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6820A - 구강용 고형조성물 - Google Patents

구강용 고형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6820A
KR20050096820A KR1020040091518A KR20040091518A KR20050096820A KR 20050096820 A KR20050096820 A KR 20050096820A KR 1020040091518 A KR1020040091518 A KR 1020040091518A KR 20040091518 A KR20040091518 A KR 20040091518A KR 20050096820 A KR20050096820 A KR 20050096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ant
tongue
bad breath
oral cavity
natural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6631B1 (ko
Inventor
시미즈카츠마사
마에다유이치
오사와켄지
시무라스스무
야마베료헤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롯데
롯데제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롯데, 롯데제과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롯데
Publication of KR20050096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68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e.g. material from plants or 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Cosmetics (AREA)
  • Confectione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용 고형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성 고형기재에 불용성 천연식물섬유를 혼합시켜 구성함으로써 수용성 고형기재가 용해된 후 조성물이 사용된 제품의 표면에 형성되는 불용성 천연식물섬유의 미세한 돌기에 의해 구취의 발생원인인 설태를 제거하여 강하고 지속적으로 구취의 저감효과를 발현시키게 하며, 또한 불용성 천연식물섬유와 소취물, 특히 천연유래 소취물을 병용할 경우에는 상기한 설태제거 효과와 더불어 설태제거 후의 혀표면 및 구강 내에 천연소취물이 효과적으로 작용되어 소취효과와의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보다 강하고 지속적인 구취 저감효과를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한 안전성이 높고, 휴대성이 우수한 구강용 고형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강용 고형조성물{Oral Composition}
본 발명은 구강용 고형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성 고형기재에 불용성 천연식물섬유를 혼합시켜 구성함으로써 수용성 고형기재가 용해된 후 조성물이 사용된 제품의 표면에 형성되는 불용성 천연식물섬유의 미세한 돌기에 의해 구취의 발생원인인 설태를 제거하여 강하고 지속적으로 구취의 저감효과를 발현시키게 하며, 또한 불용성 천연식물섬유와 소취물, 특히 천연유래 소취물을 병용할 경우에는 상기한 설태제거 효과와 더불어 설태제거 후의 혀표면 및 구강 내에 천연소취물이 효과적으로 작용되어 소취효과와의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보다 강하고 지속적인 구취 저감효과를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한 안전성이 높고, 휴대성이 우수한 구강용 고형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취는 일반적으로 생리적 구취, 식사로 인한 구취, 질병으로 인한 구취로 분류할 수 있다. 이중 생리적구취의 주원인은 설태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구강위생학회잡지 1996년 제46권 p482-483]. 상기 설태는 구강내의 노폐물 단백질이나 균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구취의 주성분인 메틸메르캅탄에 대하여 소취효과를 갖는 구취제거소재로서는 여러 가지가 보고되어 있으며, 특히 천연유래 소취제로서는 녹차[일본특허 제1330988호], 홍차[일본특허 제2006234호], 라즈베리[일본특허 제1823565호] 등의 식물추출물 및 클로로필류[월간푸드케미칼 1995년 11호 p106-110]의 응용이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소취제로는 상기 생리적 구취발생의 주원인인 설태에 대한 작용이 불충분하며, 구취를 지속적으로 제거하는 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설태를 제거하기 위한 혀브러시 등이 시판되고 있으나, 상기한 혀브러시를 사용하여 단시간에 혀를 청소하는 경우, 혀의 표면을 손상시켜 미각장해를 일으킬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혀브러시는 화장실 등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 장소가 한정되며, 휴대성이 나쁜 결점이 있다.
