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396B1 - 자동 우산 - Google Patents

자동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396B1
KR101847396B1 KR1020160150027A KR20160150027A KR101847396B1 KR 101847396 B1 KR101847396 B1 KR 101847396B1 KR 1020160150027 A KR1020160150027 A KR 1020160150027A KR 20160150027 A KR20160150027 A KR 20160150027A KR 101847396 B1 KR101847396 B1 KR 101847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main body
weight
link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론
Priority to KR1020160150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45B25/143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6Automatic openers, e.g. frames with sp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Abstract

본 발명은 세우면 우산이 펼쳐지고 거꾸로 세우면 우산이 접히는 우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어느 한 단이 개구되고 파지 가능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에 구비된 링크연결부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삽입되되 일단이 상기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일단에 고정되고 우산포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우산살과; 일단은 상기 링크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우산살의 한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다수의 링크부 및 상기 이동부의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부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하는 중량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를 세우면 중력에 의해서 상기 중량체 및 상기 이동부가 파지한 부분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링크부가 펴지면서 상기 우산살이 함께 펼쳐지며, 상기 본체를 거꾸로 세우면 중력에 의해서 상기 중량체가 파지한 부분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링크부가 회전하여 접히면서 상기 우산살이 함께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우산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고, 우산을 세우거나 거꾸로 세움으로써 우산을 자동으로 펴거나 접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우산{Automatic umbrella}
본 발명은 세우면 우산이 펼쳐지고 거꾸로 세우면 우산이 접히는 우산에 관한 것이다.
우산은 사람들의 일상 용품으로서 최초에는 비를 막는 도구로 시작했지만 사람들의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우산의 종류와 용도도 양산, 골프우산, 수동우산 또는 자동 우산 등 점차 다양화되고 있다.
수동으로 펼치는 우산은 사람이 수동으로 우산의 개폐를 제어하면서 구현된다. 반면, 자동 개폐 우산은 기계적인 기구의 조합을 통해 우산의 자동 개폐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단순하고 편리하게 우산을 조작할 수 있다.
수동 펼침 우산의 구조는 우산살, 중봉, 손잡이,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중봉(中棒)의 내부에 탄궁(彈弓)을 설치하여 중봉이나 하부 하우징을 클램핑함으로써 우산을 펼치는 목적을 달성한다.
이에 반해 종래의 자동우산들은 오직 자동으로 펼칠 수만 있거나 자동으로 접을 수만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선행기술이 개발되었는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먼저, 우산을 자동으로 펼치기 위해서는 우산대를 수동으로 압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면, 초기에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손잡이에 있는 버튼을 누르면 우산대가 연장되면서 우산이 완전히 펼쳐지고, 버튼을 한 번 더 누르면 우산포만 접힌다.
즉, 우산대가 연장된 상태로 있으며, 우산대를 수동으로 수축해야만 다시 우산을 자동으로 펼칠 수 있는 상태를 만들 수 있다.
그런데 우산대를 수동으로 수축할 때 노약자나 어린이와 같이 힘이 부족한 사람에게는 우산대를 수축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즉, 우산대를 상당한 힘으로 압축해야만 우산대를 수축시킬 수 있는데, 우산대를 똑바로 압축하기 어렵고 압축하는 과정에서 우산대가 비뚤어져 우산이 다시 펼쳐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게다가,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많은 부품이 결합 돼 있어서 잔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작동이 안되거나 오작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 대한민국 등록특허 특1995-0002324호 (공고일자 1995. 3. 16)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고, 우산을 세우거나 거꾸로 세움으로써 우산을 자동으로 펴거나 접을 수 있는 자동 우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우산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우산이 완전히 펼쳐진 후 바람에 의해서 우산이 뒤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우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잠금부의 고정편을 안내하는 안내공이 관통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이동부와 중량체를 안내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지지대 상단에 고정되어 다수의 링크부와 결합되는 링크연결부와; 상단이 상기 본체의 지지대 상단으로 돌출되되 상단이 고정부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서 중량체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링크부 및 우산살을 회전시키는 이동부와; 고정캡 및 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의 상단에 고정되어 우산포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의 구속부 둘레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우산살과; 일단은 상기 우산살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링크연결부의 둘레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링크부; 및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 배치되되 이동부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부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되는 중량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를 세우면 중력에 의해서 상기 중량체 및 상기 이동부가 파지한 부분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링크부가 펴지면서 상기 우산살이 함께 펼쳐지며, 상기 본체를 거꾸로 세우면 중력에 의해서 상기 중량체가 파지한 부분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링크부가 회전하여 접히면서 상기 우산살이 함께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우산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또,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일단에 파지 가능한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한 부분에 상기 이동부 또는 상기 중량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잠금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또, 상기 잠금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버튼 및 상기 슬라이드버튼의 한 부분에 상기 이동부 또는 상기 중량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정하는 고정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이동부 또는 상기 중량체는,
상기 고정편이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잠금부는,
상기 잠금부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체는,
상기 우산살이 완전히 펼쳐졌을 때 상기 중량체의 타단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걸려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산을 세우면 자동으로 펼쳐지고, 우산을 거꾸로 세우면 자동으로 접힘으로써, 우산을 한손으로 접거나 펼 수 있다.
