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1708A -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구비한 포장백, 및 포장백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구비한 포장백, 및 포장백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1708A
KR20050091708A KR1020057009163A KR20057009163A KR20050091708A KR 20050091708 A KR20050091708 A KR 20050091708A KR 1020057009163 A KR1020057009163 A KR 1020057009163A KR 20057009163 A KR20057009163 A KR 20057009163A KR 20050091708 A KR20050091708 A KR 20050091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bag
heat
sealing
web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9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유키 쿠로사와
나오토 마츠다
이치로 쿠니히로
Original Assignee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09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1708A/ko
Publication of KR20050091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70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은, 플라스틱 필름을 가열밀봉해서 이루어진, 가열밀봉부(2)와, 비가열 밀봉부(6)에 의해 주출구(3)를 형성한 포장백에 있어서, 주출구통로(4)의 가열 밀봉부(2)와 비가열 밀봉부(6)의 경계부(Y)의 비가열 밀봉부(6)측을 구성하는 필름 내면측 표면이 폐쇄상태에 있어서는 간극을 갖지 않고 서로 접촉하고 있으므로, 내용물이 주출구(3)로부터 배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백의 제조방법은 포장백을 형성하는 웹형상의 몸통재(101,102)의 반송에 맞춰서, 백이 되었을 때의 충전물의 이동을 제한하는 밸브재(103)를 반송하고, 밸브재(103)에 충전물의 통과측에 밀봉 저해부재(106)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몸통재(101,102)를 열용착하고 있으므로, 역류방지 기능 등의 밸브기능을 갖는 포장백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구비한 포장백, 및 포장백의 제조방법{PACKAGING BAG WITH SELF-CLOSEABLE OUTFLOW POR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ACKAGING BAG}
본 발명은, 액체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고, 개봉후의 배어나옴을 방지하는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구비한 포장백, 및 자기폐쇄성 주출구, 백속을 나누는 밸브, 혹은 분기부를 갖는 포장백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플라스틱 필름 등의 가요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한번 개봉한 후에 주출구를 아래로 해서 매달아 두어도 백 내부에 수납한 액체가 유출되지 않고,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갖는 액체포장백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62-93040호 공보 등). 그리고, 이들의 액체포장백의 자기폐쇄성 주출구는, 통상은 플라스틱 필름을 가열밀봉함으로써 형성되고, 개봉후에 주출구부가 V자형으로 변형됨으로써, 백 내부에 수납한 액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이다.
종래의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갖는 포장백 및 그 제조장치의 개략이, 도28에 나타나 있다. 도28(A)은, 포장백의 제조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동(B)는 동(A)에 나타내는 장치를 사용해서 포장백을 가열밀봉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 동(C)는 종래의 포장백의 주출구의 닫힘상태에서의 단면형상을 나타내는 모식단면도, 동(D)는 종래의 포장백의 주출구의 열림상태에서의 단면형상을 나타내는 모식단면도이다.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갖는 포장백은, 플라스틱 필름을 가열밀봉해서 주출구를 형성할 때에, 도28(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주출구를 형성하는 가열밀봉 헤드의 가열부(21)에는, 주출구통로의 비가열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플라스틱 필름을 압압하지 않는 오목형상의 공소(空所)로서의 비압압부(22)를 설치하고, 가열밀봉 헤드의 가열부(21)에 대향하는 가압부(23)이 실리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탄성압압부재(24), 테프론을 함침, 소성하고, 편면에 실리콘계 점착제를 도포한 유리크로스기재(25) 포장백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필름(26,26), 테프론을 함침, 소성하고, 편면에 실리콘계 점착제를 도포한 유리크로스기재(25)를 순차 적재하고, 가열밀봉 헤드를 형체(型締)하여 가열부(21)와 가압부(23)에 의해 플라스틱 필름(26,26)을 가열, 가압함으로써 가열밀봉하고, 주출구를 형성하는 것이었다.
종래의 포장백의 제조기술에서는, 도28(B)에 보여지는 것 같이, 가열밀봉시에 가열밀봉 헤드의 가열부(21)의 비압압부(22)에 있어서, 탄성 압압부재(24)가 가압되지 않기 위해, 특히 주출구의 가열 밀봉부와 비가열 밀봉부의 경계부에서, 가열 밀봉력이 균일하게 합류하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제조되는 종래의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갖는 포장백에서는, 도2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출구통로를 형성하는 가열 밀봉부(2)와 비가열 밀봉부(6)의 경계부(Y)에 있어서, 비가열 밀봉부(6)측을 구성하는 필름 내면측 표면사이에는, 미개봉의 상태에 있어서 미소한 간극(30)이 형성된다. 필름 내면을 구성하는 재료와의 접촉각이 90°이하가 되도록 젖음성이 좋은 액체를 백 내부에 수납했을 경우에는, 포장백을 개봉한 후에 주출구(3)를 아래로 해서 백을 매달아 두면, 주출구통로에 있어서의 미소한 간극(30)으로부터, 모세관 현상에 의해 액체 등의 내용물이 배어나온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세하게는, 포장백의 주출구(3)로부터 주출구통로(4)에 대하여 수직으로 잘라낸 절편(5)(도1 참조)에 있어서, 도28(D)(E)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 내면측 표면이 형성하는 단면형상은, 가열 밀봉부(2)와 비가열 밀봉부(6)의 경계부(Y)의 근방에서는, 외면측에 볼록한 곡선상[도28(D)] 또는 불규칙한 곡선상[도28(E)]이 된다. 주출구통로의 가열 밀봉부와 비가열 밀봉부의 경계부에 있어서, 도28(C)에 서 보여지는 것 같이 미소한 간극을 갖는 것에 기인하여, 액체 등의 배어나옴이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의 포장백에서는, 주출구통로(4)의 가열 밀봉부(2)와 비가열 밀봉부(6)의 경계부(Y)의 근방으로부터 액체 등의 내용물의 배어나옴이 생기는 것을 피할 수 없다.
한편, 종래, 주입구와 주출구가 분기된 자립성 파우치, 또는 분기된 소실(小室, areola)을 갖는 파우치 등의 각종 파우치를 연속적으로 효율 좋게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되고, 또 분기실을 개별로 배리어성 포장재로 피복하는 것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분기형 파우치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공개 평11-70599호 공보). 이 분기형 파우치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파우치는 장척의 몸통벽재로부터 몸통벽재 반송방향과 파우치의 수직방향이 직각이 되는 상태로 연속적으로 또한 자동적으로 제조된다. 적어도 편측의 몸통벽재의 일부를 반송방향을 따라 제1 절곡과 제2 절곡를 행하는 것에 의해, 파우치 본체실과, 제1 분기실과, 제2 분기실이 형성된다. 제1 분기실이 충전구부로 되어, 제2 분기실이 주출구부로 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평11-193039호 공보에는, 주출기능을 갖는 포장백이 개시 되어 있다. 이 포장백은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백용기에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밸브의 기능을 갖는 구성부재를 부여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의 일본 특허공개 평11-70599호 공보에는 분기형 파우치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만, 상기한 평형 파우치, 자립형 파우치 또는 분기ㆍ자립형 파우치와 같은 주출기능을 갖는 디스펜서 파우치를 웹상의 포장재에서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것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고, 또한, 종래 알려져 있는 백의 제조방법 및 장치인채로는, 주출기능 등의 백 안에 수용된 충전물에 대하여 통과가능한 칸막이 기능을 갖게 한 파우치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없다.
또한, 스탠딩 파우치나 가젯백의 제조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9-18831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 같이, 몸통재에 붙여지는 바닥재로서의 비교적 폭이 넓은 웹을, 포밍플레이트를 사용하고, 양측끝 가장자리가 길이방향 중심선상에서 서로 돌출된 상태가 되도록 양측에서 대칭으로 되접어 꺾고, 웹의 중심선의 양측에서 이중행 배열로 제조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러한 일조의 웹으로서의 바닥재를 되접어 꺾는 것에 의해, 제조기(製袋機)의 구조를 간단히 함과 아울러, 이조의 바닥재를 사용해서 제조하고 있었던 이중행 배열의 제조기에 있어서 각바닥재의 텐션의 차이에 기인한 문제, 즉, 몸통재의 이송에 대한 이조의 바닥재의 정확한 이송이 곤란해진다는 문제점의 해소를 꾀하고 있다.
이 웹의 되접어 꺾기 방법에 따르면, 포밍 플레이트는, 각각 평면으로 구성되는 삼각형부와 삼각형부의 후류측에 각도를 이루어 접속된 직사각형부로 구성된플레이트 부품이므로, 삼각형부에서 직사각형부로 주행해 가는 사이에 웹의 되접어 꺾어지는 부분은, 그 폭방향을 차지하는 위치에 따라, 되접어 꺾기 과정에서 통과하는 패스 라인의 길이에 차이가 생긴다. 그 결과, 어떠한 대책을 강구하지 않으면, 웹에는 되접어 꺾기 과정에서 느슨해짐을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이 느슨해짐을 없애기 위해, 포밍 플레이트를 통과하는 웹에는, 그 신장량에 의해 결정되는 일정한 텐션(장력)을 작용시키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따라서, 웹의 되접어 꺾기는, 그 웹에 장력을 작용시키면서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웹 되접어 꺾기 공정에 있어서는, 웹의 각 부분에 일정한 텐션을 부하하기 위한 미묘한 장력조정을 수반하는 텐션 컨트롤이 필요하며, 신장이 적은 재료에 대해서는 되접어 꺾기 자체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포밍 플레이트 대신에, 다수의 소롤을 늘어 놓아서 되접어 꺾기를 행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지만, 이 방법도 웹에 생기는 느슨해짐을 텐션에 의해 펴는 것으로 대처하고 있고, 같은 문제가 있다. 웹에 작용하는 텐션이 불균일하면, 웹에는 느슨해짐이나 그것에 기초하는 주름이 발생하고, 주름이 생긴채 밀봉을 실시해서 백의 제조를 행하면, 제조된 백이 찌그러진 형상이 되거나, 밀봉이 불완전해져서 겉보기나 상품성이 악화되고, 최악의 경우, 백으로서 불량품이 된다. 이렇게, 되접어 꺾기 과정에서 웹에 느슨해짐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원인은, 웹의 폭방향을 차지하는 위치에 따라서 그 되접어 꺾기 과정에서 통과하는 패스 라인의 길이에 발생하려고 하는 차이를 흡수하기 위해, 웹에 작용하는 텐션이 웹의 폭방향에 불균일하게 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의 주출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의 제조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의 제조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의 제조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의 제조방법의 또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으로서의 분기ㆍ자립형 파우치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개략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7에 나타내는 포장백의 제조공정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내는 포장백의 제조공정의 진행에 따른 복수의 위치(A3∼F3위치)에 있어서 각각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나타내는 포장백의 제조공정의 진행에 따른 복수의 위치(G3∼L3위치)에 있어서 각각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으로서의 자립형 파우치의 제조공정의 일례를 개략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으로서의 평형 파우치의 제조공정의 일례를 개략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있어서, 2매의 밸브재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칸막이재를 사용한 포장백의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이용되는 1매의 밸브재를 몸통재에 용착시키는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이 구체화된 평형 파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이 구체화된 평형 디스펜서 파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이 구체화된 스탠드업형 디스펜서 파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이 구체화된 분기ㆍ스탠드업형 디스펜서 파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별도 형태의 밸브를 사용한 포장백의 일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을 매달기 수단을 갖는 분기ㆍ스탠드업형 디스펜서 파우치에 적용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웹의 되접어 꺾기 방법 및 장치에 따른 웹의 되접어 꺾기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웹의 되접어 꺾기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웹의 되접어 꺾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웹의 되접어 꺾기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웹의 되접어 꺾기 장치에 있어서, 패스 라인의 형상산출방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웹의 되접어 꺾기 방법이, 적용되는 별도의 웹의 되집어 꺾기 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의한 웹의 되접어 꺾기 방법이, 적용되는 파우치나 백의 제조과정에 있어서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종래의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갖는 포장백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주출구의 개봉후에 주출구를 아래로 해서 매달아 두어도, 백 내부에 수납한 액체 등의 내용물이 소량씩 배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주출구를 갖는 포장백, 특히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갖는 포장백, 및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갖는 포장백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백 내부에 수납한 액체 등의 배어나옴이 생기는 원인은, 주출구통로의 가열 밀봉부와 비가열 밀봉부의 경계부에 있어서, 도28(C)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미소한 간극을 갖는 것에 기인하고 있다. 그래서, 이 경계부에 있어서의 미소한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경계부의 비가열 밀봉부측을 구성하는 필름 내면측 표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젖음성이 좋은 액체 등을 백 내부에 수납했을 경우에도 액체 등의 배어나옴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자기폐쇄성 주출구의 단면형상, 및 주출구로부터 잘라낸 절편의 단면형상을 상기 특정의 것으로 함으로써, 주출구의 개봉후에 주출구를 아래로 매달아 두어도, 백 내부에 수납한 액체 등의 내용물이 소량씩 배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은 플라스틱 필름을 가열밀봉 해서 이루어진 포장백에 있어서, 주출구통로의 가열 밀봉부와 비가열 밀봉부의 경계부의 비가열 밀봉부측을 구성하는 필름 내면측 표면이 폐쇄 상태에 있어서 간극을 갖는 일 없이 서로 접촉한 자기폐쇄성 주출구와, 상기 자기폐쇄성 주출구에 연통하는 정량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포장백에 있어서, 상기 자기폐쇄성 주출구로부터 상기 주출구통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잘라낸 절편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통로의 상기 가열 밀봉부와 상기 비가열 밀봉부의 상기 경계부로부터 상기 비가열 밀봉부측을 향해서, 상기 필름의 두께 상당의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까지 대향해서 연장되는 상기 비가열 밀봉부를 구성하는 필름 내면측 표면의 단면형상을 직선 내지 내표면측에 볼록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주출구통로의 비가열 밀봉부의 필름 내면측 표면의 단면형상을 직선 내지 내표면측에 볼록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주출구의 폐쇄시에는, 필름 내면측 표면이 서로 간극없게 접촉하고, 내용물의 배어나옴의 방지가 한층 더 확실해진다.
또한, 이 포장백에 있어서, 상기 자기폐쇄성 주출구로부터 상기 주출구통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잘라낸 절편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통로의 상기 가열 밀봉부와 상기 비가열 밀봉부의 경계부를 기점으로 하고 상기 기점에서 상기 비가열 밀봉부측을 향해서 서로 대향해서 연장되는 상기 필름 내면측 표면의 단면형상에 대해서, 상기 기점을 통과하는 상기 양 필름 내면측 표면의 접선을 이루는 각도를 20°이하로 할 수 있다. 주출구통로의 비가열 밀봉부의 필름 내면측 표면의 단면형상을 접선을 이루는 각도로 20°이하로 함으로써, 주출구의 폐쇄시에는, 필름 내면측 표면이 서로 간극없게 접촉하고, 내용물의 배어나옴 방지가 한층 더 확실해진다.
또한, 이 포장백에 있어서, 상기 정량실은, 필름형상의 밸브에 의해 상기 포장백의 수납실과 연통가능하게 구획할 수 있고, 이 경우, 필름형상의 상기 밸브는 상기 포장백의 일부를 되접어 꺾어서 형성한 분기부에 배치할 수도 있는다.
