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2806A - 악취 제거 효과를 가지는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악취 제거 효과를 가지는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2806A
KR20050092806A KR1020040017898A KR20040017898A KR20050092806A KR 20050092806 A KR20050092806 A KR 20050092806A KR 1020040017898 A KR1020040017898 A KR 1020040017898A KR 20040017898 A KR20040017898 A KR 20040017898A KR 20050092806 A KR20050092806 A KR 20050092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apsules
interior
manufacturing
fragrance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7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7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2806A/ko
Publication of KR20050092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806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5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ing ingredients of the macro-molecular coating
    • D06N3/0068Polymeric granules, particles or powder, e.g. core-shell particles, microcapsu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12Processes in which the treating agent is incorporated in microcapsu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16Properties of the materials having other properties
    • D06N2209/165Odour absorbing, deodorizing abil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11/00Specially adapted uses
    • D06N2211/12Decorative or sun protection articles
    • D06N2211/26Vehicles, transportation
    • D06N2211/263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 제거 효과를 가지는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실내에서 발생하는 신차 고유의 휘발성 악취 및 불쾌한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면서 아로마테라피 등 기능성 효과의 제공이 가능한 향 물질을 코어물질로 함유한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을 적정 입자 크기 및 픽업률로 내장재 원단에 부착시켜 제조하는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내장재를 시트 커버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운전자나 승객의 착석시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 및 충격에 의해 내장재에 부착된 마이크로캡슐의 피막재료가 손상되면서 차실 내부로 향 물질이 발산되고, 이를 통해 차실 내부의 악취 제거 및 기능성 향의 효과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악취 제거 효과를 가지는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본 발명은 악취 제거 효과를 가지는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실내에서 발생하는 신차 고유의 휘발성 악취 및 불쾌한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면서 아로마테라피 등 기능성 효과의 제공이 가능한 향 물질을 코어물질로 함유한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을 적정 입자 크기 및 픽업률로 내장재 원단에 부착시켜 제조하는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실내에는 각종 플라스틱 부품과 직물류 부품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운전자는 차량 도난과 운전시의 집중력 분산 방지, 차가운 외부 공기의 차단 등을 위해 도어 글래스를 닫은 상태로 차량을 주/정차 및 주행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자동차가 대부분 에어컨이나 히터를 장착한 상태에서 폐쇄된 상태로 주/정차 및 주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이 자동차 실내가 비교적 밀폐된 환경이면서 환기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 내부의 냄새는 비교적 오래동안 차량 실내에 잔존하게 된다.
아울러, 자동차 내장재는 고분자 화합물로 제조시에 가소제, 보강제, 강화제 등의 첨가물이 들어가며, 각 부품의 접착을 위한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첨가물이나 접착제에서는 휘발성 물질들이 발산되는데, 이러한 물질들은 신차 냄새 또는 악취로 취급되고 있는 실정이며, 각 자동차 메이커에서는 이러한 냄새를 저감 또는 제거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형편이다.
자동차 실내의 냄새를 저감 또는 제거하기 위해서는 냄새의 근원물질을 사용하지 않거나 제거 또는 대체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지만, 현실적으로는 생산성, 개발비, 개발기간 및 소재 물성 한계 등의 문제에 의해 냄새의 근원물질을 제거 및 대체하기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고, 따라서 보다 손쉽고 효과적인 냄새 제거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게 사실이다.
통상, 차량 실내의 냄새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방향제를 이용해 악취보다 더 진한 농도의 방향성 물질을 발산시켜 후각으로 하여금 악취를 느끼지 못하게 하는 소취방법과, 냄새 원인물질을 반응성이 좋은 다른 물질과 반응시켜 냄새의 발산물질을 화학적으로 안정화시켜 휘발성을 제거해 버리거나 제3의 화합물로 변환시켜 냄새를 없애는 탈취방법이 있다.
