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8750A - 무선 응용 프로토콜 상에서 씨씨/피피서버를 이용한위치데이터 전송 매커니즘 - Google Patents

무선 응용 프로토콜 상에서 씨씨/피피서버를 이용한위치데이터 전송 매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8750A
KR20010058750A KR1019990066111A KR19990066111A KR20010058750A KR 20010058750 A KR20010058750 A KR 20010058750A KR 1019990066111 A KR1019990066111 A KR 1019990066111A KR 19990066111 A KR19990066111 A KR 19990066111A KR 20010058750 A KR20010058750 A KR 20010058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location data
server
wap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6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복
윤종선
강경진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66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8750A/ko
Publication of KR20010058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8750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응용 프로토콜(WAP)상에서 CC/PP서버를 이용한 위치 데이터 전송 메커니즘은, 무선통신망으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전송받기 위한 로케이션 에이전트; WAP 클라이언트; 상기 로케이션 에이전트 및 상기 WAP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받은 위치데이터 및 상기 WAP 클라이언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CC/PP 서버; WAP 클라이언트의 위치정보를 상기 CC/PP 서버에 전달해주기 위한 푸쉬 프록시 게이트웨이부; 상기 푸쉬 프록시 게이트부를 통해 상기 CC/PP 서버에 저장된 WAP 클라이언트에 관련된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로케이션 서버로 이루어지는 위치 데이터 전송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로케이션 에이전트나 상기 푸쉬 프록시 게이트 웨이를 통해 전송받은 위치데이터들을 상기 CC/PP서버에서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로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푸쉬 프록시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WAP 클라이언트의 위치데이터에 대한 요구가 있는 경우 미리 저장되어져 있는 WAP 클라이언트의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망의 위치 데이터들을 편리한 인터페이스 구조로 구현할 수 있으며 단말기까지 푸쉬를 내리지 않고도 위치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므로 시스템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속도의 개선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무선 응용 프로토콜 상에서 씨씨/피피서버를 이용한 위치데이터 전송 매커니즘{Mechanism for location data transmission using CC/PP server on the Wireless Application Protocal}
본 발명은 무선 응용 프로토콜(WAP)상에서 CC/PP서버를 이용한 위치데이터 전송 매커니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위치정보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을, 보안성과 신뢰성을 가지며 저비용, 고효율로 구현하는 무선 응용 프로토콜(WAP)상에서 CC/PP서버를 이용한 위치데이터 전송 매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로케이션 서버를 바탕으로 한 위치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위치전송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가입자 단말기(1)와, 무선 통신망(2)과, 로케이션 서버(3)와 로케이션 서비스 업체(4)로 구성된다.
상기 로케이션 서버(4)나 이와 유사한 시스템(이하 로케이션 서버라 칭함)은 상기 가입자 단말기(1)내에 GPS수신기가 있을 경우, 무선 통신망(2)을 통해 그 수신한 GPS데이터나, 위치결정기술 예를 들면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AOA(Angle Of Arrival), 또는 두 가지 기술을 혼합한 기술등을 통해 산출된 데이터(위치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가입자 단말기의 정확한 위치정보를 구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단말기의 위치를 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위치 데이터라 칭하고 위치 데이터로 산출된 단말기의 위치를 위치정보라 칭한다.
상기 로케이션 서비스업체(4)는 여러 가지 목적으로 그 로케이션 서버(3)를 통해 얻은 가입자(1)의 위치정보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위험에 처한 가입자(1)의 위치정보를 구하는 119긴급구조 서비스나,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그 외에도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114서비스를 해줄 수도 있다.
