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797Y1 - 회전 우산 - Google Patents

회전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797Y1
KR200227797Y1 KR2020010000794U KR20010000794U KR200227797Y1 KR 200227797 Y1 KR200227797 Y1 KR 200227797Y1 KR 2020010000794 U KR2020010000794 U KR 2020010000794U KR 20010000794 U KR20010000794 U KR 20010000794U KR 200227797 Y1 KR200227797 Y1 KR 2002277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clasp
rotating
umbrella stand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7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윤
Original Assignee
이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윤 filed Critical 이재윤
Priority to KR2020010000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7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7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797Y1/ko

Link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포(傘布) 부위의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우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산포, 우산대 및 손잡이가 일체로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 비 바람이나 기타 외부 요인에 의하여 산포부위에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그 외력이 그대로 손잡이에 미치게 되어 균형을 잡기가 어렵고, 다칠 위험성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우산대와 우산살을 포함하는 산포부위 사이에 회전부를 형성하되, 회전부의 구조를 산포부위의 회전이 용이하고 산포가 이탈하지 않으며 필요시 하걸쇠의 로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회전우산을 제공하여 산포부위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손잡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면서 균형을 잡기가 용이하도록 하여 우산 분야에 널리 활용할 수 있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회전 우산{Rotating Umbrella}
본 고안은 산포(傘布) 부위의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우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산포부위의 회전부를 개량하여 이루어진 회전우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우산은 장우산, 2단 또는 3단의 접이식 우산 등으로 구분이 되고, 이들 여러 형태의 우산은 공통적으로 우산살과 산포를 포함하는 산포부위와, 이 산포부위의 중심에 고정설치되는 우산대와, 그리고 우산대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손잡이가 상호간 일체로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우산은 비 바람이 치거나 아니면 우산 상호간 부디치거나 기타 외부 물체에 산포부위가 부디치는 것과 같이, 외부 요인에 의하여 산포부위에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그 외력이 그대로 손잡이에 미치게 되어 균형을 잡기가 어렵고, 다칠 위험성이 있으며 때로는 우산이 파손되는 경우가 자주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연구 개발되었다.
본 고안의 주목적은 우산대와 우산살을 포함하는 산포부위 사이에 회전부를 형성하되, 회전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산포부위의 회전이 용이하고 산포가 이탈하지 않으며 산포부위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손잡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면서 균형을 잡기가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회전우산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회전부로서 하걸쇠가 회전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로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2단이나 3단의 접이식의 우산에도 범용으로 적용이 가능한 회전우산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산살과 산포를 포함하는 산포부위와, 이 산포부위의 중심에 설치되는 우산대와, 그리고 우산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손잡이가 상호간 결합되어 산포부위를 펼치거나 접을 수 있게 이루어지고 장우산, 2단 또는 3단 등 다단의 접이식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우산에 있어서, 상기 산포부위와 우산대의 사이에 회전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부를 이루는 상걸쇠와 하걸쇠중 상걸쇠는 산포가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서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하걸쇠는 우산살이 외측에 힌지 고정된 상태로서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회전우산이 제공된다.
도1은 본 고안인 우산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인 우산의 회전부로서 상걸쇠 부위를 중심으로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3 내지 도5는 본 고안인 우산의 회전부로서 상걸쇠 부위를 중심으로 다른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로서,
도3은 그 중 일례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도4는 도3의 다른 변형례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
도5는 도3의 다른 변형례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인 우산의 회전부로서 하걸쇠 부위를 중심으로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7은 도6의 변형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8은 본 고안인 우산의 회전부로서 하걸쇠 부위를 중심으로 다른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우산살, 2.산포, 3.산포부위, 4.우산대, 5.손잡이, 6.회전부, 7.상걸쇠, 8.