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748B1 -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채용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채용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748B1
KR100338748B1 KR1019980049494A KR19980049494A KR100338748B1 KR 100338748 B1 KR100338748 B1 KR 100338748B1 KR 1019980049494 A KR1019980049494 A KR 1019980049494A KR 19980049494 A KR19980049494 A KR 19980049494A KR 100338748 B1 KR100338748 B1 KR 100338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ireless
data
wap
tc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9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2877A (ko
Inventor
오강환
정순효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49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8748B1/ko
Publication of KR20000032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2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7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2Application layer protocols, e.g.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 채용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채용 통신 단말기는, 무선 데이터 입출력을 위해 무선 특성에 맞는 에러 보정 및 재전송 매커니즘을 채용하여 처리하고, 무선 데이터에 맞게 적응화시켜 데이터를 전송 및 네트웍에 접속하고, 각종 정보 서비스 실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네트웍 정보 단말기; 및 무선 데이터 입출력을 위해 무선 특성에 맞는 에러 보정 및 재전송 매커니즘을 채용하여 처리하고, 음성 및 단문 메시지등의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 단말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부가가치의 실질적인 서비스를 추구하는 WAP 구조를 현재 사용중인 단말기에 적용하여 현실적으로 사용가능토록 한다.

Description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채용 통신 단말기
본 발명은 CDMA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CDMA 통신 단말기에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구현한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채용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통신기술의 진보로 이동 환경에서의 사용을 대상으로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단말장치가 다양화되고 있다. 이동 환경에서의 사용이 기대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로는 통신 단말기, 개인 정보 관리(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PIM), 이메일(E-mail), 이동전화, 페이징, 인터넷 및 인터넷 억세스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최근 1~2년 동안에 휴대형 정보 단말(PDA)에 이동전화를 조합해서 소형화한 스마트폰(smartPhone)은 이제 친숙한 제품이 되어 주로 전자 메일, 팩스등의 서비스 매체로 이용되고 있다. 그 중에는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 브라우저를 채용한 제품도 있으나 단말의 처리 능력이 낮고 사용하기도 불편하다.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이하 WAP)은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프로토콜 사용으로 처리 능력이 낮은 단말과 전송속도가 낮은 이동통신망에서 컨텐츠(contents)를 안전하게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WAP란 무선망과 데이터망의 두 개의 네트웍 하부 구조(infrastructure)를 이용해서 휴대형 전화기 및 스마트폰등에 인터넷 컨텐츠, 이메일등을 공급할 수 있는 전송 플랫폼을 말하며, 국제적인 표준(De Facto Standard)을 목표로하고 있다. 인터넷의 기본적인 전송 프로토콜은 현재 티시피/아이피(TCP/IP)이지만 그것을 휴대 단말용 서비스에 적용하고자하면 단말이나 이동통신 네트웍등에 부하가 걸려 안정적인 통신을 할 수 없게된다. 또한 컨텐츠의 데이터량이 커질수로 휴대단말에는 처리부하가 커진다. 따라서 단말의 부하를 가볍게 하고 빠른 억세스를 실현하는 기술을 여러 회사에서 각각 독자 방식으로 개발하고 있다. 그렇지만 서로 호환성이 없기 때문에 서비스를 확장해감에 있어서 서비스의 상호접속이나 단말의 상호이용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세계적으로 통일된 사양을 실현한다는 취지로 Nokia, Ericsson, Motorola, Unwired Planet 등의 네 회사가 사양의 작성을 시작하였다. 더욱 많은 메이커나 통신사업자에게 제공할 목적으로 '98년 1월에 WAP의 개발 및 보급활동을 하는 WAP 포럼을 설립하고 표준 사양 WAP 1.0을 '98년 5월에 발표하였다. WAP 포럼의 목적은 다음의 4가지이다.
(1) 인터넷의 컨텐츠, 부가가치 서비스 디지털 휴대전화등의 소형 무선단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2) 다른 이동통신 하부 구조에 적응할 수 있는 세계 표준 프로토콜 사양을 작성해야한다.
(3)작성한 사양은 적절한 표준화 단체등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4) 이동통신 하부구조가 차세대에 발전해도 최종 사용자에게 같은 서비스를 계속할 수 있는 사양을 작성한다.
WAP는 단지 이동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정의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더욱 하위 계층까지 사양을 작성하여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전개해서 여러 가지 단말이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WAP 규격 자체로는 구체적인 어플리케이션을 정의하지 않고 있다.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등은 기본적으로 통신사업자,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등이 자유롭게 전개해야 되는 것으로 WAP 포럼은 그 기본이 되는 통일 프로토콜의 사양을 작성하는것에 목적이 있다.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WAP 사양의 기본은, 정보처리상호운용(의 가능성), 서비스 스캐러블리티(service scarablity), 효율성, 신뢰성, 보안성등의 5가지이다.