이중에서 탈취방법은 냄새 제거의 효과면에서는 우수하다 할 수 있으나 탈취제의 제조원가가 매우 비싼데다 충분한 탈취 효과를 위해서 다량의 탈취제 사용이 요구되므로 자동차 실내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아울러, 기존 탈취제가 일회성 제품으로 탈취 효과의 지속성이 거의 없는 데에 비해 자동차 내장부품의 냄새는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오랜시간을 두고 천천히 지속적으로 휘발되는 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바, 상기와 같은 일회성으로는 완전한 탈취 효과를 얻기가 어렵다.
그리고, 소취의 방법으로는 자동차 운전자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방향제의 사용이 있는데, 이는 단기간 내의 소취 효과는 뛰어나지만 지속성이 낮아 대략 1 내지 2개월의 주기로 교환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방향제의 향 농도 측면에서도 방향제의 사용 초기에는 짙은 농도의 향이 발산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향 농도가 낮아지면서 결국 향이 완전히 소멸되어 버리므로, 일정한 농도의 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현재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대부분의 방향제는 자동차 크래쉬 패드 위에 장착하거나 에어벤트 주위에 위치시켜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향제는 자동차 내장부품의 파손 원인이 되기도 하며, 특히 내장부품 중 크래쉬 패드의 주변부품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예를 들면, 크래쉬 패드 주변부품에 적용 중인 PC/ABS 소재의 부품과 화학반응을 하게 되면, 화학적으로 안정성이 비교적 약한 PC/ABS 소재에 크랙 및 손상이 발생되는 등 사용상의 문제가 많다.
더구나, 액상의 방향제인 경우 급출발, 급제동 또는 승객의 부주의로 인해 용기에서 방향제가 쏟아지는 경우가 자주 있으며, 이때에는 크랙 및 손상 등의 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차량 실내에서 발생하는 신차 고유의 휘발성 악취 및 불쾌한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면서 아로마테라피 등 기능성 효과의 제공이 가능한 향 물질을 코어물질로 함유한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을 적정 입자 크기 및 픽업률로 내장재 원단에 부착시켜 제조함으로써, 마이크로캡슐의 향 발산작용에 의한 차실 내부의 악취 제거 및 기능성 향에 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마이크로캡슐 기술에 의한 향의 지속성과 향의 농도 제어가 가능하며, 방향제에 의한 자동차 내장부품의 화학적 손상 위험을 방지하게 되는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악취 제거 및 기능성 향 효과를 가지는 코어물질을 함유한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고, 이를 바인더 및 물과 혼합하여 현탁액으로 만든 후,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한 상기 현탁액을 패딩공정에서 내장재 원단이 통과하게 되는 용기 내에 투입하여, 최종 건조과정을 거친 내장재 원단에 마이크로캡슐이 부착되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의 코어물질로 아로마테라피 향 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의 코어물질을 둘러싸는 피막물질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또는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현탁액은 방향성 마이크로캡슐 0.8 ~ 1.5 중량%, 바인더 0.5 ~ 1.0 중량% 및 물 97.5 ~ 98.7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향성 마이크로캡슐로는 5 ~ 20㎛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딩공정에서 원단 대비 캡슐의 픽업률을 40 ~ 60%로 관리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차량 실내에서 발생하는 신차 고유의 휘발성 악취 및 불쾌한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면서 아로마테라피 등 기능성 효과의 제공이 가능한 향 물질을 코어물질로 함유한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을 적정 입자 크기 및 픽업률로 내장재 원단에 부착시켜 제조하는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장재 제조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캡슐(microcapsule)이라 함은 내부에 기능성 코어물질을 가지는 작은 입자를 말하며, 현재 마이크로캡슐화 된 형태로 사용되는 코어물질은 접착제, 농약, 세포, 효소, 향료, 의약, 잉크 등이 있고, 이 코어물질을 캡슐화 함에 의해 서방성, 안정성, 보관성 등의 기능을 부여하여 지속 방출성을 가지는 의약품, 농약, 향료, 감압 복사지 및 감압형 접착제 등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캡슐 입자 크기에 따른 정확한 분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1㎛ 이하는 나노캡슐, 1000 ㎛ 이상은 마크로캡슐이라 하며, 이 두 영역의 사이에 있는 크기를 마이크로캡슐이라 부른다.
