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6159A - 운송수단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운송수단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6159A
KR20050096159A KR1020057013800A KR20057013800A KR20050096159A KR 20050096159 A KR20050096159 A KR 20050096159A KR 1020057013800 A KR1020057013800 A KR 1020057013800A KR 20057013800 A KR20057013800 A KR 20057013800A KR 20050096159 A KR20050096159 A KR 20050096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ehicle
handle
control device
loa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르그 헨레
Original Assignee
비텐슈타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텐슈타인 아게 filed Critical 비텐슈타인 아게
Publication of KR20050096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15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3/00Control systems or transmitting systems for actuating flying-control surfaces, lift-increasing flaps, air brakes, or spoilers
    • B64C13/02Initiating means
    • B64C13/04Initiating means actuated personally
    • B64C13/042Initiating means actuated personally operated by hand
    • B64C13/0421Initiating means actuated personally operated by hand control sticks for primary flight contro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characterised by means converting mechanical movement into electric signals
    • G05G2009/04762Force transducer, e.g. strain gaug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66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providing feel, e.g. indexing means, means to create counterfo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201Control moves in two planes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약간 수직으로 서 있는 두 개의 제어핸들(A, B)이 위치변경될수 있도록 설치된 손잡이가 포함된 운송수단, 특히 비행기, 헬리콥터 또는 시뮬레이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어핸들(A, B)은 개별적인 평행선들(E1과 E2 또는 E1과 E3) 상에 위치하며 서로 교차한다.

Description

운송수단 제어장치{DEVICE FOR CONTROLLING A VEHICLE}
본 발명은 수직으로 서로 마주보고 서 있는 두 개의 제어핸들이 위치변경될 수 있도록 설치된 손잡이가 포함된 운송수단, 특히 비행기, 헬리콥터 또는 시뮬레이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장치들은 여러 가지 형태와 방법으로 시장에 알려져 있으며 통용되고 있다. 이들은 본질적으로는 비행기, 헬리콥터, 항공기 시뮬레이터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을 제어하는 작용을 한다. 이때 손잡이는 본질적으로 제어기 주변에서 위치 변경될 수 있는 예를 들어 헬리콥터, 특히 헬리콥터의 회전날개와 같은 두 개의 제어핸들을 움직이기 위함이다.
종전의 기계들은 크고, 복잡하며, 비싸고 특히 각각의 지렛대로 구성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두 개 각각의 이동식 제어 핸들을 갖는 헬리콥터 제어기의 생산에, 예를 들어 회전날개를 돌리기 위해서 복잡한 핸드기어와 차단시스템이 요구된다. 그러한 이유에서 이 장치들을 생산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고 제조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
도 1은 운송 수단, 특히 항공기의 제어를 위한 발명에 적합한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의해 항공기의 제어를 위한 발명에 적합한 장치에 대한 정면사시도.
도 2b는 도 2a에 의한 장치에 대한 배면사시도.
도 3a는 도 1에 의한 장치의 다음 실시예에 대한 평면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의한 장치에 대한 배면사시도.
본 발명은 종전의 단점이 배제된 형태의 장치의 도입과, 간단하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식으로 활동 중인 힘의 피드백작용을 제어핸들에 허여하는 운송수단, 비행기, 헬리콥터, 시뮬레이터의 정확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이때 이 장치는 한정된 내부공간에서 잘 차단될 수 있어야한다. 또한 작동 시의 안전성이 향상되어야만 한다.
청구항 1과 2의 특징들이 이 과제의 해결책을 서술하고 있다.
본 발명은 양 옆에 연결된 기판을 갖는 프레임요소가 설치된 장치를 생산하는 데 의미가 있다. 기판에는, 하나의 정지요소 이상으로 하중센서(force sensor)가 위치변경될 수 있게 첫 번째 제어핸들 주변에 놓이거나 첫 번째 제어핸들 주변에서 경우에 따라 힘의 피드백으로 흔들림이 생기는 하나의 원동요소(drive elements/drive units)가 연결되어 있다.
