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8026A -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장치 - Google Patents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8026A
KR20050088026A KR1020040013832A KR20040013832A KR20050088026A KR 20050088026 A KR20050088026 A KR 20050088026A KR 1020040013832 A KR1020040013832 A KR 1020040013832A KR 20040013832 A KR20040013832 A KR 20040013832A KR 20050088026 A KR20050088026 A KR 20050088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connecting member
operation cap
hinge
fram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의
Original Assignee
에이치케이디 인터내셔날 홍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케이디 인터내셔날 홍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이치케이디 인터내셔날 홍콩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040013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8026A/ko
Publication of KR20050088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02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극히 단순하고, 별도의 스프링이 필요없이 폴대의 탄성력만으로 폴대의 산개 상태를 유지하거나 단순 조작에 의하여 산개된 폴대를 간단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한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폴대 골절부(12)를 갖는 다수의 폴대(11)를 방사선 형태로 산개될 수 있게 상기 폴대(11)의 상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폴대 연결부재(1)와; 상기 폴대(11)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게 폴대 연결부재(1)의 하부측을 지지하는 베이스(2)와; 상기 폴대 연결부재(1)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조작캡(3)과; 상기 폴대 연결부재(1)와 베이스(2) 및 조작캡(3)을 회전이 구속된 상태로 상호 결합되게 하면서 상기 조작캡(3)이 폴대(11)에 의하여 상시 상부측으로 탄력 지지되게 하고, 상기 조작캡(3)을 하부측으로 강제로 누르고 회전시켜 상기 조작캡(3)의 상부 이동을 구속하는 로킹수단(4)으로 구성됨으로써 제작의 용이성 및 경제성의 확보는 물론 사용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고, 또한 기존에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른 사용상의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Description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장치{A frame device of canopy tent}
본 발명은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극히 단순하고, 별도의 스프링이 필요없이 폴대의 탄성력만으로 폴대의 산개 상태를 유지하거나 단순 조작에 의하여 산개된 폴대를 간단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한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접고 펼치는 방식에 따라 캐노피 텐트('접이식 텐트'라고도 함)와 우산식 텐트로 분류되고, 상기 캐노피 텐트는 텐트의 기본 골조인 프레임을 수동으로 접거나 펼치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우산식 텐트는 우산형태로 이루어져 우산을 펴고 접는 동작과 유사한 방법으로 텐트를 접거나 펼치도록 되어 있다.
도 7은 일반적인 우산식 텐트의 프레임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산식 텐트의 프레임 장치는 텐트의 중앙 상부측에 위치하는 메인 연결부재(120)에 다수의 메인폴대(110)가 방사선 형태로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메인 연결부재(120)의 하부측 수직방향으로 중심축(130)이 형성되어 상기 중심축(130) 상에 절첩식 연결부재(140)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첩식 연결부재(140)에는 타측 단부가 힌지부(160)에 의하여 메인폴대(1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보조폴대(15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연결부재(120)와 절첩식 연결부재(140) 사이의 중심축(130) 상에는 상기 절첩식 연결부재(140)를 상시 폴대의 펼침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170)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우산식 텐트의 프레임장치는 보조폴대(150)가 연결된 절첩식 연결부재(140)를 스프링(17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중심축(130)의 상부측으로 강제로 밀어 상기 보조폴대(150)가 힌지부(160)를 중심으로 안쪽으로 접히게 함으로써 텐트를 접을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다시 상기 절첩식 연결부재(140)를 도시되지 않은 로킹수단에 의한 고정을 해제하면서 하부측으로 당김으로써 텐트의 펼침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우산식 텐트의 프레임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별도의 스프링과 같은 부속부품이 많아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작단가의 상승을 가져오게 됨으로써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절첩식 연결부재를 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는 강한 힘을 이용하여 강제로 이동시켜야만 되므로 