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5076A -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무선어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무선어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076A
KR20050095076A KR1020040020098A KR20040020098A KR20050095076A KR 20050095076 A KR20050095076 A KR 20050095076A KR 1020040020098 A KR1020040020098 A KR 1020040020098A KR 20040020098 A KR20040020098 A KR 20040020098A KR 20050095076 A KR20050095076 A KR 20050095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application
wireless
web browser
application
new 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지현
정은수
김후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0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5076A/ko
Publication of KR20050095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07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7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sliding parallel to the wings
    • E05B65/088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sliding parallel to the wings mounted on the slide guide, e.g. the rai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한 후의 결과를 서버로 전달할 때 이용하는 WML 스크립트에 대하여, WML 스크립트의 추가없이 단말기의 바이너리 WML을 교체하지 않고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무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WML 스트립트의 기능을 확장하면서 업그레이드하는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무선 어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의 출시 후에도 단말기에 탑재되어야 하는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업그레이드 과정없이 무선 네트워크로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모듈만을 다운로드하여 필요한 WML 스크립트 기능을 추가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기의 바이너리 WML을 교체하지 않고 새로운 버전의 WML 스크립트를 용이하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무선 어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방법{Method for Upgrading Wireless Application Using by Web Browser of Wireless Internet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무선 어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에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한 후의 결과를 서버로 전달할 때 이용하는 WML 스크립트(Wireless Markup Language Script)에 대하여, WML 스크립트의 추가없이 단말기의 바이너리 WML을 교체하지 않고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무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WML 스크립트의 기능을 확장하면서 업그레이드하는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무선 어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이하 WAP)은 처리 능력이 낮은 단말기와 전송 속도가 낮은 이동 통신망에서 컨텐츠(Contents)를 안전하게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WAP은 무선망과 데이터망의 두 개의 네트웍 하부 구조(Infrastructure)를 이용해서 휴대형 전화기 및 스마트폰 등에 인터넷 컨텐츠, 이메일 등을 공급할 수 있는 전송 플랫폼을 말하며, 국제적인 표준(De Facto Standard)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도 1은 WAP의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트랜스포트 계층까지의 사양들을 규정하고 있다.
도 1에서, 어플리케이션 계층(Wireless Application Environment; 이하 WAE)(100)은 WML(Wireless Markup Language), 자바 스크립트에 기초를 둔 데이터량을 경감할 수 있는 스크립트 언어의 WMLl 스크립트, 전화계 부가가치 서비스를 실현할 때 사용하는 무선 전화 어플리케이션(Wireless Telephone Application; 이하 WTA)등을 정의하고 있다.
세션 계층(Wireless Session layer Protocol; 이하 WSP)(110)은 논리적인 접속을 정의하고, 트랜잭션 계층(Wireless Transaction Protocol; 이하 WTP)(120)은 데이터의 전송 방식을 정의하며, 보안 계층(Wireless Transport Layer Security; 이하 WTLS)(130)은 데이터의 암호화, 압축, 유저 인증 등의 방식을 정의한다.
전송 계층(Wireless Datagram Protocol; 이하 WDP)(140)은 데이터 전송 방식을 정의하는데, 여기서는 그 하위에 오는 여러 가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베어러 서비스(Bearer Service; 150)와 적합시키기 위해서 각 베어러 서비스마다의 통신 방식을 정의한다. 기본적으로는 각 베어러 서비스(150)와의 적합을 이 계층만으로 하고 이 계층의 상술한 상위 계층에서는 베어러가 다른 것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런데,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여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게 될 경우에,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한 결과를 서버로 전송할 때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을 통하여 WML 스크립트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WML 스크립트가 이전의 낮은 버전인 경우에는 특정 기능의 수행 결과를 서버로 전송하지 못하고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게 된다. 이런 경우에 WML 스크립트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하여 웹 브라우저에 추가하고자 하는 WML 스크립트를 구현한 후 단말기의 바이너리 WML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한 후의 결과를 서버로 전달할 때 이용하는 WML 스크립트에 대하여, WML 스크립트의 추가없이 단말기의 바이너리 WML을 교체하지 않고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무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WML 스크립트의 기능을 확장하면서 업그레이드하는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무선 어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말기의 바이너리 WML 스크립트를 교체하지 않고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무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WML 스크립트의 기능을 확장하면서 업그레이드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 방법에 있어서, 웹서버에 접속하여 새로운 버전의 WML 스크립트가 포함된 상기 무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제1 단계; 상기 WML 스크립트를 해석하여 새 버전의 무선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상기 새 버전의 무선 어플리케이션을 로딩하는 제3 단계; 상기 새 버전의 무선 어플리케이션으로 파라미터값을 전달하여 상기 새 버전의 무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새 버전의 무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얻어 상기 웹서버로 리턴하여 주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무선 어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WAP에 대하여 좀 더 설명한다.
