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4342A - 배기 가스 정화 수단을 재생시키기 위하여 내연 기관을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배기 가스 정화 수단을 재생시키기 위하여 내연 기관을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4342A
KR20050084342A KR1020057011090A KR20057011090A KR20050084342A KR 20050084342 A KR20050084342 A KR 20050084342A KR 1020057011090 A KR1020057011090 A KR 1020057011090A KR 20057011090 A KR20057011090 A KR 20057011090A KR 20050084342 A KR20050084342 A KR 20050084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sonde
purifying means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1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끄 다노
베르나르 디오네
스테판느 꼬셰
필리프 오꾸뛰리에
장-끌로드 몰레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050084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434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4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 F02D41/145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the characteristics being an oxygen content or concentration or the air-fuel ratio
    • F02D41/1456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the characteristics being an oxygen content or concentration or the air-fuel ratio with sensor output signal being linear or quasi-linear with the concentration of oxy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9/00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1/00Monitoring or diagnostic devices for exhaust-gas treatment apparatus, e.g. for catalytic activ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9/00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9/002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of filter regeneration, e.g. detection of clog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21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 F02D41/023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2D41/027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to purge or regenerate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2D41/027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to purge or regenerate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being a NOx trap or adsorb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30/00Influencing exhaust purification, e.g. starting of catalytic reaction, filter regeneration, or the like, by controlling engine operating characteristics
    • F01N2430/06Influencing exhaust purification, e.g. starting of catalytic reaction, filter regeneration, or the like, by controlling engine operating characteristics by varying fuel-air ratio, e.g. by enriching fuel-air mix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화 수단(14)의 재생 단계 동안, 엔진(2)의 배기 라인(4) 상에 배치된 배기 가스 정화 수단(14)의 재생을 위하여 내연 기관(2)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정화 수단(14)의 하류에서만 배기 가스의 조성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을 기초로 엔진(2)의 제어 시그널을 생성하여 정화 수단(14)의 상류에서 배기 가스의 조성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기 가스 정화 수단을 재생시키기 위하여 내연 기관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 REGENERATING EXHAUST GAS PURIFYING MEANS AND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특히 엔진 관련 정화 수단의 재생을 위하여 내연 기관을 제어하는 방법 및 관련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연 기관을 구비하는 자동차의 오염물질 방출, 특히 일산화탄소(CO), 질소 산화물(NOx) 및 불완전 연소된 탄화수소(HC)의 방출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시작되었다.
이를 위하여, 자체 공지된 방법으로는, 오염 배기를 산화 또는 환원시켜 비-오염 배기로 여겨지는 배기로 전환시키기에 적합한 질소 산화물 포획형 접촉 전환기(catalytic converter)와 같은 배기 가스 정화 수단을 이용한다.
접촉 전환기에서, 질소 산화물은 배기 가스 내에 존재하는 환원제와 질소 산화물의 반응을 촉진하는 촉매 원소의 활성 부위에 고정된다. 배기 가스의 조성에 작용하는 촉매 원소의 퍼지 단계가 마련되어 촉매 원소의 접촉 부위에 포획된 질소 산화물의 제거가 촉진된다.
퍼지 단계 동안에, 정화 수단으로 유입되는 배기 가스의 조성을 알아 포획된 질소 산화물의 제거를 더 잘 제어하기 위하여 정화 수단의 상류에서 배기 가스 라인 상에 배치된 비례형 산소 존데를 이용하여 측정값을 기초로 배기 가스의 조성을 결정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비례형 산소 존데로써 배기 가스의 연료/공기 농도를 알 수 있다.
존데에 의하여 제공되는 시그널을 기초로, 예컨대 피드백 버클을 통하여 주입기(injector)에 작용하여 연소 혼합물과 엔진에서 나오는 배기 가스의 조성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신뢰도가 향상되고 실시 비용이 절감된 내연 기관의 제어 방법의 이용이 요망될 수 있다.
도 1은 배기 가스 정화 수단이 구비된 자동차용 구동 유닛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라 정화 수단의 하류에 배치된 람다형 산소 존데의 출력 시그널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라 출력 시그널을 기초로 생성된 제어 시그널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라 제어 모듈을 나타낸 블럭 도식이다.
