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2023A - 교량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형태 조성장비 - Google Patents

교량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형태 조성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2023A
KR20050082023A KR1020040010364A KR20040010364A KR20050082023A KR 20050082023 A KR20050082023 A KR 20050082023A KR 1020040010364 A KR1020040010364 A KR 1020040010364A KR 20040010364 A KR20040010364 A KR 20040010364A KR 20050082023 A KR20050082023 A KR 20050082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lab
bridge
concrete
slab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0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1171B1 (ko
Inventor
이해경
Original Assignee
(주)다산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산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다산컨설턴트
Priority to KR1020040010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171B1/ko
Publication of KR20050082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2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laid-down unset materials
    • E01C19/43Machines or arrangements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reshly-laid paving courses, e.g. indenting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8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 E01C23/085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using power-driven tools, e.g. vibratory tools
    • E01C23/0855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using power-driven tools, e.g. vibratory tools moved rectilinearly, e.g. scabb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 형태를 설치하는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량의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시공시 상부면을 요철 형태로 형성하여 계절적 요인 또는 차량의 하중에 의한 아스팔트층을 보호하기 위한 교량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형태 조성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량의 콘크리트 슬래브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00)에 대한 시공시 상부 표면에 톱날 형태의 요철(110)이 형성되고, 그 요철(110)을 따라 방수 코팅층(200)이 형성되고 그 직상부에 아스팔트 포장층(300)을 형성하여 아스팔트층의 접촉 면적을 향상시켜 아스팔트 포장층의 밀림형상이 방지되도록 요철을 형성시키는 요철형태 조성장비(90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형태 조성장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교량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형태 조성장비{RUGGEDNESS APPARATUS OF CONCRETE SLAB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 형태를 설치하는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량의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시공시 상부면을 요철 형태로 형성하여 계절적 요인 또는 차량의 하중에 의한 아스팔트층을 보호하기 위한 교량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형태 조성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콘크리트 슬래브는, 하부에 슬래브 하부 거푸집을 설치한 뒤 그 상부에 슬래브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슬래브를 형성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교량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시공후 발생되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교량의 콘크리트 슬래브(10) 상면에는 방수 코팅층(20)이 형성되고, 그 방수 코팅층(20)의 상부에 아스팔트 포장층(30)이 형성된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아스팔트 포장층(30)이 날씨 및 기온에 따른 계절적 변화, 및 차량의 하중에 의해 밀림 현상이 발생되어 노면이 불규칙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일정 기간마다 보수 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하절기의 폭우시나 동절기의 폭설시는 불규칙한 노면에 따라 빈번하게 충돌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신설 