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5279A -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 및 고지해섬장치 - Google Patents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 및 고지해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5279A
KR20050085279A KR1020057009946A KR20057009946A KR20050085279A KR 20050085279 A KR20050085279 A KR 20050085279A KR 1020057009946 A KR1020057009946 A KR 1020057009946A KR 20057009946 A KR20057009946 A KR 20057009946A KR 20050085279 A KR20050085279 A KR 20050085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fiber material
island
cylindrical memb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9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0328B1 (ko
Inventor
마사오 야마다
Original Assignee
타마팩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마팩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타마팩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5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5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B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0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4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 D21B1/12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by wet methods, by the use of steam
    • D21B1/30Defibrating by other means
    • D21B1/34Kneading or mixing; Pulpers
    • D21B1/345Pulp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B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0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4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 D21B1/12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by wet methods, by the use of steam
    • D21B1/30Defibrating by other means
    • D21B1/32Defibrating by other means of waste pa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4Pap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고지의 해섬비용을 저감하면서 정보의 누설을 방지하고, 또한 폐액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 가능한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 및 고지해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고지해섬장치(13)에 있어서, 고지(11-1)의 무게의 60∼100%의 수분을 탱크(13-5)에 주입하여 복수의 날개를 구비하는 회전날개(13-7)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지(11-1)를 해섬시키며, 그 해섬된 섬유소재(11-2)를 제지공장(15) 또는 재생제품공장(16)에 반송하여 재생지, 용기, 장식물, 원예용의 토양, 철도용의 침목, 단열재, 불연재, 식물용 배양지, 완충재, 폐액필터, 배연필터 또는 기름흡착재 등 재생제품을 제조한다.

Description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 및 고지해섬장치{WASTE PAPER FIBROUS MATERIAL UTILIZATION SYSTEM AND WASTE PAPER DISINTEG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고지를 섬유소재로 해섬(解纖)하고, 그 섬유소재로부터 여러 가지 재이용제품을 제조하는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특히, 사업소 등으로부터 나오는 기밀문서, 신문지, 잡지 등에 의거하는 고지를 낭비없이 재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고지를 해섬하기 위한 고지해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업소나 가정으로부터 발생하는 고지(예를 들면, 사용완료복사용지, 신문지, 잡지, 사용완료 골판지, 라미네이트지 등)는 우선 고지회수업자(예를 들면, 신문점, 청소업자, 또는 자치회 등)에 의해 리어카나 소형차 등으로 수집되어 건장(建場)이라 불리는 수집장소에 모아진다. 그리고 모아진 고지는 선별되어 소정의 크기로 곤포되어서 중형트럭 등으로 제지원료상이라 불리는 고지의 도매상으로 운반된다. 그리고 제지원료상에 보관되어 있는 고지는 제지회사 등의 주문에 따라서 대형트럭 등으로 그 제지회사의 창고 등에 운반된다.
또, 제지회사의 공장 등에서는 펄퍼(물과 함께 고지를 교반하여 잉크를 고지로부터 탈락시키거나, 섬유를 희게하는 약을 가하거나 하는 장치)로 고지를 섬유소재로 하고, 그 섬유소재로부터 클리너 및 스크린(섬유소재보다도 무거운 물질을 원심력으로 제거하는 장치)으로 철물, 플라스틱 등의 여분의 물질을 제진처리한다. 그리고 플로테이터(액화한 섬유소재속에 공기를 불어넣어 거품과 함께 잉크를 들뜨게 하여 섬유소재와 잉크를 분리시키는 장치)로 섬유소재로부터 잉크를 제거하고, 시크너(섬유소재에 압력을 걸어여 탈수하는 장치)로 탈수한다. 종래는 이와 같은 공정에 의해 고지로부터 섬유소재를 얻고 있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9-38629호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그 섬유소재로부터 재생지 등을 제조하는 것이 실행되고 있었다.
또,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2-125456호, 특개2001-140180호, 특개2000-1801호, 특개평8-284100호, 특개평8-19769호, 특개평7-82686호, 특개평7-16810호, 특개평6-313299호, 특개평5-246465호, 또는 특개평9-271663호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그 섬유소재와 소정의 첨가재를 혼합함으로써 장식물, 원예용의 토양, 철도용의 침목, 단열재, 불연재, 식물용 배양지, 완충재, 또는 기름흡착재 등을 제조하는 것도 실행되어 왔다.
또,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8-215595호, 특개평7-26483호, 특개평6-292837호, 특개평6-154636호, 특개평6-134332호, 또는 특개평6-134331호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고지를 해섬하는 방법으로서는 물을 가하지 않는 건식과, 소정량의 물을 가하는 습식이 있다.
건식의 고지해섬방법은 고지를 해섬할 때에 먼지나 정전기가 발생하여 버려 위생면에 문제가 있다. 또, 고지를 해섬하는 장치에 과대한 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효율 좋게 고지를 해섬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습식의 고지해섬방법은 예를 들면 물을 가하면서 고지를 해섬하여 가므로 먼지나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 고지를 해섬하는 장치에 걸리는 부하도 저감되므로 효율 좋게 고지를 해섬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11-169738호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고지해섬방법에서는 고지를 미리 슈레더 등에 의해 미세한 종이조각으로 재단하고, 그 종이조각을 해섬한다고 하는 방법도 있다.
예를 들면, 종래에서는 슈레더 등의 고지를 재단하는 장치를 탑재한 차량이 사업소 등에 출장가서 그 사업소 등으로부터 나오는 기밀서류를 슈레더 등에 의해 미세하게 재단한 후, 그 재단처리된 고지를 곤포하여 재생지공장 등에 반송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을 하기의 첨부도면과 함께 참조하면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고지로부터 재생지 또는 재생제품이 창조되기까지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A는 고지해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고지해섬장치를 화살표 A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고지해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다른 내부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다른 내부뚜껑을 아래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4C는 다른 내부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4D는 다른 내부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다른 내부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다른 내부뚜껑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C는 다른 내부뚜껑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회전날개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6B는 회전날개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도 7A는 다른 형상의 회전날개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7B는 다른 형상의 회전날개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도 8A는 다른 형상의 회전날개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8B는 다른 형상의 회전날개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도 9A는 다른 형상의 회전날개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9B는 다른 형상의 회전날개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A는 다른 형상의 회전날개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B는 다른 형상의 회전날개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A는 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11B는 탱크를 바로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A∼F는 다른 구성의 탱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고지해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A∼H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는 다른 형상의 회전날개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16B는 다른 형상의 회전날개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도 16C는 다른 형상의 회전날개를 화살표 B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7A는 다른 형상의 회전날개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17B는 다른 형상의 회전날개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도 17C는 다른 형상의 회전날개를 화살표 C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B는 원기둥형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D는 다른 원기둥형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A는 구멍뚫음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B는 구멍뚫음장치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도 23C∼H는 스파이크형상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A∼D는 수용부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A는 다른 탱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B는 다른 탱크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26A는 다른 형상의 회전날개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26B는 다른 형상의 회전날개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도 27A는 다른 형상의 회전날개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27B는 다른 형상의 회전날개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도 28A∼E는 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에 의해 해섬되는 고지를 배양용토로 할 때의 이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A∼G는 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에 의해 해섬되는 고지를 배양용토로 할 때의 이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A∼D는 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에 의해 해섬되는 고지를 배양용토로 할 때의 이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A∼D는 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에 의해 해섬되는 고지를 단열재로 할 때의 이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A∼D는 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에 의해 해섬되는 고지를 단열재로 할 때의 이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A∼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A∼F는 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에 의해 해섬되는 고지를 배양용토로 할 때의 이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A∼J는 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에 의해 해섬되는 고지를 배양용토로 할 때의 이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은 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에 의해 해섬되는 고지를 배양용토로 할 때의 이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지를 섬유상으로 해섬하는 공정(펄퍼공정), 섬유소재로부터 잉크를 제거하는 공정(플로테이터공정) 및 섬유소재를 탈수하는 공정(시크너공정)에서는 대량의 물(예를 들면, 사용되는 고지의 양에 대해서 약 100배의 물의 양)이 필요하고, 동시에 대량의 폐액을 발생시켜 버린다. 그리고 이 대량의 폐액을 정화하기 위한 설비에 방대한 비용이 든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 습식의 고지해섬방법에서는 각 공정에 사용되는 장치, 예를 들면 펄퍼나 플로테이터 등의 장치는 그 구성이 복잡하고, 장치의 크기도 크므로 설치 때에 넓은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섬유소재를 탈수할 때에 폐액와 함께 섬유소재의 일부가 흘러나가 버린다고 하는 일이 있어 고지의 모든 양을 재생지나 재생제품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사용되는 고지 중, 70%의 고지가 재생지나 재생제품으로 재이용되고, 나머지 30%의 고지가 폐액와 함께 흘러나가 재이용할 수 없는 상황으로 되어 있다.
또, 사업소, 관공서 또는 대학 등으로부터 나오는 사용완료 컴퓨터용지나 사용완료 복사용지 등의 고지는 그 고지에 기재되는 기밀정보의 누설을 저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슈레더 등으로 판독 불가능하도록 미세하게 재단하거나, 그대로 소각하거나 하고 있다. 그와 같은 슈레더 등으로 재단된 고지도 제지공장이나 재생제품공장 등에 반송되어 리사이클되는데, 섬유의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고지가 물에 떠버려 리사이클이 곤란하거나, 재생지나 재생제품의 품질이 그다지 좋지 않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 고지를 회수 또는 반송하기 위해 그 수송비가 들거나, 하루에 발생하는 대량의 고지를 재단하기 위해 인건비나 설비비가 많이 들거나 한다. 그로 인해 재생지나 재생제품을 제조할 때의 비용이 통상의 목재 등으로부터 종이나 펄프제품을 제조하는 것보다도 3할 정도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문제점을 고려에 넣어 고지를 해섬할 때에 드는 비용을 저감하고, 또한 폐액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 가능한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 및 고지해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하와 같은 구성을 채용했다.
즉, 본 발명의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은 고지를 섬유소재로 해섬하는 해섬수단과, 상기 섬유소재로부터 재생품을 생성하는 재생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해섬수단은 고지를 해섬하여 섬유화 가능하며, 또한 해섬 후의 섬유소재를 압축해도 폐액이 나오지 않는 범위내의 양의 물을 사용하여 상기 고지를 섬유소재로 해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할 물의 양을 격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저비용이고, 또한 양질인 재생지 또는 재생제품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은 해섬할 고지의 무게와 해섬할 때에 사용되는 물의 무게의 비를 1 대 0. 6∼1. 0으로 하는 경우의 해당 물을 사용하여 상기 고지를 제품비율 100%로 해섬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예를 들면 종래의 사업소 등에서 발생하는 사용완료 복사용지를 고지 1 대 물 0. 6∼1. 0의 비율의 물을 사용하여 해섬함으로써 그 해섬된 고지를 슈레더 등으로 재단하는 일 없이 직접 재생지 또는 재생제품의 원재료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고지에서 재생지 또는 재생제품까지의 제조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하는 물의 양을 격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저비용이고, 또한 양질인 재생지 또는 재생제품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의 상기 생성수단은 상기 섬유소재와 소정의 첨가물(예를 들면, 석고, 고무, 호재(糊材), 충전재, 세라믹분말, 숯분말, 구리선, 철선, 시멘트, 무기질분체, 제오라이트의 어느 것인가 1개 또는 2개 이상이 배합된 것)을 혼합하여 어떤 특성을 갖는 물질을 형성하도록 구성해도 좋고, 또, 상기 섬유소재를 소정의 색으로 착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 재생제품, 예를 들면, 판지, 장식물, 원예용의 토양, 철도용의 침목, 단열재, 불연재, 식물용 배양지, 완충재, 배연필터, 폐유필터 또는 기름흡착재 등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고지해섬장치는 고지를 섬유소재로 해섬하는 고지해섬장치이고, 중심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날개를 갖는 회전날개와, 해당 회전날개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지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고지를 해섬하여 섬유화 가능하고, 또한 해섬 후의 섬유소재를 압축해도 폐액이 나오지 않는 범위내의 양의 물을 상기 수용부에 주입하는 주입수단과,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고지의 종류, 조합 및 무게에 의거하여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의 주입수단은 상기 고지의 무게와 해당 고지를 해섬할 때에 사용되는 물의 무게의 비를 1 대 0. 6∼1. 0으로 하는 경우의 해당 물을 상기 수용부내에 주입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종래의 사업소 등에서 발생하는 사용완료 복사용지를 고지 1 대 물 0. 6∼1. 0의 비율의 물을 사용하여 해섬함으로써 그 해섬된 고지를 슈레더 등으로 재단하는 일 없이 직접 재생지 또는 재생제품의 원재료로 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양질인 재생지 또는 재생제품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는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고지의 종류, 조합 및 무게에 의거하여 회전시간 및 상기 물의 양을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더욱 효율 좋게 고지를 해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 소정길이의 돌기물을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고지가 떠올라 회전날개가 공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 좋게 고지를 해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 밥공기형 부재 또는 원추형 부재가 설치되어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고지가 떠올라 회전날개가 공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 좋게 고지를 해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는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뚜껑에 1개 이상의 구멍이 설치되어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뚜껑을 여는 일 없이 수용부내의 상태를 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외측으로부터 구멍에 막대를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수용부내에서 고지가 상승하여 뚜껑의 근처에서 편향하여 쌓이는 경우는 고지를 그 막대로 눌러서 밑으로 내릴 수 있어 효율 좋게 고지를 해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뚜껑의 이면에 고지를 눌러서 밑으로 내리기 위한 기구를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고지가 떠올라 회전날개가 공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 좋게 고지를 해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는 상기 밥공기형 부재 또는 원추형 부재의 내측면에 소정길이의 돌기물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에 따라, 고지가 떠올라 회전날개가 공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 좋게 고지를 해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의 회전날개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 측면과 상기 복수의 날개의 선단부분에 소정 크기의 틈새가 생기게 형성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회전날개에 걸리는 고지의 양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회전날개에 걸리는 부담을 저감할 수 있어 회전날개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는 상기 복수의 날개가 상기 회전날개의 중심보다 바깥쪽에 이르는 것에 따라 넓어지게 형성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회전날개의 회전동작에 의한 작용으로 수용부의 내측 측면 부근에 집중하는 고지를 효율 좋게 분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의 회전날개가 상기 수용부에 2개 이상 설치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각 회전날개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회전날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는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뚜껑의 내측면에 상기 회전날개를 1개 이상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수용부의 내측 측면에만 회전날개가 설치되는 구성의 경우에 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고지를 해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 측면에 1개 이상의 상기 회전날개가 설치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회전날개의 회전동작에 의한 작용으로 수용부의 내측 측면 부근에 집중하는 고지를 효율 좋게 해섬(분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는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고, 해당 수용부의 외측으로부터 해당 수용부의 내부의 상태를 관찰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고지를 소망한 해섬상태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를 밝게 하는 조명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수용부내의 상태를 더욱 명료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의 수용부는 해당 수용부 저면의 중심점과 해당 수용부 개구부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축과, 지면에 대해서 수직인 축으로 이루어지는 각도가 소정각도를 갖고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수용부의 아래쪽 측에 집중하여 고지가 쌓이므로 효율 좋게 고지를 해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의 수용부는 복수의 수용부로 이루어지고, 해당 복수의 수용부 중의 소정의 수용부에서 해섬된 고지를 해당 소정의 수용부와는 별도의 수용부에서 해섬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회전날개에 걸리는 전체적인 부담을 분산할 수 있으므로 각 회전날개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어 각 회전날개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고지해섬장치는 고지를 섬유소재로 해섬하는 고지해섬장치이고, 상기 고지를 수용하며, 측면이 소정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1개 