본 발명은 엔진의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엔진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한된 수의 소자로 간단한 설계의 엔진을 기초로 실시할 수 있는 내연 기관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더 튼튼하면서 엔진 환경에 더 잘 적응된 소자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엔진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배기 라인 상에 배치된 배기 가스 정화 수단의 재생을 위하여 내연 기관을 제어하는 이러한 방법에서는, 정화 수단의 재생 단계 동안, 정화 수단의 하류에서만 배기 가스의 조성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을 기초로 엔진 제어 시그널을 생성하여 정화 수단의 상류에서 배기 가스의 조성을 변화시킨다.
정화 수단의 하류에서 배기 가스를 분석하는 것은, 정화 수단의 하류에서 배기 가스의 조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예컨대 질소 산화물 포획기(trap)의 퍼지 단계의 종결을 더 잘 탐지할 수 있게 한다. 정화 수단의 하류에서의 분석을 기초로 엔진을 제어하게 되면, 엔진의 출구에서 직접 배기 가스의 상당한 압력 및 온도에 더 노출될 수 있는 정화 수단 상류의 추가 분석 수단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다.
한 실시 양태에서는, 연소 혼합물의 조성을 변화시킴으로써 배기 가스의 조성을 변화시킨다.
한 실시 양태에서는, 정화 수단의 하류에 위치된 올-오어-낫싱(all-or-nothing)형 산소 존데 또는 비례형 산소 존데를 이용하여 배기 가스의 조성을 분석한다. 우리는, 정화 수단의 하류에 배치된 올-오어-낫싱형, 즉 << 람다 >>형 산소 존데 또는 비례형 산소 존데에 의하여 제공된 시그널은 실질적으로는 퍼지 단계 동안 정화 수단의 상류에서의 배기 가스의 연료/공기 농도에 비례하므로 배기 가스의 조성 조절에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
람다 존데에 의하여 제공되는 시그널은 람다 존데의 작동 온도에 의존한다. 존데의 작동 온도 제어를 예측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엔진 제어 시그널을 생성시키기 위하여, 존데의 출력 시그널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존데의 출력 시그널과 기준값 사이의 차이를 감소시키도록 제어 시그널을 생성시킬 수 있다. 제어 시그널이란 제어되는 방식으로 배기 가스의 조성에 작용할 수 있는 제어 시그널이다.
한 실시 양태에서는, 제어 시그널을 기초로 재생 단계의 종결 단계를 탐지하여 배기 가스의 조성을 변화시킨다. 우리는 정화 수단의 하류에 배치된 람다 존데에 의하여 제공되는 시그널을 기초로 퍼지 종결 단계를 탐지할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 정화 수단의 하류에서 존데의 출력 시그널을 기초로 하류에 위치된 배기 가스의 조성을 조절하는 경우, 상기 출력 시그널을 조절하여 퍼지 단계의 종결을 탐지할 수 있는데, 이 출력 시그널은 사용이 더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측정 시그널을 기초로 생성된 제어 시그널을 사용하여 퍼지 단계의 종결을 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내연 기관의 배기 라인 상에 배치된 배기 가스 정화 수단의 재생을 위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연료의 주입을 변화시키기에 적합한 제어 모듈 및 직접적으로 정화 수단의 하류에 배기 가스 상에 배치된 산소 존데를 구비한다. 제어 모듈은, 정화 수단의 재생 단계 동안, 상기 산소 존데의 출력 시그널만을 기초로 배기 가스의 조성 변화를 일으키기에 적합하다.
산소 존데는 올-오어-낫싱 또는 << 람다 >>형 또는 비례형인 것이 유리하다.
장치는 존데의 작동 온도 제어 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치는 제어 모듈에 의하여 생성되는 제어 시그널에 따라 재생 단계의 종결을 탐지하기에 적합한 탐지 모듈을 구비한다.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이점은, 첨부 도면에 의하여 예시되고 비제한적 실시예로서 주어진 실시 양태의 상세한 설명을 연구하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에서, 유닛 안에 1 로 표시된 구동 유닛은 내연 기관(2), 공기 흡입 라인(3), 배기 라인(4), 연료 공급 장치(5) 및 제어 유닛(6)을 구비한다.
