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8833A - 컨텐츠 이용 또는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컨텐츠 이용 또는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8833A
KR20050098833A KR1020057007468A KR20057007468A KR20050098833A KR 20050098833 A KR20050098833 A KR 20050098833A KR 1020057007468 A KR1020057007468 A KR 1020057007468A KR 20057007468 A KR20057007468 A KR 20057007468A KR 20050098833 A KR20050098833 A KR 20050098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license
use condition
rights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7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루 나카하라
마사야 야마모토
미츠히로 이노우에
가츠미 도쿠다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98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83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 H04L63/06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for key distribution, e.g. centrally by trusted par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7License processing; Key processing
    • G06F21/1073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1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Abstract

컨텐츠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300)와, 그 이용을 관리하는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는, 컨텐츠를 이용하는 권리의 관리 방식이 상이한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 각각에 대응시켜, 컨텐츠의 이용 조건을 나타내는 이용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권리 생성부(10A, 10B)와, 컨텐츠 키를 격납하는 컨텐츠 키 격납부(103)와, 이용 조건 정보와 컨텐츠 키로부터 라이센스 정보를 생성하는 라이센스 생성부(102) 등을 구비하고, 단말 장치(300)는, 라이센스 정보가 나타내는 이용 조건에 기초하여,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 하에서, 컨텐츠의 이용 가부를 판정하는 권리 해석부(30A, 30B)와, 판정 결과에 따라서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이용부(321a, 321b) 등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컨텐츠 이용 또는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USING OR MANAGING CONTENT}
본 발명은, 통신이나 방송 등을 사용해, 서버 장치로부터 영상이나 음악 등의 디지털 컨텐츠의 라이센스를 배송하여, 사용자가 단말 장치에서 라이센스에 기초해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컨텐츠의 이용 제어의 확장이 가능한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악, 영상, 게임 등의 디지털 컨텐츠(이하, 컨텐츠로 기술)를, 인터넷 등의 통신이나 디지털 방송 등을 통해, 서버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로 배송하여, 단말 장치에서 컨텐츠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컨텐츠 배송 시스템이라고 불리는 시스템이 실용화 단계에 들어가 있다.
일반적인 컨텐츠 배송 시스템에서는,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고, 악의있는 사용자 등에 의한 컨텐츠의 부정 이용을 방지하기 위해서, 저작권 보호 기술이 사용된다. 저작권 보호 기술이란, 구체적으로는, 암호 기술 등을 사용해, 사용자가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기록 미디어에 복사하거나 하는 컨텐츠의 이용을, 안전하게 제어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면, 서버 장치가, 단말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컨텐츠의 재생 회수 등의 부분 이용 조건을 포함하는 라이센스를 생성하여, 단말 장치로 배송하고, 단말 장치에서 부분 이용 조건의 논리합 및 논리곱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이용을 제어하는 시스템이, 컨텐츠 배송 시스템의 일례로서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특개 2000-293439호 공보 참조).
그러나, 종래의 컨텐츠 배송 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저작권 보호 기술을 사용한 컨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실현하기 위한 방식을 권리 관리 방식이라 정의하고, 문제점에 관해 설명한다.
첫번째 문제점은, 1개의 컨텐츠 배송 시스템에서,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이 제휴, 또는 공존하여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의 이용 제어를 행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지 않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컨텐츠 배송 시스템을 운영하는 사업자(δ)의 서비스에 있어서, 메이커 α가 개발한 권리 관리 방식 A와, 메이커 β가 개발한 권리 관리 방식 B가 제휴하여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의 이용 제어를 행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지 않다. 즉, 종래의 권리 관리 방식은, 1종류의 권리 관리 방식만이 존재하는 환경을 전제로 하고 있어,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이 혼재하는 환경 하에서는 기능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두번째 문제점은, 어떤 권리 관리 방식에 있어서, 단말 장치에서의 기존의 컨텐츠 이용 제어 내용을 확장할 때, 단말 장치에서 라이센스의 해석을 행하는 라이센스 해석부 및 컨텐츠의 이용 가부 판단을 행하는 이용 가부 판단부의 2개의 처리부에서 기능 변경이 필요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의 이용 회수를 제어하는 권리 관리 방식에 있어서, 컨텐츠의 이용 시간의 제어를 추가할 때, 라이센스 해석부에 이용 시간 해석 기능을 추가하고, 이용 가부 판단부에 이용 시간에 기초한 이용 가부 판단 기능의 추가가 필요해진다. 즉, 종래의 권리 관리 방식에서는, 컨텐츠의 이용 제어 내용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단말 장치에서의 많은 처리부의 기능 추가·변경을 필요로 하여, 실질적으로 이용 제어 내용을 확장하는 것이 곤란해, 확장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컨텐츠 배송 시스템의 전체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라이센스 생성 서버, 컨텐츠 배송 서버, 및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사용자 정보 격납부의 테이블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용 조건 격납부 및 이용 조건 격납부의 테이블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컨텐츠 키 격납부의 테이블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컨텐츠 격납부 및 컨텐츠 격납부의 테이블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라이센스 격납부의 테이블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라이센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부가 유지하는 서비스와 권리 관리 방식의 대응을 격납하는 데이터의 테이블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라이센스 요구 메시지 본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용 조건 요구 메시지 본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용 조건 송신 메시지 본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라이센스 송신 메시지 본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용 조건 판정 의뢰 메시지 본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판정 결과 송신 메시지 본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용 제어 메시지 본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용 정보 송신 메시지 본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용 조건 갱신 의뢰 메시지 본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갱신 후 이용 조건 송신 메시지 본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라이센스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라이센스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라이센스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컨텐츠 요구 메시지 본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컨텐츠 송신 메시지 본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가 컨텐츠 배송 서버로부터 암호화 컨텐츠를 취득하는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가 라이센스 생성 서버로부터 라이센스를 취득하는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가 컨텐츠의 이용을 개시할 때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가 컨텐츠의 이용을 종료할 때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30은, 복수의 메이커에 의한 권리 관리 방식이 혼재하는 컨텐츠 배송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31(a)∼(c)는, 어떤 메이커가 제공하는 권리 관리 방식을 확장하여, 단말 장치에서 제어 가능한 항목을 추가, 변경하는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라이센스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며,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에 기초한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이용 제어를 실현하여, 단말 장치에서의 이용의 제어 내용을 확장하는 경우에, 이용 가부 판단부의 기능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는 유연성 및 확장성을 갖는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은, 디지털 저작물인 컨텐츠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와, 상기 단말 장치와 통신로로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한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를 포함하는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 장치는, 컨텐츠를 이용하는 권리의 관리 방식이 상이한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 각각에 대응시켜, 컨텐츠의 이용 조건을 나타내는 이용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이용 조건 생성 수단과,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단말 장치가 이용하기 위해 필요해지는 컨텐츠 키를 격납하는 컨텐츠 키 격납 수단과, 상기 이용 조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이용 조건 정보와 상기 이용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키 격납 수단에 격납된 컨텐츠 키로부터, 상기 이용 조건 정보가 나타내는 이용 조건 하에서 상기 컨텐츠 키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이용을 허가하는 라이센스를 나타내는 라이센스 정보를 생성하는 라이센스 생성 수단과, 생성된 라이센스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배송하는 라이센스 배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배송되어 오는 라이센스 정보를 취득하여 격납하는 라이센스 격납 수단과, 상기 라이센스 격납 수단에 격납된 라이센스 정보가 나타내는 이용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라이센스 정보가 나타내는 컨텐츠의 이용 가부를 판정하는 이용 조건 판정 수단과, 상기 이용 조건 판정 수단에 의해 컨텐츠의 이용이 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컨텐츠 키를 사용해 컨텐츠를 복호하고,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이용 조건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이용 수단과, 상기 컨텐츠 이용 수단에 의해 컨텐츠가 이용된 경우에, 상기 라이센스 격납 수단에 격납된 라이센스 정보가 나타내는 이용 조건을 해당 이용에 대응시켜 갱신하는 이용 조건 갱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서버 장치는,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에 대응한 라이센스 정보를 발행한다.
그리고,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을 구별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상기 라이센스 생성 수단은, 상기 이용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권리 관리 방식을 식별하는 권리 관리 식별자를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용 조건 판정 수단은,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권리 관리 식별자가 나타내는 권리 관리 방식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의 이용 가부를 판정하고, 상기 이용 조건 갱신 수단은,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권리 관리 식별자가 나타내는 권리 관리 방식에 따라서 상기 이용 조건을 갱신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이 혼재하는 환경 하에서, 단말 장치는, 서버 장치로부터 발행된 라이센스 정보에 따라서, 영상이나 음악 등의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할 수 있다. 즉,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면서, 많은 컨텐츠 벤더가 혼재하는 환경 하에서, 사용자에게 다종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권리 관리 방식이란, 구체적으로는, 컨텐츠를 이용하는 권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이용 조건 정보나 라이센스 정보의 물리적인 데이터 구조(데이터 길이, 배열, 암호 방식 등)나 그 해석 방법(표현 형식, 비트 패턴과 의미 내용의 대응 등)이 상이한 것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이용 조건 생성 수단은, 동일한 컨텐츠에 대해, 상기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이용 조건 정보를 생성해도 된다. 그 때, 상기 이용 조건 정보에는, 컨텐츠의 이용에 대해 허가된 범위를 나타내는 이용 가능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이용 조건 생성 수단은, 동일한 컨텐츠에 대해 상기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이용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 동일 종류의 이용 가능 정보가 중복하여 상기 복수의 이용 조건 정보에 포함되는 일이 없도록, 상기 복수의 이용 조건 정보를 생성해도 되고, 상기 이용 조건 생성 수단은, 동일한 컨텐츠에 대해 상기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이용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 동일 종류의 이용 가능 정보가 중복하여 상기 복수의 이용 조건 정보에 포함되도록, 상기 복수의 이용 조건 정보를 생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어떤 1개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라이센스 정보 중에, 권리 관리 방식 A에서는 10회의 재생이 허가되고, 권리 관리 방식 B에서는 8회의 재생이 허가된다고 하는 동일 종류(여기서는, 회수)의 이용 가능 정보를 중복하여 설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시스템으로서 실현해도 되고, 허용하지 않는 시스템으로서 실현해도 된다.
이용 가능 정보의 중복을 허용하는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이용 조건 판정 수단은, 상기 라이센스 중의 복수의 이용 조건 정보에, 동일한 컨텐츠에 관하는 동일 종류의 이용 가능 정보가 중복하여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1) 미리 정해진 권리 관리 방식의 우선 순위에 따라서, 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권리 관리 방식에 대응하는 이용 조건 정보에 포함되는 이용 가능 정보를 우선시켜, 상기 컨텐츠의 이용 가부를 판정하거나, (2) 상기 복수의 이용 가능 정보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이용 가부를 판정함으로써 복수의 판정 결과를 생성하고, 생성한 복수의 판정 결과에 대해 미리 정해진 연산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컨텐츠의 이용 가부를 판정하거나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중복적인 판정 결과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으로서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장치나 단말 장치 단체(單體)로서 실현하거나, 그들의 시스템이나 장치를 구성하는 특징적인 수단을 단계로 하는 컨텐츠 이용 관리 방법, 컨텐츠 이용 방법으로서 실현하거나, 그들의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램을 격납한 기록 매체로서 실현하는 것도 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을 제휴시킨 상태로,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의 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이 혼재하는 환경에서, 사용자는 통합된 컨텐츠 배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이용의 제어 항목을 확장하는 경우, 단말 장치에서 확장 대상이 되는 제어 항목의 해석이 가능한 권리 해석부를 변경 및 추가하기만 하면 되므로, 컨텐츠 이용의 제어 항목을 용이하게 확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다양한 서비스 형태나, 비지니스 형태에 따른 유연하고, 또한 확장성이 있는 권리 관리 및 저작권 보호가 가능해져, 디지털 컨텐츠의 배송 서비스가 비약적으로 발전될 수 있다.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해, 도면을 사용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컨텐츠 배송 시스템(S)의 전체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컨텐츠 배송 시스템(S)은, 전송로 또는 패키지 미디어 등을 통해 컨텐츠 배송 서버로부터 배송되는 컨텐츠와, 라이센스 생성 서버로부터 배송되는 라이센스로부터 사용자가 단말 장치에서 컨텐츠를 이용하는 시스템으로, 라이센스를 생성하여, 배송하는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와 컨텐츠를 배송하는 컨텐츠 배송 서버(200)와, 컨텐츠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300a∼300c)와, 이들을 상호 접속하는 전송로(N)로 구성되어 있다.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는, 사용자가 소유하는 컨텐츠의 이용 조건을 관리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의 라이센스를 부여하는 서버 장치이며, 컨텐츠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체(δ)가 운영하고 있다. 또, 상기 컨텐츠 배송 서비스에서 컨텐츠 이용을 제어하는 권리 관리는 메이커 α가 제공하는 권리 관리 방식 A 및 메이커 β가 제공하는 권리 관리 방식 B에 기초하여 행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는, 사용자마다, 또는 단말 장치(300a∼300c)마다, 각각이 소유하는 컨텐츠의 이용 조건을 권리 관리 방식마다 관리해 두고,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기초하여 라이센스를 생성하여, 전송로(N)를 통해, 라이센스를 단말 장치(300a∼300c)에 배송한다. 또는, 디지털 방송이나 브로드밴드 방송 등의 푸쉬형의 배송 형태에서는, 일시적으로 무효화된 라이센스를 컨텐츠와 함께 배송하고, 단말 장치(300a∼300c)에서 과금 처리를 행함으로써 라이센스를 유효화하여, 컨텐츠를 이용하는 것으로도 할 수 있다.
또한, 라이센스란,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 키(컨텐츠 키)와, 컨텐츠의 이용 제어에 관계된 정보로 구성되는 데이터이다.
라이센스 등의 데이터를, 전송로(N)를 통해,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와 단말 장치(300a∼300c)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안전성를 확보하기 위해서, 안전한 인증 채널(Secure Authenticated Channel, 이하 SAC로 기술)을 확립하고 나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라이센스의 데이터 구조에 관해서는, 나중에 도면을 사용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 컨텐츠 배송 서버(200)가 관리하는 컨텐츠를 암호화하는 암호 알고리즘은,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나 Triple DES(Data Encryption Standard) 등의 공통 키 암호 알고리즘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컨텐츠 배송 서버(200)는, 전송로(N)를 통해 단말 장치(300a∼300c)로 컨텐츠를 배송하기 위한 서버 장치이며, 워크 스테이션 등에 의해 실현된다. 구체적으로는, 컨텐츠 배송 서버(200)는,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나 MPEG-4등의 압축 방식에 의해 디지털 압축되어, 필요에 따라 AES나 Triple DES 등에 의해 암호화된 컨텐츠를 배송한다.
예를 들면, 인터넷의 경우는, RTP(Realtime Transfer Protocol)/UDP(User Datagram Protocol)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해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서버 장치이거나, FTP(File Transfer Protoctol)나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등의 프로토콜로 다운로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이다.
또, 디지털 방송의 경우는, MPEG-2 TS(Transport Stream)로 스트림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송출 장치이거나, ARIB(Association of Radio Industries and Businesses) STD-B24 등에 나타내어져 있는 데이터 캐로셀 전송 방식에 기초한 축적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송출 장치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컨텐츠 배송 서버(200)는 다운로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로서 설명한다.
전송로(N)는,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와 컨텐츠 배송 서버(200) 및 단말 장치(300a∼300c)를 상호 접속하는 네트워크이다. 예를 들면, 전송로(N)는,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나, 디지털 방송, 또는 이들이 복합한 네트워크이다.
단말 장치(300a∼300c)는, 전송로(N)와 접속하는 기능을 갖고, 사용자가 컨텐츠를 모니터 화면 등에서 이용하거나, 기록 미디어에 컨텐츠를 뽑아 쓰거나 하기 위한 단말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단말 장치(300a∼300c)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STB(Set Top Box), 디지털 TV, DVD(Digital Versatile Disc) 레코더, HDD(Hard Disk Drive) 레코더, PC(Personal Computer) 등의 컨텐츠 표시 장치, 레코더, 또는 이들의 복합 기기이다.
다음에, 이러한 컨텐츠 배송 시스템(S)에서, 메이커 α가 제공하는 권리 관리 방식 A와, 메이커 β가 제공하는 권리 관리 방식 B에 기초한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이 제휴, 또는 공존하여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의 이용을 제어할 때의,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의 취득 처리, 라이센스의 취득 처리, 컨텐츠 이용 개시시의 처리 및 컨텐츠 이용 종료시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에 앞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식별자의 정의를 행한다.
사용자 식별자란, 컨텐츠 배송 시스템(S)에서 사용자를 일의(一意)로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단말 식별자란, 컨텐츠 배송 시스템(S)에서 단말 장치(300)를 일의로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 장치(300)의 단말 식별자는 「TERMINAL-ID-0001」로서 설명한다.
컨텐츠 식별자란, 컨텐츠 배송 시스템(S)에서 컨텐츠를 일의로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권리 관리 식별자란, 컨텐츠 배송 시스템(S)에서 권리 관리 방식을 일의로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권리 관리 방식 A에 대응하는 권리 관리 식별자는「100A」, 권리 관리 방식 B에 대응하는 권리 관리 식별자는 「100B」로 해서 설명한다.