WAP은 단지 이동 통신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정의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더욱 하위 계층까지 사양을 작성하여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전개해서 여러 가지 단말기가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WAP 규격 자체로는 구체적인 어플리케이션을 정의하지 않고 있다.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등은 기본적으로 통신사업자,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등이 자유롭게 전개해야 되는 것으로서 WAP은 그 기본이 되는 통일 프로토콜의 사양을 작성하는것에 목적이 있다.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WAP 사양의 기본은, 정보처리 상호운용(의 가능성), 서비스 스캐러블리티(Service Scarablity), 효율성, 신뢰성, 보안성 등의 5가지이다.
WAP 어플리케이션으로는 우선 현행 인터넷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이동 단말기에서 실현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은행의 구좌 잔액 참조, 지불, 불입을 가능하게 하거나 식당정보, 날씨, 주가, 시각표 등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온라인 쇼핑 등이 가능하다. 기존 기술로도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현할 수 있는데 데이터 전송할 때의 서비스 부하, 단말기의 소비전력 등을 생각하면 반드시 현재의 기술이 무선 환경에 적합하다고 볼 수 없다.
WAP를 채용함으로써 통신 사업자, 단말기 메이커, 사용자 모두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통신 사업자에 있어서,
통신 인프라는 처리량이 점점 높아짐으로 인하여 새로운 서비스가 구축되어간다. WAP에서는 그 점에 착안하여 기존 시스템의 베어러(Bearer) 서비스는 물론 차세대 시스템도 고려한 프로토콜 스택을 구축하였다. 장기적인 사업 계획에 근거하는 서비스 구축의 관점에서 고려하면 인프라를 초월한 서비스의 전개가 가능하다는 점은 대단한 효과이다. 또한, 현재의 부가가치 서비스에서는 이용할 수 있는 서버나 단말기가 특정 메이커 물건에 한정되어 제품의 라인업(Lineup)에 치중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런데 WAP은 공개 사양이기 때문에 부가 서비스용 소프트를 공통화할 수 있어 특정한 단말기에 의존하지 않아도 된다. 최종 사용자의 선택의 폭이 늘어나서 보급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서비스 내용에 대해서는 일기 예보와 같이 정기적으로 제공하는 것은 물론 올림픽 기간 한정 서비스처럼 한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에 대해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2) 메이커에 있어서,
현재는 전 세계에서 여러 가지 통신 프로토콜이 통신 서비스에서 쓰이고 있기 때문에 각 서비스에 대하여 특유의 제품을 만들어야 된다. WAP에서는 메이커가 각각의 특징을 제품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 인터페이스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WAP은 전화번호부 데이터의 교환 등 단말기의 로컬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한 사양도 제공하기 때문에 메이커는 WAP 사양에서 기능을 취사선택함으로써 제품을 차별화 할 수 있다. 게다가, WAP이 국제표준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국제 시장을 염두에 둔 개발 비용 관리도 가능하다.
(3) 사용자에 있어서,
통신 사업자나 컨텐츠 제공 사업자, 메이커가 여러 가지 WAP 대응의 서비스나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은 여러 가지 필요들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의 폭이 넓어진 것을 의미한다. 이동 환경에서의 통신 서비스의 이용 목적은 사용자의 이용 형태로 보아 점차 온 디맨드 유형(On Demand Type)으로 이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이동 중에 뭔가를 한다'는 사용 방법에서 '자신이 뭔가 하고 싶을 때 한다'라는 사용 방법으로의 이행이다. WAP에 의한 다종 다양한 서비스가 전개되면 사용자의 세세한 요구들까지도 만족시킬 수 있다.