전송을 담당하는 하부구조는 기본적으로 기존의 무선통신망(Wireless Network)(2)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며, GPS, TDOA, AOA등과 같은 위치결정 기술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기본적으로 단말기가 위치한 셀섹터(Cell Sector)정보를 통하여 대략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위치결정에 필요한 위치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기술들이 이용될 수 있다. 가입자 단말기(1)에 GPS수신기를 장착한 후 GPS 위성에서 발사하는 전파를 수신하여 수신기의 위치를 구할 수 있으며, TDOA 즉, 전파도착시간 차이를 이용한 기술이나 AOA 즉, 신호의 도착각도를 이용한 기술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런 기술들이 구축되어져 있지 않거나 이용할 수 없는 환경일 경우에는 단말기가 위치한 셀섹터 정보를 통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본적으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관련기술을 통해 얻어진 위치 데이터 또는 그 외 기본적인 데이터들이 필요하다.
위치정보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케이션 서비스업체(4)들은 로케이션 서버(3)에게 특정 단말기(1)의 위치정보를 요구하게 된다. 위치정보의 요구를 받은 로케이션 서버(3)는 무선 통신망(2)을 통해 해당 단말기(1)에 대한 위치데이터를 요구한다. 이때 무선 통신망(2)에서는 해당 교환기(MSC), 기지국 제어기(BSC), 기지국(BTS)을 거쳐 해당 단말기(1)의 위치를 구하기 위한 위치데이터를 구하고 이를 로케이션 서버(3)에 전송해준다.
위치데이터를 받은 로케이션 서버(3)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단말기(1)의 위치를 결정하고 그 결과를 해당 단말기(1)에 대한 위치정보가 필요한 로케이션 서비스 업체(4)에 전송해준다.
GPS를 이용한 위치결정시 사용되는 위치 데이터 흐름의 예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단말기가 미사용(Idle)중인 상태일 위치결정을 위한 GPS 관련 데이터들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로케이션 서버(3)에서 위치데이터에 대한 요구가 들어오면(단계1) GPS수신기를 장착한 단말기(1)는 수신한 GPS위치정보를 전송한다(단계2). 로케이션 서버(3)를 통해 GPS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데이터(GPS Assistant Data)를 수신한(단계3) 다음 이를 이용하여 계산하고 GPS위치정보를 전송한다(단계4).
위와 같은 흐름은 CDMA 무선통신망의 경우, 페이징 채널과 액세스 채널을 통하여 해당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도 3은 단말기가 통화중일 때의 위치결정을 위한 GPS관련 데이터들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CDMA 무선통신망의 경우, 통화중인 단말기는 트래픽 채널을 점유한 상태이다(단계11). 나머지 흐름(단계12 - 15)은 도 2와 유사하다. 단지 통화중이므로 순방향 통화채널과 역방향채널을 통하여 해당 위치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 가입자의 위치 데이터를 얻고자 하는 경우, 무선 통신망의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과 수신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위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경우에는 채널을 점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그러므로 위치데이터 송수신만을 위한 프로토콜이 단말기와 로케이션 서버에 미리 정의되어져 있어야 하며 이에 따라 위치 데이터 송수신 프로토콜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게 된다. 단말기가 위치정보를 요구한 경우, 로케이션 서비스로부터 위치정보 도착 유무를 확인할 수 있지만 위치정보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들을 표현하기에는 어렵다. 예를 들면 114서비스를 할 경우 "현재 위치에는 약국이 없습니다. 병원을 찾아보시겠습니까? 아니면 다른 지역의 약국을 찾아볼까요?"와 같은 메시지를 가입자에게 알려주기란 상당히 어렵다.
이동 통신망의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는 경우, 위의 두 가지 문제점은 해결되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있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보안을 위한 메커니즘이 없으므로 보안성에 문제점이 있고, 재전송 및 확인 기능이 없으므로 메시지 전송에 대한 신뢰도가 낮다.
이런 문제점은 원하지 않는 위치추적을 당할 수도 있으며, 긴급한 상황에 처했을 경우 단말기 가입자에게는 치명적인 일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특정채널을 이용하여 위치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 특정 하부구조(GSM, CDMA)에 대해서만 적용 가능하므로 특정하부구조가 지원되지 않는 곳에 적용하기는 힘든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로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며 별다른 프로토콜의 변경없이 새로운 위치 데이터가 추가되거나 변경가능하게 하여 위치 데이터 전송과 위치 정보 수신 및 업데이트가 용이한 WAP상에서 CC/PP서버를 이용한 위치 데이터 전송 메커니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로케이션 서버를 바탕으로 한 위치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단말기가 미사용(Idle)중인 상태일 때의 위치결정을 위한 GPS 관련 데이터들의 흐름도.