또한, 구조가 단순하고 부품이 간소하여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나아가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우산을 자동으로 접을 수 있어서 손쉽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잠금부를 통해서 우산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강풍에 의해서 우산이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우산이 완전히 펼쳐지면, 이동부의 이동이 제한되어 바람에 의해서 우산이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우산에서 우산포를 생략하고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우산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우산이 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우산에서 우산이 펼쳐질 때 잠금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확대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우산에서 우산이 접힐 때 잠금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확대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우산에서 잠금부를 개략적으로 확대한 정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우산은, 본체(1), 링크연결부(2), 이동부(3), 고정부(4), 우산살(5), 링크부(6) 및 중량체(7)를 포함한다. 여기에, 잠금부(8)를 더 포함한다.
본체(1)는, 이동부(3)와 중량체(7)를 안내하고 지지하는 것으로, 지지대(11) 및 손잡이(12)를 포함한다.
지지대(11)는, 이동부(3)를 안내하는 것으로, 대략 양단이 개구된 기다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부 둘레에 후술할 잠금부(8)의 고정편(82)을 안내하는 안내공(111)이 관통 형성되며, 손잡이(12)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지지대(11)의 안내공(111)은 고정편(82)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손잡이(12)는, 우산을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지지대(11)의 하단에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손잡이(12)는 상부 둘레에 후술할 잠금부(8)의 슬라이드버튼(81)이 결합 되는 관통공(121)이 내측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고, 관통공(121)의 측면에 슬라이드버튼(81)을 안내하는 슬라이드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공(121)의 일측면에 후술할 스토퍼(83)가 삽입되는 삽입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링크연결부(2)는, 다수의 링크부(6)와 결합되는 것으로, 지지대(11)의 상단에 고정된다.
여기서, 링크연결부(2)는 주지 또는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동부(3)는, 대략 양단이 개구된 기다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지지대(11)의 내부에 삽입되며, 이동부(3)의 상단이 지지대(11)의 상단으로 돌출되되 이동부(3)의 상단이 고정부(4)에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이동부(3)는 링크부(6) 및 우산살(5)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지지대(11)의 내부에서 후술할 중량체(7)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고정부(4)는, 우산포(미도시)를 고정하고 후술할 우산살(5)을 구속하는 것으로, 고정캡(41) 및 구속부(42)를 포함한다.
고정캡(41)은, 우산포를 고정하는 것으로, 구속부(42)의 상단에 끼워져 나사 결합 된다.
구속부(42)는, 우산살(5)을 구속하는 것으로, 상단이 고정캐의 하단에 끼워져 나사 결합 되고, 하단은 이동부(3)의 상단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에 따라, 이동부(3)가 이동하면, 고정부(4)가 함께 이동한다.
여기서, 고정캡(41) 및 구속부(42)는 주지 또는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산살(5)은, 우산포를 접거나 펴는 것으로, 다수가 구비되고, 일단이 구속부(42)의 둘레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우산살(5) 상에 링크부(6)의 일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된다.
이에 따라, 우산살(5)은 구속부(42)로부터 자유회전 한다.
여기서, 우산살(5)은 주지 또는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링크부(6)는, 우산살(5)과 링크연결부(2)를 연결하는 것으로, 우산살(5) 개수에 대응하도록 마련되고, 일단은 우산살(5)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링크연결부(2)의 둘레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된다.
따라서, 링크연결부(2)를 기준으로 링크부(6)가 하부로 회전하면 우산살(5)이 펼쳐지고, 링크연결부(2)를 기준으로 링크부(6)가 상부로 회전하면 우산살(5)이 접힌다.
