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3684A - 다중입력 다중출력 무선 장치에서의 위상 및 진폭 오프셋교정장치 - Google Patents

다중입력 다중출력 무선 장치에서의 위상 및 진폭 오프셋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3684A
KR20050083684A KR1020057004168A KR20057004168A KR20050083684A KR 20050083684 A KR20050083684 A KR 20050083684A KR 1020057004168 A KR1020057004168 A KR 1020057004168A KR 20057004168 A KR20057004168 A KR 20057004168A KR 20050083684 A KR20050083684 A KR 20050083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signal
amplitude
baseband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4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찬드라 바이드야나단
게리 엘 슈거
Original Assignee
아이피알 라이센싱,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피알 라이센싱,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이피알 라이센싱,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83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68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605Array of radiating elements provided with a feedback control over the element weights, e.g. adaptive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03Software-defined radio [SDR] systems, i.e. systems wherein components typically implemented in hardware, e.g. filters or modulators/demodulators, are implented using software, e.g. by involving an AD or DA conversion stage such that at least part of the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digital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75Circuits with means for limiting noise, interference o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83Transmitters with multiple parallel 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1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calibration; for correcting measu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모(MIMO :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다른 장치와 통신할 때 채널 대칭을 유지하기 위해 무선 장치에서 위상 및 진폭 불일치를 교정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한 무선 장치의 다수의 송신기와 다수의 수신기 간의 진폭 및 위상 불일치에 관한 교정은 수신기 통로 또는 송신기 통로 또는 이들 두가지 통로 모두에서 디지털 로직(이를테면 모뎀)을 이용하여 기저역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무선 장치에서 진폭 및 위상 오프셋은 장치의 제1 안테나 통로에 신호를 공급하고 제2 안테나 통로와 연관된 수신기에 의해 신호가 하향변환되는 장치의 제2 안테나로 제1 안테나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커플링할 때 그리고, 유사하게 제2 안테나 통로로부터의 신호를 제1 안테나 통로로 커플링하여 위상과 진폭의 반응을 측정함으로써 다수의 무선 송신기와 다수의 무선 수신기 사이에서 결정된다. 제1 안테나와 다른 안테나 각각에 대해 양방향으로 신호를 커플링할 때 이들 안테나 사이에서 측정을 얻을 수 있다. 위상과 진폭오프셋 교정값은 장치의 자체 캘리브레션 동작 또는 모드 중에 위상과 진폭 측정으로부터 연산되어 기저역 전송신호 및/또는 기저역 수신신호를 처리할 때 런타임 동작 또는 모드 중에 사용되어 장치의 다수의 송수신통로 사이의 위상과 진폭 오프셋을 보상하게 된다. 특정 무선 구조 또는 미모무선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진폭 오프셋 교정이 필요없을 수도 있다. 장치는 파워 업 중에 자체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고, 이후 주기적으로 다시 캘리브레이션을 행할 수 있다. 자체 캘리브레이션은 또한 공장에서 무선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다중입력 다중출력 무선 장치에서의 위상 및 진폭 오프셋 교정장치{TECHNIQUES FOR CORRECTING FOR PHASE AND AMPLITUDE OFFSETS IN A MINO RADIO DEVICE}
본 출원은 2002년 9월 10일 출원된 미국 예비출원 제60/409,677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그 내용 모두가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중입력 다중출력(이하 "미모"라함, MIMO :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무선 통신을 이용한 무선 장치에서 위상 및 진폭 오프셋을 교정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미모(MIMO) 무선통신은 다수의 신호를 이 신호에 대응하는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제1 장치로부터 전송하고, 다수의 제2 장치의 다수의 안테나에서 다수의 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송수신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들 제1 장치 및 제2 장치 각각은 전송할 신호를 상향 변환하는 다수의 송신기와, 다수의 안테나 각각에서 수신된 신호를 하향 변환하는 다수의 수신기를 가지고 있다.
다수의 미모 신호 처리 알고리즘이 당분야에서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 중에서 2개의 장치 사이의 무선채널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장치에서 수신된 신호 대 잡음비(SNR :Signal-to Noise Ratio)를 최대화하는 기법의 미모 무선 알고리즘이 몇가지 공개되어 있다. 이들 미모 무선 알고리즘은 2개의 장치 사이에 이루어지는 링크의 채널 대칭성에 의존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채널 대칭성에 의존하는 미모 무선 알고리즘의 예는 "조인트 MRC(Maximal Ratio Combining)를 이용한 안테나 다이버시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이라는 명칭으로 2002년 6월 19일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1 0/174,728호, "동등 파워 조인트 MRC를 이용한 안테나 다이버시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라는 명칭으로 2002년 6월 19일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1 0/174,689호, "시간 도메인 신호처리를 이용한 조인트MRC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라는 명칭으로 2002년 7월 18일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1 0/064,483호에 공통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이들 알고리즘은 실질적으로 수신된 신호대 잡음비를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이렇게 하는 것으로 장치들 상호간에 통신을 할 수 있는 범위를 확대시켜준다.
링크 상에서 한 장치의 송신기 통로 및 수신기 통로가 동일하지 않으면 채널 대칭을 상실하게 되며, 이 상실로 인해 미모 무선 알고리즘의 성능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송신기 및 수신기에서 각 안테나 통로를 위한 아날로그 회로의 비이상성으로 인해 장치의 각 안테나 통로에서 데이터 변환기와 안테나 간에 발생하는 진폭(이득)반응과 위상반응의 불일치(mismatch)도 채널반응이 비대칭으로 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두 장치 간의 링크에서 채널 대칭성에 의존하는 미모 무선 알고리즘의 이점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해서는 미모 무선 링크 상에서 각 장치의 진폭 및 위상 불일치를 교정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링크 상에서의 한 장치가 미모 무선을 가지고 있고, 다른 장치가 단일 안테나 또는 스위칭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을 가지고 있을 때도 역시 이러한 교정기술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미모 무선 기술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하는 2개의 통신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다수의 무선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위상 오프셋의 소스를 나타낸 무선 장치의 상세도.
도 3은 도시한 위상오프셋 교정을 위한 기술을 이용하는 통신장치의 일반 구성블록도.
도 4는 단일 반송파 또는 직교분할 다중 매트릭스(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시스템에 대해 모든 대역통과필터 및 정렬 매트릭스를 이용하기 위해 위상 및 진폭 오프셋을 교정하는 장치의 블록도.
도 5는 OFDM 시스템에 대해 정렬 매트릭스를 이용하기 위해 위상 및 진폭 오프셋을 교정하는 장치의 블록도.
도 6은 장치의 수신 통로, 전송 통로 또는 이들 양쪽 통로에서 오프셋 교정이 이루어질 수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교정 또는 측정을 단순화하기 위해 송신통로와 수신통로 사이에서 저역 통과 필터가 공유되는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교정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진폭 및 위상 오프셋에 기인하여 링크 마진에서의 평균 손실을 나타낸 등고선 곡선도.
본 발명은 간단히 설명하면 채널 대칭성에 의존하는 미모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어느 한 장치와 통신 할 때, 채널 대칭성을 유지하기 위해 다른 한 장치에서의 위상 및 진폭 불일치(이하 " 오프셋" 또는 "불평형"이라고 혼형하여 사용함)를 교정하기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 장치에서 다수의 송신기와 다수의 수신기 간에 진폭과 위상 불일치를 교정하는 것은 이 장치의 수신기 통로, 또는 송신기 통로, 또는 양쪽 통로 모두에 있어 그 디지털 로직을 이용하는 기저역에서(이를테면 모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장치에 있어 다수의 무선 송신기와 무선 수신기 간의 진폭 및 위상 오프셋은 다음의 2번의 측정방법을 통해 판별하며, 그 하나는 이 장치의 제1 안테나 통로에서 송신기 쪽으로 신호를 공급하고 제1 안테나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제2 안테나 통로(연결된 수신기가 신호를 하향변환하는 곳이 된다)에 커플링할 때 위상과 진폭 반응을 측정하는 것이고, 그 2번째는 유사하게 제2 안테나 통로로부터 제1 안테나 통로로 신호를 커플링할 때 위상과 진폭반응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 측정은 양방향 간의 신호가 함께 커플링될 때 제1 안테나 통로와 각 다른 안테나 통로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이 위상 및 진폭 오프셋 교정값은 장치의 자체 캘리브레이션 동작 또는 모드 중에 위상 및 진폭 측정값으로 부터 연산되며, 기저역 송신 및/또는 수신 신호를 처리할 때의 런 타임 동작 또는 모드 중에 장치의 다수의 송수신기 통로 간의 위상 및 진폭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된다. 진폭 오프셋 교정은 특정 무선 동작이나 미모 무성 알고리즘의 경우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또는 선택적으로만 필요할 수도 있다). 무선 장치는 장치 파워 업 중에 그리고 이후 주기적으로 자체 캘리브레이션 모드를 실행한다. 무선 장치에서의 자체 캘리브레이션은 공장에서 제조시에 이루어질 수 도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바와같은 측정이 이루어진 제1 장치가 같은 측정이 이루어진 제2 장치와 통신할 때, 제1 장치의 전송통로의 디지털 입력(DAC 입력)과 제2 장치의 수신통로의 디지털 출력(ADC 출력) 간의 채널 응답은 제2 장치의 전송통로의 디지털 입력(DAC 입력)과 제1 장치의 수신통로의 디지털출력(ADC 출력) 간의 채널 응답에 대칭이된다. 따라서, 기저역 신호 처리 레벨에서의 2개의 장치 간의 채널 반응은 대칭이되며, 이것은 채널 대칭에 의존하는 미모 무선 알고리즘에게는 바람직한 것이된다.
이러한 기술은 단일 반송파 변조 시스템 뿐만 아니라 직교 주파수 분할다중(OFDM :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시스템과 같은 다중 반송파 변조 시스템에도 유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은 다음에 첨부도면과 함께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N ×M 미모(MIMO :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채널에서 진폭 및 위상 불일치 효과를 설명한다. L1 및 L2는 제1 장치(100)(예를들면 AT)로부터 제2 장치(200)(예를들면 STA)로의 채널반응, 그리고 역으로 STA로부터 AP로의 채널반응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대칭적 미모 채널은 L1 = L2 T의 특성을 갖는다.
장치(100)는 N개의 안테나(110)(1) - (110)(N)을 가지고 있고, 다른 장치(200)는 M개의 안테나(210)(1) - (210)(M)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장치(100)는 N전송통로 및 N수신통로을 가지고 있고, 다른 장치(200)는 M전송통로 및 M수신통로를 가지고 있다. 장치(100)에서 각 전송통로에 D/A변환기(DAC)(115)(1)-(115)(N)가 연결되어 디지털 기저역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안테나(110)(1) - (110)(N) 중에서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전송을 한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른 장치(200)에서 각 전송통로에는 DAC(220)(1)-(220)(M)가 연결되고, 각 수신통로에는 ADC(230)(1) - (230)(M)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장치(100)는 모뎀(140)을 가지고 있고, 다른 장치(200)도 모뎀(240)을 가지고 있다. 이들 모뎀(200)(240)은 프로세스로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에서 디지털 로직 게이트로로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웍 단자 그룹이 CSM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를 이용하여 동일한 반송파 주파수로 데이터 교환을 행하는 IEEE 802.11x 무선 로컬 에어리어 네트웍(WLAN : Wireless Local Area Network)과 같은 장내 무선 통신 시스템의 경우, 임의 2 단자 간의 채널 반응은 대칭적이지만 이러한 대칭성은 그들 안테나 어레이 간에만 존재한다. 예를들면, 제1 장치(100)의 제1 전송통로를 위한 DAC(115)(1)와 안테나(110)(1) 간의 진폭 및 위상 반응은 일반적으로 같은 장치(100)의 제1 수신통로에서의 안테나(110)(1)와 ADC(130)(1) 간의 위상 및 진폭 반응과는 다르다. 더욱이 제1 장치(100)의 제2 전송통로에서 DAC(115)(2)와 안테나(110)(2) 간의 진폭 및 위상 반응은 제2 장치(200)의 제1 전송통로에서의 DAC(220)(1)와 안테나(210)(1) 간의 진폭 및 위상 반응과는 다르다. 채널 대칭에 의존하는 미모 무선 알고리즘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미모 무선 알고리즘 연산이 적용되는 기저역에서의 채널 반응은 대칭성을 요한다. 따라서, 채널의 모든 비 디지털 콤포넌트(예를들면 DAC 입력에서 전송통로, 그리고 수신기 통로의 ADC 출력까지)를 위한 진폭 및 위상 반응의 효과를 고려해야만 하며, 이러한 고려가 필요한 부분은 구체적으로는 각 DAC와 대응 안테나 간의 송신기 콤포넌트의 진폭과 위상 반응, 안테나와 대응 ADC 간의 수신기 콤포넌트의 진폭과 위상을 들 수 있다.
진폭과 위상 불일치와 함께, 모뎀(140)(240)의 로직에 의해 보여진 채널 반응 매트릭스는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장치(100) 대 장치(200) : L1 = B2 H A1
장치(200) 대 장치(100) : L2 = B1 HT A2
여기서, A1, A2는 대각선 매트릭스(또는 "대각선 모체")로서 장치(100)(200)에서의 송신기에 의해 야기된 위상 및 진폭 불평형을 각각 나타내며, B1, B2도 대각선 매트릭스로서, 장치(100)(200)에서의 수신기에 의해 야기된 위상 및 진폭 불평형을 각각 나타낸다. 여기서,
A1 = diag(α11ejφ11,...,α1Nejθ1N )
A2 = diag(α21ejφ21,...,α2Mejθ2M )
B1 = diag(β11ejφ11,...,β1Nejθ1N )
B2 = diag(β21ejφ21,...,β2Nejθ2M )
각 장치의 송신통로 및 수신통로에서 위상 및 진폭효과는 대각선 매트릭스 A1, A2, B1, B2의 대응값으로 표현한다.