내연 기관(2)은 점선으로 된 원으로 도시된 실린더 또는 연소 챔버(7)(여기서는 4개)를 구비한다.
공급 라인(3)은 중간 공급 라인(8)을 구비하며, 상기 중간 공급 라인(8)의 한쪽은 1개의 출구와 4개의 출구를 구비한 흡기 콜렉터(9)로 개방되어 다량의 흡입 공기를 연소 챔버(7)로 분배하고, 반대쪽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공기 트랩(trap) 및 중간 공급 도관(8) 사이에 배치된 흡입 버터플라이 밸브(11)의 형태로 흡입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소자(10)가 구비되어 있다.
배기 라인(4)은 입구 중 하나가 4개의 입구와 1개의 출구를 구비한 배기 콜렉터(13)에 연결되어 엔진(2)의 실린더(7)에서 나오는 다량의 배기 가스를 회수하고 이송하는 중간 배기 도관(12)을 구비하며, 중간 배기 도관(12)의 출구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배기 라인(4)의 말단 출구의 상류에 배치되고, 예컨대 질소 산화물 포획형일 수 있는 접촉 개질기(14) 형태의 배기 가스 정화 수단에 연결된다.
연료 공급 장치(5)는 연료 저장기(15), 공통 램프(16) 및 연료를 엔진(2)의 실린더(7)에 직접 주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주입기(17)(여기서는, 4개)를 구비한다. 공통 램프(16)는 공급 도관(18)을 통하여 저장기(15)에 연결되고, 공급 시스템(19)은 공급 도관(18)을 저장기(15)에 연결한다. 공급 시스템은 비제한적인 실시예로서 고압 공급 펌프를 구비하며, 고압 공급 펌프 자체는 저압 펌프 또는 <<가비지(gavage)>> 펌프에 의하여 저장기로부터 공급을 받는다. 주입기(17)는 주입 도관(20)을 통하여 공통 램프(16)에 연결된다. 공급 시스템(19)은 공통 램프(16)를 연료로 채우고, 각 주입기(17)의 공급을 위한 가압 저장기의 역할을 하는 공통 램프(16)에서 명령 압력을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제어 유닛(6)은 버터플라이 밸브(11) 및 주입기(17)의 제어 시그널을 생성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어 유닛(6)은 또한 엔진의 기본적인 기능을 실행하는 또 다른 소자(도시되어 있지 않음, 배기 가스를 재순환시키는 개폐판)의 제어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제어 유닛(6)은 버터플라이 밸브(11)의 위치를 제어하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액츄에이터 및 주입기(17)에 각각 제어 연결선(21, 22)에 의하여 연결된다.
구동 유닛(1)은 흡입 공기를 가속시키기 위한 터보 장치를 구비한다. 터보 장치는 배기 콜렉터(13)의 하류에 중간 배기 도관(12) 상에 배치된 터빈(29)을 구비하며, 상기 터빈(29)은 개략적으로 선으로 도시한 터보(30) 축을 통하여 흡기 콜렉터(9)의 상류에 중간 흡기 도관(8) 상에 배치된 컴프레서(31)를 구동시킨다.
제어 유닛(6)은 제어 시그널을 생성하기 위하여 접촉 개질기(14)의 직접 하류의 배기 라인(4) 상에 위치된 람다형 또는 비례형 산소 존데(23)에서 유래되는 측정 시그널을 이용한다. 제어 유닛(6)은 측정 연결선(24)을 통하여 존데(23)에 연결된다.