손잡이의 움직임을 위해 여기서 수직으로 놓인 제어핸들은 프레임요소(frame elements)의 기판에 연결되며, 여기에 특히 자동차 또는 헬리콥터나 시뮬레이터의 원동요소가 계속 이어져 있다.
선행된 실시예에서는 서로 수직으로 놓여 개별적이며, 평행선상에서 서로 위치가 변경되는 두 개의 제어핸들이 놓여있다.
이를 통해 손잡이의 상이한 운동가능성 또는 전환기구, 특히 헬리콥터의 중요한 회전날개의 회전이 실현된다.
이때 제어핸들은 위나 아래를 향하고 있는 다른 제어핸들 주변에서 위치가 변경된다. 이를 통해 제어핸들의 개별적인 위치변경을 통한 첫 번째 제어핸들 또는 두 번째 제어핸들 주변의 개별적인 흔들림이 실현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하중센서에 의해 손잡이 옆의 인접한 힘이 측정된다. 상기 힘은 원동요소에 대한 힘의 피드백에 의한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장점과 특징은 다음의 도면과 실시예에서 비롯되며 다음과 같다.
도 1에 의하여 발명에 적합한 장치(R1)가 운송수단 또는 시뮬레이터, 특히 항공기 시뮬레이터의 제어를 위해, 특히 기판(2)으로부터 각각 양편으로 기판(2)을 향해 수직으로 연결된 고정판(3.1), (3.2)이 설치된 프레임요소(1)를 갖는다.
프레임요소(1)에는 특히 고정판(3.1)에 출구플랜지(4)의 연장선상에서 첫 번째 원동요소(5.1)가 외부에 연결된다. 이때 원동요소(5.1)는 고정판(3.1)을 향해 수직 연장선상에 있다.
프레임요소의 기판(2)에는, 여기서 묘사되지는 않았으나, 시뮬레이터나 운송수단의 구조물이나 클램프 또는 그와 유사한 것들에 대부분 연결되어 있는 원동요소(5.2)가 외부에 연결되어 있다.
원동요소(5.2)는 기판(2)을 향해 약간 수직으로 연장선상에 있는 제어핸들(B)에 배열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핸들(A)와 (B)는 전체의 평행선(E1) 상의 교차점(S)에서 만난다.
원동요소(5.1),(5.2)는 본질적으로 하부 쪽에 톱니바퀴(8)를 갖는 전기모터(7)가 달린 전기제어장치(6)에 설치된다. 이때 전기제어장치(6)는 힘의 제어나 모터제어를 할 수 있다.
고정판(3.2)에는 무게중심이 제어핸들(A) 내로 향하고 있는 평형추(9)가 연결되어 있다. 평형추(9)는 제어핸들(B) 둘레의 원동요소(5.2) 때문에 프레임요소(1)와 함께 위치변경 될 수 있는 원동요소(5.1)의 무게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원동요소(5.1)에는, 출구플랜지(4)에 접하여 제어핸들(A) 둘레의 원동요소(5.1) 때문에 흔들릴 수 있는 고정요소(10)가 연결되어 있다. 고정요소(10)는 하중센서(11)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것이 선호된다. 이를 통해 하중센서의 위치 역시 영향을 받는다.
제어핸들(C)의 하중센서(11)는 제어핸들(A)와 (B)의 교차점(S)을 통해 수직선상에 있으며, 활발하게 제어할 수 있거나 사람의 손으로 제어핸들(A)와 (B) 둘레에서 위치변경될 수 있는 곳에 위치한 손잡이의 움직임에 관여한다. 이때 원동요소(5.1), (5.2)의 원활한 조절에 의해 힘의 피드백이 발생한다. 하중센서(11)에서 이에 상응하는 복원력을 받아들이고 상기 하중센서가 원동요소(5.1),(5.2)를 제어하거나 조절한다.
도 2에 의한 본 발명의 선행된 실시예에서 다시 이와 같은 형태에 상응하는 장치(R2)를 보여준다.
