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0798A -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 - Google Patents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0798A
KR20050090798A KR1020040016046A KR20040016046A KR20050090798A KR 20050090798 A KR20050090798 A KR 20050090798A KR 1020040016046 A KR1020040016046 A KR 1020040016046A KR 20040016046 A KR20040016046 A KR 20040016046A KR 20050090798 A KR20050090798 A KR 20050090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operation mode
photographing apparatus
unit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수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6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0798A/ko
Priority to US11/049,935 priority patent/US20050200738A1/en
Priority to EP05101751A priority patent/EP1575257A1/en
Priority to CNA2007100847465A priority patent/CN101026693A/zh
Priority to CNB2005100513060A priority patent/CN100417194C/zh
Priority to JP2005066169A priority patent/JP4047340B2/ja
Publication of KR20050090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79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84Key input means, e.g. buttons or keypads
    • H04N1/00387Multiple functions per 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84Key input means, e.g. buttons or keypads
    • H04N1/00389Programmable function keys, e.g. for one-touch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97Switches, knob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97Switches, knobs or the like
    • H04N1/004Rocker or tumbler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가 제공된다. 제1, 제2 및 제3 동작모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동작하는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는, 일단에 선택빈도수가 첫번째로 높은 제1 동작모드가 배치되고, 타단에 선택빈도수가 두번째로 높은 제2 동작모드가 배치되고, 중단에 선택빈도수가 세번째로 높은 제3 동작모드가 배치되어 표시되는 모드표시부 및 모드표시부에 배치된 제1, 제2 및 제3 동작모드를 배치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지시함으로서, 지시된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모드선택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빈번히 사용되는 모드들을 보다 손쉽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사용자는 모드선택 스위치를 직접 보지 않고도 모드를 변경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조작상 편리함이 배가된다.

Description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Switching apparatus of photographing device for selecting mode}
본 발명은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장치의 동작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빈도수를 고려하여 구현된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스틸카메라(Digital Still Camera:DSC)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영상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메모리카드와 같은 기록매체에 저장한다. 그런데, 이러한 DSC는 영상을 기록하는 기록매체의 용량이 작아서, 주로 정지영상을 촬영하는데 주로 사용한다. 즉, 일부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으나, 장시간 촬영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특히, 동영상 촬영하고 재생시 음향을 함께 기록하고 재생하는 장치가 없으므로 실질적으로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저장 및 재생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이러한 점을 충족하기 위해, 테이프와 같은 기록매체에 촬영되는 피사체의 영상 및 음향 등을 기록 및 재생하는 기록/재생장치 예컨대, 캠코더(Camcoder), 즉 디지털비디오카메라(Digital Video Camera:DVC)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DVC는 주로 자기테이프를 기록매체로 하며, 동영상을 장시간동안 촬영 가능하다. 이러한 DVC도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나, 전술한 DSC의 화질에 비해 떨어지므로, 주로 동영상을 촬영하는데 사용된다.
지금까지는, DVC와 DSC 각각의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제품을 모두 구입해야 했다. 따라서, 소비자에게는 경제적인 부담이 많았다. 또한, 구입 후에도 각각의 특징적인 기능이 있으므로, 두 제품을 휴대해야 할 경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DVC와 DSC를 하나의 케이스에 일체화한 촬영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DVC와 DSC가 일체화된 촬영장치는 DVC와 DSC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촬영할 수 있다. DVC와 DSC는 선택적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DVC로 촬영하다가 DSC로 촬영하려면 촬영장치의 동작모드를 변경하여야 한다. 그리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동작모드의 변경은 촬영시에 빈번히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하기 편한 위치인 촬영장치의 케이스에 동작모드 변경을 위한 모드선택 스위치를 마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모드선택 스위치로서 기구적인 다단스위치가 많이 이용된다.
한편, 동작모드 선택스위치에는 촬영장치에 기록된 영상을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모드나 촬영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파워오프모드를 선택하기 위해서도 이용된다.
