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2419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2419A
KR20050082419A KR1020040115386A KR20040115386A KR20050082419A KR 20050082419 A KR20050082419 A KR 20050082419A KR 1020040115386 A KR1020040115386 A KR 1020040115386A KR 20040115386 A KR20040115386 A KR 20040115386A KR 20050082419 A KR20050082419 A KR 20050082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ntilation
carbon dioxide
indoo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5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4131B1 (ko
Inventor
신시미키야스
나카지마토시미츠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에어컨디셔너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에어컨디셔너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2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1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9Calculation of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환기타이밍이 정확하게 파악되도록, 공기의 이동이 있어도 이산화탄소농도를 고 정밀도로 계측할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취출구 4A로부터 실내공기가 전혀 불지 않고 있을때와, 실내공기의 취출속도레벨이 대(H). 중(M). 소(L) 등과 리모콘등에 의해 설정한 때의 가스센서 20의 출력전압 Vo 30을 계측하고, 풍속레벨 대(H). 중(M). 소(L) 일때에 계측한 출력전압 Vo 30에 대한 보정치를 미리 결정하고, 각각을 Δ1, Δ2, Δ3 으로 하고, 전장부 10의 제어기에 있어서, 가스센서 20의 출력전압 Vo 30으로 계측시의 풍속레벨에 대응하는 보정치 Δi 를 가산하며, 이 값에 기초하여 공기중의 이산화탄소농도 N(ppm)을 구하고, 이 결과에 기초하여 환기용실내팬 12, 환기용실외팬 15의 어느쪽인가를 운전하여 환기하며, 또, 이 환기운전을 정지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실내 공기중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소정농도를 넘으면 환기 할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옥외에 설치한 실외기와. 실내의 벽등에 설치한 실내기와를 냉매관에 의해 접속하고, 실내기가 설치된 실내의 공기를 실내기 내부의 팬에 의해 실내기로 흡입하고, 실내기 내부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 시켜 발생한 냉기 또는 온기를 실내로 되돌려 실내를 쾌적한 온도 환경으로 유지하는 분리형공기조화기가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냉/난방 효과를 손상하는 환기를 행하는 것은 고려되고 있지 아니하며, 환기설비는 구비되어 있지 아니하다. 따라서, 그와 같은 공기조화기에 의한 공조운전이 장시간 행하여 지면, 실내공기가 오염됨으로 정기적으로 창등을 개방하여 실내공기를 배출하여, 신선한 외기를 들여넣는 환기를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예를들면 이산화탄소농도센서모듈과, 공기조절제어모듈과, 공기조절기구와로 되며, 공기조절제어모듈은, 이산화탄소농도센서모듈에서 측정한 이산화탄소농도가 소정이상의 최대치에 달한다고 판정 할때에. 공기조절기구를 구동하여 신선한 외기를 밀폐공간에 들여넣어 이산화탄소농도를 낮추고, 이산화탄소농도센서모듈에서 측정한 이산화탄소농도가 소정이하의 최소치에 달한다고 판정할때에. 외기의 밀폐공간으로의 들여넣는것을 종료하는 공기품질조절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예를들면, 특허문헌 1참조)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특개 2003-42493호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있어서, 제안된 공기중의 이산화탄소농도를 계측하는 장치에서는, 공기를 강제적으로 움직이는 공기조화기에 적용 할때에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반드시 정밀도가 좋게 측정 할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때문에 공기조화기에 있어 환기의 타이밍을 정확하게 파악 할수 있도록, 공기의 이동이 있어도 이산화탄소농도를 고정밀도로 계측 할수 있도록 할필요가 있으며, 이것이 해결 하여야 할 과제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내기에 공기중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계측하는 가스센서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가스센서가 계측한 이산화탄소농도를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냉매와 열교환 하는 실내공기의 풍속에 기초하여 보정하고, 보정후의 이산화탄소농도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스센서가 계측한 실내공기중의 이산화탄소농도를 제어기가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냉매와 열교환하는 실내공기의 풍속에 기초하여 보정하며, 제어기가 보정후의 이산화탄소농도에 기초하여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적어도 실내공기의 실외기로의 배출, 실외공기의 실내로의 취입의 어느것인가가 가능하게 설치한 환기수단의 운전을 제어 하도록 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실시예 1]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 1∼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분리형의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도시하지 아니함)와. 이 실외기와 냉매관 18에 의해 접속되어 실내의 벽에 설치되는 벽걸이형실내기(이하, 실내기라 약칭함) 1과로 구성되며, 실외기와 시내기 1과를 냉매가 순환 하도록 구성 되어 있다.