이때 본질적인 차이점은 원동요소(5.2) 또는 제어핸들(B)의 원동요소(5.2)가 위치변수(X) 내에서 원동요소(5.1)의 제어핸들(A)과 서로 위치를 옮기는 것이다. 제어핸들(A)와 (B)는 수직으로 위치하여, 개별적인 평행선(E1),(E2)가 위치변수(X) 사이에서 서로 위치가 옮겨진다.
여기서 묘사되지 않은 손잡이(12)의 개별적인 움직임의 가능성은 제어핸들(A) 또는 (B)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도3b에서 다시 한번 제어핸들(A)과 (B)에 의한 서로 위치 옮김을 보여준다.
이때 프레임요소(1)의 기판(2)이 영역 내에서 앞쪽으로 고정판(3.1),(3.2)를 특히 약간 꺾여 돌출된 곳에, 제어핸들 (A) 위로 제어핸들(B)이 놓인다.
도 3a와 3b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전에 묘사된 형태에 상응하는 장치(R)를 보여준다.
여기서 제어핸들(A) 아래의 제어핸들(B)은 위치변수(X) 내에서 위에서 묘사된 방식으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제어핸들(A)와 (B)는 마찬가지로 서로 수직으로 서서 개별적인 평행선(E1),(E2) 상에서 서로 수평으로 놓인다.
이를 통해 마찬가지로 하중센서(11)에 연결된 손잡이(12)는 제어핸들 (A)와 (B)가 개별적인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핸들(B) 위로 제어핸들(A)가 놓이거나 넘어갈 때, 개별적인 내부공간에서 영향을 받는다.
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제어핸들 (A)와 (B) 또는 회전축들에 의해 하중센서(11) 또는 손잡이(12)의 높이조절 또한 가능하다.
1 프레임요소 34 67
2 기판 35 68
3 고정판 36 69
4 출구플랜지 37 70
5 원동요소 38 71
6 제어장치 39 72
7 전기모터 40 73
8 톱니바퀴 41 74
9 평형추 42 75
10 고정요소 43 76
11 하중센서 44 77
12 손잡이 45 78
13 46 79
14 47
15 48
16 49 R1 장치
17 50 R2 장치
18 51 R3 장치
19 52
20 53
21 54 X 위치변수
22 55
23 56 A 제어핸들
24 57 B 제어핸들
25 58 C 제어핸들
26 59
27 60
28 61 E1 평행선
29 62 E2 평행선
30 63 E3 평행선
31 64
32 65 S 교차점
33 66

Claims (18)

  1. 제어핸들(A, B)의 개별적인 평행선들(E1과 E2 또는 E1과 E3) 상에 놓이고 서로 위치가 변경되며 약간 서로 수직으로 서 있는 두 개의 제어핸들(A, B)이 작동될 수 있는 위치에 손잡이(12)를 포함하는 운송수단의 제어장치.
  2. 중심 또는 중심 밖에서 제어핸들(A)을 향해 수직상향이나 수직하향으로 배열된 하중센서와 상기 하중센서(11)의 작동을 위한 제어핸들(A) 상의 고정요소(10)와 서로 약간 수직으로 서 있는 두 개의 제어핸들(A, B)이 작동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손잡이(12)를 포함하는 운송수단의 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프레임요소(1)가 서로 약간 수직으로 놓인 두 개의 원동요소(5.1, 5.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기판(2)으로부터 프레임요소(1)가 적어도 하나는 수직으로 연결된 고정판(3.1, 3.2)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제어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U자 형태의 기판(2)으로부터 프레임요소(1)의 각각 양쪽에 수직으로 연결된 고정판(3.1, 3.2)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기판(2)의 외부에는 원동요소(5.2)가 고정되고, 기판(2)의 내부에는 고정요소(10)가 하중센서(11)의 작동을 위해 제어핸들(A) 주변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할 수 있도록 배열된 기판(2)에 첫 번째 원동요소(5.1)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제어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판(2)에 두 번째 원동요소(5.2)가 약간 수직으로 첫 번째 원동요소(5.1)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제어장치.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핸들(A와 B)이 위치변수(X) 내에서 서로 위치가 변경되는 위치에 제어핸들(A, B) 상의 원동요소(5.1, 5.2)가 수직으로 서로 프레임요소(1)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제어장치.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동요소(5.1, 5.2)는 필요에 따라 통합된 힘의 제어나 모터제어의 기능을 하는 전기제어장치(6)로부터 연결된 전기모터(7)와 하부 쪽의 톱니바퀴(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제어장치.