이와 같이, 촬영장치가 많은(적어도 3개 이상) 동작모드로 동작가능한 경우, 원하는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모드선택 스위치에 표시된 동작모드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선택하여야 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스위치 조작상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특히, DVC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하다가 중요한 장면을 발생되어, DSC로 정지영상을 촬영할 필요가 생긴 경우, 사용자의 시선은 촬영장치의 뷰파인더나 LCD로부터 모드선택 스위치로 이동하여야 하는바, 이 과정에서 촬영장치에 맺힌 피사체의 상의 위치가 변동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촬영장치에는 DVC와 DSC의 기능이 통합되어 있기에, 다른 제품들에 비해 기능이 많다. 이러한 기능들 중에는 사용자가 자주 선택하여 사용하는 기능이 있는 반면, 거의 사용하지 않는 기능들도 즐비한다.
이와 같이, 촬영장치에 구비된 기능이 방대한 경우에는, 자주 사용되는 기능들을 사용자가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청된다. 이는 사용자에게 기능이 복잡하여 조작이 어려운 제품을 보다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3가지 이상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촬영장치에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가능하게 하는 모드선택 스위치를 구현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모드 선택빈도수가 고려된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동작모드, 제2 동작모드 및 제3 동작모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동작하는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는, 일단에 선택빈도수가 첫번째로 높은 상기 제1 동작모드가 배치되고, 타단에 상기 선택빈도수가 두번째로 높은 상기 제2 동작모드가 배치되고,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의 사이에 위치한 중단에 상기 선택빈도수가 세번째로 높은 상기 제3 동작모드가 배치되어 표시되는 모드표시부; 및 상기 모드표시부에 배치된 상기 제1 동작모드, 상기 제2 동작모드 및 상기 제3 동작모드를 배치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지시함으로서, 상기 제1 동작모드, 상기 제2 동작모드 및 상기 제3 동작모드 중 지시된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모드선택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모드선택부는,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제1 동작모드, 상기 제2 동작모드 및 상기 제3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를 순차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드선택부는, 직선운동을 통해 상기 제1 동작모드, 상기 제2 동작모드 및 상기 제3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를 순차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드선택부는, 사용자가 상기 촬영장치를 손으로 파지한 경우, 파지한 손의 엄지손가락 및 검지손가락 중 어느 하나로 선택조작이 가능한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동작모드는 상기 촬영장치에 구비된 제1 촬상부를 통해 촬상된 영상을 상기 촬영장치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제1 촬영모드이고, 상기 제2 동작모드는 상기 촬영장치에 구비된 제2 촬상부를 통해 촬상된 영상을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제2 촬영모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촬상부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영상을 촬상하는 DVC(Digital Video Camera) 촬상부이고, 상기 제2 촬상부는,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영상을 촬상하는 DSC(Digital Still Camera) 촬상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동작모드는,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 영상을 상기 촬영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재생하기 위한 재생모드 및 상기 촬영장치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파워오프모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동작모드는 상기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부를 통해 촬상된 영상을 상기 촬영장치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촬영모드이고, 상기 제2 동작모드는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 영상을 상기 촬영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재생하기 위한 재생모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동작모드는 상기 촬영장치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파워오프모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드표시부에는, 상기 제1 동작모드, 상기 제2 동작모드 및 상기 제3 동작모드가 메뉴화면으로 표시되고, 상기 모드선택부는, 상기 메뉴화면에 표시된 상기 제1 동작모드, 상기 제2 동작모드 및 상기 제3 동작모드를 표시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지시하는 커서를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제1 동작모드, 상기 제2 동작모드 및 상기 제3 동작모드 중 지시된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촬영장치의 블럭도이다. 촬영장치는 DVC(Digital Video Camera) 촬상부(110), DVC 신호처리부(120), DSC(Digital Still Camera) 촬상부(130), DSC 신호처리부(140), DSC CODEC(COrder/DECoder)(145), 마이크(150), 영상신호처리부(160), 디스플레이부(170), VCR(Video Cassette Recorder)부(180), 메모리카드(Memory Card)(190), PC 인터페이스부(200), 제어부(210), 조작부(220),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230) 및 시스템 버스(240)를 구비한다.
DVC 촬상부(110)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광전변환하고, 변환된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DVC 촬상부(110)는 동영상과 정지영상 모두 촬상가능하다. 하지만, DVC 촬상부(110)로 촬상한 정지영상은 후술할 DSC 촬상부(130)로 촬상한 정지영상에 비해 화질이 많이 떨어진다. 따라서, DVC 촬상부(110)는 주로 동영상을 촬상하는데 사용된다.
