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8771B1 -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8771B1
KR101108771B1 KR1020090080939A KR20090080939A KR101108771B1 KR 101108771 B1 KR101108771 B1 KR 101108771B1 KR 1020090080939 A KR1020090080939 A KR 1020090080939A KR 20090080939 A KR20090080939 A KR 20090080939A KR 101108771 B1 KR101108771 B1 KR 101108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otion recognition
dtmf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3226A (ko
Inventor
이채현
이해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090080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8771B1/ko
Publication of KR20110023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a) 모션(motion) 인식 모드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모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의 모션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 모드로 전환되는 단계; (c) 상기 모션 인식 모드로 전환되면, 모션 인식 센서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션의 패턴을 인식하여, 상기 모션의 패턴에 상응하는 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번호에 대한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DTMF 신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DTMF SIGNAL TRANSMISS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MOTION SENS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TMF 신호는 다주파 부호(Multi Frequency Code: MFC)식 전화기의 버튼을 누르면 발생하는 가청주파수대의 신호로서 전화기에서 송출하는 숫자(부호) 정보를 말하며, 각 DTMF 신호는 두 가지 주파수의 신호가 합쳐진 것이다. 즉, 고주파군(1209Hz, 1336Hz, 1477Hz, 1633Hz)과 저주파군(697Hz, 770Hz, 852Hz, 941Hz)의 각각 4개의 주파수에서 1개씩 선택한 2개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하나의 디지트(digit) 신호를 구성하며, 수신측에서는 이 신호를 받아서 어떤 주파수의 신호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검출하여 입력된 버튼을 인지하게 된다.
이러한, DTMF 신호는 다이얼 펄스와 비교하면 약 10배 정도로 속도가 빠르며 다이얼링의 오류 발생율이 적다. 그리고, 신호장치의 점유시간이 짧고 디지트 정보의 종류도 많으며 다양한 특수 서비스에 이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DTMF 신호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서비스로는 텔레뱅킹(Telebanking)과 ARS(Automated Response System)를 이용한 전화 정보 서비스가 있다.
텔레뱅킹은 전화로 은행거래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며, ARS를 이용한 전화정보 서비스는 전화교환기에 음성사서함장치를 설치하여 각종 정보를 수록해 놓고 정보이용자가 전화를 걸어 원하는 정보를 청취하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이와 같은 텔레뱅킹 또는 ARS 서비스 시에는 각 텔레뱅킹 센터 또는 ARS에 전화가 연결되면, 전화기에 설치된 음성 자동응답시스템의 안내에 따라 사용자는 전화버튼을 차례로 누르게 되는데, 이때 안내 명령에 따라서 메뉴 선택번호, 계좌 비밀번호, 텔레뱅킹 비밀번호,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등의 다양한 번호를 입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번호의 입력 시에는 전화의 버튼을 입력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여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텔레뱅킹 또는 ARS 서비스의 이용 시에는, 음성 안내를 듣고 키패드를 통해 DTMF 신호의 전송을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귀에서 떼어 번호를 입력하고 다시 음성 안내를 들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가 터치 키패드로 구성된 경우에는 터치 장금(Lock)을 해제하고 터치 키패드를 이용하여 DTMF 신호를 입력한 이후 음성 안내를 듣기 위하여 귀에 가져가면 얼굴에 터치 키패드가 접촉되어 오입력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또는 텔레뱅킹 등의 서비스의 이용 시에, 안내 음성을 들은 후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귀에서 떼어 키패드 또는 터치 키패드를 통하여 번호를 입력하고 다시 음성 안내를 듣기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귀에 가져다 대는 등의 불편함 없이 번호 입력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a) 모션(motion) 인식 모드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모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의 모션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 모드로 전환되는 단계; (c) 상기 모션 인식 모드로 전환되면, 모션 인식 센서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션의 패턴을 인식하여, 상기 모션의 패턴에 상응하는 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번호에 대한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DTMF 신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c) 단계는 상기 모션 인식 센서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좌우 모션, 전후 모션 또는 상하 모션의 패턴을 인식하면, 상기 모션의 패턴에 상응하는 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번호에 대한 DTMF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c)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정의 모션의 패턴이 인식 된 횟수와 동일한 숫자에 해당하는 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번호에 대한 