과거에는 설태제거제로서 결정셀룰로스가 배합된 구강용 조성물[일본특허 평11-171750호, 일본특허 평11-171751호]이 보고되어 있으나, 구강 내에 미치는 감촉이 바람직하지 못하며, 구취제거효과도 충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설태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충분한 구취제거효과를 가지며, 휴대성이 우수하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구강용 고형조성물의 개발이 요망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생리적 구취의 주원인인 설태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 노력하였으며, 수용성 고형기재에 불용성 천연식물섬유를 첨가하여 구성할 경우 구강내에서 고형조성물을 함유하는 정제, 트로키(troche)제, 캔디, 정과 등의 고형기재가 구강내에서, 특히 설상(舌上)에서 용해되기 시작하면 그 표면에 불용성 천연식물섬유의 미세한 돌기가 형성되고 그것에 의해 구취발생원인 설태를 제거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종래의 구취제거 캔디 등과 비교하여 보다 장시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구취를 저감시킬 수 있음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용 고형 조성물에 소취제, 특히 천연 소취제를 추가할 경우에는 상기한 구취 제거효과가 상승작용으로 더욱 배가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전성이 높고, 구강내에 미치는 감촉이 좋으며, 휴대성이 우수한 구강용 고형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용성 고형 기재에 불용성 천연식물섬유 0.1 ~ 20.0 중량%를 포함하는 구강용 고형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용성 고형기재에 불용성 천연식물섬유를 혼합시켜 구성함으로써 수용성 고형기재가 용해된 후 조성물이 사용된 제품의 표면에 형성되는 불용성 천연식물섬유의 미세한 돌기에 의해 구취의 발생원인인 설태를 제거하여 강하고 지속적으로 구취의 저감효과를 발현시키게 하며, 또한 불용성 천연식물섬유와 소취물, 특히 천연유래 소취물을 병용할 경우에는 상기한 설태제거 효과와 더불어 설태제거 후의 혀표면 및 구강 내에 천연소취물이 효과적으로 작용되어 소취효과와의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보다 강하고 지속적인 구취 저감효과를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한 안전성이 높고, 휴대성이 우수한 구강용 고형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불용성"이란 용어는 구강 내에 함유되었을 경우, 타액에 녹지 않거나 또는 녹기 어려운 성질을 의미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의 구강용 고형조성물은 수용성 고형 기재에 불용성 천연식물섬유를 포함시킴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상기한 수용성 고형 기재로는 정제, 트로키(troche)제, 캔디 및 정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되어 통상적인 구강용으로 섭취할 수 있는 성분들로 제조된 고형기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물성이 수용성이어서 구강 내에서 용해되는 성질을 갖고 있으면 충분한 것으로서 그 재료를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이러한 수용성 고형 기재의 선택은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에 따라 당업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징적으로 사용하는 불용성 천연식물섬유로는 식물의 과피, 잎, 과육, 과실, 가지, 수피, 뿌리, 바람직하게는 과실을 건조하고, 밀(mill) 등에 의해 분쇄후 절분(節分)하여 얻은 천연의 불용성 식물섬유로, 불용성 천연식물섬유의 성분으로는 불용성 셀룰로오스 및 불용성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 불용성 천연식물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종래 보고되어 있는 결정셀룰로오스와 비교하여 구강내에 미치는 감촉이 바람직하며, 설태제거효과도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결정셀룰로오스란 목재펄프를 산(酸)가수분해하여 비결정부분을 제거하고 순수한 결정부분만을 취한 것으로, 공업적으로 생산되는 셀룰로오스이다. 본 발명에서는 불용성 천연식물섬유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결정셀룰로오스를 함유시킨 경우와는 달리 상기 불용성 천연식물섬유가 가지는 적당한 탄력성 때문에 구강 내에서 혀나 입에 매우 우수한 촉감을 부여하며, 또한 설태를 제거하는 효과가 높다.
본 발명의 구강용 고형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한 불용성 천연식물섬유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밀감과 식물의 과실 또는 장미과 사과속 식물의 과실유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불용성 천연식물섬유로 사용되는 밀감과 식물로는 이예감(citrus iyo), 큰귤(citrus grandis), 온주밀감(citrus unshu), 편귤 (citrus tangerina), 오렌지 (citrus sinensis), 가보수 (citrus sphaerocarpa), 구주밀감(citrus kinokuni), 그레이프후르츠 (citrus paradis), 삼보감(Citrus sulcata), 시카샤(citrus depressa), 시트론(citrus medica), 수다찌(citrus sudachi), 홍귤(Citrus tachibana), 광귤(Citrus aurantium), 하귤(Citrus natsudaidai), 당귤(Citrus sinensis), 팔삭(Citrus hassaku), 일향하(Citrus tamurana), 베르가모트(Citrus bergamia), 만다린(Citrus reticulata), 유자(Citrus junos), 라임(Citrus aurantifolia), 레몬(citrus limon), 낑깡(Fortunella japonica) 등이 있으며, 장미과 사과속 식물로는 사과(Malus donestica, Malus tschonoskii, Malus baccata) 등이 있다.