WAP 어플리케이션으로는 우선 현행 인터넷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휴대 단말에서 실현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예를들면 휴대단말을 사용하여 은행의 구좌 잔액 참조, 지불, 불입을 가능하게 하거나 식당정보, 날씨, 주가, 시각표등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온라인 쇼핑등이 가능하다. 기존 기술로도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현할 수 있는데 데이터 전송할 때의 서비스 부하, 단말의 소비전력등을 생각하면 반드시 현재의 기술이 무선 환경에 적합하다고 볼 수 없다.
WAP를 채용함으로써 통신 사업자, 단말 메이커, 사용자 모두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통신 사업자에 있어서,
통신 인프라는 처리량이 점점 높아짐으로 인하여 새로운 서비스가 구축되어간다. WAP에서는 그 점에 착안하여 기존 시스템의 베어러(bearer) 서비스는 물론 차세대 시스템도 고려한 프로토콜 스택을 구축하였다. 장기적인 사업계획에 근거하는 서비스 구축의 관점에서 고려하면 인프라를 초월한 서비스의 전개가 가능하다는 점은 대단한 효과이다. 또한 현재의 부가가치 서비스에서는 이용할 수 있는 서버나 단말이 특정 메이커 물건에 한정되어 제품의 라인업(lineup)에 치중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런데 WAP는 공개사양이기 때문에 부가 서비스용 소프트를 공통화할 수 있어 특정한 단말에 의존하지 않아도 된다. 최종 사용자의 선택의 폭이 늘어나서 보급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서비스 내용에 대해서는 일기 예보와 같이 정기적으로 제공하는 것은 물론 올림픽 기간 한정 서비스처럼 한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에 대해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2) 메이커에 있어서,
현재는 전세계에서 여러 가지 통신 프로토콜이 통신 서비스에서 쓰이고 있기 때문에 각 서비스에 대하여 특유의 제품을 만들어야 된다. 또한 사양에 따라서는 유저 인터페이스가 한저오디어 메이커의 자유도가 높지 않다는 점도 있다. WAP에서는 메이커가 각각의 특징을 제품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 인터페이스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WAP는 전화 번호부 데이터의 교환등 단말의 로컬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한 사양도 제공하기 때문에 메이커는 WAP 사양에서 기능을 취사선택함으로써 제품을 차별화 할 수 있다. 게다가, WAP가 국제표준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국제시장을 염두에 둔 개발 비용 관리도 가능하다.
(3)사용자에 있어서,
통신사업자나 컨텐츠 제공사업자, 메이커가 여러 가지 WAP 대응의 서비스나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은 여러 가지 필요들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의 폭이 넓어진 것을 의미한다. 이동 환경에서의 통신 서비스의 이용 목적은 사용자의 이용형태로 보아 점차 온 디맨드 유형(On Demand Type)으로 이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이동중에 뭔가를 한다'는 사용방법에서 '자신이 뭔가 하고 싶을 때 한다'라는 사용방법으로의 이행이다. W몌에 의한 다종 다양한 서비스가 전개되면 사용자의 세세한 요구들까지도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WAP의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트랜스포트 계층까지의 사양들을 규정하고 있다. 어플리케이션 계층(Wireless Application Environment; 이하 WAE)(100)은 WML(Wireless Markup Language), 자바 스크립트에 기초를 둔 데이터량을 경감할 수잇는 스키립트 언어의 WMLl 스크립트, 전화계 부가가치 서비스를 실현할 때 사용하는 무선 전화 어플리케이션(Wireless Telephone Application;이하 WTA)등을 정의하고 있다. 세션 계층(Wireless Session layer Protocol; 이하 WSP)(110)은 논리적인 접속을 정의한다. 트랜잭션 계층(Wireless Transaction Protocol; 이하 WTP)(120)은 데이터의 전송방식을 정의한다. 보안 계층(Wireless Transport Layer Security; 이하 WTLS)(130)은 데이터의 암호화, 압축, 유저의 인증등의 방식을 정의한다. 전송 계층(Wireless Datagram Protocol; 이하 WDP)(140)은 데이터 전송방식의 정의, 여기서는 그 하위에 오는 여러 가지 이동통신 시스템의 bearer 서비스와 적합시키기 위해서 각 Bearer 서비스마다 통신 방식을 정의한다. 기본적으로는 각 Bearer Service(150) 와의 적합은 이 계층만으로 하고 이 계층의 상술한 상위 계층에서는 Bearer가 다른것에 따른 영향은 받지 않는다.