DTMF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션 인식 센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속도, 진동 또는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Sensor)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션 모드로의 전환 명령은 상기 모션 인식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모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모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기 모션 인식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명령 제어부; 상기 모션 인식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션의 패턴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 센서; 상기 모션 인식 센서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션의 패턴을 인식하면, 상기 모션의 패턴에 상응하는 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번호에 대한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생성하는 DTMF 신호 생성부; 및 상기 DTMF 신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송출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모션 인식 센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좌우 모션, 전후 모션 또는 상하 모션의 패턴을 인식하고, 상기 DTMF 신호 생성부는 상기 모션의 패턴에 상응하는 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번호에 대한 DTMF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DTMF 신호 생성부는 상기 모션 인식 센서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정의 모션의 패턴이 인식된 횟수와 동일한 숫자에 해당하는 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번호에 대한 DTMF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션 인식 센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속도, 진동 또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션 모드로의 전환 명령은 상기 모션 인식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또는 텔레뱅킹 등의 서비스의 이용 시에, 안내 음성을 들은 후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귀에서 떼어 키패드 또는 터치 키패드를 통하여 번호를 입력하고 다시 음성 안내를 듣기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귀에 가져다 대는 등의 불편함 없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가볍게 흔들거나 두드리는 모션만으로 번호 입력을 대신하여 ARS 또는 텔레뱅킹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어부(100), 모션 인식 센서(120), 키 입력부(140), 및 송신 부(150)를 포함하고, 제어부(100)는 모드 명령 제어부(110) 및 DTMF 신호 생성부(130)를 포함한다.
키 입력부(140)는 소정의 키 버튼(미 도시함)을 포함하고서 사용자로부터 소정 의 명령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모션 인식 센서(12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션의 패턴을 인식하는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모션 인식 센서(120)는 가속도, 진동 또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로 구성되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좌우, 전후 또는 상하로 흔드는 등의 모션으로 구성된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키 입력부(140) 또는 모션 인식 센서(120)를 통하여 모션 모드(motion mode)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모드 명령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모션 인식 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모드라 함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션을 인식할 수 있는 모드(mode)를 말하며, 모션(motion)이라 함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취하는 동작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모션으로 구성되는 모션의 패턴으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후, 좌우 또는 상하로 흔들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가볍게 두드리기(tapping) 등이 있을 수 있을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흔들기 또는 두드리기 등의 방법 또는 횟수 등을 달리 하여 다양한 모션의 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
모션 인식 센서(120)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션의 패턴을 인식하면, DTMF 신호 생성부(130)는 상기 모션에 상응하는 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번호에 대한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DTMF 신호 생성부(130)는 모션 인식 센서(120)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정의 모션의 패턴이 인식된 횟수와 동일한 숫자에 해당하는, DTMF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3번 두드리면 3에 해당하는 DTMF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DTMF 신호는 다주파 부호(Multi Frequency Code: MFC)식 전화기의 버튼을 누르면 발생하는 가청주파수대의 신호와 동일한 신호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DTMF 신호는 두가지 주파수의 신호가 합쳐진 것으로, 고주파군(1209Hz, 1336Hz, 1477Hz, 1633Hz)과 저주파군(697Hz, 770Hz, 852Hz, 941Hz)의 각각 4개의 주파수에서 1개씩을 선택한 2개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하나의 디지트(digit) 신호를 구성하여 생성되며, 수신측에서는 DTMF 신호를 받아서 어떤 주파수의 신호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검출하여 입력된 버튼을 인지할 수 있다.
