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8802A - 버튼 조작없이 번호입력이 가능한 휴대폰 및 상기휴대폰의 번호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버튼 조작없이 번호입력이 가능한 휴대폰 및 상기휴대폰의 번호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8802A
KR20050088802A KR1020040014314A KR20040014314A KR20050088802A KR 20050088802 A KR20050088802 A KR 20050088802A KR 1020040014314 A KR1020040014314 A KR 1020040014314A KR 20040014314 A KR20040014314 A KR 20040014314A KR 20050088802 A KR20050088802 A KR 20050088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tilt
input
mobile phon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1834B1 (ko
Inventor
채경수
함건
박호준
최상현
심원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4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834B1/ko
Priority to US10/899,037 priority patent/US20050197145A1/en
Priority to CNB2004100586936A priority patent/CN100452801C/zh
Publication of KR20050088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8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패드의 버튼 조작없이 간단하게 휴대폰을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것에 의하여 번호 입력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 버튼 조작없이 번호입력이 가능한 휴대폰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본 발명의 휴대폰은 휴대폰 본체의 진동 및 기울임 여부와, 상기 진동 발생방향 및 기울어진 방향을 상하좌우로 감지하는 진동/기울임 감지수단; 상기 진동/기울임 감지수단의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인식가능하도록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수단; 휴대폰의 외측에 조작이 용이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온/오프신호를 발생시키는 보조 입력 수단; 및 상기 보조 입력 수단의 온시에, 상기 진동/기울임 감지 수단에 의해 감지된 진동/기울임 방향 및 횟수를 카운팅하고,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서 상기 진동/기울임 방향 및 횟수를 번호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된 번호로 통화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버튼조작없이 휴대폰 본체를 흔드는 동작에 의하여 번호입력이 가능케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버튼 조작없이 번호입력이 가능한 휴대폰 및 상기 휴대폰의 번호 입력 방법{Celluler phone capable to input number without handling button and number input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키패드의 버튼 조작없이 간단하게 휴대폰을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것에 의하여 번호 입력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 버튼 조작없이 번호입력이 가능한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무선 통신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하면서, 휴대폰이 대중화되었으면, 대부분의 현대인들이 소지하는 필수품화가 되었으며, 사용자들의 소형화 및 경량화 요구에 따라서, 제1세대로 일반 무선전화기와 같은 형태인 스틱형 휴대폰이 있었으며, 이어서 제2세대로 형태로 키패드를 보호할 수 있는 열고받을 수 있는 커버를 더 부착한 플립형 휴대폰이 일반화되고, 최근 들어서는 폴더부분에 스피커장치나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소형화가 가능한 폴더형(folder-type) 휴대폰이 사용되고 있다.
도 1a 및 도 1b는 휴대폰의 일예로서, 플립형 휴대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a는 플립(126)이 닫혀진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1b는 플립(126)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0)은 본체의 상단부에 음성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SPK)와 액정 디스플레이(116)가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휴대폰(100) 본체에 힌지부로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본체로부터 개폐되는 플립(126)과,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MIC)가 형성된다.
상기 플립(126)에 의해 커버되는 휴대폰(100)의 본체부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0~9의 숫자키와, 통화, 종류, 메뉴, 선택등의 특수기능이 설정된 다수의 기능키로 이루어진 키입력부(118)가 형성되어, 번호를 입력할 경우에는 도 1b와 같이 플립(126)을 연 상태에서 노출된 키입력부(118)의 키를 조작하고, 대기상태에서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126)을 닫아, 키입력부(118)를 보호하여 오조작을 방지하게 된다.
폴더형 휴대폰의 경우, 플립(126) 대신에 본체에 힌지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본체와 결합되는 폴더에 액정디스플레이와 스피커등이 형성되고, 본체상에는 상기 키입력부와 마이크등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사용시에는 폴더를 연상태에서 본체의 키입력부를 조작하여 사용하고, 대기시에는 폴더를 닫아두면 된다.
