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9142A - 제조장비의 분산 감시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조장비의 분산 감시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9142A
KR20050089142A KR1020050075887A KR20050075887A KR20050089142A KR 20050089142 A KR20050089142 A KR 20050089142A KR 1020050075887 A KR1020050075887 A KR 1020050075887A KR 20050075887 A KR20050075887 A KR 20050075887A KR 20050089142 A KR20050089142 A KR 20050089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istributor
output
computer
manufacturing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3553B1 (ko
Inventor
이유정
김제성
류승오
Original Assignee
(주)유텍시스템
류승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텍시스템, 류승오 filed Critical (주)유텍시스템
Priority to KR1020050075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553B1/ko
Publication of KR20050089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5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015Monito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Safety Devices In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디스플레이(LCD, PDP 등), 로봇 등과 같은 제조장비의 작동을 감시하는 시스템에서 제조라인 뿐만 아니라 원격지에서도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함과 아울러 인터록수단을 이용하여 감시 및 제어 채널의 통제가 가능하여 제어의 혼선과 작동에러를 방지할 수 있는 제조장비의 분산 감시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조라인의 장비들과 직접 연결되어 제조장비들을 제어 및 감시하는 복수의 메인컴퓨터와, 상기 복수의 메인컴퓨터와 연결되되 소정의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특정 메인컴퓨터의 입출력을 선택 제어하는 컴퓨터선택제어기와, 상기 컴퓨터선택제어기에 접속되어 통신라인을 복수의 입출력채널로 분배하되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입출력채널 중 단일 입출력채널만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의 제 1 입출력채널과 연결되어 소정의 선택신호에 따라 메인컴퓨터로부터 특정 장비의 감시 영상을 분배기를 통해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거나 메인컴퓨터의 작동을 현장에서 제어하는 현장입출력수단, 및 상기 분배기의 제 2 입출력채널과 연결되어 소정의 선택신호에 따라 메인컴퓨터로부터 특정 장비의 감시 영상을 분배기를 통해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거나 메인컴퓨터의 작동을 원격 제어하는 원격입출력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제조장비의 분산 감시 제어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REMOTE OF A MANUFACTURING EQUIPMENT}
본 발명은 장비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디스플레이(LCD, PDP 등), 로봇 등과 같은 제조장비의 작동을 감시하는 시스템에서 현장 뿐만 아니라 원격지에서도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함과 아울러 인터록스위치를 이용하여 감시 및 제어 채널의 통제가 가능한 제조장비의 분산 감시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반도체 제조, 디스플레이(LCD, PDP 등) 제조, 로봇, 액추에이터 등과 같은 산업분야에서 사용하는 대부분 제조장비 들은 각각, 또는 집단적으로 컴퓨터화된 제어기(Controller)에 의해 제조과정이 통제되고 운영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의한 제조장비 감시 제어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는 복수의 제조장비(10)와, 소정의 내부 프로그램에 따라 해당 제조장비(10)를 운영관리 제어하는 복수의 컴퓨터(20)와, 상기 복수의 컴퓨터(20)와 연결되되 소정의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특정 컴퓨터(21, 22, ... 또는 n)의 입출력을 선택하는 컴퓨터선택제어기(30)와, 상기 컴퓨터선택제어기(30)에 접속되어 소정의 선택신호에 따라 특정 장비(11, 12, ... 또는 m)의 감시 영상을 컴퓨터와 컴퓨터선택제어기(30)를 통해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45), 및 상기 컴퓨터선택제어기(30)에 접속되어 컴퓨터(21, 22, ... 또는 n)의 작동과 입출력 제어를 명령하는 입력수단(41)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제조장비 관리자는 컴퓨터선택제어기(30)에 부착된 모니터(45)의 화면을 통해 특정 장비의 상태를 파악하고 필요한 운영명령을 컴퓨터선택제어기(30)와 연결된 입력수단(41)을 통해 지시하게 되는 데, 이때 모니터(45)를 통해 복수의 제조장비(10)를 동시에 감시하는 것은 아니며, 입력수단(41)으로 한번에 하나의 컴퓨터(21, 22, ... 또는 n)씩 선택하여 해당 제조장비(11, 12, ... 또는 m)를 순차적으로 감시 및 제어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조작은 통상적으로 현장에서만 가능하며, 원격지에서의 동일한 조작을 위해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컴퓨터를 결합해야 한다. 