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9146A - 로크 기구 형성 모듈 제어 장치 및 보우덴형 케이블 조절방법 - Google Patents

로크 기구 형성 모듈 제어 장치 및 보우덴형 케이블 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9146A
KR20050089146A KR1020057002140A KR20057002140A KR20050089146A KR 20050089146 A KR20050089146 A KR 20050089146A KR 1020057002140 A KR1020057002140 A KR 1020057002140A KR 20057002140 A KR20057002140 A KR 20057002140A KR 20050089146 A KR20050089146 A KR 20050089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et
cable
lock mechanism
control device
proximal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안 로베르뜨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시큐리티 하비태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시큐리티 하비태클 filed Critical 발레오 시큐리티 하비태클
Publication of KR20050089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14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26Construction of guiding-sheathings or guiding-tubes
    • F16C1/262End fittings; Attachment thereof to the sheathing or tub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26Construction of guiding-sheathings or guiding-tub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82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Flexible Sha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장치는 기단 구속 유닛(20P) 및 말단 구속 유닛(20D)에 의해 차단되는 기단부(18P) 및 말단부를 갖는 자켓(18)에 배치되는 기단부(14P) 및 말단부가 제공된 케이블(14)을 구비하는 보우덴형(Bowden-type) 케이블을 포함한다. 자켓(18)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18P, 18D)는 접착에 의해 대응 구속 유닛(20P, 20D)에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된 구속 유닛(20D)에는 자켓(18)의 접착된 단부(18P)의 연결 슬리브의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된 오리피스(28)가 제공되며, 그리하여 소정 양의 접착제를 위한 리셉터클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로크 기구 형성 모듈 제어 장치 및 보우덴형 케이블 조절 방법{CONTROL DEVICE FOR A MODULE FORMING A LOCK MECHANISM}
본 발명은 로크 기구 형성 모듈을 위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는 각각 기단부 및 말단부인 2개의 단부를 갖는 케이블을 구비하고, 이 케이블이 각각 기단부 및 말단부인 2개의 단부를 갖는 자켓에 내장되고, 자켓의 기단부 및 말단부가 기단 및 말단 구속 요소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는, 보우덴형(Bowden-type)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유형의 로크 기구 형성 모듈을 위한 제어 장치가 이미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제어 장치는 자동차의 개방 리프(leaf), 특히 차량의 측면 도어용의 로크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케이블의 기단부는 차량의 내부에서부터 작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 제어 레버는 개방 리프상에 피봇 장착되어 있는, 패들 핸들(paddle handle)로도 공지된 제어 레버에 연결된다. 케이블의 말단부는 로크 기구 형성 모듈을 위한 제어 요소에 연결된다. 랫치(latch)가 제공된 이러한 모듈은, 개방 리프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랫치가 대응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스트라이커에 맞물리도록, 개방 리프상에 배치된다.
제어 장치를 장착할 때는, 자켓의 기단부를 통해 자켓 외부로 돌출하는 케이블의 기단부의 길이를, 로크 모듈 및 제어 장치에서 다양한 기능을 처리하도록 조절하는 것이 특히 권장할 만 하다. 이러한 조절은 제어 레버가 소망하는 데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조절을 수행한 후에, 자켓의 기단부는 기단 구속 요소에 대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초음파 용접 공정에 의해 자켓의 기단부를 기단 구속 요소에 고착시키는 것은 공지된 기술이다.
그러나, 자켓은 연속 회전식으로 나선 권취된 와이어, 특히 금속 와이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자켓의 구조가 항상 자켓에 양호한 풀아웃(pull-out) 저항성을 제공하는 우수한 초음파 용접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몇몇 경우에 있어서 초음파는 케이블의 자켓을 형성하는 나선 구조에 변형을 야기하기도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효과적인 풀-아웃 저항성을 제공하면서 나선 구조의 자켓에 잘 맞는 고착 수단을 이용하여, 자켓의 단부를 대응 구속 요소상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자켓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접착제 본딩에 의해 대응 구속 요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술한 유형의 로크 기구 형성 모듈용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접착제 본딩은 케이블의 자켓을 형성하는 나선 권취된 와이어의 변형과 같은, 초음파 용접과 관련된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를 극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접착제 본딩은 효과적으로 그리고 저항성 있게 자켓을 구속 요소에 고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제어 장치의 다른 선택적인 특징에 따르면,
- 본딩된 구속 요소에는 자켓의 본딩된 단부를 끼우기 위한 슬리브를 형성하는 부분이 제공되며, 이 슬리브 형성 부분은 자켓의 본딩된 단부가 끼워지는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인 오리피스를 포함하며, 이러한 오리피스는 자켓 및 본딩된 구속 요소와 접촉하여 소정 양의 접착제를 수용하는 리셉터클을 형성한다;
- 본딩된 구속 요소의 슬리브 형성 부분은 그것을 고정 지지부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 쉘(shell)에 의해 연장된다;
- 자켓의 본딩된 단부는 그것의 기단부이다;
- 케이블의 기단부에는 이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블록이 제공되며, 쉘은 이 고정 블록을 위한 하우징을 형성한다;
- 자켓은 연속 회전식으로 나선 권취된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특히 금속 와이어에 의해 형성된다;
- 제어 기구를 형성하는 모듈은 자동차의 개방 리프, 특히 차량의 측면 도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설명 및 도면을 통해 보다 잘 이해될 것이며, 그러한 설명은 전적으로 예시를 위해 주어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가 제공된 일반적인 로크 기구 형성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원(2) 안의 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2)에 의해 제어되는 로크 기구 형성 모듈(10)을 나타낸다.
