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5656A - 다수의 수신기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유닛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의 수신기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유닛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656A
KR20050095656A KR1020057016267A KR20057016267A KR20050095656A KR 20050095656 A KR20050095656 A KR 20050095656A KR 1020057016267 A KR1020057016267 A KR 1020057016267A KR 20057016267 A KR20057016267 A KR 20057016267A KR 20050095656 A KR20050095656 A KR 20050095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received signal
receiver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6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오니드 카자케비치
페이쓰 오즈루투르크
알파스란 데미르
Original Assignee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95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65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7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different reception schemes, at least one of them being a diversity reception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무선 송수신 유닛(WTRU)은 수신 신호를 결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다수의 수신기를 가짐으로써, 향상된 수신을 제공한다. 제어 유닛이 선택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전력 소모를 제한하기 위하여 수신기의 전력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Description

다수의 수신기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유닛 및 그 방법{WIRELESS TRANSMIT/RECEIVE UNITS HAVING MULTIPLE RECEIVERS AND METHODS}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수신기를 사용함으로써 무선 통신 신호를 다이버시티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 기술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시스템은 서로간에 무선 통신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통신 스테이션 또는 통신 유닛을 포함한다. 모바일 셀룰러 시스템과 같은 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 일반적으로 두가지 유형의 통신 스테이션이 있는데, 바로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기지국(base station)과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기지국이란 용어는 기지국, 노드-B, 사이트 제어기,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이 관련된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액세스를 WTRU에게 제공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다른 인터페이싱 장치를 포함하는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여기서 사용되는 무선 송수신 유닛이란 용어는 사용자 장치, 모바일 스테이션, 고정되어 있거나 이동가능한 가입자 유닛, 페이저, 또는 무선 환경에서 동작 가능한 임의의 다른 유형의 장치를 포함하는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무선 송수신 유닛은 전화, 비디오 폰 및 네트워크 접속을 가진 인터넷이 가능한 전화와 같이 개인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 송수신 유닛은 PDA, 유사한 네트워크 기능을 가진 무선 모뎀을 구비한 노트북 컴퓨터와 같이 휴대가능한 개인용 컴퓨팅 장치를 포함한다. 휴대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 유닛 또는 장소를 변경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 유닛을 모바일 유닛이라 부른다.
일반적으로 기지국들의 네트워크가 제공되는데, 여기서는 각 기지국이 적합한 구성을 가진 무선 송수신 유닛들과 무선 통신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일부 무선 송수신 유닛들은 서로 직접 즉, 기지국을 경유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릴레이됨이 없이 무선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흔히 피어투피어(peer-to-peer) 무선 통신이라 부른다. 무선 송수신 유닛은 네트워크 및 피어투피어 통신 기능을 모두 가진 다중 네트워크에서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시스템을 위한 글로벌 연결을 제공하기 위하여 표준이 개발되었고 현재 실행되고 있다.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현재의 한가지 표준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s)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소위 2세대 모바일 무선 시스템 표준(2G)으로서 간주되며 이후에 그 개정(2.5G)이 나왔다. GPRS와 EDGE는 (2G) GSM 네트워크에 더하여 상대적으로 고속인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2.5G 기술의 예이다. 이러한 표준들의 각각은 부가적인 특징들 및 향상된 내용으로 이전의 표준을 개선하려고 하였다. 1998년 1월에 ETSI SMG(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 Institute-Special Mobile Group)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라고 불리는 3세대 무선 시스템에 대한 무선 액세스 안에 동의했다. UMTS 표준을 한층 더 실행하기 위하여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가 1998년 12월에 결성되었다. 3GPP는 계속해서 공통 3세대 모바일 무선 표준을 연구하고 있다.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이라고 불리는 한가지 유형의 무선 시스템이 무선 송수신 유닛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 무선 송수신 유닛은 유사한 장치를 가진 무선 송수신 유닛과의 피어투피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WLAN 모뎀을 구비하고 있다. IEEE 802.11b 표준에 따라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즉 기지국과의 대중적인 무선 랜 환경이 구축되었다. 이러한 WLAN을 위한 무선 서비스 영역은 특정되고 잘 정의된 지리적 영역에 한정될 수 있는데, 이 영역은 "핫 스팟(hot spot)"으로 알려져있다. 유리하게도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공항, 커피숍, 호텔과 같은 지역에 설치된다. 이러한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는 대개 사용자 인증 과정을 요구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위한 프로토콜은 WLAN 기술 분야에서 아직 완전히 표준화되지는 않았는데, 그 이유는 IEEE 802 표준 계열이 계속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동성(mobility)을 제공하기 위하여 밧데리로 작동되는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모바일 유닛이 상이한 무선 서비스 영역을 통과하여 이동하거나 이들이 직접 접속할 수 있는 다른 무선 송수신 유닛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대적 거리, 장애물, 다른 무선 송수신 유닛과 다른 소스로부터의 간섭과 같은 다양한 이유로 무선 신호 강도 및 품질이 변할 것이다. 또한, 네트워크 설정에 있어서 기지국은 특정한 영역 내의 무선 트래픽의 증가를 가능하게 하는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이동하지 않는 무선 송수신 유닛에게는 신호의 강도를 감소시키려고 할 수 있다.