도 3은 단말기가 통화중일 때의 위치결정을 위한 GPS관련 데이터들의 흐름도.
도 4는 WAP상에서 CC/PP서버를 이용한 위치 데이터 전송 메커니즘.
도 5는 WAP 클라이언트에서 위치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데이터 전송 흐름도.
도 6은 로케이션 에이전트를 이용해서 무선 통신망에서 위치 데이터를 구해서 전송할 때의 데이터 전송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입자 단말기 2 : 무선 통신망
3 : 로케이션 서버 4 : 로케이션 서비스 업체
10 : 무선통신망 20 : 로케이션 에이전트
30 : WAP 클라이언트 31 : 로케이션 서비스 에이전트
40 : CC/PP 서버 50 : 게이트 웨이부
51 : WAP 게이트 웨이 52 : 푸쉬 프록시 게이트웨이
60 : 로케이션 서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WAP상에서 CC/PP서버를 이용한 위치 데이터 전송 메커니즘은 무선통신망으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전송받기 위한 로케이션 에이전트; WAP 클라이언트; 상기 로케이션 에이전트 및 상기 WAP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받은 위치데이터 및 상기 WAP 클라이언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CC/PP 서버; WAP 클라이언트의 위치정보를 상기 CC/PP 서버에 전달해주기 위한 푸쉬 프록시 게이트웨이부; 상기 푸쉬 프록시 게이트부를 통해 상기 CC/PP 서버에 저장된 WAP 클라이언트에 관련된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로케이션 서버로 이루어지는 위치 데이터 전송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로케이션 에이전트나 상기 푸쉬 프록시 게이트 웨이를 통해 전송받은 위치데이터들을 상기 CC/PP서버에서 저장하고 있다가상기 로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푸쉬 프록시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WAP 클라이언트의 위치데이터에 대한 요구가 있는 경우 미리 저장되어져 있는 WAP 클라이언트의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는 점에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 데이터 전송 메커니즘은, WAP 클라이언트에서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로케이션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무선통신망의 위치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그 WAP 클라이언트 전송단계는, WAP 클라이언트로부터 일정 주기마다 CC/PP서버에 있는 위치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로케이션 서버가 상기 푸쉬 프록시 게이트 웨이를 통해 CC/PP 서버에 위치데이터의 존재유무를 확인하여 CC/PP 서버에 위치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위치 데이터를 전송받고, 위치 데이터가 없거나 최근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는 푸쉬 프록시 게이트 웨이를 통해 푸쉬를 내려서 WAP 클라이언트에 위치 데이터를 요구하는 단계; 상기 로케이션 서버의 위치데이터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WAP 클라이언트가 위치데이터를 로케이션 서버로 전송하고 CC/PP서버에도 전송하여 업데이트해 주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에 그 특징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WAP상에서 CC/PP서버를 이용한 위치 데이터 전송 메커니즘을 보여주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WAP상에서 CC/PP서버를 이용한 위치 데이터 전송 메커니즘은 무선통신망(10)과, 그 무선통신망(10)에서만 줄 수 있는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는 로케이션 에이전트(20)와, WAP 클라이언트(30)와, WAP 클라이언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CC/PP 서버(40)와, WAP 게이트 웨이 및 푸쉬 프록시 게이트웨이로 이루어진 게이트 웨이부(50)와, 그 게이트 웨이부(50)에 연결되는 로케이션 서버(60)로 구성된다.
이는 도 1의 위치 데이터 전송 매커니즘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나 하부구조로 무선 응용 프로토콜(WAP)을 사용한다. 이때, 전송되는 데이터는 WML(Wireless Markup Language)형태를 가진다.
