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4034A - 휴대형 기기에서의 카메라모듈의 배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기기에서의 카메라모듈의 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4034A
KR20050094034A KR1020057013123A KR20057013123A KR20050094034A KR 20050094034 A KR20050094034 A KR 20050094034A KR 1020057013123 A KR1020057013123 A KR 1020057013123A KR 20057013123 A KR20057013123 A KR 20057013123A KR 20050094034 A KR20050094034 A KR 20050094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wiring board
printed wiring
opening
fram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6429B1 (ko
Inventor
잔네 하비스토
자리 힐투넨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94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4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4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0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1Optical component, e.g. opto-electronic compon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25Sockets, i.e. female type connectors comprising metallic connector elements integrated in, or bonded to a common dielectric suppor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by means of a mount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Structures For Mounting Electric Components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Abstract

휴대형 전자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모듈(10)과, 카메라모듈(10) 및 다른 구조들을 배치하기 위한 인쇄배선기판(30)을 포함한다. 카메라모듈(10)은 입력개구(12)를 포함하는 광학구역(11), 및 커넥터구역(14)을 포함하며, 커넥터구역은 카메라모듈(10)을 대향 접촉들(22, 32)에 연결하기 위한 접촉들(15)을 포함한다. 이 전자기기에서, 카메라모듈(10)의 광학구역(11)과 커넥터구역(14)은 인쇄배선기판(30)의 다른 측면들에 놓인다. 또,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10), 프레임구조(20), 인쇄배선기판(30), 프레임구조(20) 및 인쇄배선기판(30)의 결합물, 그리고 휴대형 전자기기에 카메라모듈을 배치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형 기기에서의 카메라모듈의 배치{Placement of a camera module in a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첨부된 청구항 5의 전제부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에서 카메라모듈을 배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구나,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 8의 전제부에 따른 인쇄배선기판(PWB)과, 첨부된 청구항 9의 전제부에 따른 인쇄배선기판 및 연결된 프레임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11의 전제부에 따른 프레임구조와 청구항 14의 전제부에 따른 카메라모듈에도 관한 것이다.
일부 이동기기들에서는 배경들의 디지털 화상들이 획득될 수 있고, 그 화상들은 일부 응용들에서는 이동통신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기기들에 전송될 수도 있다. 화상들을 획득하기 위해, 기기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해야 하고, 이 카메라기능은 보통은 카메라모듈 및 필요한 영상처리수단을 포함한다. 카메라모듈들은 그것들의 부분으로 통상 광학적 구조들과 전기적 구조들을 포함한다. 카메라모듈의 광학소자들(optics)은, 입력개구를 통해 적당한 전자적 수단, 이를테면 CCD셀(전하결합소자) 또는 CMOS셀(상보형 금속산화물 반도체)위에 가시 영상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렌즈들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카메라모듈의 광학소자들은, 영상을 형성되게 하는 다른 부품들, 이를테면 개구조리개(aperture diaphragm)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형적으로 카메라모듈은 다른 구성요소들의 조립과 솔더링 후에 인쇄배선기판 상에 설치되는데, 그 이유는 카메라모듈들에 보통 사용되며 많은 경우들에서 다른 부품들의 연결가공 시에 사용되는 온도보다 온도가 낮은 재료들의 열적 안정성 때문이다. 인쇄배선기판들에 설치하려 했던 공지의 카메라모듈 구조들에서, 카메라를 연결(이른바 플렉스타입 연결)하기 위한 접촉들이 보통 가요성 구조의 어느 끝단에 있거나, 이 접촉들은 카메라모듈의 바닥에, 즉, 이 모듈의 렌즈구조의 반대쪽에 있다.
커넥터의 접촉들이 가용성 구조의 끝단들에 위치되는 플렉스타입(flex-type) 구조에서는, 연결수단이 어딘가 다른 곳에 위치되는 경우, 카메라모듈을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카메라모듈의 프레임부는 이러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기기의 나머지 구조에 보통은 접착(gluing)에 의해 부착된다. 플렉스타입 구조는 빠른 템포의 조립에는 적합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무엇보다도 가요성 연결구조의 특징들과, 프레임부 및 커넥터구조에 의해 요구되는 부착작업 때문이다.