이상의 돌기부재와, 고지를 해섬하여 섬유화 가능하고, 또한 해섬 후의 섬유소재를 압축해도 폐액이 나오지 않는 범위내의 양의 물을 상기 수용부에 주입하는 주입수단과,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고지의 종류, 조합 및 무게에 의거하여 상기 수용부의 측면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회전날개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지를 해섬시키는 고지해섬장치와 마찬가지로 소망한 해섬상태로 고지를 해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고지해섬장치는 고지를 섬유소재로 해섬하는 고지해섬장치이고, 상기 고지를 수용하며, 뚜껑이 소정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뚜껑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1개 이상의 돌기부재와, 고지를 해섬하여 섬유화 가능하고, 또한 해섬 후의 섬유소재를 압축해도 폐액이 나오지 않는 범위내의 양의 물을 상기 수용부에 주입하는 주입수단과,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고지의 종류, 조합 및 무게에 의거하여 상기 수용부의 뚜껑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회전날개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지를 해섬시키는 고지해섬장치와 마찬가지로 소망한 해섬상태로 고지를 해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은 고지를 섬유소재로 해섬하는 해섬장치의 대출처인 사용자가 구비하는 단말장치와, 상기 섬유소재로부터 재생품을 생성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해섬장치에 있어서의 고지의 해섬작업을 감시하는 감시수단과, 해당 감시수단의 감시내용을 나타내는 감시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감시수단으로부터 수신하여 기록하는 관리수단과, 해당 관리수단에서 기록되는 감시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해섬장치는 고지를 해섬하여 섬유화 가능하고, 또한 해섬 후의 섬유소재를 압축해도 폐액이 나오지 않는 범위내의 양의 물을 사용하여 상기 고지를 섬유소재로 해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기밀서류 등의 고지의 해섬작업을 통상의 업무를 실행하면서도 용이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의 회전날개는 중심으로부터 각각 동일직선방향으로 연장하는 2장의 날개를 갖고, 해당 2장의 날개의 각각의 위에 상기 회전날개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고지와 충돌하여 상기 고지를 분쇄하는 분쇄판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회전날개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지를 소망한 해섬상태로 해섬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의 분쇄판은 상기 2장의 날개 위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직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및 상기 2장의 날개에 대해서 윗방향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회전날개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지를 소망한 해섬상태로 해섬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의 회전날개는 상기 2장의 날개 위에 상기 분쇄판보다 도 높고, 또한 가늘고 긴 돌기부재가 설치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회전날개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지를 소망한 해섬상태로 해섬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의 회전날개는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수용부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회전날개의 회전에 의해 상승하여 버리는 고지도 해섬할 수 있어 수용부에 넣어진 모든 고지를 효율 좋게 해섬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의 수용부에 설치되는 뚜껑은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중에 상기 수용부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회전날개의 회전에 의해 상승하여 버리는 고지도 해섬할 수 있어 수용부에 넣어진 모든 고지를 효율 좋게 해섬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는 상기 수용부의 외주에 설치되어 소정온도의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와, 해당 발열부가 발생시키는 열의 온도를 조정하는 조정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양호하게 고지를 해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고지해섬장치는 고지를 섬유상으로 해섬하는 고지해섬장치이고, 상기 고지 전체에 소정량의 수분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서 소정량의 수분이 포함된 고지를 수용하며, 상기 공급부에서 소정량의 물이 포함된 고지를 섬유상으로 해섬시키는 회전날개를 갖는 제 1 수용부와,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 1 수용부의 아래쪽 또는 가로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날개에 의해 섬유상으로 해섬된 고지를 수용하는 제 2 수용부와, 상기 제 1 수용부와 상기 제 2 수용부를 칸막이하는 벽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날개에 의해 섬유상으로 해섬된 고지가 통과하는 크기의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제 1 수용부에서 해섬된 고지를 그 제 1 수용부의 아래쪽에 구비되는 제 2 수용부에 수용할 수 있으므로 해섬된 고지를 가로로 이동시키는 종래의 고지해섬장치보다도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공급부에 의해 고지 전체에 소정량의 수분을 포함시킬 수 있으므로 섬유상으로 할 수 없는 부분을 만드는 일 없이 고지 전체를 섬유상으로 해섬할 수 있어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또, 공급부에 의해 고지 전체에 소정량의 수분을 포함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 고지에 수분을 포함시키지 않고 해섬함으로써 발생하고 있었던 종이가루, 정전기 또는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의 공급부는 상기 고지의 한쪽의 면과 접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고지를 상기 제 1 수용부에 송출하는 제 1 원기둥형 부재와, 상기 고지의 다른쪽의 면과 접하여 상기 제 1 원기둥형 부재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고지를 상기 제 1 수용부에 송출하는 제 2 원기둥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제 1 원기둥형 부재 및 상기 제 2 원기둥형 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소정량의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고지해섬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는 동시에, 기밀성을 높이고, 해섬시의 종이가루, 정전기 또는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의 공급부는 상기 제 1 원기둥형 부재 및 상기 제 2 원기둥형 부재의 양쪽에 상기 소정량의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고지해섬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는 동시에, 기밀성을 높이고, 해섬시의 종이가루, 정전기 또는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는 상기 제 1 수용부와 상기 제 2 수용부를 칸막이하는 벽에 설치되어 상기 구멍을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모든 고지가 완전하게 섬유상으로 되기까지 제 1 수용부에 고지를 수용시켜 둘 수 있으므로 더욱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는 해섬전의 복수의 상기 고지를 수용하는 제 3 수용부와, 상기 제 3 수용부로부터 상기 공급부에 소정시간 간격으로 상기 고지를 송출하는 송출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공급부에 고지를 송출하는 공정을 사람의 손을 통하는 일 없이 실행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의 공급부는 상기 고지의 한쪽의 면과 접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고지를 상기 제 1 수용부에 송출하는 제 1 원기둥형 부재와, 상기 고지의 다른쪽의 면과 접하여 상기 제 1 원기둥형 부재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고지를 상기 제 1 수용부에 송출하는 제 2 원기둥형 부재와, 상기 제 1 원기둥형 부재 및 상기 제 2 원기둥형 부재에서 송출되는 상기 고지에 상기 소정량의 물을 안개상으로 하여 분무하는 분무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고지해섬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는 동시에, 기밀성을 높여 해섬시의 종이가루, 정전기 또는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의 제 1 수용부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서 구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고지해섬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는 동시에, 기밀성을 높여 해섬시의 종이가루, 정전기 또는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의 회전날개는 상기 제 1 수용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구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고지해섬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는 동시에, 기밀성을 높여 해섬시의 종이가루, 정전기 또는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는 상기 제 1 원기둥형 부재의 측면에 등간격으로 나열하는 원형상의 복수의 칼날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원기둥형 부재의 측면에 상기 복수의 칼날과 대응하는 복수의 홈이 설치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제 2 수용부에 수용되기 전에 고지를 소정의 크기로 재단시킬 수 있으므로 회전날개에 걸리는 부담을 저감할 수 있어 회전날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는 상기 제 1 원기둥형 부재의 측면에 복수의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원기둥형 부재의 측면에 상기 복수의 볼록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오목부가 설치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고지가 제 1 수용부에 수용되기 전에 고지에 복수의 구멍을 뚫을 수 있으므로 고지를 빨리 해섬할 수 있는 동시에, 회전날개에 걸리는 부담을 저감할 수 있어 회전날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의 제어부는 동축상에 구비되는 복수의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더욱 효율 좋게 고지를 섬유상으로 해섬할 수 있는 동시에, 1개의 회전날개에 걸리는 부담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회전날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의 공급부는 상기 고지의 한쪽의 면과 접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고지를 상기 제 1 수용부에 송출하는 제 3 원기둥형 부재와, 상기 고지의 다른쪽의 면을 누르는 누름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 3 원기둥형 부재는 측면에 복수의 스파이크형상 부재가 설치되어 구성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제 1 수용부에 수용되기 전에 고지에 복수의 구멍을 뚫을 수 있으므로 고지를 빨리 해섬할 수 있는 동시에, 회전날개에 걸리는 부담을 저감할 수 있어 회전날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의 제 1 수용부는 내측 측면에 1개 이상의 돌기물이 설치되어 구성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수분을 포함한 고지를 제 1 수용부의 내측에 붙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의 제 1 수용부는 내측 측면에 나선상의 홈이 설치되어 구성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수분을 포함한 고지를 제 1 수용부의 내측에 붙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의 제 1 수용부는 내측 측면에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의 홈이 설치되어 구성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수분을 포함한 고지를 제 1 수용부의 내측에 붙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의 수용부는 상기 2개 이상의 회전날개의 각 회전직경을 따른 측면을 갖는 기둥부재를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수용부의 내측 측면에 해섬되지 않는 고지가 남는 일이 없어져 대량의 고지를 효율 좋게 해섬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의 회전날개는 회전축상에 원기둥부재가 설치되고, 해당 원기둥부재의 측면에 막대상부재가 설치되어 구성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소음을 억제하면서 더욱 고지를 효율 좋게 해섬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의 회전날개는 회전축상에 원기둥부재가 설치되고, 해당 원기둥부재의 측면에 끈부재가 설치되어 구성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소음을 억제하면서 더욱 고지를 효율 좋게 해섬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의 재생수단은 상기 섬유소재를 소정의 형으로 성형된 세로로 반 가른 청죽(靑竹)과 같은 반원통체, 반각통체, 그 밖의 반통체 또는 세로로 반 가르지 않는 청죽과 같은 원통체, 각통체, 그 밖의 통체에 넣고, 수직녹화(綠化), 매달음녹화, 그 밖의 녹화에 상기 섬유소재를 배양용토로서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섬유소재를 배양용토로서 이용함으로써 흙을 사용하지 않고 식물을 심을 수 있으며, 또한 그 배양용토는 통체 등으로부터 흘러 넘치는 일이 없으므로 저비용으로 옥상의 정원가꾸기, 수직녹화 또는, 매달음녹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의 재생수단은 상기 섬유소재와 붕소, 방연재, 난연재, 그 밖의 소재를 혼합하여 난연성 섬유소재를 형성하고, 해당 난연성 섬유소재를 난연 가공된 상자, 주머니, 그 밖의 용기에 충전하여 단열재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경량이고 저가인 단열재를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의 재생수단은 상기 섬유소재에 물 또는 액비를 스며들게하여 침봉으로서의 배양용토를 생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저비용으로 옥상의 정원가꾸기, 수직녹화 또는 매달음녹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은 고지를 해섬하여 섬유화 가능하고, 또한 해섬 후의 섬유소재를 압축해도 폐액이 나오지 않는 범위내의 양의 물을 사용하여 상기 고지를 섬유소재로 해섬하는 해섬수단과,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서 상기 섬유소재로부터 재생품을 생성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해섬수단에 있어서의 고지의 해섬작업 및 상기 재생수단에 있어서의 재생품의 생성작업을 감시하여 기록하는 감시수단과, 상기 감시수단에서 기록된 감시내용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가 구비하는 단말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희망으로 하는 재생품을 고지로부터 용이하게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10)은 복수의 사업소(12, (12-1, 12-2, 12-3,ㆍㆍㆍ))와, 사업소(12)내에서 발생하는 사용완료 컴퓨터용지, 복사용지, 팩스용지, 신문지, 광고지, 팜플렛, 잡지, 보드지, 골판지 등의 고지(11-1)를 섬유소재(11-2)로 해섬하는 고지해섬장치(13)와, 고지해섬장치(13)의 판매, 렌털, 유지보수 등을 실행하는 장치취급소(14)와, 섬유소재(11-2)를 원재료로 하여 재생지(11-3)를 제조하는 제지공장(15)과, 섬유소재(11-2)를 원재료로 하여 단열재나 완충재 등의 재생제품(11-4)을 제조하는 재생제품공장(16)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10)은 상기 장치취급소(14)가 섬유소재(11-2)를 제지공장(15)이나 재생제품공장(16) 등에 반송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반송회사가 섬유소재(11-2)를 제지공장(15) 또는 재생제품공장(16) 등에 반송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섬유소재(11-2)는 소정의 곤포용의 상자 또는 주머니에 채워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10)에 있어서 고지(11-1)로부터 재생지(11-3) 또는 재생제품(11-4)이 제조되기까지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2는 고지(11-1)로부터 재생지(11-3) 또는 재생제품(11-4)이 제조되기까지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스텝S1에 있어서, 사업소(12)는 미리 장치취급소(14)로부터 고지해섬장치(13)를 구입 또는 렌털하여 둔다. 이때 예를 들면, 장치취급소(14)의 유지보수담당자는 정기적으로 각 사업소(12)에 가 고지해섬장치(13)의 유지보수의 서비스를 실행한다. 또, 장치취급소(14)의 반송담당자는 섬유소재(11-2)의 반송 등의 서비스를 실행한다. 또, 고지해섬장치(13)의 판매가격이나 렌털요금은 종래 각 사업소(12)가 고지를 처분할 때에 들고 있었던 처분비용에 따른 금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스텝S2에 있어서, 사업소(12)에서는 각 층계나 각 부서 등으로부터 나오는 고지(11-1)를 수집하여 소정의 수집장소에 모은다. 이때 예를 들면 사업소(12)내에 미리 고지(11-1)를 해섬만을 하기 위한 작업장소를 설치하여 두고, 그 작업장소에 고지해섬장치(13)를 설치하여 그 작업장에 각 층계나 각 부서 등으로부터 수집한 사용완료 복사용지나 신문지 등의 고지(11-1)를 갖고 가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스텝S3에 있어서, 고지해섬장치(13)는 회수된 고지(11-1)를 섬유상의 섬유소재(11-2)로 해섬한다.
그리고 스텝S4에 있어서, 섬유소재(11-2)는 소정의 골판지나 주머니 등에 넣어져 장치취급소(14) 또는 반송회사에 의해 제지공장(15) 또는 재생제품공장(16)에 반송된다.
그리고 스텝S5에 있어서, 제지공장(15)은 섬유소재(11-2)로부터 판지, 복사용지, 노트, 리포트용지, 두루마리화장지, 종이기저귀, 티슈페이퍼 등의 재생지(11-3)를 제조하고, 재생제품공장(16)은 섬유소재(11-2)와 소정의 첨가물을 혼합함으로써 장식물, 원예용의 토양, 철도용의 침목, 단열재, 불연재, 식물용 배양지, 배연필터, 폐유필터 또는 기름흡착재 등의 재생제품(11-4)을 제조한다. 또, 섬유소재(11-2)의 재질을 그대로 이용하여 완충재를 형성시켜도 좋다. 또한, 섬유소재(11-2)로부터 재생지(11-3)를 제조하는 경우는 섬유소재(11-2)를 탈색하는 공정이나 표백하는 공정 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섬유소재(11-2)로부터 재생제품(11-4)을 제조하는 경우에서 섬유소재(11-2)에 잉크 등이 섞여 있어도 좋은 경우는 섬유소재(11-2)와 첨가물을 혼합하는 공정만으로 좋다.
즉, 예를 들면 섬유소재(11-2)와 시멘트나 석고를 혼합함으로써 건축용 벽재, 장식물, 용기, 액자, 인공대리석, 방음재 또는 식물용 배양지 등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섬유소재(11-2)를 이용하여 식물용 배양지를 제조하는 경우는 섬유소재(11-2)에 시멘트나 석고를 혼합시키지 않고 섬유소재(11-2)를 그대로 화분 등에 넣어 토양 대신에 사용해도 좋다. 이 경우, 섬유소재(11-2)에 비료 등을 섞는 것으로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섬유소재(11-2)를 이용하여 식물용 배양지를 제조하는 경우, 그 식물용 배양지는 일반적으로 식물용 배양지로서 이용되는 토양 등과 비교하여 가볍고, 보수성이나 통기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또, 섬유소재(11-2)를 이용한 식물용 배양지는 섬유끼리가 얽혀 있기 때문에 물을 주어도 토양과 같이 화분 등으로부터 흘러 나오는 일 없이, 또, 바람에 의해 비산하지 않는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그로 인해 섬유소재(11-2)를 이용한 식물용 배양지는 건물이 밀집하는 지역의 건물의 옥상이나 베란다 등의 특수한 장소에서 사용해도 주위에 폐를 끼치는 일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 섬유소재(11-2)와 고무를 혼합함으로써 완충재를 제조할 수 있다.
또, 섬유소재(11-2)와 호재, 충전재, 세라믹분말, 숯분말, 사질토양의 개량재 등과 혼합함으로써 원예용의 토양을 제조할 수 있다.
또, 섬유소재(11-2)와 구리선, 철선,시멘트 등을 혼합함으로써 철도용의 침목을 제조할 수 있다.
또, 섬유소재(11-2)와 무기질 분체(석고나 탄산칼슘, 붕소계, 탄산마그네슘, 실리카, 알루미나, 제오라이트 등의 난연재)를 혼합함으로써 단열재, 불연재, 방취재, 방부재 또는 방후재(防朽材)를 제조할 수 있다.
또, 섬유소재(11-2)와 조습재를 혼합해도 좋다.
또, 섬유소재(11-2)에 첨가물을 혼합하지 않는 경우는 완충재, 폐유, 배연, 수증기, 경유차의 입자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기름흡착재 또는 탄화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섬유소재(11-2)에 첨가물을 가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하는 경우는 섬유소재(11-2)를 비벼 합치면서 압력을 가함으로써 효율 좋게 섬유소재(11-2)를 견고하게 굳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섬유소재(11-2)를 그대로 이용하는 경우는 액체 또는 기체에 포함되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섬유소재(11-2)를 필터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그 섬유소재(11-2)에 메밀껍질, 땅콩껍질 또는 왕겨 등의 곡물의 껍질이나 파라핀과 섞어도 좋다. 이와 같이, 섬유소재(11-2)를 필터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그 섬유소재(11-2)에 곡물의 껍질이나 파라핀을 섞음으로써 곡물의 껍질이나 파라핀이 섬유소재(11-2)의 응축화를 방지하고, 기름성분을 흡수하면서 물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섬유소재(11-2)를 이용한 필터를 하수도관의 필터로서 사용함으로써 하수도관이 막히는 일 없이 기름성분 등의 폐기물을 하수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또, 섬유소재(11-2)와 풀이나 삼나무껍질 등의 식물섬유를 혼합하고, 또한 붕산이나 제오라이트 등을 혼합함으로써 건축재료로서의 단열재, 흡음재 또는 방화재를 제조할 수 있다.
또, 섬유소재(11-2)를 조립기(造粒機)로 입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 섬유소재(11-2)와 소정 색의 안료를 혼합함으로써 섬유소재(11-2)를 여러 가지 색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첨가물 이외의 첨가물 및 상기 첨가물을 복합한 것과 섬유소재(11-2)를 혼합함으로써 여러 가지 재생제품(11-4)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지해섬장치(13)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고지해섬장치(13)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A는 고지해섬장치(13)의 외관사시도이며, 도 3B는 고지해섬장치(13)를 화살표 A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고지해섬장치(13)의 단면도이다.
도 3A에 있어서, 고지해섬장치(13)는 본체부(13-1)와, 외부뚜껑(13-2)과, 전원스위치(13-3)와, 스타트스위치(13-4)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 3B에 있어서, 본체부(13-1)는 고지(11-1)를 수용하기 위한 탱크(13-5)와, 외부뚜껑(13-2)과 탱크(13-5)의 사이에 설치되는 내부뚜껑(13-6)과, 중심으로부터 연장하는 4개의 날개를 구비하여 회전함으로써 고지(11-1)가 해당 4개의 날개에 부딪치는 것으로 고지(11-1)를 분쇄시키는 회전날개(13-7)와, 탱크(13-5)의 아래쪽부에 설치되어 탱크(13-5)에 넣어지는 고지(11-1)의 무게를 계량하는 센서(13-8)와, 센서(13-8)의 계량결과에 의거하여 탱크(13-5)에 소정 무게의 물을 주입하는 물주입수단(13-9)과, 회전날개(13-7)를 벨트(13-10)를 통하여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13-11)와, 모터(13-11)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13-12)과, 내부뚜껑(13-6)의 내측에 설치되는 소정길이(예를 들면, 5cm 정도)의 돌기물(13-13)로 구성된다.
또한, 외부뚜껑(13-2)은 화살표방향으로 가동하고, 내부뚜껑(13-6)은 끼워 넣음식으로 되어 있다. 또, 회전날개(13-7)가 회전함으로써 고지(11-1)가 상승해도 돌기물(13-13)에 의해 고지(11-1)를 낙하시켜 고지(11-1)를 효율 좋게 해섬할 수 있다.
또, 제어수단(13-12)은 고지(11-1)의 종류, 조합 및 무게에 의거하여 회전속도, 회전시간 및 주입하는 수량(水量)을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때 고지(11-1)의 종류 및 조합은 고지해섬장치(13)의 조작자가 미리 미도시의 입력수단에 의해 제어수단(13-12)에 입력되고, 그 입력결과에 의거하여 제어수단(13-12)이 회전속도 또는 회전시간을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물주입수단(13-9)은 물을 분사하여 탱크(13-5)에 주입해도 좋다.
또,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뚜껑(13-6)은 그 내부뚜껑(13-6)의 아래쪽에 밥공기형 부재(13-14)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4B는 내부뚜껑(13-6)에 밥공기형 부재(13-14)가 설치되는 것을 아래쪽에서 본 도면이고, 도 4C는 옆에서 본 도면이다.
또, 내부뚜껑(13-6)과 밥공기형 부재(13-14)는 용접에 의해 접합해도 좋고, 볼트 등으로 접합해도 좋다.
