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6040B1 -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 - Google Patents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040B1
KR100896040B1 KR1020080113353A KR20080113353A KR100896040B1 KR 100896040 B1 KR100896040 B1 KR 100896040B1 KR 1020080113353 A KR1020080113353 A KR 1020080113353A KR 20080113353 A KR20080113353 A KR 20080113353A KR 100896040 B1 KR100896040 B1 KR 100896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upling
tent
frame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갑
Original Assignee
한재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갑 filed Critical 한재갑
Priority to KR1020080113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6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36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Abstract

본 발명은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부, 관통홀에 결합된 슬라이딩부, 이 슬라이딩부에 고정결합된 고정부, 하우징부의 상부에 결합된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외주에 끼워맞춤된 지지부, 결합홈에 힌지결합된 결합구가 상부에 형성된 상부 연결폴, 및 결합구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슬라이딩부에 타단이 힌지결합된 연결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캐노피 텐트의 설치가 용이하고 손가락 끼임이나 고정부의 이탈시 충돌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캐노피, 텐트, 프레임, 폴딩

Description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Frame for canopy tent}
본 발명은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캐노피 텐트의 상부 프레임을 견고하게 지지하며, 폴딩 및 언폴딩을 용이하게 하여 텐트의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핑 등에서 이용되고 있는 각종 텐트 중 캐노피 텐트(Canopy tent)는 빠르고 편리하게 설치 및 해체를 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캐노피 텐트는, 설치할 장소에 텐트을 놓고 펴거나 접기만 하면 단시간 내에 설치 및 해체를 완료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킨 자동 텐트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식 캐노피 텐트에 대해서는 종래에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13389호 및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23717호에 개시되어 있고, 종래의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에 대해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44232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59030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558356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643157호, 및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735013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은 프레임의 상부에 상부 연결폴과 연결 부재가 힌지결합되어 상부 연결폴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 연결폴의 폴딩 및 언폴딩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자동 캐노피 텐트는, 텐트를 폴딩하여 해체할 경우, 연결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있는 상부 연결폴 중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상부 연결폴을 사용자가 권취하여 내측으로 강제 이동시키면 모든 상부 연결폴의 하부는 하향 이동하며 폴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해체된 상태의 텐트를 언폴딩하여 설치할 경우, 상기 상부 연결폴과 접하도록 절첩되어 있는 하부 연결폴의 하부를 사용자가 강제로 하향 이동시켜 펼친다. 그 후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상부 연결폴의 하부를 사용자가 권취하여 강제로 상향 이동시키면 일정 시점에서 탄성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부 연결폴의 모두가 자동으로 펼쳐지게 되어 텐트의 설치를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텐트를 펼쳐 설치를 완료시킨 시점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딩 부재에 인위적인 힘을 가해 누르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사용자에 의해 전달되는 힘과 탄성스프링의 탄지력에 의해 일정 하부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대의 외측은 슬라이딩 부재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의 내측 높이보다 높은 위치를 취하는 기울기를 형성하게 됨에 따라 프레임 전체의 잠금을 이루게 되어 외부의 충격에너지가 텐트로 전달될 경우에도 텐트를 펼치고 있는 프레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텐트의 해체 상태의 경우, 힌지 연결편에 의하여 상부 연결폴과 힌지 연결을 이루고 있는 지지대가 "∧"형으로 형성되어 하향 경사져 있음에 따라, 텐트의 초기 설치시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텐트를 펼쳐 설치를 완료시킨 시점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딩 부재에 인위적인 힘을 가해 눌러 지지대의 외측을 슬라이딩 부재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의 내측 높이보다 높은 위치를 취하는 기울기를 형성하여 프레임 전체의 잠금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에 한번 더 힘을 가하여 하부로 이동시켜야 상기 프레임 전체의 잠금을 이루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캐노피 텐트의 설치 및 해제시 상부 연결폴과 연결부재 사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유입되어 끼임이 