실내기 1은, 배면측의 후케이스 2와, 전면과 상면에 실내공기의 흡입구 3 A가 개설되어 후케이스 2의 전측에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된 전케이스 3과로 부터 되는 본체케이스 4를 구비하고, 이 본체케이스 4의 하부측에는 공기의 취출구 4A가 설치됨과 동시에, 본체케이스 4내에는 실내의 공기를 가열/냉각 하는 열교환기 5가 설치되어 있다.
열교환기 5는, 방열핀을 관통하여 사행(蛇行))하여 배관된 전열관 6의 내부를 냉매가 통과할때에 관외의 공기와 열교환 하는 것에 의해, 냉방/제습 운전시에 냉각기로서 기능을 하며, 난방운전시에는 가열기로서 기능을 하는 것이다.
또, 본체케이스 4의 내부에는 열교환기 5로 둘러 쌓이도록 송풍팬 7이 설치되고, 이 송풍팬 7에 의해 실내의 공기가 전케이스 3의 전면과 상면의 흡입구 3 A로부터 흡입되며, 열교환기 5에서 전열관 6내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하여 가열/냉각되고, 냉풍/온풍으로 되어 본체케이스 4의 취출구 4A로부터 실내로 취출하여 순환한다.
또, 열교환기 5의 하측에는, 열교환기 5에서 결로하여 적하 하는 드레인수를 모아서 배출 하기 위한 드레인팬 8이 설치되며, 전케이스 3과 열교환기 5와의 사이에는 에어필터 9(도 1에서는 생략)가 설치되고, 본체케이스 4하부의 취출구 4A에는 풍향변경기 14가 설치되어, 취출하는 공기의 방향이 자유롭게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시하지 하지않은 실외기에 구비되어 있는 압축기의 운전, 송풍팬 7을 구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팬모터의 운전등을 제어하기 위한 전장부 10이, 본체케이스 4의 한쪽부에 구획되어 내장되어 있다.
12는, 실내공기를 실외(옥외)로 배기하여 실내기 1이 설치되어 있는 실내를 환기 하기 위한 환기용실내팬이며 열교환기 5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열교환기 5의 전면부분에 탈착이 가능하게 장착된, 열전도율이 알미늄이나 철등의 금속보다 현격하게 작은 수지제의 격자상대좌 11위에 얹어 취부되어 있다.
이 환기용실내팬 12와 환기관 19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환기용실외팬 15는, 실외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내기 1이 취부되어 있는 가옥의 외벽(도시하지않음)의 외면에 환기용실외팬 15는 설치된다. 예를들면, 환기관 19의 일단에 환기용실외팬 15의 취출구 15B가 접속되어, 환기용실외팬 15가 설치되어 있다.
환기용실내팬 12와 환기용실외팬 15은 두께가 얇은 대략 원통형상의 팬케이스내에 모터와 시로코팬과가 수용된 구조의 것을 사용 할수있다. 이 구조의 팬은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함으로, 소형화가 요구되는 실내기 1에 수용하는 것이 용이하기도 하고, 옥외에 설치하는 경우는 눈에 띄지 않음으로, 미관상 좋다고 할수가 있다.
그리고, 환기용실내팬 12의 취출구 12B와 환기용실외팬 15의 취출구 15B와가 환기관 19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환기용실내팬 12를 기동하면, 실내기 1이 설치되어 있는 실내의 공기는 환기용실내팬 12의 팬케이스의 한쪽면에 개설된 원형의 흡입구 12A로부터 흡입되며, 취출구 12B로부터 환기관 19를 경유하여 환기용실외팬 15에 취출구 15B로부터 들어가고, 팬케이스의 한쪽면에 개설된 원형의 흡입구 15A로부터 불어 나온다. 따라서, 환기용실내팬 12를 운전함으로서, 실내기 1 이 설치되어 있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여 실내를 환기 할수 있다.
