페이스보드의 일측부에 상기 소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리드핀과; 일단이 콤팩트 카메라 모듈의 초점 검사를 수행하는 테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의 외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타단부가 상기 리드핀과 접속 및 해제되면서 테스터와 리드핀을 전기적으로 연결 및 해제하는 복수개의 외부 단자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의 접속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의 접속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의 접속장치는 핸들러 본체의 베이스부(미도시)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1)과, 이 회전축(11)을 중심으로 180도씩 수평 회전하는 회전판(10)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판(10)의 양단부에는 콤팩트 카메라 모듈(C)과 외부의 테스터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보드(60)가 각각 설치되며, 이 인터페이스보드(60)의 일단부에는 초점 조정될 콤팩트 카메라 모듈(C)이 안착되면서 접속되는 소켓(30)이 장착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보드(60)의 타단부는 회전판(10)의 일측방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이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상기 소켓(30)의 각 단자(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단자홀(62)이 형성된다.
상기 각 단자홀(62)에는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의 리드핀(63)이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면서 고정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보드(60)는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이 상기 회전판(10) 양단부에 일측방으로 돌출된 중공의 고정대(64)의 상부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기 각각의 리드핀(63)들은 상기 고정대(64)의 하부에 결합되는 접속판(66)의 관통홀(67)을 통과하면서 지지된다.
한편, 상기 회전판(10)이 정지하는 초점 조정 위치의 하부에는 일단이 콤팩트 카메라 모듈(C)의 초점을 검사하는 테스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각각의 리드핀(63)과 일대일로 접속되는 복수개의 외부 단자핀(70)이 설치된다.
상기 외부 단자핀(70)은 베이스부(미도시) 상에서 일정정도 상하로 승강운동하는 승강블록(75)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블록(75)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소정 높이로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리드핀(63)과 접속 및 해제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승강블록(75)은 공압실린더와 같은 구동장치에 의해 상하로 승강한다.
또한, 상기 외부 단자핀(70)은 리드핀(63)과 접속될 때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약간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단자핀(70)은 상기 승강블록(75)에 고정되는 고정부(71)와, 이 고정부(71)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미도시)과,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상기 고정부(71)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속부(72)로 이루어진, 일종의 포고핀(pogo pin)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단자핀(70)의 접속부(72) 상단부에는 상기 리드핀(63)이 삽입되면서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오목한 접속홈(7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판(10)은, 상기 베이스부(1)에 설치된 모터(13)와, 상기 모터(13)에 축결합되어 회동하는 구동풀리(14)와, 상기 회전축(11)에 고정되게 설치된 종동풀리(16)와, 상기 구동풀리(14)와 종동풀리(16)를 연결하여 구동풀리(14)의 동력을 종동풀리(16)로 전달하는 타이밍벨트(15)로 구성된 회동유닛에 의해 일방향으로 180도씩 회전한다.
미설명 부호 41은 소켓(30)에 콤팩트 카메라 모듈(C)이 안착되었을 때 소켓(30)의 양측에서 콤팩트 카메라 모듈(C)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면서 지지하는 가압부재이고, 미설명부호 20은 상기 가압부재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블록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의 접속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초기에 상기 회전판(10)의 일단부는 핸들러의 로딩부(미도시)로부터 반송되는 콤팩트 카메라 모듈을 받을 수 있는 작업라인 상에 위치하고, 회전판(10)의 반대편 일단부는 콤팩트 카메라 모듈(C)의 초점 조정 및 검사 작업이 이루어지는 초점조정 위치(미도시)에 위치한다.
핸들러가 가동되면, 로딩용 픽커(미도시)가 로딩부 상의 콤팩트 카메라 모듈을 픽업하여 작업라인 상에서 대기하고 있는 회전판(10)의 소켓(30)에 안착시킨 다.
이어서, 핸들러의 제어유닛으로부터 모터(13)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모터(13)가 작동하고, 모터(13)의 동력이 구동풀리(14)와 타이밍벨트(15) 및 종동풀리(16)를 통해 회전축(11)에 전달되어 회전판(10)이 180도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회전판(10)의 180도 회전에 의해 작업라인 상의 콤팩트 카메라 모듈(C) 및 소켓(30)은 초점 조정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반대편의 초점 조정 위치에 위치하던 소켓(30)은 작업라인 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후, 상기 초점 조정 위치에서는 초점 조정 유닛(미도시)이 하강하여 콤팩트 카메라 모듈(C)의 렌즈부와 결합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승강블록(75)이 상승하면서 외부 단자핀(70)의 접속홈(73)으로 리드핀(63)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외부 단자핀(70)과 리드핀(63) 간의 접속이 이루어지고, 결과적으로 콤팩트 카메라 모듈(C)과 테스터(미도시) 간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상기 초점조정유닛(미도시)이 콤팩트 카메라 모듈(C)의 렌즈부를 천천히 회동시키면서 일정 시간 동안 초점 조정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반대편의 작업라인 위치에서는 로딩용 픽커(미도시)가 새로운 콤팩트 카메라 모듈을 상기 작업라인 상의 빈 소켓(30)에 안착시키고, 상기 초점 조정 위치에서 초점 조정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시키게 된다.
초점 조정 위치에서 초점 조정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승강블록(75)이 하강하면서 외부 단자핀(70)과 리드핀(63) 간의 접속이 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초점조정유닛(미도시)도 상승하여 콤팩트 카메라 모듈(C)과의 접속이 해제된다.
이 후, 회전판(10)이 다시 180도 회전하여 초점 조정이 완료된 콤팩트 카메라 모듈(C)은 작업라인 상으로 반송되고, 새로운 콤팩트 카메라 모듈(C)이 초점 조정 위치로 반송된다.
이어서, 초점 조정 위치에서는 전술한 과정과 동일하게 콤팩트 카메라 모듈의 초점 조정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작업라인 상에서는 언로딩용 픽커가 소켓 상의 초점 조정 완료된 콤팩트 카메라 모듈을 픽업하여 에폭시 수지 도포 위치로 반송하고, 로딩용 픽커가 새로운 콤팩트 카메라 모듈을 소켓 상에 안착시켜 대기시킨다.
이 후, 본 발명의 접속장치는 상술한 것과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서 콤팩트 카메라 모듈(C)의 초점 조정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초점 조정 위치에서 외부 단자핀이 인터페이스보드의 리드핀과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콤팩트 카메라 모듈과 테스터 간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므로 접속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며, 장시간 동안 반복 사용하여도 접속부위에서의 접속력이 그대로 유지되므로 인터페이스보드 교체 주기가 대폭 증가하거나, 심지어는 인터페이스보드를 전혀 교체하지 않을 수도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초점 조정 위치에서만 콤팩트 카메라 모듈과 테스터 간의 접속이 이루어지므로 회전판이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콤팩트 카메라 모듈을 작업라인과 초점 조정 위치로 반송할 수 있으며, 접속에 요구되는 장치 또한 단순화되는 이점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의 접속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접속장치의 일부분을 생략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접속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회전판 11 : 회전축
30 : 소켓 60 : 인터페이스보드
62 : 단자홀 63 : 리드핀
70 : 외부 단자핀 75 : 승강블록

