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5956A - 2종 분리막을 사용한 전기화학소자 - Google Patents

2종 분리막을 사용한 전기화학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956A
KR20050095956A KR1020040021176A KR20040021176A KR20050095956A KR 20050095956 A KR20050095956 A KR 20050095956A KR 1020040021176 A KR1020040021176 A KR 1020040021176A KR 20040021176 A KR20040021176 A KR 20040021176A KR 20050095956 A KR20050095956 A KR 20050095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chemical device
polyvinylidene fluoride
outermost
electrode
cer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5486B1 (ko
Inventor
김제영
박필규
안순호
이상영
김석구
이용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40021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486B1/ko
Priority to US11/091,145 priority patent/US7604895B2/en
Priority to EP11179861.7A priority patent/EP2393143B1/en
Priority to AT05789651T priority patent/ATE557434T1/de
Priority to CA2561749A priority patent/CA2561749C/en
Priority to CNB2005800101073A priority patent/CN100468832C/zh
Priority to TW094109893A priority patent/TWI279938B/zh
Priority to EP05789651A priority patent/EP1730799B1/en
Priority to BRPI0508249-8A priority patent/BRPI0508249B1/pt
Priority to PCT/KR2005/000911 priority patent/WO2006004280A1/en
Priority to JP2007506079A priority patent/JP4554676B2/ja
Priority to RU2006134501/09A priority patent/RU2321922C1/ru
Publication of KR20050095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4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6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2Acrylic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26Fluorocarbon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29Natural polymers
    • H01M50/4295Natural cotton, cellulose or wo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31Inorganic material
    • H01M50/434Ceram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and layer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7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연한 성질을 지닌 고분자계 분리막과 부서지기 쉬운 성질을 지닌 세라믹계 분리막을 동시에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배치되는 고분자계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에 있어서,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양극,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배치되는 세라믹계 분리막으로 구성된 최외각 전극층을 상기 전극조립체의 최외각 상단과 최외각 하단에 각각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를 사용함으로써 외부 충격시 최외각 전극층에서 먼저 단락이 발생하여 전지의 열발산을 향상시켜 전지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2종 분리막을 사용한 전기화학소자{ELECTROCHEMICAL CELL WITH TWO DIFFERENT SEPARATOR}
본 발명은 전지외부에서의 충격시 전지내의 최외각에서 우선적으로 단락을 발생시켜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2종 분리막을 사용한 전기화학소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 저장 기술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휴대폰, 캠코더 및 노트북 PC, 나아가서는 전기 자동차의 에너지까지 적용분야가 확대되면서 전지의 연구와 개발에 대한 노력이 점점 구체화되고 있다. 전기화학소자는 이러한 측면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분야이고 그 중에서도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의 개발은 관심의 촛점이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전지를 개발함에 있어서 용량 밀도 및 비에너지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전극과 전지의 설계에 대한 연구개발로 진행되고 있다.
현재 적용되고 있는 2차 전지 중에서 1990년대 초에 개발된 리튬이온전지는 수용액 전해액을 사용하는 Ni-MH, Ni-Cd, 황산-납 전지 등의 재래식 전지에 비해서 작동 전압이 높고 에너지 밀도가 월등히 크다는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리튬이온전지는 유기 전해액을 사용하는데 따르는 발화 및 폭발 등의 안전 문제가 존재하고, 제조가 까다로운 단점이 있다. 최근의 리튬이온 고분자전지는 이러한 리튬이온전지의 약점을 개선하여 차세대 전지의 하나로 꼽히고 있으나 아직까지 전지의 용량이 리튬이온전지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고, 특히 저온에서의 방전 용량이 불충분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리튬이온전지의 작동 메커니즘은 기존의 전지와는 다르다. 상기 리튬이온전지의 양극(cathode)의 활물질인 LiCoO2 와 음극(anode)의 활물질인 흑연(graphite)은 결정구조이며, 이러한 결정구조에는 빈 공간이 존재한다. 빈 공간에 리튬이온이 들어갔다 빠졌다 하면서 충방전시 리튬이온이 셀 내부에서 이동된다.