본 발명에 의한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구비하는 포장백의 제조방법은 플라스틱 필름을 가열밀봉하고, 가열 밀봉부와 비가열 밀봉부에 의해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형성한 포장백을 제조할 때에, 주출구통로의 상기 가열 밀봉부와 상기 비가열 밀봉부를 그 경계부에 있어서 균일하게 가압해서 가열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자기폐쇄성 주출구의 가열 밀봉부와 비가열 밀봉부를 그 경계부에 있어서도 균일하게 가압하는 것에 의해, 주출구통로의 가열 밀봉부와 비가열 밀봉부의 경계부의 비가열 밀봉부측을 구성하는 필름 내면측 표면이, 간극을 갖지 않고 서로 접촉한 폐쇄 상태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포장백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통로의 상기 비가열 밀봉부는, 상기 비가열 밀봉부에 대응하는 부위에 비가열성의 압압부재를 구비한 가열밀봉 헤드를 사용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을 가압ㆍ가열해서 가열밀봉할 때에, 상기 비가열성의 압압부재에 의해 가열밀봉되지 않고 남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은 비가열성의 압압부재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가열밀봉이 되지 않고, 비가열 밀봉부가 되지만, 압압에 의해 주출구의 폐쇄시에 비가열 밀봉부에는 간극이 없는 접촉상태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디스펜서 파우치와 같은 포장백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웹형상의 포장 재로서, 몸통재와 포장백의 내부를 충전물이 통과 가능하게 구분짓는 칸막이재를 연속적으로 반송하고, 이들 웹형상의 포장재에 소정의 처리를 순차 실시함으로써, 웹형상의 포장재로부터 주출기능 등의 백 안에 수용된 충전물을 통과가능하게 구분짓는 칸막이 기능을 갖는 백을 자동적 또한 연속적으로 제조(製袋)하는 방법을 확립하는 점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웹형상의 몸통재에서 포장백을 그 수직방향을 몸통재의 반송방향과 교차하는 상태로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포장백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웹형상의 포장재로에서 주출기능 등의 백 안에 수용된 충전물에 대한 이동 규제기능을 갖는 백을 자동적 또한 연속적으로 제조함으로써, 충전물의 이동규제 기능 첨부 백을 남의 손을 요하지 않고 저렴하게 또한 대량으로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웹형상의 몸통재에서 포장백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포장백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장백의 내부를 구분짓기 위해 상기 몸통재의 반송에 맞춰서 양면이 용착가능하며 또한 적어도 편측면이 타이트 밀봉 가능한 웹형상의 밸브재를 반송하고, 상기 포장백에 수용된 충전물을 상기밸브재를 따라 그 폭방향으로 통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밸브재의 타측면에서 밀봉 저해부재에 접촉시켜서 상기 몸통재 내에서 상기 밸브재를 끼운 상태로 용 착함으로써, 상기 밸브재를 상기 편측면에서 상기 몸통재에 타이트 용착으로 용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포장백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포장백은 웹형상의 몸통재의 반송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그 때에, 몸통재의 반송에 맞춰서 반송되는 밸브재가 몸통재에 용착되어서 부착된다. 밸브재는, 양면이 용착가능하기 때문에, 어떠한 대책을 취하지 않으면, 밸브재의 몸통재에의 용착시에 밸브재의 양측에서 상대재(몸통재 또는 밸브재 자신)에 용착되어서 충전물의 통과가 곤란해지거나, 포장백에 수용된 충전물의 통과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이중으로 밀봉되거나 한다. 이 포장백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밸브재의 편측면에서의 몸통재와의 용착을 타이트 용착으로 하고, 그 용착시에 밸브재의 타측면에서 밀봉 저해부재를 접촉시킨 상태로 하고 있으므로, 밸브재는 편측면에서 몸통재에 타이트 용착되어서 몸통재로부터 벗겨질 일이 없고, 또 밸브재의 타측면에서는 상대재(몸통재 또는 밸브재 자신)와의 사이에 밀봉 저해부재가 개재한 영역을 용착시키지 않음으로써 통로를 확보하거나, 혹은 통로의 배면측을 구속하지 않음으로써 통로에서의 흐름을 확보하므로, 밸브재의 어느 하나의 측에서의 충전물의 통과가 허용된다. 따라서, 포장백의 연속적인 제조를 행하면서, 충전물을 통과 가능하게 하는 밸브재를 포장백 안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웹형상의 몸통재를 되접어 꺾는 것에 의해 분기부를 형성하는 파우치와 같은 포장백의 연속적인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주행하는 웹의 되접어 꺾기에 있는 있는 부분에 대하여 텐션의 정밀한 제어를 행하고, 웹에 느슨해짐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는 폭방향의 불균일함을 해소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또한, 정밀한 텐션 부여기구는, 대규모여서 가격 상승 요인도 된다. 그래서, 이 느슨해짐 발생 원인에 착안하여, 웹 폭방향의 불균일한 텐션이 작용하는 것을 미연에 해소하기 위해서, 웹의 이송에 필요한 최소한의 텐션 이외에 텐션을 가하지 않고 웹의 되접어 꺾기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웹형상의 몸통재를 되접어 꺾는 것에 의해 분기부를 형성하는 포장백의 연속적인 제조방법에 있어서, 웹의 적어도 편측으로부터 웹 이송방향의 중심선을 향해서 웹을 접을 경우에, 웹의 이송에 필요한 최소한의 텐션 이외의 텐션을 주지 않고 웹을 양호하게 되접어 꺾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웹에 느슨해짐이나 그것에 기초한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변형된 형상의 백의 제조나 불완전한 밀봉의 발생을 방지하고, 겉보기나 상품성이 양호한 포장백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의 제조방법은, 웹형상의 몸통재의 적어도 편측의 측부를 상기 몸통재의 이송방향에 따른 반환선에서 되접어 꺾어서 포장백에 분기부를 형성하는 포장백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몸통재는, 상기 몸통재의 되접어 꺾기공정에서 되접어 꺾기 개시부터 되접어 꺾기 완료까지 통과하는 상기 몸통재의 폭방향에서 임의인 위치를 차지하는 부분의 패스 라인 길이가 대략 일정하게 되도록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포장백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웹형상의 몸통재의 적어도 편측은, 그 되접어 꺾기 공정에서 되접어 꺾기 개시로부터 되접어 꺾기 완료까지 통과하는 웹의 폭방향에서 임의인 위치를 차지하는 부분의 패스 라인의 길이가 대략 일정해지도록 가이드에 의해 안내된다. 따라서, 웹의 적어도 편측에서 웹의 이송 방향에 연장되는 되접어 꺾기선에서 웹을 되접어 꺾을 때에, 되접어 꺾기 공정에서 웹의 폭방향에서 임의인 위치를 차지하는 부분의 패스 라인의 길이가 대략 일정하기 때문에, 패스 라인의 길이가 다른 것에 기인한 느슨해짐이 웹에 생기는 일은 없고, 이송을 위한 텐션 이외에 느슨해짐 제거용의 특별한 텐션을 주지 않아도, 웹을 자연히 되접어 꺾는 것이 가능해 진다. 따라서, 웹에는 느슨해짐이나 그것에 기초하는 주름이 없는 자연스러운 되접어 꺾기가 얻어지고, 그러한 웹으로부터 제조되는 분기부를 갖는 포장백을 느슨해짐이나 주름에 기인한 불량품을 만드는 일 없이 깨끗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의 자기폐쇄성 기능을 갖춘 주출구를 나타내는 도이며, (A)는 주출구 부근의 평면도, (B)는 (A)에 나타내는 주출구의 미개봉의 상태에 있어서의 통로단면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 (C)는 (B)에 나타내는 주출구통로의 X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D) 및 (E)는 (A)에 나타내는 포장백을 개봉상태로 했을 때의 주출구로부터 주출구통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한 절편의 단면형상을 나타내는 모식단면도이다.
도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1)에는, 플라스틱 필름을 부분적으로 가열 밀봉하고, 가열 밀봉부(2)와 비가열 밀봉부(6)에 의해 자기폐쇄성 주출구(이하, 단순히, 「주출구」라고 생략한다)(3)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의 하나로서, 도1(B) 및 그 확대도인 도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출구통로(4)의 가열 밀봉부(2)와 비가열 밀봉부(6)의 경계부(Y)의 비가열 밀봉부(6)측을 구성하는 필름 내면측 표면은, 미개봉의 상태에 있어서, 간극을 갖지 않고 서로 접촉하고 있다.
포장백(1)의 다른 특징으로서, 포장백(1)의 주출구(3)로부터, 주출구통로(4)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한 절편(5)에 있어서, 주출구통로(4)의 가열 밀봉부(2)와 비가열 밀봉부(6)의 경계부(Y)로부터, 비가열 밀봉부(6)측을 향해서 비가열 밀봉부(6)를 구성하는 필름의 두께(d)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Z)까지의 범위에서, 대향하는 필름 내면측 표면이 형성하는 단면형상이, 직선[도1(D)], 또는 내면측에 볼록한 곡선상[도1(E)]으로 되어 있다. 이 단면형상은, 도1(D),(E)에 보여지듯이, 포장백의 표면 및 이면을 구성하는 필름의 내면이,모두 직선상 또는 내면측에 볼록한 곡선상인 것 외에, 한쪽이 직선상이고 다른쪽이 내면측에 볼록한 곡선상이어도 좋다.
포장백(1)에 있어서, 주출구(3)에서 잘라낸 절편(5)의 단면형상이란, 도1(A)에서 보여지듯이, 포장백(1)의 주출구(3)의 통로(4)를 통로와 수직방향으로 슬라이스해서 취득한 폭 5∼50㎛의 절편(5)의 단면을, 광학 현미경으로 비가압 상태에 있어서 관찰했을 때, 필름의 내면측 표면이 형성하는 형상으로서 정의된다.
포장백(1)의 주출구(3)의 경계부(Y)의 단면형상은, 미개봉 상태에서는, 가열밀봉에 의해 포장백(1)을 제조할 때에, 주출구통로(4)의 가열 밀봉부(2)와 비가열 밀봉부(6)의 경계부(Y)의 비가열 밀봉부(6)측을 구성하는 필름 내면측 표면이 도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착한 상태에 있지만, 주출구(3)에서 잘라낸 절편(5)을 광학현미경을 사용해서 비가압 상태에서 관찰할 때는, 주출구(3)의 경계부(Y)의 단면형상은, 도1(D) 및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계부(Y)의 비가열 밀봉부(6)측이 개구한 것이 된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갖는 포장백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2(A)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포장백(1)의 주출구(3)를 형성하는 부분의 가열밀봉 헤드의 가열부(21)에 있어서, 주출구통로(4)의 비가열 밀봉부(6)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착탈 가능한 비가열성 압압부재(28)가 설치되어 있다. 비가열성 압압부재(28)는,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부틸렌텔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에폭시 수지, 취소화 에폭시수지, 4불화에틸렌중합체(PTFE), 3불화염화에틸렌중합체, 4불화에틸렌-6불화프로필렌 공중합체(FEP), 4불화에틸렌-퍼플로오로알콕시에틸렌 공중합체(PFA), 4불화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TFE) 등의 수지, 액정폴리머, 혹은 상기 각 수지에 유리섬유, 혹은 탄소섬유, 또는 산화 알미늄, 혹은 실리카 등의 무기계 분체를 충전하는 등으로 하여 강화한 수지, 혹은 세라믹스에 의해 구성된다. 플라스틱 필름을 가열밀봉함으로써 온도가 상승하므로, 비가열성 압압부재(28)는 가열 밀봉후에 가열부(21)로부터 떼고, 압압부재(28) 중 온도가 상승하지 않고 있는 부위를 가열부(21)에 장착해서 이용하던지, 압압부재(28)를 냉각후, 가열부(21)에 다시 장착해서 사용할 수 있다. 가열밀봉 헤드의 가열부(21)에 대향하는 가압부(23) 상에, 실리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탄성 압압부재(24), 테프론을 함침ㆍ소성해 편면에 실리콘계 점착제를 도포한 유리크로스기재(25), 포장백(1)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필름(26,26) 및 표면에 테프론 시트층을 설치한 유리크로스기재(27)가 순차 적재된다. 가열부(21)와 가압부(23)에 의해 플라스틱 필름(26,26)을 끼워서 가열밀봉 헤드를 형체하고, 플라스틱 필름(26,26)을 가열ㆍ가압해서 가열밀봉함으로써, 주출구(3)가 형성된다.
본 예에서는, 가열밀봉 헤드의 가열부(21)에 착탈가능한 비가열성 압압부재(28)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비가열성 압압부재(28)에 대응한 부분의 플라스틱 필름(26,26)은 가열밀봉에 필요한 온도에까지 상승하지 않고, 가열밀봉 되지 않고 주출구통로(4)의 비가열 밀봉부(6)가 된다. 비가열성 압압부재(28)를 설치함으로써, 주출구(3)의 가열 밀봉부(2)와 비가열 밀봉부(6)는 그 경계부에 있어서도 균일하게 가압되기 때문에, 주출구통로(4)의 가열 밀봉부(2)와 비가열 밀봉부(6)의 경계부의 비가열 밀봉부(6)측을 구성하는 필름 내면측 표면이, 도1(B)에 보여지는 것 같이, 미개봉의 상태에 있어서는, 간극을 갖지 않고 서로 접촉하고 있다.
또한, 주출구(3)로부터 잘라낸 절편의 단면형상은, 도1(D) 또는 (E)에 보여지는 것 같은, 직선 내지 내면측을 향해서 볼록하게 된 매끈한 곡선이 되는 동시에, 가열 밀봉부(2)와 비가열 밀봉부(6)의 경계부(Y)를 기점으로 하는 접선이 교차하는 각도α도 20°이하가 된다. 따라서, 포장백(1)에서는, 종래 기술의 포장백과 같이, 경계부(Y)에서 액체 등의 내용물이 배어나오지 않는다.
도2(B)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갖는 포장백의 제조방법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예에서는, 도2(A)에 나타내는 포장백의 제조방법과 비교하고, 포장백(1)의 주출구(3)를 형성하는 부분의 가열밀봉 헤드의 가열부(21)에 있어서, 주출구통로(4)의 비가열 밀봉부(6)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공소로서의 비압압부(22)가 설치되고, 탄성 압압부재(24)와 유리크로스기재(25) 사이에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박판(29)이 끼움 장착되고, 또한, 플라스틱 필름(26)과 가열부(21) 사이에는, 표면에 테프론 시트층을 설치한 유리크로스기재(27)를 대신해서 테프론을 함침ㆍ소성해 편면에 실리콘계 점착제를 도포한 유리크로스기재(25)가 끼움 장착되어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지만, 그 밖의 구조에 대해서는 같다. 가열부(21)와 가압부(23)에 의해 플라스틱 필름(26,26)을 끼워서 가열밀봉 헤드를 형체하고, 플라스틱 필름(26,26)을 가열ㆍ가압해서 가열밀봉함으로써, 주출구(3)가 형성된다. 이 때, 금속박판(29)은 예를 들면, 두께 0.1卜 내지 0.3卜 정도의 알루미늄제의 판으로 할 수 있지만, 가열밀봉시의 압력 등의 조건에 따라서, 최적인 재질, 두께의 것이 선택되어 사용된다.
이 예에서는, 실리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압압부재(24) 상에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진 금속박판(29)을 적재하고 있으므로, 가열밀봉 헤드를 형체하여 가열부(21)와 가압부(23)에 의해 플라스틱 필름(26,26)을 가열, 가압해서 가열밀봉할시에, 가열부(21)의 비압압부(22)에 있어서도 탄성 압압부재(24)에는 다른 부분(가열 밀봉부(2)와 마찬가지로 압력이 가하여진다. 따라서, 포장백(1)의 주출구(3)의 가열 밀봉부(2)와 비가열 밀봉부(6)는, 그 경계부에 있어서도 거의 균일하게 가압되므로, 주출구통로(4)의 가열 밀봉부(2)와 비가열 밀봉부(6)의 경계부(Y)의 비가열 밀봉부(6)측을 구성하는 필름 내면측 표면이, 도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개봉의 상태에 있어서 간극을 갖지 않고 서로 접촉한다. 또한, 주출구(3)로부터 잘라낸 절편의 단면형상은, 도2(A)에 나타내는 예의 경우와 같이, 경계부(Y)로부터 액체 등의 내용물의 배어나옴도 마찬가지로 방지된다.
도2(B)에 나타낸 포장백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탄성 압압부재(24)와 금속박판(29)을 생략할 수 있다. 이 예가 도2(C)에 나타내어져 있다. 도28(A)(B)에 나타낸 종래기술에서 사용하고 있었던 탄성 압압부재(24)를 사용하지 않고 있으므로, 주출구(3)의 단면형상, 및 주출구(3)에서 잘라낸 절편(5)의 단면형상을 소망의 형상으로 하기에는, 가열밀봉 헤드의 가열부(21) 및 가압부(23)의 평면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과, 플라스틱 필름(26,26)을 균일에 가압하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이들의 예에 있어서, 포장백(1)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필름(26,26)과 가열밀봉 헤드의 가열부(21) 또는 가압부(23) 사이에 개재시키는 유리크로스기재(25,27)의 수나 재질은, 포장백(1)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필름(26)의 재질, 두께 등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하던지 또는 생략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갖는 포장백의 제조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3(A)는 가열밀봉 헤드에 냉각기를 배치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3(B)는 가열밀봉 헤드에 또한 열교환기를 배치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3(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포장백(1)의 주출구(3)을 형성하기 위한 가열밀봉 헤드에 있어서, 주출구통로(4)의 비가열 밀봉부(6)을 형성하기 위해서, 가열부(21,21) 사이의 부위에 냉각부(43)가 가열밀봉면에 단차가 없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냉각부(43)의 내부에는, 냉매를 통과시키기 위한 유로(42)가 형성되어 있고, 냉각부(43)의 각 측면은 각각 가열밀봉 헤드의 가열부(21)의 하단에서 접하고 있다. 이 냉각부(43)는 단열성 및 내열성이 뛰어난 플라스틱 혹은 세라믹스로 구성 된다. 냉각부(43)를 구성하는 적절한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POM), 폴리아미드(PA), 폴리부틸렌텔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에테르니트릴(PEN), 폴리설폰(PSF),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이미드(PI),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취소화 에폭시수지, 4불화에틸렌 중합체(PTFE), 4불화에틸렌-6불화프로필렌 공중합체(FEP), 4불화에틸렌-퍼플루오로알콕시에틸렌 공중합체(PFA), 4불화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TFE) 등의 수지, 액정 폴리머, 혹은 상기 각 수지를 발포시킨 것, 혹은 상기 각수지에 유리섬유, 탄소섬유, 산화 알미늄, 또는 실리카 등의 무기계 분체를 충전하는 등 해서 강화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단열성 및 내열성과 강도의 밸런스를 취하기 위해서, 냉각부(43)를 복수의 수지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복수의 수지는, 유로(42)와 평행하게 다층으로 하거나, 부분적으로 다른 수지가 공존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가열밀봉 헤드의 가열부(21) 및 냉각부(43)에 상대하는 가압부(23) 상에는, 플라스틱 필름(26,26)에 대하여 도2(A)에 나타내는 예와 같은 형태에서, 실리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압압부재(24), 테프론을 함침ㆍ소성하여 편면에 실리콘계 점착제를 도포한 유리크로스기재(25), 및 표면에 테프론 시트층을 설치한 유리크로스기재(27)가 순차 적재된다. 가열부(21)와 가압부(23)에 의해 플라스틱 필름(26,26)을 끼워서 가열밀봉 헤드를 형체하고, 플라스틱 필름(26,26)을 가열ㆍ가압해서 가열밀봉함으로써, 주출구(3)가 형성된다.