  10.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출구플랜지(4)의 연장선상에 하중센서와 상기 하중센서에 연결된 손잡이(12)가 끼워진 고정요소(10)가 첫 번째 원동요소(5.1)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제어장치.
  11.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요소(10)에 제어핸들(A) 주변의 하중센서(11)와 상기 하중센서에 연결된 손잡이(12)가 달려 있으며, 위치변경이 가능한 플레이트 또는 모서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제어장치.
  12. 제4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핸들(A) 내에 무게중심이 놓인 평형추(9)의 수행에 관여하는 두 번째 고정판(3.2)이 기판(2)에 나란하게 수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제어장치.
  13. 제3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손잡이(12)가 원동요소(5.1, 5.2)를 지나며 활발하게 제어핸들(A와 B) 주변에서 위치변경될 수 있으며, 특히 제어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제어장치.
  14. 제3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동요소(5.1, 5.2)와 하중센서(11)로 힘의 피드백이 가능하며 손잡이(12)의 활발한 제어가 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제어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번째 원동요소(5.2)가 자동차, 항공기 등의 구조 또는 프레임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제어장치.
  16. 제8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핸들(A) 위의 제어핸들(B)이 위치변수(X) 내에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제어장치.
  17. 제8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핸들(A) 아래의 제어핸들(B)이 위치변수(X) 내에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제어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핸들(A와 B)이 서로 수직으로 놓이며 서로 나란한 개별적인 평행선들(E1과 E2 또는 E1과 E3)상에 놓임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제어장치.
KR1020057013800A 2003-02-07 2003-11-27 운송수단 제어장치 KR200500961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05261A DE10305261A1 (de) 2003-02-07 2003-02-07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Fahrzeuges
DE10305261.5 2003-0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159A true KR20050096159A (ko) 2005-10-05

Family

ID=32747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800A KR20050096159A (ko) 2003-02-07 2003-11-27 운송수단 제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254377A1 (ko)
EP (1) EP1590717B1 (ko)
KR (1) KR20050096159A (ko)
AU (1) AU2003292141A1 (ko)
DE (2) DE10305261A1 (ko)
WO (1) WO20040704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01161B2 (en) * 2006-10-02 2010-04-2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otor balanced active user interface assembly
DE102006054802A1 (de) * 2006-11-21 2008-05-29 Liebherr-Aerospace Lindenberg Gmbh Steuervorrichtung
GB0714916D0 (en) 2007-07-31 2007-09-12 Wittenstein Aerospace & Simula Control device
US8096206B2 (en) 2007-12-05 2012-01-17 Liebherr-Aerospace Lindenberg Gmbh Control device
FR2928621B1 (fr) * 2008-03-13 2010-02-26 Eurocopter France Commande de vol d'un aeronef.