플립형, 폴더형등에 관계없이 휴대폰의 내부 전기적인 구성은 도 2와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듀플렉서(101)는 안테나(ANT)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를 무선수신부(102)로 출력하고, 무선송신부(108)로부터 출력된 송신신호를 상기 안테나(ANT)를 통해 송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무선수신부(102)는 데이터수신시 이를 제어부(112)로 출력하고, 음성신호는 음성처리부(104)로 출력한다. 그리고, 무선송신부(108)는 통화모드시 제어부(112)의 제어에 의해 음성처리부(104)로부터 인가된 송신신호를 설정된 채널을 통해 듀플렉서(101)로 출력한다. 상기의 음성처리부(104)는 상기 무선수신부(102)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를 복호화하여 스피커폰부(107)를 통해 스피커(SPK)로 출력하고, 마이크(MIC)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된 사용자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폰부(107)를 통해 입력받아 부호화하여 무선송신부(108)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신호레벨검출부(122)는 발신측에서 수신되는 음성신호의 세기 및 착신측 가입자의 음성신호 세기를 검출하여 제어부(112)에 알리며, 링신호발생부(116)는 제어부(112)의 제어에 의해 링신호 수신시 링거음을 발생시킨다. 이어서, 메모리부(110)는 제어부(112)의 제어동작에 필요한 제어데이터가 저장되는 롬(ROM)과,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저장/삭제되는 각종 전화번호 및 스케쥴등의 데이타가 저장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프로그램 제어시 발생되는 데이타를 임시저장하는 램(RAM)등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의하여, 사용자가 전화를 거는 경우에는, 키입력부(118)를 통해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출신호를 제어부(112)의 제어에 의하여 송출되며, 이에 상대방에서 전화를 받은 경우, 상기 듀플렉서(101), 무선송수신부(102,108), 음성처리부(104), 스피커폰부(107)를 통하여 음성 통화가 이루어진다. 반대로, 전화가 오는 경우, 호출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12)의 제어에 의하여 링신호발생부(116)를 통해 링신호가 발생되고, 이에 사용자가 키입력부(118)를 조작하여, 통화버튼을 누르면, 마찬가지로 상기 듀플렉서(101), 무선송수신부(102,108), 음성처리부(104), 스피커폰부(107)를 통하여 음성 통화가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폰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키입력부(118)의 각 버튼을 눌러, 원하는 전화번호를 누르거나, 원하는 기능키를 눌러야 한다. 더구나, 최근 들어, 휴대폰이 점점 소형화되면, 키입력부(118)의 버튼 또한 점점 작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렇기 때문에, 보통사람보다 손이 큰 사람이나, 손이 불편한 사람, 또는 장갑을 끼고 있는 상태인 경우, 휴대폰의 키입력부(118)를 조작하여 번호를 입력하는데는 상당한 어려움 및 불편함이 수반된다.