불용성 천연식물섬유는 과피, 잎, 과육, 과실, 가지, 수피, 뿌리, 바람직하게는 과실을 열풍송풍건조법 등에 의해 건조처리한 후, 분쇄하고, 절분하여 얻는다. 불용성 천연식물섬유의 입도가 너무 세밀한 경우에는 식감은 좋으나 저항감(설태제거능력)이 적고, 입도가 너무 거칠면, 이물감이 강하여 사용에 부적합하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12메쉬(1.4mm)를 통과한 것, 보다 바람직하게는 40메쉬(420㎛)을 통과하고 150메쉬(105㎛)를 통과하지 않는 크기가 바람직하다.
불용성 천연식물섬유의 첨가량은 식품 또는 조성물에 대하여 건조분말을 약 0.1 ~ 20.0 중량% 첨가하는 것이 좋다. 특히 기호성면을 고려하면 약 0.1 ~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 ~ 2.0 중량%의 비율이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가장 좋다.
본 발명에서는 추가적으로 소취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천연 소취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소취물에 대해서는 특별히 규정하지 않으나, 사이크로덱스트린 등의 일반적인 소취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천연유래 소취물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천연소취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동백나무과 식물인 녹차, 우롱차 및 홍차(Camellia sinensis),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인 첨차(Rubus suavissimus), 라즈베리(Rubus idaeus), 복숭아과 식물인 유칼리(Eucalyptus globulus)등이 증미성 및 효과면에서 소취성분원료로서 더욱 바람직하며, 이들 식물의 과피, 잎, 과육, 과실, 가지, 수피, 뿌리, 바람직하게는 그 잎을 건조시킨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소취물의 제조방법은 먼저 상기 소취성분의 원료를 적당한 분쇄 수단으로 분쇄하고, 이들 분쇄물로부터 본 발명에 사용하는 소취물을 얻는다. 이러한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종래 사용되고 있는 추출방법, 추출용제로서 예를 들어, 물,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및 n-부탄올 등의 저급알콜, 초산에틸, 아세톤,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유기용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용매를 가하여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강용 고형조성물로서 사용을 고려하여, 추출용제로서는 안전성면에서 물과 에탄올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조건으로는 고온, 실온, 저온 중 어떤 온도에서나 추출할 수 있으나, 50 ~ 80 ℃에서 1 ~ 5 시간 정도가 바람직하다. 추출액은 여과하고, 추출용제를 제거한 후, 감압하에서 농축 또는 동결건조한 것을 소취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추출물을 유기용제,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등에 의해 분획정제한 것도 소취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소취물의 첨가량으로는 조성물에 대하여 소취물을 약 0.001 중량% 이상 첨가한다. 또한 기호성면을 고려하면 0.001 ~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1 ~ 1.9 중량% 비율이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강용 고형조성물에 사용하고자 하는 불용성 천연식물섬유의 원료가 되는 밀감과 식물, 장미과 사과속 식물의 과실은 종래부터 식용으로 제공되어 온 것이며, 천연소취물의 원료인 녹차, 홍차 및 우롱차는 예부터 차로서 음용되어 온 것들이고, 첨차, 라즈베리잎은 허브티로서 응용되며, 또한 라즈베리의 과실은 식용으로 이용되는 것이고, 유칼리잎은 식품소재, 허브티 및 식품첨가물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강용 고형조성물에 사용되는 식물은 모두 식품소재, 허브티 및 천연첨가물로서 예부터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이들의 추출물 및 이들을 배합한 조성물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문제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전성이 높고, 향이 좋으며, 증미성이 우수하므로, 정제, 트로키제, 캔디, 정과 등의 구강용 고형조성물로서 설태제거 및 구취제거를 목적으로 일상적으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바, 다음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 설태제거효과 및 강한 구취제거효과 측정
(1) 시료 1 ~ 8 의 제조
다음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이루어진 캔디를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시료 1 ~ 8에 사용된 불용성 천연식물섬유는 완숙 유자를 착츱처리하여 얻은 유자과즙 착즙잔사 50 g을 온풍을 통과시켜 건조하여 건조물 10.4 g을 얻어서, 이를 밀(mill)로 분쇄하고 40 메쉬를 통과시켜 얻어진 것을 사용하였다.