한편, 옥외에 설치된 환기용실외팬 15를 기동하면, 옥외의 공기는 환기용실외팬 15의 흡입구 15A로부터 흡입되고, 취출구 15B로부터 환기관 19를 경유하여 환기용실내팬 12로 취출구 12B로부터 들어가고, 흡입구 12A로부터 실내기 1의 내부로 불어나오고, 열교환기 5측에 송풍팬 7이 운전중이면 실내공기와 함께 흡입되며, 열교환기 5에서 전열관 6을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하여 가열/냉각 되어 하부의 취출구 4A로부터 실내공기와 함께 실내로 불어 나온다. 따라서, 환기용실외팬 15를 운전 함으로서, 실내기 1이 설치되어 있는 실내에 신선한 외기를 들여넣어 실내를 환기 할수가 있다.
즉, 환기용실내팬 12, 환기용실외팬 15의 어느쪽을 운전하여도, 실내기 1이 설치 되어 있는 실내의 환기를 행할수가 있다.
또, 실내기 1에는 공기중의 이산화탄소농도를 계측하기 위한 가스센서 20이 설치 되어 있다. 이 가스센서 20은, 송푼팬 7의 운전에 의해 전케이스 3의 흡입구 3A로부터 실내기 1의 내부로 흡입되고, 열교환기 5로 향하여 흐르고 있는 실내공기에 포함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계측되도록, 환기용실내팬 12와는 떨어진 쪽에서 격자상대좌 11에 장착되어 있다.
가스센서 20으로서는, 예를들면 도 3에 나타낸바와같이 스텐레스강제의 금망 21, 제올라이트 22, 부직포 23이 필터로서 상부개구 24측에 배치된 필터캡 25의 중앙부분에 가스감지부 26을 배치하고, 상부개구 24로부터 가스감지부 26에 이르는 과정에서 먼지나, CO, 알콜등의 이물이 금망 21, 제올라이트 22, 부직포 23에의 해 여과되어 흡착되도록 형성된 가스센서가 사용된다.
그리고, 가스감지부 26으로서는, 미리 산화루테늄히터가 인쇄된 기판에, 나토리움이온전도체(NASICON)을 탑재하여 제작 된것이 사용된다. 그래서, 이 가스감지부 26은, 도 4에 나타낸바와 같이 예를들면, 소정의 5V의 히터전압 Vh 29가 인가되어 발열하는 히터 27에 의해 소정의 온도, 예를들면 400℃가 유지되고, 이 높은 온도의 가스감지부 26에 이산화탄소가 접촉하여 각 전극에서 일어나는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전극 b-c 사이에 생기는 기전력의 변화량을, 증폭기 28을 통하여 출력전압 Vo 30에서로 증폭하여 계측하고, 공기중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검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가스센서 20은, 계측중은 가스감지부 26이 항상 소정의 온도로 가열ㆍ유지 되어 있을 필요가 있지만,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는 가스센서 20은 열교환기 5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송풍팬 7의 운전에 의해 전케이스 3의 흡입구 3A로부터 실내기 1에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영햐을 받아서 온도가 저하 된다.
즉. 가스센서 20은, 예를들면 -10∼50℃의 동작보증환경에서는 히터 27에 소정의 5V의 히터전압 Vh를 인가하여 히터 27의 통전가열을 행하면, 가스감지부 26은 소정의 400℃로 된다. 이 상태에서 바람이 불어, 30℃정도의 공기가 불어도, 가스감지부 26의 온도는 급격히 내려가서, 공기중의 이산화탄소농도를 정확하게 계측 할수가 없게 된다.