이 때, 유로(42)의 단면형상은, 소망의 주출구의 형상에 따른 적절한 냉각 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다. 또한, 유로(42) 안에 통과시키는 냉매는, 예를 들면 물이나 암모니아라는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가열밀봉시의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서 최적인 것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가열밀봉 헤드의 가열부(21,21) 사이에 냉각부(43)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부(43)에 의해 가압되는 플라스틱 필름(26,26)의 부위는, 가열밀봉에 필요한 온도에 달하지 않고, 포장백(1)에 있어서 주출구통로(4)의 비가열 밀봉부(6)가 된다. 가열밀봉 헤드의 가열부(21,21)와 냉각부(43)의 가열 밀봉면에 단차가 없으므로, 주출구(3)의 가열 밀봉부(2)와 비가열 밀봉부(6)는 그 경계부에 있어서도 균일하게 가압되어, 주출구통로(4)의 가열 밀봉부(2)와 비가열 밀봉부(6)의 경계부(Y)의 비가열 밀봉부(6)측을 구성하는 필름 내면측 표면이, 도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개봉의 상태에 있어서 간극을 갖지 않고 서로 접촉한 것이 된다. 또한, 주출구(3)에서 잘라낸 절편의 단면형상은, 도2에 나타내는 각 예의 경우와 같으며, 경계부(Y)로부터 액체 등의 내용물의 배어나옴도 마찬가지로 방지된다.
도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부(43)에는, 히트 파이프(44) 등의 열교환기를 사용할 수 있다. 히트 파이프(44)가 냉각부(43)에 메워넣어지고 있어, 히트 파이프(44)의 상측은 냉매를 통과한 유로(42) 중에 있어서 냉각되어 있다. 이 때, 히트 파이프(44)의 상하간에서 열교환이 행하여져, 냉각부(43)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냉각부(43)에 의해 가압되는 플라스틱 필름(26,26)의 부위는, 가열밀봉에 필요한 온도에 달하지 않고, 포장백(1)에 있어서 주출구통로(4)의 비가열 밀봉부(6)가 된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갖는 포장백의 제조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A)는 가열밀봉 헤드를 형체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B)는 가열밀봉 헤드를 형체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 예에서는, 포장백(1)의 주출구(3)을 형성하기 위한 가열밀봉 헤드에 있어서, 주출구통로(4)의 비가열 밀봉부(6)를 형성하기 위해서, 가열부(21,21)사이의 부위에 냉각부(43)가 용수철(48)에 의해 가압부(23)측을 향해서 힘이 가해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비부하 상태에서는, 도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부(43)는 가압면에서 일부가 돌출하고 있다). 냉각부(43)는 내부에 냉매를 통과시키기 위한 유로(42)가 형성되어 있고, 각 가열부(21)와 서로의 측면이 접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냉각부(43)에 설치한 용수철(48)의 힘을 조절함으로써,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출구(3)의 가열 밀봉부(2)와 비가열 밀봉부(6)를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다. 가열밀봉 헤드의 가열부(21) 및 냉각부(43)에 대향해서 배치된 가압부(23) 상에는, 플라스틱 필름(26,26)에 대하여 도3(A)에 나타내는 예와 같은 형태에서 각 부재(24,25,27)가 적재되고, 가열밀봉 헤드의 형체에 의해 주출구(3)가 형성된다.
유로(42) 안에 통과시키는 냉매는, 예를 들면 물이나 암모니아라는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가열밀봉시의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서 최적인 것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수철(48)로서는 코일 용수철, 판자 용수철 등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의 용수철에 대신해서 각종의 고무, 탄성 플라스틱, 혹은 이들의 발포체 등의 탄성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는, 도3(A)에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로, 가열밀봉 헤드의 가열부(21과 21) 사이에 냉각부(4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냉각부(43)에 의해 가압되는 플라스틱 필름(26,26)의 부위는 가열밀봉에 필요한 온도에 달하지 않고, 주출구통로(4)의 비가열 밀봉부(6)가 형성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주출구(3)을 형성함으로써, 주출구통로(4)의 가열 밀봉부(2)와 비가열 밀봉부(6)의 경계부(Y)의 비가열 밀봉부(6)측을 구성하는 필름 내면측 표면이, 도1(B)에 보여지는 것 같이, 미개봉의 상태에 있어서, 간극을 갖기 않고 서로 접촉한 것이 된다. 또한, 주출구(3)에서 잘라낸 절편의 단면형상은, 도2에 나타내는 각 예의 경우와 같으며, 경계부(Y)로부터 액체 등의 내용물의 배어나옴도 마찬가지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각부(43)의 구성으로서, 도3(B)에서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로, 냉매를 흘린 유로(42)를 설치하는 것에 부가로, 히트 파이프(44) 등의 열교환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갖는 포장백의 제조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예에서는, 포장백(1)의 주출구(3)를 형성하기 위한 가열밀봉 헤드에 있어서, 주출구통로(4)의 비가열 밀봉부(6)를 형성하기 위해서, 가열부(21,21) 사이에 냉각부(43)가, 또한, 가열부(21)와 냉각부(43) 사이에 펠체소자(45)가 설치되어 있다. 가열부(21)의 냉각부(43)에 대향하는 면과 펠체소자(45)의 발열면(46)이 접하고, 한편, 냉각부(43)의 가열부(21)에 대향하는 면과 펠체소자(45)의 흡열면(47)이 접하는 상태에 배치되어 있다. 가열 밀봉면에 있어서는, 냉각부(43)와 가열부(21)의 상호의 측면이 접하고, 단차가 없는 상태로 한다. 냉각부(43)는, 도2에서 나타낸 각 예와 마찬가지로, 단열성 및 내열성이 뛰어난 플라스틱 혹은 세라믹스로 구성된다.
단열성 및 내열성과 강도의 밸랜스를 취하기 위해서, 냉각부(43)를 복수의 수지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복수의 수지는, 유로(42)와 평행하게 다층으로 하거나, 부분적으로 다른 수지가 공존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가열밀봉 헤드의 가열부(21) 및 냉각부(43)와 대향해서 배치되는 가압부(23) 상에는, 플라스틱 필름(26,26)에 대하여 도2에 나타내는 각 예와 같은 형태에서 각 부재(24,25,27)가 적재되어, 가열밀봉 헤드의 형체에 의해 주출구(3)가 형성된다.
이 예에서는, 펠체소자(45)에 전류가 흐르면, 발열면(46)의 온도가 상승해서 가열부(21)를 가열한다. 가열부(21)의 온도가 포장백(1)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필름의 가열밀봉에 필요한 온도에 달하지 않을 경우는 적당히 히터를 병용하는 등 하고, 가열 밀봉부(2)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온도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흡열면(47)에 접하고 있는 냉각부(43)의 온도는 저하되어 가열밀봉에 필요한 온도에 달하지 않으므로, 주출구통로(4)의 비가열 밀봉부(6)가 형성된다. 가열 밀봉면에 있어서는, 가열밀봉 헤드의 가열부(21,21)와 냉각부(43) 사이에서 단차가 없는 상태로 함으로써, 주출구(3)의 가열 밀봉부(2)와 비가열 밀봉부(6)는 그 경계부에 있어서도 균일하게 가압된다. 그 결과, 주출구통로(4)의 가열 밀봉부(2)와 비가열 밀봉부(6)의 경계부(Y)의 비가열 밀봉부(6)측을 구성하는 필름 내면측 표면이, 도1(B)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미개봉의 상태에 있어서, 간극을 갖지 않고 서로 접촉한 것이 된다. 또한, 주출구(3)에서 잘라낸 절편의 단면형상은, 도2에 나타내는 각 예의 경우와 같으며, 경계부(Y)로부터 액체 등의 내용물의 배어나옴도 마찬가지로 방지 된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갖는 포장백의 제조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A)는 가열밀봉 헤드의 가열부(21)와 냉각부(43) 사이에 간극(49)을 설치한 예, (B)는 (A)와 다른 또 다른 예이다.
도6(A)에 나타내는 제조방법의 예는, 도3(A)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가열밀봉 헤드의 가열부(21)와 냉매를 통과시키기 위해서 유로(42)가 형성된 냉각부(43) 사이에 간극(49)을 설치한 제조방법이다. 간극(49)은 플라스틱 필름(26)과 접촉하는 표면부측에서는, 가열밀봉 되는 플라스틱 필름(26)이 절삭되어 변형하지 않는 정도의 작은 치수(통상은 약 O.O1∼1㎜ 정도)로 하고, 내부측에서는 가열부(21)로부터 냉각부(43)에의 열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큰 치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가열부(21)와 냉각부(43)가 접촉하고 있고, 가열부(21)로부터 냉각부(43)에의 열의 이동량이 크기 때문에, 가열부(21)에 있어서 충분한 가열밀봉이 행하여진다. 냉각부(43)에 의해 플라스틱 필름(26,26)의 가열밀봉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냉각부(43)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단열성이 뛰어난 플라스틱이나 세라믹스와 같은, 열전도율이 작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에 대하여 도6(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가열부(21)와 냉각부(43) 사이에 간극(49)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가열부(21)로부터 냉각부(43)에의 열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고, 냉각부(43)를 가열부(21)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냉각부(43)를 금속에 의해 구성한 경우에는, 플라스틱이나 세라믹스에 비해서 가공이 용이해지고, 또 내구성도 향상하므로, 가격을 저하시키고 또한 생산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가열밀봉 헤드의 가열부(21) 및 냉각부(43)의 상부에는, 단열부재(50)가 설치되어 있다. 가열밀봉 헤드의 가열부(21) 및 냉각부(43)와 대향해서 배치되는 가압부(23) 상에는, 플라스틱 필름(26,26)에 대하여 각 부재(24,25,27)가 적재되고, 가열밀봉 헤드의 형체에 의해 주출구(3)가 형성된다.
도6(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냉각부(43)에 의해 가압되는 플라스틱(26,26)의 부위는 가열밀봉에 필요한 온도에 달하지 않으므로, 주출구통로(4)의 비가열 밀봉부(6)가 형성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주출구(3)를 형성함으로써, 주출구통로(4)의 가열 밀봉부(2)와 비가열 밀봉부(6)의 경계부(Y)의 비가열 밀봉부(6)측을 구성하는 필름 내면측 표면이, 도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개봉 상태에 있어서 간극을 갖지 않고 서로 접촉한 것이 된다. 또한, 주출구(3)에서 잘라낸 절편의 단면형상에 따르면, 다른 예와 같이 경계부(Y)로부터 액체 등의 내용물의 배어나옴도 마찬가지로 방지된다.
또한, 도6(A)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도, 도3(B)에서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로 냉각부(43)의 구성으로서, 냉매를 흘리기 위한 유로(42)을 형성하는 이외에, 히트 파이프(44) 등의 열교환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4에서 나타낸 냉각부(43)를, 탄성재료(48)를 개재해서 설치한 장치의, 가열밀봉 헤드의 가열부(21)와 냉각부(43) 사이에 간극(49)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도6(A)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간극(49)을 설치하지 않고, 가열부(21)와 냉각부(43)를 접촉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가열부(21)로부터 냉각부(43)에의 열의 이동량이 크기 때문에, 가열부(21)에 있어서 충분한 가열밀봉이 행하여진다. 또한, 열교환기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플라스틱 필름(26)을 가압하는 면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로(42)를 도3(B)에 나타낸 경우보다도 가압면에 보다 가까운 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B)는, 본 발명의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갖는 포장백의 제조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예는, 도6(A)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의 가열밀봉 헤드의 가열부(21)와 냉각부(43)를, 예를 들면 금속과 같은 하나의 부재에 의해 일체로 구성한 예이다. 가열부(21)와 냉각부(43)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가열밀봉 헤드의 조립이 용이해 지며, 헤드 높이의 관리를 간단히 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메리트가 있다.
가열부(21)와 냉각부(23)를 금속재료에 의해 일체로 구성했을 경우에는, 가열부(21)로부터 냉각부(43)에의 열의 이동량이 커지므로, 가열부(21)의 표면을 가열밀봉에 필요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보다 큰 히터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 때, 가열부(21)로부터 냉각부(43)에의 열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홈(51)을 설치해서 가열부(21)로부터 냉각부(43)에의 열의 전달경로의 단면적을 작게하고, 또한 경로를 길게함으로써, 가열ㆍ냉각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51)의 치수, 형상이나 수는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의 각 예에서 설명한 포장백의 제조방법은, 개봉후에 자기폐쇄성 주출구(3)를 갖는 포장백의 제조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제조방법은, 리필용 파우치와 같은 백 안에 충전된 내용물을 취출하는 주출구를 갖는 포장백의 제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28(D)(E)에 나타내는 것 같은, 종래의 제조방법에 의해 발생하는 가열 밀봉부와 비가열 밀봉부의 경계부에 있어서의 비뚤어짐, 요철 등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 지고, 외관이 우수한 상품가치가 높은 포장백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주출구(3)를 갖는 포장백(1)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필름(26)으로서는, 가열밀봉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단층필름, 이들의 가열 밀봉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백의 내층으로 하고, 다른 필름을 적층한 2층 이상의 층구성을 갖는 적층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가열 밀봉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결정성 폴리부텐-1, 결정성 폴리4-메틸펜텐-1, 저-, 중-, 혹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EEA), 이온가교올레핀 공중합체(아이오노머) 등의 폴리올레핀류; 폴리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등의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수지 등의 할로겐화 비닐 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와 같은 니트릴 중합체; 나일론6, 나일론66, 파라 또는 메타크실렌아디파미드와 같은 폴리아미드류;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1,4-시클로헥산디메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류; 각종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옥시메틸렌 등의 폴리아세탈류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플로필렌-에틸렌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내지 그 무수물인 그래프트 변성된 올레핀 수지 등의 올레핀계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 비교적 저융점 내지 저연화 점의 폴리아미드 내지 코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내지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이 사용된다.
포장백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필름(26)으로서 적층 필름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의 가열 밀봉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백의 내층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서 접착제층을 개재하고, 다른 필름을 적층한 적층필름을 사용한다.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이민 수지, 알킬티타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이소시아네이트계 수지,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극성기를 도입한 올레핀계 수지 등으로부터 선택된 접착성 수지를 사용한다.
가열 밀봉성 수지와 적층하는 필름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보통 포장백에 사용되는 것은 모두 사용가능하다. 이러한 필름에 적합한 재료로서는, 상기의 가열 밀봉성 수지로서 사용되는 재료는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내층에 사용하는 수지보다도 융점이 높은 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필름으로서,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 종이, 셀로판 등과 상기의 플라스틱 필름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접합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가스 배리어성을 필요로 하는 내용물의 경우에는,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EVA검화물, 나일론 또는 환상 올레핀코폴리머 등의 수지층, 알루미늄이나 산화규소 등의 금속산화물 증착막을 갖는 수지층, 점토광물을 함유하는 수지층,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을 함유하는 적층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백을 구성하는 필름에 단열성이나 강성 등을 부여하기 위해서, 각종 합성 수지의 발포체로 이루어진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 산화 알미늄, 실리카, 산화 티타늄, 탄산칼슘, 카본, 활석 등의 무기물이나 유리섬유 등을 혼련한 각종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을 구성하는데 적절한 적층 필름의 층구성으로서는, 2축연신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외층)/미연신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내층), 2축연신 나일론(외층)/LLDPE(내층), 2축연신PET(외층)/알루미늄박(중간층)/LLDPE(내층), 2축연신 나일론(외층)/알루미늄박(중간층)/LLDPE(내층), 2축연신PET(외층)/2축연신 나일론(중간층)/LLDPE(내층), 2축연신PET(외층)/알루미늄박(중간층)/2축연신 나일론(중간층)/LLDPE (내층)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가압가열처리 등의 고온처리가 필요로 하는 용도에는, 2축연신PET(외층)/알루미늄박(중간층)/미연신 폴리프로필렌(PP:내층), 2축연신PET(외층)/2축연신 나일론(중간층)/알루미늄박(중간층)/미연신PP(내층), 2축연신PET(외층)/미연신PP(내층), 2축연신 나일론(외층)/미연신PP(내층), 2축연신 나일론(외층)/알루미늄박(중간층)/미연신PP(내층), 무기산화물 증착 2축연신PET(외층)/미연신PP(내층), 무기산화물 증착 2축연신 나일론(외층)/미연신PP(내층) 등의, 내층에 미연신PP를 사용한 적층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적층 필름의 각 층간에는, 상기의 접착성 수지로부터 선택한 접착제층이 설치되어진다.
