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389B1 -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389B1
KR100600389B1 KR1020030093651A KR20030093651A KR100600389B1 KR 100600389 B1 KR100600389 B1 KR 100600389B1 KR 1020030093651 A KR1020030093651 A KR 1020030093651A KR 20030093651 A KR20030093651 A KR 20030093651A KR 100600389 B1 KR100600389 B1 KR 100600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ll
predetermined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3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1992A (ko
Inventor
강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93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389B1/ko
Publication of KR20050061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특정 키의 입력으로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지국에서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키를 할당하여 해당 소정의 키를 인식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과정과; 발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수신자 전화번호 및 통화 버튼과 함께 상기 소정 키의 입력을 감지한 후에 호출 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호출 신호를 수신받아 수신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를 확인함과 동시에 상기 소정의 키를 확인하며, 상기 소정의 키에 대응하는 기능으로 해당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링 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링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제어 명령을 확인하며,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설정함과 동시에 해당 기능에 따라 호 착신을 통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자기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상대방도 기능 제어를 수행할 수 있어 모든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제어 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제어를 위한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발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
20 : 기지국
30 :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특정 키의 입력으로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동작 설정 내지는 기능 설정에 관련된 제어를 수행함에 있어서, 단지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만이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통해서 수행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매너 모드 기능 설정 시에 사용자가 키패드의 별표 버튼을 소정의 시간 동안 누르게 되면 이동 통신 단말기 내부의 제어부에서 이를 감지하여 해당 매너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해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는 단지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내지는 기능을 설정할 수밖에 없는 불편한 점이기 때문에, 다시 설정 해지를 사용자가 직접 수행하지 않는 한 한 번 설정된 기능은 계속 유지되는 단점이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불편한 점 내지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발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특정 키의 입력으로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신자 제어가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발신자가 특정 키의 한 번 입력으로 수신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자기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상대방도 기능 제어를 수행할 수 있어 모든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제어 방법은, 기지국에서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키를 할당하여 해당 소정의 키를 인식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과정과; 발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수신자 전화번호 및 통화 버튼과 함께 상기 소정 키의 입력을 감지한 후에 호출 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호출 신호를 수신받아 수신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를 확인함과 동시에 상기 소정의 키를 확인하며, 상기 소정의 키에 대응하는 기능으로 해당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링 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링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제어 명령을 확인하며,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설정함과 동시에 해당 기능에 따라 호 착신을 통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다르게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제어 방법은, 상기 발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종료 시에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해제하여 원래의 기능대로 복원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발신 시에 전화번호 입력할 때에 특수키도 함께 입력하도록 하며, 기지국에서 해당 특수키를 입력받아 해당 특수키에 대응하는 기능(예를 들어, 매너 모드)으로 설정 가능하도록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 명령을 전송하도록 하며, 해당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해당 명령을 입력받아 해당 특수키에 대응하는 기능(예를 들어, 매너 모드)으로 설정함과 동시에 벨 소리를 울릴 시에 해당 설정된 기능(예를 들어, 매너 모드)으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며, 통화 종료 후에 해당 설정된 기능(예를 들어, 매너 모드)을 해제시켜 원래의 상태로 복원해 주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제어를 위한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기지국(20)과,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전화를 걸 때에 특수키를 입력하여 전화를 걸게 되며, 해당 특수키를 인식하여 수신자와 연결 시에 해당 특수키에 대응하는 기능(예를 들어, 매너 모드) 설정으로 명령을 내려 해당 명령에 따라 해당 기능(예를 들어, 매너 모드)을 수행하도록 하며, 통화 종료 시에 해당 기능(예를 들어, 매너 모드)을 해제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발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수신자 전화번호, 소정의 키 및 통화 버튼을 확인하여 호출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기지국(20) 측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해당 호출 신호는 수신자 전화번호 및 소정의 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지국(20)은 상기 발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30)를 탐색하며, 소정의 키의 기능을 확인하여 해당 기능 수행을 명령하는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링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30) 측으로 전송한다.
상기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30)는 상기 기지국(20)으로부터 링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제어 명령의 역할을 인식하여 기능을 설정하며, 해당 설정된 기능에 의해 호 착신을 수신자에게 통보하며, 통화 종료 시에 상기 제어 명령에 의해 설정된 기능을 해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제어 방법을 도 2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3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특수 키(즉, 키패드 상의 소정의 키)를 할당하고 해당 소정의 키를 발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30) 간에 서로 인식할 수 있도록 기지국(20)에 설정해 둔다(단계 S1).
예를 들어, 수신자 전화번호와 함께 입력되는 '#' 버튼이 상기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30)를 매너 모드로 설정되도록 하는 소정의 키로 할당해 준다.