하걸쇠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회전우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본 고안인 회전우산은 공통적으로 우산살(1)과 산포(2)를 포함하는 산포부위(3)와, 이 산포부위(3)의 중심에 설치되는 우산대(4)와, 그리고 우산대(4)의 하부에 설치되는 손잡이(5)가 상호간 결합되어 산포부위(3)를 펼치거나 접을 수 있게 이루어지고 장우산, 2단 또는 3단 등 다단의 접이식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우산에 있어서, 상기 산포부위(3)와 우산대(4)의 사이에 회전부(6)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부(6)를 이루는 상걸쇠(7)와 하걸쇠(8)중 상걸쇠(7)는 산포()가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서 제자리에서 우산대(4)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6)를 이루는 상걸쇠(7)와 하걸쇠(8)중 하걸쇠(8)는 우산살(1)이 외측에 힌지 고정된 상태로서 제자리에서 우산대(4)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내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펼쳐지는 장우산의 경우나 아니면 수동에 의하여 하걸쇠(8) 부분을 우산대(4)를 중심으로 밀어 올려 펼치도록 이루어진 형태의 장우산의 경우에나 관계없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걸쇠(7)는 우산대(4)에 상,하부로 이격되게 고정 설치되는 상,하부 스토퍼(70,70)사이에 우산대(4)를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끼워 설치되어지되, 상걸쇠(7)의 상부에 산포(2)가 끼워지고 산포(2)의 상부에 고정부재(72)가 끼워져 산포(2)와 상걸쇠(7)를 고정시킬 수 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전술한 상,하부 스토퍼(70,70)의 경우, 도시한 바와 같이 우산대(4)와는 고정핀(74,74)에 의하여 각각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이외에도 적절한 방법으로 상호간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걸쇠(7)는 외측에 단턱(7a)을 형성하여 산포(2)와 고정부재(72)의 상호간 고정부위가 상걸쇠(7)의 회전시에 우산대(4)나 상부캡(9,9)과 상호간 간섭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전술한 장우산과는 달리 산포부위(3)의 상부로 캡(9)이 약간 돌출되게 설치되는 2단 또는 3단형태의 접이식 우산의 경우에는 도3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걸쇠(7)는 우산대(4)의 상부에 별도의 고정대(76)를 고정 설치하고, 이 고정대(76)에 상걸쇠(7)를 끼워 상걸쇠(7)가 상기 고정대(76)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걸쇠(7)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78)를 상기 고정대(76)에 설치하며, 상걸쇠(7)엔 산포(2)를 끼우고 상부로부터 캡(9)를 씌워 고정하여 산포부위(3)의 회전시에 상걸쇠(7), 산포(2) 및 캡(9)이 함께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우산대(4)와 고정대(76)의 설치방법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대(76)의 하부를 우산대(4) 내부에 끼우고 외부로부터 미리 끼워진 보강링(71)과 함께 고정핀(73)을 고정하여 고정하거나,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대(76)의 하부를 우산대(4)의 외부에 끼우고 외부로부터 고정핀(73)을 고정하여 고정하거나, 아니면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대(76)를 우산대(4) 내측에 끼우고 고정핀(73)에 의하여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걸쇠(7)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토퍼(78)를 상기 고정대(76)에 설치하는 방식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대(76) 자체에 돌기 형태로서 일체로 형성하거나,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스토퍼(78)를 고정대(76)의 상부에 고정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다음, 하걸쇠(8)의 경우, 우산 자체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펼쳐질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형태의 경우엔, 펼쳐졌을때는 우산대(4)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외측엔 다수의 우산살(1)이 힌지 상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우산대(4)에 끼워 설치되고, 우산을 접었을때엔 손잡이(5)의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 스프링(11)에 의하여 작동되며 하부엔 조절노브(13)가 설치되며 선단부엔 후크부(15)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통상의 로크기구(10)에 의하여 하걸쇠(8)가 로크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측에 상기 후크부(15)가 걸어 고정될 수 있는 단턱(82)을 본체(80)에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단턱(82)은 로크기구(10)의 후크부(15)가 형성되는 형태에 따라 예를 들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80)의 외주연 전체에 걸쳐 형성하거나,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80)의 내주연 전체에 걸쳐 형성할 수 있다.
다음, 하걸쇠(8)중 우산 자체에 스프링을 설치하지 아니하여 수동에 의하여 펼쳐질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형태로서 장우산, 2,3단 접이식 등의 경우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산살(1)이 다수 힌지 형태로 외주연에 설치되는 하걸쇠(8)를, 우산대(4)에 끼워지고 외주연에 단턱(84)이 형성된 별도의 받침부재(86)에 회전이 가능하게 끼워 설치하고, 하걸쇠(4)의 상부로서 상기 받침부재(86)엔 상부 소켓(88)을 설치하여 하걸쇠(4)가 상방으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이때 필요한 경우 상부 소켓(88)의 상부로서 상기 받침부재(86)에 스냅링과 같은 고정부재(90)를 별도로 설치하여 상부 소켓(88)이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미설명 부호로서, 17은 우산대(4)에 설치되는 통상의 후크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인 회전 우산은 우산의 내측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펼쳐지거나 아니면 수동으로 하걸쇠를 밀어올려 펼치는 형태나 아니면 장우산, 2,3단 접이식 우산 또는 우산과 유사한 양산이나 파라솔 등 여러가지 종류나 형태에 관계없이 산포부위에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그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에 따라 산포부위는 상걸쇠(7)는 중앙의 우산대(4)를 기준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고 하걸쇠(8)는 중앙의 우산대(4)나 받침부재(86)를 기준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결국 우산살(1)에 의하여 상호간 연결설치되는 이들 상,하걸쇠(7,8)와 우산살(1)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산포(2)를 포함하는 산포부위(3)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회전우산에 의하면, 우산대(4)와, 그리고 우산살(1) 및 산포(2)를 포함하는 산포부위(3) 사이에 회전부(6)를 형성하되, 이러한 회전부(6)의 구조를 개선하여, 산포부위(3)의 회전이 용이하고 산포(2)가 이탈하지 않으며 산포부위(3)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손잡이(5)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면서 균형을 잡기가 용이하도록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회전부(6)로서 하걸쇠(8)가 그 역할을 수행하면서 로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2단이나 3단의 접이식의 우산에도 범용으로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걸쇠(7)와 산포(2)의 결합 부위가 산포(2)의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부재(72) 또는 캡(9)에 의하여 상걸쇠(7)와 보다 확실한 상호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고, 상걸쇠(7)의 회전시에 산포(2) 역시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지더라도 산포(2)가 주변 구성부재와는 간섭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므로 보다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등 우수한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7)