여기서, 링크부(6)는 주지 또는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중량체(7)는, 이동부(3)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대략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지지대(11)의 내부에 배치되되 이동부(3)의 하단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중량체(7)가 이동하면 이동부(3)도 함께 이동한다.
또한, 중량체(7)는 무게가 중력에 의해 이동부(3)가 이동 가능하도록 당업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체적인 본 발명의 크기에 따라 즉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면 중량체(7)의 무게가 증가하고, 전체적인 크기가 작아지면 중량체(7)의 무게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중량체(7)는 둘레에 후술할 잠금부(8)의 고정편(82)이 삽입되는 대략 쐐기모양의 걸림홈(7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잠금부(8)는, 중량체(7)를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것으로, 슬라이드버튼(81), 고정편(82) 및 스토퍼(83)를 포함한다.
슬라이드버튼(81)은, 대략 직육면체로, 양측에 가이드날개(811)가 형성될 수 있고, 손잡이(12)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손잡이(12)의 관통공(121)에 끼워진다. 이때, 슬라이드버튼(81)의 가이드날개(811)는 손잡이(12)의 슬라이드홈(122)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버튼(81)은 관통공(121)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가이드날개(811)가 슬라이드홈(122)에 끼워짐으로써 손잡이(12)로부터 슬라이드버튼(81)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버튼(81)은, 노출되는 면의 반대 면에 탄성체에 대응하면서 탄성체가 삽입되는 장착홈(8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고정편(82)은, 대략 직사각의 플레이트 형태로, 상단이 슬라이드버튼(81)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지지대(11)의 안내공(111)에 끼워진다.
따라서, 슬라이드버튼(81)이 하부로 이동하면, 고정편(82)이 하단이 안내공(111)을 관통하여 지지대(11)의 내부로 돌출되고, 슬라이드버튼(81)이 상부로 이동하면, 고정편(82)의 하단이 안내공(111)으로 인입된다.
가령, 중량체(7)가 지지대(11)의 하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슬라이드버튼(81)을 하부로 이동하면, 고정편(82)의 타단이 중량체(7)의 걸림홈(71)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중량체(7)는 고정편(82)에 걸려서 이동이 제한되며, 이동부(3) 또한 함께 이동이 제한된다.
스토퍼(83)는, 슬라이드버튼(81)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해제하는 것으로, 대략 판스프링 형태로 형성되고, 일면이 굴곡져 돌출되며, 슬라이드버튼(81)의 장착홈(812)에 삽입되되 돌출된 부분이 슬라이드버튼(81)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삽입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버튼(81)을 하부로 이동하면 스토퍼(83)의 돌출된 부분이 손잡이(12)의 삽입홈(123)에 끼워짐으로써 슬라이드버튼(81)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슬라이드버튼(81)을 상부로 이동하면 스토퍼(83)의 돌출된 부분이 장착홈(812)에 인입된다. 즉, 스토퍼(83)의 탄성력에 의해서 스토퍼(83)의 돌출된 부분이 장착홈(812)으로부터 인입되거나 돌출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우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손잡이(12)를 파지한 상태에서 고정부(4)가 상부를 향하도록 세우면 중력에 의해서 중량체(7)가 하부 즉, 손잡이(12) 쪽으로 이동한다.
중량체(7)가 하부로 이동하면 이동부(3) 및 고정부(4)도 함께 하부로 이동한다.
고정부(4)가 하부로 이동하면 고정부(4)와 링크연결부(2) 사이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우산살(5) 및 링크부(6)가 펼쳐진다. 따라서, 우산이 자동으로 펼쳐진다.
이때, 슬라이드버튼(81)을 하부로 이동시키면, 고정편(82)이 걸림홈(71)에 삽입되고, 중량체(7)의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중량체(7)의 이동이 제한되면 이동부(3)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강한 바람이 불더라도 우산이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중량체(7)는 우산살(5)이 완전히 펴졌을 때 중량체(7)가 손잡이(12)의 바닥에 걸려서 더는 하부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이동부(3)) 및 고정부(4)의 이동이 제한되고, 나아가 바람에 의해서 우산살(5)이 상부로 뒤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우산을 거꾸로 세우면, 중량체(7)가 이동부(3)를 밀어내고, 이동부(3)는 지지대(11)로부터 돌출된다.