물론, 보통 10자리 이상되는 전화번호 입력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3자리 이하의 단축번호에 해당 전화번호를 등록시킨 후, 단축번호를 누르면 등록된 번호로 전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축다이얼 기능이 추가되고 있지만, 이러한 단축다이얼도 눌러야되는 횟수만 줄어들 뿐, 키입력부(118)의 버튼을 조작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은 그대로 남는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통보다 손이 큰 사람이나, 손가락에 장애가 있는 사람, 스키장등에서와 같이 장갑을 착용하고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오입력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키패드의 버튼 조작없이 간단하게 휴대폰을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것에 의하여 번호 입력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 버튼 조작없이 번호입력이 가능한 휴대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버튼 조작없이 번호입력이 가능한 휴대폰은,
휴대폰 본체의 진동 및 기울임 여부와, 상기 진동 발생방향 및 기울어진 방향을 상하좌우로 감지하는 진동/기울임 감지수단;
상기 진동/기울임 감지수단의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인식가능하도록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수단;
휴대폰의 외측에 조작이 용이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온/오프신호를 발생시키는 보조 입력 수단; 및
상기 보조 입력 수단의 온시에, 상기 진동/기울임 감지 수단에 의해 감지된 진동/기울임 방향 및 횟수를 카운팅하고,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서 상기 진동/기울임 방향 및 횟수를 번호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된 번호로 통화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보조 입력수단이 온상태에서, 소정 시간내에 카운팅된 진동/기울임 감지 횟수를 입력번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진동/기울임 방향별로 각각 다른 배수를 설정하고, 각 방향별 진동/기울임 감지 횟수를 해당 방향의 설정 배수만큼 곱하여 카운팅하고, 상기 보조 입력수단이 온상태에서, 소정 시간내에 산출된 카운팅값을 입력번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구성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본체의 진동/기울어짐을 감지하는 진동/기울임 감지수단과 본체 외부에 온/오프입력이 가능한 보조입력수단을 구비하는 휴대폰의 번호 입력 방법은,
상기 보조입력수단의 온/오프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 결과 보조입력수단이 온되면, 진동/기울임 감지수단에서 휴대폰 본체의 진동/기울임이 감지되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결과 본체의 진동/기울임이 감지되면, 진동/기울임이 발생된 방향과 횟수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제1설정시간내에 진동/기울임 수단의 감지신호가 있는지를 체크하여, 제1설정시간내에 다시 진동/기울임이 감지되면 상기 방향 및 횟수 검출 저장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상기 제1설정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진동/기울임 수단의 감지신호가 없으면, 저장된 진동/기울임 방향 및 횟수로부터 입력번호를 계산하는 단계; 및
진동입력용 보조키의 오프여부를 체크하여, 오프되지 않으면 입력번호의 단위를 변경하여 상기 처리를 반복하고, 진동입력용 보조키가 오프되면, 계산된 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의 번호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번호를 계산하는 단계는, 진동/기울임의 감지 방향을 상하좌우로 구분하고, 각 방향별로 배수 a,b,c,d(여기서, a,b,c,d는 1이상의 자연수이고, a≠b≠c≠d이다)를 설정하고, 상하좌우의 감지방향별로 감지된 진동/기울임 횟수를 w,x,y,z라고 할때,
입력번호 N은 N=aw + bx + cy + dz 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 및 해당 휴대폰의 번호 입력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버튼 조작없이 번호 입력이 가능한 휴대폰의 기능 블럭구성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은 앞서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능하는 듀플렉서(101)와, 무선수신부(102)와, 무선송신부(108)와, 신호레벨검출부(122)와, 음성처리부(104)와, 스피커폰부(107)와, 메모리부(110)와, 링신호발생부(114)와, 표시부(116)와, 키입력부(118)에 더하여, 휴대폰 본체의 외부에 조작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온/오프신호를 발생시키는 보조키입력부(210)와, 휴대폰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본체가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 진동하거나 기울어지는지를 감지하는 진동/기울임 감지부(220)와, 상기 진동/기울임 감지부(220)의 출력신호를 제어부(240)에서 인식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230)와, 음성통화를 위한 상기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상기 보조키입력부(210)의 온/오프여부를 체크하여, 보조키입력부(210)로부터 온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하여 진동/기울임 감지부(220)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진동/기울임 감지방향 및 횟수를 검출하고 그로부터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서 입력번호를 계산하여 계산된 입력번호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각 구성수단의 기능을 살펴보면, 듀플렉서(101)는 안테나(ANT)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를 무선수신부(102)로 출력하고, 무선송신부(108)로부터 출력된 송신신호를 상기 안테나(ANT)를 통해 송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무선수신부(102)는 데이터수신시 이를 제어부(112)로 출력하고, 음성신호는 음성처리부(104)로 출력한다. 