상기 공동 계류 출원에 개신된 미모 무선 알고리즘의 n차 반복을 위한 전송 웨이트는 다음과 같다.
wT,SP,n = γn(L2 * L1)n wT,AP,O
wT,STA,n = ρn L1*(L2 L1 *)n w* T,AP,O,
식 중 γn 및 ρn은 가늠자 요인으로서 전송 파워를 단위로 공칭화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웨이트는 파워 반복을 거쳐 L2 * L1 및 L1 * L2를 위한 지배 아이겐벡터(dominant eigenvector)에 까지 각각 영양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2는 위상 오프셋의 소스를 설명하기 위해 장치(100)(N 안테나를 가짐)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서의 장치는 다수의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 무선 송수신기는 다수의 안테나(110)(1) - (110)(N)의 각각에 대응하여 연결된다. 각 무선 송수신기는 다수의 안테나 중 대응하는 것과 연결된 송신기(120)(i) 및 수신기(135)(i)를 포함한다[i(= 1 대 N)를 위함]. 무선 송신기(120)(i)는 관련 DAC(115)(i)에 의해 공급된 기저역 신호를 대응 안테나(110)(i)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 무선주파수 신호로 상향변환한다. 수신기(135)(i)는 대응 안테나(110)(i)에 의해 검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하향 변환한다.
각 송신기(120)(i) 및 수신기(135)(i)에 포함된 콤포넌트는 이용되는 무선 구조, 예를들면 수퍼헤테로다인 방식인가 또는 직접 변환방식 인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는 단지 예시만을 위한 것으로서, 직접 변환구조에서 발견될 수 있는 콤포넌트를 나타내며, 여기서 설명하는 측정기술의 개념은 어떠한 타입의 무선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들면, 도 2는 각 송신기(120)(i)가 상향변환기 믹서(150)(i), 전력증폭기(165)(i) 및 기타 여러 가지 콤포넌트를 포함한다. 각 수신기(135)(i)는 예를 들면, 다른 콤포넌트 중에서도 저잡음 증폭기(167)(i) 및 하향 변환기 믹서(155)(i)를 포함한다. 각 안테나(110)(i)에 연관된 스위치(137)(i)는 송신기(120)(i) 또는 수신기(135)(i)를 안테나(110)(i)에 접속할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한다. 기저역 측에서 DAC(115)(i)와 송신기(120)(i)의 RF 콤포넌트 사이에 있는 전송통로에서 저역통과 필터(125)(i)가 있고, ADC(130)(i)와 수신기(135)(i) 사이의 수신기 통로 사이에도 저역통과필터(127)(i)가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송신기 및 다수의 수신기는 단일 반도체 집적회로(IC)에서 구현될 수 있다. 완전 집적화된 미모 무선 구조에 대해서는 2002년 10월 11일 출원된 공동 계류 미국특허출원 제1 0/065,388호에 개시되어 있으며,그 내용 전부가 본 명세서와 함께 참조문헌으로 제시되었다. 따라서, 미모 무선구조는 다수의 별도 무선 송수신기, 또는 다수의 무선 송수신기가 구현되는 단일 IC로 구성될 수 있다.
위상오프셋의 소스 φ1Tx, φ1Rx - φNTx, φNRx 는 여러 가지이며, 각 통로에 대한 믹서(150)(i), (155)(i)에서의 국부 발진 위상에서의 위상차, 기타 다른 무선 부분에서 소그룹의 지연차가 있다. 이들 오프셋은 프로세스 또는 전압 이나 온도에 따라서 변화한다. 무선주파수(RF) 부분 중에서 그룹 지연차τRFTx(1), τRFRx(1) - τRFTx(N), τRFRx(N) 는 피코초의 10차 수로서, 전체 대역 동작에서 느리게 변화하는 위상오프셋을 야기한다. 예를들면, 50ps 그룹 지연 오프셋은 5.15GHz에서 92.7도의 위상 오프셋을, 5.35GHz에서 96.3도의 오프셋을 야기한다. 따라서, 이러한 타입의 오프셋은 각 대역동작를 위해 한가지 주파수에 대해 교정될 수 있다. 수퍼헤테로다인 구조(예를들면, 도2에는 도시한된 IF필터, AGC 증폭기)에 있어서 그 중간주파수(IF) 콤포넌트 간의 그룹 지연차는 RF 그룹 지연 오프셋 보다 1 또는 2 차수 이상 크기이며, 이것에 의해 대역을 통해 매우 신속하게 변화하는 위상 오프셋을 야기한다. 따라서, IF 부분을 이용하여 설계를 할 때는 각 무선채널에 대해 교정이 필요하다. 기저역 콤포너트(예를들면, 저역통과필터, ADC 및 DAC 간의 파이프라인 잠복 차별)은 IEEE 802.11x 신호 대역폭의 경우 나노초 차수에 있으며, 이에 따라 일 채널의 대역폭 내에서 조차도 상당한 위상변화를 야기한다.
채널 평형에 의존하는 미모 무선 알고리즘의 최적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각 장치를 측정하여 이 측정에 따르는 채널 평형을 확보해야 한다. 어떤 경우에는 이 과정으로 위상 및 진폭 오프셋을 교정하고, 또 다른 경우에는 위상오프셋을 교정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시뮬레이션을 통해, 상기 공동계류 출원에서 개시된 동등 파워 미모 무선 알고리즘은 비동등 파워 미모 무선 알고리즘에 비해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동등파워 알고리즘이 상대적으로 큰 진폭 오프셋에서도 면역성을 갖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각 장치에 있어 전송측에서의 교정은 교정 매트릭스 C로 곱하여 얻을 수 있다. 여기서 교정 매트릭스 C = diag(c1,...,cN)이며, 식중 c1 = γ1exp(jχ1),...cN = γNexp(jχN), γ1은 진폭교정 콤포넌트이고, χ1은 위상교정 콤포넌트이다. 변형 채널 반응 매트릭스는 L1 = B2 H A1 C1및 L2 = B1 HT A2 C2이다.
링크에서 채널 대칭을 확보하기 위한 충분조건은 다음 식(1)과 같다.
B1 = A1 C1 및 B2 = A2 C2 (1)
이 조건이 대칭 채널을 보장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L2 T = (B1 HT A2 C2)T = B2 T H A1 T C1 T = L1 = B2 H A1 C1 = L1
도 1을 참조하면, N × M 대칭 미모 무선 채널을 위해 조건(1)을 다시 기입하는 등가식은 다음과 같다.
γ11α1111exp[j(χ11 + θ11 - φ11)] = γ12α1212exp[j(χ12 + θ12 - φ12)] = ... = γ1Nα1N1Nexp[j(χ1N + θ1N - φ1N)], 그리고
γ21α2121exp[j(χ21 + θ21 - φ21)] = γ22α2222exp[j(χ22 + θ22 - φ22)] = ... = γ2Mα2M2Mexp[j(χ2M + θ2M - φ2M)]. 식중 θ 및 φ는 장치(100)(200)의 송신기 및 수신기 각각의 위상 반응이고, α 및 β는 극 각각의 진폭 반응이다. 도 1에서 사용된 문자 기호 i, j는 장치(i)를 나타내고(장치1은 장치 100, 또는 장치2는 장치 200의 의미이다), j는 장치i의 j번째 안테나(또는 대응 안테나 통로)를 각각 나타낸다.
조건(1)를 나타내는 또 다른 등가식은 다음과 같다.
진폭에 대해,
γ11α1111 = γ1Nα1N1N ,
γ21α2121 = γ2Mα2M2M ,이고,
위상에 대해서는
11 + θ11 - φ11] = [χ12 + θ12 - φ12] = ... = [χ1N + θ1N - φ1N)] 및,
21 + θ21 - φ21] = [χ22 + θ22 - φ22] = ... = [χ2N + θ2M - φ2M)]이다.
2(N-1) 및 2(M-1) 선형 독립식은 사이드 1 및 사이드 2에 대한 조건을 규정하는데 각각 필요하다.
11 + θ11 - φ11] = [χ12 + θ12 - φ12];γ11α1111 = γ12α1212 ,
11 + θ11 - φ11] = [χ13 + θ13 - φ13];γ11α1111 = γ13α1313 ,
...
11 + θ11 - φ11] = [χ1N + θ1N - φ1N];γ11α1111 = γ1Nα1N1N
21 + θ21 - φ21] = [χ22 + θ22 - φ22];γ21α2121 = γ22α2222 ,
21 + θ21 - φ21] = [χ23 + θ23 - φ23];γ21α2121 = γ23α2323 ,
...
21 + θ21 - φ21] = [χ2M + θ2M - φ2M];γ21α2121 = γ2Mα2M2M ,
상기 식은 링크상에 한 장치, 예를들면 N 사이드에 대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1 + θ1 - φ1] = [χ2 + θ2 - φ2];γ1α11 = γ2α22 ,
1 + θ1 - φ1] = [χ3 + θ3 - φ3];γ1α11 = γ3α33 ,
...
1 + θ1 - φ1] = [χN + θN - φN];γ1α11 = γNαNN , (2a)
일부 항을 변형하여 식(2a)를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1 + θ1 - φ2] = [χ2 + θ2 - φ1];γ1α11 = γ2α21 ,
1 + θ1 - φ3] = [χ3 + θ3 - φ1];γ1α12 = γ3α31 ,
...
1 + θ1 - φN] = [χN + θN - φ1];γ1α12 = γNαN1 ,(2b)
식 (2a) 및 식 (2b)에서, 제1항 은 생략하여 일반성을 상실하지 않고도 식이 링크의 양측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채널 대칭성을 확보하기 위해 등가인 식(2a) 또는 (2b)의 관계는, 링크 상에서 양쪽 장치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식(2a) 및 (2b)의 관계식을 아래 설명한다. 일부 기본 명칭에 대해서 먼저 설명한다. 한 장치에서, 각 안테나에 대해서는 이 안테나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를 상향 변환하는 송신기와, 상기 안테나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하향변환하는 대응 수신기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각 안테나는 양쪽 전송 및 수신 방향에서 대응 안테나 통로를 갖는다. 송신기의 입력으로부터 대응 안테나의 출력까지의 신호통로는 상기 안테나용(또는 안테나에 대한) 전송통로로서 명명한다. 유사하게 안테나의 입력으로부터 대응 수신기의 출력까지의 신호통로는 이 안테나용(안테나에 대한) 수신 통로로 명명한다. 위상 및 (선택적으로) 진폭 오프셋 교정 값은 다수의 안테나에 연관된 각 안테나 통로를 위한 신호(전송통로 방향, 수신통로 방향, 또는 양쪽 통로방향으로의 신호)에 인가된다.
식(2a)의 관계식을 표현하는 한 방법은 한 장치에서 (a)송신기의 입력으로부터 대응 안테나의 출력까지의 진폭과 위상반응, 그리고(b)이 안테나의 입력으로부터 그 대응 수신기까지의 진폭과 위상반응 간의 차이가 모든 안테나(i = N 안테나 장치의 1 - N)에 대해 동일( 및 일정)하게 하는 것이다. 식(2b)의 관계식을 나타내는 한 방법은 한 장치에서 (a) 한 안테나(예를들면 안테나 1)에 연관된 송신기로의 입력으로부터 다른 안테나(예를들면 안테나 i)와 연관된 수신기의 출력 까지의 진폭 및 위상 반응이 안테나 i에 연관된 송신기의 입력으로부터 안테나 1 연관된 수신기의 출력까지의 진폭과 위상이 모든 안테나(i = N 안테나 장치의 2 -N)에 대해 같도록 하는 것이다.
식(2b)의 설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루프 백 구성을 제안하는 것으로서, 교정값γi 및 χi 을 연산하는데 필요한 측정을 얻어서 장치의 다수의 송신기 및 다수의 수신기 간의 진폭 및 위상 오프셋을 교정하고, 이것에 의해 장치가 신호를 송수신할 때 식(2b)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하고 있다. 반복하여 식(2b)를 만족하는 교정값은 식(2a)를 만족시키게 된다.
도 3은 식(2a) 또는 식(2b)의 조건을 얻기 위해 교정값(γi 및 χi)을 나타낸다. 모뎀(140)은 측정 연산 블록(145)을 포함하여 캘리브레이션 측정 과정을 위해 사용되는 신호를 생성하고, 측정 및 연산을 하여 교정값을 저장한다. 모뎀(140)은 또한 교정블록(147)을 가지며, 이 블록(147)은 교정값을 기저역 전송 신호, 또는 전송 웨이트, 또는 기저역 수신신호에 가하거나 기저역 전송 신호 및 기저역 수신신호 모두에 가하여 목표 네트 교정값을 얻는다. 캘리브레이션 파라메터를 생성하고, 이들 파라메터를 가하는 기술은 많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 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같이 제어기 프로세서(170)은 모뎀(140)에 연결된 신호를 생성하여 장치의 초기 파워업 시에 자체 캘리브레이션을 초기화하거나 및/또는 이후 주기적으로 또는 때때로 캘리브레이션 파라메터를 갱신할 수도 있다. 다른 장치와 대칭적 링크에 의존하는 각 장치는 유사한 방법으로 자체 캘리브레이션을 한다. 이하에서 교정값을 정렬값 및/또는 캘리브레이션 파라메터로 칭한다.