발생하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59030호에 기재된 종래의 텐트 프레임은 중심대가 탄지된 상태에서 그 하부에 볼트가 체결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장시간 사용하거나 외력 또는 충격에 의해 볼트의 체결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중심대가 이탈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텐트 프레임은 이와 같이 돌출된 중심대와의 충돌에 의해 사용자가 부상을 당하거나 사물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상부 연결폴과 힌지연결된 연결부를 상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캐노피 텐트의 초기 설치시 힘이 적게 들어 설치가 용이하고, 덮개부를 설치함으로써 고정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상부 연결폴의 폴딩 및 언폴딩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둘레에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하방향의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부; 상기 관통홀의 하부에 끼워맞춤되어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된 슬라이딩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부에 고정결합되되 상기 관통홀의 내주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개재해서 탄지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관통홀의 상단을 폐쇄하며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결합된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외주에 끼워맞춤되되 상기 덮개부의 내주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개재해서 상기 결합홈의 상단부에 탄지되도록 설치된 지지부; 상기 결합홈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결합구가 상부에 형성된 상부 연결폴; 및 상기 결합구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에 타단이 힌지결합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연결폴의 결합구는 상기 상부 연결폴의 언폴딩시 상기 지지부와 밀착되어 상기 지지부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상부 연결폴의 폴딩시 상기 결합구와 상기 연결부 사이의 내향각(α)은 130∼180°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 연결폴과 힌지연결된 연결부를 상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캐노피 텐트의 설치시 종래의 캐노피 텐트보다 힘이 적게 들어 텐트의 설치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관통홀의 상단에 덮개부를 설치함으로써 고정부의 이탈을 방지하여 고정부의 이탈시 충돌에 의해 사용자가 부상을 입거나 사물이 파손되는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를 설치함으로써 상부 연결폴의 폴딩 및 언폴딩시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부 연결폴과 하우징부 사이에 끼이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의 폴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의 언폴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은 슬라이딩부(10), 하우징부(20), 고정부(30), 지지부(40), 덮개부(50), 상부 연결폴(60) 및 연결부(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슬라이딩부(10)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부(10)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부(11), 결합홈(12), 지지봉(13), 연결구(14), 지지구(15)로 이루어진다.
외주부(11)는 슬라이딩부(10)의 외곽을 구성하며, 결합홈(12)은 외주부(11)의 상부 둘레에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고, 결합홈(12)의 양 측면에는 힌지홀(12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봉(13)은 외주부(11)의 내부 바닥면에 결합된 봉형상 부재로서 외주부(11)의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연결구(14)는 외주부(11)의 하부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텐트천이 결합되어 고정된다. 지지구(15)는 외주부(11)의 내부 바닥면에 돌출형성되어 외주에 지지봉(13)이 끼워맞춤되어 결합되고 내부에 끼움홀이 형성되고 이 끼움홀의 하단에는 너트와 같은 체결편이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부(20)는 슬라이딩부(10)가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결합부(21), 결합홈(22), 안내부(23), 관통홀(24)로 이루어진다.
결합부(21)는 하우징부(20)의 상부를 구성하며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복수의 체결홀(21a)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22)은 결합부(21)의 하부 둘레에 복수개가 형성되며, 결합홈(22)의 양 측면에는 힌지홀(22a)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23)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결합홈(2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24)은 하우징부(20)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내부홀로서 하단부에 턱부가 형성되어, 하단부의 내경이 상단부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30)는 관통홀(24)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부(10)의 상부에 고정결합되며, 슬라이딩부(10)를 상방으로 탄지하도록 고정편(31), 결합부재(32), 탄성부재(33)로 이루어진다.
고정편(31)은 마개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헤드(31a)가 확장되어 돌출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고정홀(31b)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재(32)는 고정홀(31b)에 삽입되며, 길이가 긴 볼트형상으로 형성되어 체결고정이 가능하도록 하 부에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부재(32)의 나선부가 지지구(15)의 끼움홀에 설치된 체결편과 나합되어 고정됨으로써, 슬라이딩부(10)에 고정부(30)가 체결고정된다.