이때문에, 실내공기중의 이산화탄소농도를 여러가지로 바꾸어, 본체케이스 4의 하부측의 취출구 4A로부터 실내공기가 전혀 불어나오지 안하고 있을때와, 실내공기의 취출속도레벨이 대(H), 중(M), 소(L)등과 리모콘등에 의해 설정하였을 때의 출력전압 Vo 30을 계측하고, 풍속레벨 대(H), 중(M), 소(L) 일때에 계측한 출력전압 Vo 30에 대한 보정치를 미리 결정하고 각각을 Δ1, Δ2, Δ3으로 하고, 전장부 10에 내장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에 있어서, 가스센서 20의 출력전압 Vo 30으로 계측시의 풍속레벨에 대응하는 보정치 Δi를 더하여, 그 값에 기초하여 공기중의 이산화탄소농도 N(ppm)을 구하고, 이 값이 예를들면 1500 ppm(가변)보다 높을때에는 제어기로부터 소요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환기용실내팬 12, 환기용실외팬 15의 어느쪽인가. 또는 양쪽의 환기용팬을 교호로 운전하여, 실내기 1이 설치되어 있는 실내의 환기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 환기운전중에 가스센서 20의 출력전압 Vo 30으로 계측시의 풍속레벨에 대응하는 보정치 Δi를 가산하고, 이 값에 기초하여 연산하여 구한 공기중의 이산화탄소농도 N(ppm)이, 예를들면 1000 ppm(가변)보다 낮게 되었을 때에는, 제어기로부터 소요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운전중의 환기용실내팬 12 또는 환기용실외팬 15를 정지시켜 환기를 정지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송풍팬 7에 의해 실내공기를 전케이스 3의 흡입구 3A로부터 흡입하여 열교환기 5에서 가열/냉각하고, 하부측의 취출구 4A로부터 냉풍/온풍을 불어내는 공조운전중에도, 공기중의 이산화탄소농도 N을 정확하여 계측 할수 있으므로, 타이밍 좋게 환기용실내팬 12, 환기용실외팬 15의 어느쪽인가를 운전하여, 실내기 1이 설치되어 있느 실내의 환기를 행할수 있다.
그리고, 옥외의 냉매관 18은, 직사각형의 상자형으로 형성된 냉매관카바 16에 의해 덮어져 보호 되고 있다. 그리고, 이 냉매관카바 16을 이용하여, 환기용실외팬 15도 이 냉매관카바 16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냉매관카바 16의 전면부에는, 환기용실외팬 15의 흡입구 15A에 대응하는 슬릿구조나 필터구조의 흡입구 16A가 형성되고, 먼지등의 이물을 다량으로 흡입하지 않도록 필터의 역활을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환기용실외팬 15가 비바람이 나 먼지등으로부터 보호되며, 또 장난등으로 손상 되는일도 없으며, 환기용실외팬 15가 냉매관카바 16으로 감추어저서 들어나지 않음으로, 미관적으로도 아름답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취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의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예를들면, 히터 27에 인가하는 히터전압 Vh 29의 변동에 대하여도 보장하기 위하여, 전압계를 설치하여 히터 27에 인가되어 있는 히터전압 Vh 29를 계측하고, 이 계측전압에 기초하여 출력전압 Vo 30을 보정하고, 보정후의 출력전압에 기초하여 공기중의 이산화탄소농도 N을 구하도록, 전장부 10에 내장하고 있는 제어기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가스센서 20에 의해 계측한 공기중의 이산화탄소농도 N에 대한, 전장부 10에 내장하고 있는 제어기에 있어 보정은, 리모콘등에 의해 설정되는 풍속레벨에 기초하여 행하는 것이 아니고, 가스센서 20에 의지하여 풍속센서를 설치하고, 이 풍속센서가 계측하는 실제의 풍속치에 기초하여 보정하도록 구성 되어도 좋다.