DVC 촬상부(110)는 DVC 렌즈부(111), DVC 렌즈구동부(113), DVC CCD(Charge Coupled Device)(115) 및 DVC CDS/AGC/ADC(Correlated Double Sampler/Auto Gain Controller/Analaog-to-Digital converter)(117)를 구비한다.
DVC 렌즈구동부(113)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DVC 렌즈부(111)를 구동시킨다. 구체적으로, DVC 렌즈구동부(113)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DVC 렌즈부(111)를 줌-인/줌-아웃(zoom-in/zoom-out)시키고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며, DVC 렌즈부(111)에 마련된 조리개(미도시)의 개폐량을 조절한다.
DVC CCD(115)는 DVC 렌즈부(111)를 통해 입사되는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즉, 피사체의 광학상은 DVC 렌즈부(111)에 의해 DVC CCD(115)의 광학면상에 상이 맺혀지며, DVC CCD(115)는 감광면상에 결상된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바꾸어 수평과 수직의 주사에 의해 1차원의 전기신호의 형태로 출력한다.
DVC CDS/AGC/ADC(117)는 CDS(상관이중 샘플러)를 사용하여 DVC CCD(115)에서 출력되는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고, AGC(자동이득제어부)를 사용하여 신호의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이득을 조정하고, ADC를 사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DVC 신호처리부(120)는 DVC 촬상부(110)로부터 인가받은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를 하여 영상신호처리부(160)로 인가한다. 구체적으로, DVC 신호처리부(120)는 인가되는 신호에 대해 휘도(Y)신호와 크로미넌스(C)신호로 분리하고, 이득조정, 윤곽보정 및 AWB(Auto White Balance) 등을 수행하며, 해상도를 변경한다.
마이크(15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영상신호처리부(160)로 출력한다.
영상신호처리부(160)는 DVC 신호처리부(120)에서 신호처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70)에 인가한다.
이때, 영상신호처리부(160)는 조작부(2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촬영명령'을 제어부(210)로부터 전달받으면, DVC 신호처리부(120)의 출력신호를 DV 포맷의 신호로 압축한다.
또한, 영상신호처리부(160)는 마이크(150)의 출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PCM 포맷의 신호로 압축한다.
그리고, 영상신호처리부(160)는 기록대상이 되는 압축된 신호들을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VCR부(180)로 인가한다.
한편, 촬영장치가 'VCR 재생'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영상신호처리부(16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재생대상이 되는 압축된 영상신호를 VCR부(180)로부터 인가받는다. 그리고, 영상신호처리부(160)는 인가받은 압축된 영상신호를 신장하여 디스플레이부(170)에 인가한다.
DSC 촬상부(130)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광전변환하고, 변환된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과정을 수행한다. DSC 촬상부(130)는 동영상과 정지영상 모두 촬상 가능하다. 하지만, DSC 촬상부(110)로 촬상한 동영상의 데이터용량은 전술한 DVC 촬상부(110)로 촬상한 동영상의 데이터용량 보다 훨씬 크다. 그 결과, 동영상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시 많은 저장공간이 소요되므로, 장시간동안 동영상 촬영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DSC 촬상부(130)는 주로 정지영상을 촬상하는데 사용된다.
DSC 촬상부(130)는 DSC 렌즈부(131), DSC 렌즈구동부(133), DSC CCD(135) 및 DSC CDS/AGC/ADC(137)를 구비한다.
DSC 렌즈구동부(133)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DSC 렌즈부(131)를 구동시킨다. 구체적으로, DSC 렌즈구동부(133)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DSC 렌즈부(131)를 줌-인/줌-아웃(zoom-in/zoom-out)시키고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며, DSC 렌즈부(131)에 마련된 조리개(미도시)의 개폐량을 조절한다.
DSC CCD(135)는 DSC 렌즈부(131)를 통해 입사되는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DSC CDS/AGC/ADC(137)는 CDS를 사용하여 DSC CCD(135)의 출력되는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고, AGC를 사용하여 신호의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이득을 조정하고, ADC를 사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DSC 신호처리부(140)는 DSC 촬상부(130)로부터 인가받은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를 한다. 구체적으로, DSC 신호처리부(140)는 인가되는 신호에 대해 휘도(Y)신호와 크로미넌스(C)신호로 분리하고, 이득조정, 윤곽보정 및 AWB 등을 수행하며, 해상도를 변경한다.