이동통신망에서 제공하는 무선 응용 프로토콜(WAP)을 하부구조로 사용하기 위해 단말기에 수용된 네 개의 프로토콜 계층 즉, 무선 세션 프로토콜(Wireless Session Protocal), 무선 트랜잭션 프로토콜(Wireless Transaction Protocal), 무선 트랜스퍼층 보안 프로토콜(Wireless Transport Layer Security Protocal), 무선 데이터그램 프로토콜(Wireless Datagram Protocal)이 하부 구조 정합 부분을 담당하고, 단말기의 WML 브라우저가 후면 인터페이스 부분을 담당한다.
그리고 로케이션 서비스 에이전트(Agent)(31)를 두어 위치 데이터 전송 및 위치 서비스 수신역할을 담당하게 한다.
무선 통신망(10)에는 로케이션 에이전트(20)를 두어 무선통신망(10)에서만 줄 수 있는 위치 데이터를 전송한다. 예를 들면 단말기의 위치측정을 위해 TDOA를 이용할 경우에는 각각의 기지국마다 수신되는 단말기 신호의 도착시간이 필요로 한다. 즉, TOA(Time Of Arrival)는 단말기 자체내에서 계산할 수 없는 데이터이므로 이동통신망에서 데이터를 전송받아야 한다. 마찬가지로 AOA 즉 기지국간의 각도를 이용해 위치를 측정할 경우에도 이동통신망에서 위치데이터를 전송받아야 한다.
CC/PP 서버(40)는 클라이언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게 된다. 여러 WAP 클라이언트 들마다 서로 다른 성능(capability)(스크린 크기, 컬러, 소리, 이미지 가능 유무)을 가지고 있고, 서로 다른 프리퍼런스(preferrence)를 가지고 있는데, CC/PP 서버(40)에서는 그런 정보들을 가지고 있다.
무선통신망에 새롭게 무선 응용 프로토콜 인프라를 제공한다고 하더라도 종전의 무선 통신망의 채널을 이용한 방법등과 같은 위치데이터 전송방법은 계속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WAP상에서 로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위치 데이터 전송 매커니즘에서는 WAP인프라가 구축되어져 있다면 WAP스택을 이용하여 보다 신뢰성 있고 편리하게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주된 기술은 WAP의 푸쉬(Push)기술이다.
본 발명에서 기술하고 있는 푸쉬(Push)기술은 WAP인프라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해주는 푸쉬기술과 동일하나,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없이 특정 정보를 전달해주는 것이 아니라 로케이션 서버(60)가 위치정보를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위치데이터를 WAP 클라이언트(30)에게 요구하기 위해 푸쉬(Push)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풀(Pull: WAP 클라이언트(30)에서 서버쪽으로 정보나 서비스를 요구하는 것)에서는 WAP 클라이언트(30) 내부적으로 서버에게 해당 클라이언트의 용량과 프리퍼런스를 알려준다. 마찬가지로 푸쉬 기술에서도 클라이언트의 용량과 프레퍼런스와 같은 데이터들은 푸쉬하기 전에 알아야 하는 정보들이다. 이런 정보들은 CC/PP서버(40)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서는 CC/PP 서버(40)에 위에서 말한 정보들외에도 위치데이터를 저장한다. 종래기술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 데이터는 WAP 서버에서 줄 수 있는 GPS 정보같은 위치데이터와, 무선통신망에서 줄 수 있는 위치 데이터로 구분된다. 따라서, 이러한 위치 데이터들을 CC/PP 서버(40)에 저장함으로써 통일된 패스를 통해 위치데이터를 구할 수 있다.
그러면 WAP 클라이언트(30)에서 위치데이터를 전송할 때와 로케이션 에이전트(20)를 이용해서 무선 통신망(10)에서 위치 데이터를 구해서 전송할 때의 동작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WAP 클라이언트에서 위치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데이터 전송 흐름도이며, 도 6은 로케이션 에이전트를 이용해서 무선 통신망에서 위치 데이터를 구해서 전송할 때의 데이터 전송 흐름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WAP 클라이언트에서 위치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작업이 이루어진다.