접촉들이 모듈의 바닥에 놓인 카메라모듈들은 보통은 별도의 커넥터부에 의해 인쇄배선기판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커넥터부는 다른 구성요소들과 동시에 인쇄배선기판 상에 위치되고 연결된다. 열전달을 필요로 하는 작업단계 후, 커넥터부의 접촉들에 대응하는 커넥터들을 가지는 카메라모듈이 프레임에 설치된다. 별도의 커넥터부 덕분에, 카메라모듈은 쉽게 분리되고 필요하다면 변경된다. 한편, 카메라모듈 및 인쇄배선기판 사이에 놓이게 된 커넥터부는 구조의 높이를 증가시킨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2-185827호로부터 인쇄배선기판에 대면하여 놓이는 커넥터들이 바닥에 있는 카메라구조가 알려져 있다. 이 공보에 따른 구조는 별도의 커넥터부 없이 인쇄배선기판상에 카메라모듈을 설치할 수 있게 하고, 이 때문에 구성요소의 구조를 더 낮아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별도의 커넥터부가 없기 때문에, 예를 들면 유지보수 중에, 구성요소의 교체는 커넥터부를 가지고 행해지는 해결책보다 더 성가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다음의 원리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구조를 측면도로 보여주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실시예를 렌즈개구 쪽에서 보여주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구조를 측면도로 보여주며,
도 4는 도 3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실시예를 렌즈개구 쪽에서 보여주며,
도 5는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프레임구조를 측면도로 보여주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프레임구조를 측면도로 보여준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전체 구조가 낮아질 수 있는 카메라모듈구조를 개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는 기본적으로는 독립청구항 1의 특징부에 나타내어질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독립청구항 5의 특징부에 나타내어질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카메라모듈을 배치하기 위한 방법에 관련된다.
더구나, 본 발명은 독립청구항 8의 특징부에 나타내어질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하는 인쇄배선기판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추가로 독립청구항 9의 특징부에 나타내어질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하는, 인쇄배선기판 및 이 기판에 연결된 프레임구조에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독립청구항 11의 특징부에 나타내어질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구조와, 독립청구항 14에 나타내어질 것을 그 부분에 관한 한 기본적인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에 관련된다.
다른, 종속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얼마간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나타내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서, 카메라모듈은 카메라의 입력개구(input aperture), 즉 보통은 렌즈개구가 카메라모듈의 커넥터들로부터 인쇄배선기판의 다른 쪽에 있는 식으로 인쇄배선기판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인쇄배선기판에는 카메라모듈의 광학구역이 놓일 수 있는 개구가 있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카메라모듈의 광학구역은 커넥터구역보다 그것의 직경이 더 작고 이 경우 설치 중에 카메라모듈은 커넥터구역의 넓은 부분에 의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카메라모듈은 카메라모듈의 접촉들에 대응하는 접촉들이 존재하는 어댑터부분에 연결된다. 어댑터부분은 유익하게는 프레임형 구조를 가지고 카메라모듈의 커넥터구역 둘레에서 인쇄배선기판의 높이로 놓인다. 카메라모듈의 커넥터구역의 접촉들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서, 커넥터구역의 인쇄배선기판 쪽에 놓인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 접촉들은 카메라모듈의 하나 이상의 광축방향의 측면들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유익한 실시예에서, 카메라모듈은 조립시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필요하다면, 다른 구성요소들이 부착된 후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더욱이, 카메라모듈의 광학계가 아래쪽에 배치되는 것은 손상의 위험이 현저히 감소되기 때문에 조립의 관점에서 유익하다.
본 발명은 종전보다 기기를 더 낮게(얇게)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 이유는 카메라모듈이 인쇄배선기판의 양측에 놓일 때 카메라모듈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설치하기 위해 요구되는 공간뿐 아니라 인쇄배선기판의 두께에 의해 요구되는 공간을 활용하기 때문이다. 이 이점은, 카메라모듈이 인쇄배선기판에 놓이는 가장 큰 구성요소들 중의 하나이고 다른 구성요소들이 인쇄배선기판의 양측에 놓이는 실시예들의 응용에서 특히 명확하다.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카메라모듈은 기계적 및 전기적 간섭들로부터 용이하게 보호된다. 인입선들(lead-ins) 또는 다른 특수한 구조들이 광학계를 위해 요구되지 않고 모듈의 뒷면이 실질적으로 평탄하기 때문에, 카메라모듈을 커넥터 쪽에서부터 용이하게 넣을 수 있다
명료함을 위해, 도면들은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세부사항들만을 보여준다. 발명을 이해하는데 불필요하지만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면 자명한 구조들 및 세부사항들은 발명의 특징들을 강조하기 위해 도면들에서 생략되었다.