또, 도 4B 및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뚜껑(13-6)에 직경 15∼25φ의 구멍(13-15)을 2개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구멍(13-15)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내부뚜껑(13-6)에 구멍(13-15)을 설치함으로써 뚜껑을 여는 일 없이 수용부내의 상태를 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외측으로부터 구멍(13-15)에 막대 등을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수용부내에서 고지(11-1)가 상승하여 회전날개(13-7)에 고지(11-1)가 부딪치지 않게 되는 경우는 고지를 막대로 눌러 내릴 수 있어 효율 좋게 고지를 해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승하는 고지(11-1)를 자동적으로 눌러 내리는 기구를 내부뚜껑(13-6)에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도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뚜껑(13-6)은 그 내부뚜껑(13-6)의 아래쪽에 원추형 부재(13-16)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그리고 내부뚜껑(13-6) 및 원추형 부재(13-16)의 소정장소에 구멍(13-15)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밥공기형 부재(13-14) 또는 원추형 부재(13-16)만을 탱크(13-5)의 내부뚜껑으로서 사용해도 좋다.
또, 밥공기형 부재(13-14) 또는 원추형 부재(13-16)를 자동적으로 상하운동시키기 위한 기구를 설치하여 상승하는 고지(11-1)를 눌러 내리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도 4의 원추형 부재(13-16)와는 다른 형상의 원추형 부재(13-16)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도 5A에 나타내는 원추형 부재(13-16)는 내부뚜껑(13-6)으로부터 아래쪽(도 5에 있어서 하향)에 이르는 것에 따라 내부뚜껑(13-6)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넓어지는 형상이고, 그 측면은 완만한 곡면상으로 되어 있다.
또, 도 5B에 나타내는 원추형 부재(13-16)는 부재 내부의 측면에 1개 이상의 돌기물(13-17)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돌기물(13-17)에 고지해섬장치(13)가 구동함으로써 상승하는 고지가 충돌함으로써 그 상승하는 고지를 아래쪽(도 5에 있어서 하향)으로 눌러 내릴 수 있다.
또, 도 5C에 나타내는 원추형 부재(13-16)는 내부 상면에 돌기물(13-18)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돌기물(13-18)에 고지해섬장치(13)가 구동함으로써 상승하는 고지가 충돌함으로써 그 상승하는 고지를 아래쪽(도 5에 있어서 하향)으로 눌러 내릴 수 있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13)에서는 외측으로부터 탱크(13-5)내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구멍(13-15)이 내부뚜껑(13-6)에 설치되어 있는데, 탱크(13-5) 내부의 상태를 고지해섬장치(13, 탱크(13-5))의 외측으로부터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면, 구멍(13-5)은 고지해섬장치(13, 탱크(13-5))에 있어서 어디에 설치되어도 좋다.
또, 구멍(13-5)에는 해섬중의 고지가 그 구멍(13-5)으로부터 튀어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유리판 등의 투명한 판을 장착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고지해섬장치(13)의 외측으로부터 탱크(13-5)내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촬상장치(예를 들면, 비디오카메라 등)를 고지해섬장치(13)에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리고 고지해섬장치(13)에 탱크(13-5)내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구멍이나 촬상장치를 구비하는 경우, 탱크(13-5)내의 상태를 더욱 명료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탱크(13-5)내에 조명장치를 장착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멍(13-5)이나 촬상장치 등 탱크(13-5) 내부를 관찰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고지해섬장치(13, 탱크(13-5))에 구비함으로써 고지의 해섬상태를 소망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6A는 회전날개(13-7)를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6B는 회전날개(13-7)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회전날개(13-7)는 4개의 날개(13-7a∼13-7d)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날개(13-7)가 회전함으로써 이 4개의 날개(13-7a∼13-7d)의 상부 또는 하부에 고지(11-1)가 부딪쳐 고지(11-1)를 섬유상으로 해섬한다. 또한, 회전날개(13-7)는 철,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그 밖의 합금 등 특별히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 회전날개(13-7)의 날개의 수는 2개 이상 갖고 있으면, 날개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각 날개(13-7a∼13-7d)의 중심측의 상부(도 6B에 나타내는 범위 B의 부분)는 수평면(도 6의 지면(紙面)수평방향)으로부터 60도의 각도를 가진 경사로 되어 있다. 또, 각 날개(13-7a∼13-7d)의 외측의 측면부(도 6B에 나타내는 범위 C의 부분)는 수직면(도 6의 지면 수직방향)으로부터 15도의 각도를 가진 경사로 되어 있다. 또한, 각 날개(13-7a∼13-7d)에 설치된 경사각도 60도 및 15도는 한 예이고, 고지가 걸리지 않고 날개가 원활하게 회전 가능하며, 또한 충분한 해섬작용이 얻어지는 각도이면, 이들 경사각도는 어떠한 범위내로 설정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각 날개(13-7a∼13-7d)의 중심측의 상부가 소정의 각도로 커트되어 있으므로 고지(11-1)가 회전하여 고지(11-1)에 원심력이 발생해서 외측으로 끌어당겨져도 그 부분에 고지(11-1)가 걸리지 않으므로 효율 좋게 고지(11-1)를 해섬할 수 있다. 또, 각 날개(13-7a∼13-7d)의 외측의 측면부가 소정의 각도로 커트되어 있으므로 각 날개(13-7a∼13-7d)와 탱크(13-5)의 측면부의 사이에 고지(11-1)가 쌓여도 원활하게 회전날개(13-7)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 도 7A는 다른 형상의 회전날개(13-7)를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7B는 다른 형상의 회전날개(13-7)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는 회전날개(13-7)는 4개의 날개(13-7e∼13-7h)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날개(13-7)가 회전함으로써 이 4개의 날개(13-7e∼13-7h)에 고지(11-1)가 부딪쳐 고지(11-1)를 섬유상으로 해섬한다. 또한, 회전날개(13-7)는 철,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그 밖의 합금 등 특별히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 회전날개(13-7)의 날개의 수는 2개 이상 갖고 있으면, 날개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각 날개(13-7e∼13-7h)의 중심측의 상부(도 7B에 나타내는 범위 D의 부분)는 수평면에 대해서 60도의 각도를 가진 경사로 되어 있다. 또, 각 날개(13-7e∼13-7h)의 외측의 측면부(도 7B에 나타내는 범위 E의 부분)는 수직면에 대해서 15도의 각도를 가진 경사로 되어 있다. 또한, 각 날개(13-7e∼13-7h)에 설치된 경사 각도 60도 및 15도는 한 예이고, 고지가 걸리지 않고 날개가 원활하게 회전 가능하며, 또한 충분한 해섬작용이 얻어지는 각도이면, 이들 경사각도는 어떠한 범위내로 설정되어도 좋다. 또, 각 날개(13-7e∼13-7h)의 중심측의 상부가 수평면에 대해서 60도의 각도를 유지하고, 또, 측면부가 수직면에 대해서 15도의 각도를 유지하고 있으면, 각 날개(13-7e∼13-7h)의 날개의 크기(높이)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각 날개(13-7e∼13-7h)의 중심측의 상부가 소정의 각도로 커트되어 있으므로 고지(11-1)가 회전하여 고지(11-1)에 원심력이 발생해서 외측으로 끌어당겨져도 그 부분에 고지(11-1)가 걸리지 않으므로 효율 좋게 고지(11-1)를 해섬할 수 있다. 또, 각 날개(13-7e∼13-7h)의 외측의 측면부가 소정의 각도로 커트되어 있으므로 각 날개(13-7e∼13-7h)와 탱크(13-5)의 측면부의 사이에 고지(11-1)가 쌓여도 원활하게 회전날개(13-7)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 도 8A는 다른 형상의 회전날개(13-7)를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8B는 다른 형상의 회전날개(13-7)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회전날개(13-7)는 4개의 날개(13-7i∼13-7l)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날개(13-7)가 회전함으로써 이 4개의 날개(13-7i∼13-7l)에 고지(11-1)가 부딪쳐 고지(11-1)를 섬유상으로 해섬한다. 또한, 회전날개(13-7)는 철,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그 밖의 합금 등 특별히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 회전날개(13-7)의 날개의 수는 2개 이상 갖고 있으면, 날개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각 날개(13-7i∼13-7l)의 중심측의 상부(도 8B에 나타내는 범위 F의 부분)는 수평면에 대해서 60도의 각도를 가진 대략 곡선상의 경사로 되어 있다. 또, 각 날개(13-7i∼13-7l)의 외측의 측면부(도 8B에 나타내는 범위 G의 부분)는 수직면에 대해서 10도의 각도를 가진 경사로 되어 있다. 또한, 각 날개(13-7i∼13-7l)에 설치된 경사각도 60도 및 10도는 한 예이고, 고지가 걸리지 않고 날개가 원활하게 회전 가능하며, 또한 충분한 해섬작용이 얻어지는 각도이면, 이들 경사각도는 어떠한 범위내로 설정되어도 좋다. 또, 각 날개(13-7i∼13-7l)의 중심측의 상부가 수평면에 대해서 60도의 각도를 유지하고, 또, 측면부가 수직면에 대해서 15도의 각도를 유지하고 있으면, 각 날개(13-7i∼13-7l)의 날개의 크기(높이)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각 날개(13-7i∼13-7l)의 단부는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5도로 커트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날개(13-7i∼13-7l)의 중심측의 상부가 소정의 각도로, 또한, 곡선을 이루도록 커트되어 있으므로 고지(11-1)가 회전하여 고지(11-1)에 원심력이 발생해서 외측으로 끌어당겨져도 그 부분에 고지(11-1)가 걸리지 않으므로 효율 좋게 고지(11-1)를 해섬할 수 있다. 또, 각 날개(13-7i∼13-7l)의 외측의 측면부가 소정의 각도로 커트되어 있으므로 각 날개(13-7i∼13-7l)와 탱크(13-5)의 측면부의 사이에 고지(11-1)가 쌓여도 원활하게 회전날개(13-7)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 각 날개(13-7i∼13-7l)가 회전날개(13-7)의 중심점으로부터 바깥쪽에 이르는 것에 따라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날개(13-7)의 회전동작에 의한 작용으로 수용부의 내측 측면 부근에 집중하는 고지를 효율적으로 분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도 9A는 다른 형상의 회전날개(13-7)를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9B는 다른 형상의 회전날개(13-7)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날개(13-7)는 4개의 날개(13-7m∼13-7p)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날개(13-7)가 회전함으로써 이 4개의 날개(13-7m∼13-7p)에 고지(11-1)가 부딪쳐 고지(11-1)를 섬유상으로 해섬한다. 또한, 회전날개(13-7)는 철,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그 밖의 합금 등 특별히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 회전날개(13-7)의 날개의 수는 2개 이상 갖고 있으면, 날개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각 날개(13-7m∼13-7p)의 중심측의 상부(도 9B에 나타내는 범위 H의 부분)는 수평면에 대해서 60도의 각도를 가진 대략 곡선상의 경사로 되어 있다. 또, 각 날개(13-7m∼13-7p)의 외측의 측면부(도 9B에 나타내는 범위 I의 부분)는 수직면에 대해서 15도의 각도를 가진 경사로 되어 있다. 또한, 각 날개(13-7m∼13-7p)에 설치된 경사각도 60도 및 15도는 한 예이고, 고지가 걸리지 않고 날개가 원활하게 회전 가능하며, 또한, 충분한 해섬작용이 얻어지는 각도이면, 이들 경사각도는 어떠한 범위내로 설정되어도 좋다. 또, 각 날개(13-7m∼13-7p)의 중심측의 상부가 수평면에 대해서 60도의 각도를 유지하고, 또, 측면부가 수직면에 대해서 15도의 각도를 유지하고 있으면, 각 날개(13-7m∼13-7p)의 날개의 크기(높이)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각 날개(13-7m∼13-7p)의 단부는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5도로 커트되어 있다.
또, 각 날개(13-7m∼13-7p)의 단부 외측의 측면(도 9B에 나타내는 범위 I의 부분)은 탱크(13-5)의 내측 측면에 대해서 V자형으로 커트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날개(13-7m∼13-7p)의 외측의 측면부가 V자형으로 커트되어 있으므로 각 날개(13-7m∼13-7p)의 외측의 측면부에 고지가 걸리기 어려워져 회전날개(13-7)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즉, 회전날개에 걸리는 고지의 양을 저감할 수가 있으므로, 회전날개에 걸리는 부담을 저감 할 수 있어 회전날개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각 날개(13-7m∼13-7p)를 갖는 회전날개(13-7)는 각 날개(13-7m∼13-7p)의 상부의 단으로부터 탱크(13-5)의 내측 측면까지의 거리가 25mm 정도의 간격이 되도록, 또, 각 날개(13-7m∼13-7p)의 하부의 단으로부터 탱크(13-5)의 내측 측면까지의 거리가 15mm 정도의 간격이 되도록 탱크(13-5)의 저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각 날개(13-7m∼13-7p)의 중심측의 상부가 소정의 각도로 커트되어 있으므로 고지(11-1)가 회전하여 고지(11-1)에 원심력이 발생해서 외측으로 끌어당겨져도 그 부분에 고지(11-1)가 걸리지 않으므로 효율 좋게 고지(11-1)를 해섬할 수 있다. 또, 각 날개(13-7m∼13-7p)의 외측의 측면부가 소정의 각도로 커트되어 있으므로 각 날개(13-7m∼13-7p)와 탱크(13-5)의 측면부의 사이에 고지(11-1)가 쌓여도 원활하게 회전날개(13-7)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 각 날개(13-7m∼13-7p)가 회전날개(13-7)의 중심점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이르는 것에 따라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날개(13-7)의 회전동작에 의한 작용으로 수용부의 내측 측면 부근에 집중하는 고지를 효율 좋게 분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도 10A는 다른 형상의 회전날개(13-7)를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10B는 다른 형상의 회전날개(13-7)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날개(13-7)는 4개의 날개(13-7q∼13-7t)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날개(13-7)가 회전함으로써 이 4개의 날개(13-7q∼13-7t)에 고지(11-1)가 부딪쳐 고지(11-1)를 섬유상으로 해섬한다. 또한, 회전날개(13-7)는 철,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그 밖의 합금 등 특별히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 회전날개(13-7)의 날개의 수는 2개 이상 갖고 있으면, 날개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각 날개(13-7q∼13-7t)의 중심측의 상부(도 10B에 나타내는 범위 J의 부분)는 수평면에 대해서 60도의 각도를 가진 경사로 되어 있다. 또, 각 날개(13-7q∼13-7t)의 외측의 측면부(도 10B에 나타내는 범위 K의 부분)는 수직면에 대해서 15도의 각도를 가진 경사로 되어 있다. 또한, 각 날개(13-7q∼13-7t)에 설치된 경사각도 60도 및 15도는 한 예이고, 고지가 걸리지 않고 날개가 원활하게 회전 가능하며, 또한 충분한 해섬작용이 얻어지는 각도이면, 이들 경사각도는 어떠한 범위내로 설정되어도 좋다. 또, 각 날개(13-7q∼13-7t)의 중심측의 상부가 수평면에 대해서 60도의 각도를 유지하고, 또, 측면부가 수직면에 대해서 15도의 각도를 유지하고 있으면, 각 날개(13-7q∼13-7t)의 날개의 크기(높이)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각 날개(13-7q∼13-7t)의 단부는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5도로 커트되어 있다.
또, 각 날개(13-7q∼13-7t)의 단부의 측면(도 10B에 나타내는 범위 J의 부분)은 탱크(13-5)의 내측 측면에 대해서 V자형으로 커트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날개(13-7q∼13-7t)의 외측의 측면부가 V자형으로 커트되어 있으므로 각 날개(13-7q∼13-7t)의 외측의 측면부에 고지가 걸리기 어려워져 회전날개(13-7)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즉, 회전날개에 걸리는 고지의 양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회전날개에 걸리는 부담을 저감할 수 있어 회전날개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각 날개(13-7q∼13-7t)를 갖는 회전날개(13-7)는 각 날개(13-7q∼13-7t)의 상부의 단으로부터 탱크(13-5)의 내측 측면까지의 거리가 25mm 정도의 간격이 되도록, 또, 각 날개(13-7q∼13-7t)의 하부의 단으로부터 탱크(13-5)의 내측 측면까지의 거리가 15mm 정도의 간격이 되도록 탱크(13-5)의 저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각 날개(13-7q∼13-7t)의 중심측의 상부가 소정의 각도로 커트되어 있으므로 고지(11-1)가 회전하여 고지(11-1)에 원심력이 발생해서 외측으로 끌어당겨져도 그 부분에 고지(11-1)가 걸리지 않으므로 효율 좋게 고지(11-1)를 해섬할 수 있다. 또, 각 날개(13-7q∼13-7t)의 외측의 측면부가 소정의 각도로 커트되어 있으므로 각 날개(13-7q∼13-7t)와 탱크(13-5)의 측면부의 사이에 고지(11-1)가 쌓여도 원활하게 회전날개(13-7)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 각 날개(13-7q∼13-7t)가 회전날개(13-7)의 중심점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이르는 것에 따라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날개(13-7)의 회전동작에 의한 작용으로 수용부의 내측 측면 부근에 집중하는 고지를 효율 좋게 분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회전날개(13-7)를 복수 구비하는 경우의 고지해섬장치(13)를 생각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회전날개(13-7)를 3개 구비하는 경우의 고지해섬장치(13)의 탱크(13-5)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A는 탱크(13-5)의 사시도이며, 도 11B는 탱크(13-5)를 바로 위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도 11B에 나타내는 화살표 M은 각 회전날개(13-7)를 회전시킨 경우의 고지의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회전날개(13-7)는 고지해섬장치(13)의 탱크(13-5)의 내측 저면부에 서로 소정간격의 거리를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탱크(13-5)의 저면의 직경을 80cm, 각 회전날개(13-7)의 직경을 32cm로 하는 경우, 회전날개(13-7)의 단으로부터 탱크(13-5)의 내측 측면까지의 거리를 15mm 정도로 하고, 각 회전날개(13-7)간의 거리를 5c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고지가 각 회전날개(13-7)에 걸리는 일 없이 원활하게 각 회전날개(13-7)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들 3개의 회전날개(13-7)는 서로 같은 회전속도로 회전시켜도 좋고, 서로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시켜도 좋다. 또, 3개의 회전날개(13-7)의 회전방향(우회전 또는 좌회전)을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켜도 좋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고지해섬장치(13)의 탱크(13-5)의 내측 저면부에 회전날개(13-7)를 복수 구비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개개의 회전날개(13-7)에 걸리는 부하가 3분의 1 정도로 저감되므로 회전날개(13-7)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13-11)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13-11)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 회전날개(13-7) 및 모터(13-11)의 구동의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수십kg 또는 수백kg의 고지를 해섬시키는 것이 가능한 대형의 고지해섬장치(13)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회전날개(13-7)를 3개의 모터로 각각 구동 제어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3개의 회전날개(13-7)는 탱크(13-5)의 내측 측면부에 소정간격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3개의 회전날개(13-7)는 내부뚜껑(13-6)의 아래쪽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12A∼F는 다른 구성의 탱크(13-5) 및 회전날개(13-7)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A∼도 12F는 탱크(13-5)를 바로 위에서 본 도면이다.