플라스틱 필름을 단층으로 할지, 또는 어떤 층구성의 것으로 할지는, 포장백에 충전하는 내용물의 성상에 따라서 선택하면 좋다. 플라스틱 필름의 제조는, 캐스트법、 T다이법, 캘린더법 또는 인플레이션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적층 필름의 제조는, 미리 성형한 필름의 드라이 라미네이션, 기체 필름에의 코팅, 용융 공압출 등 통상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하, 포장백, 특히 주출기능을 구비한 디스펜서 파우치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7∼도10에 나타내는 제조공정은, 포장백으로서 파우치, 특히 분기ㆍ자립형 파우치를 제조하는 공정이며, 도7은 포장백을 후술하는 분기ㆍ자립형 파우치로 할 때의 포장백의 제조공정의 일례를 개략 도시하는 평면도, 도8은 도7에 나타내는 포장백의 제조공정의 측면도, 도9 및 도10은 도7에 나타내는 포장백의 제조공정의 진행에 따른 복수의 위치(A3∼F3위치 및 G3∼L3위치)에 있어서 각각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상하에 늘어 놓아서 공급되는 한쌍의 웹형상의 몸통재(101,102)와, 포장 몸통재(101,102) 사이에 끼워져 있는 형태에서 공급되는 한쌍의 밸브재 필름(이하, 단지, 「밸브재」라고 한다 )(103,103)을 서로 밀봉하고, 분기ㆍ자립형 파우치(이하, 특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단지 「파우치」라고 칭한다)(P3)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 제조공정에서는, 공정의 진행 방향좌우에 있어서, 같은 구조의 파우치(P3,P3)가 수직방향을 반대로 하여 늘어선 수 있었던 이중행 배열로 제조된다. 몸통재(101,102)는 제조완료 상태로 파우치(P3)의 몸통부가 되는 포장재이며, 밸브재(103)는 제조완료 상태로 파우치(P3)의 내부를 충전물이 통과가능한 밸브통로를 형성가능하게 구분짓는 칸막이재이다. 또한, 제조공정 중에 형성되는 각 밀봉에 대해서는 도18에 나타내어져 있지만, 이들의 각 밀봉에 대해서는 뒤에 도18에 기초하여 상술한다.
상하의 몸통재(101,102)는, A3위치에서는 서로 평행하게 공급되어 있지만, B3위치에서는, 파우치(P3) 특유의 공정으로서, 분기 형성부(130)에 의해 상측의 몸통재(101)의 끝부 부근의 위치에 분기부(161)를 위한 접힘부(162)의 형성이 개시된다.
측방에 배치된 밸브재 롤(104)이나 그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칸막이재 공급기구로부터 이송되는 밸브재(103)는, 양면이 열용착성 웹재이며, 주행하는 상측의 동재(101)와 하측의 동재(102)가 일단 서로 크게 이간된 스페이스 내에 장착된다. 밸브재(103)는, 길이방향의 중앙선을 되접어 꺾기선으로서 대칭으로 겹쳐 쌓여진 후, 그 되접어 꺾기선을 따라 둘로 절단되어, 한쌍의 폭좁은 웹형상의 밸브재(103a,103b)로 형성된다. 한쌍의 밸브재(103a,103b)는 C3위치에 있어서, 한쌍의 밀봉헤드(105a,105b)로 이루어진 밸브재 밀봉(105)에 의해 서로 밀봉되어, 웹 폭방향 외측의 영역에 있어서 밸브밀봉(149)이 형성되지만, 그 일부를 밀봉하지 않고 남김으로써, 한쌍의 밸브재(103a,103b) 사이에는 밸브통로(150)가 형성된다.
밸브재(103a,103b)는, 다음으로, 대향하는 몸통재(101,102) 사이에 끼워 포개져서, 동시에, 밀봉 저해 부재(106)가 밸브재(103a,103b) 사이에 삽입된다. 포개진 양 몸통재(101,102)와 한쌍의 밸브재(103a,103b)는, D3위치에 있어서, 한쌍의 밀봉헤드(107a,107b)로 이루어진 몸통-칸막이 밀봉으로서의 밸브-몸통실러(107)에 의해 가압ㆍ가열된다. 이 때, 각 밸브재(103a,103b)는 모두 웹 폭방향 내측에 있어서 각각 대응하는 몸통재(101 또는 102)의 내면에 용착되어서, 밸브-몸통밀봉(151)이 형성된다. 양밸브재(103a,103b)는 밸브-몸통실러(107)에 의해 가압ㆍ가열되지만, 그 때, 양밸브재(103a,103b)의 대향면 끼리는 밀봉 저해부재(106)가 끼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열용착 되지 않는다. 제조된 파우치(P3)의 수직방향을 몸통재(101,102)와 밸브재(103)의 반송 방향과 직교시켜, 밸브 밀봉(149)을 형성하는 영역을 그 반송방향을 따라 두는 것에 의해, 밀봉 저해부재(106)를 밸브재(103)의 기존 밀봉 부분인 밸브 밀봉(149)과 간섭하지 않고 반송방향을 따라서 둘 수 있고, 연속적인 제조 중에서, 밸브-몸통 밀봉(151)을 실시할 수 있다.
D3위치에 있어서는, 밀봉 저해부재(106)가 삽입된 한쌍의 밸브재(103a,103b)가 밸브-몸통실러(107)에 의해 몸통재(101,102)에 용착되지만, 밸브재(103a)와 상측 몸통재(101) 사이에서의 밸브-몸통 밀봉(151)은 접힘부(162)보다 외측에 있어서 실시되어서 밸브(146)가 형성된다.
웹형상의 바닥재(121)는, 바닥재롤(122)에서 몸통재(101,102)의 공급과 동기하여 공급되어서 상하 한쌍의 열린 몸통재(101,102) 사이에 보내져, 바닥재(121)의 중앙선(123)이 몸통재(101,102)의 폭방향 중앙선에 일치시킨 상태로, 몸통재(101,102)의 이송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공급된다. 바닥재(121)는 밸브재(103)의 되접어 꺾기, 분할 및 밸브재 밀봉의 처리가 행하여지는 것과 병행되고, 그 폭방향 양단부가 중앙선(123)에 서로 돌출되어지는 상태에까지 되접어 꺾기 성형부(124)에 의해 상방을 향해서 되집어 꺾여져, 그 되접어 꺾기는 밸브재(103a,103b) 끼리의 밀봉이 행하여지는 C3위치에 있어서 대략 완료하고 있다. C3 위치의 직후에 있어서, 되집어 꺾여진 바닥재(121)에는, 바닥재 펀치(125)에 의해, 펀치구멍(157)이 공정의 진행 방향전후에 인접하는 두개의 파우치의 저부 코너에 양에 걸친 상태로 또한 좌우로 인접한 두개의 파우치의 저부 코너에 인접해서 형성된다.
밸브-몸통 밀봉(151)이 실시되는 D3위치에서, 되집어 꺾기 바닥재(121)와 하측의 몸통재(102) 사이에는, 양자간의 열용착을 저지하는 방해판(126)이 삽입개시된다. 방해판(126)은, B2위치의 상류측에 있어서 장치 프레임(도시 생략)에 편가짐 지지되어 있고, 되접어 꺾여진 바닥재(121)보다 폭이 넓지만, 하류방향에 바닥재(121)나 몸통재(102)의 이송 방향에 주출구 주변 밀봉(109,109)이 설치되어 있는 F3위치까지 연장되는 장판(長板)으로 구성되어 있다. 방해판(126)은, 바닥재(121)를 매끄럽게 주행시키도록 5㎜이하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F3위치에는, 바닥재(121)를 상측의 몸통재(101)에 열용착시키는 바닥실러(127)가 설치되어 있다. 바닥실러(127)는, 한쌍의 몸통재(101,102)의 상하 외측으로부터 바닥재(121)를 끼우는 형태에서 가압ㆍ가열하는 가열밀봉 헤드(127a,127b)로 이루어지고 있다. 바닥재(121)와 상측의 몸통재(101)의 사이는 만곡한 밀봉 윤곽을 갖는 바닥밀봉(153)이 실시되지만, 바닥재(121)와 하측의 몸통재(102) 사이는 방해판(126)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바닥 밀봉이 형성되지 않고, 후단의 충전 공정에서의 충전물의 충전을 위한 충전구(140)가 남겨진다.
D3위치의 하류의 E3위치에는, 한쌍의 밀봉헤드(108a,108b)로 이루어지는 주출구 실러(108)이 몸통재(101,102)의 양단부의 상방 및 하방으로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주출구 실러(108)는 주출구(141)를 남기도록 몸통재(101,102)를 밀봉한다. 주출구 실러(108)는, 몸통재(101,102)와 밸브재(103)의 가열밀봉 위치보다 폭방향 외측의 영역에 있어서, 몸통재(101,102)에 그 내외를 연통하는 주출구(141)가 되는 비밀봉 부분을 남기는 윤곽을 갖고, 서로 용착된 주출구 밀봉(143)을 형성한다. E3위치의 하류의 F3위치에 있어서, 주출구 주변 실러(109)가 몸통재(101,102)의 양단부의 상방 및 하방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 되어 있다. 주출구 주변 실러(109)도 한쌍의 밀봉 헤드(109a,109b)로 이루어지고, 밸브-몸통 밀봉(151)과 주출구 밀봉(143)에 각각 일부 포개어지고 또한 연결되어서 몸통재(101,102) 끼리를 용착함으로써, 주출구 주변 밀봉(144)을 형성한다. 주출구(141)의 출구측은 주출구 주변 밀봉(144)에 의해 봉할 수 있으므로, 주출구 주변 밀봉(144)이 형성된 한쌍의 몸통재(101,102)와 밸브-몸통 밀봉(151)에서 몸통재(101,102)에 용착된 밸브재(103)에 의해, 주출전의 충전물을 수용 가능한 정량실(148)이 형성된다. 그 후, G3위치에 이행하는 전위치에는, 몸통재(101,102)에는, 주출구(141)의 출구측에 있어서, 개봉을 쉽게 하기 위한 약화 가공부를 주출구(141)를 횡단하여 노치(145)의 양단과 연결되도록, 몸통재(101,102)의 외면에 형성하는 역개봉 가공공정(11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출구 실러(108)에 의한 주출구 밀봉(143)이 형성되는 E3위치 및 주출구 주변 실러(109)에 의한 주출구 주변 밀봉(144)과 바닥밀봉(156)이 형성되는 F3위치에 있어서는, 각 밀봉은 상하의 몸통재(101,102) 끼리의 밀봉이지만, 이들의 밀봉도, 접힘부(162)보다 외측에서 분기부(161)가 되는 부분에 있어서 행하여진다. 파우치(P3)에서는 충전구(140)는 후의 공정에서 별도 수단에 의해 형성된다. F3위치에서의 바닥밀봉(156)의 형성시에는, 상하의 몸통재(101,102)와 바닥재(121)는 전면적으로 밀봉된다.
F3위치의 하류의 G3위치에는, 각각 몸통재(101,102)의 양단부의 상방 및 하방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다이스 컷팅 컷터 조각(111a,111b)으로 이루어지는 주출구 다이스 컷팅 컷터(111)가 설치되어 있다. 주출구 다이스 컷팅 컷터(111)는, 주출구 주변 밀봉(144)이 된 몸통재(101,102)를 다이스 컷팅하고, 정량실(148)의 외형을 정하는 동시에, 탭(144a) 및 노치(145)를 형성한다.
F3위치에서의 주출구 주변 밀봉(144)과 바닥밀봉(156)의 형성 후, 공정(110)에 있어서 주출구(141) 주변의 역개봉 가공이 행하여지고, 또한, G3위치에서의 주출구 다이스 컷팅 컷터(111)에 의한 주출구 주변의 다이스 컷팅이 행하여져서 분기부(161)가 형성된 후, H3위치 및 I3위치를 거쳐 되접어 꺾기 성형부(131)에 의한 분기부(161)의 되접어 꺾기가 행하여진다. 분기부(161)의 되접어 꺾기가 완료되는 J3위치에 있어서, 접힘부(162)를 가로방향 외측에 뒤집어 꺾는 충전구 되접어 꺾기가 완료됨과 아울러, 포장재의 이송 방향에 인접하는 파우치 사이에서 분기부 임시잠금 펀치(132)에 의한 분기부의 임시잠금 펀치 구멍처리가 행하여진다. 분기부 임시잠금 펀치(132)는, 펀치(132a)와 그것에 대향 배치된 펀치받이(132b)로 이루어지고 있다.
J3위치의 하류직후의 K3위치에는, 몸통재(101,102)의 상방 및 하방에 있어서 몸통재(101,102)를 직각으로 가로 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실러(112)이 설치 되어 있다. 가로실러(112)는, 상하 이동 가능한 한쌍의 밀봉 헤드(112a,112b)로 이루어지고, 몸통재(101,102)의 반송 방향에 인접하는 두개의 파우치(P3,P3)가 되는 부분에 걸쳐치고, 양단의 주출구 주변 밀봉(144)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상태로, 양 몸통재(101,102)를 용착하는 가로밀봉(142)을 형성한다. 가로실러(112)는, 바닥재(121)가 존재하는 부분에서는, 바닥재(121)를 끼운 상태의 몸통재(101,102)를 가압ㆍ가열한다. 분기부 임시잠금 펀치 구멍처리가 행하여진 부분을 제외한 횡단 영역이, 가로실러(112)에 의해 가로밀봉(142)이 형성된다. 가로밀봉(142)은, 포장재의 이송방향에 인접하는 양 파우치(P3,P3) 사이에 있어서, 이중행 배열마다 한번에 행하여진다.
K3위치 후, 분기부 임시잠금 펀치 구멍처리가 실시된 부분에 스폿 실러(133)에 의해 임시잠금 스폿 밀봉(163)이 행하여진다. 스폿 실러(133)은 밀봉 헤드(133a,133b)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후, 바닥재 펀치(125)로 바닥재(121)에 형성 된 펀치 구멍(157) 사이에 바닥 코너 펀치(134)가 실시됨과 아울러, 충전구 코너 펀치(135)에 의한 접힘부(162)에의 충전구의 코너부에 라운딩을 실시하는 충전구 코너 펀치 처리가 실시된다. 또한 그 후, 바닥밀봉(156)의 부분에 매달기 구멍(158)을 형성하는 매달기 구멍 펀치(136)에 의한 매달기 구멍 형성처리가 행하여진다. 바닥 코너 펀치(134), 충전구 코너 펀치(135) 및 매달기 구멍 펀치(136)는각각, 펀치(134a,135a,136a)와 그것에 대향 배치된 펀치받이(134b,135b,136b)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직후의 L3위치에 있어서, 접힘부(162)의 선단부를 컷터(137)에 의해 잘라내어 충전구(140)를 여는 동시에, 중앙 슬리터(115)에 의해, 몸통재(101,102)의 중앙선, 즉, 바닥재(121)가 되접어 꺾여진 끝부가 서로 돌출된 상태에 있는 중앙선(123)을 따라, 이중행 배열된 파우치 사이를 절단해서 좌우 양 파우치(P3,P3)를 분리한다. 또한, 그 후, 컷터(116)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제조된 파우치(P3)로부터 순서대로 분리처리가 행하여진다.
도7∼도10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분기ㆍ자립형 파우치의 제조공정을 나타냈지만, 상측의 몸통재(101)의 끝부 근처의 위치에 분기 형성부(130)에 의한 분기부(161)를 위한 접힘부(162)의 형성과, 되접어 꺾기 성형부(131)에 의한 분기부(161)의 되접어 꺾기를 삽입을 생략함으로써, 포장백을 분기형이 아니지만 자립형파우치로서, 분기ㆍ자립형 파우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공정이 진행하는 방향의 양측에서 각각 수직방향을 직교방향으로 한 이중행 배열로 제조하는 제조공정을 얻을 수 있다. 도11에는, 그러한 자립형 파우치의 제조공정의 일례를 개략 도시한 평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11에 있어서는, 위치 부호 이외가 공통되는 기구나 부위에는 도7에 나타내는 분기ㆍ자립형 파우치의 제조공정의 경우와 같은 부호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자립형 파우치에서는, 바닥밀봉(156)의 형성시에, 방해판(126)을 사용함으로써 남겨진 비열용착 부분이 충전구(140)로서 형성되지만, F2위치에 있어서는 가로실러(112)에 의해 충전구(140)의 양 횡측부분이 밀봉된다. G2위치에는, 이중행 배열되는 좌우로 인접하는 두개의 자립형 파우치의 각각에 대해서 각 충전구(140)에 대응하는 부분의 양측에 매달기 구멍(152,152)을 형성하는 매달기 펀치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몸통재(101,102)에의 바닥재(121)의 삽입을 생략함으로써, 포장백을 자립형이 아닌 단순한 평형 파우치로서, 분기ㆍ자립형 파우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공정이 진행하는 방향의 양측에서 각각 수직방향을 직교방향으로 한 이중행 배열에서 제조공정을 얻을 수 있다. 도12에는, 그러한 평형 파우치의 제조공정의 일례를 개략 도시한 평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12에 있어서도, 위치 부호 이외의 공통되는 기구나 부위에는 도7에 나타내는 분기ㆍ자립형 파우치의 제조공정의 경우와 같은 부호가 사용되어 있으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F1위치의 직후에 있어서, 바닥 코너 펀치에 의해 전후 좌우로 인접하는 네개의 평형 파우치의 충전구(140)의 주변의 코너에 라운딩이 형성되고, 그 직후에는, 바닥 코너 펀치에 의한 펀치 구멍을 둘러싸는 위치에 있어서, 인접하는 네개의 파우치의 각각에 매달기 구멍 펀치에 의해 매달기 구멍(158)이 형성된다. 매달기 구멍(158)은, 각 평형 파우치에 대해서 중앙의 1개로 할 수 있다.