양극(cathode)은 전자를 포집하는 역할을 하는 전류집전체(current collector)로서 알루미늄 호일(foil)을 사용한다. 알루미늄 호일(foil) 위에 LiCoO2가 코팅되어 있다. LiCoO2는 전자전도도가 낮으므로, 전자전도를 높이기 위하여 카본을 넣는다.
음극(anode)은 전류집전체인 구리 호일 위에 흑연이 코팅되어 있다. 흑연은 전자전도도가 우수하므로, 전자전도물질은 집어넣지 않는다. 음극(Anode)과 양극(cathode) 전극은 분리막(separator)으로 격리되어 있으며, 전해질로는 유기용매에 리튬염을 넣은 액을 사용한다.
제조시에는 방전 상태로 제조된다. 충전시에 LiCoO2 결정 속에 들어있는 리튬이 빠져나와 음극으로 이동하여, 흑연 결정 구조 속으로 들어간다. 방전시에는 반대로, 흑연 속에 있는 리튬이 빠져나와 양극 속의 결정으로 들어간다. 이와 같이 충방전이 됨에 따라 리튬이온이 음극과 양극을 왔다 갔다 하는 것을 흔들의자론(rocking chair concept)이라 부르며, 이러한 흔들의자론이 리튬이온전지 작동 메카니즘으로 된다.
이러한 전지는 많은 회사에서 생산되고 있으나 그들의 안전성 특성은 각각 다른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전지의 안전성 평가 및 안전성 확보는 매우 중요하다.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은 전지가 오작동시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혀서는 안된다는 것이며, 이러한 목적으로 안전규격은 전지내의 발화 및 발연 등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이러한 안전성 향상을 위하여 여러가지 방법이 고안되었으며 2가지 이상의 분리막을 사용하여 전지를 제조한 특허도 출원된 바 있다. 일본공개특허 평 10-199502호의 경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서로 다른 특징을 보유하는 2장의 분리막을 적층하여 전지를 구성함으로써 높은 인장강도와 높은 용량 보존 특성을 동시에 추구하였다. 이때 사용되는 제1분리막과 제2분리막은 각각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소니사에서 출원한 일본공개특허 제2000-82497호의 경우 전지의 사이클 특성 향상을 위해 동일한 2장의 분리막을 권취하여 사용하였고, 전지의 안전성과는 무관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신고베에서 출원한 일본공개특허 제2003-243037호의 경우 2개의 융점이 다른 분리막을 사용하여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켰다. 이때 낮은 용융 온도의 제2분리막이 리튬이온을 흡장/방출하지 않는 제2의 전극대를 형성하여 전지의 온도가 상승할 때 미리 단락을 유도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이 경우 실제로 전지의 사용 범위는 고온으로는 약 90℃까지이므로 그 이전의 온도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 성능에 막대한 저하를 가져올 것이므로 90℃ 이상에서 그러한 우선적 단락이 발생해야 한다. 90℃ 이상에서 내부 단락이 발생하게 되면 실제 전지는 상온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에 비해서 훨씬 더 위험한 상황에 노출이 되어 오히려 안전성이 더 나빠질 가능성이 높게 되므로 좋은 해결책을 될 수 없다. 또한 이러한 고분자 분리막의 융점 차이를 이용하는 것은 전지의 온도가 상승했을 때만 관계되는 것이지 전지의 외부충격 즉 압괴, 부분압괴 등에 의한 단락의 경우에는 전혀 안전성에 효과가 없다.
따라서, 압괴와 같은 전지의 외부충격시 전지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화학소자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분리막의 기본물성이 상이한 2종의 다른 분리막을 사용하여 전지를 구성하여 외부충격에 부서지기 쉬운 구조를 가진 분리막을 포함하는 최외각 전극층에서 외부충격에 미리 단락을 일으켜 전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지 외부에서의 충격시 전지의 최외각으로부터 단락 발생을 유도하여 열발산을 촉진시켜 안전성이 향상되는 전기화학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배치되는 고분자계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에 있어서,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양극,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배치되는 세라믹계 분리막으로 구성된 최외각 전극층을 상기 전극조립체의 최외각 상단과 최외각 하단에 각각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지의 외부 충격시 최외각 면의 단락을 우선적으로 유도하여 전지의 열발산을 원활하게 하여 더 이상의 온도상승을 막아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효과를 더욱 극대화하기 위하여 특히 스택킹 형의 전지의 최외각에 활물질을 코팅하지 않은 양극과 활물질을 코팅하지 않은 음극 호일을 위치시키고 그 사이에 부서지기 쉬운 특성을 지닌 분리막을 사용하여 격리시키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전지의 단락시 열발산을 최적화시켜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화학소자는 양극(1)과 음극(2)이 고분자계 분리막(3)에 의하여 격리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전기화학소자 내부의 최외각 면이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는 양극 및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음극의 전극(dummy 전극)으로 구성되고 그 사이가 세라믹계 분리막에 의하여 격리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을 리튬이온 폴리머 이차전지를 예를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리튬 충방전용 전지는 리튬복합산화물을 활물질로 포함하는 양극, 리튬을 흡착 및 방출할 수 있는 음극, 전해질 및 고분자계 분리막을 포함하며,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양극,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음극 및 세라믹계 분리막으로 구성된 최외각 전극층을 포함한다.