사용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사용중에 손가락이 스프링에 끼이는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구조가 극히 단순하고, 별도의 스프링이 필요없이 폴대의 탄성력만으로 폴대의 산개 상태를 유지하거나 단순 조작에 의하여 산개된 폴대를 간단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폴대 골절부를 갖는 다수의 폴대를 방사선 형태로 산개될 수 있게 상기 폴대의 상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폴대 연결부재와; 상기 폴대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게 폴대 연결부재의 하부측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폴대 연결부재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조작캡과; 상기 폴대 연결부재와 베이스 및 조작캡을 회전이 구속된 상태로 상호 결합되게 하면서 상기 조작캡이 폴대에 의하여 상시 상부측으로 탄력 지지되게 하고, 상기 조작캡을 하부측으로 강제로 누르고 회전시켜 상기 조작캡의 상부 이동을 구속하는 로킹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폴대 연결부재는 중심부로부터 외곽의 방사선 형태로 다수의 폴대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폴대 힌지부와 폴대 힌지부의 사이에는 보강리브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상기 폴대 힌지부는 폴대 작동공간부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폴대 작동공간부의 양측벽에 상방 개구형의 힌지홈이 형성되며, 폴대의 단부 양측에는 힌지홈에 대응되는 힌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폴대 연결부재의 폴대 작동공간부에 상응하는 폴대 이동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폴대 이동공간부 사이의 외곽 단부측에서 대략 절반 가량으로 내측 하부에 단턱부가 형성된 소정 높이의 측면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폴대 연결부재의 하부측에는 상기 단턱부에 대응되는 상대 단턱부가 형성되고, 폴대 이동공간부의 측면을 따라 폴대 지지대가 하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킹수단은 접힌 상태의 폴대단부와 폴대 연결부재의 상면 사이의 작동높이와; 상기 조작캡의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각형 핀공과; 상기 폴대 연결부재의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원형의 핀 중심공과; 상기 베이스의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다각형상의 핀 삽입공과; 상기 다각형 핀공에 대응되는 상부측 다각면부와 상기 핀 삽입공에 대응되는 하부측 다각면부의 사이에 원주형 단면부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너트가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고정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핀의 하단부에 와셔붙이와 손잡이 고리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텐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텐트의 상부측 중심에 위치한 균심형 기준체(C)를 중심으로 방사선 형태로 다수개의 폴대(11)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폴대(11)는 폴대 골절부(12)에 의하여 접이식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도 1의 균심형 기준체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균심형 기준체(C)는 다수의 폴대(11)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중간의 폴대 연결부재(1)를 중심으로 상.하부에 각각 조작캡(3)과 베이스(2)가 구비되고, 상기 폴대 연결부재(1)와 조작캡(3) 및 베이스(2)는 단부측이 너트(445)로 체결되는 고정핀(44)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폴대 연결부재(1)는 중심부로부터 외곽의 방사선 형태로 다수의 폴대 힌지부(13)가 형성되어 상기 폴대 힌지부(13)에 의하여 폴대(11)의 상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 및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폴대 힌지부(13)와 폴대 힌지부(13)의 사이는 다수의 보강리브(1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충분한 강도의 유지가 이루어진다.
상기 폴대 힌지부(13)는 폴대(11)가 간섭없이 자유롭게 산개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범위로 폴대 작동공간부(131)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폴대 작동공간부(131)의 양측벽에 상방 개구형의 힌지홈(132)이 형성되는 것이며, 폴대단부(11a)의 양측에는 상기 힌지홈(13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힌지돌기(13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폴대(11)의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힌지돌기(133)를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힌지돌기(133)에 구름접촉되는 힌지홈(132)의 하부측 접촉면을 반원형으로 형성함은 극히 당연하며, 힌지돌기(133)가 힌지홈(132)으로부터 상부측으로 빠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힌지홈(132)에 통상의 걸림돌기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베이스(2)는 폴대 연결부재(1)의 폴대 작동공간부(131)에 상응하게 외측으로 개방된 폴대 이동공간부(21)가 형성되고, 상기 폴대 이동공간부(21)의 측벽부를 따라 하부측으로 연이어 폴대 지지대(25)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접힌 폴대(11)의 측방 및 후방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4a 내지 도 5b 참조.)