다른 식별자 및 식별자의 구체적인 값에 대해서는, 필요한 개소에서 적절하게, 정의 및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 컨텐츠 배송 서버(200) 및 단말 장치(30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또한, 도 2에서 단말 장치(300a∼300c)의 기능 구성은, 단말 장치(300a)를 그 대표로 하여, 단말 장치(300)로서 도시하고 있다.
먼저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는, 단말 장치(300)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101)와, 이용 조건 및 컨텐츠 키로부터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라이센스 생성부(102)와, 컨텐츠 키를 격납하는 컨텐츠 키 격납부(103)와, 이용 조건의 생성을 행하는 복수의 권리 생성부로서, 권리 관리 방식 A에 대응하는 권리 생성부(10A)와, 권리 관리 방식 B에 대응하는 권리 생성부(10B)로 구성된다.
여기서, 권리 생성부는 권리 관리 방식마다 설정되고, 각각, 이용 조건 생성부와, 사용자 정보 격납부와, 이용 조건 격납부로 구성된다. 또, 여기서는, 권리 생성부(10A)를 권리 생성부의 대표로서 설명한다. 권리 생성부(10A)는, 권리 관리 방식 A에 기초한 이용 조건을 생성하는 이용 조건 생성부(110a)와, 사용자 정보를 격납하는 사용자 정보 격납부(111a)와, 이용 조건을 격납하는 이용 조건 격납부(112a)로 구성된다.
다음에, 컨텐츠 배송 서버(200)의 상세한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컨텐츠 배송 서버(200)는, 단말 장치(300)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201)와, 암호화 컨텐츠를 컨텐츠 격납부(203)로부터 취득하는 컨텐츠 취득부(202)와, 암호화 컨텐츠를 격납하는 컨텐츠 격납부(203)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단말 장치(300)의 상세한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단말 장치(300)는,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 및 컨텐츠 배송 서버(200)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301)와, 라이센스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여,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에 라이센스의 취득 요구를 행하는 라이센스 요구부(302)와,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로부터 취득한 라이센스를 격납하는 라이센스 격납부(303)와, 라이센스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이용 가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어 및 컨텐츠 이용 후의 라이센스의 갱신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304)와, 컨텐츠 배송 서버(200)로부터 취득한 암호화 컨텐츠를 격납하는 컨텐츠 격납부(305)와, 컨텐츠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여, 컨텐츠 배송 서버(200)에 컨텐츠의 취득 요구를 행하는 컨텐츠 요구부(306)와, 라이센스에 포함되는 이용 조건의 해석 및 갱신 처리를 행하는 복수의 권리 해석부로서, 권리 관리 방식 A에 대응하는 권리 해석부(30A)와, 권리 관리 방식(B)에 대응하는 권리 해석부(30B)와,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이용부(321a 및 321b)로 구성된다.
여기서, 권리 해석부는 권리 관리 방식마다 설정되며, 각각, 이용 조건 판정부와, 이용 조건 갱신부로 구성된다. 여기서는, 권리 해석부(30A)를 권리 해석부의 대표로서 설명한다. 권리 해석부(30A)는, 취득한 이용 조건을 기초로 컨텐츠의 이용 가부를 판정하는 이용 조건 판정부(311a)와, 취득한 이용 조건의 갱신 처리를 행하는 이용 조건 갱신부(312a)로 구성된다.
또한, 각 서버, 및 단말 장치(300)는 각종 데이터 격납부 및 각종 처리부로 구성되며, 각종 데이터 격납부는, HDD 등의 기억 매체로 실현되고, 각종 처리부는 LSI 등의 하드웨어 또는 CPU, RAM, ROM 등을 이용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실현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 다루는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라이센스의 데이터 구조에 관해 설명하고, 각종 데이터 격납부가 유지하는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 컨텐츠 배송 서버(200), 단말 장치(300)의 순으로 설명한다.
먼저 라이센스의 데이터 구조에 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라이센스(800)는, 라이센스 전체에 대해 부여되는 정보로 이루어지는 라이센스 헤더(801)와, 권리 관리 방식마다 부여되는 정보의 리스트인 권리 관리별 정보 리스트(802)로 이루어진다.
라이센스 헤더(801)는, 라이센스(800)에 대응하는 암호화 컨텐츠의 복호를 행하기 위한 컨텐츠 키(811)와, 단말 장치(300)에서의 이용 가부 판단 및 이용 조건 갱신 제어를 행할 때의 우선 순위가 설정되는 우선 순위 정보(812)와, 단말 장치(300)에서의 이용 가부 판단 및 이용 조건 갱신 제어를 행할 때의 제어 방법을 지정하는 제어 식별 정보(813)로 이루어진다. 또한, 라이센스(800)는, 라이센스 격납부(303), 및 라이센스에 관한 처리에 있어서, 컨텐츠 식별자와 관련지을 필요가 있으며, 단말 장치(300)에서의 라이센스(800)와 컨텐츠 식별자를 관련짓는 처리를 생략하기 위해서, 라이센스 헤더(801)에 컨텐츠 식별자를 포함시키도록 해도 된다.
권리 관리별 정보 리스트(802)는, 복수의 권리 관리별 정보로 이루어지고, 상기 권리 관리별 정보는 권리 관리 식별자(821)와, 이용 조건의 유효, 무효 등의 정보가 설정되는 관리 정보(822)와, 이용 조건(823)으로 이루어진다.
이용 조건(823)은, 컨텐츠의 이용 가부의 판단에 관계된 이용 가능 정보(832)와, 이용 가능 정보의 항목을 컨텐츠 배송 시스템(S)에서 일의로 특정하는 이용 가능 정보 식별자(831)의 조(組)의 리스트와, 컨텐츠 이용시의 제어에 관계된 이용시 제어 정보(834)와, 이용시 제어 정보(834)의 항목을 컨텐츠 배송 시스템(S)에서 일의로 특정하는 이용시 제어 정보 식별자(833)의 조의 리스트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용 가능 정보(832)란, 대상 컨텐츠의 이용 가능한 회수, 예를 들면 「10회」나, 대상 컨텐츠의 이용 가능한 기간, 예를 들면 「2002년 12월 1일∼2003년 2월 13일」등이다. 또, 이용 가능 정보(832)에는, 단말 장치(300)에서 라이센스가 갱신될 때, 값이 변할 가능성이 있는 가변인 이용 가능 정보와, 값이 변하지 않는 불변인 이용 가능 정보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용 가능한 회수는, 단말 장치(300)에서 컨텐츠 이용 후, 갱신되는 가변인 이용 가능 정보이고, 이용 가능한 기간은, 단말 장치(300)에서 컨텐츠 이용 후에도 갱신되지 않는 불변인 이용 가능 정보이다.
이용시 제어 정보(834)란, 컨텐츠 재생시의 화질을 지정하는 정보(「HD [H igh Definition]」또는 「SD[Standard Definition]」)나, 음성 채널을 지정하는 정보(「5.1ch 재생」또는「2ch 재생」) 등이다. 또한, 이용시 제어 정보(834)는 단말 장치(300)에서 컨텐츠 이용 후에도 갱신되지 않는 불변의 값이다. 또한, 이용시 제어 정보(834)를 갱신하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다루는 라이센스(800)는, 권리 관리별 정보 리스트(802)의 각 권리 관리별 정보의 이용 조건(823)에 있어서, 가변인 이용 가능 정보의, 항목의 중복을 허용하는 구조로 한다. 즉, 복수의 권리 관리별 정보에, 같은 가변인 이용 가능 정보(832)의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즉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으로 같은 가변인 이용 가능 정보(832)의 항목을 제어하는 경우, 각각의 권리 관리별 정보의 이용 조건에 가변인 이용 가능 정보(832)의 항목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이용 가능 회수」 및 「화질 제어 정보」를 관리하는 권리 관리 방식 A와, 「이용 가능 회수」 및 「유효 기간」을 관리하는 권리 관리 방식 B로부터 생성되는 라이센스(2300)를,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이센스(2300)에서의 권리 관리별 정보 리스트(2302)는, 권리 관리별 정보(2311) 및 권리 관리별 정보(2312)로 구성되며, 권리 관리별 정보(2311)에는, 권리 관리 식별자는 권리 관리 방식 A인 것을 나타내는 「100A」가 설정되고, 이용 가능 정보는, 권리 관리 방식 A가 관리하는 이용 가능 정보인, 「이용 가능 회수」 및 「화질 제어 정보」가 설정된다. 한편, 권리 관리별 정보(2312)에는, 마찬가지로 권리 관리 식별자는「100B」가 설정되고, 이용 가능 정보는, 「유효 기간」및「이용 가능 시간」이 설정된다. 권리 관리별 정보(2311) 및 권리 관리별 정보(2312)에 가변인 이용 가능 정보로서 「이용 가능 회수」가 설정되어, 가변인 이용 가능 정보의 항목의 중복을 허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에,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의 각 격납부가 유지하는 데이터에 관해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사용자 정보 격납부(111a)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관리 테이블을 갖는 데이터베이스로서,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에 액세스하는 단말 장치(300)와, 이용 조건 격납부(112a)에서 관리되는 컨텐츠의 이용 조건을 소유하는 사용자를 관련짓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정보 격납부(111a)는, 도 3에 나타낸 사용자 정보 관리 테이블(D300)을 갖고, 사용자 식별자(D301)와, 단말 식별자(D302)를 관리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있어서, 사용자 식별자(D301)가 「USER-ID-0001」인 사용자는, 단말 식별자(D302)가 「TERMINAL-ID-0001」인 단말 장치(300)를 소유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사용자 식별자(D301)가 「USER-ID-0002」인 사용자는, 단말 식별자(D302)가 「TERMINAL-ID-1001」,「TERMINAL-ID-1002」라는 2개의 단말 장치(300)를 갖고 있고, 양쪽의 단말 장치(300)로부터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에 액세스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격납부(111a)로의 데이터 등록은, 사용자에 의해, 서비스 프로바이더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회원 등록을 할 때 행해진다. 이 회원 등록 처리는, 사용자가 전송로(N)를 통해, 권리 관리 방식 A를 제공하는 메이커(α)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 등록 화면에 의해, 온라인으로 등록을 행하도록 해도 되고, 회원 등록용의 엽서를 사용하는 등, 오프라인으로 행해도 된다.
회원 등록 처리에서는, 먼저 서비스 프로바이더가, 사용자에 대해 사용자 식별자(D301)를 할당한다. 그 후, 사용자가 소유하는 단말 장치(300)의 단말 식별자(D302)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 의해 서비스 프로바이더에게 통지되므로, 사용자식별자(D301)와 단말 식별자(D302)가 관련지어져, 사용자 정보 격납부(111a)의 사용자 정보 관리 테이블(D300)에 등록된다. 이상과 같은 회원 등록 처리를 행한 결과, 사용자 정보 격납부(111a)의 사용자 정보 관리 테이블(D300)이 구축된다.
권리 관리 방식 A에 대응하는 이용 조건 격납부(112a)는, 사용자마다의 컨텐츠에 대한 이용 조건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단말 장치(300)로부터의 라이센스 취득 요구에 대해, 사용자가 소유하는 이용 조건이 발행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여, 발행 가능한 경우에 이용 조건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이용 조건 격납부(112a)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용 조건의 소유자를 나타내는 사용자 식별자(D401)와, 이용 조건이 이용을 허락하는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D402)와, 컨텐츠 식별자(D402)로 나타내어지는 컨텐츠의 이용이 가능해지는 개시, 종료 일시를 나타내는 유효 기간(D403)과, 컨텐츠 식별자(D402)로 나타내어지는 컨텐츠의 이용 가능한 회수를 나타내는 이용 가능 회수(D404)와, 컨텐츠 이용시의 컨텐츠의 화질을 나타내는 화질 제어 정보(D405)로 이루어지는 이용 조건 관리 테이블(D400)을 갖는다.
예를 들면, 사용자 식별자(D401)가 「USER-ID-0001」인 사용자는, 이용을 허락하는 컨텐츠가 컨텐츠 식별자(D402)에 나타내어지는「CONTENT-ID-0001」인 컨텐츠의 이용 조건을 소유하고 있고, 유효 기간(D403)은 「∼2003/1/30」이고, 이용가능 회수(D404)는「10회」, 즉 10회 이용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화질 제어 정보(D405)는 HD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이하의 설명에서 필요해지므로, 권리 관리 방식 B에 대응하는 이용 조건 격납부(112b)의 구체적인 데이터에 관해 설명한다.
이용 조건 격납부(112b)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용 조건의 소유자를 나타내는 사용자 식별자(D411)와, 이용 조건이 이용을 허락하는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D412)와, 컨텐츠 식별자(D412)로 나타내어지는 컨텐츠의 이용이 가능해지는 개시, 종료 일시를 나타내는 유효 기간(D413)과, 컨텐츠 식별자(D412)로 나타내어지는 컨텐츠의 이용 가능한 시간을 나타내는 이용 시간(D414)으로 이루어지는 이용 조건 관리 테이블(D410)을 갖는다.
또한, 이용 조건 격납부(112a)로의 데이터 등록은, 컨텐츠 배송 시스템(S)을 운영하는 사업자(δ) 또는, 권리 관리 방식 A를 제공하는 메이커(α)에 의해, 컨텐츠를 이용하는 권리를 구입할 때 행해진다. 이 구입 처리는, 사용자가 전송로(N)를 통해, 권리 관리 방식 A를 제공하는 메이커(α)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컨텐츠 구입 화면에 의해, 온라인으로 구입을 행하도록 해도 되고, 구입용의 엽서를 사용하는 등, 오프라인으로 행해도 된다.
구입 처리에서는, 먼저 사용자가 구입 대상인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D402)를 지정하여, 이용 조건을 확인 후, 구입 처리를 행한다. 구입 처리를 행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D401)와 컨텐츠 식별자(D402)와 이용 조건이 관련지어져, 이용 조건 격납부(112a)의 이용 조건 관리 테이블(D400)에 등록된다. 이상과 같은 구입 처리를 행한 결과, 이용 조건 격납부(112a)의 이용 조건 관리 테이블(D400)이 구축된다.
컨텐츠 키 격납부(103)는, 암호화 컨텐츠를 복호하기 위한 컨텐츠 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단말 장치(300)로부터의 라이센스 취득 요구에 대해 라이센스를 생성할 때, 라이센스 취득 요구에 포함되는 컨텐츠 식별자에 대응한 컨텐츠 키를 취득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컨텐츠 키 격납부(103)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텐츠 배송 시스템(S)에서 컨텐츠를 일의로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자(D501)와, 컨텐츠 식별자(D501)에 대응하는 컨텐츠 키(D502)로 이루어지는 컨텐츠 키 관리 테이블(D500)을 갖는다. 예를 들면, 컨텐츠 식별자(D501)가 「CONTENT-ID-0001」의 암호화 컨텐츠를 복호하기 위한 컨텐츠 키(D502)가 「CONTENT-KEY-0001」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컨텐츠 배송 서버(200)의 격납부가 유지하는 데이터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컨텐츠 격납부(203)는, 암호화 컨텐츠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단말 장치(300)로부터의 컨텐츠 취득 요구에 대해, 컨텐츠 취득 요구에 포함되는 컨텐츠 식별자에 대응한 암호화 컨텐츠를 취득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컨텐츠 격납부(203)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텐츠 식별자(D601)와, 컨텐츠 식별자(D601)에 대응하는 암호화 컨텐츠(D602)로 이루어지는 컨텐츠 관리 테이블(D600)을 갖는다. 예를 들면, 컨텐츠 식별자(D601)가 「CONTENT-ID-0001」의 암호화 컨텐츠가 「ENC-CONTENT-0001」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컨텐츠 키 격납부(103)에 대한 데이터 등록 및 컨텐츠 격납부(203)로의 데이터 등록은, 컨텐츠 배송 시스템(S)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프로바이더가, 컨텐츠를 제공할 때 행해진다.
다음에, 단말 장치(300)의 격납부가 유지하는 데이터에 관해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라이센스 격납부(303)는, 라이센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단말 장치(300)에서의 컨텐츠 이용시에 제어부(304)로부터의 라이센스 취득 요구에 대해, 컨텐츠 식별자에 대응한 라이센스를 취득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라이센스 격납부(303)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텐츠 식별자(D701)와, 컨텐츠 식별자(D701)에 대응하는 암호화 컨텐츠에 대한 라이센스(D702)로 이루어지는 라이센스 관리 테이블(D700)을 갖는다. 예를 들면, 컨텐츠 식별자(D701)가 「CONTENT-ID-0001」의 라이센스가「LICENSE-0001」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라이센스 격납부(303)로의 데이터 등록은, 단말 장치(300)가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로부터 라이센스를 취득할 때 행해진다.
컨텐츠 격납부(305)는, 암호화 컨텐츠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그 데이터 구조는 컨텐츠 격납부(203)에서 설명한 컨텐츠 관리 테이블(D600)의 데이터 구조와 같다.