캡슐화 기술은 그 적용목적에 따라 각기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코어물질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물리ㆍ화학적으로 보호, 격리하여 맛 냄새 등의 차단 혹은 은폐(약제, 식품 등)하거나, 방출특성을 제어(향료, 약제 등)하여 서방화 하거나 또는 코어물질의 성상을 변화하여 취급하기 좋게(용액 상 코어물질의 경우)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마이크로캡슐 기술을 적용하여 악취 제거 효과를 발휘하도록 한 자동차 내장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향의 지속성과 균일한 향 농도의 제어를 위하여 방향성 마이크로캡슐 기술을 응용한 것이며, 차량 실내의 악취를 소취할 수 있는 방향성 코어(core)물질과, 이를 보관하고 필요시에 상기 방향성 코어물질을 발산시킬 수 있는 피막(shell)물질로 구성되는 마이크로캡슐을 내장재 원단에 부착시켜 제조함에 주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캡슐이 적용되는 내장재로는 시트 커버가 효과적인 면에서 가장 유리하며, 다음은 크래쉬 패드, 리어 패키지 트림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시트 커버가 대부분 직물류나 PVC 또는 천연가죽을 소재로 하여 제작되고 있고, 이중 직물류는 방향성 마이크로캡슐과의 부착력이 뛰어나므로, 자동차용 시트 커버에 적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더욱이, 방향성 코어물질을 둘러싸고 있는 피막구조를 파괴/파손시켜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외부 압력이나 충격이 요구되는데, 운전자나 승객의 하중과 신체는 이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승객이 시트에 착석할 때마다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따라서 시트 커버에 적용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운전자나 승객이 자동차 시트에 착석을 하는 경우 신체와 시트 커버의 접촉면 사이에 있는 방향성 마이크로캡슐 중 그 일부가 파손되면서 향이 발산된다.
이때,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은 크기가 마이크로미터의 단위로 매우 작기 때문에 신체와 시트 커버의 접촉면에 위치한 방향성 마이크로캡슐 중 극히 일부만 파손된다.
이는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을 적용하고자 하는 가장 큰 이유로서, 신체와 시트 커버의 접촉면에 위치한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이 모두 파손되는 것이 아니라 이중 극히 일부만 파손되고 나머지는 그 형상을 유지하기 때문에 향의 지속성 및 일정 농도가 유지되는 것이다.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의 크기가 워낙 작기 때문에 한번에 모두 파손될 확률은 거의 없으며, 이러한 미세 크기의 구조로 인해 신체와 시트 커버의 1회 접촉시 방향성 마이크로캡슐 하나 하나의 파손될 확률은 낮고, 확률분포 상으로 일정 범위의 개수만 파손된다.
따라서, 6개월 이상의 향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고, 균일한 향의 농도로 발산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캡슐 내의 향료 종류로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y) 효과를 지닌 물질을 사용하게 되면 본 발명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최근 아로마테라피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고, 일상 생활에서 그 활용이 빈번한 바, 본 발명에서 아로마테라피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집중력 향상과 피로 회복에 유리한 향이 발산되면서 졸음운전 방지나 운전자 주의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안전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의 벽에 해당하는 피막재료로는 향 물질을 보관함에 있어 향 물질과 반응하지 않아야 하고 또한 자체 휘산되지 않아야 하며 외부 압력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어야 하므로 열경화 수지의 적용이 바람직하며, 특히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또는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의 적용이 가능하다.
결국, 본 발명에서, 내장재 원단에 부착되는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은 상기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해 피막(shell)구조를 생성하고 그 내부에 방향성 코어(core)물질을 함침시킨 미립자로, 이를 원단 표면에 부착시켜 내장재를 제조함으로써, 필요시 피막구조의 일부분 또는 전체를 파손시켜 방향성 코어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악취 제거 효과가 발휘될 수 있게 한다.