칸막이재를 한쌍의 밸브재(103a,103b)로 구성했을 때의 포장백의 제조방법의 실시예의 개략이 도13에 나타내어져 있다. 도13(A)은, 밸브재 끼리의 용착의 개요를 나타내는 단면도, 동(B)는 밸브재의 몸통재에의 용착의 개요를 나타내는 단면도, 동(C)는 다른 용착형태에 의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동(D)는 또 다른 용착형태에 의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밸브재(103a,103b)는, 양표면 모두 타이트하게 열밀봉 가능하게, 즉, 타이트 용착이 가능하도록, 타이트 밀봉층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소재이다. 도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재(101,102)에의 열용착에 선행하여, 한쌍의 밸브재(103a,103b)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밸브재(103a,103b)의 폭방향 기타 부근의 양 타측면(103d,103d) 끼리를, 벨브 실러 헤드(105)의 가열밀봉 헤드(105a,105b) 사이에서 가압ㆍ가열함으로써, 그 가압ㆍ가열된 부분이 밸브 밀봉(149)(도 16참조)으로서 타이트하게 열용착된다. 가열밀봉 헤드(105a)의 비밀봉부(105c)에 의해 가압ㆍ가열되지 않고 비용착부로서 남겨진 부분이, 충전물이 통과가능한 밸브통로(150)로서 형성된다. 벨브 밀봉(105)은, 후술하는 몸통-칸막이 실러(107)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또한, 도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재(103a,103b)의 폭방향 기타측 부근에 있어서 밸브통로(150)가 형성된 밸브재(103a,103b)를 한쌍의 몸통재(101,102) 사이에 배치하고, 몸통재(101,102)의 외측에서 밸브재(103a,103b)의 폭방향 일측 부근을 밸브-몸통실러(107)의 실러부인 가열밀봉 헤드(107a,107b)에 끼워서 가압ㆍ가열함으로써, 밸브재(103a,103b)는, 그 외측에 면하는 편측면(103c,103c)이 가압ㆍ가열부분에 있어서 몸통재(101 또는 102)의 내측면에 열용착되어서, 타이트 용착부(103e,103e)가 형성된다. 적어도 타이트 용착부(103e,103e)에 대응한 범위에 있어서 밸브재(103a,103b) 사이에 밀봉 저해부재(106)가 개재ㆍ배치되므로, 양 밸브재(103a,103b)의 대향하는 타측면(103d,103d) 끼리의 열용착이 방지된다. 따라서, 밸브통로(150)와 한쌍의 밸브재 필름 사이를 통과하는 충전물의 흐름이 확보되어, 밸브통로(150)가 사실상 기능하지 않게 되는 일은 없다. 밀봉 저해부재(106)는, 밸브재(103)을 매끄럽게 주행시키도록 5㎜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고, 표면에는 테프론(등록상표) 테이프가 붙여져 있다. 충전물의 충전상태에서는, 타이트 용착부(103e,103e)는 폭방향 기타측부근을 지점으로서 서로 떨어져 몸통재(101,102) 사이가 넓혀질 수 있으므로, 포장백 안에 충분한 충전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면 모두 타이트 밀봉층으로 이루어지는 밸브재(103a,103b)를 미리 폭방향 일측 부근의 내측에 면하는 타측면(103d,103d)을 서로 비용착부 없이 폐쇄부(103f)로서 용착해 두고, 그렇게 해서 얻어진 밸브재(103)를 칸막이재로서 몸통재(101,102) 사이에 배치한다. 몸통-칸막이 실러(107)는 밸브재(103)와 몸통재(101,102)를 용착하는 실러부로서의 밀봉헤드(107a,107b)가 밸브재(103a,103b)의 폭방향 기타측 부근에 있어서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어, 밀봉헤드(107a,107b)가 밸브재(103)를 사이에 끼워서 몸통재(101,102)를 가압ㆍ가열함으로써, 밸브재(103)와 몸통재(101,102) 사이에 타이트 용착부(103e,103e)를 형성한다. 밀봉헤드(107a,107b)에는 비밀봉부분(107c)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밸브재(103)의 편측면(103c,103c)과 몸통재(101,102) 사이에는 타이트 용착부(103e,103e)에 비용착부로서 남는 밸브통로(150)를 형성할 수 있고, 충전물은 밸브통로(150)를 통해서 일측에서 기타측으로 통과가능해 진다. 또한, 몸통-칸막이 실러(107)의 상류측에는 밸브재(103a,103b)를 서로의 대향면에 비용착부 없이에 용착하는 밸브실러를 배치할 수 있다. 밸브재(103a,103b) 사이에 밀봉 저해부재(106)가 개재되어 있고, 밸브재(103a,103b)가 타이트 용착부(103e,103e)에 대응한 부분에서 용착되지 않으므로, 밸브재(103a,103b)가 몸통재(101,102) 사이에서 충전물이 통과하는 밸브통로(150)의 배면을 구속하지 않고, 충전물은 밸브통로(150)의 통과를 방해되는 경우가 없다. 충전물의 충전상태에서는, 타이트 용착부(103e,103e)는 폭방향 일측 부근의 폐쇄부(103f)를 지점으로서 서로 떨어져 몸통재(101,102) 사이가 넓어질 수 있으므로, 포장백 안에 충분한 충전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1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재(103a,103b)는, 적어도 편측면(103c,103c)측에 타이트 밀봉층(103g)을 갖고 또한 타측면(103d,103d)측에 용이하게 박리가능한 용착강도를 갖는 이지 필링층(103h,103h)을 갖는 다층필름으로 할 수 있다. 밸브재(103a,103b)에는, 그 폭방향에 다른 위치, 예를 들면 폭방향의 중앙영역에 있어서, 이지 필링층(103h,103h) 끼리로 미리 용착되어서 역박리 용착부(103i)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통-칸막이 실러(107)는, 밸브재(103)의 폭방향의 양측에서 제 각기 배치된 밀봉헤드(107a,107b)로 이루어지는 두개의 밀봉부를 구비하고 있고, 밸브재(103a,103b)를 몸통재(101,102) 사이에 끼운 상태로 가압ㆍ가열함으로써, 역박리 용착부(103i)의 폭방향 양측에 있어서, 밸브재(103a,103b)와 몸통재(101,102)를 타이트 용착한 타이트 용착부(103e,103e)가 형성된다. 이지 필링층(103h,103h) 끼리의 역박리 용착은, 몸통재(101,102)와의 타이트 용착에 앞서 미리 행할 수 있고, 제조장치로서는 몸통-칸막이 실러(107)의 상류측에 역박리 용착용의 밀봉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직후의 단계에서는 밸브재(103)의 양측의 실(室)은 완전히 분리되어, 포장백은 사용전에 있어서 실 사이에서의 충전물의 이동을 막을 수 있는다. 역박리 용착부(103i)는, 사용상태에서 포장백을 가압했을 때의 상승한 내부압력에 의해, 용이하게 박리가능하며, 박리했을 때에 충전물이 통과가능한 통로(150a)가 형성된다. 충전물의 충전상태에서는, 타이트 용착부(103e,103e)는 폭방향 중앙 부근의 역박리 용착부(103i)를 지점으로서 서로 떨어져 몸통재(101,102) 사이가 넓어질 수 있으므로, 포장백 안에 충분한 충전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도14에 나타내는 예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1매의 밸브재를 몸통재에 용착시키는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 밸브재(118)는, 도1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표면측을 타이트 밀봉층(118a)으로 하고 다른쪽의 표면측을 이지 필링층(118b)으로 한 일조의 웹형상의 다층필름이다. 밸브재(118)를 사용한 포장백 그 자체에 대해서는, 뒤에 도19로 나타내는 대로이지만, 도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층구조를 갖는 밸브재(118)를 한쌍의 몸통재(101,102) 사이에 끼워져 있는 상태로 배치하고, 밸브재(118)와 각 몸통재(101,102) 사이에 서로 웹의 폭방향에 위치를 빗겨서 밀봉 저해부재(119) 및 보조 밀봉 저해부재(119a)를 배치하고, 그 상태로 한쌍의 몸통재(101,102)의 외측으로부터 밸브-몸통실러(117)의 가열밀봉 헤드(117a,117b)로 가압ㆍ가열한다. 몸통-칸막이실러(117)는 밸브재(118)의 폭방향에 격치한 두개의 실러부(117c,117d)를 구비하고 있다.
도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재(118)와 각 몸통재(101,102)는, 밀봉 저해부재(119,119a)가 배치되지 않는 측에서 열용착되어 충전물의 통과방향을 가로 질러서 이중으로 가열밀봉이 행하여지지 않고, 실러부(117c)에 의해 타이트 밀봉층(118a)이 몸통재(101)에 용착됨으로써 타이트 용착부(120a)가 또한 실러부(117d)에 의해 이지 필링층(118b)이 몸통재(102)에 용착됨으로써 역박리 용착부(120b)가, 서로 밸브재(118)의 폭방향에 격치해서 형성된다. 타이트 용착부(120a)가 형성된 측에서는 강한 밀봉 강도를 얻을 수 있고, 백의 내부에 압력(F1)이 작용해도 용이하게는 밀봉이 박리되지 않는다. 역박리 용착부(120b)가 형성된 측에서는 밀봉 강도는 약하고, 포장백을 압침할 때와 같이 백의 내부에 압력(F2)이 작용했을 때에는 용이하게 밀봉이 박리되므로, 충전물은 박리한 이지 필링층(118b)과 몸통재(102)의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를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1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지 필링층(118b)측의 밀봉 저해부재(119)를 요철(119c)의 출입이 있는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역박리 용착부(120b)를 응력집중이 생기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한층 더 역박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밸브재(118)와 각몸통재(101,102)는, 밀봉 저해부재(119) 및 보조 밀봉 저해부재(119a)가 조합된 장치내에서 함께 웹형상의 포장재로서 반송되면서 밀봉할 수 있고, 파우치(P3) 등의 포장백을 자동적 또한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타이트 용착부(120a)와 역박리 용착부(120b)는 밸브재(118)의 폭방향에 간격을 두어서 형성되므로, 몸통재(101,102)는 밸브재(118)가 설치된 위치에서도 넓어질 수 있고, 포장백 안에 충분한 충전량을 확보할 수 있다.
도14(E)에는, 양면 모두 타이트 밀봉층으로 이루어지는 일조의 필름인 밸브재(118c)를 사용한 포장백의 제조방법의 개요가 나타내어져 있다. 밸브재(118c) 의 양면 모두 타이트 밀봉층이므로, 타이트 용착에 의한 타이트 용착부(120a,120a)가 밸브재(118c)의 폭방향에 서로 다르게 설치되어진다. 각 타이트 용착부(120a)에 있어서, 밸브재(118c)에 대해서는, 용착측이 편측면이며, 비용착측이 타측면이다. 몸통-칸막이 실러(117)는 밸브재(118c)의 폭방향에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타이트 용착부(120a,120a)에 대응해서 밸브재(118c)와 몸통재(101,102)에 타이트 용착을 실시하는 두개의 밀봉부를 구비하고 있다. 충전물을 통과시키는 통로는, 도13(C)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로, 한쪽의 타이트 용착부(120a)에 있어서 밸브재(118)와 몸통재(102)에 비용착부를 남겨서 타이트 용착을 실시함으로써 역류 방지밸브의 기능을 갖는 밸브통로(150)로서 형성할 수 있다. 밸브통로(150)를 형성하기 위해서, 한쪽의 실러부(117a)는 타이트 용착부(120a)에 비용착부를 남기는 비실러 부분(117e)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통로(150)가 형성 되는 타이트 용착부(118e)에 대응하여, 밸브재(118c)와 몸통재(101)의 사이에는 밀봉 저해부재(119)가 개재되므로, 밸브통로(150)의 배면측이 몸통재(101)로 구속되는 일이 없고 충전물의 통과가 방해받지 않는다. 다른 P의 타이트 용착부(120a)에 대응하여, 몸통재(102)측에서는 밀봉 저해부재(119)가 개재되므로, 충전물은 밸브재(118c)와 몸통재(102) 사이에서의 연통이 방해받지 않는다. 또한, 몸통재(101,102)의 넓이가 허용되므로, 도14(A)의 예와 마찬가지로 충분한 충전량을 확보할 수 있다. 포장백 내부의 압력은 밸브재(118c)의 양측에서 타이트 용착부(120a,120a)에 대하여 모작용적으로 타이트 용착을 박리시키려고 작동하지만, 충분한 박리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4(F) 및 동(G)에는, 밸브재(118)는 도14(C)에 나타내는 1매의 다층필름이며, 밸브재(118)를 포장백의 내부를 2실 이상의 복수의 실로 구획하는 단순한 칸막이재로서도 이용한 포장백의 제조방법의 개요가 나타나 있다. 도14(F)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이지 필링층(118b)의 몸통재(102)에의 용착에 의한 역박리 용착부(120b)는, 타이트 밀봉층(118a)의 몸통재(101)에의 용착에 의한 타이트 용착부(120a)에 폭방향으로 직접 근인접해서 형성되어 있다. 역박리 용착부(120b)에 대응한 타이트 밀봉층(118a)에 의한 타이트 용착부(120c)는, 타이트 용착부(120a)와 연속해서 형성 되어있다. 몸통-칸막이 실러(117)는, 역박리 용착부(120b)와 타이트 용착부(120a,120c)에 대응하고, 밸브재(118)의 폭방향에 연속한 폭을 갖는 하나의 실러부(117f,117g)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고, 밀봉 저해부재(119)를 이지 필링층(118b)측에 있어서 타이트 용착부(120a)에 대응한 범위에만 몸통재(102)의 사이에서 개재 배치시킬 수 있다. 몸통-칸막이 실러(117)의 작동에 의해, 밸브재(118)를 타이트 밀봉층(118a)측에서는 타이트 용착부(120a,120c)를 연속해서 형성하고, 이지 필링층(118b)측에서는 밀봉 저해부재(119)가 타이트 용착부(120a)에 대응한 범위에서 개재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 범위에서는 용착하지 않고, 밀봉 저해부재(119)가 개재하지 않는 범위에서 역박리 용착부(120b)를 형성한다. 역박리 용착부(120b)는 포장백을 압침할 때에 충전물의 상승된 내부압력에 의해 용이하게 박리가능하며, 충전물은 이지 필링층(118b)과 몸통재(102)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를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도14(G)에 나타내는 예는, 도14(C)에 나타내는 1매의 다층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밸브재(18)를 사용한 또한 포장백의 제조방법의 별도 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밸브재(118)의 폭방향에 격치한 두개의 타이트 용착부(120a,120a)를 형성하고, 양타이트 용착부(120a,120a)사이에 역박리 용착부(120b)를 형성한 것이다. 몸통-칸막이 실러(117)는, 도14(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좋다. 밀봉 저해부재(119)는, 각 타이트 용착부(120a)에 있어서, 실러부(117c)(117d)에 조정해서 이지 필링층(118b)측에서 몸통재(102) 사이에 개재 배치되어 있으므로, 몸통-칸막이 실러(117)의 작동시에, 밸브재(118)를 타이트 밀봉층(118a)측에서는 몸통재(101)에 타이트 용착을 하지만, 이지 필링층(118b)측에서는 몸통재(102)에 용착시킬 수 없다. 양 타이트 용착부(120a,120a) 사이에 있어서의 역박리 용착부(120b)는, 몸통-칸막이 실러(117)에 의한 용착에 앞서 미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몸통-칸막이 실러(117)에 의한 용착과 동시에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역박리 용착부(120b)에 대응해서 타이트 밀봉층(118a)측에는 몸통재(101)와의 사이에 보조 밀봉 저해부재(119a)를 개재시킬 수 있다. 역박리 용착부(120b)는 포장백을 압침할 때에 상승으로 하는 내부압력에 의해 박리가능하며, 충전물은 박리한 이지 필링층(118b)과 몸통재(102)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를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의 제조방법을 주출기능을 구비한 각 형태의 파우치(P1∼P3)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포장백은, 이 종류의 파우치에 한정되지 않고, 평형으로 또한 분기부를 갖는 파우치의 제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다. 또한, 칸막이는, 밸브로서 뿐만 아니라, 드레싱과 같은, 복수종류의 충전물을 당초는 구분지어 구별해서 포장하고 있지만, 사용직전에 혼합해서 사용하도록 충전물의 이동규제를 수반하는 칸막이를 행하는 포장백의 제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용착은 가열밀봉, 즉, 열용착을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초음파나 그 밖의 방식에 의한 용착이어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의 구체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15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을 평형 파우치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15(A)는 그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동(B)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5(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플라스틱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부(32)를 가열밀봉 해서 첨단에 자기폐쇄성의 주출구(33)를 갖는 파우치(31a)를 형성할 때에, 파우치(31a)의 폭방향에 걸쳐 플라스틱 필름을 가열밀봉함으로써 제1 구획부(34,34) 및 제2 구획부(35,35)를 설치하고, 파우치 내부를 수납실(38), 상기 수납실(38)에 연통하는 완충실(36) 및 주출구(33)의 상부(즉, 백 내부측)에 주출구(33)와 접속하는 정량실(37)에 구획한 것이다. 파우치(31a)로부터 액체 등의 내용물을 꺼내기 위해서는, 파우치 선단부에 설치한 집기(40)를 손가락으로 집어서, 미싱눈금 등의 역개봉 가공부(41)를 따라 주출구(33)의 선단부를 개봉한 후에, 손 또는 도구에 의해 정량실(37)을 압압하고, 액체 등의 내용물을 주출한다. 그 때에, 액체 등의 내용물은 정량실(37)로부터 수납실(38)측에 역류하려고 하지만, 이 역류는 저지 밸브적인 기능을 갖는 제1 구획부(34,34)에 의해 대부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우치 본체재료에는, 외층에서, 두께 15㎛의 2축연신 나일론 필름과 두께 130㎛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우레탄계 접착제로 라미네이트한 적층필름이 사용되고 있다(접착제층 두께:4㎛).