통신 스테이션에 하나 이상의 수신기를 제공하고 다수의 수신기에 의해 처리되는 수신 신호를 결합함으로써, 무선 신호의 수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두 개의 수신기를 가진 통신 스테이션은 일반적으로 동등한 단일 수신기 스테이션에 비하여, 결합된 신호에 있어 증가된 신호 이득을 실현한다. 하나의 수신기 대신에 두 개의 수신기를 사용하는 경우, 통상 4-7 db의 차수로 이득이 증가될 수 있고, 두 개보다 많은 수신기를 사용하는 경우 훨씬 더 높은 이득의 증가를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다수의 수신기를 사용하는 것은 통신 스테이션의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고, 또한 밧데리로 동작하는 모바일 유닛에서 다수의 수신기를 사용하는 것은 덜 매력적이다.
발명자들은 비정상적인 전력 소모의 증가 없이도 향상된 수신 기능을 가진 모바일 무선 송수신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전력을 보존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다수의 수신기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유닛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성에 있어서 무선 송수신 유닛은 다수의 수신기를 구비하는데, 다수의 수신기는 무선 송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되도록 의도된 무선 통신의 각 버전을 생성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 신호를 처리한다. 인터페이스가 수신기에 연결되어, 무선 통신의 각 버전을 결합하고 무선 통신의 결합된 버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어가능한 전원 유닛이 각 수신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 유닛은 수신기, 인터페이스, 전원 유닛에 연결된다. 제어 유닛은 소정의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소정의 임계값에 기초하여 수신기들의 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에너지 소모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 선택된 수신기의 전원을 소정의 조건하에 차단하는 식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인터페이스는 수신된 신호의 전력 표시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수신 신호 전력 모니터링 회로를 포함한다. 이 때 제어 유닛은 수신기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한가지 임계값으로서 소정의 수신 신호 전력 레벨을 이용함으로써, 인터페이스에 의해 출력된 수신 신호 전력 표시가 수신 신호 전력 레벨 임계값을 초과할 때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의 전력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 대신 또는 이러한 구성과 함께, 인터페이스는 수신 신호 QoS(Quality of Service) 표시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수신 신호 QoS 모니터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 유닛은 수신기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의 임계값으로서, 소정의 수신 신호 QoS 레벨을 이용함으로써, 인터페이스에 의해 출력되는 QoS 표시가 수신 신호 QoS 레벨 임계값을 초과할 때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의 전력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력과 QoS 둘다 모니터링될 때, 제어 유닛은 수신기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의 임계값으로서 수신 신호 전력 레벨과 수신 신호 QoS 레벨의 소정의 조합을 이용함으로써, 인터페이스에 의해 출력된 수신 신호 전력과 QoS 표시의 조합이 수신 신호 조합 임계값을 초과할 때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의 전력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전원 유닛은 하나 이상의 밧데리에 적합하게 구성되고, 밧데리 충전 표시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밧데리 충전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어 유닛은 수신기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의 임계값으로서 소정의 충전 레벨을 이용함으로써, 전원 유닛에 의해 출력된 충전 표시가 충전 레벨 임계값 밑으로 떨어질 때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송수신 유닛을 사용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전원 유닛이 충전된 밧데리를 포함한다. 또한, 전원 유닛은 라인-인 전력 입력을 포함할 수 있고, 전력이 라인-인 입력을 통하여 공급될 때 오버라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어 유닛은 전원 유닛으로부터 오버라이드 신호를 수신하는데 응답하여 모든 수신기에 대한 전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무선 송수신 유닛은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 방식으로 전력이 공급되는 1차 수신기와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방식으로 전력이 공급되는 2차 수신기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한 경우 무선 송수신 유닛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모바일 유닛으로서 구성된다. 또한, 무선 송수신 유닛의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을 유지하고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어 유닛과 인터페이스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수신기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유닛을 위한 전력 유지 방법이 제공된다. 무선 송수신 유닛이, 수신기들에 연결되어 무선 통신의 각 버전을 결합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 및 각 수신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유닛를 가지고 있는 경우, 인터페이스와 전원 유닛은 소정의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하는데 이용된다. 에너지 소모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 선택된 수신기의 전력을 소정의 조건 하에 차단하도록, 소정의 임계값에 기초하여 수신기에 대한 전원 공급이 선택적으로 제어된다.