설명된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10)은 자동차의 개방 리프,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 도어에 배치된다.
제어 장치(12)는 차량의 내부에서부터 작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방 리프상에 피봇 장착되어 있고, 패들 핸들로도 공지된 통상의 제어 레버(도시되지 않음)를 갖는 모듈(10)을 위한 제어 요소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어 레버와 모듈(10) 사이의 운동학적 연결을 고려하여, "기단"이라는 용어는 제어 레버에 근접해 있고 모듈(1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구성요소를 한정하는데 사용되는 한편, "말단"이라는 용어는 제어 레버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모듈(10)에 근접해 있는 구성요소를 한정하는데 사용된다.
제어 장치(12)는 자켓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기에 적합한 케이블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구비하는 보우덴형(Bowden-type) 케이블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보우덴 케이블은 각각 기단부 및 말단부인 2개의 단부를 갖는 케이블(14)을 케이블을 구비한다. 도면에는 케이블의 기단부(14P)만이 도시되어 있다. 케이블의 기단부(14P)에는 제어 레버에 운동학적으로 연결된 요소에 이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블록(16)이 제공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 블록(16)은 일반적으로 "자막(Zamak)"으로 표기되는 금속 합금으로 제조되는 것이 보통이다.
케이블(14)은 각각 기단부(18P) 및 말단부(18D)인 2개의 단부를 갖는 자켓(18)에 내장된다. 자켓(18)은 연속 회전식으로 나선 권취된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바람직하게는 금속 와이어로 형성된다.
자켓의 말단부(18D)는 모듈(10)에 의해 지지된 말단 구속 요소(20D)에 공지된 방법 그대로 고착함으로써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자켓의 기단부(18P)는 도 2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기단 구속 요소(20P)에 고착함으로써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켓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18P, 18D), 즉 설명된 실시예에 있어서 기단부(18P)는 대응 구속 요소, 즉 설명된 실시예에 있어서 기단 구속 요소(20P)에 접착제 본딩에 의해 연결된다.
(본딩된) 기단 구속 요소(20P)에는 자켓의 (본딩된) 기단부(18P)를 끼우기 위한 슬리브를 형성하는 부분(22)이 제공된다. 이 부분(22)은 개방 리프에 부착된 고정 지지부(도시되지 않음)에 그것을 고정하는 통상적인 수단이 제공된 쉘(24)에 의해 연장된다. 이들 고정 수단은 예를 들어 2개의 스냅 로킹 탭(26)을 포함한다.
쉘(24)은 고정 블록(16)을 위한 하우징을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슬리브 형성 부분(22)은 자켓의 기단부(18P)가 끼워지는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횡방향인 오리피스(28)를 포함한다. 이러한 비교적 큰 오리피스(28)는 자켓의 기단부(18P) 및 기단 구속 요소(20P)와 접촉하여 소정 양의 접착제(30)를 수용하는 리셉터클을 형성한다.
따라서, 매우 간단하게 자켓의 기단부(18P)를 기단 구속 요소(20P)에 고착할 수 있다.
우선, 자켓(18)의 기단부(18P)를 통해 자켓(18)의 외부로 돌출하는 케이블의 기단부(14P)의 길이를, 모듈(10) 및 제어 장치(12)에서 다양한 기능을 처리하도록 공지된 방법 그대로 조절한다.