파우치(31a)에서는, 제1 구획부(34,34)의 상부에 가열밀봉에 의한 제2 구획부(35,35)가 형성되고, 정량실(37)과 수납실(38) 사이에 완충실(3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주출시에 액체 등의 내용물이 정량실(37)로부터 역류하려고 해도 완충실(36)에서 흡수되어, 내용물이 정량실(37)로부터 즉시 수납실(38)에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완충실(36)에 의해, 파우치(31a)에 제1 구획부(34,34)에 의해 좁은 액통로(39)를 구성하는 것에 따라, 액통로(39)의 근방에 파우치가 편중된 변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5(B)에 나타내는 파우치(31b)에서는, 제1 구획부(34,34) 및 제2 구획부(35,35)가 파우치의 양측에서 파우치 중앙부를 향해서 각각 형성되었지만, 파우치(31b)에서는, 제1 구획부(34)를 파우치의 편측에서 파우치의 반대측을 향해서 가열밀봉에 의해 구성하는 동시에, 제1 구획부(34)의 반대측에 제2 구획부(35)가 형성 되어 있다. 이러한 구획에 의해, 파우치 내부는, 수납실(38), 상기 수납실(38)에 연통하는 완충실(36) 및 주출구(33)에 접속하는 정량실(37)에 구획된다. 파우치(31b)의 다른 구성 및 사용 방법은, 도15(A)에 나타내는 파우치(31a)와 같다.
상기 도15(A)(B)에 나타내는 평형 파우치(31a,31b)에서는, 제1 구획부(34) 및 제2 구획부(35)를 형성함으로써, 파우치(31a,31b)의 내부를 수납실(38), 완충실(36) 및 정량실(37)에 구획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파우치에 단지 제1 구획부(34)만을 형성하고, 파우치를 수납실(38)과 정량실(37)의 2구획으로 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제1 구획부(34) 및 제2 구획부(35)의 치수나 형상은, 파우치 내에 수납하는 액체 등의 내용물이나 파우치의 치수, 재질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도16에는,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갖는 평형 디스펜서 파우치(이하, 「평형 파우치」라고 생략한다.)의 별도 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16(A)은 평형 파우치 전체의 사시도, 동(B)는 그 세로단면도, 동(C)는 충전후의 평형 파우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동(D)는 (C)에 나타내는 평형 파우치의 세로단면도이다. 도16에 나타내는 평형 파우치(P1)는, 한쌍의 대향한 몸통재(101,102)를 일단부(충전을 고려하여, 도의 상단부)를 충전구(140)로 하고, 타단부(도에서 하단부)를 주출구(141)로서 맞붙여서, 양측끝 가장자리부분과 한끝 가장자리부분에 각각 가로밀봉(142)과 끝부밀봉(153)을 실시해서 형성한 백이다. 도1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끝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 주출구 밀봉(143)을 성형할 때에 미밀봉 부분으로서 남겨진 것으로 주출구(141)가 형성되어 있고, 주출구 밀봉(143)의 또한 주변을 밀봉 하는 주출구 주변 밀봉(144)에 의해 주출구(141)의 출구측이 닫혀져 있다. 주출구 주변 밀봉(144)에는, 주출구(141)의 양측의 연장선상에 역개봉용의 노치(145)가 형성되어 있다. 집기(144a)를 노치(145)를 따라서 잘라냄으로써(도16(C) 및 (D)), 밖에 나타난 주출구(141)로부터 충전물(특히, 액상충전물)을 주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주출구 밀봉(143)의 성형시에 주출구(141)를, 도15(A)(B)에 나타내는 파우치(31a,31b)의 주출구(33)와 마찬가지로, 자기폐쇄성 주출구로 함으로써, 충전물(155)이 자중에서는 새어나가지 않도록 형성된다.
평형 파우치(P1)의 중앙보다 약간 하방에는 몸통재(101,102)를 상방의 수용실(147)과 하방의 정량실(148)로 구분짓는 밸브(146)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146)는, 2매의 필름형상의 밸브재(103)를 포개서 형성되어 있고, 수용실(147)로부터 정량실(148)에만 충전물(155)의 통과를 허용하지만, 그 반대의 흐름을 저지하는 작동을 하는 역류 방지 밸브이다. 2매의 밸브재(103)의 대향면 사이를 용착하는 밸브 밀봉(149)을 형성할 때에, 비밀봉부로서 비용착부가 남겨짐으로써 밸브통로(150)가 형성된다. 2매의 밸브재(103)의 외측을 몸통재(101,102)의 내면에 용착하는 밸브-몸통 밀봉(151)에 의해, 밸브(146)가 몸통재(101,102)에 부착된다. 몸통재(101,102)의 상단부에는 매달기 구멍(152)이 형성되어 있고, 충전물(155)을 충전한 후에, 매달기 구멍(152)을 포함하는 폭으로 상단부를 용착함으로써 끝부 밀봉(153)이 형성된다. 매달기 구멍(152)에 행거(154)를 걸게함으로써, 평형 파우치(P1)를 매달기 유지하고 그 사용에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평형 파우치(P1)를 매달면, 수용실(147) 내의 충전물(155)은, 자중으로 밸브(146)를 통과해서 정량실(148)에 이동한다. 그리고, 정량실(148) 내의 압력이 수용실(147) 안의 압력을 균형 잡으면 충전물(155)의 이동이 멈추고 안정된다. 또한, 평형 파우치(P1)를 매달지 않아도, 수용실(147)을 손으로 미는 등의 수단으로 내부의 압력을 높임으로써, 수용실(147)안의 충전물(155)을 밸브(146)를 통해서 정량실(148)에 이동시킬 수 있다. 정량실(148)을 압압할 때, 정량실(148)안의 충전물(155)은 수용실(147)에의 되돌리기가 밸브(146)에 의해 방지되므로, 충전물(155)을 주출구(141)를 통해서 조금씩 꺼낼 수 있다.
도17에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이 구체화된 스탠드업형 디스펜서 파우치(이하, 「자립형 파우치」라고 약칭한다.)의 일례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17(A)은 자립형 파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동(B)는 그 세로단면도, 동(C)는 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동(D)는 (C)의 세로단면도이다. 자립형 파우치(P2)는, 뒤집어 L여진 바닥재(21)가 삽입ㆍ밀봉되어 있는 것 이외는, 도16에 나타내는 평형 파우치(P1)와 같은 주출구(141)를 갖는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같은 부위에는 같은 부호를 첨부하는 것에 의해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립형 파우치(P2)에서는, 바닥재(121)는 몸통재(101)에 대하여는 용착되어 있지만, 몸통재(102)와의 사이는 미밀봉 상태에 있기 위해서 충전구(140)가 형성되어 있다. 충전구(140)을 통해서 충전물(155)을 충전한 후, 바닥재(121)과 몸통재102과는 용착되어서 바닥밀봉(156)에서 밀봉된다. 자립형 파우치(P2)에 대해서는, 도17에서 나타낸 상태와 수직을 역으로 하여, 자립시킨 상태로 유통ㆍ진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닥밀봉(156)은, 자립상태일 때의 저부의 내압성을 고려하고, 도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형상의 윤곽을 갖도록 실시되어 있다. 또한, 바닥재(121)에는, 양구석에 있어서 대략 반원형상의 바닥재 펀치 구멍(157)이 형성되고, 저부에는 행거(159)의 걸림용에 매달기 구멍(158)이 형성되어 있다.
도18에는, 이 발명에 의한 포장백이 구체화된 분기ㆍ스탠드업형 디스펜서 파우치(이하, 「분기ㆍ자립형 파우치」라고 칭한다)의 일례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분기ㆍ자립형 파우치는, 도7∼도10 나타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도18에는 분기부에 있어서의 밸브재의 몸통재에의 가열밀봉에 적용했을 경우의 개략이 나타나 있다. 도18(A)은 충전물 충전후ㆍ사용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분기ㆍ자립형 파우치의 사시도, 동(B)는 그 세로단면도이며, 동(C)은 그 후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동(D)는 (C)의 세로단면도이다. 분기ㆍ자립형 파우치(P3)는, 몸통재(101,102)와 바닥재(121)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실(147)을 구성하는 파우치 본체부(160)와, 파우치 본체부(160)로부터 분기되어서 접속되는 분기부(161)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분기부(161)에 관한 구조이외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17에 나타내는 자립형 파우치(P2)의 구조로 같으므로, 같은 기능을 나타내는 부재나 부위에는 같은 부호를 첨부하는 것에 의해,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분기부(161)는, 몸통재(101)의 일부를 뒤집어 꺾어서 형성된 접힘부(162) 앞에 몸통재(102)의 일부 및 밸브재(103)와 협동해서 형성되고, 내부에 밸브(146) 및 정량실(148)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분기부(161)는, 도18(A) 및 (B)에 나타내는 충전상태에서는, 임시잠금 스폿 밀봉(163)에 의해 파우치 본체부(160)를 따라 아래로 드리워지는 상태로 임시잠금되어 있다. 분기ㆍ자립형 파우치(P3)의 사용시에는, 도18(C) 및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시잠금 스폿 밀봉(163)을 벗겨낸 후, 분기부(161)를 꺾어 되돌리고, 주출구(141)를 개봉하고, 행거(159)에서 매단 상태로 된다. 평형 파우치(P1)(도16)이나 자립형 파우치(P2)(도17)와 마찬가지로, 아래를 향한 주출구(141)로부터는, 통상대로 충전물(155)을 조금씩 꺼내어 조작할 수 있다. 접힘부(162)는, 충전물(155)의 충전시에는 몸통재(101)가 컷트됨으로써 개구된 충전구로 된 부분이지만, 충전물(155)의 충전후, 열용착 되어서 밀봉되어 있고, 매달기 상태에서는 몸통재(101)로 돌출한 상태가 된다. 또한, 파우치 네모퉁이의 코너부(164)에는, 안전상, 펀치 가공에 의해 라운딩이 실시되어 있다.
분기ㆍ자립형 파우치(P4)는, 파우치의 꼭대기부(162)로부터 파우치(P3)안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에 꼭대기부(162)를 가열밀봉 함으로써 밀봉된다. 분기ㆍ자립형 파우치(P3)에 있어서는, 파우치의 꼭대기부(162)보다 하방의 위치에서 파우치의 측벽을 외측으로 신장시킴으로써, 첨단에 주출구(141)와 정량실(148)을 갖는 분기부(161)가 형성되어 있다.
분기부(161)의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146)는, 2매의 필름형상의 밸브재(103)를 포개서 형성 되어있지만, 이것을 대신해서 1매의 필름형상의 밸브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몸통재(101,102)로 서로 다르게 가열밀봉하고, 분기ㆍ자립형 파우치(P3)를 수납실(147)과 정량실(148)로 구획할 수도 있다. 이 분기ㆍ자립형 파우치가 도19에 나타내어지고 있고, 뒤에 상술한다.
또한, 분기부(161)의 내부에 설치되어지는 밸브(146)에 대해서는, 상하 방향을 반대로 한 역V형 역류방지밸브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밸브재(103) 끼리는 전폭에 걸쳐서 타이트 밀봉된다. 또한, 각 밸브재(13)와 몸통재(101,102)의 용착에 있어서는, 파우치 폭방향의 일부를 미용착부로 하던지 또는 이지 필링 가능한 용착부로 함으로써, 몸통재(101,102)로 되는 각 밸브재(103) 사이에 형성되는 밸브통로를 통과하여 충전물이 칸막이재를 통과가능하다.
도19는 1매의 필름형상의 밸브를 사용한 분기ㆍ자립형 파우치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정량실 및 주출구의 부분 확대 모식도이며, (A)(B)는 밸브가 열림 또한 주출구가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도, (C)(D)는 밸브가 닫힘 또한 주출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19에 나타내는 분기ㆍ자립형 파우치(P4)에 있어서는, 1매의 필름형상의 밸브재(103c)로 이루어지는 밸브(176)의 상단부(177)는, 일측에 있어서 몸통재(102)에 가열밀봉(바람직하게는 타이트 밀봉)되어, 하단부(178)가 기타측에 있어서 몸통재(101)에 가열밀봉 되어, 전체로서 S자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밸브(176)의 하단부의 중앙부에는, 미밀봉부를 설치함으로써 수납실(147)과 정량실(148)을 연통시키는 밸브통로(169)가 형성되어 있다. 미밀봉부에 대해서는, 사용 개시 전에는 연통하지 않는 정도로 밀봉된 역박리성, 즉, 이지 필링으로 할 수도 있다. 파우치 본체(160)를 외방으로부터 가압할때에 수용실(147) 안에서 향상되어진 충전물(155)의 압력으로 이지 필링으로 된 하단부(178)를 박리하고, 그렇게 해서 형성된 밸브통로(179)를 통해서 충전물(155)을 정량실(148)에 보낼 수 있다. 밸브통로(179)는, 가지형의 형상으로 되어 역류 방지 효과가 있으므로, 정량실(148)로부터 수용실(147)에의 역류는 생기지 않고, 역류 방지 밸브와 같은 기능을 한다. 반대로, 정량실(148)을 가압해도 타이트 밀봉된 상단부(177)는 박리되지 않는다.
파우치(P4)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도18(D)과 마찬가지로 파우치 저부에 설치한 결합구멍(158)을 훅(159) 등의 걸림구에 결합시킴으로써 파우치를 도립시키면, 도19(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용물이 분기부(161) 안에 유입하고, 밸브(176)의 밸브통로(179)를 통과해서 정량실(148) 안에 충전된다. 이 때의 수납 실(147)의 내압을 Po, 정량실(148)의 내압을 P로 하면 P≤Po이다. 또한, 파우치(P4)를 구성하는 포장재는, 주출구(141)의 정량실(148)과의 접속부에서 주출구 밀봉(143)을 따라 액상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V자상으로 접어 구부려진 주출구(141)를 구성하는 대향벽 끼리를 밀착시키므로, 주출구(141)의 길이나 폭을 조정함으로써 주출구(141)의 선단부를 개봉한 후에도 주출구(141)는 자기 폐쇄성을 갖고, 액체등의 내용물(155)이 유출될 일은 없다.
파우치(P4)로부터 액체 등의 내용물(155)을 꺼내기 위해서는, 도19(C)(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출구(141)의 선단부를 개봉한 후에, 손 또는 도구에 의해 정량실(148)을 압압한다. 이 때 주출구(141)의 접힘이 없어지므로, 주출구(141)는 개방되어 액체 등의 내용물(155)이 주출된다. 그 때에, P>Po가 되어 액체 등의 내용물은 정량실(148)로부터 수납실(147)에 역류하려고 하지만, [도19(D)], 밸브(176) 밸브통로(179)가 닫혀진 상태가 되므로 내용물(155)의 역류는 방지되고, 정량실(148)내의 내용물(155)은 주출구(141)로부터 모두 주출 가능하며 주출의 안정성과 뛰어난 정량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정량실(148)의 압압을 잠그면, 내용물(155)은 다시 수납실(147)로부터 밸브(176)의 밸브통로(179)를 통과해서 정량실(148)안에 충전 되어, 파우치(P4)를 구성하는 포장재가 내용물(155)의 압력에 의해 주출구(141)와 정량실(148) 접속부에서 V자상으로 접어 구부려져서, 주출구(141)의 대향하는 측벽을 밀착시켜서 주출구(141)가 폐쇄된다.
파우치(P1∼P4)의 주출구(33,41,141)에 대해서는, 도2∼도6에 나타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므로, 주출구(33,41,141)의 단면형상, 및 주출구(33,41,141)로부터 잘라낸 절편의 단면형상으로서 본 발명으로 규정하는 특정의 것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주출구(33,41,141)의 개봉후에 주출구(33,41,141)를 매달아 두어도, 백 내부에 수납한 액체 등의 내용물이, 주출구(33,41,141)로부터 소량씩 배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파우치(P1∼P4)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한쌍의 밸브재(103)는, 몸통재(101,102)의 내면에 밀봉됨과 아울러, 밸브재(103)끼리에 대해서도 밸브통로(150)를 남겨서 서로 밀봉된다. 또한, 1매의 밸브재(103c)도 몸통재(101,102)의 내면에 밀봉된다. 그 때문에, 밸브재(103,103c)는, 양면 모두 밀봉 가능한 것이 필요하지만, 그러한 밸브재(103,103c)에서는 각 몸통재(101,102)의 내면에의 밀봉시에, 밸브재(103)의 경우에는 밸브재(103) 끼리의 대향면도 동시에 밀봉되어, 밸브재(103c)의 경우에는 이중으로 밀봉되어서, 모두 밸브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우려가 있지만, 밀봉 저해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밀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에 수납하는 액체 등의 내용물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액체세제, 샴푸, 린스, 소독액, 간장, 소스, 케첩 등 액 내지는 젤상의 것은 모두 적합하게 수납할 수 있다.