FR2977068B1 (fr) * 2011-06-21 2013-07-05 Sagem Defense Securite Instrument de commande et dispositif de commande integrant un tel instrument
US10118688B2 (en) * 2015-08-18 2018-11-06 Woodward, Inc. Inherently balanced control stick
US9823686B1 (en) * 2016-08-15 2017-11-21 Clause Technology Three-axis motion joystick
US9889874B1 (en) * 2016-08-15 2018-02-13 Clause Technology Three-axis motion joystick
AT520763B1 (de) * 2017-12-21 2022-09-15 Hans Kuenz Gmbh Kransteuerung
US11130567B2 (en) 2019-02-25 2021-09-28 The Boeing Company Compactly mounted cyclic flight control for rotorcraf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8126A (en) * 1960-05-10 1962-04-03 Euclid C Holleman Three axis controller
US3771037A (en) * 1973-03-15 1973-11-06 Nasa Solid state controller three-axes controller
US4069720A (en) * 1976-11-05 1978-01-24 Thor Wayne A Two axis side controller for aircraft
US4422345A (en) * 1981-09-11 1983-12-27 Deere & Company Two-way control lever rotatable in cab wall for sound sealing
US4555960A (en) * 1983-03-23 1985-12-03 Cae Electronics, Ltd. Six degree of freedom hand controller
US4620176A (en) * 1984-09-25 1986-10-28 Hayes Charles L Control stick mechanism
FR2643502B1 (fr) * 1989-02-20 1996-01-19 Aerospatiale Dispositif de commande a manche basculant, notamment pour aeronef, et system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US6057828A (en) * 1993-07-16 2000-05-02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orce sensations in virtual environments in accordance with host software
US5456428A (en) * 1993-07-21 1995-10-10 Honeywell Inc. Mechanically linked active sidesticks
US5473235A (en) * 1993-12-21 1995-12-05 Honeywell Inc. Moment cell counterbalance for active hand controller
WO1995020787A1 (en) * 1994-01-27 1995-08-03 Exos, Inc. Multimode feedback display technology
US6004134A (en) * 1994-05-19 1999-12-21 Exos, Inc. Interactive simulation including force feedback
JPH0962392A (ja) * 1995-08-28 1997-03-07 Nec Corp 操縦装置
DE19611230C1 (de) * 1996-03-21 1997-09-04 Siemens Ag Eingabegerät mit einem kippbaren Steuerhebel und signalerzeugenden Mitteln
DE19901038A1 (de) * 1999-01-14 2000-11-23 Robert Christl Bedienungs-Einrichtung für operative Schalt-und-Regel-Steuerung
US6512509B1 (en) * 1999-03-22 2003-01-28 Logitech Europe S.A. Forked gimbal arm force feedback mechanism
DE19926784A1 (de) * 1999-06-11 2000-12-14 Wittenstein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teuern einer Einrichtung
US6580418B1 (en) * 2000-02-29 2003-06-17 Microsoft Corporation Three degree of freedom mechanism for input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90717B1 (de) 2006-07-19
US20060254377A1 (en) 2006-11-16
DE10305261A1 (de) 2004-08-26
WO2004070489A1 (de) 2004-08-19
DE50304314D1 (de) 2006-08-31
EP1590717A1 (de) 2005-11-02
AU2003292141A1 (en) 2004-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96159A (ko) 운송수단 제어장치
EP2057614B1 (en) A motion platform system
KR102033370B1 (ko) 모션 플랫폼 시스템
ES2776473T3 (es) Sistema de movimiento mecatrónico para impresora tridimensional que utiliza piñones y cremalleras helicoidales
SE8401040L (sv) Anordning for legesjustering av ett foremal
JPH1094928A (ja) 工作機械のテーブル移送装置
CN111812946A (zh) 倾斜旋转曝光方式的3d微光刻-打印系统
JPH0337513B2 (ko)
CN1749901A (zh) 可移动操作装置及控制该可移动操作装置的方法
JP2005206015A (ja) 垂直離着陸機の姿勢制御装置
JP2006321150A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KR100786999B1 (ko) 유리기판의 연마장치 및 연마방법
JPH05253806A (ja) 高精密部品の加工組立装置
CN109571409A (zh) 一种移动机械臂装置
CN109396664A (zh) 一种紫外激光钻孔运动光束定位系统
KR100530267B1 (ko) 원판그래스의 마크로 검사장치
JP3343770B2 (ja) 風向調整装置
CN108100210B (zh) 一种氢气球飞行装置及飞行系统
CN106166915A (zh) 一种多功能石材雕刻设备
JP2001198830A (ja) 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
JPH09255350A (ja) ガラス板のカッタ装置
CN207496021U (zh) 一种3d打印机z轴控制调平结构
US4633746A (en) Device for punching flat shaped articles, particularly paper, paperboard or the like
KR100659501B1 (ko) 금형 반전기
JP2019217610A (ja) シート切断機の動力伝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