Claims (5)

  1. 베이스부에 수직하게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씩 수평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콤팩트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장착되는 인터페이스보드와;
    상기 인터페이스보드의 일측부에 상기 소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리드핀과;
    일단이 콤팩트 카메라 모듈의 초점 검사를 수행하는 테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의 외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타단부가 상기 리드핀과 접속 및 해제되면서 테스터와 리드핀을 전기적으로 연결 및 해제하는 복수개의 외부 단자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의 접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자핀의 타단부에 상기 리드핀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접속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의 접속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자핀은 내부에 탄성체가 설치된 고정부와, 상기 탄성체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상기 고정부의 일단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접속부로 구성된 포고핀(pogo p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의 접속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양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회전판에 대해 상기 리드핀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의 접속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회전판의 양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인터페이스보드와 결합되는 중공의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하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상기 각 리드핀이 관통되면서 지지되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의 접속장치.
KR10-2004-0027037A 2004-04-20 2004-04-20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의 접속장치 KR100532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037A KR100532660B1 (ko) 2004-04-20 2004-04-20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의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037A KR100532660B1 (ko) 2004-04-20 2004-04-20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의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820A true KR20050101820A (ko) 2005-10-25
KR100532660B1 KR100532660B1 (ko) 2005-12-01

Family

ID=3728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037A KR100532660B1 (ko) 2004-04-20 2004-04-20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의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26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860B1 (ko) * 2005-12-12 2007-10-24 옵토팩 주식회사 이미지센서 패키지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0780218B1 (ko) 2006-08-24 2007-11-2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조립용 용착장치
US7427768B2 (en) 2005-12-12 2008-09-23 Optopac Co., Ltd. Apparatus, unit and method for testing image sensor packag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860B1 (ko) * 2005-12-12 2007-10-24 옵토팩 주식회사 이미지센서 패키지 검사 장치 및 방법
US7427768B2 (en) 2005-12-12 2008-09-23 Optopac Co., Ltd. Apparatus, unit and method for testing image sensor packages
US7714310B2 (en) 2005-12-12 2010-05-11 Optopac Co., Ltd. Apparatus, unit and method for testing image sensor packages
KR100780218B1 (ko) 2006-08-24 2007-11-2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조립용 용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2660B1 (ko) 200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035B1 (ko)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KR101689521B1 (ko) 테스트 소켓
KR20110051970A (ko) 카메라 모듈 검사 및 초점 조정장치
KR101676314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
KR101089363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KR102181039B1 (ko) 지그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검사용 연결 장치
KR102100079B1 (ko) 전자 부품 반전장치
KR100532660B1 (ko)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의 접속장치
KR101504948B1 (ko) Vcm 모듈 접속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
TWI588460B (zh) Adsorption camera module test fixture
KR101300066B1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KR101606175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소켓
KR100532661B1 (ko)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의 초점 검사용 인덱스테이블
KR101683067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수직 자동 소켓
TW202208100A (zh) 載具機構及其應用之作業設備
KR1019698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장치
KR100551994B1 (ko)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 및 그의 작동방법
KR101362418B1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KR101258548B1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CN115078378A (zh) 一种利用图像采集技术的集成电路封装完整性检测装置
CN113245837B (zh) 基于转盘的上料工位及转盘装置
KR101119834B1 (ko) 모델 적응형 카메라모듈 테스트소켓 및 그 테스트소켓을 이용한 카메라모듈 변화에 따른 적응방법
KR100540703B1 (ko)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의 초점 조정 장치
KR200441242Y1 (ko) 수평 및 수직 조절 기능을 갖는 렌즈 조립체의 카메라 렌즈조립장치
KR100689972B1 (ko) 모듈 아이씨 테스트 핸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