수신기 및/또는 송신기에서 가변 이등 증폭기가 사용되는 경우에, 캘리브레이션은 이들 부분의 인가된 이득 셋팅에 대해 위상에서의 변화를 고려해야한다. 한 가지 기술은 수신기 및 송신기 콤포넌트의 위상 대 이득 셋팅 관계를 판별하고, 메모리(165)에 이득 독립 교정값(표에서와 같이)에 대한 조정값을 저장하거나, 이와는 달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뎀(140)의 디지털 로직에 이들 조정값을 하드 코드화하는 것이다. 교정 값에 대한 이득 독립 조정값은 한번에 공장에서 생성하고, 이후 현장에서 장치의 운전동작 또는 모드 시에 이 장치의 현재 이득 셋팅에 따라서 이들 조정값을 사용한다. 이와는 달리 , 교정값을 이득 독립 조정값을 자체 캘리브레이션 모드 또는 동작 중에 현장에서 연산할 수도 있다. 이득독립 교정값은 현장 및/또는 공장에서 장치의 자체 캘리브레션 모드 중에 이득 독립 교정값을 연산할 수도 있다. 교정값에 대한 이득 독립 조정값은 각 이득 셋팅 중에 도 4 및 도 5와 접목하여 아래 설명하는 바와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공장이나 현장에서)생성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로직은 모뎀(140)에 위치하는데 그 이유는 모뎀이 전형적으로 기저역 신호를 처리하는 ASIC에서 디지털 로직 게이트와 함께 구형되기 때문이다. 특정 응용에 있어서 또는 휴대성 또는 고정성 응용에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능력의 향상으로 인해 캘리브레이션 로직은 프로세서 독출 메모리 매체에 저장되거나 엔코드된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프로세서(170)(모뎀 로직을 또한 실행함)에 실행된다.
캘리브레이션 세션이 수행된 이후 식(2a) 또는 식(2b)의 조건을 얻기 위해, 기저역 전송신호 및/또는 수신신호를 처리할 때, 교정값이 사용된다. 이들 조건에 대해 캘리브레트된 제1 장치는 유사하게 캘리브레이트된 제2 장치와 통신할 때, 제1 장치의 전송통로의 디지털 입력(DAC입력)과 제2 장치의 수신통로의 디지털 출력(ADC 출력) 간의 채널 응답이 제2 장치의 전송통로의 디지털 입력(DAC 입력)과 제1 장치의 수신통로 디지털 출력(ADC 출력) 간의 채널 응답과 대칭된다. 따라서, 기저역 신호처리 레벨에서 2 장치간의 채널 반응은 대칭이 되며, 이것은 채널 대칭에 의존성을 갖는 미모 무선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것이다.
상대적으로 큰 그룹 지연 오프셋(통상 기저역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 콤포넌트에서 야기됨)에 대해서는, 송수신기 통로 간의 위상 불일치가 전송된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변경하므로, 주파수에 대해서 변화하는 위상 정렬을 요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ed)시스템과 같은 다중 반송파 변조 시스템에 대해서는 송신기, 또는 수신기, 또는 이들 모두에 있어 각 OFDM 부반송파를 위한 여러가지 다른 위상 정렬 매트릭스C(k)를 이용하여 이러한 정렬을 이룬다. 도 4 및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또 다른 접근 방법은 (1) 송신기, 또는 수신기 또는 양쪽 모두에서 모든 통과필터를 이용하고, (2)광대역 위상 오프셋을 보상하기 위해 주파수 비선택성 위상 교정값(단일 주파수 독립 교정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각 송수신기 통로의 그룹 지연을 정렬하는 것이다.
도 4는 미모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N안테나 장치의 관련 부분(도 3의 장치100)을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서 진폭 및 위상 교정이 이루어진다. 도 4의 접근 방법은 단일 반송파 또는 다중 반송파 변조 시스템에서 유용한 것이다. 도시한 모뎀(140)은 캘리브레이션 연산 블록(145) 및 교정블록(147)을 포함하고 있다. 교정블록(147)은 모든 대역통과필터(180)(1) - 180(N) 및 멀티플라이어(190)(1) - (190)(N)를 포함한다. 멀티플라이어(190)(1) - (190)(N)는 단일 교정 매트릭스 C = diag(c1, ..., cN)(식중 ci 는 γi exp(jχi)로 정의되며, 위상 오프셋 및 진폭오프셋을 위한 것이다)를 인가한다. 위상교정값 χi 의 콤포넌트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의 접근방법은 모뎀의 수신기 콤포넌트에서 기저역 그룹 지연 정렬을 수행한다. 이 접근방법은 게이트 카운트 관점에서 매력적인데 그 이유는 모든 대역통과필터(예를들면 리샘플러)가 이미 데이터 타이밍 회복을 위해 대부분의 수신기 모뎀 구조에서 요구되고 있고, IEEE 802.11b와 같은 단일 반송파 시스템에서도 유용하지만 OFDM 시스템과 같은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또한 매력적이기 때문이다. 도 6과 함께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모든 통과 필터 및 멀티플라이어를 구현하는 디지털 로직 게이트는 송신기 통로, 수신기 통로 또는 이들 양쪽 모두에 존재하여 진폭 및 위상 오프셋을 보상할 수 있다.
멀티플라이어(190)(1) - (190)(N)는 상향변환 및 전송에 앞서 기저역 전송 신호에 전송웨이트WT를 인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멀티플라이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송 웨이트WT는(콤플렉스 번호)는 대각선 매트릭스C의 대응 요소ci에 의해 곱해진다.
도 4에 도시한 N 안테나 장치에 관한 캘리브레이션 파라메터 생성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캘리브레이션 연산 블록(145)은 로직을 포함하여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수행하고, 모든 대역 통과필터(180)(1) - (180)(N)와 멀리플라이어(190)(1) - (190)(N)에 관한 캘리브레이션 파라메터를 생성한다.
스텝1. 주파수 신시사이저(195)는 관심이 있는 무선주파수 대역에서 공지된 주파수 채널로 동조한다. 모뎀은 기저역 CW(Continuous Wave) 톤(tone)e2πjφkt 을 생성하며, 이것은 송신기(120)(1)와 안테나(110)(1)를 경유하는 전송을 위해 안테나(110)(1)(안테나 통로 1)에 연관된 DAC(115)(1)에 결합되고, 케이블 또는 공중링크를 이용하여 안테나 통로1의 전송RF 출력이 안테나(110)(2)(안테나 통로2)에서의 RF입력으로 루프 백된다.안테나 통로1에서 DAC(115)(1)에 대한 입력에서의 신호와 안테나 통로2에서 ADC(130)(2)의 출력에서의 신호 간의 제1 위상차가 다수의 주파수(예를들면, fk = [-3fs/8, -fs/8, fs/8, 3fs/8], 단 fs = 심볼 레이트)에서 측정된다. 일반적으로, 기저역 신호의 대역폭에 충분한 스팬을 갖는 주파수에서 측정이 이루어진다. 제1 위상차는 ψ12(k) = [θ1(k) + φ2(k) + φant(1,2)]이다. 식중 θ1(k) 및 φ2(k)는 주파수 fk에서 송신기(120)(1) 및 수신기(135)(2)를 통한 위상 시프트를 각각 나타내고, φant(1,2)는 안테나(110)(1)와 안테나(110)(2) 사이의 공중 또는 케이블의 위상 시프트를 표현한다. 또한, ADC(130)(2)의 출력에서 신호의 제1 증폭γ12(k)은 각 주파수 fk에서 측정된다.
스텝2. 송신기로서의 안테나 통로2와 수신기로서의 안테나 통로1을 이용하여 스텝1을 반복하고, 제2 위상차 ψ21(k) = [θ2(k) + φ1(k) + φant(1,2)]을 측정하고, 주파수 fk의 각각에 있어서 그 ADC(130)(1)의 출력에서의 신호의 제2 진폭 γ21(k)을 측정한다.
위의 스텝 1 및 스텝 2에서, 한 안테나로부터 다른 안테나로 (케이블 또는 공중으로) 전송된 신호가 수신 전에 충분한 감쇠를 겪지 않으므로, 수신기 통로에서 (저잡음) 증폭기는 턴 오프되거나 그 이득 셋팅을 턴 다운하며(낮추어지며), 그 수신된 신호가 수신통로에서 믹서 및 다른 콤포넌트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스텝3. 안테나 통로1과 안테나 통로2 사이의 대역내 그룹 지연 오프셋 또는 불일치는 다음식을 이용하여 추산된다.
δτ2 = - (1/2π)* 주파수 fk에 걸쳐 포인트[(fk, ψ12(k) - ψ21(k))]를 통과하는 최선 적합 라인의 경사도.
스텝4. 안테나 통로1와 안테나 통로2 간의 광대역 위상 오프셋 또는 불일치는 다음식으로 추산된다.
δθ2 = 주파수 fk에 걸쳐 포인트[(fk, ψ12(k) - ψ21(k))]를 통과하는 최선 적합 라인의 y-인터셉트.
진폭불일치γ2는 주파수 fk에 걸쳐 제1 측정진폭과 제2 측정진폭의 비, 즉 [(fk, γ12(k)/γ21(k))]의 평균으로부터 추산된다.
스텝5. 스텝1-4는 안테나 통로 1 과 i 사이에서 반복되어 주파수 fk에 걸쳐 포인트 [(fk, ψ1i(k) - ψi1(k))]로부터 그룹 지연 오프셋 δτ1과 광대역 오프셋δθi를 측정하고, [(fk, γ1i(k)/γi1(k))]로부터 i = 3,...,N에 대한 진폭 오프셋 γi를 측정한다. δτ1,...,δτN과 δθi,..., δθN 과, γ1,...,γN은 캘리브레이션 파라메터로서 또는 교정값으로서 저장되며, 제1 안테나와 연관된 안테나 통로에 관해서는 그룹 지연 오프셋δτ1 = 0, 광대역 위상 오프셋 δθ1 = 0, 진폭오프셋 γ1 = 1이다. δτ1을 위한 단위는 적절한 샘플링속도에서의 샘플이다.
스텝6. 송수신기 간의 대역내 그룹지연 불일치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i = 1,...,N에 대해 모든 대역 통과 필터 i를 이용하여 수신기 통로 i에서 δτi 샘플의 그룹 지연을 생성하여 정상 동작 중에 교정될 수 있다. δτ1 > 0은 지연(지상)을 암시하고, δτi 는 진전(진상)을 암시한다. 송수신기 통로 간의 광대역 위상 오프셋(및 선택적으로 진폭 오프셋)은 전송 웨이트 또는 기저역 전송 신호를 다음의 대각선 정렬 매트리릭스 C로 곱하여 제거할 수 있다.
c1 = 1
c2 = γ2exp(jδθ2)
c3 = γ3exp(jδθ3)
...
cN = γNexp(jδθN)
진폭 오프셋 교정이 수행되지 않는다면, 모든 i에 대해 γi = 1이다.
스텝7. 필요하다면, 스텝 1- 6을 RF대역 내에 있어 그 다중 채널에서 반복하여 천천히 위상 오프셋을 변화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안테나 및/또는 커플링 케이블을 통한 위상 시프트는 임의 연산 결과에 영향을 주지하는다. 각 채널에 대한 교정값을 저장하거나 한 세트의 채널 독립 교정값을 저장할 수도 있고, 캘리브레이션 파라메터의 채널 독립 세트에 대한 채널 종속 조정값을 각 채널에 대해 저장할 수도 있다.
도 4의 프로세스를 주파수 fk에서의 다중 톤(tone) 대신에 다중 반송파 변조 신호, 예를들면 OFDM 신호를 이용하여 변형할 수도 있다.또한, 상기 과정을 일반화하거나 OFDM과 같은 다중 반송파 변조 스킴으로 확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일 반송파 기저역 신호의 대역폭을 가로지르는 주파수 fk에서 위상차측정을 일으키는 대신에 다중 반송파 기저역 신호의 다수의 부반송파 k(모든 부반송파 k에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님)에서 측정을 행하고, 상기한 선형 분석(기울기 및 y-인터셉트 연산)을 충분히 행할 수도 있다.
요약하면, 안테나 i = 1 - N에 대응하는 안테나 통로를 위해 오프셋값을 연산하고, 여기서, 대응 광대역 위상 오프셋 값δθi 과 대응 대역내 지연값δτi을 기저역 신호의 대역폭에 걸쳐있는 주파수 fk로부터 도출한 시퀀스[ ψ1i(k) - ψi1(k)]로부터 추산하며, 여기서 ψ1i(k)는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송신기에 대한 입력과 주파수 fk에서 안테나 i에 연관된 수신기의 출력 간의 위상차(이것을 또한 제1 위상차로 칭함)이고, ψi1(k)은 안테나 i에 연관된 연관된 송신기에 대한 입력과 주파수 fk에서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수신기의 출력 간의 위상차(이것을 또한 제2 위상차로 칭함)이고, δθ1 = 0 = δτ1 이다. 대응 진폭 오프셋 γ1 은 전술한 진폭으로부터 연산된다.