그리고, 무선송신부(108)는 통화모드시 제어부(112)의 제어에 의해 음성처리부(104)로부터 인가된 송신신호를 설정된 채널을 통해 듀플렉서(101)로 출력한다. 상기의 음성처리부(104)는 상기 무선수신부(102)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를 복호화하여 스피커폰부(107)를 통해 스피커(SPK)로 출력하고, 마이크(MIC)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된 사용자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폰부(107)를 통해 입력받아 부호화하여 무선송신부(108)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신호레벨검출부(122)는 발신측에서 수신되는 음성신호의 세기 및 착신측 가입자의 음성신호 세기를 검출하여 제어부(112)에 알리며, 링신호발생부(116)는 제어부(112)의 제어에 의해 링신호 수신시 링거음을 발생시킨다. 이어서, 메모리부(110)는 제어부(112)의 제어동작에 필요한 제어데이터가 저장되는 롬(ROM)과,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저장/삭제되는 각종 전화번호 및 스케쥴등의 데이타가 저장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프로그램 제어시 발생되는 데이타를 임시저장하는 램(RAM)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키입력부(118)를 통해 통화하고자 하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도 1a,b에 도시된 플립형 휴대폰은 플립(126)을 연상태에서 키입력부(118)의 키를 조작하고, 폴더형 휴대폰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폴더를 오픈한 상태에서 나타나는 키입력부를 조작하여야 한다.
본원 발명에 의한 휴대폰은 이러한 입력방식과 더불어, 키입력부(118)를 조작하지 않고도 번호입력이 가능하다.
즉, 상기 보조키입력부(210)를 온 시킨 상태에서, 휴대폰 본체를 상하, 좌우로 기울어거나 흔들면, 상기 진동/기울임 감지부(220)에서 이를 감지하여, 진동/기울임이 감지될 때마다 소정의 감지신호(예를 들어, 5V의 전압)를 출력하고, 인터페이스부(230)는 상기 진동/기울임 감지부(22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제어부(240)에서 인식가능한 형태(예를 들어,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40)에 인가한다. 그러면, 제어부(240)는 상기 보조키입력부(210)가 온상태인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부(23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진동/기울임 감지방향 및 횟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방향 및 횟수로부터 소정의 규칙에 따라 입력번호를 계산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키입력부(210)가 오프될 때, 계산된 번호로 통화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본원 발명에 의한 휴대폰에서의 번호 입력 방법은 도 4의 플로우챠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 4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40)는 진동입력용 보조키인 보조키입력부(210)가 온상태인지 오프상태인지를 체크한다(S401). 상기 보조키 입력부(210)는 예를 들어, 휴대폰 본체 외부에 장착되는 푸쉬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보조키 입력부(210)를 누르면 온상태가 된다.
상기에서 보조키입력부(210)가 온상태이면, 진동/기울임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S402). 이는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진동/기울임 감지부(220)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로서 판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진동/기울임 감지부(220)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입력신호로부터 진동/기울임이 감지된 방향 및 횟수를 검출한다(S403). 상기, 진동/기울임 감지부(220)는 지자기 센서 또는 가속도센서로 구현할 수 있으며, 휴대폰 본체가 상하좌우로 소정 각도이상 움직일 경우, 이를 감지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의 휴대폰에서는 단지 진동/기울임 감지방향 및 진동/기울임 횟수만이 필요하므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소정 각도 범위, 예를 들어, 45도이상 90도 이하 범위로 진동/기울임이 발생될때, 각 방향별로 감지신호(예를 들어, 5V 전압)이 출력하는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40)는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입력된 감지신호로부터 진동/기울임이 감지된 방향을 얻을 수 있고, 상기 보조키입력부(210)가 온상태인 동아, 해당 방향에 대한 진동/기울임 감지횟수를 카운팅하여 저장한다(S404).