이상의 구성의 컨텐츠 배송 시스템(S)에서, 단말 장치(300)가 컨텐츠 배송 서버(200)로부터 컨텐츠를 취득하여, 단말 장치(300)가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로부터 라이센스를 취득할 때의 처리 및 단말 장치(300)에서의 컨텐츠의 이용 개시시의 처리, 이용 종료시의 처리에 관해, (1) 컨텐츠 취득시의 처리, (2) 라이센스 취득시의 처리, (3) 컨텐츠 이용 개시시의 처리, (4) 컨텐츠 이용 종료시의 처리의 순서로 도 26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처리의 설명에 앞서, 본 실시형태에서 다루는 통신 메시지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각 서버와 단말 장치(300) 사이의 통신 및 각 기능 블록 사이의 통신에서 오고가는 통신 메시지(M1000)의 메시지 포맷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통신 메시지(M1000)는, 메시지 헤더(M1001)와, 메시지 본체(M100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메시지 헤더(M1001)는, 적어도 송신처를 특정하는 정보와, 송신원(元)을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송신처를 특정하는 정보는, 메시지의 수신처로서 참조되고, 상기 송신원을 특정하는 정보는, 상기 메시지에 대해 회신의 메시지를 송신할 때의 수신처로서 참조된다. 상기 송신원 또는 송신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의 전형예로서 IP 어드레스가 있다. 또, 메시지 헤더에는 통신 메시지의 송수신을 행하는 서버, 장치 및 기능 블록의 사이에서 인증 처리를 행하는 경우, 인증 처리에 필요해지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한편, 메시지 본체(M1002)는, 각각의 메시지에서 고유의 정보를 포함한다. 메시지 본체(M1002) 고유의 정보에 관해서는 메시지마다 설명한다.
(1) 컨텐츠 취득 처리
먼저, 컨텐츠 취득 처리에 관계되는 통신 메시지의 데이터 구조에 관해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4의 컨텐츠 요구 메시지 본체(M2400)는 컨텐츠 식별자(M2401)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25의 컨텐츠 송신 메시지 본체(M2500)는 암호화 컨텐츠(M2501)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단말 장치(300)가, 컨텐츠 배송 서버(200)로부터 암호화 컨텐츠를 취득하기까지의 각 부의 처리에 관해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말 장치(300)는, 사용자로부터의 단말 장치(300)의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정보 입력 및 컨텐츠 취득 지시에 의해, 컨텐츠 취득 처리를 개시한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300)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적어도 취득 대상인 암호화 컨텐츠를 특정하는 컨텐츠 식별자 또는, 컨텐츠 식별자에 준하는 정보를 입력하지 않으면 안된다. 여기서 컨텐츠 식별자에 준하는 정보란, 컨텐츠의 이름 등, 컨텐츠 식별자에 1대 1로 대응하며, 컨텐츠 식별자와의 대응 테이블을 참조하면, 컨텐츠 식별자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이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컨텐츠 식별자 「CONTENT-ID-0001」을 입력하여, 컨텐츠 취득 처리를 개시한 것으로 하여 설명을 행한다.
사용자로부터의 정보 입력을 받은 단말 장치(300)는, 컨텐츠 요구부(306)에 서 컨텐츠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부(301)를 통해 컨텐츠 배송 서버(200)로 송신한다(도 26 : 단계 S2631).
컨텐츠 요구 메시지 본체(M2400)에 포함되는 컨텐츠 식별자(M2401)는 사용자가 입력한 컨텐츠 식별자를 설정한다. 여기서는「CONTENT-ID-0001」이 설정된다.
컨텐츠 배송 서버(200)는, 통신부(201)를 통해 상기 컨텐츠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다(도 26 : 단계 S2621). 컨텐츠 취득부(202)는 컨텐츠 요구 메시지 본체(M2400)로부터 컨텐츠 식별자(M2401)를 추출하여, 컨텐츠 격납부(203)의 컨텐츠 관리 테이블(D600)로부터 컨텐츠 식별자(M2401)를 키로 해서 취득 대상이 되는 암호화 컨텐츠(M2501)를 특정하여, 취득한다(도 26 : 단계 S2622). 여기서는, 컨텐츠 식별자(M2401)로서 「CONTENT-ID-0001」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대상이 되는 암호화 컨텐츠는 「ENC-CONTENT-0001」이 된다. 컨텐츠 취득부(202)는, 취득한 암호화 컨텐츠(M2501)에 메시지 헤더를 붙여, 컨텐츠 송신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부(201)를 통해 단말 장치(300)로 송신한다(도 26 : 단계 S2623).
단말 장치(300)는, 통신부(301)를 통해 상기 컨텐츠 송신 메시지를 수신하고 (도 26 : 단계 S2632), 취득한 암호화 컨텐츠(M2501)를 컨텐츠 식별자(M2401)와 관계지어, 컨텐츠 격납부(305)에 격납하고(도 26 : 단계 S2633), 처리를 종료한다.
(2) 라이센스 취득 처리
다음에, 라이센스 취득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라이센스 취득 처리에 관계되는 통신 메시지의 데이터 구조에 관해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11의 라이센스 요구 메시지 본체(M1100)는, 단말 식별자(M1101)와, 컨텐츠 식별자(M1102)와, 권리 관리 식별자 리스트(M110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권리 관리 식별자 리스트(M1103)는, 라이센스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말 장치(300)가 해석 가능한 권리 관리 방식의 권리 관리 식별자(M1111)를 리스트 형식으로 기술한 것이다.
도 12의 이용 조건 요구 메시지 본체(M1200)는, 단말 식별자(M1201)와, 컨텐츠 식별자(M1202)로 이루어진다. 도 13의 이용 조건 송신 메시지 본체(M1300)는, 이용 조건(M1301)으로 이루어진다. 도 14의 라이센스 송신 메시지 본체(M1400)는, 라이센스(M1401)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단말 장치(300)가,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로부터 라이센스를 취득하기까지의 각 부의 처리에 관해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말 장치(300)는, 사용자로부터의 단말 장치(300)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입력 및 라이센스 취득 지시에 의해, 라이센스 취득 처리를 개시한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300)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적어도 취득 대상인 라이센스를 특정하는 정보의 하나인 컨텐츠 식별자 또는, 컨텐츠 식별자에 준하는 정보를 입력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컨텐츠 식별자 「CONTENT-ID-0001」을 입력하여, 라이센스 취득 처리를 개시한 것으로 해서 설명을 행한다.
사용자로부터의 정보 입력을 받은 단말 장치(300)는, 라이센스 요구부(302)에서 라이센스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부(301)를 통해 컨텐츠 배송 서버(200)로 송신한다(도 27 : 단계 S2731).
라이센스 요구 메시지 본체(M1100)에 포함되는 단말 식별자(M1101)는, 상기 라이센스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말 장치(300)의 단말 식별자「TERMINAL-ID-0001」을 설정하고, 컨텐츠 식별자(M1102)는, 사용자가 입력한 컨텐츠 식별자 「CONTENT-ID-0001」을 설정하고, 권리 관리 식별자 리스트(M1103)는, 단말 장치(300)에서 이용 조건의 해석이 가능한 권리 관리 방식, 즉 단말 장치(300)에 존재하는 권리 해석부의 권리 관리 방식인 권리 관리 방식 A의 권리 관리 식별자 「100A」와, 권리 관리 방식 B의 권리 관리 식별자 「100B」를 설정한다.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는, 통신부(101)를 통해 상기 라이센스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다(도 27 : 단계 S2711). 라이센스 생성부(102)는, 라이센스 요구 메시지 본체(M1100)로부터, 컨텐츠 식별자(M1102)를 추출하여, 컨텐츠 식별자(M1102)에 대응하는 컨텐츠 키가 컨텐츠 키 격납부(103)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도 27 : 단계 S2712).
상기 컨텐츠 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는 라이센스를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처리를 종료하고, 컨텐츠 키가 존재하지 않는, 즉 컨텐츠 식별자가 부정하다는 취지를 메시지 본체에 포함하는 회신 메시지를 단말 장치(300)로 송신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텐츠 식별자 「CONTENT-ID-0001」에 대응하는 컨텐츠 키 「CONTENT-KEY-0001」이 존재하므로, 컨텐츠 키가 존재하는 것으로 해서 설명을 계속한다.
라이센스 생성부(102)는, 상기 컨텐츠 키가 존재하는 경우는, 상기 컨텐츠 키를 취득하여,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라이센스 생성부(102)는, 라이센스 요구 메시지 본체(M1100)로부터, 권리 관리 식별자 리스트(M1103)를 추출하여, 권리 관리 식별자 리스트(M1103)에 포함되는 권리 관리 식별자(M1111)에 대응하는 권리 생성부의 이용 조건 생성부에 대해 이용 조건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도 27 : 단계 S2713). 여기서는, 권리 관리 식별자 리스트(M1103)에 권리 관리 식별자 「100A」와, 권리 관리 식별자 「100B」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권리 관리 방식 A에 대응하는 권리 생성부(10A)의 이용 조건 생성부(100a) 및 권리 관리 방식 B에 대응하는 권리 생성부(10B)의 이용 조건 생성부(100b)에 대해 이용 조건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 또한, 이용 조건 생성부(100a) 및 이용 조건 생성부(100b) 중 어느 하나에만, 이용 조건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해도 되고,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가 유지하는 전체 권리 생성부에 대해 이용 조건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권리 관리 식별자 리스트(M1103)에는, 단말 장치(300)에서 이용 조건 판정이 가능한 권리 관리 방식이나, 단말 장치(300)에서 이용 조건 갱신이 가능한 권리 관리 방식의 권리 관리 식별자를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 운용에 있어서, 서비스마다 단말 장치(300)에서의 컨텐츠 이용의 제어를 행하는 권리 관리 방식을 정해 두고, 상기 권리 관리 방식에 대응하는 권리 생성부에 대해, 상기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컨텐츠 배송 시스템(S)에서 서비스를 일의로 특정하기 위한 정보인 서비스 식별자와, 상기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서비스에서 권리 관리를 행하는 권리 관리 방식의 권리 관리 식별자와의 대응 테이블인 서비스 식별자·권리 관리 식별자 대응 테이블(D900)에 관해 설명한다.
서비스 식별자·권리 관리 식별자 대응 테이블(D900)은, 서비스 식별자와, 권리 관리 식별자를 관련짓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낸 서비스 식별자·권리 관리 식별자 대응 테이블(D900)은, 서비스 식별자(D901)와, 권리 관리 식별자(D902)를 관리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있어서, 서비스 식별자(D901)가 「SERVICE-ID-0001」인 서비스에 대응하는 권리 관리 방식은, 권리 관리 식별자(D902)가 「DRM-ID-0001」인 권리 관리 방식과, 「DRM-ID-0002」인 권리 관리 방식과, 「DRM-ID-0003」인 권리 관리 방식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용 조건 요구 메시지 본체(M1200)에 포함되는 단말 식별자(M1201)는 라이센스 요구 메시지 본체(M1100)에 포함되는 단말 식별자(M1101)를 설정하고, 컨텐츠식별자(M1202)는 라이센스 요구 메시지 본체(M1100)에 포함되는 컨텐츠 식별자(M1102)를 설정한다.
권리 생성부에서의 처리는, 대표로서 권리 생성부(10A)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용 조건 생성부(110a)는 상기 이용 조건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다. 먼저, 이용 조건 생성부(110a)는 이용 조건 요구 메시지 본체(M1200)로부터 단말 식별자(M1201)를 추출하여, 사용자 정보 격납부(111a)가 유지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 테이블(D300)로부터 단말 식별자(M1201)를 키로 해서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자를 특정한다.
단말 식별자(M1201)가 사용자 정보 관리 테이블(D30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라이센스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 장치(300)가, 권리 생성부(10A)의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이용 조건을 생성할 수 없으므로, 처리를 종료하고, 단말 식별자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취지를 메시지 본체에 포함하는 회신 메시지를, 이용 조건 생성부(110a)를 통해 라이센스 생성부(102)로 송신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 식별자 「TERMINAL -ID-0001」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자로서 사용자 식별자 「USER-ID-0001」이 존재한다. 사용자 식별자(D301)가 존재하는 경우는, 사용자 확인이 완료했다는 취지와, 사용자 식별자(D301)를 메시지 본체에 포함하는 회신 메시지를 이용 조건 생성부(110a)로 송신한다.
상기 회신 메시지를 수신한 이용 조건 생성부(110a)는, 상기 회신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사용자 식별자(D301) 및 상기 이용 조건 요구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단말 식별자(M1201)에 기초하여, 이용 조건 격납부(112a)가 유지하는 이용 조건 관리 테이블(D400)로부터 대상이 되는 이용 조건을 특정한다. 이용 조건 관리 테이블(D400)의 사용자 식별자(D401) 및 컨텐츠 식별자(D402)가, 사용자 식별자(D301) 및 컨텐츠 식별자(M1102)가 모두 일치하고 있는 레코드를 특정한다. 해당하는 레코드가 없는 경우는, 이용 조건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취지를 포함하는 회신 메시지를 이용 조건 생성부(110a)로 송신한다. 한편, 해당하는 레코드가 존재하는 경우는, 격납되어 있는 이용 조건에 기초하여, 배송할 이용 조건을 생성한다.
이용 조건의 생성 방법으로서는, 레코드에 기술되는 전체 이용 조건을 생성하거나, 레코드에 기술되는 이용 조건의 일부를 생성하는 등이 있다. 여기서, 이용 조건의 생성 방법에 관해 구체예를 사용해 설명한다. 사용자 식별자 「USER-ID-0001」, 컨텐츠 식별자 「CONTENT-ID-0001」로 특정된 레코드의 이용 조건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효 기간 「∼2003/1/30」, 이용 가능 회수 「10회」, 화질 제어 정보 「HD」이다.
전체 이용 조건을 배송하는 경우는, 가변인 이용 가능 조건인 이용 가능 회수를 「10회」로 생성하고, 생성 후의 상기 레코드의 이용 가능 회수는 「0회」가 된다. 또, 사용자의 권리의 일부를 배송하는 경우는 가변인 이용 가능 조건에 대해 단말 장치(300)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회수, 예를 들면 3회를 송신시켜, 요구분인 3회로 생성하고, 생성 후의 상기 레코드의 이용 가능 회수를 「7회」로 하는 운용이어도 된다. 또, 권리 관리 방식 A를 관리하는 메이커(α)의 운용에 의해 매회, 1회로 생성한다고 정해져 있는 경우는, 1회로 생성하고, 생성 후의 상기 레코드의 이용 가능 회수는 「9회」가 되는 등, 다양한 운용을 생각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본질이 아니므로, 상세한 시스템의 설명은 생략한다.
불변인 이용 가능 조건 및 이용시 제어 정보는, 이용 조건 생성에 의해 값이 변하지 않는다. 여기서는 이용 가능 회수를 10회로 배송하는 것으로 해서 설명한다.
이용 조건 생성부(110a)는, 이용 조건 격납부(112a)로부터 취득한 정보로부터 이용 조건(M1301)을 생성하여(도 27 : 단계 S2714), 이용 조건 송신 메시지 본체(M1300)에 포함시켜 송신한다.
여기서, 이용 조건(M1301)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용 조건 생성부(110a)는, 이용 조건(M1301)의 이용 가능 정보 식별자(831)로서 컨텐츠의 이용 가능한 기간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설정하고,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이용 가능 정보로서 「∼2003/1/30」을 설정한다. 또, 다음 이용 가능 정보 식별자(831)로서 컨텐츠의 이용 가능한 회수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설정하고,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이용 가능 정보로서 「10회」를 설정한다. 또, 이용시 제어 정보 식별자로서 화질 제어 정보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설정하고,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이용시 제어 정보로서 「HD」를 설정한다.
또, 이용 조건을 송신한 경우, 이용 조건 관리 테이블(D400)의 가변값인 이용 가능 회수를(격납되어 있던 이용 가능 회수) - (생성한 이용 가능 회수)로 갱신하지 않으면 안된다. 상기 예에서는 (10회) - (10회) = 0회가 되어 0회로 갱신한다. 또한, 갱신의 타이밍은, 이용 조건 생성부(110a)가 이용 조건을 라이센스 생성부(102)로 송신했을 때, 라이센스 생성부(102)가 라이센스를 단말 장치(300)로 송신했을 때, 라이센스를 단말 장치(300)가 수신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을 때 등이 상정된다. 또한, 이용 조건을 갱신한 후에, 라이센스를 송신하지 않은 경우 등은 이용 조건을 원래의 값으로 복원할 필요가 있다. 값을 복원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본질이 아니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의 처리를 거쳐 라이센스 생성부(102)는, 권리 생성부(10A) 및 권리 생성부(10B)로부터, 각각 이용 조건 송신 메시지, 또는 이용 조건 생성 불가를 나타내는 회신 메시지를 수신한다. 라이센스 생성부(102)는, 상기 이용 조건 송신 메시지, 또는 상기 회신 메시지로부터, 라이센스 생성의 가능, 불가를 판정한다.
라이센스의 생성 판단은, 이용 조건 송신 메시지를 송신한 모든 권리 생성부로부터 이용 조건을 수신한 경우만 생성 가능으로 하거나, 또는 이용 조건 송신 메시지를 송신한 권리 생성부 중 적어도 1개로부터 이용 조건을 수신한 경우에 생성가능으로 하는 등 다양한 운용이 가능하다. 또, 전체 권리 생성부로부터의 회신 메시지가, 이용 조건 생성 불가였던 경우, 또는 운용에 의해 라이센스 생성 불가라고 판단된 경우는, 생성 불가가 된 이유를 포함하는 회신 메시지를 단말 장치(300)로 송신한다.
여기서는 이용 조건 생성부(110a) 및 이용 조건 생성부(110b)로부터 모두 이용 조건이 송신되어, 라이센스 생성 가능한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라이센스 생성부(102)는, 라이센스 헤더(801)를 생성한다. 또, 컨텐츠 키(811)는 사전에 취득하고 있다.