도 2는 WAP의 네트웍 구조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WAP 프록시 서버(200), HTML 필터(210), WTA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서버(220)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웹서버 내의 HTML 언어는 HTML 필터를 통과함에 따라 WML 언어로 변환된다. WML은 HTML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데이터량을 작게 할 수 있는 HTML의 확장 서브 셋(sub set)으로, 전송시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변환후의 데이터는 WAP 프록시(230)라는 대리 서버에 축적된다. HTML 필터를 준비한 이유는 가능한 기존의 컨텐츠나 인증 툴을 유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단, 이 필터에서는 컨텐츠의 내용까지 휴대단말에 맞춰서 변환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상술한 WAP 플랫폼에 대응하여 기존의 네트웍 컴퓨터(이하 NC)의 개념을 이동 환경으로 확장한 이동 NC가 등장하여 업계 표준 사양을 책정할 목적으로 MNCRS가 발족되었다. 당초 미국과 일본, 유럽등에서 11개 회사를 중심으로 시작하였지만 그 후 구미의 주요 전신전화, 통신관련 기업도 참가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현재 워크그룹에서 작업중인 규격으로는 전화기와 PDA를 일체화한 스마트 폰, 휴대형 정보단말 등의 기기에 텔레비젼 기능, 전화기능들을 탑재한 스크린 폰, 무선 호출기, 셀룰러 전화등을 대상으로 한 규격의 표준화 작업을 준비중이다.
이동 NC의 사양은 모든 NC 기기상에서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가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상세한 사양을 정의하고 있다. 서비스 제공자나 이동기기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더구나 메이커의 각 고유의 서비스 특징을 드러낼 수 있도록 했다. 단, 하드웨어에 관해서는 일부 필수적인 기능을 제외하고 사양을 특징짓지 않고 여러 가지 종류의 기기(휴대형 퍼스널 컴퓨터, 휴대형 정보단말과 같은 범용단말)를 상정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소프트웨어는 통신규격으로서 이터넷에서 확립된 표준 사양을 채용한데 이어 데이터 동기 방법등의 새로운 사양도 규정하고 있다. MNCRS의 사양은 주로 소프트웨어의 규격을 정의하고 있으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수행이 가능한 플랫폼이기도 하다. MNCRS는 규격중에서 이동 NC 기기를 응용 범위에 따라서 다음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정의하고 있다.
(1) 프로페셔널 어시스턴트(Professional Assistant) 유형으로서, 이는 워드 프로세서와 같은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 이메일등의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여럭지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갖는 자바 컨텐츠를 지원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데스크탑 NC의 기능과 이동 환경에 대한 양 기능을 겸비하고 있고 네트웍에 대한 접속/빚 속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하드웨어는 NC의 모든 요건을 충족하고 있어 기존의 휴대형 퍼스널 컴퓨터에 가깝다.
(2) 정보 억세스 단말 유형으로서, 이메일, 웹 브라우저드을 제공함은 물론 자바 애플릿이 갖는 기능중에서 일부 기능을 지원한다.. 네트웍 접속에 대한 의존도는 높아지지만 일부 기능은 비접속 모드에서의 작업에도 가능하다. 하드웨어는 개인용 컴퓨터보다 메모리 용량이나 통신 기능을 축소한 것으로 휴대 정보단말(PDA)과 동일한 단말제품이다. 이 제품은 폭넓은 종류의 서비스나 서비스 제공자와의 통신 및 상호운용을 실현한다.
(3) 메시징(messaging)/전화 단말 유형으로서, 기본적인 메시징, 페이징(paging), 음성통화 기능을 갖고 있는데, 특히 브라우저 기능에 의해 인터넷의 웹 사이트에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하드웨어는 작은 액정화면을 갖는 스마트 폰등의 디바이스가 있다. 유저는 이동 NC의 공통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한편 서비스 제공자는 기본적인 통신 기능을 이용해서 상호 운용성을 유지하면서 여러 가지 고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제품은 특정업종을 대상으로 특화한 어플리케이션, 커스터마이즈된 소프트웨어에 적합한 설계가 필요하다.