여기서, 숫자단위의 변경을 위하여, 제1설정시간(예를 들어, 3초)을 설정하고, 상기 제1설정시간동안 진동/기울임 감지신호가 전혀 입력되지 않으면, 현재 저장된 감지방향 및 횟수로부터 기설정된 소정 규칙에 따라 입력번호를 산출한다(S406).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진동/기울임 감지횟수의 카운팅값을 그대로 입력번호로 세팅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숫자 0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휴대폰 본체를 10회 흔들거나 움직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입력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상하좌우방향별로 각각 소정의 배수 a,b,c,d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상부방향은 1, 하부방향은 2, 좌측방향은 3, 우측방향은 4를 설정하고, 해당 방향으로 진동/기울임이 감지될때마다 상기 설정된 배수를 곱하여 누적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좌측방향으로 2번 휴대폰을 흔들면, 상기 제어부(240)는 3에 설정된 뱃수 3을 곱하여, 6을 계산한다. 즉, 사용자는 좌측방향으로 2번만 흔들어 6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로 1번, 좌측으로 2번 흔들면, 1*1 + 2*3 = 7이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설정시간이내의 간격으로 감지된 진동/기울임 감지 방향 및 횟수로부터 번호를 계산하여, 저장한다(S407).
이상의 단계(S402~S407)은 보조키 입력부(210)가 온상태인 동안 계속 반복되어, 두 자리 이상의 번호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보조키입력부(210)가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변경될때, 지금까지 산출된 번호로 통화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S409).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화를 거는 동작은 기존과 마찬가지로 이루어진다. 이때, 이러한 번호 입력 방법을 단축 다이얼기능과 결합하여, 입력된 단축다이얼 번호에 등록된 전화번호로 전화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도 있다. 이 경우, 보다 빠른 다이얼링을 가능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휴대폰은 사용자가 작은 키패드를 복잡하게 온/오프시키지 않고, 플립이나 폴더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에 부착된 보조버튼을 온한 상태에서 휴대폰을 상하좌우로 흔들기만 하면, 휴대폰에서 번호를 인식하여 자동 통화연결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더 증대할 수 있으며, 또한, 장애인이나 장갑등의 착용이 불편한 상태에서도 쉽게 다이얼링을 할 수 있게 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플립형 휴대폰의 외형도이다.
도 2는 종래 휴대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의 번호 입력 절차를 보인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보조키 입력부
220 : 진동/기울임 감지부
230 : 인터페이스부
240 : 제어부

Claims (5)

  1. 휴대폰 본체의 진동 및 기울임 여부와, 상기 진동 발생방향 및 기울어진 방향을 상하좌우로 감지하는 진동/기울임 감지수단;
    상기 진동/기울임 감지수단의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인식가능하도록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수단;
    휴대폰의 외측에 조작이 용이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온/오프신호를 발생시키는 보조 입력 수단; 및
    상기 보조 입력 수단의 온시에, 상기 진동/기울임 감지 수단에 의해 감지된 진동/기울임 방향 및 횟수를 카운팅하고,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서 상기 진동/기울임 방향 및 횟수를 번호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된 번호로 통화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조작없이 번호입력이 가능한 휴대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보조 입력수단이 온상태에서, 소정 시간내에 카운팅된 진동/기울임 감지 횟수를 입력번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조작없이 번호입력이 가능한 휴대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진동/기울임 방향별로 각각 다른 배수를 설정하고,
    각 방향별 진동/기울임 감지 횟수를 해당 방향의 설정 배수만큼 곱하여 카운팅하고, 상기 보조 입력수단이 온상태에서, 소정 시간내에 산출된 카운팅값을 입력번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조작없이 번호입력이 가능한 휴대폰.