우선, 도 12A는 저면이 원인 탱크(13-5)의 저면부에 회전날개(13-7)가 2개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12A에 나타내는 2개의 회전날개(13-7)는 1개의 모터(13-11)로 구동시켜도 좋고, 2개의 회전날개(13-7)에 각각 대응하는 모터(13-11)를 2개 설치하여 2개의 회전날개(13-7)를 각각 구동 제어시켜도 좋다.
또, 도 12B는 저면이 타원형상(또는, 대략 직사각형)인 탱크(13-5)의 저면부에 회전날개(13-7)가 2개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12B에 나타내는 2개의 회전날개(13-7)는 도 12A에 나타내는 2개의 회전날개(13-7)와 마찬가지로 1개의 모터(13-11)로 구동시켜도 좋고, 2개의 회전날개(13-7)에 각각 대응하는 모터(13-11)를 2개 설치하여 2개의 회전날개(13-7)를 각각 구동 제어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탱크(13-5)의 저면부에 회전날개(13-7)를 2개 설치하는 경우, 탱크(13-5)의 저면을 타원(또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도 12A에 나타내는 탱크(13-5)보다도 저면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고지해섬장치(13)를 작게 구성할 수 있다.
또, 도 12C는 저면이 대략 삼각형상인 탱크(13-5)의 저면부에 회전날개(13-7)가 3개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12C에 나타내는 3개의 회전날개(13-7)는 1개의 모터(13-11)로 구동시켜도 좋고, 3개의 회전날개(13-7)에 각각 대응하는 모터(13-11)를 3개 설치하여 3개의 회전날개(13-7)를 각각 구동 제어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탱크(13-5)의 저면부에 회전날개(13-7)를 3개 설치하는 경우, 탱크(13-5)의 저면을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도 11에 나타내는 탱크(13-5)보다도 저면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고지해섬장치(13)를 작게 구성할 수 있다.
또, 도 12D는 저면이 대략 4각형상인 원기둥의 탱크(13-5)의 저면부에 회전날개(13-7)가 4개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12D에 나타내는 4개의 회전날개(13-7)는 1개의 모터(13-11)로 구동시켜도 좋고, 4개의 회전날개(13-7)에 각각 대응하는 모터(13-11)를 4개 설치하여 4개의 회전날개(13-7)를 각각 구동 제어시켜도 좋다.
또, 도 12E는 저면이 원형상인 원기둥의 탱크(13-5)의 저면부에 회전날개(13-7)가 5개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12E에 나타내는 5개의 회전날개(13-7)는 1개의 모터(13-11)로 구동시켜도 좋고, 5개의 회전날개(13-7)에 각각 대응하는 모터(13-11)를 5개 설치하여 5개의 회전날개(13-7)를 각각 구동 제어시켜도 좋다.
또, 도 12F는 저면이 원형상인 원기둥의 탱크(13-5)의 저면부에 회전날개(13-7)가 6개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12F에 나타내는 6개의 회전날개(13-7)는 1개의 모터(13-11)로 구동시켜도 좋고, 6개의 회전날개(13-7)에 각각 대응하는 모터(13-11)를 6개 설치하여 6개의 회전날개(13-7)를 각각 구동 제어시켜도 좋다.
또한, 탱크(13-5)의 형상은 도 12에 나타내는 탱크(13-5)에만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 마찬가지로 탱크(13-5)의 저면부에 설치되는 회전날개(13-7)도 도 12에 나타내는 회전날개(13-7)의 개수에 한정하지 않고, 7개 이상의 회전날개(13-7)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다음으로, 고지해섬장치(13)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3은 고지해섬장치(1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스텝ST1에 있어서, 고지해섬장치(13)의 조작자에 의해 전원스위치(13-3)가 넣어지고, 또한, 탱크(13-5)에 고지(11-1)가 넣어지면, 센서(13-8)가 고지(11-1)의 무게를 계량한다.
다음으로, 스텝ST2에 있어서, 고지(11-1)의 무게에 대해서 소정의 물을 탱크(13-5)에 주입한다. 이때 탱크(13-5)에 주입되는 물은 고지(11-1)가 해섬되기 쉽게 주입되고, 그 물의 양(무게)은 해섬 후의 섬유소재(11-2)를 압축해도 섬유소재(11-2)로부터 물이 일절 나오지 않는 양(무게)으로 한다. 이와 같이, 고지(11-1)에 대해서 적당한 양(무게)의 물을 가함으로써 폐액을 완전히 내지 않고 해섬할 수 있다. 즉, 고지(11-1)를 제품비율 100%로 해섬할 수 있다. 또, 고지(11-1)의 해섬시에 발생하는 먼지나 정전기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텝ST3에 있어서, 고지해섬장치(13)의 조작자에 의해 내부뚜껑(13-6, 밥공기형 부재(13-14) 또는 원추형 부재(13-16)만이라도 좋다) 및 외부뚜껑(13-2)이 닫혀지고, 스타트스위치(13-3)가 넣어지면, 소정의 회전속도로 회전날개(13-7)를 회전시킨다. 이때의 회전날개(13-7)의 회전속도는, 예를 들면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서서히 빨라지고, 소정시간 경과후, 회전날개(13-7)는 일정한 회전속도로 회전시킨다. 또한, 조작자에 의해 외부뚜껑(13-2)이 닫혀지면, 자동적으로 소정의 회전속도로 회전날개(13-7)를 회전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회전날개(13-7)의 회전속도를 증감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또, 회전날개(13-7)의 회전방향을 변경 가능(역회전하도록)하게 구성해도 좋다.
그리고 스텝ST4에 있어서, 미리 조작자에 의해 설정되어 있었던 구동시간이 경과되면, 회전날개(13-7)의 회전을 정지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표 1은 주입되는 물의 무게와 고지(11-1)의 무게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고, 1kg의 고지(11-1)에 대해서 주입되는 물의 양(무게)을 0, 0. 2, 0. 3, 0. 5, 0. 6, 0. 65, 0. 7, 0. 8, 1 및 1. 3kg으로 하는 경우에 각각의 경우에 대해서 실제로 해섬을 실행하며, 그 때의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의 고지(11-1)의 해섬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실험에 사용된 고지(11-1)는 사용완료 복사지 250g(예를 들면, A4사이즈의 복사지이면, 58매), 신문지 250g, 광고지 250g 및 잡지 250g(풀고정이나 호치키스고정된 금기품이라도 좋다)의 합계 1kg으로 하고, 회전날개(13-7)의 회전시간을 3∼6분간으로 하고 있다.
고지 1㎏에 대한 첨수량(㎏) 해섬상태
0 해섬불가 먼지다량
0. 2 해섬곤란 황(荒)분해
0. 3 해섬곤란 황분해 일부깃털상
0. 5 분해가 깃털상
0. 6 분해가 섬유화
0. 65 분해가 섬유화양호
0. 7 분해가 섬유화양호
0. 8 분해가 섬유화
1 분해가 단자상
1. 3 분해가 단자상 물기많음
표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1kg의 고지(11-1)에 대한 첨수량이 0. 6∼1. 0kg의 경우, 해섬 가능하고, 특히 0. 65kg의 경우, 가장 양호하게 고지(11-1)를 섬유상으로 해섬할 수 있다.
첨수량이 적으면(물: 0∼0. 3kg), 먼지나 정전기가 발생하거나, 섬유상으로 되지 않았거나, 섬유가 아직 거칠거나 한다. 반대로 첨수량이 너무 많으면(물: 1. 0kg이상), 단자상으로 되어 분해하지만 섬유화되지 않는다.
또, 3분간 동작시킨 경우는, 고지를 판독 불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어 정보누설의 방지가 된다. 또, 6분간 동작시킨 경우는, 고지를 섬유상으로 할 수 있고, 10분간 동작시킨 경우는, 고지를 셀룰로오스상으로 할 수 있다.
또, 이하에 나타내는 표 2는 사용완료 복사지 1kg, 신문지 1kg, 광고지 1kg, 및 잡지 1kg의 각각에 대해서 회전날개(13-7)를 6분간 회전시켜 가장 해섬상태가 좋은 경우의 첨수량(무게)을 나타내는 것이다.
고지의 종류 해섬상태가 좋은 경우의 첨수량(㎏)
사용완료 복사지 0. 6
신문지 0. 8
광고지 0. 65
잡지 0. 65
이와 같이, 고지(11-1)에 포함시킨 물의 양은 고지(11-1)의 종류에 의해 약간 변화하는데, 해섬할 고지(11-1)의 무게의 60∼100%의 첨수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복수종류의 고지를 해섬하는 경우는 65%의 첨수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를 들면, 상기 고지해섬장치(13)에 있어서, 탱크(13-5)에 고지(11-1)가 넣어지고, 센서(13-8)가 1kg의 고지(11-1)를 계량한 경우, 물주입수단(13-9)에 의해 600∼1000g의 물이 탱크(13-5)에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문지만, 또는 신문지의 비율이 많은 경우에는 첨수량을 조금 많이 할 필요가 있다.
또, 예를 들면 1 대의 고지해섬장치(13)를 사용하여 1kg의 A4사이즈의 복사지(구체적으로는 A4사이즈의 복사지 232장)를 해섬시키는 경우로, 3분간 고지해섬장치(13)를 동작시키는 경우, 1장의 복사지를 해섬시키는 시간은 0. 39초가 된다.
그리고 10대의 고지해섬장치(13)를 사용하여 1시간 동작시키는 경우는 200kg의 A4사이즈의 복사지를 1번에 해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의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10)에서는 각 사업소(12)에 있어서, 장치취급소(14)가 제공하는 고지해섬장치(13)에 의해 대량으로 발생하는 고지(11-1)를 슈레더를 사용하는 일 없이 재생지용 또는 재생제품용의 원재료로서 해섬할 수 있으므로 고지(11-1)에 기재되는 기밀정보의 누설을 막고, 저비용으로 고지(11-1)를 자원소재로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10)에서는 종래 제지공장(15)이나 재생제품공장(16)에서 실행되고 있었던 고지(11-1)의 해섬처리를 사업소(11)에서 실행할 수 있으므로 고지(11-1)의 회수에서 재생지(11-3) 또는 재생제품(11-4)의 제조까지의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해섬 후의 섬유소재(11-2)의 잉크 등을 탈색하지 않고 해섬한 채의 상태에서 재생제품(11-4)을 제조하는 경우는 고지해섬장치(13)에서 해섬되는 섬유소재(11-2)로부터 그대로 재생제품(11-4)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고지(11-1)에서 재생제품(11-4)의 제조까지의 공정을 적게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13)는 고지(11-1)의 무게의 60∼100%의 무게의 물을 그 고지(11-1)에 포함시키고, 그 수분을 포함한 고지(11-1)를 복수의 날개를 구비하는 회전날개(13-7)를 회전시킴으로서 해섬시키고 있으므로 종래의 습식의 고지해섬방법과 같이, 대량의 물을 사용하지 않고 완전하게 고지를 해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슬러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실험결과로부터 고지(11-1)의 무게에 대해서 60∼100%의 무게의 물을 그 고지(11-1)에 포함시켜 해섬하는 것으로 고지(11-1)를 양호하게 해섬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1kg의 고지(11-1)를 3∼6분간이라는 단시간에 해섬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13)는 종래의 고지를 해섬하는 장치와 같이 복잡한 구성으로 대형인 것은 아니므로 공간절약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 사업소, 관공서 또는 대학에서 나오는 기밀서류를 1번에 대량으로 해섬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고지를 1장 1장 슈레더 등으로 재단하는 것보다도 용이하게 정보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지해섬장치(13)에 있어서 해섬되는 고지(11-1)의 종류는 상기한 신문지나 사용완료 복사용지 등의 고지 이외도 적용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13)에서는 센서(13-9)에 의해 탱크(13-5)에 넣어지는 고지(11-1)의 양(무게)을 계량하고, 그 고지(11-1)의 양에 의거하여 소정량(무게)의 물을 탱크(13-5)에 주입하고 있는데, 소정량의 물의 주입작업을 장치(10)의 조작자가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때 작업자는 고지(11-1)의 무게를 재고, 그 고지(11-1)의 무게에 의거한 물의 양을 준비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13)에서는 처음에 규정량(60∼100%)의 물을 한 번에 넣고 있는데, 처음에 어느 정도의 물(예를 들면, 최저규정량의 60%의 물)을 넣고 있어서, 회전날개(13-7)를 회전시키면서 부족한 분량의 물을 서서히 가해 가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13)를 탑재한 차량을 사업소, 관공서 또는 대학 등에 출장시켜 그 자리에서 고지를 해섬시키는 시스템을 구축해도 좋다. 이때 고지를 해섬시키는 처리시간에 따라서 요금을 다르게 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눈앞에서 고지가 판독 불가능한 상태로 되므로 그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청구항에 기재한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구성을 채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구성변경도 가능하다.
(1) 상기 고지해섬장치(13)를 학교에 설치함으로써 그 학교의 기밀문서(테스트용지 등)나 신문지, 잡지, 복사지, 엽서, 봉투, 골판지, 그 밖의 고지를 해섬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기밀문서나 그 밖의 고지를 고지해섬장치(13)를 사용하여 해섬할 때, 그 해섬작업을 학교의 학생들에게 실행시킴으로써 환경문제 등에 대한 교육의 일환으로서 도움이 되게 할 수 있다. 또, 해섬작업에 의해 얻어지는 셀룰로오스상의 고지는 수업의 교재로서 리사이클제품을 제조할 때의 재료로 할 수 있다.
(2) 상기 고지해섬장치(13)를 상점가에 설치함으로써 그 상점가의 각 상점이나 상점가 주변의 가정으로부터 나오는 기밀문서나 그 밖의 고지(예를 들면, 헌신문지나 복사지 등)를 해섬할 수 있다. 그리고 고지해섬장치(13)를 사용하여 기밀문서나 그 밖의 고지를 해섬해서 셀룰로오스상의 고지가 얻어진다. 그리고 그 셀룰로오스상의 고지를 가공하여 리사이클제품을 제조하거나, 그 셀룰로오스상의 고지를 리사이클제품제조회사 등에서 제조된 리사이클제품과 교환하거나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지해섬장치(13)를 설치하는 상점가에 있어서의 지역환경을 호전시킬 수 있다.
(3) 상기 고지해섬장치(13)를, 예를 들면 복수의 기업 등이 1개의 빌딩에 입주하고 있는 복합 오피스빌딩 등에 설치함으로써 각 기업으로부터 나오는 기밀문서나 그 밖의 고지(예를 들면, 신문지나 복사지 등)를 해섬할 수 있다. 그리고 고지해섬장치(13)를 사용하여 기밀문서나 그 밖의 고지를 해섬해서 셀룰로오스상의 고지가 얻어지면, 셀룰로오스상의 고지를 리사이클제품 등과 교환할 수 있다.
(4) 학교, 상점가 또는 복합 오피스빌딩에서 작성되는 셀룰로오스상의 고지로부터 제조되는 리사이클제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조각그림 등에 사용되는 회화재, 컬러랩핑재, 튀김유흡착제, 화분, 석고나 시멘트로의 혼합재, 블록(벽돌), 집짓기놀이나무, 브론즈, 판지 등을 들 수 있다.
(5) 상기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13)에서는 탱크(13-5)의 저면부에 회전날개(13-7)를 1개 또는 복수 설치하고, 그 회전날개(13-7)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지를 해섬하는 구성인데,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13-5)의 내측 측면에 1개 이상의 돌기물을 설치하여 탱크(13-5)의 측면을 회전시킴으로써 그 돌기물에 고지를 충돌시킴으로써 고지를 해섬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6) 또, 고지해섬장치(13)는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측면에 1개 이상의 돌기물이 설치되는 탱크(13-5)의 측면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탱크(13-5)의 저면부에 설치되는 회전날개(13-7)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지를 해섬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7) 또, 고지해섬장치(13)는 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13-5)의 내부뚜껑(13-6)의 아래쪽면에 돌기물을 설치하고, 그 내부뚜껑(13-6)을 회전시킴으로써 고지를 해섬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8) 또, 고지해섬장치(13)는 도 1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13-5)의 내측 측면에 1 이상의 회전날개(13-7)를 설치하여 고지를 해섬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회전날개의 회전동작에 의한 작용으로 수용부의 내측 측면 부근에 집중하는 고지를 효율 좋게 분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9) 또, 고지해섬장치(13)는 도 14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13-5)의 내부뚜껑(13-6)의 아래쪽면에 회전날개(13-7)를 설치하고, 그들 회전날개(13-7)에 의해 고지를 해섬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10) 또, 고지해섬장치(13)는 도 14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13-5)의 내측 측면 및 내부뚜껑(13-6)의 아래쪽면에 회전날개(13-7)를 설치하고, 그들 회전날개(13-7)에 의해 고지를 해섬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수용부의 내측 측면에만 회전날개가 설치되는 구성의 경우에 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고지를 해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1) 또, 고지해섬장치(13)는 도 14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13-5)의 저면의 중심점과 개구부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중심축과, 지면에 대해서 수직인 축으로 이루는 각도 θ가 소정의 각도가 되도록 탱크(13-5) 및 회전날개(13-7)를 경사지게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탱크(13-5)의 아래쪽 측으로 오는 부분에 집중하여 고지가 쌓이므로 효율 좋게 고지를 해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2) 또, 고지해섬장치(13)는 도 14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13-5)를 복수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도 14H에 나타내는 고지해섬장치(13)는 한쪽의 탱크(13-5, 예를 들면, 탱크(13-5(a))가 다른쪽의 탱크(13-5, 예를 들면, 탱크(13-5(b))보다도 높은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탱크(13-5(a))의 아래쪽 부분과 탱크(13-5(b))의 윗쪽 부분에 고지를 통과시키기 위한 파이프(13-19)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예를 들면 도 14H에 나타내는 고지해섬장치(13)는 우선 탱크(13-5(a))에서 고지를 거칠게 해섬하고, 다음으로, 탱크(13-5(b))에 있어서, 거칠게 해섬된 고지를 소망의 해섬상태가 되기까지 해섬한다. 이에 따라, 회전날개(13-7)에 걸리는 전체적인 부담을 각 회전날개(13-7)에 분산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회전날개(13-7)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어 각 회전날개(13-7)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지해섬장치(13)에 구비되는 탱크(13-5)는 3개 이상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각각의 탱크(13-5)에 설치되는 회전날개(13-7)의 종류를 다르게함으로써 효율 좋게 고지를 해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3) 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150)을 채용할 수 도 할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150)은 고지해섬장치(13)를 그 고객인 관공서, 금융업자, 학교 또는 병원 등에 대해서 일정기간 그 고지해섬장치(13)의 조작에 숙련된 작업자와 함께 대출(렌털)하고, 그 렌털요금을 관공서, 금융업자, 학교 또는 병원 등에 청구하는 시스템이다.