우선 순위 정보(812)는 단말 장치(300)에서의 라이센스의 해석 처리에서 이용 조건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설정된다. 예를 들면, (권리 관리 식별자 : 우선 순위)의 리스트를 우선 순위 정보(812)에 기술한다. 구체적으로는 권리 생성부(10A)의 우선 순위를 권리 생성부(10B)보다 높게 하는 경우는, 「100A :1」,「100B : 2」처럼 기술한다. 권리 생성부가 3개 이상 있어도 같은 방법으로 표현 가능하다.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는 해석 처리에 관해서는 뒤의 단말 장치(300)에서의 라이센스 해석 처리에서 설명한다.
제어 식별 정보(813)는 라이센스의 해석 처리에서 컨텐츠 이용 가부의 판정이나, 라이센스의 갱신시의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04)의 제어 방법(「and 처리」나 「or 처리」)를 지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컨텐츠의 이용 가부의 제어에 있어서, 복수의 이용 조건 판정부(311)로부터 회신되는 컨텐츠의 이용 가부 판정 결과로부터 최종적인 이용 가부를 판정할 때, 전체 판정 결과의 and를 취하는 제어(전체 이용 조건 판정 결과가 이용 가능이 아니면 이용할 수 없다)와 or를 취하는 제어(이용 조건 판정 결과 중에서 1개라도 이용 가능이 있으면 이용할 수 있다) 등이다.
또한, 판정 결과가 3개 이상인 경우에, and 처리 및 or 처리가 혼재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04)가, 이용 조건 판정부(311a∼c)로부터 3개의 판정 결과인, 판정 결과 a∼c를 취득한 경우에, 판정 결과 a와 판정 결과 b를 and 처리한 결과와, 판정 결과 c를 or 처리한 결과로부터, 최종적인 이용 가부를 판정하는 경우 등이다.
이렇게 해서 라이센스 헤더(801)를 생성한다.
다음에 권리 관리별 정보 리스트(802)의 생성에 관해 설명한다.
이용 조건(823)에는 각 권리 생성부로부터 취득한 이용 조건을 설정하고, 라이센스 생성부(102)는, 권리 관리 식별자(821)에 이용 조건의 송신원의 권리 생성부에 대응하는 권리 관리 식별자를 설정하고, 관리 정보(822)에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설정하고, 이용 조건(823)에 수신한 이용 조건을 설정하여, 권리 관리별 정보를 생성한다.
라이센스 생성부(102)는, 수신한 이용 조건마다 상기의 처리를 반복하여, 권리 관리별 정보 리스트(802)를 생성한다(도 27 : 단계 S2715).
라이센스 생성부(102)는, 라이센스 헤더(801)와, 권리 관리별 정보 리스트(802)로부터 라이센스(800)를 생성하고, 라이센스 송신 메시지 본체(M1400)의 라이센스(M1401)에 설정하여, 단말 장치(300)로 송신한다(도 27 : 단계 S2716).
단말 장치(300)는 통신부(301)를 통해 라이센스 송신 메시지 본체(M1400)를 수신하여, 라이센스(M1401)를 취득한다(도 27 : 단계 S2733).
취득한 라이센스(M1401)를 라이센스 요구 메시지의 컨텐츠 식별자(M1102)와 동일한 컨텐츠 식별자와 관련지어 라이센스 격납부(303)에 격납한다(도 27 : 단계 S2734).
또한, 라이센스 헤더(811)에 컨텐츠 식별자를 포함시키는 경우는 관련짓는 처리가 불필요하다.
또, 단말 장치(300)는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로부터 생성 불가 통지를 포함하는 회신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는, 회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생성 불가의 이유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처리를 종료한다(도 27 : 단계 S2732).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단말 장치(300)가 해석 가능한 권리 관리 방식에 대응하는 이용 조건을 라이센스에 포함시켜 송신하는 것으로서 설명했는데, 라이센스에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가 생성 가능한 전체 이용 조건을 포함시켜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라이센스 요구 메시지 본체(M1100)는 권리 관리 식별자 리스트(M1103)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3) 컨텐츠 이용 개시시의 처리
다음에, 컨텐츠 이용 개시시의 단말 장치(300)의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컨텐츠 이용 개시시의 처리에 관계되는 통신 메시지의 데이터 구조에 관해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의 이용 조건 판정 의뢰 메시지 본체(M1500)는, 이용 조건(M1501)으로 이루어진다.
도 16의 판정 결과 송신 메시지 본체(M1600)는, 컨텐츠 이용 가부의 결과를 나타내는 컨텐츠 이용 가부 정보(M1601)와, 이용 가능 정보 식별자(M1611)와 이용 가능 정보(M1612)의 조의 리스트인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M1602)와, 이용시 제어 정보 식별자(M1621)와 이용시 제어 정보(M1622)의 조의 리스트인 이용시 제어 정보 리스트(M1603)로 이루어진다. 이용 가능 정보 식별자와, 이용 가능 정보와, 이용시 제어 정보 식별자와, 이용시 제어 정보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했다.
도 17의 이용 제어 메시지 본체(M1700)는 컨텐츠 키(M1701)와,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M1702)와, 이용시 제어 정보 리스트(M1703)로 이루어진다.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M1702)와, 이용시 제어 정보 리스트(M1703)의 데이터 구조는, 앞에서 설명한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M1602)와, 이용시 제어 정보 리스트(M1603)와 같다.
다음에, 단말 장치(300)가, 컨텐츠의 이용을 개시할 때의 각 부의 처리에 관해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말 장치(300)는, 사용자로부터의 단말 장치(300)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입력 및 컨텐츠 이용 개시 지시에 의해, 컨텐츠 이용 개시 처리를 개시한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300)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적어도 이용 대상인 컨텐츠를 특정하는 컨텐츠 식별자 또는, 컨텐츠 식별자에 준하는 정보를 입력한다. 또한, 「재생」,「인쇄」,「카피」 와 같은 컨텐츠의 이용 내용을 입력하여, 컨텐츠의 이용 내용을 한정함으로써 필요가 없는 컨텐츠 이용은 행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컨텐츠의 이용 내용의 입력이 없는 경우는, 컨텐츠마다의 라이센스에 포함되는 전형적인 이용 내용에 준한 컨텐츠 이용을 행한다.
사용자가, 컨텐츠 식별자 「CONTENT-ID-0001」을, 컨텐츠 이용 내용으로서 「재생」을 입력하여 컨텐츠 이용 처리를 개시한 것으로 해서, 이하의 설명을 행한다. 여기서, 라이센스 격납부(303)에 격납되어, 컨텐츠 식별자「CONTENT-ID-0001」에 대응하는 라이센스인 라이센스(2100)에 관해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라이센스(2100)의 권리 관리별 정보에 관해 설명한다. 라이센스(800)에서의 제1 권리 관리별 정보의 권리 관리 식별자(821)로서 권리 관리 방식 A를 나타내는 「100A」가 설정되고, 관리 정보(822)로서 「유효」가 설정되고, 이용 조건(823)의 제1 이용 가능 정보 식별자(831)로서 「유효 기간」이 설정되고, 이용 가능 정보(832)로서 「∼2003/1/30」이 설정되고, 제2 이용 가능 정보 식별자(831)로서 「이용 가능 회수」가 설정되고, 이용 가능 정보(832)로서 「10회」가 설정되고, 제1 이용시 제어 정보 식별자(833)로서 「화질 제어 정보」가 설정되고, 이용시 제어 정보(834)로서 「HD」가 설정되고, 제2 권리 관리별 정보의 권리 관리 식별자(821)로서 권리 관리 방식 B를 나타내는「100B」가 설정되고, 관리 정보(822)로서 「유효」가 설정되고, 이용 조건(823)의 제1 이용 가능 정보 식별자(831)로서 「유효 기간」이 설정되고, 이용 가능 정보(832)로서 「∼2003/3/1」이 설정되고, 제2 이용 가능 정보 식별자(831)로서 「이용 가능 시간」이 설정되고, 이용 가능 정보(832)로서 「100분」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사용자로부터의 정보 입력을 받은 단말 장치(300)는, 제어부(304)로부터 처리를 개시한다. 제어부(304)는 라이센스 격납부(303)로부터 컨텐츠 식별자를 키로 해서 대응하는 라이센스(800)를 특정하여, 취득한다. (도 28 : 단계 S2801).
제어부(304)는 라이센스(800)에 포함되는 권리 관리별 정보 리스트(801)에 포함되는 권리 관리별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권리 관리별 정보에 포함되는 권리 관리 식별자(821)를 추출한다.
추출한 권리 관리 식별자(821)를 기초로 이용 조건을 송신하는 이용 조건 판정부를 결정한다(도 28 : 단계 S2802).
또한, 서비스 식별자·권리 관리 식별자 대응 테이블을 사용해, 이용 조건을 송신하는 이용 조건 판정부를 한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304)는, 권리 관리 식별자와 권리 해석부 또는, 이용 조건 판정부의 대응 테이블을 유지해도 되고, 처리할 때마다 권리 해석부 또는, 이용 조건 판정부에 권리 관리 식별자를 문의하도록 해도 된다.
제어부(304)는, 권리 관리 식별자(821)에 대응하는 이용 조건 판정부(311)에 권리 관리 식별자(821)를 포함하는 권리 관리별 정보의 이용 조건(823)을 송신한다. 또한, 전체 권리 관리별 정보를 이용 조건 판정부(311)로 송신하여, 권리 관리 식별자(821)에 기초하는 이용 조건의 특정 처리를, 이용 조건 판정부(311)가 행하도록 해도 된다.
권리 관리 식별자(821)에 대응하는 이용 조건 판정부(311)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통신할 수 없는 경우는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권리 관리 식별자(821)에 대응하는 이용 조건 판정부(311)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유사적으로 판정 결과로서 컨텐츠 이용 불가가 회신되어 온 것으로 해서, 이후의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되고, 권리 관리 식별자마다, 디폴트의 값을 정해 두어도 된다. 예를 들면, 권리 관리 식별자 「100A」의 이용 조건 판정부(311a)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유사적인 판정 결과로서, 「이용 가능」「재생 가능 시간」「1시간」을 디폴트의 값으로 하는 등이다.
여기서, 라이센스(800)의 구체예인 라이센스(2100)의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라이센스(2100)에는 권리 관리별 정보(2111)와 권리 관리별 정보(2112)가 포함되어 있다. 먼저 권리 관리별 정보(2111)의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권리 관리별 정보(2111)로부터 권리 관리 식별자인 「100A」를 추출한다. 권리 관리 식별자 「100A」는 권리 관리 방식 A에 대응하는 권리 관리 식별자이고, 대응하는 이용 조건 판정부는 권리 관리 방식 A에 대응하는 이용 조건 판정부(311a)이다.
다음에, 제어부(304)에 의한 권리 관리별 정보(2112)의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권리 관리별 정보(2112)로부터 권리 관리 식별자인 「100B」를 추출한다. 권리 관리 식별자 「100B」는 권리 관리 방식 B에 대응하는 권리 관리 식별자이고, 대응하는 이용 조건 판정부는 권리 관리 방식 B에 대응하는 이용 조건 판정부(311b)이다.
제어부(304)는 권리 관리별 정보(2111)에 포함되는 이용 조건을 이용 조건 판정 의뢰 메시지 본체(M1500)의 이용 조건(M1501)으로서 조건 판정부(311a)로 송신하고, 권리 관리별 정보(2112)에 포함되는 이용 조건을 이용 조건 판정 의뢰 메시지 본체(M1500)의 이용 조건(M1501)으로서 조건 판정부(311b)로 송신한다(도 28 : 단계 S2803). 또한, 제어부(304)는, 이용 조건(M1501)으로부터 컨텐츠의 이용 가부의 판정에 관계된 이용 가능 정보만을 추출하여 조건 판정부(311a 또는 311b)로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이용 조건 판정 의뢰 메시지를 수신한 이용 조건 판정부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대표로서 이용 조건 판정부(311a)의 처리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용 조건 판정부(311a)는 이용 조건 판정 의뢰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용 조건을 추출한다(도 28 : 단계 S2811).
이용 조건 판정부(311a)는 컨텐츠 이용 가부의 판정을 상기 이용 조건에 포함되는 이용 가능 정보와 단말 장치(300)가 갖는 기능으로부터 판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권리 관리별 정보(2111)의 이용 조건의 이용 조건 판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제1 이용 가능 정보인 유효 기간 「∼2003/1/30」에 의한 컨텐츠 이용 가부의 판정에 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현재 시각이 「2002/12/24」인 경우는 유효 기간 내이므로, 컨텐츠 이용 가능으로 판정한다. 현재 시각이 「2003/02/13」인 경우는 유효 기간 밖이므로, 컨텐츠 이용 불가로 판정한다.
또한, 이용 조건 판정부(311a)는 컨텐츠의 이용 가부 판정을 행할 때 필요해지는 정보인 단말 장치(300)가 갖는 기능의 정보를 취득하는(도 28 : 단계 S2812) 것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 장치(300)의 기능으로서 안전한 때를 알리는 시큐어 시계를 갖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왜냐하면 시큐어 시계가 없는 경우는 현재 시각이 유효 기간 내인지 여부의 판정이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시큐어 시계가 없는 경우는, 컨텐츠의 이용 불가라고 판단한다. 시큐어 시계가 있는 경우는, 안전하게 관리된 현재 시각을 취득하여, 상기 유효 기간 내에 있는지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현재 시각이 유효 기간 내에 있는 경우는 컨텐츠의 이용은 가능하고, 유효 기간 밖인 경우는, 컨텐츠의 이용은 불가라고 판단한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300)에 시큐어 시계 기능이 존재하고, 현재 시각이 「2002/12/24」인 경우는 유효 기간 내이므로, 컨텐츠 이용 가능으로 판정한다. 현재 시각이「2003/02/13」인 경우는 유효 기간 밖이므로, 컨텐츠 이용 불가로 판정한다.
또, 유효 기간이, 유효 기간을 설정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시큐어 시계가 없어도 컨텐츠 이용 가능으로 판단한다.
다음에 제2 이용 가능 정보인 이용 가능 회수 「10회」에 의한 컨텐츠 이용가부의 판정에 관해 설명한다.
이용 조건 판정부(311a)는 이용 가능 회수가 1회 이상인지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1회 이상 있으면 컨텐츠 이용 가능으로, 0회이면 컨텐츠 이용 불가로 판정한다. 권리 관리별 정보(2111)에서의 이용 가능 회수는「10회」이므로, 컨텐츠 이용 가능으로 판정한다.
제1 이용 가능 정보 및 제2 이용 가능 정보에 의한 컨텐츠 이용 가부 판정에서 모두 컨텐츠 이용 가능으로 판정되었으므로, 이용 조건 판정부(311a)는 수신한 이용 조건에 대해서는 컨텐츠 이용 가능으로 판정하다(도 28 : 단계 S2813). 또한, 제3 이용 가능 정보, 제4 이용 가능 정보가 있는 경우는, 각각에 대해 컨텐츠 이용 가부의 판정을 행한다.
이용 조건 판정부(311a)는 판정 결과 송신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어부(304)로 송신한다(도 28 : 단계 S2814).
판정 결과 송신 메시지 본체(M1600)에 포함되는 컨텐츠 이용 가부 정보(M1601)는, 이용 조건 판정부(311a)에서의 컨텐츠 이용 가부의 결과인 「이용 가능」을 설정하고,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M1602)는, 이용 가능 정보 중에서 가변인 이용 가능 정보인 이용 가능 회수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이용 가능 회수」,「10회」를 설정한다.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M1602)에 설정하는 가변인 이용 가능 정보는, 컨텐츠 이용부에서의 컨텐츠 이용의 최대 범위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용시 제어 정보 리스트(M1603)에는 이용 조건에 포함되는 이용시 제어 정보의 리스트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화질 제어 정보」「HD」를 설정한다.
다음에, 복수의 이용 조건 판정부(311)로부터 판정 결과 송신 메시지를 수신한 제어부(304)의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제어부(304)는 1개 이상의 이용 조건 판정부(311)로부터 판정 결과 송신 메시지를 수신한다(도 28 : 단계 S2804). 제어부(304)는 상기 판정 결과 송신 메시지 본체(M1600)로부터, 컨텐츠 이용 가부 정보(M1601)와,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M1602)와, 이용시 제어 정보 리스트(M1603)를 추출한다.
먼저 복수의 컨텐츠 이용 가부 정보에 의한 제어부(304)에서의 컨텐츠 이용 가부 판단의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제어부(304)는, 복수의 컨텐츠 이용 가부 정보 및 라이센스 헤더(801)에 포함되는 우선 순위 정보(812)와, 제어 식별 정보(813)로부터, 컨텐츠 이용 가부를 판정한다(도 28 : 단계 S2805).
여기서, 우선 순위 정보(812)는 컨텐츠 이용 가부 판단 처리에서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고 있고, 「100A : 1」,「100B : 2」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권리 관리 식별자 「100A」에 대응하는 이용 조건 판정부(311a)로부터의 컨텐츠 이용 가부 정보가, 권리 관리 식별자 「100B」에 대응하는 이용 조건 판정부(311b)로부터의 컨텐츠 이용 가부 정보보다도 우선 순위가 높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이용 조건 판정부(311a)로부터 「이용 가능」, 이용 조건 판정부(311b)로부터 「이용 불가」를 수신한 경우는, 이용 조건 판정부(311a)로부터의 회신을 우선하여, 제어부(304)로서 컨텐츠 이용 가능으로 판단한다. 또한, 우선 순위 정보는 권리 관리 방식마다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경우는, 값을 설정하지만, 우선 순위가 없는 경우는, 「-」가 설정된다.