  4. 본체의 진동/기울어짐을 감지하는 진동/기울임 감지수단과 본체 외부에 온/오프입력이 가능한 보조입력수단을 구비하는 휴대폰의 번호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조입력수단의 온/오프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 결과 보조입력수단이 온되면, 진동/기울임 감지수단에서 휴대폰 본체의 진동/기울임이 감지되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결과 본체의 진동/기울임이 감지되면, 진동/기울임이 발생된 방향과 횟수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제1설정시간내에 진동/기울임 수단의 감지신호가 있는지를 체크하여, 제1설정시간내에 다시 진동/기울임이 감지되면 상기 방향 및 횟수 검출 저장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상기 제1설정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진동/기울임 수단의 감지신호가 없으면, 저장된 진동/기울임 방향 및 횟수로부터 입력번호를 계산하는 단계; 및
    진동입력용 보조키의 오프여부를 체크하여, 오프되지 않으면 입력번호의 단위를 변경하여 상기 처리를 반복하고, 진동입력용 보조키가 오프되면, 계산된 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번호 입력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번호를 계산하는 단계는
    진동/기울임의 감지 방향을 상하좌우로 구분하고, 각 방향별로 배수 a,b,c,d(여기서, a,b,c,d는 1이상의 자연수이고, a≠b≠c≠d이다)를 설정하고,
    상하좌우의 감지방향별로 감지된 진동/기울임 횟수를 w,x,y,z라고 할때,
    입력번호 N은 N=aw + bx + cy + dz 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번호 입력방법.
KR1020040014314A 2004-03-03 2004-03-03 버튼 조작없이 번호입력이 가능한 휴대폰 및 상기 휴대폰의 번호 입력 방법 KR100631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314A KR100631834B1 (ko) 2004-03-03 2004-03-03 버튼 조작없이 번호입력이 가능한 휴대폰 및 상기 휴대폰의 번호 입력 방법
US10/899,037 US20050197145A1 (en) 2004-03-03 2004-07-27 Mobile phone capable of input of phone number without manipulating buttons and method of inputting phone number to the same
CNB2004100586936A CN100452801C (zh) 2004-03-03 2004-07-28 能不操作按钮输入电话号码的移动电话和向其输入电话号码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314A KR100631834B1 (ko) 2004-03-03 2004-03-03 버튼 조작없이 번호입력이 가능한 휴대폰 및 상기 휴대폰의 번호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802A true KR20050088802A (ko) 2005-09-07
KR100631834B1 KR100631834B1 (ko) 2006-10-09

Family

ID=34910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314A KR100631834B1 (ko) 2004-03-03 2004-03-03 버튼 조작없이 번호입력이 가능한 휴대폰 및 상기 휴대폰의 번호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50197145A1 (ko)
KR (1) KR100631834B1 (ko)
CN (1) CN100452801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458B1 (ko) * 2005-09-07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흔들림 작동 스위치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그통신 수행 방법
KR100980580B1 (ko) * 2008-05-28 2010-09-0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센서를 이용한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1108771B1 (ko) * 2009-08-31 2012-02-2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9552A1 (en) * 2003-10-31 2008-06-05 Iota Wireless Llc Concurrent data entry for a portable device
JP2007510234A (ja) * 2003-10-31 2007-04-19 イオタ・ワイアレス・エルエルシー 携帯デバイス用同時データ入力
US20060052109A1 (en) * 2004-09-07 2006-03-09 Ashman William C Jr Motion-based user input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70044334A1 (en) * 2005-08-24 2007-03-01 Motorola, Inc. Wireless device with integrated level
EP1806643B1 (en) 2006-01-06 2014-10-08 Drnc Holdings, Inc. Method for entering commands and/or characters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 tilt sensor
US8510109B2 (en) 2007-08-22 2013-08-13 Canyon Ip Holdings Llc Continuous speech transcription performance indication
US20090124272A1 (en) 2006-04-05 2009-05-14 Marc White Filtering transcriptions of utterances
US9436951B1 (en) 2007-08-22 2016-09-06 Amazon Technologies, Inc. Facilitating presentation by mobile device of additional content for a word or phrase upon utterance thereof
US8117268B2 (en) 2006-04-05 2012-02-14 Jablokov Victor R Hosted voice recognition system for wireless devices
JP2008067227A (ja) * 2006-09-08 2008-03-21 Toshiba Corp 携帯端末装置
US20080183313A1 (en) * 2007-01-29 2008-07-31 Johan Lundquist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steering a mobile terminal