관리센터(151)는 고객인 관공서, 금융업자, 학교 또는 병원 등에 상시 설치되는 거치식 고지해섬장치(152) 또는 차량 등에 탑재되는 이동식 고지해섬장치(153)에 있어서의 고지의 해섬작업을 감시하기 위해 거치해섬장치(152) 또는 이동식 해섬장치(153)의 가까이에 구비되는 비디오카메라(154, 영상을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신 가능) 또는 카메라부착 휴대전화(155)로부터의 영상데이터를 인터넷(156)을 통하여 수신한다. 그리고 관리센터(151)는 그 영상데이터를 고객처의 단말장치(컴퓨터 등)에 인터넷(156)을 통하여 송신한다.
또, 관리센터(151)는 거치식 해섬장치(152) 또는 이동식 해섬장치(153)가 해섬한 섬유소재(157)의 상태(관공서, 금융업자, 학교 또는 병원 등으로부터 회수된 섬유소재(157)가 보관되는 스톡야드(158)에 보관되는 섬유소재(157)의 양이나 질 등)를 나타내는 섬유소재데이터를 스톡야드(158)에 구비되는 단말장치로부터 인터넷(156)을 통하여 수신한다.
또, 관리센터(151)는 스톡야드(158)의 단말장치로부터 보내져 오는 섬유소재데이터에 의거하여 섬유소재(155)를 제지공장(15)이나 재생제품공장(16)에 트럭 등으로 배송한다라는 취지의 지시데이터를 스톡야드(158)에 있어서의 배송센터의 컴퓨터(미도시)에 인터넷(156)을 통하여 송신한다.
또, 관리센터(151)는 인공위성(159)으로부터 다른 고객의 비디오카메라(154) 등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화상데이터나 다른 스톡야드(158)로부터 보내져 오는 섬유소재데이터를 인터넷(156)을 통하여 수신한다.
그리고 제지공장(15)이나 재생제품공장(16)에 배송된 섬유소재(157)는 상기의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10)과 같이, 두루마리화장지, 티슈페이퍼, 복사지, 배연정화용 필터, 폐액정화용 필터, 건축자재, 방음재, 방취재, 판지, 화분, 타일, 벽돌 등의 재생지(11-3)나 재생제품(11-4)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재생지(11-3)나 재생제품(11-4)의 제조방법은 상기한 제조방법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150)에서는 고객처의 거치식 해섬장치(152) 또는 이동식 해섬장치(153)에 의해 생성된 섬유소재(157)를 관리센터(151)에서 매입하도록 구성해도 좋고, 섬유소재(157)와 각종 쿠폰권, 각종 교환권 또는 고지재생품 교환권을 교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관리센터(151)는 그 기능이 실행된다면,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일 없이 단체의 장치이어도, 복수의 장치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또는 통합장치이어도, LAN, WAN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처리가 실행되는 시스템이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버스에 접속된 CPU, ROM이나 RAM의 메모리, 입력장치, 출력장치, 외부기록장치, 매체구동장치, 가반(可搬)기록매체, 네트워크접속장치로 구성되는 시스템에서도 실현될 수 있다. 즉, 상기하여 온 실시형태의 시스템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코드를 기록한 ROM이나 RAM의 메모리, 외부기록장치, 가반기록매체를 관리센터(151)에 공급하고, 그 관리센터(151)의 컴퓨터가 프로그램코드를 판독하여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도 달성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 경우,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코드 자체가 본 발명의 신규 기능을 실현하는 것으로 되고, 그 프로그램코드를 기록한 가반기록매체 등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것으로 된다.
프로그램코드를 공급하기 위한 가반기록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플렉시블디스크, 하드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CD-ROM, CD-R, DVD-ROM, DVD-RAM, 자기테이프, 불휘발성의 메모리카드, ROM카드, 전자메일이나 PC통신 등의 네트워크 접속장치(바꾸어 말하면, 통신회로)를 통하여 기록한 여러 가지의 기록매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컴퓨터가 메모리상에 판독한 프로그램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상기한 실시형태의 기능이 실현되는 외에 그 프로그램코드의 지시에 의거하여 컴퓨터상에서 가동하고 있는 OS 등이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행하고, 그 처리에 의해서도 상기한 실시형태에 기능이 실현된다.
또한 가반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코드가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확장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확장유니트에 구비되는 메모리에 기입된 후, 그 프로그램코드의 지시에 의거하여 그 기능확장보드나 기능확장유니트에 구비되는 CPU 등이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행하고, 그 처리에 의해서도 상기한 실시형태의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150)에 있어서의 이동식 고지해섬장치(152)의 실노동시간, 요금 및 해섬처리능력 및 거치식 고지해섬장치(153)의 렌털기간, 렌털요금 및 해섬처리능력에 대해서 한 예를 설명한다.
이동식 고지해섬장치(153)의 실노동시간은 「AM 또는 PM코스(반일코스)」, 「AP코스(1일코스)」 및 「2일코스」의 3코스로 나눈다.
「AM 또는 PM코스」는 예를 들면 오전 또는 오후의 시간대에 있어서, 파견되는 작업자의 실노동시간이 2. 5시간 이내가 되도록 설정한다.
「AP코스」는 예를 들면 오전 및 오후의 시간대에 있어서, 파견되는 작업자의 실노동시간이 5시간 이내가 되도록 설정한다.
「2일코스」는 예를 들면 1일째의 오전 10시부터 2일째의 오후 4시까지의 시간대에 있어서, 파견되는 작업자의 실노동시간이 11시간이 되도록 설정한다.
또, 거치식 고지해섬장치(152)의 렌털기간은, 「1주간코스」, 「2주코스」, 및 「3주코스」의 3코스로 나눈다.
「1주코스」는 예를 들면 파견되는 작업자의 1일째∼5일째의 실노동시간이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가 되고, 오후 4시부터 섬유소재(157)의 반출이 시작되도록 설정한다.
「2주코스」는 예를 들면 파견되는 작업자의 1일째∼10일째의 실노동시간이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가 되고, 오후 4시부터 섬유소재(157)의 반출이 시작되도록 설정한다.
「3주코스」는 예를 들면 파견되는 작업자의 1일째∼15일째의 실노동시간이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가 되고, 오후 4시부터 섬유소재(157)의 반출이 시작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추가로 「4주코스」, 「8주코스」, 「12주코스」 및 「24주코스」를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 이동식 고지해섬장치(153)의 요금은, 예를 들면 파견작업자 1명의 경우, 「AM 또는 PM코스」가 5만엔, 「AP코스」가 8만엔, 「2일코스」가 15만엔이 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상기 이동식 고지해섬장치(153)의 요금은 1 대분의 요금이고, 2대를 사용하는 경우(2대를 번갈아 가동시키는 경우)는 1 대분의 요금의 60%증가가 되도록 해도 좋다.
또, 거치식 고지해섬장치(152)의 렌털요금은 파견작업자 1명의 경우, 「1주코스」가 25만엔, 「2주코스」가 38만엔, 「3주코스」가 50만엔, 「4주코스」가 60만엔, 「8주코스」가 114만엔, 「12주코스」가 171만엔, 「24주코스」가 324만엔이 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24주코스」이상의 렌털요금은 상기 각 코스로부터 4만엔을 뺀 요금이 되도록 설정해도 좋다. 또, 상기 거치식 고지해섬장치(152)의 렌털요금은 1 대분의 요금이고, 2대를 사용하는 경우(2대를 번갈아 가동시키는 경우)는 1 대분의 요금의 60%증가가 되도록 해도 좋다.
또, 이동식 고지해섬장치(153)와 거치식 고지해섬장치(152)의 해섬처리능력은 같고, 1 대분의 고지해섬장치의 해섬처리능력은 「AP 및 PM코스」의 경우, A4복사지로 50kg, 11600장 해섬 가능하며, 「AP코스」의 경우, A4복사지로 100kg, 23200장 해섬 가능하고, 「2일코스」의 경우, A4복사지로 220kg, 51040장 해섬 가능하며, 「1주코스」의 경우, A4복사지로 1일 6시간 3일간 가동하여 360kg, 1일 5시간 2일간 가동하여 200kg, 합계 560kg, 129920장 해섬 가능하다. 즉 A4복사지를 해섬하는 경우, 1시간(A4복사지 1kg을 3분 해섬하고, 20회 반복하는 경우)에 20kg, 4640장을 해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식 고지해섬장치(152) 및 이동식 고지해섬장치(153)의 처리능력은 1 대분의 처리능력이고, 2대를 사용하는 경우(2대를 번갈아 가동시키는 경우)는 1 대분의 처리능력에 대해서 180%의 처리능력이 된다.
또한 상기한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150)에 있어서의 이동식 고지해섬장치(152)의 실노동시간, 요금 및 해섬처리능력 및 거치식 고지해섬장치(153)의 렌털기간, 렌털요금 및 해섬처리능력은 한 예이고, 목적이나 구성 등에 따라서 여러 가지 변경 가능하다.
이와 같이, 고객은 고지해섬장치(13)의 동작이나 작업자의 동작의 모두를 비디오카메라(154) 또는 카메라부착 휴대전화(155)로부터 보내져 오는 화상데이터에 의해 인터넷(156)을 통하여 고지의 해섬작업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으므로 고지해섬작업의 현장에 입회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통상의 업무를 실행하면서 고지의 해섬작업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다.
(14)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13)에서 해섬되는 섬유소재(11-2)와 제오라이트를 혼합하고, 그 혼합한 것을 천연소재의 통기성이 좋은 주머니나 용기(예를 들면, 일본종이, 크래프트지에 구멍을 뚫은 것, 또는 무명 등에 의해 생성된 주머니 등)에 넣어 주로, 선도보관유지재 또는 방취재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종래에서는 선도를 보관 유지하기 위해 토르마린, 제오라이트, 알루미나, 산화티탄, 산화칼슘 등을 용기의 내측에 직접 도포하거나, 주머니속에 실리카겔 숯분말 등을 직접 넣거나 하고 있었다.
섬유소재(11-2)와 제오라이트가 혼합된 것은 청과물, 종자류, 가공식품 또는 어육류 등에서 발생하는 에틸렌, 알데히드, 알코올 등의 가스성분을 흡수한다.
이와 같이, 섬유소재(11-2)와 제오라이트가 혼합된 것은 과열의 억제, 품질열화의 방지, 방취 등의 효과가 있으므로 그 섬유소재(11-2)와 제오라이트가 혼합된 것이 포함되는 주머니나 용기는 청과물이나 어육류 등을 넣어도 그 청과물이나 어육류의 선도를 보관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섬유소재(11-2)와 제오라이트가 혼합된 것이 포함되는 주머니나 용기는 저가로 환경에 좋게 청과물이나 어육류의 선도를 보관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예를 들면 부직포나 무명 등의 포백의 한쪽의 면에 제오라이트를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도포하고, 그 제오라이트가 도포된 면을 내측으로 하여 주머니상으로 해서 그 주머니 속에 섬유소재(11-2)를 넣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제오라이트가 내측에 도포된 주머니에 청과물이나 어육류와 섬유소재(11-2)를 넣는 것에 의해서도 그 청과물이나 어육류의 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추가로 청과물이나 어육류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오라이트나 섬유소재(11-2)에 흡수시키거나 할 수 있다.
(15) 또, 도 16은 상기 회전날개(13-7)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A는 회전날개(13-7)를 위에서 본 도면을, 도 16B는 회전날개(13-7)를 옆에서 본 도면을, 도 16C는 회전날개(13-7)를 도 16B의 화살표 B방향에서 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A∼도 16C에 나타내는 회전날개(13-7)는 중심으로부터 각각 연장하는 2개의 날개(13-7u 및 13-7v)를 구비하고 있다. 또, 날개(13-7u 및 13-7v)는 도 16A∼도 1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날개 위에 고지(11-1)와 충돌하여 고지(11-1)를 분쇄하는 분쇄판(13-7w)이 3장씩 설치되고, 그 분쇄판(13-7w)은 날개(13-7u 및 13-7v) 위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날개(13-7)가 회전함으로써 이 2개의 날개(13-7u 및 13-7v) 및 분쇄판(13-w)에 고지(11-1)가 충돌하여 고지(11-1)를 섬유상으로 해섬한다. 또한, 회전날개(13-7)는 철,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그 밖의 합금이나 수지 등 특별히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 날개(13-7u 및 13-7v) 위에 설치되는 분쇄판(13-7w)의 수는 3장으로 한정되지 않고 몇 장이라도 좋다.
(16) 또, 도 17은 상기 회전날개(13-7)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A는 회전날개(13-7)를 위에서 본 도면을, 도 17B는 회전날개(13-7)를 옆에서 본 도면을, 도 17C는 회전날개(13-7)를 도 17B의 화살표 C방향에서 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7A∼도 17C에 나타내는 회전날개(13-7)는 중심으로부터 각각 연장하는 2개의 날개(13-7x 및 13-7y)를 구비하고 있다. 또, 날개(13-7x 및 13-7y)는 도 17A∼도 1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날개 위에 고지(11-1)와 충돌하여 고지(11-1)를 분쇄하는 분쇄판(13-7w)이 1장씩 설치되고, 그 분쇄판(13-7w)은 날개(13-7x 및 13-7y) 위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또, 날개(13-7x 및 13-7y)의 각각의 날개 위에 분쇄판(13-7w)보다도 높고, 또한 가늘고 긴 돌기부재(13-7z)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날개(13-7)가 회전함으로써 이 2개의 날개(13-7x 및 13-7y) 및, 분쇄판(13-7w) 및 돌기부재(13-7z)에 고지(11-1)가 충돌하여 고지(11-1)를 섬유상으로 해섬한다. 또한, 회전날개(13-7)는 철,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그 밖의 합금이나 수지 등 특별히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 날개(13-7x 및 13-7y) 위에 설치되는 돌기물(13-7z)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17)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13)는 회전날개(13-7)를 회전시키면서 탱크(13-5)의 설치위치를 바꾸지 않고 회전날개(13-7)만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도 좋다. 즉, 예를 들면 회전날개(13-7)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회전날개(13-7)의 아래쪽에 구비하고, 그 회전날개(13-7)를 구동시키는 모터마다 다른 모터로 회전날개(13-7)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회전날개(13-7)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회전날개(13-7)가 회전함으로써 상승한 고지(11-1)도 해섬할 수 있으므로 탱크(13-7)내에 넣어진 모든 고지(11-1)를 효율 좋게 해섬할 수 있다.
(18)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13)는 회전날개(13-7)를 회전시키면서 탱크(13-5)의 설치위치를 바꾸지 않고 내부뚜껑(13-6)만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내부뚜껑(13-6)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회전날개(13-7)가 회전함으로써 상승한 고지(11-1)도 해섬할 수 있으므로 탱크(13-7)내에 넣어진 모든 고지(11-1)를 효율 좋게 해섬할 수 있다.
(19) 또, 상기 고지해섬장치(13)는 탱크(13-5)의 외주에 니크롬선 등의 발열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그 발열부에 흘리는 전류량을 조정하여 탱크(13-5)내의 온도를 조정하는 조정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탱크(13-5)를 따뜻하게 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 실험의 결과 그 탱크(13-5)내의 온도는 40∼7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탱크(13-5)를 따뜻하게 함으로써 양호하게 고지(11-1)를 해섬할 수 있다.
(20) 도 1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18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고지해섬장치(180)의 내부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지해섬장치(180)는 고지(11) 전체에 소정량의 물을 공급하고, 고지(11)를 소정의 장소에 송출하는 기구를 갖는 공급부(181)와, 공급부(181)로부터 송출된 고지(11)를 수용하여 그 고지(11)를 섬유상으로 해섬시키는 회전날개(182)를 갖는 수용부(183, 제 1 수용부)와, 회전날개(182)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84)와, 수용부(183)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회전날개(182)에 의해 섬유상으로 해섬된 고지(11)를 수용하는 수용부(185, 제 2 수용부)와, 수용부(183)와 수용부(185)를 칸막이하는 벽에 설치되어 회전날개(182)에 의해 섬유상으로 해섬된 고지(11)가 통과하는 크기의 구멍(186)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 공급부(181)는 고지(11)의 한쪽의 면과 접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고지(11)를 수용부(183)에 송출하는 원기둥형 부재(187, 제 1 원기둥형 부재)와, 고지(11)의 다른쪽의 면과 접하여 원기둥형 부재(187)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고지(11)를 수용부(183)에 송출하는 원기둥형 부재(188, 제 2 원기둥형 부재)와, 원기둥형 부재(188)에 수분을 공급하는 탱크(189)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18B는 고지(11)가 원기둥형 부재(187 및 188)에 의하여 수용부(183, 도 18B에서는 미도시)의 쪽으로 송출되어 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지(11)는 한 쌍의 원기둥형 부재(187 및 188)에 의해 끼워지도록 하여 윗쪽으로부터 받아들여져 원기둥형 부재(187 및 188)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수용부(183)로 송출된다.
또, 상기 원기둥형 부재(187 및 188)의 측면의 긴쪽방향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A4사이즈의 고지(11)의 세로 또는 가로길이보다도 길게 형성함으로써 A4사이즈의 고지(11)를 수용부(183)에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상기 원기둥형 부재(187)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원기둥형 부재(187)의 측면과 고지(11)의 한쪽의 면이 접할 때에 고지(11)가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상기 원기둥형 부재(188)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고지(11)의 한쪽의 면과 접할 때에 고지(11)가 미끄러지지 않고, 또한 고지(11)의 한쪽의 면의 전체에 남김없이 소정량의 수분을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물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한 재질, 예를 들면 스펀지 등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상기 탱크(189)는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기둥형 부재(188)의 일부가 탱크(189)내의 물에 잠기도록 상부가 비어 있다. 그리고 원기둥형 부재(188)는 회전함으로써 원기둥형 부재(188)의 측면 모두가 탱크(189)내의 물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또, 탱크(189)를 원기둥형 부재(187)의 아래쪽에 또 1개 설치하여 원기둥형 부재(187 및 188)의 양쪽에 수분을 공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상기 공급부(181)에서 고지(11)의 전체에 공급하는 수분의 양은 섬유상으로 해섬된 후의 고지(11)를 압축해도 물이 나오지 않는 정도의 수분의 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탱크(189)내의 수량, 탱크(189)내로의 원기둥형 부재(188)의 잠김상태, 원기둥형 부재(188)의 물의 흡수성의 정도, 또는, 원기둥형 부재(187 및 188)에 의한 고지(11)의 반송속도 등을 조정함으로써 고지(11)의 전체에 공급하는 물의 양을 조정해도 좋다.
또, 상기 공급부(181)에서 고지(11)의 전체에 공급하는 물은 온수이어도 좋다.
또, 상기 회전날개(182)의 날개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제어부(184)는 회전날개(182)의 회전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예를 들면 모터를 포함하는 제어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구멍(186)은 수용부(183)와 수용부(185)를 칸막이하는 벽에 복수 설치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각각의 구멍(186)의 크기는 섬유상으로 된 고지(11)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고지(11)를 빨리 해섬할 수 있다.