DSC CODEC(145)은 DSC 신호처리부(140)에서 신호처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70)에 인가한다.
이때, DSC COEC(145)은 조작부(2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촬영명령'을 제어부(210)로부터 전달받으면, DSC 신호처리부(140)의 출력신호를 JPEG 포맷의 신호로 압축한다. 그리고, 압축된 신호를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카드(190)에 기록한다.
한편, 촬영장치가 '메모리카드 재생'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DSC COEC(145)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재생대상이 되는 압축된 영상신호를 메모리카드(190)로부터 인가받는다. 그리고, DSC COEC(145)은 인가받은 압축된 영상신호를 신장하여 디스플레이부(170)에 인가한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영상신호처리부(160)와 DSC COEC(145)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170)는 OSD(On Screen Display)부(171), NTSC/PAL(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Phase Alternation Line) 인코더(173)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175)를 구비한다.
OSD부(171)에는 OSD문자와 GUI(Graphic User Interface)환경의 구축에 필요한 메뉴화면과 같은 GUI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그리고, OSD부(171)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영상신호처리부(160)와 DSC COEC(145)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OSD문자나 GUI데이터를 조합할 수 있다.
NTSC/PAL 인코더(173)는 OSD부(171)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NTSC방식이나 PAL방식의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LCD(175)와 외부장치인 TV로 인가한다.
LCD(175)는 NTSC/PAL 인코더(241)로부터 인가받은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이다.
VCR부(180)는 영상신호처리부(16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영상신호를 독출하여 영상신호처리부(160)로 인가한다. VCR부(180)는 VCR 데크부(181)와 VCR 테이프(183)를 구비한다.
VCR 테이프(183)는 영상신호가 기록되는 자기 기록매체로서, VCR 데크부(181)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
VCR 데크부(181)는 영상신호처리부(160)로부터 인가받은 영상신호를 VCR 테이프(183)에 기록하거나, VCR 테이프(183)에 기록된 영상신호를 독출하여 영상신호처리부(160)로 인가한다.
메모리카드(190)는 DSC COEC(145)으로부터 인가받은 영상신호가 기록되는 기록매체로서, 촬영장치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
PC 인터페이스부(200)는 외부장치인 PC 또는 프린터와 인터페이싱을 수행한다.
제어부(210)는 조작부(2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촬영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DVC 촬상부(110)와 DSC 촬싱부(13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촬상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10)는 메인제어부(211) 및 DSC 제어부(213)를 구비한다.
메인제어부(211)는 조작부(220)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으며, 그에 따라 DVC 렌즈구동부(113), DVC 신호처리부(120), 영상신호처리부(160), OSD부(171), VCR 데크부(181) 및 PC 인터페이스부(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메인제어부(211)는 DSC 제어부(312)의 제어동작을 제어한다.
DSC 제어부(213)는 메인제어부(211)의 제어에 따라, DSC 렌즈구동부(133), DSC 신호처리부(140), DSC CODEC(145)의 동작을 제어한다.
플래쉬메모리(230)는 메인제어부(230)에서 필요한 부팅 프로그램 등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시스템 프로그램 및 전원이 꺼져도 보관되어야 할 중요한 데이터와 응용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조작부(220)는 촬영장치의 기능선택 및 동작제어와 관련된 조작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조작부(220)에는 촬영장치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 스위치(225)가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모드선택 스위치(225)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모드선택 스위치(225)는 조작부(220)에 마련되는 조작버튼들 중 자주 사용되는 조작버튼에 해당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촬영장치를 한 손으로 파지한 경우, 파지한 손의 엄지손가락이나 검지손가락으로 선택조작이 가능한 위치에 마련되면, 사용자의 조작상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다.
촬영장치는 적어도 4가지의 동작모드로 동작 가능하다. 4가지의 동작모드란, i) DVC 촬상부(110)로 촬상한 영상을 기록하는 'DVC 촬영'모드, ii) DSC 촬상부(130)로 촬상한 영상을 기록하는 'DSC 촬영'모드, iii) VCR부(180)에 기록된 영상을 재생하는 '재생'모드, iv) 촬영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OFF'모드이다.