본 발명의 유익한 실시예에서, 카메라모듈(10)은 인쇄배선기판(30)상에 배치된 프레임(20) 속에 위치되고, 이동기기에 필요한 다른 구성요소들, 이를테면 이동기기에서의 데이터전송 또는 데이터편집에 필요한 구성요소들 역시 동일한 인쇄배선기판 상에 배치된다. 당해 실시예에 따른 일부 카메라모듈구조들(10)과 프레임구조들(20)은 대체로 도 1~4에서 보인다.
카메라모듈(10)은 상세한 설명에서 구역들(zones)이라고 하는 다른 기능적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광학구역(11)과 커넥터구역(14) 외에도, 카메라모듈(10)은 다른 구역들과 구성요소들, 이를테면 CCD셀 또는 CMOS셀을 포함하며, 이것들은 도면들에서 별도로 보이진 않았다.
광학구역(11)은, 영상의 광학적 형성을 위해, 입력개구(12)를 통해 작용방향(1)으로 열려있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구조를 포함하며, 이 렌즈구조는 하나 이상의 렌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개구(12)는 광학적 구성요소의 가장 앞쪽의 개구 또는 렌즈의 표면일 수 있는 자유영역을 말한다. 입력개구(12), 즉 보통은 렌즈개구를 통해, 카메라모듈(10)의 작용방향(1)에 평행한 이른바 광축(13)이 기록되는 대상으로부터 렌즈구조를 통해 영상센서, 즉 전형적으로는 CMOS셀 또는 CCD셀까지 계속된다.
카메라모듈(10) 및 다른 장비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카메라모듈에는 커넥터구역(14)이 존재한다. 커넥터구역(14)은 적어도 접촉들(15)을 포함하며, 이것들에 의해 카메라모듈(10)은 장치의 나머지 부분의 전기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더욱이, 커넥터구역(14)에는 이롭기로는 카메라모듈(10)의 기계적 부착을 위한 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고, 이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전기접속용으로 예정된 접촉들(15)과 동일한 요소들이다. 접촉들(15)의 수는 카메라모듈(10)의 셀의 특성에 주로 의존하고, 본 발명은 접촉들의 수에 의존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10)은, 카메라모듈의 광학구역(11)이 실질적으로 프레임 내부에 놓이면서 인쇄배선기판을 관통하는 식으로, 인쇄배선기판(30)에 연결된 프레임(20) 속에 본 발명에 따라 위치된다. 따라서, 프레임(20)은 광학구역(11)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21) 뿐 아니라, 카메라모듈(10)의 접촉들(15)에 대응하는 대향 접촉들(22), 및 인쇄배선기판(30)에의 연결을 위한 연결요소들을 포함한다. 더욱이, 유익하게는 카메라모듈(10)의 기계적 부착을 위한 요소들이 프레임(20) 내에 있을 수 있고, 이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대향 접촉들(22)과 동일한 요소들이다.
인쇄배선기판(30)은 보통은 다층형이지만 인쇄배선기판의 구조는 발명의 기본 개념을 바꾸지 않고서도 광범위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20)은, 프레임의 개구(21)와 인쇄배선기판(30)의 개구(31)가 정렬된 경우 카메라모듈(10)의 광축(13)이 당해 개구들을 관통하게 배치되고 이 경우 프레임은 인쇄배선기판의 제1측면(first side)에 놓이는 반면 카메라모듈의 작용방향(1)이 인쇄배선기판의 다른 측면으로 형성되는 식으로 인쇄배선기판(30)에 연결된다. 더구나, 이 장치에 요구되며 통상 인쇄배선기판의 양 쪽에 놓일 것들인 다른 구성요소들 및 요소들은 인쇄배선기판(30)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10) 및 프레임(20)의 접촉들(15, 22)은 많은 다른 방식들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촉들(15, 22)은 이미지 쌍 1 및 2 또는 3 및 4에 따라 배치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모듈(10)의 광축(13)에 대해 수직한 면에 있는 접촉들(15)은 커넥터구역(14)에서의 광학구역(11)측면 쪽에 있다. 접촉들(15)은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모듈(10)의 광축(13)의 각 측면에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측면들에 접촉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프레임(20)에서 카메라모듈(10)의 접촉들(15)에 대향하게 놓인 대향 접촉들(22)은 도 1에 따르면 인쇄배선기판(30)에 의해 형성된 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면 상에 존재한다.