또, 공급부(181)에 의해 고지(11) 전체에 소정량의 수분을 포함시킬 수 있으므로 고지(11) 전체를 섬유상으로 해섬할 수 있어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또, 공급부(181)에 의해 고지(11) 전체에 소정량의 수분을 포함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 고지(11)에 물을 포함시키지 않고 해섬함으로써 발생하고 있었던 종이가루, 정전기 또는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21) 도 1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19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고지해섬장치(190)의 내부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고지해섬장치(10)와 같은 구성의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 18D는 고지(11)가 원기둥형 부재(192 및 194)에 의하여 수용부(183, 도 18D에서는 미도시)의 쪽으로 송출되어 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고지해섬장치(190)가 특징으로 하는 바는 도 18C 또는 도 1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부(181)에 원형의 복수의 커터부(191)가 측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원기둥형 부재(192)와, 원기둥형 부재(192)의 커터부(191)와 대응하는 복수의 홈(193)이 측면에 설치되는 원기둥형 부재(194)를 구비하고 있는 바이다.
도 1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지(11)는 원기둥형 부재(192 및 194)에 잡히면서 소정의 크기로 재단되어 원기둥형 부재(192 및 194)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수용부(183)로 송출된다.
또, 상기 원기둥형 부재(192 및 194)의 측면의 긴쪽방향의 길이는 상기 원기둥형 부재(187 및 188)와 마찬가지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A4사이즈 고지(11)의 세로 또는 가로의 길이보다도 길게 형성함으로써 A4사이즈의 고지(11)를 수용부(183)에 송출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상기 원기둥형 부재(192) 재질은 상기 원기둥형 부재(187)와 마찬가지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고지(11)의 한쪽의 면과 접할 때에 고지가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상기 원기둥형 부재(194)의 재질은 상기 원기둥형 부재(188)와 마찬가지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고지(11)의 한쪽의 면과 접할 때에 고지가 미끄러지지 않고, 또한 고지(11)의 한쪽의 면 전체에 남김없이 소정량의 수분을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물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한 재질, 예를 들면 스펀지 등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고지(11)를 수용부(183)에 수용하기 전에 원기둥형 부재(192 및 194)에 의해 고지(11)를 소정의 크기로 재단할 수 있으므로 회전날개(182)에 걸리는 부담을 저감하여 고지(11)를 해섬할 수 있어 회전날개(182)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 고지해섬장치(190)의 다른 특징으로 하는 바는 수용부(183)와 수용부(185)를 칸막이하는 벽에 설치되어 구멍(186)을 개폐시키는 개폐부(195)를 구비하고 있는 바이다.
또한 개폐부(195)는 왕복 슬라이드식(회전식)의 셔터로 해도 좋고, 구멍(186)과 동간격으로 개폐부(195)에 설치되는 구멍을 슬라이드(또는 회전)시킴으로써 서로의 구멍의 위치가 겹쳤을 때에 구멍(186)이 개방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이 개폐부(195)는 수동으로 구멍(186)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좋고, 소정시간 경과 후에 자동적으로 구멍(186)이 개폐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에 따라, 모든 고지(11)가 완전하게 섬유상으로 되기까지 수용부(183)에 고지(11)를 수용시켜 둘 수 있으므로 더욱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22) 도 1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196)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고지해섬장치(196)의 내부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고지해섬장치(180 또는 190)와 같은 구성의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고지해섬장치(196)가 특징으로 하는 바는 도 1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섬전의 복수의 고지(11)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수용부(197, 제 3 수용부)와, 그 수용부(197)로부터 공급부(181)에 소정시간 간격으로 고지(11)를 송출하는 송출부(198)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바이다.
상기 수용부(197)와 송출부(198)로 이루어지는 구성은 이른바 오토피더이고, 2개의 롤러에 의해 고지(11)를 원기둥형 부재(187 및 188)로 급지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공급부(181)에 고지(11)를 송출하는 공정을 사람 손을 통하는 일없이 실행할 수 있다.
(23) 도 1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199)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고지해섬장치(199)의 내부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고지해섬장치(180, 190 또는 196)와 같은 구성의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고지해섬장치(199)가 특징으로 하는 바는 도 1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회전날개(200, (200-1, 200-2, 200-3, 및 200-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바이다.
상기 복수의 회전날개(200)는 도 19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어부(184)로부터 수용부(183)의 천장까지 연장하는 동축상에 소정간격으로 4개의 회전날개(200-1∼200-4)가 장착되어 있다. 또, 제일 밑에 제일 큰 회전날개(200-1)가 장착되고, 위로 가는 것에 따라서 작은 회전날개(3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회전날개(200)는 2개 이상이어도 좋고, 4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복수의 회전날개(200)를 구비함으로써 더욱 효율 좋게 빨리 고지(11)를 섬유상으로 해섬할 수 있는 동시에, 1개의 회전날개(200)에 걸리는 부담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회전날개(20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24) 도 20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201)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고지해섬장치(201)의 내부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고지해섬장치(180 또는 190)와 같은 구성의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고지해섬장치(201)가 특징으로 하는 바는 도 2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기둥형 부재(192 및 194)에서 송출되는 종이조각상의 고지(11)에 소정량의 수분을 안개상으로 하여 분무하는 것이 가능한 분무부(20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바이다. 또한 분무부(202)는 예를 들면 저수부, 분무구, 급수펌프 등을 구비하고 있고, 급수펌프에 의해 저수부에 저장되는 수분을 분무구로 가압 공급하는 것으로 분무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 분무부(202)는, 예를 들면 도 2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부(181)에 2개 구비되는 구성이고, 원기둥형 부재(192 및 194)에 의해 종이조각상으로 된 고지(11)의 양면에 동시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고지(11)를 빨리 해섬할 수 있는 동시에, 기밀성을 높여 해섬시의 종이가루, 정전기 또는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25) 도 2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203)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고지해섬장치(203)의 내부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고지해섬장치(180, 190 또는 199)와 같은 구성의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고지해섬장치(203)가 특징으로 하는 바는 도 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기둥형 부재(192 및 194)와, 복수의 회전날개(200, (200-1, 200-2, 및 200-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바이다. 또한 회전날개(200)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고지(11)를 빨리 해섬할 수 있는 동시에, 1개의 회전날개에 걸리는 부담을 고지해섬장치(180, 190, 또는 199)보다도 저감할 수 있어 회전날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26) 도 21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204)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고지해섬장치(204)의 내부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고지해섬장치(190)와 같은 구성의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고지해섬장치(204)가 특징으로 하는 바는 도 2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183)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서 구성되어 있는 바이다. 또한 상기 수용부(184)의 경사각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수용부(183)의 저부의 일부에 고지(11)를 모을수 있으므로 회전날개(182)에 의해 고지(11)를 효율 좋게 해섬시킬 수 있다.
(27) 도 2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205)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고지해섬장치(205)의 내부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고지해섬장치(190, 199 또는 204)와 같은 구성의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고지해섬장치(205)가 특징으로 하는 바는 도 2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183)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는 동시에, 복수의 회전날개(200, (200-1, 200-2 및 200-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바이다. 또한 회전날개(200)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고지(11)를 효율 좋게 빨리 해섬시킬 수 있는 동시에, 회전날개(20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28)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206)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고지해섬장치(206)의 내부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고지해섬장치(191)와 같은 구성의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고지해섬장치(206)가 특징으로 하는 바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183)의 측면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동축상에 회전날개(207, (207-1 및 207-2))가 구비되어 구성되어 있는 바이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고지(11)를 빨리 해섬할 수 있는 동시에, 기밀성을 높여 해섬시의 종이가루, 정전기 또는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고지해섬장치(180, 190, 199, 203, 204 및 206)의 제일 외측의 케이스의 형태는 정육면체이어도, 원기둥형이어도 좋다. 또, 수용부(183)의 형태도 정육면체이어도, 원기둥형이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고지해섬장치(180, 190, 196, 199, 201 및 203∼206)는 4장의 날개를 갖는 회전날개를 구비하는 구성인데, 회전날개가 갖는 날개의 장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원기둥형 부재(187 및 188)는 고지(11)에 소정량의 물을 공급시키면서 수용부(183)에 송출하는 구성인데, 원기둥형 부재(187 및 188)의 어느 쪽인가 한쪽의 원기둥형 부재의 측면에 소정 크기의 복수의 볼록부를 설치하고, 다른쪽의 원기둥형 부재의 측면에 그 볼록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오목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에 따라, 원기둥형 부재(187 및 188)를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고지(11)에 복수의 구멍을 뚫으면서 수용부(183)에 송출할 수 있으므로 고지(11)를 빨리 해섬할 수 있는 동시에, 회전날개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고지해섬장치(180, 190, 196, 199, 201 및 203∼206)에서는 해섬된 고지(11)가 수용부(183)의 아래쪽에 구비되는 수용부(185)에 수용되는 구성인데, 구멍(186)을 수용부(183)의 측면에 설치하고, 추가로 수용부(183)를 수용부(183)의 가로방향에 구비하여 해섬 후의 고지(11)를 가로방향으로 배출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고지해섬장치(180, 190, 196, 199, 201 및 203∼206)는 고지(11)에 복수의 구멍을 뚫는 것이 가능한 구멍뚫음장치를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도 23A는 그 구멍뚫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뚫음장치(230)는 측면에 스파이크형상 부재(231)가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회전함으로써 고지(11)의 전체에 복수의 구멍을 뚫는 원기둥형 부재(232)와, 고지(11)가 원기둥형 부재(232)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고지(11)의 양면을 누르는 종이누름판(233, 234)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 종이누름판(233)에는 원기둥형 부재(232)가 회전함으로써 스파이크형상 부재(231)가 종이누름판(233)에 닿지 않도록 스파이크형상 부재(231)와 같은 간격으로 홈(235)이 설치되어 있다.
또, 종이누름판(234)에는 원기둥형 부재(232)가 회전함으로써 스파이크형상 부재(231)가 종이누름판(234)에 닿지 않도록 스파이크형상 부재(231)와 같은 간격으로 홈(236)이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3B는 구멍뚫음장치(230)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2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23B의 오른쪽방향으로부터 고지(11)가 보내져 오면, 고지(11)는 회전하는 원기둥형 부재(232)와 종이누름판(234)의 사이에 들어간다. 그리고 고지(11)는 원기둥형 부재(232)와 종이누름판(234)의 사이에서 스파이크형상 부재(231)에 의해 구멍이 W려 종이누름판(233)과 종이누름판(234)의 사이에 송출된다.
또, 도 23C는 스파이크형상 부재(231)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3D는 도 23C에 나타내는 스파이크형상 부재(231)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23C 및 도 23D에 나타내는 스파이크형상 부재(231)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는 뾰족해 있다. 이에 따라, 고지(11)에 원형상의 구멍을 뚫을 수 있다.
또, 도 23E는 스파이크형상 부재(231)의 다른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3F는 도 23E에 나타내는 스파이크형상 부재(231)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23E 및 F에 나타내는 스파이크형상 부재(231)는 직육면체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는 뾰족해 있다. 이에 따라, 고지(11)에 4각형상의 구멍을 뚫을 수 있다.
또, 도 23G는 스파이크형상 부재(231)의 또 다른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3H는 도 23G에 나타내는 스파이크형상 부재(231)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23G 및 H에 나타내는 스파이크형상 부재(231)는 삼각뿔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고지(11)에 삼각형상의 구멍을 뚫을 수 있다.
또한 스파이크형상 부재(231)는 도 23C∼도 23H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는 일 없이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고지해섬장치(180, 190, 196, 199, 201 및 203∼206)의 수용부(183)의 내측은 도 2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돌기물(240)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수용부(183)의 내측을 구성함으로써 수분을 포함한 고지(11)를 수용부(183)의 내측에 지나치게 붙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마찬가지로 도 2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183)의 내측에 나선상의 홈(241)을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수용부(183)의 내측을 구성함으로써 수분을 포함한 고지(11)를 수용부(183)의 내측에 지나치게 붙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마찬가지로 도 2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183)의 내측에 세로방향에 평행한 복수의 홈(242)을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수용부(183)의 내측을 구성함으로써 수분을 포함한 고지(11)를 수용부(183)의 내측에 지나치게 붙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마찬가지로 도 2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183)의 가로방향에 평행한 복수의 홈(243)을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수용부(183)의 내측을 구성함으로써 수분을 포함한 고지(11)를 수용부(183)의 내측에 지나치게 붙지 않도록 할 수 있다.
(29) 도 25A∼B는 회전날개(13-7)를 3개 구비하는 경우의 고지해섬장치(13)의 탱크(13-5)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5A는 그 밖의 구성의 탱크(13-5)의 사시도이며, 도 25B는 그 밖의 구성의 탱크(13-5)를 바로 위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도 25B에 나타내는 화살표 M은 각 회전날개(13-7)를 회전시킨 경우의 고지(11)의 흐름의 한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5A 및 도 25B에 나타내는 탱크(13-5)의 내측 측면에는 단면이 은행나무잎형의 기둥부재(250)가 3개 설치되어 있다. 각 기둥부재(250)의 회전날개(13-7)와 마주보는 측면은 각각 회전날개(13-7)의 회전직경을 따른 곡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회전날개(13-7)는 3개의 기둥부재(250)의 모든 측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회전할 수 있다.
또, 3개의 회전날개(13-7)를 탱크(13-5)의 측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탱크(13-5)의 내측 측면에 고지(11)가 모이지 않게 되어 대량의 고지(11)를 효율 좋게 해섬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날개(13-7) 및 기둥부재(250)는 각각 2개 또는 4개 이상 설치되어도 좋다.
(30) 또, 도 26A∼B는 상기 회전날개(13-7)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6A는 회전날개(13-7)를 위에서 본 도면을, 도 26B는 회전날개(13-7)를 옆에서 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6A 및 도 26B에 나타내는 회전날개(13-7)는 회전중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7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26A 및 도 26에 나타내는 회전날개(13-7)는 중심으로부터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날개(13-7x 및 13-7y)를 구비하고 있다. 또, 회전날개(13-7)는 회전축에 윗쪽으로 연장하는 원기둥부재(260)가 설치되고, 그 원기둥부재(260)의 측면에는 금속링(261)이 2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2개의 금속링(261)에는 각각 선단부에 금속링(262)을 갖는 막대형상부재(263)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날개(13-7)가 회전함으로써 막대형상부재(262)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날개(13-7x 및 13-7y)와 막대형상부재(263)에 고지(11-1)를 충돌시켜 고지(11-1)를 섬유상으로 해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음을 억제하면서 더욱 고지(11)를 효율 좋게 해섬할 수 있다. 또한, 회전날개(13-7)는 철,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그 밖의 합금이나 수지 등 특별히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 원기둥부재(260)에 설치되는 막대형상부재(263)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31) 또, 도 27A∼B는 상기 회전날개(13-7)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7A는 회전날개(13-7)를 위에서 본 도면을, 도 27B는 회전날개(13-7)를 옆에서 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7 및 도 26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27A 및 도 27B에 나타내는 회전날개(13-7)는 2개의 날개(13-7x 및 13-7y)를 구비하고, 회전축에 윗쪽으로 연장하는 원기둥부재(260)가 설치되어 있다. 또, 그 원기둥부재(260)의 측면에는 각각 다른 높이의 위치에, 예를 들면 수지제의 끈부재(270)가 복수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날개(13-7)가 회전함으로써 끈부재(270)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날개(13-7x 및 13-7y)와 끈부재(270)에 고지(11-1)를 충돌시켜 고지(11-1)를 섬유상으로 해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음을 억제하면서 더욱 고지(11)를 효율 좋게 해섬할 수 있다. 또한, 회전날개(13-7)는 철,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그 밖의 합금이나 수지 등 특별히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 원기둥부재(260)에 설치되는 끈부재(270)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끈부재의 재질은 수지재 이외에도 와이어로프나 철사 등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회전날개(13-7)는 날개(13-7x 및 13-7y)가 없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회전날개(13-7)는 날개(13-7x 및 13-7y) 대신에 끈부재(270)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32)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에 의해 해섬된 고지(11)를 배양용토로서 사용했을 때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도 28A∼E는 해섬된 고지(11)를 배양용토로서 사용했을 때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2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단이 적당한 길이로 절단된 청죽(280)을 준비한다.
도 28B는 청죽(280)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2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중공(中空, 청죽(280)의 마디와 마디 사이의 공동(空洞)부분)이 남도록 청죽(280)의 양단을 자르고, 또한 그 청죽(280)의 상부(청죽(280)을 옆으로 했을 때의 청죽(280)의 상부)를 잘라낸다. 또한 도 28B의 예에서는 1개의 중공부분에 식물이 심어지도록 청죽(280)을 성형하고 있는데, 식물을 심기 위한 중공부분을 2개 이상 설치하여 청죽(280)을 성형해도 좋다.
이와 같이, 청죽(280)의 양단과 상부가 잘라내져 도 2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청죽(280)의 용기(281)가 완성된다.
그리고 도 2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281) 중앙의 중공부분에 해섬된 고지(11)를 넣어 식물(282)을 심는다. 이 식물(282)을 바꿈으로써 상록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용기(281)를 도 28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나열하여 사용함으로써 많은 여러 가지 식물(282)을 심을 수 있다. 또한 용기(281)를 복수 나열하여 사용할 때, 그들 용기(281)는 연결시켜도 좋다.
(33) 도 29A∼G는 해섬된 고지(11)를 배양용토로서 사용했을 때 다른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A는 도 28A에 나타내는 청죽(280)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2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중공이 남도록 청죽(280)의 양단을 자르고, 또한 그 2개의 중공의 각각의 청죽(280)의 상부(청죽(280)을 옆으로 했을 때의 청죽(280)의 상부)를 V자로 잘라낸다. 또한 도 29A의 예에서는 2개의 중공부분에 식물이 심어지도록 청죽(280)이 성형되어 있는데, 식물을 심기 위한 중공부분을 1개, 또는 3개 이상 설치하여 청죽(280)을 성형해도 좋다.
이와 같이, 청죽(280)의 양단과 상부가 잘라내어지면, 도 2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청죽(280)의 용기(290)가 완성된다.
그리고 도 2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290)의 2개의 중공부분에 해섬된 고지(11)를 넣어 식물(282)을 심는다. 도 29D는 도 29C에 나타내는 용기(290)의 단면도이다.
또, 도 29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290)는 V자로 잘라내어진 개구부가 지면을 향하도록 설치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도 29F는 도 29E에 나타내는 용기(290)의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용기(290)를 거꾸로 해도 고지(11)가 섬유화되어 있기 때문에 고지(11)끼리가 얽히는 동시에, 고지(11)가 용기(290)의 내측에 붙는다. 이에 따라, 고지(11)가 용기(290)로부터 흘러넘쳐 떨어지지 않게 된다.