따라서, 모드선택 스위치(225)는 상기한 4가지의 동작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야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225)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모드선택 스위치(225)는 회전형 다단스위치로 구현되었다. 모드선택 스위치(225)는 모드표시부(225a)와 모드선택부(225b)를 구비한다.
모드표시부(225a)는 사용자가 모드선택 스위치(225)를 스위칭 조작함에 있어서 참조하는 일종의 동작모드 안내표시이다. 모드표시부(225a)에는 선택가능한 동작모드가 배치되어 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촬영장치는 4가지의 동작모드('DVC 촬영'모드, 'DSC 촬영'모드, '재생'모드, 'OFF'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된다. 따라서, 모드표시부(225a)에는 상기한 4가지의 동작모드가 배치된다.
모드선택부(225b)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X'축을 중심으로 'A'방향이나 'B'방향으로 회전한다. 모드선택부(225b)는 회전운동을 하면서 모드표시부(225a)에 배치된 4가지의 동작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순차적으로 지시하게 된다(도 2a에서는 모드선택부(225b)가 'OFF'모드를 지시하고 있다.).
모드선택부(225b)는 그 회전된 각도에 따라 각기 다른 모드선택 명령신호를 메인제어부(211)로 출력한다. 메인제어부(211)는 모드선택부(225b)로부터 수신한 모드선택 명령신호에 대응되는 동작모드로 촬영장치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즉, 사용자가 모드선택부(225b)를 회전시켜 모드표시부(225a)에 배치된 동작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도록 위치시키면, 촬영장치는 지시된 동작모드로 동작한다.
한편, 모드표시부(225a)에 4가지의 동작모드를 배치함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동작모드 선택빈도수가 고려된다. 즉, 선택빈도수가 높은 동작모드는 사용자가 선택하기 편리한 위치에 배치된다.
촬영장치에서는 전술한 4가지 동작모드들 중 'DVC 촬영'모드와 'DSC 촬영'모드가 가장 빈번하게 선택됨이 일반적일 것이므로, 'DVC 촬영'모드와 'DSC 촬영'모드는 나머지 2개의 동작모드보다 선택빈도수가 높을 것이다. 따라서, 'DVC 촬영'모드와 'DSC 촬영'모드는 사용자가 선택하기 편리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형 다단스위치로 구현된 모드선택 스위치(225b)의 경우는, 모드표시부(225a)의 최상단과 최하단이 사용자가 선택하기 가장 편리한 위치가 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모드선택부(225b)가 모드표시부(225a)의 최상단을 지시하게 하려면, 사용자는 모드선택부(225b)를 'B' 방향으로 밀기만 하면 된다. 사용자가 모드선택부(225b)를 'B' 방향으로 밀면, 모드선택부(225b)는 그에 따라 회전하다가 모드표시부(225a)의 최상단을 지시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정지하며,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모드선택부(225b)가 모드표시부(225a)의 최하단을 지시하게 하려면, 사용자는 모드선택부(225b)를 'A' 방향으로 밀면 된다. 모드선택부(225b)는 모드표시부(225a)의 최하단을 지시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정지하며,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드선택부(225b)는 모드표시부(225a)의 최상단이나 최하단을 지시하게 되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정지한다. 따라서, 모드표시부(225a)의 최상단이나 최하단에 배치된 동작모드는 사용자가 선택하기 편리한 위치가 되는 것이다.
만약, 모드표시부(225a)의 최상단과 최하단의 사이에 위치한 중단에 배치된 동작모드(도 2에서는, '재생', 'OFF')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먼저 선택대상인 동작모드가 배치된 위치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여야 한다. 그리고, 그 위치를 모드선택부(225b)가 지시하도록 회전시키려면, 이를 단순히 밀어서 회전시키면 안돼고 적절히 힘을 조절하여 밀어야 한다. 따라서, 모드표시부(225a)의 중단에 배치된 동작모드를 선택하는 조작은 최상단이나 최하단에 배치된 동작모드를 선택하는 조작보다 번거로우며, 주의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도 2a에 도시된 모드선택 스위치(225)에서는, 선택빈도수가 높은 'DVC 촬영'모드와 'DSC 촬영'모드가 각각 모드표시부(225a)의 최상단과 최하단 각각 배치되었다.