또, 전장부 10에 내장하고 있는 제어기는, 가스센서 20에 의해 공기중의 이산하탄소농도 N을 계측하여 보정하고, 이것을 리모콘 또는 실내기 1에 디지털표시, 혹은 환기가 필요로하는 소정농도를 초과 할때에 경보표시를 행하도록 설치하고, 이 표시를 본 사람이 리모콘등을 적당히 조작하여, 환기용실내팬 12, 환기용시외팬 15의 어느쪽인가. 또는 양쪽의 환기용팬을 교호로 운전하여, 실내기 1이 설치되고 있는 실내의 환기를 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환기용실내팬 12와 환기용실외팬 15를 설치하는 대신에. 정회전/역회전의 전환이 가능한 하나의 환기용팬을 환기관 19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으며, 실내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관과, 실외공기를 실내로 끌어 들이기 위한 급기관과를 별도로 설치하고, 배기와 급기를 동시에 행하는 환기가 가능하게 하는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1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통전시에 자외선을 방사 할수있는 자외선 램프등을 구비한 자외선조사부 13을 환기용실내팬 12에 접근 시켜 설치하고, 환기용실외팬 15의 운전에 의해 흡입구 15A로부터 흡입되고, 환기관 19를 경유하여 환기용실내팬 12의 흡입구 12A로부터 실내기 1의 내부로 불어낸 외기에, 자외선조사부 13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멸균하며, 이 멸균된 외기가 본체케이스 4의 하측의 취출구 4A로부터 실내로 불어내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환기용실내팬 12의 옆에 자외선조사부 13을 설치하고, 환기용실내팬 12의 흡입구 12A로부터 불어내는 외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멸균 할때에는, 흡입구 12A로부터 불어내는 외기를 자외선조사부 13에 안내하기 위하여, 흡입구 12A를 적당한 팬카바에 의해 덮어서 자외선조사부 13에 이르는 풍로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 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공기에 포함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높은 정밀도로 파악할수 있으므로, 최적의 타이밍에서 환기수단을 기동하여 실내를 환기 할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임.
도 2는 한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임.
도 3은 가스센서의 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A) 는 위에서 본 설명도, (B) 는 측면에서 본 설명도, (C) 는 밑에서 본 설명도임.
도 4는 이산화탄소농도를 계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내기 2 : 후케이스
3 : 전케이스 3A : 흡입구
4 : 본체케이스 4A: 취출구
5 : 열교환기 6 : 전열관
7 : 송풍팬 8 : 드레인팬
9 : 에어필터 10 : 전장부
11 : 격자상대좌 12 : 환기용실내팬
12A : 흡입구 12B : 취출구
14 : 풍향변경기 15 : 환기용실외팬
15A : 흡입구 15B ; 취출구
16 : 냉매관카바 16A : 흡입구
18 : 냉매관 19 : 환기관
20 : 가스센서 21 : 금망
22 : 제올라이트 23 : 부직포
24 : 상부개구 25 : 필터캡
26 : 가스감지부 27 : 히터
28 : 증폭기 29 : 히터전압 Vh
30 : 출력전압 Vo

Claims (4)

  1. 실내기에 공기중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계측하는 가스센서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가스센서가 계측한 이산화탄소농도를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냉매와 열교환 하는 실내공기의 풍속에 기초하여 보정하고, 보정후의 이산화탄소농도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제어기가 실내공기의 실측풍속은 아니고, 정격풍속 또는 풍속레벨에 기초하여 가스센서가 계측한 이산화탄소농도를 보정하고,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공기중의 이산화탄소농도가, 가열상태의 가스샌서에 의해 계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적어도 실내공기의 실외로의 배출, 실외공기의 실내로의 취입의 어느쪽인가가 가능하게 설치된 환기수단의 운전이, 제어기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40115386A 2004-02-18 2004-12-29 공기조화기 KR1006741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41693A JP2005233484A (ja) 2004-02-18 2004-02-18 空気調和機
JPJP-P-2004-00041693 2004-0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419A true KR20050082419A (ko) 2005-08-23
KR100674131B1 KR100674131B1 (ko) 2007-01-26

Family

ID=35007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5386A KR100674131B1 (ko) 2004-02-18 2004-12-29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5233484A (ko)
KR (1) KR100674131B1 (ko)
CN (1) CN1300512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227B1 (ko) * 2006-01-20 2007-07-12 광주과학기술원 이산화탄소농도와 실내온도에 근거한 실내자동환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26409B (zh) * 2008-01-14 2012-06-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控制二氧化碳浓度的方法及其装置
CN101949575B (zh) * 2010-10-12 2012-07-04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利用窗户自动启闭实现能量梯级利用的环境控制方法
CN102331266A (zh) * 2011-06-13 2012-01-25 无锡格林通安全装备有限公司 多参量气体传感器补偿方法