통상,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분무 건조법, 계면 중합법, 상 분리법, 인 시튜(in situ) 중합법 등이 있으며, 후술하는 실시예의 과정에서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로 캡슐화 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기 위해서 인 시튜 중합법을 이용하였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한 후에는 이 마이크로캡슐을 사용하여 내장재 원단에 부착이 용이한 현탁액을 만들어야 하며, 이때 현탁액의 조성으로는 방향성 마이크로캡슐 0.8 ~ 1.5 중량%, 바인더 0.5 ~ 1.0 중량% 및 물 97.5 ~ 98.7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의 함량은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의 크기에 영향을 받게 되는데,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의 크기가 커지면 파손될 확률이 높아지므로 함량을 낮추어야 하고,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의 크기가 작으면 함량을 높여야 일정 농도의 향이 발산된다.
여기서, 상기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의 함량을 0.8 중량% 미만으로 하는 경우 향의 발산이 적어 만족할 만한 소취 효과를 얻기가 어려우며, 1.5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발산되는 향의 농도가 지나치게 진해져 자동차 실내와 같은 밀폐공간에 적용시 과도한 농도로 인해 오히려 문제가 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크기가 20㎛를 초과하는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을 사용하는 경우 캡슐의 파손확률이 높아져 향이 쉽게 발산되기는 하나 향의 농도가 과도해지는 것은 물론 지속성이 저하될 수 있고, 사용하는 마이크로캡슐의 크기를 5㎛ 미만의 크기로 하는 경우 반대로 파손확률이 과도하게 낮아져 향이 쉽게 발산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의 크기는 5 ~ 20㎛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이러한 범위 내에서 후술하는 시험예를 통해 10㎛ 크기로 하는 경우 가장 바람직한 소취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상기 현탁액 제조시 바인더는 마이크로캡슐과 원사 사이의 부착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것으로서, 통상 아크릴계 수지나 멜라민계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실시예의 과정에서는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하였다.
이때, 바인더의 함량을 0.5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만족할 만한 부착력이 발휘되지 못하여 원사 사이로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이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결합력의 추가 상승이 없는 바, 본 발명에서는 바인더의 함량을 0.5 ~ 1.0 중량%로 제시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마이크로캡슐을 원단에 부착하는 과정은 통상의 내장재 원단 제조공정 중 패딩(padding)공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첨부한 도 1은 패딩공정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별도 설비의 추가 없이, 롤러(2,3)를 통해 원단(6)이 통과하도록 된 용기(bath, 1) 내에 통상 사용되는 유연제 및 대전방지제와 함께 마이크로캡슐이 함유된 현탁액을 투입한 후 제조하게 된다.
이때, 원단(6)이 용기(1)를 통과하는 속도는 기존 제조라인에서의 생산속도와 동일하게 하여도 무방하나 50 ~ 150m/min의 속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원단 대비 캡슐의 픽업(pick-up)률은 원단(6)이 용기(1)를 통과한 후 압축탈착용 롤러, 즉 맹글(mangle, 4)을 통과할 때 결정되는데, 이 픽업률은 원단의 종류, 롤러간의 압축력, 원단 두께, 통과속도 등에 의해 좌우된다.
차량 실내의 일정한 향의 농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의 크기와 관계가 있으므로 그 크기에 맞추어 픽업률을 조정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캡슐의 픽업률을 40 ~ 60%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범위 내에서 후술하는 시험예를 통해 50%의 픽업률로 하는 경우에서 자동차 시트 적용시 가장 적정한 향이 발산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상기와 같이 원단(6)을 용기(1)와 맹글(4)을 통과시켜 탈수과정이 끝나면 직물 건조용 텐타(tenter, 5)에서 건조시켜 내장재 원단을 완성하게 되는데, 건조시에는 80 ~ 160℃의 열풍온도가 적당하며, 건조시간은 1 ~ 10분이 적당하다.
이와 같이 하여,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시 차량 실내에서 발생하는 신차 고유의 휘발성 악취 및 불쾌한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면서 아로마테라피 등 기능성 효과의 제공이 가능한 향 물질을 코어물질로 함유한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을 적정 입자 크기 및 픽업률로 내장재 원단에 부착시켜 제조하고, 이 내장재 원단을 차량의 시트 커버로 사용하는 경우, 운전자나 승객의 시트 착석에 의해 차실 내부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마이크로캡슐로부터 발산되는 기능성 향의 효과까지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다음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의 크기와 픽업률에 따른 소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시한 입자 크기 및 픽업률 범위 내에서 다수의 시험용 원단(실시예)을 제조하였으며, 비교를 위해 본 발명의 크기 및 픽업률 범위를 벗어난 다수의 시험용 원단(비교예)을 함께 제조하였다.