상기 양극을 구성하기 위한 양극 활물질은 리튬복합산화물을 사용한다. 예를들면, 리튬망간산화물(lithiated magnesium oxide), 리튬코발트산화물(lithiated cobalt oxide), 리튬니켈산화물 (lithiated nickel oxide)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형성되는 복합산화물 등과 같이 리튬흡착물질(lithium intercalation material)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사용한다. 이후, 상기 양극 활물질을 양극 전류집전체, 즉 알루미늄, 니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제조되는 호일(foil)에 결착시킨 형태로 양극을 구성한다.
상기 음극을 구성하기 위한 음극 활물질은 리튬금속 또는 리튬합금과 카본(carbon), 석유코크(petroleum coke), 활성화 카본(activated carbon), 흑연(graphite), 또는 기타 여러 가지 카본류 등과 같은 리튬흡착물질을 주성분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음극 활물질을 음극 전류집전체, 즉 구리, 금, 니켈 혹은 구리 합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제조되는 호일과 결착시킨 형태로 음극을 구성한다.
상기의 고분자계 분리막은 미세 다공 구조를 가지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이들 필름의 조합에 의해서 제조되는 다층 필름 등이나, 또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polyacrylonitrile) 또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olyvinylidene fluoride hexafluoropropylene) 공중합체와 같은 고체 고분자 전해질용 또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용 고분자 필름 등을 사용한다.
상기 전해질은 A+B-와 같은 구조의 염을 사용할 수 있으며, A+는 Li+, Na+, K+와 같은 알칼리 금속 양이온이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온을 포함하고, B-는 PF6 -, BF4 -, Cl-, Br-, I -, ClO4 -, ASF6 -, CH3CO2 -, CF3SO3 -, N(CF3SO2) 2 -, C(CF2SO2)3 -와 같은 음이온이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온을 포함하는 염을 의미한다. 예를들면, 리튬염이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PC),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EC), 디에틸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DEC),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DMC), 디프로필카보네이트(dipropyl carbonate, DPC),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아세토니트릴 (acetonitrile), 디메톡시에탄(dimethoxyethane), 디에톡시에탄(diethoxyethane),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N-메틸-2-피롤리돈 (N-methyl-2-pyrrolidone, NMP), 에틸메틸카보네이트(ethyl methyl carbonate, EMC), 감마 부티로락톤(γ-butyrolactone)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유기 용매에 용해, 해리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최외각에 사용되는 세라믹계 분리막은 Pb(Zr,Ti)O3 (PZT), Pb1-xLax Zr1-yTiyO3 (PLZT, x 및 y는 각각 0~1), PB(Mg3Nb2/3)O 3-PbTiO3 (PMN-PT), BaTiO3, HfO2 (하프니아), SrTiO3, TiO2 (타이타니아), SiO2 (실리카), Al2 O3 (알루미나), ZrO2 (지르코니아), SnO2, CeO2, MgO, CaO, Y2O3 및 이들의 혼합체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세라믹계 분리막에도 바인더 및 지지층으로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될 수 있는 고분자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풀루오로프로필렌(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eth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acetat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alate), 폴리술폰(polysulfon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carboxyl methyl cellulose), 시아노에틸풀루란(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cyanoethyl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cyanoethylsucrose) , 풀루란(pullulan) 및 이들의 혼합체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리튬이온 폴리머 이차전지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없고 박형, 대형 등의 여러가지 크기로 할 수 있으며 복수의 셀이 중첩된 형태 및 이차전지가 팩 케이스 내에 수납된 형태(hard pack) 및 전지가 노출된 형태(soft pack)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전기화학소자를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팩을 제공하며, 이때 상기 전기화학소자가 병렬 또는 직렬 연결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이들만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비교예 1>
사용셀로는 LG사의 리튬이온 폴리머 이차전지(상품명: ICP323456, 560mAh)를 사용하였다. 도 1의 도면부호 4에 해당하는 세라믹계 분리막을 도면부호 3에 해당하는 고분자계 분리막과 동일하게 폴리에틸렌계 분리막을 사용하였고, 최외각 유니트는 활물질이 코팅된 양극 및 음극으로 구성하였다. 이때 사용된 폴리에틸렌계 분리막으로는 셀가드 사의 2320(PP/PE/PP 3층분리막)이 사용되었으며 사용된 양극 활물질은 LiCoO2, 음극활물질은 인조 흑연이 사용되었다.