카메라모듈(10) 및 프레임(20) 둘 다의 접촉요소들(15, 22)은 수 개의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모듈(10)의 접촉들(15), 또는 바람직하게는 프레임(20)의 대향 접촉들(22)이 클립처럼 가요성(flexible)인 경우 카메라모듈 및 프레임의 접촉들 간에는 하중력(loading force)이 존재하는 것이 유익하다. 따라서 카메라모듈(10) 및 프레임(20) 간의 전기접속은 구성요소들의 가능한 일시적인 자리이동(shifts) 동안에, 예를 들면 진동의 영향 중에 진동의 범위 밖에서 유지된다.
도 3 및 도 4에 보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카메라모듈(10)의 접촉들(15)은 커넥터구역(14)에서의 광축(13)의 방향에 평행한 측면들에 존재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접촉들(15)은 하나 이상의 측면들에 있을 수 있고, 예를 들면 도 4의 예에 따라 광축(13)의 방향에 평행한 모든 측면에 있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카메라모듈(10) 및 프레임(20)의 접촉요소들(15, 22)은 수 개의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전의 실시예들에 관련하여 나타낸 이유들 때문에, 카메라모듈(10)의 접촉들(15) 또는 바람직하게는 프레임(20)의 대향 접촉들(22)이 클립 등과 같이 가요성인 경우 카메라모듈 및 프레임의 접촉들 간에 하중력이 존재하는 것이 유익하다. 더욱이, 당해 실시예에서는, 카메라모듈(10)을 적소에 유지함에 있어 상기 하중력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인쇄배선기판(30) 쪽으로 카메라모듈을 누르는 힘이 인쇄배선기판을 향하는 식으로 대향 접촉들의 스프링 같은 구조에 의해 생성된 하중력이 카메라모듈(10)을 향하는 식으로, 프레임(20)의 대향 접촉들(22)은 각 측면에 배치된다.
위에서 나타낸 접촉구성들(15, 22)의 결합물도 가능하고 이런 방식은 상당히 많은 접촉들이 카메라모듈(10)에 요구된다면 유익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가 도 5에 보인다. 당해 실시예에서, 카메라모듈(10)은 도 1의 카메라모듈(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카메라모듈의 접촉들(15)은 커넥터구역(14) 내에서 광학구역(11) 쪽에 있는 카메라모듈(10)의 광축(13)에 수직한 면 상에 존재한다. 도 1에 나타낸 프레임(20)의 대향 접촉들(22)은, 이 실시예에서는, 인쇄배선기판(30) 위에 직접 배치된다. 따라서, 카메라모듈(10)의 접촉들(15)은 이 실시예에서 인쇄배선기판(30)에 배치된 대향 접촉들(32)에 대향하게 놓인다. 카메라모듈(10)의 부착은 그 부분에 관한 한 수 개의 다른 방식들로, 예를 들면 접착 또는 적당한 부착요소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 6에 보이고 있다. 당해 실시예에서, 카메라모듈(10)의 접촉(15)은 커넥터구역(14) 내에서 구성요소본체, 즉 패키지로부터 나오는 리드의 끝단에 존재한다. 접촉(15)의 접촉면은, 커넥터구역(14) 내에서 광학구역(11) 쪽에 있는 카메라모듈(10)의 광축(13)에 수직한 면에 존재한다. 따라서 카메라모듈(10)의 접촉들(15)은 이 실시예에서 이전의 예에서와 같이 인쇄배선기판(30)에 배치된 대향 접촉들(32)에 대향하게 놓인다. 카메라모듈(10)의 접촉들(15)은 대향 접촉들(32)에 적당한 방식으로 예를 들면 솔더링에 의해 또는 접착에 의해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모듈(10)의 접촉들(15)은 스프링 형상이고 이 경우 부착은 탄성회복상수(springback factor)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모듈(10)은 자신의 자리에 카메라모듈의 접촉들(15)이 대향 접촉들(32)에 대해 눌리는 식으로 놓인다. 카메라모듈(10)의 부착은 몇 가지 다른 방식들로도, 예를 들면 접착에 의해 또는 적당한 부착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모듈(10)의 부착은 보호셸(23)에 의해 구현된다. 따라서 보호셸(23)은 배선기판(30)에 직접 또는 프레임(20)에 의해 부착되고, 이 경우 보호셸 및 인쇄배선기판 사이에 놓이는 카메라모듈은 자신의 제자리에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촉들(15, 22, 32)의 배치 시, 카메라모듈(10)의 작용방향(1)의 반대쪽(즉 광 개구(12))에는 접촉들이 없다. 따라서 카메라모듈(10)의 전자기복사에 대한 보호가 쉽게 구현된다. 이 보호는 카메라모듈(10) 및 프레임(2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이 보호는 보호셸(23) 또는 보호판과 같은 별도의 보호요소로 행해질 수 있다. 조립의 관점에서 유익한 방식은 전자기간섭 복사를 제한하는 적당한 재료로부터 프레임(20)을 형성하는 것이다. 카메라모듈들이 프레임에 끼워맞춤될 때 가능한 프레임(20) 바깥에 놓이는 카메라모듈(10)의 영역들은 그것들에 관한 한 복사를 감쇠하는 재료를 코팅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이 유익하다. 마찬가지로, 도 5에 나타내어진 프레임 없는 실시예의 전체 카메라모듈(10) 또는 그것의 부분들에 복사감쇠재료들을 코팅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이 유익하다. 따라서, 조립 시, 간섭의 보호는 구성요소들의 설치 중에 별도의 절차 없이 이루어진다.