천연 소취물로서 녹차건조잎분말 10 g에 물 100 ml를 가하고 환류냉각기에서 1시간 환류하면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하여 분리하고, 용매를 제거한 후 동결건조하여 녹차추출물 2.17g을 얻어서 사용하였다.
천연 소취물로서 첨가추출물은 첨차건조잎분말 10 g에 50 % 에탄올 100 ml을 가하여 환류냉각기에서 1 시간 환류하면서 추출액을 얻은 후 여과하여 분리하고, 용매를 제거한 후, 동결건조하여 첨차추출물 2.30 g을 얻어서 사용하였다.
성분(중량%) 시료1 시료2 시료3 시료4 시료5 시료6 시료7 시료8
설탕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물엿 34.0 34.0 34.0 34.0 34.0 34.0 34.0 34.0
불용성천연식물섬유 1.0 1.0 0.0 1.0 0.0 0.5 0.0 0.0
결정셀룰로오스 0.0 0.0 0.0 0.0 0.0 0.0 1.0 1.0
녹차추출물 0.1 0.0 0.0 0.0 0.1 0.0 0.0 0.1
첨차추출물 0.0 0.1 0.0 0.0 0.0 0.0 0.0 0.0
14.9 14.9 16.0 15.0 15.9 15.5 15.0 14.9
(2) 시험방법 : 관능평가
패널 10명에게 설태제거효과와 강한 구취제거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당일, 아침식사 및 양치질을 하지 않은 상태의 패널이 설태량 및 구취를 측정하고, 제조한 캔디 1알을 혀위에서 적당하게 마찰되도록 비비면서 없어질때까지 씹지말고 섭취한 후, 설태량 및 구취를 측정하였다.
설태량은 혀를 사진촬영하여 시각(視覺)으로 캔디섭취전후의 변화를 관찰하고, 구취는 캔디를 먹기 직전, 먹은 직후, 1시간후, 2시간후에 내쉰숨을 3L용량의 냄새봉지에 채취하여 측정하였으며, 사용감은 각 패널이 취식후 사용감을 다음 표 2의 기준에 의거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구분 내 용
설태제거효과 구취강도 사용감
1 변화 없음 무취 혀 및 구강내에 위화감 없음
2 설태 약간 제거 겨우 감지 가능한 냄새 혀 및 구강내에 위화감 남음
3 설태 반정도 제거 어떤 냄새인지 알 수 있는 가벼운 냄새 혀 및 구강내가 약간 얼얼함
4 설태 잘 제거 가볍게 감지할 수 있는 냄새 혀 및 구강내가 따끔거림
5 설태 매우 잘 제거 강한 냄새 혀 및 구강내가 따끔거려 아픔
6 - 강렬한 냄새 -
(3) 실험결과
상기한 방법으로 측정한 시료 1 ~ 8의 설태제거효과, 구취 및 사용감을 각 패널별 점수를 평균화하여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시료1 시료2 시료3 시료4 시료5 시료6 시료7 시료8
설태제거효과 4.5 4.5 2.0 4.4 2.4 3.5 3.7 3.8
직전구취 5.5 5.6 5.4 5.3 5.5 5.4 5.5 5.6
직후구취 1.6 1.5 4.4 3.4 2.7 3.9 4.1 1.8
1시간후구취 1.7 1.6 4.9 3.6 4.3 4.2 4.4 2.1
2시간후구취 1.9 1.7 5.4 3.7 5.2 4.5 4.8 2.2
사용감 1.2 1.1 1.1 1.2 1.1 1.5 4.5 4.6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불용성 천연식물섬유와 천연소취물을 배합한 시료 1 및 2는 불용성 천연식물섬유 및 결정셀룰로오스를 함유하지 않는 시료 3 및 5와 비교하여, 현저한 설태제거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천연소취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시료 4가 동등의 설태제거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 설태제거효과는 불용성천연식물섬유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시료 6의 결과로부터 농도의존적으로 추정된다. 결정셀룰로오스를 사용한 시료 7의 경우에도 같은 결과가 보여지나, 시료 1과 시료 8, 시료 4와 시료 7의 대비로부터, 결정셀룰로오스 보다 불용성 천연식물섬유가 설태제거효과가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취에 대해서는, 시료 3과 시료 4의 결과로부터 천연소취물을 함유하지 않아도 불용성 천연식물섬유를 함유하는 것으로 구취제거효과는 발현되었다. 시료 4와 시료 7과의 비교에 의해 결정셀룰로오스보다 불용성 천연식물섬유가 구취제거효과가 강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시료 5의 결과로부터 천연소취물에서만 섭취직후 구취제거효과가 나타났으나, 1시간 후에는 효과가 약해졌으며, 2시간 후에는 거의 없어졌다. 양자를 배합한 시료 1 및 2에서는 구취제거효과는 2시간후에도 현저하게 지속되었다.