<비교예 2>
최외각의 유니트로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호일 형태의 양극 및 음극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사용된 양극 호일은 15마이크로의 두께를 가지는 삼아 알루미늄의 알루미늄 호일을 사용하였고, 음극 호일로는 15마이크로의 일본제박사의 구리 호일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사용셀로는 비교예의 1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LG사의 리튬이온 폴리머 이차전지(상품명: ICP323456, 560mAh)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의 경우는 최외각의 분리막 4를 Al2O3와 SiO2가 주재료로 사용된 세라믹 분리막(데구사 제공)을 사용하여 셀을 제조하였다. 최외각 유니트의 경우 활물질을 코팅하지 않은 호일 상태의 것을 양극과 음극에 모두 사용하였다. 사용한 호일은 비교예 2와 동일하다.
<비교예 3>
최외각 유니트를 내부와 동일한 활물질이 양극 및 음극 호일에 코팅된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리튬이온 폴리머 이차전지를 과충전(4.25V)시킨 후 압괴실험을 실시하였다. 압괴실험은 지름 1cm, 높이 0.5cm의 디스크 형태의 자석을 전지 위에 올려놓고 부분적인 압괴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때 온도와 전압의 변화를 각각 도 2a(비교예 1), 도 2b(실시예 1), 도 2c(비교예 3) 및 도 2d(비교예 2)에 나타내었다. 도 2a 및 2d에서 나타나듯이 기존의 폴리에틸렌계 분리막을 사용한 경우 모두 발화하였고, 도 2b처럼 셀의 최외각을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전극으로 사용하고 부서지기 쉬운 특성을 지닌 세라믹 분리막으로 대치한 경우에는 발화 및 폭발이 없었으며 도 2c처럼 활물질이 코팅된 경우는 발화하였다. 도 2a, 도 2c 및 도 2d의 온도는 모두 발화되어 150℃ 이상으로 올라갔으나 2b의 경우는 60℃ 미만을 나타내었다(셀의 표면 온도 기준).
이상의 압괴 실험에서 나타나듯이 최외각을 활물질로 코팅하지 않은 전극(dummy 전극)으로 구성하고 양 전극 사이에 부서지기 쉬운 특성을 지닌 세라믹 분리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안전성에서 현격한 차이를 가져오며 이는 우선적으로 단락이 일어나는 부위를 최외각으로 유도하여 열발산을 원활하게 한 것에 기인한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리튬이온 폴리머 이차전지를 과충전(4.25V)시킨 후 못관통 실험을 실시하였다. 못관통 실험은 지름 2.5mm의 못을 분당 1000mm의 속도로 전지의 중앙부위를 관통시키며 진행하였다. 이때 온도와 전압의 변화를 각각 도 3a(비교예 1), 도 3b(실시예 1)에 나타내었다. 도 3a에서 나타나듯이 기존의 폴리에틸렌계 분리막을 사용한 경우 모두 발화하였고, 도 3b처럼 셀의 최외각을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전극으로 사용하고 부서지기 쉬운 특성을 지닌 세라믹 분리막으로 대치한 경우에는 발화 및 폭발이 없었다. 도 3a의 온도는 발화되어 200℃ 이상으로 올라갔으나 도 3b의 경우는 90℃ 미만을 나타내었다(셀의 표면 온도 기준).