그리고, 상기 폴대 작동공간부(131)와 폴대 작동공간부(131) 사이의 베이스(2)의 상면 외곽에는 대략 절반 가량의 길이 및 높이로 폴대 연결부재(1)의 측면부를 지지하는 측면 지지대(2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 지지대(23)의 내측면 하부측에는 단턱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지지대(23)의 단턱부(22)와 대응되게 폴대 연결부재(1)의 하부측에도 상대 단턱부(24)가 형성되어 조립시 서로 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폴대 연결부재(1)의 상부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원형의 조작캡(3)이 구비되고, 상기 조작캡(3)은 손으로 잡을 때, 그 잡음력이 좋도록 상부가 단면을 이루는 반구형체로 형성되며, 밑면부는 평면으로 형성된다.
이와함께, 상기 폴대 연결부재(1)와 베이스(2) 및 조작캡(3)은 단부측에 너트(445)가 체결되는 고정핀(44)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폴대 연결부재(1)와 베이스(2) 및 조작캡(3)에 각각 고정핀(44)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는데, 이때 폴대 연결부재(1)에 다수 연결된 폴대(11)를 조작캡(3)의 회전조작에 의하여 산개 상태, 즉 펼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로킹수단(4)이 함께 구비된다.
상기 로킹수단(4)은 폴대 연결부재(1)에 연결된 폴대(11)를 접을 때, 그 접힌 상태의 폴대단부(11a)와 폴대 연결부재(1)의 상면 사이에 나타나는 높이차, 즉 작동높이(h)를 가져야만 하고, 조작캡(3)의 중앙부에 다각형 핀공(41)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폴대 연결부재(1)의 중앙부에 원형의 핀 중심공(42)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베이스(2)의 중앙부에 다각 형상의 핀 삽입공(43)이 상기 다각형 핀공(41) 및 핀 중심공(42)과 수직의 동축선 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여기서 상기 다각형상은 사각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각을 갖는 형상이면 무방하다.
또한, 로킹수단(4)으로서, 상기 고정핀(44)은 조작캡(3)의 다각형 핀공(41)에 대응되는 상부측 다각면부(441)와, 베이스(2)의 핀 삽입공(43)에 대응되는 하부측 다각면부(442)의 사이에 원주형 단면부(443)를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상부측 다각면부(441) 및 하부측 다각면부(442)도 마찬가지로 사각형상으로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조작캡(3)과 폴대 연결부재(1) 및 베이스(2)의 중앙부에 각각 형성된 다각형 핀공(41)과 핀 중심공(42) 및 핀 삽입공(43)을 관통하여 삽입된 고정핀(44)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핀(44)의 상단부에는 나사부(445)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445)에는 너트(445)가 체결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삽입 고정된 고정핀(44)을 다각형 핀공(41)과 핀 중심공(42) 및 핀 삽입공(43)으로부터 빼내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고정핀(44)의 하단부에는 와셔붙이(446) 및 손잡이 고리(447)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a는 접힌 초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캡(3)과 폴대 연결부재(1) 및 베이스(2)는 이들 중앙부를 관통하고 너트(445)로 체결된 고정핀(44)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는데, 이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동일 형상을 이루는 조작캡(3)의 다각형 핀공(41)과 고정핀(44)의 상부측 다각면부(441), 베이스(2)의 핀 삽입공(43)과 고정핀(44)의 하부측 다각면부(442)가 서로 접하게 되므로 상기 고정핀(44)을 중심으로 한 조작캡(3)의 측방향 회전이 구속된다.