교량의 콘크리트 슬래브의 타설시 그 표면을 요철형태 조성장비를 이용하여 톱날 형태의 요철면을 형성하므로 아스팔트층과의 접촉 면적의 증대에 따른 아스팔트 포장층의 밀림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계절적 원인에 따른 충돌사고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형태 조성장비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교량의 콘크리트 슬래브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00)에 대한 시공시 상부 표면에 톱날 형태의 요철이 형성되고, 그 요철을 따라 방수 코팅층이 형성되고 그 직상부에 아스팔트 포장층을 형성하여 아스팔트층의 접촉 면적을 향상시켜 아스팔트 포장층의 밀림형상이 방지되도록 요철을 형성시키는 요철형태 조성장비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형태 조성장비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형태 조성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교량의 콘크리트 슬래브(100)에 대한 시공시, 상부 표면에 톱날 형태의 요철(110)이 형성되고, 그 요철(110)을 따라 방수 코팅층(200)이 형성되고 그 직상부에 아스팔트 포장층(300)을 형성하여 아스팔트층의 접촉 면적을 향상시키도록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형태 조성장비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형태 조성장비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형태 조성장비의 사시도이다.
상기 교량의 요철형태 조성장비(900)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전선(508)에 의하여 전원이 인가되어 진동 모터(520)와 회전 모터(540)가 콘크리트(C)를 다짐 작업하면서 구동 바퀴 레일(420)을 따라 구동 바퀴(560)가 회전하게 되고, 요철 바퀴(590)에 의해 콘크리트(C)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요철형태 조성장비(900)는, 슬래브 하부 거푸집(350)이 형성된 상부에 슬래브 철근(360)이 배근되고 콘크리트(C)가 타설된 상태에서 어느 정도 콘크리트(C)가 양생된 후 상부에 안착된다.
상기 요철형태 조성장비(900)는, 슬래브 콘크리트의 상부에 안착시 수직 받침대(400)에 의해 지지되는 구동 바퀴 레일(420)이 설치된 상부에 구동 바퀴(560)가 안착되어 구동하게 된다.
상기 요철형태 조성장비(900)는, 사각형 형태로 사각 받침대(510)가 형성되고, 그 사각 받침대(510)의 상부에 진동 모터(520)가 안착되며, 후방에 안착대(530)가 형성되어 그 직상부에 회전 모터(540)가 설치되고, 그 회전 모터(540)와 구동 벨트(550)로 구동 바퀴(560)가 연결되며, 그 사각 받침대(510)의 전방에 연결대(570)가 설치되고, 그 연결대(570)의 수직부 1(572)과 수직부 2(574)에 각각 중력추(580)와 요철 바퀴(590)가 결합되어 슬래브 콘크리트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요철형태 조성장비(900)는, 진동 모터(520)에 수직하게 샤프트(522)가 연결되고, 그 샤프트(522)의 끝에 수평조정 플레이트(526)가 결합되어 슬래브 콘크리트의 표면에 대한 진동 다짐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상기 요철형태 조성장비(900)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 모터(520)와 연결된 수평조정 플레이트(526)에 의해 콘크리트(C)의 표면에 대한 수평 작업을 진행하면서, 사각 받침대(510)의 전방에 형성된 요철 바퀴(590)가 구동하게 되어 수평 작업된 콘크리트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C)의 표면에 대한 양생이 완료되면, 슬래브 콘크리트의 표면 전체에 요철(110)이 형성되고, 그 직상부에 방수 코팅층(200)가 형성되며, 그 방수 코팅층(200)의 상부에 아스팔트 포장층(300)이 포설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효과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요철형태 조성장비에 의한 요철이 형성된 후, 슬래브 콘크리트의 표면에 대한 아스팔트 포장층이 포설되면 슬래브 콘크리트의 표면과 아스팔트 포장층의 접촉 면적이 종래보다 넓은 관계로 계절적 변화에 따른 변화 및 차량의 하중에 의한 밀림 현상이 최대한 방지되게 되는 한편, 그로 인해 아스팔트 포장층의 균형에 따라 하자 공사에 소요되는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불균형 아스팔트 포장층에서 발생되는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상기 요철형태 조성장비는, 신설 교량의 슬래브 콘크리트가 시공되는 경우, 사용이 가능하므로 새롭게 신설되는 교량에는 모두 적용이 가능하여 상기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교량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시공후 발생되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형태 조성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형태 조성장비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형태 조성장비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형태 조성장비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콘크리트 슬래브 200: 방수 코팅층
300: 아스팔트 포장층 350: 슬래브 하부 거푸집
360: 슬래브 철근 400: 수직 받침대
420: 구동바퀴 레일 510: 사각 받침대
520: 진동 모터 530: 안착대
540: 회전 모터 550: 구동 벨트
560: 구동 바퀴 570: 연결대
580: 중력추 590: 요철 바퀴
900: 요철형태 조성장비