위에서 나타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관련하여 제시된 방법들 및 구조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함으로써, 발명의 정신에 따르는 각종 실시예들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그러므로, 앞서 제시된 예들은 발명을 제약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고, 아래의 청구항들에 나타낸 발명의 특징들의 범위 내에서 발명의 실시예들이 자유로이 변화될 수 있다.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입력개구(12)를 포함하는 광학구역(11) 및 카메라모듈(10)을 대향 접촉들(22, 32)에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접촉들을 포함하는 커넥터구역(14)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모듈(10); 및
    카메라모듈 및 다른 구조들을 배치하기 위한 평행한 제1 및 제2측면들을 적어도 구비한 인쇄배선기판(30)을 포함하며,
    카메라모듈(10)의 광학구역(11) 및 커넥터구역(14)은 인쇄배선기판(30)의 다른 측면들에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인쇄배선기판(30)은 인쇄배선기판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31)를 포함하며, 카메라모듈(10)의 광학구역(1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인쇄배선기판(30)의 상기 개구(31)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는, 적어도, 카메라모듈(10)을 연결하기 위한 접촉들(22)과, 프레임구조에서 인쇄배선기판(30)에 대향하게 자리한 측면에 있는 개구(21)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구조(20)를 더 포함하고,
    카메라모듈(10)의 광학구역(1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프레임구조(20)의 개구(21) 내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는 무선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5. 적어도 하나의 입력개구(12) 및 커넥터구역(14)을 구비한 카메라모듈(10)이 인쇄배선기판(30) 상에 배치되며, 휴대형 전자기기의 다른 구조들도 인쇄배선기판 상에 배치되는 휴대형 전자기기에서 카메라모듈(10)를 배치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모듈(10)의 입력개구(12)는 인쇄배선기판(30)을 기준으로 커넥터구역(14)과는 다른 쪽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카메라모듈(10)의 적어도 일부는 인쇄배선기판(30)을 통과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카메라모듈(10)은 인쇄배선기판(30) 상에 프레임구조(20)를 개재하여 배치되며, 인쇄배선기판(30)은 인쇄배선기판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31)를 포함하며, 프레임구조(20)는 인쇄배선기판(30)에 대향하게 놓인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21)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들(31, 21)은, 카메라모듈(10)이 상기 인쇄배선기판의 개구(31) 및 상기 프레임구조의 개구(21)의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식으로,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카메라모듈(10)을 설치하기 위한 인쇄배선기판(30)에 있어서,
    인쇄배선기판(30)에 개구(31)가 존재하며,
    카메라모듈(10)의 적어도 부분은 인쇄배선기판(30)의 개구(31)를 통과하게 배치될 수 있고,
    카메라모듈(10) 및 인쇄배선기판(30) 사이의 접촉들(15, 22, 32)은 카메라모듈이 제자리에 있을 때 전기접촉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배선기판(30).