US9973450B2 (en) 2007-09-17 2018-05-15 Amaz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ally updating web service profile information by parsing transcribed message strings
US8352261B2 (en) * 2008-03-07 2013-01-08 Canyon IP Holdings, LLC Use of intermediate speech transcription results in editing final speech transcription results
US20090076917A1 (en) * 2007-08-22 2009-03-19 Victor Roditis Jablokov Facilitating presentation of ads relating to words of a message
US8326636B2 (en) * 2008-01-16 2012-12-04 Canyon Ip Holdings Llc Using a physical phenomenon detector to control operation of a speech recognition engine
US8352264B2 (en) 2008-03-19 2013-01-08 Canyon IP Holdings, LLC Corrective feedback loop for automated speech recognition
US8611871B2 (en) 2007-12-25 2013-12-17 Canyon Ip Holdings Llc Validation of mobile advertising from derived information
US9053489B2 (en) 2007-08-22 2015-06-09 Canyon Ip Holdings Llc Facilitating presentation of ads relating to words of a message
US8140632B1 (en) 2007-08-22 2012-03-20 Victor Roditis Jablokov Facilitating presentation by mobile device of additional content for a word or phrase upon utterance thereof
US8676577B2 (en) 2008-03-31 2014-03-18 Canyon IP Holdings, LLC Use of metadata to post process speech recognition output
US8301454B2 (en) 2008-08-22 2012-10-30 Canyon Ip Holdings Llc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providing timely user cues pertaining to speech recognition
US9482755B2 (en) 2008-11-17 2016-11-01 Faro Technologies, Inc. Measurement system having air temperature compensation between a target and a laser tracker
US8886541B2 (en) * 2010-02-04 2014-11-11 Sony Corporation Remote controller with position actuatated voice transmission
US9400170B2 (en) 2010-04-21 2016-07-26 Faro Technologies, Inc. Automatic measurement of dimensional data within an acceptance region by a laser tracker
US8422034B2 (en) 2010-04-21 2013-04-16 Faro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gestures to control a laser tracker
US8619265B2 (en) 2011-03-14 2013-12-31 Faro Technologies, Inc. Automatic measurement of dimensional data with a laser tracker
US9377885B2 (en) 2010-04-21 2016-06-28 Faro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ocking onto a retroreflector with a laser tracker
US9772394B2 (en) 2010-04-21 2017-09-26 Faro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llowing an operator and locking onto a retroreflector with a laser tracker
US8537371B2 (en) 2010-04-21 2013-09-17 Faro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gestures to control a laser tracker
US8724119B2 (en) 2010-04-21 2014-05-13 Faro Technologies, Inc. Method for using a handheld appliance to select, lock onto, and track a retroreflector with a laser tracker
DE112012001082B4 (de) 2011-03-03 2015-12-03 Faro Technologies Inc. Verfahren zum Messen von Zielen
US9482529B2 (en) 2011-04-15 2016-11-01 Faro Technologies, Inc. Three-dimensional coordinate scanner and method of operation
GB2504890A (en) 2011-04-15 2014-02-12 Faro Tech Inc Enhanced position detector in laser tracker
US9164173B2 (en) 2011-04-15 2015-10-20 Faro Technologies, Inc. Laser tracker that uses a fiber-optic coupler and an achromatic launch to align and collimate two wavelengths of light
CN102739849A (zh) * 2011-04-15 2012-10-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终端中的功能调用方法及装置
US9686532B2 (en) 2011-04-15 2017-06-20 Faro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of acquiring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using multiple coordinate measurement devices
US9638507B2 (en) 2012-01-27 2017-05-02 Faro Technologies, Inc. Measurement machine utilizing a barcode to identify an inspection plan for an object
US9041914B2 (en) 2013-03-15 2015-05-26 Faro Technologies, Inc. Three-dimensional coordinate scanner and method of operation