이동 환경에서 이동 단말의 이용이 진행됨에 따라 단말의 종류에 관계없이 각종 컨텐츠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공통의 기술기반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이동 단말의 공통기반을 확립하고 미들웨어(MiddleWear)등의 사양을 검토하는 단체로서 MOPA(Mobile Office Promotion Association)이 발족되었다. MOPA는 96년 3월에 민간 주도의 단체로서 발족했다. 구성 멤버는 통신 캐리어, 단말기기 메이커, 소프트 벤더, 정보/컨텐츠 서비스 제공기업, 디바이스 메이커등 58사가 가맹하고 있다. 여러 가지 입장에서 네트웍 이용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Mobile Business Tool)의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통신 미들 웨어 기술에 관해서 협의하고 또한 관계있는 시스템 기술에 관하여 논의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WAP는 무선 네트웍에서 클라이언트-서버의 전형적인 구조로서 클라이언트인 단말기는 네트웍 운영자가 제공하는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WAP 서버에서 고부가가치의 서비스를 받고자하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물론 서버 및 이를 위한 여러 가지 컨텐츠가 개발되어야 하겠지만 우선 WAP의 구조를 만족하는 단말기의 개발이 급선무이다. 왜냐하면 네트웍 운영자의 입장에서는 WAP란 고부가가치의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해 네트웍 인프라에 많은 투자를 하고 싶지만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가 불투명할 경우 서비스 자체가 위험한 투자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단말기 제조업자 입장에서도 개발 제품에 대한 망 차원에서의 서비스가 지원되지 않는다면 이또한 문제가 될 수 있다. 특히, 지금까지 음성 서비스에 의존하여 제품의 가치를 척도하던 방식에서 데이터의 흐름속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단말기의 미래를 예견하고 이에 걸맞는 제품을 구상하기란 그렇게 쉬운 작업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현실적으로 몇몇 회사에 의해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미래를 예상하고 정보제공 및 음성 서비스를 결합한 단말기 같은 제품을 개발했지만 그렇게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이는 단말기 제조업자 및 네트웍 운영자 상호간에 실질적인 사용자의 관심을 끌 수 있는 고부가 서비스의 부족이 가장 큰 결점이었으며 아울러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단말기의 부족이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부가가치의 실질적인 서비스를 추구하는 WAP 구조를 현재 사용중인 단말기에 적용하여 현실적으로 사용가능토록 한 WAP 프로토콜을 적용한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WAP의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WAP의 네트웍 구조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채용 통신 단말기의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전송 계층으로서 TCP/IP를 채택한 경우의 인터페이스 및 하위 인터페이스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채용 통신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그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채용 통신 단말기는, 무선 데이터 입출력을 위해 무선 특성에 맞는 에러 보정 및 재전송 매커니즘을 채용하여 처리하고, 무선 데이터에 맞게 적응화시켜 데이터를 전송 및 네트웍에 접속하고, 각종 정보 서비스 실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네트웍 정보 단말기; 및 무선 데이터 입출력을 위해 무선 특성에 맞는 에러 보정 및 재전송 매커니즘을 채용하여 처리하고, 음성 및 단문 메시지등의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 단말기를 구비한다.
상기 네트웍 정보 단말기는, 자바 스크립트에 기초를 둔 데이터량을 경감할 수 있는 스키립트 언어의 WML 스크립트, 전화계 부가가치 서비스를 실현할 때 사용하는 무선 전화 어플리케이션(Wireless Telephone Application;이하 WTA)등을 정의하는 최상위 통신 계층인 어플리케이션 계층(Wireless Application Environment; WAE); 각각 논리적인 접속을 정의하고, 데이터의 전송방식을 정의하는 제2상위 통신 계층인 세션 계층(Wireless Session layer Protocol; 이하 WSP)과 트랜잭션 계층(Wireless Transaction Protocol; 이하 WTP); 하위에 오는 여러 가지 이동통신 시스템의 bearer 서비스와 적합시키기 위해서 각 Bearer 서비스마다 통신 방식을 정의하는 제3상위 통신 계층인 전송 계층(Wireless Datagram Protocol; 이하 WDP); 및 무선 데이터 입출력을 위해 무선 특성에 맞는 에러 보정 및 재전송 매커니즘을 채용하여 bearer 서비스와 링크하는 제4상위 통신 계층인 링크계층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송 