다음에, 제어 식별 정보(813)에 관해 설명한다. 제어 식별 정보(813)는, 컨텐츠 이용 가부 판단 처리에서의 복수의 컨텐츠 이용 가부 정보에 기초하는 제어부(304)의 이용 가부 판단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and 처리, or 처리 등이다.
먼저, and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and 처리의 경우는, 복수의 이용 가부 정보를 and 처리한 결과, 이용 가능이면, 제어부(304)로서 컨텐츠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고, and 처리한 결과가 이용 불가이면, 제어부(304)로서 컨텐츠의 이용을 불가라고 판단한다. 즉, 모든 이용 가부 정보가 이용 가능인 경우는 제어부(304)로서 이용 가능이 되고, 1개라도 이용 불가인 이용 가부 정보가 있으면, 제어부(304)로서 이용 불가라고 판단한다.
다음에, or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or 처리의 경우는, 복수의 이용 가부 정보를 or 처리한 결과, 이용 가능이면, 제어부(304)로서 컨텐츠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고, or 처리한 결과가 이용 불가이면, 제어부(304)로서 컨텐츠의 이용을 불가라고 판단한다. 즉, 1개라도 이용 가능인 이용 가부 정보가 있는 경우는 제어부(304)로서 이용 가능이 되고, 모든 이용 가부 정보가 이용 불가인 경우는, 제어부(304)로서 이용 불가라고 판단한다.
제어 식별 정보(813)는 기본적으로 설정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디폴트로 처리 방법을 정해 두는, 예를 들면 and 처리를 행하는 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우선 순위 정보(812)와 제어 식별 정보(813)를 조합해서, 일정한 우선 순위 이상의 권리 관리 방식에 대응하는 이용 조건 판정부(311)로부터 회신된 이용 가부 정보를 제어 식별 정보(813)에 따른 처리에서 제어부(304)로서의 이용 가부를 판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서비스 식별자·권리 관리 식별자 대응 테이블을 사용해, 판정 대상이 되는 이용 가부 정보를 한정하도록 해도 된다.
제어부(304)의 판단으로서 컨텐츠의 이용이 불가가 된 경우는 처리를 종료하고, 사용자에게 그 취지를 통지한다.
다음에, 제어부(304)가, 컨텐츠의 이용 가능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복수의 이용 조건 판정부(311)로부터 취득한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M1602)로부터 이용 제어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M1702)를 생성하는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여기서, 이용 제어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M1702)는 컨텐츠 이용부(321)에서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의, 컨텐츠 이용 가능한 조건을 넘어서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보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첫번째 예로서 제어부(304)가 이용 조건 판정부(311a)로부터 취득한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에 「재생 가능 회수」,「10회」가 설정되고, 이용 조건 판정부(311b)로부터 취득한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에 「재생 가능 시간」,「100분」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M1702)에는, 「재생 가능 회수」,「10회」 및 「재생 가능 시간」,「100분」이 설정된다.
또한, 제어부(304)가 취득한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를 이용 가능 정보 식별자마다 and 처리를 행하고, 모든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에 동일한 이용 가능 정보 식별자에 대응하는 이용 가능 정보가 있는 경우만,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M1702)에 추가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예에 있어서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M1702)에, 「재생 가능 회수」, 「10회」 및 「재생 가능 시간」,「100분」을 설정하는 것은, 이용 가능 정보 식별자마다, or 처리를 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 이용 가능 정보의 and 처리, or 처리에 관한 제어 정보를 라이센스 헤더(801)의 제어 식별 정보(813)에 포함시키도록 해도 된다.
두번째 예로서 제어부(304)가 이용 조건 판정부(311a)로부터 취득한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에 「재생 가능 회수」,「10회」가 설정되고, 이용 조건 판정부(311b)로부터 취득한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에 「재생 가능 회수」,「3회」가 설정되어, 이용 가능 정보의 항목인 재생 가능 회수가 중복하고 있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이용 가능 정보의 항목이 중복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이용 가능 정보의 항목에 대응하는 이용 가능 정보의 값이 일치하고 있는 경우는, 일치한 값을 설정한다. 이 예에서는, 이용 가능 정보의 항목이 중복하고, 또한 상기 이용 가능 정보의 항목에 대응하는 이용 가능 정보의 값이 상이하다. 이 경우, 사용자의 편리성을 생각해 「10회」를 설정한다. 즉,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M17020에는, 「재생 가능 회수」,「10회」가 설정된다.
또한, 컨텐츠의 권리 보호를 중시하여, 「3회」를 설정해도 되고, 어느 쪽을 우선하여 처리할지의 정보를 컨텐츠 헤더(801)의 우선 순위 정보(812)에 포함시켜, 우선 순위 정보(812)에 따라서 설정해도 되고, 처리 불능으로 하여, 컨텐츠 이용 불가라고 판단해도 된다.
또, 제어부(304)는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M1702)에 설정한 이용 가능 정보를 송신해 온 권리 관리 방식의 권리 관리 식별자를 기억해 두고, 이용 조건 갱신시에, 상기 권리 관리 방식에 대응하는 이용 조건 갱신부에서만 갱신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컨텐츠 이용 가능인 경우, 제어부(304)가 복수의 이용시 제어 정보로부터 이용 제어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이용시 제어 정보 리스트(M1703)를 생성하는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여기서, 이용 제어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이용시 제어 정보 리스트(M1703)는, 컨텐츠 이용부(321)에서 컨텐츠를 이용할 때의 이용시 제어에 관한 정보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첫번째 예로서 제어부(304)가 이용 조건 판정부(311a)로부터 취득한 이용시 제어 정보 리스트에 「화질 제어 정보」,「HD」가 설정되고, 이용 조건 판정부(311b)로부터 취득한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에 「음질 제어 정보」,「5.1ch」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이용시 제어 정보 리스트(M1703)에는, 「화질 제어 정보」,「HD」 및 「음질 제어 정보」,「5.1ch」이 설정된다.
또한, 제어부(304)가 취득한 이용시 제어 정보 리스트를 이용 가능 정보 식별자마다 and 처리를 행하고, 전체 이용시 제어 정보 리스트에 같은 이용 가능 정보 식별자에 대응하는 이용시 제어 정보가 있는 경우만, 이용시 제어 정보 리스트(M1703)에 추가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예에 있어서 이용시 제어 정보 리스트(M1703)에, 「화질 제어 정보」,「HD」 및 「음질 제어 정보」,「5.1ch」을 설정하는 것은, 이용 가능 정보 식별자마다, or 처리를 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 이용시 제어 정보의 and 처리, or 처리에 관한 제어 정보를 라이센스 헤더(801)의 제어 식별 정보(813)에 포함시키도록 해도 된다.
두번째 예로서 제어부(304)가 이용 조건 판정부(311a)로부터 취득한 이용시 제어 정보 리스트에 「화질 제어 정보」,「HD」가 설정되고, 이용 조건 판정부(311b)로부터 취득한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에 「화질 제어 정보」, 「SD」가 설정되어, 이용시 제어 정보의 항목인 화질 제어 정보가 중복하고 있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이용시 제어 정보의 항목이 중복하여, 상기 이용시 제어 정보의 항목에 대응하는 이용시 제어 정보의 값이 일치하고 있는 경우는, 일치한 값을 설정하면 된다. 상기 예에서는, 이용시 제어 정보의 항목이 중복하고, 상기 이용시 제어 정보의 항목에 대응하는 이용시 제어 정보의 값이 상이하다. 이 경우, 사용자의 편리성을 생각해 「HD」를 설정한다. 즉, 이용시 제어 정보 리스트(M1703)에는, 「화질 제어 정보」,「HD」가 설정된다.
또한, 컨텐츠의 권리 보호를 중시하여, 「SD」를 설정해도 되고, 어느 쪽을 우선하여 처리할지의 정보를 컨텐츠 헤더(801)의 우선 순위 정보(812)에 포함시켜, 우선 순위 정보(812)에 따라서 설정해도 되고, 처리 불능으로 하여, 컨텐츠 이용 불가라고 판단해도 된다.
제어부(304)는 라이센스 헤더(801)의 컨텐츠 키(811)와,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M1702)와, 이용시 제어 정보 리스트(M1703)로부터, 이용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또한,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M1702)와, 이용시 제어 정보 리스트(M1703)에 포함시키는 정보는 컨텐츠 이용 내용에 의해 한정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컨텐츠 이용 내용 「재생」의 경우에, 이용 가능 정보 「인쇄 매수」및 이용시 제어 정보 「인쇄 품질」 등이 있었던 경우, 「인쇄 매수」 및 「인쇄 품질」은 「재생」처리에 관계가 없기 때문에, 리스트에 추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음에, 제어부(304)는 이용 가능 정보에 포함되는 이용 가능 정보 식별자를 기초로 컨텐츠 이용부(321)를 특정하여, 상기 이용 제어 메시지를 송신한다(도 28 : 단계 S2806).
또한,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이용 내용, 이 경우는 「재생」과의 일치 처리를 행해도 된다. 일치 처리를 행하는 경우, 일치하고 있으면 사용자의 의도와 이용 가능 정보의 내용이 일치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컨텐츠의 이용을 개시하고, 일치하고 있지 않으면, 사용자의 의도와 이용 가능 정보의 내용이 일치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컨텐츠 이용부(321)는 이용 가능한 처리마다 설정된다. 예를 들면 시청 재생을 위한 랜더링 장치, 인쇄를 위한 프린터 장치와 같은 느낌이다. 여기서는, 재생 가능 회수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재생이 가능한 컨텐츠 이용 장치(321)가 특정된다. 또한, 복수의 컨텐츠 이용 장치에 관계된 이용 가능 정보가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M1702)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는, 사용자가 입력한 이용 내용에 따르거나, 처리 불능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M1702)에 「재생 가능 회수」와 「인쇄 가능 회수」가 포함되는 경우 등이다.
이들 상반되는 이용 가능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는, 이용 내용에 따르거나, 또는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M1702) 설정의 타이밍에서 사용자에게 선택시키거나, 또는 처리 불능으로 한다.
컨텐츠 이용부(321)는 상기 이용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다(도 28 : 단계 S2821). 계속해서 단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컨텐츠 식별자를 수신한다. 상기 컨텐츠 식별자를 키로 해서 컨텐츠 격납부(305)로부터 라이센스(800)에 대응하는 암호화 컨텐츠를 특정하여, 취득한다(도 28 : 단계 S2822).
컨텐츠 이용부(321)는 상기 이용 제어 메시지의 컨텐츠 키(M1701),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M1702) 및 이용시 제어 정보 리스트(M1703)를 추출한다. 상기 암호화 컨텐츠를 컨텐츠 키(M1701)로 복호하여, 이용시 제어 정보에 따라서, 재생한다(도 28 : 단계 S2823). 단, 이용 가능 정보에서 허용되는 범위에서만 컨텐츠의 이용이 허가된다.
(4) 컨텐츠 이용 종료시의 처리
마지막으로, 컨텐츠의 이용을 종료하고, 라이센스를 갱신할 때의 처리에 관해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컨텐츠 이용 종료시의 처리에 관계되는 통신 메시지의 데이터 구조에 관해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의 이용 정보 송신 메시지(M1800)는, 이용 정보 리스트(M180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용 정보 리스트(M1801)는, 이용 정보 식별자(M1811)와 컨텐츠 이용부(321)에서 이용한 값을 설정하는 이용량(M1812)의 조의 리스트로 이루어진다. 이용 정보 식별자(M1811)의 내용은 이용한 이용 가능 정보의 이용 가능 정보 식별자와 동일한 것이 설정된다.
도 19의 이용 조건 갱신 의뢰 메시지(M1900)는, 갱신용 이용 정보 리스트(M1901)와, 갱신 대상인 이용 조건(M190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갱신용 이용 정보 리스트(M1901)는, 이용 정보 식별자(M1911)와, 갱신할지 여부의 판정에 사용하는 갱신 플래그(M1912)와, 이용량(M1913)의 조의 리스트로 이루어진다. 도 20의 갱신 후 이용 조건 송신 메시지(M2000)는, 갱신 후의 이용 조건인 이용 조건(M2001)으로 이루어진다.
컨텐츠 이용부(321)는, 컨텐츠를 이용하는 동안, 이용 회수 및 이용 시간 등을 카운트하는 것으로 한다. 사용자 조작, 또는 이용 가능 시간의 제한에 의해, 컨텐츠의 이용이 종료한다(도 29 : 단계 S2921).
컨텐츠 이용부(321)는, 이용 정보 리스트(M1801)를 생성하여, 이용 정보 송신 메시지를 제어부(304)로 송신한다(도 29 : 단계 S2922).
여기서, 컨텐츠 이용부(312)에 의한 이용 정보 리스트(M1801)의 생성에 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컨텐츠 이용부(321)에서 컨텐츠의 재생을 1회, 10분 행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이용 정보 리스트(M1801)에는 「재생 회수」,「1회」 및 「재생 시간」,「10분」이 설정된다.
제어부(304)는, 상기 이용 정보 송신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용 정보 리스트(M1801)를 추출하여, 취득한다(도 29 : 단계 S2901).
다음에, 이용 정보 리스트(M1801)의 각 이용 정보를 송신하는 이용 조건 갱신부(312)를 결정한다(도 29 : 단계 S2902).
여기서, 제어부(304)에서의 이용 조건 갱신부(312)의 결정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이용 정보 리스트(M1801)의 이용 정보의 이용 정보 식별자 중에서 갱신 처리가 가능한 이용 조건 갱신부(312)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라이센스(800)에서의 관리 정보(822)에, 일시적으로 이용을 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로킹 플래그를 세워, 갱신할 수 없었던 이용 정보를 라이센스와 관련지어 격납하도록 해도 된다(도 29 : 단계 S2904). 이용 조건 판정부(311)는, 컨텐츠 이용시의 라이센스를 해석하는 처리에 있어서, 상기 로킹 플래그가 서 있는 경우는, 이용 조건(823)은 일시적으로 이용 불가라고 판단하고, 컨텐츠 이용 불가의 판정을 내린다. 또한, 로킹 플래그가 서 있는 이용 조건은, 이용 조건의 갱신이 가능해진 단계에서, 관련지어 격납하고 있던 이용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 조건의 갱신을 행하고, 이용 조건의 갱신 처리를 정상으로 행하면, 로킹 플래그는 해제되어, 통상대로 이용 가능해진다.
또한, 컨텐츠 이용부(312)로의 이용 제어 메시지의 송신 전에 제어부(304) 또는 이용 조건 판정부(311)가 이용 조건의 갱신 가능 판정을 행하거나, 또는 컨텐츠 이용 중, 정기적으로 컨텐츠 이용부(321)가 갱신 가능 판정을 행하여, 갱신할 수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 처리를 종료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갱신 가능 판정이란,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M1702)에 대응하는 이용 조건 갱신부(312)가 존재하는지, 통신 가능한 상태인지, 기능하고 있는지를 확인해서, 이용 조건의 갱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다.
제어부(304)에 의한, 이용 정보를 송신하는 이용 조건 갱신부(312)의 결정 방법에는 다음 3가지가 있다.
첫번째 방법은, 이용 제어 정보 메시지의 이용 가능 정보 리스트(M1702)에 설정한 이용 가능 정보를 송신해 온 이용 조건 판정부(311)의 권리 관리 식별자를 기억해 두고, 상기 권리 관리 식별자에 대응하는 이용 조건 갱신부(312)로 송신하는 방법이다.
두번째 방법은, 이용 정보 리스트(M1801)에 포함되는 이용 정보 식별자에 기초하여, 갱신 처리를 행해야 할 이용 조건 갱신부(312)를 특정하여, 이용 정보를 상기 이용 조건 갱신부(312)로 송신하는 방법이다. 이용 정보 식별자에 기초하는 이용 조건 갱신부(312)의 특정 방법이란, 상기 이용 정보 식별자와 일치하는 이용 가능 정보 식별자의 해석이 가능한 이용 조건 갱신부(312)를 갱신 대상으로서 특정하는 방법이다. 제어부(304)가, 대응 테이블을 유지하거나, 또는 수시로 문의하는 등에 의해 실현한다. 상기 방법에 의해 갱신 대상이 되는 모든 이용 조건 갱신부(312)에서 갱신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되고, 특정한 이용 조건 갱신부(312)에서만 갱신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세번째 방법은, 갱신 처리의 가능성이 있는 모든 이용 조건 갱신부(312)로 이용 정보 리스트(M1801)를 송신하여, 이용 조건 갱신부(312)에서 이용 정보 식별자(M1811)에 기초하여 갱신 처리를 행할 이용 정보를 특정하는 방법이다.
또한, 우선 순위 정보, 또는 서비스 식별자·권리 관리 식별자 대응 테이블에 의해, 갱신 처리를 행할 이용 조건 갱신부(312)를 한정하도록 해도 된다.
제어부(304)는, 상기 이용 정보와, 상기 이용 정보에 의해 갱신 대상이 되는 이용 조건을 포함시킨 이용 조건 갱신 의뢰 메시지(M1900)를 이용 조건 갱신부(312)로 송신한다(도 29 : 단계 S2903).
상기 이용 조건 갱신 의뢰 메시지(M1900)를 수신한 이용 조건 갱신부(312)는, 갱신용 이용 정보 리스트(M1901)와, 이용 조건(M1902)을 추출하여, 취득한다 (도 29 : 단계 S2911).