작동에 있어서, 제어 유닛(6)은 액셀러레이터의 페달의 위치 시그널, 엔진의 회전 속도 또는 엔진에 적용된 부하 또는 냉각액의 온도와 같은 내연 기관의 제어에 필요하거나 유용한 모든 시그널을 기초로 버터플라이 밸브(11), 주입기(17) 및 엔진에 관련된 기본적인 기능을 실행하는 다른 소자의 제어 시그널을 생성한다. 접촉 개질기(14)의 퍼지 단계 동안, 제어 유닛(6)은 이하에서 더 상세히 개시되는 바와 같이 람다 존데(23)에서 유래하는 측정 시그널을 고려하기 위하여 주입기(17)의 제어를 적응시킨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입기(17)를 조작하여 배기 가스의 조성을 변화시키는 경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기 가스의 조성에 작용할 수 있는, 엔진의 기본적인 기능을 실행하는 모든 소자에 대한 제어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의 소자와 같은 소자에 대하여 같은 부호를 사용하여 도시한 도 4에서, 제어 유닛(6)은 2개의 입구 및 1개의 출구를 갖는 콤파레이터(comparator)(25)를 구비하며, 상기 콤파레이터(25)는 입력기에서 한편으로는 기준 모듈(28)로부터 나오는 기준값 또는 명령값(C)을, 다른 한편으로는 존데(23)의 출력 시그널(SM)을 입력 받는다. 콤파레이터(25)는 출력기에서 기준값(C) 및 출력 시그널(SM) 사이의 차로서 정의된 편차(E)를 제공한다. 편차(E)는 제어 시그널(SC)을 생성하는 데 적합한 제어 모듈(26)의 입구로 이송된다.
제어 시그널(SC)은 여러 제어 수단을 통하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엔진의 기본적인 기능을 실행하는 소자, 예컨대 주입기(17)로 전달된다. 여러 제어 수단을 통하는 경우, 제어 시그널(SC)은 예컨대 연소 혼합물의 농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목적으로 주요 제어 모듈(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하여 결정되는 주입기(17)의 개방 시간을 증가 또는 단축시키기 위하여 주요 제어 모듈에 의하여 추가로 생성된 주요 제어 시그널을 수정한 시그널일 수 있다.
제어 유닛(6)은 또한 제어 모듈(26)에 의하여 생성된 제어 시그널(SC)을 입력 받는 탐지 모듈(27)을 구비하며, 상기 탐지 모듈은 이하의 도 2 및 3의 설명에서 더 상세히 개시되는 바와 같이 제어 시그널(SC)을 기초로 퍼지 단계의 종결을 탐지하기에 적합하다. 탐지 모듈(27)은 출구에서 제어 유닛(6)의 제어 수단(도시되어 있지 않음)으로 전달되는 탐지 시그널(SD)을 제공하여 퍼지 단계를 정지시키는 데 적합하다.
도 1 및 4의 설명에 사용된 부호를 계속 사용하여 도시한 도 2에서, 퍼지 단계 동안 존데(23)의 출력 시그널(들)(SM)은 시간을 가로축으로 하고 출력 시그널(SM) 레벨을 세로축으로 하여 도시한 그래프에 기록된다.
실선으로 도시한 제1 시그널(S1)은 제1 시그널(S1)을 기초로 조절에 의하여 제어 시그널(SC)을 생성하는 경우에 얻어지는 람다 존데(23)의 출력 시그널에 해당한다. 퍼지 단계의 중간 시점(T2) 및 최종 시점(T3) 사이를 제외하고는 제1 시그널(S1)과 섞이는 제2 시그널(S2)은 점선으로 도시된다. 제2 시그널(S2)은 퍼지 단계 동안 접촉 개질기(14)의 하류에 배치된 람다 존데를 기초로 얻어지는 출력 시그널에 해당하지만, 상기 람다 존데의 출력 시그널만을 기초로 제어되는 접촉 개질기의 상류에서는 배기 가스의 조성 변화가 없다.
제2 시그널(S2)은 퍼지 단계 개시의 시작 시점(T1) 전과 퍼지 종결의 최종 시점(T3) 후에서 0값이다. 시작 시점(T1) 직후, 제2 시그널(S2)은 제1 평탄치(V1)에 합류하고 실질적으로 중간 시점(T2)까지 이 제1 값(V1)을 유지한다. 중간 시점(T2) 직후, 질소 산화물 포획기에서 포획된 질소 산화물의 환원의 종결에 해당하는 제2 시그널(S2)은 제1 값(V1)보다 큰 제2 평탄치(V2)에 합류한다. 제2 값은 최종 시점(T3)까지 유지되고, 이 때부터 제2 시그널(S2)은 0값에 합류한다.