계층은, TCP/IP/PPP를 채택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때 채택된 상기 TCP/IP/PPP는 상하 계층간 인터페이스 사양 및 TCP/IP 자체로서 무선 특성에 맞게 적응화시킨 것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는, 무선 데이터 입출력을 위해 무선 특성에 맞는 에러 보정 및 재전송 매커니즘을 채용하여 bearer 서비스와 링크하는 링크계층; 음성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계층으로서, 음성 신호에 대해서는 서킷 데이터로 분류하여 TCP/IP/PPP와 같은 전송 계층을 통하게 하고, 상기 정보 단말기로부터의 각종 정보에 대해서는 패킷 데이터로 분류하여 TCP/IP/PPP 전송 계층을 통하게하지 않고 곧바로 공중파 데이터 적응을 위한 RLP(Radio Link Protocol) 계층을 통하게 하는 서킷/패킷 채널 (circuit/packet channel)처리 계층; 및 상기 서킷/패킷 채널 처리 계층을 통과한 데이터를 공중으로 송신하고 공중으로부터 소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CDMA 프로토콜 계층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채용 통신 단말기는, 서킷 또는 패킷 데이터의 공중파 송수신을 위한 물리계층; 상기 물리계층 상위에 놓여, 무선 데이터 입출력을 위해 무선 특성에 맞는 에러 보정 및 재전송 매커니즘을 채용하여 bearer 서비스와 링크하는 통신 계층으로, 서킷 데이터와 패킷 데이터를 구분하여 전송 처리하는 링크계층; 상기 링크계층 상위에 놓여져 하위에 오는 여러 가지 이동통신 시스템의 bearer 서비스와 적합시키기 위해서 각 Bearer 서비스마다 통신 방식을 정의하는 전송 계층; 전송계층 상위에 놓여 각각 논리적인 접속을 정의하고, 데이터의 전송방식을 정의하는 세션 계층(Wireless Session layer Protocol; WSP)과 트랜잭션 계층(Wireless Transaction Protocol; WTP); 및 상기 세션 및 트랜잭션 계층 상위에 놓여, 자바 스크립트에 기초를 둔 데이터량을 경감할 수 있는 스키립트 언어의 WML 스크립트, 전화계 부가가치 서비스를 실현할 때 사용하는 무선 전화 어플리케이션(Wireless Telephone Application; WTA)등을 정의하는 최상위 통신 계층인 어플리케이션 계층을 구비한다.
상기 링크 계층은, 서킷 데이터(circuit data)의 경우는 TCP/IP/PPP를 통하게 하고, 패킷 데이터(packet data)의 경우는 TCP/IP/PPP를 통하지 않고 곧바로 무선 데이터 세그먼테이션(segmentation)을 하도록 하는 서킷/패킷 채널 처리 계층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 계층은, 음성 신호에 대해서는 서킷 데이터로 분류하여 TCP/IP/PPP와 같은 전송 계층을 통하게 하고, 다른 각종 정보에 대해서는 패킷 데이터로 분류하여 TCP/IP/PPP 전송 계층을 통하게하지 않고 곧바로 공중파 데이터 적응을 위한 RLP(Radio Link Protocol) 계층을 통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채용 통신 단말기의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 것으로서, 정보 단말(이하 TE2)(300) 및 이동 전화기 단말(이하 MT2)(310)이 결합된 통신 단말기에서 WAP 적용시의 프로토콜 구조이다. TE2(300)는 무선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는 시리얼 드라이버(301) 계층 상위에 무선 데이터 입출력을 위해 무선 특성에 맞는 에러 보정 및 재전송 매커니즘을 채용하여 bearer 서비스와 링크하는 통신 계층인 링크계층(302), 링크계층(302) 상위에 하위에 오는 여러 가지 이동통신 시스템의 bearer 서비스와 적합시키기 위해서 각 Bearer 서비스마다 통신 방식을 정의하는 통신 계층인 전송 계층(Wireless Datagram Protocol; 이하 WDP)(303), 전송계층(303) 상위에 각각 논리적인 접속을 정의하고, 데이터의 전송방식을 정의하는 통신 계층인 세션 계층(Wireless Session layer Protocol; 이하 WSP)과 트랜잭션 계층(Wireless Transaction Protocol; 이하 WTP)(304) 및 자바 스크립트에 기초를 둔 데이터량을 경감할 수 있는 스키립트 언어의 WML 스크립트, 전화계 부가가치 서비스를 실현할 때 사용하는 무선 전화 어플리케이션(Wireless Telephone Application;이하 WTA)등을 정의하는 최상위 통신 계층인 어플리케이션 계층(Wireless Application Environment; WAE)(305)을 구비한다. 여기서 링크계층(302)은 X.25와 같은 규격을 채용한 LAPB 링크 계층이다. MT2(310)는 이동 전화기 단말에서 처리하는 음성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SMS)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토콜 구조를 채용하며, 물리 계층인 시리얼 드라이버(311)와 링크계층(312)은 TE2(300)에서와 동일하게 정의된다. 서킷/패킷 채널 (circuit/packet channel)처리 계층(313)은 음성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계층으로서, 음성 신호에 대해서는 서킷 데이터로 분류하여 TCP/IP/PPP와 같은 전송 계층을 통하게 하고, TE2(300)로부터의 각종 정보에 대해서는 패킷 데이터로 분류하여 TCP/IP/PPP 전송 계층을 통하게하지 않고 곧바로 공중파 데이터 적응을 위한 RLP(Radio Link Protocol) 계층을 통하게 한다. 서킷 데이터 및 패킷 데이터는 모두 RLP 계층을 통과한 후 CDMA 프로토콜인 IS-95 계층에서 공중으로 전송된다.