탄성부재(33)는 슬라이딩부(10)를 상방으로 탄지하는 탄성수단으로서, 관통홀(24)에 삽입되어 일단이 헤드(31a)의 하면 둘레에 접촉되고 타단이 관통홀(24)의 하단 턱부에 접촉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33)로는 상하방향에 탄지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coil sprin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40)는 덮개부(50)의 외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춤되되 결합홈(22)의 상단부에 탄지되도록 설치되며, 외주부(41), 날개편(42), 지지판(43), 안내홀(44)로 이루어진다.
외주부(41)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부(40)의 외곽을 구성하며, 날개편(42)은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부(41)의 외주면 둘레에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43)은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부(41)의 하단부에 확장형성되어 있다. 안내홀(44)은 외주부(41)의 내부에 상항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내부홀로서 하단부에 턱부가 형성되어, 하단부의 내경이 상단부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50)는 고정편(3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관통홀(24)의 상단을 폐쇄하도록 하우징부(20)의 상부에 끼워맞춤되어 체결고정되어 결합되며, 외주부(51), 덮개(52), 결합홀(53), 끼움홀(54), 탄성부재(55)로 이루어진다.
외주부(51)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덮개부(50)의 외곽을 구성한다. 덮개(52)는 외주부(51)의 상단을 폐쇄하는 마개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홀(53)은 덮개(52)의 외곽 주변에 복수개가 형성되어 결합부(21)의 체결홀(21a)와 연통되도록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홀(53)에 나사못을 체결하여 체결홀(21a)과 체결고정된다.
끼움홀(54)은 외주부(51)의 내부에 형성되며, 하면이 개방되고 상면이 덮개(52)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탄성부재(55)는 지지부(40)를 하방으로 탄지하는 탄성수단으로서, 끼움홀(54)에 삽입되어 일단이 끼움홀(54)의 내주 상단에 접촉되고 타단이 안내홀(44)의 하단 턱부에 접촉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55)로는 상하방향에 탄지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coil sprin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연결폴(60)은 하우징부(20)에 일단이 힌지결합되며 캐노피 텐트의 상부를 구성하는 폴대로서, 연결폴대(61), 결합구(62)로 이루어진다.
연결폴대(61)는 바아형상으로 형성되어 캐노피 텐트의 상부를 지지하여 구성하는 폴대로서, 텐트천의 상부를 고정하여 지지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연결폴대(61)의 하단에는 측부 연결폴이나 다양한 지지 연결폴 등이 결합되어 캐노피 텐트의 연결폴을 구성하게 되며, 이러한 연결폴의 구성은 공지기술에 해당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결합구(62)는 연결폴대(61)의 상단에 끼워맞춤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제 1 힌지홀(62a)가 형성되고, 하부에 제 2 힌지홀(62b) 및 결합홀(62c)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힌지홀(62a)은 하우징부(20)의 결합홈(22)에 형성된 힌지홀(22a)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구(62)의 상부를 결합홈(22)에 끼워맞춤한 상태에서 제 1 힌지홀(62a)와 힌지홀(22a)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체결함으로써, 상부 연결폴(60)이 하우징부(2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결합구(62)의 상부는 하우징부(20)의 결합홈(22)에 끼워맞춤되어 회전이 가능되도록 일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결합구(62)의 하부는 연결부(63)와 끼워맞춤하여 힌지결합되도록 오목한 힌지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힌지홈의 양 측면에 제 2 힌지홀(62b)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홀(62c)은 연결폴대(61)와 결합구(62)를 고정결합하기 위한 결합홀로서, 결합홀(62c)에 나사못 등의 체결고정수단을 개재해서 연결폴대(61)와 결합구(62)를 결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연결부(63)는 