또, 용기(290)를 도 29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나열하여 사용함으로써 많은 여러 가지 식물(282)을 심을 수 있다. 또한 용기(290)를 복수 나열하여 사용할 때, 그들 용기(290)는 연결시켜도 좋다.
(34) 도 30A∼D는 해섬된 고지(11)를 배양용토로서 사용했을 때의 다른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 28A에 나타내는 청죽(280)을 세로로 반으로 나누고, 또한 마디와 마디 사이의 청죽(280)의 일부를 사각형으로 잘라내며, 또한 2개의 마디를 남기고 청죽(280)의 양단을 자른다. 그러면, 도 3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청죽(280)의 용기(300)가 성형된다.
도 30B는 도 30A에 나타내는 용기(300)를 복수 나열하여 사용했을 때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널(301)상에 용기(300)가 세로로 4열, 가로로 3열 나열되고, 각 중공부분에는 해섬된 고지(11)가 넣어지며, 그 속에 식물(282)이 심어져 있다.
도 30C는 도 30B에 나타내는 용기(300)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용기(300)는 나사(302)로 패널(301)에 고정되어 있다. 또, 각 용기(300)의 각각의 마디에는 물뺌구멍(303)이 설치되어 있고, 그 물뺌구멍(303)을 통하여 용기(300)내의 물이 다른 용기(300)내로 이동함으로써 모든 식목(282)에 적당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또, 용기(300)는 도 30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연결하여 아치상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 해섬된 고지(11)를 배양용토로서 사용할 때의 그 고지(11)를 넣는 용기는 청죽(280)에 한정하지 않고, 플라스틱, 발포재, 목재, 벽돌, 블록, 돌담 등을 이용하여 성형해도 좋다.
또, 성형된 용기에 흙을 넣고, 그 위를 해섬된 고지(11)로 덮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해섬된 고지(11)를 배양용토로서 이용함으로써 성형된 용기로부터 고지(11)가 흘러넘치는 일 없이 식물(282)을 심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저비용으로 옥상의 정원가꾸기를 실행할 수 있거나, 저비용으로 건물의 벽이나 문 등에 식물을 수직으로 심거나(수직녹화), 아치상으로 식물을 심을 수 있다(매달음녹화).
(35)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에 의해 해섬된 고지(11)를 단열재로서 사용했을 때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도 31A∼D는 해섬된 고지(11)를 단열재로서 사용했을 때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A는 단열재를 구성시키는 바깥테두리(310)의 전개도이다. 또한 도 31에 나타내는 사용예에서는 단열재의 바깥테두리(310)로서 골판지를 사용하고 있는데, 단열재의 바깥테두리(310)의 소재는 판지 등 골판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도 31에 나타내는 단열재는, 예를 들면 건물의 벽이나 천장의 유니트식의 단열재로서 사용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도 31B는 단열재의 내부에 구비되는 속칸막이부재(311)의 전개도이다. 또한 도 3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이 속칸막이부재(311)도 골판지를 사용하고 있는데, 속칸막이부재(311)의 소재도 판지 등 골판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 바깥테두리(310) 및 속칸막이부재(311)의 표면에는 미리 붕소 등의 방연재나 난연재가 첨가되어 난연 가공되어 있다. 예를 들면, 바깥테두리(310) 및 속칸막이부재(311)의 표면 전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붕소 등의 방연재나 난연재를 장착시켜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바깥테두리(310) 및 속칸막이부재(311)의 표면 전체에 붕소 등의 방연재나 난연재를 혼입시킨 잉크를 인쇄해도 좋다.
다음으로, 바깥테두리(310)를 도 31A에 나타내는 파선으로 접어 구부려 상자를 형성하고, 그 상자의 속에 도 31B에 나타내는 파선으로 접어 구부러진 속칸막이부재(311)을 편입하며, 그 속에 해섬된 고지(11)를 충전한다. 그러면, 도 3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직육면체의 단열재(312)가 형성된다.
도 31D는 도 31C에 나타내는 단열재(312)의 A1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속칸막이부재(311)는 바깥테두리(310) 내부에 지그재그로 접어 구부러져 고정되어 있고, 바깥테두리(310)와 속칸막이부재(311)로 형성되는 공간에 해섬된 고지(11)가 충전되어 있다. 또한 이 해섬된 고지(11)에도 미리 붕소 등의 방연재나 난연재가 첨가되어 난연 가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바깥테두리(310) 내부에 속칸막이부재(311)를 구비함으로써 단열재(312)의 강도를 높이는 동시에, 단열재(312)의 내부에 충전되는 고지(11)의 가라앉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단열재(312)를 고지(11)나 골판지 등으로 구성함으로써 경량이고 저가인 단열재(312)를 구성할 수 있다. 또, 골판지제조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고지(11)를 단열재(312)에 충전해도 좋다.
또한 해섬된 고지(11, 섬유소재)와 붕소, 방연재, 난연재, 그 밖의 소재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난연성 섬유소재는 난연 가공된 상자뿐만 아니라 난연 가공된 주머니나 그 밖의 용기에 충전함으로써 단열재를 형성해도 좋다.
(36) 도 32A∼D는 해섬된 고지(11)를 단열재로서 사용했을 때의 다른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A는 단열재를 구성시키는 바깥테두리(310)의 전개도이다. 또한 도 32에 나타내는 사용예에서는 단열재의 바깥테두리(320)로서 골판지를 사용하고 있는데, 단열재의 바깥테두리(320)의 소재는 판지 등 골판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도 32에 나타내는 단열재는, 예를 들면 건물의 벽이나 천장의 유니트식의 단열재로서 사용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도 32B는 단열재의 내부에 구비되는 속칸막이부재(321)의 전개도이다. 또한, 도 3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이 속칸막이부재(321)도 골판지를 사용하고 있는데, 속칸막이부재(321)의 소재도 판지 등 골판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 바깥테두리(320) 및 속칸막이부재(321)의 표면에는 미리 붕소, 방연재, 난연재 등이 첨가되어 난연 가공되어 있다. 예를 들면 바깥테두리(320) 및 속칸막이부재(321)의 표면 전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붕소 등의 방연재나 난연재를 장착시켜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바깥테두리(320) 및 속칸막이부재(321) 의 표면 전체에 붕소 등의 방연재나 난연재를 혼입시킨 잉크를 인쇄해도 좋다.
다음으로, 바깥테두리(320)를 도 32A에 나타내는 파선으로 접어 구부려 상자를 형성하고, 그 상자의 속에 도 32B에 나타내는 파선으로 접어 구부러진 속칸막이부재(321)을 편입하며, 그 속에 해섬된 고지(11)를 충전한다. 그러면, 도 3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직육면체의 단열재(322)가 형성된다.
도 32D는 도 32C에 나타내는 단열재(322)의 A2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속칸막이부재(321)는 바깥테두리(320) 내부에 지그재그로 접어 구부러져 고정되어 있고, 바깥테두리(320)와 속칸막이부재(321)로 형성되는 공간에 해섬된 고지(11)가 충전되어 있다. 또한 이 해섬된 고지(11)에도 미리 붕소 등의 방연재나 난연재가 첨가되어 난연 가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바깥테두리(320) 내부에 속칸막이부재(321)를 구비함으로써 단열재(322)의 강도를 높이는 동시에, 단열재(322)의 내부에 충전되는 고지(11)의 가라앉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단열재(322)를 고지(11)나 골판지 등으로 구성함으로써 경량이고 저가인 단열재(322)를 구성할 수 있다. 또, 골판지제조공장등에서 발생하는 고지(11)를 단열재(322)에 충전해도 좋다.
또한 해섬된 고지(11, 섬유소재)와 붕소, 방연재, 난연재, 그 밖의 소재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난연성 섬유소재는 난연 가공된 상자뿐만 아니라 난연 가공된 주머니나 그 밖의 용기에 충전함으로써 단열재를 형성해도 좋다.
(37) 도 3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33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고지해섬장치(330)의 내부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고지해섬장치(204)와 같은 구성의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고지해섬장치(330)가 특징으로 하는 바는 도 3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183)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는 동시에, 복수의 끈부재(331)가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회전날개(332)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바이다.
회전날개(332)는 두께 또는 폭이 있는 날개(333) 외에 날개(333)의 회전축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또한 날개(33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십자방향으로 날개(333)의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4개의 끈부재(331)의 쌍이 날개(333)의 회전축상에 있는 간격마다 3쌍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날개(332)는 날개(333)대신에 끈부재(331)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그리고 끈부재(331) 및 날개(333)가 회전함으로써 끈부재(331) 및 날개(333)에 고지(11-1)가 충돌하여 고지(11-1)를 섬유상으로 해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음을 억제하면서 더욱 고지(11)를 효율 좋게 해섬할 수 있다. 또한, 날개(333)는 철,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그 밖의 합금이나 수지 등 특별히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 날개(333)의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끈부재(331)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끈부재(331)는 와이어로프, 철사 또는 수지 등 특별히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38) 도 3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334)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고지해섬장치(334)의 내부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고지해섬장치(206)와 같은 구성의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고지해섬장치(334)가 특징으로 하는 바는 도 3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183)의 측면에 대해서 수직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축이 오도록 회전날개(332)가 수용부(183)에 설치되어 있는 바이다. 또한 도 33B에 나타내는 회전날개(332)는 끈부재(331)만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음을 억제하면서 더욱 고지(11)를 효율 좋게 해섬할 수 있다.
(39) 도 3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335)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고지해섬장치(335)의 내부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고지해섬장치(201)와 같은 구성의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고지해섬장치(335)가 특징으로 하는 바는 도 3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기둥형 부재(192 및 194)에서 송출되는 종이조각상의 고지(11)에 소정량의 수분을 안개상으로 하여 분무하는 것이 가능한 분무부(202)와, 회전날개(332)를 구비하고 있는 바이다.
이에 따라, 소음을 억제하면서 더욱 고지(11)를 효율 좋게 해섬할 수 있다.
(40) 도 34A∼F는 해섬된 고지(11)를 배양용토로서 사용할 때의 그 고지(11)를 넣는 용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4A는 고지(11)를 넣는 용기(340)의 정면도를, 도 34B는 용기(340)의 배면도(도 34A를 종이면 수직방향의 아래에서 본 도면)를, 도 34C는 용기(340)의 측면도(도 34A를 종이면 평행방향의 아래에서 본 도면)를, 도 34D는 용기(340)의 상면도(도 34A를 종이면 평행방향의 왼쪽에서 본 도면)를, 도 34E는 A-A단면도를, 도 34F는 B-B단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34A∼도 34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340)는 2개의 마디를 갖는 청죽을 세로로 반으로 나누었을 때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기(340)의 재질은 플라스틱이나 수지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용기(340)는 윗쪽부 및 아래쪽부가 청죽의 마디가 되도록 형성되는 외형부재(341)와, 외형부재(341)의 긴쪽방향의 단부를 따라 설치되는 홈(342)에 슬라이드하여 삽입되어 용기(340)의 배면부를 메우는 판부재(343)로 구성된다.
외형부재(341)는 중앙부에 구멍(344)가 설치되어 있고, 이 구멍(344)을 통하여 용기(340)내에 식물을 넣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외형부재(341)의 아래쪽부에는 아치상의 돌기부(345)가 설치되고, 외형부재(341)의 윗쪽부에는 돌기부(345)가 들어가는 크기의 아치상의 홈(346)이 설치되어 있다.
또, 추가로 외형부재(341)의 돌기부(345)의 내측에 있는 면 및 홈(346)의 내측에 있는 면에는 각각 2개의 슬릿(347)이 설치되어 있다.
또, 도 34C는 판부재(343)의 오른쪽 반만이 나타나 있고, 판부재(343)의 왼쪽 반은 판부재(343)의 오른쪽 반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판부재(343)의 우측에는 2개의 구멍(348)이 설치되어 있고, 좌측에도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2개의 구멍(348)이 설치되어 있다.
또, 판부재(343)의 단부에는 벽에 설치되는 훅 등에 걸을 수 있도록 구멍(349)이 설치되어 있다.
또, 도 3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부재(343)에는 슬릿(350)이 설치되어 있고, 복수의 용기(340)를 용기(340)의 긴쪽방향에 연결하는 경우는 이 슬릿(350)을 따라 접어 구부려 자름으로써 구멍(349)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을 판부재(343)로부터 잘라 떼어낼 수 있다.
도 35A∼J는 복수의 용기(340)가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떤 용기(340)의 홈(346)에 다른 용기(340)의 돌기부(345)를 끼움으로써 복수의 용기(340)를 용기(340)의 긴쪽방향으로 연결하여 갈 수 있다.
도 3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돌기부분을 갖는 연결부품(351)의 그 돌기부분을 판부재(343)의 구멍(348)에 삽입함으로써 복수의 용기(340)를 용기(340)의 긴쪽방향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 도 3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끈(352)을 판부재(343)의 구멍(348)으로 누비어 지나 감으로써 복수의 용기(340)를 용기(340)의 긴쪽방향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 도 35D는 30개의 용기(340)를 6×5가 되도록 연결부품(351) 또는 끈(352)에 의해 연결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5E는 그 연결된 용기(340)의 상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35F는 연결부품(351)의 돌기부분 또는 끈(352)을 삽입하는 구멍(348)의 장소를 도 35D 및 도 35E에 나타내는 경우의 연결부품(350)의 돌기부분이 삽입될 구멍(347)의 장소보다도 1개씩 비켜 놓아 용기(340)를 연결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예를 들면 1개의 연결부품(351)을 사용하여 3개의 용기(340)를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도 35G는 그 연결된 용기(340)의 상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35D 및 도 35E나 도 35F 및 도 35G와 같이, 복수의 용기(340)를 연결한 것은 도 35H 또는 도 35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340)가 연결될 방향에 대해서 수직방향에 활 모양으로 굽힐 수 있다.
또, 도 35J는 연결된 용기(340)의 각각에 식물(353)이 심어진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용기(340)의 속에는 각각 해섬된 고지(11)가 식물이 넣어지고, 물이나 액비가 주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용기(340)는 해섬된 고지(11)를 넣고, 추가로 그 고지(11)에 물이나 액비를 스며들게 함으로써 배양용토가 들어간 화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 물이나 액비가 스며든 해섬 후의 고지(11)는, 예를 들면 식물의 줄기나 뿌리를 꽂아도 넘어지는 일이 없으므로 침봉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41) 도 36은 해섬된 고지(11)를 배양용토로서 사용했을 때의 다른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1개의 긴 청죽의 각 중공부분의 일부를 잘라내고, 그 중공부분에 상기 실시형태의 고지해섬장치에서 해섬된 고지(11)를 넣는 동시에, 물이나 액비를 넣으며, 그 고지(11)에 식물을 심어 간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각 중공부분에 식물이 심어진 청죽을 복수개 세로로 원을 그리도록 세워서 기대는 것이 가능한 받침대에 세워 기대어 간다.
도 36에 나타내는 받침대(360)는 원기둥형 부재(361)의 상면에 원기둥형 부재(361) 상면의 면적보다도 큰 면적의 원형부재(362)가 설치되는 동시에, 원기둥형 부재(361)의 하면에 원기둥형 부재(361) 하면의 면적보다도 큰 면적의 원형부재(363)가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형부재(362)는 원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10개의 구멍(364)이 설치되어 있다. 또, 원형부재(363)는 원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구멍(364)과 동등한 크기의 10개의 홈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원형부재(362)에 설치되는 구멍(364)의 수나 원형부재(363)에 설치되는 홈의 수는 10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 원형부재(362)의 구멍(364)에 각 중공부분에 식물이 심어진 청죽(365)을 꽂음으로써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의 조형물을 형성할 수 있다.
(42)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370)을 채용할 수 도 있다.
도 37에 나타내는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370)은 고지해섬장치(13)가 설치되는 상점에 고객(사용자)이 발길을 옮기고, 그 고객이 복수의 서비스 중에서 희망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고지(11)로부터 여러 가지 재생품을 생성하며, 그 선택된 서비스에 따른 요금을 고객이 지불한다고 하는 시스템이다.
장치설치점(371)에는 고지해섬장치(13)가 1 대 이상 설치되어 있고, 고객(372)이 가져오는 고지(11)를 고지해섬장치(13)로 해섬하는 곳이다. 또한 장치설치점(371)은 고지해섬장치(13)를 트럭 등에 싣는 것에 의해 이동 가능한 형태로 해도 좋다.
또, 장치설치점(371)은 고객(372)이 희망으로 하는 서비스의 접수나 고객(372)이 희망으로 하는 서비스에 따른 고지해섬장치(13)의 조작 등을 종업원이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고지해섬장치(13)에 서비스선택수단 등을 구비함으로써 종업원을 통하지 않고 고객(372)이 희망으로 하는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장치설치점(371)은 고객(372)이 희망으로 하는 서비스의 요금 지불을 종업원을 통하여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고지해섬장치(13)에 요금지불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종업원을 통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요금을 지불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 장치설치점(371)은 고객(372)이 선택한 서비스마다 관리번호를 붙이는 동시에, 선택된 서비스마다 해섬된 고지(11) 또는 재생품을 투명용기(373)나 네트(그물, 374)에 넣어 고객(372)에게 제공하도록 해도 좋다.
감시카메라(375)는 고지(110의 해섬상황이나 재생품의 생성상황을 항상 감시하는 것이고, 그 영상의 데이터는, 예를 들면 장치설치점(371)이 구비하는 컴퓨터 등에 기록된다.
또, 감시카메라(375)에 의한 영상데이터는 고객(372)의 요구에 따라 서비스마다 고객(372)이 소지하는 휴대전화(376) 등에 네트워크(377)를 통하여 배신되고, 고객(372)은 휴대전화(376)의 디스플레이 등으로 고지(11)의 해섬상황이나 재생품의 생성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장치설치점(371)에서 취급하는 고지(11)의 종류는 기밀문서, 복사지, 신문, 골판지, 우유팩, 잡지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장치설치점(371)에서 취급하는 서비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고객(372)은 고지(11)의 해섬처리의 종류를 선택한다. 고객(372)이 선택할 수 있는 고지(11)의 해섬처리의 종류는, 예를 들면 고지해섬장치(13)를 3분 동작시키는 「황(荒)처리」, 5분 동작시키는 「보(普)처리」, 8분 동작시키는 「세(細)처리」, 10분 동작시키는 「특(特)처리」 등이 있다.
다음으로, 고객(372)은 희망으로 하는 재생품의 종류를 선택한다. 고객(372)이 선택할 수 있는 재생품의 종류는, 예를 들면 해섬처리뿐인 것, 정원가꾸기용의 배양용토, 교재용의 지점토, 폐유흡착재, 건축재료용의 난연재 등이 있다.