도 4와 함께 전술한 바와 같이, 캘리브레이션 연산 블록에 의해 연산된 위상(및 선택적으로 진폭) 오프셋을 이용하여, 모뎀(140)에서의 교정블록(147)은 다수의 기저역 전송신호(또는 전송 웨이트) 및/또는 다수의 기저역 수신신호를 처리하며(예를들면, 곱하며), 대응교정값은 다수의 송신기와 다수의 수신기 간의 위상차 (그리고 선택적으로)진폭에서의 차를 교정하고, 그 결과 신호가 다수의 송신기에 의해 전송될 때 및/ 또는 신호가 다수의 수신기에 의해 전송될 때 (1)송신기에 대한 입력으로부터 대응 안테나 까지의 위상반응과, (2)이 안테나의 입력으로부터 대응수신기의 출력 까지의 위상반응 사이의 차이가 다수의 안테나 각각에 대해 동일하다(즉, 모든 안테나 통로에 대해 일정하다).
특히, (광대역) 위상 오프셋을 교정할 때, 모뎀(140)은 다수의 기저역 전송신호 및/또는 다수의 기저역 수신신호를 처리하고, 대응 광대역 위상 오프셋 교정 값은 안테나 i = 1 - N와 연관된 안테나 통로를 위해 연산된 광대역 위상 오프셋과 같은 네트 위상 오프셋 교정을 얻는다. 유사하게, 진폭오프셋을 교정할 때, 모뎀(140)(교정블록을 사용함)은 다수의 기저역 전송신호 및/또는 다수의 수신신호를 처리하며, 대응 진폭 교정 값은 대응 안테나 i = 1 - N와 연관된 안테나 통로에 대해 연산된 진폭오프셋과 같은 네트 진폭 오프셋 교정을 얻는다. 또한, 대역내 위상 오프셋을 교정할 때, 모뎀(140)은 다수의 기저역 전송신호 및/또는 다수의 기저역 수신신호를 처리하고, 대응 그룹 지연 교정값은 대응 안테나 i = 1 - N의 통로를 위해 연산된 그룹지연 오프셋과 같은 네트 그룹 지연 오프셋 교정을 얻는다.
도 5는 OFDM과 같은 다중 반송파 변조 스킴에 적절한 접근방법을 도시한다. 교정블록(147)은 다수의 멀티플라이어(197)(1) - (197)(N)을 포함하여 전송 정렬 또는 교정 매트릭스 Ck를 인가하여 각 OFDM 부반송파에서 위상 및 선택적으로 진폭오프셋을 제거한다. 멀티플라이어(197)(1) - (197)(N)는 전송웨이트WTi(i = 1 - N)를 전송될 기저역 전송신호에 인가하는데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멀티플라이어일 수 있다. 전송 정렬 매트릭스Ck를 생성하는 기술은 다음과 같다.
스텝1. 주파수 신시사이저(195)는 관심이 있는 무선주파수 대역에서 공지된 주파수 채널로 동조한다. 안테나 통로 1에서 공지된 BPSK 변조 패턴을 이용하여 DAC (115)(1)를 통해 기저역 OFDM 신호가 전송된다. 이 신호는 케이블 또는 공중링크를 이용하여 안테나 통로1의 안테나(110)(1)로부터 안테나 통로 2의 안테나(110)(2)에서의 RF입력으로 루프 백된다. 안테나 통로1에서 DAC(115)(1)에 대한 입력에서의 신호와 안테나 통로2에서 ADC(130)(2)의 출력에서의 신호 간의 제1 위상차가 OFDM 반송파에서 측정된다. 다수의 주파수(예를들면, fk = [-3fs/8, -fs/8, fs/8, 3fs/8], 단 fs = 심볼 레이트)에서 측정된다. 제1 위상차는 ψ12(k) = [θ1(k) + φ2(k) + φant(1,2)] 이다. 식중 θ1(k) 및 φ2(k)는 k번째의 OFDM 부반송파에서 안테나 통로 1의 송신기와 안테나 통로 2의 수신기를 통한 위상 시프트를 각각 나타내고, φant(1,2)는 안테나(110)(1)와 안테나(110)(2) 사이의 공중 또는 케이블의 위상 시프트를 표현하며, 모두 방향이 같다. 또한, ADC(130)(2)의 출력에서 신호의 제1 증폭γ12(k)이 측정된다.
스텝2. 송신기로서의 안테나 통로2와 수신기로서의 안테나 통로1을 이용하여 스텝1을 반복하고, 제2 위상차 ψ21(k) = [θ2(k) + φ1(k) + φant(1,2)]을 측정하고, ADC(130)(1)의 출력에서의 신호의 제2 진폭 γ2(k)을 측정한다.
스텝3. 안테나 통로1과 통로i(= 3 - N) 사이에서 스텝 1 및 스텝 2를 반복하고, 제1 위상차 ψ1i(k)와 제2 위상차 ψi1(k) 및 제1 및 제2 진폭 γi1(k) 및 γ1i(k)을 측정한다.
스텝4. 대각선 위상 정렬 또는 교정 매트릭스C(k)는 다음과 같이 연산된다.
c1(k) = 1
c2(k) = γ2(k)exp(j[ψ12(k) - ψ21(k)]) = γ2(k)exp(j([ θ1(k) + φ2(k)] - [θ2(k) + φ1(k)]))
c3(k) = γ3(k)exp(j[ψ3(k) - ψ31(k)]) = γ3(k)exp(j([ θ1(k) + φ3(k)] - [θ3(k) + φ1(k)]))
...
cN(k) = γN(k)exp(j[ψ1N(k) - ψN1(k)]) = γN(k)exp(j([ θ1(k) + φN(k)] - [θN(k) + φ1(k)]))
식중 γi(k)는 제1 측정된 진폭과 제2 측정된 진폭의 비, 즉[γ1i(k)/γi1(k)]의 비로 부터연산된다. 그리고, γ1 = 1 이다.
매트릭스C(k)의 값은 캘리브레이션 파라메터로서 저장된다. 이러한 C(k)의 선택은 모든 k에 대해 대칭 조건(3)을 만족한다. 송수신기 통로 간의 위상 오프셋과 선택적인 진폭 오프셋은 대각선 정렬 매트릭스C(k)에 의해 부반송파에서 데이터 심볼을 곱하여 각 부반송파에서 제거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5에 특정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멀티플라이어(197)(i)는 멀티플라이어 어레이를 통해 모든 부반송파 k에서 ci(k)의 곱셈을 할 수 있다.
스텝 5. 필요하다면, RF 대역 내에서 다중 채널에서 스텝 1 - 4를 반복하여 느리게 위상 오프셋을 변화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안테나 및/또는 커플링 케이블을 통한 위상 시프트가 임의 연산의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요약하면, 값 ci(k)로 구성된 각 부반송파에 대해 대각선 오프셋 매트릭스C(k)를 연산하며, 식중 ci(k) = γi(k)exp(j[ψ1i(k) - ψi1(k)]), i = 2 - N, 그리고, N은 안테나 번호(개수), ψ1i(k)는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송신기에 대한 입력과 부반송파 k에서 안테나 i에 연관된 수신기의 출력 간의 위상차(제1 위상차로 칭함)이고,ψi1(k)는 안테나 i에 연관된 송신기에 대한 입력과 부반송파 k에서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수신기의 출력 간의 위상차(제2 위상차로 칭함)이며, 식중 γi(k) =[γ1i(k)/γi1(k)]이고, c1(k) = 1이다. 기저역 신호를 처리할 때, 모뎀(140)은 다수의 기저역 전송신호 및/또는 다수의 기저역 수신신호를 처리하며, 각 부반송파 k에 대한 위상 오프셋 교정값은 매트릭스 diag[c1(k), c2(k), ..., cN(k)]과 동일한 네트 위상 오프셋 교정을 얻는다. 식 중cj(k) = exp(j[ψ1i(k) - ψi1(k)]), 그리고 ψ1i(k) 는 제1 위상차이며, ψi1(k)는 제2 위상차 그리고, i = 2 - N, c1(k) = 1이다.
상황에 따라서(이 상황은 아래에서도 설명하게 되겠지만),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 대해서는 주파수 선택성 또는 독립성 교정 매트릭스를 생성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단일 주파수 비선택적(주파수 독립적) 교정 매트릭스는 광대역 위상 시프트를 교정하는데 충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각 안테나 통로에 대해 각 부반송파 k에서 위상 시프트 오프셋 교정값을 연산하는 대신에, 각 안테나 통로에 대한 단일 오프셋 교정값을 다수의 부반송파 k에 연관된 포인트[부반송파 k, ψ1i(k) - ψi1(k)]를 통과하는 라인적합의 y-인터셉트로부터 연산한다. 여기서ψ1i(k)는 부반송파 k에서 측정한 제1 위상차이고, ψi1(k)은 주파수 부반송파 k에서 측정된 제2 위상차이며, 제1 안테나와 연관된 안테나 통로를 위한 위상오프셋은 0이다. 유사하게, 각 안테타에 대해서 각 부반송파 k에서의 진폭오프셋을 연산하기 보다는 진폭 오프셋에 관해서, 단일 진폭 오프셋을 다수의 부반송파 k에 걸쳐서의 제1 진폭과 제2 진폭 비의 평균으로부터 연산한다. 다수의 부반송파 k 각각에 대해서 위상차 측정을 할 필요는 없지만 충분한 숫자로 전술한 바와 같이 선형 분석(y-인터셉트)를 행한다. 이 과정은 이후 도 4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과정과 매우 유사하다.
여기서 설명하는 캘리브레이션 기술의 장점은 어떠한 추가 장비를 요하지 않는다는 점에 있으며, 이 기술은 장치내에 내장된 로직으로 수행이 가능하여 장치가 자체 캘리브레이션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여기서 설명한 기술은 RF 테스트 장비와 함께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DSP 로직 대신에, 필요에 따라서는 연구실이나 실험실에서도 안테나 루프 백 통로 간의 위상 및 진폭 오프셋을 측정할 수 있다. 테스트 장비가 필요할 때, 기준신호(CW 또는 OFDM)를 무선 수신기에 투입하고, 이 신호를 기저역에서 루프 백시켜 테스트 장비를 이용하여 RF에서 위상차를 측정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오프셋 교정값은 모뎀의 전송통로, 수신통로 또는 이들 양쪽의 모든 통로에 인가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오프셋c1 - cN을 도 4 또는 5와 함께 설명한 방법으로 연산할 때, 교정을 멀티플라이어(191)(i)와 함께 수신기 통로에서 행할 수 있으며, 여기서 ci'가 ci의 역이거나 진폭 교정이 수행되지 않으면 ci'는 ci의 컬레(conjugate)이다. 이와는 달리, 전송통로 및 수신통로 모두에서 교정을 하여 안테나 통로에서의 누적 또는 네트 교정이 이 안테나 통로를 위해 연산된 대응 오프셋ci과 동일하게 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전송 모든 대역 통과필터(181)(i)(예를들면 리샘플러)를 수신 모든 대역 통과필터 대신에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δτ1값은 도 4와 관련하여 상기 설명한 방법으로 연산되고, δτi'는 δτi'의 역수(진상 대신에 지상, 또는 지상 대신에 진상)이다. 이와는 달리 모든 대역 통과필터를 수신통로 및 전송통로에 사용하여 안테나 통로에서의 누적 또는 네트 교정을 이 통로를 위해 연산된 대응 그룹 지연 오프셋 δτ1 과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한 각 수신 및 송신 기저역 통로에서 멀티플라이어 및 모든 대역 통과필터의 시퀀스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전환이 가능하다.
미모 송수신기에서 그룹 지연 불일치 중에서 기저역 콤폼포넌트 사이의 그룹 지연차가 가장 문제가 많은데 그 이유는 이것이 상대적으로 큰 주파수 종속 위상차를 야기하고, 이 위차상가 전송되는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변화하기 때문이다. 기저역 지연차 효과를 제거하는 한 방법은 각 안테나 통로에 대해서 송신기와 수신기 간에 동일한 저역필터(LPF)를 공유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명백히 실리콘 영역을 절약하는 부수적인 효과도 얻게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송신기 1 에서 수신기 i 까지의 통로에서 그룹지연은 다음과 같다.
τBBTX(1) + τRFTX(1) + τant(i) + τRFRX(i) + τBBRX(i)
그리고 송신기i로부터 수신기1 까지의 그룹지연은 다음과 같다.
τBBTX(i) + τRFTX(i) + τant(1) + τRFRX(i)+ τBBRX(1)
각 통로에서 동일 필터를 송수신을 위해 공유한다면, τBBTX(1) = τBBRX(1), τBBTX(i) = τBBRX(i), 2개의 통로 간의 그룹 지연에서의 차이는 τRFTX(1) + τRFRX(i) - [τRFTX(i) + τRFRX(1)]이며, 이것은 RF 콤포넌트에만 의존한다. 대칭조건(식 1 및 2)이 단지 이들 통로 간의 위상차에만 의존하므로, 상기 분석은 공유 LPF가 사용되면 채널 대칭이 LPF의 그룹 지연 불특정성에 관계없이 유지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7은 스위치(128)(1) - 128(N)가 배치되어 각 무선 송수신기에서 전송통로에서 DAC의 출력이나 LPF의 입력으로서 수신기통로에서의 하향변환기의 출력을 선택하는 필터 공유의 예를 나타낸다.
실험에 의하면 무선 송수신기 구조가 송수신 동작을 위해 LPF를 공유한다면 기저역 그룹 지연 불일치를 보상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암시해준다. 이 경우, OFDM 스킴에 대해서 단일 주파수 비선택성(주파수 독립적) 전송 위상 정렬 매트릭스만을 요하며, OFDM이나 단일 반송파 스킴에 대해서 모든 대역 통과 그룹지연 정렬을 요하지 않는다.