송신부(150)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DTMF 신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외부 시스템으로 송출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망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타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망을 말한다. 또한, 상기 외부 시스템은 상기 DTMF 신호를 수신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와 같은 외부 시스템의 일례로는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또는 텔레뱅킹 시스템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또는 텔레뱅킹과 같은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통화 연결을 실행하여 통화 연결이 되면(S210), 모션 인식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모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220). 이때, 키 입력부 또는 모션 인식 센서를 통하여 모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좌우, 상하 또는 전후로 움직이는 모션의 패턴이 인식되는 경우에 상기 모션의 패턴에 상응하는 DTMF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모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모션 인식 모드로 전환된다(S230).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션 인식 모드에는 번호 입력 모드, 연속 번호 입력 모드, 및 기 설정된 번호열 입력 모드 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좌로 흔드는 모션의 패턴을 인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번호 입력 모드로 전환되고, 우로 흔드는 모션의 패턴을 인식하면 연속 번호 입력 모드로 전환되며, 상하로 흔드는 모션의 패턴을 인식하면 기 설정된 번호열 입력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션의 패턴을 인식한 경우에는(S240), 상기 모션의 패턴에 상응하는 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번호에 해당하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생성한다(S250). 예를 들어, 번호 입력 모드인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두드리는(tapping) 횟수의 패턴을 인식하여 두드리는 횟수에 따라서 DTMF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번호 입력 모드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정시간 내에 3번 두드리고 소정시간(1초) 경과하면 3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음성 으로 "3"을 사용자에게 알리며 바로 3에 해당하는 DTMF 신호가 생성된다. 또한, 연속 번호 입력 모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두드리는 중간에 대기 시간을 두는 모션의 패턴을 인식하는 방식이다. 예컨데, 소정시간 내에 3번을 두드리고 소정시간(1초) 경과하면 3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3"을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알리며 이어 사용자가 소정시간 내에 5번을 두드리고 소정시간(1초) 경과하면 5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5"을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알리고, 이후 다른 모션입력 없이 소정시간(2초) 경과하면 "35를 송출합니다" 하고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알리고 35에 해당하는 DTMF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달리, 기 설정된 번호열 입력 모드인 경우에는 각 두드리는 횟수에 해당하는 번호열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미리 저장하고, 두드리는 횟수에 해당하는 번호열에 대응되는 DTMF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1번 두드리면 1에 대응하여 기 저장되어 있는 주민등록번호에 해당하는 DTMF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와 같은 모션의 패턴을 인식하는 방법에는 번호 인식을 위한 정의된 특정 모션과 다른 모션 또는 횟수를 달리하여 "#", "*" 등의 특수기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와 같은 모션의 패턴을 인식하는 방법에는 인식된 번호가 잘못될 경우, 즉 인식된 번호를 표시부에 표시 또는 음성으로 알린 번호가 사용자가 의도한 번호가 아닐 경우 DTMF를 송출하기 전 소정의 대기시간 동안 번호 취소를 위한 소정의 정의된 모션을 통해 인식된 번호를 취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와 같은 모션의 패턴을 인식하는 방법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두드리는(tapping) 횟수를 인식하고 그 인식된 횟수와 동일한 숫자에 해당하는 번호를 인식할수 있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또 달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어느 정도의 시간 동안 길게 모션을 취하느냐에 따라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즉, 길게 이동통신 단말기를 두드리는 경우에는 5번 두드리는 것과 동일하게 인식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게 1번을 두드리고 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소정시간 경과 전에 다시 짧게 2번을 두드리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짧게 7번을 두드리는 것과 동일하며, 숫자 7에 해당하는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DTMF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DTMF 신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시스템으로 송출할 수 있다(S260).
도 3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션 패턴의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x축, y축, z축에 해당하는 3차원의 모션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3차원 모션의 인식을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모션 인식 센서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모션 인식 센서가 가속도 센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다 다양한 모션이 인식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가속도, 진동 또는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Sensor)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특정 방향으로 흔들거나 힘을 주면 해당 방향으로 가속도가 발생하고, 발생한 가속도를 감지 및 분석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가해진 모션을 인식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좌로 움직이는 모션을 취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x축에서의 음의 방향으로 가속도가 발생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우로 움직이는 모션을 취하면 도 3의 x축에서의 양의 방향으로 가속도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x축의 좌 또는 우로 흔드는 모션을 취하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와 같은 모션의 패턴을 인식하여 모션 인식 모드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두드리는(tapping) 모션의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두드리는 모션은 도 3에 도시된 z축 방향의 가속도가 발생하는 모션으로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손으로 감아 쥐고서 손가락을 사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가볍게 두드리는 모션이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발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션의 패턴을 인식하여, 모션의 패턴에 포함된 두드리는 횟수에 따라서 그에 상응하는 DTMF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터치 키패드로 구성된 경우에는 터치 키패드를 이용하여 DTMF 신호를 입력한 이후 다시 ARS 또는 텔레뱅킹 서비스의 음성 안내를 듣기 위하여 귀에 가져가면 얼굴에 터치 키패드가 접촉되어 오입력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통화 연결을 실행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귀에서 떼지 않고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가볍게 두드리는 모션만으로 DTMF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또는 텔레뱅킹과 같은 서비스의 사용시에 보다 편리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션 패턴의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어부 110: 모드 명령 제어부