도 2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의 네트웍 구조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WAP 프록시 서버(200), HTML 필터(210), WTA(Wireless Telephone Applicaion)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서버(22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웹서버 내의 HTML 언어는 HTML 필터를 통과함에 따라 WML 언어로 변환된다. WML은 HTML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데이터량을 작게 할 수 있는 HTML의 확장 서브 셋(Sub Set)으로, 전송시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변환 후의 데이터는 WAP 프록시(230)라는 대리 서버에 축적된다. HTML 필터는 가능한 기존의 컨텐츠나 인증 툴을 유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웹서버는 무선 인터넷 단말기(300)가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접속하면, WML 스크립트로 작성된 실행 어플리케이션(ExecuteApp)을 무선 인터넷 단말기(300)로 다운로드시킨다. 무선 인터넷 단말기(300)에서는 웹 브라우저가 WML 스크립트 구문을 해석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를 파악한 후 실행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WAP 플랫폼에 대응하여 기존의 네트웍 컴퓨터(이하 NC)의 개념을 이동 환경으로 확장한 이동 NC가 등장하여 업계 표준 사양을 책정할 목적으로 MNCRS가 발족되었다. 당초 미국과 일본, 유럽 등에서 11개 회사를 중심으로 시작하였지만 그 후 구미의 주요 전신 전화, 통신 관련 기업도 참가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현재 워크그룹에서 작업 중인 규격으로는 전화기와 PDA를 일체화한 스마트 폰, 휴대형 정보단말기 등의 기기에 텔레비젼 기능, 전화 기능들을 탑재한 스크린 폰, 무선 호출기, 셀룰러 전화 등을 대상으로 한 규격의 표준화 작업을 준비 중이다.
이동 NC의 사양은 모든 NC 기기상에서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가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상세한 사양을 정의하고 있다. 서비스 제공자나 이동기기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더구나 메이커의 각 고유의 서비스 특징을 드러낼 수 있도록 했다. 단, 하드웨어에 관해서는 일부 필수적인 기능을 제외하고 사양을 특징짓지 않고 여러 가지 종류의 기기(휴대형 퍼스널 컴퓨터, 휴대형 정보단말기와 같은 범용단말기)를 상정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소프트웨어는 통신 규격으로서 이더넷에서 확립된 표준 사양을 채용한데 이어 데이터 동기 방법 등의 새로운 사양도 규정하고 있다. MNCRS의 사양은 주로 소프트웨어의 규격을 정의하고 있으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수행이 가능한 플랫폼이기도 하다. MNCRS는 규격 중에서 이동 NC 기기를 응용 범위에 따라서 다음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정의하고 있다.
(1) 프로페셔널 어시스턴트(Professional Assistant) 유형으로서, 이는 워드 프로세서와 같은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등의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여럭지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갖는 자바 컨텐츠를 지원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데스크탑 NC의 기능과 이동 환경에 대한 양 기능을 겸비하고 있고 네트웍에 대한 접속/비접속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하드웨어는 NC의 모든 요건을 충족하고 있어 기존의 휴대형 퍼스널 컴퓨터에 가깝다.
(2) 정보 액세스 단말기 유형으로서, 이메일, 웹 브라우저 등을 제공함은 물론 자바 애플릿이 갖는 기능 중에서 일부 기능을 지원한다. 네트웍 접속에 대한 의존도는 높아지지만 일부 기능은 비접속 모드에서의 작업에도 가능하다. 하드웨어는 개인용 컴퓨터보다 메모리 용량이나 통신 기능을 축소한 것으로 휴대 정보단말기(PDA)와 동일한 단말제품이다. 이 제품은 폭넓은 종류의 서비스나 서비스 제공자와의 통신 및 상호 운용을 실현한다.
(3) 메시징(Messaging)/전화 단말기 유형으로서, 기본적인 메시징, 페이징(Paging), 음성 통화 기능을 갖고 있는데, 특히 브라우저 기능에 의해 인터넷의 웹 사이트에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하드웨어는 작은 액정 화면을 갖는 스마트 폰 등의 디바이스가 있다. 유저는 이동 NC의 공통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한편 서비스 제공자는 기본적인 통신 기능을 이용해서 상호 운용성을 유지하면서 여러 가지 고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제품은 특정 업종을 대상으로 특화한 어플리케이션, 커스터마이즈된 소프트웨어에 적합한 설계가 필요하다.
이동 환경에서 이동 단말기의 이용이 진행됨에 따라 단말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각종 컨텐츠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공통의 기술 기반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이동 단말기의 공통 기반을 확립하고 미들웨어(MiddleWear) 등의 사양을 검토하는 단체로서 MOPA(Mobile Office Promotion Association)이 발족되었다. MOPA는 1996년 3월에 민간 주도의 단체로서 발족했다. 구성 멤버는 통신 캐리어, 단말기기 메이커, 소프트 벤더, 정보/컨텐츠 서비스 제공기업, 디바이스 메이커 등 58사가 가맹하고 있다. 여러 가지 입장에서 네트웍 이용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Mobile Business Tool)의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통신 미들 웨어 기술에 관해서 협의하고 또한 관계있는 시스템 기술에 관하여 논의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을 채용한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 것이다.