한편, 'DVC 촬영'모드와 'DSC 촬영'모드가 배치된 위치가 바뀌더라도, 사용자는 선택조작을 함에 있어서 큰 불편을 느끼지 않는다. 따라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DSC 촬영'모드를 각각 모드표시부(225a)의 최상단에 배치하고, 'DVC 촬영'모드를 모드표시부(225a)의 최하단에 배치하여, 모드선택 스위치(225)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225)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드선택 스위치(225)가 직선형 다단스위치로 구현되었다.
모드선택부(225b)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C'방향이나 'D'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모드표시부(225a)에 배치된 4가지의 동작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순차적으로 지시하게 된다(도 3에서는 모드선택부(225b)가 '재생'모드를 지시하고 있다.).
직선형 다단스위치로 구현된 모드선택 스위치(225)의 경우는, 모드표시부(225a)의 좌측단과 우측단이 사용자가 선택하기 가장 편리한 위치가 된다.
모드선택부(225b)가 모드표시부(225a)의 좌측단을 지시하게 하려면 모드선택부(225b)를 'C' 방향으로 밀기만 하면 되며, 모드선택부(225b)가 모드표시부(225a)의 우측단을 지시하게 하려면 모드선택부(225b)를 'D' 방향으로 밀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 모드선택부(225b)는 그에 따라 이동하다가 모드표시부(225a)의 좌측단/우측단을 지시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정지하여, 더 이상 이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도 3에 도시된 모드선택 스위치(225)에서는, 선택빈도수가 높은 'DVC 촬영'모드와 'DSC 촬영'모드가 각각 모드표시부(225a)의 좌측단과 우측단에 각각 배치되었다.
한편, 'DVC 촬영'모드와 'DSC 촬영'모드가 위치를 바꾸어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설명할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와 기본적인 개념은 동일하나, 선택가능한 동작모드들이 메뉴화면에 표시된다는 점이 다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메뉴화면과 메뉴다이얼을 이용하여 구현한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4a에는 메인제어부(211)의 제어에 의해 OSD부(171)에서 제공되는 모드선택 메뉴화면을 도시하였다. 도시된 메뉴화면에서 동작모드들은 각각 'DVC 촬영'메뉴, '재생'메뉴, 'OFF'메뉴, 'DSC 촬영'메뉴로 표시되며, 표시된 메뉴들 중 어느 하나에 커서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메뉴화면에 표시된 커서를 이동시켜 어느 하나의 메뉴에 위치시키고, 커서가 위치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촬영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는 동작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도 4b에는 메뉴화면상에 표시된 커서의 위치를 특정 메뉴로 이동시키고, 커서가 위치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다이얼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메뉴다이얼을 'E'방향으로 밀면 메뉴화면에 표시된 커서가 위로 이동하며, 메뉴다이얼을 'F'방향으로 밀면 메뉴화면에 표시된 커서가 아래로 이동한다. 그리고, 메뉴다이얼을 누르면 커서가 위치한 메뉴에 대응되는 동작모드가 실행된다.
사용자가 도 4b에 도시된 메뉴다이얼을 이용하여, 도 4a에 도시된 메뉴화면상에서 커서를 표시된 메뉴들 중 어느 하나에 위치시켜야 하는 경우, 사용자가 커서를 위치시키기 가장 편한 메뉴는 메뉴화면의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 표시된 메뉴이다.
이는, 사용자가 메뉴다이얼을 'E'방향이나 'F'방향으로 밀고 있으면, 커서가 최상단이나 최하단에 표시된 메뉴로 이동하여 정지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도 4a에 도시된 메뉴화면에는 선택빈도수가 높은 'DVC 촬영'메뉴와 'DSC 촬영'메뉴가 각각 메뉴화면의 최상단과 최하단에 배치되었다.