US9395174B2 (en) 2014-06-27 2016-07-19 Faro Technologies, Inc. Determining retroreflector orientation by optimizing spatial fit
CN104639747B (zh) * 2015-01-30 2018-05-25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拨号方法
CN104618597B (zh) * 2015-01-30 2018-04-17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
CN105245689B (zh) * 2015-08-26 2018-12-1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拨号方法及智能手表
JP2018037819A (ja) * 2016-08-31 2018-03-08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528951D0 (en) * 1985-11-25 1986-01-02 British Telecomm Signalling detection
SE9801379L (sv) * 1998-04-21 1999-10-22 Ericsson Telefon Ab L M Inmatningsenhet och metod för att mata in data i en elektronisk apparat
US6573883B1 (en) * 1998-06-24 2003-06-03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omputing device with gestures
JP2000078262A (ja) * 1998-08-31 2000-03-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携帯電話端末
AU9060498A (en) * 1998-09-09 2000-03-27 Qi Hao Keyboard and thereof input method
US6549792B1 (en) * 1999-06-25 2003-04-15 Agere Systems Inc. Accelerometer influenced communication device
US6375572B1 (en) * 1999-10-04 2002-04-23 Nintendo Co., Ltd. Portable game apparatus with acceleration sensor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storing a game progam
US6567101B1 (en) * 1999-10-13 2003-05-20 Gateway, Inc. System and method utilizing motion input for manipulating a display of data
US6466198B1 (en) * 1999-11-05 2002-10-15 Innoventions, Inc. View navigation and magnification of a hand-held device with a display
WO2001055829A1 (en) * 2000-01-26 2001-08-02 D'agostini Organizzazione S.R.L. Character input device based on a two-dimensional movement sensor
JP2002169645A (ja) 2000-12-01 2002-06-14 Toshiba Corp 移動通信端末
US7002553B2 (en) * 2001-12-27 2006-02-21 Mark Shkolnikov Active keyboard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7138979B2 (en) * 2004-08-27 2006-11-21 Motorola, Inc. Device orientation based input signal gener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458B1 (ko) * 2005-09-07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흔들림 작동 스위치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그통신 수행 방법
KR100980580B1 (ko) * 2008-05-28 2010-09-0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센서를 이용한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1108771B1 (ko) * 2009-08-31 2012-02-2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1834B1 (ko) 2006-10-09
CN1665242A (zh) 2005-09-07
CN100452801C (zh) 2009-01-14
US20050197145A1 (en) 2005-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1834B1 (ko) 버튼 조작없이 번호입력이 가능한 휴대폰 및 상기 휴대폰의 번호 입력 방법
US6518957B1 (en) Communications device with touch sensitive screen
US2010010543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voice-recognition function of portable terminal and radiocommunications system
US5638441A (en)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with rotatable cover allowing enhanced option key access
JPH08251063A (ja) 可動ハウジング要素制御を有する無線通信装置
JP2002152346A (ja) 折り畳み式携帯通信端末装置
KR20040073604A (ko) 휴대 전화기
JP4153641B2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US20110021176A1 (en) Electronic inform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40235540A1 (en) Portable terminal unit
CA2553509A1 (en) Movement-based mode switching of a handheld device
EP1675357B1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JP2004072285A (ja) 携帯電話機
JP3014943B2 (ja) 電子システム手帳型携帯電話装置
JP3239062B2 (ja) 携帯電話装置
KR100694025B1 (ko) 폴더형 휴대폰의 통화 제어 장치 및 방법
JPH0580188B2 (ko)
JP4009899B2 (ja) 携帯電話のダイヤル発呼方法及び携帯電話機
JP3373969B2 (ja) 携帯電話装置
JP3568494B2 (ja) 携帯電話装置
KR200377021Y1 (ko) 충격감응 호출식 이동통신단말기
JP2002330201A (ja) 折り畳み式携帯通信装置
JP2001127869A (ja) 携帯電話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携帯電話装置
JP4443508B2 (ja) 携帯電話機
JP2554506Y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