이에,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전화를 걸 때에 상기 발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키패드를 통해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함과 동시에 소정의 키(예를 들어, '#' 버튼)를 누른 후에 통화 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발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수신자 전화번호, 소정의 키 및 통화 버튼을 감지하여 해당 수신자 전화번호 및 소정의 키를 포함하는 호출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기지국(20)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지국(20)은 상기 발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받아(단계 S2) 해당 호출 신호 내의 수신자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30)를 탐색하며(단계 S3), 해당 호출 신호 내에 소정의 키가 존재하는지의 유무를 확인하고 해당 소정의 키가 있는 경우에 해당 소정의 키의 기능을 확인한 후에(단계 S4) 해당 확인된 기능으로 해당 탐색된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3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명령과 함께 링 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탐색된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30) 측으로 전송해 준다(단계 S5).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발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받은 호출 신호 내에 수신자 전화번호와 함께 소정의 키가 있는지를 확인한 후에, 해당 확 인된 소정의 키가 '#' 버튼인 경우에, 상기 탐색된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30)를 매너 모드로 설정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링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탐색된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30) 측으로 전송해 준다.
그러면, 상기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30)는 상기 기지국(20)으로부터 링 신호를 수신받아(단계 S6) 해당 링 신호 내에 제어 명령이 존재하는지의 유무를 확인하고 해당 제어 명령이 있는 경우에 해당 제어 명령의 역할을 인식한 후에(단계 S7) 해당 인식된 제어 명령에 따라 기능을 설정하며(단계 S8), 해당 설정된 기능에 의해 호 착신을 수신자에게 통보해 준다(단계 S9).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제어 명령이 상기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30)를 매너 모드로 설정되도록 하는 명령인 경우에, 내부의 제어부에서는 벨 소리 모드에서 매너 모드로 설정해 줌과 동시에, 해당 설정된 매너 모드에 따라 벨 소리를 울리는 대신에 진동 발생 장치 및 LED를 제어하여 진동과 LED 점멸로 수신자에게 호 착신을 통보해 주게 된다.
이에, 수신자가 상기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30)의 키패드를 통해 통화 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기지국(20)은 상기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30)의 통화 버튼 입력을 확인하여 상기 발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상기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30) 간의 통화로를 형성시켜 발신자와 수신자 간의 통화를 수행하도록 해 준다.
그런 후에, 상기 통화를 종료하게 되면, 상기 발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10)에서는 통화 종료를 확인한 후에 소정의 키에 의해 설정되었던 기능을 해제하여 원 래의 기능대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해 준다.
예를 들어, 통화 종료가 확인되면 소정의 키에 의해서 설정되었던 매너 모드를 해제함과 동시에 기존의 모드인 벨 소리 모드로 다시 설정해 원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해 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발신자가 특정 키의 한 번 입력으로 수신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자기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상대방도 기능 제어를 수행할 수 있어 모든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기지국에서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키를 할당하여 해당 소정의 키를 인식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과정과;
    발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수신자 전화번호 및 통화 버튼과 함께 상기 소정 키의 입력을 감지한 후에 호출 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호출 신호를 수신받아 수신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를 확인함과 동시에 상기 소정의 키를 확인하며, 상기 소정의 키에 대응하는 기능으로 해당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링 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링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제어 명령을 확인하며,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설정함과 동시에 해당 기능에 따라 호 착신을 통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측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종료 시에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해제하여 원래의 기능대로 복원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제어 방법.
KR1020030093651A 2003-12-19 2003-12-19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제어 방법 KR100600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651A KR100600389B1 (ko) 2003-12-19 2003-12-19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651A KR100600389B1 (ko) 2003-12-19 2003-12-19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992A KR20050061992A (ko) 2005-06-23
KR100600389B1 true KR100600389B1 (ko) 2006-07-14

Family

ID=37254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3651A KR100600389B1 (ko) 2003-12-19 2003-12-19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38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992A (ko)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3065756A2 (en) Method for maintaining communication with a device
KR20010011055A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자동전송방법
EP0426451A2 (en)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KR10060038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제어 방법
KR20050028992A (ko) 원격지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 모드 변경 방법
US5765111A (en) Selective mobile station calling method for digital cordless telephone and system
US6580922B1 (en) Method of transmitting telephone number in wireless local loop system
KR100393603B1 (ko) 무선 헤드셋의 재다이얼 번호 안내 방법
KR100790073B1 (ko) 휴대용 무선 전화기와 연결된 헤드셋을 이용한 통화 제어 방법
JP2005197915A (ja) 通話機器および通話機器の呼出方法
KR100594176B1 (ko) 사용자 접촉감지를 통한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JP3354614B2 (ja) 無線電話装置
KR100194414B1 (ko) 무선전화기의 비밀번호에 따른 링발생방법
KR100479418B1 (ko) 자동응답전화기의메시지전달장치및그방법
JP3354966B2 (ja) 電話機システム
KR20030056115A (ko)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방법
KR100197058B1 (ko) 전화기의 통화로 자동전환장치
JPH0964810A (ja) 携帯電話機のリモコンシステム
KR100672397B1 (ko) 이동 단말기의 자동 메시지 송출장치 및 방법
KR100229863B1 (ko) 전화기의 음성안내 방법
KR0184504B1 (ko) 무선전화기에 병렬연결된 전화기의 발신잠금방법
KR100662298B1 (ko) 수신 거부번호 알람 방법
JPS63248271A (ja) 通信装置
JP2873257B2 (ja) 着信音同期音の複数化による着信識別方式
KR20040088957A (ko) 휴대폰의 음성 호 수신모드 변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