하지만 네트워크를 통해 결합한다 하더라도 하나의 장비를 복수의 컴퓨터로 동시에 조작할 경우 오작동이 발생되어 제품의 하자가 발생되거나 또는 제어 명령의 혼선으로 인해 심각한 인사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도체, 디스플레이(LCD, PDP 등), 로봇 등과 같은 제조장비의 작동을 감시하는 시스템에서 제조라인 뿐만 아니라 원격지에서도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함과 아울러 인터록수단을 이용하여 감시 및 제어 채널의 통제가 가능하여 제어의 혼선과 작동에러를 방지할 수 있는 제조장비의 분산 감시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로봇, 액추에이터 등과 같은 제조장비를 제어함과 아울러 감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조라인의 장비들과 직접 연결되어 제조장비들을 제어 및 감시하는 복수의 메인컴퓨터; 상기 복수의 메인컴퓨터와 연결되되 소정의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특정 메인컴퓨터의 입출력을 선택 제어하는 컴퓨터선택제어기; 상기 컴퓨터선택제어기에 접속되어 통신라인을 복수의 입출력채널로 분배하되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입출력채널 중 단일 입출력채널만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분배기; 상기 분배기의 제 1 입출력채널과 연결되어 소정의 선택신호에 따라 메인컴퓨터로부터 특정 장비의 감시 영상을 분배기를 통해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거나 메인컴퓨터의 작동을 현장에서 제어하는 현장입출력수단; 및 상기 분배기의 제 2 입출력채널과 연결되어 소정의 선택신호에 따라 메인컴퓨터로부터 특정 장비의 감시 영상을 분배기를 통해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거나 메인컴퓨터의 작동을 원격 제어하는 원격입출력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분배기는 입출력채널을 현장입출력수단 또는 원격입출력수단으로 절환하기 위한 인터록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인터록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수동스위치를 분배기의 외면에 직접 설치하거나 또는 소정의 연장케이블을 통해 분배기에 연결하여 원격 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인터록수단은 현장입출력수단 또는 원격입출력수단에서 소프트웨어로 입출력채널을 절환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현장입출력수단 또는 원격입출력수단은, 상기 분배기에 접속되어 소정의 선택신호에 따라 특정 장비의 감시 영상을 분배기를 통해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 및 상기 분배기에 접속되어 메인컴퓨터들의 작동과 입출력제어를 명령하는 입력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조장비의 분산 감시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메인컴퓨터(20), 컴퓨터선택제어기(30), 분배기(50), 현장입출력수단(60) 및 원격입출력수단(7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메인컴퓨터(20)는 제조라인의 장비들(11, 12, ... 또는 m)과 일대일로 직접 연결되어 장비들을 제어 및 감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컴퓨터선택제어기(30)는 복수의 메인컴퓨터(21, 22, ... 또는 n)와 연결되되 소정의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특정 메인컴퓨터(21, 22, ... 또는 n)의 입출력을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분배기(50)는 컴퓨터선택제어기(30)에 접속되어 입출력채널(Ch1, Ch2)을 복수의 통신라인으로 분배하되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입출력채널(Ch1, Ch2) 중 단일 입출력채널(Ch1 또는 Ch2)만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현장입출력수단(60)은 분배기(50)의 제 1 입출력채널(Ch1)과 연결되어 소정의 선택신호에 따라 메인컴퓨터(20)로부터 특정 장비(11, 12, ... 또는 m)의 감시 영상을 분배기(50)를 통해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거나 특정 메인컴퓨터(21, 22, ... 또는 n)의 작동을 현장에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원격입출력수단(70)은 분배기(50)의 제 2 입출력채널(Ch2)과 소정의 연장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소정의 선택신호에 따라 메인컴퓨터로부터 특정 장비(11, 12, ... 또는 m)의 감시 영상을 분배기(50)를 통해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거나 특정 메인컴퓨터(21, 22, ... 또는 n)의 작동을 원격지에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현장입출력수단(60)은 장비들(10)이 설치된 현장에서 분배기(50)의 제 1 입출력채널(Ch1)과 연결되어 있는데, 현장입출력수단(60)은 분배기(50)에 접속되어 소정의 선택신호에 따라 특정 장비(11, 12, ... 또는 m)의 감시 영상을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61)와, 특정 메인컴퓨터(20)의 작동을 제어하는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입력수단(65)으로 구성되어 있고, 원격입출력수단(60)은 원격지에서 소정의 연장케이블을 통해 분배기(50)의 제 2 입출력채널(Ch2)과 연결되어 있는데, 원격입출력수단(60)은 분배기에 접속되어 소정의 선택신호에 따라 특정 장비의 감시 영상을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71)와, 특정 메인컴퓨터(20)의 작동을 제어하는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입력수단(75)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현장 및 원격입출력수단(60, 70)은, 모니터와 키보드 뿐만 아니라 입출력이 동시에 가능한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분배기(50)는 입출력채널(Ch1, Ch2)을 현장입출력수단(60) 또는 원격입출력수단(70)으로 절환하기 위한 인터록수단(51)을 내부 출력단에 더 구비하고 있는 데, 상기 인터록수단(51)을 제어하는 스위치(55)는 분배기(50)의 외면에 직접 설치되거나 또는/및 상기 인터록수단(51)은 현장입출력수단(60) 또는 원격입출력수단(70)의 모니터(61, 71) 상에서 소프트웨어로 