현재 TE2(300)에는 IS-657 패킷 서비스만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TCP/IP/PPP 스택이 구축되어 있지만 만약 WAP 구조에서 전송대안으로서 인터넷을 고려한다면 TCP/IP/PPP를 중복 설치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왜냐하면 WAP가 아닌 일반 패킷 서비스만을 원하는 사용자를 위해 도 3과 같은 통신 단말기에는 분명 보편적인 TCP/IP/PPP 가 지원되어야하기 때문이다. 만약 전송 계층으로서 TCP/IP/PPP를 고려한 WAP와 일반적인 패킷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하는 단말기를 고려한다면 TCP/IP/PPP 는 상위계층 및 하위계층에 대해서 두 가지의 서비스 억세스 포인트(Service Access Point)를 유지해야만 한다. 전송 계층으로 TCP/IP/PPP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이러한 인터페이스 사양은 필요하지 않을 것이지만, 전송 계층으로서 TCP/IP/PPP를 채택하지 않는다는 것은 또한 그만큼 프로토콜 사용면에 있어서 낭비적인 요소를 가져온다.
도 4는 전송 계층으로서 TCP/IP를 채택한 경우의 인터페이스 및 하위 인터페이스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TCP/IP를 채택한 전송계층과 그 상위의 계층을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가) 인터페이스는 A 서비스 포인트에 대해 표준 전송 계층 인터페이스(Transport Layer Interface; 이하 TLI)를 지원해야 한다. 또한 B 서비스 포인트에 대해 WAP TLI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WAP 포트 넘버를 필요로 하며 WAP 다이알링 메커니즘을 필요로 한다. 도 3의 링크계층(302)(여기서는 데이터 처리-proprietary 및 적응-adaptation을 위한)과 전송계층(303) 사이의 (나) 인터페이스는 A' 서비스 포인트에 대해 로칼 세그먼테이션 및 어셈블리, 즉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일련의 데이터 처리 작업 및 로칼 흐름 제어를 필요로하며 IS-657 표준에 국한시킨다. B' 포인트에 있어서는 링크와 전송 계층 사이에 적용되는 표준 적응화 방법이 이용되고 다양한 채널에 접속 가능해야 한다.
MT2-TE2 구현에서는 두 단말기간의 물리적 인터페이스 및 논리적인 인터페이스가 시스템 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대두된다. 양 단말기에서 필요한 적절한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 두 단말기간에 합리적인 데이터 흐름제어가 요구되며 이를 위해 LAPB 같은 HDLC 프레이밍(framing)을 이용하는 적절한 흐름제어 프로토콜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고, bursty data를 고려한 고처리량(high throughput)을 지원하는 물리적 인터페이스의 사양도 고려되어야만 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채용 통신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그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정보 단말과 통신 단말을 하나의 단말기 내에 결합하여 구현한 것으로서, 그 프로토콜 스택은 어플리케이션 계층(WAE)(500), 세션 계층(WSP)과 트랜잭션 계층(WTP)(510), 전송 계층(520), 링크계층(530) 및 물리계층(540)으로 구성된다. 어플리케이션 계층(500)은 자바 스크립트에 기초를 둔 데이터량을 경감할 수 있는 스키립트 언어의 WML 스크립트, 전화계 부가가치 서비스를 실현할 때 사용하는 무선 전화 어플리케이션(Wireless Telephone Application;이하 WTA)등을 정의하는 최상위 통신 계층이다. 세션 계층(Wireless Session layer Protocol; 이하 WSP)과 트랜잭션 계층(Wireless Transaction Protocol; 이하 WTP)(510)은 전송계층(520) 상위에 놓여 각각 논리적인 접속을 정의하고, 데이터의 전송방식을 정의한다. 전송 계층(520)은 링크계층(530)) 상위에 놓여져 하위에 오는 여러 가지 이동통신 시스템의 bearer 서비스와 적합시키기 위해서 각 Bearer 서비스마다 통신 방식을 정의하는 통신 계층이다. 링크계층(530)은 도 3에서의 서킷/패킷 채널 처리 계층(313)을 말하며, 무선 데이터 입출력을 위해 무선 특성에 맞는 에러 보정 및 재전송 매커니즘을 채용하여 bearer 서비스와 링크하는 통신 계층으로, 서킷 데이터와 패킷 데이터를 구분하여 전송 처리한다. 음성 신호에 대해서는 서킷 데이터로 분류하여 TCP/IP/PPP와 같은 전송 계층을 통하게 하고, 다른 각종 정보에 대해서는 패킷 데이터로 분류하여 TCP/IP/PPP 전송 계층을 통하게하지 않고 곧바로 공중파 데이터 적응을 위한 RLP(Radio Link Protocol) 계층을 통하게 한다. 물리계층(540)은 서킷 또는 패킷 데이터의 공중파 송수신을 위한 처리 계층으로서, 여기에서는 CDMA 계층을 말한다.