제1 시그널(S1)은 시작 시점(T1) 후에 제1 값(V1)에 도달하고 최종 시점(T3)까지 실질적으로 이 값을 유지하다가 최종 시점(T3)으로부터 0값에 합류한다. 제1 시그널(S1)은 중간시점 부근에서 제1 값(V1)으로부터 약간 일탈한다. 제1 값(V1)은 명령값(C)에 해당한다.
퍼지 단계의 시작에서, 퍼지 개시의 시작 시점(T1) 및 중간 시점(T2) 사이에, 존데(23)는 접촉 개질기(14)의 하류에서 배기 가스의 산소 함량을 나타내는 측정 시그널(SM)을 생성한다. 측정 시그널은 배기 가스의 연료/공기 농도에 비례함을 확인하였다. 제어 모듈(26)은 측정 시그널(SM) 간의 편차(E)에 따라, 주입기(17)에 적용되어 연소 혼합물의 연료/공기 농도 및 이후의 배기 가스 조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제어 시그널(SC)을 결정한다. 제어 모듈(26)에 의하여 형성된 조절 버클은 존데(23)의 측정 시그널(SM)을 실질적으로 명령값(C)과 동일하게 유지하는 배기 가스 조성을 얻게 되는 결과를 유도한다.
시작 시점(T1) 및 중간 시점(T2) 사이에, 접촉 개질기(14)의 활성 부위에 흡수된 질소 산화물은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하여 제거된다.
중간 시점(T2)으로부터, 접촉 개질기(14)의 촉매 원소에 흡수된 질소 산화물은 실질적으로 완전히 제거된다. 따라서, 제어 시그널을 변화시키지 않을 경우, 배기 가스내에 존재하는 환원제는 더 이상 산화되지 않으므로, 접촉 개질기(14)의 하류에서 배기 가스의 조성 변화가 일어난다. 특히, 배기 가스의 수소(H2) 함량이 증가되는데, 수소는 산소 존데가 감지하는 질소 산화물의 환원제이다. 배기 가스의 이러한 조성 변화는 제2 시그널(S2)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 시그널(SM)이 제1 값(V1)으로부터 제2 값(V2)으로 이행되도록 한다. 제2 값(V2)은 사실상 산소 존데의 포화값이다.
조절로 인하여, 출력 시그널(SM)은 시그널 S1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배기 가스의 조성은 변화된다.
도 1, 2 및 4에 사용된 부호를 계속 사용하여 도시한 도 3에서, 제어 모듈(26)에 의하여 생성되고 도 2의 제1 측정 시그널(S1)에 해당하는 제어 시그널(SC)은 시간을 가로축으로 하고 제어 시그널(SC)의 값을 세로축으로 하여 나타낸 그래프 상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실선으로 도시한 제어 시그널(SC)은 시작 시점(T1) 전과 최종 시점(T3) 후에서 0값이다. 제어 시그널(SC)은 시작 시점(T1) 후에 제1 제어값(C1)에 도달하여, 중간 시점(T2)까지 이 값을 유지하다가, 제2 제어값(C2)에 이르고, 이 값을 실질적으로 최종 시점(T3)까지 유지한다.
중간 시점(T2) 후에 제어 시그널(SC)의 비약은 접촉 개질기(14)의 하류에서 상기 접촉 개질기(14)에서 유래된 배기 가스의 조성 변화 및 질소 산화물의 환원의 종결에 해당한다. 제어 시그널(SC)은 조절을 통하여, 측정 시그널(S1)이 실질적으로 명령값(C)과 동일하게 유지되어(도 2) 제2 값(V2)으로의 비약이 일어나지 않도록 변형된다. 반대로, 제어 시그널 자체는 상응하는 비약을 나타낸다.