또, 추가로 고객(372)은 제오라이트혼입처리, 멸균처리, EM균(Effective Microorganisms)혼입처리, 착색처리 등을 실행하는 믹스처리나 건조처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해섬처리나 재생품생성처리가 종료되고, 그 해섬된 고지(11)나 재생품이 투명용기(373)나 네트(374)에 넣어진다.
또, 고객(372)에게 요금에 따른 금권, 티켓 또는 스탬프를 요금의 지불때에 건네주고, 다음번 이후의 이용때 그 고객(372)에 대해서 요금할인이나 그 밖의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에 따르면, 예를 들면 종래의 사업소 등에서 발생하는 사용완료복사용지를 고지 1 대 물 0. 6∼1. 0의 비율의 물을 사용하여 해섬함으로써 슈레더 등으로 재단하는 일 없이 직접 재생지 또는 재생제품의 원재료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고지로부터 재생지 또는 재생제품까지의 제조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비용이고, 또한 양질인 재생지 또는 재생제품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고지해섬장치에 따르면, 3분간 정도 동작시킴으로써 고지가 판독 불가능한 상태로 되어 정보누설의 방지가 된다. 또, 6분간 정도 동작시킴으로써 고지를 섬유상으로 해섬할 수가 있고, 10분간 정도 이상 동작시킴으로써 고지를 셀룰로오스상으로 해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고지해섬장치에 따르면, 고지해섬장치의 해섬시의 종이가루나 정전기나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여 기밀성을 높이고, 빨리 해섬할 수 있다.

Claims (52)

  1. 고지를 섬유소재로 해섬하는 해섬수단과,
    상기 섬유소재로부터 재생품을 생성하는 재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해섬수단은 고지를 해섬하여 섬유화 가능하며, 또한 해섬 후의 섬유소재를 압축해도 폐액이 나오지 않는 범위내의 양의 물을 사용하여 상기 고지를 섬유소재로 해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섬수단은 해섬할 고지의 무게와, 해섬할 때에 사용되는 물의 무게의 비를 1 대 0. 6∼1. 0으로 하는 경우의 해당 물을 사용하여 상기 고지를 제품비율 100%로 해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단은 상기 섬유소재와 소정의 첨가물을 혼합하여 어떤 특성을 갖는 물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은 석고, 고무, 호재, 충전재, 세라믹분말, 숯분말, 구리선, 철선, 시멘트, 무기질분체, 제오라이트의 어느 것인가 1개 또는 2개 이상이 배합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단은 상기 섬유소재를 소정의 색으로 착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
  6. 고지를 섬유소재로 해섬하는 고지해섬장치에 있어서,
    중심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날개를 갖는 회전날개와,
    상기 회전날개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지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고지를 해섬하여 섬유화 가능하고, 또한 해섬 후의 섬유소재를 압축해도 폐액이 나오지 않는 범위내의 양의 물을 상기 수용부에 주입하는 주입수단과,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고지의 종류, 조합 및 무게에 의거하여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수단은 상기 고지의 무게와, 해당 고지를 해섬할 때에 사용되는 물의 무게의 비를 1 대 0. 6∼1. 0으로 하는 경우의 해당 물을 상기 수용부에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고지의 종류, 조합 및 무게에 의거하여 회전시간 및 상기 물의 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뚜껑의 내측면에 소정길이의 돌기물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뚜껑의 내측면에 밥공기형 부재 또는 원추형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뚜껑에 1개 이상의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밥공기형 부재 또는 원추형 부재의 내측면에 소정길이의 돌기물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 측면과 상기 회전날개가 갖는 날개의 선단부분의 사이에 소정 크기의 틈새가 생기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날개는 상기 회전날개의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이르는 것에 따라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는 상기 수용부에 2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1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뚜껑의 내측에 상기 회전날개가 1개 이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1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측 측면에 1개 이상의 상기 회전날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1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어 해당 수용부의 외측으로부터 해당 수용부 내부의 상태를 관찰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1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부를 밝게 하게 하는 조명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2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해당 수용부 저면의 중심점과 해당 수용부 개구부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축과, 지면에 대해서 수직인 축으로 이루어지는 각도가 소정각도를 갖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2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복수의 수용부로 이루어지고, 해당 복수의 수용부 중의 소정의 수용부에서 해섬된 고지를 해당 소정의 수용부와는 별도의 수용부에서 해섬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22. 고지를 섬유소재로 해섬하는 고지해섬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지를 수용하고, 측면이 소정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1개 이상의 돌기부재와,
    고지를 해섬하여 섬유화 가능하고, 또한 해섬 후의 섬유소재를 압축해도 폐액이 나오지 않는 범위내의 양의 물을 상기 수용부에 주입하는 주입수단과,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고지의 종류, 조합 및 무게에 의거하여 상기 수용부의 측면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23. 고지를 섬유소재로 해섬하는 고지해섬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지를 수용하고, 뚜껑이 소정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뚜껑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1개 이상의 돌기부재와,
    고지를 해섬하여 섬유화 가능하고, 또한 해섬 후의 섬유소재를 압축해도 폐액이 나오지 않는 범위내의 양의 물을 상기 수용부에 주입하는 주입수단과,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고지의 종류, 조합 및 무게에 의거하여 상기 수용부의 뚜껑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24. 고지를 섬유소재로 해섬하는 해섬장치의 대출처인 사용자가 구비하는 단말장치와,
    상기 섬유소재로부터 재생품을 생성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해섬장치에 있어서의 고지의 해섬작업을 감시하는 감시수단과,
    상기 감시수단의 감시내용을 나타내는 감시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여 기록하는 관리수단과,
    상기 관리수단에서 기록되는 감시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해섬장치는 고지를 해섬하여 섬유화 가능하며, 또한 해섬 후의 섬유소재를 압축해도 폐액이 나오지 않는 범위내의 양의 물을 사용하여 상기 고지를 섬유소재로 해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
  2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는 중심으로부터 각각 동일직선방향으로 연장하는 2장의 날개를 갖고, 해당 2장의 날개의 각각의 위에 상기 회전날개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고지와 충돌하여 상기 고지를 분쇄하는 분쇄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판은 상기 2장의 날개 위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직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및 상기 2장의 날개에 대해서 윗방향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는 상기 2장의 날개 위에 상기 분쇄판보다도 높고, 또한 가늘고 긴 돌기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2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는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수용부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2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뚜껑은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중에 상기 수용부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3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외주에 설치되어 소정 온도의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와,
    해당 발열부가 발생시키는 열의 온도를 조정하는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31. 고지를 섬유상으로 해섬하는 고지해섬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지 전체에 소정량의 수분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서 소정량의 수분이 포함된 고지를 수용하고, 상기 공급부에서 소정량의 물이 포함된 고지를 섬유상으로 해섬시키는 회전날개를 갖는 제 1 수용부와,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 1 수용부의 아래쪽 또는 가로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날개에 의해 섬유상으로 해섬된 고지를 수용하는 제 2 수용부와,
    상기 제 1 수용부와 상기 제 2 수용부를 칸막이하는 벽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날개에 의해 섬유상으로 해섬된 고지가 통과하는 크기의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고지의 한쪽의 면과 접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고지를 상기 제 1 수용부에 송출하는 제 1 원기둥형 부재와,
    상기 고지의 다른쪽의 면과 접하여 상기 제 1 원기둥형 부재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고지를 상기 제 1 수용부에 송출하는 제 2 원기둥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제 1 원기둥형 부재 및 상기 제 2 원기둥형 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소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제 1 원기둥형 부재 및 상기 제 2 원기둥형 부재의 양쪽에 상기 소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부와 상기 제 2 수용부를 칸막이하는 벽에 설치되어 상기 구멍을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35. 제 31 항에 있어서,
    해섬전의 복수의 상기 고지를 수용하는 제 3 수용부와,
    상기 제 3 수용부로부터 상기 공급부에 소정시간 간격으로 상기 고지를 송출하는 송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36.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고지의 한쪽의 면과 접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고지를 상기 제 1 수용부에 송출하는 제 1 원기둥형 부재와,
    상기 고지의 다른쪽의 면과 접하여 상기 제 1 원기둥형 부재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고지를 상기 제 1 수용부에 송출하는 제 2 원기둥형 부재와,
    상기 제 1 원기둥형 부재 및 상기 제 2 원기둥형 부재에서 송출되는 상기 고지에 상기 소정량의 물을 안개상으로 하여 분무하는 분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37.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부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38.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는 상기 제 1 수용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39. 제 32 항, 제 33 항 또는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기둥형 부재의 측면에 등간격으로 나열하는 원형상의 복수의 칼날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원기둥형 부재의 측면에 상기 복수의 칼날과 대응하는 복수의 홈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40. 제 32 항, 제 33 항 또는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기둥형 부재의 측면에 복수의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원기둥형 부재의 측면에 상기 복수의 볼록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41. 제 31 항에서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축상에 구비되는 복수의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42. 제 31 항에서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고지의 한쪽의 면과 접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고지를 상기 제 1 수용부에 송출하는 제 3 원기둥형 부재와,
    상기 고지의 다른쪽의 면을 누르는 누름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 3 원기둥형 부재는 측면에 복수의 스파이크형상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43. 제 31 항에서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부는 내측 측면에 1개 이상의 돌기물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44. 제 31 항에서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부는 내측 측면에 나선상의 홈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45. 제 31 항에서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부는 내측 측면에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의 홈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4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2개 이상의 회전날개의 각 회전직경을 따른 측면을 갖는 기둥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4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는 회전축상에 원기둥부재가 설치되고, 해당 원기둥부재의 측면에 막대형상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4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는 회전축상에 원기둥부재가 설치되고. 해당 원기둥부재의 측면에 끈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해섬장치.
  4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단은 상기 섬유소재를 소정의 형으로 성형된 통체 또는 반통체에 넣고, 수직녹화, 매달음녹화, 그 밖의 녹화에 상기 섬유소재를 배양용토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
  5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단은 상기 섬유소재와 붕소, 방연재, 난연재, 그 밖의 소재를 혼합하여 난연성 섬유소재를 형성하고, 해당 난연성 섬유소재를 난연 가공된 상자, 주머니, 그 밖의 용기에 충전하여 단열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
  5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단은 상기 섬유소재에 물 또는 액비를 스며들게 하여 식물을 살리기 위한 침봉으로서의 배양용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
  52. 고지를 해섬하여 섬유화 가능하고, 또한 해섬 후의 섬유소재를 압축해도 폐액이 나오지 않는 범위내의 양의 물을 사용하여 상기 고지를 섬유소재로 해섬하는 해섬수단과,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서 상기 섬유소재로부터 재생품을 생성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해섬수단에 있어서의 고지의 해섬작업 및 상기 재생수단에 있어서의 재생품의 생성작업을 감시하여 기록하는 감시수단과,
    상기 감시수단에서 기록된 감시내용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가 구비하는 단말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섬유소재이용시스템.
KR20057009946A 2002-12-03 2003-11-28 고지섬유소재 이용장치 및 고지해섬장치 KR1006503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51444 2002-12-03
JPJP-P-2002-00351444 2002-12-03
JP2003033896 2003-02-12
JPJP-P-2003-00033896 2003-02-12
JPJP-P-2003-00149514 2003-05-27
JP2003149514 2003-05-27
JPJP-P-2003-00355559 2003-10-15
JP2003355559A JP2005009062A (ja) 2002-12-03 2003-10-15 古紙繊維素材利用システム及び古紙解繊装置
PCT/JP2003/015288 WO2004050984A1 (ja) 2002-12-03 2003-11-28 古紙繊維素材利用システム及び古紙解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5279A true KR20050085279A (ko) 2005-08-29
KR100650328B1 KR100650328B1 (ko) 2006-11-30

Family

ID=32475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7009946A KR100650328B1 (ko) 2002-12-03 2003-11-28 고지섬유소재 이용장치 및 고지해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118667A1 (ko)
EP (1) EP1589147A1 (ko)
JP (1) JP2005009062A (ko)
KR (1) KR100650328B1 (ko)
CN (1) CN1720368A (ko)
TW (1) TW200415286A (ko)
WO (1) WO200405098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876B1 (ko) * 2006-04-03 2007-04-27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진공성형 원리를 이용한 폐지 완충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따른 폐지 완충소재
KR100957650B1 (ko) * 2009-02-13 2010-05-12 주식회사 쌍용씨앤비 골판지 고지를 원료로 하는 티슈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5245B2 (en) 2005-04-08 2010-08-17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Secure loop system and method for supply and delivery of product contained in a carrier
JP5207504B2 (ja) * 2006-05-19 2013-06-12 株式会社シード 古紙再生装置ならびにその構成装置
JP2007306876A (ja) * 2006-05-22 2007-11-29 Naoki Kishino 植物栽培ユニットおよび植物栽培方法
US7744143B2 (en) * 2007-01-10 2010-06-29 Federal Mogul Powertrain Nonwoven panel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JP6210657B2 (ja) * 2011-10-31 2017-10-11 株式会社西武新聞社 除染方法
DE102011120630A1 (de) * 2011-12-09 2013-06-13 Aerocycle Gmbh Verfahren zur Altpapieraufbereitung
US20140052646A1 (en) * 2012-08-15 2014-02-20 Sona ROSS Closed-Loop Recycling Process
CH708421A8 (de) * 2013-02-28 2015-05-15 Dissolvetech Ag Datenträgervernichtungsverfahren, Sammelfahrzeug und Verwendung einer Auflösevorrichtung.
JP2014208924A (ja) * 2013-03-27 2014-11-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シート製造装置
EP3059015A1 (en) 2013-07-26 2016-08-24 Ishigaki Company Limited Sludge dehydration system and sludge dehydration method
CN104726112B (zh) * 2013-12-20 2018-05-15 玉门市玉海能源开发有限公司 油砂干馏分离装置
JP6361209B2 (ja) * 2014-03-25 2018-07-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シート製造装置、シート製造方法及びシート
JP2016093772A (ja) * 2014-11-13 2016-05-26 特定非営利活動法人 体育環境発明機構 複合紙容器のリサイクル方法及びそのリサイクルシステム並びにパルプ土壌、天然芝ブロック、保温保冷剤
RU2576676C1 (ru) * 2014-12-22 2016-03-10 Юлия Алексеевна Щепочкина Сырьевая смесь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изделий
CN106192505B (zh) * 2016-07-05 2017-11-21 新昌县七星街道金源机床配件经营部 一种小巧型废纸回收加工系统
CN106522006B (zh) * 2016-12-07 2023-06-30 济南大学 一种基于高压水射流且组合式转子碎浆的制浆设备
CN106970202A (zh) * 2017-04-28 2017-07-21 兰州大学 一种崩解测试用综合分析装置及其验证方法
JP6402299B1 (ja) * 2018-06-07 2018-10-10 山田 昌夫 難燃断熱成形体の作製方法
JP6613546B1 (ja) * 2018-10-23 2019-12-04 右治 久松 機密書類の処理方法
JP7188035B2 (ja) * 2018-11-30 2022-12-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繊維体の解繊方法、解繊装置、シート製造方法、およびシート製造装置
CN110652397A (zh) * 2019-09-25 2020-01-07 泉州丰泽贵丰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卫生巾浆片抄成机
WO2021187402A1 (ja) * 2020-03-19 2021-09-23 日本製紙株式会社 可搬式パルプ解繊装置ユニットを用いた現地解繊方法及び可搬式パルプ解繊装置ユニット
CN114134742B (zh) * 2021-11-19 2023-10-20 杭州华旺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装饰原纸生产用纤维处理设备
CN114453387A (zh) * 2022-01-06 2022-05-10 江苏旭鹏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的多级生活垃圾高效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57196C3 (de) * 1976-12-17 1980-07-31 Lindemann Maschinenfabrik Gmbh, 4000 Duesseldorf Vorrichtung zum Zerkleinern von insbesondere Altpapier
US5011091A (en) * 1989-08-10 1991-04-30 Haybuster Manufacturing Inc. Cellulose fiberization apparatus
JP3598403B2 (ja) * 1993-04-08 2004-12-08 西日本技術開発有限会社 防爆設備を要しない紙片解繊装置
JP2573145B2 (ja) * 1993-06-22 1997-01-22 西村産業有限会社 古紙を使用した不燃材
JPH11293578A (ja) * 1998-04-08 1999-10-26 Kimura Chem Plants Co Ltd 古紙の乾式解繊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876B1 (ko) * 2006-04-03 2007-04-27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진공성형 원리를 이용한 폐지 완충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따른 폐지 완충소재
KR100957650B1 (ko) * 2009-02-13 2010-05-12 주식회사 쌍용씨앤비 골판지 고지를 원료로 하는 티슈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20368A (zh) 2006-01-11
JP2005009062A (ja) 2005-01-13
US20060118667A1 (en) 2006-06-08
TWI294006B (ko) 2008-03-01
TW200415286A (en) 2004-08-16
WO2004050984A1 (ja) 2004-06-17
EP1589147A1 (en) 2005-10-26
KR100650328B1 (ko)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0328B1 (ko) 고지섬유소재 이용장치 및 고지해섬장치
DK2542728T3 (en) METHOD FOR RECYCLING OF PLATE MATERIAL COATED WITH A SLIP MEANS APPLICATIONS OF THE SO recycled MATERIALS AND INSULATION
CA2300688C (en) Pet animal body wastes treating material
CN101406894A (zh) 垃圾粉碎后分类回收利用的方法及其设备
US6337203B1 (en) Odor-free composting method and installation
CN102356151A (zh) 无调理剂污泥堆肥
CN1268531A (zh) 自然分解性材料组合物、由其制作的容器和该容器的制法
EP2756032A1 (en) Pre-engineered recyclable products
CN104379638A (zh) 天然纤维和生产方法以及在模块化建筑中的应用
CN213669682U (zh) 一种园林绿化废弃物分选破碎装置
CN206253186U (zh) 一种煤电厂用煤炭破碎机
UA110785C2 (uk) Спосіб утилізації листового матеріалу, вкритого засобом, що відокремлюється, і застосування такого матеріалу
CN109749764A (zh) 涉及橡/塑再生或和植物质纤维业衔接产品集合及其制法
WO2013034712A1 (en) New uses of recycled sheet material
CN210815559U (zh) 一种绿化垃圾处理装置
CN213887148U (zh) 一种有机肥料用筛选装置
CN215940140U (zh) 一种新型装饰工程用筛分装置
CN211538169U (zh) 一种硬质腐化肥料碎化装置
CN215301501U (zh) 一种用于园林的有机质肥料撒播设备
KR20030025557A (ko) 법면 인공녹화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474825A (zh) 制作纤维活性碳滤芯湿式成型的方法及系统
JPH10271911A (ja) 石膏系緑化基盤材及びその製造方法
IT1291601B1 (it) Procedimento e impianto per la produzione di carta e cartone a partire da carta da macero
CN109894224A (zh) 一种具有混合功能的气泡砖用粉碎机
JP2001310126A (ja) 光触媒パルプ粒体及び光触媒パルプ粒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