도 5에서는 전송 계층을 TCP/IP/PPP로 채택했을 경우의 구조이다. 전화 부분에 존재하는 서킷 서비스를 위한 IS -99용 TCP/IP/PPP로 인해 단말기상에서 이중적인 TCP/IP/PPP를 보유하는 형상을 보인다. 도 3의 MT2-TE2일 경우는 각각의 처리능력으로 인해 각각의 단말기에 TCP/IP/PPP가 존재하는 형상에 대해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MT2와 TE2를 결합한 형태의 단말기에서는 기존의 각 단말기의 프로코콜 스택을 그대로 사용한다는 것이 시스템 자체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WAP 서비스를 위해서는 CSD(Circuit Service Data) 채널 사용을 가능한 지양하는 쪽으로 규격이 정해지거나, CSD 채널의 TCP/IP/PPP 하나만을 이용하는 방법등이 고려될 수 있다. WAP의 적응 계층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적절하게 서비스 채널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기존 패킷/서킷 채널 선택 방법의 표준인 AT 명령어 방법이 적절하며, 다만 단문 메시지 서비스 채널 선택 방법에 대해서는 AT 명령어를 확장하여 이용해야만 할 것이다. AT 명령어 방법을 이용할 경우 도 5의 접속 관리에서 RLP를 거치지 않고 CDMA의 SMS 채널로 곧바로 접속이 이뤄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부가가치의 실질적인 서비스를 추구하는 WAP 구조를 현재 사용중인 단말기에 적용하여 현실적으로 사용가능토록 한다.

Claims (7)

  1. 무선 데이터 입출력을 위해 무선 특성에 맞는 에러 보정 및 재전송 매커니즘을 채용하여 처리하고, 무선 데이터에 맞게 적응화시켜 데이터를 전송 및 네트웍에 접속하고, 각종 정보 서비스 실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네트웍 정보 단말기; 및
    무선 데이터 입출력을 위해 무선 특성에 맞는 에러 보정 및 재전송 매커니즘을 채용하여 처리하고, 음성 및 단문 메시지등의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 단말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채용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웍 정보 단말기는,
    자바 스크립트에 기초를 둔 데이터량을 경감할 수 있는 스키립트 언어의 WML 스크립트, 전화계 부가가치 서비스를 실현할 때 사용하는 무선 전화 어플리케이션(Wireless Telephone Application;이하 WTA)등을 정의하는 최상위 통신 계층인 어플리케이션 계층(Wireless Application Environment; WAE);
    각각 논리적인 접속을 정의하고, 데이터의 전송방식을 정의하는 제2상위 통신 계층인 세션 계층(Wireless Session layer Protocol; 이하 WSP)과 트랜잭션 계층(Wireless Transaction Protocol; 이하 WTP);
    하위에 오는 여러 가지 이동통신 시스템의 bearer 서비스와 적합시키기 위해서 각 Bearer 서비스마다 통신 방식을 정의하는 제3상위 통신 계층인 전송 계층(Wireless Datagram Protocol; 이하 WDP); 및
    무선 데이터 입출력을 위해 무선 특성에 맞는 에러 보정 및 재전송 매커니즘을 채용하여 bearer 서비스와 링크하는 제4상위 통신 계층인 링크계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채용 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계층은,
    TCP/IP/PPP를 채택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때 채택된 상기 TCP/IP/PPP는 상하 계층간 인터페이스 사양 및 TCP/IP 자체로서 무선 특성에 맞게 적응화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채용 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는,
    무선 데이터 입출력을 위해 무선 특성에 맞는 에러 보정 및 재전송 매커니즘을 채용하여 bearer 서비스와 링크하는 링크계층;
    음성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계층으로서, 음성 신호에 대해서는 서킷 데이터로 분류하여 TCP/IP/PPP와 같은 전송 계층을 통하게 하고, 상기 정보 단말기로부터의 각종 정보에 대해서는 패킷 데이터로 분류하여 TCP/IP/PPP 전송 계층을 통하게하지 않고 곧바로 공중파 데이터 적응을 위한 RLP(Radio Link Protocol) 계층을 통하게 하는 서킷/패킷 채널 (circuit/packet channel)처리 계층; 및
    상기 서킷/패킷 채널 처리 계층을 통과한 데이터를 공중으로 송신하고 공중으로부터 소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CDMA 프로토콜 계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채용 통신 단말기.