  9. 카메라모듈(10)을 설치하기 위한 인쇄배선기판(30) 및 인쇄배선기판에 연결된 프레임구조(20)에 있어서,
    인쇄배선기판(30)에 개구(31)가 존재하며,
    또, 프레임구조 내에서, 인쇄배선기판(30)에 대향하게 자리한 측면에 개구(21)가 존재하고,
    상기 개구들(21, 31)은 카메라모듈(10)의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구조(20)의 개구(21)를 통해 인쇄배선기판(30)의 개구(31)로 배치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배선기판(30) 및 인쇄배선기판에 연결된 프레임구조(20).
  10. 제9항에 있어서, 프레임구조(20) 내에는 카메라모듈(10)을 연결하기 위한 접촉들(22)이 존재하며, 이 접촉들은,
    - 인쇄배선기판(30)의 방향에 평행한 적어도 측면, 또는
    - 인쇄배선기판(30)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적어도 하나의 측면, 또는
    - 적어도, 인쇄배선기판(30)의 방향에 평행한 제1측면 및 인쇄배선기판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제2측면 상에 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배선기판(30) 및 인쇄배선기판에 연결된 프레임구조(20).
  11. 카메라모듈(10)을 배치하기 위해 인쇄배선기판(30) 상에 배치되는 프레임구조(20)에 있어서, 적어도,
    - 카메라모듈(10)에 연결하기 위한 접촉들(22), 및
    - 카메라모듈(10)을 프레임구조(20) 내에 배치시키기 위한 제1측면 상의 설치개구를 포함하며,
    프레임구조(20)의 다른 측면에는 설치개구에 연결되어 있는 개구(21)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구조(20).
  12. 제11항에 있어서, 프레임구조(20)의 접촉들(22)은
    - 개구(21)와는 적어도 동일한 측면, 또는
    - 개구(21)를 포함하는 측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적어도 하나의 측면, 또는
    - 적어도 개구(21)를 갖는 제1측면 및 제1측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제2측면 상에 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구조(20).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접촉(22)은 카메라모듈(10)용 클램핑기기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구조(20).
  14. 인쇄배선기판(30)상에 배치되는 카메라모듈(10)에 있어서, 적어도,
    - 적어도 하나의 입력개구(12)를 포함하는 광학구역(11) 및
    - 카메라모듈(10)을 대향 접촉들(22, 32)에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접촉들(15)을 포함하는 커넥터구역(14)을 포함하며,
    카메라모듈(10)의 작용방향(1)이 커넥터구역(14)으로부터의 입력개구(12)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카메라모듈(10)의 광학구역(11)은 인쇄배선기판(3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과하여 배치될 수 있고 접촉들(15)은 커넥터구역(14) 내에서
    - 카메라모듈(10)의 작용방향(1)과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측면, 또는
    - 적어도 광학구역(11)의 광 개구(12) 쪽, 또는
    - 카메라모듈(10)의 작용방향(1)과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측면 및 광학구역(11)의 광 개구(12) 쪽에 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10).