이용 조건 갱신부(312)는, 갱신용 이용 정보 리스트(M1901)에 기초하여 이용 조건(M1902)의 갱신 처리를 행한다(도 29 : 단계 S2912).
먼저 갱신용 이용 정보 리스트(M1901)의 갱신용 이용 정보를 1개씩 해석한다. 먼저 갱신 플래그를 보고, 갱신 처리를 행할지 여부의 판정을 한다. 갱신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는, 상기 이용 정보에 의한 갱신 처리는 행하지 않는다.
갱신 플래그는, 제어부(304)가 설정하며, 예를 들면 컨텐츠 이용부(321)의 처리가 정상이 아닐 가능성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갱신 플래그를 OFF로 하는 등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갱신 플래그는 라이센스(800)에 대해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갱신 플래그가 ON이며 갱신 처리를 행한다고 판정한 경우는, 갱신용 이용 정보의 이용 정보 식별자(M1911)를 추출하여, 이용 정보 식별자(M1911)를 키로 해서 이용 조건(M1902)으로부터 갱신 대상이 되는 이용 가능 정보를 특정한다.
이용 정보 식별자(M1911)와, 라이센스(800)에서의 이용 가능 정보 식별자(831)가 일치하는 이용 가능 정보가 갱신 대상의 이용 가능 정보이다. 구체적으로, 이용 정보로서, 「재생 회수」,「3회」, 이용 가능 정보로서, 「재생 가능 회수」,「10회」가 있는 것으로 한다. 그 경우, 이용 조건(M1902)의 이용 가능 정보의 하나인 「재생 가능 회수」의 항목은, 「7회」로 감산되어, 갱신된다.
또한, 재생 가능 회수를 재생 가능한 회수의 최대값으로 하여, 이용한 회수를 가산해 가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의 예에서는, 「재생 가능 최대수 : 10회」,「재생 회수 : 3회」가 된다.
이용 조건 갱신부(312)는, 상기의 처리를 갱신용 이용 정보 리스트(M1901)의 모든 갱신용 이용 정보에 대해 동일한 처리를 행해 이용 조건(M1902)의 갱신 처리를 행한다. 이용 조건 갱신부(312)는, 상기 갱신이 끝난 이용 조건인 이용 조건(M2001)을 포함하는 갱신 후 이용 조건 송신 메시지를 제어부(304)로 송신한다(도 29 : 단계 S2913).
제어부(304)는 상기 갱신 후 이용 조건 송신 메시지를 이용 조건 갱신부(312)로부터 수신하여, 이용 조건을 추출하여, 취득한다(도 29 : 단계 S2905). 제어부(304)는, 수신한 복수의 이용 조건으로부터 라이센스를 갱신한다(도 29 : 단계 S2906).
여기서, 제어부(304)가, 수신한 복수의 이용 조건에 의한 라이센스의 갱신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제어부(304)는, 갱신 후 이용 조건 송신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갱신 후 이용 조건 송신 메시지를 송신해 온 이용 조건 갱신부(312)의 권리 관리 식별자와 이용 조건(M2001)을 관련지어 기억한다. 제어부(304)는 갱신 전의 라이센스(800) 중에서 상기 권리 관리 식별자와 일치하는 권리 관리별 정보를 검색하여, 특정한다.
라이센스(800)에서의, 권리 관리 식별자의 중복 및 대상이 되는 권리 관리 식별자가 존재하지 않아서 특정할 수 없는 경우는, 중복인 경우는, 라이센스가 부정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컨텐츠 이용 처리가 부정하다고 간주해서, 라이센스를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한다.
제어부(304)는, 상기 권리 관리별 정보를 특정할 수 있었던 경우는, 상기 권리 관리별 정보의 이용 조건(823)을 이용 조건(M2001)으로 덮어쓰기하여, 갱신한다. 제어부(304)는 수신한 모든 갱신 후 이용 조건 송신 메시지에 대해 동일한 처리를 행해, 라이센스의 갱신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304)는 상기 갱신한 라이센스를 라이센스 격납부(303)에 격납한다(도 29 : 단계 S2907).
여기서, 단말 장치(300)에 의한 이용 조건 판정부(311), 이용 조건 갱신부(312) 및 컨텐츠 이용부(321)의 정당성을 확인하는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이용 조건 판정부(311), 이용 조건 갱신부(312) 및 컨텐츠 이용부(321)는, 플러그 인 및 내(耐)탬퍼 모듈 등으로 추가,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 인이란, 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작은 프로그램을 의미하여, 내탬퍼 모듈이란, 프로그램을 기억한 하드적으로 내탬퍼된 기억 매체를 의미한다.
즉, 이용 조건 판정부(311), 이용 조건 갱신부(312) 및 컨텐츠 이용부(321)는,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신뢰할 수 있는 처리부인지, 최신의 처리부인지 등의 각 처리부의 정당성이 보증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제어부(304)는, 이용 조건 판정부(311), 이용 조건 갱신부(312) 및 컨텐츠 이용부(321)가 서로 통신 처리를 행하는 경우, 신뢰할 수 있는 처리부인지의 인증 처리가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인증 처리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통상, 라이센스(800)처럼 보안성을 요하는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는, SAC를 확립하여 안전하게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와 단말 장치(300)의 사이에서 SAC를 확립하도록 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단말 장치(300)에 있어서, 제어부(304)는, 이용 조건 판정부(311), 이용 조건 갱신부(312) 및 컨텐츠 이용부(321)의 사이에서 SAC를 확립한다.
SAC의 확립에는, 예를 들면 SSL(Secure Socket Layer)이나 TLS(Transport Layer Security)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300) 내에서, 인증 처리를 행하는 타이밍의 구체예는 이하 와 같다.
제어부(304)가, 이용 조건 판정부(311)로, 이용 조건 판정 의뢰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
제어부(304)가, 이용 조건 판정부(311)로부터, 판정 결과 송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304)가, 이용 조건 갱신부(312)로, 이용 조건 갱신 의뢰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
제어부(304)가, 이용 조건 갱신부(312)로부터, 갱신 후 이용 조건 송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304)가, 컨텐츠 이용부(321)로, 컨텐츠 이용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
제어부(304)가, 컨텐츠 이용부(321)로부터, 이용 정보 송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또한, 서로 신뢰할 수 있는 것이 보증되는 경우는, 인증 처리를 행하지 않아도 된다.
또, 제어부(304)는, 이용 조건 판정부(311) 및 이용 조건 갱신부(312)와 같은 각 처리부가 최신의 것인지 여부의 확인을 행하는 경우도 있다. 단말 장치(300)는, 단말 장치(300)에서의 각 처리부의 관리를 행하는 단말 처리부 관리 서버로부터, 각 처리부가 최신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정보(이하, 최신 판정 정보라고 부른다)를 취득한다.
최신 판정 정보란, 예를 들면 최신의 각 처리부의 세대를 나타내는 세대 정보이다. 세대 정보란 임의의 2개의 요소를 취해 오면, 반드시 2개의 요소의 대소 관계가 결정되는 집합의 1개의 예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처리부에 변경이 있을 때마다 값이 단조 증가하는 버젼을 그 일례로서 설명한다.
단말 장치(300)가, 단말 처리부 관리 서버로부터 다음의 최신 판정 정보를 취득하여,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권리 관리 식별자 「100A」의 이용 조건 판정부의 최신 버젼이 「5」이다.
제어부(304)는, 이용 조건 판정부(311a)와 통신을 행할 때, 이용 조건 판정부(311a)에 대해, 버젼을 문의한다. 이용 조건 판정부(311a)의 버젼이 「4」 이하이면, 이용 조건 갱신부(312a)의 갱신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버젼이 「5」인 경우는, 갱신이 불필요하다고 판단한다.
또한, 이용 조건 판정부(311a)의 버젼이「6」 이상인 경우는 부정이 행해지고 있다고 판단하여, 이용 조건 판정부(311a)를 무효화하도록 해도 된다.
단말 장치(300)가 이용 조건 판정부(311a)의 갱신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는, 단말 처리부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이용 조건 판정부(311a)의 안전한 갱신 처리를 행한다. 또한, 갱신 처리의 상세한 것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본질이 아니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단말 장치(300)는, 정기적으로 단말 처리부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최신 판정 정보를 취득하도록 해도 되고, 최신 판정 정보를 취득한 타이밍에서, 각 처리부의 갱신 판정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해서, 제어부(304)는, 각 처리부와의 통신시에, 각 처리부의 정당성 확인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는 라이센스(800)가 라이센스(2100)의 구성을 취하는 컨텐츠 배송 시스템(S)이며,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이 혼재하는 환경에서, 단말 장치(300)가 컨텐츠 배송 서버(200)로부터 컨텐츠를 취득하고, 단말 장치(300)가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로부터 라이센스를 취득하고, 단말 장치(300)가 컨텐츠의 이용을 개시하여 종료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이하, 본 발명에서의 실시형태 2에 관해, 도면을 사용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컨텐츠 배송 시스템의 전체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실시형태 1에서의 컨텐츠 배송 시스템(S)과 같고, 본 컨텐츠 배송 시스템(S)에서의 각 서버 및 단말 장치의 기본 구성도 실시형태 1과 같으므로, 이들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실시형태 1과 다른 점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1과 라이센스의 데이터 구성이 다르다. 먼저, 본 실시형태에서의 라이센스의 데이터 구성을 설명하고, 다음에 데이터 구성의 차이에 따른 라이센스에 관계된 처리의 차이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다루는 라이센스(800)는, 권리 관리별 정보 리스트(802)의 각 권리 관리별 정보의 이용 조건(823)에서 가변인 이용 가능 정보의, 항목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 구조로 한다. 복수의 권리 관리별 정보에, 동일한 가변인 이용 가능 정보의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즉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에서 동일한 가변인 이용 가능 정보의 항목을 제어하는 경우, 중복하는 항목은 권리 관리 식별자로서 전체 권리 관리 방식에 공통인 것을 나타내는 특수값을 격납한, 권리 관리 공통 정보로 값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이용 가능 회수」및 「화질 제어 정보」를 관리하는 권리 관리 방식 A와, 「이용 가능 회수」, 및 「유효 기간」을 관리하는 권리 관리 방식 B로부터 생성되는 라이센스(2200)를, 도 22를 참조해 설명한다.
권리 관리별 정보 리스트(2202)에는, 권리 관리 공통 정보(2211)가 존재하며, 권리 관리 식별자는, 모든 권리 관리 방식에 공통의 정보인 것을 나타내는 특수값 「1000」이 설정되고, 이용 가능 정보는 권리 관리 방식 A, 및 권리 관리 방식 B에서 공통에 관한 「이용 가능 회수」가 설정되어 있다. 권리 관리별 정보(2212)에는, 권리 관리 식별자는 권리 관리 방식 A인 것을 나타내는「100A」가 설정되고, 이용 가능 정보는, 권리 관리 방식 A가 관리하는 이용 가능 정보로부터, 권리 관리 공통 정보(2211)에 포함되는 「이용 가능 회수」를 제외한 「화질 제어 정보」가 설정된다. 권리 관리별 정보(2213)에는, 동일하게 권리 관리 식별자는「100B」가 설정되고, 이용 가능 정보는 「유효 기간」이 설정된다.
다음에 각 처리에서의, 실시형태 1과의 처리의 차이에 관해 설명한다.
단말 장치(300)가 컨텐츠 배송 서버(200)로부터 컨텐츠를 취득하는 처리는 실시형태 1과 같다. 단말 장치(300)가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로부터 라이센스를 취득할 때의 처리는, 이용 가능 정보가 중복할 때의 라이센스 생성부(102)의 처리가 다르다. 단말 장치(300)에서의 컨텐츠의 이용 개시시의 처리는, 라이센스(800)가 권리 관리 공통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권리 관리 공통 정보의 해석을 행하는 이용 조건 판정부의 선택 처리가 필요하다.
단말 장치(300)에서의 컨텐츠의 이용 종료시의 처리는, 라이센스(800)가 권리 관리 공통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권리 관리 공통 정보의 해석을 행하는 이용 조건 갱신부의 선택 처리가 필요하다. 먼저 라이센스 취득 처리에서의 실시형태 1과의 차분에 관해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단계 S2715 이외의 처리는 실시형태 1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2715의 이용 조건과 컨텐츠 키로부터,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라이센스 생성부(102)가, 이용 조건 생성부(110a)로부터 「이용 가능 회수」,「10회」 및 「화질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이용 조건 생성부(110b)로부터 「이용 가능 회수」,「20회」 및 「유효 기간」,「∼2003/3/1」을 수신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라이센스(800)의 데이터 구조로서, 가변인 이용 가능 정보의 항목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으므로, 2개의 이용 조건에 중복하는 「이용 가능 회수」는, 권리 관리 공통 정보로서 정리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2개의 이용 가능 정보(832)의 값이 다른 경우는, 권리가 좁은 쪽을 설정하거나, 권리가 넓은 쪽을 설정하는 등이 있다. 여기서는 권리가 좁은 쪽인 「10회」를 설정하는 것으로 해서 설명한다.
따라서, 권리 관리 공통 정보(2211)에는, 권리 관리 식별자(821)로서 권리 관리 공통 정보를 나타내는 「1000」을 설정하고, 이용 가능 정보 식별자(831)로서 「이용 가능 회수」를 설정하고, 이용 가능 정보(832)로서 「10회」를 설정한다.
권리 관리별 정보에는, 각 권리 관리 방식이 제어를 행하는 이용 가능 정보의 항목으로부터, 권리 관리 공통 정보(2211)에 포함되는 이용 가능 정보의 항목을 제외한 것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권리 관리별 정보(2212)에는, 권리 관리 식별자(821)로서 권리 관리 방식 A를 나타내는 「100A」를 설정하고, 이용 가능 정보 식별자(831)로서 「화질 제어 정보」를 설정하고, 이용 가능 정보(832)로서 「HD」 를 설정한다. 또, 권리 관리별 정보(2213)에는, 권리 관리 식별자(821)로서 권리 관리 방식 B를 나타내는「100B」를 설정하고, 이용 가능 정보 식별자(831)로서 「유효 기간」을 설정하고, 이용 가능 정보(832)로서 「∼2003/3/1」을 설정한다.
또, 제어 식별 정보(813)에, 단말 장치(300)에서, 권리 관리 공통 정보(2211)의 해석을 행하는 권리 관리 방식의 권리 관리 식별자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용 조건 판정 : 100B」,「이용 조건 갱신 : 100B」과 같이 설정된다.
다음에, 단말 장치(300)에서의 컨텐츠의 이용 개시시의 처리에서의 실시형태 1과의 차분에 관해 도 28을 참조해 설명한다. 단계 S2802 및 단계 S2806 이외의 처리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단계 S2802의 각 이용 조건의 송신처를 결정하는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4)가, 취득한 라이센스(2200)에 권리 관리 공통 정보(2211)가 존재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제어부(304)는,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권리 관리 정보마다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권리 관리 식별자로서 「1000」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권리 관리 공통 정보(2211)인 것을 나타내고, 다른 권리 관리별 정보와는 상이한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304)는, 제어 식별 정보(813)로부터, 권리 관리 공통 정보(2211)의 이용 조건 판정을 행하는 권리 관리 방식의 권리 관리 식별자를 추출한다. 여기서는, 제어 식별 정보(813)에 「이용 조건 판정 : 100B」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해서 설명한다. 제어부(304)는, 권리 관리 식별자 「100B」에 대응하는 이용 조건 판정부인 이용 조건 판정부(311b)로 권리 관리 공통 정보(2211)를 송신하여, 이용 조건 판정을 행한다. 권리 관리 공통 정보(2211)를 수신한 이용 조건 판정부(311b)의 처리는, 권리 관리별 정보의 처리와 같다.
다음에, 단계 S2806의 컨텐츠 이용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이용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처리는,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어부(304)는, 이용 제어 메시지를 생성할 때, 권리 관리 공통 정보(2211)에 포함되는 이용 가능 정보 식별자를 기억해 둔다. 구체적으로는 「이용 관리 공통 정보 : 이용 가능 회수」와 같은 정보를 기억한다.
다음, 단말 장치(300)에서의 컨텐츠의 이용 종료시의 처리에서의 실시형태 1과의 차분에 대해 도 29를 참조해 설명한다. 단계 S2902 이외의 처리는 실시형태 1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2902의 각 이용 정보의 송신처를 결정하는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04)가, 취득한 이용 정보 리스트(M1801)에 권리 관리 공통 정보(2211)에 포함되는 이용 가능 정보 식별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제어부(304)는,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용 정보 리스트(M1801)의 이용 정보마다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304)가, 컨텐츠 이용 개시시에 기억해 둔 권리 관리 공통 정보(2211)에 포함되는 이용 가능 정보 식별자와 이용 정보 식별자가 일치한 경우는, 다른 이용 정보와는 상이한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304)는, 제어 식별 정보(813)로부터, 권리 관리 공통 정보(2211)의 이용 조건 갱신을 행하는 권리 관리 방식의 권리 관리 식별자를 추출한다. 여기서는, 제어 식별 정보(813)에 「이용 조건 갱신 : 100B」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해서 설명한다.