먼저, 마이크로캡슐의 크기에 따른 효과 비교를 위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거 하기 표 1과 같이 마이크로캡슐의 크기를 달리한 여러 개의 시험용 원단을 제조하였는 바, 패딩공정에서 픽업률은 50%가 되도록 하였으며, 사용된 마이크로캡슐의 크기를 달리하여 제조한 것 외에는 모든 조건을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물론, 하기 표 1에서 각 비교예는 사용된 마이크로캡슐의 크기가 본 발명에서 제시한 범위를 벗어난 것들이다.
다음으로, 원단 대비 캡슐의 픽업률에 따른 효과 비교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거 하기 표 2와 같이 픽업률을 달리한 여러 개의 시험용 원단을 제조하였는 바, 모두 10㎛의 크기로 제조한 마이크로캡슐을 사용하였으며, 픽업률을 달리하여 제조한 것 외에는 모든 조건을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에서 각 비교예는 픽업률이 본 발명에서 제시한 범위를 벗어난 것들이다.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마이크로캡슐 제조시 인 시튜 중합법을 이용하였으며, 피막물질로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현탁액 제조시 바인더로는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하였다.
상기 픽업률은, 용기(bath)를 통과한 원단에 대해, 맹글(mangle) 통과 전 및 후의 후마이크로캡슐 부착 갯수를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통해 측정하여 비교하는 방법과, 맹글 통과 전과 후의 원단에 적외선을 투사하여 반응되는 정도를 비교하는 방법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전자의 방법으로 5곳 이상에 대하여 평균 부착 갯수를 비교하여 픽업률을 계산하였다.
시험예
상기한 각 시험용 원단을 가로, 세로 길이가 10㎝가 되도록 하여 절취한 후 용적 4ℓ인 데시케이터에 한 장씩 투입하였으며, 데시케이터의 용적과 시험용 원단의 면적은 자동차 냄새평가 방법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하였다.
그리고, 지름 5cm인 원판을 이용하여 원단 표면을 가볍게 2 ~ 3회 두드린 후 발향되는 냄새를 5명의 패널(A ~ B)이 하기 표 3과 같은 기준으로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캡슐의 평균 크기가 5㎛ 미만인 경우 발향 정도가 미미했으며, 30㎛로 하는 경우 향의 농도가 과도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의 결과를 볼 때, 평균 크기 10㎛ 수준의 마이크로캡슐을 사용한 경우에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최적의 결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한편,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균 크기 10㎛ 수준의 마이크로캡슐을 사용할 때 픽업률을 50%로 하였을 경우 가장 적절한 소취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최적의 소취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10㎛를 중심으로 하여 캡슐 입자 크기가 5 ~ 10㎛일 때는 픽업률을 50% 이상으로 하되 60%를 넘지 않도록 하고, 10 ~ 20㎛일 때는 픽업률이 40%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 효과를 가지는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차량 실내에서 발생하는 신차 고유의 휘발성 악취 및 불쾌한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면서 아로마테라피 등 기능성 효과의 제공이 가능한 향 물질을 코어물질로 함유한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을 적정 입자 크기 및 픽업률로 내장재 원단에 부착시켜 제조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게 된다.
1) 상기와 같이 제조한 내장재를 시트 커버로 사용하는 경우, 운전자나 승객의 착석시 마이크로캡슐의 피막재료가 손상되면서 차실 내부로 향 물질이 발산되는 바, 차실 내부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마이크로캡슐로부터 발산되는 기능성 향의 효과까지 얻게 되는 장점이 있다.
2) 상기 향 물질로서 아로마테라피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능성 향료를 사용하는 경우, 운전자의 집중력 향상, 피로 회복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바,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다.