  5. 서킷 또는 패킷 데이터의 공중파 송수신을 위한 물리계층;
    상기 물리계층 상위에 놓여, 무선 데이터 입출력을 위해 무선 특성에 맞는 에러 보정 및 재전송 매커니즘을 채용하여 bearer 서비스와 링크하는 통신 계층으로, 서킷 데이터와 패킷 데이터를 구분하여 전송 처리하는 링크계층;
    상기 링크계층 상위에 놓여져 하위에 오는 여러 가지 이동통신 시스템의 bearer 서비스와 적합시키기 위해서 각 Bearer 서비스마다 통신 방식을 정의하는 전송 계층;
    전송계층 상위에 놓여 각각 논리적인 접속을 정의하고, 데이터의 전송방식을 정의하는 세션 계층(Wireless Session layer Protocol; WSP)과 트랜잭션 계층(Wireless Transaction Protocol; WTP); 및
    상기 세션 및 트랜잭션 계층 상위에 놓여, 자바 스크립트에 기초를 둔 데이터량을 경감할 수 있는 스키립트 언어의 WML 스크립트, 전화계 부가가치 서비스를 실현할 때 사용하는 무선 전화 어플리케이션(Wireless Telephone Application; WTA)등을 정의하는 최상위 통신 계층인 어플리케이션 계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채용 통신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계층은,
    서킷 데이터(circuit data)의 경우는 TCP/IP/PPP를 통하게 하고, 패킷 데이터(packet data)의 경우는 TCP/IP/PPP를 통하지 않고 곧바로 무선 데이터 세그먼테이션(segmentation)을 하도록 하는 서킷/패킷 채널 처리 계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채용 통신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계층은,
    음성 신호에 대해서는 서킷 데이터로 분류하여 TCP/IP/PPP와 같은 전송 계층을 통하게 하고, 다른 각종 정보에 대해서는 패킷 데이터로 분류하여 TCP/IP/PPP 전송 계층을 통하게하지 않고 곧바로 공중파 데이터 적응을 위한 RLP(Radio Link Protocol) 계층을 통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채용 통신 단말기.
KR1019980049494A 1998-11-18 1998-11-18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채용 통신 단말기 KR100338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494A KR100338748B1 (ko) 1998-11-18 1998-11-18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채용 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494A KR100338748B1 (ko) 1998-11-18 1998-11-18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채용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2877A KR20000032877A (ko) 2000-06-15
KR100338748B1 true KR100338748B1 (ko) 2002-07-18

Family

ID=19558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9494A KR100338748B1 (ko) 1998-11-18 1998-11-18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채용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87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8750A (ko) * 1999-12-30 2001-07-06 서평원 무선 응용 프로토콜 상에서 씨씨/피피서버를 이용한위치데이터 전송 매커니즘
KR100418744B1 (ko) * 2000-10-02 2004-02-14 (주) 젠터닷컴 서비스 코드를 이용한 핸드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그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KR101314604B1 (ko) * 2006-12-14 2013-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인터넷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2877A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9551B2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method, server apparatus, terminal device, relay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FI111506B (fi) Menetelmä palvelun laatutason valitsemiseksi langattomassa tiedonsiirtojärjestelmässä
EP1107550B1 (en) A terminal to execute a terminal application
Fasbender et al. Any network, any terminal, anywhere [cellular radio]
CN1716963B (zh) 用于选择网络接口的方法和具有多个网络接口的设备
US7295532B2 (en) System,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networking services on a mobile device
US20020143856A1 (en) Architecture and protoco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scalable web services to mobile access devices
US20040125762A1 (en) Devi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attaching to a device identifited by an access point name in a wide area network providing particular services
EP2079247B1 (en) Wireless access system and method
US20040259585A1 (en) Wireless device having dual bus archeticure for interfacing with cellular signals and short-range radio signals
Rao et al. iSMS: An integration platform for short message service and IP networks
KR100338748B1 (ko)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채용 통신 단말기
EP1183843B1 (en) Connection handle
CN100357862C (zh) 耦合应用子系统和通信子系统的应用层接口、方法和产品
KR100418200B1 (ko)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 기반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위한 게이트웨이/서버 통합 시스템
KR20050095076A (ko)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무선어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방법
Ruggaber et al. Using WAP as the enabling technology for CORBA in mobile and wireless environments
JP2000332819A (ja) 移動データ通信システム
US20020129120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gateway aggregate
AU2004203177B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Mobile Devices
Rothkugel Towards Middleware Support for Mobile and Cellular Networks
Wierlemann et al. The on the move project: Description of mobile middleware and experimental results
FI112581B (fi) Paikantava WAP-yhdyskäytävä
WO2004043034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installing an application in wireless environment
Katz et al. A scalable service architecture for computer-telephony integ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