본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수신 신호 전력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수신기들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의 임계값으로서 소정의 수신 신호 전력 레벨을 이용함으로써, 모니터링되는 수신 신호 전력이 수신 신호 전력 레벨 임계값을 초과할 때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의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 대신 또는 이러한 구성과 함께, 본 방법은 수신 신호 QoS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수신기들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의 임계값으로서 소정의 수신 신호 QoS 레벨을 이용함으로써, 모니터링되는 QoS가 수신 신호 QoS 레벨 임계값을 초과할 때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수신 신호 전력과 수신 신호 QoS가 둘다 모니터링되는 경우, 본 방법은 수신기들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의 임계값으로서 수신 신호 전력 레벨과 수신 신호 QoS 레벨의 소정의 조합을 이용함으로써, 모니터링되는 수신 신호 전력 및 QoS의 조합이 상기 수신 신호 조합 임계값을 초과할 때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유닛이 하나 이상의 밧데리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는 경우, 본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밧데리 충전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수신기들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위한 하나의 임계값으로서 소정의 충전 레벨을 이용함으로써, 모니터링되는 밧데리 충전이 충전 레벨 임계값 아래로 떨어질 때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원 유닛이 라인 인 전력 입력을 포함하는 경우에 본 방법은 전력이 상기 라인 인 입력을 통하여 공급될 때 오버라이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오버라이드 신호의 생성에 응답하여 모든 수신기에 대한 전력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기지국, 무선 송수신 유닛, 모바일 유닛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기지국이라는 용어는 기지국, 노드-B, 사이트 제어기,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이 관련된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액세스를 WTRU에게 제공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다른 인터페이싱 장치를 포함하는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무선 송수신 유닛이라는 용어는 사용자 장치, 모바일 스테이션, 고정되어 있거나 이동가능한 가입자 유닛, 페이저, 또는 무선 환경에서 동작 가능한 임의의 다른 유형의 장치를 포함하는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무선 송수신 유닛은 전화, 비디오 폰 및 네트워크 접속을 가진 인터넷이 가능한 전화와 같이 개인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 송수신 유닛은 PDA, 유사한 네트워크 기능을 가진 무선 모뎀을 구비한 노트북 컴퓨터와 같이 휴대가능한 개인용 컴퓨팅 장치를 포함한다. 휴대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 유닛 또는 장소를 변경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 유닛을 모바일 유닛이라 부른다.
본 발명은 전력 소모를 제한하는 관련된 전력 제어를 가진 다수의 수신기 부품을 무선 송수신 유닛에 포함시킴으로써, 향상된 수신 기능을 가진 무선 송수신 유닛을 제공한다. 무선 송수신 유닛에서 두 개 이상의 수신기를 사용하는 것은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고, 감소된 전력으로 전송하는 것을 수신할 수 있게 하며, 대역폭당 더 높은 데이터를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모바일 유닛, 즉, 밧데리 전력으로 동작하는 모바일 무선 송수신 유닛과 함께 사용될 때 특히 유용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두 개의 수신기 부품(12a, 12b)을 구비하는 전형적인 무선 송수신 유닛(10)이 도시되어 있다. 수신기는 원하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무선 통신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의 예는 CDMA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12a, 12b)를 도시한다. 수신기(12a, 12b)는 수신 안테나 시스템에 연결된 입력(13)을 가진다. 각 수신기는 상이한 안테나 시스템에 연결되어 공간 다양성(a degree of spatial diversity)을 제공하거나, 모든 무선 송수신 유닛의 수신기들을 위하여 공통 안테나 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안테나 시스템은 지향성 수신 빔이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수신을 향상시키고 다른 무선 송수신 유닛들 및 기지국들에 대한 간섭을 제한하는 "스마트(smart)" 또는 위상 어레이(phased-array) 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한다.
전형적인 CDMA 수신기(12a, 12b)에 있어서 입력된 수신 신호는 증폭기(14)와 같은 종래의 부품으로 넘겨지는데, 증폭기(14)는 수신된 통신 신호의 동상 버전 및 직교 버전(I 및 Q)를 생성하는 동상 및 직교 혼합 부품(15)에 입력을 제공한다. I 성분 신호와 Q 성분 신호는 각각 필터 부품(16), 기저 대역 증폭기(17),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8)를 통하여 종래의 방식으로 처리된다.