그리고, 상기 폴대 연결부재(1)에 연결된 폴대(11)가 접힌 상태에서 폴대단부(11a)가 폴대 연결부재(1)의 상면에 대하여 작동높이(h)를 갖게 되므로 조작캡(3)은 폴대단부(11a)에 의하여 폴대 연결부재(1)의 상면으로부터 상부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하부측이 지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폴대 연결부재(1)의 폴대 작동공간부(131)에 힌지 결합된 폴대(11)를 산개 방향으로 약간 들어올린 후, 조작캡(3)을 하부측으로 강제로 누르게 되면, 상기 폴대단부(11a)가 힌지홈(132)과 힌지돌기(133)로 구성된 폴대 힌지부(13)를 중심으로 폴대 작동공간부(131)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폴대(11)가 완전히 산개되고, 조작캡(3)은 폴대 연결부재(1)의 상면과 접하게 되며, 산개된 폴대(11)의 탄성력이 폴대단부(11a)를 통하여 조작캡(3)에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작캡(3)의 다각형 핀공(41)은 조작캡(3)의 하부 이동에 의하여 고정핀(44)의 상부측 다각면부(441)의 위치로부터 벗어나 원주형 단면부(443)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조작캡(3)을 고정핀(44)을 중심으로 측방향으로 강제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이 회전 조작에 의하여 사각형의 동일 형상을 갖는 조작캡(3)의 다각형 핀공(41)과 고정핀(44)의 상부측 다각면부(441)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어긋나게 물리게 되어 조작캡(3)이 하부측 폴대(11)의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핀(44)을 중심으로 상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는 로킹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며, 이 작용에 의하여 폴대(11)는 산개된 상태의 유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조작캡(3)을 하부측으로 강제로 누르게 되면, 상기 조작캡(3)은 폴대(11)의 탄성력에 대항하게 되고, 상기 폴대(11)의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핀(44)의 상부측 다각면부(441)의 하부측에 밀착된 조작캡(3)의 다각형 핀공(41)은 상기 고정핀(44)의 상부측 다각면부(441)로부터 밀착력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조작캡(3)을 고정핀(44)의 원주형 단면부(443)를 중심으로 원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 가능해져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캡(3)의 다각형 핀공(41)과 고정핀(44)의 상부측 다각면부(441)가 서로 일치하게 되고, 상기 조작캡(3)은 다시 폴대(11)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부측으로 이동하여 고정핀(44)의 상부측 다각면부(441)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대(11)가 접히게 되는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폴대 골절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폴대 골절부(12)는 통상에서와 같이 일측 폴대(11)의 단부측에 고정연결구(121)를 형성하고, 타측 폴대(11)의 단부측에는 가동연결구(122)를 형성하여 상기 가동연결구(122)가 고정연결구(121)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힌지축(123)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123)을 중심으로 한 가동연결구(122)의 회전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고정연결구(121)의 소정위치에 경사진 고정턱(121A)이 형성되며, 가동연결구(122)의 측방에는 상기 고정턱(121A)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돌기(122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조가 극히 단순하고, 별도의 스프링이 필요없이 폴대의 탄성력만으로 폴대의 산개 상태를 유지하거나 단순 조작에 의하여 산개된 폴대를 간단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의 용이성 및 경제성의 확보는 물론 사용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고, 또한 기존에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른 사용상의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캐노피 텐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균심형 기준체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a는 폴대가 접힌 최초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b는 폴대가 산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c는 도 4b의 상태에서 폴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조작캡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a는 조작캡의 다각형 핀공과 구동핀의 상부측 다각면부가 일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b는 조작캡의 다각형 핀공과 구동핀의 상부측 다각면부가 서로 어긋물림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폴대 골절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6a는 펼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b는 접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일반적인 우산식 텐트의 프레임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폴대 연결부재
11:폴대 11a:폴대단부
12:폴대 골절부
121:고정연결구 121A:고정턱
122:가동연결구 122A:고정돌기
123:힌지축
13:폴대 힌지부
131:폴대 작동공간부 132:힌지홈
133:힌지돌기
14:보강돌기
2:베이스
21:폴대 이동공간부 22:단턱부
23:측면 지지대 24:상대 단턱부
25:폴대 지지대
3:조작캡
4:로킹수단
41:다각형 핀공 42:핀 중심공
43:핀 삽입공
44:고정핀
441:상부측 다각면부 442:하부측 다각면부
443:원주형 단면부 444:너트
445:나사부 446:와셔붙이
447:손잡이 고리

Claims (5)

  1. 폴대 골절부(12)를 갖는 다수의 폴대(11)를 방사선 형태로 산개될 수 있게 상기 폴대(11)의 상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폴대 연결부재(1)와;