바아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연결폴(60)과 슬라이딩부(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서, 일단부에 제 1 연결홀(63a)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 2 연결홀(63b)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연결홀(63a)은 상부 연결폴(60)의 제 2 힌지홀(62b)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부(63)의 일단부가 결합구(62)의 힌지홈에 끼워맞춤된 상태에서 제 2 힌지홀(62b)과 제 1 연결홀(63a)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체결함으로써, 연결부(63)가 상부 연결폴(6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제 2 연결홀(63b)은 슬라이딩부(10)의 힌지홀(12a)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부(63)의 타단부가 슬라이딩부(10)의 결합홈(12)에 끼워맞춤된 상태에서 힌지홀(12a)과 제 2 연결홀(63b)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체결함으로써, 연결부(63)가 슬라이딩부(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상부 연결폴(60)의 폴딩 및 언폴딩시에 슬라이딩부(10)가 하우징부(20)의 내부를 상하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상부 연결폴(60)의 폴딩시 결합구(62)와 연결부(63) 사이의 내향각(α)은 130∼180°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내향각(α)이 130° 보다 작으면 상부 연결폴(60)의 폴딩시 상부 연결폴(60)이 외곽으로 확장되어 부피가 커지므로 이동 및 운반이 불편하고 언폴딩 동작이 원활하지 않게 되며, 180° 보다 크면 상부 연결폴(60)의 폴딩상태에서 언폴딩상태로 전환시 결합구(62)와 연결부(63) 사이에 언폴딩에 대한 반력이 작용하여 이 반력을 제거하기 위한 부가조작이 필요하므로 언폴딩 조작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상부 연결폴(60)이 교차하여 그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게 되어 텐트천의 수용이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상부 연결폴(60)의 언폴딩으로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미소의 작용력에 의해서도 언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구(62)와 연결부(63) 사이의 내향각(α)이 180°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연결폴(60)의 언폴딩시 상부 연결폴(60)의 결합구(62)는 그 상단부가 지지부(40)와 밀착되어 지지부(4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언폴딩시 결합구(62)와 지지부(40)가 항상 밀착하게 됨으로써, 결합구(62)와 하우징부(20) 사이에 손가락의 끼임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부(30)에서 연결부재(32)의 체결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관통홀(24) 에 삽입되어 탄지된 고정편(31)이 탄성부재(33)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탈하여 관통홀(24)에서 상방으로 돌출하게 된다. 이때 이탈된 고정편(31)과의 충돌시 충격에 의해 사용자가 부상을 입거나 사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관통홀(24)의 상단에는 덮개부(50)가 폐쇄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에 대한 폴딩 및 언폴딩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상부 연결폴(60)의 폴딩상태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부(20)의 힌지홀(22a)을 중심으로 해서 상부 연결폴(60)을 외곽 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 언폴딩하게 된다. 그러면, 결합구(62)의 타단부에 힌지결합된 연결부(63)에 상방으로의 작동력이 부여되므로 여기에 힌지결합된 슬라이딩부(10)에도 상방으로의 작용력이 부여되어 슬라이딩부(1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딩부(10)의 상부에는 고정부(30)가 고정되어 탄지되므로, 슬라이딩부(10)의 상방이동은 스무드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결합구(62)의 상단부가 하우징부(20)의 결합홈(22)에서 상방으로 돌출하게 된다. 이러한 결합구(62)의 돌출에 의해 결합홈(22)의 상단부에 탄지된 지지부(40)가 결합구(62)와 밀착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합구(62)와 하우징부(20) 사이의 공간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유입물의 출입을 방지하게 된다.