또한, 권리 관리 공통 정보(2211)에 포함되는 이용 조건의 판정 및 갱신을 항상 특정한 이용 조건 판정부(311), 이용 조건 갱신부(312)에서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 식별 정보(813)에 권리 관리 식별자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또, 권리 관리 공통 정보만의 판정 및 갱신을 행하는 이용 조건 판정부(311), 이용 조건 갱신부(312)를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어부(304)는, 권리 관리 식별자 「100B」에 대응하는 이용 조건 갱신부인 이용 조건 판정부(312b)로, 상기 이용 정보를 송신하여, 이용 조건 갱신을 행한다. 상기 이용 정보를 수신한 이용 조건 갱신부(312b)의 처리는, 다른 이용 정보의 처리와 같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는 라이센스(800)가 라이센스(2200)의 구성을 취하는 컨텐츠 배송 시스템(S)이고,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이 혼재하는 환경에서, 단말 장치(300)가 컨텐츠 배송 서버(200)로부터 컨텐츠를 취득하고, 단말 장치(300)가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로부터 라이센스를 취득하고, 단말 장치(300)가 컨텐츠의 이용을 개시하여 종료할 수 있다. 즉, 본 컨텐츠 배송 시스템에 의하면, 컨텐츠 배송 비지니스에 있어서의, 다양한 비지니스 모델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2에서는, 메이커 α가 제공하는 권리 관리 방식 A와, 메이커 β가 제공하는 권리 관리 방식 B의 2개의 권리 관리 방식이 제휴하여,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의 이용 제어를 행하고 있는데, 3개 이상의 권리 관리 방식이 제휴하는 경우도 동일한 처리로 가능하다.
또, 우선 순위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단말 장치(300)에 있어서,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에 의한 컨텐츠의 이용 제어를 배타적으로 행함으로써, 서로의 권리 관리 방식에서 영향을 받지 않는 운용도 가능하다. 즉,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이 서로 독립된 공존이 가능하다.
여기서, 권리 관리 방식을 제공하는 메이커 α 및 메이커 β가 제휴하여 권리 관리를 행하는 컨텐츠 배송 시스템(S)의 일례인 컨텐츠 배송 시스템(SS)에 관해 설명한다.
도 30은, 그러한 컨텐츠 배송 시스템(SS)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컨텐츠 배송 시스템(SS)에서의 권리 관리 방식은, 메이커 α 및 메이커 β가 공동으로 개발한 권리 관리 방식 C와, 메이커 α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권리 관리 방식 D와, 메이커 β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권리 관리 방식 E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컨텐츠 배송 시스템(SS)에 속하는 모든 단말 장치(300)는, 적어도, 권리 관리 방식 C에 대응하는 권리 해석부인 권리 해석부(30C)를 유지하고 있거나, 또는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단말 장치(300e)가 구비하는 권리 해석부(30D)는 권리 관리 방식 D에 대응하는 권리 해석부이고, 단말 장치(300f)가 구비하는 권리 해석부(30E)는 권리 관리 방식 E에 대응하는 권리 해석부이다.
컨텐츠 배송 시스템(SS)에서의 운용 형태의 예로서, 다음 2가지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첫번째는, 권리 해석부로서 권리 해석부(30C)만을 유지하는 단말 장치(300d)에서, 컨텐츠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권리 관리 방식 C는, 일반적으로 공개하고, 메이커 α 및 메이커 β가 아닌 메이커 γ가, 단말 장치(300)를 만드는 것이 가능한 경우 등이 이에 해당한다. 또, 권리 해석부(30D) 및 권리 해석부(30E)를 유지하는 단말 장치(300e 및 300f)에서는, 권리 관리 방식 D 및 권리 관리 방식 E에 기초한 컨텐츠 이용 제어를 행한다. 이 경우는, 권리 관리 방식 C와, 권리 관리 방식 D 및 권리 관리 방식 E가 제어하는 이용 가능 정보의 항목에 중복이 상정된다. 구체적으로는, 권리 관리 방식 C의 이용 가능 정보로서, 유효 기간 「∼2002/12/24」가 설정되고, 권리 관리 방식 D의 이용 가능 정보로서, 유효 기간 「∼2003/02/13」이 설정되는 경우 등이다.
이 경우, 권리 해석부(30C)만을 유지하는 단말 장치(300d)는 「∼2002/12/24」까지 컨텐츠 이용이 가능한데, 권리 해석부(30D)를 더 유지하는 단말 장치(300e)는 「∼2003/02/13」까지 컨텐츠의 이용이 가능하다고 하는 운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 단계 S2805에서의 판정 결과에 기초한 이용 가부 판정에서는 or 처리를 행하고, 이용 가능 정보는 권리 관리 방식 D를 우선하는 제어를 행하게 된다. 또한, 이용 가능 정보에 중복이 있으므로, 라이센스(800)를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데이터 구조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두번째는, 복수의 권리 해석부에서, 기능의 중복을 배제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권리 관리 방식 C는, 메이커 α 및 메이커 β가 공통으로 제어하는 이용 가능 정보의 항목을 포함하고, 권리 관리 방식 D는 메이커 α의 독자 확장의 권리 관리 방식, 권리 관리 방식 E는 메이커 β의 독자 확장의 권리 관리 방식으로 하는 경우 등이 이것에 해당한다.
이 경우는, 권리 관리 방식 C와, 권리 관리 방식 D 및 권리 관리 방식 E가 제어하는 이용 가능 정보의 항목에 중복은 상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권리 관리 방식 C의 이용 가능 정보로서, 유효 기간 「∼2002/12/24」가 설정되고, 권리 관리 방식 D의 이용 가능 정보로서, 이용 가능 회수 「10회」가 설정되는 경우 등이다. 여기서 「유효 기간」은, 메이커 α 및 메이커 β가 함께 제어를 행하는 이용 가능 정보의 항목이다.
또한, 권리 해석부(30C)의 판정 결과가, 컨텐츠 이용 가능이어도, 독자 확장의 권리 관리 방식이 컨텐츠 이용 불가인 경우는, 제어부(304)로서, 컨텐츠 이용 불가로 하는 운용도 상정된다. 이 경우, 권리 해석부(30C) 및 권리 해석부(30D)를 유지하는 단말 장치(300e)는 「∼2002/12/24」까지 컨텐츠 이용이 가능하지만, 이용 가능 회수가 「0회」인 경우는 이용 불가가 된다. 이 경우, 단계 S2805에서의 판정 결과에 기초한, 이용 가부 판정에서는 and 처리를 행하게 된다. 또한, 이용 가능 정보에 중복이 없으므로, 라이센스(800)를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한 데이터 구조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에, 메이커 α가 제공하는 권리 관리 방식 A를 확장하여, 단말 장치에서 제어 가능한 항목을 추가, 변경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권리 관리 방식 A를 확장하기 위해서는 2가지 방법이 있다.
도 31(a)∼(c)는, 그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예로서, 도 3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재생 가능 회수」를 제어하고 있던 권리 관리방식(권리 관리 식별자「1010」)에, 「유효 기간」의 제어를 추가하는 경우의 방법이 나타내어져 있다.
첫번째 방법은, 도 31(b)에 나타낸 라이센스 구조처럼, 추가하는 제어 가능 항목을 별도의 권리 관리 방식으로서, 상기 구성에 추가하는 방법이다. 상기 예에서는, 예를 들면 권리 관리 식별자 「1011」의 권리 관리 방식에 있어서 「유효 기간」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에서의 권리 생성부 및 단말 장치(300)에서의 권리 해석부에 권리 관리 식별자 「1011」의 플러그 인으로서 추가하면, 권리 관리 방식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권리 관리 식별자의 위의 3자리수가 「101」인 권리 관리 방식은 메이커 α가 관리하는 등으로 운용해도 된다.
두번째 방법은, 도 31(c)에 나타낸 라이센스 구조처럼, 제어 가능 항목을 추가하여, 종래의 권리 관리 방식을 갱신하고, 상기 구성의 권리 관리 방식을 변경하는 방법이다. 상기 예에서는, 권리 관리 식별자 「1010」의 권리 관리 방식에 있어서 「유효 기간」과 「유효 기간」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종래의 권리 관리 방식을 변경한다. 라이센스 생성 서버(100)에서의 권리 생성부 및 단말 장치(300)에서의 권리 해석부의 갱신 처리를 행하면, 권리 관리 방식을 확장할 수 있다.
이상의 2가지 방법은, 단말 장치(300)에서의, 권리 해석부의 변경 처리와, 추가 처리에서, 처리가 용이한 쪽에서 확장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즉, 본 컨텐츠 배송 시스템(S)에 의하면,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이용의 제어 항목을 확장하는 경우, 단말 장치에서 확장 대상이 되는 제어 항목의 해석이 가능한 권리 해석부를 변경 및 추가하기만 하면 되므로, 용이하게 컨텐츠의 이용 제어 내용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4)는, 자기가 속하는 단말 장치(300)와는 다른 단말 장치(300)에 속하는 이용 조건 판정부(311), 이용 조건 갱신부(312) 및 컨텐츠 이용부(321)를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의 통신시에도 정당성 확인을 행하면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에 관해,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에서는, 컨텐츠 배송 서버(200)로부터 단말 장치(300)로 컨텐츠가 배송되었으나, 단말 장치(300)의 컨텐츠 격납부(305)에 컨텐츠를 격납하는 방법으로서는, 이러한 통신에 의한 배송에 한정되지 않고, 단말 장치가 구비하는 리무버블 디스크 장치 등에 장착된 CD-ROM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컨텐츠를 격납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컨텐츠의 배송 기능을 구비하는 컨텐츠 배송 시스템이 설명되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은, 반드시 컨텐츠의 배송 기능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컨텐츠의 배송이라는 점이 아니라,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의 이용에 대한 관리라는 점에 특징을 갖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방송망이나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해 서버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로 영상이나 음악 등의 디지털 컨텐츠의 라이센스를 배송하고, 배송된 라이센스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가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이용 시스템 등으로서, 특히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이 혼재하는 환경 하에서,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면서, 단말 장치가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디지털 저작물 이용 시스템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7)

  1. 디지털 저작물인 컨텐츠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와, 상기 단말 장치와 통신로로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한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를 포함하는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 장치는,
    컨텐츠를 이용하는 권리의 관리 방식이 상이한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 각각 에 대응시켜, 컨텐츠의 이용 조건을 나타내는 이용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이용 조건 생성 수단과,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단말 장치가 이용하기 위해 필요해지는 컨텐츠 키를 격납하는 컨텐츠 키 격납 수단과,
    상기 이용 조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이용 조건 정보와 상기 이용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키 격납 수단에 격납된 컨텐츠 키로부터, 상기 이용 조건 정보가 나타내는 이용 조건 하에서 상기 컨텐츠 키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이용을 허가하는 라이센스를 나타내는 라이센스 정보를 생성하는 라이센스 생성 수단과,
    생성된 라이센스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배송하는 라이센스 배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배송되어 오는 라이센스 정보를 취득하여 격납하는 라이센스 격납 수단과,
    상기 라이센스 격납 수단에 격납된 라이센스 정보가 나타내는 이용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라이센스 정보가 나타내는 컨텐츠의 이용 가부를 판정하는 이용 조건 판정 수단과,
    상기 이용 조건 판정 수단에 의해 컨텐츠의 이용이 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컨텐츠 키를 사용해 컨텐츠를 복호하고,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이용 조건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이용 수단과,
    상기 컨텐츠 이용 수단에 의해 컨텐츠가 이용된 경우에, 상기 라이센스 격납 수단에 격납된 라이센스 정보가 나타내는 이용 조건을 해당 이용에 대응시켜 갱신하는 이용 조건 갱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센스 생성 수단은, 상기 이용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권리 관리 방식을 식별하는 권리 관리 식별자를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용 조건 판정 수단은,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권리 관리 식별자가 나타내는 권리 관리 방식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의 이용 가부를 판정하고,
    상기 이용 조건 갱신 수단은,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권리 관리 식별자가 나타내는 권리 관리 방식에 따라서 상기 이용 조건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센스 생성 수단은, 대응하는 권리 관리 식별자와 이용 조건 정보를 조(組)로 해서 생성함으로써,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조건 판정 수단은, 상기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 각각에 따라서 컨텐츠의 이용 가부를 판정하는 복수의 이용 조건 판정부를 갖고,
    상기 이용 조건 갱신 수단은, 상기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 각각에 따라서 상기 이용 조건을 갱신하는 복수의 이용 조건 갱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조건 생성 수단은, 동일한 컨텐츠에 대해, 상기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이용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조건 정보에는, 컨텐츠의 이용에 대해 허가된 범위를 나타내는 이용 가능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이용 조건 생성 수단은, 동일한 컨텐츠에 대해 상기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이용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 동일 종류의 이용 가능 정보가 중복하여 상기 복수의 이용 조건 정보에 포함되는 일이 없도록, 상기 복수의 이용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조건 정보에는, 컨텐츠의 이용에 대해 허가된 범위를 나타내는 이용 가능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이용 조건 생성 수단은, 동일한 컨텐츠에 대해 상기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이용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 동일 종류의 이용 가능 정보가 중복하여 상기 복수의 이용 조건 정보에 포함되도록, 상기 복수의 이용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조건 판정 수단은, 상기 라이센스 중의 복수의 이용 조건 정보에, 동일한 컨텐츠에 관한 동일 종류의 이용 가능 정보가 중복하여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미리 정해진 권리 관리 방식의 우선 순위에 따라서, 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권리 관리 방식에 대응하는 이용 조건 정보에 포함되는 이용 가능 정보를 우선시켜, 상기 컨텐츠의 이용 가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센스 생성 수단은, 상기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우선 순위 정보를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용 조건 판정 수단은, 상기 라이센스 중의 복수의 이용 조건 정보에, 동일한 컨텐츠에 관한 동일 종류의 이용 가능 정보가 중복하여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우선 순위 정보가 나타내는 우선 순위에 따라서, 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권리 관리 방식에 대응하는 이용 조건 정보에 포함되는 이용 가능 정보를 우선시켜, 상기 컨텐츠의 이용 가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조건 판정 수단은, 상기 라이센스 중의 복수의 이용 조건 정보에, 동일한 컨텐츠에 관한 동일 종류의 이용 가능 정보가 중복하여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이용 가능 정보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이용 가부를 판정함으로써 복수의 판정 결과를 생성하고, 생성한 복수의 판정 결과에 대해 미리 정해진 연산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컨텐츠의 이용 가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센스 생성 수단은, 동일한 컨텐츠에 관한 이용 가부의 판정 결과가 복수 얻어진 경우의 연산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식별 정보를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용 조건 판정 수단은, 상기 라이센스 중의 복수의 이용 조건 정보에, 동일한 컨텐츠에 관한 동일 종류의 이용 가능 정보가 중복하여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이용 가능 정보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이용 가부를 판정함으로써 복수의 판정 결과를 생성하고, 생성한 복수의 판정 결과에 대해 상기 제어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연산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컨텐츠의 이용 가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조건 정보에는, 컨텐츠의 이용 형태를 나타내는 이용시 제어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컨텐츠 이용 수단은, 상기 라이센스 중의 복수의 이용 조건 정보에, 동일한 컨텐츠에 관한 상이한 이용시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미리 정해진 권리 관리 방식의 우선 순위에 따라서, 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권리 관리 방식에 대응하는 이용 조건 정보에 포함되는 이용시 제어 정보를 우선시켜, 이용시 제어 정보가 나타내는 형태로 상기 컨텐츠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센스 생성 수단은, 상기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우선 순위 정보를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 이용 수단은, 상기 라이센스 중의 복수의 이용 조건 정보에, 동일한 컨텐츠에 관한 상이한 이용시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우선 순위 정보가 나타내는 우선 순위에 따라서, 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권리 관리 방식에 대응하는 이용 조건 정보에 포함되는 이용시 제어 정보를 우선시켜, 상기 컨텐츠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이용 수단은, 상기 라이센스 중의 복수의 이용 조건 정보에, 동일한 컨텐츠에 관한 상이한 이용시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이용시 제어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용 형태에 대해 연산을 실시함으로써 1개의 이용 형태를 결정하고, 결정한 이용 형태로 상기 컨텐츠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센스 생성 수단은, 동일한 컨텐츠에 관한 이용 형태가 복수 얻어진 경우의 연산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식별 정보를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 이용 수단은, 상기 라이센스 중의 복수의 이용 조건 정보에, 동일한 컨텐츠에 관한 상이한 이용시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이용시 제어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용 형태에 대해 상기 제어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연산을 실시함으로써 1개의 이용 형태를 결정하고, 결정한 이용 형태로 상기 컨텐츠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조건 생성 수단은, 상기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 각각에 따른 이용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복수의 이용 조건 생성부를 갖고,
    상기 라이센스 생성 수단은, 상기 복수의 이용 조건 생성부 중의 일부의 이용 조건 생성부가 생성한 이용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라이센스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서버 장치에 상기 라이센스의 발행을 요구하는 라이센스 발행 요구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조건 판정 수단은, 상기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 중 적어도 1개에 따라서 컨텐츠의 이용 가부를 판정하는 적어도 1개의 이용 조건 판정부를 갖고,
    상기 이용 조건 생성 수단은, 상기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 각각에 따른 이용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복수의 이용 조건 생성부를 갖고,
    상기 라이센스 생성 수단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라이센스 발행의 요구를 받은 경우에, 상기 단말 장치가 구비하는 상기 이용 조건 판정부에 대응하는 이용 조건 생성부가 생성한 이용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상기 단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의 이용 조건 판정 수단은, 모두, 적어도, 상기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 중의 미리 정해진 1개의 권리 관리 방식에 따라서 컨텐츠의 이용 가부를 판정하는 이용 조건 판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의 이용 조건 갱신 수단은, 모두, 적어도, 상기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 중의 미리 정해진 1개의 권리 관리 방식에 따라서 상기 이용 조건을 갱신하는 이용 조건 갱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
  21. 디지털 저작물인 컨텐츠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와 통신로로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한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관리하는 컨텐츠 이용 관리 장치로서,
    컨텐츠를 이용하는 권리의 관리 방식이 상이한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 각각에 대응시켜, 컨텐츠의 이용 조건을 나타내는 이용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이용 조건 생성 수단과,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단말 장치가 이용하기 위해 필요해지는 컨텐츠 키를 격납하는 컨텐츠 키 격납 수단과,
    상기 이용 조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이용 조건 정보와 상기 이용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키 격납 수단에 격납된 컨텐츠 키로부터, 상기 이용 조건 정보가 나타내는 이용 조건 하에서 상기 컨텐츠 키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이용을 허가하는 라이센스를 나타내는 라이센스 정보를 생성하는 라이센스 생성 수단과,
    생성된 라이센스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배송하는 라이센스 배송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관리 장치.