처리된 신호 인터페이스(20)가 제공되는데, 여기서는 처리된 I 신호 성분과 Q 신호 성분을 종래의 방식으로 결합하여 각 수신기를 위한 수신 사용자 데이터 신호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두 수신기로부터 상기 처리된 신호를 집합적으로 결합하여 두 수신기가 작동될 때 증가된 이득 신호를 제공한다. CDMA 유형의 수신기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인터페이스(20)가, I 성분 및 Q 성분으로 형성될 때 신호의 위상을 적당하게 조절하는 종래의 위상 동기 루프 제어(10)를 위하여 데이터를 제공한다. 사용되는 수신기의 특정한 유형에 상관없이, 인터페이스(20)는 무선 송수신 유닛에 포함된 모든 동작중인 수신기로부터 처리된 신호를 집합적으로 결합하여, 적어도 두 개의 수신기가 작동될 때 증가된 이득 신호를 제공한다.
무선 송수신 유닛은 전원 유닛(25)과 제어 부품(30)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전원은 밧데리 팩 또는 비슷한 장치를 포함할 것이지만, 태양 전지 또는 모바일 무선 송수신 유닛에 적합한 다른 에너지 공급원과 같이 다른 유형의 에너지원이 될 수도 있다. 에너지원의 결합 또는 대체 에너지원 선택이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유닛(25)은 밧데리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태양 전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그 구성은 전형적인 A/C 어댑터와 같은 라인 인 전원이 연결될 때, 밧데리와 태양 전력 모두의 오버라이드를 포함한다.
제어 부품(30)은 수신기(12a, 12b)와 전원 유닛(25)과 동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제어 부품(30)은 수신 신호의 품질 및 전원과 같은 파라미터 및/또는 상태를 평가하고, 이에 기초하여 수신기들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제어 부품(30)은 수신된 통신 신호의 신호 품질을 모니터링한다. 2차 수신기가 활성화된 경우, 만일 모니터링되는 신호 전력이 높다면, 신호의 품질이 좋으므로, 2차 수신기 모두 또는 일부가 전력을 절약하기 위하여 전원이 꺼진다. 그러나, 모니터링되는 신호의 품질이 형편없고 전력이 낮다면, 제2 수신기에 전력을 공급하고 낮은 품질의 수신 신호를 다중으로 수신한 것을 결합함으로써, 신호 품질을 증가시키기 위한 단계를 밟는다.
무선 송수신 유닛이 온일 때 항상 온 상태인 1차 수신기로서, 하나의 수신기가 지정되고, 제어 부품(30)이 무선 송수신 유닛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수신기의 전력 공급만을 제어하도록, 무선 송수신 유닛이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어 부품은 모든 수신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고, 수신되는 신호의 유형에 기초하여 어느 수신기에 전력을 공급할 것인지 또는 가능성 있는 수신을 위해 무선 송수신 유닛이 무엇에 대하여 모니터할 것인지 계층적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송수신 유닛이 다수의 유형의 네트워크에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어느 유형의 네트워크에서 무선 송수신 유닛이 통신하고 있는지에 기초하여, 전력이 공급될 수신기들의 상이한 계층이 선택될 수 있다.
제어 부품(30)은 모뎀, 및 전력을 측정하고 채널 품질을 추정하며 전력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결정 블록에 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다른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부품은 바람직하게 무선 송수신 유닛이 밧데리 전력으로 동작할 때 수신기에 선택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무선 송수신 유닛이 A/C 어댑터 등을 통하여 외부 전원에 접속될 때 모든 수신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송수신 유닛이 활성화될 때 적어도 처음에 온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디폴트 수신기로서, 하나의 수신기가 설정된다. 그 후에 제어 부품(30)은 전력 소모를 보존하기 위하여 어느 수신기에 전력을 공급할 것인지 결정하도록 동작한다. 제어 부품은 다양한 수동 및/또는 자동 설정을 가지고 있다. 하나의 설정의 경우 무선 송수신 유닛이 자신으로 향하는 임의의 통신에 응답하도록 준비하기 위하여 포착(acquition) 모드에서 모든 수신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의 포착(acquisition) 이후에, 적어도 소정의 최소한의 서비스 품질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수신 신호의 품질 및 전력에 기초하여 전력을 유지하도록 제2 수신기 모두 또는 일부가 비활성화된다. 통신의 품질이 소정의 임계값 아래로 저하될 때 통신 중에 하나 이상의 수신기가 재활성화되도록 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이 계속 행해지면서 서비스 품질이 모니터링된다.