3)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에 의해 향의 지속성과 향의 농도 제어가 가능하며, 방향제에 의한 자동차 내장부품의 화학적 손상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패딩공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bath) 2, 3 : 롤러
4 : 맹글(mangle) 5 : 텐타(tenter)
6 : 원단

Claims (6)

  1. 자동차 내장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악취 제거 및 기능성 향 효과를 가지는 코어물질을 함유한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고, 이를 바인더 및 물과 혼합하여 현탁액으로 만든 후,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한 상기 현탁액을 패딩공정에서 내장재 원단이 통과하게 되는 용기 내에 투입하여, 최종 건조과정을 거친 내장재 원단에 마이크로캡슐이 부착되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 효과를 가지는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의 코어물질로 아로마테라피 향 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 효과를 가지는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마이크로캡슐의 코어물질을 둘러싸는 피막물질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또는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 효과를 가지는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현탁액은 방향성 마이크로캡슐 0.8 ~ 1.5 중량%, 바인더 0.5 ~ 1.0 중량% 및 물 97.5 ~ 98.7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 효과를 가지는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마이크로캡슐로는 5 ~ 20㎛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 효과를 가지는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딩공정에서 원단 대비 캡슐의 픽업률을 40 ~ 60%로 관리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 효과를 가지는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
KR1020040017898A 2004-03-17 2004-03-17 악취 제거 효과를 가지는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 KR200500928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898A KR20050092806A (ko) 2004-03-17 2004-03-17 악취 제거 효과를 가지는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898A KR20050092806A (ko) 2004-03-17 2004-03-17 악취 제거 효과를 가지는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806A true KR20050092806A (ko) 2005-09-23

Family

ID=37273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898A KR20050092806A (ko) 2004-03-17 2004-03-17 악취 제거 효과를 가지는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28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27432A1 (de) * 2008-06-09 2009-12-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Kraftfahrzeug mit einer Innenraumverkleidung
CN108148281A (zh) * 2016-12-05 2018-06-12 合肥杰事杰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内外饰的低气味再生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27432A1 (de) * 2008-06-09 2009-12-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Kraftfahrzeug mit einer Innenraumverkleidung
CN108148281A (zh) * 2016-12-05 2018-06-12 合肥杰事杰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内外饰的低气味再生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148281B (zh) * 2016-12-05 2022-05-06 合肥杰事杰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内外饰的低气味再生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793B1 (ko) 후각 자극 물질들에 대한 방법들, 조성물들 및 물품들
USRE32713E (en) Capsule impregnated fabric
US6540936B1 (en) Aldehyde gas absorbent and process for absorbing aldehyde gas
WO2004096588A2 (en) Vehicle cabin air filter freshener
JP4691985B2 (ja) 樹脂成形体、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塗料、並びに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JP3048892B2 (ja) 脱臭機能を有する樹脂組成物
KR100330599B1 (ko) 다공성 탈취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92806A (ko) 악취 제거 효과를 가지는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
JP2003052800A (ja) 硫黄系悪臭の消臭に適した消臭剤組成物
TW201625321A (zh) 消臭劑、消臭劑組成物及消臭性加工品
JP3256230B2 (ja) 保護処理剤を有する芳香剤サンプラー
WO1991010772A1 (en) Treating materials
JP2002200148A (ja) 不飽和炭化水素系アルデヒドガス用消臭剤
WO2016167272A1 (ja) 消臭剤、消臭剤組成物及び消臭性加工品
DD248508A1 (de) Duftstoffspender
KR100380041B1 (ko) 천연향을 발산시키는 염화비닐수지 바닥재
JPH08207561A (ja) 芳香消臭遮光網
KR100467808B1 (ko) 천연향을 발산하는 벽지
JP2553477B2 (ja) 芳香寝装品
JP4255316B2 (ja) 機能性担体及びこれを用いた機能材
KR100402910B1 (ko) 서방향성 인조 피혁 및 그 제조 방법
US202400824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roma
KR200419289Y1 (ko) 방향성 노트
JP2018042878A (ja) 薬剤揮散具
EP3532594B1 (en) Delayed release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