실험에 의하면, ADC와 DAC에 의한 지연효과로 인해 파이프라인 지연이 전송통로와 수신 통로 간에 상대적으로 큰 그룹 지연 차를 야기할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각 송수신 루프백 통로에서 전체 그룹지연은 DAC와 ADC 그룹 지연의 합계이므로, 이들 지연의 합계가 모든 루프 백 통로의 것과 같으며, 이에 따라 대칭조건은 이들 콤포넌트 간의 그룹 지연차와 상관없이 유지된다(모든 DAC와 ADC가 동일 그룹지연을 갖는다고 가정하며, 이러한 일은 전형적으로 일어나는 일이다).
시뮬레이션을 행하여 채널 대칭에 의존하는 미모 무선 알고리즘에 대해(위상과 진폭 오프셋의 영향을 판별하였다(교정이 되지 않았을 때). 시뮬레이션은 한 장치에서는 4 안테나, 다른 장치에서는 2 안테나의 200 랜덤 채널을 이용하였다.
각 채널H에 대해서 랜덤 불일치 매트릭스A1, B1, A2, B2가 발생하였으며, 링크 마진에서의 손실이 연산되었다. 전송 매트릭스 A1, A2에 대해서 진폭과 위상 불일치를 사용하였다. 수신 매트릭스B1, B2에 대해서는 단지 랜덤 위상 불일치를 이용하였는데 그 이유는 수신기에서의 진폭 에러가 일부 타입의 무선 송수신기 구조에서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표준편차σαdB 를 가진 정규분포를 이용하여 진폭불일치 20 log(α)을 발생시켰다. 위상불일치 θ,φ를 - Uθ/2와 Uθ/2 사이에서 균등하게 분포시켰다. [1, 2, 3, 6] dB에서 σαdB 의 각 값에 대해 [10, 20, 45, 90, 180] 도에서 Uθ의 각 값에 대해 불일치 매트릭스 한 세트를 발생시켰다.각 랜덤 채널에 대해 전체 20 세트의 4 랜덤 불일치 매트릭스를 생성하였다.
도 8은 2개의 장치 간에 사용된 동등 파워 CBF 알고리즘에 대한 데이터 플롯을 나타내며, 무엇 보다도 동등 파워 CBF는 비동등 파워 CBF 보다는 위상과 진폭 불평형에 매우 민감도가 낮은 것을 보여주며, 또한 진폭오프셋 교정이 필요없음을 보여준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무선 장치는 다수의 안테나 중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동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다수의 기저역 전송 신호 중 대응하는 전송신호를 상향변환하는 다수의 송신기와, 다수의 안테나 중 대응하는 안테나에 의해 검출된 다수의 무선신호를 하향변환하여 대응하는 다수의 기저역 수신신호를 생성하는 다수의 수신기와, 다수의 송신기와 다수의 수신기에 결합된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다수의 송신기와 다수의 수신기 간의 위상반응 차이를 교정하는 대응 교정값과 함께 다수의 기저역 전송신호 및/또는 다수의 기저역 수신신호를 처리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안테나와, 대응 다수의 수신기와, 대응 다수의 송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장치에서 캘리브레이션을 행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다수의 송신기와 상기 다수의 수신기의 위상반응을 측정하는 단계와, 다수의 교정값을 연산하여, 다수의 송신기와 다수의 수신기의 위상 반응에서의 차이를 교정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장치와 제2 장치 간의 무선통신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 무선 장치는 다수의 안테나와, 대응 다수의 송신기와, 대응 다수의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선 장치에서 대응 교정값을 가지고 다수의 기저역 전송신호 및/또는 기저역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제1 무선 장치의 다수의 송신기와 다수의 수신기의 위상반응 차이를 교정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안테나, 대응 다수의 송신기 및 대응 다수의 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장치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대응 제1 안테나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 제1 송신기에 신호를 커플링하는 단계와, 제2 안테나와 연관된 수신기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상의 설명은 단지 실시예를 위한 것이며, 이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Claims (70)

  1. (a)다수의 안테나 중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동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다수의 기저역 전송 신호 중 대응하는 전송신호를 상향변환하는 다수의 송신기와,
    (b)다수의 안테나 중 대응하는 안테나에 의해 검출된 다수의 무선신호를 하향변환하여 대응하는 다수의 기저역 수신신호를 생성하는 다수의 수신기와,
    (c)다수의 송신기와 다수의 수신기에 결합된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다수의 송신기와 다수의 수신기 간의 위상반응 차이를 교정하는 대응 교정값과 함께 다수의 기저역 전송신호 및/또는 다수의 기저역 수신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다수의 기저역 전송신호 및/또는 다수의 기저역 수신신호를 대응하는 교정값을 가지고 처리하며, 다수의 송신기로 신호를 전송할 때 및/또는 다수의 수신기로 신호를 수신할 때, (1)한 송신기의 입력으로부터 그 대응 안테나의 출력 까지의 위상반응과, (2)이 안테나의 입력으로부터 그 대응 수신기의 출력까지의 위상반응 간의 차이가 다수의 안테나 각각에 대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3. 제1항 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다수의 송신기와 다수의 수신기 간의 위상 반응 차이를 측정하여 이 위상반응 차이로부터 교정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다수의 송신기와 다수의 수신기 간의 광대역 위상 오프셋을 교정하는 교정값을 가지고 다수의 기저역 전송신호 및/또는 다수의 기저역 수신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송신기에 대한 입력과, 안테나 i에 연관된 수신기의 출력 간의 제1 위상차와, 안테나 i와 연관된 송신기에 대한 입력과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수신기의 출력 간의 제2 위상차를 측정하며, 여기서 i = 2 내지 N이고, N은 안테나의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송신기에 대한 입력에 신호가 인가될 때와 공중링크 또는 케이블 접속을 통해 안테나 i에 연관된 수신기에 수신입력으로서 신호가 커플링될 때의 제1 위상차를 측정하고, 안테나 i에 연관된 송신기에 대한 입력에 신호가 인가될 때와 공중링크 또는 케이블 접속을 통해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수신기에 수신입력으로서 신호가 커플링될 때의 제2 위상차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주파수 fk에서 연속파를 표현하는 디지털 신호로서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기저역 신호의 대역폭에 걸쳐서의 다수의 연속파 톤 주파수 fk에서 상기 제1 위상차와 제2 위상차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송신기에 커플링된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에 대한 입력에서의 디지털신호와, 안테나 i에 연관된 수신기의 출력에 결합된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의 출력에서의 디지털 신호 간의 제1 위상차를 측정하고, 안테나 i에 연관된 송신기에 커플링된 DAC에 대한 입력에서의 디지털 신호와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수신기의 출력에 커플링된 ADC의 출력에서의 디지털 신호 간의 제2 위상차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주파수 fk 와 연관된 포인트[(fk, ψ1i(k) - ψi1(k))]를 통과하는 적합 라인의 y-인터셉트로부터 안테나 i = 1 내지 N에 대응하는 안테나 통로에 대해 광대역 위상 오프셋을 연산하며, 여기서 ψ1i(k)는 주파수 fk에서 측정된 제1 위상차이고, ψi1(k)는 주파수 fk에서 측정된 제2 위상차이며,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안테나 통로용 광대역 위상 오프셋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대응 광대역 위상 오프셋과 같은 네트 위상 오프셋 교정을 얻기위해 대응 광대역 위상 오프셋 교정값을 가지고 다수의 기저역 전송신호 및/또는 다수의 기저역 수신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대응 진폭 오프셋 교정값을 가지고 다수의 기저역 전송신호 및/또는 다수의 기저역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다수의 송신기 및 다수의 수신기 간의 진폭 오프셋을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송신기에 대한 입력에 연속파 톤이 인가될 때 안테나 i에 연관된 수신기 출력에서 신호의 제1 진폭을 측정하고, 안테나 i에 연관된 송신기의 입력에 연속파 톤이 인가될 때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수신기의 출력에 신호의 제2 진폭을 측정하며, 여기서 i = 2 내지 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주파수 fk에 연관된 제1 진폭과 제2 진폭 간의 비의 평균으로부터 대응 안테나 i (i = 1 내지 N)의 안테나 통로에 대한 다수의 진폭 오프셋을 연산하며,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안테나 통로를 위한 진폭 오프셋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대응 진폭 교정값을 가지고 다수의 기저역 전송신호 및/또는 다수의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대응 진폭 오프셋과 같은 네트 진폭 오프셋 교정값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다수의 송신기와 다수의 수신기가 무선 주파수 동작 대역에서 다수의 주파수 채널 각각에 대해 동조될 때 위상 반응 간의 차이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대응 그룹 지연 교정값을 가지고 다수의 기저역 전송신호 및/또는 다수의 기저역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기저역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다수의 송신기와 다수의 수신기 간에 그룹 지연 오프셋을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주파수 fk에서 제1 위상차와 제2 위상차로부터 대응 안테나 i (i = 1 내지 N)의 안테나 통로에 대한 다수의 그룹지연 오프셋을 연산하며,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안테나 통로를 위한 그룹 지연 오프셋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1/2π) * 다수의 주파수 fk 와 연관된 포인트[(fk, ψ1i(k) - ψi1(k))]를 통과하는 적합 라인의 기울기와 같은 그룹 지연 오프셋을 연산하며, 여기서 ψ1i(k)는 주파수 fk에서 측정된 제1 위상차이고, ψi1(k)는 주파수 fk에서 측정된 제2 위상차이며, i = 2 내지 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대응 그룹 지연 교정값을 가지고 다수의 기저역 전송신호 및/또는 다수의 기저역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대응그룹 지연 오프셋과 같은 네트 그룹 지연 오프셋 교정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모든 대역 통과필터를 이용하여 그룹 지연 교정값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21. 제4항에 있어서,
    다수의 기저역 전송신호 및 다수의 기저역 수신신호는 다중 반송파 변조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변조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다중 캐리어 변조 공정과 연관된 다수의 부반송파 캐리어 k에서 위상 오프셋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송신기에 대한 입력에 다중 반송파 기저역 신호가 인가될 때와 공중링크 또는 케이블 접속을 통해 안테나 i에 연관된 수신기에 수신입력으로서 다중 반송파 기저역 신호가 커플링될 때의 제1 위상차를 다수의 부반송파 k에서 측정하고, 안테나 i에 연관된 송신기에 대한 입력에 다중 반송파 신호가 인가될 때와 공중링크 또는 케이블 접속을 통해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수신기에 수신입력으로서 신호가 커플링될때의 제2 위상차를 각 부반송파 k에서 측정하며, 상기 i = 2 내지 N이고, N은 안테나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각 부반송파 k에 대한 위상오프셋 교정값을 가지고 다수의 기저역 전송 신호 및/또는 다수의 기저역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매트릭스 diag[c1(k), c2(k), ..., cN(k)]과 동일한 네트 위상 오프셋 교정을 얻으며, 여기서 ci(k) = exp(j[ψ1i(k) - ψi1(k)])이며, ψ1i(k)는 제1 위상차이고, ψi1(k)는 제2 위상차이며, i = 2 내지 N, 그리고 c1(k)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송신기에 대한 입력에 다중 반송파 기저역 신호가 인가될 때와 공중링크 또는 케이블 접속을 통해 안테나 i 에 연관된 수신기에 수신입력으로서 다중 반송파 기저역 신호가 커플링될 때의 제1 위상차를 다수의 부반송파 k에서 측정하고, 안테나 i에 연관된 송신기에 대한 입력에 다중 반송파 신호가 인가될 때와 공중링크 또는 케이블 접속을 통해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수신기에 수신입력으로서 신호가 커플링될때의 제2 위상차를 다수의 부반송파 k에서 측정하며, 상기 i = 2 내지 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다수의 부반송파 k 와 연관된 포인트[(fk, ψ1i(k) - ψi1(k))]를 통과하는 적합 라인의 y-인터셉트로부터 안테나 i = 1 내지 N에 대응하는 안테나 통로에 대해 위상 오프셋을 연산하며, 여기서 ψ1i(k)는 부반송파 k에서 측정된 제1 위상차이고, ψi1(k)는 주파수 부반송파 k에서 측정된 제2 위상차이며,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안테나 통로용 위상오프셋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대응 위상 오프셋 교정값을 가지고 다수의 기저역 전송신호 및/또는 다수의 기저역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대응위상 오프셋과 같은 네트 위상 오프셋 교정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대응진폭 오프셋 교정 값을 가지고 다수의 기저역 전송 신호 및/또는 다수의 기저역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다수의 송신기 및 다수의 수신기 간의 진폭 오프셋을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송신기의 입력에 다중 반송파 신호가 인가될 때 다수의 부반송파 k에서 안테나 i에 연관된 수신기 출력에서 신호의 제1 진폭을 측정하고, 안테나 i (i = 2 내지 N)에 연관된 송신기의 입력에 다중 반송파 신호가 인가될 때 다수의 부반송파 k에서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수신기 출력에서 신호의 제2 진폭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다수의 부반송파 k에 걸쳐서 제1 진폭과 제2 진폭의 비의 평균으로부터 안테나 i(i = 1 내지 N)에 대응하는 안테나 통로에 대한 진폭 오프셋을 연산하고,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안테나 통로에 대한 진폭 오프셋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대응 진폭 교정값을 가지고 다수의 기저역 전송신호 및/또는 다수의 기저역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대응 진폭 오프셋과 같은 네트 진폭 오프셋 교정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31.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대응 진폭 교정값을 가지고 다수의 기저역 전송신호 및/또는 다수의 기저역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다수의 송신기와 다수의 수신기 간의 진폭오프셋을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송신기의 입력에 다중 반송파 신호가 인가될 때 안테나 i에 연관된 수신기 출력에서의 신호의 각 부반송파 k에서 제1 진폭을 측정하고, 안테나 i (i = 2 내지 N)에 연관된 송신기의 입력에 다중 반송파 신호가 인가될 때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수신기 출력에서의 신호의 각 부반송파 k에서 제2 진폭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각 주파수 부반송파 k에서 제1 진폭과 제2 진폭의 비의 평균으로부터 안테나 i(i = 1 내지 N)에 대응하는 안테나 통로에 대한 각 부반송파 k에서의 진폭 오프셋을 연산하고,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안테나 통로에 대한 각 부반송파에서의 진폭 오프셋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각 부반송파 k에서의 대응 진폭 오프셋 교정값을 가지고 다수의 기저역 전송신호 및/또는 다수의 기저역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대응 진폭 오프셋과 같은 네트 진폭 오프셋 교정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35. 제1항 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저역 신호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이 기저역 신호 프로세서는 기저역 변조를 행하여 다수의 기저역 전송 신호와 다수의 기저역 수신신호의 기저역 복조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역 신호 프로세서는 디지털 로직 게이트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37. 제1항 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송신기 및 다수의 수신기는 단일 반도체 집적회로 상에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38. 제1항 에 있어서,
    대응 안테나에 연관된 송신기 및 수신기에 의해 공유된 저역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39. 제1항 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자체 캘리브레이션 모드 중에 오프셋을 측정하고 교정값을 연산하여 오프셋을 교정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런 타임 모드 중에 상기 교정값을 가지고 다수의 기저역 송신 신호 및/또는 다수의 기저역 수신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장치 파워업 중에 그리고 이후 주기적으로 자체 캘리브레이션 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41. 제1항 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는 다수의 송신기의 이득 셋팅 및/또는 다수의 수신기의 이득 셋팅에 따라서 교정값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위상 반응에서의 오프셋을 측정하고, 이득 독립 교정값을 연산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이득 셋팅에 따라서 상기 이득 독립 교정값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43. 다수의 안테나와, 대응 다수의 수신기와, 대응 다수의 송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장치에서 캘리브레이션을 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상기 다수의 송신기와 상기 다수의 수신기의 위상반응을 측정하는 단계와,