수신기의 전력 공급을 디폴트 수신기의 전력 공급으로만 제한하도록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전력 보존 설정이 제공되고, 이에 따라 추가적인 수신기가 전력을 소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부품(30)은 밧데리 전력을 모니터링하고, 밧데리의 충전 상태가 소정의 레벨 밑으로 저하될 때, 활성화될 수 있는 수신기의 수를 자동적으로 제한한다. 이러한 유형의 자동 설정을 수동으로 오버라이드하는 것이 제공되어, 무선 송수신 유닛의 사용자가 더 빠른 밧데리 전력 소모를 감수하면서 최적의 수신 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되는 무선 송수신 유닛의 경우, 제어 부품(30)은 수신 통신 신호의 신호 품질 및 역(reverse) 전력 제어 상태를 모두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역 전력 제어는, QoS를 유지하기 위하여 기지국에서 측정된 신호의 강도에 기초하여 무선 송수신 유닛의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업링크 전력 제어라고도 불린다. 기지국에서의 수신 신호 전력은 개방 또는 폐쇄 루프 전력 제어를 통하여 일정하게 될 수 있다. 무선 송수신 유닛이 기지국에 매우 가까울 때, 일정한 QoS를 얻기 위하여 무선 송수신 유닛은 통상적으로 매우 낮은 전력 레벨에서 전송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무선 송수신 유닛이 기지국과 멀리 떨어져 있을 때, 무선 송수신 유닛은 일정한 QoS를 얻기 위하여 상당히 더 높은 레벨로 전송하도록 요구될 것이다.
제어 부품(30)이 수신 통신 신호의 신호 품질과 역 전력 제어 상태를 모두 모니터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신호 품질 및 역 전력 제어 상태에 기초하여 2차 수신기의 전력을 공급하는 설정이 제공된다. 수신 신호가 너무 높을 때, 그리고/또는 역 전력 제어가 더 낮은 한계에 도달할 때, 제2 수신기의 전부 또는 일부가 비활성화된다.
바람직한 구성에 있어서, 부품들이 다수의 분리된 집적 회로에 위치할지라도, 도 1의 제어 유닛(30)과 인터페이스(20)는 ASIC과 같은 단일 집적 회로 상에 구현된다. 또한, 다수의 집적 회로가 사용될 수 있는 경우에도, 수신기 부품들은 이러한 단일 집적 회로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임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 예를 들어 무선 송수신 유닛이 네트워크 기지국과 통신하는 TDD 또는 FDD 무선 전화 시스템의 경우, 무선 송수신 유닛에서 사용될 수 있다.
무선 송수신 유닛은 피어투피어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본 발명은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 또는 피어투피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에서, 예를 들어 피어투피어 통신의 경우 801.11 기술을 이용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을 구비한 WLAN 모뎀의 형태로 된 무선 송수신 유닛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는 다른 변화 및 변경을 당업자들은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무선 송수신 유닛(WTRU)은 수신 신호를 결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다수의 수신기를 가짐으로써, 향상된 수신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신호 모니터링에 응답하여 전력 제어와 인터페이스하는 다수의 수신기 부품을 구비한 무선 송수신 유닛을 도시하는 도면.

Claims (20)

  1. 무선 송수신 유닛에 있어서,
    무선 송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되도록 의도된 무선 통신의 각 버전을 생성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 신호들을 처리하는 다수의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들에 연결되며, 상기 무선 통신의 각 버전을 결합하여 무선 통신의 결합된 버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와,
    상기 수신기들 각각에 전력을 공급하는, 선택적으로 제어가능한 전원 유닛과,
    상기 수신기들, 상기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전원 유닛에 연결되며, 에너지 소모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 선택된 수신기의 전력 공급을 소정의 조건하에 차단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소정의 임계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기들의 전력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수신 신호 전력 표시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수신 신호 전력 모니터링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수신기들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의 임계값으로서 소정의 수신 신호 전력 레벨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출력된 수신 신호 전력 표시가 수신 신호 전력 레벨 임계값을 초과할 때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수신 신호 QoS(Quality of Service) 표시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수신 신호 QoS 모니터링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수신기들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의 임계값으로서 소정의 수신 신호 QoS 레벨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출력된 상기 QoS 표시가 수신 신호 QoS 레벨 임계값을 초과할 때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수신 신호 전력 레벨과 수신 신호 QoS 레벨의 소정의 조합을 상기 수신기들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의 임계값으로서 이용함으로써,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출력된 수신 신호 전력 표시 및 QoS 표시의 조합이 상기 수신 신호 조합 임계값을 초과할 때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수신 신호 QoS 표시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수신 신호 QoS 모니터링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수신기들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의 임계값으로서 소정의 수신 신호 QoS 레벨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출력된 QoS 표시가 수신 신호 QoS 레벨 임계값을 초과할 때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유닛은 하나 이상의 밧데리에 적합하게 구성되고, 밧데리 충전 표시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밧데리 충전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수신기들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의 임계값으로서 소정의 충전 레벨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전원 유닛에 의해 출력된 상기 충전 표시가 충전 레벨 임계값 아래로 떨어질 때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유닛은 밧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유닛은 라인 인 전력 입력을 포함하고, 전력이 상기 라인 인 입력을 통하여 공급될 때 오버라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원 유닛으로부터 상기 오버라이드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모든 수신기에 대한 전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 식으로 전력이 공급되는 제1 수신기, 및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식으로 전력이 공급되는 제2 수신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 유닛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모바일 유닛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과 상기 인터페이스는 ASIC 상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