도20은, 본 발명에 의한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갖는 포장백을 매달기 도구부착의 자립형ㆍ분기형 파우치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A)는 전체의 사시도, (B)는 자립백을 매달기 도구를 사용해서 매달아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18에 나타내는 자립형ㆍ분기형 파우치(P3)의 구성과 공통되는 부위 등에는 같은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20에 나타내는 자립형ㆍ분기형 파우치(P5)에 있어서는, 도2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우치 본체(180)의 저부에는 보강부(gusset)(186)가 형성되고 있어, 보강부(186)의 내측에는, 가열밀봉성 수지층을 양 외면에 갖는 띠상태의 매달기 수단(185)이, 저부의 보강부(186)가 열려버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설치된, 파우치 본체(180)를 구성하는 다층 플라스틱 필름의 가열 밀봉성 수지층의 노출부(184)에, 가열밀봉에 의한 보강부(186)와 함께 고정되어 있다. 띠상태의 매달기 수단(185)에 대해서는, 보강부(186)에 미싱눈금선 가공 등에 의한 약화부와, 이 약화부에 연결된 슬릿과 같은 파탄 개시부를 형성하고, 파단 개시부로부터 개시해서 약화부를 파단함으로써, 양단을 보강부(186)에 연결한 상태로 보강부(186)로부터 일부를 분리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자립형ㆍ분기형 파우치(P5)에서는, 파우치 본체(180)와 분기부(161)는 역박리성 밀봉부(187)에 의해 칸막이되어, 분기부(161)의 주출구 주변 밀봉(144)의 선단부 부근에는, 주출구(141)가 설치되어져 있다. 파우치 본체(180)에는, 세제, 샴푸, 화장수 등의 액상의 내용물(155)이 충전된다.
자립형ㆍ분기형 파우치(P5)를 사용할시는, 분기부(161)를 파우치 본체(180)의 연장선 상에 되접어 꺾고, 파우치 본체(180)에 충전된 내용물(189)을 손바닥으로 압압함으로써, 파우치 본체(180)와 분기부(161)를 구분짓는 역박리성 밀봉부(187)를 파괴해 양자를 연통시킨다. 또한, 자립형ㆍ분기형 파우치(P5)를 도립시켜서 매달기 수단(185)을 빼내고, 파우치(P5)를 훅(190) 등에 매단다(도20(B)). 또한, 파우치(P5)에서는 분기부(161)의 선단부 및 주출구(141)의 형상, 치수를 선택 함으로써, 파우치(P5)를 매달아도 주출구(141)가 폐쇄되어 내용물(155)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내용물(155)은 주출구(141)의 직상부를 손가락으로 압압하고, 주출구(141)를 변형 개구시킴으로써 꺼낼 수 있지만, 압압을 중지하면 주출구(141)는 폐쇄된다.
도7∼도10에 나타내는 포장백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몸통재의 적어도 한쪽을되접어 꺾어서 저부나 분기부를 형성할 경우, 이하의 도21∼도27에 나타내는 웹의 되접어 꺾기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21은 이 웹의 되접어 꺾기 방법에 따른 웹의 되접어 꺾기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A)는 그 사시도, (B)는 평면도, (C)는측면도이다.
도21에 나타내는 웹(201)은, 예를 들면, 자립형 파우치의 바닥재로서의 웹이며, 폭방향 중앙선(202)을 중심으로 갖는 본체부(203)와, 본체부(203)의 폭방향 양측에 연속해서 연결되는 되돌려 꺾기부(204,204)로 이루어지고 있다. 웹(201)은, 되접어 꺾기 개시선(205)으로부터 되접어 꺾기를 개시하고, 되접어 꺾기 완료선(206)에서 되접어 꺾기를 완료한다. 되접어 꺾기 개시선(205)에 이르기 전의 웹(201)은 되접어 꺾기 전의 평탄한 평웹주행부(207)로서 보내져, 되접어 꺾기 완료 선(206)을 통과한 후의 웹(201)은 되접어 꺾기 웹주행부(208)로서 보내진다. 도21에 도시의 예에서는, 특히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웹주행부(207)와 되접어 꺾기 웹주행부(208)는 공통인 평면(209) 내에 있다고 하고 있지만, 되접어 꺾기 개시선(205)과 되접어 꺾기 완료선(206)에 있어서 각도를 주어서 주행시켜도 좋다. 또한, 웹(201)은 중앙선(202)에 대하여 양측에서 자립형 파우치를 제작하는 이중행 배열에 있어서 적용되는 바닥재이기 때문에, 파우치의 몸통재와 접합해서 파우치를 제작한 후에는, 중앙선(202)에서 양측에 절단된다.
웹(201)의 되접어 꺾기 개시선(205)으로부터 되접어 꺾기 완료선(206)까지의 구간이 되접어 꺾어 공정부(210)(도21(C))이며, 양측의 되접어 꺾기부(204,204)가 각각 본체부(203)에 중앙선(202)을 향해서 본체부(203)의 상측에 뒤집어 꺾여진다. 후술하는 것 같이, 웹(201)의 폭방향 임의의 위치에서 패스 라인의 길이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 되접어 꺾기부(204,204)가 상측에 뒤집어 꺾여질 때에는, 본체부(203)는 그 반대 방향(하방향)에 구부려진 패스 라인을 더듬어 간다. 되접어 꺾기부(204,204)는 외측의 양끝 가장자리(204a,204a)가 중앙선(202)에 일치하도록 내측의 접속선을 되접어 꺾기선(204b,204b)으로서 되집어 꺾여지므로, 되접어 꺾기 완료선(206)을 통과후라도 서로 간섭할 일은 없다. 되접어 꺾기부(204,204)의 되접어 꺾기시, 외측의 양끝 가장자리(204a,204a)는 되접어 꺾기 개시선(205)과 되접어 꺾기 완료선(206)을 연결하는 평면(209) 내의 패스 라인을 더듬어 갈 수 있다.
되접어 꺾기 개시로부터 되접어 꺾기 완료까지의 되접어 꺾기 공정부(210)에 있어서는, 본체부(203)는 굽힘만을 받는 부분이며 되접어 꺾기를 위한 비틀기 작용을 받지 않는다. 본체부(203)의 양측의 되접어 꺾기부(204,204)가, 되접어 꺾기를 위한 비틀기 작용을 받는다. 되접어 꺾기부(204,204)는, 되접어 꺾기 공정부(210)에서, 그 폭방향에서 임의인 위치를 차지하는 부분이 더듬어 가는 경로인 패스 라인(S)(도24참조)의 길이가 거의 일정해지도록, 웹(201)의 이송방향에 연장되는 되접어 꺾기선(204b,204b)에서 뒤집어 꺾여진다. 그 결과, 웹(201)의 폭방향에서 패스라인의 길이가 다른 것에 기인하여, 웹(201)에 느슨해짐이 생기는 일은 없고, 이송을 위한 텐션 이외에 텐션을 주지 않아도, 웹(201)을 자연스럽게 뒤집어 꺾을 수 있다.
도22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의 제조방법에 적용가능한 웹의 되접어 꺾기 방법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A)은 되접어 꺾기 공정의 측면도, (B)∼(E)는 각각 (A)에 나타내는 되접어 꺾기 공정의 b∼e의 각 위치에 있어서의 횡단면도이다. 도22에 나타내는 웹의 되접어 꺾기 공정에서는, 웹의 외측으로부터 안내하는 외측 가이드(211)를 사용하고 있고, 외측 가이드(211)는, 웹(201)의 양측의 되접어 꺾기부(204,204)에 적극적인 되접어 꺾기 작용, 즉, 되접어 꺾기부(204,204)에 본체부(203)를 향하는 방향에 되접어 꺾기힘을 웹의 주행에 따라서 작용시키고 있고, 되접어 꺾기부(204,204)는 그 되접어 꺾기힘에 의해 본체부(203) 상에 되접어 꺾여진다. 또한, 외측 가이드(211)는 웹(201)의 패스 라인의 길이를 대략 일정하게한 가이드 형상을 갖고 있다. 따라서, 외측 가이드(211)는 웹(201)을 그 되접어 꺾기 공정으로 되접어 꺾기 개시(도21의 되접어 꺾기 개시선(205)의 위치)로부터 되접어 꺾기 완료(도21의 되접어 꺾기 완료선(206)의 위치)까지 통과하는 되접어 꺾기부(204,204)의 폭방향 임의의 위치를 차지하는 부분의 패스 라인의 길이가 거의 일정해지도록 안내한다.
외측 가이드(211)는, 되접어 꺾기부(204,204)의 되접어 꺾기시에, 되접어 꺾기부(204,204)에 웹(201)의 이송을 요하는 이외의 실질적인 텐션을 주지 않고 안내하는 가이드로서의 작용을 하고있음과 아울러, 웹(201)의 되접어 꺾기시에 외측을 안내하고, 평웹주행부(207)로부터 되접어 꺾기 웹주행부(208)에 웹(201)의 변형을 행하는 포머로서의 기능도 하고 있다. 따라서, 외측 가이드(211)는, 웹(201)에 패스 라인의 길이가 다른 것에 기인한 신장이나 느슨해짐을 발생시키지 않고, 이송을 위한 텐션 이외의 특별한 텐션을 주지 않아도, 웹을 자연스럽게 뒤집어 꺾는 것이 가능해 진다.
외측 가이드(211)는, 도22(B)∼(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웹(201)의 주행을 따라서 단면형상이 변화되는 되접어 꺾기 벽을 갖고 있다. 즉, 외측 가이드(211)는, 되접어 꺾기 초기에서는, 도2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형상으로서 얕게 경사진 가이드벽(212)을 갖고, 되접어 꺾기 중기에서는, 도2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형상으로서 거의 직각의 가이드벽(213)을 갖고, 또한, 도2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각으로부터 노치가 깊어져서 가늘게 조여진 형상의 가이드벽(214)을 갖고 있고, 되접어 꺾기 종기에서는, 도22(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접어 꺾기선(204b,204b)에 대응하고, 날카롭게 조인 형상의 가이드벽(215)을 갖고 있다. 외측 가이드(211)의 가이드벽(212∼215)은, 이들의 단면위치를 포함하는 전 공정을 통해서 연속해서 또한 매끄러운 모양으로 변화되고 있다. 웹(201)의 본체부(203)를 안내하는 외측 가이드(211)의 중앙부(216)는, 폭방향 단면이 직선상이 되도록, 평판을 세로방향으로 만곡시킨 면으로 되어 있다.
웹(201)의 반환은, 웹(201)에 이송을 위한 텐션이 가해진 상태로 행하여진다. 웹(201)에 텐션을 작용시키면, 뒤집어 꺾여지지 않는 본체부(203)나 도22(B) 및 (C)에 나타내는 것 같은 위치에 있는 되접어 꺾기 정도의 얕은 되접어 꺾기부( 204)는, 중앙부(216), 또는 얕게 경사진 가이드벽(212)이나 대략 직각의 가이드벽(213)으로부터 떠오르려고 하는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외측 가이드(211)의 중앙부(216)를 따라 중앙누르기 플레이트(217)를 설치함으로써, 웹(201)의 본체부(203)를 외측 가이드(211)의 중앙부(216)에 따른 상태로 주행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중앙 누르기 플레이트(217)는, 외측 가이드(211)와 조합되는 내측 가이드로서 기능하고 있다. 웹(201)은, 그 본체부(203)가 중앙부(216)와 중앙 누르기 플레이트(217)의 하면(218a) 사이에 형성되는 근소한 간극(219)을 주행하고, 되접어 꺾기부(204)가 중앙누르기 플레이트(217)의 상면(218b)을 향해서 뒤집어 꺾여진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의 제조방법에 적용가능한 웹의 되접어 꺾기 방법의 다른 실시예가, 도23에 나타내어져 있다. 도23에 나타내는 방법에서는, 내측 가이드를 구비한 웹의 되접어 꺾기 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있고, (A)는 그 웹의 되접어 꺾기 장치의 사시도, (B)는 그 세로단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내측 가이드(220)는, 본체부(203)의 굽힘만을 가이드하는 메인 플레이트(221), 메인 플레이트(221)의 웹 이송방향 기단측에 있어서 메인 플레이트(221)와 일체적으로 후방(이하, 「전후」는, 웹(1)의 이송방향에 따른다.)에 연장되는 평탄한 가이드 플레이트(222) 및 메인 플레이트(221)의 전후의 양단부에 설치되어진 누름 플레이트(223,224)를 구비하고 있다.
메인 플레이트(221)는, 볼록하게 만곡한 가이드면(221a)의 단면형이 2차곡선에 기초해서 형성된 곡면판이며, 웹(201)의 본체부(203)의 이송을 안내하는 것이다. 메인 플레이트(221) 및 가이드 플레이트(222)는, 오목하게 만곡한 배면(221b)측에서 웹(201)의 되접어 꺾기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있어서 기계 프레임(228)에 부착되는 지지부재(229a,229b)로 각각 지지되어 있다. 후방측의 누름 플레이트(223)는, 웹(201)의 폭과 적어도 같은 넓이의 폭을 갖고 있고, 웹(201)의 통과를 허용하는 두께 상당분의 간극(225)을 통하여 가이드 플레이트(222)와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웹(201)은 가이드 플레이트(222)와 누름 플레이트(223) 사이에 형성 되어 있는 간극(225)을 통해서 안내된다.
앞끝측의 누름 플레이트(224)는, 메인 플레이트(221) 앞끝부를 둘러싸는 편평한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메인 플레이트(221) 앞끝부의 주위에 웹(201)의 통과를 허용하는 간극(226)이 형성되어 있다. 누름 플레이트(224)는, 지지부재(229a)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부재(229c)을 통하여기계프레임(228)에 지지되어 있다.
내측 가이드(220)는, 웹(201)의 본체부(203)의 외곡 변형만을 가이드 하고 있고, 되접어 꺾기부(204,204)를 직접 안내하는 것이 아니지만, 본체부(203)를 구부려 변형시킴으로써, 되접어 꺾기부(204,204)를 내측에 뒤집어 꺾는 방향으로 오므라지게 하는 작용에 이르게 한다. 누름 플레이트(224)는, 되접어 꺾기를 행하는 실질적인 포머로 되어 있고, 내측 가이드(220)는 그 때의 웹(201)에 이송 이외의 실질적인 텐션을 발생시키지 않고 안내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되접어 꺾기부(204,204)는, 내측 가이드(220)는 물론 기타의 가이드에 의해서도 직접적으로는 안내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 텐션을 발생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형태로 되접어 꺾여져, 누름 플레이트(224)를 통과할 때에는 충분히 정확하게 뒤집어 꺾여진 상태가 된다. 그러나, 내측 가이드(220)는 되접어 꺾기부(204,204)를 내측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안내하는 구조, 예를 들면, 도22에 나타내는 외측 가이드(211)의 내측 가이드 판으로서, 외측 가이드(211)의 가이드벽(212∼215) 및 중앙부(216)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면에 대하여 상보적인 가이드면을 갖는 안쪽 가이드로 구성해도 좋다. 메인 플레이트(221)의 패스 라인의 길이는, 되접어 꺾기부(204,204)의 패스 라인의 길이와 같은 길이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22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웹(201)의 적어도 되접어 꺾기부(204)를 그 외측에서 패스 라인 길이를 일정하게 한 전면적인 가이드면에 의해 안내하고 있고, 도23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웹(201)의 본체부(203)를 내측으로부터 역시 전면적인 가이드면에 의해 안내하고 있지만, 웹의 되접어 꺾기는, 상기의 면형상의 가이드가 아니고, 웹의 복수의 패스 라인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된 저마찰의 가이드 봉에 의해 선형상으로 안내시킬 수 도 있다. 도24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의 제조방법에 적용가능한 웹의 되접어 꺾기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웹(1)의 되접어 꺾기 형태에 대해서는, 도21에 사용한 부호를 그대로 사용하고,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도24에 나타내는 웹의 되접어 꺾기 공정에 이용되는 가이드(230)는, 웹(201)의 패스 라인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가이드봉(230a∼230j)으로 이루어지고, 되접어 꺾기 개시로부터 되접어 꺾기 완료까지의 길이는 어느것이나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다. 되접어 꺾기시에 웹(201)의 폭방향에서의 단면변화가 큰곳일수록 가이드봉을 빈간극없이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봉(230a∼230j)에 의해 직접적으로는 안내되지 않는 웹(201) 부분은, 가이드봉(230a∼230j)을 모방해서 되접어 꺾기 변형을 한다. 또한, 가이드봉을 대신하여, 복수의 패스라인에 있어서, 각 패스 라인 상에 길이방향으로 격치해서 복수의 롤러를 배치하고, 웹(201)을 그 면상의 복수의 점상 위치에서 가이드해도 좋다.