이동부(3)가 지지대(11)로부터 돌출되면 링크연결부(2)와 고정부(4) 사이가 점점 멀어지면서 우산살(5) 및 링크부(6)가 접힌다. 따라서, 우산이 자동으로 접힌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 손으로 손쉽게 조작할 수 있고, 우산을 세우거나 거꾸로 세움으로써 우산을 자동으로 용이하게 펴거나 접을 수 있다. 또한, 바람에 의해서 우산이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우산이 완전히 펼쳐진 후에도 바람에 의해서 우산이 뒤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본체
11; 지지대
111; 안내공
12; 손잡이
121; 관통공
122; 슬라이드홈
123; 삽입홈
2; 링크연결부
3; 이동부
4; 고정부
41; 고정캡
42; 구속부
5; 우산살
6; 링크부
7; 중량체
71; 걸림홈
8; 잠금부
81; 슬라이드버튼
811; 가이드날개
812; 장착홈
82; 고정편
83; 스토퍼

Claims (8)

  1. 잠금부의 고정편을 안내하는 안내공이 관통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이동부와 중량체를 안내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지지대 상단에 고정되어 다수의 링크부와 결합되는 링크연결부와;
    상단이 상기 본체의 지지대 상단으로 돌출되되 상단이 고정부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서 중량체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링크부 및 우산살을 회전시키는 이동부와;
    고정캡 및 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의 상단에 고정되어 우산포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의 구속부 둘레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우산살과;
    일단은 상기 우산살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링크연결부의 둘레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링크부; 및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 배치되되 이동부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부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되는 중량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를 세우면 중력에 의해서 상기 중량체 및 상기 이동부가 파지한 부분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링크부가 펴지면서 상기 우산살이 함께 펼쳐지며, 상기 본체를 거꾸로 세우면 중력에 의해서 상기 중량체가 파지한 부분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링크부가 회전하여 접히면서 상기 우산살이 함께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우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한 부분에 상기 이동부 또는 상기 중량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우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우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버튼; 및
    상기 슬라이드버튼의 한 부분에 상기 이동부 또는 상기 중량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정하는 고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우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 또는 상기 중량체는,
    상기 고정편이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우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잠금부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우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상기 우산살이 완전히 펼쳐졌을 때 상기 중량체의 타단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걸려서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우산.
KR1020160150027A 2016-11-11 2016-11-11 자동 우산 KR101847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027A KR101847396B1 (ko) 2016-11-11 2016-11-11 자동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027A KR101847396B1 (ko) 2016-11-11 2016-11-11 자동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396B1 true KR101847396B1 (ko) 2018-04-10

Family

ID=61975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027A KR101847396B1 (ko) 2016-11-11 2016-11-11 자동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3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845A (ko) * 2018-10-31 2020-05-08 (주)케이비테크놀로지 우산 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4319A1 (en) 2008-05-30 2009-12-24 David Young Apparatus and Method for Holding and Tilting an Umbrell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4319A1 (en) 2008-05-30 2009-12-24 David Young Apparatus and Method for Holding and Tilting an Umbrell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845A (ko) * 2018-10-31 2020-05-08 (주)케이비테크놀로지 우산 구조체
KR102182197B1 (ko) 2018-10-31 2020-11-26 주식회사케이비테크놀로지 우산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7447B1 (en) Frame assembly for canopy tent
US11085201B2 (en) Button-type central locking device for folding tent
WO2018072680A1 (zh) 一种滑动式开盖装置
JP4628368B2 (ja)
US10925362B1 (en) Hand-operated cantilever umbrella
US2649103A (en) Folding umbrella
KR930011708B1 (ko) 전자동 우산
US11317689B2 (en) Outdoor umbrella capable of being folded and unfolded by pressing
KR101847396B1 (ko) 자동 우산
US7311110B2 (en) Automatic close umbrella with automatic resetting feature
CN208491063U (zh) 太阳伞锁紧装置
KR100896040B1 (ko)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
KR20070005066A (ko) 회전식으로 접혀서 손잡이 속에 내장되는 우산
KR20090132764A (ko)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
KR20100029614A (ko) 자동우산
KR200437932Y1 (ko) 자동우산
CN213065476U (zh) 一种自拍杆
CN211172771U (zh) 一种遮阳篷曲臂安装结构、折叠曲臂及盒装遮阳篷
US20030131875A1 (en) Automatic close umbrella with automatic resetting feature
KR101195096B1 (ko) 슬라이드 방식의 접이식 우산
CN108244787B (zh) 远离身体全自动收合之手开折伞
US10212997B1 (en) Collapsible umbrella with automatic closing structure
JP3205300U (ja) 折り畳みテント
GB2229093A (en) Self-opening umbrella frame
WO2018177248A1 (zh) 笔型折叠伞及折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