Claims (2)

  1. 교량의 콘크리트 슬래브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00)에 대한 시공시 상부 표면에 톱날 형태의 요철(110)이 형성되고, 그 요철(110)을 따라 방수 코팅층(200)이 형성되고 그 직상부에 아스팔트 포장층(300)을 형성하여 아스팔트층의 접촉 면적을 향상시켜 아스팔트 포장층의 밀림형상이 방지되도록 요철을 형성시키는 요철형태 조성장비(90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형태 조성장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형태 조성장비(900)는, 사각형 형태로 사각 받침대(510)가 형성되고, 그 사각 받침대(510)의 상부에 진동 모터(520)가 안착되며, 후방에 안착대(530)가 형성되어 그 직상부에 회전 모터(540)가 설치되고, 그 회전 모터(540)와 구동 벨트(550)로 구동 바퀴(560)가 연결되며, 그 사각 받침대(510)의 전방에 연결대(570)가 설치되고, 그 연결대(570)의 수직부 1(572)과 수직부 2(574)에 각각 중력추(580)와 요철 바퀴(590)가 결합되어 슬래브 콘크리트 표면에 요철을 형성되며,
    또한 상기 요철형태 조성장비(900)는, 진동 모터(520)에 수직하게 샤프트(522)가 연결되고, 그 샤프트(522)의 끝에 수평조정 플레이트(526)가 결합되어 슬래브 콘크리트의 표면에 대한 진동 다짐 작업을 실시된 연후에 요철이 형성되도록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형태 조성장비.
KR1020040010364A 2004-02-17 2004-02-17 교량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형태 조성장비 KR100621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364A KR100621171B1 (ko) 2004-02-17 2004-02-17 교량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형태 조성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364A KR100621171B1 (ko) 2004-02-17 2004-02-17 교량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형태 조성장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027U Division KR200349976Y1 (ko) 2004-02-17 2004-02-17 교량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형태 조성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023A true KR20050082023A (ko) 2005-08-22
KR100621171B1 KR100621171B1 (ko) 2006-09-08

Family

ID=37268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364A KR100621171B1 (ko) 2004-02-17 2004-02-17 교량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형태 조성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11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4827A (zh) * 2014-08-21 2014-11-26 四川金锋建设有限公司 用于乡村道路施工形成凹槽的碾压装置
CN104213496A (zh) * 2014-08-28 2014-12-17 成都市容德建筑劳务有限公司 路面刻纹机
CN111255254A (zh) * 2020-03-13 2020-06-09 江苏省华建建设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地面清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645A (ko) 2017-07-11 2019-01-21 배용웅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및 그를 이용한 끊어치기 콘크리트 타설공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9235A (en) * 1976-11-10 1978-05-27 Sumitomo Metal Ind Device of mixing steel fiber for strengthening concret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4827A (zh) * 2014-08-21 2014-11-26 四川金锋建设有限公司 用于乡村道路施工形成凹槽的碾压装置
CN104164827B (zh) * 2014-08-21 2016-06-29 四川金锋建设有限公司 用于乡村道路施工形成凹槽的碾压装置
CN104213496A (zh) * 2014-08-28 2014-12-17 成都市容德建筑劳务有限公司 路面刻纹机
CN111255254A (zh) * 2020-03-13 2020-06-09 江苏省华建建设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地面清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1171B1 (ko) 200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128211A (ja) コンクリート床版の補強方法
CN207672358U (zh) 一种环保路面
KR100621171B1 (ko) 교량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형태 조성장비
KR200349976Y1 (ko) 교량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형태 조성장비
CN210458872U (zh) 一种沥青路面施工用平整装置
KR101097995B1 (ko) 강성포장용 콘크리트 모듈러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급속시공방법
CN112458818B (zh) 高舒适性装配式水泥混凝土路面修复结构、施工方法及路面结构翻转装置
KR200461118Y1 (ko) 석재 벽돌로 만든 도로블록
KR101244796B1 (ko) 도로포장의 보수장비
CN211113081U (zh) 一种公路施工用防尘式路面切槽装置
CN211340317U (zh) 一种适用于人行道安装路沿石的简易工具
CN211522753U (zh) 一种沥青路面铺筑刮平设备
JP2007146647A (ja) 縁石を含む道路の補修方法とその補修方法で形成された縁石を含む道路構造
CN108486998B (zh) 一种小型的路面混凝土振动摊铺装置
KR101075180B1 (ko) 맨홀보수방법
CN205313961U (zh) 带有修补混凝土基面的路面整平装置
CN216474424U (zh) 一种用于公路养护的沥青铺陈装置
CN213538636U (zh) 一种道路缝隙填充修补结构
JP2618800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布設方法
CN109853334B (zh) 一种桥面铺装用移动式碎石撒布机
CN107675591A (zh) 一种混凝土路面摊铺整平装置
JPH03194004A (ja) 両面供用可能な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舗装版およびその設置方法
CN219972876U (zh) 水泥混凝土路面铺设平整装置
CN214938948U (zh) 一种沥青道路避免开裂的结构
CN209989657U (zh) 一种处理道路病害快速恢复交通的路面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