US10520214B2 (en) * 2015-07-01 2019-12-3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conditioning system control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system
JP6564998B2 (ja) * 2015-09-25 2019-08-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清浄機
CN105674514A (zh) * 2016-04-06 2016-06-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和装置
JP2021517233A (ja) * 2018-03-09 2021-07-15 レマ ヤピ ヴェ ミマーリック アノニム シルケティ スマート換気システム
CN108917015B (zh) * 2018-09-29 2021-05-18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一种空调器及其控制方法
CN110486902B (zh) * 2019-08-09 2021-03-02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一种新风机的二氧化碳浓度测算方法及装置、新风机
CN111023352A (zh) * 2019-12-26 2020-04-17 江苏仁净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室内空气净化系统
CN111023350A (zh) * 2019-12-26 2020-04-17 江苏仁净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能够补充新风的室内空气净化方法
CN113865026A (zh) * 2021-09-29 2021-12-31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二氧化碳收集装置的控制方法及装置、空调器和存储介质
CN113865048A (zh) * 2021-09-29 2021-12-31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二氧化碳收集装置的控制方法及装置、空调器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54396A (ja) * 1989-03-28 1990-10-15 Matsushita Seiko Co Ltd 室内環境モニター装置
JPH03228625A (ja) * 1990-01-31 1991-10-09 Kanebo Ltd 植物育成用空調装置
JP2507165B2 (ja) * 1990-10-17 1996-06-12 松下精工株式会社 換気扇
JP2518099B2 (ja) * 1990-11-06 1996-07-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換気装置
JPH06147600A (ja) * 1992-11-17 1994-05-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室内環境測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KR20020017089A (ko) * 2000-08-28 2002-03-07 홍성창 복합센서를 이용한 쾌적공조장치
JP2002213783A (ja) 2001-01-19 2002-07-31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KR100519303B1 (ko) * 2003-05-28 200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 시스템의 풍량 제어 방법
KR100519308B1 (ko) * 2003-06-03 2005-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 시스템의 풍량 제어 방법
KR100577212B1 (ko) * 2004-01-20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 시스템의 풍량 제어방법
KR100577213B1 (ko) * 2004-01-27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 시스템의 풍량 제어방법
JP4606130B2 (ja) * 2004-11-17 2011-01-05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227B1 (ko) * 2006-01-20 2007-07-12 광주과학기술원 이산화탄소농도와 실내온도에 근거한 실내자동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00512C (zh) 2007-02-14
KR100674131B1 (ko) 2007-01-26
JP2005233484A (ja) 2005-09-02
CN1657836A (zh) 200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131B1 (ko) 공기조화기
KR102056470B1 (ko)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KR101734615B1 (ko) 창호용 자동 환기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4736854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9074788A (ja) 空気調和機
JP2001304645A (ja) 空気調和装置
KR101260564B1 (ko) 창호형 환기장치 및 풍향을 활용한 실내 공기 환기장치 및 환기방법
KR20110023731A (ko) 공기정화가 가능한 창틀고정용 환기장치
JP2008281247A (ja)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方法
KR102089060B1 (ko) 항온항습기
KR20030063856A (ko) 환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환기방법
KR100565529B1 (ko) 로봇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0062036A (ja) イオン発生器並びにそれを備えた空気清浄機及び空気調和機
KR100728339B1 (ko) 폐열회수 환기장치
JP2007003085A (ja) 換気装置
JP2013011405A (ja) 換気装置
JP2007071495A (ja) 空気調和機
JP2004301350A (ja) 換気装置
JPH02251044A (ja) 空気調和装置および空気調和方法
JP2004012022A (ja)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方法
JP4296876B2 (ja) 空調装置
JP3705497B2 (ja) 耐候光試験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耐候光試験方法
KR20150006636A (ko)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를 사용하는 차량
KR20180127595A (ko) 복합 환경제어용 공기조화기
JP2003042504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