  12. 무선 송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되도록 의도된 무선 통신의 각 버전을 생성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 신호들을 처리하는 다수의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들에 연결되며, 무선 통신의 각 버전을 결합하여 무선 통신의 결합된 버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와,
    상기 수신기들 각각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을 구비한 무선 송수신 유닛에 있어서, 전력을 보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상기 인터페이스와 상기 전원 유닛을 사용하는 단계와,
    에너지 소모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 선택된 수신기들의 전력을 소정의 조건 하에 차단하도록, 소정의 임계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기들의 전력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보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수신 신호 전력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기들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의 임계값으로서 소정의 수신 신호 전력 레벨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모니터링되는 수신 신호 전력이 수신 신호 전력 레벨 임계값을 초과할 때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보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수신 신호 QoS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기들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의 임계값으로서 소정의 수신 신호 QoS 레벨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모니터링되는 QoS가 수신 신호 QoS 레벨 임계값을 초과할 때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보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들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의 임계값으로서 수신 신호 전력 레벨과 수신 신호 QoS 레벨의 소정의 조합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모니터링되는 수신 신호 전력 및 QoS의 조합이 상기 수신 신호 조합 임계값을 초과할 때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보존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수신 신호 QoS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기들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의 임계값으로서 소정의 수신 신호 QoS 레벨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모니터링되는 QoS가 수신 신호 QoS 레벨 임계값을 초과할 때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보존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유닛은 하나 이상의 밧데리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고,
    밧데리 충전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기들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의 임계값으로서 소정의 충전 레벨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모니터링되는 밧데리 충전이 충전 레벨 임계값 아래로 떨어질 때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보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유닛은 라인 인 전력 입력을 포함하고,
    전력이 상기 라인 인 입력을 통하여 공급될 때 오버라이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오버라이드 신호의 생성에 응답하여 모든 수신기에 대한 전력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보존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 유닛은 제1 수신기 및 제2 수신기를 구비하고,
    소정의 임계값들에 관계없이 상기 제1 수신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유지하는 단계와,
    에너지 소모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 상기 제2 수신기의 전력 공급을 소정의 조건 하에 차단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임계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수신기의 전력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보존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 유닛은 모바일 유닛이고,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하여 상기 무선 송수신 유닛을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보존 방법.
KR1020057016267A 2002-11-15 2003-11-14 다수의 수신기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유닛 및 그 방법 KR200500956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2712702P 2002-11-15 2002-11-15
US60/427,127 2002-11-1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7532A Division KR100805762B1 (ko) 2002-11-15 2003-11-14 다수의 수신기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유닛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656A true KR20050095656A (ko) 2005-09-29

Family

ID=323264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6267A KR20050095656A (ko) 2002-11-15 2003-11-14 다수의 수신기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유닛 및 그 방법
KR1020057007532A KR100805762B1 (ko) 2002-11-15 2003-11-14 다수의 수신기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유닛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7532A KR100805762B1 (ko) 2002-11-15 2003-11-14 다수의 수신기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유닛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343180B2 (ko)
EP (1) EP1561282A4 (ko)
JP (2) JP2006506901A (ko)
KR (2) KR20050095656A (ko)
CN (1) CN1711702B (ko)
AR (1) AR041971A1 (ko)
AU (1) AU2003290783B2 (ko)
CA (1) CA2503511A1 (ko)
MX (1) MXPA05004997A (ko)
MY (1) MY137877A (ko)
NO (1) NO20052886L (ko)
TW (3) TWI246260B (ko)
WO (1) WO200404730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0115A (ja) * 2002-11-28 2004-06-24 Nec Infrontia Corp 無線lanシステム
GB2397466B (en) * 2003-01-16 2006-08-09 Hewlett Packard Co Wireless LAN