반면 결정셀룰로오스와 천연소취물을 배합한 시료 8에서는 구취제거효과가 나타났으나, 시료 7과 같이 사용감은 현저하게 나빴다.
이상의 실험결과로부터 설태제거효과를 갖는 불용성 천연식물섬유를 함유하므로써 구취제거효과가 확인되며, 더욱이 천연소취물을 병용하므로써 2시간 경과하여도 우수한 구취제거효과를 나타내는 사실이 확인되었으며, 구강내에 미치는 감촉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1
완숙 유자를 착츱처리하여 얻은 유자과즙 착즙잔사 50 g을 온풍을 통하게 하여 건조시키고 건조물 10.4 g을 얻었다. 본 건조물을 밀로 분쇄하고 40 메쉬를 통과시켜 유자유래 불용성 천연식물섬유를 얻었다. 녹차건조잎분말 10 g에 물100ml를 가하고 환류냉각기에서 1시간 환류하면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걸러서 분리하고, 용매를 제거한 후 동결건조하여 추출물 2.17g(녹차추출물 유래 천연소취물)을 얻었으며, 다음 표 4에 나타낸 조성으로 캔디 1을 제조하였다.
상기 얻어진 캔디 1을 사용하여 설태제거효과 및 구취제거효과 확인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다음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첨차건조잎 분말 10 g에 50 % 메탄올 100 ml를 가하고, 환류냉각기에서 1시간 환류하면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걸러서 분리하고, 용매를 제거한 후, 동결건조하므로써 추출물 2.39 g(첨차추출물 유래 천연 소취물)을 얻었으며, 다음 표 4에 나타낸 조성으로 캔디 2를 제조하였다.
상기 얻어진 캔디 2를 사용하여 설태제거효과 및 구취제거효과 확인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다음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완숙 온주밀감을 착츱처리하여 얻은 온주밀감과즙 착즙잔사 50 g을 온풍을 통하게 하여 건조시키고 건조물 10.0 g을 얻었다. 본 건조물을 밀로 분쇄하고 40 메쉬를 통과시켜 온주밀감 유래 불용성 천연식물섬유를 얻었다. 우롱차건조잎분말 10 g에 70 % 에탄올 100 ml를 첨가하고 환류냉각기에서 1시간 환류하면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걸러서 분리하고, 용매를 제거한 후, 동결건조하여 추출물 2.17 g(우롱차 추추물 유래 천연 소취물)을 얻었으며, 다음 표 4에 나타낸 조성으로 캔디 3을 제조하였다.
상기 얻어진 캔디 3을 사용하여 설태제거효과 및 구취제거효과 확인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다음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완숙 오렌지를 착즙처리하여 얻은 오렌지과즙 착즙잔사 50 g을 온풍을 통하게 하여 건조시키고 건조물 10.2 g을 얻었다. 본 건조물을 밀로 분쇄하고 40 메쉬를 통과시켜 오렌지 유래 불용성 천연식물섬유를 얻었다. 홍차건조잎분말 10 g에 100 % 에탄올 100 ml를 첨가하고 환류냉각기에서 1시간 환류하면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걸러서 분리하고, 용매를 제거한 후, 동결건조하여 추출물 1.60 g(홍차 추출물 유래 천연 소취물)을 얻었으며, 다음 표 4에 나타낸 조성으로 캔디 4를 제조하였다.