    상기 폴대(11)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게 폴대 연결부재(1)의 하부측을 지지하는 베이스(2)와;
    상기 폴대 연결부재(1)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조작캡(3)과;
    상기 폴대 연결부재(1)와 베이스(2) 및 조작캡(3)을 회전이 구속된 상태로 상호 결합되게 하면서 상기 조작캡(3)이 폴대(11)에 의하여 상시 상부측으로 탄력 지지되게 하고, 상기 조작캡(3)을 하부측으로 강제로 누르고 회전시켜 상기 조작캡(3)의 상부 이동을 구속하는 로킹수단(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 연결부재(1)는 중심부로부터 외곽의 방사선 형태로 다수의 폴대 힌지부(13)가 형성되고;
    상기 폴대 힌지부(13)와 폴대 힌지부(13)의 사이에는 보강리브(1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상기 폴대 힌지부(13)는 폴대 작동공간부(131)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폴대 작동공간부(131)의 양측벽에 상방 개구형의 힌지홈(132)이 형성되며, 폴대(11)의 단부 양측에는 힌지홈(132)에 대응되는 힌지돌기(1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는 폴대 연결부재(1)의 폴대 작동공간부(131)에 상응하는 폴대 이동공간부(21)가 형성되고, 상기 폴대 이동공간부(21) 사이의 외곽 단부측에서 대략 절반 가량으로 내측 하부에 단턱부(22)가 형성된 소정 높이의 측면 지지대(23)가 형성되며, 상기 폴대 연결부재(1)의 하부측에는 상기 단턱부(22)에 대응되는 상대 단턱부(24)가 형성되고, 폴대 이동공간부(21)의 측면을 따라 폴대 지지대(25)가 하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수단(4)은 접힌 상태의 폴대단부(11a)와 폴대 연결부재(1)의 상면 사이의 작동높이(h)와;
    상기 조작캡(3)의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각형 핀공(41)과;
    상기 폴대 연결부재(1)의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원형의 핀 중심공(42)과;
    상기 베이스(2)의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다각형상의 핀 삽입공(43)과;
    상기 다각형 핀공(41)에 대응되는 상부측 다각면부(441)와 상기 핀 삽입공(43)에 대응되는 하부측 다각면부(442)의 사이에 원주형 단면부(443)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너트(445)가 체결되는 나사부(445)가 형성된 고정핀(4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44)의 하단부에 와셔붙이(446)와 손잡이 고리(447)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장치.
KR1020040013832A 2004-02-28 2004-02-28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장치 KR20050088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832A KR20050088026A (ko) 2004-02-28 2004-02-28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832A KR20050088026A (ko) 2004-02-28 2004-02-28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026A true KR20050088026A (ko) 2005-09-01

Family

ID=3727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832A KR20050088026A (ko) 2004-02-28 2004-02-28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80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122B1 (ko) * 2006-12-13 2008-07-07 배진호 자동 접철식 텐트용 캐노피
KR100906020B1 (ko) * 2007-11-02 2009-07-06 (주)버팔로 절첩식 텐트
KR101418387B1 (ko) * 2012-11-21 2014-07-09 양석호 조립식 텐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122B1 (ko) * 2006-12-13 2008-07-07 배진호 자동 접철식 텐트용 캐노피
KR100906020B1 (ko) * 2007-11-02 2009-07-06 (주)버팔로 절첩식 텐트
KR101418387B1 (ko) * 2012-11-21 2014-07-09 양석호 조립식 텐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39930B1 (en) Canopy tent with automatic umbrella-type collapsible frame
US20110108077A1 (en) Top support structure of tent frame
US4697606A (en) Cranked patio umbrella featuring cranked tilt
AU2002223147A1 (en) Canopy tent with automatic umbrella-type collapsible frame
JP2001065786A (ja) 三 脚
US6761180B1 (en) Dual direction-swinging device for an umbrella
CA2743173A1 (en) Canopy tent
GB2408450A (en) Umbrella top notch or crown
KR100886118B1 (ko)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WO2007123314A1 (en) Auto umbrella-type canopy tent
KR20050088026A (ko)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장치
KR200423920Y1 (ko)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KR100896040B1 (ko)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
KR200382808Y1 (ko) 텐트용 폴대 절첩구조
JP3238921U (ja) 複動式ロッキングテントフレーム構造
KR20080002103U (ko) 자동텐트용 접이식 폴대
KR102349305B1 (ko) 분리수거가 용이한 우산
KR200411422Y1 (ko) 회전우산의 구조
KR200359030Y1 (ko) 우산식 자동텐트 프레임
KR200294997Y1 (ko)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
KR200227797Y1 (ko) 회전 우산
CN220889720U (zh) 一种折叠帐篷
KR200339799Y1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KR200213389Y1 (ko) 우산식 텐트
KR20050045217A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