KR1020057013123A 2003-01-17 2004-01-12 휴대형 기기에서의 카메라모듈의 배치 KR1006964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30071 2003-01-17
FI20030071A FI20030071A (fi) 2003-01-17 2003-01-17 Kameramoduulin sijoittaminen kannettavaan laittees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034A true KR20050094034A (ko) 2005-09-26
KR100696429B1 KR100696429B1 (ko) 2007-03-19

Family

ID=8565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123A KR100696429B1 (ko) 2003-01-17 2004-01-12 휴대형 기기에서의 카메라모듈의 배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40212718A1 (ko)
EP (1) EP1584222B1 (ko)
JP (1) JP2006516358A (ko)
KR (1) KR100696429B1 (ko)
CN (1) CN1799291A (ko)
AT (1) ATE325524T1 (ko)
DE (1) DE602004000813T2 (ko)
FI (1) FI20030071A (ko)
WO (1) WO200406669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428B1 (ko) * 2007-01-17 2013-08-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조립체
WO2023106574A1 (ko) * 2021-12-10 2023-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5702B2 (en) * 2004-02-09 2009-02-24 Noki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amera
KR100652751B1 (ko) * 2005-08-06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및 기판 지지용 지지부재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N100502165C (zh) * 2005-12-02 2009-06-1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数码相机模组的治具
US7268335B2 (en) * 2006-01-27 2007-09-11 Omnivision Technologies, Inc. Image sensing devices, image sensor modules, and associated methods
KR101162215B1 (ko) * 2006-08-22 2012-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DE102006039654A1 (de) * 2006-08-24 2008-03-13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Kamerasystem, inbesondere für ein Umfelderfassungssystem eines Fahrzeugs, und Montageverfahren
DE102008062261A1 (de) 2008-12-15 2010-06-17 Amphenol-Tuchel-Electronics Gmbh Skalierbarer Kamerakontaktblock,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Kamerakontaktblocks und Verfahren zum Einbau insbesondere einer SMD-Kamera in das Gehäuse eines Mobiltelefons
DE102010010405A1 (de) * 2010-03-05 2011-09-08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Optisch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srichtung und Fixierung der optischen Vorrichtung
US8339787B2 (en) 2010-09-08 2012-12-25 Apple Inc. Heat valve for thermal manage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101860156B1 (ko) * 2011-06-03 2018-05-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06982524B (zh) * 2017-04-26 2019-05-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组件及移动终端
CN106982525B (zh) * 2017-04-26 2019-05-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组件及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6235B2 (ja) * 1997-12-25 2006-10-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607160B2 (ja) * 2000-04-07 2005-01-05 三菱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1358997A (ja) * 2000-06-12 2001-12-26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JP4405062B2 (ja) * 2000-06-16 2010-01-27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固体撮像装置
EP1180718A1 (fr) * 2000-08-11 2002-02-20 EM Microelectronic-Marin SA Appareil de prise d'images de petites dimensions, notamment appareil photographique ou caméra
US7304684B2 (en) * 2000-11-14 2007-12-04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pickup apparatus, method of making, and electric apparatus having image pickup apparatus
JP3630096B2 (ja) * 2000-11-30 2005-03-16 三菱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搭載携帯電話機
JP2002252797A (ja) * 2001-02-26 2002-09-06 Sony Corp 固体撮像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428B1 (ko) * 2007-01-17 2013-08-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조립체
WO2023106574A1 (ko) * 2021-12-10 2023-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12718A1 (en) 2004-10-28
JP2006516358A (ja) 2006-06-29
WO2004066692A1 (en) 2004-08-05
FI20030071A (fi) 2004-07-18
ATE325524T1 (de) 2006-06-15
CN1799291A (zh) 2006-07-05
EP1584222A1 (en) 2005-10-12
KR100696429B1 (ko) 2007-03-19
FI20030071A0 (fi) 2003-01-17
DE602004000813D1 (de) 2006-06-08
DE602004000813T2 (de) 2006-11-02
EP1584222B1 (en)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7783B2 (en) Lens modul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KR100696429B1 (ko) 휴대형 기기에서의 카메라모듈의 배치
CN105959522B (zh) 用于车辆的摄像头模块
CN1599428B (zh) 小型成像组件
JP4528343B2 (ja) 受動熱伝達を備える光学トランスポンダ
EP2018046B1 (en) Mounting Structure For Compact Camera Module
US8116099B2 (en) Circuit board device,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and GND connecting method
EP2696575A1 (en)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KR101422954B1 (ko) 카메라 모듈
US10965851B2 (en) Camera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KR20080031570A (ko)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494333B1 (ko)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US20200214167A1 (en) Heat dissipation structure and heat dissip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20190019729A (ko) 카메라 모듈
US6767137B2 (en)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element
US6808422B2 (en) Filter inser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053314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ignal to a circuit board component
KR100510625B1 (ko) 고체 촬상 소자의 제조 방법
US20080000675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tructural support to printed wiring assembly components
US20020129954A1 (en) Spring levers used for locating and preloading a PCB
KR20100007487A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JP6980501B2 (ja) 接続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6994341B2 (ja) 電子機器
KR20070090435A (ko) 카메라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200076995A1 (en) Camera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