  1. 우산살(1)과 산포(2)를 포함하는 산포부위(3)와, 이 산포부위(3)의 중심에 설치되는 우산대(4)와, 그리고 우산대(4)의 하부에 설치되는 손잡이(5)가 상호간 결합되어 산포부위(3)를 펼치거나 접을 수 있게 이루어지고 장우산, 2단 또는 3단 등 다단의 접이식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우산에 있어서,
    상기 산포부위(3)와 우산대(4)의 사이에 회전부(6)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부(6)를 이루는 상걸쇠(7)와 하걸쇠(8)중 상걸쇠(7)는 산포(2)가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서 제자리에서 우산대(4)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6)를 이루는 상걸쇠(7)와 하걸쇠(8)중 하걸쇠(8)는 우산살(1)이 외측에 힌지 고정된 상태로서 제자리에서 우산대(4)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우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걸쇠(7)는 우산대(4)에 상,하부로 이격되게 고정 설치되는 상,하부 스토퍼(70,70)사이에 우산대(4)를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끼워 설치되어지되, 상기 상걸쇠(7)의 상부에 산포(2)가 끼워지고 산포(2)의 상부에 고정부재(72)가 끼워져 산포(2)와 상걸쇠(7)를 고정시킬 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우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걸쇠(7)는 외측에 단턱(7a)을 형성하여 산포(2)와 고정부재(72)의 상호간 고정부위가 상걸쇠(7)의 회전시에 우산대(4)나 상부캡(9)과 상호간 간섭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우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걸쇠(7)는 우산대(4)의 상부에 별도의 고정대(76)를 고정 설치하고, 이 고정대(76)에 상걸쇠(7)를 끼워 상걸쇠(7)가 상기 고정대(76)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걸쇠(7)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78)를 상기 고정대(76)에 설치하며, 상걸쇠(7)엔 산포(2)를 끼우고 상부로부터 캡(9)를 씌워 고정하여 산포부위(3)의 회전시에 상걸쇠(7), 산포(2) 및 캡(9)이 함께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우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걸쇠(8)가 우산대(4)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외측엔 다수의 우산살(1)이 힌지 상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우산대(4)에 끼워 설치되어지되, 본체(80)에 통상의 로크기구(10)의 후크부(15)가 걸어 고정될 수 있는 단턱(82)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우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82)이 본체(80)의 외주연이나 내주연 전체에 걸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우산.
  7. 제1항에 있어서,
    우산살(1)이 다수 힌지 형태로 외주연에 설치되는 하걸쇠(8)를, 우산대(4)에 끼워지고 외주연에 단턱(84)이 형성된 별도의 받침부재(86)에 회전이 가능하게 끼워 설치하고, 하걸쇠(4)의 상부로서 상기 받침부재(86)엔 상부 소켓(88)을 설치하여 하걸쇠(4)가 상방으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우산.
KR2020010000794U 2001-01-12 2001-01-12 회전 우산 KR2002277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794U KR200227797Y1 (ko) 2001-01-12 2001-01-12 회전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794U KR200227797Y1 (ko) 2001-01-12 2001-01-12 회전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797Y1 true KR200227797Y1 (ko) 2001-06-15