또한, 실험결과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기본적인 성능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최외각 전극층의 삽입이 셀 성능과는 무관함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분리막의 기본물성이 상이한 2종의 다른 분리막을 사용하여 전지를 구성하여 외부충격에 부서지기 쉬운 구조를 가진 세라믹계 분리막을 포함하는 최외각 전극층에서 외부충격에 미리 단락을 일으켜 전지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전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2종 분리막을 사용하여 구성된 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부분 압괴 실험시 전지의 온도 및 전압 변화를 각각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못관통 실험시 전지의 온도 및 전압 변화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양극 2: 음극
3: 고분자계 분리막 4: 세라믹계 분리막

Claims (7)

  1.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배치되는 고분자계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에 있어서,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양극,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배치되는 세라믹계 분리막으로 구성된 최외각 전극층을 상기 전극조립체의 최외각 상단과 최외각 하단에 각각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계 분리막이 미세 다공 구조를 가지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이들의 조합,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polyacrylonitrile) 또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olyvinylidene fluoride hexafluoropropylene) 공중합체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계 분리막이 세라믹만으로 구성된 형태. 세라믹에 일부의 고분자가 첨가된 형태 또는 고분자층 위에 세라믹층이 코팅된 형태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이 Pb(Zr,Ti)O3, Pb1-xLaxZr1-y TiyO3(x 및 y는 각각 0~1), PB(Mg3Nb2/3)O3-PbTiO3, BaTiO3, HfO 2, SrTiO3, TiO2, SiO2, Al2O3, ZrO 2, SnO2, CeO2, MgO, CaO, Y2O3 및 이들의 혼합체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풀루오로프로필렌(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eth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acetat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alate), 폴리술폰(polysulfon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carboxyl methyl cellulose), 시아노에틸풀루란(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cyanoethyl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cyanoethylsucrose), 풀루란(pullulan) 및 이들의 혼합체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
  6. 제 1 항의 전기화학소자를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팩.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화학소자가 병렬 또는 직렬 연결의 조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 팩.
KR1020040021176A 2004-03-29 2004-03-29 2종 분리막을 사용한 전기화학소자 KR100735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176A KR100735486B1 (ko) 2004-03-29 2004-03-29 2종 분리막을 사용한 전기화학소자
US11/091,145 US7604895B2 (en) 2004-03-29 2005-03-28 Electrochemical cell with two types of separators
AT05789651T ATE557434T1 (de) 2004-03-29 2005-03-29 Elektrochemische zelle mit zwei arten von separatoren
CA2561749A CA2561749C (en) 2004-03-29 2005-03-29 Electrochemical cell with two types of separators
CNB2005800101073A CN100468832C (zh) 2004-03-29 2005-03-29 具有两种隔膜的电化学电池
TW094109893A TWI279938B (en) 2004-03-29 2005-03-29 Electrochemical cell with two types of separators
EP11179861.7A EP2393143B1 (en) 2004-03-29 2005-03-29 Electrochemical cell with two types of separators
EP05789651A EP1730799B1 (en) 2004-03-29 2005-03-29 Electrochemical cell with two types of separators
BRPI0508249-8A BRPI0508249B1 (pt) 2004-03-29 2005-03-29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cathode, an anode and a separator disposed between the cathode and the anode e Set of electrochemical devices
PCT/KR2005/000911 WO2006004280A1 (en) 2004-03-29 2005-03-29 Electrochemical cell with two types of separators
JP2007506079A JP4554676B2 (ja) 2004-03-29 2005-03-29 2種類のセパレータを有する電気化学的電池
RU2006134501/09A RU2321922C1 (ru) 2004-03-29 2005-03-29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ий элемент с двумя типами сепараторов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176A KR100735486B1 (ko) 2004-03-29 2004-03-29 2종 분리막을 사용한 전기화학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956A true KR20050095956A (ko) 2005-10-05
KR100735486B1 KR100735486B1 (ko) 2007-07-04

Family

ID=37276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176A KR100735486B1 (ko) 2004-03-29 2004-03-29 2종 분리막을 사용한 전기화학소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35486B1 (ko)
CN (1) CN100468832C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551B1 (ko) * 2008-02-19 2011-0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KR101048617B1 (ko) * 2006-07-13 2011-07-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명 특성이 개선된 리튬 이차 전지