로케이션 서버 에이전트(31)에서는 자동적으로 정해진 주기마다 CC/PP서버(40)에 있는 위치데이터를 업데이트한다(단계21). 로케이션 에이전트(20)에서 오는 데이터와 구분하기 위해 관련되는 위치데이터에 관련되는 기술도 같이 명시해준다. 예를 들면 123122334:/GPS:/123123.11234와 같은 형태가 가능하다.
로케이션 서버(60)는 푸쉬 프록시 게이트 웨이(Push Proxy Gateway)(52)를 통해 CC/PP 서버(40)에 위치데이터의 존재유무를 확인하여(단계22,23), 만일 CC/PP 서버에 위치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위치 데이터를 전송받고(단계24), 위치데이터가 없거나 최근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는 푸쉬 프록시 게이트 웨이(52)를 통해 푸쉬를 내려서 WAP 클라이언트(30)의 로케이션 서비스 에이전트(31)에게 위치 데이터를 요구한다(단계25).
위치데이터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위치데이터를 로케이션 서버로 전송하고 CC/PP서버에도 전송하여 업데이트해 준다(단계26).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로케이션 에이전트(20)를 이용하여 무선통신망(10)에서 위치데이터를 구한 뒤 전송할 때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작업이 이루어진다.
통신망 사업자는 정한 주기 또는 로케이션 서버에서 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주기적으로 무선통신망에 위치데이터를 요구한다. 로케이션 에이전트와 무선 네트워크간의 프로토콜은 TCP로 다량의 위치 데이터 요구와 전송을 위해 패킷구조로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진다(단계31).
로케이션 에이전트는 CC/PP 서버로 위치데이터를 송신한다(단계32). 위치데이터를 받은 CC/PP서버는 위치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렇게 CC/PP 서버에 저장된 위치데이터는 로케이션 서버로부터의 위치데이터 요구가 있을 때 전송된다(단계33 - 단계35).
위에서, 로케이션 에이전트(20)에서는 위치정보를 구하고자 하는 전화번호와 같은 WAP 클라이언트(30)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들을 패킷에 실어서 무선통신망(10)에 위치데이터를 요구하며, 추가적으로 여러 패킷으로 나누어 보낼 경우를 위해 패킷의 시퀀스 번호나 패킷의 길이 등과 같은 패킷의 정보도 함께 보낸다.
이때 무선통신망에서 위치데이터 요구수신과 송신을 담당하는 부분에서는 전화번호, 위치추적기술, 위치데이터등과 같은 순서로 패킷에 실어 보내주면 된다. 예를 들면 123122334:/TDOA:/123123.11234와 같은 형태로 패킷정보와 함께 실어 보내주면 된다. 로케이션 에이전트에서는 패킷을 읽어들여 CC/PP서버에 저장할 수 있는 타입(RDP등)으로 전송한다. 위와 같이 로케이션 에이전트를 둠으로써 WAP만으로는 제공하기가 어려운 위치 데이터들을 일관된 패스를 통해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CC/PP서버에서는 로케이션 에이전트나 푸쉬 프록시 게이트 웨이를 통해 전송받은 위치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있다가 푸쉬 프록시 게이트웨이를 통해 위치 데이터에 대한 요구가 들어오면 해당 WAP 클라이언트의 위치데이터 요구시 WAP 클라이언트까지 내려가 위치데이터를 가져올 필요없이 미리 저장되어져 있는 위치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로케이션 서버는 기본적으로 전송받은 WML 형태의 위치데이터에서 필요한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고 푸쉬 프록시 게이트 웨이로 위치 데이터를 요구하고 위치데이터를 전송받는 역할을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WAP상에서 CC/PP서버를 이용한 위치 데이터 전송 메커니즘에 의하면, 이동 통신망을 하부구조로 사용하므로 추가적으로 하부구조 구축비용이 들지 않으며, 단말기에 수용된 무선 응용 프로토콜(WAP)브라우저를 사용하므로 휴먼 인터페이스가 쉽고, 위치정보가 숫자, 문자와 그림을 포함한 WML문서형태로 가입자에게 보고되므로 다양한 형태의 로케이션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로케이션 에이전트를 이용하면 WAP만을 사용할 경우 구현하기 힘든 무선통신망의 위치 데이터들을 편리한 인터페이스 구조로 구현할 수 있으며 패킷 인터페이스 구조이므로 한번에 여러 명의 위치 데이터를 요구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아울러, CC/PP 서버를 이용하면 단말기까지 푸쉬를 내리지 않고도 위치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므로 시스템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속도도 빨라져서 효율적이다.