입출력채널(Ch1, Ch2)을 절환하는 소프트웨어 스위치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수동스위치(55)는 소정의 연장케이블을 통해 분배기(50)에 연결되어 원격으로 입출력채널(Ch1, Ch2)의 절환이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컴퓨터(20)와 컴퓨터선택제어기(30), 분배기(50) 및 현장입출력수단(60)은 제조장비(10)가 설치된 현장에 설치되어 있고, 원격입출력수단(70)은 제조라인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메인컴퓨터(20)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로봇, 액추에이터 등과 같은 해당 제조장비(10)로부터 작동관련 데이터를 제공받아 수집하거나 해당 제조장비(1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제조장비의 현장관리자는 분배기(50)에 접속된 현장 모니터(61)를 통해 특정 제조장비(11, 12, ... 또는 m)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해당 메인컴퓨터(21, 22, ... 또는 n)와 컴퓨터선택제어기(30) 및 분배기(50)를 통해 전달받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데, 이때 분배기(50)에 접속된 키보드와 같은 입력수단(65)을 통해 감시하고자 하는 제조장비(11, 12, ... 또는 m) 및 메인컴퓨터(21, 22, ... 또는 n)를 선택할 수 있다.
즉, 현장관리자는 입력수단(65)을 통해 감시하고자 하는 감시대상 제조장비(10)와 관련된 특정 메인컴퓨터(21, 22, ... 또는 n)를 선택하면, 상기 메인컴퓨터(20)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현장 모니터(61)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물론, 제조라인의 외부인 원격지에서도 입력수단(75)을 통해 감시하고자 하는 감시대상 제조장비(10)와 관련된 특정 메인컴퓨터(21, 22, ... 또는 n)를 선택하면, 상기 메인컴퓨터(20)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원격 모니터(71)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제조장비(10)의 작동상태를 감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분배기(50)는 복수의 입출력채널(Ch1, Ch2)이 형성되어 있지만, 출력단에 인터록수단(51)이 내장되어 있어 동시에 복수의 입출력수단(60, 70)과 통신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한번에 하나의 입출력수단(60 또는 70)과 입출력채널(Ch1 또는 Ch2)이 연결되게 된다.
상기 인터록수단(51)은 분배기(50)의 외면에 입출력채널(Ch1, Ch2)을 수동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수동스위치(55)를 직접 설치할 수도 있지만,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소정의 연장케이블을 통해 수동스위치(55)를 외부로 연장하여 인터록수단(51)을 제어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인터록수단(51)은 현장입출력수단(60)과 원격입출력수단(70)에서 모니터의 각 화면상의 소프트웨어를 통해 절환하는 프로그램 방식으로도 구현할 수 있는 데, 프로그램 방식은 분배기(50)와 현장입출력수단(60)의 입출력채널(Ch1)이 연결된 상태이면 원격입출력수단(70)에서 제 1 입출력채널(Ch1)을 임의로 절환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단지 현장입출력수단(60)에서 분배기(50)와의 입출력채널(Ch1)을 원격입출력수단(70)으로 변경해 주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분배기(50)와 현장입출력수단(60)의 입출력채널(Ch1)이 연결된 상태이면 원격입출력수단(70)에서 제 2 입출력채널(Ch2)로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분배기(50)의 수동스위치(55)를 직접 조작하여 제 2 입출력채널(Ch2)로 변경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원격입출력수단(70)에서도 제조장비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71)를 통해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원격지의 키보드(75)를 통해 제조장비를 원격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분배기(50)에 인터록수단(51)을 설치하는 이유는 복수의 제어단에서 제조장비를 동시에 제어할 경우 오작동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조장비의 작동을 감시하는 시스템에서 제조라인 뿐만 아니라 원격지에서도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함과 아울러 인터록수단을 이용하여 감시 및 제어 채널의 통제가 가능하여 제어의 혼선과 작동에러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감시 시스템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제조장비 감시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조장비의 분산 감시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조장비 20: 메인컴퓨터
30: 컴퓨터선택제어기 50: 분배기
51: 인터록수단 55: 수동스위치
60: 현장입출력수단 70: 원격입출력수단
61,71: 모니터 65,75: 입력수단(키보드)

Claims (5)

  1. 반도체, 디스플레이, 로봇, 액추에이터 등과 같은 제조장비를 제어함과 아울러 감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조라인의 장비들과 직접 연결되어 제조장비들을 제어 및 감시하는 복수의 메인컴퓨터;
    상기 복수의 메인컴퓨터와 연결되되 소정의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특정 메인컴퓨터의 입출력을 선택 제어하는 컴퓨터선택제어기;
    상기 컴퓨터선택제어기에 접속되어 통신라인을 복수의 입출력채널로 분배하되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입출력채널 중 단일 입출력채널만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분배기;