상기 얻어진 캔디 4를 사용하여 설태제거효과 및 구취제거효과 확인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다음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완숙 그레이프후르츠를 착즙처리하여 얻은 그레이프후르츠 과즙착즙잔사 50 g을 온풍을 통하게 하여 건조시키고 건조물 10.1 g을 얻었다. 본 건조물을 밀로 분쇄하고 40 메쉬를 통과시켜 그레이프후르츠 유래 불용성 천연식물섬유를 얻었다. 라즈베리 건조잎분말 10 g에 50 % 에탄올 100 ml를 첨가하고 환류냉각기에서 1시간 환류하면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걸러서 분리하고, 용매를 제거한 후, 동결건조하여 추출물 2.43 g(라즈베리 추출물 유래 천연소취물)을 얻었으며, 다음 표 4에 나타낸 조성으로 캔디 5를 제조하였다.
상기 얻어진 캔디 5를 사용하여 설태제거효과 및 구취제거효과 확인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다음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완숙 광귤(citrus aurantium)을 착즙처리하여 얻은 광귤과즙 착즙잔사 50 g을 온풍을 통하게 하여 건조시키고 건조물 10.2 g를 얻었다. 본 건조물을 밀로 분쇄하고 40 메쉬를 통과시켜 광귤 유래 불용성 천연식물섬유를 얻었다. 첨차건조잎분말 10 g에 물 100 ml를 첨가하고 환류냉각기에서 1시간 환류하면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걸러서 분리하고, 용매를 제거한 후, 동결건조하여 추출물 2.31 g(첨차 추출물 유래 천연 소취물)을 얻었으며, 다음 표 4에 나타낸 조성으로 캔디 6을 제조하였다.
상기 얻어진 캔디 6을 사용하여 설태제거효과 및 구취제거효과 확인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다음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완숙라임을 착즙처리하여 얻은 라임과즙 착즙잔사 50 g을 온풍을 통하게 하여 건조시키고 건조물 9.6 g을 얻었다. 본 건조물을 밀로 분쇄하고 40 메쉬를 통과시켜 라임 유래 불용성 천연식물섬유를 얻었다. 유칼리건조잎분말 10 g에 50 % 에탄올 100 ml를 첨가하고 환류냉각기에서 1시간 환류하면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걸러서 분리하고, 용매를 제거한 후, 동결건조하여 추출물 2.11 g(유칼리 추출물 유래 천연 소취물)을 얻었으며, 다음 표 4에 나타낸 조성으로 캔디 7을 제조하였다.
상기 얻어진 캔디 7을 사용하여 설태제거효과 및 구취제거효과 확인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다음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완숙 레몬을 착즙처리하여 얻은 레몬과즙 착즙잔사 50 g을 온풍을 통하게 하여 건조시키고 건조물 10.1 g을 얻었다. 본 건조물을 밀로 분쇄하고 40 메쉬를 통과시켜 레몬 유래 불용성 천연식물섬유를 얻었다. 이 불용성 천연식물섬유 및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우롱차 추출물 유래 천연소취물을 사용하여, 다음 표 4에 나타낸 조성으로 캔디 8을 제조하였다.
상기 얻어진 캔디 8을 사용하여 설태제거효과 및 구취제거효과 확인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다음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완숙 서양사과를 착즙처리하여 얻은 서양사과과즙 착즙잔사 50 g을 온풍을 통하게 하여 건조시키고 건조물 10.3 g을 얻었다. 본 건조물을 밀로 분쇄하고 40 메쉬를 통과시켜 사과 유래 불용성 천연식물섬유를 얻었다. 이 불용성 천연식물섬물 및 실시예 4에서 얻어진 홍차 추출물 유래 천연 소취물을 사용하여, 다음 표 5에 나타낸 조성으로 캔디 9를 제조하였다.
상기 얻어진 캔디 9를 사용하여 설태제거효과 및 구취제거효과 확인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다음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유자 유래 불용성 천연식물섬유를 사용하여, 다음 표 4에 나타낸 조성으로 캔디 10을 제조하였다.
상기 얻어진 캔디 10을 사용하여 설태제거효과 및 구취제거효과 확인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다음 표 5에 나타내었다.