한편, 'DVC 촬영'모드와 'DSC 촬영'모드의 위치를 바꾸어 배치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메뉴화면에 메뉴들이 수직방향이 아닌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에는, 메뉴화면의 좌측단과 우측단에 'DVC 촬영'모드와 'DSC 촬영'모드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장치의 동작모드들 중 'DVC 촬영'모드, 'DSC 촬영'모드의 빈도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가정하고, 그에 따라 설명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DVC 촬영'모드와 '재생'모드의 사용빈도수가 가장 높은 경우라면, 이들 모드를 최상단/최하단 또는 좌측단/우측단에 배치하여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장치의 동작모드로서 'DVC 촬영'모드, 'DSC 촬영'모드, '재생'모드, 'OFF'모드 4가지를 언급하였다. 그러나, 여기서 언급된 동작모드들은 예시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촬영장치는 언급된 동작모드 이외의 동작모드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동작모드의 개수는 반드시 4개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3개 이상이면 족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10)가 메인제어부(211)와 DSC 제어부(213)를 구비하고, 각 제어부의 역할이 분담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제어부(210)의 분할 없이, 하나의 제어부가 촬영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3가지 이상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를 구현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모드 선택빈도수가 고려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빈번히 사용되는 모드들을 보다 손쉽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사용자는 모드선택 스위치를 직접 보지 않고도 모드를 변경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조작상 편리함이 배가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촬영장치의 블럭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메뉴화면과 메뉴다이얼을 이용하여 구현한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DVC 촬상부 130 : DSC 촬상부
170 : 디스플레이부 175 : LCD
210 : 제어부 220 : 조작부
225 : 모드선택 스위치 225a : 모드표시부
225b : 모드선택부

Claims (10)

  1. 제1 동작모드, 제2 동작모드 및 제3 동작모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동작하는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에 있어서,
    일단에 선택빈도수가 첫번째로 높은 상기 제1 동작모드가 배치되고, 타단에 상기 선택빈도수가 두번째로 높은 상기 제2 동작모드가 배치되고,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의 사이에 위치한 중단에 상기 선택빈도수가 세번째로 높은 상기 제3 동작모드가 배치되어 표시되는 모드표시부; 및
    상기 모드표시부에 배치된 상기 제1 동작모드, 상기 제2 동작모드 및 상기 제3 동작모드를 배치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지시함으로서, 상기 제1 동작모드, 상기 제2 동작모드 및 상기 제3 동작모드 중 지시된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모드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부는,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제1 동작모드, 상기 제2 동작모드 및 상기 제3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를 순차적으로 지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부는,
    직선운동을 통해 상기 제1 동작모드, 상기 제2 동작모드 및 상기 제3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를 순차적으로 지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부는,
    사용자가 상기 촬영장치를 손으로 파지한 경우, 파지한 손의 엄지손가락 및 검지손가락 중 어느 하나로 선택조작이 가능한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모드는 상기 촬영장치에 구비된 제1 촬상부를 통해 촬상된 영상을 상기 촬영장치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제1 촬영모드이고,
    상기 제2 동작모드는 상기 촬영장치에 구비된 제2 촬상부를 통해 촬상된 영상을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제2 촬영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상부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영상을 촬상하는 DVC(Digital Video Camera) 촬상부이고,
    상기 제2 촬상부는,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영상을 촬상하는 DSC(Digital Still Camera) 촬상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동작모드는,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 영상을 상기 촬영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재생하기 위한 재생모드 및 상기 촬영장치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파워오프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모드는 상기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부를 통해 촬상된 영상을 상기 촬영장치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촬영모드이고,
    상기 제2 동작모드는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 영상을 상기 촬영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재생하기 위한 재생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동작모드는 상기 촬영장치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파워오프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표시부에는, 상기 제1 동작모드, 상기 제2 동작모드 및 상기 제3 동작모드가 메뉴화면으로 표시되고,
    상기 모드선택부는, 상기 메뉴화면에 표시된 상기 제1 동작모드, 상기 제2 동작모드 및 상기 제3 동작모드를 표시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지시하는 커서를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제1 동작모드, 상기 제2 동작모드 및 상기 제3 동작모드 중 지시된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
KR1020040016046A 2004-03-10 2004-03-10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 KR20050090798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046A KR20050090798A (ko) 2004-03-10 2004-03-10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