무선 인터넷 단말기(300)는 단말기에서 처리하는 음성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 SMS)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토콜 구조를 채용하며, 외부와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물리 계층인 시리얼 드라이버(Serial Driver)(311) 및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해 무선 특성에 맞는 에러 보정 및 재전송 매커니즘을 채용하여 베어러 서비스와 링크하는 통신 계층인 링크계층(312)를 포함한다.
또한, 서킷/패킷 채널(Circuit/Packet Channel) 처리계층(313)은 음성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계층으로서, 음성 신호에 대해서는 서킷 데이터로 분류하여 TCP/IP/PPP와 같은 전송 계층을 통하게 하고, 외부로부터의 각종 정보에 대해서는 패킷 데이터로 분류하여 TCP/IP/PPP 전송 계층을 통하게하지 않고 곧바로 공중파 데이터 적응을 위한 RLP(Radio Link Protocol) 계층을 통하게 한다. 서킷 데이터 및 패킷 데이터는 모두 RLP 계층을 통과한 후 CDMA 프로토콜인 IS-95 계층에서 공중으로 전송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무선 어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사용자는 무선 인터넷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웹서버에 이동 통신망을 통한 무선으로 접속한다(S402). 웹서버는 무선 어플리케이션을 업그레이드하기 원하는 무선 인터넷 단말기(300)에게 다운로드시키기 위한 새로운 버전의 WML 스크립트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새로운 버전의 WML 스크립트를 "ExecuteApp"라고 칭하여 설명한다.
무선 인터넷 단말기(300)는 웹서버에 접속한 후, 웹서버로부터 WML 스크립트 "ExecuteApp"가 포함된 무선 어플리케이션(WIPI, WI-TOP 등)을 다운로드한다(S404). 이때, 다운로드한 "ExecuteApp"의 인자로는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ID 또는 Name, 실행 모듈에 전달할 파라미터값과 개수, 그리고 웹 브라우저의 동작을 지시하는 지시자 등이 있다.
여기서, "ExecuteApp"의 역할은 웹 브라우저가 지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전달받는 기능을 한다.
무선 인터넷 단말기(300)는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WML 스크립트가 포함된 무선 어플리케이션을 해석하고, 예컨대, "A"라는 ID의 어플리케이션(ExecuteApp)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406).
무선 인터넷 단말기(300)에서, 웹 브라우저가 무선 어플리케이션을 해석하여 새 버전의 "A"라는 무선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새 버전의 무선 어플리케이션을 받지 못했음을 알리는 "noApp"라는 응답을 웹서버로 전송하여, 다시 "A"라는 무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도록 한다.
그러나, 새로 다운로드한 WML 스크립트 내에 "A"라는 ID의 어플리케이션(ExecuteApp)이 존재하는 경우(S408), 무선 인터넷 단말기(300)는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WML 스크립트 내에 존재하는 "A"라는 ID의 어플리케이션을 로딩한다(S410).
그리고, 무선 인터넷 단말기(300)는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A"라는 ID의 어플리케이션(ExecuteApp)에 파라미터값을 전달하여, 새로운 버전의 무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S412). 새로운 버전의 무선 어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실행한 결과값을 도출한다.
무선 인터넷 단말기(300)는 새로운 버전의 무선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얻은 무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값을 웹서버로 리턴(Return)하여 준다(S414).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에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한 후의 결과를 서버로 전달할 때 이용하는 WML 스크립트에 대하여, WML 스크립트의 추가없이 단말기의 바이너리 WML을 교체하지 않고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무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WML 스크립트의 기능을 확장하면서 업그레이드하는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무선 어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의 출시 후에도 단말기에 탑재되어야 하는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업그레이드 과정없이 무선 네트워크로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모듈만을 다운로드하여 필요한 WML 스크립트 기능을 추가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기의 바이너리 WML을 교체하지 않고 새로운 버전의 WML 스크립트를 용이하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도 1은 WAP의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의 네트웍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을 채용한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무선 어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어플리케이션 계층 110 : 세션 계층
120 : 트랜젝션 계층 130 : 보안 계층
140 : 전송 계층 150 : 베어러 서비스
200 : WAP 프록시 서버 210 : HTML 필터
220 : WTA 서버 230 : 필터 WAP 프록시
300 : 무선 인터넷 단말기 311 : 시리얼 드라이버
312 : 링크 계층 313 : 서킷/패킷 채널 처리계층

Claims (5)

  1. 단말기의 바이너리 WML(Wireless Markup Language) 스크립트를 교체하지 않고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무선 어플리케이션(Wireless Application)을 다운로드하여 WML 스크립트의 기능을 확장하면서 업그레이드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 방법에 있어서,
    웹서버에 접속하여 새로운 버전의 WML 스크립트가 포함된 상기 무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제1 단계;
    상기 WML 스크립트를 해석하여 새 버전의 무선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상기 새 버전의 무선 어플리케이션을 로딩하는 제3 단계;
    상기 새 버전의 무선 어플리케이션으로 파라미터값을 전달하여 상기 새 버전의 무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새 버전의 무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얻어 상기 웹서버로 리턴(Return)하여 주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무선 어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무선 인터넷 단말기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무선으로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무선 어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WML 스크립트의 인자로는 실행하고자 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의 ID 또는 Name, 실행 모듈에 전달할 파라미터값과 개수, 그리고 상기 웹 브라우저의 동작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무선 어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WML 스크립트의 역할은 상기 웹 브라우저가 지시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상기 무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전달받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무선 어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웹 브라우저가 상기 WML 스크립트를 해석하여 새 버전의 무선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새 버전의 무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지 못했음을 알리는 "noApp"라는 응답을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웹서버로부터 다시 새 버전의 무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무선 어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 방법.