    상기 분배기의 제 1 입출력채널과 연결되어 소정의 선택신호에 따라 메인컴퓨터로부터 특정 장비의 감시 영상을 분배기를 통해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거나 메인컴퓨터의 작동을 현장에서 제어하는 현장입출력수단; 및
    상기 분배기의 제 2 입출력채널과 연결되어 소정의 선택신호에 따라 메인컴퓨터로부터 특정 장비의 감시 영상을 분배기를 통해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거나 메인컴퓨터의 작동을 원격 제어하는 원격입출력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장비의 분산 감시 제어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입출력채널을 현장입출력수단 또는 원격입출력수단으로 절환하기 위한 인터록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장비의 분산 감시 제어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수동스위치를 분배기의 외면에 직접 설치하거나 또는 소정의 연장케이블을 통해 분배기에 연결하여 원격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장비의 분산 감시 제어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수단은 현장입출력수단 또는 원격입출력수단에서 소프트웨어로 입출력채널을 절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장비의 분산 감시 제어시스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현장입출력수단 또는 원격입출력수단은,
    상기 분배기에 접속되어 소정의 선택신호에 따라 특정 장비의 감시 영상을 분배기를 통해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 및 상기 분배기에 접속되어 메인컴퓨터들의 작동과 입출력제어를 명령하는 입력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장비의 분산 감시 제어시스템.
KR1020050075887A 2005-08-18 2005-08-18 제조장비의 분산 감시 제어시스템 KR100733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887A KR100733553B1 (ko) 2005-08-18 2005-08-18 제조장비의 분산 감시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887A KR100733553B1 (ko) 2005-08-18 2005-08-18 제조장비의 분산 감시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142A true KR20050089142A (ko) 2005-09-07
KR100733553B1 KR100733553B1 (ko) 2007-06-28

Family

ID=37271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887A KR100733553B1 (ko) 2005-08-18 2005-08-18 제조장비의 분산 감시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5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383B1 (ko) * 2006-07-26 2007-11-29 이규옥 반도체공정장비 원격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197644A (zh) * 2013-04-02 2013-07-10 西南交通大学 一种隧道施工及营运期一体化监控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0185A (en) 1993-07-23 1996-02-06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System for automatic refueling of a nuclear reactor
KR20040049636A (ko) * 2002-12-06 200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컨베이어 속도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383B1 (ko) * 2006-07-26 2007-11-29 이규옥 반도체공정장비 원격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197644A (zh) * 2013-04-02 2013-07-10 西南交通大学 一种隧道施工及营运期一体化监控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3553B1 (ko) 200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5572B2 (en) Flexible connection of teaching devices to programmable controllers
JP4642881B2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731300B2 (ja) 電気所における遠隔監視制御装置取替時の監視制御方法及びその監視制御システム
KR100733553B1 (ko) 제조장비의 분산 감시 제어시스템
JPH0795872B2 (ja) オペレーション装置
AU2007283591B2 (en) Rock dri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ock drilling apparatus
EP3144759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KR20050108853A (ko)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장치
JP3888334B2 (ja) プラント状態監視方法及びプラント監視装置
KR20160096398A (ko) 티칭 펜던트를 이용한 이종 로봇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07162267A (ja) 電動開閉装置の制御システム
JP2000047962A (ja) 遠隔制御装置
JP5972477B1 (ja) 制御盤および制御盤の更新方法
KR102525847B1 (ko) 제어 시스템, 제어 방법 및 기판 처리 장치
JP3473017B2 (ja) プラントの統合監視システム
KR101021981B1 (ko) 반도체 제조 설비의 알람 처리 장치 및 알람 설정 방법
KR101197480B1 (ko) 액정표시장비의 원격제어시스템 및 원격제어방법
JPH0823585A (ja) 現場監視操作盤システム
KR100450129B1 (ko) 반도체설비 시스템
JPH0629975A (ja) 通信網集中監視システム
KR20020091661A (ko) 반도체 소자 제조용 가스 공급 시스템 및 가스 공급 방법
JPH0697479B2 (ja) プラント監視装置
JPH06253370A (ja) 遠隔制御装置
JPH06339184A (ja) プラント監視装置
JPH08307972A (ja) 遠隔制御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