성분 실시예(중량%)
1 2 3 4 5 6 7 8 9 10
설탕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물엿 34.0 34.0 34.0 34.0 34.0 34.0 34.0 34.0 34.0 34.0
불용성천연식물섬유 1.01)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1)
천연소취물 0.19) 0.110) 0.111) 0.112) 0.113) 0.114) 0.115) 0.111) 0.112) -
14.9 14.9 14.9 14.9 14.9 14.9 14.9 14.9 14.9 15.0
1)유자유래 9) 녹차 추출물2)온주밀감유래 10) 첨차 추출물3)오렌지유래 11) 우롱차 추출물4)그레이프후르츠유래 12) 홍차 추출물5)광귤유래 13) 라즈베리 추출물6)라임유래 14) 첨차 추출물7)레몬유래 15) 유칼리 추출물8)서양사과 유래
구분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설태제거효과 4.5 4.5 4.4 4.5 4.3 4.4 4.4 4.5 4.5 4.4
직전구취 5.5 5.6 5.6 5.5 5.6 5.4 5.5 5.3 5.4 5.3
직후구취 1.6 1.5 1.5 1.6 1.4 1.4 1.6 1.6 1.5 3.4
1시간후 구취 1.7 1.6 1.8 1.7 1.6 1.6 1.8 1.7 1.6 3.6
2시간후 구취 1.9 1.7 1.9 1.8 1.8 1.7 1.9 1.8 1.9 3.7
사용감 1.2 1.1 1.2 1.1 1.1 1.2 1.2 1.4 1.3 1.2
실시예 11
유당 50.0 중량%, D-만니톨 44.0 중량%, 젤라틴 4.9 중량%, 실시예 5에서 얻어진 그레이프후르츠유래 불용성천연식물섬유 1.0 중량%,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녹차 추출물 유래 천연소취물 0.1 중량%를 포함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완숙 낑깡을 착즙처리하여 얻은 낑깡과즙 착즙잔사 50 g을 온풍을 통하게 하여 건조시키고 건조물 9.5 g을 얻었다. 본 건조물을 밀에 의해 분쇄하고 40 메쉬를 통과시켜 낑깡 유래 불용성 천연식물섬유를 얻었다. 녹차건조잎분말 10 g에 50 % 에탄올 100ml를 가하고, 환류냉각기에서 1시간 환류하면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걸러서 분리하고, 용매를 제거한 후, 동결건조하여 추출물 2.70 g(녹차추출물 유래 천연소취물)을 얻었다.
포도당 71.9 중량%, 유당 17.0 중량%, 아라비아검 6.0 중량%, 향료 0.2 중량%, 상기 낑깡 유래 불용성천연식물섬유 1.0 중량%, 상기 녹차 추출물 유래 천연소취물 0.1 중량%, 인산제2칼륨 0.2 중량%, 인산제1칼륨 0.1 중량%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3.5 중량%를 함유하는 트로키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상기 실시예 4에서 얻어진 오렌지 유래 불용성 천연식물섬유와 상기 실시예 11에서 사용한 녹차 추출물 유래 천연소취물을 사용하였으며, 설탕 79.5 중량%, 글루코스 19.0 중량%, 자당지방산에스테르 0.2 중량%, 향료 0.2부 중량%, 상기 오렌지 유래 불용성 천연식물섬유 1.0 중량% 및 상기 녹차 추출물 유래 천연소취물 0.1 중량%를 포함하는 정과를 제조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강용 고형조성물은 불용성 천연식물섬유를 배합시킨 수용성 고형기재로 구성되므로써, 고형기재의 표면에 형성된 불용성 천연식물섬유의 미세한 돌기에 의해 물리적으로 설태가 제거되고, 소취효과가 발현되며, 구강내에 바람직한 감촉을 부여한다.
또한 소취물을 병용하므로써 설태가 제거된 혀표면 및 구강내에 천연소취물이 효율적으로 작용하여, 구강내에 응용시킨 직후부터 장기간에 걸쳐 구취제거효과를 지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품의 원료가 되는 식물은 모두 식품소재 및 허브티, 천연첨가물로서 예부터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그 안전성에 대해서 전혀 문제가 없으며, 증미성에 관해서도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품인 구강용 고형조성물을 사용하므로써 구취를 간편하게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캔디, 정제, 정과는 휴대성이 우수하고,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라도 섭취하여 효과를 체감할 수 있으므로 혀브러시 등의 방법보다 우수하다.