120: 모션 인식 센서 130: DTMF 신호 생성부
140: 키 입력부 150: 송신부

Claims (10)

  1. (a) 이동통신 단말기가 모션(motion) 인식 모드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모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자신의 모션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 모드로 전환되는 단계;
    (c)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모션 인식 모드로 전환되면, 모션 인식 센서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션의 패턴을 인식하여, 인식된 모션의 패턴에 상응하는 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번호에 대한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DTMF 신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모션 인식 센서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좌우 모션, 전후 모션 또는 상하 모션의 패턴을 인식하면, 인식된 모션의 패턴에 상응하는 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번호에 대한 DTMF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정의 모션의 패턴이 인식된 횟수와 동일한 숫자에 해당하는 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번호에 대한 DTMF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인식 센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속도, 진동 또는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Sens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모드로의 전환 명령은,
    상기 모션 인식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6. 모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 모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모션 인식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명령 제어부;
    모션 인식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션의 패턴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 센서;
    상기 모션 인식 센서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션의 패턴을 인식하면, 인식된 모션의 패턴에 상응하는 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번호에 대한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생성하는 DTMF 신호 생성부; 및
    상기 DTMF 신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송출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인식 센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좌우 모션, 전후 모션 또는 상하 모션의 패턴을 인식하고,
    상기 DTMF 신호 생성부는,
    인식된 모션의 패턴에 상응하는 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번호에 대한 DTMF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TMF 신호 생성부는,
    상기 모션 인식 센서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정의 모션의 패턴이 인식된 횟수와 동일한 숫자에 해당하는 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번호에 대한 DTMF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인식 센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속도, 진동 또는 충격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모드로의 전환 명령은,
    상기 모션 인식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90080939A 2009-08-31 2009-08-31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108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939A KR101108771B1 (ko) 2009-08-31 2009-08-31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939A KR101108771B1 (ko) 2009-08-31 2009-08-31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226A KR20110023226A (ko) 2011-03-08
KR101108771B1 true KR101108771B1 (ko) 2012-02-24

Family

ID=43931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939A KR101108771B1 (ko) 2009-08-31 2009-08-31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87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802A (ko) * 2004-03-03 2005-09-07 삼성전기주식회사 버튼 조작없이 번호입력이 가능한 휴대폰 및 상기휴대폰의 번호 입력 방법
KR20060035842A (ko) * 2004-10-20 2006-04-27 권창환 핸드폰 및 그 입력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802A (ko) * 2004-03-03 2005-09-07 삼성전기주식회사 버튼 조작없이 번호입력이 가능한 휴대폰 및 상기휴대폰의 번호 입력 방법
KR20060035842A (ko) * 2004-10-20 2006-04-27 권창환 핸드폰 및 그 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226A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7770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tactile interface
CN100452801C (zh) 能不操作按钮输入电话号码的移动电话和向其输入电话号码的方法
KR20080073872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정보 입력 방법
JP6119658B2 (ja) タッチ式入力システム
WO2006120282A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electronic device
US6259931B1 (en) Controlling a communication device with dual-mode telecommunications signaling
CN106250743B (zh) 账户切换方法及装置
JP2002135369A (ja) 携帯電話端末およびそのキー制御方法
KR101108771B1 (ko) 모션 인식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617753B1 (ko) 키 입력이 용이한 키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것이 적용된전자기기
CN109743458A (zh) 一种提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080096042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1475793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ading, writing, and communication by deafblind users
JP2000165477A (ja) 携帯情報端末装置およびその操作方法
JP2012209683A (ja) 通信装置および操作制御方法
WO2000048382A1 (en) Computer phone
KR1016053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을 이용한 다이얼 입력 방법 및 장치
JP2887054B2 (ja) 通信装置
JP2633055B2 (ja) 電話機
KR100321228B1 (ko) 다기능 이어폰
KR1007129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방법
KR970009546B1 (ko) 사설교환기의 국선선로선택을 위한 다이얼링 장치 및 그 방법
KR10060038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제어 방법
KR100240055B1 (ko) 임의 버튼 키 선택에 의한 자동 오프 훅 전환 및 다이얼링 방법
KR20090027232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