도25는, 특히 외측 가이드(211)와 같은 가이드의 형상의 결정을 설명하는 도이며 (A)는 그 사시도, (B)는 되접어 꺾기 개시선과 되접어 꺾기 완료선을 연결하는 평면에서 본 도, (C)는 측면도이다. 웹(201)의 되접어 꺾기 형태에 대해서는, 도21에 사용한 부호를 그대로 사용하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웹(201)의 되접어 꺾기부(204)를 구성하는 폭방향 임의의 위치를 차지하는 부분의 패스 라인의 형태는, 패스 라인의 길이가 일정하다는 조건하에 여현곡선과 2차곡선을 합성해서 결정할 수 있다. 즉, 웹(201)의 되접어 꺾기부(204)의 끝가장자리(204a)가 더듬어 가는 패스 라인(S1)은 이미 설명한 대로, 되접어 꺾기 개시선(205)과 되접어 꺾기 완료선(206)을 연결하는 평면(209) 상에 있지만, 패스 라인(S1)의 형상은 이 평면상에서 여현곡선(수학식 1)을 따르는 것이라고 결정한다. 여기서, wm은 웹(201)의 접힘폭이다.
이 때, 패스 라인(S1)의 길이(s1)는 다음식(수학식 2)로 나타내어진다.
단, E(m)은 제 2종 완전타원적분을 나타내고, E(0)=π/2≒1.57, E(1)=1이다.웹(201)의 본체부(203)이 점(P,Q)을 따라 가는 패스 라인(S2)은, x=0일 때에 z=hm이며 또한 x=L일 때에 z=0이라는 조건에서, 다음 2차곡선(수학식 3)을 따르는 것으로 결정된다.
패스 라인(S2)의 길이(s2)는, 다음 수학식 4의 적분으로 구해진다.
x=2hm/L은 1보다 충분히 작고, 약 0.2 이하가 되도록 적용하면, sinh-1(x)을 급수 전개해서 수학식 5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3차항까지의 식에 근사해도, 오차를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이 근사를 적용하면, s1=s2을 성립시키는 hm은 다음 수학식 6으로 나타내어진다.
패스 라인(S1)과 패스 라인(S2) 사이의 그 밖의 패스 라인(S3)은 그 xyz좌표를 파라미터(t)를 사용해서 표시하면, 다음 수학식 7로 나타내어진다.
패스 라인(S3)의 길이(s3)는 다음 수학식 8로 나타내어지는 적분으로 구해진다.
s1=s3이 되는 h의 값을, 0≤w≤wm의 범위에 있는 임의인 w에 대해서 구하고, 얻어진 h로부터 곡선(S3)을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웹(201)의 되접어 꺾기부(204)의 패스 라인에 대해서는, 되접어 꺾기부(204)의 폭방향의 각 측, 즉 웹(204)의 끝가장자리(204a)와, 굽힘만을 받는 웹(201)의 본체부(203)의 접속 부분(204b)의 패스 라인(S1,S2)을 결정하고 되접어 꺾기부(204)의 그 밖의 부분의 패스 라인(S3)을 그 양 패스 라인(S1,S2)에 기초해서 정함으로써, 웹(201)의 되접어 꺾기부(204)의 폭방향의 어느 위치를 차지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패스 라인의 길이를 충분히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고, 그렇게 해서 얻어진 가이드는 충분히 실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가이드가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웹(201)의 양측에 있어서 되접어 꺾기부(204,204)를 설치하고 있었지만, 반드시 양측에서 되집어 꺾을 필요는 없고, 편측만으로 되집어 꺾어도 좋다. 예를 들면, 같은 자립형 파우치라도, 수용물을 조금씩 꺼낼 수 있는 디스펜서 기능을 갖는 분기형의 파우치는, 몸통재에 편측만을 뒤집어 꺾은 웹을 밀봉해서 접합시키고 있고, 그 웹의 되접어 꺾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자립 기능이 있는 스탠딩 파우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바닥재의 되접어 꺾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외에도, 가젯백에 있어서의 가젯 성형을 위한 웹의 되접어 꺾기나, 세방향 밀봉백을 제조하기 위한 웹의 되접어 꺾기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백 등의 포장재료의 제조, 및 필름 등의 웹을 되접어 꺾기로 성형되는 문방구나 일용품 등의 제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의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웹의 되접어 꺾기 방법에 의한 다른 되접어 꺾기 형태가, 도26 및 도27에 나타내어져 있다. 도26은, 웹의 다른 되접어 꺾기 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A)는 그 사시도, (B)는 평면도, (C)는 측면도이다. 도26에 나타내는 웹(240)의 되접어 꺾기 형태는, 분기형 파우치를 제조하는 과정에 있어서, 주출구와는 다른 충전구를 형성하는 등의 목적으로 분기형 파우치의 몸통재를 구성하는 웹(240)의 일부를 접혀진는 상태로 차곡차곡 쌓는 형태이다. 이 되접어 꺾기 형태에서는, 웹(240)의 양측을 뒤집어 꺾는 것이 아니고, 편측의 되접어 꺾기부(244) 만이 본체부(243) 상에 뒤집어 꺾어진다. 되접어 꺾기부(244)는, 되접어 꺾기선(244b)을 따라, 평웹주행부(247)의 종점위치인 되접어 꺾기 개시선(245)에서 되접어 꺾기 완료선(246)의 사이를 이송되는 중에, 되접어 꺾기의 가장자리부(244a)가 되접어 꺾기선(244b)을 사이에 끼운 가상상의 대칭선(244c) 상에 맞춰지도록 되접어 꺾여져, 되접어 꺾기 웹주행부(248)로서 또한 이송된다. 이 예에서는, 평웹주행부(247)와 되접어 꺾기 웹주행부(248)는 같은 평면(2490 내에 존재하고 있다. 후의 공정에서 접혀 되돌려져, 되접어 꺾기 가장자리부(244a)를 절개함으로써 파우치 내에 내용물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구가 형성된다.
또한, 도27은, 웹의 되접어 꺾기가 적용되는 포장백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제조과정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7(A)은 통상의 자립형 파우치를 제조하는 경우의 단면도이며, 웹의 되접어 꺾기는 파우치를 좌우로 이중행 배열시의 한쌍의 몸통재(250,250)에 끼워져 있는 바닥재(252)의 되접어 꺾기에 적용되어 있다.도27(B)은 자립ㆍ분기형 파우치를 제조할 경우의 단면도이며, 이 웹의 되접어 꺾기는 한쌍의 몸통재(250,251) 사이에 끼워져 있는 바닥재(253)의 되접어 꺾기와 한쪽의 몸통재(251)에 설치되는 분기부(254)를 형성할 때의 되접어 꺾기에 적용되어 있다. 또한, 도27(C)은 가젯백을 이중행 배열로 제조할 경우의 단면도이며, 웹의 되접어 꺾기는 한쌍의 몸통재(260,260) 사이에 끼워져 있는 가젯 재료(261,262,262)의 되접어 꺾기에 적용되어 있다. 또한, 도27(D)은 등붙임혐 세방면 밀봉 파우치를 제조할 경우의 단면도이며, 웹의 되접어 꺾기는 몸통재(260)의 양끝 가장자리부(263,264)를 합장형상으로 서로 붙여서 등붙임부(265)를 형성하기 위해서, 한쪽의끝가장자리부(263)의 되접어 꺾기에 적용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의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웹의 되접어 꺾기는, 웹의 되접어 꺾기부를, 웹의 이송 이외에 실질적으로 텐션을 가하지 않고 원활하게 뒤집어꺾여질 수 있으므로, 종래, 되접어 꺾기가 어려웠던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박을 라미네이트한 플라스틱 필름이나 종이 등의 신장량이 대단히 작은 재료라도, 원활하게 또한 보기 좋게 뒤집어 꺾을 수 있다. 또한, 가이드는 외측 가이드 혹은 내측 가이드 뿐만 아니라, 내측 가이드와 외측 가이드의 쌍방을 사용하고, 양자간에 웹(1)이 안내되면서 통과가능한 간극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의 종류도, 내측 가이드와 외측 가이드로 적절하게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구비한 포장백은, 정량실내의 내용물을 압압하는 등에 의해 주출구로부터 조금씩 꺼낼 수 있는 한편, 주출구의 개봉후에 주출구를 아래로 해서 매달아 두어도, 백 내부에 수납한 액체 등의 내용물이 주출구로부터 소량씩 배어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갖는 포장백으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의 제조방법은, 자기폐쇄성 주출구의 가열 밀봉부와 비가열 밀봉부를 그 경계부에 있어서도 균일하게 가압하고 있으므로, 포장백의 제조에 있어서, 주출구통로의 가열 밀봉부와 비가열 밀봉부의 경계부의 비가열 밀봉부측을 구성하는 필름 내면측 표면이 간극을 갖지 않고 서로 접촉한 폐쇄 상태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의 제조방법은, 웹형상의 몸통재에서 포장백을 그 수직방향을 몸통재의 반송방향과 교차시킨 상태로 연속적으로 제조하고, 그 때, 포장백의 내부를 포장백에 수용된 충전물을 통과가능하게 구분짓기 위한 몸통재의 반송에 맞춰서 양면이 열용착 가능한 웹형상의 밸브재를 반송하고, 몸통재와 밸브재를 밸브재의 충전물의 통과측에 밀봉 저해부재를 개재시킨 상태로 열용착하고 있으므로, 웹형상의 몸통재의 반송에 맞춰서 밸브재를 연속적으로 반송하면서 밸브재를 몸통재에 열용착하지만, 밸브재가 그 역류 방지 기능 등의 밸브기능상, 밸브재끼리 또는 몸통재에의 열용착을 회피해야 할 부분에 대해서는 확실히 열용착을 회피할 수 있고, 그러한 밸브기능을 갖는 포장백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데 있어, 극히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의 제조방법은 포장백에 분기부를 형성하기 위해, 웹형상의 몸통재의 적어도 편측의 측부를 상기 몸통재의 이송방향에 따른 되접어 꺾기선에서 뒤집어 꺾기 방법을 적용하고, 되접어 꺾기 개시부터 되접어 꺾기 완료까지 통과하는 몸통재의 폭방향 임의의 위치를 차지하는 부분의 패스 라인 길이가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가이드에 의해 안내하고 있으므로, 웹을 느슨해짐이나 그것에 기초하는 주름이 발생하지 않는 자연스럽고 양호한 되접어 꺾기를 하고, 분기부를 갖는 자립형 파우치와 같은 포장백을,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불완전한 밀봉을 발생시키지 않고, 겉보기나 상품성이 양호한 포장백에 제조할 수 있다.

Claims (9)

  1. 플라스틱 필름을 가열밀봉해서 이루어진 포장백에 있어서, 주출구통로(4)의 가열 밀봉부(2)와 비가열 밀봉부(6)의 경계부(Y)의 비가열 밀봉부(6)측을 구성하는 필름 내면측 표면이 폐쇄 상태에 있어서 간극을 갖지 않고 서로 접촉한 자기폐쇄성 주출구(3,33,41,141)와, 상기 자기폐쇄성 주출구(3,33,41,141)에 연통하는 정량실(37,48,148)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백(1,31,31a,P1∼P5).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폐쇄성 주출구로부터 상기 주출구통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잘라낸 절편(5)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통로(4)의 상기 가열 밀봉부(2)와 상기 비가열 밀봉부(6)의 상기 경계부(Y)로부터 상기 비가열 밀봉부(6)측을 향해서, 상기 필름의 두께 상당의 거리(d)만큼 벗어난 지점까지 대향해서 연장되는 상기 비가열 밀봉부(6)를 구성하는 필름 내면측 표면의 단면형상이, 직선 내지 내표면측으로 볼록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백.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폐쇄성 주출구에서 상기 주출구통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잘라낸 절편(5)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통로(4)의 상기 가열 밀봉부(2)와 상기 비가열 밀봉부(6)의 상기 경계부(Y)를 기점으로 하고 상기 기점에서 상기 비가열 밀봉부(6)측을 향해서 서로 대향하여 연장되는 상기 필름 내면측 표면의 단면형상에 대해서, 상기 기점을 통과하는 상기 양필름 내면측 표면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α)가 2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백.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실(37,48,148)은, 필름형상의 밸브(34,146,176)에 의해 상기 포장백의 수납실(38,147)과 연통가능하게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백.
  5. 제 4항에 있어서, 필름형상의 상기 밸브(146,176)는 상기 포장백(P3, P4)의 일부를 되접어 꺾어서 형성한 분기부(161)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백.
  6. 플라스틱 필름을 가열밀봉하고, 가열 밀봉부(2)와 비가열 밀봉부(6)에 의해 자기폐쇄성 주출구(3)를 형성한 포장백을 제조할 때에, 주출구통로(4)의 상기 가열 밀봉부(2)와 상기 비가열 밀봉부(6)를 그 경계부(Y)에 있어서 균일하게 가압해서 가열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백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통로의 상기 비가열 밀봉부는, 상기 비가열 밀봉부(6)에 대응하는 부위에 비가열성의 압압부재(28,43)를 구비한 가열밀봉 헤드를 사용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을 가압ㆍ가열해서 가열밀봉할 때에, 상기 비가열성의 압압부재(28,43)에 의해서 가열밀봉되지 않고 남겨짐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백의 제조방법.
  8. 웹형상의 몸통재(101,102)로부터 포장백(P1∼P3)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포장백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장백(P1∼P3)의 내부를 구분짓기 위한 상기 몸통재(101,102)의 반송에 맞춰서 양면이 용착 가능하며 또한 적어도 편측면이 타이트 밀봉 가능한 웹형상의 밸브재(103)를 반송하고, 상기 포장백에 수용된 충전물을 상기 밸브재(103)를 따라 그 폭방향으로 통과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밸브재(103)의 타측면에서 밀봉 저해부재(106)에 접촉시켜서 상기 몸통재(101,102) 내에서 상기 밸브재(103)를 끼운 상태로 용착함으로써, 상기 밸브재(103)를 상기 편측면에서 상기 몸통재(101,102)에 타이트 용착으로 용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백의 제조방법.
  9. 웹형상의 몸통재(240)의 적어도 편방의 측부를 상기 몸통재의 이송 방향을 따른 되접어 꺾기선(244b)에서 뒤집어 꺾어서 포장백에 분기부(254)를 형성하는 포장백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몸통재(240)는, 상기 몸통재의 되접어 꺾기 공정에서 되접어 꺾기 개시로부터 되접어 꺾기 완료까지 통과하는 상기 몸통재의 폭방향에서 임의의 위치를 차지하는 부분의 패스 라인 길이가 대략 일정하게 되도록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백의 제조방법.
KR1020057009163A 2005-05-20 2002-11-22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구비한 포장백, 및 포장백의 제조방법 KR20050091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9163A KR20050091708A (ko) 2005-05-20 2002-11-22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구비한 포장백, 및 포장백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9163A KR20050091708A (ko) 2005-05-20 2002-11-22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구비한 포장백, 및 포장백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708A true KR20050091708A (ko) 2005-09-15

Family

ID=37273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163A KR20050091708A (ko) 2005-05-20 2002-11-22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구비한 포장백, 및 포장백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17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7223B1 (en) Packaging bag with self-closeable outflow por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ackaging bag
JP3590609B2 (ja) 気体密封袋
KR100321884B1 (ko) 중합체직물로제조된백및이의제조방법
JP4937754B2 (ja) 充填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2105068A (ja) ジッパーテープおよび袋体
KR101476968B1 (ko) 적층 필름의 단면구조 및 단면처리방법, 및 그 단면처리한 액체 주출 노즐 및 그것의 제조방법
EP0796802B1 (en) Multiple film for bags
MXPA06001108A (es) Metodo y aparato para fabricar una serie continua de sacos llenos.
US20020015541A1 (en) Sealed enclosure,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and method of packaging a beverage in said enclosure
US8016734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non-contact adhesive dispensing to manufacture bags
WO2012165453A1 (ja) ジッパーテープのヒートシール方法、ジッパーテープ付フィルムロールの製造方法、及びジッパーテープ付包装袋の製造方法
JP6741557B2 (ja) シート材容器の製造方法
JP6889994B2 (ja) 注出口付き包装袋
US20090028468A1 (en) Structure of air passage of sealable bag, sealable ba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alable bag
KR20050091708A (ko) 자기폐쇄성 주출구를 구비한 포장백, 및 포장백의 제조방법
JP2000218718A (ja) 逆止弁付袋の連続製造装置
JP3848740B2 (ja) 包装体の製造方法
JP2005178856A (ja) 包装用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87252B2 (ja) 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体の製造方法
JP2022097384A (ja) 製袋ガイド、縦型製袋充填包装機、内容物入りフィルム包装袋の製造方法
WO2009086604A1 (en) A laminated packaging material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tion
JP2004292029A (ja) 包装充填機
CZ9902281A3 (en) Bag for packaging liquid, process for producing such bag and continuous packaging of liquid in produced bags
WO2023227675A1 (en) Method for producing a packaging from a recyclable material
KR20090097436A (ko) 공기 셀을 구비한 포장재와 파우치 및 포장재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