다음으로, 소정 양의 접착제(30)로 오리피스(28)를 충전함으로써 자켓의 기단부(18P)를 기단 구속 요소(20P)에 고착한다. 특히 자켓의 기단부(18P) 및 오리피스(28)를 제한하는 기단 구속 요소(20P)의 에지와 접촉하는 오리피스(28)는 자켓(18) 및 기단 구속 요소(20P)에 강하게 접착되어, 자켓(18)의 나선 구조를 변형시키지 않는 강한 고착을 제공한다.
유리하게는, 소정 양의 접착제의 부착을 최적화하기 위해, 자켓의 기단부(18P)상에 노치가 만들어 질 수도 있다.
슬리브 형성 부분(22)에 끼워진 자켓의 기단부(18P)는 소정 양의 접착제(30)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의 베이스를 구성한다는 것을 알 것이다. 또한, 소정 양의 접착제(30)가 그 안에 위치된 후에는 오리피스(28)를 폐쇄할 필요가 없다.
필요하다면, 오리피스(28)를 제한하는 기단 구속 요소(20P)의 에지는 소정 양의 접착제(30)의 접착력을 최적화하는 볼록하거나 또는 오목한 릴리프(relief)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9)

  1. 각각 기단부(14P) 및 말단부인 2개의 단부를 갖는 케이블(14)을 구비하는 보우덴형(Bowden-type)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14)은 각각 기단부(18P) 및 말단부(18D)인 2개의 단부를 갖는 자켓(18)에 내장되고, 상기 기단부(18P) 및 말단부(18D)는 기단 구속 요소(20P) 및 말단 구속 요소(20D)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유형의, 로크 기구 형성 모듈(10)용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켓(18)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18P, 18D)는 접착제 본딩에 의해 대응 구속 요소(20P, 20D)에 연결되고, 상기 본딩된 구속 요소(20P)에는 상기 자켓(18)의 본딩된 단부(18P)를 끼우기 위한 슬리브를 형성하는 부분(22)이 제공되며, 상기 슬리브 형성 부분(22)은 상기 자켓(18)의 본딩된 단부(18P)가 끼워지는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인 오리피스(28)를 구비하며, 상기 오리피스(28)는 상기 자켓(18) 및 상기 본딩된 구속 요소(20P)와 접촉하여 소정 양의 접착제(30)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기구 형성 모듈용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켓(18)의 본딩된 단부(18P)는 그것의 기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기구 형성 모듈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켓(18)의 기단부(18P)에는 소정 양의 접착제(30)의 부착을 최적화하기 위한 노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기구 형성 모듈 제어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28)의 에지에는 소정 양의 접착체(30)의 부착을 최적화하기 위한 볼록하거나 또는 오목한 릴리프(relief)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기구 형성 모듈 제어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된 구속 요소(20P)의 슬리브 형성 부분(22)은 그것을 고정 지지부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26)이 제공된 쉘(24)에 의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기구 형성 모듈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4)의 기단부(14P)에는 상기 케이블(14)을 고정하기 위한 블록(16)이 제공되며, 상기 쉘(24)은 상기 고정 블록(16)을 위한 하우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기구 형성 모듈 제어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켓(18)은 연속 회전식으로 나선 권취된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특히 금속 와이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기구 형성 모듈 제어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기구를 형성하는 상기 모듈(10)은 자동차의 개방 리프, 특히 차량의 측면 도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기구 형성 모듈 제어 장치.
  9. 각각 기단부(14P) 및 말단부인 2개의 단부를 갖는 케이블(14)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은 각각 기단부(18P) 및 말단부(18D)인 2개의 단부를 갖는 자켓(18)에 내장되고, 상기 자켓은 기단 구속 요소(20P) 및 말단 구속 요소(20D)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보우덴형 케이블을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① 상기 자켓(18)의 기단부(18P)를 통해 상기 자켓(18) 외부로 돌출하는 상기 케이블의 기단부(14P)의 길이가 조절되는 단계와,
    ② 상기 자켓의 기단부(18P)가 접착제 본딩에 의해 상기 기단 구속 요소(20P)에 고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우덴형 케이블 조절 방법.