제1 평탄치 및 제2 평탄치 사이에서 제어 시그널(SC)의 비약은 질소 산화물의 퍼지 종결 및 퍼지 단계의 최종 단계로의 이행을 탐지할 수 있게 한다. 실제로, 시점 T2에서 제어 시그널(SC)의 제1 유도값의 한계 초월, 실질적으로 시점 T2에서 제어 시그널(SC)의 제2 유도값의 무효화를 탐지하거나 또는 순간 시그널값 및 제어 시그널(SC)의 이동 평균값(sliding mean value) 간의 차이에 의한 한계 초월을 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비약이 탐지되는 경우, 탐지 모듈(27)은 퍼지 단계가 정지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탐지 시그널을 생성한다.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시작 시간 및 중간 시간 사이의 시간 차이에 대하여 중간 시간 및 최종 시간 사이의 시간 차이를 크게 하였다. 중간 시간 및 최종 시간 사이의 시간 차이는 짧으며, 퍼지는 퍼지 종결의 탐지로부터 정지된다.
또한, 산소 존데, 특히 람다 존데는 실질적으로 작동 온도에 민감하므로, 람다 존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마련할 수 있다. 람다 존데의 온도 탐지기가 구비되어 있으며, 람다 존데의 열 공급압을 제어하여 온도를 맞출 수 있는, 람다 존데의 공급에 관여하는 회로를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정화 수단의 하류에서만 배기 가스의 조성을 분석 이용함으로써, 배기 가스 정화 수단의 퍼지 단계 실행을 위하여 내연 기관을 제어할 수 있다. 유일한 존데를 사용하여 제어 장치의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밖에, 비례형 산소 존데보다 실질적으로 압력이 더 낮고 더 견고한 람다형 산소 존데를 조성 분석에 사용할 수 있다. 정화 수단 및 관련 하류 람다 존데는 엔진의 연소 챔버의 출구에 근접하도록 배기 라인 상에 배치할 수 있다. 특히 비례형 산소 존데에 비하여, 람다 존데의 신속한 반응 시간은 배기 가스의 조성 조절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존데의 출력 시그널을 기초로 생성된 제어 시그널의 분석에 의하여 퍼지 단계의 종결을 탐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엔진(2)의 배기 라인(4) 상에 배치된 배기 가스 정화 수단(14)의 재생을 위하여 내연 기관(2)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정화 수단의 재생 단계 동안에 정화 수단(14)의 하류에서만 배기 가스의 조성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을 기초로 엔진(2)의 제어 시그널을 생성하여 정화 수단(14)의 상류에서 배기 가스의 조성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정화 수단(14)의 하류에 배치된 올-오어-낫싱(all-or-nothing)형 산소 존데(23)를 이용하여 배기 가스의 조성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존데(23)의 작동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존데의 출력 시그널(SM)을 기준값(C)과 비교하고, 존데의 출력 시그널(SM)과 기준값(C) 사이의 편차(E)를 감소시키도록 제어 시그널(SC)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어 시그널(SC)을 기초로 재생 단계의 종결 단계를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연료의 주입을 변화시키기에 적합한 제어 모듈(26) 및 정화 수단(14)의 바로 하류에 배기 라인 상에 배치된 산소 존데(23)를 구비하는, 내연 기관(2)의 배기 라인(4) 상에 배치된 배기 가스 정화 수단(14)의 재생을 위한 제어 장치로서,
    정화 수단(14)의 재생 단계 동안에 주입 제어 모듈은 상기 산소 존데(23)의 출력 시그널만을 기초로 배기 가스의 조성을 변화시키는 데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산소 존데(23)는 올-오어-낫싱형 또는 비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존데(23)의 작동 온도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어 모듈(26)에 의하여 생성되는 제어 시그널을 기초로 재생 단계의 종결을 탐지하는 데 적절한 탐지 모듈(2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정화 수단은 질소 산화물 포획기(trap)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57011090A 2002-12-18 2003-12-12 배기 가스 정화 수단을 재생시키기 위하여 내연 기관을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0500843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216127A FR2849105B1 (fr) 2002-12-18 2002-12-18 Procede de commande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pour la regeneration de moyens de purification des gaz d'echappement et dispositif associe
FR02/16127 2002-1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4342A true KR20050084342A (ko) 2005-08-26

Family

ID=32406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1090A KR20050084342A (ko) 2002-12-18 2003-12-12 배기 가스 정화 수단을 재생시키기 위하여 내연 기관을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278260B2 (ko)
EP (1) EP1581731B1 (ko)
JP (1) JP2006511754A (ko)
KR (1) KR20050084342A (ko)
AT (1) ATE339604T1 (ko)
DE (1) DE60308418T2 (ko)