거기에, WAP를 하부구조로 수용함으로써, 얻어지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WTP 계층에 의해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신뢰성 및 WTLS계층에 의해 보안성이 보장되며, WDP계층에 의해 다양한 하부구조(단문 메시지, CDMA, GSM, IMT-2000, 위성전화등)를 가질 수가 있다.
또한, 새로운 위치 데이터가 추가되거나 변경되는 경우에도 별다른 프로토콜의 변경없이 WAP을 바탕으로 위치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로케이션 서비스들은 인터넷을 통해 로케이션 정보를 요구하므로 구현이 쉽고, 로케이션 서비스 에이전트를 이용하므로 위치 데이터 전송과 위치 정보 수신 및 업데이트가 쉽다.

Claims (3)

  1. 무선통신망으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전송받기 위한 로케이션 에이전트; WAP 클라이언트; 상기 로케이션 에이전트 및 상기 WAP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받은 위치데이터 및 상기 WAP 클라이언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CC/PP 서버; WAP 클라이언트의 위치정보를 상기 CC/PP 서버에 전달해주기 위한 푸쉬 프록시 게이트웨이부; 상기 푸쉬 프록시 게이트부를 통해 상기 CC/PP 서버에 저장된 WAP 클라이언트에 관련된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로케이션 서버로 이루어지는 위치 데이터 전송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로케이션 에이전트나 상기 푸쉬 프록시 게이트 웨이를 통해 전송받은 위치데이터들을 상기 CC/PP서버에서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로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푸쉬 프록시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WAP 클라이언트의 위치데이터에 대한 요구가 있는 경우 미리 저장되어져 있는 WAP 클라이언트의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AP상에서 CC/PP서버를 이용한 위치 데이터 전송 메커니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데이터 전송 메커니즘은,
    WAP 클라이언트에서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로케이션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무선통신망의 위치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AP상에서 CC/PP서버를 이용한 위치 데이터 전송 메커니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WAP 클라이언트 전송단계는,
    WAP 클라이언트로부터 일정 주기마다 CC/PP서버에 있는 위치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로케이션 서버가 상기 푸쉬 프록시 게이트 웨이를 통해 CC/PP 서버에 위치데이터의 존재유무를 확인하여 CC/PP 서버에 위치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위치 데이터를 전송받고, 위치 데이터가 없거나 최근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는 푸쉬 프록시 게이트 웨이를 통해 푸쉬를 내려서 WAP 클라이언트에 위치 데이터를 요구하는 단계;
    상기 로케이션 서버의 위치데이터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WAP 클라이언트가 위치데이터를 로케이션 서버로 전송하고 CC/PP서버에도 전송하여 업데이트해 주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AP상에서 CC/PP서버를 이용한 위치 데이터 전송 메커니즘.