Claims (5)

  1. 수용성 고형 기재에 불용성 천연식물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고형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형기재는 소취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고형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물은 천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고형조성물.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물은 녹차추출물, 우롱차추출물, 홍차추출물, 첨차(텐차)추출물, 라즈베리추출물 및 유칼리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고형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용성 천연식물섬유는 밀감과 식물, 장미과 사과속 식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고형조성물.
KR1020040091518A 2004-03-30 2004-11-10 구강용 고형조성물 KR101186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99007 2004-03-30
JP2004099007A JP4472404B2 (ja) 2004-03-30 2004-03-30 口腔用固形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820A true KR20050096820A (ko) 2005-10-06
KR101186631B1 KR101186631B1 (ko) 2012-09-27

Family

ID=35180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518A KR101186631B1 (ko) 2004-03-30 2004-11-10 구강용 고형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472404B2 (ko)
KR (1) KR1011866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964B1 (ko) * 2006-08-19 2008-06-03 가부시끼가이샤 롯데 정미가 개선된 첨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60027682A (ko) * 2014-09-02 2016-03-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충치 예방 또는 구강용 소취제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45308A1 (en) 2006-03-10 2007-09-20 Ezaki Glico Co., Ltd. Enzyme-containing candy
JP5809775B2 (ja) 2008-02-14 2015-11-11 株式会社ロッテ 口腔洗浄用発泡性固形製剤
JP2010254603A (ja) * 2009-04-23 2010-11-11 Osaka Univ 口腔用組成物
JP5860509B2 (ja) * 2014-06-25 2016-02-16 株式会社ロッテ 口腔洗浄用発泡性固形製剤
JP6293082B2 (ja) * 2015-03-19 2018-03-14 株式会社ロッテ 口腔用組成物
CN105726417A (zh) * 2016-04-11 2016-07-06 福建海山茶业有限公司 一种乌龙茶牙膏及其制备方法
CN107712232A (zh) * 2017-12-02 2018-02-23 王艳萍 一种绿茶糖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2418A (ja) * 1999-10-15 2001-04-24 Yoshiharu Kawagoe 食用植物入り飴菓子
JP4865961B2 (ja) * 2001-07-13 2012-02-01 剛之 児玉 口腔用組成物
JP2003250480A (ja) * 2001-12-28 2003-09-09 Toyo Shinyaku:Kk 麦若葉造粒物からなる口臭除去食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964B1 (ko) * 2006-08-19 2008-06-03 가부시끼가이샤 롯데 정미가 개선된 첨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60027682A (ko) * 2014-09-02 2016-03-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충치 예방 또는 구강용 소취제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81230A (ja) 2005-10-13
JP4472404B2 (ja) 2010-06-02
KR101186631B1 (ko) 201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95404A (zh) 一种烟草含化片及其制备方法
DE102004052800A1 (de) Verbesserte Trägerformulierungen
WO2005063186A1 (en) Herbal oro-dental car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100637922B1 (ko) 담배냄새 소취제와 이를 포함하는 음식품 및 소취조성물,담배냄새 소취제의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KR101186631B1 (ko) 구강용 고형조성물
JP2014082960A (ja) ポリフェノール含有飲料の苦渋味マスキング剤及び該飲料の苦渋味のマスキング方法
KR20110000622A (ko) 약산성하의 소취 조성물
CN105853318B (zh) 一种牙膏及其制备方法
JP6041375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KR101590649B1 (ko) 구강 세정용 발포성 고형제제
KR100362498B1 (ko) 함초 함유 화장료
WO2007020830A1 (ja) 口腔用組成物
US20040115138A1 (en) Stable herbal dentifrice
CN105147583A (zh) 一种含油茶皂苷的儿童专用牙膏及其制备方法
JPS606195B2 (ja) たばこの香喫味改良方法
JP2000327549A (ja) カムカムエキスを含む化粧料
JP5860509B2 (ja) 口腔洗浄用発泡性固形製剤
CN110279025A (zh) 一种苹果多酚保健型口香糖及其制备方法
JP2009242273A (ja) 血清ldlコレステロール値の低下作用を有する経口組成物。
JP2007084460A (ja) 美肌用組成物
KR19980021151A (ko) 칡전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JPH01180817A (ja) 口臭除去用組成物
KR101896070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2512813A (ja) 炮製処理された甘菊及び陳皮の抽出物を含有する抗酸化用化粧料組成物
KR100314505B1 (ko) 충치예방용 치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