US7526303B2 (en) * 2004-05-19 2009-04-28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manage power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768982B2 (en) * 2004-11-05 2010-08-03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Autonomous and heterogeneous network discovery and reuse
JP2007096762A (ja) * 2005-09-29 2007-04-12 Toshiba Corp 無線機
KR100728922B1 (ko) * 2005-11-02 2007-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n×n MIMO 송수신기
US7729327B2 (en) * 2005-12-15 2010-06-01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Dynamic use of multiple IP network interfaces in mobile devices for packet loss prevention and bandwidth enhancement
JP4684888B2 (ja) * 2005-12-28 2011-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電力制御方法
KR100803130B1 (ko) * 2006-03-07 2008-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탈 멀티 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GB2435985B (en) 2006-03-07 2008-04-02 Motorola Inc A terminal for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system including the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on of the terminal
US7672682B2 (en) * 2006-03-28 2010-03-02 Airvana, Inc. Managing page cycle periods of access terminals
US7801582B2 (en) * 2006-03-31 2010-09-21 Abbott Diabetes Care Inc. Analyte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therefor
JP5036212B2 (ja) * 2006-04-21 2012-09-2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送信電力制御方法
CN103825843B (zh) 2006-08-21 2018-01-09 交互数字技术公司 Lte中用于可变数据速率服务的动态资源分配、调度和信号发送
US7925230B2 (en) 2006-08-25 2011-04-12 Infineon Technologies Ag Diversity receiver with channel estimator
EP2064839A2 (en) 2006-08-29 2009-06-03 QUALCOMM Incorporated Concurrent operation in multiple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KR100793298B1 (ko) * 2006-10-16 2008-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수신기 기반의 휴대 단말을 위한 수신 모드 선택 방법
JP4854502B2 (ja) * 2006-12-26 2012-01-1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ヘモグロビン類の測定方法
US20080172454A1 (en) * 2007-01-12 2008-07-17 Pixads, Llc System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to Customers and Method Thereof
JP4752768B2 (ja) * 2007-01-15 2011-08-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受信装置と、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8205701A (ja) * 2007-02-19 2008-09-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受信制御方法
US20080225792A1 (en) * 2007-03-12 2008-09-18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of feedback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294231B2 (en) 2007-03-17 2016-03-22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ble acknowledgement process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I20075488A0 (fi) * 2007-06-26 2007-06-26 Nokia Siemens Networks Oy Yksityisen tukiaseman kuuluvuusalue
KR101429762B1 (ko) * 2007-07-04 2014-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방식 선택장치 및 방법
US8676149B2 (en) * 2007-10-18 2014-03-18 Freescale Semiconductor, Inc. Prolonging internal power supply life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9268386B2 (en) * 2009-01-09 2016-02-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service flow using available battery power
US20120108224A1 (en) * 2009-01-09 2012-05-03 Qualcomm Incorporated Using quality of service to control hardware for low battery scenarios
US9363005B2 (en) 2010-11-05 2016-06-07 Apple Inc. Adaptive antenna diversity system
US8538472B2 (en) * 2010-12-14 2013-09-17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performing downlink and/or uplink power control
US20120205004A1 (en) * 2011-02-14 2012-08-16 Ronlad Michael Webb Battery powered fuel station
US9048927B2 (en) * 2011-10-04 2015-06-02 Glynntech, Inc. Solar powered mobile phone
JP5957883B2 (ja) * 2011-12-28 2016-07-27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144020B2 (en) 2012-03-19 2015-09-22 Intel Deutschland Gmbh Dynamic RxDiv for idle mode in a user equipment
KR101925409B1 (ko) * 2012-11-22 2018-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수신단들을 포함하는 다중 경로 수신기의 전력 감소 방법 및 그 다중 경로 수신기
EP3033836B8 (en) 2013-08-16 2018-11-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receiver circuit,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daptation method
US8922590B1 (en) * 2013-10-01 2014-12-30 Myth Innovations, Inc. Augmented reality interface and method of use
US9337878B2 (en) 2013-12-16 2016-05-10 Motorola Solutions, Inc. Dual watch radio frequency receiver
KR20160042540A (ko) * 2014-10-10 2016-04-20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US10020862B2 (en) 2014-11-03 2018-07-10 Apple Inc. Wi-Fi adaptive receiver diversity
US9768825B2 (en) 2014-11-03 2017-09-19 Apple Inc. Wi-Fi adaptive transmit antenna selection
US9853681B2 (en) 2014-11-03 2017-12-26 Apple Inc. Arbitrator for multi-radio antenna switching
US10499334B2 (en) * 2017-12-22 2019-12-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ower efficient radio receiver control
TWI669879B (zh) * 2018-05-04 2019-08-21 興澄股份有限公司 Multi-receiver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3036A (ja) * 1991-12-02 1993-06-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電話装置