KR101155920B1 (ko) * 2010-07-16 2012-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WO2014077469A1 (ko) * 2012-11-13 2014-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면 음극을 포함하는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WO2015105369A1 (ko) * 2014-01-10 2015-07-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 분리막을 가진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50083530A (ko) * 2014-01-10 2015-07-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 분리막을 가진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50083499A (ko) * 2014-01-10 2015-07-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 분리막을 가진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50083518A (ko) * 2014-01-10 2015-07-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 분리막을 가진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US9466828B2 (en) 2013-07-15 2016-10-11 Posco Chemtech Co., Ltd. Method for preparing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US9620821B2 (en) 2013-08-26 2017-04-11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13862B (zh) * 2010-07-27 2012-07-25 大连海事大学 一种锂离子电池用复合隔膜及应用该隔膜的锂离子电池
CN103259051B (zh) * 2013-05-07 2015-12-23 杭州金色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卷绕式锂电池及其电芯
KR101676406B1 (ko) * 2013-10-31 2016-1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
CN107353000B (zh) * 2017-08-14 2020-10-02 湖南嘉业达电子有限公司 一种锆钛酸铅压电陶瓷烧结用隔离粉及其制备方法
CN112864474B (zh) * 2021-01-05 2022-10-11 国联汽车动力电池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高安全电池结构及电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059Y1 (ko) * 1999-12-09 2000-05-15 노대구 발가락 속 양말
KR200182058Y1 (ko) * 1999-12-09 2000-05-15 강윤모 음료수 용기의 밀봉용 마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617B1 (ko) * 2006-07-13 2011-07-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명 특성이 개선된 리튬 이차 전지
KR101009551B1 (ko) * 2008-02-19 2011-0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KR101155920B1 (ko) * 2010-07-16 2012-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US8974944B2 (en) 2010-07-16 2015-03-10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same
WO2014077469A1 (ko) * 2012-11-13 2014-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면 음극을 포함하는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US9466828B2 (en) 2013-07-15 2016-10-11 Posco Chemtech Co., Ltd. Method for preparing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US9620821B2 (en) 2013-08-26 2017-04-11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WO2015105369A1 (ko) * 2014-01-10 2015-07-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 분리막을 가진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50083530A (ko) * 2014-01-10 2015-07-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 분리막을 가진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50083499A (ko) * 2014-01-10 2015-07-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 분리막을 가진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50083518A (ko) * 2014-01-10 2015-07-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 분리막을 가진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US9548482B2 (en) 2014-01-10 2017-01-17 Lg Chem, Ltd. Electrode assembly having safety separator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68832C (zh) 2009-03-11
CN1938881A (zh) 2007-03-28
KR100735486B1 (ko)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21922C1 (ru)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ий элемент с двумя типами сепараторов
KR100727248B1 (ko) 다공성 활성층이 코팅된 유기/무기 복합 분리막 및 이를구비한 전기화학소자
KR101040482B1 (ko) 다공성 코팅층이 코팅된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US7682740B2 (en) Organic/inorganic composite porous layer-coated electrode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1312431B1 (ko)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KR101378074B1 (ko) 전기화학소자용 전극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KR101465173B1 (ko) 다공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0735486B1 (ko) 2종 분리막을 사용한 전기화학소자
KR101048617B1 (ko) 수명 특성이 개선된 리튬 이차 전지
KR20130127201A (ko) 다공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1288650B1 (ko) 이차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한 리튬 이차전지
KR20100108997A (ko) 다공성 코팅층이 형성된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KR101642334B1 (ko)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
KR101841306B1 (ko) 안전성 향상을 위한 테이핑부를 포함하는 이종 분리막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1507499B1 (ko)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KR100679662B1 (ko) 2종 분리막 시스템을 사용한 전기화학소자
KR20190011621A (ko) 불산을 저감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전지 분리막
KR101883535B1 (ko) 안전성이 강화된 이차 전지용 분리막
KR20160043353A (ko)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20130133446A (ko) 다공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20180127759A (ko) 리튬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JP2009277367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