    (b)다수의 교정값을 연산하여, 다수의 송신기와 다수의 수신기의 위상 반응에서의 차이를 교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하는 단계는 다수의 기저역 전송신호 및/또는 다수의 기저역 수신신호를 처리하는데 사용하는 다수의 교정값을 가지고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다수의 송신기로 신호를 전송할 때 및/또는 다수의 수신기로 신호를 수신할 때, (1)한 송신기의 입력으로부터 그 대응 안테나의 출력 까지의 위상 반응과, (2)이 안테나의 입력으로부터 그 대응 수신기의 출력까지의 위상 반응 간의 차이가 다수의 안테나 각각에 대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하는 단계는 다수의 송신기와 다수의 수신기 간의 광대역 위상 오프셋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송신기에 대한 입력과, 안테나 i에 연관된 수신기의 출력 간의 제1 위상차와, 안테나 i와 연관된 송신기에 대한 입력과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수신기의 출력간의 제2 위상차를 측정하며, 여기서 i = 2 내지 N이고, N은 안테나의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송신기에 대한 입력에 신호가 인가될 때와 공중링크 또는 케이블 접속을 통해 안테나 i 에 연관된 수신기에 수신입력으로서 신호가 커플링될 때의 제1 위상차를 측정하고, 안테나 i에 연관된 송신기에 대한 입력에 신호가 인가될 때와 공중링크 또는 케이블 접속을 통해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수신기에 수신입력으로서 신호가 커플링될 때의 제2 위상차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기저역 신호의 대역폭에 걸쳐서의 다수의 주파수 fk에서 인가된 연속파 톤에 대해 상기 제1 위상차와 제2 위상차 측정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송신기에 커플링된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에 대한 입력에서의 디지털신호와, 안테나 i에 연관된 수신기의 출력에 결합된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의 출력에서의 디지털 신호 간의 제1 위상차를 측정하고, 안테나 i에 연관된 송신기에 커플링된 DAC에 대한 입력에서의 디지털 신호와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수신기의 출력에 커플링된 ADC의 출력에서의 디지털 신호 간의 제2 위상차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하는 단계는 주파수 fk 와 연관된 포인트[(fk, ψ1i(k) - ψi1(k))]를 통과하는 적합 라인의 y-인터셉트로부터 안테나 i = 2 내지 N에 대응하는 안테나 통로에 대해 광대역 위상 오프셋 교정값을 연산하며, 여기서 ψ1i(k)는 주파수 fk에서 측정된 제1 위상차이고, ψi1(k)는 주파수 fk에서 측정된 제2 위상차이며,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안테나 통로용 광대역 위상 오프셋 교정값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단계는 다수의 송신기와 다수의 수신기 간의 진폭 오프셋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송신기에 대한 입력에 연속파 톤이 인가될 때 안테나 i에 연관된 수신기 출력에서 신호의 제1 진폭을 측정하는 단계와, 안테나 i에 연관된 송신기의 입력에 연속파 톤이 인가될 때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수신기의 출력에 신호의 제2 진폭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i = 2 내지 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하는 단계는 다수의 주파수 fk에 연관된 제1 진폭과 제2 진폭 간의 비의 평균으로부터 안테나 i (i = 1 내지 N)에 대응하는 안테나 통로에 대한 진폭 오프셋 교정값을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안테나 통로를 위한 진폭 오프셋 교정값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다수의 송신기와 다수의 수신기가 무선 주파수 동작 대역에서 다수의 주파수 채널 각각에 대해 동조될 때 상기 제1 및 제2 위상 차이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5.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다수의 송신기와 다수의 수신기 간의 그룹 지연 차이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하는 단계는 제1 위상차와 제2 위상차로부터 안테나 i (i = 1 내지 N)에 대응하는 안테나 통로에 대한 다수의 그룹지연 오프셋 교정값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안테나 통로를 위한 그룹 지연 오프셋 교정값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하는 단계는 -(1/2π) * 다수의 주파수 fk 와 연관된 포인트[(fk, ψ1i(k) - ψi1(k))]를 통과하는 적합 라인의 기울기로부터 안테나 i(i = 1 내지 N)에 대응하는 안테나 통로를 위한 다수의 그룹 지연 오프셋 교정값을 연산하며, 여기서 ψ1i(k)는 주파수 fk에서 측정된 제1 위상차이고, ψi1(k)는 주파수 fk에서 측정된 제2 위상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단계는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송신기에 대한 입력에 다중 반송파 기저역 신호가 인가될 때와 공중링크 또는 케이블 접속을 통해 안테나 i에 연관된 수신기에 수신입력으로서 다중 반송파 기저역 신호가 커플링될 때의 제1 위상차를 다중 반송파 기저역 변조 프로세스에 연관된 부반송파 k에서 측정하는 단계와, 안테나 i에 연관된 송신기에 대한 입력에 다중 반송파 신호가 인가될 때와 공중링크 또는 케이블 접속을 통해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수신기에 수신 입력으로서 다중 반송파 신호가 커플링될 때의 제2 위상차를 각 부반송파 k에서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단계는 각 부반송파 k에 대한 대각선 교정 매트릭스 교정값 diag[c1(k), c2(k), ..., cN(k)]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ci(k) = exp(j[ψ1i(k) - ψi1(k)])이고, i = 2 내지 N이며, N은 안테나 번호이며, ψ1i(k)는 부반송파 k에서의 제1 송신기 입력과 수신기i 출력 간의 제1 위상차이고, ψi1(k)는 부반송파 k에서 송신기 i의 입력과 제1 수신기의 출력 간의 제2 위상차이며, c1(k)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0.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단계는 다수의 부반송파 k와 연관된 포인트[(fk, ψ1i(k) - ψi1(k))]를 통과하는 적합 라인의 y-인터셉트로부터 안테나 i (i= 2 내지 N)에 대응하는 안테나 통로에 대한 광대역 위상 오프셋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ψ1i(k)는 부반송파 k에서 측정된 제1 위상차이고, ψi1(k)는 주파수 부반송파 k에서 측정된 제2 위상차이며,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안테나 통로용 광대역 위상 오프셋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1.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단계는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송신기의 입력에 다중 반송파 신호가 인가될 때 안테나 i에 연관된 수신기 출력 신호의 부반송파 k에서 제1 진폭을 측정하는 단계와, 안테나 i에 연관된 송신기의 입력에 다중 반송파 신호가 인가될 때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수신기 출력 신호의 부반송파 k에서의 제2 진폭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하는 단계는 각 부반송파 k에서 제1 진폭과 제2 진폭의 비로부터 안테나 i(i = 1 내지 N)에 대응하는 안테나 통로에 대한 진폭 오프셋 교정값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안테나 통로에 대한 진폭 오프셋 교정값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3.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하는 단계는 다수의 부반송파 k에 걸쳐서 제1 진폭과 제2 진폭의 비의 평균으로부터 안테나 i(i = 1 내지 N)에 대응하는 안테나 통로에 대한 진폭 오프셋 교정값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안테나에 연관된 안테나 통로에 대한 진폭 오프셋값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4. 제1 무선 장치와 제2 무선 장치 간의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무선 장치는 다수의 안테나와, 대응 다수의 송신기와, 대응 다수의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선 장치에서 대응 교정값을 가지고 다수의 기저역 전송신호 및/또는 기저역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제1 무선 장치의 다수의 송신기와 다수의 수신기의 위상 반응 차이를 교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다수의 기저역 전송신호 및/또는 다수의 기저역 수신신호를 대응 교정값을 가지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다수의 송신기로 신호를 전송할 때 및/또는 다수의 수신기로 신호를 수신할 때, (1)한 송신기의 입력으로부터 그 대응 안테나의 출력 까지의 위상 반응과, (2)이 안테나의 입력으로부터 그 대응 수신기의 출력까지의 위상 반응 간의 차이가 다수의 안테나 각각에 대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6.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장치에서 다수의 안텐나 중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다수의 기저역 전송신호 및/또는 대응 교정값을 가지고 다수의 안테나 중에서 대응하는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도출된 다수의 기저역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제2 무선 장치의 다수의 송신기와 다수의 수신기 간의 위상 반응 차이를 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7. 제64항에 있어서,
    (a) 다수의 송신기와 다수의 수신기의 위상 반응을 측정하는 단계와,
    (b)교정값을 연산하여 다수의 송신기와 다수의 수신기의 위상 반응 차이를 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8. 다수의 안테나, 대응 다수의 송신기 및 대응 다수의 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장치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대응 제1 안테나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 제1 송신기에 신호를 커플링하는 단계와,
    (b)제2 안테나와 연관된 수신기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9. 제68항에 있어서,
    제1 송신기에 대한 입력으로서 커플링된 신호와 제2 안테나와 연관된 수신기에 의해 출력된 신호 간의 위상차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0. 제68항에 있어서,
    제1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할 때 제2 안테나에 연관된 수신기에서 증폭기의 이득을 낮추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7004168A 2002-09-10 2003-09-09 다중입력 다중출력 무선 장치에서의 위상 및 진폭 오프셋교정장치 KR200500836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0967702P 2002-09-10 2002-09-10
US60/409,677 2002-09-10
US10/457,293 US7031669B2 (en) 2002-09-10 2003-06-09 Techniques for correcting for phase and amplitude offsets in a MIMO radio device
US10/457,293 2003-06-0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364A Division KR20070061917A (ko) 2002-09-10 2003-09-09 다중입력 다중출력 무선 장치에서의 위상 및 진폭 오프셋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684A true KR20050083684A (ko) 2005-08-26

Family

ID=319978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364A KR20070061917A (ko) 2002-09-10 2003-09-09 다중입력 다중출력 무선 장치에서의 위상 및 진폭 오프셋교정장치
KR1020057004168A KR20050083684A (ko) 2002-09-10 2003-09-09 다중입력 다중출력 무선 장치에서의 위상 및 진폭 오프셋교정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364A KR20070061917A (ko) 2002-09-10 2003-09-09 다중입력 다중출력 무선 장치에서의 위상 및 진폭 오프셋교정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7031669B2 (ko)
EP (1) EP1547254B1 (ko)
JP (1) JP4616011B2 (ko)
KR (2) KR20070061917A (ko)
CN (1) CN1751444B (ko)
AT (1) ATE425595T1 (ko)
AU (1) AU2003270416C1 (ko)
BR (1) BR0314425A (ko)
CA (1) CA2498676A1 (ko)
DE (1) DE60326612D1 (ko)
GE (1) GEP20074248B (ko)
MX (1) MXPA05002678A (ko)
NO (1) NO20051751L (ko)
WO (1) WO2004025841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205B1 (ko) * 2005-02-09 2013-03-06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Ofdm을 사용하여 무선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위한분산 다중 안테나 스케쥴링
KR20130092773A (ko) * 2012-02-13 2013-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기기에서 라디오 주파수 회로에 대한 켈리브레이션을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70108740A (ko) * 2016-03-18 2017-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투 톤 테스팅에 기초하여 2차 입력 교차점 캘리브레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2511B1 (en) 1999-04-07 2011-05-31 Geer James L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tection of objects using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ion patterns
US8249187B2 (en) 2002-05-09 2012-08-21 Google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ransmit diversity using symmetric phase difference
DE60230981D1 (de) * 2001-05-31 2009-03-12 Magnolia Broadband Inc Kommunikationseinrichtung mit intelligenter antenne, die ein qualitätsanzeigesignal verwendet
JP3816356B2 (ja) * 2001-06-21 2006-08-30 株式会社東芝 無線送信機
AU2003263818B2 (en) 2002-07-30 2007-05-24 Ipr Licens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radio communication
US7031669B2 (en) * 2002-09-10 2006-04-18 Cognio, Inc. Techniques for correcting for phase and amplitude offsets in a MIMO radio device
AU2003286785A1 (en) * 2002-11-01 2004-06-07 Magnolia Broadband Inc. Processing diversity signals using a delay
US7333788B2 (en) * 2002-12-20 2008-02-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for calibrating automatic gain control in wireless devices
US8027376B2 (en) * 2003-02-07 2011-09-27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IQ path mismatch
US7099678B2 (en) * 2003-04-10 2006-08-29 Ipr Licens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 weight computation for vector beamforming radio communication
US7418067B1 (en) 2003-04-14 2008-08-26 Magnolia Broadband Inc. Processing diversity signals at a mobile device using phase adjustments
US7430430B2 (en) * 2003-12-16 2008-09-30 Magnolia Broadband Inc. Adjusting a signal at a diversity system
US8204149B2 (en) 2003-12-17 2012-06-19 Qualcomm Incorporated Spatial spreading in a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
US7302009B2 (en) * 2003-12-17 2007-11-27 Qualcomm Incorporated Broadcast transmission with spatial spreading in a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
US7336746B2 (en) * 2004-12-09 2008-02-26 Qualcomm Incorporated Data transmission with spatial spreading in a MIMO communication system
US7272359B2 (en) * 2004-01-26 2007-09-18 Magnolia Broadband Inc. Communicating signals according to a quality indicator using multiple antenna elements
US8169889B2 (en) 2004-02-18 2012-05-01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diversity and spatial spreading for an OFDM-based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
US7369607B2 (en) * 2004-02-26 2008-05-06 2Wire, Inc. Multicarrier communication using a time domain equalizing filter
US7486740B2 (en) * 2004-04-02 2009-02-03 Qualcomm Incorporated Calibration of transmit and receive chains in a MIMO communication system
US7463864B2 (en) * 2004-04-09 2008-12-09 Broadcom Corporation Modified dual band direct conversion architecture that allows extensive digital calibration
US20050238111A1 (en) * 2004-04-09 2005-10-27 Wallace Mark S Spatial processing with steering matrices for pseudo-random transmit steering in a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
US8285226B2 (en) 2004-05-07 2012-10-09 Qualcomm Incorporated Steering diversity for an OFDM-based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
US8923785B2 (en) * 2004-05-07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Continuous beamforming for a MIMO-OFDM system
US7110463B2 (en) * 2004-06-30 2006-09-19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computation of spatial filter matrices for steering transmit diversity in a MIMO communication system
US7978649B2 (en) 2004-07-15 2011-07-12 Qualcomm, Incorporated Unified MIMO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7519396B2 (en) * 2004-07-23 2009-04-14 Panasonic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 package
CN101023590A (zh) 2004-08-03 2007-08-22 新加坡科技研究局 检测信号的方法、检测器和计算机程序产品
US7978778B2 (en) * 2004-09-03 2011-07-12 Qualcomm, Incorporated Receiver structures for spatial spreading with space-time or space-frequency transmit diversity
US7894548B2 (en) * 2004-09-03 2011-02-22 Qualcomm Incorporated Spatial spreading with space-time and space-frequency transmit diversity schem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324794B2 (en) * 2004-09-29 2008-01-29 Tzero Technologies, Inc. Phase combining diversity
CA2582957C (en) * 2004-10-11 2013-09-03 2Wire Inc. Periodic impulse noise mitigation in a dsl system
US7558591B2 (en) * 2004-10-12 2009-07-07 Magnolia Broadband Inc. Determining a power control group boundary of a power control group