US5448773A (en) * 1992-02-05 1995-09-05 Trimble Navigation Limited Long life portable global position system receiver
US5566364A (en) * 1994-01-31 1996-10-15 Nec Corporation Power saving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with diversity reception
US6236674B1 (en) * 1996-02-23 2001-05-22 Teletransactions, Inc. Transceiver control with sleep mode operation
US5870685A (en) * 1996-09-04 1999-02-09 Ericsson Inc. Mobile station operations management based on battery capacity
JPH11150497A (ja) * 1997-11-17 1999-06-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ダイバーシティ受信機
US6314308B1 (en) * 1998-07-02 2001-11-06 Snaptrac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serve power in a cellular telephone
JP3199039B2 (ja) * 1998-11-02 2001-08-13 日本電気株式会社 消費電力低減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無線通信装置並びに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消費電力低減方法
JP3264259B2 (ja) * 1998-12-10 2002-03-11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受信装置
JP4160198B2 (ja) * 1999-03-01 2008-10-01 株式会社東芝 移動無線端末装置
JP3389153B2 (ja) * 1999-06-16 2003-03-24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のダイバーシチ制御装置及びそのダイバーシチ制御方法
DE69940646D1 (de) * 1999-07-13 2009-05-07 Alcatel Lucent Verfahren zur Leistungssteigerung eines mobilen Radiokommunikationssystems unter Verwendung eines Leistungsregelungsalgorithmus
US6606490B1 (en) 1999-08-10 2003-08-12 Intel Corporation Battery operated radio receivers having power save by reducing active reception time
JP3398700B2 (ja) * 1999-12-21 2003-04-21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式
JP2001211101A (ja) * 2000-01-26 2001-08-03 Nec Corp 低消費電力cdma受信機、及びその消費電力低減方法
US6678508B1 (en) * 2000-02-07 2004-01-13 Ericsson Inc. Power conservat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two receivers
JP2001244859A (ja) * 2000-02-29 2001-09-07 Toshiba Corp 移動無線通信端末
US6584331B2 (en) 2001-10-09 2003-06-24 Nokia Corporation Use of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and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in mobile station
US7299021B2 (en) 2001-12-28 2007-11-2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ing the dynamic range of a receiver for continuously optimizing performance versus power consumption
US7031757B2 (en) * 2002-07-16 2006-04-18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Power utilization enhancement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mesh networks un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47309A3 (en) 2004-07-22
KR100805762B1 (ko) 2008-02-21
TWI246260B (en) 2005-12-21
US7343180B2 (en) 2008-03-11
CA2503511A1 (en) 2004-06-03
EP1561282A4 (en) 2010-05-26
TWI333755B (en) 2010-11-21
WO2004047309A2 (en) 2004-06-03
CN1711702B (zh) 2010-05-12
NO20052886D0 (no) 2005-06-14
JP2009213157A (ja) 2009-09-17
KR20050070104A (ko) 2005-07-05
TW200419936A (en) 2004-10-01
MXPA05004997A (es) 2005-08-02
TW200733608A (en) 2007-09-01
JP5133938B2 (ja) 2013-01-30
TWI333756B (en) 2010-11-21
AR041971A1 (es) 2005-06-01
US20040106441A1 (en) 2004-06-03
AU2003290783A1 (en) 2004-06-15
AU2003290783B2 (en) 2007-03-08
TW200516887A (en) 2005-05-16
CN1711702A (zh) 2005-12-21
NO20052886L (no) 2005-08-08
JP2006506901A (ja) 2006-02-23
MY137877A (en) 2009-03-31
EP1561282A2 (en) 200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5762B1 (ko) 다수의 수신기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유닛 및 그 방법
JP3543959B2 (ja) 基地局
US5950124A (e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with dynamically modified data transmission parameters
JP3012230B2 (ja) 可変電力増幅器の電力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3343908B2 (ja) 同報通信方法とそのシステム及びその基地局装置と移動局
US7734269B2 (en) Control of receiver antenna diversity
US20040018853A1 (en) Alternative radio system monitoring
IL167807A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with controlled wtru peer-to-peer communication
JP2002531991A (ja) 位置情報および移動情報を使用する順方向および逆方向リンク電力制御
US20080318614A1 (en) Mobile station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in mobile station
US730525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RF systems
US7184722B1 (en) Maintaining constant power over a wide range of temperatures employing a power amplifier with adjustable current drain
US20070087770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3092550A (ja) 電力消費を最小にするセルラー・ハンドセット送受信機システム
CN101442794B (zh) 一种控制无线终端发射功率的方法及无线终端
KR100474055B1 (ko) 시디엠에이방식의 이동무선단말장치
JP200627985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制御方法
JP2004208177A (ja) ハンドオーバ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AU2007202593A1 (en)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s having multiple receivers and methods
CN100365950C (zh) 一种获取基站系统下行发射功率的方法
Zoican Performance analysis of a multiple traffic types microcellular CDMA system
JP2001345757A (ja)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装置並びに移動通信端末
JP2002185396A (ja) 無線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WITR Withdrawal of patent application after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