  22. 디지털 저작물인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이용 장치로서,
    서버 장치로부터 배송되어 오는 라이센스 정보를 취득하여 격납하는 라이센스 격납 수단과,
    상기 라이센스 격납 수단에 격납된 라이센스 정보가 나타내는 이용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라이센스 정보가 나타내는 컨텐츠의 이용 가부를 판정하는 이용 조건 판정 수단과,
    상기 이용 조건 판정 수단에 의해 컨텐츠의 이용이 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컨텐츠 키를 사용해 컨텐츠를 복호하고,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이용 조건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이용 수단과,
    상기 컨텐츠 이용 수단에 의해 컨텐츠가 이용된 경우에, 상기 라이센스 격납 수단에 격납된 라이센스 정보가 나타내는 이용 조건을 해당 이용에 대응시켜 갱신하는 이용 조건 갱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는, 상이한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 중에서 1개의 권리 관리 방식을 식별하는 권리 관리 식별자가 포함되고,
    상기 이용 조건 판정 수단은,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권리 관리 식별자가 나타내는 권리 관리 방식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의 이용 가부를 판정하고,
    상기 이용 조건 갱신 수단은,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권리 관리 식별자가 나타내는 권리 관리 방식에 따라서 상기 이용 조건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장치.
  23. 디지털 저작물인 컨텐츠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와, 상기 단말 장치와 통신로로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한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한 컨텐츠 이용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를 이용하는 권리의 관리 방식이 상이한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 각각에 대응시켜, 컨텐츠의 이용 조건을 나타내는 이용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이용 조건 생성 단계와,
    상기 이용 조건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이용 조건 정보와 상기 이용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키 격납 수단에 격납된 컨텐츠 키로부터, 상기 이용 조건 정보가 나타내는 이용 조건 하에서 상기 컨텐츠 키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이용을 허가하는 라이센스를 나타내는 라이센스 정보를 생성하는 라이센스 생성 단계와,
    생성된 라이센스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배송하는 라이센스 배송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배송되어 오는 라이센스 정보를 취득하여 격납하는 라이센스 격납 단계와,
    상기 라이센스 격납 단계에 격납된 라이센스 정보가 나타내는 이용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라이센스 정보가 나타내는 컨텐츠의 이용 가부를 판정하는 이용 조건 판정 단계와,
    상기 이용 조건 판정 단계에서 컨텐츠의 이용이 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컨텐츠 키를 사용해 컨텐츠를 복호하고,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이용 조건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이용 단계와,
    상기 컨텐츠 이용 단계에서 컨텐츠가 이용된 경우에, 상기 라이센스 격납 단계에 격납된 라이센스 정보가 나타내는 이용 조건을 해당 이용에 대응시켜 갱신하는 이용 조건 갱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관리 방법.
  24. 디지털 저작물인 컨텐츠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와 통신로로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한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에 의한 컨텐츠 이용 관리 방법으로서,
    컨텐츠를 이용하는 권리의 관리 방식이 상이한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 각각에 대응시켜, 컨텐츠의 이용 조건을 나타내는 이용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이용 조건 생성 단계와,
    상기 이용 조건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이용 조건 정보와 상기 이용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키로부터, 상기 이용 조건 정보가 나타내는 이용 조건 하에서 상기 컨텐츠 키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이용을 허가하는 라이센스를 나타내는 라이센스 정보를 생성하는 라이센스 생성 단계와,
    생성된 라이센스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배송하는 라이센스 배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관리 방법.
  25. 디지털 저작물인 컨텐츠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에 의한 컨텐츠 이용 방법으로서,
    서버 장치로부터 배송되어 오는 라이센스 정보를 취득하는 라이센스 취득 단계와,
    취득된 라이센스 정보가 나타내는 이용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라이센스 정보가 나타내는 컨텐츠의 이용 가부를 판정하는 이용 조건 판정 단계와,
    상기 이용 조건 판정 단계에서 컨텐츠의 이용이 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컨텐츠 키를 사용해 컨텐츠를 복호하고,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된 이용 조건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이용 단계와,
    상기 컨텐츠 이용 단계에서 컨텐츠가 이용된 경우에, 상기 라이센스 격납 단계에 격납된 라이센스 정보가 나타내는 이용 조건을 해당 이용에 대응시켜 갱신하는 이용 조건 갱신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는, 상이한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 중에서 1개의 권리관리 방식을 식별하는 권리 관리 식별자가 포함되고,
    상기 이용 조건 판정 단계에서는,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권리 관리 식별자가 나타내는 권리 관리 방식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의 이용 가부를 판정하고,
    상기 이용 조건 갱신 단계에서는,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권리 관리 식별자가 나타내는 권리 관리 방식에 따라서 상기 이용 조건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방법.
  26. 디지털 저작물인 컨텐츠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와 통신로로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한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에 의한 컨텐츠 이용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컨텐츠를 이용하는 권리의 관리 방식이 상이한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 각각에 대응시켜, 컨텐츠의 이용 조건을 나타내는 이용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이용 조건 생성 단계와,
    상기 이용 조건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이용 조건 정보와 상기 이용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키로부터, 상기 이용 조건 정보가 나타내는 이용 조건 하에서 상기 컨텐츠 키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이용을 허가하는 라이센스를 나타내는 라이센스 정보를 생성하는 라이센스 생성 단계와,
    생성된 라이센스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배송하는 라이센스 배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27. 디지털 저작물인 컨텐츠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에 의한 컨텐츠 이용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서버 장치로부터 배송되어 오는 라이센스 정보를 취득하는 라이센스 취득 단계와,
    취득된 라이센스 정보가 나타내는 이용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라이센스 정보가 나타내는 컨텐츠의 이용 가부를 판정하는 이용 조건 판정 단계와,
    상기 이용 조건 판정 단계에서 컨텐츠의 이용이 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컨텐츠 키를 사용해 컨텐츠를 복호하고,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이용 조건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이용 단계와,
    상기 컨텐츠 이용 단계에서 컨텐츠가 이용된 경우에, 상기 라이센스 격납 단계에 격납된 라이센스 정보가 나타내는 이용 조건을 해당 이용에 대응시켜 갱신하는 이용 조건 갱신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는, 상이한 복수의 권리 관리 방식 중에서 1개의 권리 관리 방식을 식별하는 권리 관리 식별자가 포함되고,
    상기 이용 조건 판정 단계에서는,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권리 관리 식별자가 나타내는 권리 관리 방식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의 이용 가부를 판정하고,
    상기 이용 조건 갱신 단계에서는,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권리 관리 식별자가 나타내는 권리 관리 방식에 따라서 상기 이용 조건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057007468A 2003-01-14 2004-01-13 컨텐츠 이용 또는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200500988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05600 2003-01-14
JP2003005600 2003-0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833A true KR20050098833A (ko) 2005-10-12

Family

ID=32709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7468A KR20050098833A (ko) 2003-01-14 2004-01-13 컨텐츠 이용 또는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40162846A1 (ko)
EP (1) EP1591912A1 (ko)
KR (1) KR20050098833A (ko)
CN (1) CN100365612C (ko)
CA (1) CA2502558A1 (ko)
WO (1) WO2004063933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583B1 (ko) * 2006-01-24 2008-01-21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라이센스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888594B1 (ko) * 2006-03-15 2009-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라이센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WO2009094096A1 (en) * 2008-01-25 2009-07-30 Microsoft Corporation Pre-performing operations for accessing protected content
KR101300816B1 (ko) * 2005-10-13 2013-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Drm 라이센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9305146B2 (en) 2011-07-19 2016-04-05 Nec Corporation License management device, license management system, licens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US9363081B2 (en) 2011-06-29 2016-06-07 Nec Corporation License administration device and license administration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53495B2 (en) * 2001-12-28 2010-12-14 Access Co., Ltd. Usage period management system for applications
US20060253400A1 (en) * 2003-03-05 2006-11-09 Ryuichi Okamoto Digital content delivery system
JP2005351994A (ja) * 2004-06-08 2005-12-22 Sony Corp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コンテンツ配信方法,プログラム
KR100636169B1 (ko) * 2004-07-29 2006-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로 다른 drm이 적용된 콘텐츠의 전송 및 재생 방법
DE112004002943B4 (de) * 2004-08-26 2010-06-24 Fujitsu Ltd., Kawasaki Inhalte-Management-Programm, -Verfahren und -Vorrichtung
US7587766B2 (en) * 2004-11-18 2009-09-08 Starz Entertainment Group Llc Flexible digital content licensing
JP4123240B2 (ja) * 2005-03-02 2008-07-23 船井電機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に含まれる利用側機器と保有側機器
KR100734033B1 (ko) * 2005-04-15 2007-07-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 콘텐츠 보호/관리 시스템
US20060235800A1 (en) * 2005-04-18 2006-10-19 Alcatel Digital rights management for media streaming systems
US8069153B2 (en) * 2005-12-02 2011-11-29 Salesforce.Co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customer data in a multi-tenant environment
JP4016061B2 (ja) * 2006-01-25 2007-12-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端末装置、サーバ装置及びデジタル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US8978154B2 (en) * 2006-02-15 2015-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orting content having plurality of parts
KR100782847B1 (ko) * 2006-02-15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컨텐트 부분들을 포함하는 컨텐트를 임포트하는방법 및 장치
US8209729B2 (en) 2006-04-20 2012-06-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ules-based content management
GB0614160D0 (en) * 2006-06-17 2006-08-23 British Telecomm Decoding media Content
GB0613944D0 (en) 2006-07-13 2006-08-23 British Telecomm Decoding media content at a wireless receiver
US8726014B2 (en) * 2006-10-23 2014-05-13 Ca, Inc.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updating license files in an automated licensing system
US20080109911A1 (en) * 2006-11-03 2008-05-08 Microsoft Corporation Send/Lend Business Rights
US20100325012A1 (en) * 2007-02-28 2010-12-23 Right-Copy Properties Pty Ltd method of controlling release of a data product
US9805374B2 (en) 2007-04-12 2017-10-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nt preview
US8539543B2 (en) * 2007-04-12 2013-09-17 Microsoft Corporation Managing digital rights for multiple assets in an envelope
JP5006389B2 (ja) * 2007-04-16 2012-08-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集積回路
KR101402904B1 (ko) * 2007-06-13 2014-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A/v 프로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8245310B2 (en) * 2007-06-25 2012-08-14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ing access to multiple pieces of content of a presentation
EP2063638A1 (fr) * 2007-11-26 2009-05-27 Nagravision S.A. Méthode d'évaluation de droits d'utilisateurs stockés dans un module de sécurité
US10453003B2 (en) * 2008-09-18 2019-10-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gital rights management license identification
US8185477B2 (en) * 2008-12-31 2012-05-22 Ericsson Televis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license for media content over a network
US20100169347A1 (en) * 2008-12-31 2010-07-01 Tandberg Televis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segments of media content
US20100169942A1 (en) * 2008-12-31 2010-07-01 Tandberg Television,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tagging segments of media content
JP5670167B2 (ja) * 2010-12-09 2015-02-18 株式会社日立システムズ ライセンス一括割当機能を有するid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9645986B2 (en) 2011-02-24 2017-05-09 Google Inc.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creating an electronic book with an umbrella policy
USD761840S1 (en) 2011-06-28 2016-07-19 Goog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of a programmed computer system
US9141404B2 (en) * 2011-10-24 2015-09-22 Google Inc. Extensible framework for ereader tools
US9031493B2 (en) 2011-11-18 2015-05-12 Google Inc. Custom narration of electronic books
JP2013176031A (ja) * 2012-01-23 2013-09-05 Panasonic Corp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配信サーバ、および代行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6031782B2 (ja) * 2012-03-06 2016-11-24 株式会社リコー 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及び画像投影システム
US9069744B2 (en) 2012-05-15 2015-06-30 Google Inc. Extensible framework for ereader tools, including named entity information
US9323733B1 (en) 2013-06-05 2016-04-26 Google Inc. Indexed electronic book annotations
GB2530245A (en) * 2014-07-15 2016-03-23 Piksel Inc Controlling delivery of encrypted media assets
JP6578770B2 (ja) * 2015-07-07 2019-09-25 富士通株式会社 ライセンス数管理システム、ライセンス数管理装置、ライセンス数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ライセンス数管理方法
FR3052893B1 (fr) * 2016-06-21 2018-07-13 Bouygues Telecom Procede pour la restitution d'un contenu multimedia chiffr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4378A (en) * 1988-06-13 1990-05-08 Prime Computer, Inc. License mangagement system and license storage key
US6002772A (en) * 1995-09-29 1999-12-14 Mitsubishi Corporation Data management system
JPH08263438A (ja) * 1994-11-23 1996-10-11 Xerox Corp ディジタルワークの配給及び使用制御システム並びにディジタルワークへのアクセス制御方法
US5629980A (en) * 1994-11-23 1997-05-13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and use of digital works
US6169976B1 (en) * 1998-07-02 2001-01-02 Encommerc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the use of licensed products
JP2000260121A (ja) * 1999-03-05 2000-09-22 Toshiba Corp 情報再生装置および情報記録装置
US6789188B1 (en) * 2000-02-07 2004-09-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s and apparatus for secure content distribution
JP2001331658A (ja) * 2000-05-18 2001-11-30 Yamaha Corp コンテンツの配給システム及び同配給方法、同配給システムに利用されるサーバ及びクライアント、並びにこれらに適用され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WO2001092993A2 (en) * 2000-06-02 2001-12-06 Vigilant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licensing management
JP2002016891A (ja) * 2000-06-28 2002-01-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コンテンツ利用条件検査方法、その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JP3502035B2 (ja) * 2000-11-02 2004-03-02 富士通株式会社 コンテンツ利用者システム、記録媒体およびコンテンツ利用制御方法
AU1547402A (en) * 2001-02-09 2002-08-15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apparatus and program
JP4743984B2 (ja) * 2001-03-23 2011-08-10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ータ記録装置
WO2002080442A1 (fr) * 2001-03-29 2002-10-10 Sony Corporation Appareil de traitement d'information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816B1 (ko) * 2005-10-13 2013-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Drm 라이센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307413B1 (ko) * 2005-10-13 2013-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Drm 라이센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96583B1 (ko) * 2006-01-24 2008-01-21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라이센스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888594B1 (ko) * 2006-03-15 2009-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라이센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WO2009094096A1 (en) * 2008-01-25 2009-07-30 Microsoft Corporation Pre-performing operations for accessing protected content
US7882035B2 (en) 2008-01-25 2011-02-01 Microsoft Corporation Pre-performing operations for accessing protected content
US9363081B2 (en) 2011-06-29 2016-06-07 Nec Corporation License administration device and license administration method
US9305146B2 (en) 2011-07-19 2016-04-05 Nec Corporation License management device, license management system, licens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65612C (zh) 2008-01-30
WO2004063933A1 (ja) 2004-07-29
EP1591912A1 (en) 2005-11-02
CN1735872A (zh) 2006-02-15
CA2502558A1 (en) 2004-07-29
US20040162846A1 (en) 200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98833A (ko) 컨텐츠 이용 또는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US7757101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erefor
US748754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US7191155B2 (en) License transmitting and distributing system under offline environment and method thereof
US8151356B2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producing content processed by various DRM systems
US20040139312A1 (en) Categorization of host security levels based on functionality implemented inside secure hardware
JPH1083297A (ja) ソフトウェアコピー処理装置、ソフトウェアコピー処理方法およびソフトウェアをコピーす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00378611C (zh) 租用组件、程序和租用组件方法
JP4580655B2 (ja) コンテンツ利用管理システム
KR101411314B1 (ko)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US2003011818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material using an entity locked secure registry
JP4572324B2 (ja) デバイス識別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デバイス識別情報管理方法
US7215799B2 (en) Content data processing system, electronic device apparatus, and server device
JP2008271564A (ja) ライセンスのオフライン環境下における送信流通システム及び送信流通方法
CN100507798C (zh) 一种版权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KR100695665B1 (ko) 엔티티 잠금 보안 레지스트리를 사용하여 자료에 액세스하는 장치 및 방법
AU20023515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material using an entity locked secure registry
JP2005149437A (ja) 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端末認証方法
JP2004254193A (ja) ユーザ機器、サーバ、コンテンツ流通システム、コンテンツ流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125454B2 (ja) オブジェクト連携装置
KR20090022832A (ko)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 및 디바이스 인증방법
JP2004252848A (ja) ユーザの出力機器、サーバ、コンテンツ流通システム、コンテンツ流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2304330A (ja)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取得装置
JP2004127164A (ja) コンテンツの貸出し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