US7515877B2 (en) * 2004-11-04 2009-04-07 Magnolia Broadband Inc. Communicating signals according to a quality indicator and a time boundary indicator
US7596355B2 (en) * 2004-11-29 2009-09-29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closed loop MIMO calibration
US7953163B2 (en) * 2004-11-30 2011-05-31 Broadcom Corporation Block linear equalization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US7830980B2 (en) * 2004-12-07 2010-11-09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implicit feedback for the devices with an unequal number of transmitter and receiver chain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100706229B1 (ko) 2004-12-21 2007-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내장된 송수신기들 간의 반송파 주파수 차를 보상하는다중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77557B1 (ko) * 2005-01-19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캘리브레이션이 가능한 트랜시버 장치 및 그 캘리브레이션방법
JP4562542B2 (ja) * 2005-02-15 2010-10-13 三洋電機株式会社 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ならびにそれを利用した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無線装置
US7852950B2 (en) * 2005-02-25 2010-12-14 Broadcom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anceling correlated noise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US20060197538A1 (en) * 2005-03-07 2006-09-07 Nokia Corporation Self-test method for antennas
US9374257B2 (en) * 2005-03-18 2016-06-21 Broadcom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of measuring impulse noise parameters in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s
US7565113B2 (en) 2005-03-29 2009-07-21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resist fading in mimo and simo wireless systems
US7616929B2 (en) * 2005-04-04 2009-11-10 Broadcom Corporation Cross-core calibration in a multi-radio system
US20070173286A1 (en) * 2005-04-04 2007-07-26 Broadcom Corporation, A California Corporation Distribution of shared local oscillation to multiple RF intefaces of a wireless device
JP5103710B2 (ja) * 2005-04-22 2012-12-19 横河電機株式会社 高周波信号測定器
US20060240784A1 (en) * 2005-04-22 2006-10-26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array calibr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872981B2 (en) 2005-05-12 2011-01-18 Qualcomm Incorporated Rate selection for eigensteering in a MIMO communication system
JP4713939B2 (ja) * 2005-05-19 2011-06-29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電圧制御発振器及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機
US20060267983A1 (en) * 2005-05-24 2006-11-30 Magnolia Broadband Inc. Modifying a signal by adjusting the phase and amplitude of the signal
US7616930B2 (en) * 2005-05-24 2009-11-10 Magnolia Broadband Inc. Determining a phase adjustment in accordance with power trends
US8498669B2 (en) * 2005-06-16 2013-07-30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array calibr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783267B1 (en) 2005-06-23 2010-08-24 Magnolia Broadband Inc. Modifying a signal in response to quality indicator availability
US7706248B2 (en) * 2005-06-29 2010-04-27 Intel Corporation Multicarrier receiver and method for time-delay compensation in a multi-user uplink
US7426199B2 (en) * 2005-06-29 2008-09-16 Intel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carrier frequency offsets over a simultaneous multi-user uplink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network
US7480497B2 (en) 2005-06-29 2009-01-20 Intel Corporation Multicarrier receiver and method for carrier frequency offset correction and channel estimation for receipt of simultaneous transmissions over a multi-user uplink
FI20055367A0 (fi) * 2005-06-30 2005-06-30 Nokia Corp Lähettimen viive ja vaiheen säätö
US20070025474A1 (en) * 2005-07-29 2007-02-01 Broadcom Corporation, A California Corporation Receiver IQ imbalance calibration
US7982533B2 (en) * 2005-08-22 2011-07-19 Mediatek Usa Inc. Transceiving system and compound filter
US7633905B1 (en) 2005-09-02 2009-12-15 Magnolia Broadband Inc. Calibrating a transmit diversity communication device
US7835702B1 (en) 2005-09-15 2010-11-16 Magnolia Broadband Inc. Calculating a diversity parameter adjustment according to previously applied diversity parameter adjustments
US7746946B2 (en) * 2005-10-10 2010-06-29 Magnolia Broadband Inc. Performing a scan of diversity parameter differences
US7630445B1 (en) 2005-10-25 2009-12-08 Magnolia Broadband Inc. Establishing slot boundaries of slots of a diversity control feedback signal
US9118111B2 (en) * 2005-11-02 2015-08-25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array calibr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5570724B2 (ja) * 2005-11-02 2014-08-13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アンテナアレイ較正
US7796717B2 (en) * 2005-11-02 2010-09-14 Magnolia Brandband Inc. Modifying a signal according to a diversity parameter adjustment
US8280430B2 (en) 2005-11-02 2012-10-02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array calibration for multi-input multi-outpu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965987B2 (en) * 2005-11-03 2011-06-21 Magnolia Broadband Inc. Amplifying a transmit signal using a fractional power amplifier
US7853216B1 (en) 2005-12-22 2010-12-14 Atheros Communications, Inc. Multi-channel RX/TX calibration and local oscillator mismatch mitigation
US7813439B2 (en) * 2006-02-06 2010-10-12 Broadcom Corporation Variou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ulse noise detection
WO2007104203A1 (fr) * 2006-03-15 2007-09-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édé de transmission multi-antenne dans un système de multiplexage par répartition orthogonale de la fréquence et appareil associé
CN101056133B (zh) * 2006-03-15 2011-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正交频分复用系统的多天线发射分集方法及其装置
EP1835677A1 (en) * 2006-03-15 2007-09-19 STMicroelectronics N.V. Method of calibrating the transmission chain of a wireless transceiver and corresponding wireless transceiver
US8543070B2 (en) 2006-04-24 2013-09-24 Qualcomm Incorporated Reduced complexity beam-steered MIMO OFDM system
US8290089B2 (en) * 2006-05-22 2012-10-16 Qualcomm Incorporated Derivation and feedback of transmit steering matrix
US20080084951A1 (en) * 2006-10-06 2008-04-10 Helen Ch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eiving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ignals for test and analysis of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systems
US7949069B2 (en) * 2006-10-26 2011-05-24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pplying hybrid ARQ to the control of transmit diversity
US8150441B2 (en) 2006-11-06 2012-04-03 Magnolia Broadband Inc. Modifying a signal by controlling transmit diversity parameters
US8199735B2 (en) * 2006-12-12 2012-06-12 Google In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control of transmit diversity
US7663545B2 (en) * 2006-12-26 2010-02-16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tenna weighting for transmit diversity
US8027374B2 (en) * 2006-12-27 2011-09-27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transmit diversity control
US20080160990A1 (en) * 2006-12-29 2008-07-03 Yair Karmi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ication of power control using reverse rate indication
US7716540B2 (en) * 2007-01-03 2010-05-11 Dell Products L.P. Standalone data storage devic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est setup and procedure
US7869535B2 (en) * 2007-02-28 2011-01-11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hase control of transmit diversity signals
US7991365B2 (en) * 2007-03-01 2011-08-02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estimation of propagation path variability of a transmit diversity channel
US20080227414A1 (en) 2007-03-01 2008-09-18 Yair Karmi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 diversity control based on variations in propagation path
US8032091B2 (en) * 2007-03-14 2011-10-04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transmit diversity feedback during soft handoff
US8750811B2 (en) * 2007-03-14 2014-06-10 Google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hase difference adjustment in transmit diversity
EP2143213B1 (en) * 2007-03-14 2011-05-11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transmit diversity feedback
US8699968B2 (en) 2007-03-14 2014-04-15 Google Inc. Using multiple and a single feedback for UE uplink beamforming in soft handoff
US8036603B2 (en) * 2007-03-15 2011-10-11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feedback to a transmit diversity device
US8046017B2 (en) * 2007-03-15 2011-10-25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channel probe initialization using transmit diversity
US8014734B2 (en) * 2007-03-15 2011-09-06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transmit diversity device
US20080233869A1 (en) * 2007-03-19 2008-09-25 Thomas Baker Method and system for a single-chip fm tuning system for transmit and receive antennas
US8032183B2 (en) * 2007-07-16 2011-10-04 Alcatel Lucent Architecture to support network-wide multiple-in-multiple-out wireless communication
US7986755B2 (en) * 2007-08-17 2011-07-26 Ralink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on for beamforming of multi-input-multi-output (MIMO) orthogono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transceivers
US8559571B2 (en) * 2007-08-17 2013-10-15 Ralink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forming of multi-input-multi-output (MIMO)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transceivers
TW200929917A (en) * 2007-09-19 2009-07-01 Agency Science Tech & Res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to a receiver
US20090093222A1 (en) * 2007-10-03 2009-04-09 Qualcomm Incorporated Calibration and beam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63038B1 (ko) 2007-11-30 2010-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파수 옵셋 및 위상 옵셋을 보상하는 케이블 모뎀 및 상기케이블 모뎀의 동작 방법
US8032092B2 (en) * 2007-12-06 2011-10-04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introducing antenna pattern variability
GB2456007B (en) * 2007-12-31 2012-10-17 Nortel Networks Ltd Method for channel calibration
KR101452999B1 (ko) * 2008-01-25 2014-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캘리브레이션 장치 및 방법
JP5169256B2 (ja) * 2008-01-30 2013-03-27 富士通株式会社 Mimo通信システムおよび送信局
US8315587B2 (en) * 2008-08-29 2012-11-20 Silicon Laboratories Inc. Mechanical tuning of a radio
US7907909B2 (en) * 2008-09-18 2011-03-15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system for radio frequency (RF) group delay compensation in a broadcast system
US8605837B2 (en) * 2008-10-10 2013-12-10 Broadcom Corporation Adaptive frequency-domain reference noise canceller for multicarrier communications systems
US7965991B2 (en) * 2008-10-10 2011-06-21 Motorola Mobility, Inc. Phase calibration for multiple transmitter systems
US8155598B2 (en) * 2009-01-09 2012-04-10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in MIMO systems
GB2467772B (en) * 2009-02-13 2012-05-02 Socowave Technologies Ltd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element and method for antenna array calibration
EP2224611A1 (en) * 2009-02-27 2010-09-01 Astrium Limited Compensation apparatus
US20100225547A1 (en) * 2009-03-05 2010-09-09 Kang Lan Vehicle concealed antenna
US8154452B2 (en) * 2009-07-08 2012-04-10 Raytheon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hased array antenna field recalibration
US8861629B2 (en) * 2009-07-31 2014-10-14 Cisco Technology, Inc. Power allocation of spatial streams in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626355B (zh) * 2009-08-11 2012-11-14 北京天碁科技有限公司 一种多输入多输出终端的校准装置及校准方法
US8548379B2 (en) 2009-08-19 2013-10-01 Cisco Technology, Inc. Calibration-less transmit beamforming
US8406720B2 (en) * 2009-08-19 2013-03-26 Cisco Technology, Inc. Beamforming weight generation using adaptive trigonometric waveform interpolation techniques
US8442457B2 (en) 2009-09-08 2013-05-14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beamforming for specific absorption rate control
CN102195756B (zh) * 2010-03-17 2015-07-08 株式会社Ntt都科摩 时分双工mimo系统的校准方法和装置
IT1399914B1 (it) * 2010-04-29 2013-05-09 St Microelectronics Srl Circuito di test di un circuito integrato su wafer del tipo comprendente almeno una antenna di tipo embedded e relativo circuito integrato ottenuto mediante singolazione a partire da una porzione di wafer dotata di un tale circuito di test.