ES (1) ES2268497T3 (ko)
FR (1) FR2849105B1 (ko)
WO (1) WO20040657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3133A1 (fr) * 2008-06-30 2010-01-01 Renault Sas Dispositif et procede de detection de fin de purge d'un catalyseur de type piege a oxyde d'azot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2320A (en) * 1989-03-03 1992-12-1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ir-fuel ratio feedback control system having single air-fuel ratio sensor downstream of or within three-way catalyst converter
US5313791A (en) * 1991-06-28 1994-05-24 Ford Motor Company Method for detecting catalyst malfunctions
WO1994017291A1 (en) * 1993-01-19 1994-08-0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xhaust gas cleaning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456401B2 (ja) * 1998-02-12 2003-10-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DE19808382A1 (de) * 1998-02-27 1999-09-02 Volkswagen Ag Steuerung eines NOx-Absorber-Katalysator
DE19828609A1 (de) * 1998-06-26 1999-12-30 Siemens Ag Verfahren zur Regeneration eines NO¶x¶-Speicherkatalysators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19913901C2 (de) * 1999-03-26 2001-10-18 Siemens Ag Verfahren zum Überprüfen der Funktionsfähigkeit eines Katalysators
DE10139992B4 (de) * 2001-08-16 2006-04-27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zur Regelung der Gemischzusammensetzung für einen Ottomotor mit NOx-Speicherkatalysator während einer Regenerationsphase
JP3855920B2 (ja) * 2002-11-29 2006-12-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85349A1 (en) 2006-08-24
FR2849105A1 (fr) 2004-06-25
DE60308418D1 (de) 2006-10-26
WO2004065766A1 (fr) 2004-08-05
ES2268497T3 (es) 2007-03-16
EP1581731B1 (fr) 2006-09-13
US7278260B2 (en) 2007-10-09
JP2006511754A (ja) 2006-04-06
EP1581731A1 (fr) 2005-10-05
FR2849105B1 (fr) 2007-03-16
DE60308418T2 (de) 2007-03-29
ATE339604T1 (de) 2006-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4087B2 (ja) 内燃機関の排気ガス浄化装置
US20050188680A1 (en) Deterioration diagnosing device and diagnosing method for exhaust gas purification catalyst
US6935104B2 (en) Engine control system
US59080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riching the oxygen content in the intake ai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951831B2 (ja) 内燃機関の排気ガス浄化装置
JP4507957B2 (ja) 内燃機関の触媒劣化検出装置
US7827783B2 (en) Exhaust gas purifying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614658A (en) Exhaust sensor
KR20040063078A (ko) 배기 가스 정화 시에 저장 촉매 컨버터의 재생, 특히탈황산화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3826515B2 (ja) 内燃機関の触媒劣化診断装置
KR20050084342A (ko) 배기 가스 정화 수단을 재생시키기 위하여 내연 기관을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05240716A (ja) 触媒の劣化診断装置
JP4992941B2 (ja) 改質触媒システム
JP2003314257A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529967B2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システム
US7458205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JP2006220019A (ja) エンジンの排ガス浄化装置
JP2007162499A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H1193647A (ja) 内燃機関の触媒劣化診断装置
JP4248497B2 (ja) 内燃エンジンの排気ガス浄化手段に連結されたプローブの機能制御方法及び装置
JP4063743B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時期制御装置
WO2009130800A1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システム
JP2007187146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3840738B2 (ja) 排気浄化装置
JP4661626B2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