Family

ID=73053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794U KR200227797Y1 (ko) 2001-01-12 2001-01-12 회전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79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188B1 (ko) * 2006-06-12 2007-02-12 김창남 회전우산 및 회전구
KR100712479B1 (ko) 2006-08-21 2007-04-27 박진영 회전 기능과 록킹 수단을 갖는 우산
KR200451333Y1 (ko) 2010-09-10 2010-12-09 강성삼 회전 우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188B1 (ko) * 2006-06-12 2007-02-12 김창남 회전우산 및 회전구
KR100712479B1 (ko) 2006-08-21 2007-04-27 박진영 회전 기능과 록킹 수단을 갖는 우산
KR200451333Y1 (ko) 2010-09-10 2010-12-09 강성삼 회전 우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39930B1 (en) Canopy tent with automatic umbrella-type collapsible frame
US9151072B2 (en) Foldable tent
US7942159B2 (en) Foldable tent frame
KR20140051097A (ko) 우산
JP4417436B2 (ja) 補強されたリブ構造を有する折り畳み傘
AU2002223147A1 (en) Canopy tent with automatic umbrella-type collapsible frame
KR200227797Y1 (ko) 회전 우산
US9844250B1 (en) Anti-turning umbrella frame
US6056465A (en) Lipstick case
US7448399B2 (en) Umbrella
KR200241355Y1 (ko) 회전 우산
KR200411422Y1 (ko) 회전우산의 구조
CN114764208A (zh) 折叠式摄影灯反光装置
WO2000022951A1 (en) Umbrella
KR200382342Y1 (ko) 회전 우산
GB2599475A (en) Inverted unfolding structure
KR200339799Y1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CN214252841U (zh) 折叠式摄影灯反光装置
US11044972B2 (en) Umbrella having an exterior stretcher frame
EP1486136B1 (en) Umbrella with a rotatable canopy
KR20050088026A (ko)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장치
KR200359030Y1 (ko) 우산식 자동텐트 프레임
KR200415943Y1 (ko) 회전형 걸림수단이 구비된 우산 살대의 지지 구조
KR101170508B1 (ko) 캐빈텐트의 프레임
KR200411424Y1 (ko) 회전우산의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1026

Effective date: 200311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1229

Effective date: 20040722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810

Effective date: 20060728

J222 Remand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REMAND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818

Effective date: 200611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