KR1019990066111A 1999-12-30 1999-12-30 무선 응용 프로토콜 상에서 씨씨/피피서버를 이용한위치데이터 전송 매커니즘 KR200100587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111A KR20010058750A (ko) 1999-12-30 1999-12-30 무선 응용 프로토콜 상에서 씨씨/피피서버를 이용한위치데이터 전송 매커니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111A KR20010058750A (ko) 1999-12-30 1999-12-30 무선 응용 프로토콜 상에서 씨씨/피피서버를 이용한위치데이터 전송 매커니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8750A true KR20010058750A (ko) 2001-07-06

Family

ID=19633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6111A KR20010058750A (ko) 1999-12-30 1999-12-30 무선 응용 프로토콜 상에서 씨씨/피피서버를 이용한위치데이터 전송 매커니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875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5022A1 (en) * 2004-12-13 2006-06-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eb services using preference information
KR100804143B1 (ko) * 2001-12-27 2008-02-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ppg를 이용한 위치 기반 게시판서비스 방법
KR100823899B1 (ko) * 2002-04-11 2008-04-21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위치 정보 시스템으로 게이트웨이를 동작시키는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0800A (en) * 1995-10-13 1998-08-04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Client application program mobilizer
JPH10327467A (ja) * 1997-05-27 1998-12-08 Japan Radio Co Ltd ワイヤレスインターカムシステム及びこれに適するphs端末装置
US6006268A (en) * 1997-07-31 1999-12-21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overhead on a proxied connection
KR20000024947A (ko) * 1998-10-02 2000-05-06 윤종용 Wap단말기와 wap 서버와 사이의 데이터 통신장치 및 그방법
KR20000032877A (ko) * 1998-11-18 2000-06-15 윤종용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채용 통신 단말기
KR20000067044A (ko) * 1999-04-22 2000-11-15 조정남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이용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0800A (en) * 1995-10-13 1998-08-04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Client application program mobilizer
JPH10327467A (ja) * 1997-05-27 1998-12-08 Japan Radio Co Ltd ワイヤレスインターカムシステム及びこれに適するphs端末装置
US6006268A (en) * 1997-07-31 1999-12-21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overhead on a proxied connection
KR20000024947A (ko) * 1998-10-02 2000-05-06 윤종용 Wap단말기와 wap 서버와 사이의 데이터 통신장치 및 그방법
KR20000032877A (ko) * 1998-11-18 2000-06-15 윤종용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채용 통신 단말기
KR20000067044A (ko) * 1999-04-22 2000-11-15 조정남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이용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143B1 (ko) * 2001-12-27 2008-02-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ppg를 이용한 위치 기반 게시판서비스 방법
KR100823899B1 (ko) * 2002-04-11 2008-04-21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위치 정보 시스템으로 게이트웨이를 동작시키는 방법
WO2006065022A1 (en) * 2004-12-13 2006-06-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eb services using preference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2967B2 (en) Location derived presence information
US9852450B2 (en) Location blocking service from a web advertiser
EP12228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providing user-specific information to origin servers in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applications
US7809800B2 (en) Method for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n a mobile station based on DBM and TCP/IP
JP3962019B2 (ja) ローカルサービスハンドオーバー
US7768994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EP1491062B1 (en) Provision of location information
EP1168764A3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service through internet
KR2001002111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방법 및시스템
CA2409553A1 (en) Short message gateway,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 for mobile devices
MXPA06006684A (es) Metodo y aparato para entrega independiente y eficiente de servicios a dispositivos inalambricos capaces de soportar infraestructura de red e interfaces de radio multiples.
WO2001086486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ximity discovery of services
US200501306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mobile unit
US20040023670A1 (en)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mobile device to a group of mobile devices
US77207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wireless access protocol push by establishing connection-oriented signaling channel for transmitting session initiation request
KR20010058750A (ko) 무선 응용 프로토콜 상에서 씨씨/피피서버를 이용한위치데이터 전송 매커니즘
JP2003115795A (ja) 通信システム、この通信システムに用いるサーバ、エージェント制御方法、エージェント制御プログラム
CA25040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wireless access protocol push
KR100547873B1 (ko)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agps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단말 위치 측정 방법
JP3611805B2 (ja) 移動体への電子メール送信方法および通信端末装置
KR100447221B1 (ko) 버스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035285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응용 프로토콜 적용방법
KR20020045961A (ko) 왑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계방법
KR100810248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방법
US7333499B1 (en) Satisfying data requests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