상부 연결폴(60)의 폴딩시에는 상기와 반대로 작동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부 연결폴(60)을 외곽에서 내곽으로 가압하게 되면 슬라이딩부(10)가 하우징부(20)에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합구(62)도 하방으로 이동하여 지지대(40)가 탄성부재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의 폴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의 언폴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슬라이딩부 20: 하우징부
30: 고정부 40: 지지부
50: 덮개부 60: 상부 연결폴

Claims (2)

  1. 둘레에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하방향의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부;
    상기 관통홀의 하부에 끼워맞춤되어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된 슬라이딩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부에 고정결합되되 상기 관통홀의 내주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개재해서 탄지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관통홀의 상단을 폐쇄하며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결합된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외주에 끼워맞춤되되 상기 덮개부의 내주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개재해서 상기 결합홈의 상단부에 탄지되도록 설치된 지지부;
    상기 결합홈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결합구가 상부에 형성된 상부 연결폴; 및
    상기 결합구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결합홈에 타단이 힌지결합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연결폴의 결합구는 상기 상부 연결폴의 언폴딩시 상기 지지부와 밀착되어 상기 지지부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폴의 폴딩시 상기 결합구와 상기 연결부 사이의 내향각(α)은 130∼180°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
KR1020080113353A 2008-11-14 2008-11-14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 KR100896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353A KR100896040B1 (ko) 2008-11-14 2008-11-14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353A KR100896040B1 (ko) 2008-11-14 2008-11-14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6040B1 true KR100896040B1 (ko) 2009-05-08

Family

ID=40861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353A KR100896040B1 (ko) 2008-11-14 2008-11-14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60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761Y1 (ko) * 2012-07-04 2013-05-07 김영섭 자동 텐트 프레임
CN103470095A (zh) * 2013-08-12 2013-12-25 李成熙 帐篷顶部支撑装置
US9913799B2 (en) 2014-07-11 2018-03-13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KR20180002831U (ko) 2017-03-24 2018-10-04 서재현 원터치 자동 텐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356B1 (ko) 2005-03-25 2006-03-10 김수환 자동 텐트의 프레임 및 이를 채용한 텐트
KR100587832B1 (ko) 2004-06-11 2006-06-12 정인영 원터치 절첩식 텐트
KR100761454B1 (ko) 2006-04-21 2007-09-27 배진호 자동 우산식 캐노피 텐트
KR100844122B1 (ko) 2006-12-13 2008-07-07 배진호 자동 접철식 텐트용 캐노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832B1 (ko) 2004-06-11 2006-06-12 정인영 원터치 절첩식 텐트
KR100558356B1 (ko) 2005-03-25 2006-03-10 김수환 자동 텐트의 프레임 및 이를 채용한 텐트
KR100761454B1 (ko) 2006-04-21 2007-09-27 배진호 자동 우산식 캐노피 텐트
KR100844122B1 (ko) 2006-12-13 2008-07-07 배진호 자동 접철식 텐트용 캐노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761Y1 (ko) * 2012-07-04 2013-05-07 김영섭 자동 텐트 프레임
CN103470095A (zh) * 2013-08-12 2013-12-25 李成熙 帐篷顶部支撑装置
US9913799B2 (en) 2014-07-11 2018-03-13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US10123968B2 (en) 2014-07-11 2018-11-13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US10231922B2 (en) 2014-07-11 2019-03-19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KR20180002831U (ko) 2017-03-24 2018-10-04 서재현 원터치 자동 텐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7447B1 (en) Frame assembly for canopy tent
CA2743173C (en) Canopy tent
KR100558356B1 (ko) 자동 텐트의 프레임 및 이를 채용한 텐트
EP3757318B1 (en) Canopy frame with an opening mechanism
KR100896040B1 (ko)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
US11085201B2 (en) Button-type central locking device for folding tent
TWM549548U (zh) 手推式旋轉傘具
KR100643157B1 (ko) 원터치식 텐트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식 텐트
KR100906020B1 (ko) 절첩식 텐트
JP3238921U (ja) 複動式ロッキングテントフレーム構造
KR101012349B1 (ko)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
KR101098513B1 (ko) 자동텐트의 프레임 연결장치
KR200344232Y1 (ko) 자동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
CN201695823U (zh) 门窗防盗扣
KR101170508B1 (ko) 캐빈텐트의 프레임
KR200483476Y1 (ko) 절첩식 텐트의 상부 프레임
KR100712479B1 (ko) 회전 기능과 록킹 수단을 갖는 우산
KR200359030Y1 (ko) 우산식 자동텐트 프레임
KR200411422Y1 (ko) 회전우산의 구조
KR200482802Y1 (ko) 개선된 접이식 텐트의 상단 프레임
KR20060133162A (ko) 자동 텐트의 프레임 및 이를 채용한 텐트
KR100735013B1 (ko) 자동 텐트의 프레임 및 이를 채용한 텐트
KR101847396B1 (ko) 자동 우산
KR20060122187A (ko) 캐노피
KR200373088Y1 (ko) 원터치식 텐트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식 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