US8958757B2 (en) 2010-05-10 2015-02-17 Google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ransmit diversity using symmetric phase difference
WO2011150266A1 (en) 2010-05-26 2011-12-01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channel probe initialization using transmit diversity
US9048913B2 (en) 2010-07-06 2015-06-02 Goog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control of transmit diversity to provide operating power reduction
US8849222B2 (en) 2011-02-16 2014-09-30 Google Inc. Method and device for phase adjustment based on closed-loop diversity feedback
CN102651672B (zh) * 2011-02-25 2015-02-04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用于协作式mimo系统的基站校准方法及装置
US20120294338A1 (en) * 2011-05-18 2012-11-22 Jing-Hong Conan Zhan Phase-arrayed transceiver
US8970427B2 (en) 2011-05-18 2015-03-03 Mediatek Singapore Pte. Ltd. Phase-arrayed device and method for calibrating the phase-arrayed device
WO2013032452A1 (en) * 2011-08-30 2013-03-07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combining received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s
US8761329B2 (en) 2011-09-22 2014-06-24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Rod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13175774A1 (ja) 2012-05-22 2013-11-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信方法、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KR101668460B1 (ko) * 2012-05-31 2016-10-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송수신 레이더 시스템
CN103475395A (zh) * 2012-06-06 2013-12-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天线校正方法、装置和系统
US8874049B2 (en) * 2012-12-03 2014-10-28 Broadcom Corporation Configurable transceiver
US9020011B1 (en) 2013-05-24 2015-04-28 Pmc-Sierra Us, Inc. Enabling RX signal path synchronization and alignment signals in a highly integrated TX RFIC
US9408245B2 (en) * 2013-10-30 2016-08-0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acquiring service using multiple channels
US10056685B2 (en) 2014-03-06 2018-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array self-calibration
CN106105064B (zh) * 2014-06-13 2019-05-10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在大规模mimo无线通信系统中使用的天线校准方法和装置
US9584231B2 (en) * 2014-10-30 2017-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two dimensional active antenna array communication system
US9590745B2 (en) 2014-11-20 2017-03-07 Mediatek Inc. Scheme for performing beamforming calibration by measuring joint signal path mismatch
US9503204B2 (en) * 2014-12-29 2016-11-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calibrating transmission path
WO2016117733A1 (ko) * 2015-01-23 2016-07-28 한국과학기술원 다중 안테나 송신장치 및 수신 장치
KR102459683B1 (ko) * 2015-07-09 2022-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주파수 모듈에서의 교정장치 및 방법
EP3347994B1 (en) 2015-09-10 2019-10-23 Blue Danube Systems, Inc. Active array calibration
JP6209576B2 (ja) * 2015-10-26 2017-10-04 アンリツ株式会社 移動体端末試験装置およびそのダウンリンク信号位相調整方法
WO2017145257A1 (ja) * 2016-02-23 2017-08-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レー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の校正方法
EP3430728B1 (en) * 2016-03-18 2023-09-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unication circuit for multi-antenna apparatus
JP2017212594A (ja) * 2016-05-25 2017-11-30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WO2018009106A1 (en) * 2016-07-06 2018-01-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antenna calibration
JP6768618B2 (ja) * 2017-09-19 2020-10-14 株式会社東芝 アレイアンテナ装置およびアレイアンテナ処理方法
US10965027B2 (en) * 2017-09-20 2021-03-30 Kymeta Corporation RF ripple correction in an antenna aperture
US10989793B2 (en) * 2017-12-01 2021-04-27 Electromagnetic Systems, Inc. Adaptive correction of radar channel-to-channel time-dependent errors
EP3557786A1 (en) * 2018-04-16 2019-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testing rf integrated circuit
DE112020002384T5 (de) * 2019-05-14 2022-01-20 Space Exploration Technologies Corp. Kalibrierung eines antennensystems über die luft
KR102630181B1 (ko) * 2019-06-10 2024-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상차 검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CN110266402B (zh) * 2019-06-19 2022-03-01 北京润科通用技术有限公司 信道模拟器校准方法及装置
US11489252B2 (en) 2020-07-05 2022-11-01 Space Exploration Technologies Corp. System and method for over-the-air antenna calibration
CN112630779B (zh) * 2020-12-03 2024-03-19 中国人民解放军空军工程大学 一种软件化mimo三维成像雷达系统
CN112702237B (zh) * 2020-12-24 2023-02-17 上海创远仪器技术股份有限公司 实现针对mimo通信系统通道间时延和相位差进行计算测量的方法
US11476889B2 (en) * 2021-03-03 2022-10-18 Apple Inc. Wireless circuitry with loopback path all-pass filters
EP4270795A1 (en) 2022-04-28 2023-11-0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Rf chain offset estimation and reduction
CN115267664B (zh) * 2022-08-01 2023-10-20 北京中科睿信科技有限公司 一种平面射频仿真阵列校准设备和方法
CN115865231B (zh) * 2022-11-25 2024-04-05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九研究所 一种用于瞬时宽带接收相控阵系统的通道校正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6274A (en) 1978-06-02 1979-08-28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ophasing elements of a phased antenna array
US5546090A (en) 1991-12-12 1996-08-13 Array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ntenna arrays
US5274844A (en) 1992-05-11 1993-12-28 Motorola, Inc. Beam pattern equalization method for an adaptive array
GB2281660B (en) 1993-09-03 1997-04-16 Matra Marconi Space Uk Ltd A digitally controlled beam former for a spacecraft
AU691295B2 (en) 1994-06-03 1998-05-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ntenna array calibration
US5530449A (en) 1994-11-18 1996-06-25 Hughes Electronics Phased array antenna management system and calibration method
US5657023A (en) * 1996-05-02 1997-08-12 Hughes Electronics Self-phase up of array antennas with non-uniform element mutual coupling and arbitrary lattice orientation
US6037898A (en) * 1997-10-10 2000-03-14 Array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radio frequency base stations using antenna arrays
US6314147B1 (en) * 1997-11-04 2001-11-0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Two-stage CCI/ISI reduction with space-time processing in TDMA cellular networks
US6317466B1 (en) * 1998-04-15 2001-11-13 Lucent Technologies Inc.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a space-time architecture employing multi-element antennas at both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US6615024B1 (en) 1998-05-01 2003-09-02 Array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ignatures for calibrating a communication station having an antenna array
US6133868A (en) 1998-06-05 2000-10-17 Metawave Communication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ully self-contained calibration of an antenna array
US6307882B1 (en) 1998-07-10 2001-10-23 Lucent Technologies Inc. Determining channel characteristics in a space-time architectur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multi-element antennas
ID27970A (id) * 1998-08-05 2001-05-03 Sanyo Electric Co Radas radio dan metode kalibrasi untuk itu
US6157340A (en) 1998-10-26 2000-12-05 Cwill Telecommunications, Inc. Adaptive antenna array subsystem calibration
US6124824A (en) * 1999-01-29 2000-09-26 Cwill Telecommunications, Inc. Adaptive antenna array system calibration
US7035592B1 (en) * 1999-03-30 2006-04-25 Sanyo Electric Co., Ltd. Radio device and method of calibration of antenna directivity
US6377636B1 (en) * 1999-11-02 2002-04-23 Iospan Wirless, Inc.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ing coordinated transmission and training for interference mitigation
US6298092B1 (en) 1999-12-15 2001-10-02 Iospan Wireless, Inc. Methods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parameters of wireless systems
EP2139068B1 (en) * 1999-12-15 2011-04-13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Adaptive array antenna transceiver apparatus
US20020154705A1 (en) * 2000-03-22 2002-10-24 Walton Jay R. High efficiency high performance communications system employing multi-carrier modulation
US6473467B1 (en) * 2000-03-22 2002-10-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 high efficiency, high performance communications system
US6377819B1 (en) * 2000-04-06 2002-04-23 Iospan Wireless,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joined transmit and receive processing
US6442214B1 (en) * 2000-05-19 2002-08-27 Iospan Wireless, Inc. Diversity transmitter based on linear transform processing of transmitted information
US6369758B1 (en) * 2000-11-01 2002-04-09 Unique Broadband Systems, Inc. Adaptive antenna array for mobile communication
US20020111142A1 (en) 2000-12-18 2002-08-15 Klimovitch Gleb V. System, apparatus, and method of estimating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wireless channel with compensation for phase noise and frequency offset
US6380910B1 (en) * 2001-01-10 2002-04-30 Lucent Technologies Inc.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a compact antenna cluster
US6687492B1 (en) * 2002-03-01 2004-02-03 Cognio, Inc. System and method for antenna diversity using joint maximal ratio combining
US6873651B2 (en) * 2002-03-01 2005-03-29 Cognio, Inc. System and method for joint maximal ratio combining using time-domain signal processing
US6785520B2 (en) * 2002-03-01 2004-08-31 Cognio, Inc. System and method for antenna diversity using equal power joint maximal ratio combining
US7031669B2 (en) 2002-09-10 2006-04-18 Cognio, Inc. Techniques for correcting for phase and amplitude offsets in a MIMO radio device
US7006810B1 (en) * 2002-12-19 2006-02-28 At&T Corp. Method of selecting receive antennas for MIMO system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205B1 (ko) * 2005-02-09 2013-03-06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Ofdm을 사용하여 무선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위한분산 다중 안테나 스케쥴링
KR20130092773A (ko) * 2012-02-13 2013-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기기에서 라디오 주파수 회로에 대한 켈리브레이션을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70108740A (ko) * 2016-03-18 2017-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투 톤 테스팅에 기초하여 2차 입력 교차점 캘리브레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326612D1 (de) 2009-04-23
US20040048584A1 (en) 2004-03-11
MXPA05002678A (es) 2005-10-26
AU2003270416B2 (en) 2007-03-08
EP1547254A4 (en) 2006-11-29
EP1547254A2 (en) 2005-06-29
CN1751444A (zh) 2006-03-22
WO2004025841A3 (en) 2004-05-27
AU2003270416A1 (en) 2004-04-30
EP1547254B1 (en) 2009-03-11
US7236750B2 (en) 2007-06-26
WO2004025841A2 (en) 2004-03-25
US7031669B2 (en) 2006-04-18
JP4616011B2 (ja) 2011-01-19
AU2003270416C1 (en) 2008-04-24
ATE425595T1 (de) 2009-03-15
US20040219892A1 (en) 2004-11-04
NO20051751L (no) 2005-06-08
KR20070061917A (ko) 2007-06-14
CA2498676A1 (en) 2004-03-25
BR0314425A (pt) 2005-08-02
JP2005538666A (ja) 2005-12-15
CN1751444B (zh) 2010-05-12
GEP20074248B (en) 2007-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83684A (ko) 다중입력 다중출력 무선 장치에서의 위상 및 진폭 오프셋교정장치
US8428529B2 (en) Method and system for uplink beamforming calibration in a multi-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18111B2 (en) Antenna array calibr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392015B1 (en) Calibration methods and structur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JP4402294B2 (ja) アンテナ・アレイを備えた通信端末を較正するための空間的なシグネチャ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280430B2 (en) Antenna array calibration for multi-input multi-outpu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01512919B (zh) 具有带增强隔离适应的双重接收器或传输器天线配置的中继器
US9277501B2 (en) Envelope tracker driven transmit beamforming
JP2005538666A5 (ko)
Jiang et al. MIMO-TDD reciprocity under hardware imbalances: Experimental results
US20090175398A1 (en) I/q imbalance estimation and correc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498669B2 (en) Antenna array calibr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1946407B1 (en) Antenna array calibr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1875632B1 (en) Antenna array calibr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hang et al. Calibration techniques for fully parallel 24× 24 MIMO sounder
Zou et al. Efficient estimation and compensation of transceiver non-reciprocity in precoded tdd multi-user mimo-ofdm systems
Sun et al. Low-complexity Calibration Scheme of Channel Reciprocity for Massive MIMO-OFDM System with IQ Imbalance
RU2390942C2 (ru) Калибровка антенной решетки для систем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Raghavan et al. Over-the-Air Calibration via Two-Way Signaling for Millimeter Wave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