KR1020057002140A 2002-08-09 2003-08-06 로크 기구 형성 모듈 제어 장치 및 보우덴형 케이블 조절방법 KR200500891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210150 2002-08-09
FR0210150A FR2843429B1 (fr) 2002-08-09 2002-08-09 Dispositif de commande d'un module formant mecanisme de serr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146A true KR20050089146A (ko) 2005-09-07

Family

ID=30471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2140A KR20050089146A (ko) 2002-08-09 2003-08-06 로크 기구 형성 모듈 제어 장치 및 보우덴형 케이블 조절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60055177A1 (ko)
EP (1) EP1540196A1 (ko)
JP (1) JP2005535847A (ko)
KR (1) KR20050089146A (ko)
CN (1) CN100338369C (ko)
AU (1) AU2003262566A1 (ko)
BR (1) BRPI0313301A2 (ko)
FR (1) FR2843429B1 (ko)
MX (1) MXPA05001533A (ko)
WO (1) WO20040169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26362A1 (fr) * 2006-08-31 2008-03-06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Structure de connexion de câble
US20140352483A1 (en) * 2013-06-04 2014-12-04 General Electric Company Remote alignment tool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72393A (en) * 1963-12-13 1966-09-13 John O Roeser Apparatus and method for precision metering and deposit of viscous materials
US3812738A (en) * 1972-04-06 1974-05-28 Weatherhead Co Flexible cable assembly
FR2526504A1 (fr) * 1982-05-04 1983-11-10 Dba Butee de conduit de gainage de cable et procede de montage d'une extremite de conduit dans une telle butee
DE3441716A1 (de) * 1984-11-15 1986-05-22 Preh, Elektrofeinmechanische Werke Jakob Preh Nachf. Gmbh & Co, 8740 Bad Neustadt Einrichtung zur festlegung des mantels eines flexiblen zug- oder druckorgans
US4841805A (en) * 1988-03-14 1989-06-27 Mpc Technologies Co. Adjustable cable end coupling
FR2730772B1 (fr) * 1995-02-22 1997-04-30 Valeo Thermique Habitacle Dispositif de fixation reglable de la gaine d'un cable de transmission
FR2759127B1 (fr) * 1997-02-03 1999-03-26 Sachs Ind Sa Embout de cable
DE19810665C1 (de) * 1998-03-12 1999-09-16 Porsche Ag Bowdenzug zur Übertragung von Zugkräften
CN1178009C (zh) * 1999-09-09 2004-12-01 保罗·帕波尼 机械钢绳遥控用的调整与组装系统
DE10041708A1 (de) * 2000-08-25 2002-03-14 Bos Gmbh Heckfensterrollo mit Bowdenz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5001533A (es) 2005-08-19
US20060055177A1 (en) 2006-03-16
CN100338369C (zh) 2007-09-19
FR2843429A1 (fr) 2004-02-13
BRPI0313301A2 (pt) 2016-06-21
WO2004016958A1 (fr) 2004-02-26
CN1675475A (zh) 2005-09-28
EP1540196A1 (fr) 2005-06-15
AU2003262566A1 (en) 2004-03-03
FR2843429B1 (fr) 2005-04-29
JP2005535847A (ja) 200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5475B2 (en) Method for making vehicle door
US6508512B2 (en) Hinged headrest for a vehicle seat
EP0169245A4 (en) REMOTE CONTROLLED SIDE MIRROR FOR VEHICLES.
EP0713457A4 (en) IMPROVED DOUBLE PIVOT ELEMENT MOUNT FOR A MIRROR
EP1108621A3 (en) Harness-wiring system for a sliding door of vehicles
EP1112925A3 (en) Bell crank assembly and mounting bracket for a bicycle hub transmission
US6371618B1 (en) Single shell, double view vehicular mirror having manual adjustability and precision hinge plate
JP4843622B2 (ja) 構成要素の固定具および固定具の取り付け
JPS62184962A (ja) 倍力装置組立体装着装置
KR20050089146A (ko) 로크 기구 형성 모듈 제어 장치 및 보우덴형 케이블 조절방법
US7147267B2 (en) Device for pivoting a vehicle door or a vehicle lid
US10794418B2 (en) Bowden cable assembly
CA2371864A1 (en) Adjusting device for hinged windows
CA1227471A (en) Mount for automotive loop strap that pivots on horizontal axis
US20040244294A1 (en) Drive
JPH05278505A (ja) パワーシートにおけるギヤボツクス取付構造
KR20050089788A (ko) 모듈용 제어 장치
EP1296072B1 (en) Adjusting mechanism for length adjustment
US20010012164A1 (en) Side break-away rear view mirror assembly with telescopic support brace
WO1998023832A1 (en) Vehicle door latch
US20050082846A1 (en) Tailgate handle apparatus for vehicle
US6171183B1 (en) Actuation means for actuating a structural part in an automobile
CN111088923A (zh) 用于操纵机动车中的可转动地支承的盖的调节设备以及用于制造这种调节设备的方法
CN216915996U (zh) 一种可调角度的方向机总成
WO1997006033A1 (fr) Retroviseur exterieur d'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