KR1020040020098A 2004-03-24 2004-03-24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무선어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방법 KR200500950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098A KR20050095076A (ko) 2004-03-24 2004-03-24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무선어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098A KR20050095076A (ko) 2004-03-24 2004-03-24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무선어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076A true KR20050095076A (ko) 2005-09-29

Family

ID=37275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098A KR20050095076A (ko) 2004-03-24 2004-03-24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무선어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507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289B1 (ko) * 2005-09-13 2007-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펌웨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방법
KR100785635B1 (ko) 2006-11-03 2007-12-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통신망을 통한 내부 기능 제어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제어 방법
KR100827814B1 (ko) * 2006-10-31 2008-05-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 인터넷 브라우징의 페이지 이동 시스템 및 방법
KR100923406B1 (ko) * 2007-04-04 2009-10-23 (주) 엘지텔레콤 마크업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시스템에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75508B1 (ko) * 2007-12-28 2010-08-11 엔에이치엔(주) 프로그램의 모듈의 동적 변경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289B1 (ko) * 2005-09-13 2007-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펌웨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방법
KR100827814B1 (ko) * 2006-10-31 2008-05-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 인터넷 브라우징의 페이지 이동 시스템 및 방법
KR100785635B1 (ko) 2006-11-03 2007-12-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통신망을 통한 내부 기능 제어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제어 방법
KR100923406B1 (ko) * 2007-04-04 2009-10-23 (주) 엘지텔레콤 마크업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시스템에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75508B1 (ko) * 2007-12-28 2010-08-11 엔에이치엔(주) 프로그램의 모듈의 동적 변경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6426B (fi) Laitteenhallinnan aloittaminen hallintapalvelimen ja asiakkaan välillä
JP5113993B2 (ja) ネットワークインターフェイスの中で、複数のネットワークインターフェイスを備えるデバイス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を選択するための方法
JP4909591B2 (ja) コンポーネントベースの無線アプリケーションを作成して同アプリケーションと通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3920572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ローカル資源の利用方法
JP5074424B2 (ja) 依存関係の通知
US8009619B1 (en) Server-side wireless communications link support for mobile handheld devices
CN1685323B (zh) 通信系统,中继设备和通信控制方法
US11716612B1 (en) Bootstrap electronic subscriber identity module configuration
US8060594B1 (en) Client-side wireless communications link support for mobile handheld devices
US20110319133A1 (en) Me network parameters configuration by uicc
CN101594614A (zh) 数据下载方法以及终端
EP1166575B1 (en) Radio handset
JP2008543241A (ja) サービスセッション中に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のインターフェースを自動選択するマルチモードモバイル端末
CN103889030A (zh) 评估通信接口
CN101098529A (zh) 在个人蜂窝电信装置上因特网会话的启动及其定制协议
GB2478971A (en) Generating a user interface on a mobile phone for an application on a UICC using metadata
EP1875346A2 (en) A shortcut generator for services accessible via a messaging service system
CN101401068A (zh) 通过卡应用工具包互通的方法、移动终端和计算机程序产品
JP2009509210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を起動する方法
KR20050095076A (ko)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무선어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방법
KR100418200B1 (ko)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 기반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위한 게이트웨이/서버 통합 시스템
CN100362876C (zh) 读取彩信内容的方法
KR100338748B1 (ko)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채용 통신 단말기
Schmohl et al. Mobile services based on client-server or p2p architectures facing issues of context-awareness and heterogeneous environments
JP4980563B2 (ja) コンテンツ提供方法、コンテンツ取得時の通信方法、移動体通信端末、コンテンツ提供サーバ及び通信中継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