US11/049,935 US20050200738A1 (en) 2004-03-10 2005-02-04 Mode selection switch of photographing device
EP05101751A EP1575257A1 (en) 2004-03-10 2005-03-07 A selection switch and display
CNA2007100847465A CN101026693A (zh) 2004-03-10 2005-03-07 拍摄装置的模式选择开关
CNB2005100513060A CN100417194C (zh) 2004-03-10 2005-03-07 拍摄装置的模式选择开关
JP2005066169A JP4047340B2 (ja) 2004-03-10 2005-03-09 撮影装置のモード選択スイッチおよびモード選択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046A KR20050090798A (ko) 2004-03-10 2004-03-10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798A true KR20050090798A (ko) 2005-09-14

Family

ID=34825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046A KR20050090798A (ko) 2004-03-10 2004-03-10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200738A1 (ko)
EP (1) EP1575257A1 (ko)
JP (1) JP4047340B2 (ko)
KR (1) KR20050090798A (ko)
CN (2) CN10041719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609714S1 (en) * 2007-03-22 2010-02-09 Fujifilm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SG166684A1 (en) * 2009-05-11 2010-12-29 Creative Tech Ltd A multimodal camera and a method for selecting an operation mode of a camera
US9143679B2 (en) 2012-01-26 2015-09-22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nic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9005351A (zh) * 2018-09-05 2018-12-14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拍摄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2021113954A (ja) * 2020-01-21 2021-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2003A (en) * 1997-08-22 2000-09-19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operating modes of an image capture device
US6310648B1 (en) * 1997-09-12 2001-10-30 Eastman Kodak Company User interface for electronic image viewing apparatus
US6519003B1 (en) * 1998-03-26 2003-02-11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with combination four-way directional and mode control interface
JP4397058B2 (ja) * 1998-05-20 2010-01-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JP4101421B2 (ja) * 1999-12-27 2008-06-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入力ユニット、入力ユニットを利用可能な情報記録装置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JP3919476B2 (ja) * 2000-08-07 2007-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4140181B2 (ja) * 2000-09-08 2008-08-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カメラ
JP2002107810A (ja) * 2000-10-02 2002-04-10 Asahi Optical Co Ltd カメラ
JP4565276B2 (ja) * 2001-05-21 2010-10-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及びそのモード切換方法
JP4518716B2 (ja) 2001-09-25 2010-08-04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JP2004159293A (ja) * 2002-09-11 2004-06-03 Casio Comput Co Ltd 撮像記録装置、画像処理装置、撮像記録制御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撮像記録方法並びに画像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00738A1 (en) 2005-09-15
CN100417194C (zh) 2008-09-03
JP2005260963A (ja) 2005-09-22
CN101026693A (zh) 2007-08-29
JP4047340B2 (ja) 2008-02-13
EP1575257A1 (en) 2005-09-14
CN1668073A (zh) 2005-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4571B2 (ja) Osdメニューを表示する映像撮影機器およびその表示方法
US7362968B2 (en) Combination camera and DSC len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JP2009077227A (ja) 撮像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4791165B2 (ja) カメラ
US10334336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9077228A (ja) 撮像装置とその制御方法
US7760240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JP5171398B2 (ja) 撮像装置
JP4047340B2 (ja) 撮影装置のモード選択スイッチおよびモード選択方法
JP4756892B2 (ja) 画像処理装置
JP4585921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4751715B2 (ja) 撮像装置
JP2006279292A (ja) カメラ装置
JP4564865B2 (ja) 撮影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601526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igital images
KR20050090807A (ko) 촬영모드 및 출력모드에 따라 영상신호의 출력경로 및출력방식을 제어할 수 있는 복합촬영장치 및 그출력제어방법
KR100275903B1 (ko) 정지화면을보면서동영상촬영기록이가능한디지털비디오캠코더
JP4815224B2 (ja) カメラ
JP4293082B2 (ja) サーバ機能を備えた再生装置
US20060023083A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for efficient reproduction opera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KR20050090806A (ko) 하나의 줌스위치로 다양한 조작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복합촬영장치 및 그 동작제어방법
KR20060003937A (ko) 영상촬상장치
KR20100001270A (ko) 슬라이드 동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JPH11187293A (ja) 電子スチルカメラ
KR19990060291A (ko)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녹화영역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